KR100346086B1 - 지관 - Google Patents

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086B1
KR100346086B1 KR1019990003257A KR19990003257A KR100346086B1 KR 100346086 B1 KR100346086 B1 KR 100346086B1 KR 1019990003257 A KR1019990003257 A KR 1019990003257A KR 19990003257 A KR19990003257 A KR 19990003257A KR 100346086 B1 KR100346086 B1 KR 100346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mension
fuji
compressed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4907A (ko
Inventor
공연수
Original Assignee
강해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해남 filed Critical 강해남
Priority to KR1019990003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08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61G17/0073Cardboa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관(紙棺)에 대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압축후지판재를 제조한 후, 그 둘레에 마감부재를 조립하여 임의의 치수대로 각각의 바닥판과, 상판과, 하판과, 좌측판과, 우측판들과 덮개판을 완성하여 지관을 쉽게 짜맞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임의의 치수로 형성된 바닥판과, 임의의 치수로 형성된 상판 및 하판, 좌측판 및 우측판과, 덮개판을 짜맞추어 관을 제작하되, 상기한 각각의 판재들은 후지재(P1)와, 골판지(P2)와, 후지재(P3)를 적층하고 그 사이에 보강부재(8)을 내장한 뒤, 이들을 두께방향으로 압착하여 제작되는 압축후지판재(P)와; 상기 압축후지판재(P)의 변에 결합되는 요홈(71)을 구비하고, 몸체부(72)가 서로 접하는 변에 서로 교보적으로 맞물리는 요철부(72c)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72)를 임의의 폭치수(T1)와 임의의 두께치수(T2)로 형성한 후, 두께 방향으로는 관통구멍(72a)을, 폭방향으로는 못구멍(72b)을 포함하는 마감부재(7)로 구성함으로서 구현된다.

Description

지관 {a coffin}
본 발명은 지관(紙棺)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관을 조립하기 위한 각 부분의 판재들을 압축후지판재로 제작한후, 그 테두리마다 마감부재를 끼워 맞추고 각각의 판재들을 연결할 때는 상기 마감부재부분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신을 담기 위한 관(棺)은 바닥판과,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들을 짜 맞추어 상자모양이 되도록 조립하게 되며, 그 속에 시신을 넣은 후에는 덮개판을 덮어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관은 판재의 두께가 약 18mm ∼ 45mm 정도 되는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판재는 황양판, 측백나무, 회백 향나무 등의 목재를 사용하기도 하고 미송, 오동나무, 잡목 등의 목재를 사용하고 있는 바, 매우 가격이 비싸고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근래에는 묘지의 부족 또는 묘지의 가격 상승, 종교적인 의식 등에 따라 화장을 하는 예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목재 관은 다루기에 매우 무겁고, 불속에서 오래 연소되기 때문에 화장에 적합하지 않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재 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지관을 제작하기 위한 판재가 알려져 있다.
이는 한쌍의 압축합성판재(예컨데 MDF판재 등)를 준비한 후, 이들 사이에 적당한 두께로 적층후지(예컨데 골판지 등)를 개입시킨 상태에서 열압착의 방법으로 가압하여 하나의 판재가 되도록 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압축합성판재는 제조과정에서 첨가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순수한 목재나 지류가 아니며, 상,하 압축합성판재의 사이에 개입시키는 적층후지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임의의 폭으로 절단한 후, 그 폭이 양측 압축합성판재에 닿도록 폭방향으로 개입시키기 때문에 제작시 작업공정이 많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만큼 저가 공급이 여의치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압축후지판재를 제조한 후, 그 둘레에 마감부재를 조립하여 임의의 치수대로 각각의 바닥판과, 상판과, 하판과, 좌측판과, 우측판들과 덮개판을 완성하여 지관을 쉽게 짜맞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임의의 치수로 형성된 바닥판과, 임의의 치수로 형성된 상판 및 하판, 좌측판 및 우측판과,덮개판을 짜 맞추어 관을 제작하되, 상기한 각각의 판재들은 후지재와, 골판지와, 후지재를 적층한 후, 이들을 두께방향으로 압착하여 압축후지판재를 형성하고, 이 압축후지판재의 네변마다 몸체부와 요홈을 가진 마감부재를 끼워 형성한 것으로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판재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부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결합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판 2 : 상판
3 : 하판 4 : 좌측판
5 : 우측판 6 : 덮개판
7 : 마감부재 8 : 보강부재
9 : 못 71 : 요홈
72 : 몸체부 72a : 관통구멍
72b : 못구멍 72c : 요철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구성 및 조립 상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완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판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지관도 바닥판(1)과 상판(2), 하판(3), 좌측판(4), 우측판(5), 덮개판(6)으로 이루어 지며, 각각의 판재들은 압축후지판재(P)로 이루어 진다.
이때의 압축후지판재(P)는 임의의 두께를 갖는 후지재(P1)와, 여러층이 반복 적층된 골판지(P2), 그리고 다시 임의의 두께를 갖는 후지재(P3)를 차례로 중첩시킨 후, 열 압착하여 하나의 판재로 만든 것이며, 이 압축후지판재(P)의 테두리마다 마감부재(7)를 끼워 원하는 부분의 판재를 형성한다.
판재의 두께는 약 15mm∼40mm 범위가 적당한데 두께를 달리 제조하고자 할 때는 상기 골판지(P2)의 두께를 가감하여 두께가 달라지도록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판(1) 및 상,하판(2)(3), 좌,우측판(4)(5), 덮개판(6)에 맞는 적당한 크기로 재단한 후, 각각의 사방 테두리를 마감부재(7)의 요홈(71)에 끼워 조립하되, 요홈(71)의 안쪽에 접착제를 도포하므로써 견고히 고정되도록 완성한다.
이때의 마감부재(7)는 주로 목재가 적당하며, 도 3에서 보듯이 요홈(71)의 반대쪽이 몸체부(72)가 되도록 하되, 이 몸체부(72)는 임의의 폭치수(T1)와, 두께치수(T2)를 가진 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고, 절단된 양측 끝단은 45°의 빗각으로 절단하여 각 판재의 모서리에서 이상적으로 만나도록 한다.
상기 폭치수(T1) 및 두께치수(T2)는 서로 동일한 치수로 하는 것이 맞대기하였을 때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는 바, 관의 크기에 따라 판재의 두께가 약 15mm∼40mm로 달라지기 때문에 요홈(71)의 폭이 약 15mm∼40mm가 되며, 따라서 상기한 두께치수 및 폭치수는 요홈(71)의 양측 두께(T3) 약 3mm 정도를 감안하였을 때, 18mm 내지 약 45mm 범위의 치수가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72)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방체로 만들기 위해 판재가 맞닿는 부분마다 도 3에서와 같은 나무못(9)을 박아 고정하되, 상기 몸체부(72)의 두께 방향으로는 관통구멍(72a)을 형성하고, 폭방향으로는 못구멍(72b)을 형성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측 판재에 끼워진 상기 마감부재(7)의 몸체부(72)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끼워맞춤될 수 있는 요철부(72c)를 형성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축후지판재(P)를 제조할 때, 판재의 강도가 약할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후지재(P1)(P3)의 사이에 개입시키는 골판지(P2)의 중앙에 공간부(80)를 형성한 후, 이 공간부 마다 보강부재(8)를 넣어 압착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장의 형태는 앞에서의 경우와 같으면서 상,하 두께방향으로 쉽게 휘어지지 않기 때문에 무게를 집중적으로 받는 바닥판(1) 등의 제작에 유용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관은 바닥판(1) 위에 상판(2)과, 하판(3), 그리고 좌측판(4)과, 우측판(5)이 입설되도록 한 상태에서 관통구멍(72a)들과 못구멍(72b)들을 일치시켜 밑으로부터 나무못(9)들을 박고, 또 상기와 같이 입설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판(2)과 좌,우측판(4)(5), 하판(3)과 좌,우측판(4)(5) 역시 관통구멍(72a)들과 못구멍(72b)들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나무못(9)으로 박아 고정하여 입방체로 완성하게 되며, 덮개판(6)과 함께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시신을 넣은 후에는 덮개판(6)의 관통구멍(72a)들과 상,하판(2)(3) 및 좌,우측판(4)(5)에 형성된 못구멍(72b)들을 통해 나무못(9)을 박으면 입관이 끝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요철부(72c)를 이용해 조립하게 되는 경우에도 앞서와 같은 순서로 입방체를 만들어덮개판(6)과 같이 공급하며, 이때, 덮개판(6)의 경우에는 앞에서의 경우와 같이 관통구멍(72a)과 못구멍(72b)에 나무못(9)을 박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관을 제작하되, 상,하 후지재(P1)(P3) 및 골판지(P2)를 압착성형하여 완성하는 압축후지판재(P)를 사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화장시 연소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압축후지판재(P)는 그 둘레에 몸체부(72)와 요홈(71)을 가진 마감부재(7)를 끼워 완성한 후, 이들 마감부재(7)의 관통구멍(72a), 못구멍(72b), 요철부(72c) 등을 이용하여 서로의 판재들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작이 매우 간단하여 생산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임의의 치수로 형성된 바닥판과, 임의의 치수로 형성된 상판 및 하판, 좌측판 및 우측판과, 덮개판을 짜맞추어 관을 제작하되,
    상기한 각각의 판재들은 후지재(P1)와, 골판지(P2)와, 후지재(P3)를 적층하고 그 사이에 보강부재(8)을 내장한 뒤, 이들을 두께방향으로 압착하여 제작되는 압축후지판재(P)와;
    상기 압축후지판재(P)의 변에 결합되는 요홈(71)을 구비하고, 몸체부(72)가 서로 접하는 변에 서로 교보적으로 맞물리는 요철부(72c)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72)를 임의의 폭치수(T1)와 임의의 두께치수(T2)를 형성한 후, 두께 방향으로는 관통구멍(72a)을, 폭방향으로는 못구멍(72b)을 포함하는 마감부재(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19990003257A 1999-02-01 1999-02-01 지관 KR100346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257A KR100346086B1 (ko) 1999-02-01 1999-02-01 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257A KR100346086B1 (ko) 1999-02-01 1999-02-01 지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907A KR20000054907A (ko) 2000-09-05
KR100346086B1 true KR100346086B1 (ko) 2002-08-01

Family

ID=1957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257A KR100346086B1 (ko) 1999-02-01 1999-02-01 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11131D0 (en) * 2013-06-02 2013-08-07 Ventures Uk Ltd Greensleeves I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907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7103A (en) Cabinet of improved design and construction
US20060196129A1 (en) Stair tread structure
US4428792A (en) Method of forming a structural column
KR100346086B1 (ko) 지관
US5701827A (en) Pallet assembly
KR101745457B1 (ko) 휨방지 및 경량화가 가능한 재활용목재 가구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3076430U (ja) 台形集成材
JP3896264B2 (ja) 木板連結パネル
JP3738002B2 (ja) 建築用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82705A (ja) 合板家具本体の立体成形法
KR200404762Y1 (ko) 부직포 다용도 보관함
JPS6118972Y2 (ko)
JPH01159018U (ko)
KR200352295Y1 (ko) 폐목재를 이용한 가구의 조립구조
KR102044443B1 (ko) 목재 결합 조인트 구조
JP3488206B2 (ja) 木製パレット
JP3995126B2 (ja) 木造建築用構造材
JPH0256603U (ko)
KR19990064650A (ko) 집성무늬목시트의 제조방법
JP4055940B2 (ja) 単板積層材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建具用框部材
JP2523023Y2 (ja) ログハウスの丸太を水平に交叉して組立る装置
KR200279657Y1 (ko) 방수 골판지 파렛트
JP3465564B2 (ja) 建築材
JPS6214267Y2 (ko)
KR200460572Y1 (ko)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