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572Y1 -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 - Google Patents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572Y1
KR200460572Y1 KR20090011437U KR20090011437U KR200460572Y1 KR 200460572 Y1 KR200460572 Y1 KR 200460572Y1 KR 20090011437 U KR20090011437 U KR 20090011437U KR 20090011437 U KR20090011437 U KR 20090011437U KR 200460572 Y1 KR200460572 Y1 KR 200460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ide plate
support
plate member
waste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1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343U (ko
Inventor
원인희
Original Assignee
원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인희 filed Critical 원인희
Priority to KR20090011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57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3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3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5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8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77Interlocking assemblies with dovetail mortise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16Interlocking or wedging elements making up pieces of furniture without additional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25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mortise and tenon join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나무를 자르고 남은 피(皮)(남은 나무)를 재활용하여 만드는 것으로 일정한 크기로 자른 나무목재를 슬라이딩에 의해 고정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정력을 향상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양측단에 형성된 지지간과, 상기 지지간의 내측 전후방에 형성된 측판부재와, 상기 측판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보강심재와, 상기 보강심재, 측판부재, 지지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판으로 구성된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간과, 측판부재와, 보강심재 및 상판의 접촉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역삼각형돌기와, 역삼각형홈을 형성하여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The table leg which uses the lumber}
본 고안은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나무를 자르고 남은 피(皮)(남은 나무)를 재활용하여 만드는 것으로 일정한 크기로 자른 나무목재를 슬라이딩에 의해 고정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정력을 향상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가구는 합성목이나 인조목 등과 같이 비교적 값이 저렴한 자재를 이용하거나 또는 값이 고가인 원목을 이용하여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이 합성목이나 인조목으로 만든 가구는 가격이 저렴하여 소비자들이 구입하는데에 비용부담이 크게 적용되지 않고 있는 반면에, 나무 원래의 질감이 저하되어 가구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구의 전면에 이른바, 목재의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멤브레인 가공을 행하고는 있으나, 이 경우 가구의 전면에 접합 된 시트에 의해 어느 정도의 목재질감을 갖을 수 있지만, 원목과는 느낌 차이가 크게 나타나 가구 외 관의 미려함이 크게 나타나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원목을 가공하여 제작된 가구는 원목의 질감이 그대로 살아 있음에 따라, 외관이 미려하고 단순한 가구의 효과 이외에 인테리어 효과까지도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원목으로 가공된 가구의 경우, 가구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목 자체의 가격이 고가임에 따라 생산되는 가구 또한 고가일 수 밖에는 없어 원목으로 제작된 가구를 구입하기에는 적지 않은 비용부담을 느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원목으로 제작되는 가구는, 이 가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목재를 그대로 버리기 때문에, 가구의 생산단가가 더욱 증가될 수 밖에 없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원목의 폐목재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활용가치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버려지거나 또는 땔감 등으로 사용됨에 따라 비효율적일 수 밖에는 없다.
한편,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구를 제작하고 남은 폐목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폐목재를 이용한 의자 다리(실용신안등록 제211417호)를 안출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좌판과 다리로 구성된 공지의 의자에 있어서, 다수개의 목재판을 좌우로 연결하여서된 전면부재와 후면부재를 전후로 부착하며, 각각의 목재판이 연결된 부위의 틈새에 접착성수지를 매립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다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을 원목을 이용 하여 가구를 제작하고 난 폐목재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원목의 질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고 생산단가의 절감에 의해 널리 실용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폐목재를 이용한 의자는, 다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을 접합하는 수단이 접착성수지에 의해 의존하고 다리의 상단에 좌판을 결합함에 있어서, 크기가 큰 대못을 이용하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고 각각의 부재들의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통나무의 단일부재로 된 원목의 질감을 갖는 외관의 의자를 구현하기에는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352295호 폐목재를 이용한 가구의 조립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폐목재를 이용한 가구의 조립구조는 가구를 구성하는 각 단위부재들을 역지(逆止)돌기부와 역지홈부에 의해 강압식 끼움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각각의 단위부재들의 결합하는 구조로써 강압식 끼움시 가구의 외부 표면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역지돌기와 역지홈이 일자로 끼워지게 형성함으로써 접착제 없이는 견고하게 결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구의 상판을 안치시키는 구조로써 별도의 고정구(못)를 사용하거나 접착 고정하여 조립이 번거롭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나무를 자르고 남은 피(皮)(남은 나무)를 재활용하여 만드는 것으로 일정한 크기로 자른 나무목재에 역삼각형의 돌기와 홈을 대응되도록 형성하거나 고정홈에 고정대를 슬라이딩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각각의 나무목재의 고정력을 향상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단에 형성된 지지간과, 상기 지지간의 내측 전후방에 형성된 측판부재와, 상기 측판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보강심재와, 상기 보강심재, 측판부재, 지지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판으로 구성된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간과, 측판부재와, 보강심재 및 상판의 접촉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역삼각형돌기와, 역삼각형홈을 형성하여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간과, 측판부재와, 보강심재 및 상판의 접촉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역삼각형홈을 형성하고 상기 역삼각형홈에 한 쌍의 역삼각형이 마주보는 형상의 고정대를 삽입하여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제 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탁자 또는 의자 등의 가구 특히 테이블 다리를 폐목재를 통하여 제작하고 상기 폐목재로 이루어진 각각의 조립단위를 슬라이딩에 의해서만 결합함으로써 결합력을 견고히 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생산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압적으로 압력에 의해 조립단위를 조립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시 조립단위의 외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품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는 양측단에 형성된 지지간(10)과, 상기 지지간(10)의 내측 전후방에 형성된 측판부재(20)와, 상기 측판부재(20)의 내측에 형성된 보강심재(30)와, 상기 보강심재(30), 측판부재(20), 지지간(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판(40)을 고정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지지간(10)과, 측판부재(20)와, 보강심재(30) 및 상판(40)의 접촉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역삼각형돌기(50)와, 역삼각형홈(60)을 형성하여 각각의 조립단위를 조립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간(10)과, 측판부재(20)와, 보강심재(30) 및 상판(40)의 접촉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역삼각형홈(60)을 형성하고 상기 역삼각형홈(60)에 한 쌍의 역삼각형이 마주보는 형상의 고정대(7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강심재(30)를 중심에 세운 다음 상기 보강심재(30)의 전후방에 측판부재(20)를 슬라이딩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보강심재(30)와, 측판부재(20)의 양측에 지지간(10)을 같은 방법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한 후 상기 보강심재(30), 측판부재(20), 지지 간(10)에 상판(40)을 슬라이딩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은 각 조립단위의 결합은 역삼각형돌기(50)와 역삼각형홈(60)에 의해 결합되어 각 조립단위가 조립된 후에는 역삼각형돌기(50)와 역삼각형홈(60)이 파손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보강심재(30)와, 측판부재(20) 및 지지간(10)을 상호 면접촉되도록 세워 놓고 상기 보강심재(30)와, 측판부재(20) 및 지지간(10)에 형성된 역삼각형홈(60)에 고정대(70)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판(40)을 적층하여 고정대(70)를 통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간 20 : 측판부재
30 : 보강심재 40 : 상판
50 : 역삼각형돌기 60 : 역삼각형홈
70 : 고정대

Claims (2)

  1. 양측단에 형성된 지지간(10)과, 상기 지지간(10)의 내측 전후방에 형성된 측판부재(20)와, 상기 측판부재(20)의 내측에 형성된 보강심재(30)와, 상기 보강심재(30), 측판부재(20), 지지간(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판(40)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간(10)과 측판부재(20)와, 보강심재(30) 및 상판(40)의 접촉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역삼각형돌기(50)와, 역삼각형홈(60)을 형성하여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간(10)과, 측판부재(20)와, 보강심재(30) 및 상판(40)의 접촉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역삼각형홈(60)을 형성하고 상기 역삼각형홈(60)에 한 쌍의 역삼각형이 마주보는 형상의 고정대(70)를 삽입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
  2. 삭제
KR20090011437U 2009-08-31 2009-08-31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 KR200460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437U KR200460572Y1 (ko) 2009-08-31 2009-08-31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437U KR200460572Y1 (ko) 2009-08-31 2009-08-31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43U KR20110002343U (ko) 2011-03-08
KR200460572Y1 true KR200460572Y1 (ko) 2012-06-08

Family

ID=4420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1437U KR200460572Y1 (ko) 2009-08-31 2009-08-31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57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95Y1 (ko) * 2004-03-03 2004-06-04 원인희 폐목재를 이용한 가구의 조립구조
KR200409228Y1 (ko) * 2005-12-05 2006-02-22 주식회사 신일 패널용 체결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칸막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95Y1 (ko) * 2004-03-03 2004-06-04 원인희 폐목재를 이용한 가구의 조립구조
KR200409228Y1 (ko) * 2005-12-05 2006-02-22 주식회사 신일 패널용 체결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칸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43U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4493A1 (en) Engineered bamboo furniture with mortise and tenon joints
US7960004B2 (en) Glue-laminated bamboo furniture
WO2009105958A1 (zh) 一种单层塑料复合板
JP2008546434A (ja) 複合板戸棚
KR200460572Y1 (ko)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
CN201136196Y (zh) 一种用于衣柜/橱柜的板材
US20110080030A1 (en) Armrest and methods for maufacturing same
KR200352295Y1 (ko) 폐목재를 이용한 가구의 조립구조
KR20170106726A (ko) 무늬목 가구의 곡면 모서리 구조와 그 제조방법
KR101202680B1 (ko) 패널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핸들프리도어
TWI827455B (zh) 木料之結構及其製程
JP4225173B2 (ja) 床材の製造方法
CN219020620U (zh) 一种仿木家装的组合线条
CN207898210U (zh) 一种组装实木面餐桌
US20090271924A1 (en) Attract-Molded Bed
CN107518584B (zh) 一种超轻质智能桌子
JP2008126547A (ja) 低密度木材を活用できる木質構造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接続構造、並びにこの接続構造を用いた構造体、並びにこの接続構造の形成方法
CN212899281U (zh) 一种通用型可重复拆装的家具构件榫卯连接结构
CN213137118U (zh) 一种榫卯拼接竹板
JPH05137618A (ja) 家具用パネルの接合構造
KR200166268Y1 (ko) 의자
KR200382219Y1 (ko) 가구용 백-플레이트 결합구조
KR20210055929A (ko) 친환경 가구
CN201888521U (zh) 新型连体板
KR200303076Y1 (ko) 보지력을 강화시킨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