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547A - 휴대용 전원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원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547A
KR20060107547A KR1020067011024A KR20067011024A KR20060107547A KR 20060107547 A KR20060107547 A KR 20060107547A KR 1020067011024 A KR1020067011024 A KR 1020067011024A KR 20067011024 A KR20067011024 A KR 20067011024A KR 20060107547 A KR20060107547 A KR 20060107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depletion
portable power
threshold
charge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1892B1 (ko
Inventor
조셉 패티노
랜달 에스. 프레이저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0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휴대용 전원(11)을 가진 장치(100)는 충전 레벨이 휴대용 전원(11)에 얼마나 잔존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다른 충전 고갈 문턱값들(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가시적 전하-잔존 표시기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차례로 가시적 표시기에 의해 제안된 재충전 권고가 주어진 사용자의 본래 재충전 행동들을 보다 잘 추적하고 보강하게 한다. 따라서 구성된 휴대용 전원의 총 수명은 휴대용 전원이 각각의 충전 사이클의 완성 후 완전히 충전되는 것을 보장하면서 연장될 수 있다.
휴대용 전원, 충전 레벨, 가시적 전하-잔존 표시기, 충전 고갈 문턱값, 전력 용량 검출기

Description

휴대용 전원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se with a portable power sour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들에 관한 것이고 특히 충전 고갈 감지(charge depletion sensing) 및 대응하는 표시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 같은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들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많은 경우들에서 상기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들은 재충전 가능하다; 즉, 동작 보전에 대한 어느 정도 합리적인 범위들내에서, 주어진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는 이전 충전 레벨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재충전될 수 있다.
한가지 종래 기술 방법은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가 완전히 방전될 수 있는 정도에 무관하게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를 재충전하기 위해 단일 재충전 처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일부 재충전 처리들은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가 실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전되는 정도와 필수적으로 무관하게 동일한 동작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소위 정전류(constant-current), 정전압 2-상 방법(constant-voltage two-phase methodology)에 의존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한 방전 정도 및 다른 한편으 로 총 수명 사이클 사이에 상당한 관계가 존재하는 것이 알려졌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모놀리식 방법(monolithic approach)은 필수적으로 이런 관계를 무시하고 개선된 수명 사이클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동적 조절을 일반적으로 허용하지 않은 단일 충전 해결책을 제공한다.
하나의 종래 기술 방법은 배터리 재충전 동안 다른 충전 전압 및/또는 다른 전류 컷오프(cut-off) 값들을 사용하여 이런 상황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제 1 시간 기간 동안 제 1 충전 전압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전되고 그 다음 제 2 시간 기간 동안 제 2 충전 전압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전된다. 제 1 및 제 2 충전 전압 사이의 차를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몇몇 동작 환경들하에서 제 1 충전 전압을 사용할 때와 다른(바람직하게 우수한) 비율로 배터리의 용량을 감소시키도록 제 2 충전 전압을 사용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동작 환경들하에서 가능한 장점들을 제공하는 상기 방법은 특정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다른 측면들에서 실패한다. 예를 들어, 이런 방법을 사용할 때, 배터리는 종종 충전 처리 다음 부분적으로만 충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완전한 용량 성능을 요구하지 않는 한, 이런 조정은 허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어떤 이유로 인해 배터리의 완전한 용량을 요구할 때, 이 방법은 사용자의 요구에 불충분하게 제공된다.
상기 요구들은 특히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찰될 때, 다음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휴대용 전원(portable power source)에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된다.
당업자는 도면들의 엘리먼트들이 단순화 및 명확화를 위하여 도시되고 필수적으로 비례적으로 도시되지 않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일부 엘리먼트들의 크기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 엘리먼트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실시예에 이용하거나 필요한 공통적이고 잘 이해되는 엘리먼트들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이들 다양한 실시예들의 덜 방해받는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이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를 가진 장치는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 및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은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에 해당하는 충전 고갈 레벨 미만의 휴대용 전원에 대한 충전 고갈 레벨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양쪽 충전 고갈 문턱값들은 미리 결정되고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치에 대한 충전 고갈의 히스토리적 레벨들의 함수로서 결정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선택된 충전 고갈 문턱값은 휴대용 전원이 재충전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실제로 주어진 전원 공급 장치가 예비 충전을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사용자는 주어진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를 재충전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 특히, 전원이 예를 들어, 예비 용량의 약 20%로 고갈될 때 주어진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전원을 재충전하고자 하는 것을 결정할 때,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은 이 레벨의 용량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차례로, 이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은 사용자가 전원을 재충전하도록 연락을 받을 때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일단 충전되면,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완전히 충전되는 것을 보장하면서, 종래 기술 충전 전략의 장점들이 사용되게 한다. 이것은 차례로 사용자가 상기 예비 용량을 요구할 때 및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원의 완전한 잠재 용량에 접근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세한 흐름도.
도 4 내지 도 7은 주어진 휴대용 전원이 재충전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가시적 표시기의 도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특히 도 1을 참조하여, 도시된 장치는 장치(10)의 적어도 일부 다른 구성요소들(도시 및 도시되지 않음)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전원(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휴대용 전원(11)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 또는 셀들을 포함할 수 있고 현재 공지되거나 이후 개발될 수 있는 임의의 적당한 재료로 구성되거나 임의의 적당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조금만 말하면 니켈-카드뮴 배터리들, 밀봉된 납산 배터리들, 니켈-금속-수소화물 배터리 들, 리튬 이온 배터리들, 및 리튬 폴리머 배터리들을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상기 휴대용 전원은 바람직하게 이들 가르침의 완전한 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충전할 수 있는 플랫폼(rechargeable platform)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10)는 또한 통상적으로 제어기(12)를 포함할 것이다. 제어기(12)는 휴대용 전원(11)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용 전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기에 전력을 인가하게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기(12)는 장치 자체의 목적 및 의도를 지원하거나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목표된 기능들 또는 능력들을 이루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장치가 셀방식 전화 핸드셋(cellular telephone handset)이면, 제어기(12)는 잘 이해되는 종래 기술에 따라 통신 시그널링(communication signaling), 전력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등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12)는 이들 기술들에 따른 특정 행동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2)는 휴대용 전원의 재충전을 검출하고, 상기 재충전 검출 후 휴대용 전원의 현재 고갈 레벨을 결정하고, 및 결정된 고갈 레벨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된 바와 같이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당한 프로그래밍 또는 기타 등등을 통하여 쉽게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원한다면, 물론 상기 기능이 독립적인 구성요소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및/또는 복수의 구현된 플랫폼들을 통하여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아키텍처 선택들 및 옵션들은 종래 기술에서 잘 이해되고 그러므로 추가의 구현은 간략화 및 중심의 보전을 위하여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10)는 메모리(13)를 또한 포함할 것이다. 이 메모리는 도시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은 이산 엔티티(discrete entity)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제어기(12)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의 전체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메모리(13)가 다수의 개별적인 별개의 메모리 장치들(분배된 메모리 아키텍처를 달성하기 위하여)로 구성되고 및/또는 장치(10) 자체에 대해 원격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다시, 상기 아키텍처 옵션들은 종래에서 잘 이해되고 상기 동작들이 이들 기술들과 모두 일반적으로 호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10)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포함할 것이고,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은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과 비교할 때 감소된 충전 고갈량(즉, 보다 작은 고갈)에 대응한다. 상기 충전 고갈 문턱값들은 예를 들어 메모리(13)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 보다 상세히 도시될 바와 같이, 상기 충전 고갈 문턱값들은 액세스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일치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할 때 예를 들어 제어기(1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장치(10)는 어떤 충전 고갈 문턱값을 사용할지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 대신, 또는 거기에 보완으로서, 장치(10)는 선택적으로 선택기(1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기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충전 고갈 문턱값들 중 특정 하나를 지정하여 선택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선택기(14)는 물리적 스위치들 및 다른 가정할 수 있는 메커니즘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및 음성 응답 시스템 등등을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사용자 인터 페이스 형태를 가정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디스플레이(15)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상기 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들(cathode ray tube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들 및 다른 화소화 디스플레이 플랫폼들(pixelated display platform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들, 및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들(projection displays) 등등을 포함하지만 상기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공지되거나 이후 개발되는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성될 수 있음). 상기 디스플레이(15)는 충전 고갈 문턱값(및/또는 대응하는 방전 모니터링 방법(discharge monitoring methodology))이 장치(10)에 의해 현재 사용중인 것에 해당하고 장치(10)에 의해 사용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후보 충전 고갈 문턱값들(candidate charge depleted threshold values) 또는 방법들을 식별하는 표시들을 도시할 수 있다. 하기 도시될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는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과 비교할 때 휴대용 전원(11)의 충전 고갈 레벨에 해당하는 제 1 사용자-지각가능 가시적 표시기 및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과 비교할 때 충전 고갈 레벨에 대응하는 제 2 사용자-지각가능 가시적 표시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구성된, 상기 장치(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여기에 나타난 지침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동작 학습 모드 동안, 예를 들어, 상기 장치(10)는 휴대용 전원(11)이 충전기(16)에 재충전될 때를 검출하고 상기 이벤트 검출시 휴대용 전원(11)에 대한 대응하는 현재 고갈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고갈 정보 레벨은 대응하는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문턱값의 준비에 영향을 준다. 이것은 동적으로 결정되게 하 고 주어진 사용자가 재충전 사이클 작동에 관련하여 장치(10)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행동 영향 문턱값들이 렌더링되게 한다. 정상 동작 동안, 상기 장치(10)는 재충전이 사용자의 히스토리(또는 그렇지 않으면 선택된) 행동 패턴들과 적절히 매칭할 수 있을 때의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충전 고갈 문턱값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차례로 휴대용 전원(11)이 충전 사이클의 완료시 완전히 충전될 것을 보장하면서, 휴대용 전원(11)에 대한 전체 수명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플랫폼(10)(및 다른 플랫폼 또한)을 사용할 수 있는 처리(20)가 기술될 것이다. 이 처리(20)는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21) 및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22) 모두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은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에 대응하는 충전 고갈 레벨 미만의 대응하는 휴대용 전원에 대한 충전 고갈 레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은 실질적으로 완전한 레벨의 충전 고갈(100% 레벨의 충전 고갈과 같음)에 해당하고,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이 80% 레벨의 충전 고갈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양쪽 충전 고갈 문턱값들은 미리 결정된 고정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최소한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은 히스토리적으로 유도된 충전 고갈 문턱값을 포함한다. 즉,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은 발생시 휴대용 전원에 대한 충전 고갈의 히스토리적 레벨들의 함수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히스토리적 문턱값 결정 처리(30)는 예를 들어 휴대용 전원이 지금 재충전되어야 하는 정보를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 할 때를 결정하기 위하여 장치의 사용 동안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또는 주어진 애플리케이션에 적당할 수 있는 다른 값 또는 값들)을 우선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처리(30)는 사용자에 의해 시작된 이벤트들을 재충전하는 것을 검출하고(32) 그 다음 상기 재충전을 검출할 때, 휴대용 전원에 대한 대응하는 고갈 레벨을 결정한다(33). 그 다음 상기 고갈 레벨은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34).
예를 들어, 만약 휴대용 전원상 충전이 30%까지 고갈되었을 때 사용자가 휴대용 전원을 재충전했다는 것을 처리(30)가 결정하면, 70% 레벨의 충전 고갈은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으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처리(30)는 다수의 재충전 이벤트들을 통하여 그 자체로 반복되어 다수의 재충전을 검출하고 이들 다수의 재충전 이벤트들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고갈의 대응 레벨들을 결정한다. 결과적인 다수의 결정된 고갈 레벨들은 사용자의 평균 행동 패턴과 잘 상관하는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개의 상기 사이클들은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결정하기 전에 요구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5개의 값들은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평균될 수 있다(주어진 애플리케이션의 요구들에 적당하게 가중되거나 가중되지 않는 방식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적어도 제 1 및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들의 이용 가능성을 가정하여, 처리(20)는 하나의 상기 문턱값의 선택(23)을 결정한다. 이 선택 처리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대응하는 장치가 선택기 능력(selector capability)을 가질 때와 같이) 적당한 대응 문턱값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법에 따라, 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선택의 부재시, 이런 선택은 문턱값들 중 특정한 하나의 자동적인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결정을 형성하기 위한 원리가 요구될 때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문턱값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식별, 하루의 시간 또는 주일의 요일, 장치 자체에 대한 특정 동작 모드의 검출 등의 함수로서 선택될 수 있다.
자동 선택의 다른 실시예로서, 처리(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충전 고갈 문턱값이 존재하는 하나의 함수로서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의 사용의 선택을 바탕으로 할 수 있다. 즉, 처리(20)가 사용자의 히스토리적 행동 결과로서 이러한 문턱값을 유도할 때, 동일한 히스토리적 행동은 처리(20)가 대응하는 문턱값을 선택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간단히, 배터리가 예를 들어 65% 방전될 때 사용자가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경향이 있을 때, 이후 처리(20)는 대응하는 문턱값을 제공할 수 있고 문턱값이 제공된 때 이 처리에 사용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문턱값을 선택할 수 있다.
처리(20)가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을 선택할 때(23), 처리(20)는 예를 들어 재충전하는 것이 절박하다는 것을 포함하는 신호가 사용자에게 신호될 때를 평가하기 위하여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을 사용한다(24). 선택적이지만 지정된 실시예로서,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은 대응하는 제 1 재충전 표시기(및/또는 현재 충전 표시)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25).
예를 들어,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배터리-형 아이콘(40)을 포함하는 제 1 가시적 표시기는 디스플레이되고 여기서 배터리 형 아이콘(40)은 대응하는 휴대용 전원에 대한 현재 충전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채워진 특정 컬러 및/또는 패턴(41)을 가진다. 예를 들어, 아이콘(4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패턴(41)으로 채워질 때, 가시적 표시기는 휴대용 전원이 필수적으로 완전히 충전되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충전이 사용동안 고갈될 때,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은 가시적 표시기를 통하여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를 허용하도록 현재 충전 레벨과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워진 컬러/패턴(41)은 현재 충전 레벨이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과 비교되는 정도의 함수로서 상관된 레벨에 해당하는 레벨(51)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이런 감소된 레벨(51)은 약 70% 충전과 같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이 실질적으로 완전한 충전 고갈 레벨을 나타내지만, 휴대용 전원 자체는 실질적으로 현재 약 70% 잔존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 실시예에서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은 휴대용 전원에 대한 실제 잔존 전하를 나타내는 잔존 전하 표시들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처리가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과 비교하여 감소된 충전 고갈량에 해당하는 것이 상기될 것이다)을 선택할 때(23), 처리(20)는 휴대용 전원에 대한 현재 전하 레벨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사용할 것이다(26).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처리(20)는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에 대응하는 제 2 재충전 표시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27). 예를 들어,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제 2 가시적 표시 기(60)는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의 사용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제 2 가시적 표시기(60)는 만약 원한다면 제 1 가시적 표시기와 몇몇 유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시적 표시기(60)는 부분적으로 제 1 가시적 표시기에 포함된 동일한 배터리 형상 아이콘(40)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가시적 표시기는 충전 고갈 문턱값 및/또는 충전 평가가 현재 사용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게 하는 제 1 가시적 표시기와 다를 것이다. 유사하거나 동일한 아이콘 형상 인자(40)가 사용될 때 상기 차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은 제 1 가시적 표시기와 컬러/채움 패턴(color/fill pattern; 41)이 다른 컬러/채움 패턴(61)을 이용할 수 있다. 그렇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처리가 표준 충전 모니터링 처리를 사용할 때 및 처리가 변형된 충전 모니터링 처리를 사용할 때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이전과 같이, 휴대용 전원에 대한 충전 레벨이 사용동안 떨어질 때, 가시적 표시기는 이를 따를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채움 패턴(61)은 대응하는 레벨(71)까지 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이 실시예에서 제 2 가시적 표시기는 양쪽 표현들이 동일한 실제 충전 고갈 레벨과 상관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제 1 가시적 표시기보다 크게 고갈된 휴대용 전원을 표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이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보다 감소된 충전 고갈 레벨을 나타내고 따라서 필수적으로 감소된 범위에 대해 현재 방전 레벨을 측정하기 때문에 발생하여, 비례적으로, 제 2 가시적 표시기는 마치 휴대용 전원이 실제보다 많이 고갈된 것처럼 보 이게 한다.
이렇게 구성하여, 휴대용 전원이 일반적으로 약 60% 고갈될 때 휴대용 전원을 재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이런 60% 레벨의 고갈에 도달될 때 휴대용 전원이 재충전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시적 표시기가 제공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런 가시적 표시기에 대한 컬러/채움 패턴은 60% 레벨의 방전에 도달될 때 필수적으로 완전히 방전된 것으로 충전 레벨을 묘사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를 완전한 충전으로 리턴하도록 재충전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이것은, 차례로, 사용자의 일반적인 사용 패턴 및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 자체의 전체적인 효율적 수명에 공헌하는 추가 도움 모두와 일치하는 충전 패턴에 공헌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시간에 따라 사용자는 처리(20)를 통한 표시에 응답하여 휴대용 전원을 재충전할 수 없다(또는 이룰 수 없다). 선택적이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처리(20)는 사용자가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에 해당하는 레벨 너머로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의 충전 레벨을 고갈할지의 여부 및 고갈할 때를 결정(28)하기 위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기는 73% 레벨이 방전과 상관될 수 있지만, 사용자는 이 장치를 계속 사용하여 75%의 방전 레벨까지 휴대용 전원을 방전시킬 수 있다. 이것이 발생할 때, 처리(20)는 다른 충전 고갈 문턱값의 사용으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들만이 이용 가능할 때, 처리(20)는 상기된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의 사용(24)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것은 물론 상기된 바와 같은 제 1 충전 고갈 문 턱값에 대한 대응하는 가시적 표시기로의 스위칭을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되어, 하나의 장치가 시간에 걸쳐 주어진 사용자의 재충전 행동들을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 정보는 사용자의 정상 행동과 일치하고 실제로 장려하도록 하는 재충전 권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문턱값(또는 값들)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차례로 휴대용 전원의 유용한 수명을 잠재적으로 연장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게다가, 이런 방법은 사용자가 어떤 이유든 간에 부가적인 충전을 요구하는 경우, 및 요구할 때, 이용 가능하도록 완전히 충전된 휴대용 전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다른 가시적 표시기들은 사용자가 정상적일 때 및 다른 방전 모니터링 처리가 실행될 때를 식별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은 차례로 비축된 충전 용량이 가시적 표시기에 의한 반대되는 표현에도 불구하고 이용될 수 있을 때를 사용자가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된 실시예에서, 단지 두 개의 충전 고갈 문턱값들이 제공되었다. 이것은 이들 실시예들의 표현과 관련하여 명확성을 보장한다. 그러나, 다른 가능성들이 존재하고 이들 동일한 지침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3개 또는 그 이상의 충전 고갈 문턱값들은 주어진 장치, 예상된 사용자, 또는 동작 범례의 다양한 요구들에 적합하도록 제공 또는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이용 가능한 실시예들 중 하나로서, 상기 장치는 미리 결정된 제 1 및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가질 수 있고 부가적인 히스토리적으로 결정된 충전 고갈 문턱값을 수용할 수 있다. 제 2 문턱값은 예를 들어 유용한 문턱 값의 확신적인 결정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데이타가 있을 때 또는 히스토리적 데이타가 허용된 일탈 정도보다 많은 것으로 표현한 평균값과 다른 값들을 포함할 때 제 3 문턱값 대신 처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들, 변화들, 및 결합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기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변형들, 변화들, 및 결합들이 본 발명의 개념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고찰되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0)

  1. 휴대용 전원(portable power source)을 가진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에 대응하는 충전 고갈 레벨(level of charge depletion) 미만의 상기 휴대용 전원에 대한 충전 고갈 레벨을 나타내는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는 단계;
    - 선택된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 및 상기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 상기 휴대용 전원이 재충전되어야 하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충전 고갈 문턱값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원을 가진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치의 히스토리적 고갈 레벨들의 함수로서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원을 가진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치에 대한 히스토리적 고갈 레벨들의 함수로서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는 단계는:
    - 상기 휴대용 전원이 재충전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를 결정할 때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휴대용 전원의 재충전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휴대용 전원에 대한 고갈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갈 레벨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원을 가진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 상기 휴대용 전원의 재충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전원의 재충전의 복수 인스턴스들(multiple instances)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휴대용 전원에 대한 고갈 레벨 결정 단계는 적어도 다수의 상기 복수 인스턴스들의 각각에 대해 상기 휴대용 전원에 대한 고갈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원을 가진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 및 상기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선택된 충전 고갈 문턱값 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 및 상기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원을 가진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6. - 휴대용 전원;
    - 상기 휴대용 전원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전력 용량 검출기(power capacity detector);
    -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 및
    - 상기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과 비교하여 감소된 충전 고갈량에 대응하는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포함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고갈 문턱값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완전한 충전 고갈 레벨을 포함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은 히스토리적으로 유도된 충전 고갈 문턱값을 포함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 상기 휴대용 전원의 재충전을 검출하는 수단;
    - 상기 휴대용 전원을 재충전할 때, 상기 휴대용 전원에 대한 고갈 레벨을 결정하는 수단; 및
    - 상기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갈 레벨을 사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들은, 복수의 재충전 이벤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휴대용 전원에 대한 복수의 고갈 레벨들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충전 고갈 문턱값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고갈 레벨들을 사용하는 수단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KR1020067011024A 2003-12-05 2004-12-02 휴대용 전원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61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29,651 2003-12-05
US10/729,651 US6980912B2 (en) 2003-12-05 2003-12-05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with a portable power sou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547A true KR20060107547A (ko) 2006-10-13
KR100861892B1 KR100861892B1 (ko) 2008-10-09

Family

ID=3463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024A KR100861892B1 (ko) 2003-12-05 2004-12-02 휴대용 전원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80912B2 (ko)
EP (1) EP1692634A4 (ko)
JP (1) JP2007513599A (ko)
KR (1) KR100861892B1 (ko)
CN (1) CN100446014C (ko)
WO (1) WO20050577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8711B2 (en) * 2005-11-23 2009-10-06 Apple Inc. Power source switchover apparatus and method
JP4721920B2 (ja) * 2006-01-30 2011-07-1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4900871B2 (ja) * 2006-03-22 2012-03-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694160B2 (en) * 2006-08-31 2010-04-06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in a multiprocessor environment
US7716500B2 (en) * 2006-08-31 2010-05-11 Ati Technologies Ulc Power source dependent program execution
US7750598B2 (en) * 2006-10-05 2010-07-0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charger user interface
US8143851B2 (en) * 2008-02-15 2012-03-27 Apple Inc. Power source having a parallel cell topology
US20090289603A1 (en) * 2008-05-21 2009-11-26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battery in a partially charged state
US8063625B2 (en) 2008-06-18 2011-11-22 Apple Inc. Momentarily enabled electronic device
US8410783B2 (en) * 2009-09-30 2013-04-02 Apple Inc. Detecting an end of life for a battery using a difference between an unloaded battery voltage and a loaded battery voltage
US8450979B2 (en) * 2009-09-30 2013-05-28 Apple Inc. Power adapter with internal battery
US8519564B2 (en) 2010-05-12 2013-08-27 Apple Inc. Multi-output power supply
WO2012041656A2 (de) * 2010-09-30 2012-04-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nutzerabhängigen gebrauch eines akkumulators
US8768549B2 (en) 2011-11-04 2014-07-01 Tennant Company Battery maintenance system
AU2011383590A1 (en) * 2011-12-22 2014-07-17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smart energy storage in a UPS
US10926661B2 (en) * 2018-09-18 2021-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ient battery power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3026A (en) * 1976-04-18 1980-03-11 Curtis Instru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by monitoring reductions in voltage
US5115182A (en) 1990-04-23 1992-05-19 Motorola, Inc. Battery charging controller for a battery powered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5284719A (en) * 1992-07-08 1994-02-08 Benchmarq 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battery capacity
US5459671A (en) * 1993-02-19 1995-10-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grammable battery controller
US5331268A (en) * 1993-08-02 1994-07-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harging a battery
US5640078A (en) * 1994-01-26 1997-06-17 Physio-Contr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nd charging multiple batteries
US5751217A (en) 1996-02-01 1998-05-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vailable battery life in a rechargeable battery
US5895440A (en) * 1996-12-23 1999-04-20 Cruising Equipment Company, Inc. Battery monitor and cycle status indicator
JP2000214965A (ja) 1999-01-25 2000-08-04 Toshiba Corp コンピュ―タシステムおよびバッテリイベントの管理方法
US6337560B1 (en) 2000-11-28 2002-0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fe cycle charging for batteries
JP2002315198A (ja) 2001-04-17 2002-10-25 Makita Corp 電池駆動機器
JP2003164066A (ja) * 2001-11-21 2003-06-06 Hitachi Koki Co Ltd 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25172A1 (en) 2005-06-09
EP1692634A4 (en) 2008-04-09
CN100446014C (zh) 2008-12-24
WO2005057752A3 (en) 2005-11-24
KR100861892B1 (ko) 2008-10-09
EP1692634A2 (en) 2006-08-23
CN1890671A (zh) 2007-01-03
US6980912B2 (en) 2005-12-27
WO2005057752A2 (en) 2005-06-23
JP2007513599A (ja)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892B1 (ko) 휴대용 전원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75367B1 (ko) 전지 잔량 예측방법, 전지 유니트 및 전지 유니트를 사용하는 장치
JP2008309796A (ja) 電池の診断装置と診断方法
US20100245102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EP3444625A1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electricity storage system, and power supply system
JP4372470B2 (ja) 電池の診断装置と診断方法
CN106133541B (zh) 备用电源系统、劣化推定装置以及劣化推定方法
KR20170090471A (ko) 배터리의 어큐뮬레이터의 과충전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2315204A (ja) 充電管理装置
JP2012159357A (ja) 電池装置
JP5620423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バッテリ充電方法
JP4178141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CN105939419A (zh) 一种移动终端调整电池总容量的方法及系统
JP2014010005A (ja) 二次電池の相対残容量算出方法及びパック電池
CN102916459A (zh) 充电控制内容的显示方法及电池包
KR101463883B1 (ko) 배터리 뱅크의 온라인 수명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242455B1 (ko) 배터리 충전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0133322A (ja) 二次電池の充放電システム
JP2004071243A (ja) 電池パック
KR200302740Y1 (ko) 소형충전밧데리용 충전기
JP2009232632A (ja) 充電器および充電方法
JPH07241044A (ja) 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式
JP4075267B2 (ja) 電池判別方法及び電池判別装置
JPH10189058A (ja) 電池装置
JPH06269131A (ja) 充電制御方法及び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