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173A -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173A
KR20060107173A KR1020050029223A KR20050029223A KR20060107173A KR 20060107173 A KR20060107173 A KR 20060107173A KR 1020050029223 A KR1020050029223 A KR 1020050029223A KR 20050029223 A KR20050029223 A KR 20050029223A KR 20060107173 A KR20060107173 A KR 20060107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eaning
filter sand
filtration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132B1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씨
Priority to KR102005002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13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공급관과 연결되며 상기 여과사 저장탱크의 내부 상측에 형성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분기노즐이 하향되도록 형성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노즐과 연결되며 방향조절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분사호스와,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에 연결되여 세척약품이 여과사의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관입하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함으로써 여과사 내부에 세척약품을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사의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과사의 세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냉각수 및 공업용수의 재활용에 따른 자원의 절약은 물론 여과효율을 향상시켜 환경오염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므로 여과사 세척작업의 완료 후 분리시켜 다른 여과사 세척탱크에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활용범위와 사용효율이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여과사, 세척, 관입, 분사, 장치, 여과, 재활용

Description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Filter sand washing equipment with pipe injection for the type penetration}
도 1 - 종래의 여과사 세척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2 - 본 발명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3 - 본 발명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의 단면도.
도 4 - 본 발명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
도 5 - 본 발명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횡단면도.
도 6 - 본 발명을 적용한 여과사 세척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여과사 세척장치
10: 여과사 저장탱크 20: 분사노즐
100: 본 발명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110: 여과사 저장탱크 120: 분기관
121: 분기노즐 130: 분사호스
140: 관입형(貫入形) 분사관 141: 분사공
A: 여과사(모래,자갈 등을 통칭한다)
B: 약품공급관 C: 고압펌프
D: 압축공기 발생장치 E: 약품탱크
F: 약품순환관 H: 세척약품
본 발명은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사의 내부에 분사관을 관입하여 세척약품을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사의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사 세척장치(1)는 제철소의 주조공정시 사용되는 냉각수 및 공업용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사 저장탱크의 내부에 형성되어 여과작업 후 여과사(濾過砂)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기름 및 이물질 또는 슬러지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모래 및 자갈을 포함한 여과사(A)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여과사 저장탱크(10)와, 상기 여 과사 저장탱크(10)의 상부에 형성된 약품공급관(B)에 연결되어 세척약품(H)을 여과사(A)의 상부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여과사 세척장치(1)는 세척약품(H)이 상부에서 하부로 여과사(A)를 통과하면서 화학작용에 의해서 기름 및 이물질 또는 슬러지가 용융(鎔融)되어 외부로 배출되면서 여과사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는 세척작업이 여과사(A)에 세척약품(H)이 스며드는 시간에 비례하게 되므로, 결국 여과사의 입도 변화 및 여과사 저장탱크의 용량에 따라서 여과사(A)의 세척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세척효율 및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과사(A)의 표면에 고착(固着)되어 있는 기름 및 이물질 또는 슬러지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척약품(H)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여과사(A)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여과사의 세척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결국 일정시간이 지나면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여과사(A)의 교체 및 여과사 저장탱크(10) 내부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발생하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
특히 여과사(A) 및 여과사 저장탱크(10)의 교체 및 청소를 위해서는 가동중인 설비를 중단시킨 후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설비의 중단에 따르는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세척약품을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하여 여과사의 재활용 및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과사 세척장치가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과사 세척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과사 저장탱크의 내부 상측에 형성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분기노즐이 하향 되도록 형성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노즐과 연결되어 방향조절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분사호스와,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에 연결하여 여과사의 내부로 관입하되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사공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함으로써 여과사 저장탱크에 적층된 여과사 내부로 세척약품을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사의 세척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여과사 저장탱크(110)의 내부 상측에 형성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분기노즐(121)이 하향되도록 형성되는 분기관(120)과, 상기 분기노즐(121)과 연결되며 방향조절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분사호스(130)와,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에 연결되며 여과사(A)의 내부로 관입되도록 설치하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141)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관입형 분사관(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기관(120)은 약품공급관(B)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약품(H)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분기관(120)의 길이방향으로 하향(下向) 되는 분기노즐(121)이 형성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여과사(A)의 세척을 위해 상기 분사호스(130)의 방향과 관입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약품(H)을 하부 방향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호스(130)는 설치위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구비하고 상당한 길이를 가져야 하며 고압의 토출압력과 세척약품(H)의 화학작용으로 인한 손상 및 부식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함은 물론, 작업자가 유도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분사호스(130)의 길이와 설치개수는 상기 여과사 저장탱크(110)의 크기 및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관입형 분사관(14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사(A)의 내부로 관입되도록 형성하여 세척약품(H)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사시켜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관입형 분사관(140)의 선단부는 관입작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원뿔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특히 상기 관입형 분사관(140)은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위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여과사 저장탱크(110)의 규격 및 크기에 따라서 상기 관입형 분사관(140)을 순차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조립형으로 제작하여 상기 관입형 분사관(140)의 길이를 작업여건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상기 관입형 분사관(140)의 길이는 약 900~1000㎜ 정도로 제작하되 일측은 암나사부를 타측은 수나사부를 각각 형성하여 여과사 저장탱크(110)의 규격에 맞추어 관입형 분사관(140)을 순차적으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관입형 분사관(140)의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사공(141)을 상기 관입형 분사관(14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균일하게 세척약품(H)을 분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여과사(A)의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적용한 여과사 세척시스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탱크(E)에 저장된 세척약품(H)이 고압펌프(C)와 압축공기 발생장치(D)를 통해 고압으로 토출되면서 약품공급관(B)을 통해서 상기 분기관(120)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세척약품(H)이 다시 분사호스(130)와 여과사(A)의 내부에 관입된 관입형 분사관(140)의 분사공(141)을 통해서 균일하게 분사되므로 여과사(A)의 표면에 고착된 기름 및 이물질 또는 슬러지를 녹여서 배출되는 것이다.
즉 여과사 내부에 관입된 관입형 분사관(140)에 의해서 세척약품(H)이 여과사(A)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분사됨으로써 여과사의 표면에 고착된 기름 및 이물질 또는 슬러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 및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세척 및 제거된 기름 및 이물질 또는 슬러지는 다시 약품순환관(F)을 통해 약품탱크(E)로 순환되면서 여과사(A)의 세척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세척된 기름 및 이물질 또는 슬러지와 세척약품(H)이 수차례를 반복 순환되면서 여과사(A)의 세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세척작업의 용이성을 위해서 여과사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될 뿐만 아니라, 여과사(A)의 세척작업의 완료 후 본 발명(100)를 분리시킨 후 냉각수 및 공업용수 공급관을 여과사 저장탱크에 다시 연결하여 여과사(A)의 여과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이로 인해 여과사 저장탱크(110)마다 별도의 여과사 세척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및 설치비용의 절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활용범위와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여과사의 내부로 분사관을 관입하여 세척약품이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사의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과사의 세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냉각수 및 공업용수의 재활용에 따른 자원의 절약은 물론 여과효율을 향상시켜 환경오염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므로 여과사 세척작업의 완료 후 분리시켜 다른 여과사 세척탱크에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활용범위와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여과사 저장탱크 내부에 적층된 여과사의 세척작업을 위한 공지의 여과사 세척장치에 있어서,
    약품공급관(B)과 연결되며 상기 여과사 저장탱크(110)의 내부 상측에 형성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분기노즐(121)이 하향되도록 형성되는 분기관(120)과, 상기 분기노즐(121)과 연결되며 방향조절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분사호스(130)와, 상기 분사호스(130)의 끝단에 연결되여 세척약품(H)이 여과사(A)의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관입하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141)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관입형 분사관(14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1020050029223A 2005-04-08 2005-04-08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100679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223A KR100679132B1 (ko) 2005-04-08 2005-04-08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223A KR100679132B1 (ko) 2005-04-08 2005-04-08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589U Division KR200388515Y1 (ko) 2005-04-08 2005-04-08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173A true KR20060107173A (ko) 2006-10-13
KR100679132B1 KR100679132B1 (ko) 2007-02-05

Family

ID=3762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223A KR100679132B1 (ko) 2005-04-08 2005-04-08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1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1497A (zh) * 2017-03-02 2017-05-10 绵阳斯瑞曼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自清洁除污水浴池
CN107569879A (zh) * 2017-10-25 2018-01-12 惠州市深启不锈钢有限公司 净油循环方法
CN107583354A (zh) * 2017-10-25 2018-01-16 惠州市深启不锈钢有限公司 净油循环系统
KR102432177B1 (ko) * 2021-04-22 2022-08-12 주식회사 지승개발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148B1 (ko) * 1987-05-28 1991-10-31 기린비루 가부시키가이샤 여과조제를 사용한 여과장치의 역세척장치
KR100775283B1 (ko) * 2001-07-31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KR200278861Y1 (ko) 2002-03-05 2002-06-21 김대식 냉온수기 및 정수기 살균소독장치
JP3760874B2 (ja) 2002-03-06 2006-03-29 株式会社石垣 連続加圧ろ過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1497A (zh) * 2017-03-02 2017-05-10 绵阳斯瑞曼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自清洁除污水浴池
CN107569879A (zh) * 2017-10-25 2018-01-12 惠州市深启不锈钢有限公司 净油循环方法
CN107583354A (zh) * 2017-10-25 2018-01-16 惠州市深启不锈钢有限公司 净油循环系统
KR102432177B1 (ko) * 2021-04-22 2022-08-12 주식회사 지승개발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132B1 (ko) 2007-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132B1 (ko)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200388515Y1 (ko)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US4210538A (en) Filter back-washing
JP6375424B1 (ja) 濾過装置
CN204866649U (zh) 一种用于清洗滤布的高压清洗系统
CN106731171A (zh) 一种干冰清洗过滤器的管道
JP2017043942A (ja) 中空杭内面の付着物除去装置および付着物除去方法
CN203874899U (zh) 一种供水系统用y型过滤器
CN209613670U (zh) 一种用于建筑模板的分级式清洁装置
KR100626306B1 (ko)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중공사막 모듈의 제조방법
KR101634036B1 (ko) 여과기
JP6156851B2 (ja) 濾過装置、それを備えた散布装置および濾過方法
KR100756820B1 (ko) 물과 공기에 의해 역세척이 가능한 하부집수장치
CN205146511U (zh) 具有外置过滤器的喷淋系统
KR20100018640A (ko) 고압수를 분사하는 관정 세척장치
CN212523337U (zh) 滤布冲洗喷管
JP2007275860A (ja) フィルター清掃と浄水を同時に行う浄水方法と装置
KR20040022775A (ko)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CN203154886U (zh) 沉淀池出水堰清洗装置
JP6054779B2 (ja) ベルトプレス型脱水装置
KR100275928B1 (ko) 여과장치의 여과막 세척방법
KR200218959Y1 (ko) 이동식 걸름망을 갖는 슬러지 제거장치
CN215466547U (zh) 一种齿轮油泵加工用清洗装置
CN212001541U (zh) 一种基于半自动除锈的一体化预制泵站
KR100821642B1 (ko) 지하수공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