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283B1 -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283B1
KR100775283B1 KR1020010046309A KR20010046309A KR100775283B1 KR 100775283 B1 KR100775283 B1 KR 100775283B1 KR 1020010046309 A KR1020010046309 A KR 1020010046309A KR 20010046309 A KR20010046309 A KR 20010046309A KR 100775283 B1 KR100775283 B1 KR 10077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ter
surface layer
inner hol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326A (ko
Inventor
홍성국
이필우
윤규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2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52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by using gas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73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using rotary devices or vibration mechanisms, e.g. stirr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여과기에서 여재층 표층부의 슬러지가 편중되고, 응집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탱크(100)에 위치고정되는 중공형 고정블록(11)의 내부공(11a)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블록(13)을 제 1모터(15)의 구동력에 의해서 상하이동시키는 승하강부(10)와, 상기 이동블록(13)의 내부공(13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공형 회전축(31)을 갖추고, 상기 회전축(31)의 내부공내로 에어공급이 가능하도록 로타리조인트(32)를 매개로 하여 버블밸브(33a)를 갖는 에어공급라인(33)과 상단이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31)을 제 2모터(35)의 구동력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시키는 회전부(30)와, 상기 회전축(31)의 하단과 연통연결되고, 복수개의 노즐(53)을 갖는 분배헤더(51)를 표층부에 대하여 수평하게 갖추어 상기 탱크(100)내의 여재층 표층부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50)를 포함하여 여재층이 적층된 탱크내에서의 재생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여재층의 최상부 표층부에서 슬러지가 편중누적되고,응집되지 못하도록 하여 비정상적인 여과사의 유출과 여재층의 붕괴를 예방할수 있는 것이다.
고속여과기, 여재층, 이동블록, 회전축, 에어공급라인, 분해헤더

Description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PARTIALITY AND COHESION OF SLUDGE IN SURFACE SAND LAYER OF HIGH FLOW FILTER}
도 1은 일반적인 수처리설비인 고속여과기를 도시한 개략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수처리설비인 고속여과기에서 에어역세 및 슬러지누적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역세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에 채용되는 노즐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하강작동한 작업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상승작동한 작업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도시한 작업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고정블록 13 .... 이동블록
14 .... 보호단관 15 .... 제 1모터
16 .... 스프링부재 17 .... 벨로우즈고무관
18 .... 이동축 31 .... 회전축
32 .... 로타리조인트 33 .... 에어공급라인
35 .... 제 2모터 38 .... 모터베이스
51 .... 분배헤더 53 .... 노즐
본 발명은 고속여과기에서 여재층 표층부의 슬러지가 편중되고, 응집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여재층이 적층된 탱크내에서의 재생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여재층의 최상부 표층부에서 슬러지가 편중누적되고,응집되지 못하도록 하여 비정상적인 여과사의 유출과 여재층의 붕괴를 예방할수 있는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설비에 채용되는 고속여과기(high flow filter)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여과기탱크(SLUDGE)을 분리시킨후, 휴지공정을 통하여 상기 여재층(101),(102),(103)을 안정시킨다. 그리고, 차기공정인 물역세(WATER BACK WASH)공정을 통하여 역세수밸브(C)가 열리면서 깨끗한 물이 상기 탱크(100)내로 유입되어 상기 여재층(103),(102),(101)과 상부의 이물질은 역세수와 함께 분배수로(106)을 통해 밖으로 배출하게 되고, 다음의 휴지공정과 대기공정을 통하여 상기 여재층(101),(102),(103)을 안정시키면 고속여과기(HIGH FLOW FILTER)의 재생과정을 모두 끝마치게 된다.
그러나,상기와 같은 고속여과기의 탱크내 여재층을 재생하는 공정과정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여과(FILTERING)과정에서 폐수흐름이 여과재의 특성,비중차이등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발생되면, 가는모래(101)층의 표층부에 이물질(SLUDGE)(S)도 또한 한쪽으로 치우쳐 편중되어 누적되고, 상기 누적된 이물질(S)사이에 응집력이 발생되고, 이들이 서로 엉겨붙어 공기역세(AIR BACK WASH)공정시 에어산기관(107)을 통해 탱크(100)내로 유입된 에어가 분배노즐(104)을 통하여 골고르게 상기 여재층(103),(102)에 분배시켜도 가는모래(SAND)(101) 표층부에 서로 엉겨붙어 누적된 이물질(SLUDGE)(S)에 의해서 표층부위로 에어가 골고르게 산기하지 못하고, 슬러지의 편중에 의해서 빠져나가기 쉬운 쪽으로만 에어의 흐름(108)이 공기역세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지속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에어압력이 상기 여재층에 불균등하게 작용하여 공기유속이 빨라지기 때문에, 에어의 부상력에 의해 상기 여재층이 교란된 상태로 공기역세를 마 치게 되면, 다음 공정인 물역세공정에서 공급되는 역세수도 또한 흐름이 원할한 한쪽으로만 편중진행되고, 반복되는 여과(FILTERING)와 재생과정에서 여재층이 패이고, 분배수로(TROUGH)(106)을 통해 여과층의 여과사가 외부유출됨에 따라, 고속여과기의 여과성능을 저하시킴은 물론, 심할 경우 여재층이 붕괴되어 수질이 더욱 악화되고, 조기에 여재층을 보충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여재층이 적층된 탱크내에서의 재생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여재층의 최상부 표층부에서 슬러지가 편중누적되고,응집되지 못하도록 하여 비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여재층의 여과사의 유출과 여재층의 붕괴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고속여과기의 표층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탱크내에 적층된 여재층으로 폐수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탱크에 위치고정되는 중공형 고정블록의 내부공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블록을 제 1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상하이동시키는 승하강부와,
상기 이동블록의 내부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공형 회전축을 갖추고, 상기 회전축의 내부공내로 에어공급이 가능하도록 로타리조인트를 매개로 하여 에어공급라인과 상단이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을 제 2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축의 하단과 연통연결되고, 복수개의 노즐을 갖는 분배헤더를 표층부에 대하여 수평하게 갖추어 상기 탱크내의 여재층 표층부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에 채용되는 노즐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하강작동한 작업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상승작동한 작업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를 도시한 작업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4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는모래(101), 굵은모래(102) 및 자갈(103)로 이루어진 여재층이 적층된 탱크(100)내에서 폐수를 여과하는 작업중 발생된 슬러지가 상기 여재층의 표층부에 편중되거나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탱크(100)내,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장치(1)는 승하강부(10), 회전부(30) 및 에어분사부(50)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승하강부(10)는 상기 탱크(100)상부에 위치고정되는 중공형 고정블록(11)과, 상기 고정블록(11)의 내부공(11a)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블록(13) 및 상기 이동블록(13)을 상하이동시키는 제 1모터(15)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탱크(100)의 상부면에 관통삽입되는 고정블록(11)의 내부공(11a)은 열십자형의 단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블록(11)의 하부플랜지(12b)에는 상기 탱크(100)내에 설치된 분배수로(106)에 다수개의 볼트부재(106a)로서 고정되는 중공형 보호단관(14)의 상부플랜지(14a)를 체결부재(14c)(14d)로서 연결하고, 상기 보호단관(14)의 내부공에는 상,하부오링(16a)(16b)과 스프링부재(16)가 내장되며, 하부플랜지(14b)에는 벨로우즈고무관(17)의 상부플랜지(17a)가 연결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11)의 상부플랜지(12a)에는 중간플랜지(12c)를 매개로 하여 모터지지대(19)가 체결부재(19a)로서 체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모터지지대(19)에 상기 고정블록(11)에 삽입된 이동블록(13)을 승하강시키는 제 1모터(15)가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제 1모터(15)는 상기 고정블록(11)의 내부공(11a)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블록(13)의 일측면에 형성된 래크기어(13b)와 기어물림된 피니언기어(15c)를 구동축에 갖추고, 상기 구동축(15a)은 감속기(15b)에 연결되어 베어링블록(15d)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13)은 상기 고정블록(11)의 내부공(11a)과 동일한 열십자형 단면상으로 구성되고, 몸체중앙에 원형 내부공(13a)을 관통형성하며, 일측면에 상기 피니언기어(15c)가 기어물림되는 래크기어(13b)를 형성한 블록부재이며, 그 하부면에는 상기 내부공(13a)과 연통되고, 상기 보호단관(14)의 내부공에 외부이탈이 없도록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중공형 이동축(18)을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이동블록(13), 이동축(18)의 내부공(18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공형 회전축(31)을 갖추고, 상기 회전축(31)상단외주면에 형성된 유입공(31a)에는 회전축(31)의 내부공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로타리조인트(32)를 매개로 에어공급라인(33)을 연결구성하며, 상기 회전축(31)의 상단에는 이를 일방향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제 2모터(35)를 연결구성한다.
이러한 회전축(31)의 상단에 체결부재(36c)로서 체결되는 하부커플링(36a)과, 상기 제 2모터(35)의 구동축(35a)에 또다른 체결부재(36d)로서 체결되는 상부커플링(36b)을 체결부재(36e)로서 연결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13)의 상단에는 다공플랜지(37)가 나사부재(37a)로서 조립되며, 상기 다공플랜지(37)의 상부면에는 모터베이스(38)가 다수개의 체결부재(38a)로서 조립되며, 상기 모터베이스(38)상에는 감속기(35b)를 갖는 제 2모터(35)를 체결부재(35c)로서 장착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13)의 내부공(13a)과, 이동축(18)의 내부공(18a)에 배치되는 회전축(31)은 상,하부베어링부재(39a)(39b)을 매개로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조립되며, 상기 하부베어링부재(39b)는 상기 벨로우즈고무관(17)의 하부플랜지(17b)에 체결부재(39c)로서 장착되는 베어링커버(39)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라인(33)에는 버블밸브(33a)와 에어유량조절밸브(33b)를 각각 장착하며, 상기 모터베이스(38)의 일측에는 상기 제 1모터(15)의 구동력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이동블록(13)의 상하작동을 여재층(101)(102)(103)의 높이에 맞추어 제어할수 있도록 수직대(42)에 설치된 상,하한센서(41a)(41b)에 감지되는 감지바(41)를 갖추어 구성하며, 상기 상,하한센서(41a)(41b)는 센서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이동블록(13)의 승하강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대(42)의 상,하부장공(43a)(43b)에 각각 조립된다.
한편, 상기 탱크내의 여재층 표층부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50)는 상기 회전축(31)의 하단에 체결부재(59a)로서 조립되는 커플링(59)을 매개로 분배헤더(51)의 티(tee)관(51a)을 또다른 체결부재(59b)로서 상기 회전축(31)의 내부공과 연통되도록 연결구성한다.
이러한 분배헤더(51)는 상기 여재층 표층부와 대응하는 몸체에 상기 회전축(31)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하향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53)이 장착되는 소켓(52)을 복수개 형성한다.
상기 노즐(53)은 상기 소켓(52)내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형성한 어댑터(55a)와, 상기 분배헤더(51)의 회전시 표층부를 긁을수 있도록 선단부 일정각도 (θ2) 30 °로 뾰족하고, 수직축에 대하여 일정각도(θ1) 45 °를 갖는 노즐공(55b)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55a)에 나사조립되는 노즐몸체(55c)로 구성되며, 상기 어댑터(55a)의 내부공(55d)에는 이를 에어분사가 역류되지 않도록 걸림턱(56d)에 걸려 있는 역류방지용 체크볼(56a)와, 다공판(56b)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56c)를 갖추어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처리 설비인 고속여과기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원수라인 입구밸브(A)를 통해 폐수가 탱크(100)내로 유입되어 계속적인 여과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탱크(100)내에 적층된 된 여재층(101)(102)(103)중 최상부의 여재층인 가는모래(101)에 슬러지(S)가 누적되어 표층부가 오염되고, 이로 인하여 고속여과기의 탱크(100)내에서 상부와 하부간의 압력의 차가 커지게 되고, 상기 탱크(100)의 여재층 최상부에 편중된 슬러지(S)를 제거하면서 여재층을 재생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 재생공정에 의해 밸브(A)(D1)(B)(C)(D2)(F)(33a)를 모두 닫고 휴지공정에 들어가게 된후 공기역세공정의 준비단계인 배수(drain)공정 1에서 밸브(D1)(F)를 열어 분배수로(106)까지 1차 배수하고, 배수공정 2에서 밸브(D1) (D2)(F)에 공기역세시의 수위(H)까지 배수완료되면, 상기 밸브(D2)를 닫는 신호에 의해서 본 발명의 장치(1)를 구성하는 승하강부(10)의 제 1모터(15)가 작동하게 되고,이때 발생된 구동력은 승하강용 싸이클로이드감속기(15b)에 의해서 감속된후 피니언기어(15c)측으로 전달되어 이를 정방향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함으로써, 상기 피니언기어(15c)와 기어물림된 래크기어(13b)를 하방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래크기어(13b)를 갖는 이동블록(13)은 탱크(100)의 상부면에 위치고정된 고정블록(11)의 열십자형 내부공(11a)에 상하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탱크(100)내에서 이동축(18)과 더불어 직하방을 하강되며, 상기 이동블록(13)의 내부공(13a), 이동축(18a)의 내부공(18a)에 삽입된 중공회전축(31)도 상기 이동블록(13)과 더불어 하강하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이동블록(13)의 하강에 의해서 상기 분배유로(106)에 위치고정된 보호단관(14)의 하부플랜지(14b)에 상부플랜지(17a)가 연결되고, 상기 중공회전축(31)의 하단에 연결되는 베어링커버(39c)에 하부플랜지(17b)가 연결된 벨로우즈 고무관(17)은 상기 중공회전축(31)이 하부로 하강되는 만큼 신장하게 되고, 상기 중공회전축(31)의 하부단에 연결된 분배헤더(51)의 노즐(52)들은 여재층중 최상부인 가는모래(101) 표층부에 묻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블록(13)과 더불어 이동하던 모터베이스(38)의 일측에 장착된 감지바(41)가 하강이동되면서 수직대(42)에 장착된 하한센서(41b)에 감지되면, 이때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 1모터(15)의 정방향 회전구동력을 중단되어 상기 이동블록(13), 중공회전축(31)의 하강은 정지되고, 상기 중공회전추(31)하단의 분배헤더(51)의 노즐(52)들은 표층부에 묻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하한센서(41b)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에어공급라인(33)에 설치된 버블밸브(33a)가 개방되어 상기 에어공급라인(33)의 에어는 로타리조인트(32), 유입공(31a), 중공형 회전축(31)의 내부공 및 티관(51a)의 내부공을 통하여 상기 분해헤더(51)내로 에어가 유입되고, 유입된 에어는 상기 분배헤더(51)의 복수개 소켓(52)에 부착된 노즐(53)을 통하여 에어가 산기되기 시작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버블밸브(33a)의 열림신호에 의해서 회전부(30)의 모터(35)가 회전구동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회전구동력이 회전용 싸이클로이드 감속기(35b)를 통하여 적정 회전수로 유지하면서 상,하부커플링(36a)(36b)을 매개로 연결된 중공형 회전축(17)을 일방향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블록(13)의 하강에 의해 서 여재층의 표층부에 묻혀져 있고, 상기 버블밸브(33a)의 개방에 의해서 에어가 공급되는 노즐(53)을 갖는 분배헤더(51)를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최상부 여재층(101)의 표층부에 약간 묻혀있는 노즐(53)의 노즐몸체(55c)선단부가 일정각도(θ2) 30°로 이루어져 뾰족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분배헤더(51)와 더불어 회전되는 노즐(53)은 표층부를 긁어 주게 됨과 동시에 상기 노즐몸체(55c)의 노즐공(55b)은 일정각도(θ1) 45°를 이루어 이를 통하여 산기는 에어로서 상기 표층부에 누적된 이물질(S)을 분쇄시키고, 여재층의 여과사와 응집되어 있는 이물질(S)을 여과사로부터 분리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30)의 제 2모터(35)가 사전에 설정된 일정시간동안 구동되어 상기 분배헤더(51)를 일정시간동안 회전운동시킨 후에는 PLC의 타이머(TIMMER)에서 상기 제 2모터(35)의 구동을 중단하게 되며, 이때, 상기 버블밸브(33a)가 닫힘작동되어 중공형 회전축(31)을 통한 상기 분배헤더(51)측으로 에어공급은 중단된다.
연속하여, 상기 타이머의 구동정지신호에 의한 제 2모터(35)의 구동정지와 반대로, 상기 승하강부(10)의 제 1모터(15)는 작동되어 감속기(15b)를 통하여 구동축(15a)을 상기와 반대로 역방향,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킨다. 상기 구동축(15a)의 피니언기어(15c)와 기어물림된 래크기어(13b)를 갖는 이동블록(13)은 상부로 승강되기 시작하고, 상기 이동블록(13)의 승강은 모터베이스(38)의 감지바(41)가 수직대(42)의 상한센서(41a)에 감지될 때 발생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제 1모터(15)의 회전구동이 중단되면며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블록(13)에 조립된 중공형 회전축(31), 분배헤더(51)는 초기상태로 상승복귀되어 상기 탱크(100)내의 최상부 표층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한센서(41a)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차공정인 공기역세를 진행하기 위해서, 밸브(E)를 개방하여 에어분배관(105)의 분배노즐(104)을 통하여 여재층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고르게 에어를 산기시켜 상기 분배헤더(51)의 회전 및 에어산기에 의해서 표층부의 여과사로부터 분리된 이물질를 다시 한번 분리시키고, 휴지공정- 물역세 공정- 휴지,대기공정을 통해 상기 탱크(100)내의 여재층(101)(102)(103)을 안정화 시키면, 재생공정을 모두 마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여과사가 적층된 탱크의 여재층의 높이에 따라 분배헤더를 상,하로 이동하고, 표층부에 분배헤더의 노즐을 묻힌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공급되는 에어로서 표층부의 여과사를 버블링시킴으로써, 공기역세공정의 전단계에서 여과공정중 여과사 표층부에 누적된 이물질이 편중되고, 여과사에 응집되는 것을 분리할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공기역세공정에 발생하는 압력의 불균등과 에어산기량의 상이함을 예방하여 여고사의 외부유출을 미연에 방지하고, 고속여과기의 성능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한편, 여과사의 보충주기를 늘려 설비유지비를 절감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 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탱크(100)내에 적층된 여재층(101)(102)(103)으로 폐수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탱크(100)에 위치고정되는 중공형 고정블록(11)의 내부공(11a)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블록(13)을 제 1모터(15)의 구동력에 의해서 상하이동시키는 승하강부(10)와,
    상기 이동블록(13)의 내부공(13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공형 회전축(31)을 갖추고, 상기 회전축(31)의 내부공내로 에어공급이 가능하도록 로타리조인트(32)를 매개로 하여 버블밸브(33a)를 갖는 에어공급라인(33)과 상단이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31)을 제 2모터(35)의 구동력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시키는 회전부(30)와,
    상기 회전축(31)의 하단과 연통연결되고, 복수개의 노즐(53)을 갖는 분배헤더(51)를 표층부에 대하여 수평하게 갖추어 상기 탱크(100)내의 여재층 표층부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11)의 내부공(11a)은 열십자형의 단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블록(11)하부에는 상기 탱크(100)내에 설치된 분배수로(106)에 위치고정되는 중공형 보호단관(14)을 갖추고, 상기 보호단관(14)의 내부공에는 상,하부오링(16a)과 스프링부재(16b)이 내장되며, 상기 보호단관(14)의 하부에는 벨로우즈고무관(17)이 연결구성되는 한편, 상기 이동블록(13)하부의 중공형 이동축(18)은 내부공(13a)과 연통되어 상기 보호단관(14)의 내부공에 외부이탈이 없도록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터(15)는 상기 고정블록(11)의 단면상과 동일한 열십자형 단면상을 갖는 이동블록(13)의 일측면에 형성된 래크기어(13b)와 기어물림된 피니언기어(15c)를 구동축에 갖추고, 상기 구동축(15a)은 감속기(15b)에 연결되어 베어링블록(15d)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13)의 상단에는 다공플랜지(37)가 구비되고 상기 다공플랜지(37)의 상부면에는 모터베이스(38)가 조립되며, 상기 모터베이스(38)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블록(13)의 상하작동을 여재층(101)(102)(103)의 높이에 맞추어 제어할수 있도록 수직대(42)에 설치된 상,하한센서(41a)(41b)에 감지되는 감지바(41)를 갖추며, 상기 상,하한센서(41a)(41b)는 센서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이동블록(13)의 승하강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대(42)의 상,하부장공(43a)(43b)에 각각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53)은 상기 분배헤더(51)의 소켓(52)내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형성한 어댑터(55a)와, 상기 분배헤더(51)의 회전시 표층부를 긁을수 있도록 그 선단부가 일정각도(θ2) 30 °로 뾰족하고 수직축에 대하여 일정각도(θ1) 45 °를 갖는 노즐공(55b)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55a)에 나사조립되는 노즐몸체(55c)로 구성되며, 상기 어댑터(55a)의 내부공(55d)에는 이를 에어분사가 역류되지 않도록 걸림턱(56d)에 걸려 있는 역류방지용 체크볼(56a)와, 다공판(56b)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56c)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KR1020010046309A 2001-07-31 2001-07-31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KR100775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309A KR100775283B1 (ko) 2001-07-31 2001-07-31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309A KR100775283B1 (ko) 2001-07-31 2001-07-31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326A KR20030012326A (ko) 2003-02-12
KR100775283B1 true KR100775283B1 (ko) 2007-11-08

Family

ID=2771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309A KR100775283B1 (ko) 2001-07-31 2001-07-31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236B1 (ko) 2008-03-06 2010-04-09 제천시 자동역세장치를 갖는 오폐수정화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32B1 (ko) * 2005-04-08 2007-02-05 주식회사 비엠씨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100982010B1 (ko) * 2009-08-24 2010-09-28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여과지 표면세척장치
BE1030830B1 (nl) * 2022-08-31 2024-03-25 Princessgreen Bv Filter met granulaire medi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668U (ko) * 1982-11-19 1984-06-30 김종규 관체 철골책의 골격
KR870001870Y1 (ko) * 1982-03-04 1987-05-21 변천수 복관식 구멍탄 보일러
KR900005235Y1 (ko) * 1988-04-30 1990-06-15 최순덕 표면세척부 여과기
KR100254022B1 (ko) * 1998-03-20 2000-04-15 권병대 고속회전식 분사노즐을 구비한 여과지용 표면세척기
KR200183914Y1 (ko) * 1999-11-12 2000-06-01 김정태 공기총에 의한 여과조 세척장치
KR200188164Y1 (ko) * 1998-05-14 2000-07-15 이정표 여과지의 표면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870Y1 (ko) * 1982-03-04 1987-05-21 변천수 복관식 구멍탄 보일러
KR840002668U (ko) * 1982-11-19 1984-06-30 김종규 관체 철골책의 골격
KR900005235Y1 (ko) * 1988-04-30 1990-06-15 최순덕 표면세척부 여과기
KR100254022B1 (ko) * 1998-03-20 2000-04-15 권병대 고속회전식 분사노즐을 구비한 여과지용 표면세척기
KR200188164Y1 (ko) * 1998-05-14 2000-07-15 이정표 여과지의 표면 세척장치
KR200183914Y1 (ko) * 1999-11-12 2000-06-01 김정태 공기총에 의한 여과조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236B1 (ko) 2008-03-06 2010-04-09 제천시 자동역세장치를 갖는 오폐수정화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326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382B2 (en) Gravity type fiber filter
JP5190529B2 (ja) 排水処理装置
JP2008272671A (ja) 一体型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ろ過装置
US20100300957A1 (en) Backwash assembly and method having a rotating backwash arm for cleaning cloth filter media
AU6777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arifying water
JPH08512237A (ja) 粒子を含む液体を濾過する装置
KR100775283B1 (ko) 고속여과기의 여재층 표층부 슬러지 편중 및 응집방지장치
CN115432825A (zh) 一种垂直潜流人工湿地结构
CN105771341B (zh) 一种恒水位过滤及反冲洗一体化装置及控制方法
GB2080696A (en) Upflow water filtration with buoyant filter media
KR20040058088A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KR102466980B1 (ko) 프리코팅 여과장치
CN205549789U (zh) 用于高浓度悬浮物污水过滤处理的转盘滤池
JP2008093552A (ja) 移床式ろ過装置
KR100758875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CN113041672A (zh) 一种净水设备使用的pp棉过滤器
CN219784048U (zh) 一种工业废水治理用淤泥清理装置
EP4344761A1 (en) Washing device for filter media in continous backwash sand filters and method of use
CN219504477U (zh) 高硬度高耐磨瓷砖生产装置
CN220579049U (zh) 一种反硝化双层滤池
KR900002986Y1 (ko) 여과조 세척기의 회전장치
JPH08266815A (ja) 移動ろ床式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移送装置
JP3178351B2 (ja) 回転ドラム式濾過装置の洗浄制御方法および洗浄制御装置
KR200365421Y1 (ko) 오.폐수의 처리장치
JPH06205906A (ja) 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