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875B1 -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875B1
KR100758875B1 KR1020070048417A KR20070048417A KR100758875B1 KR 100758875 B1 KR100758875 B1 KR 100758875B1 KR 1020070048417 A KR1020070048417 A KR 1020070048417A KR 20070048417 A KR20070048417 A KR 20070048417A KR 100758875 B1 KR100758875 B1 KR 10075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housing
pipe
fil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질 여과 장치는, 바닥에는 흡입배관이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순환배관이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여과영역(PS)과 정수 완료 영역(CS)으로 분리하도록 설치되는 여과막을 포함하는 여과조립체; 일단은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의 가장 낮은 지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연결된 여과수 공급배관;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의 여과된 물을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로 공급하는 순환펌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여과막을 향해 분사함으로써 여과막의 외측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을 탈락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하고, 오염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여과막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순환배관을 통해 배출되고, 배수 동작시에는 상기 여과조립체 하부에 축적된 오염물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수질여과장치, 여과막

Description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Apparatus for filtering sludge from water for pur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가 채용된 수질 정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여과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여과 장치의 여과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여과 장치의 분사관 조립체와 회전연결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여과 장치의 분사관 조립체와 회전연결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여과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질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못과 같은 폐쇄성 수역의 수체 내에 존재하는 침전 슬러지나 퇴적 오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된 오염물의 배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또는 인공 건조된 저수지나 연못과 같은 폐쇄성 수역은 상시적인 유입수가 부족하거나 거의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폐쇄성 수역의 수체 내에서, 자연발생적인 오염물과 외부로부터 유입된 불특정 오염물의 증가율이 자연적인 자정 능력을 초과할 경우 수질은 심각하게 오염되며, 그로 인해 각종 침전 슬러지나 오니가 연못 바닥에 퇴적된다.
이와 같이 퇴적된 오염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되거나 수면 위로 부상하여 악취를 유발하고 수질을 오염시킴과 동시에 경관을 해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침전 슬러지나 퇴적 오니를 지속적으로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 상기와 같은 침전 슬러지나 퇴적 오니를 제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해당 수역의 물을 모두 배수하고 준설을 하거나 흡입 장비를 사용하여 배출하는 방법 등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막대한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어야 하고, 더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물은 다시 증가되므로 주기적으로 오염물 제거작업을 반복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종래의 또 다른 방법으로서, 물 속에 약품을 투입하거나 공기를 주입하여 침전물을 부상시켜 이를 제거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수역이 매우 넓을 경우에는 제거 효율이 매우 떨어지고 약품 및 공기 주입장치와 부상물 제거장치 등을 추가로 건설해야 하므로 매우 비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폐쇄성 수역의 수질을 정화하기 위해 슬러지를 상시적으로 여과하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연못과 같은 폐쇄성 수역의 바닥에 복수의 흡입구가 형성되고 슬러지는 이들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후 지중 관로를 통해 별도의 정수수역으로 유입된다. 상기 정수수역으로 유입된 물은 바닥의 여과층을 통과하면서 슬러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걸러지고, 정화된 물은 다시 별도의 관로를 따라 원래의 수역에 재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스템은, 오염된 물이 바닥층으로 스며들면서 여과되는 이른 바 '하향식' 여과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에, 걸러진 오염물이나 슬러지는 바닥의 모래층 위에 그대로 퇴적되게 된다. 따라서, 정수수역의 바닥은 심하게 오염되어 악취가 나거나 수경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상기 퇴적 오염물을 주기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물을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여과층을 역세하게 되면, 퇴적된 오염물이나 슬러지가 연못의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정수수역의 오염을 가중시키고, 나아가 상기 슬러지를 떠내려보내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물을 흘려주어야 하므로 제거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매우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66114호에서 다단계 여과막을 구비하여 오염물을 여과하는 동시에 여과된 오염물을 분사수단에 의해 탈락시키는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오염물이 축적되어 배수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부 수조로부터 물이 역류되어야 하며, 만약 상부 수조로부터의 역류를 차단할 경우에는 분사수단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여과 장치 내부의 수면이 낮아질 경우에는 구동펌프가 공회전하면서 과열 또는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여과된 오염물을 배수할 경우 상부수역으로부터 물을 역류시킬 필요가 없는 동시에 물을 배수하는 동안에도 여과막을 계속적으로 세정함으로써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 분사수단을 저중심으로 설계하여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드 모터를 채용하여 분사수단을 자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여과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 여과 장치는, 바닥에는 흡입배관이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순환배관이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여과영역(PS)과 정수 완료 영역(CS)으로 분리하도록 설치되는 여과막을 포함하는 여과조립체; 일단은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의 가장 낮은 지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연결된 여과수 공급배관;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의 경로 상에 설치되 어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의 여과된 물을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로 공급하는 순환펌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여과막을 향해 분사함으로써 여과막의 외측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을 탈락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하고, 오염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여과막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순환배관을 통해 배출되고, 배수 동작시에는 상기 여과조립체 하부에 축적된 오염물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환배관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여과된 물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순환배관을 따라 유출될 경우에는 개방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유동할 경우에는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여과조립체는 개구부가 측면에 형성되며 바닥은 폐쇄되어 있는 원통형의 여과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막은 상기 개구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의 일단은 상기 여과막 프레임의 바닥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 동작 시에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공기유입밸브; 및 배수 동작 시에 상기 여과영역(PS)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공기유입밸브;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과 연통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여과막과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여과막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공이 형성된 복수의 분사관; 및 상기 몸체부 와 분사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분사관으로 갈수록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여과조립체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정립(正立) 원뿔 형상의 복수의 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의 일단은 상기 여과막 중에서 최상층 여과막의 주변부에 있는 하우징 측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 동작 시에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과 연통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여과막과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며, 여과막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공이 형성된 복수의 분사관;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사수단을 회전시키는 기어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바닥의 유입구에 연결된 흡입배관의 끝단에는 물이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분사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가 채용된 수질 정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질 여과 장치는, 예를 들어 폐쇄성 수역인 연못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못은, 대부분의 수량을 수용하며 상대적으로 수면이 낮은 하부수역(100)과, 상기 하부수역(100)보다 그 수면이 상대적으로 높은 일부 영역의 상부수역 또는 정수수역(2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수역(200)은 오염된 물이 여과 및 정화된 후 분출되는 영역이다. 이들 정수수역(200)과 하부수역(100)은 그 사이의 단차수역(300)에 의해 연결되며, 물은 상기 정수수역(200)으로부터 하부수역(100)으로 유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수역과 하부수역으로 나뉘어지는 연못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일수역으로 이루어진 연못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수질 정화 시스템은 상기 하부수역(100)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슬러지 흡입수단(10)을 포함한다.
상기 슬러지 흡입수단(10)은 연못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 등의 오염물을 물과 함께 흡입하는 것으로서, 이들은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간격과 수는 수질의 오염 정도와 자정 능력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이와 같은 슬러지 흡입수단(10)은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0524641호에 개시된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물과 오염물을 흡입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흡입수단(10)은 흡입배관(20)에 의해 흡입펌프(30)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펌프(30)는 물과 슬러지를 흡입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농도로 분리된 슬러지 및 오염물을 흡입 배출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흡입펌프(30)의 구동력에 의해 흡입된 물과 슬러지 혼합체는 흡입배관(20)을 따라 본 발명의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400)로 유동한다. 본 발명의 수질 여과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수역(200)의 바로 아래에 있는 운전실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수역(200)의 각종 수생식물은 상기 수질 여과 장치 위에 조성될 수 있으므로 자연적인 경관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질 여과 장치의 설치 장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수질을 정화시킬 의도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수질 정화 시스템에 한정되어 채용되는 것이 아니며, 수질 오염을 정화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환경과 장소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여과 장치(400)의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질 여과 장치는 바닥에 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41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410)은 원통형의 스테인레스 용기 등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410)의 바닥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흡입펌프(30)와 연결된 흡입배관(20)의 끝단이 연결된다. 상기 흡입배관(20)의 끝단에는 하우징(410) 내부에서 물이 회전하면서 분사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출수구(22a)(22b)가 형성된 입수관(22)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부에는 덮개(412)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410)의 상부 덮개(412)에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이 유출구는 정수수역(200)으로 연장된 순환배관(4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410) 내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순환배관(40)을 따라 정수수역(200)으로 공급된다. 상기 순환배관(40) 상에는 일방향 체크밸브(42)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체크밸브(42)는 여과된 물이 하우징(410) 내부로부터 정수수역(200)으로 유동할 경우에는 개방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유동할 경우에는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창(410a)이 마련되어 있어서, 하우징(410)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410) 내부에는 오염된 물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여과조립체(420)가 설치된다. 상기 여과조립체(420)의 구성은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여과조립체(420)는 원통형으로 된 여과막 프레임(421)과, 상기 여과막 프레임(42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막(422)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막 프레임(421)의 측면에는 상기 여과막(422)이 결합되는 개구부(4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여과막(422)은 한 쌍의 여과막 서포트(423)(424)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여과막 서포트(423)(424)에는 복수의 개구부(423a)(4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과막(422)을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423b)(42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과막(422)에도 상기 체결공(423b)(424b)에 상응하는 복수의 관통공(42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여과막(422)을 상기 여과막 서포트(423)(424) 사이에 놓고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부재를 상기 체결공(423b)(424b)과 관통공(422a)을 통해 삽입하고 고정함으로써 여과막(422)을 여과막 서포트(423)(424)에 결합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조립된 여과막(422)은 여과막 프레임(421)에 결합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여과막(422)과 여과막 서포트(423)(424) 결합체를 여과막 프레임(421)의 내측에서 개구부(421a)를 폐쇄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여과막 프레임(421)에는 복수개의 결합공(421b)이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에 체결볼트를 삽입함으로써 여과막 결합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방식은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변형가능한 다양한 결합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여과막(422)은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복수개의 메쉬를 여러 겹으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여과막(422)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나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여과막의 구성이나 소재는 본 발 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물을 여과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의 기존 여과막이 여러가지 구조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막 프레임(421)의 바닥(425)은 폐쇄된 상태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425)은 유입되는 물에 대한 완충공간을 확보하고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이룬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여과막(422)은 하우징(410) 내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물이 수평으로 유동하면서 여과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410)의 상단에는 환형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되고, 여기에 여과막 프레임(421)의 상단 림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410) 내부에는 복수개의 공간이 형성된다. 즉, 하우징(410)의 바닥과 상기 여과조립체의 외측면 사이에는 여과영역(PS)이 형성되고, 여과조립체(420)의 내측면과 하우징(410)의 상단부 사이에는 정수 완료 영역(CS)이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염된 물은 상기 여과영역(PS)으로 유입된 뒤, 여과조립체(420)에서 여과되어 정수 완료 영역(CS)으로 유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여과조립체(420) 내부에는 여과막(422)에 흡착되는 슬러지나 오염물을 탈락시키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분사수단은, 여과조립체(420)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의 일부를 다시 하우징(410) 내부로 공급하는 여과수 공급배관(50)과,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공급된 여과수를 분사하는 분사관 조립체(4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은 상기 여과조립체(420)에 의해 여과된 물의 일부를 흡입하여 상기 분사관 조립체(450)로 공급하는 배관으로서 일단은 정수 완료 영역(CS)의 가장 낮은 지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410)의 상단 중앙부를 통과하도록 연결되며, 그 끝단에는 분사관 조립체(45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가장 낮은 지점'이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수시에 정수 완료 영역(CS)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계속해서 여과수 공급배관(50)을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정도로 낮은 지점을 가리키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과조립체(420)의 가장 낮은 지점 즉, 여과막 프레임(421)의 바닥(425)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장 낮은 지점'은 불명료한 것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이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라면 약간의 지점 변경이 있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의 경로 상에는 순환펌프(60)가 설치되어 여과된 물의 일부를 흡입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의 끝단부에는 분사관 조립체(4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각 부분의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도 4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관 조립체(450)는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과 연통되어 그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여과수 공급배관(50)과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관 조립체(450)는 바람직하게 여과수 공급배관(50)과 연통되는 동시에 그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451)와, 여과조립체(420)의 여과막(422)과 평행하도록 즉, 수직으로 설치되어 여과막(422)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452)과, 상기 몸체부(451)와 분사관(452)을 연결시키는 연결부(453)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451), 분사관(452) 및 연결부(453)는 모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453)는 몸체부(451)에서 분사관(452)으로 갈수록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에 따라 몸체부(451)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분사관(452)이 몸체부(45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오도록 하여 저중심 구조 를 가지도록 하는데, 이것은 분사관 조립체의 안정적인 회전을 보장한다.
상기 분사관(452)에는 여과막(422)을 향해서 복수의 분사공(45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공(452a)은 여과막(422)과 마주하도록 정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여과막(422)에 대해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관 조립체(4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분사관(452)의 측면에는 일방향으로 회전용 분사공(452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용 분사공(452b)을 통해 물을 분사할 때 그 반작용으로 분사관 조립체(4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사공(452a)의 형성 개수와 크기는 여과막의 규모와 처리용량 및 효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공(452a)은 통상적인 관통공으로 형성되거나 노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용 분사공(452b)은 분사관(452)의 하단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데 이것은 분사관 조립체의 안정적인 회전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관(452)은 몸체부(451)를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며, 그 개수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관 조립체(450)는 여과수 공급배관(50)과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것은 회전연결수단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연결수단은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의 단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시(471)와, 상기 여과조립체(420)에 고정되는 서포트부시(472)와, 상기 결합부시(471) 및 서포트부시(472)와 분사관 조립체(450)의 몸체부(451)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473)(474)(475)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시(471)는 하우징(410)의 상단부 중앙에서 아래로 연장된 여과수 공급배관(50)의 단부에 고정된다. 분사관 조립체(450)의 몸체부(451)는 상기 결합부시(471)로 삽입되고, 그 사이에 볼베어링(473)이 설치된다.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의 단부에는 결합브라켓(50a)이 연결되고, 여기에 결합부시(451)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볼베어링(473)의 고정을 위해 링브라켓(475)이 끼워진다.
상기 링브라켓(475) 위에는 고무 소재의 리데나(476)가 결합되어 이물질이 베어링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여과막 프레임(도 2의 421)의 바닥(425) 위에는 복수의 서포트 바아(480)가 상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그 상단부에 서포트부시(472)가 놓인다. 상기 서포트부시(472)에는 분사관 조립체(450)의 몸체부(451)가 안착된다. 이때, 분사관 조립체(450)의 몸체부(451) 외주면에는 서포트리브(477)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리브(477)와 서포트부시(472) 사이에 두 개의 베어링(474)(475)이 개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어링(474)(475)들은 베어링홀더(478)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베어링 즉, 트러스트 베어링(474)과 볼베어링(475)을 개재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한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관 조립체(450)와 여과수 공급배관(50) 사이의 결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분사관 조립체가 여과수 공급배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종래의 어떠한 베어링 채용 구성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관 조립체(450)는 기어드 모터(490)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회전 분사공이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관 조립체(450)의 몸체부(451)에는 종동기어(492)가 결합되고, 상기 종동기어(492)는 기어드 모터(490)의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494)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기어드 모터(490)의 구동에 따라 분사관 조립체(45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단순한 구성으로 회전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의 기어트레인 또는 벨트, 체인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어드모터(490)가 설치되는 하우징에는 메카니칼 시일 하우징(495)이 설치되어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어드 모터(490)는 미도시된 조작패널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설정한 속도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 상기 기어드 모터에 의한 강제 구동 방식은 충분하고 안정적인 구동력을 얻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회전 속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410) 내부에 농축된 오염물들은 그 하단부에 연결된 흡입배관(도 2의 20)을 따라 배출되는데, 상기 흡입배관(20)은 흡입펌프(30)와 연결된 주배수관(24)과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펌프(30)의 구동력에 의해 흡입배관(20)을 통해 배출된 오염물은 주배수관(24)을 따라 유동하여 외부배수관(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오염물 제거시에, 하우징(410) 바닥에 농축된 오염물들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서 바닥에 근접한 흡입배관(20)의 측면에는 복수의 배출공(2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배수관의 구성은 배관을 단순하게 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일 뿐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배수관은 흡입배관과 별도의 경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축적된 오염물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적절한 배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29)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시에 외부 공기가 하우징(4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밸브(482)(484)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제1 공기유입밸브(482)는 배수시에 정수완료영역(CS)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410)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제2 공기유입밸브(484)는 배수시에 여과영역(PS)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410)의 상단 측면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공기유입밸브(482)(484)의 개폐 정도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71, 72, 73, 74는 각각 밸브를 가리킨다. 이러한 밸브들은 각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여과를 위한 물의 유동경로와 오염물 배출을 위한 물의 유동경로를 설정한다.
비록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상기 흡입펌프 및 수질 여과 장치 사이의 배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 사이의 배관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펌프가 각각 용도별로 구분되어 채용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여과 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먼저 흡입펌프(30)가 구동되어 흡입수단(10) 및 흡입배관(20)을 통해 하부수역(100)으로부터 물과 함께 슬러지 및 오염물을 흡입한다. 이때, 밸브(71) 및 (73)은 개방된 상태이고, 밸브(72)및 (74)는 폐쇄된 상태이다.
흡입배관(20)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는 수질 여과 장치(400)의 하우징(4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하우징(410) 바닥에 있는 입수관(22)의 출수구(22a)(22b)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통해 분사된 물은 하우징 내부를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즉, 유입된 오염수는 하우징(410)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물살이 회전하는 것은 여과막에 흡착된 오염물질의 탈락을 촉진하는 반면 흡착은 억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어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는 여과조립체(420)를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진다. 이때, 오염수는 수직으로 놓여진 여과막(422)을 수평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며, 이때, 걸러진 슬러지 오염물은 여과막(422)의 외측 표면 상에 부착되고, 물은 여과막(422)을 통과하여 정수 완료 영역(CS)으로 향한다.
상기와 같이 여과조립체(420)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깨끗한 물은 정수 완료 영역(CS)에서 순환배관(40)을 따라 정수수역(도 1의 200)으로 분출되고, 이어서 단차수역(300)을 따라 하부수역(100)으로 흘러가게 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순환배 관(40)으로부터 분기된 배관(32)을 통해 연못의 하부수역(100) 바닥으로 정수된 물을 바로 공급하거나, 또는 배관(34)을 통해 슬러지 흡입수단(10)으로 공급하여 슬러지 흡입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원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물을 여과하여 정수하는 동안, 분사수단이 동시에 동작하면서 여과막을 세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조립체(420)에 의해 정수된 물의 일부는 순환펌프(60)의 구동력에 의해 여과수 공급배관(50)을 따라 하우징(41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그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분사관 조립체(450)로 유입되어 분사공(452a)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분사공(452a)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은 여과막(422)에 부딪히게 되고, 따라서, 여과막(422)의 외측 표면 상에 흡착되어 있던 슬러지 오염물들이 상기 분사된 물에 의해 탈락되면서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함께, 분사관 조립체(450)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용 분사공(452b)을 통해 물이 분사되면서 물의 분사 압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분사관 조립체(450)는 일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관 조립체(450)의 분사관(452)은 여과막(422)에 인접한 채로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게 되고, 그로 인해 여과막(422)의 외측 표면에 흡착되어 있던 슬러지들이 쉽게 탈락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드 모터(490)가 채용된 경우에는 기어드 모터(490)의 회전에 의해 분사관 조립체(450)가 회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회전 속도가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렇게 오염수의 여과 과정이 계속되면, 상기 여과영역(PS)에는 보다 많은 오염물이 축적되어 농축되게 된다. 상기 여과영역(PS)에 존재하는 오염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이들 오염물은 끊임없이 여과막(422)에 흡착될 것이고, 따라서 여과영역(PS) 내부의 압력은 점차로 높아질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29)에 의해 상기 여과영역(PS)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 결과값이 소정 기준값을 초과하게 되면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수 동작이 이루어진다.
배수 동작시에는, 밸브(72)(74)가 개방되고, 밸브(71)(73)은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입펌프(30)가 구동되면 물은 역류되어 하우징(410) 내부의 물이 흡입배관(20) 및 주배수관(24)을 거쳐 외부배수관(26)으로 배출된다. 그러면, 상기 여과영역(PS) 내에 축적되었던 오염물들은 물과 함께 흡입배관(20)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하우징(410)의 바닥에 쌓인 오염물들은 배출공(22c)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배수가 시작됨에 따라 순환배관(40)의 체크밸브(42)가 폐쇄되며 따라서 정수수역(200)으로부터 수질 여과 장치(400)로 물의 역류가 차단된다.
동시에, 공기유입밸브(482)(484)가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하우징(4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410) 내부의 수위는 점차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렇게 배수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여과막(422)에 대한 물 분사는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즉, 여과수 공급배관(50)의 일단이 여과막 프레임(421)의 바닥(42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위가 상기 바닥(425)까지 도달하지 않는 한 정수 완료 영역(CS)의 여과된 물은 계속해서 여과수 공급배관(50)을 통해 분사수단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배수 과정에서 정수 완료 영역(CS) 내부의 물이 여과막(422)을 통과하여 여과영역(PS)으로 유동하는데에는 어느 정도의 지체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하우징(410)의 바닥에서 흡입배관(2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량은 상대적으로 많다. 이러한 유량의 차이는 결국 하우징(410) 내부의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하도록 하는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점은 여과영역(PS)에도 공기유입밸브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즉, 정수 완료 영역(CS)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1 공기유입밸브(482)를 구비하는 동시에, 여과영역(PS)에도 제2 공기유입밸브(484)를 구비함으로써 여과영역(PS)의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여과영역(PS)의 물이 모두 배수되더라도 정수 완료 영역(CS)에서는 (물이 더디게 배수되는 관계로) 소정 수위를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이 물을 여과수 공급배관(50)을 통해 분사수단으로 공급함으로서 여과막(422)을 더욱 깨끗하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이러한 기능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입밸브(482)(484)의 개폐 정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흡입배관(20)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졌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하우징(410) 하단에 별도의 배수관(미도시)이 설치되고, 흡입배관(20)을 폐쇄한 상태에서 배수관을 통해 슬러지와 오염물을 배출시키는 방식이 채 용될 수도 있다.
이어서, 정수 완료 영역(CS) 내부의 수위가 여과조립체(420)의 바닥 근처까지 도달하면, 배수 동작을 끝내고, 다시 정수 동작으로 전환한다. 정수 동작으로 전환시에는, 밸브(72)(74)가 폐쇄되는 반면 밸브(71)(73)는 개방된다. 동시에, 공기유입밸브(482)(484)가 폐쇄되면서 순환배관(40)의 체크밸브(42)는 개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는 수질 여과 장치의 하우징(510) 내에 콘형의 다단계 여과조립체가 구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여과조립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서 경사를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정립(正立) 원뿔 형상의 여과막(522)(52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여과막(522)(523)이 경사를 이룰 경우에, 여과 표면적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여과막에 흡착된 오염물을 쉽게 탈락시킬 수 있어서 여과막의 폐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도 편평한 구조에 비해 견고하다.
바람직하게, 상부에 있는 여과막(523)이 하부에 있는 여과막(522) 보다 더욱 미세한 구멍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오염된 물이 상기 여과막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여과될 때, 입자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여과조립체의 구성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46309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문 헌에 기재된 설명을 인용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수질 여과 장치의 하우징(510) 내부에는 두 개의 여과조립체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510) 내부는 제1 여과영역(PS1), 제2 여과영역(PS2) 및 정수 완료 영역(CS)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수 공급배관(50')의 일단은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의 가장 낮은 지점 즉, 최상층 여과막(523)의 주변부에 있는 하우징(510)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510)의 상단부 중앙까지 연장된다.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의 경로 상에는 순환펌프(60')가 설치되며, 그 타단에 분사수단이 구비되는 점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여과막(522)(523)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관(55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관(550)은 그 일단이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과 연통되어 그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여과수 공급배관(50')과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분사관(55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연결수단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46309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문헌에 기재된 설명을 인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분사관(550)은 바람직하게 여과막(522)(523)의 상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그 형상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분사관(550)에는 여과막(522)(523)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구(55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사관(550)이 연결된 분사수단의 몸체부(551)에는 종동기 어(492')가 결합되고, 상기 종동기어(492')는 기어드 모터(490)의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494)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기어드 모터(490)의 구동에 따라 분사관(550)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여과막(522)(523) 사이의 제2 여과영역(PS2)에서 농축된 오염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보조배수관(28)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수관(28)은 주배수관(24)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수시 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510)의 상단부에는 공기유입밸브(482')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질 여과 장치의 정수와 배수 동작은 실질적으로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510) 내부의 수위는 단일 수위로서, 수위가 낮아지는 속도에 상응하여 배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위가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50')의 일단이 연결된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배수 동작이 완료되고, 이어서 정수 동작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에 따르면, 여과된 오염물을 배출하기 위해 배수 동작을 하는 동안 상부수역으로부터 물을 역류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여과수 공급배관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수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물을 배수하는 동안에도 여과막을 계속적으로 세정할 수 있으므로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동시에, 순환펌프의 공회전을 막아 장치의 고장을 방지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에 따르면, 분사관 조립체 의 몸체부는 상대적으로 길이를 짧게 하는 반면에 분사관은 몸체부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저중심 설계를 구현함으로써 분사관 조립체가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기어드 모터를 채용하고 이것에 의해 분사관 조립체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충분한 구동력을 얻는 동시에 회전 속도를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바닥에는 흡입배관이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순환배관이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여과영역(PS)과 정수 완료 영역(CS)으로 분리하도록 설치되는 여과막을 포함하는 여과조립체;
    일단은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의 가장 낮은 지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연결된 여과수 공급배관;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의 여과된 물을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로 공급하는 순환펌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여과막을 향해 분사함으로써 여과막의 외측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을 탈락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하고,
    오염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여과막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순환배관을 통해 배출되고,
    배수 동작시에는 상기 여과조립체 하부에 축적된 오염물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배관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여과된 물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순환배관을 따라 유출될 경우에는 개방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유동할 경우에는 폐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립체는 개구부가 측면에 형성되며 바닥은 폐쇄되어 있는 원통형의 여과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막은 상기 개구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의 일단은 상기 여과막 프레임의 바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배수 동작 시에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 공기유입밸브; 및
    배수 동작 시에 상기 여과영역(PS)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공기유입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과 연통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여과막과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여과막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공이 형성된 복수의 분사관; 및
    상기 몸체부와 분사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분사관으로 갈수록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립체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정립(正立) 원뿔 형상의 복수의 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의 일단은 상기 여과막 중에서 최상층 여과막의 주변부에 있는 하우징 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배수 동작 시에 상기 정수 완료 영역(CS)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여과수 공급배관과 연통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여과막과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며, 여과막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공이 형성된 복수의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을 회전시키는 기어드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의 유입구에 연결된 흡입배관의 끝단에는 물이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분사하는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여과 장치.
KR1020070048417A 2007-05-18 2007-05-18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10075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417A KR100758875B1 (ko) 2007-05-18 2007-05-18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417A KR100758875B1 (ko) 2007-05-18 2007-05-18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875B1 true KR100758875B1 (ko) 2007-09-14

Family

ID=3873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417A KR100758875B1 (ko) 2007-05-18 2007-05-18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3523A (zh) * 2020-11-06 2020-12-04 胜利油田胜华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钻井液除泥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326Y1 (ko) 1999-09-10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해수 유속을 이용한 이물질 자동제거장치
KR100328545B1 (ko) 1999-05-08 2002-03-14 백운국 액체 여과용 필터의 연속 세척 장치
KR100646309B1 (ko) 2005-07-11 2006-11-23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회전식 다층막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100718547B1 (ko) 2006-10-24 2007-05-15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545B1 (ko) 1999-05-08 2002-03-14 백운국 액체 여과용 필터의 연속 세척 장치
KR200171326Y1 (ko) 1999-09-10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해수 유속을 이용한 이물질 자동제거장치
KR100646309B1 (ko) 2005-07-11 2006-11-23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회전식 다층막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100718547B1 (ko) 2006-10-24 2007-05-15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3523A (zh) * 2020-11-06 2020-12-04 胜利油田胜华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钻井液除泥沙装置
CN112023523B (zh) * 2020-11-06 2021-01-08 胜利油田胜华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钻井液除泥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13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US200701449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US7468082B2 (en) Self cleaning gas filtering system and method
US200701873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KR100992828B1 (ko) 여과필터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HRP20050566A2 (en) Filter device
JP2008272671A (ja) 一体型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ろ過装置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20090126423A (ko) 미세여과막을 이용한 부유고형물 처리장치
KR100525760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100583005B1 (ko) 상하수용 고도 정수처리시스템 및 정수처리방법
KR100758876B1 (ko) 워터젯수단을 구비한 수질 정화 시스템
KR100758875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CN112691417B (zh) 可逆洗浮床式反向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KR100718547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101009588B1 (ko) 미세여과막을 이용한 부유고형물 처리장치
JP2017177042A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KR100488613B1 (ko)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KR100525761B1 (ko) 수질 정화 시스템
KR100646309B1 (ko) 회전식 다층막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100655483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100735119B1 (ko) 수질 정화용 회전식 슬러지 흡입장치
KR100566114B1 (ko) 회전식 다층막 상향류 수질 정화 시스템
JP2008093552A (ja) 移床式ろ過装置
KR102336640B1 (ko) 저류조 클리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