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640B1 - 저류조 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저류조 클리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6640B1 KR102336640B1 KR1020210119868A KR20210119868A KR102336640B1 KR 102336640 B1 KR102336640 B1 KR 102336640B1 KR 1020210119868 A KR1020210119868 A KR 1020210119868A KR 20210119868 A KR20210119868 A KR 20210119868A KR 102336640 B1 KR102336640 B1 KR 1023366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water
- storage tank
- pipe
- tube
- s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8—Cleaning devices providing a flushing sur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2—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jet can be orien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04—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 B08B9/0813—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받거나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저류조에 잔류하는 유입수를 이용하여 그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러져 정화된 상태의 세척수를 스윙(swing)운동으로 인한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클리닝(cleaning) 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 장착 하우징, 유입수 흡입부재, 회전 지지부재, 스윙 가이드관 및 세척수 분사관을 포함하는 저류조 클리닝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별도의 세척수 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세척수 공급과 함께 좌우 스윙으로 직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에 따라 별도의 세척수 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세척수 공급과 함께 좌우 스윙으로 직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류조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받거나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저류조에 잔류하는 유입수를 이용하여 그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러져 정화된 상태의 세척수를 스윙(swing)운동으로 인한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클리닝(cleaning) 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지표면에 노출된 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으로 강우 초기에 유출량이 집중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이 공공수역으로 유입될 경우 하천 및 호소의 오염을 유발시키며 또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그에 따라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정화 및 정수 과정을 거쳐 배출 수역으로 배출시켜야 하는 데, 이에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저류시설은 인공습지 등의 저류형, 여과조 등의 여과형, 스월(Swirl) 처리장치 등의 다양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천이나 강과 같은 수계 주위에는 주로 저류형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이 설치되는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저류조는 폭우 등의 과다하게 유입되는 우수를 일시에 저류하고 조절해서 방류함으로써 침수를 방지하면서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저류조는 배수 후 바닥이나 벽면에 우수와 함께 유입된 비점오염원과 각종 오물 및 토사가 슬러지 형태로 침전되어 쌓이게 됨으로써, 주기적으로 저류조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침전물을 세척하여 제거해야 했다.
아울러, 저류조의 바닥면으로 침전된 비점오염원인 퇴적물을 적절한 시기에 세척 등을 통하여 제거하지 않을 경우, 부패와 이로 인한 심한 악취가 발생함은 물론 유입수에 의한 퇴적물이 강 또는 하천으로 유입됨으로 인해 강 또는 하천의 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함은 물론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상기한 저류조의 퇴적물로 인한 오염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처리방식에는 수문형(Flap gate), 두레박형(Bucket type) 또는 진공형(Vacuum) 등과 같은 형태의 저류조 세척 가능한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처리방식은 저류조의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그리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처리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167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로 유입되는 하수로부터 세척수를 얻어 저류조에 침전된 침전물을 수세 처리하되 그 처리를 저류수조에 구비되는 세척수조의 하부 구비되는 수문수단 및 상기 저류수조에 다수 개의 수위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수문수단의 자동으로 개폐하면서 세척수를 방류하여 침전물을 수세하도록 자동화 함으로서 저류조의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하수도용 저류조 세척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본 출원에 의해 선출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93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354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가 채워지면 회전축을 기점으로 세척수를 배출시켜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세척하도록 저류조 세척용 티핑버킷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311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의 바닥에 다수의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균일하게 분사함으로써 바닥 및 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종래와 같이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을 높은 곳에서 쏟아붓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저류조 세척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6027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의 저류 공간으로 유입되는 일부의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침사를 제거하여 세척 드럼에 세척수를 공급함에 따라 저류조에 유입되는 유입수의 부력에 의해서도 세척 드럼의 회전축에 부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저류조의 저류 공간 내의 유입수가 배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세척 드럼의 전복에 의해 세척수를 배출시켜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무동력 드럼형 저류조 세척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및 3은 저류조 세척을 위한 세척장치의 기술적 구성이 상당히 복잡한 단점을 물론 그로 인한 유지관리에 많은 애로점과 함께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하고 저장하여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 및 4는 세척수가 쏟아지는 위치의 저류조 바닥면은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으나 그 반대 측의 바닥면에는 일부의 퇴적물이 잔존할 수 있는 우려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받거나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저류조에 잔류하는 유입수를 이용하여 그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러져 정화된 상태의 세척수를 스윙(swing)운동으로 인한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클리닝(cleaning) 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 클리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여과망에 걸려진 협잡물 또한 자체적으로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세척수를 분사시 에어를 포함하는 제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저류조의 바닥면은 물론 벽면으로 퇴적된 퇴적물 또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저류조의 배수 호퍼와 접한 바닥면 끝단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바닥판에 수평통로와 수직통로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어 장착되는 장착 하우징; 상기 수평통로의 일단과 배출구가 연결되어 저류조의 배수 호퍼 측에 위치하는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구의 하부에 배수 호퍼에 잔류하는 유입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그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어 세척수로 정화하도록 외측에 여과 망이 씌워진 흡입프레임을 포함하는 유입수 흡입부재; 상기 장착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직통로와 연결되도록 장착되는 회전 지지부재;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하부가 삽입되어 수직통로와 연결되며 상부는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장착박스에 구비되는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좌우로 스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윙 가이드관; 및 상기 스윙 가이드관의 끝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저류조의 바닥면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시켜 침전된 퇴적물을 세척하도록 구비되는 세척수 분사관;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는 스윙 가이드관의 삽입된 부분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비되는 각각의 기밀부재, 상기 상부 측 기밀부재의 상단과 하부 측 기밀부재의 밑단에 구비되는 각각의 이탈방지 링을 포함한다.
상기 스윙 가이드관의 회전은 그 스윙 가이드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 지지축, 상기 회전 지지축의 상단과 장착 고정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흡입펌프의 배출구 측과 흡입프레임에는 유입수의 흡입에 의해 회전되면서 여과 망에 부착되는 협잡물을 탈리시키는 탈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탈리부는 흡입펌프의 배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일부의 세척수를 흡입프레임의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수 바이패스관, 상기 바이패스관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흡입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 회전관, 상기 중공 회전관의 상부에 유입수의 흡입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그 중공 회전관을 회전시키는 프로펠러, 상기 중공 회전관과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여과 망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로부터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세척수를 분사시켜 협잡물을 탈리시키는 분사관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분사관에는 세척수 분사시 그 세척수 분사압력에 의해 에어를 흡입하여 제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에어 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벤트부는 상기 세척수 분사관 상에 벤츄리부가 형성되어 연결 장착되는 벤츄리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벤츄리관부재는 벤츄리부의 외측이 폐쇄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벤츄리관부재에는 상기 저류조의 잔류하는 유입수 보다 높은 높이로 연결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유입관을 포함한다.
상기 스윙 가이드관과 세척수 분사관 사이에는 그 세척수 분사관을 상하로 틸팅(tilting)하기 위한 틸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틸팅부는 스윙 가이드관의 끝단에 일단이 기밀성을 가지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세척수 분사관에 고정되는 틸팅관, 상기 스윙 가이드관에 구비된 장착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장착 하우징과 틸팅관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받거나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저류조에 잔류하는 유입수를 이용하여 그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러져 정화된 상태의 세척수를 스윙(swing)운동으로 인한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클리닝(cleaning)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세척수 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세척수 공급과 함께 좌우 스윙으로 직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여과망에 걸려진 협잡물을 자체적으로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입수의 유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 세척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우수한 기술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세척수를 분사시 에어를 포함하는 제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류조의 퇴적물을 잔여물 없이 더욱더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또, 저류조의 바닥면은 물론 벽면으로 퇴적된 퇴적물 또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류조의 바닥면과 함께 측벽 또한 깨끗하게 세척하여 저류조 내의 오염원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저류조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탈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벤츄리관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탈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벤츄리관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저류조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탈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비점오염 저감시설 중의 하나인 저류조의 바닥면으로 침전된 비점오염원인 퇴적물을 적절한 시기에 세척 등을 통하여 제거하지 않을 경우, 부패와 이로 인한 심한 악취가 발생함은 물론 유입수에 의한 퇴적물이 강 또는 하천으로 유입됨으로 인해 강 또는 하천의 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함은 물론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그에 따라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의 저류조를 세척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가 제시된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여러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받거나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저류조에 잔류하는 유입수를 이용하여 그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러져 정화된 상태의 세척수를 스윙(swing)운동으로 인한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클리닝(cleaning) 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 클리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 클리닝장치(1)는 본체 프레임(10), 장착 하우징(20), 유입수 흡입부재(30), 회전 지지부재(40), 스윙 가이드관(50) 및 세척수 분사관(60)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본체 프레임(10)은 저류조(100)의 배수 호퍼(102)와 접한 바닥면 끝단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본체 프레임의 바닥판 일측은 저류조 바닥면에 위치하고, 타측은 배수 호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 하우징과 스윙 가이드관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 바닥판과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스윙 가이드관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 장착박스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하우징(2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바닥판에 유입수 흡입부재(30)와 연결되는 수평통로(22)와 회전 지지부재(40) 및 스윙 가이드관(50)과 연결되는 수직통로(24)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통로(25)가 형성되어 장착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수평통로의 유입수 흡입부재와 연결되는 반대 측은 폐쇄된다. 상기 가이드 통로(25)는 한글 모음의 오("ㅗ") 자 형태이다.
즉, 상기 장착 하우징의 가이드 통로는 유입수 흡입부재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져 정화된 세척수를 회전 지지부재 내의 스윙 가이드관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유입수 흡입부재(30)는 상기 수평통로(22)의 일단과 배출구가 연결되어 저류조의 배수 호퍼(102) 측에 위치하는 흡입펌프(32), 상기 흡입펌프(32)의 흡입구의 하부에 배수 호퍼(102)에 잔류하는 유입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그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어 세척수로 정화하도록 외측에 여과 망(34)이 씌워진 흡입프레임(35)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유입수 흡입부재는 저류조의 배수 호퍼에 잔류하는 유입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그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어 세척에 적합한 세척수로 정화한 후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로 인해 세척을 위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세척수가 없이도 자체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여과 망은 유입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협잡물이 부착되는 데, 그 협착물의 부착으로 인해 유입수의 흡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저 구성도 가진다.
즉, 상기한 흡입펌프(32)의 배출구 측과 흡입프레임(35)에는 유입수의 흡입에 의해 회전되면서 여과 망()에 부착되는 협잡물을 탈리시키는 탈리부(36)를 구비한다. 상기 탈리부(36)는 흡입펌프(32)의 배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일부의 세척수를 흡입프레임(35)의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수 바이패스관(36A), 상기 세척수 바이패스관(36A)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흡입프레임(35)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 회전관(37), 상기 중공 회전관(37)의 상부에 유입수의 흡입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그 중공 회전관(37)을 회전시키는 프로펠러(3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공 회전관(37)과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여과 망(34)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로부터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분사노즐(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세척수를 분사시켜 협잡물을 탈리시키는 분사관(39)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탈리부는 별도의 동력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세척수의 일부를 공급받아 프로펠러에 의해 회전되는 중공 회전관 및 분사관에 의해 일부 공급된 세척수에 의해 여과 망의 내측에서 분사됨으로써, 유입수 흡입으로 인해 여과망의 외면에 부착되는 협잡물을 원활하게 탈리하게 된다.
이러한, 협잡물의 탈리는 유입수의 흡입과 함께 여과 망으로 부착되는 협잡물을 회전되는 분사관의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탈리되도록 함으로써, 유입수의 흡입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특히, 여과 망에 부착되는 협잡물의 탈리 역시 별도의 동력과 세척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입되는 유입수의 압력과 세척된 일부의 세척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우수한 기술성을 가진다.
회전 지지부재(40)는 상기 장착 하우징(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직통로(24)와 연결되도록 장착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회전 지지부재(40)에는 스윙 가이드관(50)의 삽입된 부분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비되는 각각의 기밀부재(42), 상기 상부 측 기밀부재(42)의 상단과 하부 측 기밀부재(42)의 밑단에 구비되는 각각의 이탈방지 링(44)을 포함한다. 상기 기밀부재는 오링, 또는 메커니컬 실 등을 포함하여 상기 스윙 가이드관의 하부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 또는 스러스트 부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윙 가이드관이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스윙 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스윙 가이드관(50)은 상기 회전 지지부재(40)에 하부가 삽입되어 수직통로(24)와 연결되며 상부는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상부 장착박스(12)에 구비되는 회전수단(52)과 연결되어 좌우로 스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스윙 가이드관(50)의 회전은 그 스윙 가이드관(52)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 지지축(51), 상기 회전 지지축(51)의 상단과 장착 고정되는 회전수단(52)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수단은 장착박스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정,역모터를 포함하여 기어 맞물림식은 물론 풀리와 벨트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스윙모터 등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스윙 가이드관의 회전은 저류조의 일 측벽에서 타 측벽 사이의 바닥면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스윙 폭을 가진다.
그에 따라 상기 스윙 가이드관의 회전에 의해 그에 결합되는 세척수 분사관을 통하여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적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수 분사관(60)은 상기 스윙 가이드관(50)의 끝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저류조(100)의 바닥면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시켜 침전된 퇴적물을 세척하도록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세척수 분사관은 세척수가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관계로, 스윙 가이드관으로부터 저류조의 바닥면을 향하여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분할된 관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로 인해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스윙 가이드관과 함께 세척수 분사관이 좌우로 회전되면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척수 분사관에는 세척수와 함께 에어를 포함하는 제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더욱더 깨끗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세척수 분사관(60)에는 세척수 분사시 그 세척수 분사압력에 의해 에어를 흡입하여 제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에어 벤트부(65)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벤트부(65)는 상기 세척수 분사관(60) 상에 벤츄리부(62)가 형성되어 연결 장착되는 벤츄리관부재(64)를 포함한다. 상기 벤츄리관부재(64)는 벤츄리부(62)의 외측이 폐쇄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벤츄리관부재(64)에는 상기 저류조(100)의 잔류하는 유입수 보다 높은 높이로 연결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유입관(64A)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세척수 분사와 함께 에어 벤트부에 의해 에어를 포함하는 제트 분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의 세척이 더욱더 효율적이면서 청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이 아닌 간단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은 물론 특히 별도의 세척수를 공급받거나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저류조에 잔류하는 유입수를 이용하여 그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러져 정화된 상태의 세척수를 스윙(swing)운동으로 인한 저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퇴적물을 깨끗하게 클리닝(cleaning) 할 수 있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의 부착 또한 자체적으로 탈리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높은 기술성과 우수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벤츄리관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세척수 분사관에 구비되어 제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벤츄리관부재는 저류조의 잔류하는 유입수로부터 노출될 경우, 더욱더 간단한 기술적 구성 또한 제공한다.
세척수 분사관(60)에는 세척수 분사시 그 세척수 분사압력에 의해 에어를 흡입하여 제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에어 벤트부(65)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벤트부(65)는 상기 세척수 분사관(60) 상에 벤츄리부(62)가 형성되어 연결 장착되는 벤츄리관부재(3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세척수 분사관이 유입수로부터 노출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 유입관이 필요없는 관계로, 더욱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에어 벤트부를 더욱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작용효과는 동일한 조건을 그대로 가진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저류조의 바닥면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저류조의 양 측벽에 퇴적된 퇴적물 또한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스윙 가이드관(50)과 세척수 분사관(60) 사이에는 그 세척수 분사관(60)을 상하로 틸팅하기 위한 틸팅부(70)를 포함하되, 상기 틸팅부(70)는 스윙 가이드관(50)의 끝단에 일단이 기밀성을 가지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세척수 분사관(60)에 고정되는 틸팅관(72), 상기 스윙 가이드관(50)에 구비된 장착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74), 상기 실린더(74)의 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장착 하우징과 틸팅관(72)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링크부재(75)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스윙 가이드관으로부터 틸팅관이 링크부재에 의해 상하로 틸팅 될 수 있는 관계로, 저류조의 바닥면은 물론 그 바닥면 양측의 측벽에 퇴적된 퇴적물의 세척 또한 틸팅부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틸팅부에 의해 저류조의 양 측벽을 먼저 세척한 후 바닥면을 세척함으로써, 더욱더 효율적인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저류조 클리닝장치
10 : 본체 프레임 12 : 장착박스
20 : 장착 하우징 22 : 수평통로
24 : 수직통로 25 : 가이드 통로
30 : 유입수 흡입부재 32 : 흡입펌프
34 : 여과 망 35 : 흡입 프레임
36 : 탈리부 36A : 세척수 바이패스관
37 : 중공 회전관 38 : 프로펠러
39 : 분사관 40 : 회전 지지부재
42 : 기밀부재 44 : 이탈방지 링
50 : 스윙 가이드관 51 : 회전 지지축
52 : 회전수단 60 : 세척수 분사관
65 : 에어 벤트부 62 : 벤츄리부
64 : 벤츄리관부재 64A : 에어 유입관
70 : 탈리부 72 : 틸팅관
74 : 실린더 75 : 링크부재
100 : 저류조
102 : 배수 호퍼
10 : 본체 프레임 12 : 장착박스
20 : 장착 하우징 22 : 수평통로
24 : 수직통로 25 : 가이드 통로
30 : 유입수 흡입부재 32 : 흡입펌프
34 : 여과 망 35 : 흡입 프레임
36 : 탈리부 36A : 세척수 바이패스관
37 : 중공 회전관 38 : 프로펠러
39 : 분사관 40 : 회전 지지부재
42 : 기밀부재 44 : 이탈방지 링
50 : 스윙 가이드관 51 : 회전 지지축
52 : 회전수단 60 : 세척수 분사관
65 : 에어 벤트부 62 : 벤츄리부
64 : 벤츄리관부재 64A : 에어 유입관
70 : 탈리부 72 : 틸팅관
74 : 실린더 75 : 링크부재
100 : 저류조
102 : 배수 호퍼
Claims (7)
- 저류조의 배수 호퍼와 접한 바닥면 끝단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바닥판에 수평통로와 수직통로가 연결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어 장착되는 장착 하우징;
상기 수평통로의 일단과 배출구가 연결되어 저류조의 배수 호퍼 측에 위치하는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구의 하부에 배수 호퍼에 잔류하는 유입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그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어 세척수로 정화하도록 외측에 여과 망이 씌워진 흡입프레임을 포함하는 유입수 흡입부재;
상기 장착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직통로와 연결되도록 장착되는 회전 지지부재;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하부가 삽입되어 수직통로와 연결되며 상부는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장착박스에 구비되는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좌우로 스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윙 가이드관; 및
상기 스윙 가이드관의 끝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저류조의 바닥면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시켜 침전된 퇴적물을 세척하도록 구비되는 세척수 분사관;을 포함하는 저류조 클리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는 스윙 가이드관의 삽입된 부분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비되는 각각의 기밀부재, 상기 상부 측 기밀부재의 상단과 하부 측 기밀부재의 밑단에 구비되는 각각의 이탈방지 링을 포함하는 저류조 클리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가이드관의 회전은 그 스윙 가이드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 지지축, 상기 회전 지지축의 상단과 장착 고정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저류조 클리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펌프의 배출구 측과 흡입프레임에는 유입수의 흡입에 의해 회전되면서 여과 망에 부착되는 협잡물을 탈리시키는 탈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탈리부는 흡입펌프의 배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일부의 세척수를 흡입프레임의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수 바이패스관, 상기 바이패스관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흡입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 회전관, 상기 중공 회전관의 상부에 유입수의 흡입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그 중공 회전관을 회전시키는 프로펠러, 상기 중공 회전관과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여과 망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로부터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세척수를 분사시켜 협잡물을 탈리시키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저류조 클리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관에는 세척수 분사시 그 세척수 분사압력에 의해 에어를 흡입하여 제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에어 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벤트부는 상기 세척수 분사관 상에 벤츄리부가 형성되어 연결 장착되는 벤츄리관부재를 포함하는 저류조 클리닝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부재는 벤츄리부의 외측이 폐쇄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벤츄리관부재에는 상기 저류조의 잔류하는 유입수 보다 높은 높이로 연결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유입관을 포함하는 저류조 클리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가이드관과 세척수 분사관 사이에는 그 세척수 분사관을 상하로 틸팅(tilting)하기 위한 틸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틸팅부는 스윙 가이드관의 끝단에 일단이 기밀성을 가지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세척수 분사관에 고정되는 틸팅관, 상기 스윙 가이드관에 구비된 장착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장착 하우징과 틸팅관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저류조 클리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9868A KR102336640B1 (ko) | 2021-09-08 | 2021-09-08 | 저류조 클리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9868A KR102336640B1 (ko) | 2021-09-08 | 2021-09-08 | 저류조 클리닝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6640B1 true KR102336640B1 (ko) | 2021-12-14 |
Family
ID=7890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9868A KR102336640B1 (ko) | 2021-09-08 | 2021-09-08 | 저류조 클리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664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90771A (zh) * | 2022-06-06 | 2022-07-26 |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安徽混凝土装配化构件分公司 | 一种多功能分流截流井 |
CN118257342A (zh) * | 2024-05-30 | 2024-06-28 | 江苏扬子净化工程有限公司 | 一种洁净车间排污系统的空气阻断装置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678B1 (ko) | 2006-09-28 | 2008-02-15 |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 하수도용 저류조 세척장치 |
KR100805877B1 (ko) * | 2006-09-28 | 2008-02-22 |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
JP2014180612A (ja) * | 2013-03-19 | 2014-09-29 | Shin Meiwa Ind Co Ltd | 槽内攪拌装置 |
KR20160092271A (ko) * | 2015-01-27 | 2016-08-04 | 소진호 | 입형 원심펌프 |
KR101959354B1 (ko) | 2018-12-13 | 2019-03-18 | (주)가온텍 | 저류조 표면 세척용 티핑버킷 |
KR101973546B1 (ko) | 2019-03-08 | 2019-04-29 | (주)가온텍 | 세척 및 헹굼 운전시스템을 갖는 저류조 티핑버켓 |
KR102123113B1 (ko) | 2020-03-23 | 2020-06-15 | 박재석 | 노즐분사 방식을 이용한 오수 및 우수의 저류조 세척장치와 이를 이용한 저류조 세척공법 |
KR102260279B1 (ko) | 2021-03-04 | 2021-06-03 | 주식회사 가온텍 | 무동력 드럼형 저류조 세척장치 |
-
2021
- 2021-09-08 KR KR1020210119868A patent/KR10233664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678B1 (ko) | 2006-09-28 | 2008-02-15 |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 하수도용 저류조 세척장치 |
KR100805877B1 (ko) * | 2006-09-28 | 2008-02-22 |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
JP2014180612A (ja) * | 2013-03-19 | 2014-09-29 | Shin Meiwa Ind Co Ltd | 槽内攪拌装置 |
KR20160092271A (ko) * | 2015-01-27 | 2016-08-04 | 소진호 | 입형 원심펌프 |
KR101959354B1 (ko) | 2018-12-13 | 2019-03-18 | (주)가온텍 | 저류조 표면 세척용 티핑버킷 |
KR101973546B1 (ko) | 2019-03-08 | 2019-04-29 | (주)가온텍 | 세척 및 헹굼 운전시스템을 갖는 저류조 티핑버켓 |
KR102123113B1 (ko) | 2020-03-23 | 2020-06-15 | 박재석 | 노즐분사 방식을 이용한 오수 및 우수의 저류조 세척장치와 이를 이용한 저류조 세척공법 |
KR102260279B1 (ko) | 2021-03-04 | 2021-06-03 | 주식회사 가온텍 | 무동력 드럼형 저류조 세척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90771A (zh) * | 2022-06-06 | 2022-07-26 |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安徽混凝土装配化构件分公司 | 一种多功能分流截流井 |
CN118257342A (zh) * | 2024-05-30 | 2024-06-28 | 江苏扬子净化工程有限公司 | 一种洁净车间排污系统的空气阻断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6640B1 (ko) | 저류조 클리닝장치 | |
KR101759931B1 (ko) |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 |
JP2008272671A (ja) | 一体型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ろ過装置 | |
CN108117112B (zh) | 用于污水的处理装置 | |
KR101698590B1 (ko) | 무동력 비점오염 처리장치 | |
CN107473330A (zh) | 遥控式水面油污清除器 | |
KR100421443B1 (ko) |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 |
KR100805877B1 (ko) |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 |
CN112691417B (zh) | 可逆洗浮床式反向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
KR100928068B1 (ko) | 준설차의 수분배출장치 | |
CN218853539U (zh) | 一种污水处理厂内部便于清污的沉淀池 | |
KR101616225B1 (ko) |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 |
KR101674853B1 (ko) |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 |
CN211273780U (zh) | 一种用于污水处理的杂质清理装置 | |
KR200433900Y1 (ko) |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 |
KR200321857Y1 (ko) |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 |
KR102232332B1 (ko) | 효율적인 역세척 설비를 구비한 초기우수 여과 시스템 | |
JP2008093552A (ja) | 移床式ろ過装置 | |
KR102653647B1 (ko) |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 |
KR102709759B1 (ko) | 반영구적 여과모듈을 적용한 iot 분수시설의 수처리 정화시스템 | |
CN209583849U (zh) | 一种地下水污染治理装置 | |
CN215195656U (zh) | 一种用于压力管道排气阀的反冲洗过滤装置 | |
CN211259156U (zh) | 一种水下清淤过滤装置 | |
CN221397526U (zh) | 一种生物膜污水处理设备 | |
JP4006757B2 (ja) | 除砂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