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647B1 -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 Google Patents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647B1
KR102653647B1 KR1020230125179A KR20230125179A KR102653647B1 KR 102653647 B1 KR102653647 B1 KR 102653647B1 KR 1020230125179 A KR1020230125179 A KR 1020230125179A KR 20230125179 A KR20230125179 A KR 20230125179A KR 102653647 B1 KR102653647 B1 KR 102653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ainwater
backwash
supply pipe
ai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안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안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안그린텍
Priority to KR102023012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6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 전처리조, 유입조 및 상기 전처리조와 유입조를 연결하는 제1 통로 중 전처리조 측에 배치되며, 내측으로 타공홀을 형성하고 있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 중 최 상측의 수평부에서 전처리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수평부 및 경사부의 이물질 및 빗물이 제1 격벽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제1 격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로 이루어진 스크린, 여과부, 역세척 수조, 제1 역세척조를 포함하고 있어, 전처리조와 유입조 사이의 제1 통로에 스크린을 배치하여 초기 빗물의 원활한 유입은 물론, 빗물 내에 포함된 협잡물 등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으면서, 스크린의 수직 연장부를 통해 1차로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한편, 정체수의 배출시 스크린 내에 부착된 이물질을 경사 연장부를 통해 정체수와 함께 유도시킨 후 정체수 펌프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이물질의 확산, 비산으로 인한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여과제를 세척하기 위한 제2 역세척부의 공기 분사구 및 공기 공급관 내의 청소를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thru Filteration Type}
본 발명은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이 지표면을 통하여 지하로 스며들고, 일부는 땅위를 흘러 실개천으로 흘러간다. 실개천을 지나 하천으로 흘러들거나 호수로 흘러들고 결국은 바다로 흐른다. 이러한 과정 중에 수증기를 통해 다시 대기중으로 흘러들어가 빗물이 되어 순환된다. 이러한 물이 순환되는 과정에서 빗물은 공기를 깨끗하게 하고, 도로를 깨끗하게 하여 사람들의 마음도 상쾌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순환과정에서 오염된 대기와 도로, 주차장 등으로부터 빗물에 휩쓸려 흘러온 오염물질로 인하여 빗물이 점점 오염되어 하천으로 흘러들어가 하천오염의 주범이 되고, 강우시 물고기 폐사사건의 원인이 되거나 하천의 수질을 악화시킨다. 이러한 오염원을 빗물오염이라 하고, 전문용어로는 비점오염원이라고 하며, 처리하는 시설을 비점오염저감시설이라고 한다.
즉, 비점오염원은 건기 시 토지표면에 축적된 다양한 오염물질(유기물, 영양염류, 중금속, 입자상 물질, 각종유해 화학물질 등)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수질 및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배출원을 지칭한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종류에는 자연형 시설과 장치형 시설로 나누어지며, 장치형 시설중 여과형 시설은 강우유출수를 집수조나 우수관로에서 차집한 후 전처리조에서 침전과정을 거쳐, 여과조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여재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처리시설로서, 전처리조와 여과조로 구성된다.
여과형시설의 여재는 입상여재, 섬유상여재 등 다양한 형태의 여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과가 지속될수록 여재층이 폐색되어 처리효율이 떨어지고 여과유량도 감소하게 됨에 따라 여과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재 교체나 역세 등의 처리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여과장치는 강우종료 후 여재를 세척하거나 정체수를 강제로 배수할 수 있는 시설이 없어서 주기적으로 세밀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여재층이 폐색되어 처리되지 못한 빗물이 그대로 방류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여과시설의 유지관리상 주요사항은 역세척 주기와 준설 횟수 등이다. 하지만 종래의 여과시설에는 이러한 자동 역세척 설비나 정체수 배제설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인력과 유지관리비 재원 등이 미비한 실정이므로 시설 설치 초기 단계부터 이러한 유지관리 인력과 유지관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자동화 설비의 도입이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평상시 비가 오지 않아도 우수관거 내 지하수, 계곡물 등의 물이 계속적으로 흐를 경우에는 깨끗한 물이 비점오염저감시설로 유입되면 시설 내 설치된 정체수 배제설비에 의하여 오수관거나 하수처리장으로 계속적으로 유입되므로 하수처리장의 유량부담만 가중시키게 되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상시 외부유입수를 차단하고 강우시에만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운전하도록 하는 등의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2757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전처리조와 전처리조에서 1차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며 하부에 여재층이 형성되어 있는 여과조와, 여과조의 여재층을 세척하기 위해 2차 처리된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수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1) KR10-1562757 B1 비점오염저감시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스크린이 전처리조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있어 초기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에 의해 전처리조로 초기 우수가 원활히 유입되지 못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역세공기 유입관은 여과조의 여제 내에 설치되어 공기 분사를 통해 여제를 세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역세공기 유입관은 여제 내에 설치되기에 이물질이 항상 내부에 유입되어 이를 청소하여야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여제를 제거한 후 청소하는 것 이외에는 청소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유지관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처리조, 여과조, 처리수조 등은 강우 종료 후 48시간 내에 정체수를 배출하여야 하는데 상술한 특허문헌 1은 정체수 및 각각의 조에 포함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 미비하여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술한 전처리조, 여과조, 처리수조 등에는 유지관리시설이 필수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유지관리시설의 경우 설치한 이후 토사를 매설하는 과정에서 토사의 압력에 의해 밀리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재시공율이 높은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전처리조와 유입조 사이의 제1 통로에 스크린을 배치하여 초기 빗물의 원활한 유입은 물론, 빗물 내에 포함된 협잡물 등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는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의 수직 연장부를 통해 1차로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한편, 정체수의 배출시 스크린 내에 부착된 이물질을 경사 연장부를 통해 정체수와 함께 유도시킨 후 정체수 펌프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이물질의 확산, 비산으로 인한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과제를 세척하기 위한 제2 역세척부의 공기 분사구 및 공기 공급관 내의 청소를 손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지관리시설의 설치시 안착홈에 의해 유지관리시설이 토사의 압력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하여 시공성 향상으로 인한 재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처리조와 유입조 사이의 제1 통로에 스크린을 배치하여 초기 빗물의 원활한 유입은 물론, 빗물 내에 포함된 협잡물 등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수직 연장부를 통해 1차로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한편, 정체수의 배출시 스크린 내에 부착된 이물질을 경사 연장부를 통해 정체수와 함께 유도시킨 후 정체수 펌프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이물질의 확산, 비산으로 인한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여과제를 세척하기 위한 제2 역세척부의 공기 분사구 및 공기 공급관 내의 청소를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유지관리시설의 설치시 안착홈에 의해 유지관리시설이 토사의 압력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하여 시공성 향상으로 인한 재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스크린을 도시한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처리조(10), 유입조(20), 스크린(30), 여과부(40), 역세척 수조(50) 및 제1 역세척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우선, 전처리조(1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우수관(도면에 미도시)과 유입관(I)에 의해 연결되어 초기 우수 즉, 빗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다음으로, 유입조(20)는 상기 전처리조(10)와 제1 격벽(W1)에 의해 구획되며, 제1 격벽(W1)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통로(G1)를 통해 전처리조(10)로 유입된 빗물을 공급받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스크린(30)은 상기 전처조(10)와 유입조(20) 사이의 제1 격벽(W1)에 형성된 제1 통로(G1)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로(G1) 중 전처리조(10) 측에 배치되어 전처리조(10)에서 유입조(20)로 이동하는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등을 걸러내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스크린(30)은 도 2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타공홀(31a)이 포함되어 있는 수평부(31)와 상기 수평부(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3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31)에 형성되는 타공홀(31a) 중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부(31a)의 타공홀(31a)의 크기가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31) 중 최 상측의 수평부(31)엔 전처리조(10)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연장부(33)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34)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연장부(23)의 하단에는 수평부(31) 및 경사부(32)에 부착된 이물질 및 빗물이 제1 격벽(W1)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제1 격벽(W1)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35)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여과부(40)는 상술한 유입조(20)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다만, 유입조(20) 내에서 수직 구획판(41)과 여과제(42)를 통해 구획되는 여과조(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여과부(40)는 유입조(20)로 유입된 빗물의 수위 상승시 여과제(42)에 의해 빗물을 정화시켜 여과조(43)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용한다.
다음으로, 역세척 수조(50)는 상기 여과부(40)와 제2 격벽(W2)에 구획되어, 제2 격벽(W2)의 제2 통로(G2)를 통해 여과제(42)에 의해 정화된 빗물을 공급받는 구성으로, 일측으로는 정화된 물을 기존 우수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관(B)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 역세척부(60)는 상기 역세척 수조(50)에 설치되어 정화된 빗물을 이용해 여과부(40)의 여과제(42) 상측에서 여과제(42)를 세척하기 위한 역세척 펌프(61)와 상기 역세척펌프(61)의 구동시 정화된 빗물이 이동하는 물공급라인(62)가 상기 물공급라인(62)의 단부에 설치되어 여과제(42)에 정화된 빗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 분사부(63)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2 역세척부(7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역세척부(70)는 여과부(40)의 여과제(42) 내에 형성되는 공기 공급관(72)과 상기 공기 공급관(72)에 형성되는 공기분사구(71)와 상기 공기 공급관(72)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공기 생성부(7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공기세척부(70)를 구성하는 공기 공급관(72)의 일측은 도 3에서와 같이 여과부(40)의 수직 구획판(41)에 고정 결합되며, 공기 공급관(72)과 결합된 수직 구획판(41)에는 공기 공급관(72)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 홀(41a)이 더 포함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 홀(41a)에는 탈부착 가능한 마개(74)가 더 포함되어 공기 분사구(71) 및 공기 공급관(72)의 막힘시 마개(74)를 탈착하여 공기 공급관(72) 및 공기 분사구(871)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조(10), 유입조(20)에는 정체수 이송펌프(P)가 포함되며, 전처리조(10), 유입조(20), 역세척 수조(50)의 바닥면에는 경사판(D)이 더 포함되되, 상기 유입조(20) 및 전처리조(10)에 형성된 경사판(D)은 정체수 이송펌프(P)가 배치된 위치에 물이 고일 수 있도록 기울기를 형성하고, 역세척 수조(50)는 제1 역세척부(60))를 구성하는 역세척펌프(61)가 배치된 위치에 물이 고일 수 있도록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처리조(10), 유입조(20), 역세척 수조(50)의 상단으로는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제1 유지관리 홀(81)을 포함하는 유지관리시설(80)이 더 설치되며, 상기 유지관리시설(80)은 전처리조(10), 유입조(20), 역세척 수조(50)의 상단에 제1 유지관리 홀(81)과 연결되는 제2 유지관리 홀(h1)을 형성하고, 상기 유지관리시설(80)의 외주면보다 더 큰형태로 이루어지되 유지관리시설(8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유지관리 홀(h1)에서 다단형태로 형성되는 안착홈(h2)을 더 형성하여, 유지관리시설(80)의 설치시 안착홈(h2)에 유지관리시설(80)의 하단을 배치한 후 유지관리시설(80)의 하단 외주면으로 몰탈(C)을 채워 유지관리시설(8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여과층 비점오염 저감시(100)은 기존의 시설과 마찬가지로 기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면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강우 발생시 기존 우수관에 설치된 웨어에 의해 초기우수는 도 1에서의 유입관(I)을 통해 전처리조(10)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빗물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제1 격벽(W1)의 제1 통로(G1)가 형성된 위치까지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스크린(30)을 통과하여 협잡물 등이 걸러지면서 유입조(20)로 이동 된다.
이때에, 상기 스크린(30)에는 수직 연장부(34)가 형성되어 있어 전처리조(10)에서 수위 상승시 오일과 같이 물보다 비중이 낮은 물질 및 크기가 큰 협잡물이 수직 연장부(34)에 의해 차단되어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 연장부(34)에 의해 1차로 협잡물이 걸러진 빗물은 스크린(30)의 경사부(32)에 의해 협잡물 등을 포함한 빗물이 경사면을 타고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한 협잡물 등을 포함한 빗물은 수평부(31)의 위치에서는 수평부(31)의 타공홀(31a)에 의해 협잡물 등은 배출이 차단되고, 빗물만이 유입조(2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30)을 통해 1, 2차 정화되어 제1 통로(G1)를 통해 유입조(20)로 이동한 빗물은 수위가 상승하면서 여과부(40)의 여과제(42)에 의해 오염물질이 흡착되어 2차 정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렇게 2차 정화된 빗물은 여과제(42)를 통과한 후 여과조(43)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조(43)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위가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2 격벽(W2)의 제2 통로(G2)를 통해 역세척 수조(50)로 이동되고, 상기 역세척 수조(50)로 이동된 정화가 완료된 빗물은 유출관(B)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여과부(40)를 구성하는 여과제(42)를 자체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제1, 2 역세척부(60, 70)가 구성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역세척 수조(50) 내에부에 설치되는 역세척펌프(61)와 상기 역세척펌프(61)를 통해 펌핑되는 역세척 수조(50) 내의 정화가 완료된 빗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공급라인(62)과 물공급라인(62)의 단부 즉, 여과제(42)의 상측에 배치되는 물분사부(63)로 이루어진 제1 역세척부(60)를 통해 정화가 완료된 빗물을 분사하여 여과제(42)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역세척부(60)의 작동 이후 제2 역세척부(70)의 공기 생성부(73)를 작동시키면, 공기 공급관(72)을 통해 여과제(42) 내에 형성된 공기 분사구(71)에서 공기방울이 발생하여 폭기작용에 의해 여과제(42)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제2 세척부(70)의 공기 분사구(71)가 형성되는 공기 공급관(72)은 여과제(4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여과제(42) 내의 이물질이 공기 분사구(71)를 통해 공기 공급관(72)으로 유입되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는 여과제(42)를 분해한 후 이를 청소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여과부(40)를 구성하는 수직 구획판(41)에 공기공급관(72)과 연결된느 공기 공급관 홀(41a)을 형성한 후 이를 마개(74)를 통해 막는 구조로 구성하여 제2 세척부(70)의 공기 공급관(72) 및 공기 분사구(71)의 막힘이 발생하게 될 경우 마개(74)를 탈착한 후 공기 공급관(72)에 공기를 분사 또는 흡착시켜 공기 공급관(72) 및 공기 분사구(71)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강우의 종료가 이루어지게 되면 전처리조(10), 유입조(20) 및 역세척 수조(50) 내의 정체수는 배출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처리조(10)와 유입조(20) 내에 정체수 이송펌프(P)가 형성되어 정체수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전처리조(10)와 유입조(20)의 바닥면에는 정체수 이송펌프(P)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사판(D)이 구비되어 있어 정체수와 함께 정체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정체수 이송펌프(P) 방향으로 유도시킴으로써 내부의 이물질도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역세척 수조(50)의 바닥면에도 제1 역세척부(60)의 역세척펌프(61) 방향으로 빗물을 유도할 수 있는 경사판(D)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의 이물질을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스크린(30)을 구성하는 수직 연장부(34)의 하단에는 경사 연장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처리조(10) 내의 정체수 배출시 스크린(30)의 수평부(31) 및 수직부(32)에 있던 이물질 및 정체수가 낙하할 때에 경사 연장부(35)부에 의해 제1 격벽(W1) 방향으로 이물질이 정체수에 의해 함께 유도됨으로써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히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전처리조(10), 유입조(20), 역세척 수조(50의 상단으로는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제1 유지관리 홀(81)을 포함하는 유지관리시설(80)이 더 설치되며, 상기 유지관리시설(80)은 전처리조(10), 유입조(20), 역세척 수조(50)의 상단에 제1 유지관리 홀(81)과 연결되는 제2 유지관리 홀(h1)을 형성하고, 상기 유지관리시설(80)의 외주면보다 더 큰형태로 이루어지되 유지관리시설(8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유지관리 홀(h1)에서 다단형태로 형성되는 안착홈(h2)을 더 형성하여, 유지관리시설(80)의 설치시 안착홈(h2)에 유지관리시설(80)의 하단을 배치한 후 유지관리시설(80)의 하단 외주면으로 몰탈(C)을 채워 유지관리시설(8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지관리시설(80)의 설치 후 토사를 매설한 상태에서 토사의 압력에 의해 유지관리시설(80)이 밀려서 위치가 변동되어 재시공이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I : 유입관 W1 : 제1 격벽 W2 : 제2 격벽 G1 : 제1 통로 G2 : 제2 통로
D : 경사판 P : 정체수 이송펌프 B : 유출관
h1 : 제2 유지관리 홀 h2 : 안착홈 C : 몰탈
10 : 전처리조
20 : 유입조
30 : 스크린
31 : 수평부 31a : 타공홀
32 : 경사부 33 : 수평 연장부 34 : 수직 연장부 35 : 경사 연장부
40 : 여과부
41 : 수직 구획판 41a : 공기 공급관 홀 42 : 여과제 43 : 여과조
50 : 역세척 수조
60 : 제1 역세척부
61 : 역세척펌프 62 : 물 공급라인 63 : 물 분사부
70 : 제2 역세척부
71 : 공기 분사구 72 : 공기 공급관 73 : 공기 생성부 74 : 마개
80 : 유지관리시설
81 : 제1 유지관리 홀
100 :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Claims (5)

  1. 기존 우수관과 연결되어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와 제1 격벽에 의해 구획되되, 제1 격벽의 제1 통로를 통해 전처리조로 유입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조;
    상기 전처리조와 유입조를 연결하는 제1 통로 중 전처리조 측에 배치되며, 내측으로 타공홀을 형성하고 있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 중 최 상측의 수평부에서 전처리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수평부 및 경사부의 이물질 및 빗물이 제1 격벽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제1 격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로 이루어진 스크린;
    상기 유입조 내에 형성되며 수직 구획판과 수직 구획판에 의해 고정되는 여과제에 의해 유입조 내료 유입된 빗물의 수위 상승시 여과제에 의해 여과된 빗물이 채워지는 여과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와 제2 격벽에 의해 구획되되, 제2 격벽에 형성된 제2 통로를 통해 여과부의 여과조 내로 유입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며, 상기 제2 통로의 맞은편에 형성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역세척 수조;
    상기 역세척 수조에 설치되어 정화된 빗물을 통해 여과부의 여과조 상측에서 여과제를 세척하기 위한 역세척펌프 및 물공급라인과 물 분사부를 포함하는 제1 역세척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처리조, 유입조, 역세척 수조의 상단으로는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제1 유지관리 홀을 포함하는 유지관리시설이 더 설치되며, 상기 유지관리시설은 전처리조, 유입조, 역세척 수조의 상단에 제1 유지관리홀과 연결되는 제2 유지관리 홀을 형성하고, 상기 유지관리시설의 외주면보다 더 큰형태로 이루어지되 유지관리시설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유지관리 홀에서 다단형태로 형성되는 안착홈을 더 형성하여, 유지관리시설의 설치시 안착홈에 유지관리시설의 하단을 배치한 후 유지관리시설의 하단 외주면으로 몰탈을 채워 유지관리시설을 고정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를 구성하는 수직 구획판에 의해 고정되는 여과제에는 여과제 내에 형성되는 공기 공급관과 상기 공기 공급관에 형성되는 공기 분사구와 상기 공기 공급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생성부로 이루어진 제2 역세척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역세척부를 구성하는 공기 공급관의 일측은 여과부의 수직 구획판에 고정 결합되며, 공기 공급관과 결합된 수직 구획판에는 공기 공급관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 홀이 더 포함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 홀에는 탈부착 가능한 마개가 더 포함되어 공기 분사구 및 공기 공급관의 막힘시 마개를 탈착하여 공기 공급관 및 공기 분사구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 유입조에는 정체수 이송펌프가 포함되며, 전처리조, 유입조, 역세척 수조의 바닥면에는 경사판이 더 포함되되, 상기 유입조 및 전처리조에 형성된 경사판은 정체수 이송펌프가 배치된 위치에 물이 고일 수 있도록 기울기를 형성하고, 역세척 수조는 제1 역세척부를 구성하는 역세척펌프가 배치된 위치에 물이 고일 수 있도록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5. 삭제
KR1020230125179A 2023-09-20 2023-09-20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Active KR102653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179A KR102653647B1 (ko) 2023-09-20 2023-09-20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179A KR102653647B1 (ko) 2023-09-20 2023-09-20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647B1 true KR102653647B1 (ko) 2024-04-02

Family

ID=9071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179A Active KR102653647B1 (ko) 2023-09-20 2023-09-20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5810B1 (ko) * 2024-04-29 2024-11-28 중경산업 주식회사 자연형 침투통을 접목한 장치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813A (ko) * 2010-12-23 2012-07-03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인버트가 구성된 맨홀
KR101545448B1 (ko) * 2014-06-23 2015-08-18 김광채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KR20160082673A (ko) * 2015-08-10 2016-07-08 주식회사 유니에코 역세척 기능이 구비된 비점오염 저감시설장치
KR102488107B1 (ko) * 2022-04-11 2023-01-12 (주)명보피앤씨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230065482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서안그린텍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813A (ko) * 2010-12-23 2012-07-03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인버트가 구성된 맨홀
KR101545448B1 (ko) * 2014-06-23 2015-08-18 김광채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KR20160082673A (ko) * 2015-08-10 2016-07-08 주식회사 유니에코 역세척 기능이 구비된 비점오염 저감시설장치
KR20230065482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서안그린텍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488107B1 (ko) * 2022-04-11 2023-01-12 (주)명보피앤씨 비점오염저감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5810B1 (ko) * 2024-04-29 2024-11-28 중경산업 주식회사 자연형 침투통을 접목한 장치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203152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88845B1 (ko) 침투 여과통 부착을 통한 투수성능 및 투수지속성 증대로 초기우수처리 및 지하수 함양효과를 극대화시킨 침투형 빗물받이
KR20230065482A (ko)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25047B1 (ko)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KR101242378B1 (ko)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878395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0629151B1 (ko)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248810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653647B1 (ko)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0917400B1 (ko)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세정식 연결수로
KR100805877B1 (ko)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KR10103694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14332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