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177B1 -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177B1
KR102432177B1 KR1020210052210A KR20210052210A KR102432177B1 KR 102432177 B1 KR102432177 B1 KR 102432177B1 KR 1020210052210 A KR1020210052210 A KR 1020210052210A KR 20210052210 A KR20210052210 A KR 20210052210A KR 102432177 B1 KR102432177 B1 KR 102432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dia
washing
washing tank
filter medium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승개발
주식회사 티엠이테크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승개발, 주식회사 티엠이테크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승개발
Priority to KR102021005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01D24/4621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by nozzles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 material, or by fluids acting in co-current direction with the feed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94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containing filter material retaining means (e.g. screens, ball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는 여과재 세척시, 물에 미세한 기포를 생성시킨 후 이를 여과재로 분사하여, 상기 물에 포함된 미세한 기포가 여과재로 침투되어 여과재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여 여과재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Washing device for excavated filter media}
본 발명은 정수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여과재를 세척하는 굴상 작업용 세척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 여과재를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처리(water treatment)는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처리하는 과정으로 취수, 약품처리, 응집, 침전, 여과, 소독, 저장을 포함한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과지에서는 유입된 물에서 혼합된 이물질을 흡착하여 정수 처리를 하는데, 이때 이물질 흡착을 위해 여과재가 사용된다.
여과재에 형성된 공극을 통해 오염 물질이 흡착됨으로써 오염된 물이 정화되는데, 장기간에 걸친 정수처리의 결과 여과재의 흡착력이 점차 낮아지게 된다.
이에 주기적으로 여과재를 교체하거나 또는 세척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과재 재사용을 위해서는 우선 여과재를 굴상하여야 한다. 굴상 작업은 여과지에서 펌프를 통해 여과재를 흡입하여, 여과재를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선별된 여과재를 세척통에 투입하여 세척한 후에 펌프를 통해 다시 여과지로 투입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할 때, 여과재를 굴상하고 선별하는 과정을 통해 이물질의 일부를 분리하고, 이후 선별된 여과재를 세척통에 투입한 상태에서 인부가 직접 휘젓는 방식으로 세척하는 것이 고작이어서 충분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심지어, 여과재에서 탈루된 이물질이 여과재와 완전히 분리되지 못하고 섞인 상태로 도로 여과지로 투입되어 자칫 일시적으로 탁도가 높은 물이 유출될 위험성도 상존하는 현실이다.
특히, 여과재에 흡착된 이물질 가운데에는 유기물이 상당정도 포함되어 있어, 굴상작업을 통해 여과재를 제대로 세척하지 않는다면 자칫 이로 인해 유충 등이 발생하게 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97047호, "여과사 세척 선별 공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굴상 작업의 여과재 세척 시, 물에 미세한 기포를 생성시킨 후 이를 여과재로 분사하여, 상기 물에 포함된 미세한 기포가 여과재로 침투되어 여과재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여 여과재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는 유체를 고속으로 분출하는 고압세척부, 상기 분출된 유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이젝터부, 내부에 여과재를 투입하여 세척하는 세척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탱크는 상기 이젝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가 주입된 유체가 이송되는 에어배관; 상기 에어배관에 연결되고 내부에 분사관이 형성되되, 상기 분사관 외부에는 돌출 날개, 상기 분사관 내부에는 유체가 충돌하는 한 개 이상의 충돌판이 형성되는 노즐부; 소정 크기 미만의 여재들만 상기 세척탱크 저면으로 통과시켜 분리되도록 하는 스크린부재 및 여과재를 세척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퇴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부는 상기 분사관 외부에 형성된 돌출 날개가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탱크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세척탱크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에 의해 걸러진 여과재가 포집되는 여과재 포집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재는 웨지바(wedge 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세척탱크는 한 쌍이 구비되어 교대로 운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여과재를 세척하는 물에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미세 기포가 여과재의 작은 틈새까지 침투하여 여과재의 공극 및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여과재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하여 여과재 재사용 시 여과지의 정수능력을 보다 높게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여과재 재투입 이후 일시적으로 높은 탁도의 물이 유출된다거나, 또는 유기물에 의한 유출 발생 가능성 등, 여과재가 제대로 세척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의 일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2는 이젝터부의 동작을 도식화한 도면,
도 3은 세척 탱크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노즐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스크린부재 및 스크린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세척 탱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는 세척 탱크가 2개 이상 구비된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는 크게 물을 고속으로 분출하는 고압세척부(100), 상기 고압 세척부와 연결되어 상기 분출된 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이젝터부(200), 내부에 여과재를 투입하여 세척하는 세척탱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압세척부(100)는 정수배관을 연결해서 물을 고속으로 이젝터부(200)로 분사하는데, 이는 이젝터부(200)로 유입되는 순간 공기가 고속으로 이젝터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는 이젝터부(200)의 동작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이젝터는 펌프의 일종으로서 고압의 유체가 지닌 압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기를 빨아들이는 기계장치이다.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할 때, 유체가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속력이 증가하고 넓은 통로를 흐를 때 속력이 감소하며, 또한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감소하면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젝터는 이런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이젝터부(200) 역시 동일한 원리로 물이 이젝터부(200)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를 빨아들여 통과하는 물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젝터부(200)의 a부분은 물이 통과하는 통로의 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는 구조이다.
고압세척부(100)에 의해 고속으로 유입된 물은 a를 지나면서 통로가 좁아지므로 유속이 더욱 빨라지면서 압력이 크게 감소되며, a부분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는 진공상태가 된다.
이 때, 이젝터와 연결된 공기주입관(230)의 밸브(220)를 열면, 진공상태인 a 부분으로 공기주입관(230)을 통해 이젝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는 이젝터를 통과하는 물과 혼합되어 이젝터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a부분의 압력이 크게 감소한 상태인 바, 물은 과포화 상태가 되면서 포화상태보다 더 많은 공기가 혼합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배출된 물에는 많은 기포가 생성되게 된다.
상기 기포가 생성된 물은 이젝터와 연결된 에어배관(310)을 통해 세척탱크(300)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세척탱크(3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에어배관(310)은 세척탱크(300)의 저면부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에어배관(310)은 1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에어배관(310)이 구비된다.
에어배관(310)에는 이젝터로부터 유입된 물을 세척탱크(300) 상방으로 분사하는 노즐부(32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320)에서 분사된 기포가 형성된 물이 세척탱크(300) 상방으로 분사되면서, 여과재를 세척하게 된다.
여기서, 여과재의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 속에 생성된 기포의 입자 크기를 가급적 미세한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기포의 크기가 직경 약 0.05mm 이상인 경우 세척탱크(300)로 분사되었을 때, 상방으로 빠르게 상승하다가 기포가 터져버리기 때문에 기포가 여과재 표면 및 공극으로 침투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어 세척력이 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50um 미만인 기포를 미세 기포(micro bubble)라고 하는데, 따라서 기포의 크기가 최대한 작게 형성되어 최대한 많은 미세 기포가 물 속에 최대한 촘촘하게 발생되도록 하여 세척탱크(300)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4는 노즐부(32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의 위쪽 도면은 노즐부(320)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아래쪽 도면은 노즐부(32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위쪽 도면을 보면 노즐부(320) 내부 중앙에 물이 분사되는 분사관(321)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관(321) 외부에는 물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날개(323)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관(321) 내부에는 양 측벽에 번갈아가며 여러 개의 충돌판(322)이 구비된다.
이는 물이 분사관(321)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충돌판(322)들에 충돌하여 크기가 큰 기포들이 부서지면서 작은 기포들로 변하게 하여, 최대한 크기가 작은 미세 기포가 최대한 많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물이 흐를 때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물이 흐르면서 상기 충돌판(322) 및 물입자끼리 지속적으로 충돌하게 할 수 있다면, 미세 기포가 더 많이 생성되게 된다.
도 4의 (b)는 노즐부(3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노즐부(320) 외부에 구비되는 돌출날개(323)를 도 4의 (a)와 같이 일직선이 아닌 소정 각도로 기울이진 나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와 같이 돌출날개(323)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물이 노즐부(320)를 통과할 때 와류가 형성되면서 충돌판(322) 뿐 아니라, 물 입자 및 기포 상호간에도 지속적으로 충돌하게 되므로, 도 4의 (a)에 나타난 실시예보다 미세 기포가 다량으로 생성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노즐부(320)에 의해 미세 기포가 다량 형성된 물이 세척탱크(300) 내부로 분사되면, 상기 미세 기포들이 떠오르면서 세척탱크(300)에 투입되어 있는 여과재들 사이사이를 지나면서 여과재 표면 및 작은 공극에까지 침투되어 여과재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미세 기포는 크기가 큰 기포들에 비해 느리게 떠오르기 때문에, 세척탱크(300) 내의 여과재들을 천천히 통과하면서, 여과재들 사이의 작은 틈새 및 여과재에 형성된 작은 공극까지 촘촘하게 침투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세척하는 것에 비해 세척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미세 기포는 여과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떠오르는데 이때 제거된 이물질이 함께 떠오르게 된다.
이를 통해 제거된 이물질은 미세 기포와 함께 수면 위까지 떠오르게 되고, 세척탱크(300) 상단에 형성된 퇴수구(3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여과재에 붙은 이물질을 세척하게 되고, 세척이 완료된 여과재는 다시 여과지로 투입된다.
한편, 도 5는 스크린부재(330) 및 스크린부재(33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세척탱크(300)의 하단에는 스크린부재(3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크린부재(330)는 세척 중에 부스러져 입자 크기가 규격 미만의 크기로 작아진 여재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펌프를 이용하여 여과재를 여과지로부터 배출하여 분리하고, 세척하는 과정에서 여과재끼리 잦은 충돌이 일어나고, 일부 충격에 의해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부서진 여과재는 입자의 크기가 규격 미만으로 작아지기도 하기 때문에 재사용할 수 없게 된 이러한 여과사들은 여과지로 재투입하기 전에 걸러내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스크린부재(330)는 규격 크기에 해당하는 구멍이 다수 타공된 타공판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타공된 구멍보다 작은 여과재들은 규격 크기보다 작은 것이므로 타공판을 통과하여 세척탱크(300) 하단으로 내려가게 된다.
다만, 일반적인 타공판을 쓰는 경우, 구멍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가진 여과재들이 구멍을 막아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규격 미만의 여과재들이 걸러지는 효과가 감소될 뿐 아니라, 더욱 중요한 것은 상기 스크린부재(330)는 에어배관(310) 및 노즐 위에 위치하게 되는데, 구멍이 막혀버리면 노즐을 통해 분사된 물에 포함된 미세 기포들이 통과할 수 없게 되므로, 세척력이 감소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부재(330)는 타공판 대신 웨지바(wedge bar)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고하면, 도 5의 (a)는 웨지바를 사용한 스크린부재(330)의 일부(A)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5의 (b)는 웨지바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스크린부재(330)로 사용되는 웨지바는 단면이 역삼각형 형상인 바(Bar)를 여과재의 규격 직경과 동일한 길이의 간격으로 띄워 배열하여 연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웨지바에는 여과재 규격 직경과 동일한 길이의 틈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틈의 일부가 여과재로 막힌다 하여도 막힌 부분 좌우로 연속하여 틈이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단면이 역삼각형 형상이기 때문에 아래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므로, 타공판과 달리 미세 기포가 막힘없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부재(330)를 웨지바로 사용할 경우, 규격 미만의 여과재는 걸러내면서도 구멍이 막혀 미세 기포가 통과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세척탱크(3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세척탱크(300)의 단면 중 a부분은 상방으로 오목해지도록 양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미세 기포와 함께 이물질이 떠오를 때 이물질이 넓게 확산되어 수면위로 떠오르는 경우, 일부 이물질이 퇴수구(340)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세척탱크(300)의 상부를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면, 떠오르는 이물질이 넓게 확산되지 않고 좁은 면적으로 모여들면서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고, 일괄적으로 퇴수구(340)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세척탱크(300)에 이물질이 잔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탱크(300)의 단면 중 b 부분은 하방으로 오목해지도록 양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여과재가 한 곳으로 집중되어 쌓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세척이 끝난 여과재는 펌프를 통해 세척탱크(300) 외부로 배출해야 하는데, 여재가 세척탱크(300) 바닥부분에 산재해 있게 되면, 작업자가 세척탱크(300) 내부로 들어가 펌프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일이 산재된 여재를 중앙으로 모아주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해지는 바, 배출 작업의 효율성이 낮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세척탱크(300)의 하부를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면, 여과재가 중앙으로 집중되어 쌓이게 되고 작업자의 별도 수작업 필요없이 펌프로 여과재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세척탱크(300)의 가장 저면 부분에는 스크린부재(330)를 통해 걸러진 규격 입자 크기 미만의 여과재가 모이는 여과재 포집부재(350)가 구비된다.
스크린부재(330)에 의해 걸러진 규격 미만의 여과재들은 아래쪽으로 가라앉으면서, 가장 하단에 구비된 여과재 포집부재(350)로 모이게 된다.
상기 여과재 포집부재(350)는 세척탱크(300)의 저면에 서랍 형태로 구비되어, 작업자는 여과재 포집부재(350)를 꺼내어 포집된 규격 미만의 여과재들을 폐기한 후, 다시 상기 여과재 포집부재(350)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규격 미만의 여과재를 처리할 수 있다.
여과재 포집부재(350)가 구비되는 세척탱크(300) 저면부는 상기 도 6의 b부분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규격 미만의 여과재들이 한 곳에 집중되어 모일 수 있도록 하여, 여과재 포집부재(350)의 부피를 줄임으로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규격 미만 여과재 처리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세척탱크(300)가 1개인 경우에 대한 것이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세척탱크(300)는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는 세척탱크(300)가 한 쌍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세척탱크(300)가 1개가 구비되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경우, 세척 작업이 시작되면, 끝날 때까지 다른 여과재들은 세척 작업을 위해 대기할 수밖에 없게 된다.
세척 작업에는 세척 단계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세척을 위해 지게차를 사용하여 여과재를 세척탱크(300)에 투입하는 단계, 세척이 끝난 후 펌프를 통해 여과재를 배출하는 단계까지 포함하는 바,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척탱크(300)를 병렬로 한 쌍을 구비하는 경우, 먼저 시작한 세척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미리 여과재를 다른 세척탱크(300)에 투입해 놓고, 먼저 시작한 세척 작업이 끝나면 바로 세척 작업을 시작할 수 있게 되며, 나중에 시작한 세척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먼저 세척이 끝난 여과재는 펌프로 배출시킨 후, 다시 세척할 여과재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속도가 2배로 향상되는 바, 일반적으로 여과지에서 사용하는 대량의 여과재의 세척 작업을 보다 짧은 시간에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고압세척부
200 : 이젝터부
210 : 에어미터
220 : 밸브
230 : 공기주입관
300 : 세척탱크
310 : 에어배관
320 : 노즐부
321, 321' : 분사관
332 : 충돌판
323, 323' : 돌출날개
330 : 스크린부재
340 : 퇴수구
350 : 여과재 포집 수단

Claims (6)

  1. 유체를 고속으로 분출하는 고압세척부;
    상기 분출된 유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이젝터부; 및
    내부에 여과재를 투입하여 세척하는 세척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재는 펌프를 이용하여 여과재를 흡입하는 굴상 작업을 통해 획득되어 상기 세척탱크에 공급된 것이며,

    상기 이젝터부는 공기가 주입된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가 주입된 유체로부터 기포가 생성되며,

    상기 세척탱크의 내부 저면부에는,
    상기 이젝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포 및 유체가 이동하는 에어배관;
    상기 에어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기포 및 유체가 상방으로 분사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상기 여과재 중에서 소정 크기 미만의 여과재들만 상기 세척탱크 저면으로 통과시켜 분리되도록 하는 스크린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기포의 크기를 직경 0.05mm 미만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노즐부는 내부에 분사관이 형성되되, 상기 분사관 외부에는 돌출 날개, 상기 분사관 내부에는 유체가 충돌하는 한 개 이상의 충돌판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 날개는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충돌판 및 돌출 날개에 의한 와류 및 충돌을 통해 상기 기포의 개수 증가 및 크기 감소가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 크기 미만의 여과재가 저면으로 통과됨과 동시에 크기가 감소된 기포와 유체가 상방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스크린부재는 웨지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탱크는 상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탱크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에 의해 걸러진 상기 여과재가 포집되는 여과재 포집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여과재를 세척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퇴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KR1020210052210A 2021-04-22 2021-04-22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KR102432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10A KR102432177B1 (ko) 2021-04-22 2021-04-22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10A KR102432177B1 (ko) 2021-04-22 2021-04-22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177B1 true KR102432177B1 (ko) 2022-08-12

Family

ID=8280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10A KR102432177B1 (ko) 2021-04-22 2021-04-22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155B1 (ko) 2023-01-19 2023-05-26 김정호 활굴 패각 세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73A (ko) * 2005-04-08 2006-10-13 주식회사 비엠씨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20080097047A (ko) 2007-04-30 2008-11-04 주식회사 현진기업 여과사 세척 선별 공법
KR101741449B1 (ko) * 2015-11-24 2017-05-30 최성필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2208338B1 (ko) * 2020-04-07 2021-01-26 주식회사 대양상사 미세기포 발생 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73A (ko) * 2005-04-08 2006-10-13 주식회사 비엠씨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20080097047A (ko) 2007-04-30 2008-11-04 주식회사 현진기업 여과사 세척 선별 공법
KR101741449B1 (ko) * 2015-11-24 2017-05-30 최성필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2208338B1 (ko) * 2020-04-07 2021-01-26 주식회사 대양상사 미세기포 발생 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155B1 (ko) 2023-01-19 2023-05-26 김정호 활굴 패각 세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04419A (ja) 液体から固体粒子をろ過および逆洗する方法と装置
JP6437857B2 (ja) 沈殿池
RU2006106190A (ru)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регенерированной бумажной массы, способы модификации поверхностей волокон бумажной массы и примесей,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бумажной массы
KR102666856B1 (ko) 개선된 역세척 기능을 갖는 다층 매체 베드 필터
JP5300209B2 (ja) フィルタ洗浄用ノズルを備えた懸濁物質濾過装置
KR102432177B1 (ko)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JP4955604B2 (ja) 食品洗浄装置
JP4181440B2 (ja) 濾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濾過方法
JP6316156B2 (ja) 沈殿池
JP4678627B2 (ja) 洗浄処理方法ならびに洗浄処理装置
CN2936380Y (zh) 气浮冲洗式活性砂连续自动过滤器
JPH07303882A (ja) スカム除去・処理設備
KR100537652B1 (ko) 오존 산화 시스템
JP3811887B2 (ja) 洗浄処理装置
JP2007144308A (ja) 洗浄装置
KR100689855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KR101594197B1 (ko)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여과장치
KR100759985B1 (ko) 사여과장치 및 그 세정방법
JP6496931B2 (ja) 加工液処理システム
KR102559433B1 (ko) 폐수정화용 흡입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CN111517505A (zh) 一种造纸白水纤维回收过滤机
JP4855023B2 (ja) ジェットノズル
KR102179475B1 (ko) 수 처리용 여과기의 여재 세정장치
CN217854737U (zh) 一种流砂过滤器
CN219860692U (zh) 一种污水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