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544A -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544A
KR20060105544A KR20060028758A KR20060028758A KR20060105544A KR 20060105544 A KR20060105544 A KR 20060105544A KR 20060028758 A KR20060028758 A KR 20060028758A KR 20060028758 A KR20060028758 A KR 20060028758A KR 20060105544 A KR20060105544 A KR 2006010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2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086B1 (ko
Inventor
노부히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2Gener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06Q20/425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using two different networks, one for transaction and one for security confi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8Electronic negot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with predefined switching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Equal gain combining, only phase adjust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6Paralle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04L1/0068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04L1/0069Punctur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1Reseque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Remote access server, e.g. BRAS
    • H04L12/2874Processing of data for distribution to the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2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intra-user or intra-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04L5/0083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symbol-by-symb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group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ticket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41Countermeasures against malicious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8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specially adapted for link layer protocols, e.g.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 or point-to-point protocol [PP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7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s network provides a telephone service in addition or as an alternative, e.g. for backup purposes, to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the telephone service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66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 H04M7/0069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comprising a residential gateway, e.g. those which provide an adapter for POTS or ISDN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1Auditing as a secondary asp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1Access rights, e.g. capability lists, access control lists, access tables, access matr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9Restricted operating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H04B7/0894Space-time diversity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5Combining techniques, e.g. code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6Channel splitting in point-to-point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12Details relating to cryptographic hardware or logic circuitry
    • H04L2209/127Trusted platform modules [TP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5Calculation of statistics, e.g. average, var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10S707/99936Pattern matching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9Privilege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제어장치의 관리하에 있는 자신 이외의 무선단말장치의 접속 상태를 고려하여, 무선단말장치가 무선제어장치에 분산제어방식 또는 집중제어방식을 사용하는 접속 요구를 발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선단말장치(101)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통지된 비콘정보(M800)로부터, 비콘 프레임 간격(602), 최대 비충돌주기(CFP) 기간(604) 및, CF-END평균시간(701)을 획득한다. 이들 (602, 604, 701)을 이용하는 제1조건식(702)과 제2조건식(703)에 근거하여, 액세스제어방식을 결정한다. 그리고, 그 액세스제어방식과, 종별 정보와, 요구 대역을 포함하는 TS추가 요구 메시지(M906)를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분산제어방식, 집중제어방식.

Description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방법{WIRELESS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무선LAN시스템(무선영상 전송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단말장치의 내부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무선LAN 전송프레임의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무선LAN시스템을 모델화한 제1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IEEE802.11관리 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액세스제어방식의 판정 테이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영상처리장치와 무선단말장치(QSTA1~QSTA4)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영상처리장치와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TS추가 요구가 완료한 후의 무선영상처리장치와 무선단말장치와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영상처리장치(102)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영상처리장치가 행하는 QAP데이터 수신 처리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의 처리 동작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TS추가 요구를 행할 경우의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도 13에 계속되는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를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무선LAN시스템의 일례를 모델화해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영상처리장치와 무선단말장치(QSTA1, QSTA2, QSTA4)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TS추가 요구를 행할 경우의 무선영상처리장치와 무선단말장치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영상처리장치와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의 기동시 및 접속 수용시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TS대역확보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영상처리장치와 무선단말장치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가 TS추가 요구를 행할 때의 무선영상처리장치와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 QSTA1, QSTA2, QSTA4)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가 TS추가 요구를 행한 후의 무선영상처리장치와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 QSTA1, QSTA 2, QSTA4)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단말장치(신규 QSTA, QSTA1, QSTA2, QSTA4)의 처리 동작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수신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는 흐름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3변형예에 따른 액세스제어방식의 판정 테이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3변형예에 따른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본 발명은,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제어장치의 제어하에서, 그 무선제어장치가 관리하는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단말장치가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LAN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무선통신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LAN시스템은, 무선이동단말과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무선이동단말로는, 무선전송로 및 유선LAN을 거쳐서 서로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무선단말장치를 말한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영역 내의 복수의 무선이동단말과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제어장치이며, 무선구간과 유선LAN을 접속하는 브리지 또는 라우터의 기능을 갖는다.
무선LAN의 표준규격인 IEEE802.11에서는, 무선액세스국과 단말과의 사이의 무선액세스 프로토콜이 규정되어 있다. 무선액세스 프로토콜에는,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에 근거한 충돌 형의 랜덤 액세스 기능인 DCF가 규정되어 있다. DCF는,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의 약칭이다. 또한, DCF는 옵션 기능으로서 CFP(Point Coordination function)을 규정하고 있다. 이 CFP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무선액세스국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전송로 상에 CFP(Contention Free Period)를 주기적으로 설정하고, CFP기간동안 폴링에 의해 비충돌형의 액세스를 행하는 기능이다.
상기 IEEE802.11규격에는, DCF 및 CFP의 각종 파라미터가 정해져 있다. 하지만, 이 규격에 있어서는, DCF 및 CFP의 제어가 실현된 제품에 의존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규정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몇몇 설치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85462호 공보에는, 목적에 따라서 통신 형태의 선택을 전환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실시간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집중제어형의 통신 형태인 CFP를 선택한다. 또한, 신뢰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자율 분산형의 통신 형태인 DCF를 선택한다.
또 다른 설치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98564호 공보(US2003125087A1)에는, 상황에 따라 통신 형태를 전환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동 공보에 의하면, 우선 AP(액세스 포인트)가 STA(Station)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평균 데이터 사이즈를 검출한다. 평균 데이터 사이즈가 일정 값을 넘는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될 경우, 통신 형태는 DCF로부터 CFP로 전환한다. 한편, AP 자체에 기억된 송신 데이터 비율이 일정 값을 넘는 상태가 소 정 시간 계속될 경우, 통신 형태는 DCF로부터 CFP로 전환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40336호 공보(US2004038684A1)에는, 상황에 따라 통신 형태를 바꾸는 다른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동 공보에 의하면, 초기에 AP가 DCF방식에 근거해서 송수신을 행한다. 버퍼에 기억되는 데이터 사이즈가 소정 값을 초과할 경우, 통신 형태는 CFP로 전환된다. 또한, 버퍼에 기억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통신 형태는 DCF로 전환한다.
한편, 최근의 동향으로서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이들 데이터통신에 QoS(Quality of Service)라는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의 내용이나 용도에 의해 우선순위나 대역을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IEEE802.11의 작업 그룹TGe에 있어서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또, 이후에서는, IEEE802.11의 작업 그룹TGe를 IEEE802.11e라고 칭한다.
IEEE802.11e(IEEE802.11e/D8.0 February 2004 참조)에서는, 무선전송하는 데이터의 접속 전송로를 트래픽 스트림TS로 칭하고 있다. 그리고, 이 트래픽 스트림TS마다 데이터의 내용에 따른 액세스 카타고리AC라는 데이터 종별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각 액세스 카타고리AC마다 우선순위를 규정하고, 이들 우선순위에 따른 액세스제어를 실현하는 분산제어방식으로서,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액세스제어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우선순위에 따른 액세스제어를 실현하는 집중제어방식으로서, HCCA(Hybrid coordination function Controlled Channel Access)액세스제어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특허공보 특개2002-185462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된 바와 같이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실시간성 및 신뢰성을 기준으로, CFP와 DCF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즉, 이들이 접속 수용되는 무선 서비스 영역 내의 무선클라이언트단말(무선단말장치)의 접속 상황과 무관하게 통신 형태가 선택된다. 그런데, 이러한 설치 방식은, 다른 액세스제어방식이 혼재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서 QoS제어라는 관점으로부터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98564호 공보(US2003125087A1)에 기재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평균 데이터 사이즈가 일정 값을 넘는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될 경우에 DCF로부터 CFP로 전환한다. 한편, 무선제어장치 자체에 기억되는 송신 데이터의 비율이 일정 값을 넘는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될 경우, DCF로부터 CFP로 전환한다. 즉, 종래의 기술은, 어디까지나 무선제어장치에서 무선클라이언트단말로의 데이터 송신 제어에 관한 것에 한정된다. 이 때문에, 무선클라이언트단말로부터 무선제어장치 방향으로의 업링크에 관한 QoS제어에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40336호 공보(US2004038684Al)에 기재된 종래의 기술도, 무선제어장치에서 무선클라이언트단말로의 데이터 송신 제어를 대상으로 하고, 무선제어장치 내의 데이터 버퍼의 잔여 사이즈를 바탕으로 트래픽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무선클라이언트단말로부터 무선제어장치 방향으로의 업링크에 관한 QoS제어에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즉,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98564호 공보(US2003125087A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40336호 공보(US2004038684A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은, 무선제어장치가 주도하는 QoS제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에는, CFP방식을 제어하는 코디네이터로부터 무선클라이언트단말로의 다운스트림 방향의 데이터 송신에 관한 QoS제어에 대해서만 설명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무선클라이언트단말로부터 무선제어장치 방향으로의 업스트림 방향의 데이터 송신에 관한 QoS제어에 관해서는, 해결 방법에 대해서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무선제어장치가 주도하는 특수한 QoS제어가 제공되므로, (서비스 영역 내의) 확장적인 또는 부가적인 QoS제어 기능을 무선제어장치에 구비할 필요가 생기므로, 장치 자체의 비용상승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전술의 문제점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무선단말장치의 접속 상태를 고려하여, 무선단말장치가 무선제어장치에 통신 형태의 전환을 요구할 수 있게 하는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선단말장치가 무선제어장치가 관리하는 영역 내에 존재할 경우, 무선제어장치에 의해 무선전송로를 거쳐서 통신제어되는 무선단말장치에 있어서, 무선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지 정보를 해석하 는 해석 수단과, 해석 수단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도록, 무선제어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은, 무선제어장치와, 그 무선제어장치가 관리하는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단말장치가 무선전송로를 거쳐서 서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방법으로서, 무선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무선단말장치가 해석하는 해석 스텝과, 해석 스텝에서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도록, 무선제어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단말장치는, 무선단말장치의 접속 상태를 고려하여, 통신 형태를 전환하도록 무선제어장치에 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형태 및 장점은, 도면을 통해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붙인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IEEE802.11e에서 검토중인 QoS기능을 지원하는 무선단말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된 무선LAN시스템을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서술하는 무선LAN시스템은, IEEE802.11a/b/g규격에 대응한 무선LAN방식에 IEEE802.11e에서 검토중인 QoS기능을 추가한 무선LAN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무선LAN시스템(무선영상 전송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비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임의의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에 고유한 비콘 프레임 정보를,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서 통지한다. 또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IEEE802.11e에 특유한 HC(Hybrid Coordinator)기능에 의해 EDCA/HCCA의 듀얼 액세스제어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네트워크(100)에 접속되어, 네트워크(100) 상에서의 데이터 반송 제어/경로선택기능을 제공한다.
무선통신기능, QoS기능 및, 촬영 기능을 갖춘 무선단말장치(101: QSTA)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의 사이에서 무선접속에 의해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다른 무선단말장치(103~106: QSTA)도, 무선단말장치(101: QSTA)와 같이 무선통신기능 및 QoS 기능을 갖추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 무선으로 접속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서비스 영역 내의 무선단말장치(101, 103~106)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 등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방에 위치한 투영용 스크린(107)에 투영하는 기능을 갖춘 무선액세스 포인트장치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무선단말장치(101)의 내부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에 있어서, 중앙제어부(201)는, 무선단말장치(101)의 데이터버스(202)를 포함하는 각 기능부에 대한 시스템 제어를 행한다. 무선인터페이스부(203)는, 안 테나(204)를 거쳐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 무선통신을 행한다. 표시부(205)는, 기기설정 및, 다른 무선단말장치(103~106)의 기동 상태에 관한 스테이터스 표시를 행한다. 기억부(206)는, 시스템 내의 각 기능부가 사용하는 작업 영역 및 임시 영역에 구성되는 휘발성 메모리와, 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이나, 설정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영상입력부(207)는, 렌즈부(208)로부터 기억한 촬상정보를 화상처리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영상처리부(209)에 넘겨준다. 상기 촬상정보와 동시에 마이크(212)로부터 입력된 음성정보는, 음성입력부(211)로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 후, 영상처리부(209)에 데이터버스(202)를 거쳐서 송신된다. 영상처리부(209)는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촬상기록 영역부(210)에 기억한다.
도 3은 무선LAN 전송프레임의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비콘정보 전송주기(301)는, 프레임 동기정보와 네트워크 공통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통신하는 관리주기(프레임동기 영역)이며, 프레임의 선두에 배치된다. 비콘정보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통신국에 할당된다. 이 비콘정보에 의해, 복수의 통신국의 송신이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데이터 전송주기(304)에서 대역예약되어 있는 주기의 정보나, 비동기 주기의 정보 등이 이 비콘정보로서 포함된다. 즉, 데이터 전송주기(304)는, 필요에 따라서 설정되는 대역예약 전송주기(302)와, 그 이외 영역으로서의 비동기정보 전송주기(303)로 구성되어 있다. CF-END(306)는, 대역예약 전송주기(302: CFP)의 종료를 가리키는 메시지다.
대역예약 전송주기(302)는, 비충돌주기(CFP)로 불리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의 폴링에 의해 임의의 무선단말장치가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영역이다. 비동기정보 전송주기(303)는, 충돌주기(CP)로 불리는, 소정의 시퀀스(CSMA/CA)를 이용하여 랜덤하게 통신을 행하는 시간 영역이다.
전송프레임 간격(305)은, 비콘정보 전송주기(301)와 데이터 전송주기(304)가 확보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특히, IEEE802.11e에 특유한 EDCA 및 HCCA의 액세스제어방식으로서는, EDCA액세스제어방식이, 충돌주기인 비동기정보 전송주기(303)에 대응한다. 그리고, HCCA액세스제어방식이, 비충돌주기인 대역예약 전송주기(302: CFP)에 대응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무선LAN시스템의 일례를 모델화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4에서는, "HCCA액세스제어방식에 의해 기동하는 무선단말장치(103~105: 클라이언트)가 무선영상처리장치(102)의 서비스 영역 내에 다수 존재할 경우"에 대해서 보이고 있다. 또, 도 4에는 도 1에 나타낸 무선LAN시스템 및 도 3에 나타낸 무선LAN전송프레임의 포맷을 모텔화해서 보이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참조부호 401은, 비콘정보 전송주기(301)에 의해 통지되는 최대대역예약 전송주기(302: CFP)의 기간(최대 비충돌주기 기간)이다. 참조부호 402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실제로 송신된 CF-END(대역예약 전송주기(302: CFP)의 기간의 종료를 가리키는 메시지)다. 참조부호 403은, 무선영상처리장치(102)가 ED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해서 접속하여 수용하고 있는 무선단말장 치(106)의 그룹이다. 참조부호 404는, HC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해서 접속 수용하고 있는 무선단말장치(103~105)의 그룹이다. 특히, 도 4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6)는 EDCA전용 단말이다. 또한, 무선단말장치(103~105)는, HCCA전용 단말이다. 무선단말장치(101)는, EDCA/HCCA듀얼 액세스제어방식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기능을 갖춘다.
도 5는 IEEE802.11관리 프레임 데이터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데이터포맷에는,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콘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관리 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인 프레임 데이터(601: frame body)는, 비콘 프레임의 구조를 가리키는 것이다. 비콘 간격(602)은, 제1비콘정보전송주기(301)와, 대역예약 전송주기(302)와, 비동기정보 전송주기(303)로 구성되는 무선LAN전송 프레임 포맷의 비콘 프레임 간격 T(㎲)이다. CF파라미터 설정(603: CF파라미터 영역)은, 비충돌주기(CFP)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영역이다. CFP최대 기간(604)은, 비충돌주기(CFP)의 최대송신 기간P(㎲)으로 나타내진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단말장치(101, 103~106)가 기억영역부(206)에 기억되는 액세스제어방식의 판정 테이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참조부호 701은, 비충돌주기(CFP)의 실제의 종료 메시지인 CF-END를 복수 번 샘플링하고, 이들 CF-END 메시지를 평균해서 얻을 수 있은 CF-END 평균시간 S(㎲)이다. 참조부호 702는,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 P)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제1조건식이다. 참조부호 703은,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END평균시간(701: S)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제2조건식이다.
참조부호 704는, 제1조건식(702)과 제2조건식(703)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액세스제어방식의 종별(선택방식)이다. 또, 선택방식 E711~E717은, 각각 비콘 프레임 간격(602: T)이 10000(㎲)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또한, 이들 방식 E711 내지 E717의 CFP최대 기간(604: P)은, 각각 5000, 5000, 8000, 8000, 8000, 3000, 3000(㎲)로 하고 있다. 또한, 방식 E711 내지 E717의 CF-END평균시간(701: S)은, 각각 2000, 5000, 3000, 5000, 8000, 3000, 1000(㎲)로 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영상 전송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와 무선단말장치(103~106: QSTA1~QSTA4)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시퀀스차트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동시에 필요한 메시지만을 명기하며, 그 밖의 기본적인 메시지에 대해서는, 일부를 생략하고 있다.
비콘을 송출하는 타이밍일 경우,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 P)을 설정한다. 그리고, 서비스 영역 내의 무선단말장치(103~106)에 대하여, 메시지 M800(비콘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다음에, HCCA(비충돌주기)기간 동안 폴링 타이밍일 경우,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무선단말장치(103: QSTA1)에 메시지 M801을 송신하여, 폴링(Qos CF-Poll)을 실시한다.
메시지 M801을 수신한 무선단말장치(103: QSTA1)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대하여 송신할 송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그리고, 무선단말장치(103: QSTA1)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확인한 후, 무선영상처리장치(102) 에 메시지 M802를 송신한다.
메시지 M802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폴링 타이밍에 도달했는가를 판단한다. 또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ACK(Acknowlegement) 등의 송신 데이터가 송신 버퍼에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폴링 타이밍에 도달하지 않고, 송신 데이터(ACK 등)가 송신 버퍼에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메시지 M803으로서 무선단말장치(103: QSTA1)에 송신한다.
메시지 M803을 수신한 무선단말장치(103: QSTA1)는,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확인한 후에, 메시지 M804로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메시지 M804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전술한 메시지 M803와 같은 방식으로,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메시지 M805로서 무선단말장치(103: QSTA1)에 송신한다.
무선단말장치(103: QSTA1)의 경우와 같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접속 수용되어 있는 무선단말장치(104: QSTA2)에 관해서도 메시지 M806~M810의 송수신이 실시된다.
또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무선단말장치(105: QSTA3)에 메시지 M811을 송신해서 폴 링을 실시한다. 그러나 무선단말장치(105: QSTA3)의 경우,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단말장치(105: QSTA3)로부터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의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렇게 해서, 비충돌주기(HCCA)가 종료하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메시지 M812(CF-END 402)를 송신 버퍼에 설정해서 서비스 영역 내에 송신한다.
그 후에, 충돌주기(EDCA)가 도달하면, 무선단말장치(106: QSTA4)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송신할 송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그리고, 데이터 송신 타이밍을 확인한 후,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메시지 M813을 송신한다.
메시지 M813을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메시지 M814를 메시지 M813의 송신원인 무선단말장치(106: QSTA4)에 바로 송신한다. 또, 메시지 M814는, 구체적으로는, ACK(Acknowledgment) 등의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포함한다.
다음에, 도 8의 시퀀스차트를 이용하여,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와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메시지 M800(비콘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한다.
그 후에,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전원을 온(ON)한다. 장치(101)를 접속 수용할 수 있는 무선영상처리장치(무선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발견하기 위해서, 프로브 요구 메시지로서, 메시지 M901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메시지 M901을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메시지 M902(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유니캐스트형식으로 무선단말장치(101)에 송신한다.
그리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 및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각각 메시지 M903의 송수신을 행해서 인증 시퀀스 처리를 시작하는 동시에,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상기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하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및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각각 메시지 M904의 송수신을 행해서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하면, 무선영상장치(102: QAP) 및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무선 링크상에서의 접속 수용 처리를 완료하고, 통신(메시지 M905의 통신 처리) 상태로 이동한다.
통신 상태를 시작하고,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임의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 후,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메시지 M906을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 송신한다. 메시지 M906은, 트래픽 스트림(TS) 추가 요구 메시지로서 송신된다. 메시지 M906를 송신한 후, TS추가 응답 타이머를 기동한다.
이 메시지 M906을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면, TS추가 응답 메시지로서, 메시지 M907을,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송신한다. 또한, HC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하는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단말장치로서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를 폴링 리스트에 추가한다.
도 9의 시퀀스차트를 이용하여, 상기 TS추가 요구가 완료한 후의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 무선단말장치(101, 103~106)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요구 대역이 TS×2일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우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메시지 M800(비콘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 무선단말장치(103: QSTA1)의 사이에서, 메시지 M801~M805의 송수신을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한다.
그 후에, 폴링 타이밍에 도달할 경우,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메시지 M1001을 송신하고, 폴링(Qos CF-Poll)을 실시한다.
메시지 M1001을 수신한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송신할 송신 데이터가 있을 경우, 그 송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확인한 후,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 데이터(메시지 M1002)를 송신한다.
메시지 M1002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송신 타이밍을 확인한 후에, 메시지 M1003으로서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송신한다.
메시지 M1003을 수신한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송신 데이터와 CF-ACK 메시지를, 송신 타이밍을 확인한 후에, 메시지 M1004로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송신한다.
메시지 M1004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전술한 메시지 M1003와 같은 방식으로,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메시지 M1005로서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송신한다.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메시지 M1005가 송신된 후,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 무선단말장치(104, 105: QSTA2, QSTA3)의 사이에서는, 메시지 M806~M810 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렇게 해서, 비충돌주기(HCCA)가 종료하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CF-END(402)를 서비스 영역 내에 메시지 M812로서 송신한다.
그리고, 충돌주기(EDCA)가 도달하면,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 무선단말장치(106: QSTA4) 간은 메시지 M813, M814의 송수신을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한다.
그 후,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메시지 M800(비콘정보)를 다시 브로드캐스트한다.
이하,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이상과 같은 통신 동작을 행하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101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비콘 송출 타이밍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비콘 송출 타이밍에 도달하면, 흐름은 스텝 S1102로 진행하고, 서비스 영역 내의 무선단말장치(101과 103~106)에 대하여, 메시지 M800(비콘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에, 스텝 S1103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HC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하여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무선단말장치를 등록한 폴링 리스트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무선단말장치에 송신할 송신 데이터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송신 데이터가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104로 진행하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한편, 송신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스텝 S1104을 생략하고, 흐름은 스텝 S1105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105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HCCA(비충돌주기)기 간에 도달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HCCA(비충돌주기)기간에 도달할 경우, 흐름은 스텝 S1106로 진행하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폴링 타이밍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폴링 타이밍일 경우, 흐름은 스텝 S1107로 진행하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대응하는 무선단말장치에 대하여, 폴링을 수행한다(메시지 M801, M806, M811, M1001을 송신한다).
다음에, 스텝 S1108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무선단말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수신 데이터가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109로 진행하여, 무선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수신 데이터가 없을 경우, 흐름은 비콘을 송출하는 타이밍인가를 판정하는 처리(스텝 S1101)로 되돌아오고, 그 후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스텝 S1101~스텝 S1110을 반복한다.
상기 스텝 S1101에 있어서, 비콘을 송출하는 타이밍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110으로 진행하고, 비충돌주기(HCCA)가 종료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비충돌주기(HCCA)가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흐름은 상기 스텝 S1103으로 진행하고, 대응하는 무선단말장치에 송신할 송신 데이터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한편, 비충돌주기(HCCA)가 종료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111로 진행하여, CF-END(402)(메시지 M812)을 송신 버퍼 내에 설정하고, 스텝 Sl112에서 CF-END(402)를 서비스 영역 내에 송신한다.
또, 스텝 S1105에 있어서, HCCA(비충돌주기)기간이 아니라 EDCA(충돌 주가) 기간에 도달할 경우에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스텝 S1112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대응하는 무선단말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스텝 S1106에 있어서, 폴링 타이밍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에도, 스텝 S1112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대응하는 무선단말장치에 송신한다.
이하,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가 행하는 QAP데이터 수신 처리(스텝 S1109)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201에 있어서, TS추가 요구 메시지(메시지 M906)를 수신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TS추가 요구 메시지(메시지 M906)를 수신한 경우, 스텝 S1202에서, 상기 액세스제어방식(HCCA)과, 종별 정보(영상), 요구 대역(TS×3)을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의 결과,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할 경우에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907)를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송신하고, QAP데이터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 그 다음, 흐름은 도 10의 흐름도로 돌아간다.
한편, TS추가 요구 메시지(메시지 M906)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흐름은 스텝 S1203로 진행하고, 상기 프로브 요구 메시지(메시지 M901)가 수신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프로브 요구 메시지(메시지 M901)를 수신한 경우, 흐름은 스텝 S1204로 진행하고, 프로브 응답 메시지(메시지 M902)를 유니캐스트형식으로 무선단말장치(101)에 송신한다.
다음에, 스텝 S1205에 있어서, 인증 시퀀스 처리(메시지 M903의 송신)를 시작하는 동시에,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다음에, 스텝 S1206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인증 시퀀스 처리(메시지 M903의 통신 처리)가 완료한 것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했을 경우에는, 스텝 S1207로 진행한다. 스텝 S1207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무선단말장치(101)와의 상기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메시지 M904의 통신 처리)를 시작하는 동시에,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다음에, 스텝 S1208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상기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했을 경우에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QAP데이터 수신 처리를 종료해서 도 10의 흐름도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S1203에 있어서, 프로브 요구 메시지(메시지 M901) 대신 일반적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흐름은 스텝 S1209로 진행한다. 스텝 S1209에 있어서, 수신 처리가 완료한 후, 무선영상처리장치(102)가 송신 데이터의 일부에 ACK(Acknowledgement)을 설정하고, QAP 데이터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제어는 도 10의 흐름도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S1206에 있어서,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하지 않고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210으로 진행하여,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을 경우,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QAP데이터 수신 처리를 종료해서 도 10의 흐름도로 돌아간다.
한편,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206으로 되돌아오고,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한 것인가를 다시 판정한다.
스텝 S1208에 있어서, 상기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아직 완료되지 않을 경우에는, 흐름은 스텝 S1211로 진행하고,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상기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을 경우에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QAP데이터 수신 처리를 종료하고, 제어는 도 10의 흐름도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고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208로 되돌아오고,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다시 판정한다.
다음에,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의 처리 동작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301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장치의 전원이 온(ON)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 전원이 온(ON)이 되면, 흐름은 스텝 S1302로 진행하고, 프로브 요구 메시지(메시지 M901)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 요구 메시지는, 접속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발견할 목적으로 송신된다.
다음에, 스텝 S1303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메시지 M902)를 수신할 것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메시지 M902)를 수신하지 않고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302에 되돌아온다. 무선단말장치(101)는,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메시지 M902)를 수신할 때까지, 스텝 S1302, S1303을 반복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메시지 M902)를 수신하면, 흐름은 스텝 S1304로 진행하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 같이, 인증 시퀀스 처리(메시지 M903의 통신 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무선단말장치(101)는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다음에, 스텝 S1305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인증 시퀀스 처리(메시지 M903의 통신 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3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06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1)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메시지 M904의 통신 처리)를 시작하는 동시에,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다음에, 스텝 S1307에 있어서,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308로 진행한다. 스텝 S1308에서, 무선단말장치(101)는 무선 링크 상에서의 접속 수용 처리를 완료하고, CF-END정기검출 처리와 QoS CF-Poll카운트 처리를 행하고, 통신(메시지 M905의 통신 처리) 상태로 이동한다.
스텝 S1305에 있어서, 인증 시퀀스 처리가 아직 완료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309로 진행한다. 스텝 S1309에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는가를 판정한다.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을 경우, 제어는 에러로서 종료한다.
한편,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305로 되돌아오고,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스텝 S1307에 있어서,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아직 완료하지 않은 경우, 흐름은 스텝 S1310으로 진행하고,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을 경우, 제어는 에러로서 종료한다.
한편, 상기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고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307로 되돌아오고,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했는가를 다시 판정한다.
다음에,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제어가 통신(메시지 M905의 통신 처리) 상태로 이동한 후, TS추가 요구를 행할 경우의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401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하면, 흐름은 스텝 S1402로 진행하고, 스텝 S1308에서 행한 CF-END정기검출 처리의 결과인 실제의 CF-END평균시간(701: 비충돌주기(CFP)의 평균시간)을 취득할 때까지 대기한다. 또, CF-END평균시간(701)은, 복수의 전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주기 내에 CF-END(402)가 검출된 시간 주기(전송 프레임의 시작으로부터 CF-END(402)가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의 평균이다.
그리고, CF-END평균시간(701)을 취득하면, 흐름은 스텝 S1403으로 진행하고, 무선단말장치(101)는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5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다음에, 스텝 S1404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의 결과로서 선택한 액세스제어방식에서 TS추가 요구 송신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스텝 S1403에서의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의 결과, 도 6에 나타낸 HCCA액세스제어방식(E715)을 선택한 경우에 대해서 이하 검토한다. 이 경우, 이 TS추가 요구 송신 처리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1)가 액세스제어방식(HCCA)과, 종별 정보(영상)와, 요구 대역(TS×3)을 포함하는 TS추가 요구 메시지(메시지 M906)를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다음에, 스텝 S1405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TS추가 응답 타이머를 기동한다.
다음에, 스텝 S1406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907)를 수신할 것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907)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흐름은 스텝 S1407로 진행하여, 그 TS추가 응답 메시지를 해석하고, 해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TS대역을 확보할 수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TS대역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14의 흐름도(제1공통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TS대역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무선단말장치(101)는 요구 대역(TS×2)을 감소해서 스텝 S140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최소 요구 대역(TS×1)을 확보할 수 없을 경우, 무선단말장치(101)는 액세스제어방식을 변경 해서 스텝 S140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406에서,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907)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408로 진행한다. 스텝 S1408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1)는 TS추가 응답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는가를 판정한다. TS추가 응답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을 경우, 흐름은 도 14의 흐름도(제1공통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TS추가 응답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하지 않은 경우, 흐름은 스텝 S1406에 되돌아오고,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907)를 수신했는가를 다시 판정한다.
흐름이 도 14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스텝 S1501로 진행하면, 무선단말장치(101)는 비콘정보(메시지 M800)를 수신하는 타이밍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비콘정보(메시지 M800)를 수신하는 타이밍에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스텝 S1502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 비콘정보(메시지 M800)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비콘정보(메시지 M800)에 포함되는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 P)을, 기억영역부(206)에 있는 액세스제어방식의 판정 테이블에 기억한다. 그리고, 다음번에 이 타이밍을 판단하기 위해서, 비콘 프레임 간격(602: T)을 비콘 확인 처리의 카운터에 설정한다.
한편, 비콘정보(메시지 M800)를 수신하는 타이밍이 아닐 경우, 흐름은 스텝 S1502를 생략해서 스텝 S1503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503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HCCA(비충돌주기)기간인 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HCCA(비충돌주기)기간일 경우, 흐름은 스텝 S1504로 진행하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 폴링이 행해졌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폴링이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505로 진행하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대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송신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506으로 진행하고, 송신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확인한 후,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데이터(예를 들면, 메시지 M1002, M1004)를 송신한다.
한편, 송신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506을 생략해서 스텝 S1507로 진행한다. 그리고, 무선단말장치(101)는, 스텝 S1507에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메시지 M1003, M1005)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는, 스텝 S1508로 진행하여,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스텝 S1503에 있어서, HCCA(비충돌주기)기간이 아닐 경우, 흐름은 스텝 S1504를 생략하고 스텝 S1505로 진행한다.
이상과 같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로부터의 HC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한 TS추가 요구 처리를 접수한다. 그리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무선단말장치(103, 104, 105: QSTA1~QSTA3)와 함께 폴링 리스트에 무선단말장치(101)를 등록하고, 비충돌주기에서의 액세스제어처리를 행한다. 또한, EDCA액세스제어방식을 지원하는 무선단말장치(106: QSTA4)는 충돌 주기에서 액세스제어를 수행한다.
다음에,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도 13의 스텝 S1403에 있어서의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601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통지되는 비콘정보(메시지 M800)로부터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 P)을 획득한다.
다음에, 스텝 S1602에서, CF-END평균 시간(701: S)에 관한 데이터의 추출이 완료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CF-END평균시간(701: S)에 관한 데이터의 추출이 완료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완료할 때까지 스텝 S1601, S1602을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 S1603~S1611에 있어서, 제1조건식(702)과 제2조건식(703)에 의하여, 액세스제어방식의 선택을 행한다. 또, 선택에 따라서, 비콘 프레임 간격(602: T), CFP최대 기간(604: P) 및, CF-END평균시간(701: S) 각각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스텝 S1603에 있어서, 제1조건식(702)이 P>T/2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 제1조건식(702)이 P>T/2일 경우, 흐름은 스텝 S1604로 진행하고, 제2조건식(703)이 S=T/2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제2조건식(703)이 S=T/2일 경우, 흐름은 스텝 S1605로 진행하고, HCCA/EDCA듀얼 액세스제어방식(E714)을 선택한다. 즉, 무선단말장치는 HCCA/EDCA의 듀얼 제어방식에 대응한 동작을 선택한다.
스텝 S1604에 있어서, 제2조건식(703)이 S=T/2이 아닐 경우, 흐름은 스텝 S1608로 진행하고, 제2조건식(703)이 S<T/2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제2조건식(703) S<T/2일 경우, 흐름은 스텝 S1607로 진행하고, EDCA액세스제어방식(E713)을 선택한다. 한편, 제2조건식(703)이 S<T/2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흐름은 스텝 S1609로 진행하고, HCCA액세스제어방식(E715)을 선택한다.
스텝 S1603에 있어서, 제1조건식(702)이 P>T/2이 아닐 경우에는, 무선단말장치는, 스텝 S1606에 있어서, 제1조건식(702)이 P<T/2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제1조건식(702)이 P<T/2일 경우, 흐름은 스텝 S1607로 진행하고, EDCA방식(E716, E717)을 선택한다.
상기 스텝 S1606에 있어서, 제1조건식(702)이 P<T/2가 아닌 경우, 흐름은 스텝 S1610로 진행하고, 제2조건식(703)이 S<T/2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제2조건식(703)이 S<T/2일 경우, 흐름은 스텝 S1607로 진행하고, EDCA방식(E711)을 선택한다. 한편, 제2조건식(703)이 S<T/2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1611로 진행하고, HCCA/EDCA듀얼 액세스제어방식(E712)을 선택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무선단말장치(101)를 해석하고, 자립적으로 최적의 액세스제어방식을 선택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요구한다. 이에 따라, 무선단말장치(101)의 주도에 의한 QoS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QoS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무선단말장치(101)는, 무선 링크를 확립한 후의 통신 상태에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가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 내의 복수의 무선단말장치(103~106)에 관한 액세스제어상태를 해석한다. 그리고, 무선단말장치(101)는 자체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 액세스제어방식을 이용하여 TS추가 요구 처리를 기동한다. 이 때문에, 액세스제어방식 변경 지시 등을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받을 확률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단말장치(101)가 전송 대역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영상 전송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상태에서 TS추가 요구를 행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소시에이션 처리와 통신 동안 TS추가 요구를 행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와 TS추가 요구를 행하는 타이밍이 주로 다르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LAN시스템의 일례를 모델화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16에는 "EDCA액세스제어방식으로 기동하는 무선단말장치(104, 106: 클라이언트)가 무선영상처리장치(102)의 서비스 영역 내에 다수 존재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6에는 도 1에 나타낸 무선LAN시스템 및 도 3에 나타낸 무선LAN전송 프레임 포맷을 모델화해서 보이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 참조부호 501은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실제로 송신된 CF-END다. 참조부호 502는 HCCA액세스제어방식으로 접속 수용하는 무선단말장치(103)의 그룹이다. 참조부호 503은, EDCA액세스제어방식으로 접속 수용하고 있 는 무선단말장치(104, 106)의 그룹이다. 특히, 도 16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4, 106)는 EDCA전용 단말이다. 또한, 무선단말장치(103)는 HCCA전용 단말이다. 무선단말장치(101)는, EDCA/HCCA듀얼 액세스제어방식의 하이브리드 기능을 갖춘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와 본 실시형태의 무선단말장치(103, 104, 106: QSTA1, QSTA2, QSTA4)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차트다.
도 17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비콘 송출 타이밍에 도달하면, 메시지 M800(비콘정보)을 브로드캐스트형식으로 송신한다.
다음에,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HC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단말장치를 등록한 폴링 리스트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무선단말장치에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장치(102)는 송신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그리고, HCCA(비충돌주기)기간 동안에, 폴링 타이밍이 도달하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무선단말장치(103: QSTA1)에 메시지 M1701을 송신하고, 이에 따라 폴링(Qos CF-Poll)을 실시한다.
메시지 M1701을 수신한 무선단말장치(103: QSTA1)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대하여 송신할 송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그리고, 데이터 송신 타이밍을 확인한 후,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그 데이터(메시지 M1702)를 송신한다.
메시지 M1702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폴링 타이밍인가를 판단한다. 또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ACK(Acknowledgment) 등의 송신 데이터가 송신 버퍼에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폴링 타이밍에 도달하지 않고, ACK 등의 송신 데이터가 송신 버퍼에 설정되어 있을 경우,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메시지 M1703으로서 무선단말장치(103: QSTA1)에 송신한다.
메시지 M1703을 수신한 무선단말장치(103: QSTA1)는, 송신 타이밍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메시지 M1704로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메시지 M1704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전술한 메시지 M1703과 같이,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메시지 M1705로서 무선단말장치(103: QSTA1)에 송신한다.
이렇게 해서, 비충돌주기(HCCA)가 종료하면,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메시지 M1706(CF-END 501)을 송신 버퍼에 설정해서, 서비스 영역 내에서 송신한다.
그 후, 충돌주기(EDCA)가 되면, 무선단말장치(104: QSTA2)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할 송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무선단말장치(104: QSTA2)는, 데이터 송신 타이밍을 확인한 후,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메시지 M1707을 송신한다.
메시지 M1707을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메시지 M1708을 메시지 M1707의 송신원인 무선단말장치(104: QSTA2)에 바로 송신한다. 또, 여기에서는, 메시지 M1708은, ACK(Acknowledgment) 등의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포 함한다.
무선단말장치(104: QSTA2)에서와 같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접속 수용되어 있는 무선단말장치(106: QSTA4)에 관해서도 메시지 M1709, M1710의 송수신이 실시된다.
다음에, 도 18의 시퀀스차트를 이용하여, TS추가 요구를 행할 경우의 본 실시형태의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 본 실시형태의 무선단말장치(101, 103, 104, 106)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와 무선단말장치(103, 104, 106: QSTA1, QSTA2, QSTA4)가, 메시지 M1701~M1710의 송수신을 행한다. 그 후에,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그 후에,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와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메시지 M1801의 송수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메시지 M1801은, 도 19에 나타낸 메시지 M2601~M2608을 포함하며, 이들 메시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전술한 도 14의 제1공통 처리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4, 106: QSTA2, QSTA4)에서와 같이, 메시지 M1802, M1803의 송수신을 행한다.
다음에, 도 19의 시퀀스차트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 본 실시형태의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메시지 M800(비콘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한다. 그 후에,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전원이 온(ON)인 것을 검출한 후, 유저의 조작 등의 임의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그리고,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접속 수용이 가능한 무선영상처리장치(무선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발견하기 위해서, 프로브 요구 메시지로서, 메시지 M2601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메시지 M2601을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메시지 M902(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유니캐스트형식으로 무선단말장치(101)에 송신한다.
그리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 및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각각 메시지 M2603의 송수신을 행해서 인증 시퀀스 처리를 시작하는 동시에,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그 후,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하면,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메시지 M2604를 송신하고, 액세스제어방식, 종별 정보, 요구 대역을 포함하는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행한다.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또, 인증 시퀀스 처리(메시지 M2603의 통신 처리)가 미완료인 경우이며,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했을 경우에는, 접속 수용 처리를 도중에 종료한다.
어소시에이션 요구(메시지 M2604)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그 어소시에이션 요구 등을 확인하고,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를 접속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를 접속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면, 그 취지의 메시지와,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제공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송신한다. 또, 이들 정보는, 어소시에이션 응답(메시지 M2605)으로서 송신된다. 또,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제공가능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면 액세스제어방식(HCCA)과, 종별 정보(영상)와, 요구 대역(TS×1)이다.
이렇게 해서,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하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및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무선 링크 상에서의 접속 수용 처리를 완료한다. 그리고, 통신(메시지 M2606의 통신 처리) 상태로 이동한다.
또, 상기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메시지 M2604, M2605의 송수신 처리)가 완료되지 않고,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했을 경우, 접속 수용 처리를 도중에 종료한다.
통신 상태로 이동한 후,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TS추가 요구 메시지로서 메시지 M2607을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송신하여, TS추가 응답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TS추가 요구(메시지 M2607)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예를 들면 액세스제어방식(EDCA)과, 종별 정보(영상) 및, 요구 대역(TS×3)을 확인한다. 이 확인의 결과,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할 경우에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TS추가 응답을 메시지 M2608로서,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송신한다.
또,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2608)가 수신되지 않고, TS추가 응답 완료 타이머가 만료했을 경우, 무선단말장치(101)는, TS추가 요구를 도중에 종료한다.
다음에, 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무선단말장치(101: 신 규 QSTA)의 기동 및 접속 수용 처리시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스텝 S2701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통지되는 비콘정보(메시지 M800)로부터,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 P) 및, CF-END평균시간(701: S)을 획득한다.
다음에, 무선단말장치(101)는, 스텝 S2702에 있어서, 스텝 S2701에서 획득해야 할 데이터의 추출이 완료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데이터의 추출이 완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단말장치(101)는 완료할 때까지 스텝 S2701과 S2702을 반복한다.
데이터의 추출이 완료하면, 흐름은 스텝 S27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703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1)는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무선액세스 포인트 장치이며, 접속 수용되는 것이 가능한 무선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발견할 목적으로, 프로브 요구 메시지(메시지 M2601)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다음에, 스텝 S2704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메시지 M2602)를 수신할 것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프로브 응답 메시지(메시지 M2602)를 수신하지 않고 있을 경우, 무선단말장치(101)는 수신할 때까지 스텝 S2703과 S2704을 반복한다.
다음에, 스텝 S2705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서와 같이, 인증 시퀀스 처리(메시지 M2603의 통신 처리)를 행하고,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그리고, 스텝 S2706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707로 진행하여,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이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는 제1실시형태의 처리와 같다.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액세스제어방식이 미리 지정되어 있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이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에서 판정된 액세스제어방식을 기억영역부(206)에 보존한다.
다음에, 스텝 S2708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1)는, 스텝 S2707에서 판정된 액세스제어방식을 가리키는 정보와, 종별 정보와, 요구 대역을 포함하는 어소시에이션 요구(메시지 M2604)의 TS추가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무선단말장치(101)는, TS추가 요구 메시지를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하고, 어소시에이션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또, 스텝 S2707에서 판정된 액세스제어방식을 가리키는 정보로는, 예를 들면 액세스제어방식이 HCCA액세스제어방식인 것을 가리키는 정보이다. 또한, 종별 정보는 영상을 가리키는 정보이며, 이 경우 요구 대역은 TS×3이다.
다음에, 스텝 S2709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메시지 M2604, M2605의 송수신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했을 경우에는, 무선단말장치(101)는 스텝 S2710에 있어서 TS대역확보 판정 처리를 행한다. 이 TS대역확보 판정 처리에 대해서는, 도 21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다음에, 스텝 S2711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CF-END정기검출 처리와 QoS CF-Poll카운트 처리를 시작하고, 통신(메시지 M2606의 통신 처리) 상태를 계속 한다. 이후,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전술한 제1공통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2706에서,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712로 진행하고,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했을 경우에는, 무선단말장치(101)는 접속 수용 처리를 도중에 종료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인증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706으로 되돌아오고,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다시 판정한다.
스텝 S2709에 있어서,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아직 완료하지 않고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713으로 진행하여, 어소시에이션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어소시에이션 완료 타이머가 만료했을 경우, 무선단말장치(101)는 접속 수용 처리를 도중에 종료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어소시에이션 완료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709로 되돌아오고,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다시 판정한다.
다음에, 도 21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도 20의 스텝 S2710에서의 TS대역확보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스텝 S2801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어소시에이션 응답 메시지(메시지 M2605)에 포함되는 TS추가 응답 메시지를 해석한다. 이때, 무선단말장치(101)는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 P)과 CF-END평균시간(701: S)에 근거하여 결정된 액세스제어방식을, 기억부(206)로부터 판독한다.
다음에, 스텝 S2802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액세스제어방식이 HCCA 및 EDCA의 액세스제어방식 모두에 대응하는 듀얼 방식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액세스제어방식이 듀얼 방식일 경우, 흐름은 스텝 S2803으로 진행하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수신한 어소시에이션 응답 메시지 내에 설정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의해 제공가능한 TS대역을 확인한다. 이 확인의 결과에 근거하여, 무선단말장치(101)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가 제공한 TS의 대역이 충분한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 단계에 있어서, 예를 들면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TS의 대역이 지정되는 경우,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의해 제공가능한 TS대역이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정한 TS대역을 만족할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의해 제공되는 TS의 대역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804로 진행한다. 스텝 S2804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1)는, 제공가능한 액세스제어방식과 다른 액세스제어방식과, 종별 정보와, 요구 대역을 TS추가 요구 메시지(메시지 M2607)의 파라미터로서 설정해서, 액세스제어방식의 변경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 S2805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대해서 TS추가 요구 메시지를 다시 송신한다.
스텝 S2806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TS변경 플래그를 갱신(=ON)하고, TS 추가 응답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
다음에, 스텝 S2807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2608)를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 수신할 것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2608)를 수신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803으로 되돌아오고, 그 TS추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TS의 대역이 충분한가를 판정한다.
한편,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2608)를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 수신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808로 진행하여, TS추가 응답 완료 타이머가 만료(타임아웃 발생)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TS추가 응답 완료 타이머가 만료했을 경우, 무선단말장치(101)는 TS대역확보 판정 처리를 도중에 종료한다. 한편, TS추가 응답 완료 타이머가 아직 만료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807로 되돌아오고,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2608)를 수신할 것인가를 다시 판정한다.
스텝 S2802에 있어서, 액세스제어방식이 HCCA 및 EDCA액세스제어방식 모두에 대응하는 듀얼 방식이 아닐 경우 및, 스텝 S2803에서 TS의 대역이 충분할 경우, 흐름은 스텝 S2809로 진행한다. 스텝 S2809에서, 무선단말장치(101)는 TS가 변경중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 TS가 변경중인 경우, 흐름은 스텝 S28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810에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액세스제어로 사용될 예정인 어소시에이션 시의, TS추가 응답(M2605)에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의해 확보된 TS대역을 해제할 목적으로, 해제 처리를 실행한다. 계속해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스텝 S2807에서 수신한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2608)에 포함된 새로운 액세스제어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었던 대역을 사용해서 TS설정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2811). 한편, TS가 변경중이 아닌 경우, 무선단말장치(101)는, 스텝 S2811에 있어서, 어소시에이션 시의 TS추가 응답(M2605)에서 확보한 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해 서 TS대역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2811의 처리가 종료된 후, 무선단말장치(101)는 TS대역확보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무선단말장치(101)는, 어소시에이션 시에 실시한 통신대역요구 처리에서, 충분한 대역을 확보할 수 없을 경우, 통신 상태로의 이동한 후, 액세스제어방식의 선택판정 처리를 다시 행한다. 이 처리에 따라, 무선단말장치(101)는, 전송 대역의 변화에 따른 자신이 사용하는 액세스제어방식의 변경 및, 통신대역의 추가나 삭제 등에 관한 요구 메시지를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이하, HCCA전용 단말인 무선단말장치(103: QSTA1)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EDCA전용 단말인 무선단말장치(106: QSTA4) 및 HCCA액세스제어방식 혹은 ED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해서 동작하는 무선단말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무선단말장치(101)에서와 같이, 무선영상처리장치(102)의 인증 시퀀스 처리가 완료하면(스텝 S2706), 흐름은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스텝 S2707)를 행하지 않고, 스텝 S2708로 진행한다. 스텝 S2708에 있어서, 액세스제어방식 정보((HCCA 또는 EDCA), 종별 정보(영상) 및, 요구 대역(TS×3))는, 각 기능에 따라서 어소시에이션 요구 메시지의 TS추가 요구 정보요소에 포함된다. 또, "각 기능에 따라서"는, 무선단말장치(103: QSTA1)의 경우는 HCCA액세스제어방식을, 무선단말장치(106: QSTA4)의 경우는 EDCA액세스제어방식을 가리킨다. TS추가 요구 정보요소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하여, 어소시에이션 완료 타이머를 기동한다(스텝 S2708).
어소시에이션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TS추가 요구 정보요소 등을 확인하고, 무선단말장치를 접속 수용가능한가를 판단한다. 무선 영상처리장치(102)가 무선단말장치를 접속 수용가능하면, 그 취지의 메시지와, 제공가능한 서비스 정보, 종별 정보(영상) 및, 요구 대역(TS×1)을 어소시에이션 응답 메시지의 파라미터 정보로서 설정하고, 어소시에이션 응답 메시지를 무선단말장치(103, 106)에 송신한다. 또, 제공가능한 서비스 정보는, 액세스제어방식(HCCA 또는 EDCA)을 의미한다.
이 경우, 어소시에이션 응답 메시지의 내용은, 접속 수용(어소시에이션+무선인증)이 가능하고, 대역으로서 TS×1만이 확보 가능한 것을 설명한다.
계속해서, 무선단말장치(103, 106)와의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됨에 따라(스텝 S2709),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무선 링크 상에서의 접속 수용 처리를 완료하고, 통신 상태로 이동한다. 이때,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아직 완료하지 않고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했을 경우(스텝 S2713),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접속 수용 처리를 도중에 종료한다. 또한, 어소시에이션 처리 완료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은 경우, 제어는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의 완료 확인 처리(스텝 S2709)로 돌아간다.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의 어소시에이션 시퀀스 처리가 완료하면, 무선단말장치(103, 106)는 TS대역확보 판정 처리를 행한다.
TS대역확보 판정 처리에서, 각 무선단말장치(103, 106)는 어소시에이션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TS추가 응답 정보요소를 해석한다(스텝 S2801). HCCA전용 단말인 무선단말장치(103: QSTA1) 및 EDCA전용 단말인 무선단말장치(106: QSTA4)가 듀얼 제어방식을 지원하지 않으므로(스텝 S2802), 흐름은 스텝 S2809로 진행한다. 또, TS는 변경중이 아니므로(스텝 S2809), 흐름은 스텝 S2811로 진행한다. 스텝 S2811에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수신한 제공가능한 액세스제어방식 정보에 근거하여 확보할 수 있었던 대역을 사용하여, TS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또,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는, 액세스제어방식(HCCA 또는 EDCA), 종별 정보(영상), 요구 대역(TS×1)을 가리킨다. 그리고, 무선 링크 상에서의 접속 수용 처리를 완료한다. 그 후, 스텝 S2711에 있어서, CF-END정기검출 처리와 QoS CF-Poll카운트 처리를 시작하여, 통신 상태를 계속한다. 이후, 각 무선단말장치는, 전술한 제1공통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선단말장치(101)의 기동과 동시에 전송로를 확보하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수용 처리시에, 무선단말장치(101)가 서비스 영역 내의 복수의 무선단말장치에 관한 액세스제어상태를 해석한다. 이에 따라, 무선단말장치(101)가 적합이라고 판단한 액세스제어방식을 이용하여 어소시에이션 상태를 확립한다. 이때, 희망하는 전송 대역을 확보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적합한 액세스제어방식과 다른 액세스제어방식을 이용하여 희망하는 전송 대역을 다시 확보하도록 TS추가 요구 처리를 시행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제1실시형태의 효과에 더해, 희망하는 전송 대역의 확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영상 전송시스템을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상태에서 TS의 요구를 시작한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어소시에이션 및 통신시에 TS의 요구를 시작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상상태에서의 비콘 프레임 간격, CFP최대 기간 및, CF-END평균시간의 변화를 감시한다. 그리고, 그 변화를 검출함에 따라,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를 행하고, 액세스제어방식을 변경할 경우, TS의 요구를 시작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는, 주로 TS를 요구하는 타이밍이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다르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각 장치의 시퀀스차트다. 도 22에 따르면, 본 실시형태의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와 본 실시형태의 무선단말장치(101, 103, 104: 신규 QSTA, QSTA1, QSTA2)는 액세스제어방식(HCCA)에 근거해서 동작한다. 또한, 무선단말장치(106: QSTA4)는 액세스제어방식(EDCA)에 근거해서 동작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무선LAN시스템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시스템을 상정한다.
도 22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비콘을 송출하는 타이밍이 되면, 비콘정보(메시지 M800)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다음에,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HC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해서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무선단말장치를 등록한 폴링 리스트를 참조한다. 그리고, 대응하는 무선단말장치에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장치(102)는 송신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그리고, HCCA(비충돌주기)기간 동안에, 폴링 타이밍이 되면,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무선단말장치(103: QSTA1)에 메시지 M1901을 송신하여, 폴링(Qos CF-Poll)을 실시한다.
메시지 M1901을 수신한 무선단말장치(103: QSTA1)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대하여 송신할 송신 데이터를 송신 버퍼 내에 설정한다. 그리고, 무선단말장치(103: QSTA1)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그 데이터(메시지 M1902)를 송신한다.
메시지 M1902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폴링 타이밍인가를 판정한다. 또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ACK(Acknowledgment) 등의 송신 데이터가 송신 버퍼에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정한다. 폴링 타이밍이 아니고, 송신 데이터(ACK 등)가 송신 버퍼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메시지 M1903으로서 무선단말장치(103: QSTA1)에 바로 송신한다. 여기에서, 메시지 M1903는, 송신 데이터와 CF-ACK메시지를 가리킨다.
무선단말장치(103: QSTA1)에서와 같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접속 수용되어 있는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서도 HC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해서 메시지 M1904~M1906의 송수신이 실시된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는, 무선단말장치(104: QSTA2)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 송신된 폴링 메시지 M1907를 수신한다. 그런데, 무선단말장치(104: QSTA2)에서는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무선단말장치(104: QSTA2)로부터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비충돌주기(HCCA)가 종료하면,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메시지 M1908(CF-END 402)을 송신 버퍼에 설정해서 서비스 영역 내에 송신한다.
그 후에, 충돌주기(EDCA)가 되면, 무선단말장치(106: QSTA4)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송신할 송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하고, 데이터 송신 타 이밍을 확인한다. 그 후, 무선단말장치(106: QSTA4)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메시지 M1909를 송신한다.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ACK(Acknowledgment) 등의 송신 데이터와, CF-ACK 메시지를 메시지 M1910로서, 메시지 M1909의 송신원인 무선단말장치(106: QSTA4)에 송신한다.
다음에, 도 23의 시퀀스차트를 참조하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와 무선단말장치(101, 103, 104, 106: 신규 QSTA, QSTA1, QSTA2, QSTA4)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3에서는 이하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액세스제어방식(HCCA)에 근거한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가 정상 상태의 비콘 프레임 간격, CFP최대 기간, CF-END평균시간의 변화를 감시한다. 그리고, 이들 변수 중 하나가 변화되면,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그 결과, 액세스제어방식을 HCCA로부터 EDCA로 변경하기 위해서, TS추가 요구를 행한다.
우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와 무선단말장치(101, 103, 104, 106: 신규 QSTA, QSTA1, QSTA2, QSTA4)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메시지 M1901~M1910의 송수신을 행한다.
그 후에, 비콘 프레임 간격, CFP최대 기간, CF-END평균시간의 변화를 감시한다. 무선단말장치의 비콘 프레임 간격, CFP최대 기간, CF-END평균시간의 소정의 변화를 검출하면, 무선단말장치의 공통 처리인 액세스방식 판정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EDCA방식에 근거해서 액세스제어를 변경하는 것을 결정한다.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ED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한 액세스제어를 요구하는 TS추가 요구 메시지로서, 메시지 M2001을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송신한다.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는,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 것이다.
TS추가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는, TS추가 요구 메시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가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를 접속 수용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 메시지 M2002을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에 송신한다. 메시지 M2002는, ED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해서 액세스제어를 허가하는 TS추가 응답 메시지로서 기능한다.
TS추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HCCA액세스제어방식에 근거해서 액세스제어의 삭제를 요구하는 TS삭제요구 메시지로서 메시지 M2003을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송신한다.
다음에, 도 24의 시퀀스차트를 참조하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와 무선단말장치(101, 103, 104, 106: 신규 QSTA, QSTA1, QSTA2, QSTA4) 간의 통신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4는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가 TS추가 요구를 행한 후의 동작을 보이고 있다.
우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와 무선단말장치(101, 103, 104, 106: 신규 QSTA, QSTA1, QSTA2, QSTA4)는, 상기된 바와 같이 메시지 M1901~M1903 및 M1907~M1910의 송수신을 행한다.
그 후에,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대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그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그리고, EDCA기간 동안 데이터 송신 타이밍을 확인한 후,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대하여 허가된 유저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데이터(메시지 M2101, M2103, M2105)를 송신한다.
데이터를 수신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는, 그 데이터의 수신 확인인 ACK를 메시지 M2102, M2104, M2106로서 회신한다.
다음에, 도 25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무선단말장치(101, 103, 104, 106: 신규 QSTA, QSTA1, QSTA2, QSTA4)의 처리 동작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2201에서, 메시지 M800(비콘정보)의 수신 타이밍인가를 판정한다. 그 결과, 메시지 M800(비콘정보)을 수신하는 타이밍이면, 흐름은 스텝 S2202로 진행한다. 스텝 S2202에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통지된 비콘정보(메시지 M800)로부터,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 P)을 획득한다. 또한, 무선단말장치는 CF-END의 평균시간을 계산한다.
한편, 메시지 M800(비콘정보)의 수신 타이밍이 아니면, 흐름은 스텝 S2202를 생략해서 스텝 S22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203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는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이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처리와 같다.
다음에, 무선단말장치는, 스텝 S2203에서의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액세스제어방식을 변경할 것인가를 판정한다. 스텝 S2203에서 판정된 액세스제어방식이 현재 통신중의 액세스제어방식과 다르고, 액세스제어방식을 변경할 경우, 흐름은 스텝 S2205로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3 및 도 24 에 나타낸 예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가 액세스제어방식을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S2205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정되는 액세스제어방식에 관한 정보와, 종별 정보와, 요구 대역을 포함하는 TS추가 요구 메시지(메시지 M2001)를 송신한다. 그 후, 무선단말장치는 액세스제어방식을 변경한다. 또, 액세스제어방식에 관한 정보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예에서는, 액세스제어방식이 EDCA액세스제어방식인 것을 가리키는 정보이다. 또한, 종별 정보는 영상을 가리키는 정보이고, 요구 대역은 TS×3이다.
한편, 스텝 S2204에 있어서, 스텝 S2203에서 판정된 액세스제어방식이, 현재 통신중의 액세스제어방식과 같고, 액세스제어방식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205를 생략하고 스텝 S2206으로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예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3, 104, 106: QSTA1, QSTA2, QSTA4)가 액세스제어방식을 변경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단말장치는 스텝 S2206에 있어서, HCCA(비충돌주기)기간인가를 판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예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3, 104: QSTA1, QSTA2)가 HCCA(비충돌주기)기간에서 통신하고, 무선단말장치(101, 106: 신규 QSTA, QSTA4)가 EDCA(충돌주기)기간에서 통신한다.
이 판정의 결과, HCCA(비충돌주기)기간일 경우, 흐름은 스텝 S2207로 진행하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의 폴링이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폴링이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208로 진행하여,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대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송신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209로 진행하고, 송신할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설정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확인한 후, 무선단말장치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데이터(예를 들면, 메시지 M1902, M1905, M1909)를 송신한다.
한편, 송신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209을 생략하고 스텝 S221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210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메시지 M1901, M1904, M1907, M1910)이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흐름은 스텝 S2211로 진행하여,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후, 스텝 S2201~스텝 S2211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상기 스텝 S2206에 있어서, HCCA(비충돌주기)기간이 아닐 경우, 흐름은 스텝 S2207을 생략하고 스텝 S2208로 진행한다.
다음에,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스텝 S2211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처리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2301에 있어서,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2002)를 수신할 것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2002)를 수신할 경우, 흐름은 스텝 S2302로 진행한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예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1: 신규 QSTA)가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2002)를 수신한다.
그리고, 스텝 S2302에 있어서, HCCA 및 EDCA액세스제어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듀얼 방식에서의 액세스제어가 필요한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듀얼 제어방식에 근거한 액세스제어가 필요할 경우, 흐름은 스텝 S23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303에서는, 무선단말장치가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에 근거하여, TS추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액세스제어방식의 대역 등이 충분한가를 판정한다. 또, 수신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면 액세스 제어방식(EDCA), 종별 정보(영상), 요구 대역(TS×3)을 포함한다.
이 판정의 결과,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수신한 액세스제어방식의 대역 등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304로 진행한다. 스텝 S2304에서, 무선단말장치는, 수신한 액세스제어방식과 다른 액세스제어방식(예를 들면, 액세스제어방식(HCCA), 종별 정보(영상) 및, 요구 대역(TS×2))으로 액세스제어방식을 변경한다.
다음에, 스텝 S2305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는, TS추가 요구 메시지의 파라미터에 변경한 액세스제어방식을 설정하고, 그 메시지를 송신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또한, 스텝 S2306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는 TS변경 플래그를 갱신(=ON)하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와의 통신 상태를 계속한다. 그 다음, 제어는 도 25의 흐름도로 돌아간다. 또, TS추가 요구 메시지는, 도 25의 스텝 S2209에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된다.
상기 스텝 S2301에 있어서, TS추가 응답 메시지(메시지 M2002)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흐름은 스텝 S2307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데이터 수신 처리를 실행한 다.
또한, 상기 스텝 S2302에 있어서, HCCA 및 EDCA액세스제어방식 모두를 지원할 수 있는 듀얼 방식에서 액세스제어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308로 진행한다. 또, 스텝 S2302에 있어서, TS추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액세스제어방식의 대역 등이 충분할 경우, 흐름은 스텝 S2308로 진행한다. 스텝 S2308에서, 무선단말장치는 액세스제어방식이 변경중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액세스제어방식이 변경중인 경우, 흐름은 스텝 S2309로 진행한다. 스텝 S2309에서, 예를 들면 무선단말장치는 변경 전의 액세스제어방식(HCCA), 종별 정보(영상) 및, 요구 대역(TS×1)에 근거하는 데이터의 전송을 해제한다. 또한, 무선영상처리장치(102: QAP)에 TS삭제요구 메시지(메시지 M2003)를 송신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 S2310에 있어서, 변경 후의 액세스제어방식(EDCA), 종별 정보(영상), 요구 대역(TS×3)의 대역에 근거해서, TS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액세스제어방식이 변경중이 아닐 경우, 제어는 도 25의 흐름도로 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무선단말장치(101)는 액세스제어방식의 선택판정 처리(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를 정상적으로 행한다. 그리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가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 내의 복수의 무선단말장치에 관한 액세스제어방식을 항상 감시한다. 또한, 그 액세스제어방식의 변화(예를 들면, 전송 대역의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 무선단말장치(101)는 그 액세스제어방식의 변화에 따라, TS추가 요구 메시지를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TS추가 요구 메시지는 자신이 사용하는 액세스제어방식 자체의 변경 및, 통신대역의 추가(또는 삭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의 액세스제어방식보다 더 좋은 조건하에서, 액세스제어방식을 선택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경우, 무선단말장치(101)는 QAP인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지시 없이, 자립적으로 자신의 액세스제어방식을 변경하고, 전송 대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사용한 전송 대역을 해제하므로, 시스템 내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1변형예)
[특정 조건하에서의 동적인 액세스제어방식의 변경의 캔슬]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시에,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를 행하고,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대하여 요구하는 액세스제어방식을 선택해서 설정하도록 했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특정한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상기 액세스제어방식이 미리 지정될 경우,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를 생략했다. 또한, 통신대역의 요구 메시지는, 지정된 액세스제어방식을 사용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하도록 했다. 그런데, 통신대역의 요구시에 있어서, 특정한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관계되지 않고, 통신 전송로를 시간적으로 장시간 점유하는 것이 미리 판명된 경우, 본 발명은 이러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HCCA 및 EDCA액세스제어방식 중 하나가 고정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제2변형예)
[액세스제어방식의 차이에 의한 데이터 압축률의 변경]
전술한 제3실시형태에서는, 무선단말장치(101)가 액세스제어방식의 선택판정 처리를 정상적으로 행한다. 이 처리에 따라, 서비스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전송 대역의 변화에 따라, 자신이 사용하는 액세스제어방식을 HCCA(비충돌주기)액세스제어방식으로부터 EDCA(충돌주기)액세스제어방식으로 변경했다. 또한, 사용되지 않은 통신대역을 삭제하기 위해서, 통신대역의 삭제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무선영상처리장치(102)에 송신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처리에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전송 대역의 변화에 따라, 자신이 사용하는 액세스제어방식을 EDCA(충돌주기)액세스제어방식으로부터 HCCA(비충돌주기)액세스제어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동영상전송과 같은 스트리밍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등에, 이하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액세스제어방식의 변경에 따라, 새롭게 HCCA(비충돌주기)액세스제어방식을 사용할 경우, EDCA(충돌주기)의 사용시보다도 전송 데이터의 압축율을 높게 설정해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EDCA(비충돌주기)방식을 사용할 경우, 전송 데이터의 압축율을 낮게 설정하여, 버스트(burst) 송신할 수 있다.
(제3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에서는,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통지되는 비콘정보(메시지 M800)에 근거하여, 비콘 프레임 간격(602: T) 등을 획득했다. 그리고, 획득한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과, CF-END의 평균시간(701: S)을 제1조건식(702)과 제2조건식(703)에 대입했다. 더욱이, 제1조건식(702)과 제2조건식(703)에 근거하여, 액세스제어방식인 선택 모드(704)를 결정하도록 했다. 그러나, CF-END의 평균시간(701: S) 대신에, 비충돌주기의 실제의 폴링 회수(N)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과, 비충돌주기에 있어서의 실제의 폴링 회수(N)를 제1조건식(702)과 제3조건식(2403)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식에 근거하여, 액세스제어방식인 새로운 선택 모드(2404)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7 및 도 28을 이용하여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7은 본 변형예에 따른 액세스제어방식의 판정 테이블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 있어서는, 참조부호 2401은 비충돌주기(CFP) 내에서 실시되는 실제의 폴링 회수(N)(회)이다. 참조부호 2403은, CFP최대 기간(604: P)과 폴링 회수(N)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제3조건이다. 참조부호 2404는, 제1조건식(702)과 제3조건식(2403)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액세스제어방식의 종별(선택 방식)이다. 또, 선택방식 E2411~E2417은, 각각 비콘 프레임 간격(602: T)이 10000(㎲)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또한, 이들 방식 E2411~E2417의 CFP최대 기간(604: P)은, 각각 8000, 8000, 5000, 5000, 5000, 3000, 3000(㎲)이다. 또한, 폴링 회수(N) 2401은 각각 5, 1, 8, 5, 1, 5, 1(회)이다.
도 28은 본 변형예의 무선단말장치(101, 103~106)의 액세스제어방식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우선, 스텝 S2501에 있어서, 무선영상처리장치(102)로부터 통지되는 비콘정 보(메시지 M800)로부터,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 P)과, 폴링 회수(N) 2401을 획득한다.
다음에, 스텝 S2502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는 스텝 S2501의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무선단말장치는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할 때까지, 스텝 S2501과 S2502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 S2503~S2509에 있어서, 무선단말장치는 제1조건식(702)과 제3조건식(2403)에 근거한 액세스제어방식인 선택 방식(2404)을 결정한다. 또, 결정에 따라서, 비콘 프레임 간격(602: T)과, CFP최대 기간(604: P) 및, 폴링 회수(N) 2401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우선 스텝 S2503에 있어서, 제1조건식(702)이 P>T/2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제1조건식(702)이 P>T/2일 경우, 흐름은 스텝 S2504로 진행하고, 폴링 회수(N) 2401에 따라, HCCA액세스제어방식(E2411, E2412)을 선택한다.
한편, 제1조건식(702)이 P>T/2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무선단말장치는 스텝 S2505에서, 제1조건식(702)이 P=T/2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제1조건식(702)이 P=T/2일 경우, 흐름은 스텝 S2506으로 진행하여, 제3조건식(2403)이 P/N<1000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제3조건식(2403)이 P/N<1000을 만족한 경우, 흐름은 스텝 S2504로 진행하여, HCCA액세스제어방식(E2413)을 선택한다.
한편, 제3조건식(2403)이 P/N<1000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507로 진행하여, 제3조건식(2403)이 P/N=1000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제3조건식(2403)이 P/N=1000일 경우, 흐름은 스텝 S2508로 진행하여, HCCA/EDCA 듀얼 액세스제어방식(E2414)을 선택한다.
한편, 제3조건식(2403)이 P/N=1000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509로 진행하여, EDCA액세스제어방식(E2415)을 선택한다.
상기 스텝 S2505에서, 제1조건식(702)이 P=T/2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흐름은 스텝 S2509로 진행하여, EDCA액세스제어방식(E2416, E2417)을 선택한다.
또,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QoS가 제공되는 무선LAN네트워크를 일례로서, 무선단말장치(QSTA)와 무선영상처리장치(QAP)에 의한 통신대역의 요구에 대하여, 통신대역을 유연하게 설정 및 전환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무선영상처리장치는, 액정 프로젝터와 같이 스크린에 화상 데이터를 투영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동화상 등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주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무선영상처리장치는 스토리지 서버 등, 통신기능을 가지는 장치라면, 취급하는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털인 것을 막론하고 어떠한 장치여도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각종의 디바이스를 프로그램 코드에 근거하여 동작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각종 디바이스와 접속된 장치 혹은 시스템 내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에 대하여, 실시형태 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한다. 그리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따라서 상기 각종 디바이스를 동작시킨다.
이 경우,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한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 코드 자체 및 그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면,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기록 매체)이 본 발명을 구성한다.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CD-ROM, 자기테이프, 비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의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서 가동하는 OS(operating system) 혹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등과 협동해서, 상기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프로그램 코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
또한,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의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춰지는 메모리에 기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서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춰지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며, 상기 실시형태의 기능이 이 처리에 의해 실행된다. 이 경우, 프로그램 코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범위는 수반되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단말장치의 접속 상태를 고려하여, 무선단말장치가 무선제어장치에 통신 형태의 전환을 요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무선단말장치가 무선제어장치가 관리하는 영역 내에 존재할 경우, 무선제어장치에 의해 무선전송로를 거쳐서 통신제어되는 무선단말장치에 있어서,
    무선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지 정보를 해석하는 해석 수단과,
    상기 해석 수단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도록, 무선제어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집중제어방식은, 공유하는 무선전송로 상에서 하나의 무선단말장치가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영역인 비충돌주기에서 무선제어장치가 통신제어를 행하는 방식이고,
    분산제어방식은, 미리 정해진 시퀀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단말장치가 랜덤하게 통신을 행하는 시간영역인 충돌주기에서, 무선제어장치가 통신제어를 행하는 방식이며,
    통지 정보는, 비충돌주기와 충돌주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주기 정보가, 데이터 전송프레임 간격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통지하는 정보이며,
    상기 요구 수단은,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와, 무선전송로에서의 우선 순위를 가리키는 종별정보와, 무선전송로에서 요구되는 통신대역을 가리키는 대역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 수단은,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하면, 통지 정보의 해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 수단은, 무선단말장치가 무선제어장치에 접속된 후에, 통지 정보의 해석을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 수단에 의해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통지 정보의 해석 결과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서 변화되었을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이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를 포 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무선단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요구 메시지는, IEEE802.11e규격의 TS(Traffic Stream)추가 요구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수단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전송 프레임 주기 및 비충돌주기의 최대값인 최대 비충돌기간에 근거하여,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도록, 무선제어장치에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최대 비충돌기간 P와 데이터 전송프레임 간격 T 간의 관계가 P<T/2을 만족할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은 분산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제어를 행하도록 무선제어장치에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수단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전송 프레임 간격과, 비충돌주기의 최대값인 최대 비충돌기간과, 실제의 비충돌주기의 평균시간에 근거하여,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도록 무선제어장치에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무선단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최대 비충돌기간 P와, 데이터 전송프레임 간격 T와, 실제의 비충돌주기의 평균시간 S의 관계가 P=T/2 및 S<T2을 만족할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은, 분산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제어를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최대 비충돌기간 P와, 데이터 전송프레임 간격 T와, 실제의 비충돌주기의 평균시간 S의 관계가 P>T/2>S를 만족할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은, 분산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제어를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최대 비충돌기간 P와, 데이터 전송프레임 간격 T와, 실제의 비충돌주기의 평균시간 S의 관계가 P>T/2 및 S>T/2을 만족할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은, 집중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제어를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최대 비충돌기간 P와, 데이터 전송프레임 간격 T와, 실제의 비충돌주기의 평균 시간 S의 관계가 P=T/2 및 S≥T/2을 만족할 경우,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요구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와, 무선전송로에서 요구되는 통신대역을 가리키는 대역정보를 포함하는 제1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요구 수단에 의해 송신된 제1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무선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해석 수단은 그 응답 메시지의 내용을 해석하며,
    상기 해석 수단에 의한 해석의 결과로서, 제1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대역정보 로 가리켜지는 통신대역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다른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제어를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제2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제의 비충돌주기의 평균시간은, 통지 정보의 송신이 종료하고, 비충돌주기의 종료를 가리키는 메시지를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 주기의 평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수단은,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전송 프레임 간격과, 비충돌주기의 최대값인 최대 비충돌기간과, 실제의 비충돌주기에 있어서의 폴링 회수에 근거하여,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도록 무선제어장치에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최대 비충돌기간 P와, 데이터 전송프레임 간격 T와, 실제의 비충돌주기에 있어서의 폴링 회수 N과, 정수 C간의 관계가 P=T/2 및 P/N<C을 만족할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은, 집중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제어를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최대 비충돌기간 P와, 데이터 전송프레임 간격 T와, 실제의 비충돌주기에 있어서의 폴링 회수 N과, 정수 C간의 관계가 P=T/2 및 P/N>C을 만족할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은, 분산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제어를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최대 비충돌기간 P와, 데이터 전송프레임 간격 T와, 실제의 비충돌주기에 있어서의 폴링 회수 N과, 정수 C간의 관계가 P=T/2 및 P/N=C을 만족할 경우,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더 구 비하고,
    상기 요구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제어를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와, 무선전송로에서 요구되는 통신대역을 가리키는 대역정보를 포함하는 제1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요구 수단에 의해 송신된 제1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무선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해석 수단은 그 응답 메시지의 내용을 해석하고,
    상기 해석 수단에 의한 해석의 결과로서, 상기 제1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대역정보가 가리키는 통신대역을 확보할 수 없었을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다른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제어를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제2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폴링 회수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서 변화되었을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은, 미리 정해진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제어를 가리키는 액세스제어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수단이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새로운 통신대역의 확보 처리가 완료한 후, 상기 요구 수단은, 그때까지 사용된 무선전송로의 통신대역을 해제하는 것을 가리키는 통신대역 해제요구 메시지를 무선제어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액세스제어방식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을 경우 또는 통신대역을 장시간 점유 하는 것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요구 수단은, 미리 정해진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도록 무선제어장치에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장치.
  22. 무선제어장치와, 그 무선제어장치가 관리하는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단말장치가 무선전송로를 거쳐서 서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방법으로서,
    무선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무선단말장치가 해석하는 해석 스텝과,
    해석 스텝에서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집중제어방식 또는 분산제어방식 중 하나의 제어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도록 무선단말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KR20060028758A 2005-03-30 2006-03-30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방법 KR100712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9517 2005-03-30
JP2005099517A JP4579742B2 (ja) 2005-03-30 2005-03-30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544A true KR20060105544A (ko) 2006-10-11
KR100712086B1 KR100712086B1 (ko) 2007-05-02

Family

ID=3658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28758A KR100712086B1 (ko) 2005-03-30 2006-03-30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5761B2 (ko)
EP (1) EP1708432A3 (ko)
JP (1) JP4579742B2 (ko)
KR (1) KR100712086B1 (ko)
CN (1) CN100466573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38B1 (ko) * 2007-07-23 2009-09-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 그룹화를 이용한 무선랜 통신 방법
KR20120018988A (ko) * 2010-08-24 2012-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정보수집 환경에서의 부하 분산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9679A (ko) * 2010-08-26 2012-03-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정보수집 환경에서의 부하 분산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3590B2 (en) * 2006-03-24 2013-07-23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igh throughput data between multiple devices
US8254922B2 (en) * 2006-10-16 2012-08-28 Stmicroelectronics, Inc. Zero delay frequency switching with dynamic frequency hopping for cognitive radio based dynamic spectrum access network systems
US8494546B2 (en) 2006-10-16 2013-07-23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of inter-system communications dynamic spectrum access network systems-logical control connections
US7869400B2 (en) * 2006-10-16 2011-01-11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of inter-system coexistence and spectrum sharing for dynamic spectrum access networks-on-demand spectrum contention
US8630312B2 (en) * 2006-12-04 2014-01-1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connection control protocol
JP5287712B2 (ja) * 2007-03-30 2013-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ユーザ認証制御装置、ユーザ認証装置、データ処理装置、及びユーザ認証制御方法等
US8780882B2 (en) * 2008-01-16 2014-07-15 Stmicroelectronics, Inc. On-demand spectrum contention for inter-cell spectrum sharing in cognitive radio networks
US8824432B2 (en) * 2008-01-16 2014-09-02 Stmicroelectronics, Inc. Beaconing period framing for efficient multi-channel inter-cell communications in cognitive radio networks
US20100111012A1 (en) * 2008-11-06 2010-05-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fast network entry and re-entry in multiple access networks
CN101448006B (zh) * 2008-12-25 201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流媒体服务器大量终端接入的方法及系统
US8204038B2 (en) * 2009-01-13 2012-06-19 Mediatek Inc. Method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radio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908519B2 (en) 2009-01-19 2014-12-09 Nec Corporation SCTP communication method
US8462722B2 (en) * 2010-03-26 2013-06-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ccess control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 devices
US9258530B2 (en) * 2010-04-09 2016-02-09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accessing a spatio-temporal part of a compressed video sequence using decomposed access request
JP5087666B2 (ja) * 2010-09-30 2012-12-0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8965347B1 (en) * 2011-10-24 2015-02-24 Wes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 mobile phone notification service
JP5891037B2 (ja) 2012-01-06 2016-03-22 任天堂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JP5891036B2 (ja) * 2012-01-06 2016-03-22 任天堂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JP6022886B2 (ja) * 2012-10-16 2016-11-0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無線監視カメラ装置
CN103929784B (zh) * 2013-01-10 2017-08-08 中国移动通信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用户带宽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5357242B (zh) * 2014-08-22 2019-02-2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接入无线局域网的方法和系统、短信推送平台、门户系统
US20160316393A1 (en) * 2015-04-27 2016-10-27 Spreadtrum Hong Kong Limited QCI Usage and Signaling for IP Flow Selection
CN110062477B (zh) 2015-12-25 2020-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方法及装置
US20170353698A1 (en) * 2016-06-07 2017-1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of add-on wireless camera solution for vehicular trailer applications
US11901983B1 (en) * 2021-03-17 2024-02-13 T-Mobile Innovations Llc Selectively assigning uplink transmission laye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6606B (en) * 1989-06-24 1993-03-31 Motorola Israel Ltd Communications system with contention protocol
JP3464762B2 (ja) * 1998-08-26 2003-11-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回線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無線送信装置
JP3489472B2 (ja) 1999-03-02 2004-0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パケット制御局
US7054329B2 (en) * 2000-07-07 2006-05-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lision avoidance in IEEE 802.11 contention free period (CFP) with overlapping basic service sets (BSSs)
US7251232B1 (en) * 2000-11-22 2007-07-31 Cisco Technology, Inc. Point-controlled contention arbitration in multiple access wireless LANs
JP2002185462A (ja) 2000-12-12 2002-06-28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データ通信装置及び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6990116B1 (en) * 2001-01-12 2006-01-24 3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roughput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ith mode switching
WO2003040866A2 (en) * 2001-11-09 2003-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s for ensuring medium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JP4065393B2 (ja) * 2001-11-09 2008-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媒体へのアクセスを保証する方法
KR100450795B1 (ko) * 2001-12-12 200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독립망에서 혼합형 자원 공유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및 데이타 포맷
JP3614133B2 (ja) * 2001-12-27 2005-01-2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2003309571A (ja) * 2002-04-15 2003-10-31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lanシステムとパケット送信方法
JP3945325B2 (ja) 2002-07-01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356010B2 (en) * 2002-12-02 2008-04-08 Ntt Docomo Inc. Point coordinator control passing scheme using a scheduling information parameter set for an IEEE 802.11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2004187021A (ja) * 2002-12-04 2004-07-02 Nec Corp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pcf制御方法
US7239888B2 (en) * 2003-03-20 2007-07-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with multi-device class communication capability
JP4596893B2 (ja) * 2004-11-19 2010-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制御局及び無線制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38B1 (ko) * 2007-07-23 2009-09-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 그룹화를 이용한 무선랜 통신 방법
KR20120018988A (ko) * 2010-08-24 2012-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정보수집 환경에서의 부하 분산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9679A (ko) * 2010-08-26 2012-03-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정보수집 환경에서의 부하 분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05761B2 (en) 2009-03-17
KR100712086B1 (ko) 2007-05-02
JP2006279851A (ja) 2006-10-12
CN1842040A (zh) 2006-10-04
JP4579742B2 (ja) 2010-11-10
EP1708432A2 (en) 2006-10-04
CN100466573C (zh) 2009-03-04
US20060225089A1 (en) 2006-10-05
EP1708432A3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086B1 (ko)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방법
JP3530141B2 (ja) 無線lanシステム及び無線lanシステムの信号衝突回避方法
KR101617321B1 (ko) 와이파이 네트워크에서 차별화된 연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3042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667367B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for resouce reservation
US7602759B2 (en) Wireless LAN system making quality of communication improve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US2013018279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gital stream swapping between signal sources
US20100202426A1 (en) Wireless station and wireless LAN system
JP2006014258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4187297A (ja) Ieee802.11準拠の無線lanのための、スケジューリング情報パラメータセットを使用した集中制御役の受け渡し方法
WO2005011200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33827A (ja) 装置と前記装置の伝送範囲内の複数のコーディネータを備えた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内の共通チャネルを通して伝送を同期させる方法
JP2006261854A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01382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US20060235987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protocol
JP2006246465A (ja) 無線局及び通信方法
JP6069858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7174128A (ja) 通信方法、制御局及び通信装置
JP2004312692A (ja) Qosを支援するポーリングリスト生成装置及び方法
JP6920872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80847A (ko)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법
US20050185614A1 (en) Wireless access point apparatus, wireless LAN system, wireless communicating metho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KR102148315B1 (ko) 웨이크업 프레임 전송 방법, 및 노드 웨이크업 후에 제1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장비
JP4247199B2 (ja) 無線通信装置
WO2005094009A1 (ja) 管理装置、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通信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