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215A - 마감 판재 - Google Patents

마감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215A
KR20060105215A KR1020050027688A KR20050027688A KR20060105215A KR 20060105215 A KR20060105215 A KR 20060105215A KR 1020050027688 A KR1020050027688 A KR 1020050027688A KR 20050027688 A KR20050027688 A KR 20050027688A KR 20060105215 A KR20060105215 A KR 2006010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ard
finishing
lower plate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2467B1 (ko
Inventor
강동원
Original Assignee
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원 filed Critical 강동원
Priority to KR1020050027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46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과 불연성을 갖추며 흡음 및 단열과 차음 기능을 갖고 건축물의 벽면이나 천정에 부착되는 마감 판재에 관한 것으로, 석고보드나 규산질 보드 등 기존에 사용하는 무기질 보드 또는 무기 단열물 혼합물 판재나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시킨 보드를 사용하고, 판재와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벽이나 천정에 부착된 판재의 교체가 용이하고 판재의 표면에 못 자국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판재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암수 연결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판의 상부에 석고보드 또는 규산질 보드를 끼우거나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시킨 보드를 부착하며, 상기 보드의 상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상기 암 연결부에 분리 가능한 ㄷ자 형태의 결합부재를 결합시키되 암연결부와 결합부재가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감판재의 제작시 기성품인 석고보드나 규산질 보드를 끼워 제작하거나, 우렌탄 등의 유기물질을 발포시켜 채우도록 하여 간단히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시공시에 마감판재의 결합이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마감재, 천정, 벽, 교체, 결합

Description

마감 판재{Ending board}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 판재를 구성하는 하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2실시예 판재를 구성하는 하판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3실시예 판재를 구성하는 하판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 판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 판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3실시예 판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 판재에 마감재를 부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예 판재에 마감재와 마감천을 부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1실시예 판재에 마감재와 스폰지 및 마감천을 부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1실시예 판재의 실시예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1실시예 판재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제1실시예 판재의 또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판재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제2실시예 판재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제3실시예 판재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 판재의 결합 순서를 보인 단면도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 판재의 다른 실시예 결합부재를 사용한 상태의 결합 순서를 보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와 암 연결부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판재 분리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 판재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는 결합부재와 암 연결부의 저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판재의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 판재의 홈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판재의 홈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판재의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 하판의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 하판의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 판재의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 판재에서 결합부재를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 제6실시예의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 제6실시예의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또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 제6실시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 제6실시예의 실시예 단면도
도 45는 도 44에 도시된 판재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6은 도 45의 결합수단 분리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판 20 : 받침살
30 : 암 연결부 31 : 결합홈
35 : 결합부재 36 : 결합돌기
40 : 수 연결부 50 : 보드
51 : 홈 55 : 채움물
55' : 발포물 60 : 마감재
70 : 마감천 75 : 스폰지
100 : 판재
본 발명은 난연성과 불연성을 갖추며 흡음 및 단열과 차음 기능을 갖고 건축물의 벽면이나 천정에 부착되는 마감 판재에 관한 것으로, 석고보드나 규산질 보드 등 기존에 사용하는 무기질 보드 또는 무기 단열물 혼합물 판재나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시킨 보드를 사용하고, 판재와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벽이나 천정에 부착된 판재의 교체가 용이하고 판재의 표면에 못 자국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판재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벽 또는 천정을 마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감재는 원목을 이용하거나, 합판의 상부에 얇은 목재를 부착시킨 것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원목으로 이루어진 마감재는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또한 합판의 상부에 얇은 목재를 붙인 것은 합판의 제조 시 사용되는 접착제와 얇은 목재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제로 인하여 포름알데히드가 방출되므로 새집 증후군을 겪고 있으며, 기존의 판재를 벽이나 천정에 결합하여 부착시키는 경우 부분적으로 판재가 파손되면 이를 간단히 교체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암수 연결부가 양측면에 설치되어 암수 연결부의 결합으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실내에서 발생된 음을 흡수하는 차음성과 함께 단열성을 갖추도록 하는 동시에 몰탈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키고 습도를 조절하는 한편 결로 방지와 탈취 또는 항균작용 및 공기 청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감판재를 출원한 바 있으며(출원번호 10-2004-0079233호) 상기 마감판재는 벽면이나 천정에 암수 결합부를 이용하여 간단히 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인은 마감판재의 부분 교체시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감판재를 쉽게 설치하고 수리할 수 있도록 마감 판재의 결합장치를 국내에 특 허출원(출원번호 10-2005-0001322호)하였고, 상기 선출원 특허에서 고정나사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판과 결합부재를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결합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을 국내에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5-0020815호)한 바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특허는 알루미늄 등으로 압출되어 제작된 하판의 상부에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몰탈을 채우거나, 난연성 물질을 타면하여 채우거나, 부직포 등을 채워주게 되어 제작시간이 걸리고, 난연성과 단열성을 갖추기 위한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난연성과 단열성을 갖추고 흡음 및 단열 차음기능을 갖는 마감판재를 제공함에 있어서, 석고보드나 규산질 보드 등의 무기질 보드 또는 무기단열물 혼합판재나 난연화된 유기 단열물을 발포하여 제작한 보드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기존 석고보드나 규산질 보드의 사용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난연성 및 불연성의 기능이 확실하도록 하는 한편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암수 연결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판의 상부에 석고보드, 규산질 보드 또는 무기질 보드를 끼우며, 상기 보드의 상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상기 암 연결부에 분리 가능한 ㄷ자 형태의 결합부재를 결합시키되 암연결부와 결합부재가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감판재의 제작시 기성품인 석고보드나 규산질 보드를 이용하여 간단히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마감판재의 결 합이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암수 연결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판의 상부에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하여 채우며, 상기 발포물질의 상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상기 암 연결부에 분리 가능한 ㄷ자 형태의 결합부재를 결합시키되 암연결부와 결합부재가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무기 단열물과 유기 물질을 발포하여 채운 마감판재를 제공하는 한편 는 한편 마감판재의 결합이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이나 비철금속 또는 난연 플라스틱이나 난연 유기질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일정길이와 폭을 갖는 하판(10)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암수 연결부(30)(40)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암 연결부(30)에 ㄷ자 형태의 결합부재(35)를 끼워 결합시키되 결합부재(35)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게 하며,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석고보드나 규산질 보드 등의 기존 보드(50)를 채운 후 보드(50)의 상부에 마감재(60)와 마감천(70)을 부착시킨 마감판재(100)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이나 비철금속 또는 난연 플라스틱이나 난연 유기질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일정길이와 폭을 갖는 하판(10)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암수 연결부(30)(40)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암 연결부(30)에 ㄷ자 형태의 결합부재(35)를 끼워 결합시키되 결합부재(35)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게 하며,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무기 단열물 또는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하여 제작한 채움물(55)을 채운 후 채움물(55)의 상부에 마감재(60)와 마감천(70)을 부착시킨 마감판재(100)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알루미늄이나 비철금속 또는 난연 플라스틱이나 난연 유기질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일정길이와 폭을 갖는 하판(10)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암수 연결부(30)(40)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암 연결부(30)에 ㄷ자 형태의 결합부재(35)를 끼워 결합시키되 결합부재(35)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게 하며, 상기 하판(10)에는 일정간격으로 결합공(11)을 형성시킨 후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무기 단열물 또는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하여 발포물(55')로 채우되 상기 발포물(55')이 결합공(11)을 통하여 하부에도 채움물보드(56)가 형성되게 하는 한편 결합부재(35)의 하부에도 채움물보드(57)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발포물(55')의 상부에 마감재(60)와 마감천(70)을 부착시킨 마감판재(100)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판(10)의 상부에 보드(50)나 채움물(55)을 끼워 넣어 판재(100)를 구성하거나, 하판(10)에 직접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하여 채우는 발포물(55')로 채워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하판(10)은 알루미늄이나 비철금속 또는 난연 플라스틱이나 난연 유기질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일정길이와 폭을 갖도록 압출 또는 사출로 형성하고, 하판(10)의 양측에는 암수 연결부(30)(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1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암수 연결부(30)(40) 보다 높이가 낮은 받침살(20)이 형성된다.
상기 하판(10)은 도 1과 같이 양쪽에 암수 연결부(30)(40)가 형성되게 하나의 몸체로 제작하거나 하판(10)을 양분하되 각각 결합돌기(15)와 결합홈(16)을 형성시킨 후 상기 결합홈(16)과 결합돌기(15)를 결합시켜 하판(10)의 폭 넓이를 넓게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홈(16)과 결합돌기(15)는 하판(10)이 서로 결합되어 전방으로 쉽게 빠지지 않는 형태로 제작하면 족하다.
그리고 하판(10)은 도 1과 같이 일정 높이로 받침살(20)을 형성시키거나, 도 2와 같이 받침살(20)을 형성시키지 않을 수도 있으며, 도 3과 같이 하판(10)을 분리시켜 양쪽에 암수 연결부(30)(40)만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하판(10)의 상부에는 보드(50)나 채움물(55)이 채워지거나 발포물(55')이 발포되게 되며, 하판(10)이 분리된 경우는 보드(50)나 채움물(55)의 양쪽에 암수 연결부(30)(40)가 형성되게 부착시켜 제작한다.
하판(10)의 상부에는 석고보드 또는 규산질 보드 등 기존 보드(50)를 크기에 맞춰 가공한 후 끼우거나 부착시키도록 하되, 보드(50)를 하판(10)의 상부에 끼워질 수 있는 폭으로 절단한 후 도 7내지 도 14와 같이 하판(10)에 받침살(20)이 형성된 경우 보드(50)의 하부에 받침살(20)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시킨 후 하판(10)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하고, 도 15와 같이 하판(10)에 받침살(2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보드(50)의 하부에 난연 에폭시 또는 난연성 유기질 접착제와 물유리 또는 무기질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시키도록 하며, 도 16과 같이 양쪽을 분리된 하판(10)을 사용하는 경우는 보드(50)의 양쪽에 암수 연결부(30)(40)가 돌출되도록 상기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된 보드(50) 대신에 도 19와 같이 무기 단열물과 난연화된 유기 물질을 발포하여 제작한 채움물(55)을 상기된 하판(10)의 상부에 채워주거나 유기물질을 직접 발포하여 발포물(55')로 채워지게 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채움물(55) 또는 발포물(55')을 구성하는 재료인 난연화된 유기물질은 우레탄, 페놀, 요소, 멜라민, EVA 등을 발포하여 하판(10)의 상부에서 성형되게 하되 암수 연결부(30)(40)의 높이와 맞추어 주도록 한다.
하판(10)의 상부에 보드(50)를 끼우거나 무기단열물이나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시킨 채움물(55)을 채우거나 하판(10)에 직접 발포하는 발포물(55')을 채운 후에는 보드(50)와 채움물(55) 및 발포물(55')의 상부에 난연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위에 도 7과 같이 메탈라스로 이루어진 마감재(60)를 접착시키거나, 도 8과 같이 마감재(60)의 상부에 난연성 접착제로 마감천(70)을 접착시키거나, 도 9와 같이 마감재(60)의 상부에 스폰지(75)와 마감천(70)을 접착시키거나, 보드(50)의 상부에 마감천(70)만을 접착시킨다.
여기서 하판(10)의 상부에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시켜 발포물(55')로 채워지게 하는 경우 유기물질을 발포시켜 경화되기 전에 마감재(60) 또는 마감천(70)을 접착제 없이 발포된 발포물(55')의 상부에 붙여 줄 수 있다.
상기 마감재(60)는 금속판이나 칼라강판을 사용하거나, 메탈라스 망이나 타공 금속망 또는 철망이나 기타 금속망을 사용하거나 상기 망을 난연 합성수지 또는 난연 합성수지에 안료를 혼합하여 코팅된 망을 사용하거나, 탄소나 그라스 화이버 또는 기타 무기질 화이버로 이루어진 크로스나 망 또는 상기 크로스나 망에 난연 합성수지로 코팅된 망이나 시트 또는 판재를 사용하거나, 난연 섬유사 망이나 천 또는 난연 합성수지로 코팅된 망이나 시트 및 판재 또는 이를 타공한 시트나 판재를 사용하거나, 아크릴 등의 유기질 난연 합성수지 섬유사 천이나 부직포를 붙여 제조된 시트 또는 타공된 시트나 망을 사용하거나, 유기질 화이버나 무기질 화이버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난연 합성수지로 코팅 또는 난연 합성수지에 안료나 무기질 파우더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시트나 판재 또는 타공된 시트나 판재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하판(10)의 상부에 받침살(20)을 형성시킨 경우나 받침살(20)을 형성시키지 않은 경우나 하판(10)을 분리시킨 경우 모두 보드(50)의 상부에 마감재(60), 마감천(70), 스폰지(75) 등을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으며, 도 13 및 도 18과 같이 하판(10)의 하부에는 보드(58)를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하판(10)을 양분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도 17과 같이 하판(10)의 하부에 마감재(60)를 부착시켜 보드(50)의 강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0)의 상부에 끼워진 보드(50)나 하판(10)의 상부에 채워진 채움물(55)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홈(51)을 형성시킨 후 상기 홈(51)에 마감재(60)나 마감천(7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부착시킴으로서, 판재(100)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홈(51)에 끼워진 마감천(70)이나 기타 마감재(60)가 맞닿은 면이 보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홈(51)에는 마감천(70)이 맞닿은 면이 보이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같이 마감천(70)이나 기타 마감재(60)가 서로 맞닿은 면이 보이도록 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판재(100)를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 마감천(70)이나 기타 마감재(60)가 서로 맞닿은 면이 지그재그 형태로 보일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천정 마감재와 동일한 시각 효과를 주기 위해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6내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0)의 상부에 결합공(11)을 형성시킨 후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무기단열물이나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하여 발포물(55')로 채워주어 판재(10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유기물질의 발포시 결합공(11)을 통하여 하판(10)의 하부에는 채움물보드(56)가 형성되게 하며, 결합부재(35)의 하부에는 별도의 채움물보드(57)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상기 하판(10)과 결합부재(35)의 하부에 채움물보드(56)(57)가 형성된 경우 채움물보드(56)(57)에 의해 단열과 흡음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제1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암수 연결부(30)(40)가 형성되고, 상기 암 연결부(30)에는 결합부재(35)가 결합되게 되며, 도 3과 같이 하판(10)을 양분하여 양쪽에 각각 암수 연결부(30)(35)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암 연결부(30)에는 결합부재(35)가 끼움돌기(36)와 끼움홈(31)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돌기(36)와 끼움홈(31)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끼움돌기(36)와 끼움홈(31)에는 서로 끼워질 수 있는 공간(37)(32)을 형성시켜 끼움돌기(36)가 끼움홈(31)의 공간(32)에 끼워진 후 측방향으로 밀어주므로서 끼움돌기(36)가 끼움홈(31)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연결부(3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5)에 끼움돌기(36)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돌기(36)의 대향된 위치의 암 연결부(30)에 끼움홈(31)을 형성시키되 상기 끼움돌기(36)와 끼움홈(31)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의 공간(37)(32)을 두고 형성시키도록 하며, 상기 끼움홈(31)에 형성된 공간(32)에 끼움돌기(36)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돌기(36)의 길이보다 끼움홈(31)에 형성된 공간(32)의 길이를 크게 하고, 끼움돌기(36)나 끼움홈(31)이 연속이거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도 28내지 도 31은 결합부재(35)와 암 연결부(30)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저면도로서 결합부재(35)와 암 연결부(30)가 서로 어긋나게 끼워진 후 끼움돌기(36)가 끼움홈(31)에 끼워지면서 슬라이딩 되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끼움홈(31)과 끼움돌기(36)의 위치를 변환시켜도 무방하고, 결합부재(35)에는 도 23과 같이 끼움돌기(36)만을 형성시켜도 무방한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35)는 벽이나 천정에 고정나사(38)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암 연결부(30)는 상기 결합부재(35)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6 내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36)와 끼움홈(31)이 결합부재(35)와 하판(10)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시킨 상태에서 암연결부(30)에 결합부재(35)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끼움돌기(36)와 끼움홈(31)이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경우 하판(10)과 결합부재(35)의 하부에는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할 때 채움물보드(56)(57)가 형성되게 하여 판재(100)의 전면과 벽 또는 천정사이의 단열과 차음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채움물보드(56)(57)는 끼움홈(31)의 돌출 높이와 맞추어주어 판재(100)의 바닥이 평편함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판재(100)는 도 4 내지 도 6과 도 19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0)의 상부에 보드(50)를 채우거나, 무기 단열물이나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하여 제작한 채움물(55) 또는 발포하여 이루어지는 발포물(55')을 채우고, 상기 보드(50)나 채움물(55)의 상부에 마감천(70)이나 기타 마감재(60)를 부착시켜 구성하게 되며, 하판(10)은 양쪽에 암수 연결부(30)(40)가 형성되게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결합홈(16)과 결합돌기(15)를 이용하여 수 개의 하판(10)을 폭 방향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하판(10)과 암수 연결부(30)(40) 및 받침살(20)과 결합부재(35)는 알루미늄이나 비철금속 또는 난연 프라스틱이나 난연 유기질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또는 사출의 방식으로 제작하고, 마감재(60)는 금속판이나 칼라강판을 사용하거나, 메탈라스 망이나 타공 금속망 또는 철망이나 기타 금속망을 사용하거나 상기 망을 난연 합성수지 또는 난연 합성수지에 안료를 혼합하여 코팅된 망을 사용하거나, 탄소나 그라스 화이버 또는 기타 무기질 화이버로 이루어진 크로스나 망 또는 상기 크로스나 망에 난연 합성수지로 코팅된 망이나 시트 또는 판재를 사용하거나, 난연 섬유사 망이나 천 또는 난연 합성수지로 코팅된 망이나 시트 및 판재 또는 이를 타공한 시트나 판재를 사용하거나, 아크릴 등의 유기질 난연 합성수지 섬유사 천이나 부직포를 붙여 제조된 시트 또는 타공된 시트나 망을 사용하거나, 유기질 화이버나 무기질 화이버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난연 합성수지로 코팅 또는 난연 합성수지에 안료나 무기질 파우더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시트나 판재 또는 타공된 시트나 판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판(10)의 상부에 기성품인 석고 보드 또는 규산질 보드 등의 보드(50)를 가공하여 끼워주도록 하거나, 무기 단열물이나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하여 형성시킨 채움물(55)을 채워주거나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직접 발포하여 발포물(55')를 채워주도록 하여 판재(100)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판(10)의 상부에 받침살(20)이 형성된 제1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하판(1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암수 연결부(30)(40)를 형성하고,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보드(50)를 끼우거나 채움물(55)을 채우거나 직접 발포하는 발포물(55')을 채워주게 되는 것으로, 보드(50)나 채움물(55)은 하부에 받침살(20)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여 끼워주도록 하고, 발포물(55')은 발포하여 채워주도록 하며, 상기 보드(50) 또는 채움물(55)의 상부에는 마감천(70)을 부착시키거나 기타 마감재(60)를 부착시키는 한편 마감재(60)와 스폰지(75) 및 마감천(70)을 부착시키거나 한편 하판(10)의 하부에 별도의 보드(58)를 부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하판(10)에 결합돌기(15)와 결합홈(16)을 이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경우 하판(10)의 폭이 넓어질 뿐 보드(50)와 채움물(55)을 끼우거나 발포물(55')을 채워주는 것은 동일하다.
이 같이 보드(50)나 채움물(55)이 채워진 하판(10)에 형성된 암 연결부(30) 에는 결합부재(35)를 끼우되 상기 결합부재(35)에는 일정간격으로 공간(37)이 형성된 끼움돌기(36)를 형성하고, 암 연결부(30)에도 일정간격으로 공간(32)이 형성된 끼움홈(31)을 형성시킴으로서 끼움돌기(36)가 끼움홈(31)에 형성된 공간(32)을 통하여 끼워지게 한 후 암 연결부(30)를 슬라이딩 시켜 끼움돌기(36)가 끼움홈(31)에 끼워지게 하므로서 결합부재(35)와 암 연결부(30)의 결합이 완료되게 한다.
여기서 끼움돌기(36)가 끼움홈(31)으로 끼워지게 하기 위하여 끼움돌기(36)의 길이보다 끼움홈(31)에 형성된 공간(32)의 길이를 크게 하여 끼움돌기(36)가 공간(32)을 통하여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끼움돌기(36)가 공간(32)에 끼워지면 일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끼움돌기(36)와 끼움홈(31)이 결합되게 한다.
한편 하판(10)에 받침살(20)이 형성되지 않은 제2실시예나 하판(10)을 분리하여 양쪽에 암수 연결부(30)(40)만 형성시킨 제3실시예 모두 보드(50)나 채움물(55)을 채워주는 한편 마감재(60), 마감천(70), 스폰지(75), 보드(58)를 부착시키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3실시예는 하부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암수 연결부(30)(40)와 보드(50) 또는 채움물(55)의 하부에 메탈라스의 마감재(60)를 부착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이나 천정을 마감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설치는 결합부재(35)가 결합된 판재(100)를 벽에 고정나사(38)로 고정시켜 판재(100)를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도 20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5)를 먼저 벽이나 천정에 고정나사(38)로 고정시킨 후 암 연결부(30)를 결합부재(35)에 끼우되 도 28과 같이 결합부재(35)와 암 연결부(30)를 같은 높이에 두지 않고 도 29와 같이 약간 어긋나게 하여 결합부재(35)의 끼움돌기(36)가 끼움홈(31)의 공간(32) 전방에 위치하게 한 후 암 연결부(30)를 결합부재(35) 쪽으로 밀어주면 도 30과 같이 끼움돌기(36)가 끼움홈(31)의 공간(32)에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암 연결부(30)를 슬라이딩 시키면 도 31과 같이 끼움돌기(36)가 끼움홈(31)에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같이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판재(100)가 파손되어 교체를 하고자 할 경우 결합 시와 반대로 판재(100)를 제거한 후 다시 새로운 판재(100)를 결합시키면 판재(100)의 교체가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합부재(35)와 암 연결부(30)를 분리시킬 때 별도의 나사를 풀지 않고 암 연결부(30)를 슬라이딩시킨 후 간단히 들어낼 수 있는 것으로, 판재(100)의 분리가 용이하고, 또한 판재(100)의 결합시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작업성이 뛰어나고, 교체 후 표면에 고정나사 등의 자국이 남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5실시예와 같이 보드(50)나 채움물(55)에 홈(51)을 형성시킨 후 상기 홈(51)에 마감재(60)나 마감천(7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천정에 판재(100)를 부착시켰을 경우 천정에 설치하면 기존 천정마감재와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6실시예와 같이 하판(10)에 결합공(11)을 형성시켜 발포물(55')을 발포시킬 때 하판(10)의 하부로 채움물보드(56)가 형성되게 하는 한편 암연결부(30)에 결합부재(35)를 결합시키는 끼움돌기(36)와 끼움홈(31)은 하판(10) 과 결합부재(35)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끼움돌기(36)와 끼움홈(31)이 하부로 돌출된 경우는 그 형상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결합부재(35)의 하부에도 하판(10)의 하부에 형성된 채움물보드(56)와 높이가 같은 채움물보드(57)를 형성하여 부착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끼움돌기(36)와 끼움홈(31)이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편 하판(10)에 결합공(11)이 형성되어 하판(10)에 채워지는 발포물(55')이 하판(10)의 상부에 발포되어 채워지는 동시에 결합공(11)을 통하여 하판(10)의 하부에서 채움물보드(56)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에는 유기물질의 발포로 이루어진 채움물보드(56)(57)가 하판(10)과 결합부재(35)의 하부에 형성되고, 판재(100)의 설치시 상기 채움물보드(56)(57)가 서로 맞붙어 설치되므로, 단열과 차음 및 흡음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석고보드 또는 규산질 보드 등의 기존 보드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이나 천장에 쉽게 결합시켜 부착시킬 수 있으며, 결합 후 수리를 위하여 간단히 분리 결합시킬 수 있는 마감판재에 관한 것으로, 기존 보드를 활용하여 판재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기 혼합 물질이나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한 채움물을 이용하여 판재를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판재의 난연과 단열화를 이룰 수 있는 한편 판재의 분리와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일정 폭의 양쪽으로 암수 연결부(30)(40)가 각각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하판(10)과,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살(20)과,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채워지는 혼합물의 상부에 부착되는 마감천(70) 및 기타 마감재(60)와, 상기 암 연결부(30)에 끼워지는 ㄷ자 형태의 결합부재(35)로 이루어지는 판재(100)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5)에 끼움돌기(36)를 형성하되 끼움돌기(36)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끼움돌기(36)에 대향된 방향의 암 연결부(30)에 끼움홈(31)을 형성시키되 상기 끼움홈(31)에 일정간격으로 끼움돌기(36)가 끼워지는 공간(32)을 형성시키며,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보드(50)를 결합시키되 보드(50)의 하부에 하판(10)의 받침살(20)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시킨 후 상기 보드(50)의 홈에 하판(10)의 받침살(20)이 끼워지게 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보드(20)의 상부에 마감천(70) 및 기타 마감재(60)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2. 일정 폭의 양쪽으로 암수 연결부(30)(40)가 각각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하판(10)과,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채워지는 단열 혼합물의 상부에 부착되는 마감천(70) 및 기타 마감재(60)와, 상기 암 연결부(30)에 끼워지는 ㄷ자 형태의 결합부재(35)로 이루어지는 판재(100)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5)에 끼움돌기(36)를 형성하되 끼움돌기(36)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끼움돌기(36)에 대향된 방향의 암 연결부(30)에 끼움홈(31)을 형성시키되 상기 끼움홈(31)에 일정간격으로 끼움돌기(36)가 끼워지는 공간(32)을 형성시키며,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보드(50)를 가공하여 끼워 결합시키고, 상기 보드(50)의 상부에 마감천(70) 및 기타 마감재(60)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3. 분리된 암수 연결부(30)(40)의 내측에 채워지는 단열 혼합물의 상부에 부착되는 마감천(70) 및 기타 마감재(60)와, 상기 암 연결부(30)에 끼워지는 ㄷ자 형태의 결합부재(35)로 이루어지는 판재(100)에 있어서,
    보드(50)의 양쪽에 하판(10)을 분리시켜 이루어진 암수 연결부(30)(40)를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보드(50)와 암수 연결부(30)(40)의 하부에 메탈라스의 마감재(60)를 부착시키며, 상기 보드(50)의 상부에 마감천(70) 및 기타 마감재(60)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4. 일정 폭의 양쪽으로 암수 연결부(30)(40)가 각각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하판(10)과,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채워지는 단열 혼합물의 상부에 부착되는 마감천(70) 및 기타 마감재(60)와, 상기 암 연결부(30)에 끼워지는 ㄷ자 형태의 결합부재(35)로 이루어지는 판재(100)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5)에 암연결부(30)와 만나는 부위에 끼움돌기(36)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돌기(36)는 하부를 향하게 하고, 상기 끼움돌기(36)에 끼워지는 끼움 홈(31)을 암 연결부(30)에 상기 끼움홈(31)은 하판(10)의 하부를 향하게 하며, 상기 하판(10)에는 결합공(11)을 형성시킨 후 하판(10)의 상부에 난연화된 유기물질을 발포하여 발포물(55')을 채우되 상기 발포물(55')이 결합공(11)을통하여 하판(10)의 하부에 채움물보드(56)를 형성하고, 결합부재(35)의 하부에도 채움물보드(57)를 형성시킨 후 상기 발포물(55')의 상부에 마감천(70) 및 기타 마감재(60)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판(10)의 상부에 무기 단열물이나 유기 물질을 발포하여 제작한 채움물(55)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결합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판(10)의 하부에 보드(58)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결합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판(10)의 상부에 끼워진 보드(50)나 채움물(55)에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홈(51)을 형성시킨 후 상기 홈(51)에 마감천(70)이나 기타 마감재(60)를 끼워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결합장치.
KR1020050027688A 2005-04-01 2005-04-01 마감 판재 KR10068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688A KR100682467B1 (ko) 2005-04-01 2005-04-01 마감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688A KR100682467B1 (ko) 2005-04-01 2005-04-01 마감 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215A true KR20060105215A (ko) 2006-10-11
KR100682467B1 KR100682467B1 (ko) 2007-02-16

Family

ID=3763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688A KR100682467B1 (ko) 2005-04-01 2005-04-01 마감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4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72047A (zh) * 2009-07-01 2012-05-23 南廷武 外墙面板及其制造方法
WO2016137193A1 (ko) * 2015-02-27 2016-09-01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865191B1 (ko) * 2016-12-12 2018-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구비한 이동주택
CN117107910A (zh) * 2020-07-21 2023-11-24 唐腊辉 一种房箱体的组装结构
CN117108603A (zh) * 2020-07-17 2023-11-24 唐腊辉 一种板材与板材的扣锁发泡膨胀拼接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275Y1 (ko) 2010-03-17 2012-12-21 (주)성림중공업 솔리드형 합성목재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896Y1 (ko) * 1991-11-13 1994-06-15 조창진 이중교환 타일
US5417020A (en) 1992-08-12 1995-05-23 Dobija; Michael J. Wall system providing an array of individual panels
US6098363A (en) 1996-08-21 2000-08-08 Southco Support panel for supporting external wall forming members
KR100242818B1 (ko) 1998-01-23 2000-02-01 프랑소와보네 조립식 벽면 장치용 패널
KR100468460B1 (ko) * 2002-06-29 2005-01-27 주식회사 씨알에스 시스템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72047A (zh) * 2009-07-01 2012-05-23 南廷武 外墙面板及其制造方法
WO2016137193A1 (ko) * 2015-02-27 2016-09-01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865191B1 (ko) * 2016-12-12 2018-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구비한 이동주택
CN117108603A (zh) * 2020-07-17 2023-11-24 唐腊辉 一种板材与板材的扣锁发泡膨胀拼接结构
CN117107910A (zh) * 2020-07-21 2023-11-24 唐腊辉 一种房箱体的组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467B1 (ko) 200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467B1 (ko) 마감 판재
SK7892003A3 (en) Wall boards or panel boards for use in interior construction and dry construction
CN201460097U (zh) 拼装式墙地板及由此拼装成的墙地板结构
KR200397710Y1 (ko) 실내 벽면마감용 판넬구조
JPH11287020A (ja) 防音外装材
KR100682481B1 (ko) 마감용 판재
KR100682471B1 (ko) 마감 판재
KR100682472B1 (ko) 판재의 결합장치
KR20090010130A (ko) 실내 장식용 조립식 타일
JP5313581B2 (ja) 壁用パネル材
GB2484073A (en) Wall panelling system
KR100682468B1 (ko) 마감재용 보드
KR100682466B1 (ko) 마감 판재의 결합장치
KR100682480B1 (ko) 마감용 판재
KR100682464B1 (ko) 마감 판재
KR102375577B1 (ko) 산업, 건축용 미끄럼방지 인테리어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JPH07103664B2 (ja) サイディングボート
JPH0421376Y2 (ko)
CN208105539U (zh) 一种外墙保温板
JP4458865B2 (ja) 壁材の取付方法
JP4416520B2 (ja) 下地兼取付部材
JPH0819755B2 (ja) サイディングボード
JP4416519B2 (ja) 下地兼取付部材
JP4142781B2 (ja) 建築用パネル
JPH0346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