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464B1 - 마감 판재 - Google Patents

마감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464B1
KR100682464B1 KR1020040079233A KR20040079233A KR100682464B1 KR 100682464 B1 KR100682464 B1 KR 100682464B1 KR 1020040079233 A KR1020040079233 A KR 1020040079233A KR 20040079233 A KR20040079233 A KR 20040079233A KR 100682464 B1 KR100682464 B1 KR 10068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le
lower plate
finishing
female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390A (ko
Inventor
강동원
Original Assignee
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원 filed Critical 강동원
Priority to KR102004007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46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마감재로 사용되는 마감 판재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내벽 또는 천정에 설치가 용이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흡음, 차음, 습도조절, 탈취, 보온 단열, 결로 방지, 항균 기능을 갖추게 하고 상기 기능중 특정 기능을 더욱 좋게 하여 이루어지며 난연성 또는 불연성을 필요에 따라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측에 암수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받침살이 형성되며 알루미늄 또는 난연 합성수지의 압출로 이루어진 하판 또는 암수 연결부와 받침살을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로 동시에 압출하거나 부분적으로 압출하고 하판은 석고보드나 규산질보드 등의 기존 보드나 판재에 받침살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하판의 상부와 받침살 사이에 흡음 및 원적외선 방출과 습도조절 및 탈취가 가능한 몰탈을 채워주고, 상기 몰탈과 받침살 및 암수 연결부의 상측에 금속망이나 무기질 화이버 망이나 방염화된 유기질 합성수지 망이나 화이버 망으로 제작된 상부망을 색감이 있게 코팅하여 난연 접착제로 접착시켜 마감하거나 접착시킨 후 코팅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망의 상부 또는 몰탈 위에 방염 직물벽지 또는 흡음이 가능한 일반벽지를 난연 접착제로 접착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면이 직물벽지나 벽지로 이루어져 별도의 마감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몰탈에서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는 한편 직물벽지의 직조 구멍이나 일반 벽지의 흡음구멍을 통하여 밀도가 낮은 몰탈이나 부직포에서 흡음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며, 몰탈이나 부직포 에서 흡음 또는 습도조절과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직물벽지의 표면에 항균제 및 광촉매를 코팅하여 항균과 공기 청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판재. 마감재. 몰탈. 결합

Description

마감 판재{Ending board}
도 1은 본 발명의 마감판재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감판재를 구성하기 위한 하판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감판재를 구성하기 위한 하판에 몰탈을 채운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감판재를 구성하기 위한 상부망을 씌운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감판재를 구성하기 위한 직물벽지를 씌운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판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판에 결합수단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결합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1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하판 실시예와 함께 결합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받침살을 분리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받침살을 부착시킨 상태의 하판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암수 연결부 분리상태 측면도
도 29는 도 28의 암수 연결부에 판재를 끼운 상태의 측면도
도 30은 도 29의 판재 측면에 몰탈을 채운 상태의 측면도
도 31은 도 30을 이용하여 제작한 마감판재의 측면도
도 32는 도 28의 암수 연결부에 판재를 끼운 실시예 측면도
도 33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하판 실시예에 따른 끼움수단의 실시예 측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직물벽지 측면 및 부분 확대도
도 45는 본 발명의 마감판재에 석고보드를 부착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46내지 도 51은 본 발명 마감판재의 암수 연결부 실시예 측면도
도 52내지 도 54는 본 발명 마감판재의 연결 상태 실시예 측면도
도 5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마감판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판 20 : 받침살
30 : 암 연결부 33,44 : 결합턱
35,45 : 끼움수단 40 : 수 연결부
50 : 몰탈 60 : 상부망
70 : 직물벽지 80 : 결합수단
90 : 판재 95 : 석고보드
본 발명은 실내 마감재로 사용되는 마감 판재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내벽 또는 천정에 설치가 용이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흡음, 차음, 습도조절, 보온 단열, 결로 방지, 항균, 탈취 기능을 갖추는 한편 난연성 또는 불연성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실내의 벽면이나 천정 마감재로는 벽지나 석고보드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 벽지나 석고보드는 소음을 흡수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실내 환경을 개선시키는 효과는 전혀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판상의 부재 표면에 흡음 목적의 표면 처리시공을 별도로 행하여 벽 전체에 부착하여 도배지가 필요 없이 사용하거나, 별도의 천정재가 필요 없이 천정에 사용되는 한편 칸막이 벽이나 패널 형태의 방음, 단열 흡음시설은 유리섬유(fiber glass fabric) 또는 미네랄 및 세라믹 울, 폴리에치렌 폼 또는 우레탄 폼과 같은 발포 폼의 양면에 합판, 플라스틱판과 같은 경질 판을 접합시켜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위와 같은 경우는 흡음시설의 내부에 충입된 흡음재에 음파가 직접 닿게 하여 음반사율을 감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흡음패널은 그라스울 패널과 유사하게 양면 칼라철판 대신 타공판을 우레탄 접착제나 에폭시 접착제를 한 면에 바르고 그라스울 매트를 두께만큼씩 재단하여 압축강도에 견딜 수 있게 밀착하여 밀도가 놓게 한 후 그 위에 상기된 타공판을 접착시키고, 상기 타공판의 양면에 흡음 직물벽지를 접착제로 부착하여 이루어지거나, 힘을 더 받을 수 있도록 사면에 힘받이 프레임을 패널의 사면에 끼워 넣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된 흡음패널을 구성하는 흡음 직물벽지는 접착성이 용이하고 천이 울지 않게 하기 위하여 뒷면에 에멀젼 등의 접착제로 코팅을 하여 접착시키게 되어 흡음 직물벽지의 직조사이 구멍이 접착제로 막히게 되며, 그 위에 다시 접착제를 발라 타공판을 부착하게 되므로, 이 경우 흡음 직물벽지의 직조시 형성된 구멍이 막혀 발생음이 천에서 일부 흡수될 뿐 많은 량이 흡음 직물벽지의 직조 구멍을 막은 접착제의 경도에 따라 반사되어 버리고 타공판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어 소멸되는 음의 량이 적을 뿐 아니라 흡음재인 그라스울 매트도 지지력과 방음성 및 단열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압착하여 사용하게 되고 또한 타공판의 접착에 의해 흡음능력이 부족하여 단지 흡음기능은 적고 단열패널로서의 기능은 크게 갖도록 제작되므로 발생음을 확실하게 흡수하지 못하고 반사시키는 경우가 많은 것이었다.
그리고 기존의 마감재용 패널은 흡음의 기능만 일부 수행할 뿐 마감패널로부터 실내의 거주자가 건강에 이로움을 받지 못하는 것이었으며, 새집 증후군이나 원적외선에 노출되게 하거나 실내공기를 청정시키는 기능은 전혀 기대할 수 없는 한편 실내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습도 조절기를 활용하여야 하는 것이었다.
또한 기존의 마감재용 패널은 설치 및 시공 후 항균제를 별도로 뿌려주어야만 항균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나 탈취를 위해서 별도의 탈취나 결로 방지 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실내의 벽이나 천정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마감판재에 관한 것으로, 암수 연결부가 양측면에 설치되어 암수 연결부의 결합으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실내에서 발생된 음을 흡수하는 차음성과 함께 단열성을 갖추도록 하는 동시에 몰탈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키고 습도를 조절하는 한편 결로 방지와 탈취 또는 항균작용 및 공기 청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수 연결부의 형성으로 마감판재의 설치와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마감판재의 내부 구성물에 따라 마감판재 또는 흡음판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측에 암수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받침살이 형성되며 알루미늄 또는 난연 합성수지의 압출로 이루어진 하판 또는 암수 연결부와 받침살을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로 동시에 압출하거나 부분적으로 압출하고 하판은 석고보드나 규산질보드 등의 기존 보드나 판재에 받침살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하판의 상부와 받침살 사이에 흡음 및 원적외선 방출과 습도조절 및 탈취가 가능한 몰탈을 채워주고, 상기 몰탈과 받침살 및 암수 연결부의 상측에 금속망이나 무기질 화이버 망이나 방염화된 유기질 합성수지 망이나 화이버 망으로 제작된 상부망을 색감이 있게 코팅하여 난연 접착제로 접착시켜 마감하거나 접착시킨 후 코팅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망의 상부 또는 몰탈 위에 방염 직물벽지 또는 흡음이 가능한 일반벽지를 난연 접착제로 접착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면이 직물벽지나 벽지로 이루어져 별도의 마감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몰탈에서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는 한편 직물벽지의 직조 구멍이나 일반 벽지의 흡음구멍을 통하여 밀도가 낮은 몰탈이나 부직포에서 흡음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며, 몰탈이나 부직포에서 흡음 또는 습도조절과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직물벽지의 표면에 나프텐산이나 기타 금속염의 항균제 및 광촉매를 코팅하여 항균과 공기 청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직물벽지는 흡음이 잘되게 성형시킨 섬유사천이나 엠보싱 또는 비로드 형태를 갖도록 직조한 섬유사천을 사용하거나 기존의 흡음이 가능한 형태로 타공된 벽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직물벽지는 끝 부분에 일부만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직물벽지를 쉽게 분리시킨 후 새로운 직물벽지를 접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직물벽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수 연결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암수 연결부 사이에 별도의 하판을 결합시켜 사용하는 한편 하판의 상부에 받침살을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별도로 형성하여 접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암수 연결부 사이에 별도의 판재를 결합시킨 후 판재의 상부 받침살 사이면에 몰탈이나 부직포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이나 칼라강판 등의 금속재 또는 난연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일정길이와 폭을 갖는 하판(10)의 양측에 암수 연결부(30)(40)를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별도로 형성시켜 하판(10)과 결합시키도록 하고,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받침살(20)을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별도로 형성하여 하판(10)의 상부에 접착 고정시키도록 하며, 상기 하판(10)의 상부에는 다양한 재질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몰탈(50)을 채운 후 상기 몰탈(50)의 상측으로 다양한 재질과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망(60)을 접착시켜 표면에 필요한 질감이 있게 코팅하거나 코팅후 접착시켜 마감판재(100)가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상부망(60)의 상부에 마감 재료인 직물벽지(70)를 부착시킴으로서 마감판재(100)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하판(10)은 메탈라스나 금속재질의 망이나 판재 또는 난연 합성수지의 망이나 시트 그리고 판재나 타공판재 또는 난연합성수지 재질의 화이바나 일반섬유사로 이루어진 망이나 천 또는 난연합성 수지코팅이나 무기질 파우더와 안료를 난연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이루어진 망이나 시트 또는 타공하여 만든 타공판 또는 석고보드나 기타 무기질 보드나 난연재질의 각종 판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하판(10)은 도 8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0)의 폭 방향을 분리한 후 서로 끼워져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80)을 설치하여 하판(10)이 적은 폭을 갖고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이 같이 결합수단(80)을 형성하여 하판(10)을 서로 결합시키는 경우는 하판(10)이 얇고 넓어 힘을 받지 못하는 경우와 하판(10)의 압출 성형이 얇게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하판(10)의 넓이를 줄여 성형이 이루어지게 한 후 결합수단(80)으로 결합시킴으로서 하판(10)의 면적을 확보하는 동시에 결합수단(8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쳐지지 않게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판재의 넓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판(1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수 연결부(30)(40)는 도 14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암 연결부(30)가 벽면이나 천정에 못이나 타커핀으로 고정시킨 후 수 연결부(40)가 끼워지도록 하여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암수 연결부(30)(4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나, 암수 연결부(30)(40)를 서로 결합시켜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는 형태를 갖추면 족하다.
여기서 암수 연결부(30)(40)는 상기와 같이 하판(10)과 일체로 형성되게 하거나 도 26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0)과 암수 연결부(30)(40)를 서로 분리하여 형성시키되 상기 하판(10)과 암수 연결부(30)(40)는 끼움수단(35)(45)에 의하여 하판(10)의 양측에 암수 연결부(30)(40)가 끼워져 마감판재(100)의 하판(10)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끼움수단(35)(45)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암수 연결부(30)(40)가 하판(10)에 끼워져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 구조면 족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암수 연결부(30)(40)는 도 46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80)을 이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2내지 도 54와 같이 암수 연결부(30)(40)를 결합수단(80)으로 결합시키는 한편 하판(10)을 결합수단(80)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수단(80)은 그 구조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암수 연결부(30)(40) 및 하판(10)에 구비되는 결합수단(80)은 그 형태를 각기 다르게 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하판(10)의 상측에는 받침살(20)을 일정간격을 갖고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하판(10)과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하판(10)과 분리시켜 형성시킨 후 하판(10)의 상부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 28내지 도 32와 같이 분리된 암수 연결부(30)(40)사이에 다른 판재(90)를 끼우되 암수 연결부(30)(40)에 각각 결합턱(33)(44)을 형성시키고 상기 결합턱(33)(44)에 판재(90) 또는 유기질이나 무기질의 망이나 금속재질의 망이나 타공판을 끼우도록 하며, 판재(90)가 암수 연결부(30)(40)사이에 끼워질 경우는 받침살(20)을 형성시키지 않고 판재(90)의 측면에 몰탈(50)을 채워주도록 한다.
하판(10)의 상부 또는 받침살(20)사이에는 몰탈(50)을 충진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몰탈(50)은 원적외선 방출, 흡음, 보온단열, 습도조절, 방음, 결로방지, 항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숯을 난연 에폭시 또는 난연성 유기질 접착제와 물유리 또는 무기질 접착제로 혼합하거나, 황토를 난연 에폭시 또는 난연성 유기질 접착제와 물유리 또는 무기질 접착제로 혼합하거나, 숯과 황토를 난연 에폭시 또는 난연성 유기질 접착제와 물유리 또는 무기질 접착제로 혼합하거나, 숯에 펄라이트 또는 질석 또는 기타 무기질 발포소재 또는 무기질 화이바 칩을 에폭시 또는 난연성 유기질 접착제와 물유리 또는 기타 무기질 접착제로 혼합하거나, 황토를 펄라이트 또는 질석 또는 기타 무기질 발포소재 또는 무기질 화이바 칩을 난연 에폭시 또는 난연성 유기질 접착제와 물유리 또는 기타 무기질 접착제로 혼합하거나, 황토와 숯을 펄라이트 또는 질석 또는 기타 무기질 발포소재 또는 무기질 화이바 칩을 난연 에폭시 또는 난연성 유기질 접착제와 물유리 또는 기타 무기질 접착제로 혼합하거나, 숯에 펄라이트 또는 질석 또는 기타 무기질 발포소재 또는 무기질 화이바 칩을 2종류 이상 복합으로 혼합하여 난연 에폭시 또는 난연성 유기질 접착제와 물유리 또는 기타 무기질 접착제로 혼합하거나, 황토에 펄라이트 또는 질석 또는 기타 무기질 발포소재 또는 무기질 화이바 칩을 2종류 이상 복합으로 혼합하여 난연 에폭시 또는 난연성 유기질 접착제와 물유리 또는 기타 무기질 접착제로 혼합하거나, 황토와 숯에 펄라이트 또는 질석 또는 기타 무기질 발포소재 또는 무기질 화이바 칩을 2종류 이상 복합으로 혼합하여 난연 에폭시 또는 난연성 유기질 접착제와 물유리 또는 기타 무기질 접착제로 혼합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몰탈(50)과 받침살(20) 및 암수 연결부(30)(40)의 상부에는 난연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위에 상부망(60)을 접착시키고 상기 상부망(60)의 상부에 난연성 접착제로 직물벽지(70)나 일반벽지를 접착시킴으로서 마감판재(100)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망(60)은 금속판이나 칼라강판을 사용하거나, 메탈라스 망이나 타공 금속망 또는 철망이나 기타 금속망을 사용하거나 상기 망을 난연 합성수지 또는 난연 합성수지에 안료를 혼합하여 코팅된 망을 사용하거나, 탄소나 그라스 화이버 또는 기타 무기질 화이버로 이루어진 크로스나 망 또는 상기 크로스나 망에 난연 합성수지로 코팅된 망이나 시트 또는 판재를 사용하거나, 난연 섬유사 망이나 천 또는 난연 합성수지로 코팅된 망이나 시트 및 판재 또는 이를 타공한 시트나 판재를 사용하거나, 아크릴 등의 유기질 난연 합성수지 섬유사 천이나 부직포를 붙여 제조된 시트 또는 타공된 시트나 망을 사용하거나, 유기질 화이버나 무기질 화이버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난연 합성수지로 코팅 또는 난연 합성수지에 안료나 무기질 파우더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시트나 판재 또는 타공된 시트나 판재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감판재(100)는 최종 마감재로서 직물벽지(70)를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직물벽지(70)는 마감판재(100)의 표면에 부착될 때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벽지(70)의 끝부분만 일부 접착제(71)를 도포하 여 직물벽지(70)를 교체할 때 쉽게 분리가 이루어져 다른 무늬 또는 색상과 모양의 직물벽지(7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직물벽지(70)를 접착시키지 않고 상부망(60)만을 접착시켜 마감판재(10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상부망(60)은 난연 유기질 화이버 또는 무기질 화이버 또는 상기와 혼용된 난연 부직포를 부착하여 표면에 필요한 표면질감과 색감이 있게 제조된 것을 부착하여 마감하거나, 마감 부착된 후 표면 질감이 있게 코팅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난연 유기질 화이버 재료인 난연 아크릴 화이버, 난연 폴리에스텔 화이버 또는 난연 유기질로 제조된 화이버를 타면할 때 난연 접착 화이버를 원면 중량의 15-30%를 동시에 타면하여 판재가 필요한 두께와 넓이가 이루어지면 150-200oC의 열풍을 가하여 난연접착 화이버를 녹여서 상온 바람으로 냉각시켜 매트, 포그매트, 롤을 만들고 펠트는 화이버사를 얼기설기 일정한 두께로 만든 후 펀칭하여 제조하되 판재의 규격에 맞게 제작하거나 넓게 제작한 후 규격에 맞추어 절단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판재의 내부에 사용되는 그라스 화이버나 탄소 화이버 또는 무기질로 제조된 화이버로 매트, 포그매트, 롤, 펠트를 만든 후 규격에 맞추어 재단 사용하거나, 상기 난연 유기질 화이버로 재료들과 혼합하여 마감판재의 규격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에 미장이나 석고 보드 등을 이용한 1차 마감처 리가 되어 있을 경우 마감판재(100)를 직접 벽면이나 천장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나, 벽돌이나 블록을 쌓아 이루어진 벽에 미장마감이나 보드 마감이 되어 있지 않을 경우 도 45와 같이 마감판재(100)의 하판(10) 하부에 미장 마감재인 석고보드(95) 또는 기타 각종 보드나 판재를 부착하여 마감처리와 함께 마감판재(1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5와 같이 석고 보드(95) 등과 같은 미장 마감재의 일측면에 암수 연결부(30)(40)와 받침살(20)을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한 후 받침살(20)사이에 몰탈(50)을 채워 마감판재(10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하판(10)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이 같이 본 발명은 흡음과 습도조절 및 방재가 가능하고 별도의 마감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보드를 이용하여 건물의 내벽과 천정을 마감 처리할 수 있는 마감판재(100)에 관한 것으로, 암수 연결부(30)(40)의 끼움으로 시공이 용이하고 흡음이 이루어지며, 내부에 채워진 몰탈(50)로 인하여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또는 습도조절과 결로 방지가 가능하고, 표면에 노출되는 직물벽지(70)에 광촉매를 항균제와 혼합하여 코팅하므로서 실내공기를 청정시키거나 항균 기능을 더욱 좋게 수행하게 하는 한편 직물벽지(70)의 외측만 접착시켜 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마감판재(100)는 도 1과 같이 하판(10)의 양측에 암수 연결부(30)(40)를 형성시키고,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받침살(20)을 형성시킨 후 하판(10)의 상부와 받침살(20) 사이에 몰탈(50)을 채운 후 몰탈(50)의 상 부와 받침살(20)의 상부 및 암수 연결부(30)(40)에 걸쳐서 상부망(60)을 접착시킨 후 상기 상부망(60)의 상부와 암수 연결부(30)(40)의 상부에 직물벽지(70)를 접착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감판재(100)는 암수 연결부(30)(40)를 서로 결합시켜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벽면이나 천장 등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마감판재(100)는 하판(10)을 분리하여 제작한 후 도 8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80)을 이용하여 하판(10)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 8과 같이 결합수단(80)이 하판(10)의 일측이 얹어져 결합되게 하거나, 도 9와 같이 결합수단(80)이 하판(10)의 일측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게 하거나, 도 10내지 도 13과 같이 하판(10)의 일측이 타측에 이중으로 끼워져 유동되지 않게 하는 결합수단(80)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 같이 하판(10)을 분리한 후 분리된 하판(10)을 결합수단(80)에 의해 결합시킬 경우 결합수단(80)에 의해 힘을 받도록 하는 한편 얇은 하판(10)을 틀어지지 않는 상태로 제작할 수 있다.
마감판재(100)는 직물벽지(70)와 상부망(60)을 통하여 표면의 음이 몰탈(50)로 흡수되어 흡음이 이루어지게 되고, 몰탈(50)의 재료인 숯이나 황토 또는 나푸덴산동으로 인하여 습도조절 및 원적외선 방출 또는 탈취와 항균이 이루어지게 되며, 직물벽지(70)에 코팅되는 광촉매와 항균제로 인하여 새집 증후군을 없애는 한편 곰팡이가 피지 않고 실내 공기를 청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마감판재(100)의 하판(10)은 도 33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수 연결부(30)(40)와 별도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는 하판(10)과 암수 연결부(30)(40)가 끼움수단(35)(45)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하판(10)의 양측에 암수 연결부(30)(40)를 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끼움수단(35)(45)은 하판(10)과 암수 연결부(30)(4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끼우고 끼워주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하판(10)과 암수 연결부(30)(4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좌우측 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된 끼움수단(35)(45)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수단(30)(40)과 하판(10)은 도 46내지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암수 연결부(30)(4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80)의 구조를 다르게 하여 결합시키거나 동일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한편 하판(10)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80)과 암수 연결부(30)(4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80)의 모양을 다르게 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받침살(20)은 하판(1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시키거나 도 26과 같이 하판(10)과 받침살(20)을 분리시켜 성형시킨 후 받침살(20)을 하판(1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접착시켜 도 27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암수 연결부(30)(40)를 하판(10)과 분리하여 제작하는 경우 도 28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 연결부(30)(40)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턱(33)(44)을 형성시키고 상기 결합턱(33)(44)에 판재(90)를 얹어서 피스나 접착제로 연결하거나 끼워줄 수 있는 것으로, 결합턱(33)(44)의 형상과 설치위치는 변경이 가능하고, 판재(90)의 위치도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마감판재(100)를 구성하는 하판(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하판(10)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암수 연결부(30)(40)는 도 33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어떤 경우라도 암수 연결부(30)(40)의 결합에 의해 마감판재(10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암수 연결부(30)(40)는 그 형상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암 연결부(30)에 수 연결부(40)가 결합되게 되고, 암수 연결부(30)(4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측면으로만 분리되고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마감판재(100)의 설치 후 이탈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45와 같이 마감판재(100)의 하판(10) 하부에 석고보드(95)를 부착시켜 석고보드(95)의 부착과 마감판재(100)의 시공이 한꺼번에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직물벽지(70)는 도 44와 같이 측면 하부에 접착제(71)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접착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직물벽지(70)를 뜯어내기가 용이하도록 하여 직물벽지(70)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직물벽지(70)는 마감판재(100)의 표면에 노출되는 관계로 사용 기간이 지나면 싫증이 나거나 오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는 직물벽지(70)만을 떼어내고 새로운 직물벽지의 부착시켜 사용하기 위하여, 직물벽지(70)를 떼어내기 용이하도록 직물벽지(70)의 끝부분만 접착제(71)를 이용한 접착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마감판재(100)는 도 55와 같이 석고보드(95)의 일측에 별도로 제작되는 암수 연결부(30)(40)와 받침살(20)을 부착시켜 제작할 수 있는 것으 로, 이 경우 하판(10)을 사용하지 않고도 마감판재(100)의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감판재(100)는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건축 마감재 및 흡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실내에서 발생된 음이 직물벽지(70)와 상부망(60)에서 흡수가 이루어지는 한편 직물벽지(70)와 상부망(60)을 통과한 음은 몰탈(50)에서 흡수되도록 하여 방음 및 차음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내의 마감 보드로 사용되어 실내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몰탈(5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항균 및 습도조절과 결로방지 그리고 탈취 및 보온 단열 효과를 볼 수 있는 한편 직물벽지(70)의 표면에 코팅되는 항균제와 광촉매로부터 곰팡이 방지와 공기청정의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마감판재(100)를 마감재와 흡음재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하판(10)과 몰탈(50) 및 상부망(60)과 직물벽지(70)의 재질을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서 제시된 구성물을 응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변경은 가능하나,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활용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마감판재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직물벽지로 이루어져 별도의 마감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실내의 벽면이나 천정에 시공할 수 있고, 내부에 채워진 몰탈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이 원적외선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실내에서 발생된 음이 직물벽지를 통하여 밀도가 낮은 몰탈에서 흡수되게 되어 실내음을 흡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몰탈에서 실내습도를 조절 과 보온 단열 그리고 항균 탈취와 차음 효과 및 결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직물벽지에 광촉매와 항균제를 배합하여 코팅하므로서 공기정화 효과를 보는 한편 난연성 또는 불연성 재질로 제작되어 방재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마감판재를 이용한 간단한 실내 마감이 가능하고, 실내 반사음을 최소화하고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양쪽으로 암수 연결부(30)(40)가 각각 형성되는 하판(10)과,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살(20)과,
    상기 하판(10)의 상부와 받침살(20)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몰탈(50)과,
    상기 하판(10)의 받침살(20) 상부와 암수 연결부(30)(40)의 상부에 접착되는 상부망(60)과,
    상기 상부망(60)의 상부에 접착되는 직물벽지(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암수 연결부(30)(40)는 하판(10)의 양측에 분리시켜 제작하고, 상기 암수 연결부(30)(40)는 하판(10)의 양측과 암수 연결부(30)(40)에 형성된 끼움수단(35)(45)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3. 제1항에 있어서, 암수 연결부(30)(40)는 하판(10)의 양측에 분리시켜 제작하고, 상기 암수 연결부(30)(40)는 하판(10)의 양측과 암수 연결부(30)(40)에 형성된 결합수단(8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4. 제1항에 있어서, 하판(10)은 폭 방향으로 양분시켜 결합수단(80)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5.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암수 연결부(30)(40)와,
    상기 암수 연결부(30)(40)의 대향되는 쪽에 형성되는 결합턱(33)(44)과,
    상기 결합턱(33)(44)사이에 얹어지거나 끼워지는 판재(90)와,
    상기 판재(90)의 측면 공간에 채워지는 몰탈(50)과,
    상기 하판(10)의 받침살(20) 상부와 암수 연결부(30)(40)의 상부에 접착되는 상부망(60)과,
    상기 상부망(60)의 상부에 접착되는 직물벽지(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6. 제1항에 있어서, 하판(10)의 하부에는 미장 마감재인 석고보드(95)나 마감보드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직물벽지(70)는 측면 일부분만 접착제(71)를 도포하여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8. 제6항에 있어서, 석고보드(95)의 일측에 암수 연결부(30)(40)와 받침살(20)을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9. 제1항에 있어서, 암수 연결부(30)(40)사이 받침살(20)과 받침살(20)사이에 몰탈(50)이나 단열소재가 채워진 후 메탈라스 또는 무기질 망이나 유기질 망 또는 부직포를 코팅하여 표면에 부착하거나 부착한 후 코팅하여 마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재.
KR1020040079233A 2004-10-05 2004-10-05 마감 판재 KR10068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233A KR100682464B1 (ko) 2004-10-05 2004-10-05 마감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233A KR100682464B1 (ko) 2004-10-05 2004-10-05 마감 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390A KR20060030390A (ko) 2006-04-10
KR100682464B1 true KR100682464B1 (ko) 2007-02-16

Family

ID=3714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233A KR100682464B1 (ko) 2004-10-05 2004-10-05 마감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67Y1 (ko) * 2011-03-15 2013-04-03 강호운 건축 내장재용 황토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33Y1 (ko) 2002-10-23 2003-02-19 주식회사 쌍용실업 단열벽체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33Y1 (ko) 2002-10-23 2003-02-19 주식회사 쌍용실업 단열벽체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390A (ko) 200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5011A1 (en) Acoustic partition for removable panel finishing system
TWI611077B (zh) 吸音板及其之組合
KR100682467B1 (ko) 마감 판재
JP2001132132A (ja) 有孔吸音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02791A (ko) 흡음 천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82464B1 (ko) 마감 판재
KR20050112945A (ko) 흡음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513B1 (ko) 난연성 패브릭
JPH11287020A (ja) 防音外装材
KR100682468B1 (ko) 마감재용 보드
JP5823268B2 (ja) 外壁の外張り断熱耐火構造
JP7259029B2 (ja) 吸音面を隠すための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ならびに製造方法
KR100682466B1 (ko) 마감 판재의 결합장치
KR100682480B1 (ko) 마감용 판재
KR100682481B1 (ko) 마감용 판재
KR102139231B1 (ko) 멀티기능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멀티기능형 실내장식용 패널
KR100682472B1 (ko) 판재의 결합장치
KR20190001549U (ko) 건축용 마감재
KR20100093715A (ko) 방음 및 단열성을 갖는 내장재
KR100682471B1 (ko) 마감 판재
CN212613191U (zh) 一种节能保温型轻质隔墙结构
KR20090007328U (ko) 흡음재를 일체로 접합 구성한 실내마감재
KR100919374B1 (ko) 방음용 흡음패널의 제조방법
JP4087966B2 (ja) 目地構造
KR200329345Y1 (ko) 건축용 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