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811A -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 - Google Patents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811A
KR20060103811A KR1020057000916A KR20057000916A KR20060103811A KR 20060103811 A KR20060103811 A KR 20060103811A KR 1020057000916 A KR1020057000916 A KR 1020057000916A KR 20057000916 A KR20057000916 A KR 20057000916A KR 20060103811 A KR20060103811 A KR 20060103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amount
filter
odor
cal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테오 우에가키
고키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타테오 우에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테오 우에가키 filed Critical 타테오 우에가키
Publication of KR2006010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60Ventilation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를 수반하는 작업에 있어서의 소취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소취 효율이 높고, 또한 초기 투자비용 및 운전 비용도 저렴한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장 부스(1) 내에 발생한 악취가 섞인 공기를 받아들이는 흡기구(13)과, 흡기구(13)로부터 받아들인 소취제가 섞인 공기중에 소취제를 공급하는 분사 노즐(12a)과, 흡기구(13)로부터 받아들인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구(17a)와, 흡기구(13)로부터 배기구(17a)에 이르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배기 팬(17)과, 배기구(17a)로부터의 배기에 앞서, 소취제가 섞인 공기로부터 그 소취제와 함께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필터(15)를 구비한다.
소취 장치, 소취 방법, 소취제

Description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DEODORIZATION APPARATUS AND DEODORIZATION METHOD}
본 발명은 악취를 수반한 작업에 있어서의 소취(消臭)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 부스 등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악취를 수반한 작업이 실시되는 작업 부스로서, 예를 들면 도장(塗裝) 작업용의 부스(이하, 도장 부스라고 칭한다)가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도장 부스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평 6-328025호 공보에 개시된 도장 부스를 예시할 수 있다.
동(同) 공보에 개시된 도장 부스는, 소취 장치로서, 도장 작업에 따라 발생한 도장 미스트(악취 물질의 하나)를 포집하기 위한 집진 필터 및 집진 필터로 전부 포집할 수 없었던 미립(微粒) 도장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살수(撒水)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우선 흡기 팬에서 작업 부스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작업부스 내에 부유하는 도장 미스트를 집진 필터에 포집한다. 그 다음에, 집진 필터로 포집할 수 없었던 공기 중의 미립 도장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살수 장치로부 터 그 공기 중으로 물을 살포한다. 그리고, 그 살포한 물과 미립 도장 미스트의 부착에 의해, 남는 미립 도장 미스트를 공기 중에서 제거한다. 또한, 부스 바닥면에는 수조(水槽)가 설치되고, 미립 도장 미스트가 섞인 물(오수(汚水))은 이 수조로 낙하ㆍ집수된다. 또한, 수조 내의 오수는 나중에 원심 분리기 등의 오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물과 미립 도장 미스트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도장 부스에서는, 악취 물질인 도장 미스트(미립 도장 미스트를 포함)를 집진 필터 또는 살수 장치에서 포착해서 작업 부스 내의 악취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미립 도장 미스트가 섞인 오수는, 오수 처리 장치에서 분리ㆍ정화하고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한 소취 방법에 관하여 여러가지 개선해야 할 점이 발견되었다.
우선, 물의 살포에 착안하면, 살수 장치에의 물의 인입, 물을 담는 용기인 수조의 설치, 및 오수 처리 장치 등이 도장 부스 장치 본체 외에 별도 필요하게 되고, 도장 부스 설치 당초의 설비비(초기 투자)가 높아진다. 또한, 수조 내의 청소 및 오수 처리 장치 내의 청소 등의 물처리를 수반한 번잡한 유지(maintenance)를 정기적으로 되풀이할 필요도 있다.
또한, 물의 살포는 미립(微粒) 도장 미스트의 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가스 형상의 악취 물질(예를 들면 시너 등의 용제)의 소취에는 그다지 효과가 없었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운전 비용(running cost)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 한번 살포한 물을, 재차 살포용 물로서 이용하지만, 이용 회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그 물자체 도 악취를 띤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배경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소취 효율이 높고, 또한 초기 투자 비용 및 운전 비용도 저렴한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취 장치는, 악취가 섞인 기체를 받아들이는 흡기구(吸氣口)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받아들인 기체 중에 소취제를 공급하는 소취제 공급 장치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받아들인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구(排氣口)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배기구에 이르는 기체의 흐름을 형성하는 기류 형성 장치와, 상기 배기구로부터의 배기에 앞서, 상기 소취제가 섞인 기체 안에서 소취제와 함께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소취 장치로는, 우선 악취가 섞인 기체를 흡기구에 받아들인다. 그 다음으로, 소취제 공급 장치에서, 이 악취가 섞인 기체 안에 소취제를 공급한다. 또한, 기체 중의 악취 물질은 소취제에 흡착한 상태로 배기구를 향해서 흘러, 배기구로부터의 배기에 앞서 필터로 흘러 들어온다. 그리고, 악취 물질은 이 필터에서 소취제와 함께 포집(捕集)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악취 물질을 소취제에 흡착(부착)시킨 상태에서 기류에 태워 그 소취제와 함께 악취 물질을 필터에 포집한다. 따라서, 수조나 오수 처리 장치와 같은 대규모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악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필터 교환 정도의 가벼운 작업으로 소취 효율이 안정된 유지가 가능하다. 또 한, 소취제를 사용해서 악취 물질을 포착하기 위해서 가스 형상의 악취 물질도 효율적으로 소취할 수 있다. 또한, 소취제는 기체 중에 확산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액상의 소취제뿐만 아니라 분체(粉體) 소취제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소취 장치는 악취의 확산을 억제하는 부스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부스 본체 내에 개구된 구성으로서도 좋다. 이 구성은 악취의 확산을 부스 본체에서 억제하고, 또한 부스 본체 내의 악취는 소취 장치에서 소취한다.
또한, 상기 필터의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집면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포집면의 이동에서 포집 효율이 높은 포집면을 기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이동 장치는 포집면의 이동량을 조정하는 이동량 변경 수단과, 상기 포집면에서 포집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집량을 산출하는 포집량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량 변경 수단은 상기 포집량 산출 수단에서 산출한 포집량에 따라 포집면의 이동량을 변경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집량 산출 수단은 상기 부스 본체에 설치되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가동 상태에 의거해 상기 포집량을 산출해도 좋다.
또한, 상기 필터는 악취 및 소취제가 섞인 기체를 외주부(外周部)에서 받아들이는 통(筒) 모양의 필터 기재를 갖고,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필터 기재를 그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포집면을 이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들 구성에서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을 필터로 포집ㆍ제거하는데 있어서, 포집 효율이 높은 포집면을 기류측(소취제 및 악취 물질을 포함하는 기체의 유입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포집한다. 또한, 포집면의 이동량은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집량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포집량」이란, 이들 장치로부터 포집하는 악취 물질 및 소취제의 양 및 이미 포집한 악취 물질 및 소취제량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도장 부스 내의 악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로부터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집량을 구하고, 그 포집량에 따라 포집면의 이동량을 변경한다. 또한, 여기서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란, 도료의 분사량, 도료의 분사압, 도장 시간, 도장 시에 소비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 등, 도장 작업에 따라 변화되는 각종 변화량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취제 공급 장치는 소취제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한 공급량 조정 수단과, 소취해야 할 악취량에 따라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하는 공급량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량 조정 수단은 상기 공급량 산출 수단에서 산출한 공급량에 따라 소취제의 공급량을 조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공급량 산출 수단은, 상기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가동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해야 할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해도 좋다.
이들의 구성은, 소취해야 할 악취량에 따라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공급량에 의거하여 소취제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또한, 본 소취 장치를 도장 부스에 사용할 때는, 도장 부스에 설치된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로부터 소취해야 할 악취량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기류 형성 장치는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송 풍기와, 이 송풍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풍량 조정 수단과, 소취해야 할 악취량을 산출하는 악취량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풍량 조정 수단은 상기 악취량 산출 수단에서 산출한 악취량에 따라 상기 송풍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악취량 산출 수단은 상기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가동 상태에 의거해 상기 악취량을 산출해도 좋다.
이들 구성에서는, 소취해야 할 악취량을 악취량 산출 수단에서 산출하고, 그 산출된 악취량에 의거해 송풍기의 풍량을 조정한다. 또한, 본 소취 장치를 도장 부스에 적용할 경우에는, 도장 부스에 설치되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로부터 악취량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필터에는 케미컬 필터(chemical filter)를 쓰면 좋다.
또한, 상기 소취 장치는 상기 필터 및 소취제 공급 장치를 내부에 구비하고 또한 이 소취제 공급 장치의 주위에 상기 악취가 섞인 기체를 도입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흡기구를 구비한 제 1 케이싱 유닛과, 상기 기류 형성 장치 및 배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 1 케이싱 유닛 내에 설치된 필터를 사이에 두고 이 제 1 케이싱 유닛 내에 접속하는 제 2 케이싱 유닛을 구비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케이싱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 1 케이싱 유닛을 다단으로 접속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케이싱 유닛으로부터 배기되는 기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케이싱 유닛의 흡기구에 환류시키는 환류 덕트(duct)를 구비해도 좋다.
이들의 구성은 소취 기능을 갖는 제 1 케이싱 유닛 및 기류 형성 기능을 갖 는 제 2 케이싱 유닛으로 소취 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용량이 다른 부스 본체나 악취의 발생량이 다른 상황에서도, 각 유닛의 구성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싱 유닛으로부터 배기되는 기체를 제 1 케이싱 유닛 내에 환류시킴으로써 소취 장치 밖으로의 악취의 누설을 최소한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소취 방법을 채용했다.
즉, 악취가 섞인 기체를 받아들이는 공정과, 그 받아들인 악취가 섞인 기체 중에 소취제를 공급하고,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악취 물질을 소취제에 흡착시키는 공정과, 이 소취제가 섞인 기체를 필터에 받아들이고, 상기 소취제와 함께 악취 물질을 필터에 포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로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을 포집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필터의 포집면 중, 포집 효율이 높은 포집면을 순차적으로 기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을 포집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집면의 이동에서는 상기 필터로 포집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집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포집량에 따라 포집면의 이동량을 변경해도 좋다.
또한, 소취 대상으로서 도장 부스 내의 악취를 받아들일 때는, 상기 도장 부스에 설치되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가동 상태에 의거해 상기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집량을 산출해도 좋다.
또한, 상기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에 의거하는 상기 포집량의 산출에서는, 도료를 도포할 때에 소비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취제를 공급하는 공정에서는, 소취해야 할 악취량에 따라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공급량에 따라 소취제의 공급량을 조정해도 좋다.
또한, 소취 대상으로 도장 부스 내의 악취를 받아들일 때는, 상기 도장 부스에 설치되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가동 상태에 의거해 공급해야 할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해도 좋다.
또한, 상기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에 의거하는 소취제 공급량의 산출에서는, 도료를 도포할 때에 소비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으로부터 공급해야 할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해도 좋다.
또한, 상기 소취제가 섞인 기체를 필터에 받아들이는 공정에서는, 기체 중에 포함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양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양에 따라 필터에 받아들여야 할 기체량을 조정해도 좋다.
또한, 소취 대상으로서 도장 부스 내의 악취를 받아들일 때는, 도장 부스에 설치되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가동 상태에 의거해 기체중에 포함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양을 산출해도 좋다.
또한, 상기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에 의거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량의 산출은 도료를 도포할 때에 소비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으로부터 산출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취 효율이 높고 또한 초기 투자 비용 및 운전 비용도 저렴한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塗裝) 부스의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의 배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의 평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취(消臭)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취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취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소취 장치 가동 시에 처리되는 제어의 플로차트.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에 있어서, 소취 장치로부터 부스 본체 내에 배기를 환류시키는 환류 덕트(duct)를 구비한 도장 부스의 측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취 장치의 사양 변경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취 장치의 사양 변경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을 도장 부스에 적용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의 상세한 수단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의 개략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도장 부스(1)는 작업에 수반하여 발생한 악취의 확산을 억제하는 부스 본체(2)와, 이 부스 본체(2) 내에 발생한 악취를 소취하는 소취 유닛(10)을 주요 구성 부품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장 부스(1)에는 이들의 구성에 더하여 도장 작업에 필요한 도장 장치(예를 들면,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 및 도장 건 등의 기재(機材))가 설치되어 있다(도시 생략).
부스 본체(2)는 소위 「옥내 설치형」의 간이 부스이며, 와이어(W)로 매달린 천장 플레임(3)과, 이 천장 플레임(3)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하강된 비닐제의 커튼(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커튼(4)에서 부스 본체(2) 안이 외부와 떨어져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 플레임(3)에는 흡기 덕트(5) 및 복수의 형광등(6)이 구비되어 있다.
흡기 덕트(5)는, 외기(外氣)로부터 떨어진 부스 본체(2) 내에 새로운 공기(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흡기 덕트(5)는 천장 플레임(3)의 상면측으로서, 또한 부스 본체(2)의 입구측(도 1 좌측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흡기 덕트(5)에는 집진(集塵) 필터(5a)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새로운 공기로서 부스 본체(2) 내에 도입되는 공기는 이 집진 필터(5a)에서 쓰레기나 먼지가 제거된 후에 부스 본체(2) 내로 도입된다. 한편, 형광등(6)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 플레임(3)의 하면측에 장착되어 있다.
계속해서, 소취 장치(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소취 장치(10)는,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취 장치(10)의 외곽을 이루는 케이싱(11)과, 이 케이싱(11) 내에 설치된 소취제 공급 장치(12)와, 케이싱(11) 내에 기류를 형성하는 배기 팬(기류 형성 장치)(13)과, 케이싱(11) 내에 유입된 공기 중의 악취 물질을 포착하는 각종 필터(14, 15)와, 소취 장치(10)에 설치된 각종 장치를 집중 제어하는 메인 제어 유닛(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중단(中段)에 설치된 격벽(11c)을 사이에 두고 상하 2단으로 분할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케이싱 하단(격벽(11c)의 하방)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을 제 1 케이싱 유닛(11a)이라고 칭한다. 또한, 케이싱 상단(격벽(11c)의 상방)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을 제 2 케이싱 유닛(11b)이라고 칭한다.
우선, 제 1 케이싱 유닛(11a)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케이싱 유닛(11a)의 정면측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싱 유닛(11a)은 이 흡기구(13)를 거쳐서 전번의 부스 본체(2) 내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부스 본체(2) 내의 악취는, 이 흡기구(13)를 거쳐서 제 1 케이싱 유닛(11a) 내에 받아들인다.
또한, 흡기구(13)에는 제 1 필터(1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 1 필터(14)는 5층 구조를 이루고, 그 필터 기재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비교적 큰 악취 물질(예를 들면 도장 미스트)을 포집한다. 또한, 제 1 필터(14)는 흡기구(13)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고 필요에 따라 청소도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싱 유닛(11a) 내에는, 소취제 공급 장치(12)의 일 구성 부품으로서, 제 1 케이싱 유닛(11a) 내에 소취제를 분사 공급하는 분사 노즐(12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분사 노즐(12a)은 소취제의 균일한 확산을 확보하기 위해 제 1 케이싱 유닛(11a) 내의 적소에 전체 6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소취제 공급 장치(12)에는, 분사량(소취제의 공급량)을 적정량으로 조정하는 분사량 조정 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량 조정 장치로서 각 분사 노즐(12a)에 통하는 소취제 공급 라인(12b)의 라인압(공급압)을 조정해서 분사량을 변경하는 전자(電磁) 밸브와, 분사 노즐(12a)의 라인압을 감시하는 압력 센서와, 앞의 메인 제어 유닛에서 산출하는 소취제 공급량에 따라 전자 밸브를 제어하는 부(副)제어 유닛(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분사량 조정 장치 및 앞의 메인 제어 유닛에서, 청구범위의 발명에 따른 공급량 조정 수단 및 공급량 산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 유닛에서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로부터 그때 그때의 악취량(발생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악취(악취량)를 소취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하고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장 작업 시에 소비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에어 탱크 내의 압력 저하량)과, 악취 물질의 발생량(도장 미스트 등의 발생량)과, 그 악취 물질의 소취에 요하는 소취제의 공급량을 예비 실험에 관련지어 두고, 우선 그때마다의 압축 공기의 소비량을 판독하여 완전히 이해한다. 또한, 이 압축 공기의 소 비량을 악취 물질의 발생량으로 환산한다. 그 다음에, 이 발생량에 대응시켜 원하는 소취제 공급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소취제의 공급량에 맞는 분사량이 되도록 전자 밸브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그때마다의 악취를 소취하기 위해서 필요한 적절량의 소취제를 공급함으로써 소취제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하고 있다.
계속해서, 격벽(11c)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격벽(11c)은 제 1 케이싱 유닛(11a)의 천장판에 해당하다. 또한, 이 격벽(11c)의 양측에는, 제 1 케이싱 유닛(11a) 안으로부터 연장되고, 격벽(11c)의 상단면에 개구하는 통풍 덕트(11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통풍 덕트(11d)의 하단에 양측을 지지되는 형태로, 원통형을 이루는 제 2 필터(15)가 제 1 케이싱 유닛(11a)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 2 필터(15)의 내부는 앞의 통풍 덕트(11d)로 통하고 있다. 또한, 제 1 케이싱 유닛(11a) 내의 공기는, 이 제 2 필터(15)의 외주부로부터 받아들여 제 2 필터(15) 안쪽을 경유해서 통풍 덕트(11d)에 이른다. 그리고, 통풍 덕트(11d)로부터 격벽(11c)보다도 상단(上段)의 공간으로 흘러 들어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필터(15)로서, 소취제의 포집ㆍ흡착 능력이 뛰어나는 케미컬 필터를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싱 유닛(11a) 내의 악취물질은 이 제 2 필터(1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취제와 함께 제 2 필터(15)에 포집된다. 또한, 제 2 필터(15)는 제 1 케이싱 유닛(11a) 내에서 추출이 자유로우며, 오염 상태에 따라 교환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필터(15)의 교환에 관하여,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소취 장치(10)는 이 제 2 필터(15)의 상류 및 제 2 필터(15)의 하류 사이에 생기는 차압을 검지하는 차압(差壓) 센서(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차압 센서에서 검지하는 차압의 고저에 의거하여, 제 2 필터(15)의 교환 시기를 파악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필터(15)의 설명에 관하여,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소취 장치(10)는 이 제 2 필터(15)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구동 장치(16)는 제 2 필터(15)의 외주에 접해서 제 2 필터(15)를 회전시키는 구동 롤러(16a)와, 이 구동 롤러(16a)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6b)와, 앞의 메인 제어 유닛에서 산출하는 그때마다의 악취 물질 및 소취제의 포집량에 적당한 구동 모터(16b)의 회전수에 따라, 구동 모터(16b)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부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 롤러(16a)의 회전으로 제 2 필터(15)를 회전시켜,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을 포함하는 기체의 유입 방향(기류측)에 포집 효율이 높은 포집면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회전 구동 장치(16) 및 메인 제어 유닛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 및 이동량 변경 수단, 포집량 산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메인 제어 유닛에 의한 악취 물질 및 소취제의 포집량의 산출은 상기 소취제 공급량의 산출과 같은 방법으로, 우선 도장 시에 소비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을 판독하여 완전히 이해하고, 이 압축 공기의 소비량으로부터 악취의 발생량 을 구한다. 그 다음에, 이 발생량을 악취 물질 및 소취제의 포집량을 보고 판단하여, 포집량이 늘어날수록 구동 모터(16b)의 회전수를 높은 값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그때 마다의 악취 물질 및 소취제의 포집량에 따른 적절한 속도로 제 2 필터(15)가 회전하기 때문에 제 2 필터(15)에 대한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국소적인 포집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회전 구동 장치(16)에서는, 제 2 필터(15)에 유입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양이 많을 때에는 제 2 필터(15)의 회전 속도를 늘린다. 또한, 기류측(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제 2 필터(15)의 하면측)에 순차적으로 포집 효율이 높은 포집면(제 2 필터 윗면측)을 이동하고 있다.
또한, 제 2 필터(15)의 회전은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집 효율을 올리는 데 있어서도 유리하다. 또한, 이 이유로 제 2 필터(15)의 필터 기재에 집어넣은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은 이 제 2 필터(15)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을 받기 때문에 제 2 필터(15)의 내부 공간에 이르지 않고 필터 기재 중에 머무르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제 2 케이싱 유닛(11b)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케이싱 유닛(11b)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의 통풍 덕트(11d)를 통해서 격벽(11c)보다도 하단의 제 1 케이싱 유닛(11a)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 제 2 케이싱 유닛(11b)에는 배기 팬(17)(송풍기) 및 대기(大氣)로 개방된 배기구(17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기 팬(17)에서 만들어지는 기류의 흐름에 의해, 제 1 케이싱 유닛(11a)으로부터 제 2 케이싱 유닛(11b)에 이르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어 있다.
즉, 배기 팬(17)의 가동 시에는, 부스 본체(2)→흡기구(13)→제 1 케이싱 유닛(11a)→제 2 필터(15)의 외주부→제 2 필터(15)의 내부→통풍 덕트(11d)→제 2 케이싱 유닛(11b)→배기 팬(17)→배기구(17a)의 순서로 부스 본체(2) 안의 공기가 소취 장치(10) 안을 흐른다.
또한, 상기 배기 팬(17)에는, 풍량 조정 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풍량 조정 장치는, 도장 부스(1) 내의 소취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앞의 메인 제어 유닛에서 산출하는 제어값에 의거해 배기 팬(17)의 풍량을 조정한다. 즉, 악취량이 많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소취 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악취량이 많거나 또는 많아지는 상황에서 배기 팬(17)의 풍량을 높게 설정해서 흡기량을 늘리고 소취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풍량 조절 장치 및 메인 제어 유닛에서, 청구범위의 발명에 따른 풍량 조정 수단 및 악취량 산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풍량의 조정은 상기 분사량 조정 장치와 같은 방법으로, 우선 도료 분사 시에 소비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으로부터 부스 본체(2) 내의 악취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악취량에 의거하여 그때 마다의 악취량에 적당하는 출력으로 배기 팬(17)을 제어한다.
또한, 도 8은 본 소취 장치(10) 가동 시에 실행되는 메인 제어 유닛에서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이하, 이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각종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메인 제어 유닛은 도장 작업의 시작에 따라, 에어 컴프레서에 설치된 압력 센서의 출력을 판독한다(S101). 또한, 압력 센서는 에어 탱크 내의 압력, 즉 에어 탱크 내의 압축 공기량을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이 압력센서의 출력값을 소정 시간마다 판독하여, 도장 작업 시에 그때 마다의 탱크 내압력을 감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메인 제어 유닛에서는, 단계 101에서 판독하여 이해한 출력값으로부터 그때 그때의 출력 변화량 즉 압력 변화량을 구하고, 그 압력 변화량으로부터 환산해서 압축 공기의 소비량을 산출한다(S102).
또한, 메인 제어 유닛에서는 단계 102의 처리 후, 분사량 조정 장치(12)에서의 공급량 제어(전자 밸브 제어), 풍량 조정 장치로의 풍량 제어(배기 팬(1)의 출력 제어), 회전 구동 장치(16)에서의 회전수 제어(구동 모터(16b)의 회전수 제어)에 필요한 제어값을 산출하기 위해, 단계 102에서 산출한 압축 공기의 소비량에 의거해 도료의 분사량 즉 부스 본체(2) 내의 악취 물질의 발생량을 산출한다(S103).
그리고, 산출된 악취량에 의거하여 소취제 공급량의 산출, 풍량의 산출, 필터 회전 속도를 산출하고(S1O4), 그 산출한 값에 의거해 각 장치의 제어값을 구한다(S105). 또한, 제 2 필터(15)의 회전수 제어에 필요한 소취제의 포집량은 단계 104에서 산출한 소취제 공급량을 가지고 파악하고 있다. 그리고, 그 제어값을 분사량 조정 장치(12)에 설치한 부제어 유닛 및 풍량 조정 장치 및 회전 구동 장치(16)에 설치한 부제어 유닛에 송신하고, 부제어 유닛을 거쳐서 또는 직접, 각종 장치를 제어한다(S106).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도장 부스(1)에서는, 우선 악취가 섞인 공 기(부스 본체(2) 내의 공기)를 제 1 필터(14)를 통하여 제 1 케이싱 유닛(11a) 내에 수용하여, 제 1 필터에서 비교적 큰 도장 미스트를 포집한다. 그 다음으로, 공기 중에 소취제를 분사 공급하고, 소취제에 미립 도장 미스트나 기화 용제와 같은 잔류 악취 물질을 흡착시킨다. 그리고, 소취제와 함께 그 잔류 악취 물질을 제 2 필터(15)에 포집한 후, 소취 장치(10) 내에서 배기한다.
즉, 본 소취 장치(10)에서는 소량의 분사량에 의해서도 충분한 소취 능력을얻을 수 있는 소취제를 이용한 소취와, 필터에서의 포집 능력을 병행하여 가짐으로써 예를 들면 필터 교환 또는 필터의 청소와 같은 물처리를 수반하지 않는 간단한 유지로 소취 능력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소취 장치(10)의 적용에 의해 수조나 오수 처리 장치와 같은 대규모 설비도 불필요하다.
또한, 한편으로 본 소취 장치(10)는 물로 바꾸어서 소취제를 공급하고, 또한 제 2 필터(15)의 유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운전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 같이 볼 수 있지만, (1) 소취제는 물과 비교해서 소취 능력이 높고 소량의 공급량(분사량)으로 충분한 소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오수 처리 장치에서의 오수처리가 불필요하다, (3) 정기적인 물의 교환이 불필요한, 다수의 이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소취 장치와 비교해서 훨씬 낮은 운전 비용으로 소취 장치(10)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그 상세한 것은 원하는 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로는, 배기구(17a)를 대기 개방으로서, 소취를 끝낸 공 기를 대기로 배기하고 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구(17a)로부터 앞의 흡기 덕트(5)로 통하는 환류 덕트(50)를 설치하고, 이 환류 덕트(50)를 통해서 부스 본체(2) 내에 소취 장치(10) 내의 공기를 재차 순환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 2 필터(15)에 대한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흡착이 보다 확실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료 분사 시에 소비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으로부터, 악취의 소취에 필요한 소취제의 공급량 및 도장 부스(1) 내의 악취량을 산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장 건의 조작량(예를 들면 니들의 스트로크량) 및 도장 시간 등으로부터의 산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소취 장치(10)에서는, 한개의 제 2 필터(15)에서 소취제가 섞인 공기를 정화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제 2 필터(15)를 구비하는 상기 제 1 케이싱 유닛(11a)을 다단으로 포개서 제 2 필터(15)에 접속하는 구성(도 10 참조), 즉 제 2 필터(15)를 복수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11c)을 사이에 두고 분할 가능한 케이싱(11)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제 1 케이싱 유닛(11a)이 되는 케이싱을 증가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 2 필터(15)의 증설이 가능하다. 즉, 각 도장 부스(1)에서의 작업 내용 등에 따라 소취 장치(10)의 사양을 용이하게 변경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필터(15)의 탑재 방법을 세로로 향하도록 하고, 또한 제 1 케이싱 유닛(11a) 내에 복수개 설치하는 등의 변경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2 필터(15) 자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포집면을 이동했지만, 제 2 필터(15)의 근방에 정류판(整流板)을 만들고, 이 정류판에서 제 2 필터(15)에 대한 공기의 유입 방향을 변경해도 좋다. 또한, 제 2 필터(15) 포집면을 덮는 커버를 만들고, 또한 이 커버의 일부에 공기의 취입구(取入口)인 슬릿을 설치하여 이 커버 자체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포집면을 상대적으로 이동해도 좋다.

Claims (26)

  1. 악취가 섞인 기체를 받아들이는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받아들인 기체 중에 소취제(消臭劑)를 공급하는 소취제 공급장치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받아들인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구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배기구에 이르는 기체의 흐름을 형성하는 기류 형성 장치와,
    상기 배기구로부터의 배기에 앞서, 상기 소취제가 섞인 기체로부터 소취제와 함께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消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 장치는 악취의 확산을 억제하는 부스(booth)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부스 본체 내에 개구(開口)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서의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집면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포집면의 이동에서 포집 효율이 높은 포집면을 기류(氣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는 포집면의 이동량을 조정하는 이동량 변경 수단과, 상기 포집면에서 포집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집량을 산출하는 포집량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량 변경 수단은 상기 포집량 산출 수단에서 산출한 포집량에 따라 포집면의 이동량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량 산출 수단은 상기 부스 본체에 설치되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가동 상태에 의거해 상기 포집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악취 및 소취제가 섞인 기체를 외주부에서 받아들이는 통(筒) 형상의 필터 기재(基材)를 갖고,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필터 기재를 그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포집면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제 공급 장치는 소취제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한 공급량 조정 수단과, 소취해야 할 악취량에 따라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하는 공급량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량 조정 수단은 상기 공급량 산출 수단에서 산출한 공급량에 따라 소취제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산출 수단은 상기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가동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해야 할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장치는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송풍기와, 이 송풍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풍량 조정수단과, 소취해야 할 악취량을 산출하는 악취량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풍량 조정 수단은 상기 악취량 산출 수단에서 산출한 악취량에 따라 상기 송풍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량 산출 수단은 상기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가동 상태에 의거해 상기 악취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케미컬 필터(chemical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 장치는,
    상기 필터 및 소취제 공급 장치를 내부에 구비하고 또한 이 소취제 공급 장치의 주위에 상기 악취가 섞인 기체를 도입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흡기구를 구비한 제 1 케이싱 유닛과,
    상기 기류 형성 장치 및 배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 1 케이싱 유닛 내에 설치된 필터를 사이에 두고 이 제 1 케이싱 유닛 내에 접속하는 제 2 케이싱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싱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 1 케이싱 유닛을 다단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싱 유닛으로부터 배기되는 기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케이싱 유닛의 흡기구에 환류시키는 환류 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장치.
  16. 악취가 섞인 기체를 받아들이는 공정과,
    그 받아들인 악취가 섞인 기체 중에 소취제를 공급하고,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악취 물질을 소취제에 흡착시키는 공정과,
    이 소취제가 섞인 기체를 필터에 받아 들이고, 상기 소취제와 함께 악취 물질을 필터에 포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로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을 포집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필터의 포집면 중, 포집 효율이 높은 포집면을 순차 기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을 포집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면의 이동에서는, 상기 필터로 포집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 집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포집량에 따라 포집면의 이동량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소취 대상으로서 도장 부스 내의 악취를 받아들일 때는, 상기 도장 부스에 설치되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가동 상태에 의거해 상기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포집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에 의거하는 상기 포집량의 산출에서는, 도료를 도포할 때에 소비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으로부터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제를 공급하는 공정에서는, 소취해야 할 악취량에 따른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공급량에 따라 소취제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소취 대상으로서 도장 부스 내의 악취를 받아들일 때는, 상기 도장 부스에 설치되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가동 상태에 의거해 공급해야 할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에 의거하는 소취제 공급량의 산출에서는, 도료를 도포할 때에 소비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으로부터 공급해야 할 소취제의 공급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24. 제 16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제가 섞인 기체를 필터에 받아들이는 공정에서는, 기체 중에 포함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양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양에 따라 필터에 받아들여야 할 기체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소취 대상으로서 도장 부스 내의 악취를 받아들일 때는, 도장 부스에 설치되는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가동 상태에 의거해 기체 중에 포함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의 양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장치의 가동 상태에 의거하는 소취제 및 악취 물질량의 산출에서 는, 도료를 도포할 때에 소비하는 압축 공기의 소비량으로부터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
KR1020057000916A 2002-07-19 2003-07-22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 KR20060103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11333A JP2004050061A (ja) 2002-07-19 2002-07-19 消臭装置および消臭方法
JPJP-P-2002-00211333 2002-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811A true KR20060103811A (ko) 2006-10-04

Family

ID=3193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916A KR20060103811A (ko) 2002-07-19 2003-07-22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005710A1 (ko)
EP (1) EP1552877A4 (ko)
JP (1) JP2004050061A (ko)
KR (1) KR20060103811A (ko)
AU (1) AU2003304354A1 (ko)
CA (1) CA2496025A1 (ko)
WO (1) WO20050072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3711B4 (de) * 2005-03-24 2022-07-28 Dürr Systems Ag Anlage zum Lackieren von Gegenständen
KR100837701B1 (ko) 2007-06-29 2008-06-13 주식회사 동진하이텍 환경 설비 일체형 도장장치
US20130174740A1 (en) * 2012-01-10 2013-07-11 Onofrio AZZARETTO Air filter unit
CN109470817B (zh) * 2017-09-08 2022-11-29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一种评估除臭效果的设备及方法
CN110975518A (zh) * 2019-12-06 2020-04-10 云南固废投资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发电厂垃圾仓除臭系统及除臭方法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TWI768600B (zh) * 2020-12-17 2022-06-21 魏榮宗 廢氣淨化系統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2967B2 (ko) * 1975-03-03 1977-08-25
JPS60132623A (ja) * 1983-12-21 1985-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器
JPS61259729A (ja) * 1985-05-13 1986-11-18 Shiraimatsu Shinyaku Kk 気体処理装置
JPH0541771Y2 (ko) * 1988-03-11 1993-10-21
JPH0243921A (ja) * 1988-08-04 1990-02-14 Daikin Ind Ltd 脱臭機
JPH0286548U (ko) * 1988-12-22 1990-07-09
JPH06262018A (ja) * 1992-05-16 1994-09-20 Turbon Tunzini Klimatechnik Gmbh ガス状の媒体から異物質を分離する方法と装置
JPH0631127A (ja) * 1992-07-20 1994-02-08 Nippon Steel Corp 塗装排気ガスの消臭方法及び消臭装置
JP2997134B2 (ja) * 1992-07-31 2000-01-11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排気処理装置
JP2934631B2 (ja) * 1993-10-28 1999-08-16 株式会社エヌイーシーファシリティーズ 空気清浄機
JPH08112513A (ja) * 1994-10-14 1996-05-07 Nippon Steel Corp 塗装排気ガスの消臭方法及び消臭装置
JP2000005555A (ja) * 1998-06-22 2000-01-11 Kenichi Osaki 塗料及び有機溶剤等から発生する複合臭気の除去装置
JP3498265B2 (ja) * 2001-06-20 2004-02-16 アンデックス株式会社 ワーク塗装に於ける排気ガス消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2877A1 (en) 2005-07-13
WO2005007272A1 (ja) 2005-01-27
JP2004050061A (ja) 2004-02-19
EP1552877A4 (en) 2007-02-14
AU2003304354A1 (en) 2005-02-04
CA2496025A1 (en) 2005-01-27
US20060005710A1 (en)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19526A1 (zh) 空气净化器
KR20060103811A (ko)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
CN102834593A (zh) 离心式湿型空气净化器
MXPA06008922A (es) Aparato para purificacion de aire tipo humedo que utiliza un compresor centrifugo.
CN1813092A (zh) 衣物处理设备
JP6374638B2 (ja) 汚染物質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清浄維持システム
KR101533983B1 (ko) 음식 냄새 제거장치
KR101536635B1 (ko) 악취발생시설의 탈취장치
JP2018001045A (ja) 塗装システム
JPH11207130A (ja) 空気浄化装置
CN109373389A (zh) 一种商用油烟净化装置
CN209541065U (zh) 一种增湿和杀菌的空气净化设备
CN210699384U (zh) 一种新型废气处理装置
WO2004099678A2 (en) Drying type air purifying device with moisturing mist eliminator
CN217092637U (zh) 一种可在线清洗的室内空气净化装置
KR101573398B1 (ko) 하이브리드 환기구조를 갖는 흡연부스
JP2006212565A (ja) 塗装ブース装置
KR20230000109A (ko) 공기정화장치
CN106984120A (zh) 一种用于铣床的烟气净化器
CN207350584U (zh) 复式双重空气净化器
JP2001246285A (ja) 排煙処理装置
CN204841317U (zh) 一种气体除尘除臭净化装置
KR100530903B1 (ko) 이동형 탈취장치
CN103591642B (zh) 一种复合式空调设备及其空气调节方法
KR102526561B1 (ko) 습식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