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488A - 에지 강조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에지 강조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488A
KR20060102488A KR1020060017253A KR20060017253A KR20060102488A KR 20060102488 A KR20060102488 A KR 20060102488A KR 1020060017253 A KR1020060017253 A KR 1020060017253A KR 20060017253 A KR20060017253 A KR 20060017253A KR 20060102488 A KR20060102488 A KR 20060102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image signal
brightness
satur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600B1 (ko
Inventor
카츠히코 키시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3Deblurring; Sharpe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92Edge enhancement; Edge pre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에지 강조 처리 장치는 화상 신호의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화상 신호의 화상 에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에지 검출부;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화상 에지에 관한 마하 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마하 판정부; 및 공급 노드와, 에지 검출부의 출력 노드와, 마하 판정부의 출력 노드에 결합되어 제 1 신호와 제 2 신호에 따라서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및 채도의 변화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명도의 변화량 및 채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 강조 처리를 실시한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에지 강조부를 포함한다.
에지 강조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에지 검출부, 마하 판정부

Description

에지 강조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EDGE ENHANCEMENT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에지 강조 처리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 회로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 회로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 회로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의 테스트 결과의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화상 처리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화상중의 에지의 강조를 행하는 에지 강조 처리에 관한 것이다.
CRT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화상에 대하여 에지 강 조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화상중의 윤곽 등에 있어서의 흐려짐을 개선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에지 강조에 있어서는 명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에지를 강조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도 1은 종래의 에지 강조 처리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에지 강조 처리 유닛은 색변환부(10), 에지 검출부(11), 에지 강조부(12), 및 색변환부(13)를 포함한다.
색변환부(10)는 입력(RGB)을 LCh로 변환한다. 여기서, L은 명도, C는 채도, h는 색상이다. 실제로는 명도, 채도, 색상 등은 주관적인 양이므로 이들에 상관이 있는 객관적인 양으로서 예컨대 CIEL*a*b*색공간에 정의된 메트릭 명도(metric lightness), 메트릭 채도(metric chroma), 메트릭 색상(metric hue)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RGB로부터 LCh로의 변환은 RGB표색계로부터 XYZ표색계로 변환하고, 또한 XYZ표색계로부터 CIEL*a*b*표색계로 변환하고, 또한 CIEL*a*b*표색계에 있어서 메트릭 명도, 메트릭 채도, 메트릭 색상을 구하면 좋다. RGB표색계와 XYZ표색계는
R=(xR/yR)RγYR + (xG/yG)GγYG + (xB/yB)BγYB
G=RγYR + GγYG + BγYB (1)
Z=(zR/yR)RγYR + (zG/yG)GγYG + (zB/yB)BγYB
에 관계되어 있다. 여기서 Rγ, Gγ, Bγ는 표시 장치의 γ 특성을 고려한 RGB 값, YR, YG, YB는 RGB 각 원색의 최고 휘도를 고려한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xi, yi는 원색 i의 xy 색도 좌표, zi는 1-xi-yi이다.
또한, XYZ표색계와 CIEL*a*b*표색계는
L*=116(Y/Yn)1/3 - 16
a*=5O0[(X/Xn)1/3 - (Y/Yn)1/3] (2)
b*=2OO[(Y/Yn)1/3 - (Z/Zn)1/3]
에 관계되어 있다. 단, Y/Yn≤0.008856, X/Xn≤0.008856, Z/Zn≤0.008856이면, 위 식에 있어서
(Y/Yn)1/3→7.787(Y/Yn) + 16/116
(X/Xn)1/3→7.787(X/Xn) + 16/116
(Z/Zn)1/3→7.787(Z/Zn) + 16/116으로 변경된다.
이렇게 하여 계산된 CIEL*a*b*표색계에 있어서, 메트릭 명도는 상기 L*이며,또한 메트릭 채도 및 메트릭 색상 차이는
c*=(a*2+b*2)1/2 (3)
Δh*=[(Δa*)2+(Δb*)2-(Δc*)2]1/2 (4)
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의 메트릭 양이, 명도(L), 채도(C), 색상 (h)으로서 이용된다.
도 1에 있어서 에지 검출부(11)는 화소간의 명도(L)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에지를 검출한다. 에지 검출부(11)는 화상중의 주목 위치에 있어서의 에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에지 강조부(12)에 공급한다.
에지 강조부(12)는 에지 검출부(1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에지의 존재를 나타낼 때에, 명도(L)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를 강조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채도(C) 및 색상(h)에 대해서는 조금도 변화시키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에지 강조부(12)는 에지 강조 처리후의 명도(L'), 채도(C), 색상(h)을 생성한다. 색변환부(13)는 입력(L'Ch)을 R'G'B'로 변환한다. 이것에 의해 채도나 색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명도만을 변화시킨 에지 강조 처리가 행하여진다. 에지 강조 처리가 행하여진 화상 신호(R'G'B')는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에 공급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하면, 마하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 버린다. 여기서 마하 효과(Mach effect)는 다른 명도(또는 채도, 색상)의 영역이 인접하고 있을 때에, 인간의 시지각성(視知覺性)에 의해 경계 부분의 변화가 강조되어 지각되는 효과를 말한다. 이 마하 효과에 의해 본래는 일정한 명도(또는 채도, 색상)인 영역에 그레이데이션(gradation)이 있는 것처럼 나타나 버린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CRT와 다르고 홀드 발광(hold light emission)에 관하여 응답 속도가 느리다고 하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움직임이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에지 부분 즉 윤곽 부분이 흐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1-203911호 공보
따라서, 마하 효과에 의한 과잉 강조를 억제하고 액정 모니터에 적절한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하는 에지 강조 처리 장치, 및 그러한 에지 강조 처리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에지 강조 처리 장치, 및 그러한 에지 강조 처리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상기 관련 기술의 제한 또는 결점에 의해 생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에지 강조 처리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더 상세한 목적은 마하 효과에 의한 과잉 강조를 억제하고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절한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하는 에지 강조 처리 장치, 및 그러한 에지 강조 처리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에지 강조 처리 장치, 및 그러한 에지 강조 처리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취지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지 강조 처리 장치는 화상 신호의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화상 신호의 화상 에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에지 검출부; 상기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화상 에지에 관한 마하 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마하 판정부; 및 상기 공급 노드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출력 노드와, 상기 마하 판정부의 출력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에 따라서 상기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및 채도의 변화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명도의 변화량 및 채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 강조 처리를 실시한 상기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에지 강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에지 강조 처리 장치는 화상 신호의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화상 신호의 화상 에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에지 검출부; 및 상기 공급 노드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출력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색차의 범위내에서의 상기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채도의 변화량, 색상의 변화량에 대한 복수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의 응답 속도가 최고속이 되는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조합에 따라서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 강조 처리를 실시한 상기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에지 강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하 효과는 명도 변화로 강하게 발생하므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에 있어서는, 마하 효과에 의한 과잉 강조를 억제하기 위하여 명도에 의한 에지 강조는 아니고 채도를 주로 한 에지 강조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마하 효과에 의한 과도한 강조를 피하면서, 적절한 에지 강조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채도의 변화량, 색상의 변화량에 대한 복수의 조합으로부터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의 응답 속도가 최고속이 되는 조합을 선택하고, 명도, 채도, 및 색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 강조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필요한 에지 강조 처리를 실행하면서 응답 속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마하 효과는 명도 대비, 채도 대비, 색상 대비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그러나, 그 효과의 크기는 명도 대비>채도 대비>색상 대비의 순이다. 이와 같이 마하 효과는 명도 변화로 강하게 발생하므로, 마하 효과에 의한 과잉 강조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명도에 의한 에지 강조는 아니고, 색상을 주로 한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채도에 의한 에지 강조를 고려할 때에는, 리브만 효과(Liebman effect)를 고려해서 에지 강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만 효과로는 도형과 바탕색의 구별의 용이성은 그들의 배색에 의존하는 것이며, 예컨대 황색과 흑색의 경우에 가시도가 가장 높아진다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리브만 효과를 고려하면서 소정의 색차에 들어가는 범위내에서 채도(C)를 변화시키면 좋다.
여기서 색차의 계산은, 예컨대 CIE1994색차식,
ΔE=[(Δh*/(1+0.015c*))2+(ΔL*)2+(Δc*/(1+0.045c*))2]1/2 (5)
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ΔL*, Δh*, Δc*는 각각의 심리 메트릭 양의 차이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ΔE가 2.0 이하인 범위내에서, 채도(C)를 변화시킴으로써 에지의 강조 처리를 실행하면 좋다. 즉, ΔE가 2.0 이하인 범위내에서 적절한 정도로 채도차를 줌으로써 화상중의 윤곽에 있어서의 흐려짐을 개선한다.
또한, 이 때, 마하 효과가 강하게 나오지 않는 화상 부분에 대하여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명도의 변화에 의해 에지 강조 처리를 실행하면 좋다. 즉, 화상중의 위치에 의존한 마하 효과의 강함에 따라서 명도 변화의 비율과 채도 변화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면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홀드 발광에 관하여 응답 속도가 느린 것이 요인으로 되어 움직임이 있는 화상에 있어서 에지 부분 즉, 윤곽 부분이 흐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지 강조 처리를 할 때에, 소정의 색차(ΔE)를 실현하는 명도차(ΔL), 채도차(ΔC), 색상차(Δh)의 조합을 복수개 구하고, 이 복수개의 조합 중에서 가장 응답 속도가 신속해지는 조합을 선택한다. 이렇게 해서 선택된 명도차(ΔL), 채도차(ΔC), 색상차(Δh)에 의해 에지 강조 처리를 실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 회로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 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참조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의 에지 강조 처리 유닛은 색변환부(10), 에지 검출부(21), 에지 강조부(22), 마하 판정부(23), 및 색변환부(13)를 포함한다.
에지 검출부(21)는 화소간의 명도(L), 채도(C), 색상(h)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에지를 검출한다. 에지 검출부(21)는 화상중의 주목 위치에 있어서의 에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에지 강조부(22)에 공급한다.
마하 판정부(23)는 화소간의 명도(L), 채도(C), 색상(h)에 의거하여 마하 효과의 강함(에지 강조에 의해 발생하게 될 마하 효과의 강함)을 판정한다. 마하 판정부(23)는 화상중의 주목 위치에 있어서의 마하 효과의 강함을 나타내는 신호, 즉 마하 판정의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에지 강조부(22)에 공급한다.
에지 강조부(22)는 에지 검출부(2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에지의 존재를 나타낼 때에, 명도(L), 채도(C), 색상(h)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를 강조하는 처리를 행한다. 마하 판정부(23)로부터의 판정 결과 신호가 강한 마하 효과의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 명도(L) 변화에 의거하는 통상의 에지 강조 처리에 대하여 리브만 보정(Liebman correction)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색차를 확보하면서, 명도 변화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로부터 채도 변화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로 스위칭된다.
에지 강조부(22)에 있어서는, 에지 강조 처리를 위한 명도(L), 채도(C), 색상(h)의 변화량을, CPU에 의한 연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마하 판정 결과에 의 거하여 산출하면 좋다. 또는, 마하 판정 결과에 따른 적절한 명도(L), 채도(C), 색상(h)의 변화량을 미리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격납해 두고, 마하 판정부(23)로부터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에지 강조 처리를 위한 명도(L), 채도(C), 색상(h)의 변화량을 결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더욱이, 마하 판정 및 리브만 보정은 주지의 기술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구체적인 명도(L), 채도(C), 색상(h)의 변화량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특정 알고리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하여 에지 강조부(22)는 에지 강조 처리 후의 명도(L'), 채도(C'), 색상(h')을 생성한다. 이들의 명도(L'), 채도(C'), 색상(h')은 색변환부(13)에 공급되어 R'G'B'로 변환된다. 에지 강조 처리가 행하여진 화상 신호(R'G'B')는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에 공급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마하 효과에 의한 과도한 강조를 피하면서, 적절한 에지 강조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 회로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참조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의 에지 강조 처리 유닛은 색변환부(10), 에지 검출부(21), 에지 강조부(32), 및 색변환부(13)를 포함한다.
에지 검출부(21)는 화소간의 명도(L), 채도(C), 색상(h)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에지를 검출한다. 에지 검출부(21)는 화상중의 주목 위치에 있어서의 에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에지 강조부(32)에 공급한다.
에지 강조부(32)는 에지 검출부(2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에지의 존재를 나타낼 때에, 명도(L), 채도(C), 색상(h)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를 강조하는 처리를 행한다. 에지 강조부(32)는 에지 검출부(2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에지 강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색차가 되는 명도(L), 채도(C), 색상(h)의 조합을 복수개 산출한다. 에지 강조부(32)는 이 조합 중에서 응답 속도가 가장 신속한 조합을 선택하여, 에지 강조 처리 후의 명도(L'), 채도(C'), 색상(h')으로서 출력한다.
이들의 명도(L'), 채도(C'), 색상(h')은 색변환부(13)에 공급되어, R'G'B'로 변환된다. 에지 강조 처리가 행하여진 화상 신호(R'G'B')는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에 공급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필요한 에지 강조 처리를 실행하면서 응답 속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명도(L), 채도(C), 색상(h)의 각 조합에 대한 응답 속도의 추정은 주지의 기술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 회로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참조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에지 강조 처리 유닛은 색변환부(10), 에지 검출부(21), 에지 강조부(42), 마하 판정부(23), 및 색변환부(13)를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에지 강조부(42)는 제 1 실시예의 에지 강조부(22)의 기능과 제 2 실시예의 에지 강조부(32)의 기능을 둘 다 구비하고 있다.
에지 검출부(21)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소간의 명도(L), 채도(C), 색상(h)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에지를 검출한다. 에지 검출부(21)는 화상중의 주목 위치에 있어서의 에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에지 강조부(42)에 공급한다.
마하 판정부(23)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소간의 명도(L), 채도(C), 색상(h)에 의거하여 마하 효과의 강함(에지 강조에 의해 발생하게 될 마하 효과의 강함)을 판정한다. 마하 판정부(23)는 화상중의 주목 위치에 있어서의 마하 효과의 강함을 나타내는 신호, 즉 마하 판정의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에지 강조부(42)에 공급한다.
에지 강조부(42)는 에지 검출부(2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에지의 존재를 나타낼 때에, 명도(L), 채도(C), 색상(h)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를 강조하는 처리를 행한다. 마하 판정부(23)로부터의 판정 결과 신호가 강한 마하 효과의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 명도(L) 변화에 의거하는 통상의 에지 강조 처리에 대하여 리브만 보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색차를 확보하면서, 명도 변화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로부터 채도 변화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로 스위칭된다. 이 때, 소정의 색차가 되는 명도(L), 채도(C), 색상(h)의 조합을 복수개 산출한다. 에지 강조부(42)는 이 조합 중에서 응답 속도가 가장 신속한 조합을 선택하여, 에지 강조 처리후의 명도(L'), 채도(C'), 색상(h')으로서 출력한다.
이들의 명도(L'), 채도(C'), 색상(h')은 색변환부(13)에 공급되어 R'G'B'로 변환된다. 에지 강조 처리가 행하여진 화상 신호(R'G'B')는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 에 공급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마하 효과에 의한 과도한 강조를 피하면서 적절한 에지 강조 처리를 실현함과 아울러,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의 테스트 결과의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테스트용으로 이용된 것은 우육의 영상이며, 지방 부분과 육(肉) 부분이 서로 이웃하여 표시되어 있다. 도 5의 표의 좌단부에 나타내는 백(白) 표시 데이터가 지방 부분의 RGB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고, 그 다음에 나타내는 지방 핑크(pink) 표시 데이터가 육 부분의 RGB 표시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 핑크 표시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종래의 에지 강조 처리를 적용한 결과와, 도 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를 적용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표에 있어서, L*, a*, b*는 CIEL*a*b*표색계의 데이터이다. 또한, Ct*, h*deg, ΔE94는 각각 채도, 색상각, CIE1994색차식에 의한 색차이다. 또한, 우육의 화상을 움직인 경우의 액정 데스플레이의 상승 응답 시간을 Rising_time으로서 나타내고, 하강 응답 시간을 Fallng_time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테스트에 있어서는, 에지 강조 처리를 위한 명도(L), 채도(C), 색상(h)의 변화량을, 색차 ΔE94의 값이 2이하가 되도록 설정했다. 종래의 에지 강조 처리에서는, 명도(L*)를 45.2에서 47.1로 변화시킴으로써 에지를 강조하고 있다. 그것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에서는 명도(L*)는 45.2에서 44.9가 될 정도로 거의 변화되지 않고 있고, 강한 마하 효과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에 지 강조 처리에서는 채도(Ct*)가 16.7에서 16.8로 되는 정도이며, 거의 변화되지 않고 있다. 그것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에서는 채도(Ct*)를 16.7에서 20.0로 되게 함으로써 에지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우육의 화상을 움직인 경우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응답 시간에 주목하면, 에지 강조 처리하지 않은 경우(입력 데이터)에는 Rising_Time은 65.2 마이크로 초, Falling_Time은 47.0 마이크로 초이다. 또한, 종래의 에지 강조 처리를 적용한 경우에는 Rising_Time은 65.5 마이크로 초, Falling_Time은 51.5 마이크로 초이다. 그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에지 강조 처리를 적용한 경우에서는, Rising_Time은 46.3 마이크로 초, Falling_Time은 33.7 마이크로 초가 되고, 응답 속도가 고속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05년 3월 23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2005-084544호에 의거한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하 효과에 의한 과잉 강조를 억제하고,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절한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하며,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화상 신호의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화상 신호의 화상 에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에지 검출부;
    상기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화상 에지에 관한 마하 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마하 판정부; 및
    상기 공급 노드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출력 노드와, 상기 마하 판정부의 출력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에 따라서 상기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및 채도의 변화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명도의 변화량 및 채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명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한쪽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 강조 처리를 실시한 상기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에지 강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강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강조부는 소정의 색차의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및 채도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강조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강조부는 소정의 색차의 범위내에서의 상기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채도의 변화량, 색상의 변화량에 대한 복수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의 응답 속도가 최고속이 되는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조합에 따라서 상기 에지 강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강조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표색계의 제 1 화상을 색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신호를 구하여 상기 공급 노드에 공급하는 제 1 색변환부, 및
    상기 에지 강조부의 출력에 결합되어 상기 에지 강조 처리를 실시한 상기 화상 신호를 색변환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표색계의 제 2 화상을 생성하는 제 2 색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강조 처리 장치.
  5. 화상 신호의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화상 신호의 화상 에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에지 검출부; 및
    상기 공급 노드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출력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색차의 범위내에서의 상기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채도의 변화량, 색상의 변화량에 대한 복수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의 응답 속도가 최고속이 되는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조합에 따라서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 강조 처리를 실시한 상기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에지 강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강조 처리 장치.
  6. 화상 신호의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화상 신호의 화상 에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에지 검출부;
    상기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화상 에지에 관한 마하 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마하 판정부; 및
    상기 공급 노드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출력 노드와, 상기 마하 판정부의 출력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에 따라서 상기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및 채도의 변화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명도의 변화량 및 채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한쪽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 강조 처리를 실시한 상기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에지 강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강조부는 소정의 색차의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및 채도의 변화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강조부는 소정의 색차의 범위내에서의 상기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채도의 변화량, 색상의 변화량에 대한 복수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화상 신 호를 표시하는 장치의 응답 속도가 최고속이 되는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조합에 따라서 상기 에지 강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소정의 표색계의 제 1 화상을 색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신호를 구하여 상기 공급 노드에 공급하는 제 1 색변환부, 및
    상기 에지 강조부의 출력에 결합되어 상기 에지 강조 처리를 실시한 상기 화상 신호를 색변환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표색계의 제 2 화상을 생성하는 제 2 색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화상 신호의 공급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화상 신호의 화상 에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에지 검출부; 및
    상기 공급 노드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출력 노드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색차의 범위내에서의 상기 화상 신호의 명도의 변화량, 채도의 변화량, 색상의 변화량에 대한 복수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의 응답 속도가 최고속이 되는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조합에 따라서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에지 강조 처리를 실시한 상기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에지 강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017253A 2005-03-23 2006-02-22 에지 강조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742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4544 2005-03-23
JP2005084544A JP2006270421A (ja) 2005-03-23 2005-03-23 エッジ強調処理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488A true KR20060102488A (ko) 2006-09-27
KR100742600B1 KR100742600B1 (ko) 2007-07-25

Family

ID=3708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253A KR100742600B1 (ko) 2005-03-23 2006-02-22 에지 강조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27383A1 (ko)
JP (1) JP2006270421A (ko)
KR (1) KR100742600B1 (ko)
TW (1) TWI34691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74B1 (ko) * 2006-06-06 2009-01-07 게넘 코포레이션 비디오 개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3475A (ko) * 2013-01-18 2014-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색역 축소 보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7009B2 (ja) * 2008-09-12 2011-12-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2049845A1 (ja) * 2010-10-12 2012-04-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色信号処理装置
JP5000781B1 (ja) * 2011-11-09 2012-08-15 楽天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8184A (en) * 1992-03-27 1997-01-28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olor recovery in a computer graphics system
JPH0683962A (ja) * 1992-05-21 1994-03-25 Sanyo Electric Co Ltd 画像認識方法
JPH08339441A (ja) * 1995-06-12 1996-12-24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US5930396A (en) * 1997-04-22 1999-07-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alftone output
JPH11250246A (ja) * 1998-02-27 1999-09-17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74B1 (ko) * 2006-06-06 2009-01-07 게넘 코포레이션 비디오 개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3475A (ko) * 2013-01-18 2014-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색역 축소 보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27383A1 (en) 2006-10-12
TWI346914B (en) 2011-08-11
KR100742600B1 (ko) 2007-07-25
JP2006270421A (ja) 2006-10-05
TW200634666A (en) 200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zryadin et al. Brightness calcul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US736918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4702132B2 (ja) 画像処理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色補正方法
US2008025365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Product, and Image-Capturing Device
JP5897159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079017B2 (ja) 表示装置
JP2002118764A (ja) 色再現域圧縮方法および色再現域圧縮装置
JP2005353069A (ja) 彩度適応的な映像向上装置およびその方法
GB2425670A (en) Processing a video signal to perform black stretching in accordance with a luminance distribution
KR100742600B1 (ko) 에지 강조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710415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8107507A (ja) 映像データ変換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US1024903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A2661650C (en) Video monitoring device providing parametric signal curve display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90988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JP2002536920A (ja) ヒストグラム等化方法
JP200721979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30068080A1 (en) 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lor enhancement
EP2802139B1 (en) Image color adjus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8006338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2007074063A (ja) 色処理装置および色処理方法
CN112513940A (zh) α值确定装置、α值确定方法、程序和图像数据的数据结构
JP5476108B2 (ja) 表示装置
KR100922723B1 (ko) 디스플레이 소자에 있어서 명도 및 채도 개선 장치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방법
JP2003263637A (ja) コントラスト強調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撮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