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990A - 안개 방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개 방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990A
KR20060101990A KR1020050023675A KR20050023675A KR20060101990A KR 20060101990 A KR20060101990 A KR 20060101990A KR 1020050023675 A KR1020050023675 A KR 1020050023675A KR 20050023675 A KR20050023675 A KR 20050023675A KR 20060101990 A KR20060101990 A KR 20060101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humidity
visibility
roa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585B1 (ko
Inventor
황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흥도로안전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흥도로안전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흥도로안전씨스템
Priority to KR102005002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58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개 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개의 시정거리 및 위치, 대기온습도, 풍향풍속, 노면 결빙 등의 도로기상정보를 기초로 안개 제거 수단을 제어하고 그러한 도로기상정보를 운전자에게 전파할 수 있는 안개 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개 방제 시스템은, 안개감지수단, 대기온습도감지수단, 풍향풍속계, 및 노면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도로 기상정보 수집수단과; 도로를 따라 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 및 상기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에 조사되도록 설치된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포함하는 안개제거수단과; 상기 도로 기상정보 수집수단으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를 기초로 하여 안개제거수단을 제어하는 장비제어수단과; 상기 도로 기상정보 수집수단으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를 운전자에게 전파하는 정보송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개 방재 시스템{FOG PREVEN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안개 방재 시스템의 도로 기상정보 수집수단과 안개제거수단이 설치된 도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로를 도로상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승강식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과 원적외선 방사램프로 이루어진 안개제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기상정보 수집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시정계의 작동 범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영상촬영기에 의해 촬영된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의 영상 정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안개 방재 시스템의 전반적 신호 흐름도;
도 8은 도 7의 안개감지수단 및 대기온습도감지수단의 신호를 기초로 한 장비제어수단의 제어 원리를 정리한 도표; 그리고,
도 9는 도 7의 안개감지수단 및 풍향풍속계의 신호를 기초로 한 장비제어 수단의 제어 원리를 정리한 도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로 기상 정보 수집 수단 11: 시정계
12: 영상촬영기 13: 식별표지판
14: 대기온습도측정기 15: 풍향풍속계
16: 노면감지센서 2: 안개 제거 수단
21: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 22: 원적외선 방사램프
211: 상하 이동 부재 212: 지지기둥
9: 도로면
본 발명은 안개발생여부, 안개시정거리, 대기온습도, 풍향풍속, 노면상태 등의 정보를 기초로 안개를 방재하거나 그러한 도로 정보를 송출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함으로써, 원활한 도로 소통 및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이루도록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가 운행할 도로의 도로 기상 정보를 미리 알고 있다면, 운전할 때 매우 편리하다. 특히 이러한 정보는 안전운전에 도움이 된다. 우리나라 일기예보는 근래 들어 정확도가 매우 높아져서 강우, 강설 등의 예측이 거의 들어맞고 있다. 운전자는 이를 미리 듣고 스노우 체인 등을 준비하거나 하여 도로 기상에 어느 정도 대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기예보의 날씨 예측은 광역적인 수준에 머무를 뿐 특정지역의 소규모 기상 상태는 예보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안개 다발 지역에 안개가 발생했는지 여부는 예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안개는 지 속적인 것이 아니라 순식간에 발생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미리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안개 다발지역 진입 전 도로상에는 안개다발지역 안내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를 특별히 신경 쓰지 않는 운전자가 부지기수이며 설사 이를 인지하여 조심스럽게 운전한다고 하더라도 갑작스런 안개의 출현에 당황하여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일이 빈번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기후의 여름은 고온 다습하고 겨울은 한랭 건조하며, 산사면과 저수지, 해안도로를 접한 도로, 산을 통과하는 터널 앞뒤 등 지형적으로 안개 발생 요인이 많은데, 대부분 일정 지역에서 안개가 자주 다발하는 양상이다.
이러한 운전자들의 습성과 우리나라의 안개 다발 양상 등을 고려한다면, 단순한 경고표지판보다는 안개다발지역에 안개가 실제로 발생하였을 때 안개 발생 여부, 시정거리 등의 도로 기상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미리 알려주는 것이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안개가 도로의 시계를 나쁘게 하면, 운전자가 이를 미리 알고 조심하여 운전하더라도 사고가 날 위험이 있으며, 또한 차량의 운행 속도가 매우 떨어지므로 원활한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어 교통 정체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경제적 손실 요인이 된다. 따라서 단순한 안개 경보 전파뿐만 아니라 안개 발생시 안개가 도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안개를 방재하는 시스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하였듯이 안개는 대부분 기후적, 지형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다발지역이 따로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을 지나가는 도로에 안개 방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좋다. 도로의 안개 방재에 관해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7-224414호, 제2001-115426호, 제2001-220724호, 제2001-295237호 등에 소개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가열공기를 도로 상에 분사하여 안개를 제거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52468호에는 방무(防霧)용 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47629호, 제2004-19235호, 제2004-19243호, 제2004-76473호에는 방무 네트의 상승 하강 등에 관한 설비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가열공기에 의한 방식은 안개를 제거하는 데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부담이 매우 크며, 운전자가 창문을 열고 운전을 할 때 가열공기가 차내로 유입되어 운전자가 놀라게 되거나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로의 양측에 방무 네트를 세우는 방식은 방무 네트가 수용할 수 있는 안개의 양에 한계가 있어서 안개가 매우 짙게 발생하였을 때에는 네트가 금방 포화상태가 되어 안개를 부착 제거하기 어렵다. 또한 겨울에 안개가 발생한 경우에는 네트에 부착된 안개가 결빙하여 네트의 안개 제거 능력이 상실되거나, 이를 하강시킬 때 네트가 손상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안개처럼 운전자에게 갑자기 다가오는 위험 중 한 가지로는 빙판길이 있다. 운전자들은 눈이 내리는 도로는 매우 조심하여 운전하지만, 예를 들어 눈이 내린 후 시간이 좀 흘러 어느 정도 도로상의 눈이나 결빙구간이 사라지게 되면 방심하기 마련이다. 햇볕이 드는 도로상의 눈은 금방 녹아 없어지지만 계속 그늘지는 도로상의 눈은 날씨가 풀리거나 심지어는 봄이 올 때까지는 녹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 운행에 굉장한 위협이 되고 있다. 그렇다고 하여 운전자가 항상 빙판길이라고 생각하면서 운전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따라서 이렇게 상습 결빙구간에 노면이 결 빙되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다면 안전운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비단 빙판길의 문제만은 아니다. 비나 눈이 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서리나 안개 등으로 노면이 젖게 되는 경우에도 사고는 빈번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도 운전자가 미리 알 수 있다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개 발생 신호와 시정 거리 정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정계와 함께 영상촬영기를 이용하여 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 거리식별표지판을 촬영하여 이 영상신호를 중앙 관제소에 전송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시정계에 의한 안개 발생 신호 및 시야 거리 정보 신호의 진정성을 판별하도록 하는 안개감지수단, 도로상의 대기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대기온습도감지수단, 도로상의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풍향풍속계, 및 도로면의 상태를 감지하는 노면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도로 기상정보 수집수단과,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에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설치하여 안개 발생 정도와 기온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적외선을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에 조사(照射)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줄임과 함께,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이 짙은 안개로 안개 제거의 한계점에 다다르거나 낮은 기온으로 인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식 또는 승강식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한 안개 제거 수단과,
상기 안개 발생에 따른 시정거리 정도와 기온, 습도 정보에 따라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 또는 원적외선 램프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고 안개 발생 위치와 풍향에 따라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며 특히 감지 정보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영상촬영기에 의한 영상신호를 근거로 관리자의 승인 절차를 한 번 더 거칠 수 있도록 한 장비 작동 제어 수단과,
상기 시정계에 의한 안개 발생 또는 안개 시정거리 정보 및 상기 노면감지센서에 의한 노면상태 정보를 송출하는 정보 송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안개 방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정식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사용할 때에, 본 발명은 안개의 발생과 안개에 의한 시정거리를 감지하는 시정계를 포함하는 안개감지수단과,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감지 수단과, 도로를 따라 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식 원적외선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 및 상기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에 조사되도록 설치된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포함하는 안개제거수단과, 상기 시정계에 의해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안개제거수단의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는 장비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안개발생신호가 안개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며, 적외선 방사램프에 의해 안개제거수단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방사램프 작동시기를 조절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개감지수단은, 영상촬영기와, 도로를 따라 상기 영상촬영기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 상촬영기는, 상기 시정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의 시정거리를 산출하였을 때 전방의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촬영하여 그 영상정보를 중앙관제소에 송신하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자동모드와 반자동모드로 작동되며,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에 의해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며, 반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에 의해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시정계의 진정성을 확보하고 관리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개 방재 시스템은 도로 상부의 기온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안개의 결빙을 방지하여 안개 방재를 효과적으로 이루도록 한다.
상기 안개감지수단은, 영상촬영기와, 도로를 따라 상기 영상촬영기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촬영기는, 상기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였을 때 전방의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촬영하여 그 영상정보를 중앙관제소에 송신하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자동모 드와 반자동모드로 작동되며,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고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며, 반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고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승강식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사용할 때에, 본 발명은 안개의 발생과 안개에 의한 시정거리를 감지하는 시정계를 포함하는 안개감지수단과,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감지 수단과, 도로를 따라 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승강식 원적외선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 및 상기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에 조사되도록 설치된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포함하는 안개제거수단과, 상기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상기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며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는 장비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의 상승 시기를 조절하여 경관 시야가 트이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개감지수단은, 영상촬영기와, 도로를 따라 상기 영상촬영기로부 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촬영기는, 상기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거나 소정 시정거리 이하의 시정거리를 산출하였을 때 전방의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촬영하여 그 영상정보를 중앙관제소에 송신하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자동모드와 반자동모드로 작동되며,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시정계에 의해 도로주변에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상기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며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며, 반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시정계에 의해 도로주변에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상기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며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이는 안개의 양이 적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만으로 안개 방재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에는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개 방재 시스템은 도로 상부의 기온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이는 결빙에 의해 안개 방재가 잘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을 방지하고 또한 결빙에 의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안개감지수단은, 영상촬영기와, 도로를 따라 상기 영상촬영기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촬영기는, 상기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였을 때 전방의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촬영하여 그 영상정보를 중앙관제소에 송신하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자동모드와 반자동모드로 작동되며,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며, 반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안개 방재 시스템은 도로 주변의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풍향풍속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비 제어 수단은, 상기 시정계가 도로 주변의 안개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 기 풍향풍속계에 의해 측정된 풍향 및 풍속 정보로 판단하여 안개 발생 위치에서 안개가 풍향에 의해 도로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라 판단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도록 한다. 이는 안개가 도로에 유입되기 전에 미리 안개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안개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안개 방재 시스템은 경보 송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 송출 수단은 상기 시정계에 의한 안개 발생여부 정보와 시정거리 정보를 송출하도록 한다. 이는 운전자에게 미리 안개 관련 정보를 알려주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안개 방재 시스템은 경보 송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 송출 수단은, 상기 장비제어수단이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시정계에 의한 안개 발생여부 정보와 안개 시정거리 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장비제어수단이 반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시정계에 의해 도로주변에 안개 발생이 감지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안개 발생여부 정보와 시정거리 정보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잘못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안개 방제 시스템은 도로면의 젖음 상태 및 결빙 상태를 확인하는 노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 송출 수단은 상기 노면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도로면 상태 정보를 더 송출하도록 한다. 이는 운전자에게 결빙 구간을 주의해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개 방재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안개 방재 시스템의 도로 기상정보 수집수단과 안개제거수단이 설치된 도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로를 도로상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안개 방재 시스템은 크게 도로 상의 각종 기상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1)과, 도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안개를 제거하는 수단(2)과, 수집된 도로 기상 정보를 기초로 안개 제거 수단을 제어하여 안개를 방재하는 장비 제어 수단과, 수집된 도로 기상 정보를 각종 매체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전파하는 정보 송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승강식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과 적외선 방사램프로 이루어진 안개제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안개 제거 수단(2)으로는 원적외선 방사램프(22)가 설치된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이 사용된다. 도로의 양측에는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향하여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원적외선 방사램프(22)가 설치되어 있다.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은 필요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승강식이나 늘 펼쳐져 있는 고정식 차단제거막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승강식 차단제거막을 기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승강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은 그물망 형태로 된 것으로, 원적소자 원착 폴리 에스터(원료에 원적외선소자 세라믹 파우더를 녹여서 혼합한 것)로 실을 짜고, 연신하며, 라셀 직조법에 의해 제조한다. 원적소자 원착 폴리에스터는 외부 광선 등으로 인해 공명하며 자체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하게 된다. 그물눈은 1mm 내지 3mm 사이의 규격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물눈이 너무 촘촘하면 빛 투과율이 너무 떨어져 도로가 어두워져 버리거나 운전자가 자연 경관을 볼 수 없게 되며, 그물눈이 너무 성기면 안개 입자를 잘 부착시키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은 3개의 상하이동부재(211)에 의해 지지되어 펼쳐지며, 상하이동부재(211)의 양단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진 지지기둥(212)에 의해 지지되어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원적외선 방사램프(22)는 지지기둥(212)의 상단부에서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을 기울여 설치하는 것은 안개 입자와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에 의해 차단되는 안개 입자가 더 많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상부의 도면은 상하이동부재(211)가 상승하여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하부의 도면은 상하이동부재(211)가 하강하여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이 내려진 상태를 나타낸다. 안개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에는 운전자의 쾌적한 시계 확보 등을 위해 하부의 도면과 같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이 내려진 상태로 운용되는 것이 좋다.
원적외선은 적외선(0.78μ~999μ) 중에서 3μ~999μ까지의 파장을 가진 전자 파이며, 특히 5μ~6μ 파장 영역에 최대피크파장이 존재하는 원적외선은 물분자의 고유진동수와 유사한 진동파장을 가진 전자파로서 물분자의 공진현상, 공명호흡현상을 발생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을 안개를 구성하는 미세한 물방울에 쏘이면 물방울은 원적외선의 파장과 함께 공진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세한 물방울은 수 마이크론 이하의 미소입자로 분열한다. 따라서 원적외선 소자가 함유된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에 의해 도로로 유입되는 안개를 부착, 제거시키면서 여기에 동시에 원적외선을 쏘아주어 부착된 안개 입자를 미소입자로 분열시키면 도로상으로 유입되는 안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원적외선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 및 원적외선 방사램프(22)에 의하면 차단제거막(21) 자체에 함유된 원적외선소자 세라믹 파우더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와 함께 원적외선 방사램프(22)에 의한 원적외선 조사에 의하여 안개 제거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과 원적외선 방사램프(22)의 조합은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안개 방재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하였듯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은 늘 펼쳐 올려놓기보다는 필요시(안개 발생시)에만 펼쳐 올리는 것이 도로상의 운전자가 답답함을 느끼지 않으며 자연 경관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길이 된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램프(22)도 전력 소모를 일으키므로 에너지 절약 및 비용 절감 차원에서 필요시(안개가 짙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만으로는 방재에 한계가 있거나 기온이 낮아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에 부착된 안개 입자가 결빙될 염려가 있는 경우)에만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절 한 시기에 안개 제거 수단(2)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제어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기상정보 수집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시정계의 작동 범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영상촬영기에 의해 촬영된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의 영상 정보이다.
안개 제거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로상에 안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안개의 발생 위치, 시정거리, 이러한 안개 정보의 진정성, 풍향 및 풍속, 기온 등의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로 일측에 안개감지수단, 대기온습도감지수단, 풍향풍속계 등으로 이루어진 도로 기상 정보 수집 수단(1)을 설치하였다.
안개감지수단은 시정계(11)와, 이 시정계의 감지 정보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영상촬영기(12) 및 식별표지판(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정계(11)는 시정거리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적외선 LED 광원을 이용하여 대기의 시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로 교통 정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원의 방사 범위가 대략 42° 이며, 측정 가능 거리가 약 6m ~ 16km 정도인 시정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정계(11)는 광원의 방사 범위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정거리를 산출하며 이 때 방사 범위 내의 시정거리를 평균 내는 방식으로 시정거리의 계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정계(11)의 방사 범위의 중심을 도로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시정계(11)를 도로 측면에 설치하게 된다. 그러면 시정계(11)는 도로 측면을 따라 시정거리를 6m 내지 16km 까지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정계(11)로는 Surface Systems 사의 Model 6000 시정계가 사용될 수 있다. 시정계(11)는 대기의 시정거리를 산출하여 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시정계(11)는 대기의 시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시정거리가 어느 수준 이하가 된다면 안개 발생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부연설명하면, 시정거리에 의해 신호를 생성시키므로 안개 발생 신호는 안개뿐만 아니라 황사에 의해서도 생성 될 수 있다.
시정계(11)는 안개에 의한 시정거리는 물론 황사나 먼지 등에 의한 시정거리도 측정하기 때문에 황사 등이 많이 발생하는 우리나라의 기후에서는 시정계(11)에서 산출된 시정거리가 안개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 검증하기 위해 대기의 습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정계(11)에 의한 시정거리 수치가 50미터라 하였을 때 이것이 황사에 의한 것인지 안개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후술할 대기온습도감지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어느 이상, 예를 들어 상대습도 80% 이상이라면 시정거리 정보가 안개에 의한 것이라고 검증할 수 있는 것이다.
안개의 발생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정계(11)를 도로의 양측에 설치하여 양측의 시정거리를 비교 감시함으로써 도로의 동쪽에 안개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서쪽에 안개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동쪽의 시정계(11)에 의한 시정거리가 서쪽의 시정계(11)에 의한 시정거리보다 짧다면 동쪽에 안개가 발생하였다고 안개 발생 위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시정계(11)를 아무리 정밀하게 제작하더라도 그것에 의해 산출된 안개발생 정보, 시정거리 정보 등이 100% 정확한 것은 아니다. 시정계(11)는 적외선 LED 방 식이기 때문에 렌즈 앞에 이물질이 끼면 센서 소자의 정확도가 많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즉 모든 감지 장치에는 오작동이 있기 마련이므로, 단순히 감지 장치의 정보에 의존하기보다는 감지 장치의 올바른 작동 여부를 관리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영상촬영기(12) 및 식별표지판(13; 도 1 참조)을 설치하였다. 영상촬영기(12)를 시정계(11)와 인접하여 설치하여 도로 방향을 향하게 하고, 영상촬영기가 향하는 방향인 도로가에 차례로 10미터, 20미터, 30미터 … 의 식별표지판(13)을 설치한 후, 이것을 영상 촬영기(12)가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안개가 일몰 이후, 또는 새벽에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식별표지판(13)은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식별표지판(13)에 있어서 숫자로 된 거리 표시 부분을 LED로 구성한다. 또한 LED에 소요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전지와 함께 극저온 대용량 콘덴서를 내장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LED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별도의 관리 없이 반영구적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야간에도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는 VMS가 내장된 식별표지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영상촬영기(12)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도 6 참조)에서, 관리자는 식별표지판(13)이 잘 보이는지 여부에 따라 육안으로 시정거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이라는 숫자는 잘 보이지만 40이라는 숫자가 희미하다면 시정거리는 30미터와 40미터 사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시정계(11)로부터 수신된 안개 시정거리 정보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앙관제소의 관리자는 시정계(11)로부터 감지된 안개 발생 및 안개 시정거리 신호가 수신하면 영상촬영기(12)로 식별표지판(13)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시정계(11)의 신호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판단 결과 시정계(11)의 신호가 오작동신호라면 렌즈 청소 등 시정계(11)를 점검할 시기가 왔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영상촬영기(12)에 의한 영상정보는 시정계(11)의 교정 주기를 판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관리자가 이러한 확인 과정을 매 신호 수신시마다 하기에는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세팅하거나 확인 절차를 건너뛰도록 세팅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다른 업무가 바쁘거나 할 때에는 확인 절차를 생략할 수도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대기온습도감지수단으로는 국내 상황을 고려 대기온도 -30 ~ +50℃를 측정할 수 있고 상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대기온습도측정기(1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온도는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에 부착된 안개 입자가 결빙될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고 상대 습도는 시정계(11)에 의한 시정거리 정보가 안개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풍향풍속계(15)는 풍향 등을 파악하여 도로(9) 밖에서 발생된 안개가 도로(9) 쪽으로 유입이 될 것인지 아닌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결빙이 자주 일어나는 도로에는 노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노면감지센서(16)를 설치한다. 노면감지센서(16)는 특히 해가 들지 않아 결빙이 잦고 오래가는 노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직접 도로 노면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차량 의 타이어가 밟고 가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견고성이 요구된다. 특히 결빙 유무 뿐만 아니라 도로면의 습도, 물기, 결빙점 등 노면상태를 특정할 수 있는 각종 수치까지 함께 측정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노면감지센서로는 Surface Systems사의 Frensor MK II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도로표면의 온도를 저항값으로 측정함과 동시에 도로의 특정부분을 가열 냉각함으로써 결빙 유무와 결빙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동적 센서이다.
이하 상기한 안개 방재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안개 방재 시스템의 전반적인 신호 흐름도, 도 8은 도 7의 안개감지수단 및 대기온습도감지수단의 신호를 기초로 한 장비제어수단의 제어 원리를 정리한 도표, 그리고 도 9는 도 7의 안개감지수단 및 풍향풍속계의 신호를 기초로 한 장비제어 수단의 제어 원리를 정리한 도표이다.
1. 기상정보 수집수단
도 7을 참조하면,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면 시정계는 안개발생신호, 시정거리신호, 안개위치신호를 중앙관제소의 장비제어수단으로 송출하고, 안개발생신호를 영상촬영기, 대기온습도감지수단, 풍향풍속계에 송출한다. 안개발생신호를 수신한 영상촬영기는 전방의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촬영하여 이를 영상정보화하여 장비제어수단에 송출한다. 안개발생신호를 수신한 대기온습도감지수단은 기온 및 습도를 측정하여 기온 정보를 장비제어수단에 송출한다. 안개발생신호를 수신한 풍향풍속계는 풍향 풍속을 측정하여 그 정보를 장비제어수단에 송출한 다.
이 외에도 시정계는 정보송출수단으로 안개발생신호, 시정거리신호, 안개위치신호를 송출한다. 노면감지세서는 노면이 젖어있거나 결빙되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정보송출수단으로 송출한다.
2. 장비제어수단
중앙관제소에서 관리자는 장비제어수단을 반자동모드 혹은 자동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반자동모드는 관리자의 승인이 있어야 장비를 제어하도록 하는 모드이고, 자동모드는 관리자 승인 없이 자동적으로 장비를 제어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1) 장비제어수단은 안개발생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에는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을 하강위치에 있도록 하고 원적외선 방사램프(22)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안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안개 시정거리 신호도 없고, 기온이 결빙점 이하라 하더라도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에 안개 입자가 부착될 일이 없으므로 안개제거수단(2)을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관리자의 승인도 필요 없다. 만약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이 고정식이라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만 작동 안하도록 하면 된다.
(2) 장비제어수단은 안개발생신호를 수신하면 대기습도 정보를 분석한다. 시정계에 의한 안개발생신호가 황사나 먼지 등 다른 요인이 아닌 안개에 의한 신호라고 검증할 수 있는 정도의 습도, 예를 들면 상대습도 80% 이하라면 이는 안개가 아니므로 안개제거수단(2)을 작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때에도 상기 (1) 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을 하강위치에 있도록 하고 원적외선 방사램프(22)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만약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이 고정식이라면 상기 (1)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적외선 방사램프만 작동 안하도록 하면 된다.
(3) 장비제어수단은 안개발생신호를 수신하면 대기습도정보를 분석하여 상대습도가 소정습도 이상인지 파악하고, 상대습도가 소정습도 이상이면 시정거리신호를 분석하여 안개의 시정거리가 소정 시정거리 이상인지 파악한다. 안개의 시정거리가 소정 시정거리보다 높다면 기온 정보를 파악한다. 기온이 안개가 결빙되지 않을 정도로 높다면 약간의 안개가 발생하였고 결빙할 염려는 없으므로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으로 안개를 방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은 상승 위치에 오도록 하지만 원적외선 방사램프(22)는 작동시키지 않게 된다. 고정식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이라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만 작동 안하도록 하면 된다. 이 때 안개 발생 여부에 대해서 진정성을 기하고자 하여 장비제어수단이 반자동모드로 세팅되어 있다면 장비제어수단은 안개제거수단(2)을 제어하기 전에 관리자에게 안개발생경보를 송출하고, 이에 관리자가 영상촬영기(12)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도 6 참조)를 보고 안개발생신호가 진정한 것인지 확인한 후 제어작동 승인을 하면 안개제거수단(2)에 대한 상기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4) 장비제어수단이 안개발생신호를 수신하면 대기습도정보를 분석하여 상대습도가 소정습도 이상인지 파악하고, 상대습도가 소정습도 이상일 때 시정거리를 분석하여, 분석한 안개시정거리가 소정 시정거리보다 높으나, 기온이 결빙 가능한 온도라고 판단될 때에는 안개가 발생하였고 안개의 농도는 짙지 않지만 결빙의 우 려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에 안개 입자가 결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을 상승 위치에 오도록 하고 원적외선 방사램프(22)를 작동시킨다. 고정식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이라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만 작동하면 된다. 이 때 안개 발생 여부에 대해서 진정성을 기하고자 하여 장비제어수단이 반자동모드로 세팅되어 있다면 장비제어수단은 안개제거수단을 제어하기 전에 관리자에게 안개발생 및 결빙 경보를 송출하고, 이에 관리자가 영상촬영기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를 보고 안개발생신호가 진정한 것인지 확인한 후 제어작동 승인을 하면 안개제거수단(2)에 대한 상기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5) 장비제어수단이 안개발생신호를 수신하면 대기습도정보를 분석하여 상대습도가 소정습도 이상인지 파악하고, 상대습도가 소정습도 이상일 때 시정거리를 분석하여, 분석한 안개시정거리가 소정 시정거리보다 낮다면 안개가 짙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 때에는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만으로는 안개 차단 및 제거에 한계가 있으므로 원적외선 방사램프가 함께 작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을 상승 위치에 오도록 하고 원적외선 방사램프(22)를 작동시킨다. 고정식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이라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만 작동하면 된다. 이 때 안개 발생 여부에 대해서 진정성을 기하고자 하여 장비제어수단이 반자동모드로 세팅되어 있다면 장비제어수단은 안개제거수단을 제어하기 전에 관리자에게 안개발생 및 시정거리 이상 경보를 송출하고, 이에 관리자가 영상촬영기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를 보고 안개발생 및 시정거리 신호가 진정한 것인지 확인한 후 제어작동 승인 을 하면 안개제거수단(2)에 대한 상기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6) 본 발명에 의하면 안개 방재 시스템이 승강식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안개의 이동 경로를 예상하여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비제어수단은 도로 양측에 설치된 시정계의 시정거리 정보를 기초로 송출하는 안개위치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풍향 정보도 수신한다. 수신한 풍향이 안개를 도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동쪽에 안개가 발생하였는데 풍향이 동풍인 경우, 또는 도로의 서쪽에 안개가 발생하였는데 풍향이 서풍인 경우에는 안개가 도로 방향으로 이동된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21)을 상승 위치에 놓이도록 제어한다.
3. 정보 송출 수단
한편 중앙관제소에는 정보송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정보송출수단은 안개감지수단으로부터 안개발생신호, 시정거리, 안개위치정보,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노면감지센서로부터 노면의 젖음상태나 결빙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 신호를 근거로 안개(황사)가 발생하였거나 시정거리가 운전자의 운전에 지장을 줄 수준에 이르렀다고 판단되거나 노면이 젖었거나 결빙되었다고 판단되면 정보송출수단은 이러한 도로정보를 운전자에게 송출한다. 운전자에게 이를 전파하는 방법으로는 라디오, VMS, GPS 및 텔레매틱스에 의한 도로정보서비스 등 통상적인 전자적 정보 전달 매체에 의할 수 있다. 한편 안개 발생 정보는 시정계의 오작동으로 인해 오보가 나갈 수 있으므로 반자동모드 시에는 관리자의 승인을 필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개 방재 시스템은 도로 기상 정보를 미리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가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안개를 방재함으로써 원활한 도로 소통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정계에 의한 시정거리는 습도 정보를 기초로, 안개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황사 등으로 인한 국내의 특수요인을 충분히 반영한 장비의 운용이 가능하다.
특히, 안개의 시정거리가 낮고 결빙 염려가 없을 때에는 안개 제거시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만 사용하도록 하며, 안개의 시정거리가 높아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만으로는 안개 제거에 한계가 있거나 기온이 낮아 안개가 결빙될 염려가 있을 때에는 원적외선 방사램프도 함께 사용하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안개 제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안개 감지 수단으로 영상정보를 활용하여 시정계의 작동이 올바르게 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 시정계 유지보수시기를 쉽게 결정할 수 있으며, 시정계에 의한 정보의 진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안개발생위치와 풍향 등의 정보를 기초로 안개가 도로상에 접근하기 전에 미리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개 제거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안개의 발생과 안개에 의한 시정거리를 감지하는 시정계를 포함하는 안개감지수단과,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감지 수단과,
    도로를 따라 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식 원적외선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 및 상기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에 조사되도록 설치된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포함하는 안개제거수단과,
    상기 시정계에 의해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안개제거수단의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는 장비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감지수단은, 영상촬영기와, 도로를 따라 상기 영상촬영기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촬영기는, 상기 시정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의 시정거리를 산출하였을 때 전방의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촬영하여 그 영상정보를 중앙관제소에 송신하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자동모드와 반자동모드로 작동되며, 자동모드인 경우에 는 시정계에 의해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며, 반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에 의해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 방재 시스템은 도로 상부의 기온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감지수단은, 영상촬영기와, 도로를 따라 상기 영상촬영기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촬영기는, 상기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였을 때 전방의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촬영하여 그 영상정보를 중앙관제소에 송신하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자동모드와 반자동모드로 작동되며,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고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며, 반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고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5. 안개의 발생과 안개에 의한 시정거리를 감지하는 시정계를 포함하는 안개감지수단과,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감지 수단과,
    도로를 따라 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승강식 원적외선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 및 상기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에 조사되도록 설치된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포함하는 안개제거수단과,
    상기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상기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며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는 장비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감지수단은, 영상촬영기와, 도로를 따라 상기 영상촬영기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촬영기는, 상기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거나 소정 시정거리 이하의 시정거리를 산출하였을 때 전방의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촬영하여 그 영상정보를 중앙관제소에 송신하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자동모드와 반자동모드로 작동되며,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시정계에 의해 도로주변에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상기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며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며,
    반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시정계에 의해 도로주변에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상기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며 산출된 안개 혼탁도가 소정 시정거리 이하가 되면 관리 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 방재 시스템은 도로 상부의 기온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시정계에 의해 안개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감지수단은, 영상촬영기와, 도로를 따라 상기 영상촬영기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촬영기는, 상기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였을 때 전방의 주야 사용가능한 식별표지판을 촬영하여 그 영상정보를 중앙관제소에 송신하며,
    상기 장비제어수단은 자동모드와 반자동모드로 작동되며,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 사램프를 작동시키며,
    반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시정계가 안개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기온 감지 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온이 결빙점 이하가 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 방재 시스템은 도로 주변의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풍향풍속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비 제어 수단은, 상기 시정계가 도로 주변의 안개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습도 감지 수단에 의한 습도 정보가 소정 습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풍향풍속계에 의해 측정된 풍향 및 풍속 정보로 판단하여 안개 발생 위치에서 안개가 풍향에 의해 도로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라 판단되면 안개 방재 차단제거막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 방재 시스템은 경보 송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 송출 수단은 상기 시정계에 의한 안개 발생여부 정보와 시정거리 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11.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 방재 시스템은 경보 송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 송출 수단은, 상기 장비제어수단이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시정계에 의한 안개 발생여부 정보와 안개 시정거리 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장비제어수단이 반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시정계에 의해 도로주변에 안개 발생이 감지되면 관리자의 승인을 요구하고 관리자의 승인 신호가 확인되면 안개 발생여부 정보와 시정거리 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 방제 시스템은 도로면의 젖음 상태 및 결빙 상태를 확인하는 노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 송출 수단은 상기 노면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도로면 상태 정보를 더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방재 시스템.
KR1020050023675A 2005-03-22 2005-03-22 안개 방재 시스템 KR100698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75A KR100698585B1 (ko) 2005-03-22 2005-03-22 안개 방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75A KR100698585B1 (ko) 2005-03-22 2005-03-22 안개 방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90A true KR20060101990A (ko) 2006-09-27
KR100698585B1 KR100698585B1 (ko) 2007-03-22

Family

ID=3763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675A KR100698585B1 (ko) 2005-03-22 2005-03-22 안개 방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58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82B1 (ko) * 2007-10-05 2009-04-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위성을 이용한 안개 탐지시스템 및 그를 사용한 안개탐지방법
CN103413441A (zh) * 2013-06-26 2013-11-27 广东惠利普路桥信息工程有限公司 道路天气状况监控系统和监控方法
CN104318780A (zh) * 2014-10-31 2015-01-28 重庆大学 考虑气象因素、道路线形因素的高速公路事件检测方法
CN104794903A (zh) * 2014-06-11 2015-07-22 合肥星服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沿线插值原理的公路能见度优化算法
WO2015163683A1 (ko) * 2014-04-22 2015-10-29 솔루션테크 주식회사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US9494924B2 (en) 2012-05-18 2016-11-15 Kabushiki Kaisha Toshiba Social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apparatus, and server
WO2016195254A3 (ko) * 2015-05-29 2017-01-26 권오준 하이브리드형 음이온생성장치를 통한 안개제거장치
CN109041363A (zh) * 2018-06-13 2018-12-18 苏州创存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热释电原理的航空障碍灯系统
CN109448397A (zh) * 2018-11-20 2019-03-08 山东交通学院 一种基于大数据的团雾监测方法
KR101993445B1 (ko) 2018-03-05 2019-06-26 (주)시정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상분석 시정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7992U1 (ru) * 2018-11-26 2019-03-26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бразовательн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колк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науки и технологий"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и генерации признаков в задаче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параметров и оценки состояния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253B2 (ja) * 1989-02-03 1995-08-3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滑走路およびその近傍の移流霧除去方法
JPH0376913A (ja) * 1989-08-18 1991-04-02 Kawasaki Heavy Ind Ltd 霧の除去方法
KR20030006097A (ko) * 2001-07-11 2003-01-23 찰스우리 안개 제거 시스템
KR20040097100A (ko) * 2004-10-27 2004-11-17 최은성 활주로 및 도로안개제거시스템과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82B1 (ko) * 2007-10-05 2009-04-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위성을 이용한 안개 탐지시스템 및 그를 사용한 안개탐지방법
US9494924B2 (en) 2012-05-18 2016-11-15 Kabushiki Kaisha Toshiba Social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apparatus, and server
US10355915B2 (en) 2012-05-18 2019-07-16 Kabushiki Kaisha Toshiba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CN103413441A (zh) * 2013-06-26 2013-11-27 广东惠利普路桥信息工程有限公司 道路天气状况监控系统和监控方法
CN103413441B (zh) * 2013-06-26 2015-12-23 广东惠利普路桥信息工程有限公司 道路天气状况监控方法
WO2015163683A1 (ko) * 2014-04-22 2015-10-29 솔루션테크 주식회사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CN104794903A (zh) * 2014-06-11 2015-07-22 合肥星服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沿线插值原理的公路能见度优化算法
CN104318780A (zh) * 2014-10-31 2015-01-28 重庆大学 考虑气象因素、道路线形因素的高速公路事件检测方法
WO2016195254A3 (ko) * 2015-05-29 2017-01-26 권오준 하이브리드형 음이온생성장치를 통한 안개제거장치
KR101993445B1 (ko) 2018-03-05 2019-06-26 (주)시정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상분석 시정계
CN109041363A (zh) * 2018-06-13 2018-12-18 苏州创存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热释电原理的航空障碍灯系统
CN109448397A (zh) * 2018-11-20 2019-03-08 山东交通学院 一种基于大数据的团雾监测方法
CN109448397B (zh) * 2018-11-20 2020-11-13 山东交通学院 一种基于大数据的团雾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585B1 (ko)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585B1 (ko) 안개 방재 시스템
KR102136131B1 (ko) 도로결빙 예측 자동 감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156907B1 (ko) 블랙 아이스 경보 알림 시스템
KR100912289B1 (ko) Cctv 카메라 전면부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041022B1 (ko) 운전자를 위한 도로 결빙 예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26016A1 (en) Detecting traffic
US20090256910A1 (en) Camera System to detect, monitor and report low visibility
KR101834275B1 (ko) 교통 안전정보 전파 시스템 및 방법
CN108074410A (zh) 交通云警示平台
KR20100008109A (ko) 도로 기상 종합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0775571B1 (ko) 기후 변화에 따라 최고 제한속도가 변경되는교통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101430592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led 도로 표지판 관리 시스템
JP2016217777A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
KR20180126199A (ko) 도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7808521A (zh) 一种智能阻拦装置
CN106772689A (zh) 一种高速公路气象监测系统
KR101101608B1 (ko) 차간거리안내 시스템
Medina et al. Evaluation of microwave radar vehicle detectors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under adverse weather conditions
CN109389830A (zh) 一种适用于城市道路的智能交通限速设备
KR20060061753A (ko) 가변형 교통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0740B1 (ko) 태양전지 안내판과, 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9694B1 (ko)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CN208126605U (zh) 一种公路桥桥面结冰监测与报警装置
CN204087489U (zh) 一种数码显示高清电子警察抓拍装置
CN207833705U (zh) 一种智能控制道路预警亮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