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250A -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및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및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250A
KR20060101250A KR1020060021482A KR20060021482A KR20060101250A KR 20060101250 A KR20060101250 A KR 20060101250A KR 1020060021482 A KR1020060021482 A KR 1020060021482A KR 20060021482 A KR20060021482 A KR 20060021482A KR 20060101250 A KR20060101250 A KR 20060101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roller
groove
groove portion
regulating member
h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294B1 (ko
Inventor
아키오 나이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3Backings or blan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18Platen-impression arrangement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소형이며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플래튼 롤러의 착탈이 가능하며 고신뢰도로 플래튼 롤러를 유지해 주는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가 제공된다.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규제 부재(3)의 연결부(3a)에 부착되고, 축부와 규제부(3)의 결합부(3b)는 고정 프레임(4)의 제 1 홈부(5)와 제 2 홈부(6)에 각각 삽입되어 있고, 플래튼 롤러(2)의 외주부(2a)는 기록이 가능하도록 감열 헤드(1)와 접촉이 유지된다. 제 1 홈부(5)로부터 방향(A)으로 축부(2a)의 이탈은 내주연(5a)에 의해 방지된다. 내주연(5a)에 의해 방해됨이 없이 축부(2a)가 개구부(5b)를 향하여 방향(B)으로의 이탈은 결합부(3b)가 내주연(6a)과 접촉하고 방향(B)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방지된다. 플래튼 롤러(6)의 제거는, 축부(2a)가 제 1 홈부(5)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부(3b)가 제 2 홈부(6)로부터 방향(C)으로 이탈될 때만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및 기록 장치{PLATEN ROLLER RETAINING STRUCTURE AND RECOR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의 플래튼 롤러와 감열 헤드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의 규제부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의 고정 프레임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의 플래튼 롤러의 착탈의 제 1 간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의 플래튼 롤러의 착탈의 제 2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가 장착된 기록 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기록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케이싱을 생략한 도 7에 도시한 기록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기록 장치의 커버 부재의 개방 동작을 도시한, 케이싱이 생략한 사시도.
도 11은 커버 부재가 개방된 도 7에 도시된 기록 장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열 헤드 2 : 플래튼 롤러
2a : 축부 2b : 외주부
3 : 규제 부재 4 : 고정 프레임
5 : 제 1 홈부 6 : 제 2 홈부
7 : 커버 부재 8 : 회전 지점
9 : 베이스 부재 10 : 케이싱
11 : 롤체 14 : 베어링 부재
16 : 플래튼 프레임 17 : 조작 레버
본 발명은 기록 헤드와 접촉하여 사용되는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유지 구조를 가진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케이스 내부에 기록 헤드와 이와 접촉하여 있는 플래튼 롤러를 가지고, 기록 헤드는 플래튼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 장치가 있다. 이러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설정, 재밍 처리, 유지보수 및 기록 헤드와 플래튼 롤러의 교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때, 이러한 작업은 기록 헤드와 플래튼 롤러가 서로 접촉되어 있을 때 매우 곤란하였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와 기록 헤드를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이들을 서로 분리할 필요가 있다. 기록 요소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기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해치지 않고 복수의 기록 요소(즉, 발열 요소)를 가진 기록 헤드가 케이싱의 내부의 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플래튼 롤러가 기록 헤드로부터 분리되어 케이싱의 외부로 적출이 되고 기록 헤드는 케이싱 내부의 제 위치에 고정된 채로 남아 있는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기록 작업 중에, 플래튼 롤러는 소정의 압력으로 기록 헤드와 단단히 접촉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몇몇 구성에 있어서, 요홈과 같은 홈부가 케이싱 내에 구비되며, 플래튼 롤러는 홈부 내에 유지되며 이에 의해 바람직하게 위치된다.
더욱이, 플래튼 롤러를 착탈가능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홈부의 개구부에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여 개구부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가 들어갔다 나왔다 할 수 있는 구조를 이용가능하다. 이 구조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므로 플래튼 롤러를 홈부의 소정의 위치에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소정의 위치에 강제적으로 밀어 넣으면, 플래튼 롤러는 스프링 부재가 개구부를 다시 개방하기 위하여 탄성 병형을 받지 않는 한 홈부로부터 빼낼 수 없다. 사용자가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할 때, 플래튼 롤러는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플래튼 롤러의 축부가 이를 둘러싸는 부재에 의해 홈부 내에 유지되는 구조도 있다. 즉, 홈부(플래튼 롤러의 입구부)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차단되어 있고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가 홈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홈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부재는 기록 헤드 자체일 수도 있거나, 플래튼 롤러(JP 2000-318260 A)를 유지하기 위한 전용 로크 아암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기록 헤드 또는 로크 아암)의 축부를 둘러싸고 있는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홈부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플래튼 롤러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JP 2000-118060 A는 주몸체 프레임(케이싱 베이스 부재)에 관하여 개방 및 페쇄할 수 있는 커버판(커버 부재)은 플래튼 롤러의 축부가 삽입되는 제 1 슬릿과 함께 장착되고, 주몸체 프레임은 제 1 슬릿과 결합되는 제 2 슬릿을 구비하고 이에 의해 커버판이 폐쇄될 때, 플래튼 롤러의 축부를 유지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 커버판상에 구비된 회전가능한 로크 레버는 주몸체 프레임상에 구비된 핀과 결합하고,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가 제 1 슬릿 및 제 2 슬릿에 서로 결합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상태로 주몸체 프레임에 커버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JP 06-71954 A에는 플래튼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부시 레버 부재를 가지며, 부시 레버 부재에 실제적으로 사각형상의 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싱에 구비된 홈부의 개구부는 사각형상의 축부의 단측은 통과하나 장측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폭을 가진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사각형상의 축부가 홈부의 개구부와 대향된 상태에서, 부시 레버 부재의 축부를 홈부에 삽입한 후, 부시 레버 부재를 90도 회전시켜서 실제적으로 사각형상의 축부의 단측이 홈부의 개구부에 대향되도록 하며, 이에 의해 축부와 플래튼 롤러가 홈부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종래예 중, 플래튼 롤러가 삽입되는 홈부의 개구부에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는 구성은 스프링 부재의 위치와 형상에 대응하여 적절한 스프링력이 필요하다. 스프링 부재가 탄성 변형이 어려운 경우에는, 홈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이 곤란하며, 이 때문에 플래튼 롤러의 착탈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한편, 스프링 부재가 탄성 변형이 쉬운 경우에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을 때라도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스프링 부재가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플래튼 롤러가 의도하지 않게 홈부로부터 빠지게 된다. 통상 기록시에는 플래튼 롤러가 홈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착탈 작업을 할 때에는 스프링 부재의 탄성 변형을 쉽게 할 수 있는 적절한 스프링력을 정확하게 실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스프링력은 장기간 사용의 결과로서 변동이 될 수도 있으며, 이는 플래튼 롤러의 착탈에 관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기록 헤드 자체가 홈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플래튼 롤러가 홈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에 있어서, 양호한 기록을 실현하기 위하여 기록 헤드를 소정의 압력으로 플래튼 롤러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과 같이, 스프링 부재가 플래튼 롤러의 착탈을 규제한다. 그러므로, 기록 헤드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가 뻣뻣하면, 홈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이 곤란하고, 플래튼 롤러의 착탈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스프링 부 재가 유연한 경우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을 때일지라도 어떤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비의도적으로 기록 헤드가 후퇴되며, 그 결과로서, 플래튼 롤러가 홈부로부터 빠지게 된다. 통상 기록시에는 플래튼 롤러가 홈부로부터 빠지지 않으며, 또한 기록 헤드를 적절한 압력으로 플래튼 롤러에 접촉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착탈 작업을 행할 때에는 용이하게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시켜 플래튼 롤러를 홈부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적절한 스프링력을 정확하게 실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스프링력은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JP 2000-318260 A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홈부의 개구부는 로크 아암에 의해 차단되고, 로크 아암은 케이싱의 베이스 부재측에 통상 구비되며, 조작 레버 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즉, 로크 아암의 동작 지점은 일반적으로 기록 헤드의 근방 또는 기록 헤드의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로크 아암을 홈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로크 아암을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가 종종 구비된다. 조작 레버를 구비함에 의해, 상기한 각 구성과 같이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만에 의해 착탈의 조작성을 좌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로크 아암의 동작 지점, 조작 레버, 스프링 부재 등은 통상적으로 케이싱의 베이스 부재, 특히 기록 헤드의 근방 또는 후방에 배치된다. 그 결과로서, 케이싱의 중앙부내의 공간은 이들 부재로 점유되기 때문에 기록 장치의 여러 기능에 관련된 다른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며, 기록 매체를 잉송하기 위한 경로가 상기한 부재들에 의해 제한되어 설계의 자유도를 감소시켜 장치 전체의 치 수를 감소시키는 데 방해가 된다.
조작 레버가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지 않고 커버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JP 2000-118060 A에 개시된 구성은, 본체 프레임(케이싱 베이스 부재) 측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JP 2000-318260 A에 개시된 구성에 비해 더 양호하다. 그러나, 플래튼이 전체 프레임 커버를 이동시켜 기록 헤드로부터 분리되는 이러한 구성은 커다란 동작 행정이 필요하며 그 결과로 커다란 조작 레버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는 제 1 슬릿 내에 유지되고, 제 1 슬릿의 개구부(입구부)는 좁다.
JP 06-71954 A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부시 레버 부재는 비교적 크게 90도까지 회전되며, 이에 의해 커다란 행정이 필요하고, 부시 레버 부재의 이동 공간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부시 레버 부재는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플래튼 롤러는 홈부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부시 레버 부재에 대한 로크부와 케이싱의 개구부를 로킹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는 실제적으로 사각형상 축부의 장측의 길이 〉홈부의 개구부의 폭 〉축부의 단측의 길이의 관계를 엄격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들 치수 사이에서 약간의 차가 있다면, 로킹의 신뢰성이 악화되고, 치수를 극단적으로 축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며 간단한 구성으로 플래튼 롤러의 용이한 착탈을 허용하며 플래튼 롤러의 보유에 관하여 고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와 이러한 플래튼 롤러를 유지 구조를 장착한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는:
회전 가능한 플래튼 롤러와; 플래튼 롤러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부와, 연결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플래튼 롤러에 관하여 동축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는 규제 부재와; 기록매체 상에 기록을 행하기 위한 기록 헤드에 대향하여 소정의 위치에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홈부와, 소정의 위치에 규제 부재의 결합부를 유지하기 위한 제 2 홈부를 가진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 1 홈부의 내주연의 일부가,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에 유지되고 또한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제 2 홈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플래튼 롤러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위치되어 있고, 제 2 홈부의 내주연이 플래튼 롤러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가,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으며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제 2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결합부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위치하고,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고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제 2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 내에서 이동함이 없이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규제 부재가 플래튼 롤러와 동축으로, 또한 플래튼 롤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결합부는 제 2 홈부의 내주연을 따라 이동하여 제 2 홈부로부터 빠지며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는 제 1 홈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으며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제 2 홈부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홈부의 내주연의 일부는 결합부가 이동됨 이 없이 제 2 홈부내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제 1 홈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으며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제 2 홈부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홈부의 내주연의 일부는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제 2 홈부로부터 결합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고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제 2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홈부로부터의 플래튼 롤러의 단독 이동과, 각각 제 1 및 제 2 홈부로부터의 플래튼 롤러 및 결합부가 동시에 빠지는 것이 제 1 및 제 2 홈부의 내주연에 의해 방지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기록 헤드 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플래튼 롤러에 외력이 적용된다면,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로부터 빠질 염려가 없다.
결합부가 제일 먼저 제 2 홈부로부터 빠질 때, 그 후에, 플래튼 롤러는 제 1 홈부로부터 빠지며, 이 때문에 사용자는 플래튼 롤러를 의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합부의 위치 및 구성에 대한 비교적 높은 자유도가 있으며, 기록 헤드, 기록 매체 등으로부터의 압력 수용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결합부가 제 2 홈부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질 가능성은 낮다.
플래튼 롤러가 내주연에 의해 규제됨이 없이 제 1 홈부로부터 빠지는 방향과 결합부가 제 2 홈부의 내주연과 접촉하는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플래튼 롤러와 결합부가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신뢰성이 제공된다. 결합부의 크기와 규제부와 내주연 사이의 접촉 면적의 크기가 의존적 일지라도, 상기한 두 방향이 항상 일치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효과는 방향이 실제적으로 같을 때, 달성될 수 있다.
플래튼 롤러는 제 1 홈부내에 유지된 축부를 가지며, 규제 부재의 연결부는 회전할 수 있고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축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축부가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는 베어링부와 일체로 제 1 홈부 내에 유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하나의 상기한 구조의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와 기록 헤드를 가진다. 기록 헤드는 고정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한편 플래튼 롤러와 규제 부재는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플래튼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와 동축인 규제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작 레버는 고정 프레임과 플래튼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조작 레버는 플래튼 롤러와 동축인 규제 부재를 회전시켜 제 2 홈부로부터 결합부가 빠지게 하며, 플래튼 롤러를 내주연에 의해 규제되지 않는 방향으로 제 1 홈부로부터 빠지게 된다.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와 커버 부재로 구성된 케이싱이 또한 구비된다. 고정 프레임은 베이스 부재에 고정될 수 있고, 플래튼 프레임은 커버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기록 헤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의 갭에 공급될 기록 매체를 권취하여 형성되는 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은 커버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튼 롤러 보유 구조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도시암함)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 헤드의 예로서 감열 헤드(1)와, 기록 매체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2)가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열 헤드(1)는 다수의 발열 요소와, 발열 요소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적 접속 기구와, 플래튼 롤러(2)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와 가압 부재 등을 구비한다. 플래튼 롤러(2)는 축부(2a)와 탄성 물질로 형성된 외주부(2b)를가진다. 감열 헤드(1)와 플래튼 롤러(2)는 기록부를 구성한다.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도 1 및 3에 도시된 규제 부재(3)의 연결부(3a)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 규제 부재(3)는 플래튼 롤러(2)와 동축이되도록 장착되어 플래튼 롤러(2)와 상대 회전을 할 수 있다. 도 1,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2)와 규제 부재(3)가 같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규제 부재(3)는 플래튼 롤러(2)로부터 착탈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규제 부재(3)와 플래튼 롤러(2)는 상대 회전을 할 수 있는 한편, 다르게는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규제 부재(3)는 돌출부의 형태로 결합부(3b)와 구비된다. 규제 부재(3)는 비교적 고강도를 가지며 잘 변형되지 않는다. 연결부(3a)의 중심으로부터 결합부(3b)의 최외측 에지까지의 거리(L)는 일정하다.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4)은 움직일 수 없도록 기록 헤드의 케이싱(10)의 베이스 부재(9)(도 7 및 11 참조)에 고정된다. 고정 프레임(4) 은 홈형상의 제 1 홈부(5)와 홈형상의 제 2 홈부(6)를 구비한다. 고정 프레임(4)은 플래튼 롤러(2)가 안정적인 이송과 기록을 유효하게 할 수 있도록 감열 헤드(1)와 접촉되어 유지되는 경우에 소정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플래튼 롤러(2)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제 2 홈부(6)는, 플래튼 롤러(2)와 규제 부재(3)가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2)가 제 1 홈부(5)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제 2 홈부(6)의 내주연의 일부는 제 1 홈부(5)(제 1 홈부(5) 내에 유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2)의 중심)를 중심으로 하는 아크를 형성한다. 제 1 홈부(5)의 중심으로부터 내주연(6a)까지의 거리(L)는 규제 부재(3)의 연결부(3a)의 중심으로부터 결합부(3b)의 최외측 에지까지의 거리(L)와 일치한다.
도 2에 도시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도 3에 도시된 규제 부재(3)의 연결부(3a)내에 결합되어 일체로 된다.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도 4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4)의 제 1 홈부(5) 내에 삽입되고,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는 고정 프레임(4)의 제 2 홈부(6)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가 형성된다. 감열 헤드(1)는 헤드 지지 부재(13)(도 7 내지 11 참조)에 부착되고, 헤드 지지 부재(13)는 고정 프레임(4)에 장착된다. 감열 헤드(1)는 플래튼 롤러(2)와 규제 부재(3)에 대하여 제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감열 헤드(1)는, 기록 매체의 이송을 유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록매체에 만족할만하게 기록 가능하게 하도록 스프링 부재와 가압 부재(도시안함)에 의해 소정의 압력을 가압하여 플래튼 롤러(2)의 외주연(2b)과 접촉되어 유지된다. 그러나, 기록 매체를 감열 헤드(1)와 플래튼 롤러(2) 사이에 삽입하고 세팅할 때와, 감열 헤드(1)와 플래튼 롤러(2) 사이에서 발생되는 기록 매체의 재밍(이른바 페이퍼 재밍)을 해결하는 작업과, 감열 헤드(1) 및/또는 플래튼 롤러(2)의 교체 작업과, 유지 보수 작업은 감열 헤드(1)로부터 플래튼 롤러(2)를 분리하여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감열 헤드(1)로부터 플래튼 롤러(1)를 분리, 고정 프레임(4)으로부터 플래튼 롤러(2)와 규제 부재(3)의 분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고려된다.
제 1 방법으로서,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가 제 2 홈부(6) 내에 위치되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를 제 1 홈부(5)로부터 빼내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규제 부재(3)와 플래튼 롤러(2)는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 둘레를 화살표(A) 방향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된다. 그러나, 제 1 홈부(5)의 내주연(5a)은 자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가 제 2 홈부(6)내에 위치되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가 제 1 홈부(5)로부터 빠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제 2 방법으로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를 제 1 홈부(5)로부터 빼내면서 실제적으로 동시에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를 제 2 홈부(6)로부터 빼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2)의 축부 (2a)는 제 1 홈부(5)의 내주연(5a)과 접촉되며, 화살표(A)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해된다. 그러므로, 제 1 홈부(5)로부터 빼내려면,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제 1 홈부(5)의 개구부(5b) 쪽으로 이동, 즉 실제적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를 화살표(B)으로 이동시키려는 시도는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가 플래튼 롤러(2)와 결합되게 하며, 제 2 홈부(6)의 내주연(6a)과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 이동이 방해되는 결과가 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의 이동이 저지되는 데, 이는 규제 부재(3)와 일체화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가 화살표(B) 방향으로의 이동도 저지시키기 때문이다. 즉, 일체화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와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 소위 지주봉으로서 작용하여,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가 제 1 홈부(5)로부터 빠져나옴과 동시에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가 제 2 홈부(6)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축부(2a)가 제 1 홈부(5)로부터 내주연(5a)에 의한 규제없이 빠져 나오는 방향(B)과, 결합부(3b)가 제 2 홈부(6)의 내주연(6a)과 접촉하는 방향이 일치하거나 실제적으로 같은 방향에 있기 때문이다.
제 3 방법으로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가 제 1 홈부(5) 내에 위치되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규제 부재(4)의 결합부(3b)를 제 2 홈부(6)로부터 빼내고,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를 제 1 홈부(5)로부터 빼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규제 부재(3)는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 둘레를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공정에 있어서, 결합부(3b)는 전혀 저지를 받음이 없이 제 2 홈부(6)의 개구부(6b)를 향하여 화살표(C)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홈부(6)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다. 제 2 홈부(6)의 내주연(6a)은 제 1 홈부(5) 내에 유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를 중심으로 하는 아크를 형성한다. 또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로부터 제 2 홈부의 내주연(6a)까지의 거리(L)는 축부(2a)로부터 결합부(3b)의 최외측 에지까지의 거리(L)는 서로 일치하며, 이 때문에 규제 부재(3)의 회전 운동을 통하여 제 2 홈부(6)로부터 결합부(3b) 빼내는 것은 부드럽고 용이하고 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를 제 2 홈부(6)으로부터 빼낸 후,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화살표(B)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2a)는 제 1 홈부(5)의 개구부(5b)로부터 외측으로 빼낸 후, 플래튼 롤러(2)와 규제 부재(3)는 고정 프레임(4)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2)는 감열 헤드(1)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고려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중의 3번째 방법에서, 우선 결합부(3b)를 제 2 홈부(5)로부터 빼내고,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를 제 1 홈부(5)로부터 빼내고, 고정부재(4)부터 플래튼 롤러(2)와 규제 부재(3)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진동 또는 충격과 같은 외력이 플래튼 롤러(2)에 가해지더라도 플래튼 롤러(2)가 감열 헤드(1)로부터 분리되어 제 1 홈부(5)로부터 빠져나올 염려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제 부재(3)가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 둘레를 회전하지 않는 한, 플래튼 롤러(2)는 안정적으로 제 1 홈부(5) 내에 유지되어 있다.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는 임의의 위치와 임의의 치수로 형성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외력으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래튼 롤러(2)와는 달리, 감열 헤드(1)와 기록 매체로부터 힘을 받지 않으며, 이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규제 부제(3)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결합부(3b)는 제 2 홈부(6)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더 적극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감열 헤드(1)와 기록 매체 등으로부터 플래튼 롤러(2)에 힘이 적용되는 방향(실제적으로 화살표(b)와 같은 방향)과, 결합부(6)가 이동이 저지될 제 2 홈부(5)의 내주연(6a)이 접촉하는 방향은 실제적으로 서로 일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3b)가 제 2 홈부(6) 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가 방향(A)으로 빠지게 되며, 제 1 홈부(5)의 내주연(5a)이 위치되고 그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개구부(5b)를 향하여 제 1 홈부(5)의 내주연(5a)에 의해 저지됨이 없이 방향(B)으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의 이동은, 제 2 홈부(6)의 내주연(6a)이 방향(B)으로 결합부(3b)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결합부(3b)와 접촉하기 때문에 저지된다. 또한, 힘이 화살표(C) 방향으로 플래튼 롤러(2)에 가해진다면, 축부(2a)의 이동은 제 1 홈부(5)의 내주연(5a)에 의해 저지되고, 이 때문에 화살표(C) 방향으로 제 1 홈부(5)로부터 축부(2a)를 빼내는 것과 제 2 홈부(5)로부터 결합부(3b)가 동시에 빠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방법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가 제 1 홈부(5) 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2)의 분리는 결합부(3a)를 제 2 홈부(6)로부터 빼 내기 위하여 이동되는 것만으로 가능한 매우 간단한 구조로 작동하기 쉽고 고신뢰도의 로크 기구가 제공된다.
JP 2000-318260 A, JP 2000-118060 A, JP 06-71954 A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의 축부를 홈부에 삽입한 후에, 홈부의 개구부는 로크 아암과 같은 부재에 의해 완전하게 차단되고, 개구부의 갭은 축부의 통로를 막기 위하여 플래튼 롤러의 축부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들 구성에 있어서, 로크 아암과 같은 부재는 축부를 지지하며, 이 때문에, 로크 아암 등이 불안정하면, 플래튼 롤러의 위치 정확성이 악화되며, 이는 기록 매체의 이송의 정확성과 기록의 정확성의 악화로 유도된다. 또한, 로크 아암은 주기적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의 결과로 동작 정밀도를 악화시키거나 덜거덕거리기 시작하게 되며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의 신뢰도가 나빠지게 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홈부(5)의 개구부(5b)는 차단되지 않으며, 축부(2a)가 통과하도록 갭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일지라도, 축부(2a)를 안정적으로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홈부(6)의 개구부(6b)가 차단되어 있지 않고, 결합부(3b)가 갭을 통과하도록 개방되어 있을지라도, 결합부(3b)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로크 아암과 같은 부재에 의해 지지됨이 없이 축부(2a)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구성은 로크 아암과 같은 다른 부재의 정밀도의 악화에 대한 영향으로부터 자유롭다. 고정 프레임(4)은 로크 아암과 같은 가동 부재가 아니며 장기간 사용 후에도 정밀도가 악화되지 않는다. 또한, 지주봉(연결부(3a)의 중심에 플래튼 롤러(2)가 장착된)으로서 작용하는 규제 부재(30의 연결부(3a)의 중심으로부터 결합부(3b)의 최외측 에지까지의 거리(L)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 때문에 플래튼 롤러(2)를 유지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신뢰성이 고정도로 유지된다.
도 7 내지 도 11은 상기한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를 채용한 기록 장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기록 장치는 베이스부와 회전 지점(8) 둘레에서 회전(개방/폐쇄 가능하게) 가능하도록 연결된 커버 부재(7)(회전가능한 케이싱부)를 구비한 케이싱(10)을 가진다. 케이싱(10)의 하부 부분에는, 기록 매체를 귄취하여 형성된 롤체(11)(도 11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2)이 구비되어 있다. 케이싱(10)의 상부 부분에는, 수용 공간(12) 내의 롤체(11)로부터 풀려나오는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기구로서 작용하는 플래튼 롤러(2)를 포함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플래튼 롤러 유지 기구와, 기록 장치의 여러가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감열 헤드(1) 및 기계 부품, 전기 부품 등(상세히 기재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감열 헤드(1)가 부착되는 헤드 지지 부재(13)는 본 실시예의 고정 프레임(4)에 장착되어 있으며, 고정 프레임(4)은 베이스 부재(9)에 고정된다. 감열 헤드(1)가 지지되어 있는 동안에 헤드 지지 부재(13)는 감열 헤드(1)가 플래튼 롤러(2)와 접촉 가압되도록 가압 부재(도시안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헤드 지지 부재(13)는 고정 프레임의 홈부(4a)내에 위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감열 헤드(1)와 고정 프레임(4)의 회전 운동이 규제되어 이들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플래튼 부재(16)는 커버 부재(7)에 장착되고, 베어링 부재(14)는 원통형부 (15b) 둘레에서 회전되도록 플래튼 프레임(16)에 장착된다.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의 단부 부분은 베어링 부재(14)의 베어링 부(15a)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장착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2)와 규제 부재(3)는 베어링 부재(14)를 개재하여 플래튼 프레임(16)에 결합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2)와 규제 부재(16a)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베어링 부재(14)의 회전가능 범위는 회전 규제부(16a)에 의해 규제되고, 규제 부재(3)의 회전가능 범위는 결합부(3b)가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 홈부(14a)에 의해 규제된다. 플래튼 롤러(2), 규제 부재(3) 및 베어링 부재(14)는 플래튼 프레임(16)을 개재하여 커버 부재(7)에 장착된다. 편의상, 커버 부재(7)에 장착된 플래튼 프레임(16), 플래튼 부재에 장착된 부재(플래튼 롤러(2), 규제 부재(3), 하기한 조작 레버(17) 등)를 전체적으로 플래튼 유니트라고 칭한다. 한편, 베이스 부재(9)에 장착된 고정 프레임(4)(또한 플래튼 메인 프레임이라고도 칭함), 고정 프레임에 장착된 다른 부재(감열 헤드(1), 헤드 지지 부재(13), 가압 부재(도시안함)), 기어 커버(18)(도 9 및 10 참조)를 전체적으로 프린터 메인 유니트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린터 메인 유니트와 플래튼 유니트는 상기한 바와 같은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와 함께 결합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베어링부(15a)는 고정 프레임(4)의 제 1 홈부(5)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실제적으로 결합되도록 베어링부(15a)에 끼워 맞춰져 있으며, 이 때문에, 이러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2a)가 제 1 홈부(5) 내에 직접 삽입되어 있는 구성과 완전히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플래튼 프레임(16)에는 규제 부재(3)에 연결되어 있으며 일부가 커버 부재(7)의 외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규제 부재(3)를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조작 레버(17)(도 9 및 10 참조)와, 조작 레버(17)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도시안됨) 등이 부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한 부품 중, 프린터 메인 유니트(고정 프레임(4), 감열 헤드(1), 헤드 지지 부재(13), 여러가지 기계 부품, 전기 부품 등)는 베이스 부재(9)에 고정된다. 한편, 플래튼 유니트(플래튼 롤러(2), 규제 부재(3), 베어링 부재(14), 플래튼 프레임(16), 조작 레버(17) 등)는 커버 부재(7)에 부착된다.
도 1의 경우와 같이, 이러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커버 부재(7)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고정 프레임(4)의 제 1 홈부(5) 내에 유지되고,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는 제 2 홈부(6) 내에 유지된다. 감열 헤드(1)는 플래튼 롤러(2)의 외주연(2b)과 가압 접촉 유지되어 있고, 롤체(11)로부터 풀려 나온 기록 매체는 만족할만하게 이송되고 기록이 가능하도록 감열 헤드(1)와 플래튼 롤러(2)의 외주연(2b) 사이에 삽입된다.
사용자가 커버 부재(7)를 개방할 때,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7)가 스프링 부재의 힘에 대항하여 변위되고 규제 부재(3)가 회전되고 도 5의 경우에서와 같이 결합부(3b)를 제 2 홈부(5)로부터 빼낸다. 그리고나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9)를 회전 지점(8)을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9)에 관하여 개방하도록 회전하는 동안에,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제 1 홈부(5)로부터 빠져 나오게 한다. 이 상태에서, 롤체(11)를 다시 채우거나 교체, 기록 매체 의 설정, 페이퍼 재밍의 해결, 감열 헤드(1) 및/또는 플래튼 롤러(2)의 교체, 유지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4)으로부터 분리된 플래튼 유니트는 커버 부재(7)에 의해 지지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케이싱(10)의 상부 부분측의 베이스 부재(9) 상에는 조작 레버(17), 조작 레버(17)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와 같은 플래튼 롤러(2)의 착탈에 관련된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이들 부재는 커버 부재(7) 측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베이스 부재(9) 측에는 플래튼 롤러(2)의 장착탈 부재보다는 여러 가지 기능에 관련된 부품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17)의 행정이 베이스 부재(9) 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작으며, 이 때문에 조작 레버(17)의 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커버 부재(7)가 도 11에 도시된 개방된 상태로부터 도 7 내지 9에 도시된 폐쇄 상태로 되돌아 갈 때,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가 제 1 홈부(5)내로 삽입된 후에 규제 부재(3)의 결합부(3b)는 제 2 홈부(6)로 삽입된다. 플래튼 롤러(2)와 규제 부재(3)는 플래튼 프레임(16)에 대하여 베어링 부재(14)의 원통형부의 둘레에서 회전가능하며, 규제 부재(3)는 연결부(3a)와 플래튼 롤러(2) 둘레에서 회전가능하며, 이 때문에 베어링부(15a)와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제 1 홈부(5) 내로 삽입되고, 결합부(3b)는 축부(2a)와 결합부(3b)의 위치가 변경, 즉 베어링부(15a)가 플래튼 프레임(16)과 고정 부재(4)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중에 제 2 홈부(6) 내로 삽입된다. 베어링 부재(14)는, 플래튼 롤러(2)의 베어링으로서, 플래튼 롤러(2)의 중심을 제 1 홈부(5)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작용을 하며, 플래튼 프레 임(16)에 대하여 수직으로 플래튼 롤러(2)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링크 기구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 지점(8) 둘레에서 커버 부재(7)와 플래튼 프레임(16)의 회전 운동을 통하여 베어링부(15a)와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와 결합부(2a)는 각각 제 1 홈부(5) 및 제 2 홈부(6)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부(3b)를 제 2 홈부(6) 내로 가압하기 위한, 조작 레버(7)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와 같은, 가압부재가 구비되어 있을 때, 플래튼 롤러(2)(로킹 신뢰성)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의 신뢰성이 개선 가능하다. 그러나, 결합부(3b)를 제 2 홈부(6) 내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한 이러한 가압 부재는 필요하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록 장치에서 프린터 메인 유니트와 플래튼 유니트가 케이싱(10) 내에 수용되어 있으면서, 상기 장치는 프린터 메인 유니트와 플래튼 유니트가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 내에 수용되어 있지않을 때일지라도 기록 매체를 이송할 수 있고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장치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케이싱(10)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컨테이너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베이스 부재(9)와 고정 부재(4)를 일체화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케이싱(10)의 커버 부재(7)와 프린터 프레임(16)을 일체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 레버(17)는 그 일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케이싱(10)의 다른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그 부재에 의해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레버(17)는 규제 부재(3)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고,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조작 레버(17)는 케이싱(10)의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규제 부재(3)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를 구성한다. 또한, 조작 레버(17)는 커버 부재(7) 측에 장착하는 대신에 베이스 부재(9) 측에 장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커버 부재(7)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17)와 규제 부재(3)를 연결하는 기구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버 부재(7)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들의 연결을 해제하는 기구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통상, 플래튼 롤러는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고 규제 부재의 결합부는 제 2 홈부 내에 유지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기록 헤드 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플래튼 롤러에 약간의 외력을 가하면, 플래튼 롤러가 단독 이동하여 제 1 홈부로부터 빠지도록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플래튼 롤러와 결합부 각각은 제 1 및 제 2 홈부로부터 빠질 수 있다. 그러므로, 플래튼 롤러는 기록 헤드와 접촉이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 소정의 위치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질 염려가 없다. 결합부가 먼저 제 2 홈부로부터 빠질 때, 그 후,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로부터 빠질 가능성이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플래튼 롤러를 의도적으로 잘 제거할 수 있다. 결합부의 위치 및 구성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고 이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을 쉽게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플래튼 롤러가 스프링 부재와 로크 아암과 같은 다른 부재로 둘러싸여 유지되어 있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지라도 신뢰성이 저하되는 유려가 적다.

Claims (12)

  1. 회전 가능한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에 장착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소정의 거리로 유지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 롤러와 동축으로, 또한 상기 플래튼 롤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규제 부재와;
    상기 플래튼 롤러를,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 헤드에 대향하는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제 1 홈부와, 상기 규제 부재의 결합부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제 2 홈부를 가지는 고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홈부의 내주연의 일부가,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제 2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홈부의 내주연의 일부가 특정 방향으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플래튼 롤러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형성하는 상기 제 2 홈부의 내주연의 일부가,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제 2 홈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홈부의 내주연의 일부가 특정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 1 홈부 내에 위치되어 있고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제 2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 내에 유지된 채로 이동됨이 없이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플래튼 롤러와 동축으로, 상기 플래튼 롤러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2 홈부의 내주연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2 홈부로부터 빠지며, 이에 의해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 1 홈부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제 2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홈부의 내주연의 일부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2 홈부에 유지된 채로 이동됨이 없이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 1 홈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제 2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홈부의 내주연의 일부는,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 1 홈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2 홈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는,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가 제 1 홈부의 내주연에 의해 규제됨이 없이 제 1 홈부로부터 빠지는 방향과 상기 규제 부재의 결합부가 제 2 홈부의 내주연에 접촉하는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는 축부를 가지며; 상기 규제 부재의 연결부는, 상기 규제 부재의 연결부가 회전할 수 있으며 분리될 수 없는 방식으로 상기 축부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상기 축부가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베어링부와 일체로 제 1 홈부 내에 유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플래튼 롤러와 동축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를 더 구비하는,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플래튼 롤러와 동축으로 회전시켜 상기 결합부가 제 2 홈부로부터 빠지게 하여,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제 1 홈부의 내주연에 의해 규제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홈부로부터 빼낼 수 있는,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8. 제 1 항에 기재된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와; 기록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헤드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플래튼 프레임에 장착된, 기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플래튼 롤러와 동축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는,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기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플래튼 롤러와 동축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결합부가 제 2 홈부로부터 빠져나오게 하며,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 1 홈부의 내주연에 의해 규제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 1 홈부로부터 빠져 나오게 할 수 있는, 기록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커버 부재로 구성된 케이싱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은 커버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기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기록 헤드와 상기 플래튼 롤러 사이의 갭으로 공급될 기록 매체가 권취되어 형성된 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성하는, 기록 장치.
KR1020060021482A 2005-03-17 2006-03-07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및 기록 장치 KR101227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77620 2005-03-17
JP2005077620A JP4376816B2 (ja) 2005-03-17 2005-03-17 プラテンローラ保持構造および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250A true KR20060101250A (ko) 2006-09-22
KR101227294B1 KR101227294B1 (ko) 2013-01-29

Family

ID=3664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482A KR101227294B1 (ko) 2005-03-17 2006-03-07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및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65903B2 (ko)
EP (1) EP1702759B1 (ko)
JP (1) JP4376816B2 (ko)
KR (1) KR101227294B1 (ko)
DE (1) DE602006005972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7863B2 (en) 2008-01-29 2012-10-30 Custom Engineering S.P.A. Printing roll release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112A (ja) * 2006-06-12 2007-12-27 Seiko Epson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8179087A (ja) * 2007-01-25 2008-08-07 Seiko Instruments Inc プラテン保持機構および記録ユニット
US8979407B2 (en) * 2007-08-08 2015-03-17 Zih Corp. Platen assembly
JP4936335B2 (ja) * 2007-12-28 2012-05-23 シチズ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09220417A (ja) * 2008-03-17 2009-10-01 Brother Ind Ltd テープ印字装置
JP5596983B2 (ja) * 2010-01-08 2014-10-0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JP5536480B2 (ja) * 2010-02-02 2014-07-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US8585305B2 (en) 2010-02-02 2013-11-19 Seiko Instruments Inc. Printer
JP2011168029A (ja) * 2010-02-22 2011-09-01 Seiko Instruments Inc プリンタ
JP5757417B2 (ja) * 2011-08-30 2015-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US9878563B2 (en) * 2014-07-07 2018-01-30 Fujitsu Component Limited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445U (ko) * 1986-10-24 1988-05-09
JPS6461275A (en) * 1987-09-01 1989-03-08 Canon Kk Platen bearing
EP0306591A1 (de) * 1987-09-09 1989-03-15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Achsen in Büromaschinen, insbesondere in Druckern
DE3919754A1 (de) * 1989-06-16 1990-12-20 Philips Patentverwaltung Anordnung zur loesbaren befestigung einer schreibwalze in platinen
JPH0671954A (ja) 1992-08-29 1994-03-15 Star Micronics Co Ltd 印字装置のプラテン取付構造
JPH06246943A (ja) * 1993-02-26 1994-09-06 Murata Mach Ltd 画像記録装置
JP2000118060A (ja) 1998-10-14 2000-04-25 Star Micronics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3599595B2 (ja) 1999-05-10 2004-12-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7863B2 (en) 2008-01-29 2012-10-30 Custom Engineering S.P.A. Printing roll releas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294B1 (ko) 2013-01-29
US20060210341A1 (en) 2006-09-21
EP1702759A1 (en) 2006-09-20
DE602006005972D1 (de) 2009-05-14
JP4376816B2 (ja) 2009-12-02
JP2006256139A (ja) 2006-09-28
EP1702759B1 (en) 2009-04-01
US7165903B2 (en) 200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294B1 (ko) 플래튼 롤러 유지 구조 및 기록 장치
JP5247147B2 (ja) カセットの固定及び排出構成
US9884499B2 (en) Tape cartridge
US6249302B1 (en) Thermal printing
EP2361775B1 (en) Printer
EP0743189A1 (en) Head release mechanism of printer
KR20130059388A (ko) 테이프 카트리지 및 테이프 프린터
EP1652682A1 (en) Thermal printer unit
US872503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452145B2 (en) Hinge structure for paper container in a printer
JPH10100494A (ja) テープ印字装置
KR101253798B1 (ko) 플래튼 유지 기구 및 기록 장치
US9834019B2 (en) Recording apparatus
US10040303B2 (en) Printer
JP4921073B2 (ja) プリンタ
JP6359721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4003772B2 (ja) テープ印字装置
JP2008012862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2052750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9006633A (ja) リボンガイドユニット及び印刷装置
US2017007269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50054678A (ko)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JP2009066847A (ja) リボン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