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798B1 - 플래튼 유지 기구 및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튼 유지 기구 및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798B1
KR101253798B1 KR1020080007003A KR20080007003A KR101253798B1 KR 101253798 B1 KR101253798 B1 KR 101253798B1 KR 1020080007003 A KR1020080007003 A KR 1020080007003A KR 20080007003 A KR20080007003 A KR 20080007003A KR 101253798 B1 KR101253798 B1 KR 10125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head
platen roller
fram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537A (ko
Inventor
마사노리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1Thermal printer with head or platen movable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소형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플래튼(platen)의 탈착이 가능하며, 플래튼 유지의 신뢰성이 높은 플래튼 유지 기구를 제공한다.
프레임(3)의 노치부(7) 내에,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가 삽입되어 있다. 노치부(7)로부터의 탈출 방향은, 클로우(claw)부(8)에 의해 규제된다. 서멀 헤드(2)는 스프링 부재(4)에 의해 플래튼 롤러(2)에 가압되고, 스프링 부재(4)로부터 서멀 헤드(1)를 통해 플래튼 롤러(2)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축부(2a)는 노치부(7) 내의 소정의 유지 위치에 가압된다. 서멀 헤드(1)가 스프링 부재(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이동되면, 스프링 부재(10)가 릴리스 암(9)을 서멀 헤드(1)에 따라서 요동시킨다. 서멀 헤드(1)를 따라 요동하는 릴리스 암(9)의 결합부(9b)가 축부(2a)에 결합되고, 노치부(7)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탈출하는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밀려 난다.

Description

플래튼 유지 기구 및 기록 장치{PLATEN SUPPORTING MECHANISM AND WRIT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에 접하는 위치에서 이용되는 플래튼 유지 기구와, 이를 갖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스 내부에, 기록 헤드와 거기에 접하는 롤러 모양의 플래튼(플래튼 롤러)을 가지며, 플래튼 롤러에 의하여 반송되는 기록 매체(시트재)에 대하여 기록 헤드가 기록을 행하는 기록 장치가 있다. 이러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 헤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에 기록 매체를 삽입하여 세트하는 작업이나, 기록 헤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에서 기록 매체의 잼(이른바 종이 걸림)이 생겼을 때, 그것을 해소하기 위한 작업이나, 기록 헤드 및/또는 플래튼 롤러의 교환이나 메인테넌스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케이스 내부에서 기록 헤드와 플래튼 롤러가 접한 채의 상태에서는 조작이 매우 곤란하다. 그래서, 플래튼 롤러와 기록 헤드를 분리함과 함께, 케이스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성이 존재한다. 기록 헤드는 복수의 기록 소자(예를 들면, 발열 소자)를 갖고 있고, 각 기록 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기록 신호가 입력되는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해치지 않도록, 케이스 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록 헤드를 케이스 내에 고정한 채, 플래튼 롤러를 기록 헤드로부터 떼어 놓고 외부로 인출하는 구성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플래튼 롤러는, 기록 동작시에는 기록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서로 확실히 접촉해야 한다. 그래서, 프레임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그 오목부 내에 플래튼 롤러의 축부(피유지부)를 유지함으로써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있는 구성이 있다.
또한, 그 플래튼 롤러를 탈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오목부를 프레임의 외부를 향하여 슬릿 형상으로 절개된 구성으로 하고, 그 노치부의 외부에의 개구 부분을 플래튼 롤러의 출입구로 한 구성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플래튼 롤러가 탈착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 한편, 의도하지 않은 때에 플래튼 롤러가 노치부로부터 탈출되지 않도록, 또한, 기록시에는 플래튼 롤러가 기록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접하도록 유지 위치에 확실히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의도하지 않은 때에 플래튼 롤러가 노치부로부터 탈출하지 않게 하는 기구로서는, 우선, 슬릿 형상의 노치부의 개구 부분 근방의 폭을, 플래튼 롤러의 축부의 외경과 동등 또는 그것보다 약간 좁게 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이 경우, 플래튼 롤러의 탈착시에는, 노치부의 개구 부분 근방을 약간 탄성 변형시켜, 슬릿 형상의 노치부의 폭을 약간 넓혀, 플래튼 롤러의 축부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노치부에 의도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슬릿 형상의 노치부의 폭이 좁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의 축부는 노치부 밖으로 탈출하지 않는다.
또, 플래튼 롤러의 축부를, 주위로부터 둘러싸는 부재에 의하여 노치부 내로 유지하는 구성, 즉, 노치부의 개구 부분(플래튼 롤러의 출입구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막고, 플래튼 롤러의 축부가 노치부 내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막는 구성도 있다. 노치부의 개구 부분을 막는 부재가 기록 헤드뿐인 경우(특허 문헌 1)나, 기록 헤드에 더하여, 플래튼 롤러의 축부를 유지하기 위한 전용의 록 암이 이용되는 경우(특허 문헌 2)가 있다. 이들 구성에서는, 플래튼 롤러의 축부를 둘러싸는 부재(기록 헤드나 록 암)를 이동시킴으로써, 노치부의 개구 부분이 개방되어, 플래튼 롤러의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 문헌 3에는,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커버 프레임에 플래튼 롤러의 축부가 삽입되는 제1 슬릿이 설치되고, 프레임에, 커버 프레임이 닫혀졌을 때에 제1 슬릿과 조합되어 플래튼 롤러의 축부를 유지하는 제2 슬릿이 설치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커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록 레버가, 프레임에 설치된 핀에 결합함으로써, 플래튼 롤러가 제1 슬릿과 제2 슬릿의 교차하는 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커버 프레임을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플래튼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부시 레버 부재를 가지며, 이 부시 레버 부재에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축부가 형성되고, 프레임에 설치된 노치부의 개구 부분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축부의 짧은 변은 통과시키지만 긴 변은 통과시키지 않는 폭을 갖고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축부의 짧은 변을 노치부의 개구 부분에 대향시킨 상태로, 부시 레버 부재의 축부를 노치부 내에 삽입한 후에, 부시 레버 부재를 90도 회 전시켜,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축부의 긴 변을 노치부의 개구 부분에 대향시킴으로써, 축부 및 플래튼 롤러의 노치부 내로부터의 탈출을 막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표 평8-50557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0-31826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0-118060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평6-71954호 공보]
상기한 종래예 중, 플래튼 롤러가 삽입되는 슬릿 형상의 노치부의 개구 부분이 좁아져 있는 구성에서는, 플래튼 롤러의 탈착을 반복할 때마다, 플래튼 롤러의 축부가 노치부의 단면에 접해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마모에 의하여, 플래튼 롤러의 축부가 가늘어지거나, 혹은 노치부의 개구 부분의 폭이 서서히 넓어지거나 하여, 축부와 노치부 사이에 틈이 생겨 플래튼 롤러의 유지의 안정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플래튼 롤러의 유지의 정밀도가 낮아지면, 플래튼 롤러 상의 기록 매체를 기록 헤드의 소정의 유지 위치에 소정의 압력으로 정확하게 가압할 수 없게 되고, 기록 매체의 반송이나 기록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 플래튼 롤러의 축부가 노치부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하기 쉬워지고, 의도하지 않는 때에 약간의 충격 등으로 축부가 노치부로부터 탈출해 플래튼 롤러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마모를 가능한 한 저감시키기 위하여 프레임과 플래튼 롤러의 축부를 강도가 높은 재료에 의하여 형성하면, 축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의 폭을 넓히는 것이 어려워져, 상당히 강한 힘을 가할 필요가 생기고, 작업성이 나빠진다. 또한, 조작자가 플래튼 롤러를 노치부 밖으로 탈출시키기 위한 힘을 직접 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조작이 매우 번잡하다.
특허 문헌 1과 같이, 기록 헤드 자체가 노치부의 개구 부분을 막는 위치에 배치되고, 플래튼 롤러의 노치부로부터의 탈출을 방해하는 구성에서는, 양호한 기록을 실현하기 위하여 기록 헤드를 소정의 압력으로 플래튼 롤러에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가, 플래튼 롤러의 탈착을 규제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가 딱딱한 경우에는, 노치부의 개구 부분을 개방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플래튼 롤러의 탈착 조작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스프링 부재가 부드러운 경우에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고 있지 않을 때에 어떠한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때에 기록 헤드가 후퇴하여 플래튼 롤러가 오목부 밖으로 탈출해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통상의 기록시에는 플래튼 롤러가 노치부 내로부터 탈출하지 않고, 또한 기록 헤드를 적절한 압력으로 플래튼 롤러에 접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탈착 조작을 행할 때는 용이하게 스프링 부재를 탄성 변형시켜 플래튼 롤러를 오목부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모든 조건을 만족한 적절한 스프링력을 정확하게 실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 장기의 사용에 의하여 스프링력에 변동이 생겨 결함이 생기게 될 가능성이 있다.
특허 문헌 2와 같이, 노치부의 개구 부분을 록 암에 의하여 막는 구성에서는, 록 암이 플래튼 롤러의 축부의 일부를, 노치부 내에 있어서, 기록시에 플래튼 롤러가 유지되는 유지 위치의 반대측에서 감싸는 형태이다. 통상, 록 암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 레버 등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록 암의 동작의 지점은, 기록 헤드의 근방 또는 기록 헤드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록 암을 노치부의 개구 부분을 막는 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 록 암을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통상, 프레임, 특히 기록 헤드의 근방 또는 후방에, 록 암의 동작 지점이나 조작 레버나 스프링 부재가 배치된다. 그 결과, 케이스의 중앙부의 스페이스가 이들 부재에 의하여 차지되지 때문에, 기록 장치의 여러 가지 기능에 관련하는 다른 부재를 배치하는 스페이스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거나, 이들 부재를 위하여 기록 매체의 반송 경로가 규제되거나 하는 등, 설계의 자유도를 해침과 함께, 장치 전체의 소형화의 방해가 된다.
또, 플래튼 롤러의 축부는, 록 암에 의하여 감싸지는 슬릿 형상의 노치부의 내외에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탈착 동작이 반복되는 동안에 마모하기 쉽다. 축부가 마모하면, 플래튼 롤러를 소정의 유지 위치에 배치시키고 있는 상태에서도, 축부와 록 암 및 노치부와의 사이에 다소의 틈이 생겨, 플래튼 롤러가 덜컹거리기 쉬워진다. 그 결과, 플래튼 롤러 상의 기록 매체를 기록 헤드의 소정의 유지 위치에 소정의 압력으로 정확하게 가압할 수 없게 되고, 기록 매체의 반송이나 기록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플래튼 롤러를 소정의 유지 위치에 유지하고 있는 자세로 록 암을 고정할 필요가 있지만, 록 암이 정확한 유지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해 버려 완전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어중간한 위치에 느슨하게 고정된, 이른바 하프 록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플래튼 롤러의 위치 정밀도가 나쁠 뿐만 아니라, 약간의 충격 등에 의하여 플래튼 롤러가 이동하기 쉽다. 그 결과, 역시 플래튼 롤러 상의 기록 매체를 기록 헤드의 소정의 유지 위치에 소정의 압력으로 정확하게 가압할 수 없게 되고, 기록 매체의 반송이나 기록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의 구성에서는, 프레임이 아닌 커버 프레임에 조작 레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커버 프레임 전체의 이동에 의하여 플래튼을 기록 헤드로부터 떼어 놓기 위해, 작동 스트로크가 크고, 그 때문에 조작 레버도 대형이다. 이것은, 이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의 자유도를 해친다.
특허 문헌 4의 구성에서는, 부시 레버 부재가 비교적 대형이며, 그것을 90도 회전시키기 위해 스트로크가 크고, 부시 레버 부재의 이동 스페이스를 비워 두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플래튼 롤러가 오목부 내에 삽입된 상태로 부시 레버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부시 레버 부재의 고정부와 케이스의 개구부를 고정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또,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축부의 긴 변의 길이〉오목부의 개구 부분의폭〉축부의 짧은 변의 길이라고 하는 관계가 엄밀하게 지켜지지 않으면 안되고, 또 그들 길이의 차이가 너무 작으면 록의 신뢰성이 부족해지므로, 극단적인 소형화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각 종래예의 여러 가지의 문제를 해소하고, 소형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플래튼의 탈착이 가능함과 함께, 플래튼의 유지에 관하여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플래튼 유지 기구와, 그것을 갖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플래튼의 유지 기구는, 시트재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 헤드와, 헤드에 의한 시트재 처리시에 시트재를 사이에 두고 헤드와 대향하고, 시트재를 지지하는 플래튼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재의 처리시에 플래튼의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로부터 프레임의 외부를 향하여 절개되어 있는 노치부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플래튼의 피유지부의, 노치부에 대한 진입 및 탈출 방향을 규제하는 클로우부와, 헤드를 플래튼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가압 수단과, 플래튼 또는 플래튼을 유지하는 부재에 결합하여,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릴리스 암과, 헤드의, 제1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이동에 따라 릴리스 암을 이동시키고, 플래튼에 대하여, 피유지부가 노치부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주게 하는 구동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클로우부에 의하여, 플래튼의 피유지부가 노치부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이 한정되고, 제1 가압 수단이 헤드를 통해 플래튼에 가압력을 거는 것에 의하여, 한정된 탈출 방향으로의 피유지부의 이동을 억제한다. 그에 따라서, 플래튼의 피유지부의, 노치부로부터의 의도하지 않은 탈출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헤드를, 제1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키면, 구동 부재가 릴리스 암을 이동시켜, 플래튼의 피유지부를 노치부로부터 탈출시킨다.
구동 부재는, 릴리스 암을 가압하는 제2 가압 수단이어도 되고, 제2 가압 수단은, 그 가압 방향이, 제1 가압 수단으로부터 헤드를 통해 플래튼에 가하는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릴리스 암을 통해 플래튼 또는 플래튼을 유지하는 부재에 가압력을 가하고, 플래튼의 피유지부를 노치부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헤드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조 작자가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플래튼을 노치부 밖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제2 가압 수단은, 헤드와 릴리스 암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1 가압 수단의 가압력은 제2 가압 수단의 가압력보다 크다.
혹은, 구동 부재는, 헤드와 릴리스 암 사이에 배치되고, 헤드 이동에 연동하여 릴리스 암을 이동시키는 연결 부재여도 된다.
제1 가압 수단은, 그 가압 방향이, 헤드를 통해 플래튼에 가압력을 가하고, 플래튼의 피유지부를 노치부 내의 유지 위치로 가압하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을 유지하는 부재로서,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플래튼 프레임을 갖고 있어도 된다.
발명의 기록 장치는, 상기한 어느 한 구성의 플래튼 유지 기구를 포함하고, 헤드는 시트재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튼을 프레임의 노치부 내의 소정의 유지 위치에 유지할 수 있고, 플래튼의 피유지부에 마모가 생겨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헤드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플래튼을 취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2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기록 장치의 주요부가 나타나 있다. 이 기록 장치는, 기록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기록 매체(시트재)(S)에 대하여 기록을 행하는 기록 헤드의 일례인 서멀 헤드(1)와, 기록 매체(S)를 반송하는 롤러 모양의 플래튼(플래튼 롤러(2))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멀 헤드(1)에는, 다수의 발열 소자와, 각 발열 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 접속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서멀 헤드(1)와 프레임(3)의 사이에는, 서멀 헤드(1)를 플래튼 롤러(2)에 대하여 가압시키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수단인 스프링 부재(4)가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2)는, 축부(2a)와, 탄성체로 이루어진 외주부(2b)를 갖고 있다. 이 서멀 헤드(1) 및 플래튼 롤러(2)가 기록부를 구성한다.
서멀 헤드(1)는 프레임(3)에, 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4)의 탄성 변형의 범위 내에서 약간의 변위만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2)는 플래튼 프레임(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튼 프레임(5)은, 프레임(3)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예를 들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3)의 측방에는, 모터(구동 수단)(12)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플래튼 롤러(2)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6)이 배치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3)에는, 기록시에 플래튼 롤러(2)를 유지해야 하는 소정의 유지 위치에서 외부를 향하여 노치한 형상의 노치부(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노치부(7)의 개구 부분의 근방에는, 안쪽을 향해 돌출한 클로우부(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클로우부(8)에 의하여, 노치부(7)에 있어서 유지 위치로부터 개구 부분을 향하는 탈출 방향은, 화살표 A방향(정확하게는, 화살표 A방향을 포함하는 약간의 각도 범위 내의 방향이지만, 여기에서는 편의상 「화살표 A방향」이라고 한다)으로 한정된다. 당연히, 노치부(7) 내로의 진입 방향은, 화살표 A방향의 반대의 방향으로 한정된다.
상기한 대로, 플래튼 롤러(2)는 플래튼 프레임(5)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래튼 프레임(5)에 설치된 슬릿 형상의 오목부(5a) 내에,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가 삽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축부(2a)는 슬릿 형상의 오목부(5a)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힘을 가할 수 없는 한 오목부(5a)의 외부에는 탈출 불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축부(2a)는 플래튼 롤러(2)의 피유지부로서 기능한다. 플래튼 프레임(5)은, 프레임(3)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3)에는, 요동축(9a)을 중심으로서 요동 가능한 릴리스 암(9)이 장착되어 있다. 이 릴리스 암(9)은,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에 결합하는 결합부(9b)를 갖고 있다. 또, 릴리스 암(9)과 서멀 헤드(1)의 사이에는, 제2 가압 수단인 스프링 부재(10)가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용 스위치(11)가 프레임(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스위치(11)는, 절편(11a)이 릴리스 암(9)에 접했을 때와, 릴리스 암(9)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온과 오프의 변환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며, 도 1~3에 나타낸 조립 상태에 있어서, 감열성 기록 매체인 시트재(S)가 공급되면, 모터(12)로부터 기어군(6)을 통해 구동되는 플래튼 롤러(2)의 회전에 의하여, 시트재(S)가 반송된다. 이때, 스프링 부재(4)에 의하여 서멀 헤드(1)가 플래튼 롤러(2)를 향하여 가압되기 때문에, 시트재(S)는 서멀 헤 드(1)와 플래튼 롤러(2) 사이에 끼워진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전기 접속 기구로부터 서멀 헤드(1)의 발열 소자에 구동 신호가 전달되고, 서멀 헤드(1)가 구동되어, 시트재(S)에 원하는 기록이 행해진다.
이 기록 장치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는, 플래튼 프레임(5)의 슬릿 형상의 오목부(5a) 내, 또한 프레임(3)의 노치부(7) 내에 위치한다. 스프링 부재(4)가 서멀 헤드(1)를 통해 플래튼 롤러(2)에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축부(2a)는, 도 3(a), (b)에 나타낸 유지 위치에 가압되어 유지된다. 축부(2a)가 노치부(7) 내로부터 탈출 가능한 방향은, 클로우부(8)에 의하여 대략 화살표 A방향으로만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4)가 서멀 헤드(1)를 통해 플래튼 롤러(2)에 가하는 가압력(가압력)의 적어도 일부는, 화살표 A방향의 반대측으로부터 작용한다. 따라서, 스프링 부재(4)의 가압력에 의하여, 플래튼 롤러(2) 및 그 축부(2a)는, 도 3(a), (b)에 나타낸 유지 위치로 가압되고, 이 유지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이 상태로, 스위치(11)의 절편(11a)은 릴리스 암에 접한 상태이며, 플래튼 롤러(2)가 유지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비기록시에, 서멀 헤드(1)와 플래튼 롤러(2) 사이에 기록 매체를 삽입해 세트 하는 작업이나, 서멀 헤드(1)와 플래튼 롤러(2) 사이에서 기록 매체의 잼(이른바 종이 걸림)이 생겼을 때, 그것을 해소하기 위한 작업이나, 서멀 헤드(1) 및/또는 플래튼 롤러(2)의 교환이나 메인테넌스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플래튼 롤러(2)를 서멀 헤드(1)로부터 떼어 놓아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도시하지 않은 레버 등을 조작하여, 스프링 부재(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서멀 헤드(1)를 플래튼 롤러(2)로부터 떼어 놓는다(도 4(a), (b) 참조). 이때, 실제로는 서멀 헤드(1)의 이동과 동시에, 서멀 헤드(1)에 스프링 부재(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릴리스 암(9)이 이동한다. 즉, 실제로는, 도 4(a), (b)에 나타낸 상태가 되는 일은 없고, 도 5(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멀 헤드(1)와 스프링 부재(10)와 릴리스 암(9)이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때, 릴리스 암(9)의 결합부(9b)가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에 결합해 함께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서, 플래튼 롤러(2)는, 도 1~3에 나타낸 유지 위치로부터 멀어지고, 축부(2a)는 노치부(7)의 개구 부분 근방으로 이동한다. 이 위치에서, 축부(2a)의 일부는 클로우부(8)의 외측에 위치하고, 클로우부(8)에 의한 규제로부터 피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플래튼 프레임(5)을 프레임(3)에 대하여 이동시켜, 도 6(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를 프레임(3)의 노치부(7)로부터 완전하게 탈출시킨다. 도 5~6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스위치(11)의 절편(11a)은 릴리스 암에 접촉하고 있지 않고, 플래튼 롤러(2)가 유지 위치에 없는, 즉 기록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대로, 도 4(a), (b)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제로는 거의 있을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서멀 헤드(1)를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한 참고도이다.
그 후, 기록 매체 세트, 잼을 해소하는 처리, 서멀 헤드(1) 및/또는 플래튼 롤러(2)의 교환이나 메인테넌스 등의 작업을 행한다. 필요에 따라 플래튼 롤러(2)를 플래튼 프레임(5)의 슬릿 형상의 오목부(5a)로부터 탈출시켜도 된다. 다만, 플 래튼 롤러(2)를 플래튼 프레임(5)의 오목부(5a)로부터 탈출시키는 구성 및 방법은,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이 아닌, 종래부터 공지의 여러 가지 수단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대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4)의 가압력에 의하여,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를 노치부(7) 내의 소정의 유지 위치에 가압하여 유지할 수 있다. 만일, 마모에 의하여 축부(2a)의 직경이 가늘어졌다고 해도, 스프링 부재(4)의 가압력에 의하여 유지 위치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덜컹거리는 일은 없다. 물론, 축부(2a)가 노치부(7)로부터 탈출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축부(2a)에 다소의 마모가 생겨도, 시트재(S)의 반송 및 기록을 안정되게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스프링 부재(4)에 의한 가압력이 있기 때문에, 축부(2a)가 어중간한 위치에서 정지해 하프 록 상태가 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레버 등의 조작으로 서멀 헤드(1)를 플래튼 롤러(2)로부터 약간(수㎜ 정도) 떼어 놓기만 하면, 스프링 부재(10)의 가압력에 의하여 플래튼 롤러(2)가 이동하여 축부(2a)가 노치부로부터 탈출하고, 플래튼 롤러(2)를 외부에 밀어 내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조작자가 플래튼 롤러(2)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직접 가할 필요는 없다.
또한, 릴리스 암(9)은, 종래의 록 암과 같이 축부(2a)를, 노치부(7) 내에 있어서, 기록시에 플래튼 롤러(2)가 유지되는 유지 위치의 반대측에서 감싸는 형태가 아닌, 노치부(7) 내에서 외부로 축부(2a)를 밀어 내는 형태이다. 이 점에 대해 설 명하면, 종래의 록 암의 스트로크는, 개구 부분측으로부터(「헤드측으로부터」 또는 「위쪽으로부터」라고도 할 수 있다), 노치부(7) 측을 향하는 경로이므로, 이 스트로크를 방해하지 않도록 스페이스를 비우기 때문에, 스페이스 효율이 나쁘다. 나아가서는, 그것이 기록 장치의 소형화의 방해가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릴리스 암(9)의 스트로크는, 노치부(7)의 개구 부분과 반대측으로부터(「헤드와 반대측으로부터」 또는 「안쪽으로부터」라고도 할 수 있다), 노치부(7)의 외측을 향하는 경로이다. 따라서, 이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만큼, 여분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기록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 종래예에서는, 노치부의 개구 부분을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플래튼 롤러를 외부로 취출하는 것은 가능하게 되지만, 실제로 취출하기 위하여는, 조작자가 직접 조작해야 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치부의 개구 부분이 개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서멀 헤드(1)를 플래튼 롤러(2)로부터 떼어 놓으면, 스프링 부재(10)의 가압력에 의하여, 축부(2a)가 노치부(7)로부터 외부로 밀려 나온다. 따라서, 조작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플래튼 롤러(2)가 자동으로 튀어나온다.
플래튼 롤러(2)가 노치부(7)의 외부로 나와 있는 상태로부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2)를 노치부(7)의 유지 위치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노치부의 개구 부분에 축부(2a)를 탑재하도록 해 플래튼 롤러(2)를 밀어 넣으면 된다. 즉, 플래튼 롤러(2)를 밀어 넣으면, 서멀 헤드(1)가 플래튼 롤러(2)에 밀려, 스프링 부재(4)의 가압력에 저항해 약간 이동하고, 그에 따라 플래튼 롤러(2)가 노 치부 내부로 삽입된다. 그러면, 스프링 부재(4)의 가압력에 의하여 서멀 헤드(1)가 복귀하여 플래튼 롤러(2)를 가압하고, 축부(2a)를 유지 위치에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 고정은, 스프링 부재(1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적어도 축부(2a)의 진입 및 탈출 방향에 관한 분력에 관해서는, 스프링 부재(4)의 가압력이 스프링 부재(10)의 가압력보다 크지 않으면 안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압 부재로서, 스프링 부재(4)를 서멀 헤드(1)와 프레임(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4)는, 그 가압 방향이, 서멀 헤드(1)를 통해 플래튼 롤러(2)에 가압력을 가하고,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를 노치부(7) 내의 유지 위치로 가압하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스프링 부재(4)의 가압력은, 이러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분력을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또, 제2 가압 부재로서, 스프링 부재(10)를 릴리스 암(9)과 서멀 헤드(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10)는, 그 가압 방향이, 스프링 부재(4)로부터 서멀 헤드(1)를 통해 플래튼 롤러(2)에 가하는 가압력이 해제되고, 서멀 헤드(1)가 플래튼 롤러(2)로부터 떼어 놓아졌을 때, 릴리스 암(9)을 통해 플래튼 롤러(2)에 가압력을 가해, 플래튼 롤러(2)의 축부(2a)를 노치부(7)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스프링 부재(10)의 가압력은, 이러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분력을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릴리스 암(9)은, 서멀 헤드(1)의 스프링 부재(4)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이동에 따라 플래튼 롤러(2)에 대하여, 축부(2a)가 노치부(7)로부터 탈출하 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가할 수 있다.
다만,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10)를 릴리스 암(9)과 프레임(3)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한 것과 같은 방향으로의 가압 방향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프링 부재(10)는 압축 스프링이다. 또한, 도 7에서는, 프레임(3)의, 스프링 부재(10)를 고정하는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 스프링 부재(10)로 바꾸고, 서멀 헤드(1)와 릴리스 암(9)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가압력은 얻을 수 없지만, 서멀 헤드(1)가 플래튼 롤러(2)로부터 멀어지는 동작에 따라 릴리스 암(9)을 이동시킬 수 있고, 결합부(9b)에 결합한 축부(2a)를 노치부(7)의 개구 부분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가압력(스프링력)은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으며, 도 5(a), (b)에 나타낸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래튼 롤러(2)를 유지하는 플래튼 프레임(5)을 이용했지만, 플래튼 프레임(5)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플래튼 롤러(2) 대신에, 롤러 모양이 아닌 플래튼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노치부(7) 내에 수용되는 피유지부는, 축 모양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형상의 돌기로 할 수 있다.
헤드는 서멀 헤드나 잉크젯 헤드 등의 기록 헤드에 한정되지 않고, 열활성화용 헤드여도 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플래튼 유지 기구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기록 장치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의 (a)는 도 1에 나타낸 기록 장치의 플래튼 유지 기구의, 기록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b)는 그 프레임의 일부를 삭제한 측면도.
도 4의 (a)는 도 1에 나타낸 기록 장치의 플래튼 유지 기구의, 헤드를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b)는 그 프레임의 일부를 삭제한 측면도.
도 5의 (a)는 도 1에 나타낸 기록 장치의 플래튼 유지 기구의, 릴리스 암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b)는 그 프레임의 일부를 삭제한 측면도.
도 6의 (a)는 도 1에 나타낸 기록 장치의 플래튼 유지 기구의, 플래튼 취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b)는 그 프레임의 일부를 삭제한 측면도.
도 7의 (a)는 도 1에 나타낸 기록 장치의 변형예의 플래튼 유지 기구의, 기록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b)는 그 프레임의 일부를 삭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서멀 헤드(헤드) 2 플래튼 롤러(플래튼)
2a 축부(피유지부) 2b 외주부
3 프레임 4 스프링 부재(제1 가압 수단)
5 플래튼 프레임 5a 오목부
6 기어군 7 노치부
8 클로우부 9 릴리스 암
9a 요동부 9b 결합부
10 스프링 부재(제2 가압 수단) 11 스위치
11a 절편 12 모터(구동 수단)
S 기록 매체(시트재)

Claims (8)

  1. 시트재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의한 상기 시트재의 처리시에 상기 시트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와 대향하여, 상기 시트재를 지지하는 플래튼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트재의 처리시에 상기 플래튼의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외부를 향하여 절개되어 있는 노치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래튼의 상기 피유지부의, 상기 노치부에 대한 진입 및 탈출 방향을 규제하는 클로우부와,
    상기 헤드를 상기 플래튼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가압 수단과,
    상기 플래튼 또는 상기 플래튼을 유지하는 부재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릴리스 암과,
    상기 헤드의, 상기 제1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릴리스 암을 이동시켜, 상기 플래튼에 대하여, 상기 피유지부가 상기 노치부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구동 부재를 갖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릴리스 암을 가압하는 제2 가압 수단이며,
    상기 제2 가압 수단은, 그 가압 방향이, 상기 제1 가압 수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를 통해 상기 플래튼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릴리스 암을 통해 상기 플래튼 또는 상기 플래튼을 유지하는 부재에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플래튼의 상기 피유지부를 상기 노치부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플래튼 유지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수단은, 상기 헤드와 상기 릴리스 암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플래튼 유지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수단의 가압력은 상기 제2 가압 수단의 가압력보다 큰, 플래튼 유지 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수단의 가압력은 상기 제2 가압 수단의 가압력보다 큰, 플래튼 유지 기구.
  5. 시트재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의한 상기 시트재의 처리시에 상기 시트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와 대향하여, 상기 시트재를 지지하는 플래튼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트재의 처리시에 상기 플래튼의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외부를 향하여 절개되어 있는 노치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래튼의 상기 피유지부의, 상기 노치부에 대한 진입 및 탈출 방향을 규제하는 클로우부와,
    상기 헤드를 상기 플래튼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가압 수단과,
    상기 플래튼 또는 상기 플래튼을 유지하는 부재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릴리스 암과,
    상기 헤드의, 상기 제1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릴리스 암을 이동시켜, 상기 플래튼에 대하여, 상기 피유지부가 상기 노치부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구동 부재를 갖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헤드와 상기 릴리스 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릴리스 암을 이동시키는 연결 부재인, 플래튼 유지 기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수단은, 그 가압 방향이, 상기 헤드를 통해 상기 플래튼에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플래튼의 상기 피유지부를 상기 노치부 내의 상기 유지 위치로 가압하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플래튼 유지 기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을 유지하는 부재로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플래튼 프레임을 갖는, 플래튼 유지 기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래튼 유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시트재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 헤드인 기록 장치.
KR1020080007003A 2007-01-25 2008-01-23 플래튼 유지 기구 및 기록 장치 KR101253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5005A JP4827035B2 (ja) 2007-01-25 2007-01-25 プラテン保持機構および記録装置
JPJP-P-2007-00015005 2007-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537A KR20080070537A (ko) 2008-07-30
KR101253798B1 true KR101253798B1 (ko) 2013-04-12

Family

ID=3911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003A KR101253798B1 (ko) 2007-01-25 2008-01-23 플래튼 유지 기구 및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85032B2 (ko)
EP (1) EP1950042B1 (ko)
JP (1) JP4827035B2 (ko)
KR (1) KR101253798B1 (ko)
DE (1) DE60200800397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3372A (ja) * 2009-09-30 2011-04-14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1073290A (ja) * 2009-09-30 2011-04-14 Alps Electric Co Ltd プラテンローラを着脱できるプリンタ
EP2910382A1 (en) * 2014-02-20 2015-08-26 APS Trading OOD Platen roller presence detection system for thermal printing device
JP6351502B2 (ja) * 2014-12-24 2018-07-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CN205071127U (zh) * 2015-10-26 2016-03-02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馈纸式扫描设备的平台式扫描装置及扫描模块
JP6863315B2 (ja) * 2018-02-28 2021-04-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820A (ja) * 2001-02-23 2002-09-03 Japan Cbm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3200624A (ja) * 2001-12-28 2003-07-15 Sii P & 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4188787A (ja) * 2002-12-11 2004-07-08 Fujitsu Component Ltd プリンタの印字ヘッド押圧装置
JP2004195805A (ja) * 2002-12-18 2004-07-15 Fujitsu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3567A (en) * 1987-01-07 1990-04-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Head-pressure mechanism in thermal printer
EP0463595B1 (en) * 1990-06-26 1995-01-25 Seiko Epson Corporation Line thermal printer
JPH0671954A (ja) 1992-08-29 1994-03-15 Star Micronics Co Ltd 印字装置のプラテン取付構造
FR2697776B1 (fr) 1992-11-06 1995-03-03 Axiohm Dispositif d'impression thermique ouvrant.
JP2000118060A (ja) 1998-10-14 2000-04-25 Star Micronics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3599595B2 (ja) * 1999-05-10 2004-12-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DE60117121D1 (de) 2001-05-22 2006-04-20 Custom Engineering Spa Fontevi Schliessmechanismus für Thermodrucker
FR2829964B1 (fr) 2001-09-21 2003-12-05 Axiohm Dispositif d'impression thermique ouvrant et verrouillable
JP3687912B2 (ja) * 2002-08-29 2005-08-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ユニット
JP2004098625A (ja) * 2002-09-12 2004-04-02 Toshiba Tec Corp プリンタ及び商品情報処理装置
JP4068502B2 (ja) * 2003-05-23 2008-03-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412531B2 (ja) 2003-09-18 2010-02-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174489B2 (ja) * 2005-04-13 2008-10-2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カッタ装置及びカッタ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820A (ja) * 2001-02-23 2002-09-03 Japan Cbm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3200624A (ja) * 2001-12-28 2003-07-15 Sii P & 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4188787A (ja) * 2002-12-11 2004-07-08 Fujitsu Component Ltd プリンタの印字ヘッド押圧装置
JP2004195805A (ja) * 2002-12-18 2004-07-15 Fujitsu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85032B2 (en) 2011-07-26
JP4827035B2 (ja) 2011-11-30
KR20080070537A (ko) 2008-07-30
EP1950042A1 (en) 2008-07-30
JP2008179079A (ja) 2008-08-07
US20080178753A1 (en) 2008-07-31
DE602008003978D1 (de) 2011-02-03
EP1950042B1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798B1 (ko) 플래튼 유지 기구 및 기록 장치
US7165903B2 (en) Platen roller retaining structure recording apparatus
KR20080070535A (ko) 플래튼 유지 기구 및 기록 유닛
US8506190B2 (en) Cutter mechanism and printer with a cutter
JP4645446B2 (ja) 画像形成装置
TWI680888B (zh) 列印單元及熱列印機
JP2008068552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4670466B2 (ja) プラテンギャップ調整装置及び印刷装置、並びに複合処理装置
US20030160857A1 (en) Thermal printer
EP2821234B1 (en) Printer device
TW201637889A (zh) 列印單元及熱列印機
JP2011073372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KR19990014280A (ko) 프린터 장치
US7452145B2 (en) Hinge structure for paper container in a printer
JP4350350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7316367A (ja) 画像形成装置
JP4494270B2 (ja) ラベルプリンタ
CN214606608U (zh) 印字单元及热敏打印机
CN111070904B (zh) 热敏打印机
JP3567929B2 (ja) カッター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プリンタ
CN112976822A (zh) 印字单元及热敏打印机
JPH06226684A (ja) カッター機構
CN108128644B (zh) 纸盘和图像形成装置
JP2008049539A (ja) プリンタ
JP3004174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