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220A - 생산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산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220A
KR20060101220A KR1020060007732A KR20060007732A KR20060101220A KR 20060101220 A KR20060101220 A KR 20060101220A KR 1020060007732 A KR1020060007732 A KR 1020060007732A KR 20060007732 A KR20060007732 A KR 20060007732A KR 20060101220 A KR20060101220 A KR 20060101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ion
input
parts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니노미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티픽스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7368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46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035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3974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03519A external-priority patent/JP46913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25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8151B2/ja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티픽스 시스템즈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티픽스 시스템즈
Publication of KR2006010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생산활동에서 발생하는 변화에 따라 생산계획을 재설정할 수 있는 시스탬을 제공한다.
고객의 수요가 변화해서 제품수주조건이 변화한 경우에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수천사에 이르는 부품벤더에 대해 해당 수요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조달조건을 제공하고, 해당 부품벤더측에서 수용가능한 범위에 따라 해당 부품조달조건으 갱신을 가능하게 하며, 이들을 자동적으로 집계해서 해당 제품수주조건을 갱신하고, 결과로서 제품의 「부분수주」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산관리 시스템{Production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퍼스널컴퓨터 A3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서버A4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퍼스널컴퓨터 A3의 제어부 A31이 표시부 A34에 표시시키는 화면표시정보의 구성중 하나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퍼스널컴퓨터 A3의 제어부 A31이 표시부 A34에 표시시키는 화면표시정보의 구성중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퍼스널컴퓨터 A3 의 제어부 A31이 표시부 A34에 표시시키는 화면표시정보의 구성중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된 부품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제조공정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된 부품의 재고, 발주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제조공정 부하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계된 리드타임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된 발주 로트수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신규발주의 수용판단 수순을 나타낸 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계된 컴퓨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자원상태 정보입력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16은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자원상태 정보입력화면의 다른 하나의 예이다.
도 17은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자원상태 정보입력화면의 또 다른 하나의 예이다.
도 18은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성과물 정보입력 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19는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자원요구 정보입력 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20은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자원요구 정보입력 화면의 다른 하나의 예이다.
도 21은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자원요구 정보입력 화면의 또 다른 하나의 예이다.
도 22는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착수가부정보 표시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23은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착수지시정보 입력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24는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작업완료정보 입력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25는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작업평준화 정보입력 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26은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착수실적 확인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27은 컴퓨터 B1의 제어부 B11이 표시부 B14에 표시시키는 완료실적 확인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28a 내지 28c는 착수가부정보의 산출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관계된 컴퓨터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0은 컴퓨터 C1의 제어부 C11이 표시부 C14에 표시시키는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31은 컴퓨터 C1의 제어부 C11이 표시부 C14에 표시시키는 추가항목 정보입력 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32는 컴퓨터 C1의 제어부 C11이 표시부 C14에 표시시키는 항목관계정보 입력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33은 컴퓨터 C1의 제어부 C11이 표시부 C14에 표시시키는 추가데이터 입력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34는 컴퓨터 C1의 제어부 C11이 표시부 C14에 표시시키는 테이블 표시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35는 컴퓨터 C1의 제어부 C11이 표시부 C14에 표시시키는 데이터 갱신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 36은 컴퓨터 C1의 제어부 C11이 표시부 C14에 표시시키는 테이블 표시화면의 다른 하나의 예이다.
도 37은 컴퓨터 C1의 제어부 C11이 표시부 C14에 표시시키는 항목관계정보 입려화면의 다른 하나의 예이다.
도 38은 생산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항목정보에 기초해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고, 추가 데이터르 대입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도 39는 생산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항목정보에 기초해 데이터를 대입하는 수순을 나타낸 플로도이다.
도 40은 생산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항목정보에 기초해 추가된 항목 및/또는 기존 항목에 추가 데이터를 대입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도 41은 생산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항목 데이터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의 수순을 나타낸 플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 D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 D1의 개념적인 동작을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도 44는 CAD 데이터로 작성된 설계부품구성, 생산부품표의 일예.
도 45는 생산부품표에서 수배부품 취입의 입력화면의 일예.
도 46은 수배부품 일람표(취입전)의 표시화면의 일예.
도 47은 수배부품 일람표(취입후).
도 48은 변경생산부품표의 표시화면의 일예.
도 49는 변경생산부품표에서 추가부품, 불필요한 부품조사의 입력화면.
도 50은 수배부품 일람표 (변경후)의 표시화면.
도 51은 수배부품 일람표 (변경수배결정 1)의 표시화면.
도 52는 수배부품 일람표 (변경수배결정 2)의 표시화면.
도 53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 E1 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 E1 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 E1 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도 56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 E1 의 표시수단 E14에 표시된 화면이다.
도 57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도 59는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의 건 챠트 방식에 의한 일예를 생산준비상황 표시수단, 산적상황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에 표시되는 생산관리정보 명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생산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2는 도 61에서 나타낸 생산관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을 보인 플로 챠트이다.
도 63은 생산준비상황표시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1) 고객의 수요, (2) 생산능력, (3) 자재의 조달조건등 생산활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화에 따라 생산계획을 재설정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및 해당 재설정을 생산관리 시스템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장등 제조현장에서 어떤 작업이 착수시에 요구하는 자원면에서 작업착수가 가능한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작업의 착수에 필요한 원재료, 설비기계, 인원 조건등의 자원정보에 기초해 해당 작업의 착수 가부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테이블에 용이하게 항목을 추가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산관리장비,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및 생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품생산품의 생산관리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는 생산관리장치,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및 생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산관리장치,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및 생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으 로, 특히 자재소요량 계획(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이하 "MRP"라 한다)의 생산관리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는 생산관리장치,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및 생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산관리장치,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및 생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간공정에서 현실에 맞추어 플렉서블하게 생산관리할 수 있는 생산관리장치,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및 생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장의 생산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생산관리 시스템이 개발, 운용되어 왔다. 이러한 생산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므로써 유저는 예측되는 고객의 수요, 생산능력, 자재의 조달조건등을 입력해서 생산할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이나 설비기계, 인원등의 소요량을 계산하고 (MRP; Material Resource Planning), 생산계획을 설정, 운용할 수 있다.
생산관리 시스템은 예기된 수요에 대응해서 생산계획을 설정하고, 확실하게 실행하기 위해 유효하게 기능해 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정해진 생산계획에 기초해 컴퓨터상에서 현실의 생산상황을 파악하므로써 필요한 부품의 조달, 제조공정의 개시나 종료 지시등을 정확하게 행하고, 더욱 자재를 유효하게 활용해서 생산성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다.
(특허문헌 A1)특원2000-79023호 공보
공장등의 제조현장에서는 공장설비나 인원의 효율적인 운용관점 및 돌연한 생산계획의 변동에 대한 내성등의 관점에서 가능한 한 작업공정의 번한(繁閑;바쁜 것과 한가한 것)의 편차가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조작업은 생산계획에 기초해 계획되지만, 이 생산계획에 기초해 산출된 계획은 반드시 편차가 적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조부문 책임자의 재량 범위내에서 작업을 미리 앞당겨 하는 등 작업의 착수 타이밍을 조달하거나, 작업의 순서를 바꾸거나 하므로써 작업의 평준화를 행하는 것이 제조현장에서 요구될 경우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책임자가 마음대로 작업의 착수 타이밍이나 순서등을 변경한다면 작업계획의 유지도 꾀할 수 없고 생산활동을 오히려 경제적이지 못한 것으로 할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또, 돌발적인 재고의 변동이나 수요의 변동, 생산계획의 변경, 사고에 의한 부품재료의 확보사정의 변화나 인원면 또는 설비기계면에 따른 생산능력의 변동, 전공정의 트러블에 의한 영향, 후공정이나 고객의 급한 요망에 따른 돌발적인 자원상태의 변화에 대한 대응이 요구될 경우도 있다.
이들 상황하에서 작업의 착수순서변경을 가하므로써 작업의 평준화나 변동등에 대처하기 위해 제조책임자는 그 시점에 어떤 작업이 착수가능한가를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B1)특개 2002-123657호 공보
상기 문헌기재의 발명에 따르면, 작업간 전후관계, 소요일수나 진척상황을 관리하므로써 작업이 완료될 예상일시가 기한을 초과할것인가의 여부를 첵크하고, 작업자에게 주의를 환기하므로써 생산계획을 유지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지금 해야 할 작업을 알 수는 있어도 작업의 평준화 및 돌발적인 상황변화의 대응에 도움이 되는, 어떤 작업에 착수가능한가에 대해서 파악할 수단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수많은 데이터를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컴퓨터상에 모든 데이터를 집약해 어떤 목적을 위해 관련성이 있는 어떤 일정한 정보를 모아 사용하기 쉽도록 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관리하는 것이 유효하다.
예를 들면, 생산현장에서는 제품, 부품, 공수, 작업장등 수많은 관리대상이 존재한다. 이들의 팽대라고도 할 수 있는 관리대상을 효율좋으면서 정확하게 관리하기 위해 제조업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의 운용개시후에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사양의 설계를 변경할 요구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SQL등으로 테이블의 항목을 추가, 변경하므로써 소규모의 설계변경에 대해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업에서는 시장이나 고객의 필요에 따라 제품의 사양을 변경할 경우가 있다. 따라서 관리대상이 팽대하고, 또 이들 내용의 수시 변경에 대응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생산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테이블의 종류도 많고, 데이터양도 팽대하므로 변경을 할 시에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첵크도 번잡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이나 데이터의 변경관리에 관해 많은 선행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C1에서는 생산 단위마다 제조부품표에 데이터를 써넣어 제조부품표에 격납된 데이터를 변경하는 수단과, 입력된 변경데이타에 기초해 사양부품표 및 제조부품표를 수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C1)특개 2001-282343호 공보
대형 일품생산품은 일본 국산제조업에서 여전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종래 이들 일품생산품은 비교적 고가이므로 코스트 의식이 낮고, 또 수주에서 완성까지의 기한도 장기에 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근래 각 회사간의 경쟁이 심해짐에 따라 보다 짧은 기한으로 완성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또, 매가 하락에 대응해서 보다 비용을 저감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단기간에 완성시키기 위해 기본설계가 완료된 시점에서 납기가 긴 부품, 재료등은 선행발주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발주후 고객의 의향이 그후 변할 경우도 있고, 당초 사양에서 변경될 경우도 있다. 또, 선행발주된 부품이 반드시 설계대로 제작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제작가능한 대로 변경된 결과, 관련 부품의 설계를 변경해야 할 경우가 있다. 또한 당초 설계가 나쁘고, 선행 수배된 후에 수정해야 할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1000점의 부품으로 구성된 제품에서 100건의 부품이 선행수배된 경우, 수건의 부품변경이라면 사람수를 늘려서라도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건수가 많아지면 사람수로는 대응이 상당히 어려워진다. 그 결과, 해당 제품의 납기, 품질, 원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원가에 대해서는 중요하다. 고객 의 의향이 변한 경우에 변경된 부품 및 불필요하게 된 부품, 추가로 필요하게 될 부품을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불필요하게 된 부품은 재빨리 발주처에 연락할 수 있으면 취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소할 수 없으면 그 부품분의 원가가 올라가고, 상황에 따라서는 대폭의 적자가 되어 경영상도 중대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또, 조기에 연락을 하면 취소할 수 있는데도 늦어져서(예를 들면, 늦게 연락했을 때는 이미 거래처에서 제조가 완성되어) 취소할 수 없게 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불필요하게 된 부품을 폐기하면 환경상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 추가로 발주해야 할 부품을 조급히 결정해 발주하지 않으면 납기가 긴 부품의 경우 조립시에 전부품을 집결할 수 없을 우려가 있어 납기지연이 된다. 납기지연에 대해 무리한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고, 또한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결과로써 종업원 모럴도 저하한다. 종업원의 모럴이 저하하면 수주가 늘지 않고, 능률이 저하하는 결과 한층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이들 악순환에 의해 기업의 경영이 위험해 진다.
이 점에 대해 발전기의 생산관리에 대해 심사, 승인부를 설치하는 방법이 이미 소개되고 있다(특허문헌 D1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객의 의향등이 변한 경우의 조직적인 대응방법에 대해서는 보여주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D1)특개 2004-192352호 공보
종래 기업의 생산계획달성을 전제로 부품표와 재고정보로부터 발주해야 할 자재량과 발주시기를 산출하는 생산관리기법으로서 MRP 기법이 사용되어 왔다. 이 기법은 과거의 사용분을 보충하는 것이 아니라 예상되는 수요를 사전에 잡으므로써 재고의 압축과 부족 해소를 동시에 실현했다. 자재 조달을 고객으로부터의 수주와 수요예측에 직결시킨 결과 생산계획작업은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전의 MRP 생산관리 시스템에서는 실적입력시에 현실의 실행데이타밖에 입력할 수 없고, 계획을 실적이 상회하면 실제로는 불필요하더라도 추가 제작의 지시가 나오거나, 추가로 조달전표가 발행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점에 대해 생산계획 및 그 실행상황에 대한 생산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로 관리하는 생산데이터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산계획의 취소처리시에 현실의 실행데이터(절대실적치)와는 다른 개념의 가상적인 실행데이터(가상실적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E1 참조).
(특허문헌 E1)특허 3055993호 공보
종래 생산관리장치에서는 개별 직장에서의 생산관리용으로서 예를 들면, Gantt Chart 방식등의 중간공정 도표를 표시해서 이것에 기초해 개별 조건에 대해 구체적 일정을 세워 필요작업을 소화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들 방식에서는 단순히 실행해야 할 항목이 일정에 관련지어져 기재되어 있을 뿐이고, 실제 작업을 하려고 하면 부품이 집결해 있지 않아 작업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개별 직장에서는 종업원, 생산설비를 유효하게 활용시키기 위해 가까운 시일내에 작업해야 할 부품을 먼저 제작하는 것이 잘 행해지고 있지만, 그 경우에도 부품이 집결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알 수 없어 혼란스러운 일이 많았다.
이 점에 대해 건트 챠트방식을 채용한 생산계획에 대해 효율적인 작업관리방 법을 제공하기 위해 작업대상설비가 첨부된 지도를 표시하는 방법, 윈도우를 팝업으로 여는 방법등 여러 제안이 이뤄지고 있다(특허문헌 F1, F2 참조). 그러나, 생산준비가 갖춰져 있는가의 여부에 대해 시스템적으로 대응된 문헌은 발견할 수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관리가 행해지는 개별직장에서는 매일 매일 변화하는 각 공정 실적데이터에 따라 그때마다 착수가능한 공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싶다는 요구가 분명히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천점에서 수만점에 이르는 부품이나 각 공정의 정보를 반영해서 해당 직장에서의 공정에 대한 착수가부를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F1)특개 2004-54716호 공보
(특허문헌 F2)특개 2004-164408호 공보
그러나 현대는 이러한 종래의 생산관리 시스템으로는 대응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기게 되었다. 예를 들면, 고객 기호의 다양화, 기호변화의 속도상승이 있다. 그 결과, 제품수주조건의 변화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써 생산현장에서는 당초 설정한 생산계획에 변경을 가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빈번하게 생기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고객의 수요가 변화하고, 급한 수주 주문이 있는 경우에 이것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때로 수천회사에 이르는 부품벤더로부터 공급받는 수만점에 이르는 부품의 재고상황, 발주상황등의 자재의 조달조건이나 생산능력을 바로 파악 하고, 당초의 생산계획을 변경해서 희망하는 납기에 생산가능한가의 여부를 파악해서, 가능하다면 실제로 생산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계획변경의 요구는 이 예와 같이 고객의 수요 변화에 의한 것뿐 아니라 설비의 고장이나 작업원의 병이나 상처등에 의한 생산능력의 변화, 혹은 상품벤더의 예정납기나 수량의 변경요구등 자재의 조달조건의 변화에 따라서도 발생한다.
이러한 다양한 변화에 대해 종래의 생산관리 시스템은 경직적이었다. 예를 들면 고객의 수요가 변화한 경우에는 종래의 생산관리 시스템은 부품이나 중간제품, 제품등의 재고나 설비기계, 인원등의 생산능력의 잉여범위, 미리 설정된 부품벤더의 부품납입조건등의 자재의 조달조건을 고정한채 생산계획의 변경가능성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생산현장에서 부품벤더와 교섭해서 통상의 납기보다 앞당겨 납품시키거나, 부품로트수를 변경하거나 해서 대응하는 것이 가능했다고 하더라도 종래의 생산관리 시스템에서는 이미 발주끝난 (확정됨) 계획을 변경할 수 없다. 그 결과, 계획과 실생산간에 괴리가 생기고, 더 이상 실생산의 상황을 시스템상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없게 된다. 바꿔 말하면 부품벤더측의 특별대응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고, 수주의 기회를 완전히 놓쳐버리게 되는 것으로 연결된다. 여기에 종래의 생산관리 시스템의 제 1의 문제가 존재한다.
그런데, 생산능력이 변화된 경우나 자재의 조달조건이 변화된 경우에도 종래의 생산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변화는 받아 들여질 수 없다. 따라서, 실제로 그러한 변화가 현실이 된 경우에는 실제 생산계획과 생산관리 시스템상의 생산계획간에 괴리 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 종래의 생산관리 시스템의 제 2 의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비춰 이뤄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변의 다양한 상황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단말에서 보내져 온 수주조건의 변화에 따라 수용가능한 수주조건을 산출해서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서버로써, 제품수주조건을 기억하는 제품수주조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조건을 기억하는 부품조달조건 기억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또한 상기 단말에서 제품수주조건을 수신하는 제품수주조건 수신수단과, 상기 제품수주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부품조달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부품조달조건 송신수단과, 상기 단말에서 상기 부품조달조건에 대한 갱신 수신을 하는 부품조달조건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부품조달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제품수주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제품수주조건 송신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의 발명에 의하면, 생산활동에서 발생하는 제품수주조건의 변화에 따라 산출된 부품조달조건을 부품벤더측에서 갱신시키므로써 수용가능한 제품수주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특히 부품조달조건에 관해서는 때로 수천을 상회하는 부품벤더가 각각 수용가능한 범위에서 갱신된 수만점에 이르는 부품조달조건을 자동적으로 집계하고, 수용가능한 제품수주조건의 산출에 반영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조달조건을 갱신하지 않으면 수용불가능한 제품수주조건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대 생활활동에서는 이러한 제품수주조건의 변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부분수주"가 가능한 것은 수주율에 큰 변화를 가 져오게 된다. 즉, 조달리드타임이나 조달로트수등의 조건에 기초해 한번 산출된 부품조달조건을 갱신한다는 새로운 단계를 도입하므로써, 부품벤더측의 특별대응을 감한해서 주어진 제품수주기회를 가능한 한 놓치지않고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응후도 생산계획 자체가 갱신되어 있으므로 이어 새로운 제품수주조건의 변화가 생긴 경우에도 전회와 같은 계산정도로 반복해서 새로운 수주기회의 획득을 계속할 수 있다.
(2)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단말에서 보내져 온 부품조달조건의 변화에 따라 제품납입조건에로의 영향을 산출해서 상기 단말에 송신을 하는 서버로써, 상기 서버는 부품조달조건을 기억하는 부품조달조건 기억영역과, 생산계획을 기억하는 생산계획 기억영역과, 제품납입조건을 기억하는 제품납입조건 기억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또한 상기 단말에서 부품조달조건을 수신하는 부품조달조건 수신수단과, 상기 부품조달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생산계획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생산계획 송신수단과, 상기 단말에서 상기 생산계획에 대한 갱신 수신을 하는 생산계획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을 한 생산계획에 기초해 산출된 제품납입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제품납입조건 송신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 의 발명에 의하면, (1)의 발명과는 역으로 부품벤더측의 부품조달조건의 변화에 따라 산출된 생산계획을 제품메이커측에서 갱신시키므로써 제품납입조건으로의 영향을 산출할 수 있다. 특히 부품조달조건에 관해서는 때로 수천에 달하는 부품벤더가 각각 갱신된 수만점에 이르는 부품조달조건을 자동적으로 집계하고, 생 산계획의 산출에 반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대 생활활동에서는 이러한 부품조달조건의 변경이 동시기에 생길 경우가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제품납입조건으로의 영향의 신속한 산출은 기존의 제품수주조건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생산리드타임이나 작업부하등의 조건에 기초해 한번 산출된 생산계획을 갱신한다는 새로운 단계를 도입하므로써 제품메이커측의 특별대응을 감안해서 기존의 제품수주조건을 가능한 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응후도 생산계획 자체가 갱신되어 있으므로 이어 새로운 부품조달조건의 변화가 생긴 경우에도 전회와 같은 계산정도로 반복해서 대응을 계속할 수 있다.
(3) (1) 에 기재한 서버에 있어, 상기 기억부는 제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제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기억하는 부품조달리드타임 기억영역과, 생산계획을 기억하는 생산계획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품재고정보, 상기 부품재고정보 및 상기 부품조달 리드타임에서 버퍼를 포함해 상기 생산계획을 결정하는 생산계획 결정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4) (2) 에 기재한 서버에 있어, 상기 기억부는 추가로 제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제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기억하는 부품조달 리드타임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품재고정보, 상기부품재고정보 및 상기 부품조달 리드타임에서 버퍼를 포함해 상기 생산계획을 결정하는 생산계획 결정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혹은 (4)의 발명에 의하면, 제품재고, 부품재고 및 부품조달 리드타임에 버퍼를 포함해 생산계획을 결정하게 되므로, 제품수주조건의 변화나 부품조달조건의 변화에 대해 이들 버퍼의 범위내라면 생산계획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이들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5)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과 연결된 서버에 대해 상기 단말에서 송신되어 온 수주조건의 변화에 따라 수용가능한 수주조건을 산출해서 상기 단말로 송신시키는 생산관리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서버는 제어부 및 기억부를 갖추고, 여기서 상기 기억부는 제품수주조건을 기억하는 제품수주조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조건을 기억하는 부품조달조건 기억영역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대해 상기 단말에서 제품수주조건을 수신시키는 제품수주조건 수신처리와, 상기 제품수주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부품조달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부품조달조건 송신처리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부품조달조건에 대한 갱신을 수신시키는 부품조달조건 수신처리와, 상기 수신한 부품조달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제품수주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제품수주조건 송신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프로그램.
(6)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과 연결된 서버에 대해 상기 단말에서 보내져 온 부품조달조건의 변화에 따라 제품납입조건으로의 영향을 산출해서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생산관리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서버는 제어부 및 기억부를 갖추고, 여기서, 상기 기억부는 부품조달조건을 기억하는 부품조달조건 기억영역과, 생산계획을 기억하는 생산계획 기억영역과, 제품납입조건을 기억하는 제품납입조건 기억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대해 상기 단말에서 부품조달조건을 수신시키는 부품조달조건 수신처리와, 상기 부품조달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생산계획을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생산계획 송신처리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생산계획에 대한 갱신을 수신시키는 생산계획 수신처리와, 상기 수신을 한 생산계획에 기초해 산출된 제품납입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제품납입조건 송신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프로그램.
(7) (5) 에 기재한 생산관리 프로그램에 있어, 상기 기억부는 제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제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기억하는 부품조달 리드타임 기억영역과, 생산계획을 기억하는 생산계획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대해 상기 제품재고정보, 상기부품재고정보 및 상기 부품조달 리드타임에서 버퍼를 포함해 상기 생산계획을 결정시킬 생산계획 결정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프로그램.
(8) (6) 에 기재한 생산관리 시스템에 있어, 상기 기억부는 제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제품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기억하는 부품조달 리드타임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대해 상기 제품재고정보, 상기 부품재고정보 및 상기 부품조달 리드타임에서 버퍼를 포함해 상기 생산계획을 결정시킬 생산계획 결정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프로그램.
종래의 기술에서는 생산계획의 납기를 변경하는 일 없이 평준화 및 돌발적인 자원상태의 변화에로의 대응을 하기 위해 작업의 착수순서를 변경할 시에 어느 작업에 착수가능한가를 제조책임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작업수가 많거나 혹은 작업이나 그것에 필요한 자원관계가 복잡한 경우나 착수에 필요한 원재료 품목이나 부품점수등이 다방면에 걸친 경우에는 어떤 작업의 착수가 가능한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그 결과, 제조현장에서의 작업의 착수가부의 판단은 현실로는 제조부문의 책임자의 경험과 감에 의존하고 있고, 숙련된 책임자등을 가지지 못한 현장에서는 작업의 착수 판단이 적절하게 행해지는 것을 반드시 기대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들 과제에 비춰 이뤄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제조현장에서 제조부문의 책임자에게 착수가능한 작업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작업의 평준화등을 통해 생산활동의 효율화에 도움이 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장등 제조현장에서 착수가능한 작업을 정확하게 제시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조작업의 착수에 필요한 부품재료, 설비기계나 인원 조건등, 작업이 착수시에 요구하는 자원의 현재 상태와, 각 작업의 착수에 필요한 상기 자원의 조건을 입력부를 통해서 접수해 그들을 비교하므로써 작업의 착수 가부를 판정하고,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이것으로서 제조현장 책임자의 재량 범위내에서 하는 작업의 평준화 및 변화에로의 대응을 위한 작업착수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9) 작업의 착수가부판정을 하는 컴퓨터로써, 어떤 작업을 착수하기위해 필 요하게 될 자원의 현재상태를 나타내고 자원명 및 자원단위로 구성되는 자원상태정보와, 상기 어떤 작업을 특정하는 작업명과 해당 작업의 완료에 의해 얻어질 성과물을 나타내는 성과물 정보와 해당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상기 자원의 필요조건을 나타내는 자원요구정보로 구성되는 작업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성과물 정보는 성과물명 및 성과물단위로 구성되고, 상기 자원요구정보는 자원명 및 자원단위로 구성되며, 자원상태정보의 입력을 접수 하는 자원상태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작업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작업정보입력 접수수단과, 어떤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와 같거나 혹은 상회할 경우에 착수가로 판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착수불가로 판정하는 착수가부 판정수단과, 상기 착수가부 판정수단의 판정결과를 표시하는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9) 의 발명에 의하면, 해당 정보제공 시스템이 자원상태정보와 작업정보에 기초해 착수가부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착수가부정보에 의해 작업이나 자원의 종류가 다방면에 걸친 경우나 복잡한 관계를 가진 경우라도 제조현장 책임자들이 상기 착수가부정보에 기초해 현재 착수가능한 작업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작업의 평준화시나 돌발적 사정일 시에 필요하게 될, 착수할 작업의 결정이나 작업의 순서 검토등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해당 정보제공 시스템이 착수가부정보를 표시하므로써, 예를 들면 심볼마크를 이용해 착수가부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현장에서 상황을 정확 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신속한 제조작업의 지시를 줄 수 있다.
(10) (9) 에 기재한 컴퓨터로써, 상기 착수가부 판정수단은 상기 어떤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와 같든지 혹은 상회할 경우에 전부 착수가로 판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상기 작업 성과물에 대해 적어도 1성과물 단위분 착수할 경우에 필요로 하는 자원단위와 같든지 혹은 상회할 경우에 부분착수가로 판정하며, 그 이외의 경우에 착수가부라 판정하고, 상기 착수가부판정결과 표시수단은 상기 착수가부판정수단에서 판정을 한 작업의 작업정보의 성과물정보의 성과물단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0)의 발명에 의하면 공정에서 자원상태로부터 당초에 설정한 작업의 모든 수량의 성과물의 제조를 할 수 없는 경우라도 설정된 수량중 일부라도 착수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이 일부분의 착수를 판정할 수 있고, 이것으로 제조부문의 책임자는 보다 유연한 제조활동 지시를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1) (9) 또는 (10)에 기재한 컴퓨터로써, 상기 기억부는 상기 어떤 작업의 착수를 통지하고, 작업자명과 성과물명과 상기 어떤 작업의 착수에 의해 얻어지는 예정 성과물단위로 구성되는, 착수지시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착수지시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어떤 작업에 대해 상기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 상기 어떤 작업의 성과물명에 대응하는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로부터 상기 작업의 착수지시정보의 성과물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의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를 감산해서 갱신하는 착수자원상태 정보갱신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1) 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어떤 작업에 착수지시를 내릴 시에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를 상기 작업의 착수에 필요한 수량만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으로 작업의 착수에 의한 자원변화를 다른 작업의 착수가부판정에 그 때마다 반영해서 제조부문의 책임자는 스텝 바이 스탭으로 정확한 정보에 기초해 착수지시를 내릴 수 있다.
또한, 해당 착수에는 상기 어떤 작업의 전부착수뿐 아니라 부분착수가 포함될 경우가 있다.
(12) (9)부터 (11)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컴퓨터로써, 상기 기억부는 상기 어떤 작업의 완료를 통지하고, 작업명과 성과물명과 상기 어떤 작업의 그 완료에 의해 얻어지는 성과물단위로 구성된다. 작업완료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작업완료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어떤 작업에 대해 상기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이 있었을 경우이면서 그 작업의 성과물이 다른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자원인 경우에는 자원상태정보의 해당 자원의 자원단위에 상기 작업의 작업완료정보의 성과물단위를 가산해서 갱신하는 완료자원상태 정보갱신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2) 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어떤 작업이 완료될 시에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를 상기 작업완료에 의해 얻어질 성과물단위의 수량만큼 늘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으로 작업완료에 의한 자원변화를 다른 작업의 착수가부판정에 그때마다 반영해서 제조부문 책임자는 스탭 바이 스탭으로 정확한 정보에 기초해 착수지시를 내릴 수 있다.
또한 해당 완료에는 상기 어떤 작업의 전부완료뿐 아니라 부분완료가 포함될 경우가 있다.
(13) (9)에서 (12)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컴퓨터로써, 상기 작업정보는 작업착수 예정시기를 나타내는 착수예정 시기정보를 또한 포함하고, 작업을 표시하는 최종시기를 나타내는 작업표시 최종시기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작업표시 최종시기정보 입력접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수단은 어떤 작업의 작업정보의 착수예정 시기정보가 상기 표시최종 시기정보와 같든가 또는 이전이면서 해당 작업의 성과물단위가 작업종료정보의 성과물단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착수가부 판정수단의 판정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3) 의 발명에 의하면, 이미 완료된 작업이나 표시시기에 달하고 있지 않은 장래 작업을 표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정말로 착수가부정보가 필요한 작업에 대해서만 표시가 이뤄지므로써 상황의 정확하면서 신속한 파악을 할 수 있다.
(14) (11)에서 (13) 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컴퓨터로써, 상기 기억부는 어떤 제조부문의 작업 평준화를 꾀할 수 있도록 어떤 날에 상기 제조부문이 해야 할 작업량을 표시하는 작업평준화정보와, 상기 어떤 날에 착수지시를 한 작업의 착수에 의해 얻어질 예정 성과물의 성과물단위 합계를 나타내는 착수실적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평준화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작업평준화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작업평준화정보와 상기 착수실적정보를 동시에 표시 하는 작업평준화 정보표시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4)의 발명에 의하면, 계획에 대한 착수지시를 스탭 바이 스탭으로 반복해서 늘려 가는 것으로 양자를 대비하면서 착수지시계획을 가다듬을 수 있다.
(15) 컴퓨터에 작업의 착수가부 판정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컴퓨터는 어떤 작업을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자원의 현재 상태를 특정하는 작업명과 해당 작업의 완료에 의해 얻어질 성과물을 나타내는 성과물정보와 해당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자원의 필요조건을 나타내는 자원요구정보로 구성되는 작업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한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성과물정보는 성과물명 및 성과물단위로 구성되고, 상기 자원요구정보는 자원명 및 자원단위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에 자원상태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자원상태정보 입력접수기능과, 작업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작업정보입력 접수기능과, 어떤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와 같든가 혹은 상회할 경우에 착수가라 판정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 착수불가라 판정시키는 착수가부 판정기능과, 상기 착수가부 판정기능의 판정결과를 표시시키기위한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5)의 발명의 의하면, (9)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6) (15)에 기재한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착수가부 판정기능은 상기 컴퓨터에 상기 어떤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와 같든가 혹은 상회할 경우에 전부 착 수가라 판정시키고,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상기 작업의 성과물에 대해 적어도 1성과물단위분 착수할 경우에 필요한 자원단위와 같든가 혹은 상회할 경우에 부분착수가라 판정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 착수불가라 판정시키며, 상기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기능은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착수가부 판정기능에서 판정시킨 작업의 작업정보의 성과물정보의 성과물단위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6) 의 발명에 의하면, (10) 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7) (15) 또는 (16) 에 기재한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는 상기 어떤 작업의 착수를 통지하고, 작업명과 성과물명과 상기 어떤 작업의 착수에 의해 얻어질 예정 성과물단위로 구성되는, 착수지시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착수지시정보 입력접수기능과, 상기 어떤 작업에 대해 상기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상기 작업의 성과물명에 대응하는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로부터 상기 작업의 착수지시정보의 성과물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의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를 감산시켜 갱신시키는 착수자원상태 정보갱신기능을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7) 의 발명에 의하면, (11)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8) (15)에서 (17) 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는 상기 어떤 작업의 완료를 통지하고, 작업명과 성과물명과 어떤 작업의 상기 완료에 의해 얻어진 성과물단위로 구성되는, 작업완료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작업완료정보 입력접수기능과, 상기 어떤 작업에 대해 상기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이 있을 경우이면서 상기 작업의 성과물이 다른 작업을 착수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이 된 경우에는 자원상태정보의 해당자원의 자원단위에 상기 작업의 작업완료정보의 성과물단위를 가산시켜 갱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8) 의 발명에 의하면 (12)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9) (15)에서 (18)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컴퓨터로써, 상기 작업정보는 작업착수 예정시기를 나타내는 착수예정 시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기능은 작업을 표시하는 최종시기를 나타낸 작업표시 최종시기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작업표시 최종시기 정보입력 접수기능과, 어떤 작업의 작업정보의 착수예정 시기정보가 상기 작업최종 시기정보와 같든가 또는 이전이면서 상기 작업의 성과물단위가 작업완료정보의 성과물단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착수가부 판정수단의 판정결과를 표시시키는 판정결과 표시결정기능을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9)의 발명에 의하면, (13)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0) (17)에서 (19)의 어느 한쪽에 기재한 컴퓨터로써,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는 어떤 제조부문의 작업 평준화를 꾀할 수 있도록 어떤 날에 상기 제조부문이 이루어야 할 작업량을 제시하는 작업평준화정보와, 상기 어떤 날에 착수지시를 한 작업의 작업정보의 착수에 의해 얻어질 예정 성과물단위의 합계를 나타내는 착수실적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평준화정보의 입력을 접 수하는 작업평준화 정보입력 접수기능과, 상기 작업평준화정보와 상기 착수실적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작업평준화정보 착수상황정보기능을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0)의 발명에 의하면, (14)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C1의 생산관리지원 시스템에서는 제조에 걸리는 부품 소요량의 증가 혹은 감소등에 의해 어떤 테이블에 포함될 항목의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그 변경을 자동적으로 관계하는 다른 테이블에 반영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테이블중의 항목 그 자체의 추가에 대해서는 대응하고 있지 않다. 또한, 그 항목의 추가를 다른 테이블에 반영시킬 수도 없다. 그러나, 현실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의 운용게시후에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항목에 관해 변경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생산관리현장을 예로 들면, 생산관리 시스템의 테이블중 하나인 아이템 마스터에서 새룝게 아이템 컬러를 관리할 필요가 생긴 경우, 기존의 생산관리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아이템 마스터에 "아이템 컬러"항목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발주전표에서도 "아이템 컬러"항목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발주전표 테이블에서도 "아이템 컬러"항목을 수작업으로 추가하고, 전술한 아이템 마스터의 "아이템 컬러"항목에 입력한 데이터가 발주전표 테이블의 "아이템 컬러"항목의 데이터에 반영되도록 데이터베이스설계를 수작업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수작업으로 바꿔 쓸 필요가 생기므로 생산현장에서만 이들 작업을 하는 것은 곤란하고, 프로그램등에 의존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테이블에 용이하게 항목을 추가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생산관리 시스템에서의 항목추가를 할 시에도 알맞다.
(21) 복수의 테이블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컴퓨터로써,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테이블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의 선택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 선택정보와,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에 추가될 새로운 항목을 나타내는 추가항목정보와, 상기 새로운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될 추가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대해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항목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항목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데이터 입력 접수수단과, 상기 추가항목정보에 기초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상기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는 항목추가수단과, 상기 새로운 항목에 상기 추가 데이터를 대입하는 데이터 대입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1) 의 발명에 의하면, 해당 컴퓨터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과, 추가항목정보의 입력과, 추가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므로써 임의의 테이블에 자동적으로 새로운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추가항목정보에 기초해 항목의 데이터 대입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다. 이것으로 시스템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마스터테이블에 항목을 추가하거나, 관계한 테이블 하나하나에 대해 항목의 데이터 대입을 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 대입은 테 이블 항목에 데이터를 대입하는 것이다.
(22) 복수의 테이블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컴퓨터로써,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테이블에 포함되는 복수 항목간의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항목관계정보와, 상기 복수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항목관계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데이터 입력 접수수단과, 상기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상기 복수 항목에 상기 데이터를 대입하는 데이터 대입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2) 의 발명에 의하면, 해당 컴퓨터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항목관계정보의 입력과,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므로써 입력된 항목간 종속관계에 기초해 복수 테이블에 자동적으로 항목 데이터를 대입할 수 있다. 이것으로 시스템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관계하는 테이블 하나하나에 대해 항목간 종속관계를 조사해서 항목 데이터를 대입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항목관계정보에 관계된 항목은 새롭게 추가된 항목이어도 좋고, 기존 항목이어도 좋다.
(23) 복수 테이블을 가진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컴퓨터로써,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수 테이블과, 상기 복수 테이블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테이블의 선택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 선택정보와,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에 추가되는 새로운 항목을 나타내는 추가항목정보와, 상기 복수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 항목간의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항목관계정보와, 상기 새로운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되 는 추가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상기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접수단과,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대해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 항목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항목 정보입력 접수수단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항목관계 정보입력 접수수단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데이터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추가항목정보에 기초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상기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는 항목추가수단과, 상기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상기 새로운 항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복수 항목에 상기 추가데이터를 대입하는 데이터 대입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3) 의 발명에 의하면, 해당 컴퓨터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과, 추가항목정보의 입력과, 항목관계정보의 입력과, 추가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므로써 복수 테이블에 자동적으로 새로운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항목간 종속관계에 기초해 항목 데이터의 대입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다. 이것으로 시스템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마스터 테이블에 항목을 추가하거나 관계하는 테이블 하나하나에 대해 항목 테이블의 대입을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항목관계정보에 관계된 항목은 새롭게 추가된 항목이어도 좋고, 기존 항목이어도 좋다.
(24) (21)에서 (23)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컴퓨터로써, 상기 항목관계정보는 수식에 의해 나타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4)의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항목을 추가할 시에 항목의 종속관계가 단순 한 복제관계가 아닌 경우에도 그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수식에 기초해 데이터 대입을 할 수 있다.
(25) (24)기재의 컴퓨터로써,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수식 입력을 접수하는 수식입력 접수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5) 의 발명에 의하면, 항목의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수식을 유저가 임의로 정의할 수 있다.
(26) (21)에서 (23)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컴퓨터에 있어, 상기 기억부는 상기 테이블간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관계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항목관계 정보입력 접수수단은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 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테이블 관계정보 입력접수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6) 의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테이블 관계정보를 임의로 입력할 수 있다. 이것으로 항목간 종속관계는 해당 항목이 속하는 테이블간 종속관계에 기초해 결정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유저가 임의의 테이블간을 마우스등의 조작으로 화살표선으로 연결하므로써 테이블 관계정보를 입력해도 좋다. 이것으로 유저에 의한 항목관계정보의 입력 자유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하나하나의 항목관계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일 없이 관계정보를 통한 효율적인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27) 컴퓨터에 복수 테이블을 가진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실행시키는 시스템으로써,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테이블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의 선택상태를 나타낸 테이블 선택정보와, 유저에 의해 상기 선 택된 테이블에 추가된 새로운 항목을 나타낸 추가항목정보와, 상기 복수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 항목간 종속관계를 나타낸 항목관계정보와, 상기 새로운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 추가데이터를 적어도 기어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한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에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선택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접수기능과,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대해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항목종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추가항목 정보입력 접수기능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항목간 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항목관계정보입력 접수기능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데이터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추가 데이터 접수기능과, 상기 추가항목정보에 기초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상기 새로운 항목을 추가시키는 항목추가기능과, 상기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상기 새로운 항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복수 항목에 상기 추가 데이터를 대입시키는 데이터 대입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7)의 발명에 의하면, (21)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8) 복수의 테이블을 갖는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용 컴퓨터를 이용한 테이블 항목추가 방법으로써,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테이블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 선택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 선택정보와, 유저에 의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추가되는 새로운 항목을 나타내는 추가항목정보와,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간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항목관계정보와, 상기 새로운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추가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을 접수 하는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접수 스탭과,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대해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항목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항목 정보입력 접수스탭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항목관계 정보입력 접수스탭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데이터 입력접수스탭과, 상기 추가항목정보에 기초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상기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는 항목추가스탭과, 상기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상기 새로운 항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항목에 상기 추가 데이터를 대입하는 데이터 대입스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항목추가방법.
(28)의 발명에 의하면, (21)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9) (21)에서 (26)의 어느 한쪽에 기재된 컴퓨터로써, 테이블 관리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9) 의 발명에 의한 시스템 관리자가 테이블 항목에 데이터를 대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것으로 테이블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30) (21)에서 (26)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컴퓨터로써, 생산관리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30)의 발명에 의하면, 제조업의 생산관리현장에서 (21)에서 (26)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생산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위 일품생산품에서도 고객요구에 의한 갱신등의 문제가 있던 경우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생산관리장치,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및 생산관리방법을 제 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31) 생산관리장치로써,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된 발주부품을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변경된 CAD 데이터에서 변경부품표를 작성하는 변경부품표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변경부품표에 포함되는 부품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발주부품을 대비해서 상기 제조번호의 취소부품과 추가발주부품을 산출하는 변경부품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취소부품 및 추가발주부품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32) (31)에 기재된 생산관리장치로써, CAD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입력을 접수한 CAD 데이터로부터 생산부품표를 작성하는 생산부품표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생산부품표에 기초해 제조번호에 관련지어져 발주부품을 산출하는 발주부품 산출수단을 추가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33) (31) 또는 (32)에 기재한 생산관리장치로써, 상기 표시된 취소부품의 캔슬가부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캔슬가능한 부품의 취소전표와 추가발주부품의 전표를 발행하는 전표발행수단을 추가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또한 캔슬불가 부품에서 유용가능한 부품은 제조번호해제가 이뤄지고, 재고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34) 생산관리장치로서 컴퓨터를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된 발주부품을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변경된 CAD 데이터로부터 변경부품표를 작성하는 변경 부품표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변경부품표에 포함되는 부품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발주부품을 대비해서 상기 제조번호의 취소부품과 추가발주부품을 산출하는 변경부품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취소부품 및 추가 발주부품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35) (34)에 기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컴퓨터에 CAD 데이터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입력을 접수한 CAD 데이터로부터 생산부품표을 작성하는 생산부품표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생산부품표에 기초해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부품을 산출하는 발주부품 산출수단을 합쳐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36) (34) 또는 (35)에 기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컴퓨터에 상기 표시된 취소부품의 캔슬가부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캔슬가능한 부품의 취소전표와 추가발주부품의 전표를 발행하는 전표발행수단을 합쳐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37) (34)에서 (36)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38)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으로써,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된 발주부품을 기억수단에 적어도 기억하는 스탭과, 변경된 CAD 데이터로부터 변경부품표를 작성하는 스탭과, 상기 작성된 변경부품표에 포함되는 부품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발주부품을 대비해서 상기 제조번호의 취소부품과 추가발주부품을 표시하는 스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39) (38)에 기재한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으로써, CAD 데이터의 입력을 입력접수수단에 접수하는 스탭과, 상기 입력을 접수한 CAD 데이터로부터 생산부품표를 작성하는 스탭과, 상기 작성된 생산부품표에 기초해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부품을 산출하는 스탭을 상기 기억하는 스탭 전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40) (38) 또는 (39)에 기재한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으로써, 상기 표시된 취수부품의 캔슬가부 정보를 취득하는 스탭과, 상기 캔슬가능한 부품의 취소전표와 추가 발주부품의 전표를 발행하는 스탭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3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한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단기간에 완성시키기위해 선행으로 부품발주를 한 경우도 기억수단에 발주한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된 발주부품이 적어도 기억되어 있다. 그 후 고객의 의향등 변경에 의해 설계변경된 경우에도 변경부품표 작성수단에 의해 변경된 CAD 데이터로부터 변경부품표가 작성된다. 이어 변경부품 산출수단에 의해 상기 작성된 변경부품표에 포함되는 부품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발주부품을 대비해서 상기 제조번호의 취소부품과 추가발주부품이 산출된다. 이어 산출된 취소부품 및 추가발주부품이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표시되므로써 생산관리장치의 유저는 고객의 의향등에 의해 설계가 변경된 경우라도 구체적으로 처리해야 할 취소부품과 추가발주부품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것으로 유저는 표시된 내용을 보고 취소부품이 캔슬가능한가의 여부를 신속하게 조사할 수 있다. 그 결과, 고 객요구에 의한 변경등 문제가 있었던 경우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3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한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상기 (31)에서 설명한 수단에 덧붙여 입력접수수단에 의해 CAD 데이터의 입력이 접수된다. 그후 생산부부품표 작성수단에 의해 접수된 CAD 데이터로부터 생산부품표가 작성되고, 발주부품 산출수단에 의해 작성된 생산부품표에 기초해 제조번호에 관련지어진 발주부품이 산출된다. 그 결과, 상기 (31)에서 설명한 효과에 덧붙여 유저는 선행발주부품의 수배를 적절하게 할 수 있다.
(33) 에 기재한 발명에 의한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취득수단에 의해 표시된 취소부품에 대해 캔슬가부정보가 취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부품벤더등에 캔슬이 가능한가 여부 문의를 하고, 그 결과를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표발생수단에 의해 캔슬가능한 부품의 취소전표와 추가발주부품 전표가 발행된다. 그 결과, 상기 (31) 또는 (32) 어딘가에서 설명한 효과에 덧붚여 고객요구에 의한 변경등의 문제가 있었던 경우라도 유저는 신속하게 캔슬가능한 부품을 취소하고, 추가발주부품을 수배할 수 있다. 조기에 연락하면 캔슬할 수 있는데도 연락이 늦어서 캔슬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추가로 발주해야 할 부품을 변경입력후 바로 그 자리에서 자동적으로 표시되는 정보로부터 인식하고 발주할 수 있다. 그 결과, 납기가 긴 부품의 경우 조립시에 전부품을 집결할 수 없을 우려가 있어 납기지연이 될 문제를 회피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는 캔슬불가인 부픔에서 유용가능한 부품은 제조번호가 해제되고, 재고처리가 이루어 지므로 폐기할 부품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34)에서 (36)의 발명인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읽어들이게 하므로써, 상기 (34)에서 (33)의 발명과 같은 수단을 기능시켜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37)의 발명인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 읽어들이게 하므로써 상기 (31)에서 (33)의 발명과 같은 수단을 기능시켜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혹은 (38)에서 (40)의 발명인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에 의해서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조번호란 제작번호를 말하고, 제조관리를 위해 붙여진 번호를 말한다. 기업에 따라서는 작번으로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또, 제조번호해제란 부품에 관련지어져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조번호와의 관련을 그 제조번호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부품에 관련지어져 기억된 제조번호를 다른 기호로 변경하는 것이다.
또, 임의의 타이밍으로 MRP 생산관리 시스템을 이용해 소요량 계산을 하려고 할 때, 실적치가 계획상의 값보다도 부족한 경우에 현장 책임자가 과거 실적등으로 다음번 공정에서 만회할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라도 계획상의 값과 실적치에 의해 계산되고, 계획에 대해 부족한 만큼의 전표가 발행되게 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합리한 점을 해소해서 생산관리를 적절하게 할 수 있는 생산관리장치,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 능한 기록매체 및 생산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41) 제품의 부품표와 재고정보로부터 발주해야할 자재량과 발주시기를 산출하는 자재소요량계획에 의한 생산관리장치로써, 생산계획의 실행대상품목중 실행끝난 품목에 관한 것으로, 그 현실 실적치를 입력하는 실적치 입력수단과, 상기 자재소요량 산출용 가공 재고치를 입력하는 가공 재고치 입력수단과, 상기 실적치 입력수단에 입력된 실적치를 이용해 상기 실행끝난 품목의 재고데이터를 갱신하는 재고데이터 갱신수단과, 상기 가공재고치 입력수단에 입력된 가공재고치와 상기 재고 데이터 갱신수단에 의해 갱신된 재고데이터를 이용해 다음번 소요량을 계산하는 소요량 계산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42) 제품 부품표와 재고정보로부터 발주해야 할 자재량과 발주시기를 산출하는 자재소요량 계획에 의한 생산관리장치로서 컴퓨터를 생산계획의 실행대상품목중 실행끝난 품목에 관한 것으로, 그 현실 실적치를 입력하는 실적치 입력수단, 상기 자재소요량 산출용 가공재고치를 입력하는 가공재고치 입력수단, 상기 실적치 입력수단에 입력된 실적치를 이용해 상기 실행끝난 품목의 재고데이터를 갱신하는 재고데이터 갱신수단, 및 상기 가공재고치 입력수단에 입력된 가공재고치와 상기 재고데이터 갱신수단에 의해 갱신된 재고 데이터를 이용해 다음번의 소요량을 계산하는 소요량 계산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43) (42)에 기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44) 컴퓨터를 이용한 제품 부품표와 재고정보로부터 발주해야 할 자재량과 발주시기를 산출하는 자재소요량 계획에 의한 생산관리방법으로써, 생산계획의 실행대상품목중 실행끝난 품목에 관한 것으로, 그 현실 실적치를 입력하는 항목과, 해당 자재소요량 산출용 가공재고치를 입력하는 항목을 만들고, 입력된 상기 실적치를 이용해 상기 실행끝난 항목의 재고데이터를 갱신하는 스탭과, 입력된 가공재고치와 상기 재고데이터를 갱신하는 스탭에서 갱신된 재고데이터를 이용해 다음번 소요량을 계산하는 스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41) 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생산계획의 실행대상품목중 실행끝난 품목에 관한 것으로, 그 현실의 실적치를 실적치 입력수단에 입력한다. 입력된 실적치를 이용해 상기 실행끝난 품목의 재고데이터를 재고데이터 갱신수단에 의해 갱신한다. 한편, 가공재고치 입력수단에 의해 실적치가 계획치보다 밑돈 경우도 현장 책임자가 과거 실적보다 다음번 공정에서 만회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 그 차이분을 가공재고치로서 입력할 수 있다. 입력한 가공재고치와 상기 재고데이터 갱신수단에 의해 갱신된 재고데이터를 이용해 다음번 소요량을 소요량 계산수단에 의해 계산한다. 그 결과, 다음번 소요량 계산상은 현장 책임자가 만회할 수 있다고 판단한 수량만큼의 재고는 있는 것으로 취급되므로, 종래와 같이 현장 책임자가 과거 실적보다 다음번 공정에서 만회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도 전표가 발행되버리게 되는 불합리한 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42)의 발명인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읽어들이게 하므로써, 상기 (41)의 발명과 같은 수단을 기능시켜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43)의 발명인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 읽어들이게 하므로써 상기 (41)의 발명과 같은 수단을 기능시켜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혹은 (44)의 발명인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에 의해서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산관리가 행해지는 개별직장에서 생산준비가 갖춰져 있는가의 여부를 각 공정의 실적데이터에 기초해 자동적으로 산출하고, 구체적으로 대응하기 쉽도록 표시하므로써 효율좋게 생산관리를 할 수 있는 생산관리장치,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및 생산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45) 생산관리장치로써, 생산계획에 대해 자재 또는 부품에 관한 입하 또는 완성의, 예정 또는 실적을 포함한 각 공정정보를 입력하는 공정정보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공정정보와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는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를 표시하는 생산상황 표시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조사희망시란 생산관리장치의 유저가 생산준비상황등에 대해 조사하고 싶을 때를 말한다. 생산할 품종에 따라 때로는 시간단위일 경우, 일단위일 경우도 있다.
(46) (45)에 기재한 생산관리장치로써,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산적상황 산출수단과, 상기 산적상황을 상기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와 관련지어 표시하는 산적상황 표시수단을 추가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47) (46)에 기재한 생산관리장치로써, 통신회선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각 공정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입력수단을 추가로 갖추고, 상기 수신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48) (46) 또는 (47)에 기재한 생산관리장치로써, 소정 자재 혹은 부품에 관해 상기 표시된 생산관리정보의 변경입력을 하는 변경입력수단을 추가로 갖추고, 상기 변경입력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49) (45)에서 (48)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생산관리장치로써, 생산자원정보 입력수단을 추가로 갖추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생산자원정보를 추가로 기억하며,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산자원정보를 합쳐 상기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50) (45)에서 (49)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생산관리장치로써, 상기 생산준 비상황 산출수단은 상기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에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은 상기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에서의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51) 생산관리장치로서 컴퓨터를, 생산계획에 대해 자재 또는 부품에 관해서의 입하 또는 완성의, 예정 또는 실적을 포함하는 각 공정정보를 입력하는 각 공정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공정정보와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는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 및 상기 산출된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를 표시하는 생산상황 표시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2) (51)에 기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컴퓨터를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산적상황 산출수단, 상기 산적상황을 상기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와 관련지어 표시하는 산적상황 표시수단으로서 추가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3) (52)에 기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컴퓨터를 통신회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상가 각 공정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입력수단으로서 추가로 기능시키고, 상기 수신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에 조사희망시의 산적상황을 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4) (52) 또는 (53)에 기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컴퓨터를 소정 자재 혹은 부품에 관해 상기 표시된 생산관리정보의 변경입력을 하는 변경입력수단으로서 추가로 기능시키고, 상기 변경입력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에 추가로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시키며, 상기 산출상황의 산출수단에 추가로 산적상황을 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5) (51)에서 (54)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컴퓨터를 생산자원정보 입력수단으로서 추가로 기능시키고, 상기 입력된 생산자원정보를 추가로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며,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에 추가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산자원정보도 합쳐서 상기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6) (51)에서 (55)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에 상기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시키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에 상기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에서의 산적상황을 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7) (51)에서 (56) 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58)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으로써, 생산계획에 대해 자재 또는 부품에 관해서의 입하 또는 완성의, 예정 또는 실적을 포함한 각 공정정보를 입력하는 각 공정정보 입력스탭과, 상기 입력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스탭과, 상기 기억한 공정정보와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조사희 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는 생산준비상황 산출스탭과, 상기 산출된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를 표시하는 생산상황 표시스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59) (58)에 기재한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으로써,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산적상황 산출스탭과, 상기 산적상황을 상기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와 관련지어 표시하는 산적상황 표시스탭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60) (59)에 기재한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으로써, 통신회선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상기 각 공정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입력스탭을 추가로 가지고, 상기 수신한 상기 각 공정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스탭에서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스탭에서 조사희망시의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방법.
(61) (59) 또는 (60)에 기재한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으로써, 소정 자재 혹은 부품에 관해 상기 표시된 생산관리정보의 변경입력을 하는 변경입력 스탭을 추가로 가지고, 상기 변경입력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스탭에서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며, 상기 산적상황 산출스탭에서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62) (58)에서 (61)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으로써, 생산자원정보입력을 하는 스탭을 추가로 가지고, 상기 기억스탭에서 상기 생산자원정보를 추가로 기억하며,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스탭에서 상기 기억스탭 에 기억된 생산자원정보도 합쳐서 상기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63) (58)에서 (62)의 어딘가에 기재한 생산관리방법으로써,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스탭에서 상기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의 생산준비상황에서의 산출을 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스탭에서 상기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에서의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4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한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각 공정정보 입력수단에 의해 생산계획에 대해 자재 또는 부품에 관해서의 입하 또는 완성의, 예정 또는 실적을 포함한 각 공정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생계계획의 생산관리정보는 기억수단에 기억된다.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공정정보와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에 의해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이 산출된다. 생산상황 표시수단에 의해 산출된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가 표시된다. 생산관리가 행해진 개별 직장에서 생산준비가 갖춰져 있는가의 여부를 각 공정의 실적데이터에 기초해 자동적으로 산출하고, 유저가 관리하는 직장에 관한 것이 선택되어 표시된다. 그 결과, 개별 직장의 관리자는 그 시점의 각 공정실적에 따라 적절하게 다음 공정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효율 좋게 생산관리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준비상황 및 생산상활 표시수단에 의한 그 표시는 부품이 모두 입하해서 준비가 갖춰진 경우는 예를들면 「○」과 같이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부품이 일부 입하해서 작업에 착수할 수 있을 경우는 예를 들면 「△」와 같이 표시하고, 부품이 완전히 입하하지 않아 작업에 착수할 수 없는 경우는 예를 들면 「×」와 같이 표시하므로써 개별 직장의 관리자는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4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5)에 기재한 효과에 따른 생산관리장치에 의한 효과에 덧붙여, 산적상황 산출수단에 의해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산적상황을 산출한다. 산출된 산적상황을 생산준비상황 및 생산관리정보와 관련지어 산적상황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한다. 그 결과 현장 관리자는 생산준비상황이 산적상황과 합쳐져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자신이 담당하는 직장의 부하산적상황에 기초해 문제에 대한 대응이 취하기 쉬워진다.
(47) 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수신입력수단은 통신회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각 공정정보를 수신한다. 즉, 예를 들면 부품 납입업자의 단말에서 통신회선을 통해 직접 상기 각 공정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문에 해당 부품의 구매를 관리하는 자재담당자가 해당 업자에게 부품마다 납기를 문의해 입력하는 것에 비해 대폭적으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 인풋 미스등에 의한 혼란을 막을 수도 있다. 또한 수신한 상기 각 공정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 산적상황을 산출한다. 이것으로 외부 납입업자의 예정이 변화된 경우에도 자재 담당자는 바로 그 자리에서 그 영향을 반영한 생산준비상황 및 산적상황을 표시수단에 의해 확인하 고, 정확한 대응을 검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품 또는 외주가공하는 업자의 단말은 통신회선을 통해 생산관리장치에 접속된다. 보통, 해당 업자에게는 부품 또는 외주가공의 발주전표와 함께 그 요구납기가 보여진다. 이 요구에 대해 업자가 대응할 수 없는 경우는 대응할 수 있는 납기를 단말에서 입력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납기연장 희망이나 납입수의 변경희망이 있었을 경우에 생산계획상 문제가 되는지의 여부를 발견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즉, 이들 변경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생산계획상 예측된 수율의 범위내이거나 공정상 여유 범위내라라면 그 후의 공정은 예정대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그렇치 않으면 후 공정의 변경이 필요하게 된다. 생산관리가 행해지는 각 직장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있는가의 여부를 바로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고, 본 발명에 의한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 산적상황 산출수단에 의해 그 영향이 재계산되어 표시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생산관리장치는 예를 들면 어떤 공정의 납기 연장에 의해 그 공정의 납기가 그것에 이어지는 공정의 착수일보다 후가 된 경우에는 그 공정의 계획바가 굵은 선으로 표시됨과 함께 공정간을 잇는 선이 역행해서 표시되므로, 각 직장의 관리자는 한눈에 문제가 있는 개소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에 현저하다. 이렇게 해서 생산상의 문제점을 효율 좋게 파악할 수 있다.
(48) 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6) 또는 (4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한 생산관리장치에 의해 생산준비상황 및 산적상황을 본 후에 생산장소등을 변경하므로써 대책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변경입력수단에 의해 변경입력을 할 수 있다. 혹은 표시된 생산관리정보중에서 어떤 생산공정을 지정해서 착수일을 변경할 수 있다. 변경입력되면 변경입력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산적상황의 산출수단은 산적상황을 산출한다. 그 결과 변경한 것에 의한 생산상황 및 산적상황의 영향정도를 미리 확인하고 나서 현실의 변경지시를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5)에서 (48)의 어딘가에 기재한 발명에 의한 생산관리장치에 따른 효과에 덧붙여, 생산자원정보 입력수단을 추가로 갖추고 있다. 또한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산자원정보도 합쳐서 상기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한다. 여기서 생산자원은 예를 들면 설비, 금속가공구등 생산에 필요한 자원을 포함한다. 생산품종에 따라서는 생산자원이 생산공정상의 결정적 수단이 될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품등의 정보도 포함해서 종합적으로 현장 관리자등이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0) 에 기재한 생산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5)에서 (49)의 어딘가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장치에 있어,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의 생산준비상항을 산출하고, 산적상황 산출수단은 상기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에서의 산적상황을 산출한다. 생산관리대상이 될 생산품종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간은 다르다. 예를 들면 상기 조사희망시부터 전후 1주간의 기간을 지정할 수도 있다. 가장 유저가 사용하기 쉽게 생산품종에 가장 적합한 기간을 미리 정하므로써 시간도 포함시켜 종합적으로 가장 적합한 대응을 검토할 수 있다.
또, (51)에서 (56)의 발명인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읽어들이게 해서 상기 (45)에서 (50)의 발명과 같은 수단을 기능시키므로써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57)의 발명인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 읽어들이게 해서 상기 (54)에서 (50)의 발명과 같은 수단을 기능시키므로써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혹은 (58)에서 (63)의 발명인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에 의해서도 같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예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 (A4) 는 통신네트워크(A2)를 통해서 단말로서의 퍼스널컴퓨터(A3)과 연결된다. 통신네트워크(A2)는 예를 들면 LAN이나 인터넷망등이지만, 정보를 송수신가능한 통신네트워크라면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서버(A4) 는 퍼스널컴퓨터(A3)과 통신네트워크(A2)를 통해 정보의 송수신을 한다.
도 2는 단말로서의 퍼스널컴퓨터(A3)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버스(A36)을 통해서 제어부(A31), 기억부(A32), 통신인터페이스부(A33), 표시부(A34) 및 입력부(A35)가 연결되고, 제어부(A31)는 퍼스널컴퓨터(A3)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A31)은 유저의 입력을 입력부(A35)에서 접수해 통신인터페이스부(A33)를 통해서 서버(A4)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3은 서버(A4)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버스(A46)를 통해서 제어부(A41), 기억부(A42), 통신인터페이스부(A43), 표시부(A44) 및 입력부(A45)가 연결되고, 제어부(A41)은 서버(A4) 전체를 제어한다. 기억부(A42)는 제품수주조건을 기억하는 제품수주조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조건을 기억하는 부품조달조건 기억영역과, 제품납입조건을 기억하는 제품납입조건 기억영역과, 부품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정보 기억영역과, 제조공정정보를 기억하는 제조공정정보 기억영역과, 제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제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발주정보를 기억하는 부품발주정보 기역영역과, 생산계획의 일부로서 제조공정 부하정보를 기억하는 제조공정 부하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기억하는 부품조달 리드타일 기억영역과, 부품조달 로트수를 기억하는 부품조달 로트수 기억영역을 포함한다.
제어부(A41)는 통신인터페이스(A43)를 통해서 퍼스널컴퓨터(A3)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기억부(A42)는 생산관리 프로그램이 기억되고, 서버(A4)는 이 프로그램을 읽 어내어 실행하므로써 상기 하드웨어와 협동해서 각종 처리를 한다. 또, 이것으로 서버(A4) 및 단말로서의 퍼스널컴퓨터(A3)는 생산관리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도 4는 제품 메이커측의 퍼스널컴퓨터(A3)의 제어부(A31)가 표시부(A34)에 표시시키는 화면표시정보의 구성중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부(A31)은 표시부(A34)에 신규 제품수주 정보로서 제품코드, 납기 및 수량에 의해 구성되는 제품수주조건의 입력란을 표시시킨다. 제품 메이커 담당자는 이 화면에 의해 고객으로부터 새로운 제품수주기회가 있었을 경우에 해당 제품의 수주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부품벤더측의 퍼스널컴퓨터(A3)의 제어부(A31)가 표시부(A34)에 표시시키는 화면표시정보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부(A31)는 표시부(A34)에 신규부품 수주정보로서 부품코드, 납기 및 수량으로 구성된 부품조달조건을 표시시킨다. 이들 부품조달조건은 부품벤더측에서 수용가능한 부품조달조건으로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제품 메이커측의 퍼스널컴퓨터(A3)의 제어부(A31)가 표시부(A34)에 표시시키는 화면표시정보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부(A31)는 표시부(A34)에 수용가능한 신규제품 수주정보로서 제품코드, 납기 및 수량으로 구성된 제품수주조건을 표시시킨다. 제품 메이커의 담당자는 이 화면을 보고 고객에 대해 수용가능한 수주조건을 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된 부품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예에서는 제품(A)을 구성하기 위해 부품(a)이 1개, 부품(b)가 25개 등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부품(a)을 구성하기 위해 부품(α)가 5개, 부품(β)가 8개 등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부품정보는 계층적인 구성정보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제조공정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예에서는 제조공정5는 전공정으로서 제조공정(1, 3)이 완료될 필요가 있고, 공정시간이 25일이고, 사용할 부품으로서 부품(a) 이 2개, 부품(c)가 10개 등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된 부품의 재고·발주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예에서는 부품(e)은 현재 재고가 100개이고, 2004년 4월 30일에 입하예정인 발주잔여수가 500개이고, 2004년 5월 10일에 입하예정인 발주잔여수가 100개 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제조공정 부하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예에서는 제조공정 5의 2004년 4월 23일의 부하상황은 능력이 200, 현재 생산계획상 부하가 180인 점에서 부하율 0.9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계된 부품조달 리드타임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예에서는 부품(b)의 발주에서 납품까지의 리드타임이 10일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된 부품의 부품조달 로트수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예에서는 부품(b)의 발주 로트수가 10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신규제품 수주기회의 수용판단 수순을 나타낸 플로도이다.
이어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동작 플로에 대해 설명한 다.
우선, 제품 메이커측의 퍼스널컴퓨터(A3)의 제어부(A31)가 입력부(A35)를 통해서 신규제품 수주정보로서 제품코드, 납기 및 수량을 취득한다(A1).
이어, 퍼스널컴퓨터(A3)의 제어부(A31)가 통신인터페이스부(A33)을 통해 해당 제품코드, 납기 및 수량을 서버(A4)에 송신한다(A2).
이어, 서버(A4)의 제어부(A41)가 통신인터페이스부(A43)을 통해서 해당 제품코드, 납기 및 수량을 수신한다(A3).
이어, 서버(A4)의 제어부(A41)가 해당 제품코드, 수량 및 납기, 제품재고정보에 기초해 제품재고의 충당이 가능한가를 판단한다(A4).
제품재고의 충당이 가능한 경우에는 제품제고를 충당한 수만큼 서버(A4)의 제어부(A41)가 희망수량을 줄인다(A5).
희망수량이 제로가 된 경우에는 서버(A4)의 제어부(A41)가 신규제품 수주정보를 그대로 최종적인 수입판단결과로서 제품코드, 납기 및 수량을 통신인터페이스부(A43)를 통해서 제품 메이커측의 퍼스널컴퓨터(A3)에 송신한다(A6).
희망수량이 제로가 되지 않은 경우는 서버(A4)의 제어부(A41)가 제품 생산을 하기 위해 하위레벨의 부품 필요수량을 산출해서 부품재고의 충당에 의한 제품 생산 가부를 판단한다(A7). 나아가 이 판단은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모든 부품에 관해 단말의 레벨까지 반복해서 행한다.
부품재고의 충당에 의한 제품 생산이 가능한 경우는 부품재고를 충당해서 생산한 수정도만큼 서버(A4)의 제어부(A41)가 희망수량을 줄인다(A8).
희망수량이 제로가 된 경우는 A6으로 나아간다.
희망수량이 제로가 되지 않은 경우는 서버(A4)의 제어부(A41)은 부품조달조건으로서 새롭게 조달이 필요한 부품의 부품코드, 수량 및 납기를 계산한다(A9). 나아가 이 계산은 제품생산에 필요한 모든 부품에 관해 단말 레벨까지 반복해서 한다. 또 이 계산은 해당 부품의 부품조달 로트수 및 부품조달 리드타임정보에 기초해 행하지만,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단축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단축해서 조달하도록 계산한다.
이어, 서버(A4)의 제어부(A41)은 부품조달조건으로서 새롭게 조달이 필요한 부품의 부품코드, 수량 및 납기를 통신인터페스이부(A43)을 통해서 부품벤더측 퍼스널컴퓨터(A3)에 송신한다(A10).
이어, 부품벤더측 퍼스널컴퓨터(A3)의 제어부(A31)가 표시부(A34)에 부품조달조건으로서 새롭게 조달이 필요한 부품의 부품코드, 수량 및 납기를 표시시킨다(A11).
이어, 부품벤더측 퍼스널컴퓨터(A3)의 제어부(A31)가 입력부(A35)를 통해 부품조달조건의 갱신정보로서 새롭게 납입이 가능한 부품의 수량 및 납기 정보를 취득한다(A12). 이 때, 부품벤더측에서는 그 때 납품가능한 부품의 수량에 기초해 규정의 부품조달 로트수에 관계없이 납품수량이 입력가능하게 된다. 또, 납기에 관해서도 대응가능한 납기에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이 스탭은 새롭게 조달이 필요한 부품을 공급할 모든 부품벤더측 퍼스널컴퓨터(A3)에서 행한다.
이어, 부품벤더측 퍼스널컴퓨터(A3)의 제어부(A31)가 통신 인터페이스부 (A33)을 통해서 부품조달조건의 갱신정보로서 새롭게 납입이 가능한 부품의 부품코드, 수량 및 납기 정보를 서버(A4)에 송신한다(A13). 이 스탭은 새롭게 조달이 필요한 부품을 공급할 모든 부품벤더의 퍼스널 컴퓨터(A3)에서 행한다.
이어, 서버(A4)의 제어부(A41)가 통신 인터페이스부(A43)를 통해서 부품조달조건의 갱신정보로서 새롭게 조달가능한 부품의 부품코드, 수량 및 납기정보를 수신한다(A14). 이 스탭은 새롭게 납입이 필요한 부품을 공급할 모든 부품벤더측 퍼스널컴퓨터(A3)로부터의 송신정보에 대해 행한다.
이어, 해당 수신된 새롭게 조달이 가능한 부품의 부품코드, 수량 및 납기정보에 기초해 제품 생산이 가능한 경우는 새롭게 부품을 조달해서 생산가능한 수정도만큼 서버(A4)의 제어부(A41)가 희망수량을 줄인다(A15).
이어, 서버(A4)의 제어부(A41)은 최종적인 신규수주 수용판단결과로서 제품코드, 납기 및 수량을 통신 인터페이스부(A43)를 통해서 제품 메이커측 퍼스널컴퓨터(A3)에 송신한다(A16).
이어, 제품 메이커측 퍼스널컴퓨터(A3)의 제어부(A31)가 통신 인터페이스부(A33)를 통해서 제품코드, 납기 및 수량을 송신한다(A17).
이어, 제품 메이커측 퍼스널컴퓨터(A3)의 제어부(A31)가 표시부에 신규수주 수용판단결과로서 제품코드, 납기 및 수량을 표시한다(A18).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예로써,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은 본 발명에 관계된 착수가부 정보제공 시스템으로서의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버스(B15)를 통해서 제어부(B11), 기억부(B12), 표시부(B14) 및 입력부(B13)이 연결되고, 제어부(B11)는 컴퓨터(B1)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B11)는 유저의 입력을 입력부(B13)에서 접수해 필요에 따라 표시부(B14)에 정보를 송신한다. 기억부(B12)는 작업정보, 자원상태정보 그 외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한다. 기억부(B12)에는 착수가부 정보산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고, 컴퓨터(B1)은 이 프로그램을 독출해서 실행하므로써, 상기 하드웨어와 협동해서 각종 처리를 한다. 또, 이 것으로 컴퓨터(B1)는 착수가부 정보제공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도 15 내지 도 17 컴퓨터(B1)의 제어부(B11)가 표시부(B14)에 표시시키는 화면표시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자원상태정보 입력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B11)는 표시부(B14)에 원재료, 구성설비, 인원등 자원으로 구성된 자원상태정보의 입력란을 표시시킨다. 제조부문의 책임자는 이 화면에서 이들 자원상태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자원상태정보는 입력을 하는 것이 아닌 생산계획 시스템등 다른 시스템에 의해 설정을 해도 좋다.
도 15는 자원상태정보에 포함된 자원중 원재료 입력화면의 예이다. 도면중 각 원료명의 오른쪽 수량란에 현재의 각 원재료의 자원단위의 수치를 입력한다. 이것으로 자원상태정보의 각 원료의 자원단위의 입력이 접수된다.
도 16은 자원상태정보에 포함되는 자원중 기계설비의 입력화면 예이다. 도면 중 각 기계설비명의 오른쪽 상태란에 각 기계설비의 현재 상태를 입력한다.
도 17은 자원정보에 포함되는 자원중 인원의 입력화면 예이다. 도면중 각 인원명의 오른쪽 인수 란에 각 인원의 현재 인수를 입력한다.
도 18은 성과물 정보의 입력화면 예이다. 제어부(B11)는 표시부(B14)에 어떤 작업의 완료에 의해 얻어진 성과물명 및 성과물 단위로 구성되는 성과물 정보의 입력란을 표시시킨다. 도면중 작업명의 하나 오른쪽의 성과물명란에 각 작업에 의해 얻어진 성과물명을, 또 하나 오른쪽의 성과물 단위란에 각 작업에 의해 얻어진 성과물 수량을 입력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자원요구정보의 입력화면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B11)는 표시부(B14)에 어떤 작업의 작업명 및 원재료, 기계설비, 인원등 자원으로 구성된 자원요구정보의 입력란을 표시시킨다. 제조부문의 책임자는 이 화면에서 이 작업의 착수에 필요한 자원요구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자원요구정보는 입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계획 시스템등 다른 시스템에 의해 설정을 해도 좋다.
도 19는 자원요구정보에 포함된 자원중 원재료의 입력화면 예이다. 도면중 각 작업명과 원재료명을 가진 표에 각각의 자원단위의 수치를 입력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의 자원요구정보인 각 원료의 자원단위의 입력이 접수된다.
도 20은 자원요구정보에 포함되는 자원중 기계설비의 입력화면 예이다. 도면중 각 작업명과 각 기계설비명으로 된 표에 각 작업이 요구하는 기계설비를 입력한다.
도 21은 자원요구정보에 포함되는 자원중 인원의 입력화면 예이다. 도면중 각 작업명과 각 인원명으로 된 표에 각 작업이 필요로 하는 인원인수를 입력한다.
도 22는 착수가부정보 표시화면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B11)는 표시부(B14)에 어떤 작업의 전부 착수가, 부분 착수가 또는 착수불가를 나타낸 착수가부정보를 표시시킨다. 제조부문 책임자는 이 화면에서 어떤 작업의 착수가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은 착수지시정보 입력화면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B11)는 표시부(B14)에 어떤 작업의 미착수, 부분착수 또는 전부 착수의 다른 및 해당 착수된 작업 완료에 의해 얻어질 성과물 단위를 나타내는 착수지시정보의 입력란을 표시시킨다. 제조부문의 책임자는 이 양면에서 해당 작업의 착수지시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4는 작업완료정보 입력화면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B11)는 표시부(B14)에 어떤 작업의 미완료, 부분완료 또는 전부완료의 다른 및 해당 완료에 의해 실제로 얻어진 성과물 단위를 나타내는 작업완료정보의 입력란을 표시시킨다. 제조부문 책임자는 이 화면에서 실적정보로서 해당 작업의 작업완료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5는 작업평준화 정보입력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면중 「평준화 계획성과물 수량」이란 평준화 계획을 세운 제조부문의 책임자가 계획하는 성과물의 성과물 단위를 말하고, 작업 평준화 정보를 구성한다. 또, 「성과물 수량」의 예는 상단의 각 날짜에 대응하는 날마다의 성과물의 성과물 단위의 것을 나타낸다.
도 26은 착수실적 확인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면중 「작업계획 성과물 수 량」이란 작업계획에 기초해 산출된 어떤 기간에 이루어야 할 모든 작업에서 얻어질 성과물 단위의 수량의 총계를 나타낸다. 「착수성과물 수량」이란 어떤 날에 착수지시를 내린 모든 작업에서 얻어진 성과물의 수량의 총계를 나타낸다. 본 화면에는 착수성과물 수량과 작업평준화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고, 제조부문 책임자는 이들 정보를 대비하면서 그 날에 이루어야 할 작업량의 결정을 할 수 있다.
도 27은 완료실적 확인화면의 하나의 예이다. 도면중 「완료성과물 수량」이란 어떤 기간에서 완료된 모든 작업에서 얻어진 성과물의 수량의 총계를 나타내고, 「미완료 성과물 수량」이란 착수지시를 내린 것 중 아직 완료하지 않은 작업에 대응하는 성과물의 수량의 총계이다. 본 화면에는 완료성과물 수량과 미완료 성과물 단위수가 동시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제조부문의 책임자는 실제로 완료된 작업과 착수중인 작업 상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28c는 착수가부정보의 산출수단을 나타낸 플로도이다.
이어, 도 28a 내지 도 28c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동작 플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컴퓨터(B1)의 제어부(B11)가 입력부(B13)를 통해 작업정보를 취득한다(B1스텝). 이어 컴퓨터(B1)의 제어부(B11)가 입력부(B13)를 통해 자원상태정보를 취득한다(B2스텝). 이어, 컴퓨터(B1)의 제어부(B11)가 자원요구정보 및 자원상태정보에 기초해 어떤 작업의 착수에 필요하게 된 모든 자원에 대해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와 같은가 혹은 이것을 상회하는가에 따라서 상기 어떤 작업은 전부 착수가 가능한가를 판정한다(B3스텝). 전부 착수가 가능한 경 우에는 B5로 진행한다. 그 이외의 경우는 상기 어떤 작업의 착수에 필요하게 될 모든 자원에 대해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상기 어떤 작업의 성과물에 대해 적어도 1단위분 착수하는데 필요한 자원단위와 같은가 또는 이것을 상회하는가를 판단하므로써 부분착수가 가능한가를 판정한다(B4스텝). 이어 이들 판정결과를 상기 어떤 작업의 착수가부 판정결과로서 표시부(B14)에 표시시킨다(B5스텝). 또한 컴퓨터(B1)의 제어부(B11)가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이 있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B6스텝).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컴퓨터(B1)의 제어부(B11)가 입력부(B13)를 통해서 착수지시정보를 취득하고(B7스텝), 이어 해당 입력이 있었던 작업의 착수에 필요한 자원단위를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에서 감산하며(B8스텝), 그 후 B3스텝으로 되돌아 간다.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이 없었던 경우에는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이 있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B9스텝).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컴퓨터(1)의 제어부(B11)가 입력부(B13)를 통해서 작업완료정보를 취득하고(B10스텝), 이어 해당 입력이 있었던 작업의 완료에 의해 얻어진 성과물의 성과물 단위를 대응하는 자원의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에 가산하며(B11스텝), 그 후 B3스텝으로 되돌아 간다.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이 없었던 경우에는 종료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예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컴퓨터는 주된 구성요소로서 데이터베이스와 기억부를 갖춘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테이블을 가진다. 또, 기억부는 기억영역을 포함 하고, 기억영역은 복수의 테이블과 테이블영역과 추가항목영역과 항목관계정보와 추가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한다.
또, 테이블 선택정보는 상기 복수의 테이불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의 선택상태를 나타낸다. 이것으로 유저가 선택한 테이블이 특정된다. 추가항목정보는 유저에 의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추가될 새로운 항목을 나타낸다. 항목관계정보는 복수의 항목간 종속관계를 나타낸다. 추가데이터는 새로운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될 데이터이다.
또, 상기 컴퓨터는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접수 수단과, 추가항목 정보입력 접수수단과, 항목관계 정보입력 접수수단과, 추가데이터 입력접수수단 및/또는 데이터입력 접수수단과, 데이터대입수단을 갖춘다.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접수수단은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추가항목 정보입력 접수수단은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대해 유저에 의한 새로운 항목의 추가를 접수한다. 항목관계정보 입력접수수단은 유저에 의한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추가데이터 입력접수수단은 유저에 의한 추가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데이터 대입수단은 항목관계정보 및 상기 추가데이터에 기초해 새로운 항목에 추가 데이터를 대입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생산관리 시스템에 응용된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로서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과 같이 생산관리 시스템 이외의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29는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 시스템으로서의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버스(C15)를 통해서 제어부(C11), 기억부(C12), 표시부(C14) 및 입력부(C13)가 연결되고, 제어부(C11)는 컴퓨터(C1)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C11)는 유저의 입력을 입력부(C13)에서 접수해 필요에 따라 표시부에 정보를 송신한다. 기억부(C12)는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테이블, 테이블 선택정보, 항목관계정보 그 외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기억부(C12)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프로그램이 기억되고, 컴퓨터(C1)는 이 프로그램을 독출해 실행하므로써, 상기 하드웨어와 협동해서 각종 처리를 한다. 또, 이것으로 컴퓨터(C1)는 생산관리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도 30 내지 도 37은 컴퓨터(1)의 제어부(C11)가 표시부(C14)에 표시시키는 화면표시정보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화면 예이다. 유저는 항목을 추가하고 싶은 테이블을 이 화면에서 선택하고, 그 테이블명의 왼쪽의 첵크박스를 첵크한다. 이것으로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이 접수된다. 테이블 선택정보는 복수의 테이블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의 선택상태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아이템 마스터와 전표 테이블의 두가지 테이블이 선택된다.
도 31은 추가항목 정보입력화면의 예이다. 유저는 이 화면에서 라디오버튼의 선택에 의해 항목의 형태를 선택하고, 필드명, 사이즈, 항목명 및 디폴트치를 입력한다. 이것으로 유저에 의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추가될 새로운 항목을 나타내는 추가항목 정보가 입력되고, 새로운 항목의 추가가 접수된다. 이 예에서는 항목의 형태는 「문자항목」이 선택되고, 필드명은 「COLOR」, 사이즈는 「10」, 항목명은 「색」으로 입력된다.
도 32는 항목관계정보 입력화면의 예이다. 여기서 항목관계정보는 유저에 의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추가될 새로운 항목을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간 종속관계를 나타낸다. 이 화면에서 필드명란에 종속관계를 가지게하는 항목의 필드명을 입력하고, 적용버튼을 누른다. 이것으로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이 접수된다. 이 예에서는 화면중 화살표의 방향이 종속관계의 방향을 나타낸다. 즉, 화살표로 접속된 테이블끼리의 추가된 항목은 좌측이 「주」이고, 우측이 「종」인 종속관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아이템 마스터와 전표 테이블의 항목 「색」(필드명 「COLOR」)는 아이템 마스터의 항목 「색」이 「주」이고, 전표 테이블의 항목 「색」이 「종」인 종속관계를 가지게 된다. 또한, 이 화살표의 접속은 반드시 인접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면의 아이템 마스터와 실적 테이블의 항목에 대해서도 종속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이외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드래그 & 드랍등 마우스 조작에 의해 임의의 테이블간을 화살표로 연결(도시하지 않음) 하므로써, 테이블간의 종속관계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입력된 테이블간 종속관계가 해당 테이블에 속하는 항목간 항목관계정보에 반영되게 된다.
도 33은 추가데이터 입력화면의 예이다. 추가데이터는 새로운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다. 유저는 이 화면에서 테이블명란을 선택하므로써 추가 데이터를 입력할 테이블을 선택하고, 추가된 항목란에 데이터를 입력하며, 입력완료 버튼을 누른다. 이것으로 추가 데이터의 입력이 접수된다. 이 예에서는 항목명「색」 에 대해 「아이템 코드」가 「A」인 부품에 「적」이, 「A1」에 「백」이, 「A2」에 「흑」이, 「B」에 「황색」이 입력되고, 「B1」에 대해서의 입력대기 상태가 된다.
도 34는 는 테이블 표시화면의 예이다. 도 33의 추가데이터 입력화면에 의해 추가된 항목에 유저가 행한 데이터 입력은 종속관계가 있는 다른 테이블 항목에도 반영된다. 이 예에서는 도 33의 아이템 마스터의 「아이템 코드」「B」의 항목명 「색」으로의 「황색」의 입력이, 도 34의 전표 테이블의 「전표번호항목」「0003」의 항목명 「색」이 「황색」으로서 반영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5는 데이터 갱신화면의 예이다. 유저는 이미 입력된 항목의 데이터를 겹쳐쓰기해서 입력하고, 갱신버튼을 누르므로써 데이터를 갱신한다. 이것으로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된 데이터의 갱신이 접수된다. 또, 접수된 갱신은 종속관계에 있는 다른 테이블중 추가된 항목에 반영된다. 이 예에서는 도면중 테이블의 항목명 「아이템 코드」가 「B」인 부품의 항목명 「색」데이터 「황색」을 「청」으로 변경하는 입력이 유저에 의해 이뤄진다. 상술과 같이 아이템 마스터의 항목 「색」이 전표 테이블 항목「색」에 대입된다는 종속관계를 가지므로, 이 후 갱신버튼을 누르므로써 이 변경이 이 항목과 종속관계에 있는, 다른 테이블의 항목에 자동적으로 반영되게 된다.
도 36은 테이블 표시화면이 다른 예이다. 도 35 의 데이터 갱신화면에 의해 추가된 항목에 유저가 한 데이터의 갱신은 종속관계가 있는 다른 테이블의 항목에도 반영된다. 이 예에서는 도 35의 아이템 마스터의 「아이템 코드」「B」의 항목 명 「색」을 「청」으로 하는 갱신이 도 35의 전표 테이블의 「전표번호항목」「0003」의 항목명 「색」이 「청」이 되어 반영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7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항목관계정보 입력화면의 예이다. 유저는 이 화면에서 연산에 사용되는 항목을 포함한 테이블명, 연산에 사용되는 항목명, 연산자, 연산결과를 격납하는 테이블명 및 항목명을 입력하고, 적용버튼을 누른다. 이것으로 그 종속관계를 나타낸 적어도 상기 새로운 항목을 포함해 구성되는 수식을 포함하는,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이 접수된다. 이 예에서는 도면중 항목 1 및 항목2가 항목 3에 대해서 「주」이고, 항목 3 이 항목 1 및 항목 2 에 대해 「종」인 종속관계를 가진다. 예를 들면, 아이템 마스터의 항목 「COLOR」와 전표 테이블 항목 「COLOR」은 아이템 마스터의 항목 「COLOR」가 「주」이고, 전표 테이블의 항목 「COLOR」가 「종」인 종속관계를 가지게 된다. 또, 아이템 마스터의 항목 「단위」 및 실적테이블의 「수량」이 실적테이블의 「중량」에 대해 「주」이고, 실적 테이블의 「중량」이 아이템 마스터의 항목 「단종」 및 실적테이블의 「수량」에 대해 「종」인 종속관계를 가지게 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예들 들면 「주」인 아이템 마스터의 「단종」의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이 갱신은 「종」인 실적 테이블의 「중량」에 반영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단종」 및 「수량」은 기존 항목이고, 「중량」이 새롭게 추가된 항목인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존 항목인가 새로운 항목인가에 관계없이 임의 항목에 대해 항목관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에 기초해 생산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고, 추가 데이터를 대입하는 수순을 나타낸 플로의 일예이다. 우선,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입력부(C13)를 통해서 테이블 선택정보를 취득한다(C1). 이어,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입력부(C13)를 통해 추가항목정보를 취득한다(C2). 이어,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입력부(C13)를 통해서 추가 데이터를 취득한다(C3). 이어,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추가된 새로운 항목에 추가 데이터를 대입한다(C5). 여기까지의 스탭에서 추가항목정보에 기초해 새로운 항목에 추가 데이터가 대입된다.
도 39는 본 발명에 기초해 생산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데이터를 대입하는 수순을 나타낸 플로의 일예이다. 우선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입력부(C13)를 통해서 항목관계정보를 취득한다(C6). 이어,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입력부(C13)를 통해서 데이터를 취득한다(C7). 이어,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복수의 항목에 데이터를 대입한다(C8). 여기까지의 스탭에서 새롭게 추가된 항목이 지정된 테이블에 추가되고, 또한 항목간 종속관계에 기초해 데이터가 대입된다.
도 40은 본 발명에 기초해 생산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항목관게정보에 기초해 추가된 항목 및/또는 기존 항목에 추가 데이터를 대입하는 수순을 보인 플로의 일예이다. 우선,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입력부(C13)를 통해서 데이블 선택정보를 취득한다(C9). 이어,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입력부(C13)를 통해서 추가항목정보를 취득한다(C10). 이어,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입력부(C13)를 통해서 항목관계정보를 취득한다(C11). 이어, 컴퓨터(C1)의 제어부(C11)이 입력 부(C13)를 통해서 추가 데이터를 취득한다(C12). 이어,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추가 항목정보에 기초해 선택된 테이블에 새로운 항목을 추가한다(C13). 이어,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추가된 새로운 항목을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 항목에 추가 데이터를 대입한다(C14). 여기까지의 스탭에서 새롭게 추가된 항목이 선택된 테이블에 추가되고, 항목간 종속관계에 기초해 데이터가 대입된다.
도 41은 생산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의 항목 데이터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의 수순을 보인 플로이다.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입력부(C13)를 통해서 테이블의 데이터 갱신을 접수하면(C15),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데이터의 갱신이 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C16). 추가된 항목중 임의 항목의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에는 컴퓨터(C1)의 제어부(C11)가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복수 항목에 갱신된 데이터를 대입해서(C17) 그 후 종료한다. 데이터의 갱신이 없었던 경우에는 종료한다.
이렇게 항목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에는 관계하는 모든 테이블의 항목 데이터가 갱신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예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2는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D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생산관리장치는 컴퓨터를 이용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스(D15) 를 통해 제어수단(D11), 기억수단(D12), 표시수단(D14) 및 입력접수수단(D13)이 연결되고, 제어수단(D11)은 생산관리장치 전체를 제어하고, 예를 들면 기억수단(D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독출해서 실행하므로써, 상기 하드웨어와 협동해서 후술하는 각종 수단을 실현하고 있다.
제어수단(D11)에는 입력된 CAD 데이터로부터 설계부품표 및 생산부품표를 작성하는 부품표 작성수단(D112)와, 작성된 생산부품표에 기초해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부품을 산출하는 발주부품 산출수단(D113)과, 변경된 설계도면의 CAD 데이터로부터 변경부품표 작성수단(D114)과, 작성된 변경설계 부품표에 포함될 부품과 기억수단(D12)에 기억된 발주부품을 대비해서 취소부품과 추가발주부품을 수량을 포함시켜 산출하는 변경부품 산출수단(D116)과, 표시된 취소부품의 캔슬가부를 취득하는 취득수단(D117)과, 캔슬가능한 부품의 취소전표와 추가발주부품의 전표를 발행하는 전표발행수단(D118)이 포함된다.
기억수단(D12)은 하드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에서 실현할 수 있고, 발주된 부품정보, 그 외 생산관리장치로서 필요한 정보를 기억한다. 입력접수수단(D13)은 키보드, 스캐너 또는 통신회선을 이용한 입력접수수단(예를 들면 LAN)등으로 실현할 수 있다. 표시수단은 액정 디스플레이, 브라운관 CRT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D1)의 개념적인 동작을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도 43에서 도 52는 생산관리장치(D1)에서 표시수단(D14)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을 나타낸다.
일품생산품에서도 통상 기본설계가 행해진다. 기본설계는 생산하려고 하는 구성 또는 설비의 기본적인 수단, 구조에 대해 행해진다. 또, 기본설계와 함께 발주에서 납입에 이르는데 긴 납기가 필요한, 소위 장납기부품, 장납기재료의 선정이 행해진다. 기본설계가 완료하면 그 CAD 데이터를 입력접수수단(D13)으로 생산관리장치(D1)에 입력한다(D110). 입력된 CAD 데이터로 설계부품표가 작성되고(D120), 설계부품표에서 생산조건을 취입한 생산부품표가 작성된다(D130).
도 44는 CAD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설계부품구성, 생산부품구성, 생산부품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계부품구성과 생산부품구성은 관계를 그래픽컬하게 표시수단(D14)에 의해 표시하므로써, 부품과 유닛의 관계를 확실하게 한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계부품구성과 생산부품구성에서는 생산의 형편상 다른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설계부품구성에서는 부품(V)는 C1유닛에 속하지만, 생산부품구성에서는 부품(V)는 C2 유닛에 속한다. 도 3D 의 하부에는 생산부품표의 일예를 나타낸다.
다음 처리에서는 최초의 처리이므로 변경 「없음」 처리가 행해진다(D140). 변경「없음」이면, 생산부품표에서 수배전표발행의 과정(D1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D 는 새로운 제조번호를 최초로 입력할 경우의 입력화면이다. 도 45와 같이 예를 들면 생산부품표에 있는 아이템 코드「C」, 제조번호「SEI01」, 수량「1」, 완성예정일「20050223」을 입력한다. 확인후 실행버튼을 클릭하면 도 4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수배부품 일람표(취입전)가 표시된다. 이 화면을 확인해서 문제없는 경우는 사용자가 다른 버튼(도시않음)을 클릭하므로써 도 47와 같은 화면이 표시수단 (D14)에 표시된다. 도 47에서는 상태가 「0」에서 「1」로 변하므로써 제조번호「SEI01」로 취입됨을 알 수 있다.
제조번호「SEI01」로 취입되면, 이어 수배끝난 제품의 유무가 조사되고(D160), 최초로 「없음」이므로 생산관리장치(D1)의 선행부품수배(D210)이 행해지며, 기억수단(D12)에 제조번호「SEI01」에 관련지어 수배부품정보가 기억된다(D220).
이어, 상세설계가 완성하면, CAD 데이터가 기본설계의 경우와 같이 입력된다(D110). 입력된 CAD 데이터는 기본설계의 경우와 같이 처리된다(D120, D130). 그 후는 변경이 아니므로(D140), 생산부품표에서 수배부품의 취입(D150)이 행해진다, 그 후 동일 제조번호로 수배끝난 부품의 유무가 첵크되고(D160), 「있음」이므로 추가부품수배(D310)이 행해지며, 그 수배부품정보가 기억수단(D12)에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기억된다(D320). 어떤 변경이 없으면 이 처리에 의해 이 제조번호의 생산관리는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이유로 사양 또는 설계가 변경된다. 변경될 사태가 발생하면, 변경설계가 행해진다. 변경설계가 완료하면, 입력접수수단(D13)에 의해 CAD 데이터가 입력된다(D110). 상기와 같이 CAD 데이터로부터 설계부품표가 만들어지고(D120), 설계부품표에서 생산부품표가 만들어지며(D130),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경생산 부품표가 작성된다. 도번C1인 서브유닛(C1)에서 변경전(도 44)에서는 하위 번호가 「V」였던 것이 도 48의 예에서는 「V2」로 되어 있다.
이어 변경 있음이므로(D140), 추가부품, 불필요 부품의 처리가 행해진다(D410). 도 49와 같이 변경의 반영화면이 표시수단(D14)에 표시된다.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배부품 일람표(변경후)가 표시수단(D140)에 표시된다. 도 50의 예에서는 하위 번호 5의 부품(V)가 불필요하게 된 것을 스탭에서 「9」로 표시하므로써, 또, 하위번호 7의 부품(V2)이 추가로 수배가 필요한 부품인 것이 상태 「0」으로 표시하므로써 확실하게 된다. 즉, 생산관리장치(D1)이 기억수단(D12)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해 자동적으로 검색이 이루어져 불필요 부품과 추가부품이 표시수단(D14)에 표시된다.
하위번호 5의 불필요부품에 대해 변경된 불필요 부품의 캔슬가부의 정보를 취득수단(D117)로부터 취득한다(D430). 조사결과 캔슬이 불가하면 해당 부품이 그 외에 유용가능한가의 여부를 조사한다(D435). 조사결과 캔슬이 가능하면, 도 51와 같이 하위번호 5의 상태를 「7」로 변경한다. 취소가 불가하고 유용가능하면 제조번호 해제가 이뤄지고, 도 52와 같이 하위번호 5의 상태를 「8」로 변경한다. 또, 취소가 불가하고 그 외에 유용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하위번호 5 의 상태를 「6」으로 변경한다(도시않음).
상기 처리가 이루어진 후 하위번호5의 불필요부품(V)에 대해 상태의 각각의 정보에 의해 취소수배(D440), 재고처리(D450), 폐기처리(D460)가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전표가 전표발행수단(D118)에 의해 발행되고, 그 정보가 기억수단(D12)에 기억된다.
하위번호 7의 추가부품에 대해 상태 「0」의 하위번호 7의 부품(V2)은 추가 부품수배(D420)가 이루어진다. 즉, 전표발행수단(D118)에 의해 발주전표가 발행되고, 그 정보가 기억수단(D12)에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기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생산관리장치(1)에 의해 고객으로부터의 변경등이 있었을 경우도 신속하게 변경된 내용에 대응된 조치를 확실하게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변경에 대한 비용의 상승, 완성이 지연되는 등의 불합리함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일품생산품에서도 변경부품의 취소, 추가발주, 또는 재고등의 처리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변경비용에 수반하는 견적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종업원의 모럴이 향상한다. 또, 소위 무계획적으로 돈을 지불했던 경우에 비해 폐기할 부품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품 폐기에 의한 환경파손도 막을 수 있다.
이상의 예는 생산관리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컴퓨터에 생산관리장치에서 설명한 수단을 갖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인스톨해서 그 컴퓨터를 수단으로 기능시키므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그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 읽어 들이게 하고,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인스톨해서 그 컴퓨터를 수단으로 기능시키므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생산관리장치와 동등한 성능을 가지는 컴퓨터에 동등 수단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스톨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므로써 실현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가지고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한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이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로부터 확실히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산관리장치는 컴퓨터의 예로 설명했지만, CPU 대신에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채용한 시스템도 좋다. 또, 조로 일품생산의 관리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일품생산뿐 아니라 소량 또는 중규모 생산관리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예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3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E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생산관리장치는 컴퓨터를 이용해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스(E15)를 통해서 제어수단(E11), 기억수단(E12), 표시수단(E14) 및 입력수단(E13)이 연결되고, 제어수단(E11)은 생산관리장치 전체를 제어하며, 예를 들면 기억수단(E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독출해서 실행하므로써 상기 하드웨어와 협동해서 후술할 각종 수단을 실현한다.
제어수단(E11)에는 MRP 생산관리수단(E111)이 포함된다. MRP 생산관리수단(E111)에는 재고데이터 갱신수단(E112)와 소요량 계산수단(E114)가 포함된다. MRP 생산관리수단(E111)은 예를 들면 주식회사 티픽스 연구소제인 TPiCS-X의 f-MRP 기 능을 도입하므로써 실현할 수 있다.
기억수단(E12)은 하드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에서 실현할 수 있고, 발주한 부품정보, 그 외 생산관리방법으로서 필요한 정보를 기억한다. 입력수단(E13)은 키보드, 스캐너, 또는 통신회선을 이용한 입력접수수단(예를 들면 LAN)등으로 실현할 수 있다. 표시수단(E14)은 액정디스플레이, 브라운관 CRT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54는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E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55는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E1)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또, 도 56은 생산관리장치(E1)의 표시수단(E14)에 표시된 화면이다. 이 화면을 조작자는 보고 실적치 입력수단(E132)에 의해 실적치를 입력하며, 가공재고치 입력수단(E134)에 의해 가공재고를 입력하고 그 결과를 화면상에서 확인하다.
MRP 생산관리수단(E111)을 이용한 생산관리장치(E1)에서는 도 54 내지 도 56에 일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공정마다의 생산계획에 대해 실적치와 가공재고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떤 제품은 재료X보다 1차 A1, 2차 A2의 공정을 거쳐 최종공정 A3과 같이 제작된다. 그 생산계획은 재료상태에서는 130개분이지만, 수율이 있으므로 계획상은 1차 A1의 공정에서는 120개, 2차 A2의 공정에서는 110개, 최종공정 A3에서는 100개로 한다.
예를 들면, 도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지시번호 WW00123으로 1차공정 A1이 완료했다(E110). 그 때 1차공정 A1의 실적치가 118개였다. 종래는 실적치로서 118을 입력하면 다음 소요량 계획에서 입력된 실적치에 기초해 부품표와 재고정보 로부터 발주해야 할 자재량과 발주시기가 산출되었다. 이 경우에 현장 책임자가 과거 실적등으로 다음 2차 A2 또는 최종 A3의 공정에서 파악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도 계획상의 값과 실적치에 의해 계산되고, 계획에 대해 부족한 분의 전표가 발행되게 된다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생산관리장치에서는 도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재고치를 입력하는 란을 실적치를 넣는 란에 더해 만들고 있다. 1차 A1 공정 종료후 실적치 118을 넣는다(E120). 현장 책임자가 과거 실적등에 의해 후 공정에서 파악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E130) 가공재고치 2가 입력된다(E140). 만회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가공재고치의 입력을 하지 않는다. 물론, 일부 만회가능하다고 생각해서 가공재고치1을 입력해도 좋다. 입력하면 실적치 입력수단(E132)에 의해 생산관리장치(E1)에 입력되고, 표시수단(E14)에 의해 도 56과 같이 실적치 118로 표시된다(E150). 또, 가공재고치 입력수단(E134)에 의해 생산관리장치(E1)에 입력되고, 표시수단(E14)에 의해 도 56과 같이 가공재고 2로 표시된다(E150). 또, 가공재고치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는 도 56의 가공재고란은 공란으로 표시된다. 표시된 입력치를 보고, 올바른 경우는 도 56의 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터는 재고데이터 갱신수단(E112)에 취입된다. 캔슬 버튼을 클릭하면 실적치와 가공재고란이 공란이 되어 실적치 입력(E120)으로 되돌아 간다. 물론 본 화면의 표시를 종료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입력된 실적치에 의해 재고 데이터 갱신수단(E112)으로 MRP 생산관리용 재고데이터가 갱신된다(E170). 또한 소요량 계산수단(E114)에 의해 MRP 생산관리용 소 요량이 갱신된 재고 데이터와 가공재고치 2에 의해 계산된다(E185). 그 후 부족부품의 있고 없음이 검증되고(E190), 그 결과 계획상의 수량인 120과 동일하므로 부족분은 0이 되어 추가 전표가 발행되는 일이 없어진다.
한편, 현장 책임자가 만회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등 가공재고치의 입력이 불필요한 경우는 입력된 실적치에 의해 재고 데이터 갱신수단(E112)으로 MRP 생산관리용 제고 데이터가 갱신된다(E170). 또한, 소요량 갱신수단(E114)에 의해 MRP 생산관리용 소요량이 갱신된 재고 데이터로 계산된다(E180). 그 결과, 도 56의 예에서는 계획상 수량 120에 대해 갱신된 재고 데이터도 118이므로 부족분은 2가되어 2개분의 추가 전표가 발행된다.
이상의 처리가 끝나면 다음 공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준비가 된다(E200). 도 54의 예와 같이 현장 책임자의 예상대로이면 다음 2차 A2의 공정에서 실적치로서 110을 입력하게 된다. 다음 최종 A3의 공정에서도 계획대로라면 실적치100을 입력하게 된다.
그 결과, 실정에 맞는 MRP 생산관리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고, 생산관리를 알맞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예는 생산관리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컴퓨터에 생산관리장치에서 설명한 수단을 가진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인스톨해서 그 컴퓨터를 수단으로 기능시키므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그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 읽어 들이게 하고,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인스톨해서 그 컴퓨터를 수단으 로 기능시키므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생산관리장치와 같은 성능을 가진 컴퓨터에 동등 수단을 가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스톨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므로써 실현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가지고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한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는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이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로부터 확실하다. 예를 들면 생사관리장치는 컴퓨터의 예로 설명했지만, CPU 대신에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채용한 시스템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예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7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F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생산관리장치(F1)는 컴퓨터를 이용해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스(F15)를 통해 제어수단(F11), 기억수단(F12), 표시수단(F14), 입력수단(F13) 및 수신입력수단(F16)이 연결되고, 제어수단(F11)은 생산관리장치 전체를 제어하며, 예를 들면 기억수단(F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독출해서 실행하므로써 상기 하드웨어와 협동해서 후술할 각종 수단을 실현하고 있다. 또, 수신입력수단(F16)은 통신회선(F18)을 통해 단말(F20)에 접속된다.
제어수단(F11)은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F112)와 산적상황 산출수단(F114)가 포함된다. 입력수단(F13)에는 각 공정 정보입력 수단(F132)와 변경입력수단(F134)가 포함된다. 또, 표시수단(F14)에는 생산준비상황 표시수단(F142), 산적상황 표시수단(F144)가 포함된다.
기억수단(F12)은 하드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로 실현할 수 있고, 발주된 부품정보, 그 외 생산관리장치로서 필요한 정보를 기억한다. 입력수단(F13)은 키보드, 스캐너 또는 통신회선을 이용한 입력접수수단(예를 들면 LAN)등으로 실현할 수 있다. 표시수단(F14)는 액정 디스플레이, 브라운관 CRT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 수신입력수단(F16)은 통신용 모뎀이나 TA, 루터등 통신용 하드웨어 및 관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통신회선(F18)은 일반 공중회선이나 인터넷에 의한 것일 수 있고, 단말(F20)은 퍼스널 컴퓨터등에 의해 실현가능하다.
도 58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F1)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도 59는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F1)의 건 챠트방식에 의한 일예를 생산준비상황 표시수단(F142), 산적상황 표시수단(F144)에 의해 표시된 도면이다.
도 60은 본 발명에 관계된 생산관리장치(F1)의 표시장치(F14)에 표시될 생산관리정보 명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생산관리정보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조번호, 제품구성표, 사용할 하위부품의 재고·생산장소·발주처·완성예정등이다. 또, 생산준비상황이란 각 공정에 생산준비가 갖추어져 있는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이다. 또, 산적상황이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날마다의 각 제조과에서의 작업예정량의 총합이다. 혹은 산적상황은 알기쉽게 하기 위해 같은 날에 작업해야 할 공정의 수를 수자로 나타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생산관리장치(F1)의 동작,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생산계획에 대해 생산관리정보가 미리 입력수단(F13)에 의해 입력된다. 생산관리정보는 생산할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복수의 제조번호, 그 제조번호에 관련한 부품구성·부품명칭·수량, 부품의 생산 장소명, 각 부품 또는 각 공정의 완성예정등이다. 이어, 각 공정 정보입력 수단(F132)에 의해 생산관리하고 있는 자재 또는 부품에 관해서의 입하 또는 완성의, 예정 또는 실적을 포함한 각 공정정보를 입력한다(F110). 또, 수신입력수단(F16)에 의해 통신회선(F18)을 통해 업자의 단말(F20)에서 직접 입력되어도 좋다. 그리고 이들 정보를 기억수단(F12)에 의해 기억한다(F120). 각 공정정보는 정보가 입수될때마다 또는 일정 기간마다 모아 각 공정정보 입력수단(F132)에 의해 입력되고 기억수단(F12)에 생산계획에 관련지어 기억된다.
조사희망시를 입력수단(F13)에 의해 입력한다(F130). 당연히 조사희망시를 입력하는 대신에 생산관리장치(F1)에 시계기능을 갖게 하고, 현재시각이 입력된 것으로 해서 이하의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또, 생산관리를 할 대상 품종에도 따르지만 시 대신에 날이어도 좋다.
조사희망시가 입력되면, 생상준비상황 산출수단(F112)에 의해 기억수단(F12)에 기억된 각 공정정보와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 출한다(F140). 이어, 생산준비상황 표시수단(F142)에 의해 산출된 생산준비상황 및 산출관리정보를 표시한다(F150). 이 때 산적상황 산출수단(F114)에 의해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산적상황을 산출하고(F160), 산적상황 표시수단(F144)에 의해 산적상황을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와 관련지어 일시의 축등을 합쳐서 표시하는(F162) 것이 바람직하다.
도 59에 생산준비상황 및 산적정보를 건 챠트방식으로 표시한 일예를 나타낸다. 도 59에서는 제조번호, 하위번호, 부품 또는 공정의 명칭, 완성예정, 수량, 생산장소, 주번(注番) 등 생산관리정보가 보여짐과 함께 각 부품 또는 공정의 전표발행일, 작업일정이 표시되고 있다. 해당하는 전표발행일은 프레임중 재색의 사각으로, 작업일정은 옅은 재색의 블록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조사희망시는 4월 7일로 되어 있고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이다. 또, 도면중 두꺼운 실선은 부품이 다음 공정에서 필요한 관계를 나타낸다.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 챠트 방식으로 표시하므로써, 전체적인 작업 예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로 본 발명에 의한 생산준비상황은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F112)에 의해 산출되고, 그 결과가 생산준비상황 표시수단(F142)에 의해 준비가 갖춰져 있는 부품 또는 공정은 한눈에 보아 직접적으로 판단하기 쉽도록 「○」으로 표시된다. 4월 4일의 제조번호「se02」·하위번호「9」의 「지급」, 「천석금속(유)」가 이것에 해당한다. 한편, 준비가 갖춰져 있지 않은 부품 또는 공정은 한눈에 보아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쉽도록 「×」로 표시된다. 4월 6일의 제조번호 「se01」·하위번호「2」의 「총조립」, 4월 7일의 제조번호 「se02」·하위번호「7」의 「외주가공」, 「천석금속(유)」, 4월 12일의 제조번호「se03」·하위번호「2」의 「총조립」이 여기에 해당된다. 또,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준비가 일부 갖춰져 있지 않은 부품 또는 가공은 한눈에 보아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쉽도록 「△」로 표시된다.
이렇게 생산준비상황이 한눈에 보아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쉽도록 표시되므로써 생산현장 관리자는 지금 현재 착수가능한 공정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59의 하단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인 산적상황이 산적상황 표시수단(F144)에 의해 수자로 표시되어 있다. 물론 그래프 또는 색을 바꾸어 표시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자 단위는 같은 날짜에 작업해야 할 공정 수이다. 작업을 많이 포함해서 문제가 될 부분은 짙은 프레임으로 나타내고 있다. 특히 4월 12일 시점에서는 제조1과가 특히 많은 작업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산적상황도 합쳐서 알 수 있고, 생산현장 관리자는 보다 적절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F의 산적상황에서 제조1과의 작업이 집중하고 있으므로 계획상 문제가 있음이 판명된다. 이렇게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F170), 예를 들면 생산장소를 F1에서 F2로, 즉 작업이 집중하고 있는 제조1과에서 작업예정이 없는 제조2과로 변경한다(F180). 변경입력후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변경된 내용에 따라 다시 생산준비상황이 산출되고, 산적상황도 다시 계산되어 표시된다. 표시를 보고 문제가 없으면 변경후의 계획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혹은 제조1과의 담당공정의 일부인 착수일을 변경해도 좋다. 이렇나 경우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마우스의 드래그 앤드 드랍 조작으로 건 챠트상의 계획 바를 이동시키므로써 실현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생산준비상황 및 산적상황이 다시 계산되어 표시된다.
도 59에서 착수가능으로 되어 있지 않은 「×」가 나타내진 계획 바를 클릭하면, 생산관리정보 명세가 표시된다. 도 59에서 4월 12일의 제조번호「se03」·하위번호「2」의 「총조립」계획 바를 클릭할 경우에 표시된 예가 도 60이다. 도 60에서 상단은 문제의 공정 부분인 각 생산관리항목을 표시한다. 중단은 문제의 총조립을 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으로 재고 충당에 해당하는 부품이 사용가능한가의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0의 예에서는 구동장치는 재고가 1개 있고 사용가능한 것을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하단은 각 부품의 제조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 도 59의 예에서는 4월 12일의 제조번호 「se03」·하위번호「5」의 계획 바가 굵은 선 프레임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그 원인은 제조번호 「se03」·하위번호「5」의 기구유닛의 납품일(4월 13일)이 제조번호 「se03」·하위번호「2」의 착수일보다 나중이고, 계획이 역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 예에서는 업자인 고마고메공업(주)가 직접 수신입력수단(16)으로 각 공정정보를 입력한 것이다. 또, 이 예에서는 굵은 선 프레임으로 표시하고 있지만, 계획 바 자체를 적색으로 표시하는 등 색을 바꾸어 표시해도 좋다. 또, 제조번호 「se03」·하위번호「2」의 계획이 「×」로 되어 있는 것은 하위번호 「3」의 전장픔과 하위번호 「5」의 기구유닛이 아직 완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조번호 「se03」·하위번호「2」의 총 조립은 현재 착수할 수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총 조립과 설치공사 계획을 2일후로 늘려햐한다. 만약, 고객과의 관계로 최후 설치공사를 연장할 수 없으면 다시 한번 고마고메 공업에 빨리하도록 의뢰하든가, 총 조립 작업공기를 짧게 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고마고메 공업에 빨리하도록 의뢰할 경우는 이 건 챠트상에 서 계획을 왼쪽으로 드래그 앤드 드랍하면, 또 통신수단을 사용해 다시 바람직한 계획일을 업자인 고마고메 공업(주)에 보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시기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또, 산적상황도 미리 정해진 기간내에서 산적상황을 산출해서 표시하므로써 제조현장 관리자는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간은 생산할 품종에 따라 적절한 기간이 다르다. 따라서 생산현장에서 미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9의 예에서는 조사희망일인 4월 7일에 대해 과거에 대해서는 작업이 완료하고 있지 않은 공정을 표시한다. 장래에 대해서는 14일간을 미리 정해진 기간으로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생산관리가 행해지는 개별 직장에서 생산준비가 갖춰져 있는가의 여부를 공정 실적데이터에 기초해 자동적으로 산출하고, 대응하기 쉽도록 표시하므로써 효율좋게 생산관리를 할 수 있는 생산관리장치를 제고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생산할 품종에 따라서는 생산에 사용할 생산자원이 생산관리상의 판단에서 중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한층 사용하기 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6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생산관리장치(F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1에 나타낸 생산관리장치(F1')는 생산자원정보 입력수단(F136)을 입력수단(F13)에 추가한 점만이 도 57의 구성과 다르고, 그 외는 같다. 도 62는 도 61에 나타낸 생산관리장치(F1')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을 보인 플로챠트이고, 생산자원정보 입력 스탭(F112), 설비사용상황 산출 스탭(F164), 설비사용상황 표시 스탭 (F166)을 추가한 점이 도 58에 설명한 내용과 다르다.
도 61, 도 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에 생산자원정보도 덧붙인 내용으로 생산준비상황이 산출되고, 생산준비상황이 표시되므로, 생산자원이 생산관리상의 판단에서 중요한 경우는 보다 적절하게 현장 관리자가 판단하고 대응할 수 있다.
도 63은 생산준비상황 표시수단(F142)에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 챠트의 도표상에서 생산준비상황을 표시하는 칼럼(종열)을 따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칼럼을 만드므로써 관리자가 표시화면중에서 항상 주목해야 할 장소가 결정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 설비사용상황도 표시되므로 보다 종합적으로 생산관리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다.
이상의 예는 생산관리장치(F1)에 대해 설명했지만, 컴퓨터에 생산관리장치(F1)에서 설명한 수단을 갖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인스톨해서 그 컴퓨터를 수단으로 기능시키므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그러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를 컴퓨터에 읽어 들이게 하고,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인스톨해서 그 컴퓨터를 수단으로 기능시키므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생산관리장치(F1)와 같은 성능을 가진 컴퓨터에 동등한 수단을 가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스톨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지만,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확실하다. 예를 들면 생산관리장치는 컴퓨터의 예로 설명했지만, CPU 대신에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채용한 시스템에 의해서도 좋다. 또, 생산준비상황표시의 예로서 건 챠트 방식으로 설명했지만, 파트 타임 방식으로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 생산관리의 정도 향상 및 신속화, 그리고 생산관리비용의 생력화에 도움이 된다.
(b) (a)에 기초해 생산활동 현장에서 발생하는 변화에로의 대응력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 제조작업의 평준화를 촉진하므로써 제조작업의 효율화, 제조공정의 안정화에 도움이 된다.
(b) 그 날 해야 할 작업량을 목표로서 제시하고, 동시에 실제로 착수한 작업량을 제시해서 대비시키며, 목표 달성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에 따른 작업의욕 증진이 생산효율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c) 제조현장에서 생기는 돌발적인 상황의 변화에 대해 착수가부정보의 제공 을 통해 제조작업의 계획유지, 변경 또는 중지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므로써 제조현장에서 사고에로의 대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저에 의한 테이블 선택정보 및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해 데이터베이스 스키머를 직접 편집하는 노력이나 시간을 줄이면서, 데이터베이스의 임의의 복수 테이블에 확실하게 임의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추가한 항목을 취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갱신도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으로 프로그램의 힘을 빌리는 일 없이 유저 자신이 항목을 추가해서 운용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일품생산품과 같은 것으로 착수부터 완성까지의 기한을 단축하기 위해 선행해서 부품을 발주하고, 그 후 고객의 의향등에 의해 변경된 경우에도 정확하게 변경부품과 불필요부품을 적출해서 생산관리에 반영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수에서 완성까지의 기한이 변경에 의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변경에 의해 비용상승을 합리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불필요부품의 폐기를 극력 억제할 수 있으므로 환경상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부품표와 재고정보로부터 발주해야 할 자재량과 발주시기를 산출하는 자재소요량 계획에 의한 생산관리에서, 임의 타이밍으로 MRP 생산관리 시스템을 이용해 소요량 계산을 하려고 했을 때 실재고가 계획상의 값보다 부족한 경우에, 현장 책임자가 과거 실적등에 의해 다음 공정에서 만회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도 계획상의 값에서 계산해서 부족분의 전표가 발행되버리는 불합리한 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실적 입력시에 현실의 실행 데이터밖에만 입력할 수 없고, 계획을 실적이 밑돌면 실제로는 불필요하더라도 추가제작의 지시가 나오건, 추가로 조달전표가 발행된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가공재고치와 가상실적치와 실적치를 실제 생산 현장실정에 맞춰 입력할 수 있으므로 보다 현실에 맞는 생산관리를 할 수 있는 생산관리장치,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및 생산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이 각 공정 실적정보에 기초해 자동적으로 산출되어 표시된다. 또, 산적상황을 생산준비상황 및 생산관리정보와 관련지어 표시된다. 그 결과 현장 관리자는 생산준비상황을 산적상황과 맞추어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생산준비상황 및 산적상황을 본 후 생산장소등을 변경하므로써 대책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변경입력을 할 수 있다. 변경입력되면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과 산적상황이 표시된다. 그 결과, 개별직장의 관리자는 변경하는 편이 좋은가의 여부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효율 좋게 생산관리를 할 수 있다.
또, 생산품종에 따라서는 생산자원이 생산공정상의 중요요소가 될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생산자원의 완성시기와 부품등의 정보도 합쳐서 종합적으로 현장 관리자등이 판단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더욱이,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의 생산준비상황, 산적상황이 표시된다. 이렇게 생산준비가 갖춰져 있는가의 여부를 각 공정 실적정보에 기초해 자동적으로 산출해서 대응하기 쉽도록 표시된다. 그 결과, 현장 관리자가 보다 현실에 맞는 생산관리를 할 수 있는 생산관리장치,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 능한 기록매체 및 생산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3)

  1.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단말에서 보내어져 온 수주조건의 변화에 따라 수용가능한 수주조건을 산출해서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품 수주조건을 기억하는 제품 수주조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조건을 기억하는 부품조달조건 기억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단말에서 제품수주조건을 수신하는 제품수주조건 수신수단과,
    상기 제품수주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부품조달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부품조달조건 송신수단과,
    상기 단말에서 상기 부품조달조건에 대한 갱신을 수신하는 부품조달조건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부품조달조건에 기초해 산출한 제품수주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제품수주조건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단말에서 보내져 온 부품조달조건의 변화에 따라 제품납입조건으로의 영향을 산출해서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부품조달조건을 기억하는 부품조달조건 기억영역과, 생산계획을 기억하는 생산계획 기억영역과, 제품납입조건을 기억하는 제품납입조건 기억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단말에서 부품조달조건을 수신하는 부품조달조건 수신수단과,
    상기 부품조달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생산계획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생산계획 송신수단과,
    상기 단말에서 상기 생산계획에 대한 갱신을 수신하는 생산계획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생산계획에 기초해 산출한 제품납입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제품납입조건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추가로 제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제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기억하는 부품조달 리드타임 기억영역과, 생산계획을 기억하는 생산계획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품재고정보, 상기 부품재고정보 및 상기 부품조달 리드타임에서 버퍼를 포함해 상기 생산계획을 결정하는 생산계획 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추가로 제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제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기억하는 부품조달 리드타임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품재고정보, 상기 부품재고정보 및 상기 부품조달 리드타임에서 버퍼를 포함해 상기 생산계획을 결정하는 생산계획 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5.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과 연결된 서버에 대해 상기 단말에서 보내져 온 수주조건의 변화에 따라 수용가능한 수주조건을 산출해서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생산관리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어부 및 기억부를 갖추고,
    여기서 상기 기억부는 부품수주조건을 기억하는 제품수주조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조건을 기억하는 부품조달조건 기억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에 대해,
    상기 단말에서 제품수주조건을 수신시키는 제품수주조건 수신처리와,
    상기 제품수주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부품조달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부품조달조건 송신처리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부품조달조건에 대한 갱신을 수신시키는 부품조달조건 수신처리와,
    상기 수신된 부품조달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제품수주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제품수주조건 송신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프로그램.
  6.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과 연결된 서버에 대해 상기 단말에서 보내져 온 부품조달조건의 변화에 따라 제품납입조건으로의 영향을 산출해서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생산관리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어부 및 기억부를 갖추고,
    여기서, 상기 기억부는 부품조달조건을 기억하는 부품조달조건 기억영역과, 생산계획을 기억하는 생산계획 기억영역과, 제품납입조건을 기억하는 제품납입조건 기억영역을 적어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에 대해,
    상기 단말에서 부품조달조건을 수신시키는 부품조달조건 수신처리와,
    상기 부품조달조건에 기초해 산출된 생산계획을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생산계획 송신수단과,
    상기 단말에서 상기 생산계획에 대한 갱신을 수신시키는 생산계획 수신처리와,
    상기 수신한 생산계획에 기초해 산출된 제품납입조건을 상기 단말에 송신시 키는 제품납입조건 송신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또한 제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제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기억하는 부품조달리드타임 기억영역과, 생산계획을 기억하는 생산계획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에 대해,
    상기 제품재고정보, 상기 부품재고정보 및 상기 부품조달 리드타임에서 버퍼를 포함해 상기 생산계획을 결정시키는 생산계획 결정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프로그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또한 제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제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재고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재고정보 기억영역과, 부품조달 리드타임을 기억하는 부품조달 리드타임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에 대해서,
    상기 제품재고정보, 상기 부품재고정보 및 상기 부품조달 리드타임에서 버퍼 를 포함해 상기 생산계획을 결정시키는 생산계획 결정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9. 작업의 착수가부판정을 하는 컴퓨터에 있어서,
    어떤 작업을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자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고 자원명 및 자원단위로 구성되는 자원상태정보와, 상기 어떤 작업을 특정하는 작업명과 해당 작업의 완료에 의해 얻어지는 성과물을 나타내는 성과물정보와 해당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상기 자원의 필요조건을 나타내는 자원요구정보로 구성되는 작업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성과물정보는 성과물명 및 성과단위로 구성되고, 상기 자원요구정보는 자원명 및 자원단위로 구성되며,
    또한, 자원상태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자원상태 정보입력 접수수단과,
    작업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작업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어떤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와 같든가 혹은 상회할 경우에 착수가능이라 판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착수불가로 판정하는 착수가부 판정수단과,
    상기 착수가부 판정수단의 판정결과를 표시하는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수가부 판정수단은 상기 어떤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와 같든가 혹은 상회하는 경우에 전부 착수가라 판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상기 작업의 성과물에 대해 적어도 1성과물 단위분 착수할 경우에 필요한 자원단위와 같든가 혹은 상회할 경우에 부분착수가라 판정하며, 그 이외의 경우에 착수불가라 판정하고,
    상기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수단은 상기 착수가부 판정수단에서 판정을 한 작업의 작업정보의 성과물정보의 성과물단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어떤 작업의 착수를 통지하고, 작업명과 성과물명과 상기 어떤 작업의 착수에 의해 얻어질 예정인 성과물단위로 구성되는, 착수지시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착수지시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어떤 작업에 대해 상기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상기 어떤 작업의 성과물명에 대응하는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로 부터 상기 작업의 착수지시정보의 성과물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의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를 감산해서 갱신하는 착수자원상태정보 갱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어떤 작업의 완료를 통지하고, 작업명과 성과물명과 상기 어떤 작업의 상기 완료에 의해 얻어지는 성과물 단위로 구성되는 작업완료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작업완료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어떤 작업에 대해 상기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이면서 상기 작업의 성과물이 다른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자원인 경우에는 자원상태정보의 해당 자원의 자원단위에 상기 작업의 작업완료정보의 성과물단위를 가산해서 갱신하는 완료자원상태정보 갱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정보는 작업착수 예정시기를 나타내는 착수예정 시기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또한 작업을 표시하는 최종시기를 나타내는 작업표시 최종시기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작업표시 최종시기 정보입력 접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수단은 어떤 작업의 작업정보의 착수예정 시기정보가 상기 표시최종 시기정보와 같든가 또는 이전이면서 해당 작업의 성과물단위가 작업완료정보의 성과물단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착수가부 판정수단의 판정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어떤 제조부문의 작업의 평준화를 꾀하도록 어떤 날에 상기 제조부문이 이루어야 할 작업량을 표시하는 작업평준화 정보와, 상기 어떤 날에 착수지시를 한 작업의 착수에 의해 얻어질 예정 성과물의 성과물단위의 합계를 나타내는 착수실적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작업평준화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작업평준화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작업평준화정보와 상기 착수실적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작업평준화 정보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5. 컴퓨터에 작업의 착수가부 판정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어떤 작업을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자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고 자원명 및 자원단위로 구성되는 자원상태정보와, 상기 어떤 작업을 특정하는 작업명과 해당 작업의 완료에 의해 얻어질 성과물을 나타내는 성과물정보와 해당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상기 자원의 필요조건을 나타내는 자원요구정보로 구성되는 작업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성과물 정보는 성과물명 및 성과물단위로 구성되고, 상기 자원요구정보는 자원명 및 자원단위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에 자원상태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접수상태정보 입력 접수기능과,
    작업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작업정보 입력접수기능과,
    어떤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와 같든가 혹은 상회하는 경우에 착수가로 판정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 착수불가로 판정시키는 착수가부 판정기능과,
    상기 착수가부 판정기능의 판정결과를 표시시키기 위한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착수가부 판정기능은 상기 컴퓨터에 상기 어떤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자원요구정보의 자 원단위와 같든가 혹은 상회하는 경우에 전부 착수가로 판정시키고,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가 상기 작업의 성과물에 대해 적어도 1성과물 단위분 착수할 경우에 요구되는 자원단위와 같든가 혹은 상회할 경우에 부분착수가로 판정시키며, 그 이외의 경우에 착수불가로 판정시키고,
    상기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기능은 상기 컴퓨터에 상기 착수가부 판정기능에서 판정시킨 작업의 작업정보의 성과물 정보의 성과물단위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는 또한 상기 어떤 작업의 착수를 통지하고, 작업명과 성과물명과 상기 어떤 작업의 착수에 의해 얻어질 예정 성과물단위로 구성되는, 착수지시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착수지시정보 입력접수기능과,
    상기 어떤 작업에 대해 상기 착수지시정보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상기 작업의 성과물명에 대응하는 모든 자원에 대해 상기 자원상태정보의 자원단위로부터 상기 작업의 착수지시정보의 성과물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의 자원요구정보의 자원단위를 감산시켜 갱신시키는 착수자원상태정보 갱신기능을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는 또한 상기 어떤 작업의 완료를 통지하고, 작업명과 성과물명과 상기 어떤 작업의 상기 완료에 의해 얻어질 성과물단위로 구성되는, 작업완료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작업완료정보입력 접수기능과,
    상기 어떤 작업에 대해 상기 작업완료정보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이면서 상기 작업의 성과물이 다른 작업을 착수하기 위해 필요하게 될 자원이 된 경우에는 자원상태정보의 해당 자원의 자원단위에 상기 작업의 작업완료정보의 성과물단위를 가산시켜 갱신시키는 완료자원상태정보 갱신기능을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정보는 작업착수 예정시기를 나타내는 착수예정 시기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착수가부 판정결과 표시기능은 또한 작업을 표시하는 최종시기를 나타낼 작업표시 최종시기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작업표시 최종시기정보 입력접수기능과,
    어떤 작업의 작업정보의 착수예정 시기정보가 상기 표시 최종시기정보와 같 든가 또는 이전이면서 해당 작업의 성과물 단위가 작업완료정보의 성과물 단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착수가부 판정수단의 판정결과를 표시시키는 판정결과 표시결정기능을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는 어떤 제조부문의 작업 평준화를 꾀하도록 어떤 날에 상기 제조부문이 이루어야 할 작업량을 제시하는 작업평준화 정보와, 상기 어떤 날에 착수지시를 한 작업의 작업정보의 착수에 의해 얻어질 예정의 성과물단위의 합계를 나타내는 착수실적정보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작업평준화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작업평준화 정보입력 접수기능과,
    상기 작업평준화 정보와 상기 착수실적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작업평준화 정보 착수상황정보 표시기능을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1. 복수의 테이블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테이블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의 선택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 선택정보와, 유저에 의해 상기 선 택된 테이블에 추가될 새로운 항목을 나타내는 추가항목정보와, 상기 새로운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추가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 접수수단과,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대해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항목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항목 정보입력 접수수단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 데이터 입력 접수수단과,
    상기 추가항목 정보에 기초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상기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는 항목추가수단과,
    상기 새로운 항목에 상기 추가데이터를 대입하는 데이터 대입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2. 복수의 테이블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테이블에 포함되는 복수의 항목간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항목관계정보와, 상기 복수의 테이블에 포함되는 복수의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항목관계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데이터 입력 접수수단과,
    상기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상기 복수의 항목에 상기 데이터를 대입하는 데이터 대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3. 복수의 테이블을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테이블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의 선택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 선택정보와, 유저에 의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추가될 새로운 항목을 나타내는 추가항목정보와, 상기 복수의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 항목간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항목관계정보와, 상기 새로운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 추가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대해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항목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항목정보 입력 접수수단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항목관계정보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데이터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추가항목정보에 기초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상기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는 항목추가수단과,
    상기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상기 새로운 항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복수 항목에 상기 추가 데이터를 대입하는 데이터 대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관계정보는 수식에 의해 나타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수식의 입력을 접수하는 수식입력 접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테이블간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관계정보를 기억 하는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항목관계정보 입력접수수단은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 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테이블 관계정보 입력접수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7. 컴퓨터에 복수의 테이블을 가진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테이블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의 선택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 선택정보와, 유저에 의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추가될 새로운 항목을 나타내는 추가항목정보와, 상기 복수의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 항목간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항목관계정보와, 상기 새로운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추가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에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접수기능과,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대해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항목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추가항목 정보입력 접수기능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항목관계정보 입력접수기능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시키는 추가데이터 입력접 수기능과,
    상기 추가항목 정보에 기초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상기 새로운 항목을 추가시키는 항목추가기능과,
    상기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상기 새로운 항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복수항목에 상기 추가데이터를 대입시키는 데이터 대입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8. 복수의 테이블을 가진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용 컴퓨터를 이용한 테이블 항목 추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와, 상기 복수 테이블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의 선택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 선택정보와, 유저에 의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추가될 항목을 나타내는 추가항목정보와, 상기 복수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간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항목관계정보와, 상기 새로운 항목에 대해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추가 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영역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갖추고,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테이블 선택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테이블 선택정보 입력접수 스탭과,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대해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항목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항복 정보입력 접수 스탭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항목관계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항목관계정보 입력 접수 스탭과,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추가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추가데이터 입력접수 스탭과,
    상기 추가항목정보에 기초해 상기 선택된 테이블에 상기 새로운 항목을 추가는 항목추가 스탭과,
    상기 항목관계정보에 기초해 상기 새로운 항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복수 항목에 상기 추가데이터를 대입하는 데이터 대입 스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항목 추가방법.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테이블 관리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30.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생산관리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31. 생산관리장치에 있어서,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된 발주부품을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변경된 CAD 데이터로부터 변경 부품표를 작성하는 변경부품표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변경부품표에 포함되는 부품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발주부품을 비교해서 상기 제조번호의 취소부품과 추가발주부품을 산출하는 변경부품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취소부품 및 추가발주부품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CAD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입력을 접수한 CAD 데이터로부터 생산부품표를 작성하는 생산부품표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생산부품표에 기초해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부품을 산출하는 발주부품 산출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취소부품의 캔슬가부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캔슬가부인 부품의 취소전표와 추가발주부품의 전표를 발행하는 전표발 행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34. 생산관리장치로서 컴퓨터를,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된 발주부품을 적어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변경된 CAD 데이터로부터 변경부품표를 작성하는 변경부품표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변경부품표에 포함되는 부품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발주부품을 대비해서 상기 제조번호의 취소부품과 추가발주부품을 산출하는 변경부품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취소부품 및 추가발주부품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CAD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입력을 접수한 CAD 데이터로부터 생산부품표를 작성하는 생산부품표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된 생산부품표에 기초해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부품을 산출하는 발주부품 산출수단을 합쳐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표시된 취소부픔의 캔슬가부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캔슬가능한 부품의 취소전표와 추가발주부품의 전표를 발행하는 전표발행수단을 합쳐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38.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된 발주부품을 기억수단에 적어도 기억하는 스탭과,
    변경된 CAD 데이터로부터 변경부품표를 작성하는 스탭과,
    상기 작성된 변경부품표에 포함되는 부품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발주부품을 대비해서 상기 제조번호의 취소부품과 추가발주부품을 산출하는 스탭과,
    상기 산출된 취소부품 및 추가 발주부품을 표시하는 스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CAD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스탭과,
    상기 입력을 접수한 CAD 데이터로부터 생산부품표를 작성하는 스탭과,
    상기 작성된 생산부품표에 기초해 제조번호에 관련지어 발주부품을 산출하는 스탭을 상기 기억하는 스탭 이전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취소부품의 캔슬가부 정보를 취득하는 스탭과,
    상기 캔슬가능한 제품의 취소전표와 추가발주부품의 전표를 발행하는 스탭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41. 제품의 부품표와 재고정보로부터 발주해야 할 자재량과 발주시기를 산출하는 자재소요량 계획에 의한 생산관리장치에 있어서,
    생산계획의 실행대상 품목중 실행끝난 품목에 관해 그 현실 실적치를 입력하는 실적치 입력수단과,
    상기 자재소요량 산출용 가공 재고치를 입력하는 가공재고치 입력수단과,
    상기 실적치 입력수단에 입력된 실적치를 이용해 상기 실행 끝난 품목의 재고데이터를 갱신하는 재고데이터 갱신수단과,
    상기 가공재고치 입력수단에 입력된 가공재고치와 상기 재고 데이터 갱신수단에 의해 갱신된 재고데이터를 이용해 다음 소요량을 계산하는 소요량 계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42. 제품의 부품표와 재고정보로부터 발주해야 할 자재량과 발주시기를 산출하는 자재소요량 계획에 의한 생산관리장치로서 컴퓨터를,
    생산계획의 실행대상 품목중 실행끝난 품목에 관해 그 현실 실적치를 입력하는 실적치 입력수단과,
    상기 자재소요량 산출용 가공재고치를 입력하는 가공재고치 입력수단과,
    상기 실적치 입력수단에 입력된 실적치를 이용해 상기 실행끝난 품목의 재고데이터를 갱신하는 재고데이터 갱신수단과,
    상기 가공재고치 입력수단에 입력된 가공재고치와 상기 재고데이터 갱신수단에 의해 갱신된 재고데이터를 이용해 다음 소요량을 계산하는 소요량 계산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43. 제42항에 있어서,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44. 컴퓨터를 이용한, 제품 부품표와 재고정보로부터 발주해야 할 자재량과 발주시기를 산출하는 자재소요량 계획에 의한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생산계획의 실행대상 품목중 실행끝난 품목에 관해 그 현실 실적치를 입력하는 항목과,
    해당 자재소요량 산출용 가공재고치를 입력하는 항목을 만들고,
    입력된 상기 실적치를 이용해 상기 실행끝난 품목의 재고데이터를 갱신하는 스탭과,
    입력된 가공재고치와 상기 재고데이터를 갱신하는 스탭에서 갱신된 재고데이터를 이용해 다음 소요량을 계산하는 스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45. 생산관리장치에 있어서,
    생산계획에 대해 자재 또는 부품에 관해서의 입하 또는 완성의, 예정 또는 실적을 포함한 각 공정정보를 입력하는 각 공정정보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재된 각 공정정보와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는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를 표시하는 생산상황 표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산적상황 산출수단과,
    상기 산적상황을 상기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와 관련지어 표시하는 산적상황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상기 각 공정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신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장치.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소정 자재 혹은 부품에 관해 상기 표시된 생산관리정보의 변경입력을 하는 변경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변경입력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은 조사희망시의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49. 제45항에 있어서,
    생산자원정보 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생산자원정보를 추가로 기억하고,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산자원정보도 합쳐서 상기 조시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50.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은 상기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 에서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은 상기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에서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장치.
  51. 생산관리장치로서 컴퓨터를,
    생산계획에 대해 자재 또는 부품에 관해서의 입하 또는 완성의, 예정 또는 실적을 포함하는 각 공정정보를 입력하는 각 공정정보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공정정보와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는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를 표시하는 생산상황 표시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를,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산적상황 산출수단과,
    상기 산적상황을 상기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와 관련지어 표시하는 산적상황 표시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상기 각 공정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입력수단으로서 또한 기능시키고,
    상기 수신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에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시켜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에 조사희망시의 산적상황을 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를,
    소정 자재 혹은 부품에 관해 상기 표시된 생산관리정보의 변경입력을 하는 변경입력수단으로 또한 기능시키고,
    상기 변경입력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에 추가 로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시켜서 상기 산적상황의 산출수단에 추가로 산적상황을 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를 ,
    생산자원 정보입력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입력된 생산자원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며,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산자원정보도 합쳐서 상기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 프로그램.
  56.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수단에 상기 조사희망시 전후의 미리 정해진 기간내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시키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수단에 상기 조사희망시의 전후 미리 정해진 기간내의 산적상황을 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프로그램.
  57.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관리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
  58.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 방법에 있어서,
    생산계획에 대해 자재 또는 부품에 관해서의 입하 또는 완성의, 예정 또는 실적을 포함하는 공정정보를 입력하는 각 공정정보 입력 스탭과,
    상기 입력된 각 공정정보 및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스탭과,
    상기 기억한 각 공정정보와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는 생산준비상황 산출 스탭과,
    상기 산출된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를 표시하는 생산상황 표시 스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계획의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산적상황 산출 스탭과,
    상기 산적상황을 상기 생산준비상황 및 상기 생산관리정보와 관련지어 표시하는 산적상황표시 스탭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상기 각 공정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입력 스탭을 추가로 가지고,
    상기 수신한 상기 각 공정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 스탭에서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스탭에서 조사희망시의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용방법.
  61. 제59항에 기재한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자재 혹은 부품에 관해서 상기 표시된 생산관리정보의 변경입력을 하는 변경입력 스탭을 추가로 가지고,
    상기 변경입력된 생산관리정보에 기초해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 스탭에서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 스탭에서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62. 제58항에 있어서,
    생산자원정보를 입력하는 스탭을 추가로 가지고,
    상기 기억스탭에서 상기 생산자원정보를 추가로 기억하며,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 스탭에서, 상기 기억스탭에서 기억된 생산자원정보도 합쳐서 상기 조사희망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63.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준비상황 산출 스탭에서 상기 조사희망시의 전후 미리 정해진 기간내에서의 생산준비상황을 산출하고,
    상기 산적상황 산출스탭에서 상기 조사희망시의 전후 미리 정해진 기간내에서의 산적상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KR1020060007732A 2005-03-15 2006-01-25 생산관리 시스템 KR200601012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73686 2005-03-15
JP2005073686A JP4884685B2 (ja) 2005-03-15 2005-03-15 データベースに項目追加を行う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JP-P-2005-00103520 2005-03-31
JPJP-P-2005-00103519 2005-03-31
JP2005103520A JP2006139749A (ja) 2005-03-31 2005-03-31 生産管理装置、生産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生産管理方法
JP2005103519A JP4691382B2 (ja) 2005-03-31 2005-03-31 生産管理装置、生産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生産管理方法
JPJP-P-2005-00125330 2005-04-22
JP2005125330A JP4268151B2 (ja) 2005-04-22 2005-04-22 生産管理装置、生産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生産管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220A true KR20060101220A (ko) 2006-09-22

Family

ID=3701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732A KR20060101220A (ko) 2005-03-15 2006-01-25 생산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12323A1 (ko)
KR (1) KR200601012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151A (ko) 2014-05-28 2015-12-09 주식회사 와이드티엔에스 전자빔 조사공정을 위한 통합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3975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한화 유도 무기의 창정비 물자를 조달하고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3219221A1 (ko) * 2022-05-12 2023-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통합 납기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6376B1 (en) * 2005-09-08 2008-04-08 At&T Corp Work when ready load balancing using critical dates
JP2007133612A (ja) * 2005-11-09 2007-05-31 Toshiba Corp 生産計画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生産計画処理プログラム
US20090287523A1 (en) * 2008-05-19 2009-11-19 Microsoft Corporation Showing and correcting irregularities in a schedule
US8290606B2 (en) * 2008-05-30 2012-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ed cancellation for production flow and physical assets
US8682464B2 (en) * 2011-03-30 2014-03-25 Realtime Technology Ag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PL2648059T3 (pl) * 2012-04-03 2015-06-30 Abb Research Ltd Badanie czynności wykonywanych przez maszynę w procesie przemysłowym
US20140019190A1 (en) * 2012-07-12 2014-01-16 Udo Arend Process Advisor
WO2015042474A1 (en) * 2013-09-19 2015-03-26 Thorlabs, Inc. Method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manufacturing machines in manufacturing processes
CN103514520A (zh) * 2013-10-15 2014-01-15 苏州荣越网络技术有限公司 生产计划排布系统
JP6344010B2 (ja) * 2014-03-28 2018-06-20 富士通株式会社 生産計画作成支援プログラム、生産計画作成支援方法および生産計画作成支援装置
JP2015197691A (ja) * 2014-03-31 2015-11-09 富士通株式会社 生産計画表示プログラム、生産計画支援プログラム、生産計画表示方法、生産計画支援方法、生産計画表示装置および生産計画支援装置
JP6379425B2 (ja) * 2014-10-24 2018-08-29 三菱重工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部品表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表管理方法
US10725639B1 (en) * 2015-01-14 2020-07-28 Pma Technoloiges, Llc Project schedule display with graphical target overlay
US20160364667A1 (en) * 2015-06-15 2016-12-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dynamically responsive availability view
US20170147954A1 (en) * 2015-11-22 2017-05-25 Jin Xing Xiao Predicating project reliability, risk, and variation by using exponential distribution
CN109923484A (zh) * 2016-11-11 2019-06-21 日本电气株式会社 工艺设计支持装置、工艺设计支持方法和程序
CN109993471A (zh) * 2017-12-30 2019-07-09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建筑装饰布线数据化处理的控制方法、控制系统及布线安装方法
JP7029597B2 (ja) * 2018-03-30 2022-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産計画作成方法および生産計画作成装置
JP7126060B2 (ja) * 2018-03-30 2022-08-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産計画作成方法および生産計画作成装置
JP7171407B2 (ja) * 2018-12-12 2022-1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生産指示支援方法
JP7348051B2 (ja) * 2019-12-12 2023-09-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作業指示システムおよび作業指示方法
CN111260293B (zh) * 2020-01-17 2023-05-26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远程物料的齐套方法及系统
JP7476648B2 (ja) * 2020-04-24 2024-05-01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MX2023006335A (es) * 2020-12-03 2023-08-11 Chewy Inc Sistema y metodo para controlar el acceso a un mercado privado en la red de la cadena de suministro.
US20220270012A1 (en) * 2021-02-25 2022-08-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term dispatching decisions for operating a number of resources involved in a number of production processes under consideration of long-term objectiv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151A (ko) 2014-05-28 2015-12-09 주식회사 와이드티엔에스 전자빔 조사공정을 위한 통합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3975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한화 유도 무기의 창정비 물자를 조달하고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3219221A1 (ko) * 2022-05-12 2023-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통합 납기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2323A1 (en)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1220A (ko) 생산관리 시스템
McKay et al. Integrated decision support for planning, scheduling, and dispatching tasks in a focused factory
US6876895B2 (en) Order assembly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JP2008299762A (ja) 生産管理プログラム
US20130166468A1 (en) Business rules-based determination of retail and wholesale allocation
CN102171719B (zh) 设备管理系统、设备管理方法及其程序
JP2006252556A (ja) 印刷デバイス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Franz Project management with SAP project system
Koh et al. Translating knowledge of supply chain uncertainty into business strategy and actions
JP2012247964A (ja) 進捗管理装置、及び進捗管理プログラム
JP5118406B2 (ja) 進捗状況表示装置、進捗状況表示方法および進捗状況表示プログラム
KR20030024538A (ko) 생산관리시스템
JP2004021364A (ja) 経営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
JPH06214996A (ja) 生産管理方法
JP2004537772A (ja) クリティカルな資材構成要素および製造能力の供給を割り当て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323680A (ja) 経営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
JP5439275B2 (ja) 情報処理装置、原価見通し算出方法、および原価見通し算出プログラム
JP4152611B2 (ja) 経営改革のための対策案立案支援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JP2006344015A (ja) 問合せ案件管理システム及び問合せ案件管理プログラム
EP1750225A1 (en) Supply scheduling
JP5028990B2 (ja) 製造計画作成システムおよび製造計画作成プログラム
Pritsker et al. Production scheduling using FACTOR
JP2000210845A (ja) 生産管理装置及び生産管理方法
US20050065833A1 (en) Production scheduling management method and production scheduling management program
Kletti et al. MES Compendium: Perfect MES Solutions Based on HYD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