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940A - 액정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액정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940A
KR20060100940A KR1020060023075A KR20060023075A KR20060100940A KR 20060100940 A KR20060100940 A KR 20060100940A KR 1020060023075 A KR1020060023075 A KR 1020060023075A KR 20060023075 A KR20060023075 A KR 20060023075A KR 20060100940 A KR20060100940 A KR 20060100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ixel electrode
substrate
orientation
cryst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7516B1 (ko
Inventor
긴야 오자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62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64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Mounting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birefringence of the liquid crystal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e.g. ECB-, DAP-, HAN-, PI-LC cells
    • G02F1/1395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OCB]- cells or PI-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45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에 의해 액정을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 전이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액정 장치(D)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12)의 틈에 OCB 모드의 액정(15)을 밀봉한 액정 패널(10)을 갖는다. 제 1 기판(11) 중 액정(15)과의 대향면에는 서로 교차하는 X방향과 Y방향에 걸쳐 복수의 화소 전극(35)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기판(11) 및 제 2 기판(12) 각각에서의 액정(15)과의 대향면에는 Y방향으로 배향 처리가 실시된 배향막(5)이 형성된다.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27)는 Y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1개의 화소 전극(35)과 다른 화소 전극(35)에 상이한 전위를 공급한다. 1개의 화소 전극(35) 중 다른 화소 전극(35)과 대향하는 에지인 대향 에지부(62)에는, 다른 화소 전극(35)과의 간격 Lg1이 상기 대향 에지부(62)의 다른 부분(623)과 상기 다른 화소 전극(35)과의 간격 Lg2보다도 큰 절결부(621)가 형성된다.
투사형 표시 장치,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 액정 분자, 대향 에지부, 절결부

Description

액정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LIQUID CRYSTAL DISPLAY, PROJEC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OCB 모드의 액정이 배향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화소 전극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다른 형태에 따른 화소 전극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다른 형태에 따른 화소 전극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다른 형태에 따른 화소 전극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다른 형태에 따른 화소 전극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액정 장치 Dp : 투사형(投射型) 표시 장치
Ap : 화소 영역 P : 화소
PL : 액정 용량 10 : 액정 패널
211 : 주사선 231 : 데이터선
21 : 주사선 구동 회로 23 : 데이터선 구동 회로
27 :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 11 : 제 1 기판
12 : 제 2 기판 14 : 밀봉재
15 : 액정 151 : 액정 분자
35 : 화소 전극 51, 52 : 배향막
41 : 대향 전극 62 : 대향 에지부
621 : 절결부(切缺部)
본 발명은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또는 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모드의 액정 거동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OCB 모드의 액정은, TN(Twisted Nematic) 모드나 STN(Super Twisted Nematic) 모드의 액정과 비교하여 전계의 변화에 대한 응답이 고속이며, 넓은 시야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利點)이 있다. 따라서, 동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OCB 모드의 액정은, 전계가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화상 표시에 적합하지 않은 스프레이(spray) 배향으로 된다. 이 때문에, 화상 표시에 앞서 액정을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표시에 적합한 벤드(bend) 배향으로 전이(轉移)시킬 필요가 있다. 이 전이를 촉진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액정에 다수 의 미세한 입자를 분산시킨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액정을 향하여 돌출되는 볼록부를 컬러 필터의 재료에 의해 형성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입자나 볼록부와 같은 형태상의 특이점 근방에서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핵(轉移核)을 발현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4-310139호 공보(도 1)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2002-357829호 공보(도 1)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전이핵을 발생시키기 위한 입자나 볼록부와 같은 요소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들 요소가 불필요한 TN 모드나 STN 모드의 액정 장치와 비교하여 구조의 복잡화나 제조 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에 의해 액정을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 전이시킨다는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틈에 밀봉된 OCB 모드의 액정과, 제 1 기판에서의 액정과의 대향면에 서로 교차하는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 전극과,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각각에서의 액정과의 대향면에 형성되고, 스프레이 배향에 있는 액정 분자를 각 기판의 표면에 정사영(正射影)했을 때의 장축(長軸)이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분자를 배 향시키는 배향막과,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제 1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1개의 화소 전극과 다른 화소 전극에 상이한 전위를 공급하는 전위 공급 수단(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27))을 구비하며, 1개의 화소 전극 중 다른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에지(edge)인 대향 에지부에는 다른 화소 전극과의 간격(도 5에 도시된 간격 Lg1)이 상기 대향 에지부의 다른 부분과 다른 화소 전극의 간격(도 5에 도시된 간격 Lg2)보다도 큰 절결부가 형성되고, 액정은, 전위 공급 수단이 각 화소 전극에 전위를 공급함으로써 1개의 화소 전극의 절결부와 다른 화소 전극의 틈에 발생한 전이핵을 기점으로 하여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화소 전극과 다른 화소 전극에 걸친 전계가 절결부의 영향에 의해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발생(즉 전계의 특이점이 발생)함으로써, 절결부와 다른 화소 전극의 틈에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핵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화소 전극의 형상(윤곽)에 따라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가 촉진되기 때문에, 액정에 입자를 분산시키는 구성이나 기판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에 의해 액정을 벤드 배향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소 전극의 외주(外周)에 절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화소 전극의 피치가 미세한 경우(예를 들어 피치가 20㎛ 이하인 경우)일지라도, 액정을 효과적으로 벤드 배향으로 전이시킬 수 있다. 스크린으로의 투사광(投射光)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라이트밸브(lightvalve)) 으로서 액정 장치를 적용한 투사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장치를 관찰자가 직시(直視)하는 타입의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화소 전극의 피치를 작게 해야만 한다는 사정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는 투사형 표시 장치에 특히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절결부는 대향 에지부 중 제 2 방향에서의 적어도 한쪽 단부(端部)에 위치한다(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9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각 화소 전극과 그 X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 전극의 틈에서도 전이핵을 발생시키는 경사 방향의 전계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를 더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1개의 화소 전극 중 절결부가 형성된 에지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도 6 또는 도 8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π 트위스트 배향(180° 트위스트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가 전이핵을 기점으로 하여 확대되어 가는 것을 고려하면, 1개의 화소 전극만이 절결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지만, 보다 확실하고 신속하게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화소 전극 중 2개 이상의 화소 전극이 절결부를 갖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각 배향막은 스프레이 배향에 있는 액정 분자를 상기 배향막의 표면에 대하여 10°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자세로 배향시킨다. 이 형태에 의하면,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또는 π 트위스트 배향)으로의 전이를 더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각 각의 수선(垂線)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기판에 무기 재료를 증착하여 이루어지는 막체(膜體)를 배향막으로서 사용하면, 열에 의한 배향막 특성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액정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확실하게 액정을 벤드 배향으로 전이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에 절결부를 형성한 구성에 더하여, 액정에 대하여 통상의 구동 시보다도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전극에 대하여 계조에 따른 전위를 공급함으로써 벤드 배향의 액정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전위 공급 수단이, 구동 수단이 각 화소 전극에 전위를 인가함으로써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의 최대값보다도 큰 전압이 액정에 인가되도록, 각 화소 전극에 전위를 공급한다. 또한, 전위 공급 수단과 구동 수단의 형태는 임의이다. 즉, 전위 공급 수단과 구동 수단은 각각이 별개의 회로일 수도 있고, 구동 수단에 상당하는 회로가 전위 공급 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는 예를 들어 투사형 표시 장치(프로젝터)에 채용된다. 이 투사형 표시 장치는 광을 출사(出射)하는 광원(光源)과,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변조하는 본 발명의 액정 장치와, 액정 장치에 의해 변조된 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를 구비한다. 투사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장치로의 조사광(照射光)의 강도(强度)가 높기 때문에, 관찰자가 표시면을 직시하는 타입의 액정 장치와 비교하여 각부(各部)에 열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배향막은 유기(有機) 재료와 비교하여 내열성이 우수한 무기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는, 투사형 표시 장치 이외에도, 휴대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채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낸 각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요소의 치수나 각각의 비율을 실제의 것과는 다르게 한다.
<A : 액정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액정 장치(D)는 화소 영역(Ad)에 복수의 화소(P)가 배열된 액정 패널(10)과, 이 액정 패널(10)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선 구동 회로(21)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23)와, 액정 패널(10)의 액정 배향을 전이시키기 위한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27)를 갖는다.
액정 패널(10)의 화소 영역(Ad)에는 X방향으로 연장되어 주사선 구동 회로(21)에 접속된 복수의 주사선(211)과, X방향과 직교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데이터선 구동 회로(23)에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선(231)이 형성된다. 각 화소(P)는 주사선(211)과 데이터선(231)의 교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들 화소(P)는 X방향 및 Y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각 화소(P)는 TFT(Thin Film Transistor) 소자(31)와 액정 용량(PL)을 갖는다. TFT 소자(31)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211)에 접속되고, 그 소스 전극은 데이터선(231)에 접속된다. 액정 용량(PL)은 TFT 소자(31)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도 2는 액정 패널(1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성형(成形)된 밀 봉재(14)를 통하여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접합된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12)을 갖는다. 제 1 기판(11) 및 제 2 기판(12)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의 판재(板材)이다. 제 1 기판(11) 및 제 2 기판(12)과 밀봉재(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는 OCB 모드의 액정(15)이 밀봉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액정 패널(10)은 제 1 기판(11)에 입사된 광을 액정(15)을 투과시킨 후에 제 2 기판(12) 측으로부터 출사하는 투과형 표시 패널이다. 또한, 실제로는 입사광을 편광시키는 편광판이나 액정(15)의 복굴절성을 보상(補償)하기 위한 위상차판이 제 1 기판(11) 및 제 2 기판(12)의 각각에 점착되지만, 도 2에서 이들 요소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TFT 소자(31)는 제 1 기판(11) 중 액정(15)과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된다. 또한, 도 2에서는 주사선(211) 및 데이터선(231)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들 TFT 소자(31)가 형성된 제 1 기판(11)의 표면은 절연층(33)에 의해 덮이고, 이 절연층(33)의 표면에는 다수의 화소 전극(35)이 X방향 및 Y방향에 걸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들 화소 전극(35)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등의 광투과성 도전(導電)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전극이며, 절연층(33)에 형성된 콘택트 홀을 통하여 TFT 소자(31)의 드레인 전극에 도통(導通)한다.
한편, 제 2 기판(12) 중 액정(15)과 대향하는 표면에는 그 전역(全域)에 걸쳐 대향 전극(41)이 형성된다. 대향 전극(41)은 ITO 등의 광투과성을 갖는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액정(15)을 사이에 두어 각 화소 전극(35)에 대향한다. 이 대향 전극(41)에는 전원 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생성된 공통(common) 전위가 인가 된다. 도 1에 도시된 액정 용량(PL)은 1개의 화소 전극(35)과 이것에 대향하는 대향 전극(41)과 양 전극의 틈에 개재되는 액정(15)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기판(11) 중 액정(15)과의 대향면에는 그 전역에 걸쳐 분포되어 모든 화소 전극(35)을 덮는 배향막(51)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기판(12) 중 액정(15)과의 대향면에는 그 전역에 분포되어 대향 전극(41)을 덮는 배향막(52)이 형성된다. 또한, 배향막(51)과 배향막(52)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간단히 「배향막(5)」으로 표기한다. 각 배향막(5)은 전계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의 액정(15) 배향을 규정하기 위한 막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배향막(5)은 SiOx 등의 무기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21)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23)는 각 화소(P)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지정된 계조에 따른 전압을 상기 화소(P)의 액정 용량(PL)에 인가하기 위한 수단(구동 수단)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사선 구동 회로(21)는 복수의 주사선(211) 각각을 수평 주사 기간마다 차례로 선택하고, 이 선택한 주사선(211)에 대하여 선택 전위(TFT 소자(31)를 온(on) 상태로 하는 전위)를 인가하는 동시에, 그 이외의 주사선(211)에 대하여 비(非)선택 전위(TFT 소자(31)를 오프(off) 상태로 하는 전위)를 인가한다. 어느쪽의 주사선(211)에 선택 전위가 공급되면, 그 주사선(211)에 접속된 1행분의 화소(P)의 TFT 소자(31)가 일제히 온 상태로 된다. 한편, 데이터선 구동 회로(23)는, 어느쪽의 주사선(211)이 선택되는 수평 주사 기간에서, 이 주사선(211)에 접속된 1행분의 각 화소(P)의 계조에 따른 전 위(이하 「데이터 전위」라고 함)를 데이터선(231)에 공급한다. 이 데이터 전위는 온 상태로 된 TFT 소자(31)를 통하여 화소 전극(35)에 공급된다. 따라서, 각 화소(P)의 액정 용량(PL)에는 데이터 전위와 공통 전위의 차분(差分)에 상당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도 3은 각 화소 전극(35)에 인가되는 전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23)에 의해 각 데이터선(231)으로부터 화소 전극(35)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위는 소정의 전위 Vc(예를 들어 대향 전극(41)의 공통 전위와 대략 동일한 전위)를 기준으로 하여 수평 주사 기간마다 극성(極性)이 반전된다. 즉, 제 i 행째(i는 자연수)의 주사선(211)이 선택되는 수평 주사 기간에서는, 전위 Vc와 그보다도 고위(高位)의 전위 Vdp 사이의 전위가 각 화소(P)의 계조에 따라 데이터선(231)에 공급되고, 제 (i+1) 행째의 주사선(211)이 선택되는 수평 주사 기간에서는, 전위 Vc와 그보다도 저위(低位)의 전위 Vdn 사이의 전위가 각 화소(P)의 계조에 따라 데이터선(231)에 공급된다(소위 라인 반전).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OCB 모드의 액정(15) 거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액정 장치(D)의 전원이 투입되지 않아 액정(15)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 도 4의 부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15)의 상태는 스프레이 배향으로 된다. 이 스프레이 배향은 액정(15)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151)가 그 장축을 각 기판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여 배향된 상태이다.
도 4의 부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막(51)에는, 액정(15)이 스프레이 배향에 있을 때에, 그 표면의 근방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151)의 장축이 배향막(51)의 표면에 대하여 각도 θpt만큼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배향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 스프레이 배향에 있는 액정 분자(151)를 배향막(51)의 표면에 정사영했을 때의 장축은 Y방향으로 평행한 방향 A를 향한다. 마찬가지로, 배향막(52)은, 스프레이 배향에 있는 액정 분자(151)가 그 표면에 대하여 각도 θpt만큼 경사지고, 또한 그 액정 분자(151)를 정사영했을 때의 장축이 Y방향을 향하도록, 배향막(52) 표면의 근방에 존재하는 각 액정 분자(151)를 배향시킨다. 즉, 각 배향막(5)에는 방향 A에 따른 배향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갖는 배향막(5)은 각 기판의 수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부터 SiOx 등의 무기 재료를 증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스프레이 배향의 액정(15)에 대하여 화소 전극(35)과 대향 전극(41)에 의해 전계를 인가하면, 그 배향 상태는 π 트위스트 배향으로 전이한다. π 트위스트 배향은, 도 4의 부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막(51)의 표면으로부터 배향막(52)의 표면에 걸쳐 액정 분자(151)의 장축 방향이 180° 회전하는 상태이다. 이 π 트위스트 배향으로부터 전이가 더 진행되면, 액정(15) 상태는 벤드 배향으로 된다. 이 벤드 배향은, 도 4의 부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15)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151)의 장축이 각 기판(제 1 기판(11) 또는 제 2 기판(12))과 대략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스프레이 배향은 화상 표시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 장치(D) 의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주사선 구동 회로(21)나 데이터선 구동 회로(23)에 의한 액정(15)의 구동(이하 「표시 구동」이라고 함)이 개시되기 전에, 액정(15)을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 이행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27)는 액정(15)을 벤드 배향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전위를 각 화소(P)의 액정 용량(PL)에 공급(이하에서는 이 동작을「전이 구동」이라고 함)하는 수단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27)는 홀수 행에 속하는 각 화소 전극(35)에 대하여 전위 Vtp 및 전위 Vtn의 한쪽을 공급하는 동시에, 짝수 행에 속하는 각 화소 전극(35)에 전위 Vtp 및 전위 Vtn의 다른쪽을 공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위 Vtp는 표시 구동 시에 화소 전극(35)에 인가되는 전위의 최고값(양극성)의 전위 Vdp보다도 높고, 전위 Vtn은 표시 구동 시에 화소 전극(35)에 인가되는 최저값(음극성)의 전위 Vdn보다도 낮다. 한편, 전이 구동 시에서도 대향 전극(41)에는 표시 구동 시와 동일한 공통 전위가 공급된다. 따라서, 전이 구동 시에 액정 용량(PL)에 인가되는 전압은 표시 구동 시에 액정 용량(PL)에 인가되는 전압의 최대값보다도 크다.
다만, 이상과 같이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27)에 의해 각 화소 전극(35)에 전위 Vtp 또는 전위 Vtn을 공급한 것만으로는 모든 액정 분자(151)를 효율적으로 벤드 배향으로 이행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그리고, 표시 구동 시에 스프레이 배향의 액정 분자(151)가 남아 있으면, 이 부분이 화상의 결함으로서 관찰자에게 지각(知覺)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는, 모든 액정 분자(151)를 벤드 배향으로 이행시킬 수 있었다고 하여도, 그 이행에 장시간을 요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27)에 의해 각 화소 전극(35)에 전위 Vtp 또는 전위 Vtn이 공급되었을 때에,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 기점인 전이핵이 각 화소 전극(35)의 틈에 발현되도록 각 화소 전극(35)의 외형(外形)이 선정되어 있다. 각 화소 전극(35)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각 화소 전극(35)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제 1 기판(11)을 제 2 기판(12)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에서는 4개의 화소 전극(35)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그 이외의 화소 전극(35)도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 전극(35)은 X방향 및 Y방향에 걸쳐 서로 간격을 두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각 화소(P)의 X방향에서의 피치 Pt는 20㎛정도 내지 그 이하이다. 또한, 피치 Pt는 1개의 화소 전극(35)의 X방향에서의 치수와, 이 화소 전극(35)에 대하여 X방향의 한쪽 측에 인접하는 다른 화소 전극(35)과의 간격의 가산값에 상당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화소 전극(35)은 X방향으로 연장되는 2변과 Y방향으로 연장되는 2변에 의해 획정(劃定)되는 사각형(S) 중 Y방향(즉, 각 배향막(5)에 실시된 배향 처리의 방향 A)의 플러스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코 너부 각각을 사각형 형상으로 잘라낸 형상(凸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화소 전극(35)의 Y방향의 플러스 측에 위치하는 에지(이하 「대향 에지부」라고 함)(62) 중 잘라내진 부분(이하 「절결부」라고 함)(621)과 그 Y방향의 플러스 측에 인접하는 다른 화소 전극(35)(이하에서는 특히 「인접 화소 전극(35)」이라고 함)의 에지와의 간격 Lg1은 대향 에지부(62) 중 절결부(621) 이외의 부분(623)과 인접 화소 전극(35)과의 간격 Lg2보다도 크다.
환언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화소 전극(35)은, 대략 사각형 형상의 제 1 부분(351)과 이 제 1 부분(351)보다도 X방향의 치수가 작은 대략 사각형 형상의 제 2 부분(352)을 제 1 부분(351)으로부터 보아 Y방향의 플러스 측, 또한 상기 제 1 부분(351)의 X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제 2 부분(352)이 위치하도록 연결시킨 형상이라고 파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부분(352)을 사이에 두어 X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제 2 부분(352)의 X방향에서의 에지로부터 제 1 부분(351)이 돌출된 부분)이 절결부(621)에 상당한다.
X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 전극(35)에 주목했을 때에, X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각 절결부(621)의 간격(즉, 각 절결부(621)의 X방향의 치수와 각 화소 전극(35)의 X방향의 간격의 총합) Ls는 예를 들어 6㎛ 정도이다. 한편, 1개의 화소 전극(35)의 대향 에지부(62) 중 절결부(621) 이외의 부분(623)과 이 화소 전극(35)에 Y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 전극(35)의 에지와의 거리 Lg2는 3㎛ 정도이다. 즉, 치수 Ls는 치수 Lg2보다도 크다.
이상의 구성에 의거하여, 액정 용량(PL)에 각 행마다 역극성(逆極性)의 전압 이 인가되면, 각 화소 전극(35)의 절결부(621)와 그 Y방향의 플러스 측에 위치하는 인접 화소 전극(35)의 에지의 틈에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핵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27)가 제 i 행째의 각 화소 전극(35)에 음극성(도 5에서는 부호 [-]가 부기되어 있음)의 전위 Vtn을 공급하는 동시에, 제 (i+1) 행째의 각 화소 전극(35)에 양극성(도 5에서는 부호 [+]가 부기되어 있음)의 전위 Vtp를 공급한 경우를 상정(想定)한다. 이 때, 제 i 행째에 속하는 화소 전극(35)과 각각의 Y방향에 위치하는 인접 화소 전극(35) 사이에는 전계가 발생한다. 초기에 스프레이 배향에 있던 액정(15)은 이 전계에 의해 π 트위스트 배향으로 전이한다. 한편, X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화소 전극(35)의 전위는 약간 상이하기 때문에, 각 화소 전극(35)과 그 X방향의 플러스 측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35) 사이에도 전계가 발생한다. Y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 전극(35) 사이의 전계에 의해 π 트위스트 배향으로 된 액정 분자(151)는, 이 X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 전극(35) 사이의 전계에 의해 벤드 배향으로 전이한다. 즉, 이 부분에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핵이 발현된다. 이 전이핵을 기점으로 하여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가 차례로 면내(面內) 방향으로 확대되어 감으로써, 모든 화소(P)에 대응하는 액정(15) 분자가 벤드 배향으로 전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35)을 절결부(621)가 형성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이핵을 발현시켜 배향의 전이를 촉진시킬 수 있다. 화소 전 극(35)을 도 5에 나타낸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것만으로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액정(15)에 분산된 입자나 기판 위의 볼록부에 의해 전이핵을 발생시키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제조 비용의 저감이나 구성의 간소화가 도모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화소 전극(35)에 절결부(62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1개의 화소 전극(35)에만 절결부(621)가 형성된 구성과 비교하여 액정(15)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벤드 배향으로 전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구동 시보다도 높은 전압이 전이 구동 시에 액정(15)에 인가되기 때문에, 전이 구동 시에 액정(15)에 인가되는 전압을 표시 구동 시와 동등하게 하거나 그 이하로 한 구성과 비교하여 신속하고 확실하게 액정(15)을 벤드 배향으로 전이시킬 수 있다.
<B : 변형예>
상술한 실시예에는 다양한 변형을 부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의 형태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이하의 각 형태를 적절히 조합시킬 수도 있다.
(1) 변형예 1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사각형(S)의 코너부를 사각형 형상으로 잘라낸 형상의 화소 전극(35)을 예시했지만, 각 화소 전극(35)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소 전극(35)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각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S)의 코너부를 비스듬하게 잘라낸 형상의 화소 전극(35)도 채용할 수 있다. 즉, 본 형태의 화소 전극(35)은 그 절결부(621) 에서의 에지가 X방향 및 Y방향에 대하여 각도(약 45°)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환언하면, 본 형태에서의 화소 전극(35)은, 대략 사각형 형상의 제 1 부분(351)과 사다리꼴(여기서는 등각사다리꼴) 형상의 제 2 부분(352)을 제 2 부분(352)의 바닥(평행한 대변(對邊) 중 긴 쪽의 변)이 제 1 부분(351)에 접하도록 Y방향으로 연결시킨 형상이라고 파악할 수도 있다.
각 화소 전극(35)의 대향 에지부(62) 중 절결부(621) 이외의 부분(623)과 그 Y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화소 전극(35)의 간격 Lg2는 3㎛ 정도이다. 액정(15)의 두께(배향막(51) 표면과 배향막(52) 표면의 거리)는 4㎛ 정도이기 때문에, 간격 Lg2는 액정(15)의 두께보다도 작다. 또한, 각 화소 전극(35)의 대향 에지부(62) 중 절결부(621) 이외의 부분(623)의 X방향에서의 길이 Ls는 간격 Lg2보다도 큰 치수로 된다. 본 형태에 의하면,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π 트위스트 배향으로 전이한 액정 분자(151)를 원활하게 벤드 배향으로 전이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화소 전극(35)의 대향 에지부(62) 중 X방향에서의 단부에 절결부(621)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35)의 대향 에지부(62) 중 X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사각형 형상의 절결부(621)가 형성된 구성이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35)의 대향 에지부(62) 중 X방향에서의 중앙부가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잘라내진 구성도 채용된다. 또한, 이상의 각 형태에서는 화소 전극(35)의 대향 에지부(62) 중 X방향에서의 양쪽 단부에 절결부(621)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화소 전극(35)의 대향 에지부(62) 중 X방향에서의 한쪽 단부(여기서는 X방향의 플러스 측 단부)에만 절결 부(621)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개의 화소 전극(35)의 대향 에지부(62)에 그 Y방향에 위치하는 인접 화소 전극(35)과의 간격 Lg1이 상기 대향 에지부(62)의 다른 부분(623)과 인접 화소 전극(35)과의 간격 Lg2보다도 큰 절결부(621)가 형성된 구성이면 충분하고, 이 절결부(621)의 형상이나 위치는 임의로 변경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절결부」라고는 하여도, 미리 화소(P)마다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전극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절결부(621)가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제 1 기판(11)의 전면(全面)을 덮는 도전성 막체를 패터닝할 때에 함께 절결부(621)가 제거됨으로써 도 5 내지 도 9의 형상의 화소 전극(35)이 형성된다.
(2) 변형예 2
실시예에서는 모든 화소 전극(35)에 절결부(621)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일부 화소 전극(35)에만 절결부(621)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도, 모든 화소 전극(35)에 절결부(621)가 형성되지 않은 구성과 비교하면,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의 전이를 촉진시킨다는 본 발명의 소기 효과는 확실히 나타난다. 다만, 전이의 신속화라는 관점에서 보면, 보다 다수의 화소 전극(35)이 절결부(621)를 갖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3) 변형예 3
실시예에서는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27)가 주사선 구동 회로(21)나 데이터선 구동 회로(23)와는 별개의 회로로 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주사선 구동 회로(21)나 데이터선 구동 회로(23)를 액정(15)을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 전 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겸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이 구동 시에서 주사선 구동 회로(21)가 수평 주사 기간마다 각 주사선(211)에 선택 전위를 인가하는 한편, 데이터선 구동 회로(23)가 수평 주사 기간마다 전위 Vtp 및 전위 Vtn을 번갈아 선택하여 모든 데이터선(231)에 인가한다는 형태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사선 구동 회로(21)나 데이터선 구동 회로(23)에 독립적으로 전이용 전위 공급 회로(27)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저감이나 프레임 영역(화소 영역(Ad) 주위의 영역)의 협소화가 도모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액정 용량(PL)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각 행마다 반전시키는 라인 반전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더하여, 액정 용량(PL)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각 열마다 반전시키는 구성(소위 도트(dot) 반전)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Y방향으로 인접하는 1개의 화소 전극과 다른 화소 전극에 별개의 전위가 공급되는 구성이면 충분하고, X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화소 전극의 전위 여하는 불문한다.
(4) 변형예 4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35)의 전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로서 TFT 소자(31)를 사용한 액정 장치(D)를 예시했지만, 이 TFT 소자(31) 대신에 2단자형 스위칭 소자인 TFD(Thin Film Diode) 소자를 사용한 액정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D)는 제 1 기판(11)의 표면 위에 복수의 화소 전극(35)이 면 형상(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이면 충분하다.
(5) 변형예 5
실시예에서는 배향막(5)이 SiOx 등의 무기 재료에 의해 형성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그 재료는 임의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등의 유기 재료에 의해 배향막(5)이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배향막(5) 표면에 대하여 Y방향으로 러빙(rubbing)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스프레이 배향에 있는 액정 분자(151)를 도 4의 부분 (a)에 예시한 자세로 배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배향막은 그 표면의 근방에 있는 스프레이 배향의 액정 분자(151)가 소기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방향 A에 따른 배향 처리(즉, 각 기판의 수선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부터의 증착이나, 배향막 표면을 러빙 직물에 의해 문지르는 러빙 처리)가 실시된 막체이면 충분하다.
그런데, 유기 재료에 의해 형성된 배향막은 무기 재료에 의해 형성된 배향막과 비교하면 가열에 의해 특성이 변화하기 쉽다는 경향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D)는 예를 들어 투사형 표시 장치에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채용된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이러한 투사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장치(D)에는 관찰자가 표시면을 직시함으로써 화상을 지각하는 타입의 액정 장치(D)(예를 들어 액정 텔레비전 등에 탑재되는 액정 장치(D))와 비교하여 강한 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액정 패널(10)에 열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투사형 표시 장치에 채용되는 액정 장치(D)에서는, 실시예에 예시한 바와 같이SiOx 등의 무기 재료에 의해 배향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변형예 6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화소 전극(35)이 배치된 제 1 기판(11)이 배면(背面) 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2 기판(12)이 관찰 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제 1 기판(11)이 관찰 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2 기판(12)이 배면 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투과형 액정 패널(10)을 예시했지만, 관찰 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반사형 액정 패널이나, 이들 양쪽의 방식에 의한 표시가 가능한 반투과 반사형 액정 패널에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 반사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 액정 패널에 있어서, 각 화소 전극(35)을 알루미늄이나 은과 같은 광반사성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하면, 화소 전극(35)과는 별개로 반사층이 형성된 구성과 비교하여 구성의 간소화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C : 전자 기기>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투사형 표시 장치(Dp)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각색에 대응하는 3개의 액정 장치(D)(Dr, Dg, Db)와, 광을 출사하는 조명 광학계(70)와, 이 조명 광학계(70)로부터의 출사광을 적색과 녹색과 청색의 각색 광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액정 장치(D)로 유도하는 광분리 광학계(80)와, 각 액정 장치로부터의 출사광을 합성하는 다이크로익 프리즘(dichroic prism)(91)과, 이 다이크로익 프리즘(91)으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 (92)를 갖는다.
조명 광학계(70)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광원(71)(예를 들어 할로겐 램프)을 갖는다. 이 광원(71)으로부터의 출사광은 각각이 복수의 렌즈를 면 형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 1 렌즈 어레이(72)와 제 2 렌즈 어레이(73)를 투과함으로써 복수의 광속(光束)으로 변환된 후 편광 발생체(74)에 도달한다. 이 편광 발생체(74)는 입사광을 s편광 및 p편광 중의 어느것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편광 발생체(74)로부터의 출사광(편광)은 렌즈(75)를 투과하여 광분리 광학계(80)에 입사된다.
이 광분리 광학계(80)는 조명 광학계(70)로부터의 출사광을 적색광과 녹색광과 청색광으로 분리하는 수단이다. 도 10에 나타낸 다이크로익 미러(81)는 적색광을 반사시키는 동시에 녹색광 및 청색광을 투과시킨다. 이 다이크로익 미러(81)에 의해 반사된 적색광은 반사판(82)에 의해 반사된 후 필드 렌즈(field lens)(83)를 투과하여 액정 장치(Dr)에 입사된다. 한편, 다이크로익 미러(84)는 다이크로익 미러(81)를 투과한 광 중 녹색광을 반사시키는 동시에 청색광을 투과시킨다. 이 다이크로익 미러(84)에 의해 반사된 녹색광은 필드 렌즈(85)를 투과하여 액정 장치(Dg)에 입사된다. 또한, 다이크로익 미러(84)를 투과한 청색광은 릴레이(relay) 렌즈계(86)를 경유하여 액정 장치(Db)에 입사된다. 즉, 이 청색광은 입사측 렌즈(861)를 투과하는 동시에 반사판(862)에 의해 반사된 후 릴레이 렌즈(863)를 투과하고, 또한 반사판(864)에 의해 반사되고 나서 출사측 렌즈(865)를 투과하여 액정 장치(Db)에 입사된다.
각 액정 장치(D)(Dr, Dg, Db)는 상술한 실시예(또는 각 변형예)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소(P)마다 입사광을 변조하여 출사한다. 3개의 액정 장치(D)로부터의 출사광은 다이크로익 프리즘(91)에 의해 합성된 후 투사 렌즈(92)에 입사된다. 투사 렌즈(92)는 다이크로익 프리즘(91)으로부터의 출사광을 평판(平板) 형상의 스크린(R)에 투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가 채용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도 10에 예시한 투사형 표시 장치 이외에도, 휴대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휴대형 정보 단말(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스틸 카메라, 텔레비전, 비디오 카메라, 카 네비게이션 장치, 소형 무선 호출기(pager), 전자수첩, 전자종이, 전자계산기, 워드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텔레비전 전화, POS 단말,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비디오 플레이어,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에 의해 액정을 스프레이 배향으로부터 벤드 배향으로 전이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제 1 기판과,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배향막과,
    상기 배향막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과,
    상기 액정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대향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에 포함되는 제 1 화소 전극과 제 2 화소 전극이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 1 화소 전극이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화소 전극의 거리인 제 1 거리가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화소 전극의 거리인 제 2 거리보다 크고, 상기 대향 전극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적어도 어느것의 사이에 전계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액정의 배향 상태가 스프레이(spray) 배향으로부터 벤드(bend) 배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전극 위에서의 상기 액정의 배향 상태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화소 전극 사이에 생기는 전이핵(轉移核)을 기점(起點)으로 하여 변화하는 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이 복수의 분자를 갖고, 상기 분자의 각각이 장축(長軸)과 단축(短軸)을 가지며, 상기 액정의 배향 상태가 상기 스프레이 배향일 때, 상기 각 장축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배향에서, 상기 복수의 분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배향막의 표면에 대하여 10°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배치를 취하는 액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이 복수의 분자를 갖고, 상기 분자의 각각이 장축과 단축을 가지며, 상기 액정의 배향 상태가 상기 벤드 배향일 때, 상기 복수의 분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장축이 상기 제 1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어 배향되어 있는 액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제 1 단부(端部)를 갖고, 상기 제 2 부분이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기판의 에지부 일부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부의 상기 일부가 상기 제 2 화소 전극과 대향하며, 상기 제 1 단 부와 상기 제 2 화소 전극의 코너(corner)의 하나가 대향하는 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제 1 단부를 갖고, 상기 제 2 부분이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기판의 에지부 일부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부의 상기 일부가 상기 제 2 화소 전극과 대향하며, 상기 제 2 단부와 상기 제 2 화소 전극의 코너의 하나가 대향하는 액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제 1 단부를 갖고, 상기 제 2 부분이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제 1 단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제 2 단부의 일부가 각도를 이루는 액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전극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적어도 어느것이 상기 제 1 화소 전극과 동일한 형상인 액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이 상기 제 1 기판의 법선(法線)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기판을 향하여 무기(無機) 재료를 증착(蒸着)함으로써 형성 되는 액정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이 OCB 모드인 액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이 상기 벤드 배향일 때,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제 1 전계를 인가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액정이 상기 스프레이 배향일 때,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제 2 전계를 인가하는 전위 공급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 2 전계가 상기 제 1 전계보다 큰 액정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23075A 2005-03-14 2006-03-13 액정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857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70502A JP4211745B2 (ja) 2005-03-14 2005-03-14 液晶装置、電子機器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JP-P-2005-00070502 2005-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940A true KR20060100940A (ko) 2006-09-21
KR100857516B1 KR100857516B1 (ko) 2008-09-08

Family

ID=3697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075A KR100857516B1 (ko) 2005-03-14 2006-03-13 액정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71366B2 (ko)
JP (1) JP4211745B2 (ko)
KR (1) KR100857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5420B2 (ja) * 2007-02-09 2012-11-21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4974029B2 (ja) * 2007-07-26 2012-07-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液晶表示装置
JP2009075503A (ja) * 2007-09-25 2009-04-0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8654297B2 (en) 2008-06-30 2014-02-18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102491B2 (en) * 2008-07-10 2012-01-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1077916A1 (en) * 2009-12-24 2011-06-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3924B (en) * 1998-09-03 2005-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producing thereof, and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145536B1 (en) * 1999-03-26 2006-12-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236791B2 (ja) 1999-03-26 2009-03-1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ディスプレイ、プロジェクター、ゴーグル型ディスプレイ、携帯情報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
JP2000330141A (ja) 1999-05-24 2000-11-30 Canon Inc 液晶素子
JP3338025B2 (ja) * 1999-10-05 2002-10-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2001281668A (ja) * 2000-01-24 2001-10-10 Canon Inc 液晶素子
WO2002050603A1 (fr) * 2000-12-19 2002-06-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et son procede de commande
JP3971175B2 (ja) 2000-12-19 2007-09-05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842717B1 (ko) * 2001-01-25 2008-07-01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표시장치
JP4316151B2 (ja) 2001-03-09 2009-08-19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213364B2 (ja) 2001-05-31 2009-01-21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883514B2 (ja) 2001-09-11 2012-02-2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3140194A (ja) 2001-11-01 2003-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3280036A (ja) 2002-03-26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4310139A (ja) 2004-08-06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516B1 (ko) 2008-09-08
JP4211745B2 (ja) 2009-01-21
JP2006251605A (ja) 2006-09-21
US7471366B2 (en) 2008-12-30
US20060203171A1 (en)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686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853419B2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用基板
CN107203078B (zh) 显示装置
KR100857516B1 (ko) 액정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07853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광학 블럭
US20080079856A1 (en) Liquid-crystal device, method for driving liquid-crystal device, proj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5173544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87720A (ja) 液晶装置、電子機器
JP4042725B2 (ja)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12751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3794187B2 (ja) 液晶装置、電子機器、投射型表示装置
JP4729923B2 (ja) 液晶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
JP4604988B2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2008015229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6065964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140078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442577B2 (ja) 液晶装置
TWI363208B (en) Large view angle liquid crystal display
JP2001324722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086446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2062536A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KR100788394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JP5369554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145564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201959A (ja)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