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407A -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407A
KR20060100407A KR1020067008508A KR20067008508A KR20060100407A KR 20060100407 A KR20060100407 A KR 20060100407A KR 1020067008508 A KR1020067008508 A KR 1020067008508A KR 20067008508 A KR20067008508 A KR 20067008508A KR 20060100407 A KR20060100407 A KR 20060100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play electrodes
display
electrodes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고토
미키히코 니시타니
가츠미 아다치
요시노리 야마다
사토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면에 행 방향으로 연장된 표시 전극이 복수 쌍씩 병설된 제 1 기판과, 일측 면에 열 방향으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병설된 제 2 기판을 가지며, 상기 표시 전극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이 방전공간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도록 제 1 및 제 2 기판이 대향 배치되며, 당해 교차부분에 대응하여 방전 셀이 형성된 구성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로, 한 쌍의 표시 전극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각 표시 전극은, 행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와, 당해 베이스부로부터 한 쌍의 표시 전극의 방전 간극에 면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대향부를 구비하며, 방전 셀 내에서, 한 쌍의 표시 전극의 각 대향부끼리의 사이에 방전개시 갭이 형성되는 동시에, 2개 이상의 당해 방전개시 갭이 각각 방전공간을 사이에 두고 어드레스 전극과 중첩되어 있고, 구동시에는 각 상기 대향부에서 전계강도의 피크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방전개시 갭, 어드레스 전극, 중첩, 전계강도, 피크

Description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정보 표시장치나 평면형 텔레비전장치로 이용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가스방전패널의 일종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 한다)은 가스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에 의해서 형광체를 여기(excitation) 하여 발광시켜서 화상을 표시하는 자 발광형(self-emitting type) FDP(Flat Display Panel)이다. PDP는 구동전력의 종류에 따라서 교류(AC)형과 직류(DC)형으로 분류된다. AC형은 휘도, 발광효율, 수명 등의 특성에서 DC형보다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AC형 중에서도 특히 반사형 면 방전 타입은 휘도 및 발광효율 면에서 특출하여, 컴퓨터용 디스플레이나 대형 텔레비전 모니터, 업무용 표시장치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9는 일반적인 AC형 PDP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 중, z방향이 PDP의 두께 방향, xy평면이 PDP의 패널 면에 평행한 평면에 상당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PDP(1)는 서로 주 면을 대향 시켜서 배치된 프런트 패널(FP) 및 백 패널(BP)을 주로 하여 구성된다.
프런트 패널(FP)의 기판이 되는 프런트 패널 유리(2)에는 그 일측 주 면에 한 쌍을 이루는 2개의 표시 전극(4, 5, 스캔 전극(4), 서스테인 전극(5))이 x방향에 따라서 복수 쌍에 걸쳐서 구성되고, 각 쌍의 표시 전극(4, 5) 사이를 주 방전 갭으로 하여 면 방전(유지방전)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도 9에 도시하는 표시 전극(4, 5)은 폭이 넓은 띠 형상의 ITO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400, 500)과, 각 투명 전극(400, 500)에 적층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베이스부(401, 501)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캔 전극(4)에는 각각 전기적으로 독립하여 급전된다. 또, 각 서스테인 전극(5)에는 전기적으로 동 전위에 접속되어 급전된다.
상기 표시 전극(4, 5)을 배치한 프런트 패널 유리(2)의 주 면에는 표시 전극(4, 5)을 피복하도록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층(6)과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층(7)이 순차 도포되어 있다.
백 패널(BP)의 기판이 되는 백 패널 유리(3)에는 그 일측 주 면이 복수의 어드레스(데이터) 전극(11)이 y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스트라이프 형상(stripe pattern)으로 병설된다. 이 어드레스 전극(11)은 일례로 Ag와 유리의 혼합 재료를 소성하여 이루어진다.
어드레스 전극(11)이 배치된 백 패널 유리(3)의 주 면에는 어드레스 전극(11)을 피복하도록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층(10)이 도포된다. 유전체 층(10) 상에는 인접하는 2개의 어드레스 전극(11)의 간극에 맞추어서 y방향에 따라서 격벽(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2개의 격벽(30)의 각 측벽과 그 사이의 유전체 층(10)의 면 상에는 원호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적색(R), 녹색(G), 청 색(B) 중 어느 한 색에 대응하는 형광체 층(9R, 9G, 9B)이 형성된다.
이상의 한 쌍의 프런트 패널(FP)과 백 패널(BP)은 어드레스 전극(11)과 표시 전극(4, 5)의 상호 길이방향이 직교하도록 대향 배치된다.
프런트 패널(FP)과 백 패널(BP)은 플릿 유리(glass flit) 등의 밀봉부재에 의해 각각의 주연부에서 밀봉되어, 양 패널(FP, BP)의 대향 주면 내부가 밀폐되어 있다. 밀봉된 프런트 패널(FP)과 백 패널(BP)의 내부에는, 일례로 Ne-Xe 계(Xe가 5-30% 비율로 포함)의 방전가스가 소정의 압력(예를 들어, 통상 40㎪-66.5㎪ 정도)으로 봉입된다.
프런트 패널(FP)과 백 패널(BP) 사이에서 유전체 층(6)과 형광체 층(9R, 9G, 9B) 및 인접하는 2개의 격벽(30)으로 구분된 각 공간이 방전공간(38)이 된다. 또,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전극(4, 5)과 하나의 어드레스 전극(11)이 방전공간(38)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는 영역이 화상의 표시에 관한 방전 셀(8, 도 1 참조)에 대응한다.
그리고 PDP 구동시에는 지정된 방전 셀(8)에서 어드레스 전극(11)과 표시 전극(4, 5)과의 사이에서 어드레스방전이 개시되고, 한 쌍의 표시 전극(4, 5) 사이에서의 유지 방전에 의해 단파장 자외선(Xe 공명선, 파장 약 147㎚)이 발생하며, 이 자외선을 받은 형광체 층(9R, 9G, 9B)이 가시광을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표시된다. 화상표시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는 필드 계조 표시방식(field gradation display method)이 채용되며, 방전 횟수가 다른 복수의 기간(서브 필드)을 계조에 따라서 선택함으로써 1매의 화상이 계조 표시된다.
이와 같은 PDP는 박형(thin screen)이면서 동화상의 표시 품질이 우수한 디스플레이이지만, 동일한 박형 디스플레이인 액정 디스플레이 등과 비교하면 소비전력 및 발광 시의 피크 전류가 큰 성질이 있어서, 이들의 억제가 과제로 되어 있다.
또, 구조적으로는, y방향에서 인접하는 방전 셀(8)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으므로, 구동 시에 지정된 소정의 방전 셀이 방전 발광할 때에 인접 셀에도 대하 입자(charged particle) 등이 유출되어, 이른바 크로스 토크(cross-talk) 등의 오 방전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오 방전은 해상도의 저하를 초래해서 화질을 열화시켜 버리므로, 이에 대해서도 해결이 요청되고 있다.
소비전력의 절감을 도모하기 위해 피크 전류를 저하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8-315735호 공보(당해 공보의 제 4 페이지 및 도 1 참조)에, 표시 전극을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피크 전류를 복수로 분할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 소비전력의 절감으로 도모하는 다른 대책으로, 일본국 특개2002-134030호 공보에는, 투명전극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재료 및 공정에 드는 비용의 절감을 도모하고, 또한, 복수의 금속 세선(401, 417, 418, 501, 517, 518)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전극(4, 5)을 이용함으로써 전기 저항의 감소를 의도한 구성(도 7)이 제안되어 있다.
또, PDP의 오 방전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2000-133149호 공보(그 제 4 페이지 및 도 7 참조)에서, 방전 셀 내의 표시 전극에 2쌍의 전극 절편(切片)을 형성함으로써 방전 셀의 중심에 전계 집중영역을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2001-243883호 공보에는, 표시 전극의 면적 을 줄이고, 띠 형상의 전극 베이스(401, 501)에 돌출부(419a, 419b, 519a, 519b)를 설치하여 당해 돌출부 간에 전계를 집중시켜 방전시켜서, 외측 돌출부(420a, 420b, 520a, 520b)까지 방전을 확대시키는 것을 의도한 구성(도 8 참조)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8-315735호 공보와 같이, 표시 전극을 길이 방향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방전의 전류 피크가 분할되는 대신 방전개시전압이 상승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방전개시전압의 상승은, 소비전력이 증가할 뿐 아니라, 표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용 드라이버 IC의 내압을 올릴 필요가 있으므로, 그만큼 재료의 비용도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일본국 특개2002-134030호 공보의 구성에서는, 통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 세선을 두껍게(전극면적이 커지도록) 하면 셀 개구율(aperture ratio)이 저하하여 충분한 휘도를 얻기가 어렵다.
또, 일본국 특개2000-133149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오 방전은 방지되나, 방전 시의 피크 전류가 커지는 외에, 방전 셀의 중심에서 전계가 집중되므로 방전 강도가 셀의 중심부에서 강해서, 방전 셀 전체의 방전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기가 곤란하다. 또, 방전 절편의 간격이 좁으므로 무효전력이 비교적 큰 만큼 휘도가 저하하기 쉽다는 과제도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1-243883호 공보의 방법에서는, 방전공간을 사이에 둔 표시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과의 교차영역이 작아져서, 어드레스 방전의 기입 불량이나 방전 지연과 같은 화상 표시성능의 저하의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런 이유에서, 상기 어느 종래 방법을 채용해도 과제를 충분하게 해결하기 는 어렵다. 또, 이들 방법에서는 표시 전극의 면적을 일반적인 것보다 감소시키고 있으나, 이 구성에 의해 휘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별도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 1 목적으로는, 재료, 공정의 삭감 및 수율의 향상에 의해 각종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양호한 화상의 표시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PDP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제 2 목적으로는, 구동 시의 무효전력의 감소를 도모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며, 우수한 발광 효율을 갖는 PDP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제 3 목적으로는, 어드레스 방전의 방전 지연이나 크로스 토크 등의 오 방전의 발생이 적은 PDP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 면에 행 방향으로 연장된 표시 전극이 복수 쌍씩 병설된 제 1 기판과, 일측 면에 열 방향으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이 스트라이프 형상((stripe pattern)으로 병설된 제 2 기판을 가지며, 상기 표시 전극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이 방전공간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도록 제 1 및 제 2 기판이 대향 배치되고, 당해 교차부분에 대응하여 방전 셀이 형성된 구성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로, 한 쌍의 표시 전극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각 표시 전극은, 행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와, 당해 베이스부로부터 한 쌍의 표시 전극의 방전 간극에 면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대향부를 구비하며, 방전 셀 내에서, 한 쌍의 표시 전극의 각 대향부끼리의 사이에 방전개시 갭(discharge starting gap)이 형성되며, 당해 간극의 2개 이상이 각각 방전공간을 사이에 두고 어드레스 전극과 중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여기서, 상기 대향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열 방향으로 연장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접속부의 열 방향의 폭보다 길게 행 방향으로 연장된 주 방전부로 구성되어 있고, 한 쌍의 표시 전극의 각 주 방전부끼리의 사이에서 상기 방전개시 갭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각 표시 전극의 상기 대향부는 한 쌍의 표시 전극 사이에서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시에 한 쌍의 표시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복수의 대향부(구체적으로는 주 방전부)에서 각각 전계강도의 피크가 형성되어, 이 각 부분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이 각 피크 위치에서는 전계가 집중되고 있으므로, 비교적 방전개시전압이 낮아도 양호하게 방전을 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후, 이 전계강도의 피크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방전이 발생하고 확대하여, 방전 셀 전체에 걸쳐서 양호한 규모의 방전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표시 전극이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투명 전극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전기 저항이 감소되어 있어서, 구동 전압의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실효 전압을 높일 수 있으므로, 구동에 소요되는 소비전력의 감소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전극이 상기와 같이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기 저항이 낮으므로, 구동 시에 표시 전극 상에 벽 전하를 형성하기 위한 시간(충전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서, 양호한 고속 구동을 행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소비전력의 절감을 도모하면서 양호한 화상의 표시성능을 얻기 위해 필요한 휘도도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방전개시 갭과 어드레스 전극과의 위치 관계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방전 공간을 사이에 둔 어드레스 전극과 표시 전극에서의 방전개시위치와의 교차에 관한 면적(유효 방전면적)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드레스 방전이 용이해져서, 기입 불량 및 방전 지연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서 바람직하다.
또, 각 방전 셀 영역 내에서 각 대향부는 어드레스 전극을 선 대칭으로 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또, 각 표시 전극에서 상기 대향부가 행 방향에 걸쳐서 복수 배치되어 있고, 동일 극성으로 인접하는 대향부끼리의 간극을 어드레스 전극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방전개시위치를 방전 셀의 중심보다도 형광체 층이 도포된 격벽에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유효하게 형광체 층에 도달하여 발광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는, 각 표시 전극에서 상기 대향부가 행 방향에 걸쳐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방전개시 갭의 폭을 어드레스 전극의 폭보다 좁게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전 셀 사이에는 행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격벽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조 격벽을 이용하면, 당해 보조 격벽에 의한 장벽효과를 이용하여 방전 셀 내에서의 열 방향으로의 방전(대전입자)의 진전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방전 셀에서 발생한 대전입자가 열 방향으로의 인접 셀에 부주의하게 흘러들어가는 것이 억제되어, 크로스 토크 등의 오 방전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표시 전극 사이에서 서로 삽입되도록 열 방향으로 배치한 대향부끼리의 사이에서 방전을 하도록 한 경우, 그 주된 방전방향은 종래 구성의 표시 전극과 달리 행 방향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대전입자가 비교적 열 방향에 인접하는 방전 셀에 흘러들어가기가 어려우나, 그래도 보조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크로스 토크의 방지 및 방전 지연의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표시 전극이 배치된 제 1 기판의 표면에는 상기 각 표시 전극을 피복 하도록 유전체 층이 설치되어 있고, 각 방전 셀 영역에서, 유전체 층에는 상기 방전개시 갭의 위치에 대응하여 얇은 층 영역(thin layer area)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각 방전 셀 영역에서, 유전체 층에는 동일 극성의 인접하는 대향부끼리의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두꺼운 층 영역(thick layer area)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얇은 층 영역 및 두꺼운 층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방전 셀 내에 보다 확실하게 복수의 전계강도의 피크를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PDP에 의하면, 양호한 소비전력에서의 구동을 행하고, 또한, 발광 효율의 향상과 상기 크로스 토크의 방지 효과, 및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에 의해, 우수한 화상의 표시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PDP에 의하면, 표시 전극을 금속재료만에 의해 형성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투명 전극과 금속 전극을 병용하는 구조에 비하여 재료 및 제조공정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의해서 대폭적인 비용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 1의 PDP에서의 방전 셀 주 면의 구성도,
도 2는 실시 예 1의 변형 예의 PDP에서의 방전 셀 주변의 구성도,
도 3은 실시 예 1의 변형 예의 PDP에서의 방전 셀 주변의 구성도,
도 4는 실시 예 1의 변형 예의 PDP에서의 방전 셀 주변의 구성도,
도 5는 실시 예 2의 PDP에서의 방전 셀 주변의 구성도,
도 6은 실시 예 2의 변형 예의 PDP에서의 방전 셀 주변의 구성도,
도 7은 종래의 PDP에서의 방전 셀 주변의 구성도,
도 8은 PDP에서의 방전 셀 주변의 구성도,
도 9는 일반적인 PDP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각 실시 예 및 변형 예의 PDP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순차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PDP의 주된 특징은 이하의 도 1- 도 6에 도시하는 방전 셀 주변의 구성에 있으며, 그 이외의 부분은 상기 도 9의 종래 구성의 PDP와 대략 동등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예 1)
본 발명의 실시 예 1은 무효전력을 감소시키면서도 방전개시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는 PDP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의 방전 셀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서, 한 쌍의 표시 전극(4, 5)은 x방향으로 연장된 Ag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형 베이스부(401, 501)와, 마찬가지로 Ag 재료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표시 전극(4, 5) 사이에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대향부(400a, 400b, 500a, 500b)로 구성된다.
또한, 대향부(400a, 400b, 500a, 500b) 각각은 직사각형의 복수(여기에서는 방전 셀(8) 내에 합계 4개)의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와 상기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를 접속하는 접속부(402a, 402b, 502a, 502b)가 전체적으로 대략 L자형의 갈고리 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는 행 방향으로 복수(여기에서는 2개소)의 방전개시 갭(discharge starting gap, Gf)을 형성하도록 2 쌍씩 대향 배치되어 있다.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에서는 그 각을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베벨부(beveled part, r)가 형성되어 있다.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의 각이 예리하게 되어 있으면,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시에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의 각에 전하가 집중될 수 있어서 오 방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도록 전하를 어느 정도 확산시키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또, 상기 베벨부(r)를 설치하는 대신,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의 각을 제거하여 곡선 형상으로 가공하는 수단도 가능하다.
대향부(400a, 400b, 500a, 500b)는 동일 극성(same polarity)의 인접하는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에서 서로 갭(GG)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있다. 어드레스 전극은, 여기에서는 y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분기부(11a, 11b)로 구성하며, 한 쌍의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와의 사이에서의 각 방전개시 갭(Gf)이 방전공간(38)을 사이에 두고 분기부(11a, 11b)의 바로 위에 중첩되도록 위치되어 있다.
사이즈의 예로는, 표시 전극(4, 5)의 전체를 이루는 Ag 재료(Ag 막)의 막 두께가 1㎛-3㎛ 정도, 띠형 베이스부(401, 501)의 y방향의 폭을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60㎛-100㎛,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의 y방향 폭을 20㎛-100㎛ 정도, 접속부(402a, 402b, 502a, 502b)의 x방향의 폭을 셀 개구율(cell aperture ratio)의 확보를 위해 20㎛-40㎛ 정도로 할 수 있으나, 물론 본 발명의 효과는 이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표시 전극(4, 5)의 각 부분에 어느 정도의 폭이 없으면 어드레스 방전이 불안정해지고, 또, 방전 셀(8)에서 벽 전하를 충분하게 축적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표시 전극(4, 5)의 각 부분의 폭을 넓게 하면, 이에 비례하여 셀 개구율이 낮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프런트 패널(FP)의 유전체 층(6)에는, 갭(GG)에 대응하는 위치의 막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전체 표면으로부터 약 10㎛-40㎛ 돌출시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두꺼운 층 영역(B)을 설치하는 동시에, 방전개시 갭(Gf)에 대응하는 위치의 막 두께를 비교적 얇게(전체 표면으로부터 약 5㎛ 함몰한 오목부로 하여)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얇은 층 영역(A)이 배치되어 있다.
얇은 층 영역(A) 및 두꺼운 층 영역(B)은 모두 감광성 유전체 시트를 이용한 포토 리소그라피 법이나 인쇄 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전개시전압을 감소시킬 목적에서, 표시 전극에 관한 유전체 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은 종래부터 검토되고 있었으나, 종래 구성에서 방전개시전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유전체 층의 막의 두께 차(함몰 깊이)로 15㎛에서 20㎛ 정도의 깊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깊은 단차는 방전개시전압의 감소는 도모할 수 있으나, 발생한 방전이 오목부 영역에 갇혀서, 그 이상 확대하기 어렵다는 과제도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방전 셀 내에서의 전위 분포의 변조를 행하여, 복수의 전계 피크를 발생시키는 것이 목적이며, 종래와 같이 방전개시전압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킬 필요는 없으므로, 유전체 층에 깊은 오목부의 단차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5㎛ 정도, 혹은 그 이하의 얕은 오목부라도 본 발명의 효과는 달성되며, 방전이 오목부에 갇히게 되는 것과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표시 전극 중 투명전극에 대하여 유전체 층의 얇은 층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나면, 얇은 층 영역 중에 대응하는 투명 전극의 표면적이 변화한다. 이에 의해, 얇은 층 영역과 투명 전극의 상호 작용이 불규칙해지 게 되어, 방전 셀 별로 방전전압에 편차가 발생하기 쉬워져서, 패널 전체에서의 휘도가 불균일해진다.
현재, 일반적인 유전체 층의 형성에는 스크린 인쇄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에 의해서 상기 편차를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로까지 없애기는 어렵다. 또, 유전체 층의 형성에 정밀도가 높은 포토 리소그라피 법을 이용하는 것은 비용이 대폭 증가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표시 전극이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시 전극의 주 방전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유전체 층의 오목부를 형성하면, 얇은 층 영역 중에 대응하는 표시 전극의 면적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유전체 층(6)의 재료로는, SiO2 등의 저 융점 유리보다도 유전율이 낮고, 또한, 내압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격벽(30)을 열 부분(301)과 행 부분(보조 격벽, 302)으로 구성되는 정(井) 자 형상의 격벽으로 하였으나, 이는 크로스 토크의 방지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며, 종래와 마찬가지로 스트라이프 형상의 격벽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예 1에서는, 표시 전극(4, 5)을 Ag 재료로 구성하고 있으나, 복합 재료인 Cr/Cu/Cr 막, Al-Nd 막, 혹은 단일체의 Cu, Al, Cr, Ti 등, 다른 금속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 않으나, 격벽(30)의 열 부분(301)에 따 라서 색 재현성을 높이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BM, 「블랙 스트라이프」라고도 한다)를 설치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 1의 PDP에 의하면, 각 방전개시 갭(Gf)이 분기부(11a, 11b)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방전개시위치가 분기부(11a, 11b)에 가까워져 있다. 그러므로 구동 시에 어드레스 방전의 발생이 용이해지고, 기입 불량이나 방전 지연의 문제도 억제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즉, 종래 기술(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2001-243883호 공보)과 같이, 표시 전극(4, 5)의 면적을 감소시킨 구성에서는 방전공간(38)을 사이에 두고 어드레스 전극과 표시 전극(특히 스캔 전극(4))의 교차면적이 극단적으로 저하되기 쉬워서(즉, 유효 방전면적이 저하되기 쉬워서) 어드레스 방전이 불안정해지나, 본 실시 예 1에서는 상기와 같은 개선에 의해 상기 교차면적(유효 방전면적)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어드레스 방전의 불합리성의 문제가 해소되게 되어 있다.
또한, 방전 셀(8) 내에서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가 비교적 좁은 방전개시 갭(Gf)을 사이에 두고 2쌍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 시에는 이 2개의 방전개시 갭(Gf) 부근의 각각에서 복수의 전계강도 피크가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방전 셀(8) 내에서 복수 개소(여기서는 행 방향으로 2개소)의 방전 발생이 열 방향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이런 이유에서, 종래에 비해서 방전 발생시점에서의 방전 규모가 크며, 이에 이어서 양호한 휘도 및 규모의 방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우수한 화상 표시성능이 발휘된다.
또, 본 실시 예 1에서는, 각 방전개시 갭(Gf) 부근에서 전계를 집중시킴으로 써 부분적으로 강한 전계가 형성되어, 비교적 용이하게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에 소요되는 방전개시전압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 1에서는, 두꺼운 층 영역(B)에서 유전체 층(6)의 두께를 확보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표시 전극(4, 5) 사이에서 형성되는 용량이 작게 억제되어, 벽 전하의 축적 양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전 셀(8) 영역 내에서는 벽 전하의 축적 양이 적은 두꺼운 층(B) 영역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의 2개소(즉, 각 방전개시 갭(Gf))에 전계강도의 피크가 반분되는 효과(젼계 변조효과)가 발생한다. 유전체 층(6)의 얇은 층(A) 영역에서는 두꺼운 층(B) 영역과는 반대로 벽 전하의 축적 양이 풍부하여 방전의 발생이 용이하다. 이런 이유에서, 얇은 층 영역(A)에 상당하는 영역에서는 비교적 낮은 방전개시전압에서도 방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방전개시 갭(Gf)에서 방전의 개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얇은 층 영역(A)과 두꺼운 층 영역(B)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이 중 어느 하나만을 설치해도 좋고, 어느 것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방전개시전압의 감소와 복수의 방전개시위치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역시 이들 양쪽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예 1에서는, 방전개시 갭(Gf)을 형성하는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가 갭(GG)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투명 전극(400, 500)을 갖는 종래 구성(도 9 참조)에 비해 한 쌍의 표시 전극(4, 5) 사이의 용량이 작게 억제되어 있다. 그러므로 유지방전기간에 비 점등으로 선택된 방전 셀(8)에 서, 상기 표시 전극(4, 5) 사이의 용량에 따라서 소비되는, 방전에 기여하지 않는 충전 전력인, 이른바 무효전력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갭(GG)을 사이에 두고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가 격벽(30) 부근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에서 발생하는 방전을 원호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형광체 층(9R, 9G, 9B, 도 9 참조)에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전에 관련된 자외선이 유효하게 형광체 층(9R, 9G, 9B)에 도달하여, 발광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1의 구성에서는, y방향에서의 인접 셀 사이에 격벽(30)의 행 부분(302)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방전 셀(8)에서 발생한 방전이 인접 셀로까지 확대되는 것이 방지되어, 크로스 토크 등의 오 방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변형 예 1, 2, 3)
실시 예 1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부(400a, 400b, 500a, 500b)의 구성을 L자형을 이용한 갈고리 형상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와 접속부(402a, 402b, 502a, 502b) 및 띠형 베이스부(401, 501)와의 접속방법을 조절함으로써, 이 외에도 T자형(주 방전부의 중앙영역 부근의 측면부에 접속부를 설치하는), Z자형(주 방전부와 띠 형상 베이스부를 경사진 접속부로 접속하는)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실시 예 1의 변형 예(변형 예 1)인 도 1의 구성과의 차이는 대향부의 구성 및 두꺼운 층 영역(B)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점만이다.
이 도 2에 도시한 대향부(400a, 400b)는 각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의 양단을 각각 2개의 접속부(402a, 402b, 502a, 502b, 404a, 404b, 504a, 504b)로 접속한 삼각 틀(triangular frame)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변형 예 1에 의하면, 실시 예 1과 거의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접속부(404a, 404b, 504a, 504b)가 증가됨에 따라서 표시 전극(4, 5)의 통전성이 개선되어, 보다 효율 좋게 방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각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를 복수의 접속부(402a, 402b, 502a, 502b, 404a, 404b, 504a, 504b)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이 중 하나의 접속부에서 단선 부분이 발생해도, 다른 접속부에 의해서 주 방전부와 띠형 베이스부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당해 단선 부분을 갖는 주 방전부 중 어느 하나가 방전 셀 내에서 전기적으로 고립되어 기능 하지 않게 될 위험(패턴 불량 등에 의한 단선 등의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전극(4, 5)에서, 예를 들어 셀 개구율을 올리기 위해 접속부를 세선으로 구성하며, 그때 어느 하나에 단선이 발생되었다고 해도, PDP가 정상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는 비율이 높아져서, 제조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의 구성에서는 두꺼운 층 영역(B)은 설치하고 있지 않으나, 방전개시 갭(Gf)의 바로 아래에 분기부(11a, 11b)가 중첩되어 있으므로, 방전 셀(8) 내에 충분하게 방전개시위치를 복수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 전극(4, 5)의 면적을 셀 개구율에 유의하면서 증대시킴으로써, 보다 휘도의 향상과 통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시하는 도 3은 이 점에서 도 1의 구성을 변화시킨 것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변형 예 2에서는, 도 1의 구성과 다른 점으로, 각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와 띠형 베이스부(401, 501) 사이에, 띠형 베이스부(401, 501)와 평행하게 제 2 띠형 베이스부(406, 506)를 설치하고, 또한, 접속부(407a, 407b, 507a, 507b)를 설치한 점에 있다. 또한, 이 구성 예에서는 두꺼운 층 영역(B)을 설치하지 않으며, 띠형 어드레스 전극(11)에서 상기 대향부(500a, 500b)의 갭(GG)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폭부(11c)를 형성하고 있다. 이 광폭부(11c)는 방전개시 갭(Gf)에도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변형 예 2에서도 실시 예 1 및 변형 예 1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제 2 띠형 베이스부(406, 506) 및 접속부(407a, 407b, 507a, 507b)를 증설한 만큼 전극 면적이 증가하므로, 표시 전극(4, 5)의 통전성이 보다 향상되어, 소비전력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광폭부(11c)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에 의해 어드레스 방전의 확실성도 양호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전극 면적을 그다지 증가시키지 않고도, 이하의 수단에 의해, 일정한 방전 규모를 확보할 수도 있다. 도 4는 기타 변형 예(변형 예 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표시 전극(4, 5)은, 띠형 베이스부(401, 501)에 대해, 격벽(30) 상을 따라서 연장되는 접속부(402a, 402b, 502a, 502b)와, 이들에 각각 접속된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를 구비한다. 그리고 동일 극성으로 인접하는 주 방전부 403a, 403b 혹은 503a, 503b가 각각 오목형 접속부(408, 508)에 의해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오목형 접속부(408, 508)가 띠형 어드레스 전극(11)과 중첩되고, 또한, 주 방전부 403a, 403b 혹은 503a, 503b 사이에 존재하는 각 방전개시 갭(Gf)도 일부 어드레스 전극(11)과 중첩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방전개시 갭(Gf)에 대응하는 위치에 얇은 층 영역(A)이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변형 예 3에 의하면, 실시 예 1 및 변형 예 1, 2와 거의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방전 셀(8)에서 개구율에 영향을 주는 전극 면적이 비교적 작으므로, 그만큼 양호한 셀 개구율이 되어, 우수한 휘도와 함께 화상의 표시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오목형 접속부(408, 508)를 배치함으로써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 사이의 통전성이 확보되어, 그만큼 방전개시 당초부터 양호한 방전 규모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 3, 4에 도시한 각 변형 예 1-3의 구성에서는 각 주 방전부(403a, 403b, 503a, 503b)를 각각 복수의 접속부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만일 어느 하나의 접속부에서 단선이 발생해도 주 방전부로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PDP 제조시의 수율을 개선하여, 비용의 절감을 도모한다는 큰 효과도 가지고 있다.
(실시 예 2)
다음에 도시하는 도 5는 실시 예 2에서의 PDP(1)의 방전 셀(8)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예 2의 PDP(1)의 구성은, 표시 전극(4, 5)을 Ag 재료로 구성하고, 또 한, 방전개시 갭(Gf)에 맞춰서 얇은 층 영역(A)을 설치하는 점 등에서는 실시 예 1과 동일하나,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전극(4, 5)에는 띠형 베이스부(401, 501)로부터 격벽(30)에 띠형 연장부(412a, 512a)가 배치되고, 이 띠형 연장부(412a, 512a)는 각각 한 쌍의 표시 전극(4, 5)의 사이에 서로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방전 셀(8) 내에서 띠형 연장부(412a, 512a)에 L자형 갈고리 형상의 대향부(416a, 416b, 516a, 516b)가 갭(GG)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대향부(416a, 416b, 516a, 516b)는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접속부(402a, 502a) 및 주 방전부(403a, 503a)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예 2에서는, 대향하는 대향부 416a와 516b, 및 대향부 516a와 416b 사이에서 대향하는 각 주 방전부(403a, 503a)에 각각 방전개시 갭(Gf)가 존재한다. 방전개시 갭(Gf)의 위치는 방전공간(38)을 사이에 두고 어드레스 전극(11)의 바로 위이면서, 또한, 당해 어드레스 전극(11)의 폭보다 방전개시 갭(Gf)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 2에서는, 방전 셀(8) 내에서, 열 방향에 2개소, 방전방향으로는 행 방향에 배치된 2개의 방전개시 갭(Gf)이 존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체적인 표시 전극(4, 5)의 형상 패턴은, 여기에서는 격벽(30)을 선 대칭으로 하여 x방향에서 인접하는 방전 셀(8)에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 2에서는, 방전개시 갭(Gf)에 대응하는 위치(방전 셀(8) 내에서 2개소)에 실시 예 1에서 설명한 유전체 층(6)의 얇은 층 영역(A)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표시 전극(4, 5)을 갖는 실시 예 2의 PDP(1)에 의해서도 실시 예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이하의 별도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 2와 같이, 열 방향으로 2개소의 방전개시 갭(Gf)을 설치하는 구성에서는, 주 방전부(403a, 503a)의 길이(y방향)를 어느 정도 연장할 수 있어서, 그만큼 방전개시 갭(Gf)이 형성되는 영역을 확대하여, 방전개시 시점에서부터 방전 규모를 크게 할 수 있는 등의 설계상의 여유를 갖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방전 셀(8)은 y방향을 길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 예 2에서는 이와 같은 주 방전부(403a, 503a)의 길이를 연장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구동 시의 효과로는, 어드레스 기간에 각 전극 4, 5, 11에 외부로부터 급전이 이루어지면, 먼저 임의의 방전 셀(8)에서 어드레스 전극(11)과 표시 전극(스캔 전극(4)) 사이에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한다. 이어서 방전 유지기간의 초기에 표시 전극(4, 5)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임의의 방전 셀(8)에서의 표시 전극(4, 5)의 간극에서 최 단거리인 대향부 416a와 516a, 대향부 416b와 516b의 방전개시 갭(Gf)에서 전계강도의 피크가 형성되어, 이 부분에서 방전(행 방향으로의 방전)이 발생한다. 그 후, 표시 전극(4, 5)에서는 방전 셀(8) 내에 2개소의 방전개시 갭(Gf)이 존재하므로 xy방향으로 신속하게 방전이 확대하여, 대향부 416a와 516a, 대향부 416b와 516b 전체에 걸쳐서 양호한 규모의 방전이 형성된다.
또한, 대향부 416a와 516a, 대향부 416b와 516b에서 표시 전극(4, 5)의 간극이 최단 간극이 되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분에서의 단락 방전을 방지하 기 위해서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대향부 516b와 베이스부 401과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사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단락 방전이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대책이 필요하다.
또, 표시 전극(4, 5)에서의 대향부 416a와 516a, 대향부 416b와 516b가 갭(GG)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표시 전극(4, 5) 사이의 용량이 감소되어, 효과적으로 무효전력이 감소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향부 416a와 516a, 대향부 416b와 516b와 극성이 서로 다른 베이스부(401, 501) 사이를 적당하게 확보하는 것은 단락 방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무효전력을 감소시키는 의미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전 발생시에는 방전 셀(8) 내에 방전개시 갭(Gf)에 대응하는 보호층(6)의 얇은 층 영역(A)의 각각에서 전계강도의 피크가 형성되므로, 당해 피크 위치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유지방전이 발생하고 확대되어, 대폭적인 휘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 1 및 2와 같이, 얇은 층 영역(A)을 방전 셀(8) 내에 복수 개소 설치하면, 이에 따라서 방전 셀(8) 내에 복수의 전계강도의 피크가 형성되며, 각 피크 위치에 대응하여 방전이 발생한다. 따라서 면적이 큰 얇은 층 영역(A)을 1개소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 방전규모가 양호하게 확대된다는 점이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해 명확하게 되어 있다. 이런 이유에서 얇은 층 영역(A)은 셀 내에서 2개소 이상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실시 예 2에서는, 대향부(416a, 416b, 516a, 516b)와 얇은 층 영역(A) 을 조합시키는 구성 예를 제시하였으나, 유전체 층의 얇은 층 영역(A)은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 연장부를 구비하는 대향부의 수는 도 4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변경해도 좋다.
또한, 주 방전부(403a, 503a)를 열 방향으로 지나치게 길게 하면, 대향하는 표시 전극과의 사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단락 방전이 발생하므로, 이 점에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도 5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y방향(열 방향)에서 인접하는 방전 셀(8) 사이에 실시 예 1과 동일한 보조 격벽(행 부분(302))을 설치해도 좋다. 본 실시 예 2에서는, 방전 셀(8) 내에서 한 쌍의 표시 전극(4, 5)의 사이에 서로 삽입되도록 연장부(412a, 512a)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대향부(416a, 416b, 516a, 516b)에서의 방전방향이 행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그 성질상 구동 시의 대전 입자가 비교적 열 방향에 인접하는 방전 셀(8)에 흘러들어가기가 어렵다. 따라서 여기에 보조 격벽(행 부분(302))을 설치함으로써 크로스 토크 방지 및 방전 지연 방지의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변형 예 4)
실시 예 2의 구성에서는, 방전개시 갭(Gf)이 어드레스 전극(11)과 중첩되어 있으므로, 특히 어드레스 방전의 확실성(방전효율의 향상 및 방전 지연의 억제)이 높다. 이 효과는, 방전공간(38)을 통해서 당해 방전개시 갭(Gf)에 중첩되는 어드레스전극(11)의 면적을 증대시켜서 겉보기 상의 양자의 교차영역을 확대하므로, 보다 양호하게 얻어진다.
도 6은 방전개시 갭(Gf)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11)의 영역에 직사각 형상의 광폭부(11d)를 설치한 구성(변형 예 4)을 나타낸다. 이 도 4의 구성에서는, 각 주 방전부(403a, 503a)와 접속하는 접속부(411a, 411b, 511a, 511b)를 더 증설하여, 단선 시의 통전성 확보 및 수율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실시 예 2와 거의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어드레스 방전의 확실성과 표시 전극(4, 5) 단선시의 화상의 표시성능의 확보 및 수율 개선에 의한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기타 사항)
상기 실시 예 1, 2 및 변형 예 1-4에서는, 한 쌍의 표시 전극이 열 방향으로 동일한 배열로 배치되는 구성(이른바 ABAB 배열)을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캔 전극, 서스테인 전극의 배열이 인접하는 표시 전극 쌍 별로 대치하는 구성(이른바 ABBA 배열)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PDP는 경량의 대형 텔레비전 등으로 유용하다. 또, 업무용 표시장치 등의 용도에도 응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일측 면에 행 방향으로 연장된 표시 전극이 복수 쌍씩 병설된 제 1 기판과, 일측 면에 열 방향으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이 스트라이프 형상((stripe pattern)으로 병설된 제 2 기판을 가지며, 상기 표시 전극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이 방전공간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도록 제 1 및 제 2 기판이 대향 배치되고, 당해 교차부분에 대응하여 방전 셀이 형성된 구성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로,
    한 쌍의 표시 전극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각 표시 전극은, 행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와, 당해 베이스부로부터 한 쌍의 표시 전극의 방전 간극에 면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대향부를 구비하며,
    방전 셀 내에서, 한 쌍의 표시 전극의 각 대향부끼리의 사이에 방전개시 갭(discharge starting gap)이 형성되는 동시에, 2개 이상의 당해 방전개시 갭이 각각 방전공간을 사이에 두고 어드레스 전극과 중첩되어 있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한 쌍의 표시 전극의 방전 간극으로 연장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의 열 방향의 폭보다 긴 주 방전부로 구성되어 있고,
    한 쌍의 표시 전극의 각 주 방전부끼리의 사이에서 상기 방전개시 갭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표시 전극의 상기 대향부는 한 쌍의 표시 전극 사이에서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은 적어도 방전 셀 영역에서 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분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전개시 갭이 상기 방전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분기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표시 전극에서 상기 대향부가 행 방향에 걸쳐서 복수 배치되어 있고,
    동일 극성(same polarity)의 대향하는 대향부끼리의 간극이 어드레스 전극의 폭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표시 전극에서 상기 대향부가 열 방향에 걸쳐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방전개시 갭의 폭이 어드레스 전극의 폭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열 방향에서 인접하는 방전 셀 사이에는 행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격벽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 전극이 배치된 제 1 기판의 표면에는 상기 각 표시 전극을 피복하도록 유전체 층이 설치되어 있고,
    각 방전 셀 영역에서, 유전체 층에는 상기 방전개시 갭의 위치에 대응하여 얇은 층 영역(thin layer are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 전극이 배치된 제 1 기판의 표면에는 상기 각 표시 전극을 피복하도록 유전체 층이 설치되어 있고,
    각 방전 셀 영역에서, 유전체 층에는 동일 극성의 인접하는 대향부끼리의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두꺼운 층 영역(thick layer are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료는, Ag, Cu, Al, Cr, Ti 중 어느 일종 이상, 또는 Cr/Cu/Cr, Al-Nd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7008508A 2003-10-30 2004-10-28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004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0379 2003-10-30
JP2003370379 2003-10-30
JP2004047023 2004-02-23
JPJP-P-2004-00047023 2004-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407A true KR20060100407A (ko) 2006-09-20

Family

ID=3455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508A KR20060100407A (ko) 2003-10-30 2004-10-28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29908A1 (ko)
JP (1) JPWO2005043577A1 (ko)
KR (1) KR20060100407A (ko)
WO (1) WO2005043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230B1 (ko) * 2005-08-18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2249B1 (ko) *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13230A (ko) * 2006-08-07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17204A (ko) 2006-08-21 200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37160B1 (ko) * 2006-10-25 200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6563B1 (ko) * 2006-10-26 2008-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194648A1 (en) * 2008-02-06 2009-08-06 Todd Fridley Base lock television stan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2039B2 (ja) * 1992-04-23 1999-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1213894A (ja) * 1998-01-23 1999-08-06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688114B2 (ja) * 1998-04-14 2005-08-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6479932B1 (en) * 1998-09-22 2002-11-12 Nec Corporation AC plasma display panel
JP3560481B2 (ja) * 1998-09-22 2004-09-02 日本電気株式会社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1243883A (ja) * 1999-01-22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放電パネルおよびガス放電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JP2000285812A (ja) * 1999-03-30 2000-10-13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システム
JP4212184B2 (ja) * 1999-05-10 2009-0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015039A (ja) * 1999-06-30 2001-01-19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243900B2 (ja) * 1999-11-02 2009-03-25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205281B2 (ja) * 2000-02-29 2009-01-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016944A (ja) * 2001-06-29 2003-01-17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882566B2 (ja) * 2001-10-09 2007-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940899B2 (ja) * 2002-03-28 2007-07-04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4095536A (ja) * 2002-07-04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DE60323453D1 (de) * 2002-12-31 2008-10-23 Samsung Sdi Co Ltd Plasmaanzeigetafel mit Aufrechterhaltungselektroden mit Doppelspa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29908A1 (en) 2007-02-08
WO2005043577A1 (ja) 2005-05-12
JPWO2005043577A1 (ja)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744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69885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6806645B2 (en) Plasma display panel
US7486022B2 (en) Plasma display panel (PDP)
KR20060100407A (ko)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97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20036675A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JPH10283936A (ja) 気体放電表示装置
KR1005101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H0935642A (ja)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48173A (ko) 효율적 방전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16963B1 (ko) 효율적 방전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214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471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747414B2 (en) AC plasma display panel
US20070052348A1 (en) Plasma display panel
JP417882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048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561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6275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644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40091942A (ko) 투과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4002319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3003729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