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038A - 연속도금장치의 전극접점장치 - Google Patents

연속도금장치의 전극접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038A
KR20060099038A KR1020050020016A KR20050020016A KR20060099038A KR 20060099038 A KR20060099038 A KR 20060099038A KR 1020050020016 A KR1020050020016 A KR 1020050020016A KR 20050020016 A KR20050020016 A KR 20050020016A KR 20060099038 A KR20060099038 A KR 20060099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plate
electrode
contact device
termina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0117B1 (ko
Inventor
임학주
Original Assignee
대성하이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하이피(주) filed Critical 대성하이피(주)
Priority to KR102005002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1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12M27/06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stirrer shaft or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12M41/18Heat exchange systems, e.g. heat jackets or outer envelo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주변부에 결합되는 수직판과; 수평의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을 상기 수직판에 승강할 수 있게 결합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전극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전극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천공과; 상기 전극판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단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접점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도금대상물인 단자스트립과의 접점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접점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설치 및 교환이 간편해진다.
전극접점장치, 연속도금장치

Description

연속도금장치의 전극접점장치{Electrode contact device of sequent plating apparatus}
도 1은 도금 대상물인 단자스트립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접점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접점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접점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접점장치의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접점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접점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스트립 11 : 연결판
12 : 단자 100 : 전극접점장치
110 : 수직판 112 : 지지부재
120 : 전극판 122 : 천공
130 : 높이조절볼트 132 : 조절레버
134 : 가이드샤프트 140 : 가이드홈
150 : 가이드롤러 152 : 간격조절레버
160 : 보강판 170 : 세척수 유입구
180 : 베이스판 190 : 절연판
본 발명은 전기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연속도금장치에서 사용하는 전극접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단자는 원활한 신호전달을 위해서 표면을 도금 처리하는데, 이때 각 단자를 개별적으로 도금하는 것이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1)에 다수의 단자(12)가 결합되어 있는 단자스트립(10)의 상태로 도금 공정을 수행한다.
도금 공정은 도금액에 도금 대상물을 침지하여 전원을 연결하는 본격적인 도금 공정 이외에도 탈지, 세척, 하지도금 등의 예비 공정을 수반하며, 이러한 일련의 공정은 각 공정장치가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연속도금장치에서 통상 수행된다.
연속도금장치는 도금대상물인 단자스트립(10)을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각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장치로서, 특히 최선단에는 미공정 단자스트립(10) 이 감겨있는 제1롤을 배치하고 최후단에는 도금이 완료된 단자스트립(10)을 감는 제2롤을 배치함으로써 제1롤에서 풀린 단자스트립(10)이 연속 도금장치를 통과한 후 제2롤에 감기도록 구성된다.
연속도금장치는 전기도금을 위해서 (+)이온의 목적 금속을 포함하는 도금액을 공급하는 도금조를 구비하여야 하며, 단자스트립(10)을 상기 도금조에 침지한 채 (-)전원을 연결하면 (+)전하의 금속이온이 단자스트립(10)에 흡착함으로써 도금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자스트립(10)은 항상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통상 도금조의 전단과 후단에는 단자스트립(10)과 (-)전원을 연결하는 전극접점장치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극접점장치는 구성이 복잡하여 단자스트립(10)과의 접점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가 어렵고 설치 및 해체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전 공정을 거치면서 단자스트립(10)에 묻은 도금액이나 이물질로 인하여 접점에 불필요한 도금막이 생기고 이로 인해 전기접속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금대상물인 단자스트립과의 접점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작업자가 접점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 며 설치 및 교환이 간편한 전극접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소정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주변부에 결합되는 수직판과; 수평의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을 상기 수직판에 승강할 수 있게 결합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전극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전극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천공과; 상기 전극판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단자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전극판의 주변부를 관통하고 단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하는 한편, 상기 전극판과는 나사결합을 하는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판의 상면에는 오목한 가이드홈이 횡단하여 형성하고, 상기 천공은 상기 가이드홈의 저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판의 상면에는 2개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상기 전극판에 고정되는 가이드롤러의 샤프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접점장치(100)의 사시도, 평 면도, 정면도 및 좌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접점장치(1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판(180)의 측면에 수직판(110)을 고정하고, 수직판(110)의 측면에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평의 전극판(120)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수직판(110)의 상단에 측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112)를 설치하고, 높이조절볼트(130)를 상기 지지부재(112)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결합하는 한편 단부를 베이스판(180)에 결합하는 한편, 전극판(120)의 주변부를 높이조절볼트(130)의 중간에 결합한다.
전극판(120)을 높이조절볼트(13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전극판(120)에는 너트홈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홈에 높이조절볼트(130)를 관통시키고, 높이조절볼트(130)의 단부는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이스판(180)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높이조절볼트(13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전극판(120)이 상하로 승강하게 되며, 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높이조절볼트(130)의 상단에 조절레버(132)를 결합한다.
높이조절볼트(130) 이외에도 지지부재(112)와 베이스판(180)을 2개의 가이드샤프트(134)로 연결하고, 상기 전극판(120)에 가이드샤프트(134)를 관통 결합하면 전극판(120)의 상하이동이 가이드샤프트(13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극판(120)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고 단자스트립과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의 전극접점장치(100)는 전극판(120)의 상면에 단자스트립이 접한 채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직전 공정에서 단자스트립에 묻은 도금액이나 이물질로 인하여 전극판(120)의 상면에 불필요한 도금막이 형성되어 접점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수를 이용하여 전극판(120)의 상면을 지속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전극판(120)의 내부에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전극판(120)의 일 측에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세척수 유입구(170)를 형성하며, 전극판(120)의 상면에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천공(122)을 다수 형성한다.
상기 천공(122)은 단자스트립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극판(120)의 상면을 횡단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세척수 유입구(170)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는 전극판(120) 내부의 유로를 따라 이동한 후 천공(122)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며, 상부에서 이동하는 단자스트립과 전극판(120)의 상면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단자스트립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전극판(120)의 상면에 가이드홈(140)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천공(122)은 상기 가이드홈(14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판(120)의 상면에서 상기 가이드홈(140)의 양 측에는 단자스트립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150)를 설치하며, 전극판(120)을 외부의 (-)전원에 연결 하기 위한 전원연결단자(124)를 가이드롤러(150)의 샤프트에 연결한다.
따라서 가이드롤러(150)의 샤프트, 전극판(120), 전원연결단자(124)는 모두 도전성 금속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전극판(120)을 단일체로 제조하지 않고, 주변부가 가이드샤프트(134)와 결합하고 내부에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로를 가지는 하부전극판(120a)과, 상기 하부전극판(120a)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면에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천공(122)을 가지는 상부전극판(120b)으로 구분하고 상부전극판(120b)의 상면에 가이드롤러(150)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는 제조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고 상하부 전극판(120a,120b)이 일체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자스트립이 가이드홈(140)의 저면과 접한 채 이동함으로써 가이드홈(140)의 저면이 마모되면 접점이 불량해지므로, 가이드홈(140) 양단의 전극판(120) 측면에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초경합금 재질의 보강판(160)을 설치한다. 따라서 가이드홈(140)의 저면이 다소 마모되더라도 보강판(160)에 의하여 단자스트립과의 전기적 접점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판(120) 이외의 수직판(110) 및 베이스판(180)은 비도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이스판(180)의 하부 에는 본 발명의 전극접점장치를 도금장치에 설치할 때 바닥재와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판(190)을 더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극접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이드롤러(15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레버(152)를 전극판(120)의 측면에 부착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접점장치(1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이드롤러(15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단자스트립(10)이 전극판(120)의 상면에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단자스트립(10)은 연결판(11)이 전극판(120)의 상면에 접하여야 하는데, 단자스트립(10)을 뒤집어서 전극판(120)의 상면에 단자(12)가 접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연결판(11)이 접하는 경우에 비하여 접점의 단락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기 때문에 연결판(11)을 전극판(120)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원연결단자(124)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어야 하며, 이로서 단자스트립(10)은 전극판(120), 가이드롤러(150)의 샤프트 및 전원연결단자(124)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때 세척수 유입구(170)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가이드롤러(150) 사이의 전극판(120)에 형성된 천공(122)을 통해 분출됨으로써 단자스트립(10) 및 전극판(120)의 상면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단자스트립(10)의 단자(12)만을 도금하는 부분 도금장치를 통과시키고자 한다면, 경우에 따라 상기 전극접점장치(100)를 통과한 이후에 단자(12)가 하부로 향하도록 전환하는 장치를 부설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내용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수정 내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고, 그와 같이 수정 내지 변형되어 실시되는 제품이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라면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접점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도금대상물인 단자스트립과의 접점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접점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설치 및 교환이 간편해진다.

Claims (4)

  1. 소정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수직판과;
    수평의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을 상기 수직판에 승강할 수 있게 결합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전극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전극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천공과;
    상기 전극판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단자
    를 포함하는 전극접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전극판의 주변부를 관통하고 단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하는 한편, 상기 전극판과는 나사결합을 하는 높이조절볼트
    를 포함하는 전극접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의 상면에는 오목한 가이드홈이 횡단하여 형성되고, 상기 천공은 상기 가이드홈의 저면에 형성되는 전극접점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의 상면에는 2개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상기 전극판에 고정되는 가이드롤러의 샤프트에 연결되는 전극접점장치
KR1020050020016A 2005-03-10 2005-03-10 연속도금장치의 전극접점장치 KR100670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016A KR100670117B1 (ko) 2005-03-10 2005-03-10 연속도금장치의 전극접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016A KR100670117B1 (ko) 2005-03-10 2005-03-10 연속도금장치의 전극접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038A true KR20060099038A (ko) 2006-09-19
KR100670117B1 KR100670117B1 (ko) 2007-01-16

Family

ID=3763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016A KR100670117B1 (ko) 2005-03-10 2005-03-10 연속도금장치의 전극접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028A (ko) * 2013-09-11 2015-03-19 (주)제이엔이 도금용 전극 접점 장치
KR101596365B1 (ko) * 2015-08-17 2016-02-22 주식회사 나노이앤피 금도금용 누름압력 조정용 케소드롤러조립체
KR20210067121A (ko) * 2019-11-29 2021-06-08 서승섭 전해 도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096B1 (ko) 2022-10-12 2023-03-15 대성하이피(주) 높이조절형 음극접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8520A (en) 1978-05-31 1981-07-14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ontinuous gold electroplating apparatus
US4230538A (en) 1979-11-08 1980-10-2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trip line plating cell
JP3010034B2 (ja) 1998-06-16 2000-02-14 栄電子工業株式会社 自動メッキにおける陰極装置
KR100418816B1 (ko) * 2001-03-17 2004-02-19 정을연 전자단자의 금도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028A (ko) * 2013-09-11 2015-03-19 (주)제이엔이 도금용 전극 접점 장치
KR101596365B1 (ko) * 2015-08-17 2016-02-22 주식회사 나노이앤피 금도금용 누름압력 조정용 케소드롤러조립체
KR20210067121A (ko) * 2019-11-29 2021-06-08 서승섭 전해 도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0117B1 (ko)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117B1 (ko) 연속도금장치의 전극접점장치
US6071400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with treatment liquid of an item to be treated
US6887113B1 (en) Contact element for use in electroplating
US8926820B2 (en) Working electrode design for electrochemical processing of electronic components
KR20100081119A (ko) Pcb용 전해도금장치
KR20100025892A (ko) 인쇄회로기판 다단 도금용 지그장치
CN102373497A (zh) 电镀装置及电镀方法
CN113549988A (zh) 导电基膜传送装置及镀膜机
CN101492831B (zh) 电镀用阳极装置及包括该阳极装置的电镀装置
CN115103530B (zh) 一种电路板金手指镀金方法、电路板
KR100956685B1 (ko) 도금장치
KR100949795B1 (ko)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0670116B1 (ko) 선택 도금장치
KR100418816B1 (ko) 전자단자의 금도금장치
US7767074B2 (en) Method of etching copper on cards
US20170298529A1 (en) Electroplating system
KR100376595B1 (ko) 도금용 음극 장치
CN102586846A (zh) 电镀挂架
KR101623711B1 (ko) 도금용 전극 접점 장치
JP2000195823A (ja) めっき方法およびめっき装置
CN207002846U (zh) 一种具有电场的电路板化镍金镀槽
KR100847341B1 (ko) 도금장치를 위한 행거 통전지그
CN109161956A (zh) 金刚线电镀设备上砂导电轮
CN212895041U (zh) 一种电镀设备导电装置
CN217499486U (zh) 集成电路引线框架电镀箱的阳极冷却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