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685B1 - 도금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685B1
KR100956685B1 KR1020070116344A KR20070116344A KR100956685B1 KR 100956685 B1 KR100956685 B1 KR 100956685B1 KR 1020070116344 A KR1020070116344 A KR 1020070116344A KR 20070116344 A KR20070116344 A KR 20070116344A KR 100956685 B1 KR100956685 B1 KR 100956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plating
substrate
metal
substr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9958A (ko
Inventor
유달현
최창환
김용석
박정훈
안지철
윤희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6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6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using mask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25D17/12Shape or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금장치가 개시된다. 복수의 기판을 일괄적으로 도금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기판이 투입되는 도금조와, 복수의 기판의 도금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애노드 및 애노드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을 대향하는 기판으로 유도하는 애노드 가이드를 포함하는 도금장치는, 애노드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이 애노드에 대향하는 기판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애노드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이 인접한 애노드에 대향하는 기판으로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도금두께를 얻음으로써 도금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고품질의 도금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전해, 도금, 애노드, 캐소드, 애노드 가이드

Description

도금장치{Pl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도금 시 균일한 도금 두께를 얻을 수 있는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해도금은 금속성의 장식이나 표면의 보호에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부품, 인쇄회로기판, 반도체 소자의 회로 형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전해도금은 도금하고자 하는 피도금체를 도금액 속에 투입하고, 피도금체를 캐소드(cathode)로, 전착(電着)하고자 하는 금속을 애노드(anode)로 하여 전기를 통전하여 원하는 금속이온을 피도금체의 표면에 석출되도록 함으로써 도금막을 형성하게 된다.
피도금체가 전도성을 갖는 경우에는 피도금체를 직접 캐소드로 하여 도금이 가능하나, 회로기판과 같이 절연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절연재에 무전해 화학도금으로 전해도금의 전극이 되는 시드층을 형성하여, 이를 전극으로 전해도금을 수행 하여 도금막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판(108)을 일괄적으로 도금조(102)에 투입하여 복수의 기판(108)에 도금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의 기판(108)이 고정되는 지그(106)(zig)를 도금조(102)의 중앙에 배치하고, 각 기판(108)의 양면 각각에 대향하여 애노드(104)를 배치하여 기판(108)의 양면을 도금한다. 이 경우 기판(108)의 도금면에 전착하고자 하는 금속이 애노드(104)가 되고, 기판(108)이 캐소드가 된다. 기판(108)이 전도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직접 캐소드로 이용하게 되나, 절연성의 기판(108)의 경우에는 미리 기판(108)의 도금면에 전해도금의 전극이 되는 전도성의 시드층을 형성하여 두고, 이를 캐소드로 이용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도금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판(108)을 일괄적으로 도금조(102)에 투입하여 다량의 기판(108)을 동시에 도금하는 경우 애노드(104)에서 유리된 금속이온(110)이 인접한 애노드(104)에 대향하는 기판(108)에 전착되어 설계 시의 도금두께와 다른 두께를 갖는 도금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판(108)의 단부에서는 도금전류의 집중이 생기기 쉬워 애노드(104)에 유리된 금속이온(110)이 인접한 애노드(104)에 대향하는 기판(108)의 단부에 집중적으로 전착되어 도금편차가 크게 발생하여 균일한 도금두께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도금편차는 회로기판에서 전기적 특성을 악화시키거나, 솔더 볼(solder ball) 등이 분리되는 등 고질적인 불량을 유발하고, 특히, 최근의 전자부품의 소형화, 고집화됨에 따라 회로기판에서 미세회로를 요구하는데, 이러한 도금편차로 인해 정밀한 회로기판의 제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기판을 일괄적으로 도금하는 경우 애노드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이 그 애노드에 대향하는 기판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인접한 애노드에 대향하는 기판으로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도금두께를 얻을 수 있는 도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기판을 일괄적으로 도금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기판이 투입되는 도금조와, 복수의 기판의 도금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애노드 및 애노드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을 대향하는 기판으로 유도하는 애노드 가이드를 포함하는 도금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애노드와, 애노드와 대향하는 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차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는, 도금금속이 투입되는 애노드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도금금속은 구리, 니켈, 주석, 은, 백금, 금 및 아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 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는, 기판의 양면 각각에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애노드 가이드는, 애노드가 수용되며, 애노드의 일면이 대향하는 기판을 향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가이드는, 한 쌍의 가이드판의 단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유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가이드는, 한 쌍의 유도판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가이드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이 애노드에 대향하는 기판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애노드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이 인접한 애노드에 대향하는 기판으로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도금두께를 얻음으로써 도금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고품질의 도금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 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금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금조(12), 애노드 바스켓(14), 도금금속(16), 애노드(18), 금속이온(19), 개구부(22), 차폐판(24), 지그(26), 기판(28), 가이드판(29), 애노드 가이드(3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는, 복수의 기판을 일괄적으로 도금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기판이 투입되는 도금조(12)와, 복수의 기판의 도금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애노드(18) 및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을 대향하는 기판으로 유도하는 애노드 가이드(30)를 구성요소로 하여,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19)이 그 애노드(18)에 대향하는 기판(28)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19)이 인접한 애노드(18)에 대향하는 기판으로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도금두께를 얻음으로써 도금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고품질의 도금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금조(12)는 도금에 필요한 도금액이 수용되며, 복수의 기판(28)이 동시에 투입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기판(28)은 이라 함은, 회로가 형성되는 절연체뿐만 아니라, 기타 아연도금이 이루어지는 강판, 실리콘 웨이퍼 등 판 형태의 피도금체를 의미한다.
도금조(12)에는 도금액을 분사하는 노즐(미도시)을 구비될 수 있으며, 노즐에서 분사되는 도금액에 의해 도금액이 교반되어 정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금액이 도금조(12)을 오버플로우(overflow)되도록 하거나, 석션(suction)을 통해 유출되어 재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애노드(18)는 복수의 기판(28)에 각각 대향하도록 결합되어 애노드(18)의 도금금속(16)에서 유리된 금속이온(19)이 용이하게 캐소드가 되는 기판(28)에 전착되도록 한다.
애노드(18)는 애노드 바스켓(14)(anode basket)과 애노드 바스켓(14)에 투 입되는 도금금속(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 바스켓(14)은 다공성의 그물형태로 되어 있어 도금금속(16)에 유리된 금속이온(19)이 용이하게 유출되도록 한다. 도금금속(16)은 볼(ball)형태 제작되어 애노드 바스켓(14)에 투입될 수 있다.
도금금속(16)은 기판(28)에 전착(電着)하고자 하는 금속으로서, 도금금속(16)으로 순금속뿐만 아니라 합금도 가능하다. 도금금속(16)은 구리, 니켈, 주석, 은, 백금, 금 및 아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리, 니켈, 주석, 은, 백금, 금 및 아연 각각을 도금금속(16)으로 하여 도금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들의 합금을 도금금속(16)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리(Cu)로 기판(28)에 회로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구리 볼(ball)을 도금금속(16)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강판에 아연을 도금하고자 하는 경우 아연이 도금금속(16)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구리와 아연인 합금인 황동을 도금금속(16)으로 할 수 있다.
한편, 기판(28)의 양면을 하나의 도금조(12)에서 동시에 도금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18)는 기판(28)의 양면 각각에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애노드(18)와 캐소드를 정류기(rectifier)에 연결하고 전기를 통전하면 도금금속(16)이 전기분해되면서, 애노드(18)의 도금금속(16)의 금속이온(19)이 도금액으로 유리되고, 전자는 정류기를 통해 캐소드로 이동하게 된다. 도금액에 유리된 금속이온(19)은 다시 캐소드인 기판(28) 표면에서 이동된 전자와 결합되면서 도금이 이루어진다.
애노드 가이드(30)는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19)이 그에 대향하는 기판(28)에 유도되도록 한다. 즉,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19)이 그 애노드(18)에 대향하는 기판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19)이 인접한 애노드(18)에 대향하는 기판(28)으로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도금두께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애노드(18)에서 유리되는 금속이온(19)은 전해질에 노출된 애노드(18)의 각 면에서 유출되므로 인접한 애노드(18)에 대향하는 기판(28)의 도금두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18)에서 유리된 금속이온이 그에 대향하는 기판(28)으로 유도되도록 애노드 가이드(30)를 설치하여 도금두께를 균일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애노드 가이드(30)는 애노드(18)가 수용되며, 애노드(18)의 일면이 대향하는 기판(28)을 향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29)을 포함한다.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판(29) 사이에 애노드(18)를 수용하고, 애노드(18)의 일면이 대향하는 기판(28)을 향하도록 하여 애노드(18)의 측면과 일면에서 유리된 금속이온(19)이 대향하는 기판(28)을 향하여 유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애노드(18)에서 유리된 금속이온(19)이 인접한 애노드(18)에 대향하는 기판(28)에 유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기판(28)의 도금두께를 균일화하도록 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19)은 한 쌍의 가이드판(29)에 의해 애노드(18)의 양 측면에서 유출되지 않고 대향하는 기 판(28)을 향하여 유도된다. 따라서,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19)은 인접한 애노드(18)와 대향하는 기판(28)에 유도되지 않고, 그 애노드(18)에 대향하는 기판(28)으로 유도되어 도금두께의 편차가 없는 도금막을 형성할 수 있다.
애노드 가이드(30)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의 애노드 가이드(30), 양면이 개방된 통형의 애노드 가이드(30) 등 애노드(18)에서 유리된 금속이온을 대향하는 기판(28)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애노드 가이드(30)가 이용될 수 있다.
애노드 가이드(30)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 가이드(30)가 전도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전기의 통전으로 인해 도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애노드 가이드(30)는 전기 전도성이 없는 절연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차폐판(24)은 애노드(18)와, 애노드(18)와 대향하는 기판(28) 사이에 개재되며, 기판(28)과 대향하는 면에 개구부(22)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28)의 단부에서는 도금전류의 집중이 생기기 쉬워 애노드(18)에 유리된 금속이온(19)이 기판(28)의 단부에 집중적으로 전착되어 도금편차가 크게 발생하여 균일한 도금두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개구부(22)가 형성된 차폐판(24)을 애노드(18)와 그에 대향하는 기판(28) 사이에 설치하여, 애노드(18)에서 유리된 금속이온(19)이 기판(28)의 단부에 집중되는 것을 완화하여 도금두께를 균일화할 수 있다. 즉, 애노드(18)에서 유리된 금속이온(19)이 개구부(22)를 통해 캐소드인 기판(28)에 도달하게 되므로 개구부(22)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판(28)의 단부에 집중적으로 금속이온(19)을 도달하는 것을 완화하여 균일한 도금두께를 얻을 수 있다.
지그(26)(zig)는 제조 상 기판(28) 운반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기판(28)이 안치되어 복수의 기판(28)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지그(26)가 전도성의 물질로 이루어지고, 기판(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지그(26)에 음극을 접속하여 이를 캐소드로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노드 가이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금조(12), 애노드(18), 개구부(22), 차폐판(24), 기판(28), 가이드판(29), 애노드 가이드(30), 유도판(31), 힌지축(33)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금액의 교반을 위하여 기판(28)을 유동시키는 경우 기판(28)의 이동방향에 따라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을 그에 대향하는 기판(28)으로 유도함으로써 도금두께를 균일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금액이 수용되어 있는 도금조(12)에 기판(28)을 투입하여 도금을 수행하는 경우 도금액을 교반하면 도금효율이 증대된다. 도금액을 교반하기 위하여 도금액이 분사되는 노즐을 두어 노즐로부터 도금액을 분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금조(12)에 투입되는 기판(28) 자체를 유동시켜 도금액을 교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애노드 가이드(30)는 애노드(18)가 수용되며, 애노드(18)의 일면이 대향하는 기판(28)을 향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29) 및 한 쌍 의 가이드판(29)의 단부에 힌지축(33)을 중심으로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유도판(31)을 구성요소로 하여, 도금액의 교반을 위하여 기판(28)을 좌우로 유동시키는 경우 기판(28)의 이동방향에 따라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을 그에 대향하는 기판(28)으로 유도한다.
한 쌍의 가이드판(29)은 애노드(18)를 수용하고, 애노드(18)의 일면이 대향하는 기판(28)을 향하도록 하여 애노드(18)의 측면과 일면에서 유리된 금속이온이 대향하는 기판(28)을 향하여 유도되도록 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판(29)의 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유도판(31)은 기판(28)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애노드(18)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을 그 애노드(18)에 대향하는 기판(28)을 향하도록 한다. 도 6에서는 기판(28)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한 쌍의 유도판(31)이 기판(28)의 이동방향을 따라 왼쪽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애노드 가이드(30)에는 한 쌍의 유도판(31)이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도판(31)을 힌지축(33)에 고정하고 힌지축(33)에 모터를 결합하여 기판(28)의 이동방향에 따라 모터를 회전시켜 유도판(31)을 회동시켜 애노드(18)에서 유리된 금속이온이 그에 대향하는 기판(28)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유도판(31)을 기판(28)의 이동에 따라 회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 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노드 가이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도금조 18 : 애노드
24 : 차폐판 30 : 애노드 가이드
29 : 가이드판 31 : 유도판
33 : 힌지축

Claims (9)

  1. 복수의 기판을 일괄적으로 도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이 투입되는 도금조와;
    상기 복수의 기판의 도금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가 수용되고 상기 애노드의 일면이 대향하는 기판을 향하도록 서로 이격되며, 상기 애노드로부터 유리된 금속이온을 대향하는 상기 기판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판; 및
    상기 애노드와, 상기 애노드와 대향하는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애노드에서 유리된 금속이온이 상기 기판의 단부에 집중적으로 전착되지 않도록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도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는,
    도금금속이 투입되는 애노드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금속은 구리, 니켈, 주석, 은, 백금, 금 및 아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는,
    상기 기판의 양면 각각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의 단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유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도판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가이드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
KR1020070116344A 2007-11-14 2007-11-14 도금장치 KR10095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344A KR100956685B1 (ko) 2007-11-14 2007-11-14 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344A KR100956685B1 (ko) 2007-11-14 2007-11-14 도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958A KR20090049958A (ko) 2009-05-19
KR100956685B1 true KR100956685B1 (ko) 2010-05-10

Family

ID=4085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344A KR100956685B1 (ko) 2007-11-14 2007-11-14 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264A (ko) 2014-08-28 2016-03-10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인쇄회로기판의 구리 도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934B1 (ko) * 2009-07-29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장치
KR20130039834A (ko) * 2011-10-13 2013-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7299A (ja) * 1988-05-13 1989-11-17 Tetsuya Hojo 全面メッキ装置
JPH02182894A (ja) * 1988-11-14 1990-07-1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電気メツキ装置及び方法
JPH0390598A (ja) * 1989-08-31 1991-04-16 Mitsumi Electric Co Ltd 電気めつき装置
JP2004211124A (ja) 2002-12-27 2004-07-29 Saatec Kk ダマシン鍍金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鍍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7299A (ja) * 1988-05-13 1989-11-17 Tetsuya Hojo 全面メッキ装置
JPH02182894A (ja) * 1988-11-14 1990-07-1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電気メツキ装置及び方法
JPH0390598A (ja) * 1989-08-31 1991-04-16 Mitsumi Electric Co Ltd 電気めつき装置
JP2004211124A (ja) 2002-12-27 2004-07-29 Saatec Kk ダマシン鍍金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鍍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264A (ko) 2014-08-28 2016-03-10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인쇄회로기판의 구리 도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958A (ko)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365B2 (en) Metal plating process
JP5763151B2 (ja) 電解メッキ遮蔽板及びこれを有する電解メッキ装置
US8084191B2 (en) Thermoelectric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102463909B1 (ko) 도금 장치
US20150275390A1 (en) Anode unit and plating apparatus having such anode unit
TW201022481A (en) Shield plate and electroplating apparatus
JP4794598B2 (ja) メッキ装置
CN116666333A (zh) 具有改进的晶须抑制的压配合端子
KR100956685B1 (ko) 도금장치
Zhou et al. The comparison of electrochemical migration mechanism between electroless silver plating and silver electroplating
KR20130039834A (ko) 도금장치
JP4805409B2 (ja) 電気電子部品用複合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電子部品
KR102213335B1 (ko) 전기도금용 피도금체 지그
GB2070647A (en) Selective chemical deposition and/or electrodeposition of metal coatings, especially for the production of printed circuits
KR100747132B1 (ko) 반도체 제조를 위한 원격의 제 2 애노드를 갖는 도금 시스템
JP5822212B2 (ja) 電解メッキ装置
JP4794599B2 (ja) メッキ装置
CN110938861B (zh) 退锡设备
US20060163058A1 (en) Apparatus for plating a semiconductor wafer and plating solution bath used therein
CN104109896A (zh) 电镀装置、电镀方法、布线电路基板的制造方法以及布线电路基板
CN110725000B (zh) 用于退锡设备的导电刷及包含其的退锡设备
CN110760922A (zh) 退锡液、去除基材上的含锡层的方法和回收锡的方法
CN110725001A (zh) 用于退锡设备的导电刷及包含其的退锡设备
JP3340726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めっき装置
KR101146740B1 (ko) 주석 도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