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521A - 콩나물 재배기 - Google Patents

콩나물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521A
KR20060098521A KR1020050017669A KR20050017669A KR20060098521A KR 20060098521 A KR20060098521 A KR 20060098521A KR 1020050017669 A KR1020050017669 A KR 1020050017669A KR 20050017669 A KR20050017669 A KR 20050017669A KR 20060098521 A KR20060098521 A KR 20060098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bean sprouts
holes
bean sprout
sir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910B1 (ko
Inventor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이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혁 filed Critical 이동혁
Priority to KR102005001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9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9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including harvesting or planting or other numerous miscellaneous processing ste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콩나물 시루를 포함하는 콩나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콩나물 시루(1000)는, 물배출구(2500)가 형성된 세척통(2000) 내부에 바닥끼리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1100)와, 상기 바닥부(1100) 위에 별도로 올려지되 하단이 개방되고 옆면이 경사가 진 콩나물저장부(1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에는, 측면에 다수개의 공기구멍(3100)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연통된 공기공급통(3000)이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콩나물이 다 자란 후에 콩나물저장부만을 따로 빼내어 세척통 안에서 콩나물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척작업이 한결 용이하고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콩나물 시루 아래쪽으로부터의 신선한 공기를 콩나물 속으로 연속 공급하여 콩나물의 생장을 돕고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콩나물 재배기{BEAN SPROUTS RAS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콩나물 재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0... 콩나물 시루
2000... 세척통
3000... 공기공급통
4000... 시루 지지관
5000... 살수판
6000... 물공급관
본 발명은 콩나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풍이 원활하고 세척 및 인출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높은 콩나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콩나물 재배기는, 바닥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콩나물 시루(1)와, 상기 콩나물 시루(1)의 아래쪽에 물저장통(2)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콩나물 시루(1)로 공급되는 물은 콩나물을 지나 물저장통(2)에 저장되고, 펌프(3)를 이용하여 상기 물저장통(2)의 물을 콩나물 시루(1)로 다시 끌어올림으로써 주기적으로 물이 재순환하여 콩나물에 싹을 틔우게 됩니다.
그러나, 종래의 콩나물 재배기에서 재배되는 콩나물은 대량으로 재배할 경우 매우 빽빽하게 배치되므로 상호간의 틈이 매우 작고 공기의 공급이 원활치 않아, 주변온도에 따라 성장중에 일부 콩나물이 부패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다 자란 콩나물에서 껍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콩나물 시루를 세척장소로 옮겨야 하나, 콩나물과 콩나물 시루의 중량이 매우 커서 별도의 이송장치가 필요하므로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신, 콩나물 시루에서 콩나물을 꺼내어 별도의 세척통에 옮길 수도 있겠으나, 이 또한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물의 공급이 균일하지 않아 콩나물의 성장이 위치에 따라 불균일한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성장하는 콩나물에 원활하게 산소를 공급하고 다 자란 콩나물의 세척과 인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콩나물 재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기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콩나물 시루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콩나물 시루를 수용하는 세척통을 포함하며,
상기 콩나물 시루는, 물배출구가 형성된 세척통 내부에 바닥끼리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위에 별도로 올려지되 하단이 개방되고 다 자란 콩나물을 꺼낼 시 용이하도록 옆면이 경사가 진 콩나물저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기는,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바닥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콩나물 시루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콩나물 시루의 바닥에는, 측면에 다수개의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연통된 공기공급통이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세척통과 시루 바닥부가 조립될 때 통풍이 원활하도록 적절한 틈새가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재배기는,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바닥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콩나물 시루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콩나물 시루를 수용하는 세척통을 포함하며,
상기 콩나물 시루는, 물배출구가 형성된 세척통 내부에 바닥끼리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위에 별도로 올려지되 하단이 개방된 콩나물저장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콩나물 시루의 바닥부에는, 측면에 다수개의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연통된 공기공급통이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콩나물 시루의 바닥부와 상기 세척통의 바닥 사이에는 측면에 공기통로용 노치가 형성된 지지관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세척통의 소정 높이에는 내면 둘레를 따라 콩나물 시루 지지용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배출구는, 콩나물 시루의 바닥 근방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방지용 배출구와, 상기 오버플로우 방지용 배출구 아래쪽에 형성된 하부배출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콩나물 시루의 상단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살수판이 배치되어 있으며, 물공급관이 살수판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콩나물 시루의 상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콩나물 재배기는,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바닥에는 다수개의 구멍(1100)이 형성된 콩나물 시루(1000)와, 상기 콩나물 시루(1000)를 수용하는 세척통(2000)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통(2000)에는 물배출구(2500)가 형성되어 있어, 콩나물 시루(10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펌프(미도시) 등에 의해 재순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세척통(2000)은 통상적인 콩나물 재배기의 물저장통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콩나물 시루(1000)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1100)와, 상기 바닥부(1100) 위에 별도로 올려지되 하단이 개방된 콩나물저장부(1200)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콩나물저장부(1200)와 바닥부(1100)에서 콩나물을 저장하여 키우고, 나중에 콩나물저장부(1200)만을 제거함으로써 세척통(2000) 내에서 콩나물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은 세척통(2000)의 바닥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와 상기 세척통(2000)의 바닥 사이에는 측면에 공기통로용 노치(4100)가 형성된 지지관(4000)이 설치되어 있어, 바닥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치(4100)를 통해 신선한 공기가 소통되게 된다.
또는, 상기 세척통(2000)의 소정 높이에 내면 둘레를 따라 콩나물 시루 지지용 프레임(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를 받침으로써 바닥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에는, 측면에 다수개의 공기구멍(3100)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연통된 공기공급통(3000)이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어,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와 상기 세척통(2000)의 바닥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부터 신선한 공기가 공기공급통(3000)을 통해 콩나물 사이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더욱이, 콩나물이 다 자란 후 상기 공기공급통(3000)을 제거하면, 콩나물 사이의 간격이 커지기 때문에 밀도가 작아져서 콩나물의 인출작업이 한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통(3000)과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는 적절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에 상기 공기공급통(3000)의 직경에 해당하는 구멍(1140)을 형성하고, 그 구멍(1140)의 테두리를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후 공기공급통(3000)을 끼워서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에 상기 공기공급통(3000)의 직경에 해당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직접 공기공급통(3000)을 끼울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배출구(2500)는,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 근방에 형성된 수위유지용 배출구(2510)와, 상기 수위유지용 배출구(2510) 아래쪽에 형성된 하부배출구(25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하부배출구(2520)를 통해 물을 완전히 배출하거나 재순환시킬 수 있고, 물이 하부배출구(2520)를 통해 배출되는 물보다 더 많은 양이 공급될 경우 나머지 물은 수위유지용 배출구(25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되는 물이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를 초과하는 것에 의해 콩나물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유지용 배출구(2510)를 통해 물이 배출되지 않을 때, 상기 수위유지용 배출구(2510)는 외부공기의 통로로도 기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상단에는 다수의 구멍(5100)이 형성된 살수판(5000)이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물공급관(6000)이 살수판(500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관(6000)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면 양쪽으로 분기되어 흐르고, 상기 구멍을 통해 균일하게 살수판(5000) 위에 떨어지게 되며, 떨어진 물은 살수판(5000)의 구멍(5100)을 통해 연속적으로 콩나물 시루(1000)의 내부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살수판(5000)과 물공급관(6000)의 결합은 플라스틱 등 탄력성이 있는 홀더(55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공기구멍(1700)이 형성되어, 콩나물 내부에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 경우, 상기 공기구멍(1700)이 지나치게 바닥쪽에 형성되면 공기구멍(1700)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콩나물 시루가, 물배출구가 형성된 세척통 내부에 바닥끼리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위에 별도로 올려지되 하단이 개방된 콩나물저장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콩나물이 다 자란 후에 콩나물저장부만을 따로 빼내어 세척통 안에서 콩나물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척작업이 한결 용이하고 간편하다.
또한, 상기 콩나물 시루의 바닥에는, 측면에 다수개의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연통된 공기공급통이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콩나물 시루 아래쪽으로부터의 신선한 공기를 콩나물 속으로 연속 공급하여 콩나물의 생장을 돕고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콩나물이 다 자란 후 공기 공급통을 꺼내면, 콩나물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는 등 밀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콩나물의 인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콩나물 시루의 상단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살수판이 배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물공급관이 살수판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콩나물로의 물의 공급이 매우 균일하게 되어 생장 또한 균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통은 일반적인 용수 저장용 물 탱크와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다.

Claims (9)

  1.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바닥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콩나물 시루를 포함하는 콩나물 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시루(1000)를 수용하는 세척통(2000)을 포함하며,
    상기 콩나물 시루(1000)는, 물배출구(2500)가 형성된 세척통(2000) 내부에 바닥끼리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1100)와, 상기 바닥부(1100) 위에 별도로 올려지되 하단이 개방된 콩나물저장부(12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기.
  2.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바닥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콩나물 시루를 포함하는 콩나물 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에는, 측면에 다수개의 공기구멍(3100)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연통된 공기공급통(3000)이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기.
  3.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바닥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콩나물 시루를 포함하는 콩나물 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시루(1000)를 수용하는 세척통(2000)을 포함하며,
    상기 콩나물 시루(1000)는, 물배출구(2500)가 형성된 세척통(2000) 내부에 바닥끼리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1100)와, 상기 바닥부(1100) 위에 별도로 올려지되 하단이 개방되고 옆면이 경사진 콩나물저장부(120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에는, 측면에 다수개의 공기구멍(3100)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연통된 공기공급통(3000)이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부(1100)와 상기 세척통(2000)의 바닥 사이에는 측면에 공기통로용 노치(4100)가 형성된 지지관(400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000)의 소정 높이에는 내면 둘레를 따라 콩나물 시루 지지용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기.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구(2500)는, 콩나물 시루(1000)의 바닥 근방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방지용 배출구(2510)와, 상기 오버플로우 방지용 배출구(2510) 아래쪽에 형성된 하부배출구(25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상단에는 다수의 구멍(5100)이 형성된 살수판(5000)이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물공급관(6000)이 살수판(500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상단에는 다수의 구멍(5100)이 형성된 살수판(5000)이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물공급관(6000)이 살수판(500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시루(1000)의 상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공기구멍(17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기.
KR1020050017669A 2005-03-03 2005-03-03 콩나물 재배기 KR10071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69A KR100718910B1 (ko) 2005-03-03 2005-03-03 콩나물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69A KR100718910B1 (ko) 2005-03-03 2005-03-03 콩나물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521A true KR20060098521A (ko) 2006-09-19
KR100718910B1 KR100718910B1 (ko) 2007-05-16

Family

ID=3762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669A KR100718910B1 (ko) 2005-03-03 2005-03-03 콩나물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9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31B1 (ko) * 2011-05-20 2013-07-10 조정현 수경재배기를 위한 이중 구조 양액 배출기
CN104920193A (zh) * 2015-05-29 2015-09-23 顾积志 水密封豆芽孵化箱
CN106106115A (zh) * 2016-08-09 2016-11-16 全柱尧 压盘式豆芽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351A (ko) * 2001-06-23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버스채널의 종단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 메모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31B1 (ko) * 2011-05-20 2013-07-10 조정현 수경재배기를 위한 이중 구조 양액 배출기
CN104920193A (zh) * 2015-05-29 2015-09-23 顾积志 水密封豆芽孵化箱
CN106106115A (zh) * 2016-08-09 2016-11-16 全柱尧 压盘式豆芽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910B1 (ko)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9323A (ko) 수경재배기
KR101945898B1 (ko) 굴 알맹이 분리장치
KR20130061562A (ko) 식물 재배 장치
KR100718910B1 (ko) 콩나물 재배기
KR20140081651A (ko)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KR101605608B1 (ko) 콩나물 재배장치
JP4431774B2 (ja) 流水育苗ポット台
KR101889483B1 (ko)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NL7902310A (nl) Watercultuureenheid.
JP2007330227A (ja) 養液栽培用の栽培装置
JP3355394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JP3765025B2 (ja) 自動灌水装置
JP3235024B2 (ja) 浸漬式害虫駆除における植物浸漬装置
US5159779A (en) Seed germina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5020273A (en) Seed germina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JP3067134U (ja) 植物苗の保管棚
JP2021170946A (ja) 水耕栽培システム
KR20110073913A (ko) 식생 상자 조립체
KR200369220Y1 (ko) 콩나물 재배기의 재배상자 재치장치
JP4773237B2 (ja)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KR0181929B1 (ko) 무공해 콩나물의 재배장치 및 방법
JP4241193B2 (ja) サイフォン管
JP7126294B1 (ja) イチゴ苗の生育方法
WO2011077833A1 (ja) 液体循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家庭用水耕栽培装置
KR200386615Y1 (ko) 식물 육묘용 발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