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483B1 -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483B1
KR101889483B1 KR1020170034916A KR20170034916A KR101889483B1 KR 101889483 B1 KR101889483 B1 KR 101889483B1 KR 1020170034916 A KR1020170034916 A KR 1020170034916A KR 20170034916 A KR20170034916 A KR 20170034916A KR 101889483 B1 KR101889483 B1 KR 10188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dium
opening
vacu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술
Original Assignee
김범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술 filed Critical 김범술
Priority to KR1020170034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재배시에 이용되는 톱밥배지에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와 진공펌프수단이 구비되는 몸체부의 상단부에 톱밥배지를 내부로 수용하는 함체부를 구비하여, 함체부 내부에 버섯재배용 톱밥배지를 수납하고 진공펌프수단을 이용하여 함체부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후 물탱크의 연결 밸브를 개방하여 진공력에 의해 물탱크의 물이 함체부 내로 빨려들어가 톱밥배지에 신속하게 침투하도록 하여 배지의 수분 공급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A Water Supply Device for the Sawdust Culture Medium}
본 발명은 버섯재배시에 이용되는 톱밥배지에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와 진공펌프수단이 구비되는 몸체부의 상단부에 톱밥배지를 내부로 수용하는 함체부를 구비하여, 함체부 내부에 버섯재배용 톱밥배지를 수납하고 진공펌프수단을 이용하여 함체부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후 물탱크의 연결 밸브를 개방하여 진공력에 의해 물탱크의 물이 함체부 내로 빨려들어가 톱밥배지에 신속하게 침투하도록 하여 배지의 수분 공급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그 어떤 채소에 비해 영양가 높으면서도 고혈압, 당뇨를 비롯한 각종 성인병 예방에 탁월할 뿐 아니라 특히 현대인의 건강에 가장 중요시되는 항암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관한 인공 재배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버섯류 중 표고버섯에 관한 그 재배법에는, 활엽수 등의 원목을 이용하여 종균을 재배하는 원목재배법이 잘 알려져 있으나, 이는 관리의 용이성과 시설비가 적게 드는 장점만 있을 뿐 원목 투입의 규모에 비해 버섯의 수확량(회수율)이 저조할 뿐 아니라 원목을 조달하는 것 또한 만만치 않았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일정한 설비를 갖춘 시설에 톱밥을 주원료로 만들어진 배지를 설치한 다음, 미리 배양해둔 종균을 배지에 접종하여 대량으로 활착시키는 톱밥 재배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톱밥재배는 원목재배에 비해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지만, 자원, 노동력 및 재배 공간의 절약이 가능하고 재배기간이 짧아 자본회수가 용이하며, 계획생산 및 출하가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 많은 농가에서 활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버섯배지를 이용한 버섯의 재배는 하나의 배지에 대해 1번의 발생과 1번의 수확만으로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의 주기(예, 3-6 주기)로 재배할 수 있으며, 배지의 상태가 양호할수록 더 많은 주기에 걸쳐서 버섯을 재배하고 수확할 수 있다. 이러한 배지는 톱밥을 압축하여 제작하는 배지에 적용된다.
따라서, 버섯의 품질을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는, 배지의 수명이 길수록, 즉 동일 배지에 대한 버섯의 재배(발생) 주기가 많을수록, 배지의 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므로, 농가에서는 배지 관리의 일환으로 배지의 함수율 관리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버섯배지에서 새로운 주기의 버섯 발생을 개시할 때에는, 배지에 물이 충분히 함수되도록 하는 배지 침수 작업이 요구되는바, 이와 같은 배지의 침수는 신규 배지보다는 주기와 주기 사이에 함수율이 낮아져 건조된 재생배지에 대해 더욱 필요하다.
종래의 전통적인 배지 침수의 방법은, 배지를 물에 담가두거나 배지에 물을 흘리거나 살수하여 물이 자연적으로 배지 속으로 침수되도록 하는 것이나 자연침수방법은 배지 내부까지 물이 침수되는 시간이 수 시간에서 수일까지 걸릴 정도로 장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낮고, 함수율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과정이 없고, 그 과정에서 배지가 곰팡이 등에 의해 오염되어 폐기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물 사용량이 과다하여 비용증가의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지를 물이 있는 장소로 옮겨 물에 담근후 다시 버섯재배지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자연침수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주사기 형태의 침봉을 배지에 삽입하여 인위적으로 배지 내부로 물을 주입하는 침봉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최근 개발된 침봉방법의 대표적인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367987호의 '버섯재배용 배지의 수분 공급 장치'가 있다.
상기 '버섯재배용 배지의 수분 공급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배지가 안정적으로 안치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거치대가 결합되는 케이스;와, 내부가 관통된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프레임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배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배지에 침투되는 다수의 침봉;과, 상기 이송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침봉을 통해서 배지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상기 침봉으로 물을 공급시키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이송수단과 물공급수단의 작동을 수동 및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 10-1367987 (등록번호) 2014.02.20. KR 10-1514236 (등록번호) 2015.04.16. KR 20-0473172 (등록번호) 2014.06.09.
그러나 종래의 침봉방법은 자연침수방법에 비해 배지의 침수시간을 어느 정도 단축할 수는 있으나, 여전히 침수작업에 적지 않은 시간, 노동 및 물이 소요되고, 특히 침봉을 배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배지가 손상되기 쉽고, 배지 전체에 물이 균일하게 함수되지 못하고 불균일하게 함수되기 쉬우며, 함수율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과정이 없고, 결과적으로 버섯을 발생 및 생장시킬 수 있는 배지의 환경을 훼손함으로써, 버섯 수확량 저하 및 배지수명의 단축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함체부 내부에 버섯재배용 톱밥배지를 수납하고 진공펌프수단를 이용하여 함체부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후 물탱크의 연결 밸브를 개방하여 진공력에 의해 물탱크의 물이 함체부 내로 빨려들어가도록 하고, 에어밴트를 통해 공기를 함체부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함체부 내로 유입된 물이 압력차이에 의해 톱밥배지에 신속하게 침투하도록 하여 배지의 수분 공급작업의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체부 내부에 수납된 버섯재배용 톱밥배지에 수분이 균일하게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버섯 재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체부 내부에 수납된 버섯재배용 톱밥배지에 수분을 압력차이로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버섯재배용 배지의 물리적 훼손을 막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지구입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섯재배용 톱밥배지가 장착되는 배지 받침수단에 로드셀을 연결 설치하여 함체부에 공급된 물이 배지에 침수 한 후 함체부에 공급된 물을 배수한 후 배지의 무게를 체크하여 설정된 무게가 될 때까지 배지에 흡수된 물을 감량함으로써 톱밥배지에 함수되는 수분의 함량을 최적화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섯 재배용 배지에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물을 수납 저장하는 물탱크 및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진공펌프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측에 구비되면서 내부에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를 수용하는 수납공간과 이를 열고 닫는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 바닥측에 구비되어 상기 톱밥배지를 상치하는 배지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부에는 물을 유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개폐밸브가 구비되는 물공급파이프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고, 또 상기 함체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공기배출파이프의 끝단이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배출파이프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진공개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진공개폐밸브와 상기 진공펌프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배출파이프에는 상기 물공급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함체부 내부의 물을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배출할 수 있도록 제2개폐밸브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함체부에는 내부의 진공상태를 체크하는 진공센서가 더 설치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수단이 더 설치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지받침대의 하부면에는 상기 톱밥배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이 더 설치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함체부에는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벤트가 더 설치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는 함체부 내부에 버섯재배용 톱밥배지를 수납하고 진공펌프수단를 이용하여 함체부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후 물탱크의 연결 밸브를 개방하여 진공력에 의해 물탱크의 물이 함체부 내로 빨려들어가도록 하고, 에어밴트를 통해 공기를 함체부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함체부 내로 유입된 물이 압력차이에 의해 톱밥배지에 신속하게 침투하도록 하여 배지의 수분 공급작업의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부 내부에 수납된 버섯재배용 톱밥배지에 수분이 균일하게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버섯 재배 수율을 향상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부 내부에 수납된 버섯재배용 톱밥배지에 수분을 압력차이로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버섯재배용 배지의 물리적 훼손을 막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지구입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발명은 버섯재배용 톱밥배지가 장착되는 배지 받침수단에 로드셀을 연결 설치하여 함체부에 공급된 물이 배지에 침수한 후 함체부에 공급된 물을 배수한 후 배지의 무게를 체크하여 설정된 무게가 될 때까지 배지에 흡수된 물을 감량함으로써 톱밥배지의 양(무게)을 체크하고 배수타이밍을 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톱밥배지에 함수되는 수분의 함량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의 함체부에 로드셀 수단이 구비된 측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에 구비된 함체부에 물이 유입되어 배지에 수분이 침투되는 확대단면도 및 물이 함체부 외부로 빠져나가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100)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을 수납 저장하는 물탱크(110) 및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진공펌프(120)가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부(130)와,
상기 몸체부(130)의 상부측에 구비되면서 내부에 버섯 재배용 배지(141, 이하 "톱밥배지"라 함)를 수용하는 수납공간과 이를 열고 닫는 개폐수단(142)이 구비되는 함체부(140),
상기 함체부(140)의 내부 바닥측에 구비되어 상기 톱밥배지(141)를 상치(上置)하는 배지받침대(150)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부(140)에는 물을 유입 또는 배출시키는 물공급파이프(111)가 상기 물탱크(110)와 연결되고 상기 함체부(14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공기배출파이프(121)가 상기 진공펌프(12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10)에서 상기 함체부(140)로 물을 공급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상기 물공급파이프(111)에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개폐밸브(112)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개폐밸브(112)의 개폐에 따라 상기 물탱크(110)의 물이 상기 함체부(140)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역으로 상기 함체부(140)에서 상기 물탱크(11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파이프(111)의 끝단부는 상기 함체부(140)의 바닥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함체부(140)에 공급된 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함체부(14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개폐밸브(112)를 개방하면 함체부(140)의 바닥면에서 중력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상기 함체부(140)내의 물이 상기 물공급파이프(111)를 따라 배출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파이프(111)는 화장실의 사이펀관(Siphon Tube)처럼 굽어 있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함체부(14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함체부(140)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는 일단이 상기 진공펌프(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함체부(140)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의 타단(끝단)이 상기 함체부(140)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함체부(140)에 유입된 물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의 끝단은 함체부(140)의 내부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함체부(140)로 공급된 물이 배출되지 못하면서 공기만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에는 잘못된 진공펌프(120)의 동작으로 의도하지 않게 상기 함체부(140)의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진공개폐밸브(1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으로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를 통해 상기 함체부(14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상기 함체부(140)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함체부(140)에는 그 내부의 진공상태를 체크하는 진공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함체부(140)의 진공이 일정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을 멈추고 상기 진공개폐밸브(122)를 닫아 상기 함체부(140)의 진공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진공상태에서 함체부(140)가 유지될 수 있도록 충분히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진공개폐밸브(122)는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진공센서와 연동되도록 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등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에 설치된 상기 진공개폐밸브(122)와 상기 진공펌(12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에는 상기 물공급파이프(111)와 연결되어 상기 함체부(140) 내부의 물을 상기 진공펌프(120)에 의해 배출하도록 제2개폐밸브(113a)가 구비된 물배출파이프(113)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함체부(140)의 내부에 물이 저장된 경우, 상기 제1개폐밸브(112)와 상기 진공개폐밸브(122)를 닫고 상기 제2개폐밸브(113a)를 개방하면서 상기 진공펌프(120)를 가동하게 되면 상기 함체부(140)의 내부의 물이 상기 물공급파이프(111)와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120)에 구비된 배기파이프(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함체부(140)내에 공급된 물을 배출할 시에 물탱크(110)의 물이 같이 진공펌프(120)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개폐밸브(112)는 물공급파이프(111) 하부에서 상기 물배출파이프(113)와 상기 물탱크(110) 사이에 위치하여야 한다.
다만, 함체부(140)에 물이 차 있을 때 상기 제2개폐밸브(113a)를 닫고 제1개폐밸브(112)를 개방하면,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없이도 함체부(140) 내부의 물이 아래에 위치한 물탱크(110)로 중력에 의하여 이동되어, 함체부 내부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30)의 후면부에는 상기 함체부(140)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수단(16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수단(160)은 상기 배기파이프(123)와 상기 물탱크(110)에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물공급처(미도시)와도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최초에 상기 물탱크(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공급처로부터 상기 필터수단(160)을 통해 정화된 물을 공급해 주고, 이후에는 상기 물공급처로부터는 부족한 물을 보충 시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필터수단(160)에는 개폐밸브(16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개폐밸브(161)는 상기 물탱크(110)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 또는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120)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23)로 배출되는 물은 상기 필터수단(160)을 거쳐 상기 물탱크(110)로 순환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파이프(123)에는 절환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물을 배출할 때는 절환밸브를 절환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23)로 배출되는 물이 상기 필터수단(16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함체부(140)의 공기를 배출할 때는 다시 절환밸브를 절환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물탱크(110)에는 저장된 물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UV램프(114)가 더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은 상기 UV램프(114)에 의해 불순물이나 병원균 등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을 상기 톱밥배지(141)에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30)의 하부면에는 바닥면에 구비되는 레일(R)을 따라 이동되는 레일바퀴(131)와 바닥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바퀴(132)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버섯 재배시설의 바닥면에 상기 레일(R)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레일바퀴(131)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R)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바닥면에 상기 레일(R)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이동바퀴(132)를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바퀴(132)를 이용할 경우, 상기 레일바퀴(131)는 바닥면에 닿지 않게 된다. 반대로 상기 레일바퀴(131)를 이용할 경우, 상기 이동바퀴(132)는 바닥면에 닿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부(140)에는 내부를 관찰하는 감시창(143)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감시창(143)을 통해 내부의 물공급상태나 상기 톱밥배지(141) 상태 등을 주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지받침대(150)는 상기 톱밥배지(141)가 안착되도록 요홈(141a)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배지받침대(150)의 하부면에는 상기 안착된 톱밥배지(141)의 무게와 함수된 톱밥배지(141)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144)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함수는 물이 상기 톱밥배지(141)로 들어가 확산된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로드셀(144)을 통해 상기 함체부(14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을 배출한 후 가장 최적의 수분량이 상기 톱밥배지(141)에 스며들어 있도록 계량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로드셀(144)은 계량된 무게를 바탕으로 상기 진공펌프(120)의 구동 으로 상기 톱밥배지(141)의 내부의 물의 흡수량을 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함체부(140)에는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기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벤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벤트는 상기 함체부(140)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진공을 해제하면서 상기 함체부(140)에 공급된 물이 상기 물탱크(110) 또는 상기 진공펌프(120)를 통하여 배출시켜 상기 톱밥배지(141)에 수분이 용이하게 침투되도록 한다.
상기 배지받침대(150)는 이동이 가능한 단위 용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작동절차를 살펴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100)는 먼저, 상기 개폐수단(141)을 열고 상기 함체부(14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상기 배지받침대(150)의 상부면으로 상기 톱밥배지(141)를 상치시킨다.
이어 상기 개폐수단(141)을 닫아주면 상기 함체부(140)는 외부와 공기의 출입이 단절되면서 밀폐된다.
이는 상기 개폐수단(141)의 모서리부 및 상기 함체부(140)의 모서리부 등에 공기 출입을 효율적으로 막아 주는 오링(미도시) 등과 같은 실링수단을 설치 구비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141)에는 슬라이드식 실린더수단 또는 다른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어 상기 제1개폐밸브(112)와 상기 제2개폐밸브(113a)를 닫고 상기 진공개폐밸브(122)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진공펌프(12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부(14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와 상기 배기파이프(12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진공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함체부(140) 내부의 진공상태가 진공센서(미도시)에 의해 설정된 수준에 도달되면 상기 진공펌프(120)를 중지시킨다.
이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개폐밸브(122)를 닫고 상기 제1개폐밸브(112)를 개방하면 상기 함체부(140) 내부가 진공상태이기 때문에 압력 차이로 상기 물탱크(110)의 물이 상기 물공급파이프(111)를 통해 상기 함체부(140)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함체부(140)에 설치된 에어벤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함체부(140)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톱밥배지(141)로 물의 흡수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함체부(140)로 유입된 물은 상기 톱밥배지(141)로 흡수되며, 흡수된 후 상기 제1개폐밸브(112)를 닫고 진공상태를 해제 한다.
상기 톱밥배지(141)는 너무 많은 물이 침투되어도 문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셀(144)에 의해 설정된 최적화된 물의 공급 양을 정해 둔다.
이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개폐밸브(113a)를 개방하고 상기 진공펌프(120)을 가동하여 상기 함체부(140) 내부의 물을 상기 물배출파이프(113)와 상기 배기파이프(123)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상기 함체부(140) 내부의 물이 완전히 배출되면 상기 제2개폐밸브(113a)를 닫고 진공펌프(120)를 정지한다.
여기서 상기 물배출파이프(113)와 상기 배기파이프(12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상기 필터수단(160)을 거쳐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시 상기 물탱크(110)으로 순환 공급된다.
이어 상기 함체부(140)에 구비된 상기 개폐수단(142)을 열고 상기 톱밥배지(141)를 취출하여 이송한다.
이와 같이 제1회 작업 공정은 종료되고 다음 작업 공정이 동일한 순서로 진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는 물탱크와 진공펌프수단이 구비되는 몸체부의 상단부에 톱밥배지를 내부로 수용하는 함체부를 설치 구비하여, 함체부 내부에 버섯재배용 톱밥배지를 수납하고 진공펌프수단를 이용하여 함체부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후 물탱크의 연결 밸브를 개방하여 진공력에 의해 물탱크의 물이 함체부 내로 빨려들어가도록 하고 다시 에어밴트를 통해 공기를 함체부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함체부 내로 유입된 물이 압력차이에 의해 톱밥배지에 신속하게 침투하도록 하여 배지의 수분 공급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100: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
110:물탱크 111:물공급파이프 112:제1개폐밸브
113:물배출파이프 113a:제2개폐밸브 114:UV램프
120:진공펌프
121:공기배출파이프 122:진공개폐밸브 123:배기파이프
130:몸체부
131:레일바퀴 132:이동바퀴
140:함체부
141:톱밥배지 141a:요홈 142:개폐수단 143:감시창 144:로드셀
150:배지받침대
160:필터수단 161:개폐밸브

Claims (6)

  1. 버섯 재배용 배지에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물을 수납 저장하는 물탱크(110) 및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진공펌프(120)가 구비되는 몸체부(130)와;
    상기 몸체부(130)의 상부측에 구비되면서 내부에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141)를 수용하는 수납공간과 이를 열고 닫는 개폐수단(142)이 구비되는 함체부(140);
    상기 함체부(140)의 내부 바닥측에 구비되어 상기 톱밥배지(141)를 상치(上置)하는 배지받침대(150)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부(140)에는 물을 유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개폐밸브(112)가 구비되는 물공급파이프(111)가 상기 물탱크(110)와 연결되고, 또 상기 함체부(140) 내부의 공기 및 톱밥배지 외부로 강제 배출하여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상기 진공펌프(120)와 연결되는 공기배출파이프(121)의 끝단이 위치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진공개폐밸브(122)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배출파이프(121)에는 상기 물공급파이프(111)와 연결되어 상기 함체부(140) 내부의 물을 상기 진공펌프(120)에 의해 배출할 수 있도록 제2개폐밸브(113a)가 구비된 물배출파이프(113)가 연결 설치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40)에는 내부의 진공상태를 체크하는 진공센서가 더 설치 구비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30)의 후면부에는 상기 물탱크(110)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수단(160)이 더 설치 구비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받침대(150)의 하부면에는 상기 톱밥배지(141)가 안착된 상기 톱밥배지(141)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144)이 더 설치 구비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40)에는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벤트가 더 설치 구비되는 버섯 재배용 배지 수분공급장치.
KR1020170034916A 2017-03-20 2017-03-20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KR10188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16A KR101889483B1 (ko) 2017-03-20 2017-03-20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16A KR101889483B1 (ko) 2017-03-20 2017-03-20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483B1 true KR101889483B1 (ko) 2018-08-17

Family

ID=6340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916A KR101889483B1 (ko) 2017-03-20 2017-03-20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4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774B1 (ko) 2018-04-09 2018-10-01 유한회사 와초리농업회사법인 톱밥 배지 침수기
KR20200064513A (ko) * 2018-11-29 2020-06-08 민일홍 비닐하우스 재배 자동화 시스템
KR20200138458A (ko) * 2019-05-29 2020-12-10 류원대 톱밥배지형 자동화 버섯재배시스템
KR20200140536A (ko) 2019-06-07 2020-12-16 조용화 다공성배지의 침수장치 및 침수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722A (ja) * 1991-07-04 1993-03-09 秀 ▲えき▼田 椎茸栽培用母材の吸水方法及びその吸水装置
KR20090127022A (ko) * 2008-06-05 2009-12-09 세계정밀 주식회사 버섯재배용 배지 살균기 및 살균방법
KR101367987B1 (ko) 2011-05-16 2014-02-27 이상호 버섯 재배용 배지의 수분 공급장치
KR200473172Y1 (ko) 2013-07-25 2014-06-17 이창정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KR101514236B1 (ko) 2015-02-10 2015-04-22 고찬오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KR101549909B1 (ko) * 2015-04-09 2015-09-03 최만수 버섯배지 침수장치 및 버섯배지 침수방법
KR101730448B1 (ko) * 2015-04-06 2017-04-27 농업회사법인럭키머쉬룸(유) 배지 침수처리장치 및 침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722A (ja) * 1991-07-04 1993-03-09 秀 ▲えき▼田 椎茸栽培用母材の吸水方法及びその吸水装置
KR20090127022A (ko) * 2008-06-05 2009-12-09 세계정밀 주식회사 버섯재배용 배지 살균기 및 살균방법
KR101367987B1 (ko) 2011-05-16 2014-02-27 이상호 버섯 재배용 배지의 수분 공급장치
KR200473172Y1 (ko) 2013-07-25 2014-06-17 이창정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KR101514236B1 (ko) 2015-02-10 2015-04-22 고찬오 버섯배지 수분 공급장치
KR101730448B1 (ko) * 2015-04-06 2017-04-27 농업회사법인럭키머쉬룸(유) 배지 침수처리장치 및 침수처리방법
KR101549909B1 (ko) * 2015-04-09 2015-09-03 최만수 버섯배지 침수장치 및 버섯배지 침수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774B1 (ko) 2018-04-09 2018-10-01 유한회사 와초리농업회사법인 톱밥 배지 침수기
KR20200064513A (ko) * 2018-11-29 2020-06-08 민일홍 비닐하우스 재배 자동화 시스템
KR102161045B1 (ko) 2018-11-29 2020-09-29 민일홍 비닐하우스 재배 자동화 시스템
KR20200138458A (ko) * 2019-05-29 2020-12-10 류원대 톱밥배지형 자동화 버섯재배시스템
KR102273268B1 (ko) 2019-05-29 2021-07-06 류원대 톱밥배지형 자동화 버섯재배시스템
KR20200140536A (ko) 2019-06-07 2020-12-16 조용화 다공성배지의 침수장치 및 침수방법
KR102313368B1 (ko) * 2019-06-07 2021-10-14 조용화 다공성배지의 침수장치 및 침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483B1 (ko)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KR101945898B1 (ko) 굴 알맹이 분리장치
CN218496351U (zh) 一种食品罐的气密性检测装置
EP0142989A2 (en) Plant propagation system and apparatus
US5054233A (en) Hydroponic apparatus
CN210444996U (zh) 一种园林苗木培养皿
KR101260177B1 (ko) 시편의 건식수포화 장치 및 방법
KR101549909B1 (ko) 버섯배지 침수장치 및 버섯배지 침수방법
KR101730448B1 (ko) 배지 침수처리장치 및 침수처리방법
CN218831421U (zh) 一种上海青培育架
CN104718947A (zh) 一种促进木本植物扦插育苗成活率的插穗处理方法及装置
JP2017063713A (ja) 植物培養装置及び植物工場
KR100718910B1 (ko) 콩나물 재배기
CN210202609U (zh) 一种植物栽培容器
KR102273268B1 (ko) 톱밥배지형 자동화 버섯재배시스템
KR102313368B1 (ko) 다공성배지의 침수장치 및 침수방법
CN220606887U (zh) 一种水培处理专用植物水培箱
CN207185675U (zh) 一种海鲜养殖用曝气池
WO1990012495A1 (en) Plant growing apparatus
CN111512838A (zh) 一种幼苗的培育装置
CN219741186U (zh) 一种种子培养装置
CN219679344U (zh) 一种幼苗培育装置
CN109197555A (zh) 一种大麦组培苗夏季漂浮育苗装置
CN218831656U (zh) 一种便捷水产养殖池排污装置
CN216134928U (zh) 一种利用菌棒组合化肥养殖食用菌的移动式菌棒替换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