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913A - 식생 상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식생 상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913A
KR20110073913A KR1020090130720A KR20090130720A KR20110073913A KR 20110073913 A KR20110073913 A KR 20110073913A KR 1020090130720 A KR1020090130720 A KR 1020090130720A KR 20090130720 A KR20090130720 A KR 20090130720A KR 20110073913 A KR20110073913 A KR 20110073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ter
water supply
vegetation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121B1 (ko
Inventor
송웅호
Original Assignee
송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웅호 filed Critical 송웅호
Priority to KR1020090130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1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급수 방식을 개선하여 식생 상자에 수용된 토양 및 식생 식물에 정체되지 않고 사이폰 방식에 의해 흐르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식생 상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는 벽체에 고정되는 행거부재와, 행거부재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가 서로 근접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식생 상자들과, 식생 상자의 상측에 배치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와, 일단부가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식생 상자의 일측면에 관통되어 외측으로 밀착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식생 상자 내부에 대해 구획되게 배치되며, 분할된 타단부가 식생 상자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수분을 상기 토양측에 물을 공급시키는 급수포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이 고여있지 않고 흐르는 방식으로 식생 식물의 뿌리에 수분이 공급되므로 식생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식물, 식생 상자, 급수포

Description

식생 상자 조립체{BOX ASSEMBLY FOR GROWING PLANT}
본 발명은 식생 상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 방식을 개선하여 식생 상자에 수용된 토양 및 식생 식물에 정체되지 않고, 사이폰 방식에 의해 흐르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식생 상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자에 여러개의 화분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이 화분삽입공간들에 하나씩의 화분을 삽입하여 배치할 경우, 여러개의 화분을 한번에 이동시키거나 물을 주는 등 화분에 심어진 난이나 기타 식물 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화분삽입공간들 하나씩 물을 개별적으로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거나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화분삽입공간의 구조상 공급된 물이 쉽게 빠져나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확인을 통해 부족한 량의 물을 공급하여 주는 작업이 매번 반복되는 등 식물 관리에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편, 화분과 같은 식생 상자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은 살수관수, 점적관수 및 저면관수가 있다.
살수관수는 식생상자에 물을 스프레이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물의 소모량이 많고 식물에 맞는 수량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점적관수는 물방울 형태로 공급되어서 토양에 발생한 특정통로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므로 균일한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저면관수는 식생상자의 저면의 부직포 등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므로 저부에만 수분이 밀집되어 세균번식 등 오염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물의 급수 방식을 개선하여 식생 상자에 수용된 토양 및 식생 식물에 정체되지 않고, 사이폰 방식에 의해 흐르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식생 상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 상자들의 상, 하 간격을 좁게 배열할 수 있도록 하여 식생 상자들 사이의 틈새 부위를 작게 형성하여 외관상 수려한 효과를 갖는 식생 상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생 상자 조립체는 벽체나 바닥에 고정된 행거부재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된 토양과 식생 식물이 수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식생 상자와; 상기 식생 상자의 상측에 배치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와; 일단부가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식생 상자의 일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식생 상자의 일측면 외측으로 배치되고, 타단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기 식생 상자 내부에 대해 구획되게 배치되며, 상기 분할된 타단부가 상기 식생 상자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수분을 상기 토양측에 물을 공급시키는 급수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포는 복수개로 분할된 타단부가 상기 식생 상자의 타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급수포의 타단부의 끝단이 상기 식생 상자의 하부에 위치한 다른 급수포의 일단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 상자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평행하게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수부는 내부에 상기 급수포의 일단부 측에 수분을 전달하기 위한 물 공급부재가 담겨지도록 수용되고,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측에 외부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 상자의 개구된 전면 테두리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토양 및 식생 식물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속시키는 망 형태의 커버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 상자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의 급수 방식을 개선하여 식생 상자에 수용된 토양 및 식생 식물에 정체되지 않고 사이폰 방식에 의해 흐르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식생 상자 조립체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이 고여있지 않고 흐르는 방식으로 수분이 공급되므로 식생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 성능이 향상되고 분리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 상자들의 상, 하 간격을 좁게 배열할 수 있도록 하여 식생 상자들 사이의 틈새 부위를 작게 형성하여 외관상 수려한 효과를 갖는다.
토양의 깊이에 관계없이 적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토양에 골고루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급수포를 사용하여 식생 상자의 저면에 급수포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급수포를 이용한 급수방식은 식생 식물의 뿌리 쪽에 배치되어 신속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수분이 토양의 하부에 정체되어 고여 있고 토양에 고인 물을 식물의 뿌리가 흡수하는 방식이므로 산소 공급 부족으로 인해 식생 식물의 뿌리가 썩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의 급수 방식을 개선하여 식생 상자에 수용된 토양 및 식생 식물에 정체되지 않고 사이폰 방식에 의해 흐르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식생 상자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벽체나 바닥에 고정된 행거부재에 복수의 식생상자를 고정시킨 경우, 각각 고정된 식생 상자들을 행거부재로부터 장착 및 탈착시키기 위해 식생 상자들 간의 상,하 간격을 크게 하여야 하므로, 식생 상자들 사이의 틈새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식생 상자들의 상, 하 간격을 좁게 배열할 수 있는 식생 상자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행거부재가 고정되는 장소가 벽체에 한정하지 아니하지만,식생상자가 벽체에 고정된 행거부재를 일례로 표현하기로 하며, 이하에서 기재된 상,하 및 전,후 방향은 벽체에 고정된 식생 상자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상자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벽체에 고정되는 행거부재(10)와, 행거부재(10)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가 서로 근접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식생 상자(100)들과, 식생 상자(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와, 일단부(510)가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식생 상자(100)의 일측면(102)에 관통되어 외측으로 밀착되게 배치되고, 타단부(520)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식생 상자(100) 내부에 대해 구획되게 배치되며, 분할된 타단부(520)가 상기 식생 상자(100)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수분을 상기 토양측에 물을 공급시키는 급수포(500)로 구성된다.
고정수단은 일단부가 행거부재(10)에 볼트나 스크루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고, 타단부가 경사지게 절곡되어 식생 상자(100)의 결합공(130)을 통해 후면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20)을 구비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식생 상자(100)들은 내부에 수용된 토양과 식생 식물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가지고, 전면에 토양과 식생 식물이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를 갖는다.
식생 상자(100)들은 일측면(102)과 타측면(104)에 각각 급수포(500)가 관통되도록 관통공(120)과 통공(1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식생 상자(100)의 일측면(102)과 타측면(104)을 각각 수평면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로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행거부재(10)에 고정된 고정 브라 켓(20)을 통해 복수의 식생 상자(100)를 장착시킨 후 식생 상자(100)를 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들어올려 식생 상자(100)를 고정 브라켓(20)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식생 상자(100)들 간의 상, 하 간격을 좁게 배열할 수 있어 식생 상자(100)들 간의 간극이 전면 방향에서 볼 때 틈새가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다.
이때 식생 상자(100)의 일측면(102)과 타측면(104)의 경사각은 고정 브라켓(20)과의 행거식 결합을 위해 경사진 각도와 동일하거나, 그와 유사한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 상자(100)의 경사진 일측면(102)은 급수포(500)의 일단부(510)가 밀착된 상태로 식생 상자(100)의 좌,우측면을 기준으로 볼트 또는 스크류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또 식생 상자(100)의 바닥면에는 공기 순환을 위한 간극을 두거나 팬 모터(미도시)가 장착되도록 격자 형태의 받침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식생 상자(100)는 도난, 분실의 우려를 없애기 위해 별도의 체결부재(브라켓 및 볼트)가 식생 상자(100)의 후면측에 배치되어 행거부재(10)에 체결된 경우에 전면 방향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급수포(500)는 물을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이 사이펀 방식에 의해 유동 가능한 섬유 소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포(500)의 타단부(520) 중 토양을 구획하도록 식생 상자(100)의 내부에 배치된 것은 토양의 내부에 내장되는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면에서 볼 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주기 위함이다.
급수포(500)의 배치 구조는, 일단부(510)가 관통공(120)을 통해 식생 상자(100)의 일측면(102) 외부로 배치되고, 분할된 타단부(520) 부위가 식생 상자(100)의 내부에서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를 갖도록 꺾여진 상태로 배치되며, 다시 통공(110)을 통해 식생 상자(100)의 타측면(104) 외부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식생 상자(100)의 전면 부위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된 토양 및 식생 식물이 개구된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 형태의 커버부재(150)를 더 구비한다.
커버부재(150)가 망 형태인 이유는 식생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도록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커버부재(150)는 식생 상자(10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스크류나 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된 구조를 채택하거나, 커버부재(150)가 복수개로 분리 가능한 부재로 구성되어 상호 상,하 엇갈리게 교차되어 단부가 식생 상자(100)의 전면 테두리 내측에 걸리도록 배치된 것을 채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150)는 식생 상자(10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스크류나 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되는 커버플레이트(154)와, 커버 플레이트에 상,하 엇갈리게 교차되어 단부가 식생 상자(100)의 전면 테두리 내측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커버고정편(152)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커버부재(150)는 서로간의 간극을 갖도록 이격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어 그 간극 사이로 식생 식물이 성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급수부는 하측에 위치한 식생 상자(100)의 일측면(102)과 근접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식생 상자(100)의 급수포(500)측에 수분을 전달하기 위한 물 공급부재(250)의 일단부가 담겨지도록 수용되고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200)와, 저수조(200)측에 외부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210)으로 구성된다.
물 공급부재(250)는 급수포(500)와 동일한 섬유 소재를 구성되며, 일단부가 저수조(200) 내부로 수용되고, 타단부가 급수포(500)의 일단부(510)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최 하측에 위치한 식생 상자(100)에는 하측으로 배수되는 물을 받아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더 구비되며, 그 배출수단은 급수포(500)의 타단부(520)를 통해 수분이 집수되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집수조(300)와, 집수조(3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집수조(300) 내에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310)으로 구성된다.
그외에도,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식생 상자(100)의 후면 측에 팬 모터를 장착하여 식생 식물 측에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 상자 조립체는, 각각의 식생 상자(100)들을 고정 브라켓(20)을 매개로 행거부재(10)에 걸어서 고정시키면, 각각의 식생 상자(100)들이 근접되게 배치된다.
이때, 식생 상자(100)들의 상,하 간극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생 상자(100)의 일측면(102)과 타측면(104)을 각각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식생 상자(100)들의 상,하 간극이 좁더라도 식생 상자(100)를 고정 브라켓(20)으로 탈착시 식생 상자(100)를 위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이 식생 상자(100)를 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들어올려 탈착할 수 있어, 전면에서 볼 때 식생 상자(100)들의 상,하 간의 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 하부에 위치하는 식생 상자(100)들은 밀착되게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식생 상자(100)들에 결합되는 급수포(500)의 배치 구조는, 분할된 타단부(520) 부위가 식생 상자(100)의 내부에서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를 갖도록 꺾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토양 및 식생 식물이 식생 상자(100)의 내부로 수납되는 과정에서 각각 구획된 내부 공간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포(500)의 연결구조는 급수포(500)의 일단부(510)는 식생 상자(100)의 일측면(102)에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측에 위치한 식생 상자(100)의 관통공(120)을 통해 급수포(500)의 타단부(520)가 하측에 위치한 식생 상자(100)의 통공(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급수포(500)의 타단부(520) 끝단이 다른 급수포(500)의 일단부(510)와 접촉되어 수분을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각각의 식생 상자(100)에 결합된 급수포(500)는 수분 공급을 위해 수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조립과정이 완료된 후에, 공급배관(210)을 통해 저수조(200) 내에 물을 공급하면, 물 공급부재(250)에 수분이 공급되어 적셔지게 되고, 이후에 급수 포(500)를 통해 각각의 식생 상자(100) 내에 담겨진 토양 측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 물은 서로 연결된 급수포(500)를 통해 각각의 식생 상자(100) 내의 토양 측에 수분을 공급하고 나머지는 집수조(300)로 집수된 후에 배수관(31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과정을 갖는다.
따라서, 각 식생 상자(100)측에 공급되는 물은 고이는 것이 아니라 하측으로 내려와 각각의 급수포(500)에 수분이 전달되는 사이펀 방식이므로, 흐르는 유동성을 갖게 되며, 식생 식물의 뿌리는 모세관 방식에 의해 급수포(500)에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깨끗한 물을 흡수하게 되므로 식생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식생 상자(100)들은 고정 브라켓(20)을 매개로 행거부재(10)에 결합된 방식이므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 고정 브라켓(20)의 절곡진 경사각을 따라 전면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분리작업이 간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상자 조립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식생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식생 상자와 커버부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급수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식생 상자와 급수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식생 상자에 토양과 식생 식물이 수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행거부재 20 : 고정 브라켓
100 : 식생 상자 110 : 통공
120 : 관통공 150 : 커버부재
200 : 저수조 210 : 공급배관
250 : 물 공급부재 300 : 집수조
310 : 배수관 500 : 급수포
510 : (급수포의)일단부 520 : (급수포의)타단부

Claims (9)

  1. 벽체나 바닥에 고정된 행거부재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된 토양과 식생 식물이 수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식생 상자와;
    상기 식생 상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와;
    일단부가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식생 상자의 일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식생 상자의 일측면 외측으로 배치되고, 타단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기 식생 상자 내부에 대해 구획되게 배치되며, 상기 분할된 타단부가 상기 식생 상자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수분을 상기 토양측에 물을 공급시키는 급수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상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포는 복수개로 분할된 타단부가 상기 식생 상자의 타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급수포의 타단부의 끝단이 상기 식생 상자의 하부에 위치한 다른 급수포의 일단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상자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내부에 상기 급수포의 일단부 측에 수분을 전달하기 위한 물 공급부재가 담겨지도록 수용되고,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측에 외부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상자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상자의 개구된 전면 테두리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토양 및 식생 식물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속시키는 망 형태의 커버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상자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상자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포의 타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급수포의 타단부를 통해 수분이 집수되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조 내에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상자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행거부재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식생 상자의 후면 일부위에 걸리도록 경사진 절곡된 형태의 고정 브라켓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상자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상자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평행하게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상자 조립체.
  8. 벽체나 바닥에 고정된 행거부재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된 토양과 식생 식물이 수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식생 상자들과;
    상기 식생 상자들 중 최상단에 위치한 식생 상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와;
    일단부가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식생 상자들의 일측면에 각각 관통되어 외측으로 밀착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기 식생 상자 내부에 대해 구획되게 배치되며, 상기 분할된 타단부가 상기 식생 상자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식생 상자에 배치된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수분을 상기 토양측에 물을 공급시키는 급수포를 구비하되,
    상기 급수포의 타단부가 서로 근접된 식생 상자들에 배치된 다른 급수포의 일단부와 각각 접촉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상자 조립체.
  9. 벽체나 바닥에 고정된 행거부재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된 토양과 식생 식물이 수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식생 상자와;
    상기 식생 상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식생 상자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평행하게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상자 조립체.
KR1020090130720A 2009-12-24 2009-12-24 식생 상자 조립체 KR101196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720A KR101196121B1 (ko) 2009-12-24 2009-12-24 식생 상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720A KR101196121B1 (ko) 2009-12-24 2009-12-24 식생 상자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718A Division KR20120024918A (ko) 2012-02-16 2012-02-16 식생 상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913A true KR20110073913A (ko) 2011-06-30
KR101196121B1 KR101196121B1 (ko) 2012-10-30

Family

ID=4440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720A KR101196121B1 (ko) 2009-12-24 2009-12-24 식생 상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1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331B1 (ko) 2015-04-02 2016-10-10 김문겸 정션박스의 모니터링 장치
CN109315180A (zh) * 2018-09-25 2019-02-12 绵阳鹏志远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植物墙的补水槽装置
WO2022223834A1 (de) * 2021-04-24 2022-10-27 Siemsen, Michael Bewässerun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653A (ja) 2000-05-25 2001-12-04 Katsuaki Yoneda フラワーポスト
KR200320265Y1 (ko) 2003-04-19 2003-07-16 윤진영 다단화분구조체
JP2004337054A (ja) 2003-05-15 2004-12-02 Nippon Chiko Co Ltd 壁面緑化ユニット
KR100830330B1 (ko) 2006-10-21 2008-05-19 송웅호 식생상자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331B1 (ko) 2015-04-02 2016-10-10 김문겸 정션박스의 모니터링 장치
CN109315180A (zh) * 2018-09-25 2019-02-12 绵阳鹏志远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植物墙的补水槽装置
WO2022223834A1 (de) * 2021-04-24 2022-10-27 Siemsen, Michael Bewässerung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121B1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549B1 (ko) 재배 장치, 다층 입체 재배 시스템 및 식물 공장 식재 시스템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KR101400438B1 (ko) 식물 수납 장치
US20130340337A1 (en) Plant develop rack
KR20170116207A (ko) 식물 트레이
EP2885963B1 (en) Vertical garden
KR20160111766A (ko) 공기정화 및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식생 구조물
KR101079974B1 (ko) 액자형 벽걸이 화분
TW201538071A (zh) 栽植單元及栽植器具
KR20190137201A (ko) 입형정원 시스템
KR101196121B1 (ko) 식생 상자 조립체
US20220264807A1 (en) Plant container for greening walls and a greening wall
JP5856828B2 (ja) 室内用植栽パーテション
WO2014041243A9 (en) A plant wall and a method for recycling nutrients in the plant wall
KR101643649B1 (ko) 벽면 녹화용 화분
KR20190140127A (ko) 벽면 정원 설비
KR101414557B1 (ko) 에브 앤드 플로우용 슬림형 재배 포트 어셈블리
KR20190137200A (ko) 입형화분 프레임
KR20120024918A (ko) 식생 상자 조립체
KR20190014200A (ko) 벽면 정원 겸용 수족관
JP4657683B2 (ja) 壁面緑化設備
WO2018149759A1 (en) Vertical greening module, vertical green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rtical greening module
KR102580157B1 (ko) 포트 밀집 화분
JP4313616B2 (ja) 養液栽培装置
CN213245866U (zh) 一种具有嵌套式排水管的栽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