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544A -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 Google Patents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544A
KR20060097544A KR1020050099771A KR20050099771A KR20060097544A KR 20060097544 A KR20060097544 A KR 20060097544A KR 1020050099771 A KR1020050099771 A KR 1020050099771A KR 20050099771 A KR20050099771 A KR 20050099771A KR 20060097544 A KR20060097544 A KR 2006009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silver
acrylonitrile
antimicrobial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오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니혼 엑스란 고교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엑스란 고교 (주) filed Critical 니혼 엑스란 고교 (주)
Publication of KR2006009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54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5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 D06M11/6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with nitrogen oxides; with oxyacids of nitrogen or their salts
    • D06M11/65Salts of oxyacids of nitrog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yani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Abstract

종래부터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하는 것은 활발히 취급되어서, 세탁 등에 의한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의 저하 또는 촉감 저하 등의 문제도 고려되기는 했지만, 요구되는 성능도 더불어 고도화되어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성능을 제공할 수 없게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황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촉감, 흡습성, 흡수성 등과 같은 섬유구조물에 요구되는 여러 특성을 저하시킴이 없이, 당해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은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에 pH 1 내지 6 범위내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구성되는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섬유구조물의 구성섬유로서 5 내지 15중량%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섬유구조물, 은계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섬유제품

Description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METHOD FOR PROVIDING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ONS IN FIBER STRUCTURES}
본 발명은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여 수득한 섬유구조물을 함유하는 섬유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의 성숙화 또는 고령화 진전, 풍부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추구하는 경향에 따라, 건강 유지 및 증진에 대한 요망이 높아지고, 보다 청결하고 쾌적한 의복 재료, 침장, 인테리어 제품 또는 생활 자재 등의 출현이 희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청결함, 쾌적함을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의 부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데실디메틸암모늄의 다관능 유기산염 용액을 섬유에 함침시킨 항균성 섬유의 제조법은 특개평 10-3310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디데실디메틸암모늄의 다관능 유기산염과 같은 4급 암모늄염은 유기계 항균제로서, 가공성이 우수하여 종래부터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반복 세탁하는 경우에는 탈락되어 점차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이 소실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 또는 아파타이트 등의 무기 담체에 은 등의 항균성 금속을 담지시켜 구성되는 무기 항균제를 무기분산제로 물에 분산시킨 항균가공제에, 양이온 계면활성제 등의 존재하에 섬유 제품을 침지시키는 항균가공법이 특개 2002-370911호 공보에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공법에 의해 가공된 섬유 제품은, 결합제를 사용한 경우보다도 촉감이 향상한다고 되어 있지만, 가공 전의 섬유제품에 비해 촉감이 저하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마찰 등에 의해 무기항균제가 탈락하여 효과가 쉽게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 활성탄 또는 제올라이트에 은이온을 담지시킨 무기 항균제를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에 이겨서 넣은 항균성 섬유를 면섬유와 혼방 또는 혼직한 항균성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은 특개평 7-1096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충분한 항균효과를 수득하기 위하여 항균성 섬유의 혼합율을 적어도 2배 이상으로 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상당량의 항균성 섬유를 혼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로 인해, 면섬유 유래의 촉감, 염색성 또는 흡습성 등의 특성이 매우 손상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이, 지금까지도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하는 것은 예의 연구되고 있고, 세탁 등에 의한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의 저하 또는 촉감 저하 등의 문제도 고찰되고 있지만, 요구되는 성능도 더불어 고도화되고 있어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성능을 제공할 수 없게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촉감, 흡습성, 흡수성 등의 각 섬유구조물에 요구되는 특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당해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 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검토를 수행한 결과, 이하에 제시하는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1) 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에 pH 1 내지 6의 범위내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은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섬유구조물의 구성섬유로서 5 내지 15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2) 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가 음이온성 관능기를 보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3) 열처리가, 100 내지 160℃의 습열 또는 건열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기재의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4) 은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은 함유량이 1 내지 100mmol/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5) 섬유구조물이 면섬유를 함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여방법으로 항균 및 항곰팡 이 성능을 부여시킨 섬유구조물을 적어도 일부 보유하는 섬유제품.
(7) 섬유제품이, 속옷, 복대, 서포터(supporter), 마스크, 장갑, 양말, 스타킹, 구두안창, 구도 내장재, 잠옷, 목욕용 원피스, 타올, 욕실용 매트, 카페트, 모포, 침구, 커튼, 의자 덮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 기재의 섬유제품.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발현하는 유효성분으로서, 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에, pH 1 내지 6의 범위내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구성되는 은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채용한다. 이러한 섬유는,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광촉매 활성이 부여되고, 열처리 전의 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섬유구조물 중에 다량 함유시키지 않아도 충분한 효과가 수득되고, 종래의 항균성 섬유에서 충분한 효과를 수득하는 것이 곤란했던, 소량 첨가로의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의 발현이 가능해진다. 통상의 경우라면, 섬유구조물의 구성섬유로서 5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중량% 함유되면 좋고, 10중량% 미만의 함유량에서도 효과가 수득된다. 이와 같이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함유량이 소량이어도 좋기 때문에, 이러한 섬유를 함유시킴으로 인한 섬유구조물의 촉감이나 염색성 등의 특성에의 영향은 거의 없고, 본래 섬유구조물이 보유하고 있던 특성을 유지한 채,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구조물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 야안, 필라 멘트, 직물, 편물, 부직포, 지상물, 시트상물, 적층체, 면상체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복합체를 총칭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원료가 되는 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로 형성된 섬유이고, 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한 제약은 없고, 이러한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과 공지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공중합에 이용되는 단량체로는, 중합성 불포화 비닐화합물 등의 아크릴로니트릴과 공중합하는 것이면 특별한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염화비닐, 브롬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 또는 비닐리덴류;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이하, (메타)아크릴의 기재는 아크릴과 메타크릴 모두를 표현하는 것이다);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스티렌, 메타아릴설폰산나트륨,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폰산, p-스티렌설폰산 나트륨, 비닐 설폰산 나트륨 등의 설폰산기 함유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등의 카르복실산기 함유 단량체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은계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설폰산 기 또는 카르복실산 기 함유 단량체 등의 음이온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0.1 내지 2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에 함유되는 적당한 은계 화합물의 양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에 존재하는 은 함유량이 바람 직하게는 1 내지 100mmol/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mmol/kg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소량의 은 함유량으로 충분한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이 수득되기 때문에, 섬유가 가열이나 경시변화에 따라 착색하는 문제는 거의 일어나지 않고, 비용도 낮게 제어할 수 있어 공업적으로도 유리하다.
이러한 은계 화합물을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에 함유시키는 방법으로는, 특별한 제약은 없고, 예를 들면, 특개평 3-19941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 즉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제조할 때, 건조, 열완화공정 전의 겔 구조섬유를 은계 수용액으로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섬유에 은계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방법 또는 특개소 52-92000호 공보 또는 특개평 7-2431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 즉 통상의 방법에 의해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제조한 후, 후가공에 의해 은계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하여 수득한 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에, pH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pH 2 내지 4의 범위내에서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지만, 100 내지 160℃의 습열 또는 건열에서 처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pH 1 내지 6의 산성 수용액에 침지하여 수절(水切)한 섬유를,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스팀으로 습열처리하는 방법 또는 수절한 섬유를 그대로 열풍건조기에서 건열처리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처리 시간은 처리 온도를 감안하여 설정한다.
여기서, 열처리 시의 pH가 1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물성이 현저하게 저해되고, pH가 6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촉매 활성이 부여되지 않는다. 또한, 열처리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처리 시간이 길어져 공정적으로 유리한 방법이 아니고, 1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색상 또는 강신도 등의 물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득한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섬유구조물에 함유시키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고, 다른 섬유와의 혼면, 혼방, 혼직 등을 수행하여 함유시키면 좋다. 또, 다른 섬유로는 특별한 제약은 없고, 면, 마, 견, 양모 등의 천연섬유, 레이온, 큐브라 등의 재생섬유, 아크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비닐론 등의 합성 섬유 등과 같은 통상 사용되는 섬유여도 상관없다.
특히 다른 섬유가 면인 경우, 즉 면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구조물에 대해,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 본 발명의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은 적당한 방법이다. 면섬유는 표면이 부드럽고, 흡수성이 풍부한 성질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섬유구조물로 가공되어 이용되고 있지만, 한편으로 곰팡이가 생기기 쉽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함유량이 소량이어도 좋기 때문에, 면섬유의 표면 부드러움과 흡수성이 풍부한 성질을 유지한채,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면섬유의 특징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섬유구조물 중의 면섬유의 함유량은 50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섬유구조물로는, 실, 야안, 필라멘트, 직물, 편물, 부직포, 지상물, 시트상물, 적층체, 면상체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복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섬유구조물은 그 자체 또는 추가 가공함으로써, 타올류, 의류, 깔개류, 신발류 등의 피부에 직접 접하거나, 균이나 곰팡이가 부착하거나 하는 제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으로는, 속옷, 복대, 서포터, 마스크, 장갑, 양말, 스타킹, 구두안창, 신발 내장재, 잠옷, 목욕용 원피스, 타올, 욕실용 매트, 카페트, 모포, 침구, 커튼, 의자 덮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시예를 예시하지만, 이들은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요지는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 부 및 백분율은 특별히 단정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으로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술하는 은 함유량 및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1) 은 함유량
시료섬유 0.1g을 95% 농황산과 62% 농질산 용액에서 습식 분해한 용액을 일본 자-레루앗슈(주) 사제 원자 흡광 분석장치 AA855형을 이용하여 원자흡광도를 측정하여 구했다.
(2) 항균성
JIS L1902 정량 시험(균액흡수법)에 기초하여, 하기 수식에 의한 살균활성치 및 정균활성치를 구했다. 또한, 생균수의 측정은 혼탁평판배양법으로 실시하고, 무가공포로는 표준면포를 사용했다.
살균활성치 = logA - logC
정균활성치 = logB - logC
여기서, A는 무가공포의 접종치 후에 회수된 균수, B는 무가공포의 18시간 배양후에 회수된 균수, C는 가공포의 18시간 배양후에 회수된 균수 이다. 사단법인 섬유평가기술협의회의 섬유제품 인증기준에서 항균방취가공은 정균활성치 >2.2, 제균가공(일반용도)은 살균활성치 ≥0 으로 규정되어 있다.
(3) 항곰팡이성
1/20 사브로 액체배지에 조제한 균액을 시료에 접종하고, 27±1℃의 항온배양기에서 18시간 배양 후 시료 상의 생균수를 측정했다.
(4) 세탁방법
JIS L0217 103호의 시험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세제는 JAFET 표준세제를 사용했다.
[은계 화합물 함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제조예 1]
상법에 따라 중합하여 수득한 아크릴로니트릴 91.1%, 아크릴산 메틸에스테르 8.6%, 메타크릴설폰산 나트륨 0.3%로 이루어진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를, 농도 45%의 로단 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하고, 중합체 농도가 12%인 방사원액을 제조했다. 이 원액을 10%, -3℃의 로단 나트륨 수용액 중에서 공지의 다이(口金)를 이용하여 압출하고, 수세, 연신, 열처리를 행하여,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섬유 A)를 제조했 다. 이어서, 은을 상기 섬유에 도입하기 위해, 20mmol/l로 조정한 질산은수용액 1000ml를 1% 질산수용액으로 pH 3으로 조정한 용액 중에 섬유 A를 100g 투입하고, 98℃에서 10분간 처리한 후, 수세, 건조한 다음, 10mmol/l로 조정한 옥살산 나트륨 수용액 1000ml에 투입하고, 98℃에서 10분간 처리하고, 수세, 건조를 행하여, 은계 화합물 함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섬유 B)를 제조했다.
[은계 화합물 함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제조예 2]
AN95%, 아세트산비닐 5%로 이루어진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를 이용하고, 질산은수용액에서의 처리시간을 30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은계 화합물 함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은계 화합물 함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섬유 C)를 제조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득한 은계 화합물 함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섬유 B, C)를 질산으로 pH를 조정한 수용액에 침지한 후, 수절하고, 오토클레이브(열처리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열풍건조기(열처리온도가 100℃ 이하인 경우)에 투입하고, 표 1에 나타낸 pH, 온도로 열처리한 뒤, 섬유 1번에서 섬유 6번까지의 6종류의 섬유를 제조했다. 섬유 7번은 은계 화합물 함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제조예 1의 은계 화합물 함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섬유 B) 자체이다.
섬유 번호 섬유 종류 열처리 pH 열처리온도(℃) 음이온성 관능기 은함유량 (mmol/kg)
1 섬유 B 1 120 42
2 섬유 B 3 120 43
3 섬유 B 3 95 43
4 섬유 C 3 150 39
5 섬유 C 3 170 40
6 섬유 B 7 105 43
7 섬유 B 44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내지 2]
섬유 1번 내지 7번에 대해서, 각각 섬유 10%와 면 90%를 방적시 혼면하고, 상법에 따른 당해 면방적 방법으로 면번수 20/1의 방적사를 수득했다. 이 방적사를 튜브상 상태에서 물로 세척한 후 일광 처리를 행한 후, 타올 직기를 이용하여 타올을 제조했다. 수득한 타올에 대하여,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logA=4.3, logB=7.0)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NBRC 3301, logA=4.4, logB=7.5)을 이용하여 항균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섬유 번호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logC 살균활성치 정균활성치 logC 살균활성치 정균활성치
실시예 1 1 1.6 2.7 5.4 1.6 2.8 5.9
실시예 2 2 1.3 3.0 5.7 1.3 3.1 6.2
실시예 3 3 2.4 1.9 4.6 2.5 1.9 5.0
실시예 4 4 2.7 1.6 4.3 2.6 1.8 4.9
실시예 5 5 2.7 1.6 4.3 2.6 1.8 4.9
비교예 1 6 3.8 0.5 3.2 3.8 0.6 3.7
비교예 2 7 4.6 -0.3 2.4 4.7 -0.3 2.8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모두 살균활성치가 0을 크게 상회하고, 균의 증식억제효과를 초과하여, 균수를 감소시키는 효과, 즉 제균효과가 수득되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 사용한 섬유 6번은 열처리를 실시한 것인데, 처리 온도가 낮고, pH를 7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광촉매활성이 충분히 부여되지 않아서 항균성이 저하된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섬유 7은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광촉매활성이 부여되지 않아서, 제균가공의 수준에는 도달하지 않은 것이었다.
[실시예 6 및 7, 비교예 3 및 4]
섬유 2번과 면을 표 3에 나타낸 비율로 방적시 혼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타올을 제조했다. 수득된 타올에 대해서,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logA=4.3, logB=7.0)을 이용하여 항균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섬유 2번(중량%) 면(중량%) logC 살균활성치 정균활성치
비교예 3 2 98 4.4 -0.1 3.6
실시예 6 5 95 2.0 2.3 5.0
실시예 7 15 85 1.0 3.3 6.0
비교예 4 20 80 0.9 3.4 6.1
비교예 3에서는,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항균성이 저하된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비교예 4에서는, 은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항균성이 높아졌지만, 실시예 7과 비교하면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함유량의 차이에 비해, 항균성의 차이는 약간이고, 은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15중량% 초과로 함유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실시예 8 내지 10]
전술한 은계 화합물 함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제조예 1에 있어서, 질산은수용액의 농도를 표 4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득한 은계 화합물 함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질산으로 pH를 조정한 수용액에 침지한 후, 수절하고,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pH 3, 온도 120℃로 열처리하고, 섬유 8번 내지 10번의 3종류의 섬유를 제조하고, 은함유량을 측정했다. 또한, 이들의 섬유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타올을 제조하고,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logA=4.3, logB=7.0)을 이용하여 항균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섬유 번호 질산은수용액 농도 (mmol/l) 은함유량 (mmol/kg) logC 살균활성치 정균활성치
실시예 8 8 5 11 2.8 1.5 4.2
실시예 9 9 10 21 2.0 2.3 5.0
실시예 10 10 50 112 0.8 3.5 6.2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은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항균성이 향상되지만, 은함량이 적은 실시예 8에서도 실용적인 항균성능이 수득되었다. 또한, 실시예 10에서는 높은 항균성능이 수득되었지만, 사용된 섬유 10번에서는 약간 착색이 확인되었다. 이는, 은 함량이 많아서 가열처리시 착색이 현재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0]
섬유 2번을 12%, 일본 엑스란 공업주식회사 제품인 아크릴섬유 K8G0-1.7T38을 88%, 혼면하고, 상법에 따라 방적하여 면번수 30/1의 방적사를 제작했다. 이것을 상법의 목면혼방품 염색방법(아크릴섬유: 양이온 염료, 면; 반응염료)으로 흑색으로 염색했다. 수득되는 실을 상법에 따라 편직하고, 양말을 제작했다. 수득되는 양말에 대해 세탁전 및 세탁 10회후의 항균성능을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logA=4.2, logB=7.0) 및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logA=4.4, logB=7.4)을 이용하여 평가했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득된 양말은 우수한 항균성을 보유한 것이었다.
세탁횟수(회) logC 살균활성치 정균활성치
황색포도상구균 0 1.3 2.9 5.7
10 1.3 2.9 5.7
폐렴간균 0 1.3 3.1 6.1
10 1.9 2.5 5.5
[실시예 11]
섬유 2를 10%, 일본 엑스란 공업주식회사 제품인 아크릴섬유 K85-1.3T51을 40%, 동회사 제품인 흡수 아크릴섬유 K626-1.7T51을 50% 혼면하고, 상법에 따라 방적한 뒤, 미터번수 3/15의 방적사를 수득한 다음, 실패 둘레가 200cm이고 중량 250g의 실패를 제조했다. 제조한 실패를 상법에 따라 양이온 염료로 염색하고, 흡수유연제로 흡수처리를 실시했다. 흡수처리를 실시한 실패로부터 5/32 게이지의 재봉틀기로, 파일 길이 12mm, 체눈 800g/㎡의 욕실용 매트를 제작했다. 수득한 욕실용 매트에 대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logA=4.3, logB=7.1)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NBRC3301, logA=4.4, logB=7.5)을 이용하여 항균성을 평가했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득된 욕실용 매트는 우수한 항균성을 보유한 것이었다.
logC 살균활성치 정균활성치
황색포도상구균 2.2 2.1 4.9
대장균 1.3 3.1 6.2
또한, 상기에서 제작한 욕실용 매트에 대해 2종류의 백선균을 이용하여 항곰팡이성을 평가했다.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득된 욕실용 매트는 진균에 대해서도 효과를 보유한 것이었다.
백선균종류 식균수 무가공포(나일론포) 균수 생균수
모창 백선균 (NBRC 32412) 1.1x105 1.2x105 <200
성홍색 백선균 (NBRC 32409) 1.4x105 8.2x104 <200
본 발명에 의하면, 속옷, 복대, 서포터, 마스크, 장갑, 양말, 스타킹, 잠옷, 목욕용 원피스, 타올, 욕실용 매트, 카페트, 모포, 침구, 커튼, 의자 덮개 등의 여러 가지 섬유구조물에, 섬유구조물이 본래 보유한 특징을 손상시킴이 없이 내구성이 우수한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채용되는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는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이 우수하고, 더불어 광조사에 의해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즉 광촉매활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량 사용으로 충분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중의 은 함유량은 소량이기 때문에, 착색도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섬유는 4급 암모늄 등의 유기계 항균제에 비해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되는 섬유구조물은 반복 세탁하여도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Claims (7)

  1. 은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에 pH 1 내지 6의 범위내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구성되는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섬유구조물의 구성섬유로서 5 내지 15중량%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은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가 음이온성 관능기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처리가, 100 내지 160℃의 습열 또는 건열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은 담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은 함유량이 1 내지 100mmol/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구조물이 면섬유를 함유하는 것인,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여방법으로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한 섬유구조물을 적어도 일부분 함유하는 섬유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섬유제품이 속옷, 복대, 서포터, 마스크, 장갑, 양말, 스타킹, 구두안창, 신발 내장재, 잠옷, 목욕용 원피스, 타올, 욕실용 매트, 카페트, 모포, 침구, 커튼, 의자 덮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KR1020050099771A 2005-03-10 2005-10-21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KR20060097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7379A JP2006249609A (ja) 2005-03-10 2005-03-10 繊維構造物の抗菌抗黴性能付与方法
JPJP-P-2005-00067379 2005-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544A true KR20060097544A (ko) 2006-09-14

Family

ID=3699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771A KR20060097544A (ko) 2005-03-10 2005-10-21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249609A (ko)
KR (1) KR20060097544A (ko)
CN (1) CN1831232A (ko)
TW (1) TW2006321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5009C (zh) * 2006-10-17 2008-06-18 浙江大学 一种抗菌中空纤维膜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49609A (ja) 2006-09-21
TW200632181A (en) 2006-09-16
CN1831232A (zh)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36968C (zh) 用作改进纺织品抗菌剂的酯化三氯生衍生物
JP6497631B2 (ja) 布地及び関連する基材のための消毒性組成物、及び抗菌的、抗ウイルス的、及び抗真菌的消毒性、洗浄耐久性を提供し、多機能的特性を用いて必要に応じて強化するための基材の処理方法
Bagherzadeh et al. Evaluation of comfort properties of polyester knitted spacer fabrics finished with water repellent and antimicrobial agents
JP4962619B2 (ja) 制電性アクリ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535179A5 (ko)
US9481961B2 (en) Antimicrobial finish on fabrics
WO2009129364A2 (en) Durable functionalization of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for moisture management and odor control
US20040106340A1 (en) Fabrics having a topically applied silver-based finish exhibiting improved wash durability
JPH11124729A (ja) 抗菌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CN1930331B (zh) 具有光催化剂活性的功能性纤维及包含这样纤维的纤维结构物
KR20060097544A (ko) 섬유구조물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 부여방법
JP2842564B2 (ja) 抗菌性ビスコースレーヨン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522848B (zh) 一种康伦抗菌吸排丝纤维毛毯的制备方法
JP5339926B2 (ja) 衣料用織編物
WO2018051308A1 (en) Antibacterial regenerated cellulosic fibers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JP7177986B2 (ja) 収縮性吸湿アクリロニトリル系繊維、該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該繊維を含有する繊維構造体
JP3349028B2 (ja) 消臭・抗菌性アクリル系合成繊維からなる繊維製品
JP2000064149A (ja) 汗臭、体臭を防止する繊維を含む構成物
JP3674202B2 (ja) 抗菌性アクリロニトリル系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21062B2 (ja) 繊維用抗菌防臭剤、繊維用処理液および抗菌防臭繊維
RU274637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й ткани
JP2000303358A (ja) 難燃・抗菌性繊維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467709C (zh) 抗白癣菌性且抗白癣菌孢子性的纤维结构体的应用
JP3228382B2 (ja) 抗菌性と抗かび性を有するアクリル繊維及びその製造法
CN116240722A (zh) 一种透明锌离子有机复合抗菌整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