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015A - 냉각 저장고 및 냉각용 기기 - Google Patents

냉각 저장고 및 냉각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015A
KR20060096015A KR1020067007023A KR20067007023A KR20060096015A KR 20060096015 A KR20060096015 A KR 20060096015A KR 1020067007023 A KR1020067007023 A KR 1020067007023A KR 20067007023 A KR20067007023 A KR 20067007023A KR 20060096015 A KR20060096015 A KR 20060096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emperature
unit
program
progr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912B1 (ko
Inventor
신이치 카가
아키히코 히라노
타카오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plug-i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4Refrigerator multi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각 유닛(30)이 냉장과 냉동 모두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편, 각 냉각 유닛(30)에 부설된 제어부(45)에는 냉장 프로그램(Px)과 냉동 프로그램(Py)이 모두 격납된다. 처음에는 냉장 프로그램(Px)이 실행 가능하게 세팅되어 있다. 각 냉각 유닛(30)의 유닛대(38)에 감압 센서(51)가 장착되고, 한편 냉동실(16)의 천정벽의 상면에만 가압체(52)가 설치된다. 냉장실(15)의 천정벽의 상면은 평탄면이다. 냉동실(16)에 냉각 유닛(30)(유닛대(38))이 장착되면, 감압 센서(51)가 가압체(52)로 눌려져 온되고, 냉동 프로그램(Py)으로 전환 선택된다. 냉장실(15) 측에서는 냉각 유닛(30)을 장착한 경우도 감압 센서(51)가 오프인 상태이므로, 냉장 프로그램(Px)이 선택된 상태로 유지된다.
Figure 112006025320675-PCT00001
냉장, 냉동, 프로그램, 단열, 감압 센서, 프로그램, 가압체

Description

냉각 저장고 및 냉각용 기기{COOLING STORAGE CHAMBER AND COOLING EQUIPMENT}
본 발명은 냉각 저장고, 나아가서는 냉각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업무용 냉동 냉장고는 단열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 안이 단열벽으로 구획되어 냉동실과 냉장실로 나뉘고, 냉동실은 -20℃ 정도, 냉장실은 5℃ 정도로 각각 냉각된다. 여기서 예컨대 가정용 냉동 냉장고에서는 하나의 냉각 유닛을 구비하고, 냉동실을 순환하는 냉기의 일부를 냉장실에 분배하는 냉각 형식이 채용되는데, 업무용 냉동 냉장고는 용적이 크고, 특히 냉장실의 용적이 크면 효율의 악화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냉장용과 냉동용으로 냉각 유닛이 각각 별도로 준비되어 탑재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실공평 8-7337호 공보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냉장용과 냉동용으로 2종류 있던 냉각 유닛을 공통화할 수 있다면, 설계, 생산, 관리 등에 걸쳐 그 품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어 유용하다. 이로부터, 본원 발명자들은 냉장용과 냉동용 모두에 대응 가능한 냉각 유닛의 개발을 진행하여 최근 그 완성을 보기에 이르렀다.
한편, 냉각 유닛은 단열 상자체에 탑재된 후, 특히 업무용 냉각 저장고에서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운전되는데, 냉장용과 냉동용에서는 고(庫)내 설정 온도도 다르고, 또 그에 따라 성에 제거 운전의 타이밍 등도 다를 가능성이 있으므로, 냉장용과 냉동용으로 각각 다른 프로그램으로 운전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결과, 냉각 유닛에 부설된 제어 수단에 대하여, 냉장용으로 이용되는 냉각 유닛의 제어 수단에는 냉장용 프로그램이, 냉동용으로 이용되는 냉각 유닛의 제어 수단에는 냉동용 프로그램이 각각 저장되게 되는데, 애써 냉각 유닛을 공통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저장하는 프로그램이 각각 따로따로인 것은 부당하다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또한 냉동 냉장고와 같이 2대의 냉각 유닛을 탑재하는 것으로서, 본체와 분할하여 반입되어 현장에서 탑재하는 경우에는, 냉각 유닛이 공통화되어 오히려 외관으로는 잘 구별이 가지 않기 때문에, 냉장실과 냉동실에 대하여 각각 반대의 프로그램을 구비한 냉각 유닛을 탑재하는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발명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 기구 및 증발기를 가지며, 복수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한 냉각 능력을 구비한 냉각 유닛이 설치되고, 이 냉각 유닛은 상기 각각의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운전 제어 가능하게 된 냉각용 기기로서, 상기 각각의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 중 원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또한 동일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2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을 모두 격납하고, 또한 이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 중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는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3 항의 발명은, 단열 상자체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기구 및 증발기를 가지며, 고내 냉각 온도를 서로 다르게 한 복수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한 냉각 능력을 구비한 냉각 유닛이 설치되고, 이 냉각 유닛은 상기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운전 제어 가능하게 된 냉각 저장고로서, 상기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 중 소망의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또한 동일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4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을 모두 격납하고, 또한 이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 중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는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5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3 항 또는 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단열 상자체의 개구부에는 발열 능력이 가변하는 결로 방지용 히터가 설치되고, 이 히터의 발열 능력을 상기 냉각 사양에 대응한 것으로 전환 가능한 전환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6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4 항 또는 청구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제어 수단을 부설하여 상기 단열 상자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냉각 유닛이 장착되는 상대방의 상기 단열 상자체의 냉각 사양을 판별하는 판별 수단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판별 수단의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수단에 격납된 프로그램 중 대응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는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7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냉각 사양이 2개로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단열 상자체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냉각 유닛 측에 설치된 검출부가 상기 단열 상자체 측의 피검출부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8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에는 단열 상자체의 고내 설정 온도가 입력되는 고내 설정 온도 입력부가 구비되고, 입력된 고내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어느 냉각 사양인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9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단열 상자체에 냉각 사양의 판별 신호가 기록된 신호 기록부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신호 기록부의 판별 신호를 읽어 상기 제어 수단에 입력 가능한 판독부가 구비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10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6 항 내지 청구범위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단열 상자체에는 이 단열 상자체의 크기, 열 침입량 특성 등의 부대 정보를 기록한 정보 기록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정보 기록부의 정보를 읽어 상기 제어 수단에 전달하는 정보 전달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11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3 항 내지 청구범위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냉각 사양이 냉장과 냉동의 2종류인 데 특징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12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3 항 내지 청구범위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해당 냉각 저장고에서는 고내를 상한 온도보다도 고온도부터 상기 설정 온도 부근까지 냉각하는 풀다운 냉각과, 고내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소정값 높은 상한 온도에 이른 경우에는 상기 냉각 유닛을 운전하고, 상기 설정 온도보다 소정값 낮은 하한 온도에 이른 경우에는 운전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고내를 거의 설정 온도로 유지하는 컨트롤 냉각이 수행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풀다운 냉각 영역과 컨트롤 냉각 영역의 각각에서 고내 온도 등의 냉각에 따른 물리량이 미리 정해진 바의 목표로 하는 상기 물리량의 강하의 경시적 변화 태양을 나타내는 냉각 특성에 따라 강하하도록 상기 냉각 유닛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풀다운 냉각 특성 및/또는 컨트롤 냉각 특성이 복수 종류씩 구비되어, 조건 등에 따라 각 냉각 특성이 선택적으로 읽혀지게 되어 있는 데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냉동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
도 3은 냉동 회로도,
도 4는 냉각 유닛을 설치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캐필러리 튜브 내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풀다운 냉각 영역에서의 온도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인버터 압축기의 제어 기구부의 블럭도,
도 8은 풀다운 냉각시의 이상적인 온도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인버터 압축기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컨트롤 냉각 영역에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냉장측과 냉동측의 고내 온도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냉동실의 천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판별 수단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4는 선택부의 기능의 설명도,
도 15는 변형예 1에 따른 판별 수단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변형예 2에 따른 판별 수단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변형예 3에 따른 판별 수단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냉각 유닛의 장착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블럭도,
도 20은 그 작동 설명도,
도 21은 실시 형태 4의 냉동 회로도,
도 22는 그 부분 확대도,
도 23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냉각 저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24는 그 결로 방지 히터의 전환 부분의 회로도,
도 25는 실시 형태 5의 변형예의 회로도,
도 26은 실시 형태 6에 따른 냉각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부호의 설명>
Px…냉장 프로그램 Py…냉동 프로그램
10…본체 12…출입구(개구부)
15…냉장실 16…냉동실
21…개구부 30…냉각 유닛
31…냉동 회로 32…인버터 압축기(압축기)
33…응축기 35…캐필러리 튜브(팽창 기구)
36…증발기 38…유닛대
39…전장 상자 45…제어부(제어 수단)
51…감압 센서(검출부) 52…가압체(피검출부)
54…리드 스위치(검출부) 55…자석(피검출부)
57…포토 센서(검출부) 60…차광 돌기부(피검출부)
62…마이크로 스위치(검출부) 64…오목부(피검출부)
66…정보 기록부
71…고내 온도 설정 다이얼(고내 설정 온도 입력부)
72…판별부 73…선택부
10A…본체부
80, 80x, 80y…결로 방지용 히터
81, 84…전환 릴레이(전환 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을 업무용 냉동 냉장고에 적용한 실시 형태 1을 도 1 내지 도 14에 의해 설명한다.
냉동 냉장고는 4도어 타입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단열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1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전면 개구가 십자형의 칸막이틀(11)로 구획되어 4개의 출입구(1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정면에서 본 우측 상부의 출입구(12)와 대응한 약 1/4의 내부 공간이 단열성의 칸막이벽(13)에 의해 구획되어 냉동실(16)이 형성되고, 나머지 약 3/4의 영역이 냉장실(15)로 되어 있다. 각 출입구(12)에는 각각 단열성의 도어(17)가 회전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주변에 패널(19)(도 4 참조)이 세워지거나 하여 기계실(20)이 구성되어 있다. 기계실(20)의 바닥면이 되는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한 냉장실(15)의 천정벽, 냉동실(16)의 천정벽에 각각 대응하여 같은 크기의 사각형의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부(21)에는 냉각 유닛(30)이 개별적으로 장착되게 되어 있다.
냉각 유닛(30)은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는데, 도 3에 참조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32), 응축기 팬(33A)이 달린 응축기(33), 드라이어(34), 캐필러리 튜브(35) 및 증발기(36)를 냉매 배관(37)에 의해 순환 접속함으로써 냉동 회로(31)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개구부(21)를 막고 올려진 단열성의 유닛대(38)가 설치되고, 냉각 유닛(30)의 구성 부재 중 증발기(36)의 유닛대(38)의 하면측, 다른 구성 부재가 상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냉장실(15)과 냉동실(16)의 천정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덕트를 겸한 드레인 팬(22)이 안쪽을 향하여 하향 구배로 설치되고, 유닛대(38)와의 사이에 증발기실(23)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드레인 팬(22)의 상부측에는 흡입구(24)가 설치되고, 냉각 팬(25)이 장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부측에는 토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냉각 유닛(30)과 냉각 팬(25)이 구동되면, 상기 도면의 화살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5)(냉동실(16)) 내의 공기가 흡입구(24)로부터 증발기실(23) 내로 흡인되고, 증발기(36)를 통과하는 동안 열 교환에 의해 생성된 냉기가 토출구(26)로부터 냉장실(15)(냉동실(16))로 토출되도록 순환됨으로써 냉장실(15)(냉동실(16)) 안이 냉각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냉장실(15)과 냉동실(16)에 각각 장착하는 냉각 유닛(30)을 공통화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치가 강구되었다.
먼저, 냉각 유닛(30)의 냉각 능력은 압축기의 용량으로 결정되는데, 예컨대 같은 능력의 압축기에서는 증발 온도가 낮은 냉동측 쪽이 냉장측에 비하여 작은 용 적밖에 냉각될 수 없고, 또한 냉장실(15) 또는 냉동실(16)끼리이면 용적이 큰 쪽이 당연히 큰 냉각 능력이 필요해진다.
즉, 냉장, 냉동 별, 혹은 고내 용적의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필요한 냉각 능력은 다르므로, 압축기에는 필요한 최대의 용량을 가지면서, 회전수를 제어 가능한 인버터 압축기(32)가 이용되고 있다.
다음, 캐필러리 튜브(35)가 공통화되어 있다. 캐필러리 튜브(35)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서는 드라이어(34)의 출구로부터 증발기(36)의 입구에 걸친 부분이 해당하고, 중앙 부분에서는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나선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필러리 튜브(35)의 전체 길이가 2000~2500mm로 설정되어 있다. 아울러, 증발기(36)의 출구로부터 인버터 압축기(32)의 흡인구에 이르는 냉매 배관(37)의 길이는 700mm 정도이다.
종래 캐필러리 튜브에는 냉장용에는 고유량 특성을, 냉동용에는 저유량 특성을 각각 중시한 것이 사용되고 있던 것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필러리 튜브(35)에 냉장용과 냉동용의 중간의 유량 특성을 가진 것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냉장에 적합한 캐필러리 튜브란 단열 상자체와 조합하여 상온에서 냉각 유닛을 운전하였을 때, 고내 균형 온도(냉각 유닛의 냉동 능력과 단열 상자체의 열 부하가 균형을 이루는 온도)가 0 ~ -10℃ 정도가 되는 유량 특성을 가진 캐필러리 튜브를 말한다. 또 냉동에 적합한 캐필러리 튜브란, 이 고내 균형 온도가 -15 ~ -25℃ 정도가 되는 유량 특성을 가진 캐필러리 튜브를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장용과 냉동용의 중간적인 유량 특성을 가진 캐필러리 튜브란, 같은 조건 에서 냉각 유닛을 운전하였을 때 예컨대 상기 고내 균형 온도가 -10 ~ -20℃ 정도가 되는 유량 특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 튜브(35)를 중간 유량 특성인 것으로 하면, 냉장 영역의 액 냉매의 유량 부족이 우려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냉동 회로에서는 증발기(36)의 출구측의 냉매 배관(37)과 캐필러리 튜브(35)를 납땜함으로써 열 교환 장치가 형성되고, 예컨대 일반적인 증발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증발기(36)에서 완전히 증발되지 않은 미스트 형태의 액 냉매를 기화시키는 등으로 기능하는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필러리 튜브(35)와 냉매 배관(37) 사이에서 열 교환 장치(40)를 형성함에 있어, 캐필러리 튜브(35) 측의 열 교환부(40A)에 대해서는, 나선부(35A)의 상류측의 단부의 소정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열교환부(40A)의 위치는 캐필러리 튜브(35)의 전체 길이로 보면 그 입구측에 가까운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캐필러리 튜브(35)는 입구와 출구 사이에 큰 차압이 있는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유량 저항은 관 내에서 액 냉매가 끓기 시작하는 부분(전체 길이의 대략 중앙 부분)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어 있고, 여기서부터 하류(출구측) 쪽으로 크게 압력 강하한다. 지금까지는 캐필러리 튜브(35)의 열교환부는 전체 길이의 후반 영역에서 오히려 출구에 가까운 위치로 설정되고, 따라서 관내 증발(비등)을 시작한 후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캐필러리 튜브(35)는 열교환 위치부터 하류측이 냉각되게 되어 결로하거나 녹슬음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열 교환 위치를 최대한 출구측에 근접시켜, 냉각 상태에서 노출된 부분의 길이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 튜브(35)의 열교환부(40A)를 입구에 가까운 위치로 설정하고, 즉 액 냉매가 증발하기 시작하는 위치보다 바로 앞으로 가져가서 수행하여, 과냉각을 크게 취함으로써,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내의 비등 개시점을 캐필러리 튜브(35)의 하류측으로 비켜 놓을 수 있다. 이는 캐필러리 튜브(35)의 총 저항을 줄이는 결과를 가져오며, 실질적으로 액 냉매의 유량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중간적인 유량 특성의 캐필러리 튜브(35)를 냉장 영역에 이용한 경우의 유량 부족의 문제는 해소된다.
한편, 상기한 관 내의 비등 개시점을 캐필러리 튜브(35)의 하류측으로 비켜 놓는 효과를 얻으려면, 캐필러리 튜브(35) 측의 열교환부(40A)를 액 냉매가 증발하기 시작하는 위치보다 앞의 적어도 전체 길이의 전반(前半) 영역에 설치하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구측의 1/3의 영역(액체 상태가 많은 영역)이다.
또한 캐필러리 튜브(35)의 열교환부(40A)를 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면, 그 이후의 긴 치수 부분이 냉각 상태에서 노출되게 되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는 냉매 배관(37)으로부터는 최대한 떨어뜨리면서, 단열 튜브(도시 생략)로 에워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결로, 녹슬음이 방지된다.
한편, 캐필러리 튜브(35)를 중간 유량 특성으로 한 경우의 냉동 영역에서의 교축 부족에 대해서는 증발기(36)의 직후에 어큐뮬레이터(42)(액분리기)를 설치함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어큐뮬레이터(42)를 설치하는 것은 냉동 회로(31) 내에 액 냉매를 저장하는 조정 용적을 가져오게 된다.
냉동 영역에서는 풀다운 냉각 영역(급속 냉각하는 영역)이나 냉장 영역과 비교하면, 증발기(36)에서의 냉매 압력이 낮고(냉매의 증발 온도가 낮고), 냉매 가스의 밀도가 낮으므로, 압축기(32)에 의해 야기되는 냉매의 순환량은 적다. 그 결과, 냉동 회로(31)에는 액 냉매가 남게 되는데, 그 남은 액 냉매가 어큐뮬레이터(42)에서 축적되므로, 액 냉매가 캐필러리 튜브(35) 등에 불필요하게 흐르지 않아 실질적으로 캐필러리 튜브(35)에는 유량의 교축 효과가 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중간적인 유량 특성의 캐필러리 튜브(35)를 냉동 영역에 이용한 경우의 교축 부족 문제는 해소된다.
캐필러리 튜브(35)의 공통화에 대하여는, 바꾸어 말하면 캐필러리 튜브(35)로 중간 유량 특성인 것을 이용한 후에, 증발기(36)의 출구 직후에 어큐뮬레이터(42)를 설치하여 교축 효과를 얻음으로써 액 냉매의 유량을 떨어뜨리고, 즉 저유량의 냉동 영역에 적합화시키고, 추가로, 캐필러리 튜브(35)의 열교환부(40A)를 입구에 가까운 측으로 설정하여 관 내의 총 저항을 줄임으로써 액 냉매의 유량을 늘리고, 즉 고유량의 풀다운 냉각 영역과 냉장 영역에 적합화시키게 되어있다.
한편, 어큐뮬레이터(42)를 설치하는 경우, 냉매 배관(37)의 열교환부(40B)의 하류측에 설치하면, 열교환부(40B)에는 냉매가 기액 혼합 상태로 흐를 가능성이 있고, 이 때 액 냉매가 증발한다. 이는 바꾸어 말하면, 원래 증발기(36)에서 수행할 액 냉매의 증발을 열교환부(40B)에서 불필요한 일로서 수행하게 되어 냉동 회로(31) 전체에서 보면 냉각 능력의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큐뮬레이터(42)를 증발기(36)의 출구의 직후, 즉 냉매 배관(37)의 열교환부(40B)의 상류측에 설치하였으므로, 열교환부(40B)에는 가스 냉매밖에 흐르지 않고, 따라서 열교환부(40B) 내에서 불필요한 증발 작용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냉동 회로(31) 전체적으로 본래의 냉각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캐필러리 튜브(35)의 열교환부(40A)를 입구에 가까운 측으로 설정함으로써 냉동측에서도 액 냉매의 유량 증가가 일어날 것이 우려되는데, 아래와 같이 그러한 우려는 없다.
캐필러리 튜브(35)를 구비한 냉동 회로(31)에서는 기본적으로 냉매를 고압측과 저압측에서 나누어 갖는 형태로 성립되어 있으며, 개념적으로는 냉장 영역(풀다운 냉각 영역도 포함)에서는 냉매는 응축기(33), 다음에 증발기(36)에 있고, 냉동 영역에서는 냉매는 증발기(36)와 어큐뮬레이터(42)에 그 대부분이 있으며, 반대로 응축기(33)에서는 소량이다. 따라서 냉장 영역에서는 냉매가 완전히 액류로서 캐필러리 튜브(35)에 흘러 들어가지만 냉동 영역에서는 기액 혼합으로 흐르기 때문에, 유량 자체가 상당히 감량되어 있으며, 따라서 캐필러리 튜브(35)의 입구에 가까운 위치에서 열 교환하여 과냉각되어도 유량의 증가로는 크게 이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어큐뮬레이터(42)를 설치함으로써 냉장 영역(풀다운 냉각 영역도 포함)에서도 유량 감소가 일어날 것이 우려되는데, 상기와 반대의 이유로 인해 냉장 영역(풀다운 냉각 영역도 포함)에서는 압축기(32)에 의해 초래되는 냉매의 순환량이 많고, 냉동 회로(31)에 액 냉매가 남는 경우가 적어 어큐뮬레이터(42)에 축적될 여지가 적고, 따라서 유량 감소가 일어날 우려는 거의 없다고 생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는 냉각 유닛(30)을 냉장용과 냉동용에서 공통화하고 있는 한편, 운전의 제어에 관하여는 개별적으로 행하게 되어 있다. 이는 먼저 냉각 유닛(30)을 공통화된 경우, 냉장, 냉동 별, 혹은 고내 용적의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예컨대 풀다운 냉각시의 온도 특성이 크게 바뀔 우려가 있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인버터 압축기를 쌓은 냉각 유닛에서는, 풀다운 냉각시에는 허용되는 최대한의 고속 운전을 행하는 것이 보통인데, 고내에 식품을 넣지 않는 같은 조건에서 풀다운 냉각을 한 경우, 단열 상자체(고내 용적)가 큰 것, 중간인 것, 작은 것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내의 온도 곡선에 명백한 차이가 생긴다. 온도 강하의 정도 차이는 고 내외의 온도차가 같은 경우 단열 상자체의 표면적에 비례하는 것, 상자가 커질수록 고내의 내벽 재료나 선반망의 열 용량이 크다는 것의 이유에 따른다.
한편, 업무용 냉장고(냉동고, 냉동 냉장고에서도 동일)에서는 풀다운 냉각의 온도 특성은 중요시된다. 예컨대 20℃라는 높은 고내 온도로부터의 냉각은, 설치 후의 초기 운전 이외에, 유지 보수 등으로 전원을 끄고 나서 수 시간 후의 재운전, 식재 반입시의 몇 분간의 도어 개방, 혹은 뜨거운 식품을 넣은 경우 등에 거의 한정되는 것인데, 업무용 냉장고는 식재를 넣고 들이기 위하여 도어가 빈번하게 개폐되고, 또한 주위 온도도 비교적 높다는 것을 고려하면, 고내 온도가 상승하기 쉽고, 그 때의 복귀력으로서 온도 강하의 특성은 충분히 고려된다.
이에 따라 풀다운 냉각시의 성능 시험은 필수인데, 상기한 바와 같이 냉각 속도는 단열 상자체에 의존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이 성능 시험에 대해서는 냉각 유닛과 그것이 탑재되는 단열 상자체를 조합한 상태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애써 냉각 유닛을 공통화하여도 성능 시험의 번잡함은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풀다운 냉각시에 단열 상자체에 의존하는 않고 고내를 소정의 온도 곡선에 따라 온도 제어하는 수단이 강구되었다.
그 일례를 설명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구비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45)가 구비되고, 상기한 냉각 유닛(30)을 탑재한 유닛대(38)의 상면에 설치된 전장 상자(39) 내에 수납되어 있다. 제어부(45)의 입력측에는 고내 온도를 검출하는 고내 온도 센서(46)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5)에는 클록 신호 발생부(48)와 함께 데이터 격납부(49)가 설치되고, 이 데이터 격납부(49)에는 풀다운 냉각시의 이상적인 온도 곡선으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함수의 직선(a)이 선정되어 격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상적인 곡선이 직선(a)인 경우에는, 목표로 하는 고내 온도 강하도(단위 시간당 온도 변화:△T/△t)는 고내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값(A)이 된다.
제어부(45)의 출력측에는 인버터 회로(50)를 통하여 인버터 압축기(32)가 접속되어 있다.
작동으로서는, 고내 온도가 고내 설정 온도를 소정이상 상회한 곳에서 풀다운 제어가 개시되고, 소정 시간 간격마다 고내 온도가 검출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검출 타이밍마다 실제의 고내 온도 강하도(B)가 산출되고, 이 산출값(B)이 데이터 격납부(49)로부터 읽혀진 목표값(A)과 비교되고, 산출값(B)이 목표값(A) 이하이면, 인버터 회로(50)를 통하여 인버터 압축기(32)의 회전수가 증가하고, 반대로 산출값(B)이 목표값(A)보다 크면 압축기(32)의 회전수가 감소되고, 이것이 소정 시간 간격마다 반복되어 이상적인 곡선(직선(a))을 따르도록 풀다운 냉각된다.
상기한 풀다운 냉각 후, 냉장도 냉동도 고내 온도를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 부근으로 유지하는 컨트롤 냉각이 실행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인버터 압축기(32)를 구비함에 따라 이하와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컨트롤 냉각을 행할 때, 설정 온도 근방에서 인버터 압축기(32)의 속도(회전수)를 단계적으로 늦추도록 제어하면, 온도 강하가 매우 서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축기(32)의 연속 온(ON) 시간이 압도적으로 길어지고, 바꾸어 말하면 압축기의 온 오프의 전환 횟수가 대폭으로 감소하고, 또한 저회전으로 운전되므로 고효율화, 에너지 절약화로 이어진다.
상기에 있어서, 인버터 압축기(32)가 저속 운전되는 경우의 냉각 능력은 상정되는 표준적인 열 부하를 상회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정 열 부하에 미치지 못하는 냉각 능력밖에 없으면, 고내 온도가 설정 온도까지 내려가지 않고, 열적으로 균형을 이루어 그 앞에 멈추어 버리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인버터 압축기(32)를 포함시켜 냉각 유닛(30)을 공통화한 경우에는, 장착되는 상대방의 단열 상자체 중 가장 열 침입량이 큰 것을 열 부하로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특히 업무용 냉장고(냉동고도 동일)에서는 식재를 일정 품질로 저장 할 수 있도록 고내의 온도 분포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데 특히 배려하고 있으며, 따라서 냉각 팬(25)에는 풍량을 크게 확보하여 바람 순환의 기능도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그 모터의 발열량은 비교적 크다는 사정이 있다. 게다가, 식재의 열 용량, 주위 온도, 도어의 개폐 빈도 등의 조건이 중복되면, 때로는 예상 이상으로 열 부하가 커져, 인버터 압축기(32)가 저속 운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내 온도가 설정 온도 앞에서 멈추어 버리거나, 혹은 온도 강하하여도 미소한 변화이기 때문에 온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
냉장고의 기능으로서는, 설정 온도에 매우 가까운 온도로 제한되어 유지되면 전혀 문제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냉장고에서는 인버터 압축기(32)가 온된 채로 오로지 운전이 계속되는 것은 별로 좋지 않다. 이는, 운전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는 도어(17)의 개폐에 따른 고외로부터 침입 공기나 식재로부터 나오는 수증기에 의해 증발기(36)에 성에가 계속 생기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적당히 인버터 압축기(32)가 오프가 되면, 증발기(36)가 0℃ 이상으로 승온되어 성에 제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당한 오프 시간을 갖는 것은 냉장고에서 증발기(36)의 열교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 냉각시에 있어서, 인버터 압축기(32)를 이용하는 것의 이점을 살려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고, 그런 다음 확실하게 오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이 강구되었다.
단적으로는, 컨트롤 냉각 영역의 인버터 압축기(32)의 운전중에는 상기한 풀 다운 냉각 영역과 마찬가지로 고내 온도가 이상적인 온도 곡선을 따르도록 인버터 압축기(32)의 구동이 제어된다. 이 온도 곡선은 예컨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다운 냉각시의 이상적인 곡선(직선(a))에 비하여 구배가 완만해진 직선(a1)으로서 설정된다. 이러한 이상적인 곡선(a1)에서도 목표로 하는 고내 온도 강하도는 일정하며, 단 이상적인 곡선(a)에 비하여 작은 값이 된다.
이상적인 곡선(a1)은 마찬가지로 데이터 격납부(49)에 격납되고, 동일하게 제어부(45)에 저장된 컨트롤 냉각용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이용된다.
컨트롤 냉각의 제어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풀다운 냉각시와 동일하며, 풀다운 냉각에 의해 고내 온도가 설정 온도(To)보다 소정값 높은 상한 온도(Tu)까지 내려가면 컨트롤 제어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고내 온도가 검출되고 그 타이밍마다 실제의 고내 온도 강하도가 산출되어, 이상적인 온도 곡선(a1)의 고내 온도 강하도의 목표값(일정)과 비교되고, 산출값이 목표값 이하이면 인버터 압축기(32)의 회전수가 증가하고, 반대로 산출값이 목표값보다 크면 압축기(32)의 회전수가 감소하고, 이것이 소정 시간 간격마다 반복되어 이상적인 곡선(직선(a1))을 따르도록 서서히 온도 강하한다.
그리고 고내 온도가 설정 온도(To)보다 소정값 낮은 하한 온도(Td)까지 내려가면 인버터 압축기(32)가 오프가 되어 고내 온도가 서서히 상승으로 바뀌고, 상한 온도(Tu)까지 복귀하면 다시 온도 곡선(a1)을 따른 온도 제어가 수행되고, 이 반복에 의해 고내가 대략 설정 온도(To)로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컨트롤 냉각시의 제어에 의하면, 인버터 압축기(32)를 이용하여 에너 지를 절감하면서 냉각할 수 있고, 아울러 인버터 압축기(32)의 운전 정지 시간을 적당하고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증발기(36)에서 일종의 성에 제거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 대량으로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컨대 냉장측에서는 풀다운 냉각에서 컨트롤 냉각에 걸쳐 고내가 이상적인 곡선(a, a1)을 포함하는 온도 특성(X)(도 11 참조)을 따르도록 인버터 압축기(32)의 구동을 제어하는 운전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한편 냉동측에서는, 기본적인 제어 동작은 동일하여도 고내 설정 온도가 다르고, 또 컨트롤 냉각중에 성에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인버터 압축기(32)의 운전 시간을 냉장측보다 짧게 하는 방식으로 이상적인 곡선이 저절로 달라지므로, 냉동측에서는 예컨대 상기 도면의 온도 특성(Y)을 따르도록 인버터 압축기(32)의 구동을 제어하는 운전 프로그램이 필요해진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 유닛(30)을 냉장실(15) 또는 냉동실(16)에 장착한 경우, 상대방의 방이 냉장실(15)인지 냉동실(16)인지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냉각 유닛(30)을 냉장용 또는 냉동용 운전 프로그램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수단이 강구되었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1의 온도 특성(X)을 따르도록 인버터 압축기(32)의 구동을 제어하는 냉장용 운전 프로그램(Px)(이하, 냉장 프로그램(Px)이라고 함)과, 상기 도면의 온도 특성(Y)을 따르도록 인버터 압축기(32)의 구동을 제어하는 냉동용 운전 프로그램(Py)(이하, 냉동 프로그램(Py)이라고 함)이 준비된다. 각 냉각 유닛(30)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장 상자(39)가 부설되어 제어부(45)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냉장 프로그램(Px)과 냉동 프로그램(Py) 모두가 각각의 이상적인 곡선의 데이터와 함께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항상 냉장 프로그램(Px)이 실행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냉장실(15)인지 냉동실(16)인지를 판별하는 수단으로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냉각 유닛(30)의 유닛대(38)의 소정의 코너부의 하면에는 검출부인 감압 센서(51)가 같은 높이로 장착되어 있다. 한편, 냉동실(16)의 천정벽의 상면에는 개구부(21)의 가장자리의 대응하는 코너부에 위치하여 피검출부인 가압체(52)가 설치되고, 이 가압체(52)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탄력으로 천정벽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가압되어 있다. 한편, 냉장실(15)의 천정벽의 상면에는 가압체(52)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감압 센서(51)는 가압체(52)로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온되도록 되어 있다. 감압 센서(51)는 제어부(45)에 접속되어 있으며, 한편 제어부(45) 내에는 선택부가 설치되어 있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 센서(51)가 오프일 때에는 최초 설정 상태에서 냉장 프로그램(Px)을 선택하고, 한편 감압 센서(51)가 온이 되면 냉동 프로그램(Py)으로 전환하여 선택하도록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서, 설치 현장에는 단열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2개의 공통화된 냉각 유닛(30)이 분할되어 반입되어 냉장실(15)과 냉동실(16)의 천정부의 개구부(21)에 각각 장착된다.
냉동실(16) 측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대(38)가 개구부(21)를 막도록 장착됨에 따라, 감압 센서(51)가 스프링 탄력에 저항하여 가압체(52)를 눌 러 그 반력을 받음으로써 온되고, 선택부의 기능에 의해 냉동 프로그램(Py)이 전환 선택된다. 한편, 냉장실(15) 측에서는 냉각 유닛(30)을 장착한 경우도 감압 센서(51)가 오프인 상태이므로, 냉장 프로그램(Px)이 선택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냉장실(15)과 냉동실(16)에 대하여 각각 고내 설정 온도가 입력되는 등이 수행된 후, 개별적인 냉장 프로그램(Px)과 냉동 프로그램(Py)에 기초하여 냉각 운전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 유닛(30)이 냉장과 냉동 모두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한편, 각각의 냉각 유닛(30)에 부설된 제어부(45)에는 냉장 프로그램(Px)과 냉동 프로그램(Py)이 모두 격납되고, 냉각 유닛(30)을 장착함에 따라 그 상대방의 방이 냉장실(15)인지 냉동실(16)인지가 판별되고 대응하는 운전 프로그램(Px, Py)이 선택되어 실행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45)도 포함시켜 냉각 유닛(30)의 공통화를 실현할 수 있고, 설계, 생산, 관리 등의 다수의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대폭적인 비용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실(15)과 냉동실(16)의 판별은 냉각 유닛(30)의 장착 동작에 부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운전 프로그램이 대응한 것으로 선택되므로, 잘못 선택하거나 선택을 잊어버릴 우려가 없다. 게다가 판별 수단은 소위 냉각 유닛(30) 측에 설치된 감압 센서(51)(검출부)가 상대방측에 설치된 가압체(52)(피검출부)를 검출하는지 여부이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변형예>
도 15 내지 도 17은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판별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한 변형예 1은 냉각 유닛(30)의 유닛대(38)에 검출부로서 리드 스위치(54)가 매설되는 한편, 냉동실(16)의 천정벽에는 피검출부인 자석(55)이 매설되어 있다. 냉각 유닛(30)의 장착에 따라 리드 스위치(54)가 자석(55)의 자력에 감응하여 온됨으로써 냉동실(16)로 판별된다.
도 16에 도시한 변형예 2는 냉각 유닛(30)의 유닛대(38)에 한 쌍의 발광 소자(58)와 수광 소자(59)를 대향하여 배치한 포터 센서(57)(검출부)가 장착되는 한편, 냉동실(16)의 천정벽에는 차광 돌기부(60)(피검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 유닛(30)의 장착에 따라 차광 돌기부(60)가 포토 센서(57)의 발광 소자(58)와 수광 소자(59) 사이에 진입하여 광 경로를 차단하고, 포토 센서(57)가 오프됨으로써 냉동실(16)로 판별된다.
또한 피검출부를 냉장실(15) 측에 설치하여도 좋고, 예컨대 도 17의 변형예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유닛(30)의 유닛대(38)에는 마이크로 스위치(62)(검출부)가 장착되는 한편, 냉장실(15)의 천정벽에는 오목부(64)(피검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냉장실(15) 측에서는 냉각 유닛(30)(유닛대(38))을 장착한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62)의 액추에이터(63)가 오목부(64) 내로 떨어져 들어감으로써 마이크로 스위치(62)가 오프인 상태가 되고, 냉장 프로그램(Px)이 선택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냉동실(16)측에서는 냉각 유닛(30)(유닛대(38))이 장착된 경우에 마이크로 스위치(62)의 액추에이터(63)가 냉동실(16)의 평탄한 천정벽으로 눌 려 온되고, 냉동 프로그램(Py)이 전환 선택된다.
<실시 형태 2>
다음,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도 18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냉장실(15)과 냉동실(16)의 개구부(21)의 가장자리에 바코드, IC 칩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기록부(6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정보 기록부(66)에 냉장과 냉동에 관한 신호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바코드 리더나 IC 칩의 리더 등의 대응하는 판독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각 냉각 유닛(30)의 제어부(45)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 유닛(30)을 장착한 후, 상대방의 단열 상자체(방)에 설치된 정보 기록부(66)로부터 냉장 또는 냉동 신호가 읽혀져 제어부(45)에 입력되면, 그 신호에 기초하여 냉장 프로그램(Px) 또는 냉동 프로그램(Py)이 선택된다.
한편,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먼저 냉장 프로그램(Px) 또는 냉동 프로그램(Py)이 실행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고, 냉장 또는 냉동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남기거나 다른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등의 선택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바코드, IC 칩 등의 정보 기록부(66)에는 그 냉장실(15) 또는 냉동실(16)에 관한 부대 정보를 기록해 두고, 그 정보를 판독기로 읽어 냉각 운전의 제어에 반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각 방의 용적에 관한 정보를 얻으면, 방 내에 순환시키는 풍량에 강약을 줄 수 있다. 용적이 작은 것에서는 풍량을 억제하여 정온화(靜穩化)를 도모 하고, 용적이 큰 것에서는 풍량을 많게 하여 바람 순환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식품의 냉각을 빠르게 하거나, 고내 온도 분포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품 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얻으면, 제조된 시기나 설계 사정 등을 알 수 있으므로, 그에 맞춘 냉각을 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5년 전에 설계된 단열 상자체에 현재 설계된 냉각 유닛(30)을 장착하는 경우, 5년 전과 현재는 단열벽의 두께가 다르다는 마이크로 컴퓨터 상의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냉각 특성을 보정하거나 하여 상대방의 단열 상자체에 보다 적합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열 침입량 특성의 정보를 얻으면, 그에 맞추어 냉각 특성을 보정하거나 보다 적합한 제어 방법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냉장실(15)인지 냉동실(16)인지의 판별은 실시 형태 1 및 그 변형예와 같이 냉각 유닛(30) 측에 검지부를, 상대방의 방 측에 피검지부를 설치하는 수단에 의해 바코드, IC 칩 등의 정보 기록부(66)에는 부대 정보만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3>
계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도 19 및 도 20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냉장실(15)인지 냉동실(16)인지를 판별하는 수단으로서 고내의 설정 온도를 이용하고 있다.
먼저, 각 냉각 유닛(30)에는 부설된 제어부(45) 내에 냉장 프로그램(Px)과 냉동 프로그램(Py)이 각각의 이상적인 곡선의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어 있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냉각 유닛(30)을 장착한 후 가동시키기 전에, 냉각 유지할 고내 온도(설정 온도)가 정해진다. 따라서, 기계실(20)의 전면에 설치된 조작반(70)(도 4 참조)에 냉장실(15)과 냉동실(16)의 고내의 설정 온도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고내 온도 설정 다이얼(71)이 설치되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냉각 유닛(30)의 제어부(45)와 접속되어 있다.
한편, 고내 온도 설정 다이얼(71)에서는 냉장실(15)용 설정 온도로는 "-5 ~ 10℃"의 범위로, 또 냉동실(16)용 설정 온도로는 "-25 ~ -10℃"의 범위로밖에 설정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5)에는 판별부(72)와 선택부(73)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한다.
즉, 냉장실(15)과 냉동실(16)에 각각 냉각 유닛(30)이 장착된 후,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5)과 냉동실(16)에 대하여 고내 온도 설정 다이얼(71)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정 온도가 입력된다. 그 때의 입력값(Tn)이 "-5 ~ 10(℃)"이면 냉장실(15)이라고 판별되고, 그 판별 신호에 의해 냉장 프로그램(Px)이 선택된다. 한편, 입력값(Tn)이 "-25 ~ -10(℃)"이면 냉동실(16)이라고 판별되고, 그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냉동 프로그램(Py)이 선택된다.
그 후, 냉장실(15)과 냉동실(16)에 대하여 개별적인 냉장 프로그램(Px)과 냉동 프로그램(Py)에 기초하여 냉각 운전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마찬가지로 제어부(45)도 포함시켜 냉각 유닛(30)의 공통화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설계, 생산, 관리 등의 다수의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이로써 대폭적인 비용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실(15)과 냉동실(16)의 판별에 대해서는 고내 온도를 설정하는 등의 필수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판별되고, 그에 따라 운전 프로그램이 대응한 것으로 선택되므로, 잘못 선택하거나 선택을 잊어버릴 우려가 없다.
<실시 형태 4>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캐필러리 튜브(35)의 주변의 단열 구조가 개량되었다.
상기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적인 유량 특성의 캐필러리 튜브(35)를 냉장 영역에 이용한 경우의 유량 부족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 튜브(35)의 증발기(36)의 출구측의 냉매 배관(37)과의 열교환부(40A)를 그 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설정하고 있으며, 그 결과 캐필러리 튜브(35)의 열교환부(40A) 이후의 치수가 길어진다. 열교환장치(40)에서는 이를 예컨대 단열 튜브로 덮는 것이 효율이 좋고, 또한 캐필러리 튜브(35)의 열교환부(40A) 이후의 부분은 냉각 상태가 되므로 결로하기 쉬워 녹슬음 등으로 이어지므로 마찬가지로 단열 튜브로 덮을 필요가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40A) 이후의 치수가 길면 단열 튜브도 긴 치수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도 22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 튜브(35)의 열교환부(40A) 이후의 부분이 원형으로 회곡된 후에 편평한 타원형으로 일그러지고, 이 편평부(35B)가 냉매 배관(37)을 따라 배관된다. 이 편평부(35B)가 열교환부(40A)로부터 이어져 냉매 배관(37)과 함께 단열 튜브(75)로 에워싸인다. 단열 튜브(75)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한 후에 결로, 녹슬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다음,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를 도 23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냉장고 단일체 또는 냉동고 단일체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냉각 유닛(30)은 냉장과 냉동 모두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한편, 각각의 냉각 유닛(30)에 부설된 제어부(45)에는 냉장 프로그램(Px)과 냉동 프로그램(Py)이 모두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 유닛(30)을 저장고의 본체(10A)에 장착하면, 이 저장고가 냉장고와 냉동고 중 어디에 사용되는가에 따라 조작반(70)(도 4 참조) 등에 설치된 전환 스위치를 냉장 또는 냉동으로 전환 조작함으로써 대응하는 운전 프로그램(Px, Py)이 선택되어 실행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저장고를 냉장고와 냉동고 중 어디에 사용할지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 1에서 예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냉각 유닛(30)의 장착 동작에 부수하여 자동적으로 판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A)에 설치한 정보 기록부(66)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나아가서는 실시 형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내의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냉장고와 냉동고에서는 고내 팬(25)(도 4 참조)의 구동의 제어를 바꾸는 경우에는 운전 프로그램(Px, Py)의 선택과 아울러 고내 팬(25)의 제어를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나아가, 이러한 종류의 냉각 저장고에서는 적당히 성에 제거 운전이 수행된다. 이는 증발기(36)에 성에 제거용 히터(도시 생략)가 구비되고, 타이머 조작 또 는 수동 조작에 의해 히터에 전류가 통전되어 발열시킴으로써 증발기(36) 등에 부착된 성에가 용융 제거되고, 즉 성에 제거가 수행되고, 한편 성에 제거 운전 동안에 증발기(36)의 온도가 검출되고, 이 검출 온도가 소정값에 도달하면 성에 제거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어, 성에 제거 운전이 종료됨과 동시에 냉각 운전이 재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냉장고와 냉동고에서는 통상 성에 제거가 완료되었다고 간주하는 증발기(36)의 온도의 설정이 다르다. 따라서, 냉장고용과 냉동고용 성에 제거 운전의 프로그램을 별개로 구비하거나, 또는 냉각용 냉장 프로그램(Px)과 냉동 프로그램(Py)에 각각 내장하여 운전 프로그램(Px, Py)의 선택과 함께 성에 제거 운전의 프로그램을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냉각 저장고에서는 상기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구(12)의 가장자리에 결로 방지를 목적으로 히터(80)가 매립되어 있다. 여기서, 냉장고와 냉동고에서는 고내 온도가 다르므로, 본래는 필요한 히터(80)의 용량도 다른데, 냉장고와 냉동고 중 어디에 사용될지 모르는 경우에는 냉동 온도대에 대응한 용량의 히터가 구비된다. 그렇게 하면, 냉장고로서 사용된 경우에는 용량이 과잉되어 소비 전력이 낭비되고, 또 고내로의 열 침입도 커진다는 문제가 일어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10A)의 출입구(12)에 대하여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 온도대에 적합한 상대적으로 소용량의 히터(80x)와 냉동 온도대에 적합한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히터(80y)가 모두 배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운전 프로그램(Px, Py)이 선택되는 것에 연동하여, 전환 릴 레이(81)를 통하여 가동시킬 히터(80x, 80y)가 선택된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또 고내로의 불필요한 열 침입도 억제될 뿐만 아니라, 출입구(12)의 가장자리에서의 결로 방지가 확실하게 도모된다.
<변형예>
도 25는 냉장용과 냉동용에서 결로 방지용 히터의 용량을 변경하는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본체(10A)의 출입구(12)에 대하여 냉동 온도대에 적합한 용량의 히터(80)만 배선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히터(80)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83)와 전환 릴레이(84)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운전 프로그램(Px, Py)이 선택되는 것에 연동하여 전환 릴레이(84)가 개폐되고, 냉동 온도대에서는 릴레이(84)가 닫힘으로써 다이오드(83)가 단락되어 히터(80)의 전체 용량이 발휘되고, 한편 냉장 온도대에서는 릴레이(84)가 열림으로써 다이오드(83)에 의한 반파 정류가 수행되어 히터(80)의 용량이 감소된다.
<실시 형태 6>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 6은 풀다운 냉각의 다른 제어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풀다운 냉각의 목표로 하는 온도 곡선이 복수 종류 격납되어 있는 한편, 고내 설정 온도와 현재의 고내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온도 곡선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유효한 이용 방법으로는, 컨트롤 냉각 중에서의 과도기적인 온도 상승에 대한 복귀 수단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 냉각 영역에서의 운전중에 있어서 도어가 빈번하게 개폐되거 나, 따뜻한 식재가 반입되거나 하여 고내 온도가 크게 상승할 수 있다. 그 때, 예컨대 상기한 실시 형태 1이라면, 컨트롤 냉각 영역에서 풀다운 냉각 영역으로 이행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온도 곡선도 온도 강하가 큰 것(a)으로 대체되므로, 통상은 그 작용에 의해 고내 온도는 복귀한다.
그러나, 시간당 도어의 개폐 횟수가 지나치게 많거나, 고내에 반입된 식재가 다량이거나, 혹은 식재의 온도 자체가 높은 등의 조건으로 인해 고내 온도가 설정 값(3℃)에 대하여 충분히 높은 예컨대 10℃(차이는 7K)가 되면, 식재의 보존에는 상응하지 않는 온도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내 설정 온도(3℃)를 예컨대 7K 상회한 고내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통상의 풀다운 냉각용 온도 곡선(a(x))이 아니라, 그보다 1.5 ~ 3배의 온도 강하도를 가진 온도 곡선(a(y))으로 변경하고, 그에 따르도록 운전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고내 온도의 보다 신속한 복귀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 온도 복귀가 이루어져 컨트롤 냉각 영역에 도달한 경우에는, 다시 컨트롤용 온도 곡선(a1) 대신 높은 온도 강하도를 가진 온도 곡선(a(y))은 캔슬된다.
이와 같이 고내 온도가 컨트롤 냉각 영역으로부터 크게 벗어났을 때의 온도복귀를 의도한 경우에 유효해진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고, 또한 하기 이외에도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변형예에 의해 일부 예시하였으나, 실시 형태 1에서 판별 수단을 구성하는 피검출부는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2) 실시 형태 3에 대해서도,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관한 부대 정보를 기록한 정보 기록부를 별도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 유닛의 냉각 능력을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압축기에 인버터 압축기를 이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기통이고 부하에 따라 구동하는 기통 수를 조정하는 언로드 기능이 있는 압축기 등 다른 용량 가변식 압축기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냉각 능력이 높은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한편, 고압측에서 저압측으로 바이패스 회로를 설치하고, 냉동 사용시에는 바이패스 밸브를 닫고, 냉장 사용시에는 바이패스 밸브를 열어 냉각 능력을 떨어뜨리도록 하여도 좋다.
(4) 팽창 기구를 공통화하기 위하여, 유량 가변 폭이 큰 온도식 팽창 밸브를 이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전자 팽창 밸브를 사용하여도 좋다.
(5) 예컨대 냉장용과 냉동용으로 구분되어 사용되는 냉각 유닛이어도, 장착되는 상대방의 단열 상자체의 용적 등과의 균형에 따라서는 같은 냉각 능력을 가지면 좋은 경우가 있으며, 그 때에는 굳이 인버터 압축기를 이용하지 않아도 정속 압축기를 이용하면 충분하므로, 그러한 것도 본 발명의 기술 범위에 포함된다.
(6) 본 발명은 실시 형태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단일체 또는 냉동고 단일체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용적비를 가진 냉동 냉장고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7) 냉각 사양의 종류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 예시한 냉장과 냉동에 한정되지 않으며, 항온 고습 냉각이나 동결 등의 냉장이나 냉동과 다른 고내 냉각 온도인 것이어도 좋으며, 또한 같은 냉각 유닛에 대하여 판별되는 냉각 사양이 3개 이상이어도 좋다.
(8) 냉각 유닛은 반드시 단열 상자체 등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할 필요는 없으며, 본체 내에 조립되어 들어가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냉각 유닛은 반드시 각 구성 부품이 분리 불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증발기 등의 부품마다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그러한 형식의 것도 본 발명의 냉각 유닛에 포함된다.
(9) 냉장 프로그램과 냉동 프로그램을 전환함에 있어, 매뉴얼 조작되는 전용의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따라야 할 냉각 특성으로서, 고내 온도의 경시적 변화 태양을 나타낸 것을 예시하였으나, 기타 냉각 장치 측의 척도, 예컨대 냉매의 저압 압력이나 증발 온도의 경시적 변화 태양을 나타낸 것이어도 좋다.
(11) 컨트롤 냉각측에 대해서도 따라야 할 냉각 특성이 복수 종류 구비되고, 조건 등에 따라 각 냉각 특성이 선택적으로 읽혀지도록 하여도 좋다.
(12) 또한 냉각 저장고의 제조시에는 제어부에 대하여 모든 프로그램을 격납 해 두고, 출시시 또는 해당 냉각 저장고를 가동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에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하게 지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13) 또한, 제어부에 대하여 소정의 하나의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사용 방법도 가능하다.
(14)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예시한 냉각 저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냉각용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고, 예컨대 배선차를 들 수 있다. 배선차의 냉장실을 냉각하기 위하여 냉각 유닛이 장비되는 경우, 차체 내의 냉장실의 용적이나 수용되는 부하에 따라 냉각 능력을 바꿀 필요가 있다. 그러한 경우, 폭넓은 냉각 능력을 구비한 공통의 냉각 유닛을 형성해 두고, 장비한 대상에 따라 냉각 능력 및 그 운전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된다. 구조로는 예컨대 냉각 유닛 중 압축기, 응축기 등의 냉동 장치는 차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증발기는 냉장실과 연통된 스페이스에 배치된다.
(15) 제빙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빙기에서는 저빙고의 용량이나 제빙량에 따라 냉각 능력을 바꿀 필요가 있으며, 마찬가지로 폭넓은 냉각 능력을 구비한 냉각 유닛을 장비하고, 상기한 저빙고의 용량이나 제빙량 등의 사양에 따라 냉각 능력 및 그 운전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등의 사용 방법이어도 좋다. 구조적으로는 예컨대 냉각 유닛 중 냉동 장치가 저빙고의 외면에, 증발기는 저빙고와 연통된 제빙부에 설치된다.
(16) 또한, 맥주 서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맥주 서버에는 크게 나눠, 맥주 탱크를 냉장고 내에 수납하여 냉각하는 공냉식과 냉수 탱크 내에 장비한 배관 내를 유통시켜 맥주를 냉각하는 순간 냉각식이 있는데, 모두 소정 시간당 맥주 주출량에 따라 냉각 능력을 바꿀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폭넓은 냉각 능력을 구비한 냉각 유닛을 장비하고, 맥주 주출량 등의 사양에 따라 냉각 능력 및 그 운전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방식의 사용 방법이어도 좋다.
구조적으로는 예컨대 공냉식의 경우에는 냉각 유닛 중 냉동 장치가 냉장고의 상면 또는 하면에, 증발기는 고내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순간 냉각식에서는 냉각 유닛 중 냉동 장치가 냉수 탱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되고, 증발기는 냉수 탱크 내에 장비되어 주변에 착빙시키도록 하여 사용된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발명>
냉각 유닛을 냉각 온도가 다른 등의 복수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하게 형성하는 한편, 제어 수단에는 각 냉각 사양의 운전 프로그램 중 해당 냉각용 기기의 냉각 사양에 대응한 원하는 프로그램이 냉각 유닛이 가동될 때까지의 기간에 격납된다. 이에 따라 냉각 사양이 다른 냉각용 기기에 대하여 제어 수단도 포함시켜 공통의 냉각 유닛이 장착 가능해진다. 공통화함으로써 제조 비용의 대폭적인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범위 제 2 항의 발명>
냉각 유닛을 냉각 온도가 다른 등 복수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하게 형성하는 한편, 제어 수단에는 각 냉각 사양의 운전 프로그램 모두를 격납해 두고, 해당 냉각용 기기가 가동될 때까지 원하는 냉각 사양에 대응한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실 행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각 사양이 다른 냉각용 기기에 대하여 제어 수단도 포함시켜 공통의 냉각 유닛이 장착 가능해진다. 공통화함으로써 제조 비용의 대폭적인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범위 제 3 항의 발명>
냉각 유닛을 고내 냉각 온도를 서로 다르게 한 복수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하게 형성하는 한편, 제어 수단에는 각 냉각 사양의 운전 프로그램 중 해당 단열 상자체의 냉각 사양에 대응한 원하는 프로그램이 냉각 유닛이 가동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에 격납된다. 이에 따라 냉각 사양이 다른 냉각 저장고에 대하여 제어 수단도 포함시켜 공통의 냉각 유닛이 장착 가능해진다.
<청구범위 제 4 항의 발명>
냉각 유닛을 고내 냉각 온도를 서로 다르게 한 복수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하게 형성하는 한편, 제어 수단에는 각 냉각 사양의 운전 프로그램 모두를 격납해 두고, 냉각 유닛이 단열 상자체에 장착되어 가동될 때까지 원하는 냉각 사양에 대응한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실행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각 사양이 다른 냉각 저장고에 대하여 제어 수단도 포함시켜 공통의 냉각 유닛이 장착 가능해진다.
<청구범위 제 5 항의 발명>
소정의 냉각 사양으로 가동시킴에 있어, 개구부에 구비된 결로 방지용 히터의 발열 능력이 전환 수단을 통하여 예컨대 프로그램의 선택 동작에 따라 혹은 그와 별도의 조작에 의해 냉각 사양에 적합한 것으로 전환된다. 전력 소비를 낭비하지 않고 결로의 방지가 도모된다.
<청구범위 제 6 항의 발명>
냉각 유닛을 고내 냉각 온도를 서로 다르게 한 복수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하게 형성하는 한편, 제어 수단에는 각 냉각 사양의 운전 프로그램 모두를 격납해 둔다. 냉각 유닛을 단열 상자체에 장착하였을 때 판별 수단이 해당 단열 상자체의 냉각 사양을 판별하고, 제어 수단에서는 그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선택되어 실행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 사양이 다른 냉각 저장고에 대하여 제어 수단도 포함시켜 공통의 냉각 유닛이 장착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각 냉각 사양에 대응한 프로그램으로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청구범위 제 7 항의 발명>
냉각 유닛이 단열 상자체에 장착되었을 때, 냉각 유닛 측에 설치된 검출부가 단열 상자체 측의 피검출부를 검출하는지 여부로 해당 단열 상자체의 냉각 사양이 2개 중 어느 하나가 판별된다. 냉각 유닛을 장착함에 따라 상대방의 단열 상자체의 냉각 사양이 2개 중 어느 것인지를 저절로 판별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8 항의 발명>
고내 온도가 설정되면 그 설정 온도가 판별 수단에 입력되고, 그 입력값에 기초하여 해당 단열 상자체의 냉각 사양이 판별된다. 고내 온도를 설정한다는 필수 동작에 따라 단열 상자체의 냉각 사양이 자동으로 판별된다.
<청구범위 제 9 항의 발명>
판독기가 단열 상자체에 설치된 신호 기록부 상의 판별 신호를 읽음으로써 해당 단열 상자체의 냉각 사양이 판별된다.
<청구범위 제 10 항의 발명>
예컨대 단열 상자체의 크기에 따라 고내 팬의 풍량을 제어하거나 혹은 열 침입량 특성에 따라 냉각 유닛의 운전 상황을 보정하는 것과 같이 개개의 단열 상자체에 따라 보다 세심한 냉각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범위 제 11 항의 발명>
냉장고와 냉동고에 대하여 제어 수단도 포함시켜 공통의 냉각 장치가 장착 가능해지고, 게다가 냉장과 냉동에 각각 대응한 프로그램으로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청구범위 제 12 항의 발명>
풀다운 냉각 특성 및/또는 컨트롤 냉각 특성에 대하여 물리량 강하의 변화 태양이 다른 등의 복수 종류가 구비되고, 냉각 운전중의 조건 등에 따라 각 냉각 특성이 선택적으로 읽혀져 실행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컨트롤 냉각 영역에서의 운전중에서 도어가 빈번하게 개폐되거나, 따뜻한 식재가 반입되거나 하여 고내 온도가 크게 상승할 수는 있으며, 그 때에는 온도 강하가 큰 풀다운 냉각 특성에 따른 운전으로 이행된다. 그 때, 고내 온도와 설정 온도간 차이가 소정 이하인 경우에는 온도 강하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통상의 풀다운 냉각 특성이 선택되는 한편, 이 차이가 소정을 초과하였을 때에는 온도 강하도가 상대적으로 큰 풀다운 냉각 특성이 선택되는 등의 방식으로 이용된다. 고내 온도가 컨트롤 냉각 영역으로부터 크게 벗어났을 때의 신속한 온도 복귀를 도모 하는 경우에 유효해진다.

Claims (12)

  1. 압축기, 응축기, 팽창 기구 및 증발기를 가지며, 복수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한 냉각 능력을 구비한 냉각 유닛이 설치되고, 이 냉각 유닛은 상기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운전 제어 가능하게 된 냉각용 기기로서,
    상기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 중 원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제어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을 모두 격납하고, 또한 이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 중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기기.
  3. 단열 상자체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기구 및 증발기를 가지며, 고내 냉각 온도를 서로 다르게 한 복수의 냉각 사양에 대응 가능한 냉각 능력을 구비한 냉각 유닛이 설치되고, 이 냉각 유닛은 상기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운전 제어 가능하게 된 냉각 저장고로서,
    상기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 중 원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제어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을 모두 격납하고, 또한 이 각 냉각 사양의 프로그램 중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상자체의 개구부에는 발열 능력이 가변하는 결로 방지용 히터가 설치되고, 이 히터의 발열 능력을 상기 냉각 사양에 대응한 것으로 전환 가능한 전환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제어 수단을 부설하여 상기 단열 상자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냉각 유닛이 장착되는 상대방의 상기 단열 상자체의 냉각 사양을 판별하는 판별 수단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판별 수단의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격납된 프로그램 중 대응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사양이 2개로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냉각 유닛이 상기 단열 상자체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냉각 유닛 측에 설치된 검출부가 상기 단열 상자체 측의 피검출부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에는 단열 상자체의 고내 설정 온도가 입력되는 고내 설정 온도 입력부가 구비되고, 입력된 고내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어느 냉각 사양인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단열 상자체에 냉각 사양의 판별 신호가 기록된 신호 기록부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신호 기록부의 판별 신호를 읽어 상기 제어 수단에 입력 가능한 판독부가 구비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상자체에는 이 단열 상자체의 크기, 열 침입량 특성 등의 부대 정보를 기록한 정보 기록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정보 기록부의 정보를 읽어 상기 제어 수단에 전달하는 정보 전달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사양이 냉장과 냉동의 2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12. 제 3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냉각 저장고에서는 고내를 상한 온도보다도 고온도부터 상기 설정 온도 부근까지 냉각하는 풀다운 냉각과, 고내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소정값 높은 상한 온도에 이른 경우에는 상기 냉각 유닛을 운전하고, 상기 설정 온도보다 소정값 낮은 하한 온도에 이른 경우에는 운전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고내를 거의 설정 온도로 유지하는 컨트롤 냉각이 수행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풀다운 냉각 영역과 컨트롤 냉각 영역의 각각에서 고내 온도 등의 냉각에 따른 물리량이 미리 정해진 바의 목표로 하는 상기 물리량의 강하의 경시적 변화 태양을 나타내는 냉각 특성에 따라 강하하도록 상기 냉각 유닛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풀다운 냉각 특성 및/또는 컨트롤 냉각 특성이 복수 종류씩 구비되고, 조건 등에 따라 각 냉각 특성이 선택적으로 읽혀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저장고.
KR1020067007023A 2003-10-17 2004-10-18 냉각 저장고 및 냉각용 기기 KR100775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7588 2003-10-17
JPJP-P-2003-00357588 2003-10-17
JPJP-P-2004-00049623 2004-02-25
JP2004049623 2004-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015A true KR20060096015A (ko) 2006-09-05
KR100775912B1 KR100775912B1 (ko) 2007-11-15

Family

ID=3446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023A KR100775912B1 (ko) 2003-10-17 2004-10-18 냉각 저장고 및 냉각용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30968A1 (ko)
EP (1) EP1684038A1 (ko)
JP (1) JPWO2005038364A1 (ko)
KR (1) KR100775912B1 (ko)
AU (1) AU2004282442B2 (ko)
WO (1) WO2005038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26898B1 (en) * 2008-09-09 2018-01-03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N102859063A (zh) * 2010-04-28 2013-01-02 Lg电子株式会社 干燥机的控制方法
US9039275B2 (en) * 2012-01-13 2015-05-26 Nissan North America, Inc. Methods of preventing freezing of relays in electrical components
JP6496570B2 (ja) * 2015-02-23 2019-04-03 ホシザキ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2016205715A (ja) * 2015-04-23 2016-12-08 ホシザキ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2016211804A (ja) * 2015-05-12 2016-12-15 ホシザキ株式会社 冷却貯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4133A (en) * 1931-05-04 1933-11-07 David R Lauderback Means for preventing frosting or condensation of moisture on glass or other surfaces
US2443342A (en) * 1947-02-12 1948-06-15 Colvin Donald Condensation preventing means for refrigerators
US2529734A (en) * 1947-02-18 1950-11-14 Ralph E Lehmann Defrosting system in refrigerated locker
US3444921A (en) * 1968-09-05 1969-05-20 Frank Carapico J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3650122A (en) * 1970-01-15 1972-03-21 Computed Living Space Inc Modular refrigeration unit
US3977391A (en) * 1974-07-16 1976-08-31 Hittman Corporation Pressure sensor apparatus
US3895500A (en) * 1974-09-18 1975-07-22 Whirlpool Co Electrical heaters for refrigerators
US4485633A (en) * 1982-10-18 1984-12-04 The Coca-Cola Company Temperature-based control for energy management system
US5060486A (en) * 1987-03-18 1991-10-29 Whirlpool Corporation Thermostat control for providing multiple temperature ranges in a single refrigeration compartment
US4895001A (en) * 1989-03-17 1990-01-23 Jondahl Joseph S Expandable refrigeration system
JPH087337Y2 (ja) * 1989-08-15 1996-03-0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の断熱箱体構造
JPH03158681A (ja) * 1989-11-16 1991-07-08 Sanyo Electric Co Ltd 低温庫
WO1994017346A1 (en) * 1993-01-19 1994-08-04 Parker-Hannifin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flow of working fluids
US5289692A (en) * 1993-01-19 1994-03-01 Parker-Hannif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ss flow control of a working fluid
JP3442859B2 (ja) * 1994-05-24 2003-09-02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方法
JPH08254363A (ja) * 1995-03-15 1996-10-01 Toshiba Corp 空調制御装置
US5600966A (en) * 1995-05-19 1997-02-11 Forma Scientific, Inc. Ultra low temperature split door freezer
US5921095A (en) * 1996-12-11 1999-07-13 Lg Electronics Inc. Expandable type refrigerator
US5839287A (en) * 1997-03-07 1998-11-2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Selectable refrigerator or freezer compartment
JPH1153064A (ja) 1997-08-08 1999-02-26 Daiwa Reiki Kogyo Kk 保冷庫の機種データ設定回路及びその設定回路を用いた機種データ展開方法
US6062030A (en) * 1998-12-18 2000-05-16 Thermo King Corporation Hybrid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6647301B1 (en) * 1999-04-22 2003-11-1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 control system with integrated safety control system
KR100381166B1 (ko) * 2000-12-13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셋업시스템 및 그 방법
US6523365B2 (en) * 2000-12-29 2003-02-2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ccumulator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US6564563B2 (en) * 2001-06-29 2003-05-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gic module refrigeration system with condensation control
AU2003217428A1 (en) * 2002-02-15 2003-09-09 Cuno Incorporated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fluid treatment cartridges
CN1252435C (zh) * 2002-08-23 2006-04-19 三星电子株式会社 组合冰箱
JP4314810B2 (ja) * 2002-11-18 2009-08-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触覚インタフェース装置
DE20301949U1 (de) * 2003-02-07 2004-06-09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system
US7073338B2 (en) * 2003-12-03 2006-07-11 Lear Corporation Thermally controlled storage space system for an interior cabin of a vehicle
US7680751B2 (en) * 2006-05-31 2010-03-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eural network based refrigerant charge detection algorithm for vapor compression systems
US7836708B2 (en) * 2006-09-08 2010-11-2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ilter assembly
US9091451B2 (en) * 2009-06-05 2015-07-28 Hobart Brothers Company Modular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5038364A1 (ja) 2007-11-22
AU2004282442B2 (en) 2009-11-26
WO2005038364A1 (ja) 2005-04-28
AU2004282442A1 (en) 2005-04-28
US20070130968A1 (en) 2007-06-14
EP1684038A1 (en) 2006-07-26
KR100775912B1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4484B2 (ja) 冷却貯蔵庫
US723739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tors
EP3435014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775894B1 (ko) 냉각 저장고
SK283586B6 (sk) Chladnička s vysoko účinným multivýparníkovým H. M. cyklom a spôsob jej riadenia
US695293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tors
US20080092566A1 (en) Single evaporator refrigerator/freezer unit with interdependent temperature control
US11268751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837686B2 (en)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KR2018012097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2015010815A (ja) 冷蔵庫
KR100775912B1 (ko) 냉각 저장고 및 냉각용 기기
US2021030209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JP2005172303A (ja) 冷蔵庫
US11181311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U2578055C2 (ru) Одноконтурный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KR102367222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2021007193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080068233A (ko) 냉장고의 과냉각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72328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7260957B2 (en) Damper for refrigeration apparatus
CN100395495C (zh) 冷却储藏库及冷却用机器
JP4286106B2 (ja) 冷凍冷蔵庫
EP1111317B1 (en) Refrigerator
US2023026604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omestic refrigerator, and domestic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