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000A -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 Google Patents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000A
KR20060092000A KR1020050013274A KR20050013274A KR20060092000A KR 20060092000 A KR20060092000 A KR 20060092000A KR 1020050013274 A KR1020050013274 A KR 1020050013274A KR 20050013274 A KR20050013274 A KR 20050013274A KR 20060092000 A KR20060092000 A KR 20060092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coupled
train
fram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302B1 (ko
Inventor
이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사
Priority to KR102005001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3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01F1/005Portable or movable traffic-area platforms or islands, e.g. portable loading islands, retractable platforms for traffic-directing offi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철 승강장의 선단면에 설치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는, 승강장(T) 선단면(SF) 상단에 타측단부가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판상의 발판(11)과; 발판(11) 하부의 승강장(T) 선단면(SF)에 결합되는 프레임(12A)과, 프레임(12A) 내부에 가이드축(12B)과 이에 평행한 스크류축(12C) 및 상기 가이드축(12B)과 스크류축(12C)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한 왕복이동부재(12D)가 구비된 본체(12)와; 왕복이동부재(12D)와 발판(11)에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암(13)과; 상기 스크류축(12C)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4)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는, 전철의 승하차시 전철과 승강장 사이의 틈새로 특히, 노약자의 발이 빠지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편할 뿐 아니라 공사 기간이 짧고 전철의 정상 운행에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전철, 승강장, 발판

Description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The automatic foothold for electric railroad platform}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 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는 발판이 펴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나)는 발판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어셈블리화된 본 발명 제3실시예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발판 12. 본체
13. 연결암 14. 구동수단
15. 부착판 16. 지지프레임
11A. 결합부 12A. 프레임
12B. 가이드축 12C. 스크류축
12D. 왕복이동부재 13A. 제1연결암
13B. 제2연결암 13C. 연결부재
A. 보강재 P. 동력전달부재
SF. 승강장 선단면 SB. 발판 저면
SF'. 부착판 선단면 SB'. 부착판 저면
T. 승강장 X. 결합축
본 발명은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전철 출입문과의 사이에 발이 빠질 정도로 넓은 공간이 형성된 전철 승강장의 선단면 상단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이, 수평면과 이와 대략 90°각도를 갖는 하부 수직면 사이를, 전철의 도착과 출발에 따라,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승강장과 전철 출입문 사이의 공간으로 발이 빠지게 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면서도, 승강장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급격한 승용차의 증가로 인하여 도시의 교통혼잡이 가중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자 지하철을 포함한 전철이 건설되었으며, 근래에는 전철이 가장 핵심적인 대중교통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전철은, 자동차와 같은 교통혼잡을 유발시키지 않을 뿐 아니라 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등 도시의 환경 개선에도 매우 바람직한 교통수단이기는 하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철은 길이가 10m 이상되는 전동차 7∼10량을 연결하여 운행하기 때문에 전철이 정차하는 승강장의 전체 길이 역시 상당히 길게 되는 바, 승강장이 직선화되지 못하고 곡률을 갖게 되면 승강장과 이에 정지한 전철이 근접하지 못하고 벌어지게 되기 때문에, 승하차시 특히, 노약자의 경우 승강장과 전철 출입문 사이의 공간으로 발이 빠지게 되는 안전사고가 쉽게 일어날 수가 있다.
따라서, 승강장은 직선화되어야 하나 승강장이 건설되는 곳의 지형 등에 따라 곡선화가 불가피하기도 하며, 직선화된 승강장의 경우라도,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전철과의 매우 근접하게 정밀한 시공을 위해서는 시공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근래에 완공된 전철 승강장의 경우 전철과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좁은 반면에, 건설된지 오래된 승강장의 경우에는 전철과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어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곳이 많은 바, 향후 건설될 승강장의 시공비를 상승시키지 않으며, 전절과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게 건설된 기존 승강장에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안전발판이, 국내등록특허공보 10-0318334호, 국내등록특허공보 10-0279326호 및 국내공개특허공보 2004-0068825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승강장에서 전철의 출입문측으로 발판이 슬라이딩식으로 왕복 이동하는 안전발판에 관한 것인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10-0318334호는, 승강장을 시공할 때 설치되어야 하는 구조로서, 기존 승강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등으로 시공된 승강장 상면을 개조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 중 승강장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전철의 운행이 정지된 시간대에만 설치공사를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10-0279326호는, 승강장 하부공간의 천정면에 구동수단을 설치하고, 천정면에서 승강장 바닥으로 관통공을 뚫은 후 승강장 바닥을 개조하여 설치되는,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10-0318334호와 같은 슬라이딩식 발판으로서, 국내등록특허공보 10-0318334호와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이보다 설치가 더 어려울 수도 있다.
또한, 국내공개특허공보 2004-0068825호는, 승강장의 하부공간에 설치되며, 발판이 승강장 하부공간과 승강장 바닥면 사이를 상승 및 하강하는 구조로서, 상기 인용발명 1,2와 달리 승강장의 개조 없이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너클조인트를 매개로 하여 결합된 회전암과 밀착암이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스프링이 늘어나게 되는 경우 밀착암이 궤도의 역할을 하는 가이드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그 작동이 원활치 못할 수 있으며, 발판이 회전암의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승하차시 발판에 부여된 하중이 회전암에 대한 과중한 토크로 작용되어 회전암과 샤프트의 결합부가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철과 승강장 사이 설치할 수 있도록 개발된 종래 발판들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강장의 개조 없이 설치가 간단하며, 발판의 동작이 간단하면서도 확실하여 발판의 오작동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전혀 없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스크류식 상·하 왕복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는, 전동차에 대향하게 되는 승강장의 선단면에 설치되는 바, 승강장 선단면 상단부에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타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발판의 하부 승강장 선단면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발판과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암 및 스크류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사각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내 상단부와 하단부에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 가공이 이루어지고 기어 또는 풀리와 같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된 스크류축과, 스크류축과 평행하도록 고정 결합된 가이드축과, 스크류축 및 가이드축에 관통되고 내주면이 스크류축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왕복이동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의 동작 미케니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판의 저면과 승강장의 선단면이 대향하도록 발판의 타측단부가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강된 상태에서, 전철이 승강장에 정지하게 되면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구동수단의 회전력이 구동수단의 회전축과 벨트 또는 기어 등으로 결합된 동력전달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축 또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축이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축 외주면에 내주면이 나사결합된 왕복이동부재가 상승하게 되고, 왕복이동부재와 발판에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암이 왕복이동부재와 함께 상승하면서 수직한 상태의 발판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발판의 타측단부를 회전시켜 밀어올림으로써, 승강장과 전철 출입문 사이의 공간에 발판이 수평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전철이 승강장을 출발하게 되면 구동수단이 역회전을 함으로써 발판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 장치가 전철의 도착과 출발에 따라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철의 도착과 출발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가 있어야 하며, 이러한 제어부는 당연한 구성요소인 바,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어부를 제외한 기계적인 구성요소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 제1실시예 장치의 정면도를, 도 2에 본 발명 제1실시예 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 3에 본 발명 제1실시예 장치의 설치 상태도를, 도 4에 본 발명 제2실시예 장치의 설치 상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는, 폭 방향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타측단부가 회전 가능토록 상기 일측단부가 승강장(T) 선단면(SF) 상단부에 힌지(H) 등과 같이 회전 가능한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저면(S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11A)가 돌출 구비된 발판(11)과;
상기 발판(11) 하부의 승강장(T) 선단면(SF)에 고정 결합되어 승강장(T) 선단면(SF) 하단으로부터 그 직하로 하향 돌출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2A)과, 프레임(12A)내 상단부와 하단부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 결합된 가이드축(12B)과, 가이드축(12B)과 평행하도록 프레임(12A)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외주면에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부재(P)가 고정 결합되고 외주면이 나사가공된 스크류축(12C)과, 좌·우 양 측 선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선단면에 프레임(12A)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축(X)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축(12B)과 스크류축(12C)에 관통되고 그 내주면이 스크류축(12C)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프레임(12A) 내부에서 스크류축(12C)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축(12C) 및 가이드축(12B)의 외주면을 따라 축 방향으로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한 왕복이동부재(12D)로 구성된 적어도 1기 이상의 본체(12)와;
상기 각 본체(12) 프레임(12A)의 측면으로 돌출된 왕복이동부재(12D)의 결합축(X)과 발판(11) 저면의 결합부(11A)에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암(13)과;
상기 각 본체(12) 스크류축(12C)의 동력전달부재(P)에 회전축이 벨트 또는 기어 등으로 결합되어 스크류축(12C)을 회전시키게 되는 위한 구동수단(1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2) 프레임(12A)의 강성을 보강과 스크류축(12C)의 안정적인 지지 및 왕복이동부재(12D)와 동력전달부재(P)의 충동 방지를 위하여, 스크류축(12C)과 직교하며 양 단부가 프레임(12A) 양 측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재(A)를 프레임(12A) 하부에 동력전달부재(P) 직상의 위치에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고, 이러한 경우 가이드축(12B)의 하단부를 프레임(11A) 내부 하단부에 결합시켜도 관계는 없으나, 상기 보강재(A)에 결합시키는 것이 프레임 내부 공간 확보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14)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모터를 들 수 있는 바, 각 본체마다 모터를 각각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하나의 모터로서 2기의 본체에 각각 구비된 두 스크류축(12C)을 함께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각 본체마다 구동수단(14)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프레임(12A) 외부가 아닌 내부에 구동수단(14)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2)는 전철 출입문의 크기에 따라 1∼3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1기가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축(12B)을 스크류축(12C)으로 바꾸고 두 스크류축(12C)을 함께 회전시키는 동시에 왕복이동부재(12D)의 양 단부 각각에 결합축(X)을 구비함으로써, 1기의 본체(12')로 구성되는 경우 본체(12')와 발판(11)이 한 쌍의 연결암(13)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 장치는, 승강장의 구조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바, 발판(11)과 본체(12)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하여 발판(11)과 본체(12)를 연결하는 연결암(13)을, 상단부가 발판(11)의 결합부(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암(13A)과, 하단부가 본체(12) 왕복이동부재(12D)의 결합축(X)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암(13B) 및 양 단부가 상기 제1연결암(13A)의 하단부와 제2연결암(13B)의 상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봉형 연결부재(13C)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3C)의 양 단부와, 이에 결합되는 제1연결암(13A)의 하단부 및 제2연결암(13B)의 상단부는 나사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13C)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2연결암(13A)(13B)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거나 줄어들게 되는 구조이다.
즉, 턴버클과 같이, 제1연결암(13A)의 하단부 선단면과 제2연결암(13B)의 상단부 선단면 각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 가공된 원통형 홈을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연결부재(13C)의 외주면에 제1·2연결암(13A)(13B)의 각 홈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을 형성시켜 제1·2연결암(13A)(13B)과 연결부재(13C)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연결부재(13C)의 회전에 따라 제1·2연결암(13A)(13B)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 까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3C) 외주면의 나사산은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 바, 연결부재(13C)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 측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된다.
그리고, 상기와 달리, 제1·2연결암(13A)(13B)에 나사산이 구비된 홈을 형성시키지 않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며, 연결부재(13C)를,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형으로 구성하여 연결부재(13C)의 양 단부 내주면에 제1·2연결암(13A)(13B)의 외주면을 나사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를 승강장에 설치시 발판(11), 본체(12) 및 구동수단(14) 등을 각각 승강장에 부착하여야 하며, 본체(12) 하부가 승강장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의 선단면(SF)과 승강장 저면에 밀착 결합되도록 "ㄴ"자형으로 절곡된 금속재질 부착판(15)의 선단면(SF')에, 발판(11)과 본체(12)를 결합시키고, 승강장(T)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상기 본체(12) 하부의 배면에 선단면이 밀착 또는 결합되어 본체(12)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는 박스형 지지프레임(16)을 부착판(14)의 저면(SB')에 결합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발판장치를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발판장치를 공장에서 제작시 하나의 장치로 어셈블리화함으로써, 이를 승강장에 설치할 때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판 만을 승강장에 결합시키면 그 설치가 완료되는 바, 설치가 간편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동수단(14)은 상기 지지프레임(16) 내면 또는 지지프레임(16) 내부의 부착판(14) 저면(SB')에 고정 결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는, 전철의 승하차시 예상될 수 있는 노약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승강장의 개조 없이 앵커 등을 사용하여 간단히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 기간이 짧고 전철의 정상 운행에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전철 승강장에 설치되는 전철의 도착과 출발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는 승하차용 발판장치에 있어서, 일측단부가 승강장(T) 선단면(SF) 상단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그 저면(S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11A)가 돌출 구비된 판상의 발판(11)과;
    상기 발판(11) 하부의 승강장(T) 선단면(SF)에 결합되는 프레임(12A)과, 프레임(12A)내 상·하단부에 양 단부가 결합된 가이드축(12B)과, 가이드축(12B)과 평행하도록 프레임(12A)내 상·하단부에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외주면에 동력전달부재(P)가 결합된 스크류축(12C)과, 상기 가이드축(12B)과 스크류축(12C)에 관통되며 관통 내주면이 스크류축(12C)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양 측 선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선단면에 프레임(12A)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결합축(X)이 구비된 왕복이동부재(12D)로 구성된 적어도 1기 이상의 본체(12)와;
    상기 왕복이동부재(12D)의 결합축(X)과 발판(11) 저면의 결합부(11A)에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암(13)과;
    상기 동력전달부재(P)에 결합되어 스크류축(12C)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P)는 기어 또는 풀리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13)은, 상단부가 발판(11)의 결합부(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암(13A)과, 하단부가 본체(12) 왕복이동부재(12D)의 결합축(X)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암(13B) 및 양 단부가 상기 제1연결암(13A)의 하단부와 제2연결암(13B)의 상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13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C)의 양 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제1연결암(13A)의 하단부와 제2연결암(13B)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A) 하부 동력전달부재(P) 직상의 양 측 내면에 보강재(A)의 양 단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6. 전철 승강장에 설치되는 전철의 도착과 출발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는 승하차용 발판장치에 있어서, 승강장의 선단면(SF)과 승강장 저면에 밀착 결합되는 "ㄴ"자형 절곡 부착판(15)과;
    상기 부착판(15)의 선단면(SF') 상단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며, 그 저면(S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11A)가 돌출 구비된 판상의 발판(11)과;
    상기 발판(11) 하부의 부착판(15) 선단면(SF')에 결합되는 프레임(12A)과, 프레임(12A)내 상·하단부에 양 단부가 결합된 가이드축(12B)과, 가이드축(12B)과 평행하도록 프레임(12A)내 상·하단부에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외주면에 동력전달부재(P)가 결합된 스크류축(12C)과, 상기 가이드축(12B)과 스크류축(12C)에 관통되며 관통 내주면이 스크류축(12C)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양 측 선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선단면에 프레임(12A)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결합축(X)이 구비된 왕복이동부재(12D)로 구성된 적어도 1기 이상의 본체(12)와;
    상기 왕복이동부재(12D)의 결합축(X)과 발판(11) 저면의 결합부(11A)에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암(13)과;
    상기 부착판(15) 저면(SB') 직하로 하향 돌출되는 본체(12) 하부의 배면에 선단면이 밀착되도록 부착판(15) 저면(SB')에 결합되는 박스형 지지프레임(16)과;
    상기 지지프레임(16) 내면 또는 지지프레임(16) 내부의 부착판(14) 저면(SB')에 고정 결합되는 구동수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P)는 기어 또는 풀리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13)은, 상단부가 발판(11)의 결합부(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암(13A)과, 하단부가 본체(12) 왕복이동부재(12D)의 결합축(X)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암(13B) 및 양 단부가 상기 제1연결암(13A)의 하단부와 제2연결암(13B)의 상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13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C)의 양 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제1연결암(13A)의 하단부와 제2연결암(13B)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A) 하부 동력전달부재(P) 직상의 양 측 내면에 보강재(A)의 양 단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KR1020050013274A 2005-02-17 2005-02-17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KR100716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274A KR100716302B1 (ko) 2005-02-17 2005-02-17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274A KR100716302B1 (ko) 2005-02-17 2005-02-17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000A true KR20060092000A (ko) 2006-08-22
KR100716302B1 KR100716302B1 (ko) 2007-05-09

Family

ID=3759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274A KR100716302B1 (ko) 2005-02-17 2005-02-17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3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239A3 (ko) * 2008-09-08 2010-06-2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CN117533357A (zh) * 2023-12-15 2024-02-09 浙江海芙德建筑产品有限公司 一种地铁屏蔽门伸缩缝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4985B2 (ja) * 1989-02-03 1997-09-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と車両との隙間を埋める可動踏板装置
JP2632260B2 (ja) 1991-08-09 1997-07-23 株式会社ナブコ プラットホームのステップ装置
JPH07108925A (ja) * 1993-10-12 1995-04-25 East Japan Railway Co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JP2001260869A (ja) 2000-03-16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停車場用プラットホーム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239A3 (ko) * 2008-09-08 2010-06-2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CN117533357A (zh) * 2023-12-15 2024-02-09 浙江海芙德建筑产品有限公司 一种地铁屏蔽门伸缩缝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533357B (zh) * 2023-12-15 2024-04-26 浙江海芙德建筑产品有限公司 一种地铁屏蔽门伸缩缝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302B1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67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RU2376234C2 (ru)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JP429220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戸ロック装置
JP3942370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EP3106364B1 (en) Safety equipment for train platform
EP1422185B1 (en) Cage and elevator
KR100836204B1 (ko)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KR100716302B1 (ko)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KR101423821B1 (ko) 차량용 계단식 가동 발판 장치
JP2003054860A (ja) カップリング装置
KR100694893B1 (ko) 승강장 안전발판
JP2006213420A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設置構造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KR100936288B1 (ko) 조립식 스크린 도어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6997474B1 (ja) 目地装置
CN105731218B (zh) 一种接力式楼道电梯
CN112340569B (zh) 垂直升降及水平移动的无绳电梯系统及控制方法
EA038772B1 (ru) Посадочная компоновка,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посадочную компоновку,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5692398A (zh) 楼道电梯及其驱动机构
JP7274924B2 (ja) 補強用治具及び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KR101244131B1 (ko)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CN214879422U (zh) 一种新型施工电梯
KR200443497Y1 (ko) 2단 주차장치
KR101541345B1 (ko) 이동형 핸드레일
KR0137096Y1 (ko) 주차설비의 파레트 낙하방지 및 리프트 위치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