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685A - 이미용실용 의자 - Google Patents

이미용실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685A
KR20060091685A KR1020050041326A KR20050041326A KR20060091685A KR 20060091685 A KR20060091685 A KR 20060091685A KR 1020050041326 A KR1020050041326 A KR 1020050041326A KR 20050041326 A KR20050041326 A KR 20050041326A KR 20060091685 A KR20060091685 A KR 2006009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 tank
pump
fluid
pressure
flui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아키 가와가미
Original Assignee
(주)오오히로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오히로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오오히로 코리아
Publication of KR2006009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이미용실용 의자에 대해서, 좌부의 부드러운 상승이 행하여 지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펌프에 연결된 서지탱크와, 펌프와 서지탱크간에 설치된 역지변을 구비한 이미용실용 의자를 제공한다. 서지탱크는 내용적을 넓히고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탄성부를 갖춤과 동시에 이 탄성부로부터 내용적을 축소하도록 가압력을 받는다. 서지탱크는 펌프로부터 유체압을 받는 것에 의해 탄성부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내용적을 확대하고, 펌프로부터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과 아울러, 유체압의 저하를 수반하고, 탄성부의 상기 가압력으로 내용적을 축소하고, 유체를 실린더로 송출한다. 역지변은 펌프로부터의 유체압에 의해 펌프와 서지탱크를 연결하고, 서지탱크의 유체압의 상승에 의해 펌프와 서지탱크를 차단한다.
이미용, 의자, 승강, 오일

Description

이미용실용 의자{CHAIR FOR USE IN BEAUTY SALON}
도1 은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하는 전체측면도이다.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의자의 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의자의 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4 는 도1 에 도시된 의자의 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5 는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미용실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용실 혹은 미용실의 이발이나 시술을 받는 자가 앉는 의자에 있어서는, 좌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의자의 높이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이미용실용의 의자로서, 좌부(座部)를 지지하는 지주를 유압으로 승강시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 이 의자는 특허문헌1의 도3 및 도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부를 지지하는 승강축을 유압펌프로 승강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의자는 도5에 도시된 대로, 좌부와, 좌부를 지지하는 승강축(3)과, 승강축(3)을 수용하는 실린더(4)와, 조작레버(5)(스텝)와, 승강축(3)을 승강시키는 유체압을 조작레버(5)의 조작에 의해 발생시켜 오일(동작유)을 실린더(4)에 보내는 유압펌프(6)를 구비한다.
유압펌프(6)와 실린더(4)는 통로(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유압펌프(6)와 통로의 사이에는 역지변(逆止弁;8)이 설치되어 오일이 유압펌프(6)측으로 역류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의자에 있어서, 조작레버(5)를 반복해 발을 디디는 것에 의하여, 유압펌프(6)가 재차 유압을 발생시켜 통로(9)를 통해 실린더(4)로 오일을 보내, 승강축(3)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1; 특개평15-259929호 공보, 특허문헌2: 실용신안등록 제3072541호 공보)
그러나, 이 의자는 유압펌프(6)로 가압한 오일의 거의 모두를 즉시, 유압을 실린더(4) 내에 보내는 것이므로, 발을 디딜 때 마다 단계적(간헐적) 또는 예민하게 승강축(3)이 상승한다. 이 때문에, 좌부에 앉는 사람에 대해서는 상승, 급정지가 짧은 시간에 반복해지게 되어, 덜컥 몸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매우 불쾌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용미용용 의자의 승강에 대해, 상기의 어색한 상승을 부드러운 상승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문제를 해결한다.
본원 제1의 발명은, 좌부(座部)와, 좌부를 지지하는 승강축과, 승강축을 수용하는 실린더와, 조작레버와,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유체압력을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발생시켜 유체를 실린더로 보내는 펌프를 구비한 이미용실용 의자에 있어서 아래를 제공한다.
즉, 이 의자는 펌프에 연결되는 서지탱크와, 펌프와 서지탱크간에 설치된 역지변(逆止弁)을 구비한다. 서지탱크는 내용적을 늘리고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탄성부를 갖춤과 동시에 이 탄성부로부터 내용적을 축소하도록 가압력을 받는다.
서지탱크는 펌프로부터 유체압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탄성부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내부용적을 확대시키고, 펌프로부터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펌프로부터 수용되는 유체압의 저하가 수반되고, 탄성부의 상기 가압력으로 내부용적을 축소하고, 유체를 실린더로 송출한다.
역지변은 펌프로부터 유체압에 의해 펌프와 서지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서지탱크의 유체압의 상승에 의해 펌프와 서지탱크를 차단한다.
본원 제2의 발명은 상기 본원 제1의 발명에 있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용실용 의자를 제공한다.
즉, 상기 서지탱크는 가동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가동부분은 탄성부의 상기 가압력을 받는 것이며, 가동부분의 변위로 서지탱크의 내용적이 증가 및 축소한다.
본원 제3의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용실용 의자를 제공한다.
즉, 이 의자는 역지변과 서지탱크를 연결하는 제1 통로와, 제1 통로로부터 분지된 실린더로 통하는 제2 통로를 구비한다.
제1 통로가 형성하는 유체의 유로의 횡단면적은 제2 통로가 형성하는 유체의 유로의 횡단면적 보다 크다.
상기의 유로의 횡단면적이라는 것은 통로를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방향과 교차한 면으로(가상면) 유체를 자른때의 유체의 단면적을 말한다.
본원 제4의 발명은, 상기 제3의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용실용 의자를 제공한다.
즉, 상기의 펌프는 유체의 저유실(貯油室)과, 저유실에 연결된 가압실과, 가압실로부터 저유실에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 부역지변(副逆止弁)과, 조작레버의 조작으로 습동하여 가압실내를 가압하는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로드를 가압실내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피스톤 로드를 탄성체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습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압실내의 유체압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가압실의 유체압이 저유실의 유체압 보다 높은 때, 부역지변은 저유실과 가압실을 폐쇄하고, 가압실의 유체압 보다 저유실의 유체압이 높을 때, 부역지변은 저유실과 가압실을 연결하고, 유체를 가압실로 공급한다.
서지탱크는 전술한 역지변을 개재하여, 펌프의 상기 가압실과 연결되고 있다.
가압실의 유체압이 서지탱크내의 유체압 보다 높은 경우, 역지변은 가압실과 제1 통로를 연결하고, 가압실내의 유체압 보다 서지탱크 내의 유체압이 높을 때, 역지변은 가압실과 제1 통로를 차단한다.
서지탱크는 탄성부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부분을 변위시켜 내용적을 축소하 고, 제2 통로로부터 서지탱크내의 유체를 실린더내로 보내고, 승강축을 상승시킨다.
본원 제5 발명은 승강축과, 승강축을 수용하는 실린더와, 조작레버와,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유체압력을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발생시켜 유체를 실린더로 보내는 펌프를 구비하는 승강축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다음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제공한다.
즉, 펌프에 연결되는 서지탱크와, 펌프와 서지탱크간에 설치되는 역지변을 구비한다.
서지탱크는 내용적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며, 탄성부를 갖춤과 동시에 당해 탄성부로부터 내용적을 축소하도록 가압력을 받는다.
서지탱크는 펌프로부터 유체압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탄성부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내용적을 확대하고, 펌프로부터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펌프로부터 수용되는 유체압의 저하에 따라, 탄성부의 상기 가압력에는 내용적을 축소하고, 유체를 실린더로 송출한다.
역지변은 서지탱크로부터 펌프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역지변은 펌프로부터의 유체압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펌프와 서지탱크를 연결하고, 서지탱크의 유체압의 상승에 의해 펌프와 서지탱크를 차단한다.
본원의 상기 제1-5 발명에 있어서, 펌프로부터 유체전부를 한 번에 승강축을 지지하는 실린더내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축소가 가능한 서지탱크로 일단 수용한 후, 탄성부의 반발력(가압력)을 이용하고, 상기 실린 더로 보내기 위해, 펌프로 발생시킨 유체압의 급격한 실린더의 이동을 완충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드러운 좌부의 상승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원 제2 의 발명은 서지탱크를 넓히거나 축소시키는 것에 의해 구체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본원 제3의 발명은 펌프에 의해 유체 가압시, 상기 제2 통로로부터 실린더로 직접 이송되는 유체에 비하여, 서지탱크 내로 대류하여 서지탱크의 내용적을 확대하는 작용을 한 후 제2 통로로부터 실린더로 송출되는 유체의 량을 많이 설정한 것이어서, 이것에 의하여, 완충효과를 보다 높이고, 보다 부드러운 승강축의 상승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원 제4의 발명은, 상기 펌프에 의해 구체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 은 본원 발명에 관한 이미용실용 의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의자에 대해 펌프(6)의 작동개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의자에 대해 펌프(6)의 작동 종류시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종단면도이다. 도4는 상기 의자의 요부평면도이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도면의 번잡을 피하기 위해, 첨부해야 할 일부를 생략하였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있어서, U는 상방을, S는 하방을, F는 전방을, B는 후방을 표시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이미용실용 의자는 이발 및 시술을 받는자가 앉는 좌부(1)와, 좌부(1)를 지지하는 다리부(2)를 구비한다.
이하, 각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리부(2)는 좌부(1)에 연결된 승강축(3)과, 승강축(3)을 수용하는 승강장치(20)와, 승강장치(20)를 가리는 케이싱(21)을 구비한다.
도2 에 도시된 대로, 승강장치(20)는 승강축(3)을 수용하는 실린더(4)와, 실린더(4)에 유체를 보내는 펌프(6)와, 펌프(6)에 연결되는 서지탱크(7)와, 펌프(6)와 서지탱크(7)와의 사이에 설치된 역지변(8)과, 서지탱크(7)와 실린더(4)를 연결하는 유체 통로(9)를 내장하고, 이 외부에 펌프(6)의 조작레버(5)를 구비한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상기의 케이싱(21)을 제외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펌프(6)는 유압펌프(6)이다. 펌프(6)는 오일탱크(60)와, 피스톤로드(61)와, 탄성체(68)를 구비한다. 오일탱크(60)는 다리부(2)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의 실린더(4)에서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오일탱크(60)는 오일(작동유)를 저유하는 저유실(60a)과, 부역지변(67)을 개입시켜 저유실(60a)에 연결하여 또한, 오일을 가압하는 가압실(60b)을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압실(60b)은 저유실(60a)의 하방에 위치한다.
부역지변(8)은 가압실(60b)로부터 저유실(60a)로 오일이 역유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부역지변(67)은 밸브 본체로서 볼(67a)을 갖는 것이며, 당해 볼(67a)의 변위에 의해 밸브의 개폐를 행한다.
오일탱크(60)의 저유실(60a)에는 오일탱크(6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통하는 관통홀(62)이 설치된다.
이 관통홀(62)은 오일탱크(60)의 상부에 대해 외부로 통하는 것이어서, 상기의 피스톤 로드(61)를 수용한다. 관통홀(62)은 피스톤로드(61)에 막혀서 같이 제공되고, 오일탱크(60)내에서 상하에 습동하는 것이 가능한 피스톤 로드(61)를 지지한다. 오일은 터빈유 및 사라다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스톤로드(61)의 후단(상단)은 관통홀(62)에 의해서, 오일탱크(60)의 외부로 노출한다. 오일탱크(60) 내에 대해, 피스톤로드(61)의 선단부에는 원주상의 스타트 밸브(63)가 설치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61)의 오일탱크(60)내에 수용하는 부분에 있어서, 스타트 밸브(63)보다 상향에 스타트 밸브(63)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64)가 설치되고 있다.
오일탱크(60)의 내부에 상기 스타트 밸브(63)를 감는 것이 가능한 관상의 실린더부(65)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부(65)는 그 내경을 스타트밸브(63)의 외경과 같이한다. 상기의 스타트 밸브(63)의 하단에는 하방에 돌출한 돌기(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린더부(65)는 오일탱크(60)내에 고정한 것이어서, 상하에 개구단부를 구비한다.
동상의 실린더부(65)의 후단(상단)은 저유실(60a)내에서 개구하고, 실린더부(65)의 선단(하단)은 가압실(60b)내에서 개구한다.
오일탱크(60)내에 있어서, 실린더부(65)의 후단(상단) 보다 그 내부로 피스톤로드(61)의 스타트밸브(63)가 삽입된다. 저유실(60a)과 가압실(60b)에는 상기의 부역지변(67) 이외에, 이 실린더부(65)의 내부에 연결되지만, 상기를 통하여, 스타트 밸브(63)의 삽입에 의해, 당해 연결은 끊어진다.
스타트 밸브(63)의 내부에는 스타트밸브(63)의 측면에 대해, 일단이 개구하고, 타단이 당해 개구부 보다 상부에 개구한 내부통로(63a)를 구비한다.
상기의 피스톤 로드(61)가 강하하는 것에 대해, 스타트 밸브(63)는 실린더(65)(하방)로 변위하고, 가압실(60b)내의 유압이 저유실(60a)내의 유압 보다 높을 때, 상기의 부역지변(67)은 밸브를 폐쇄한다.
반대로, 피스톤 로드(61)가 상승할 때, 스타트 밸브(63)의 실린더부(65)내로 비집고 들어가 상방으로 변위하고, 가압실(60b) 내의 유압이 저유실(60a) 내의 유압 보다 낮을 때, 체크밸브(67)는 개방된다.
체크밸브(67)의 개방에 의해, 저유실(60a)과 가압실(60b)이 연결되고, 저유실(60a)로부터 가압실(60b)로 오일이 공급된다.
상기의 실린더부(62)의 상단과, 상기 플랜지부(64)의 사이에, 상기 탄성체(68)가 개입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체(68)는 코일상의 스프링이고, 당해 탄성체(68)의 부세를 수용하고, 플랜지부(64)가, 그 하방에 위치하는 실린더(4)부에 대해 상방으로 멀어지려고 한다. 즉, 탄성체(68)에 있어서, 피스톤로드(61)는 관통홀(61)로부터 오일탱크(60)(저유실(60a))의 외부로 돌출된 방향(상방)에 부세된다.
오일탱크(60)의 상기 가압실(60b)은 상술한 역지변(8)을 개재하고, 서지탱크(7)에 접속하고 있다.
역지밸브(8)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볼(81)을 변수로 하는 것이어서, 당해 볼(81)의 변위에 의해 밸브의 개폐를 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서지탱크(7)는 오일탱크(60)의 가압실(60b)의 하부에 위치한다.
역지변(8)과 서지탱크(7)의 사이는 제1 통로(80)에 의해 연결된다. 제1 통로(80)로부터 전술한 통로(9)(이하, 제2 통로로 칭함)가 분지된다.
제1 통로(80)가 형성한 유체의 유로의의 횡단면적은 제2 통로(9)가 형성한 유체의 유로의 횡단면적 보다 크다.
서지탱크(7)는 가동부분을 갖고, 가동부분의 변위에 의해 내용적을 확대하고 축소한다(광축한다). 구체적으로는, 서지탱크(7)는 가동부분으로서 피스톤(70)을 구비한다. 피스톤(70)은 역지변(8) 측에 근접, 이반한다(상하에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서지탱크(7)의 내부 용적을 광축한다.
또한, 서지탱크(7)는 탄성부(71)를 구비한다. 탄성부(71)에는 용수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부(71)는 피스톤(70)을 서지탱크(7)의 내용적을 축소하는 방향(상방)으로 부세한다.
용수철은 60-100kg의 반발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승강축(3)이 지지하는 좌부(1) 및 착석하는 사람의 체중을 고려하여 80kg 정도의 반발력을 갖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역지변(80)은 가압실(60b)측의 유압이 서지탱크(7)측의 유압 보다는 크므로 개방되고, 펌프(6)와 제1 통로(80)를 연결하고, 실린더부(66)의 오일을 서지탱크(7)내로 유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밸브 폐쇄시, 펌프(6)와 제1 통로 (80)를 차단한다.
상술한 실린더(4)는 상방에 개방되어 있음으로, 상방으로 승강축(3)이 삽입된다.
즉, 승강축(3)에 있어서, 실린더(4)의 상부는 막힌다. 실린더(4)내의 유압이 상승하는 것에 의하여, 승강축(3)은 실린더(4)에 대하여 상승한다. 수압면이 되는 실린더(4)의 하단부에는 실린더(4)의 측면에 통하는 유통로(30)가 형성된다. 실린더(4)의 내주면은 실린더(4) 내주면에는 실린더(4)의 외경 방향에 ??형의 오일 퇴로(40)에 도달하므로, 실린더(4)내의 오일은 유통로(30)를 통해 퇴로(40)로부터 놓쳐져서, 상승축(3)을 상승시키지 않는다.
상기의 조작레버(5)는 승강장치(20)의 외부(표면)에 축지시킨다. 즉, 조작레버(5)는 이 축지부분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다. 이 조작레버(5)는 상기 피스톤 로드(61)의 오일탱크(60) 보다 외부로 노출된 부분(상단)에 접한다. 조작레버(5)를 스텝으로서 발을 디디는 것으로서, 피스톤로드(61)를 오일탱크(60)내로 압입하고,(도1), 즉, 피스톤로드(61)를 강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레버(5)를 상술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5)는 축지부(50)와, 축지부(50)에 설치되어 평면에서 보면 コ자형의 압압부(51)와, 축지부(50)에 설치된 스탭(52)을 갖는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지부(50)은 승강장치(20)의 피스톤로드(61)와 반대측에 대해, 승강장치(20) 측면에 축지되고, 압압부(押壓部;51)가 승강장치(20)를 에워싼다. 스탭부(52)는 승강장치(20)에 대해 축지부(50)의 반대측에 돌출된다. 상 기의 압압부(51)가 피스톤로드(61)에 접촉한다.
상기의 스탭부(52)를 밟는 것에 의하여, 축지부(50)가 회동하고, 압압부(51)가 피스톤로드(61)의 상단을 하방으로 민다.
또한, 조작레버(5)(압압부;50)로써, 특개평 15-259929호(특허문헌1)에 도시된 스토퍼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의자의 좌부(1)의 상승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레버(5)를 밟는 것에 의해, 도2 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탄성체(68)의 부세에 대항하는 피스톤로드(61)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서, 스타트 밸브(63)가 가압실(60b)을 가압하여, 가압실(60b)내의 유압을 상승시킨다.
가압실(60b)내의 유압이 서지탱크(7)(제1 통로(80)측)의 유체압 보다 높아지면, 역지변(8)은 이 볼(81)을(하방에)변위시켜, 역지변(8)을 개방하고, 오일탱크(60)의 가압실(60b)내의 오일은 제1 통로(80)에 유입한다.
이때, 오일은 서지탱크(7)에 유입되지만, 그 일부가 제2 통로(9)로부터 직접 실린더(4)로 송부되고, 일단 서지탱크(7)내로 보내지는 편이 많다.
제2 통로(9)는 내경을 0.5mm 내지 1.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부역지변(8)은 폐쇄된다.
상기 조작레버(5)를 밟은 후, 가압실(60b)내의 오일이 역지변(8)을 통하여 제1 통로(80)측으로 이동하고, 가압실(60b)내 압력이 서지탱크(7)내 보다 낮게 되면, 역지변(8)은 폐쇄된다.
그리고, 서지탱크(7)는 탄성부의 부세에 의해 가동부분을 변위시켜 내용적을 축소하고, 제2 통로(9)로부터 서지탱크(7)내의 오일을 실린더(4) 내로 보내고, 실린더(4)내의 유압을 높혀 승강축(3)을 상승시킨다.
다음의 발을 디디는 것을 위해서, 조작레버(5)를 밟는 것을 멈추면, 탄성체의 부세에 의해 피스톤로드는 상승한다.
피스톤로드의 상승에 반해 스타트밸브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 가압실(60b)에 부압이 발생하며, 부역지변(8)이 폐쇄되고, 저유실(60a)로부터 오일이 가압실(60b)로 공급된다.
상기 승강축(3)의 상승에 의해 실린더(4) 내에 발생한 부압에 관련하여, 서지탱크(7)내의 유압이 상기 가압실(60b)내의 유압보다 낮아지면, 즉, 가압실(60b)내의 유압이 서지탱크(7)(제1 통로(80)측)의 유압보다 높아지면, 역지변(8)이 볼을 변위시켜 밸브를 연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밟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승강축(3)을 상승시켜, 좌부(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좌부(1)를 하부로 내릴 때는 조작레버(5)를 상기에 의해, 깊게 발을 디뎌 스타트 밸브(63)를 강하시켜, 돌기에 의해 역지변(8)의 볼을 눌러 내린다.
이와 같이, 역지변(8)의 볼을 변위시켜 역지변(8)을 강제적으로 폐쇄상태로서, 실린더(4)내의 오일을 제2 통로(9)로부터 오일탱크(60)내로 역류시킨다.
이것에 관련하여, 실린더(4)내로부터 오일을 공급하고, 승강축(3)을 강하시켜 좌부를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발을 디딜때 즈음하여, 스타트 밸브(63)내의 내부통로를 통해 가압실 (60b)내의 오일을 저유실(60a)로 보낸다.
상기에 있어서, 저유실(60a)과 가압실(60b)과의 사이 유체압(유압)의 크고 작은 관계에 의해 부역지변(8)의 개폐상황, 즉, 가압실(60b)과 서지탱크(7)의 사이 유체압의 크고 작은 관계에 의해 역지변(8)의 개폐상황은 유체(오일)의 이동이 안정된 상황(정적인 상황)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각부의 유체압의 변동직후에는, 일시적으로, 저유실(60a)과 가압실(60b)의 사이 유체압(유압)의 크고 작은 관계와, 부역지변(8)의 개폐 상황이, 가압실(60b)과 서지탱크(7)와의 사이 유체압의 크고 작은 관계와, 역지변(8)의 개폐의 상황이, 상기 경합하지 않는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을 허용하면 좋을 것이다.
즉, 유체압변동후, 유체의 이동이 안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각부의 관계가 성립하면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유실(60a)의 내압(유압)보다 가압실(60b)의 내부(유압)가 높을때, 부역지변(8)은 볼을 변위시켜 밸브를 닫는다.
이외, 예를 들면, 가압실(60b)의 내압(유압)에 볼을 부세하는 용수철의 반발력(부세력)을 더한 힘이, 저유실(60a)의 내압(유압)보다 높을 때, 부역지변(8)을 폐쇄하고, 가압실(60b)의 내압(유압)에 볼을 부세하는 용수철의 반발력을 더한 힘이 저유실(60a)의 내압(유압) 보다 낮을 때, 폐변하는 것으로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지탱크(7)(제1 통로(80)측)의 내압이 가압실 (60b)의 내압 보다 높을 때, 역지변(8)은 볼을 변위시켜 폐변하는 것으로 했다.
이 경우도, 서지탱크(7)(제1통로측)의 내압에 상기 볼을 부세하는 용수철의 반발력(부세력)을 더한 힘이, 가압실(60b)의 내압보다 높을 때, 역지변(8)은 볼을 변위시켜 폐변하는 것으로 해, 서지탱크(7)(제1통로측)의 내압에 상기 볼을 부세하는 용수철의 반발력(부세력)을 더한힘이, 가압실(60b)의 내압보다 낮을 때, 역지변(8)은 볼을 변위시켜 개변하는 것이 실시 가능하다.
즉, 부역지변(8)은 역지변(8)의 개폐의 기준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체를 오일로하고, 펌프(6)를 유압펌프(6)로 했지만, 오일에 대체하여 공기등의 기체나 가압가능한 타 유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서, 그러한 유체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펌프(6)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용실용 의자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펌프로부터 유체전부를 한 번에 승강축을 지지하는 실린더내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축소가 가능한 서지탱크로 일단 수용한 후, 탄성부의 반발력(가압력)을 이용하고, 상기 실린더로 보내기 위해, 펌프로 발생시킨 유체압의 급격한 실린더의 이동을 완충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드러운 좌부의 상승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서지탱크를 넓히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셋째,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펌프에 의해 유체 가압시, 상기 제2 통로로부터 실린더로 직접 이송되는 유체에 비하여, 서지탱크 내로 대류하여 서지탱크의 내용적을 확대하는 작용을 한 후 제2 통로로부터 실린더로 송출되는 유체의 량을 많이 설정한 것이어서, 이것에 의하여, 완충효과를 보다 높이고, 보다 부드러운 승강축의 상승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본원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펌프를 적용하여 의자의 승하강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5)

  1. 좌부와, 좌부를 지지하는 승강축과, 승강축을 수용하는 실린더와, 조작레버와,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유체압력을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발생시켜 유체를 실린더로 보내는 펌프를 구비한 이미용실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연결된 서지탱크와, 상기 펌프와 서지탱크간에 설치된 역지변을 구비하고, 상기 서지탱크는 내용적을 늘리고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탄성부를 갖춤과 아울러 이 탄성부로부터 내용적을 축소하도록 가압력을 받고,
    상기 서지탱크는 상기 펌프로부터 유체압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내용적을 확대하고, 상기 펌프로부터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펌프로부터 수용되는 유체압의 저하에 따라, 상기 탄성부의 상기 가압력에는 내용적을 축소하고, 유체를 상기 실린더로 송출하고,
    상기 역지변은 상기 서지탱크로부터 상기 펌프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역지변은 상기 펌프로부터의 유체압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펌프와 상기 서지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서지탱크의 유체압의 상승에 의해 상기 펌프와 서지탱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실용 의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탱크는 가동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분은 상기 탄성부의 상기 가압력을 받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부분의 변위로 상기 서지탱 크의 내용적을 증가 및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실용 의자.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변과 서지탱크의 연결은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로부터 분지되어 실린더로 통하는 제2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통로가 형성하는 유체의 유로의 횡단면적은 제2 통로를 형성하는 유체의 유로의 횡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실용 의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유체의 저유실과, 상기 저유실에 연결된 가압실과, 상기 가압실로부터 저유실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 부역지변과, 조작레버의 조작으로 습동하여 가압실내를 가압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를 상기 가압실내로부터 후퇴시킨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로드를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습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실내의 유체압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가압실의 유체압이 상기 저유실의 유체압 보다 높을 때, 상기 부역지변은 저유실과 가압실을 폐쇄하고, 상기 가압실의 유체압 보다 상기 저유실의 유체압이 높을 때, 상기 부역지변은 저유실과 상기 가압실을 연결하고, 유체를 상기 가압실로 공급하고,
    상기 서지탱크는 전술한 역지변을 개재하여, 상기 펌프의 상기 가압실과 연결되고,
    상기 가압실의 유체압이 서지탱크내의 유체압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역지변 은 가압실과 제1 통로를 연결하고, 상기 가압실내의 유체압 보다 서지탱크 내의 유체압이 높을 때, 상기 역지변은 가압실과 제1 통로를 차단하고,
    상기 서지탱크는 탄성부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부분을 변위시켜 내용적을 축소하고, 상기 제2 통로로부터 상기 서지탱크내의 유체를 실린더내로 보내고, 상기 승강축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실용 의자.
  5.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을 수용하는 실린더와, 조작레버와, 상기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유체압력을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발생시켜 유체를 실린더로 보내는 펌프를 구비하는 승강축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서지탱크와, 상기 펌프와 서지탱크간에 설치되는 역지변을 구비하고,
    상기 서지탱크는 내용적을 늘리고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탄성부를 갖춤과 동시에 당해 상기 탄성부로부터 내용적을 축소하도록 가압력을 받고,
    상기 서지탱크는 펌프로부터 유체압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내용적을 확대하고, 상기 펌프로부터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펌프로부터 수용되는 유체압의 저하에 따라, 상기 탄성부의 상기 가압력에는 내용적을 축소하고, 유체를 상기 실린더로 송출하고,
    상기 역지변은 상기 서지탱크로부터 상기 펌프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역지변은 상기 펌프로부터의 유체압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펌프와 서지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서지탱크의 유체압의 상승에 의해 상기 펌프와 서지탱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축의 승강장치.
KR1020050041326A 2005-02-16 2005-05-17 이미용실용 의자 KR20060091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39085A JP2006223450A (ja) 2005-02-16 2005-02-16 理美容室用椅子及び昇降軸の昇降装置
JPJP-P-2005-00039085 2005-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685A true KR20060091685A (ko) 2006-08-21

Family

ID=3692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326A KR20060091685A (ko) 2005-02-16 2005-05-17 이미용실용 의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223450A (ko)
KR (1) KR20060091685A (ko)
CN (1) CN18206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088B1 (ko) * 2020-08-04 2020-12-09 신화남 측면 이동이 가능한 미용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0993A (zh) * 2013-11-29 2014-03-26 南通高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手动泵
CN103622347B (zh) * 2013-12-18 2015-12-16 陈磊磊 一种理发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088B1 (ko) * 2020-08-04 2020-12-09 신화남 측면 이동이 가능한 미용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20682A (zh) 2006-08-23
JP2006223450A (ja)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9643B2 (ja) 椅子用流体制御システム
US7281374B2 (en) Hydraulic device for elevating/lowering chair
KR101253847B1 (ko) 펌프의 누름 헤드 및 누름 헤드식 토출 펌프
JP5254298B2 (ja) 対物支柱
JP4550213B2 (ja) 油圧式ロック装置
EP0357592A1 (en) OLEOPNEUMATIC SUPPORT, ESPECIALLY FOR OFFICE CHAIRS WITH CENTRAL COLUMN.
US20120186496A1 (en) Operating device
KR20060091685A (ko) 이미용실용 의자
KR980010079A (ko) 감압밸브
JP5438435B2 (ja) 液圧シリンダ
JP4630917B2 (ja) 流体スプリング及びそれを備える成形装置
JP2004019845A (ja) 自閉水栓
EP2647356B1 (en) An multi-stage air pressure valve disposed in the airway of a prosthesis air cylinder
JP3795619B2 (ja) ガススプリング装置
JP2004003654A (ja) 油圧シリンダー
KR100597173B1 (ko) 승강식 싱크 구조
KR102641792B1 (ko) 가스 쿠션 실린더
JP3075193B2 (ja) 油圧シリンダ
KR200337569Y1 (ko) 승강식 싱크 구조
JPS621197Y2 (ko)
JPH1061703A (ja) チェアガススプリング
JP3848658B2 (ja) 油圧シリンダ
US20180064561A1 (en) Adjustment-free multi-stage prosthesis air cylinder
JP4476703B2 (ja) バルブ
JPH09222102A (ja) 油圧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