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573A - 1 날 드릴 - Google Patents

1 날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573A
KR20060090573A KR1020060000796A KR20060000796A KR20060090573A KR 20060090573 A KR20060090573 A KR 20060090573A KR 1020060000796 A KR1020060000796 A KR 1020060000796A KR 20060000796 A KR20060000796 A KR 20060000796A KR 20060090573 A KR20060090573 A KR 20060090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ridge
ridgeline
flank
fl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로 후쿠다
신야 후지사와
도시로 에구치
마코토 이마무라
나오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규슈 스미덴 세이미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규슈 스미덴 세이미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illing Tool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과제) 피삭재에 대한 드릴의 물림이 안정적이고, 또한, 피삭재에 물릴 때의 끌날끝부의 결손, 찌부러짐이 일어나지 않고, 그 때문에 높은 구멍 위치 정밀도를 길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 제작시의 품질의 편차도 잘 생기지 않는 1 날 드릴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해결수단) 1 개의 절삭날 (3) 과 1 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을 갖는 1 날 드릴을, 선단의 릴리프부가 다단으로 연속해 있는 플랭크에 의해 구성되고, 드릴의 최선단에 2 개의 플랭크가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 1 능선이 존재하고, 그 제 1 능선이 드릴의 축심에 대하여 직각으로 드릴의 회전 중심부에 있고, 그 제 1 능선의 일단에, 2 개의 플랭크가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 2 능선이 연속해 있고, 또, 그 제 2 능선의 외단에 주절삭날부가 연속해 있고, 제 1 능선의 타단은 제 2 능선이 연속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는 구조로 하였다.

Description

1 날 드릴{DRILL WITH A SINGLE CUTTING EDGE}
도 1 은 본 발명의 1 날 드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드릴 요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드릴 요부의 저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드릴 요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드릴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6 의 (a) 는 도 1 에 나타낸 드릴의 정면 요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b) 는 드릴의 선단을 도 6 의 (a) 의 화살표 I 방향에서 본 도면, (c) 는 도 6 의 (a) 의 Ⅱ-Ⅱ 선부의 단면도이다.
도 7 의 (a) 는 제 2 실시형태의 드릴의 정면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b) 는 드릴의 선단을 도 7 의 (a) 의 화살표 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 의 (a) 는 드릴 선단의 제 1 능선의 길이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드릴의 축심 (軸心) 으로부터 제 1 능선의 직경방향 외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용에 있어서의 구멍 위치 정밀도의 변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 날 드릴 2 본체부
3 절삭날 3a 주절삭날부
4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제 1 플랭크
6 제 2 플랭크 7 제 3 플랭크
8 역측 제 1 플랭크
9 역측 제 2 플랭크
10 끌에지를 구성하는 제 1 능선
11 끌에지를 구성하는 제 2 능선
12, 13 드릴의 외주에 도달하는 능선
O 드릴의 축심
Y 축심 (O) 을 통과하는 능선 (12) 과 평행한 선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82318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4213호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 등에 구멍을 뚫을 때에 이용되는 소직경의 1 날 드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프린트 기판의 가공에 사용되는 드릴은 그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 소직경 드릴은, 1 날 구조로 하면 단면적 감소에 의한 강성 저하가 억제되어 가공 중의 파손이나 구멍의 구부러짐이 감소한다. 그러나, 1 날 구조의 드릴은 피삭재와의 물림이 불안정하여 가공 중에 본체가 흔들려, 구멍 위치의 정밀도가 악화되기 쉽다.
그래서, 상기 특허문헌 1 은, 선단 플랭크 (flank) 에 있어서 드릴 선단측으로 돌출된 최선단 (끌날끝: chisel point) 을 1 점으로 구성하고, 그 돌출 최선단의 드릴 축선으로부터의 변위량 (편심량) 을 날끝부의 최대 외경 (D) 에 대하여 (5/100)D 이하로 하여 피삭재에 대한 물림성과 가공 중의 직진성을 높인 1 날 드릴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 는, 날끝부를 축선방향의 선단측에서 보았을 때, 축선을 통과하여 절삭날과 평행한 X 축에 축선 상에서 직교하는 Y 축을 사이에 끼우고 절삭날과 반대측 영역에 있는 선단 플랭크부분이, 둘레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플랭크로 이루어지는 다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어, 피삭재에 구멍을 뚫는 가공을 할 때, 선단 플랭크끼리의 교차 능선 중 적어도 1 개가 피삭재에 접촉하도록 한 1 날 드릴을 개시하고 있다. 이 드릴은, 구멍 형성 가공시에, 절삭날뿐만 아니라 Y 축을 사이에 두고 절삭날과 반대측 영역에 있는 플랭크끼리의 교차 능선도 피삭재에 접촉하고, 그 때문에, 가공 중의 드릴 흔들림이 억제되어 직진성이 향상되므로 양호한 구멍 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드릴은 최선단이 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날끝 강도가 부족하여, 구멍을 뚫는 초기 단계에서 끌날끝부의 결손, 찌부러짐 등이 일어난 다. 그 결과, 양호한 물림성이 일찍 손상되어, 초기의 기능을 길게 유지할 수 없다. 또한, 드릴의 제작 과정에 있어서, 끌날끝을 회전 중심의 1 점으로 유지하는 가공이 매우 어려워, 품질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도 피할 수 없다.
특허문헌 2 의 드릴도, 최선단의 끌날끝이 1 점이 되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문제가 수반된다.
본 발명은, 피삭재에 대한 드릴의 물림이 안정되어 있고, 또한, 피삭재에 대하여 드릴을 물릴 때의 끌날끝부의 결손, 찌부러짐이 일어나기 어려우며, 그 때문에 높은 구멍 위치 정밀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드릴 제작시의 품질의 편차도 잘 생기지 않는 1 날 드릴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1 개의 절삭날과 1 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을 갖는 1 날 드릴로서, 선단의 릴리프부가 다단으로 연속해 있는 복수의 플랭크에 의해 구성되고, 드릴의 최선단에 2 개의 플랭크가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 1 능선이 존재하고, 그 제 1 능선이 드릴의 축심에 대하여 직각으로 드릴의 회전 중심부에 있고, 그 제 1 능선의 일단에, 2 개의 플랭크가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 2 능선이 연속해 있고, 또, 그 제 2 능선의 외단에 주절삭날부가 연속해 있고, 제 1 능선의 타단은 제 2 능선이 연속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는 1 날 드릴을 제공한다.
여기서 말하는 드릴의 회전 중심부란, 회전 중심 근방의 어느 정도의 폭을 가진 영역을 말한다. 제 1 능선은, 드릴의 축심을 통과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불가피한 가공 오차에 의한 드릴 축심으로부터의 위치 어긋남은 허용되는 것으로 한다.
이 드릴의 보다 바람직한 구성을 이하에 열거한다.
(1) 제 1 능선의 타단이 드릴의 축심을 넘어서 제 2 능선이 연속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도달되어 있다.
(2) 상기 제 1 능선의 길이가 드릴 직경을 D 로 하여 0.01D∼0.10D 의 범위에 있다.
(3) 드릴의 축심으로부터 제 1 능선의 외단까지의 거리가 0.20D 이하이다.
(4) 복수의 플랭크가 교차하여 형성되는 능선 중에 드릴 외주까지 연장되는 능선이 포함되고, 그 드릴 외주까지 연장되는 능선의 외단이 상기 주절삭날부의 외단보다도 드릴의 축방향 후단측으로 빠져 있다.
또 본 발명은, 외경이 φ0.3㎜ 이하인 1 날 드릴에 적용하면 그 유효성이 특별히 현저하게 나타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의 도 1 내지 도 7 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1 날 드릴을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은 모두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확대도로 하고 있다. 이 드릴 (1) 은, 생크 (도시 생략) 와 일체의 본체부 (2) 를 갖고 있고, 그 본체부 (2) 의 선단에 1 개의 절삭날 (3) 이 형성되고, 또한, 본체부에 1 줄의 절삭 부스러기 배 출홈 (4) 이 형성되어 있다.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4) 은 도시되어 있는 나선형 홈이 바람직하다. 절삭날 (3) 의 주절삭날부 (3a) 는, 심상 (芯上) 위치 (축심 (O) 을 통과하는 선 Y 보다도 드릴의 회전방향 전방) 에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드릴의 회전방향이란, 드릴이 정(正)회전하는 방향이다.
또한, 이 드릴 (1) 은, 선단의 릴리프(relief)부를 다단의 플랭크로 형성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드릴의 다단의 플랭크는, 절삭날 (3) 에 연속해 있는 제 1 플랭크 (첫번째 면: 5) 와, 이 제 1 플랭크 (5) 에 연속해 있는 제 2 플랭크 (두번째 면: 6) 와, 제 2 플랭크 (6) 에 연속해 있는 제 3 플랭크 (7) 와, 드릴의 회전 중심근방에 위치하고 제 3 플랭크 (7) 와 제 1 플랭크 (5) 에 각각 연속해 있는 역측 (逆側) 제 1 플랭크 (8, 제 1 플랭크와 드릴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반대 위치에 있는 플랭크) 와, 제 3 플랭크 (7), 역측 제 1 플랭크 (8) 및 제 1 플랭크 (5) 의 3 자에 각각 연속해 있는 역측 제 2 플랭크 (9) 로 구성되어 있다.
역측 제 1 플랭크 (8) 는, 드릴의 축심 (O) 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플랭크 (5) 와 점대칭 위치에 형성된다 (일부가 점대칭 형상이 되고 전체 형상은 점대칭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역측 제 2 플랭크 (9) 는, 드릴의 축심 (즉 회전 중심: O) 을 기준으로 하여 제 2 플랭크 (6) 와 점대칭 위치에 형성된다 (이것도 일부가 점대칭 형상이 되고 전체 형상은 점대칭으로 되지 않는다).
인접하는 플랭크가 교차하는 위치에는 각각 능선이 형성된다. 그 능선 중, 제 1 플랭크 (5) 와 역측 제 1 플랭크 (8) 사이에 형성되는 능선을 제 1 능선 (10) 이라고 한다. 또한, 제 1 플랭크 (5) 와 역측 제 2 플랭크 (9) 사이에 형 성되는 능선을 제 2 능선 (11) 이라고 한다.
제 1 능선 (10) 은 드릴의 축심에 대하여 직각이고, 드릴의 최선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 1 능선 (10) 은, 도 6 에서는 제 1 플랭크 (5) 와 역측 제 1 플랭크 (8) 가 중심 대칭 위치에 있기 때문에 드릴의 축심 (O) 을 통과하는 위치에 있고, 축심 (O) 으로부터 양단에 도달하는 길이도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제 1 능선 (10) 이 피삭재에 최초로 물려지기 때문에, 물림이 안정적이고, 구멍의 구부러짐도 억제된다. 따라서, 가공 구멍의 위치 정밀도가 높아져, 피삭재에 대한 물림이 불안정할 때에 일어나는 드릴의 파손도 감소된다.
제 2 능선 (11) 은 제 1 능선 (10) 의 일단에 연속해 있고, 그 제 2 능선 (11) 에 주절삭날부 (3a) 가 연속해 있다. 제 1 능선 (10) 의 타단은, 도 6 에서는 드릴의 축심 (O) 을 넘어서 제 2 능선 (11) 이 연속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도달되어 있지만, 축심 (O) 을 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의 제 3 플랭크 (7) 의 위치가 가공 오차에 의해 편차가 생겨 제 3 플랭크 (7) 가 축심 (O) 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었을 때, 또는 축심 (O) 을 넘어서 제 1 플랭크 (5)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었을 때에 축심 (O) 을 넘지 않는 상황이 생긴다. 그러나, 이 경우도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가진 제 1 능선 (10) 을 최선단에 형성함으로써 날끝 강도의 향상, 피삭재에 대한 물림성 향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7 에, 제 2 실시형태의 1 날 드릴의 요부를 나타낸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드릴 (1A) 은 제 2 플랭크 (6) 와 역측 제 2 플랭크 (9) 사이에 형성되는 능선이 제 1 능선 (10a) 으로 되어 있다. 이 제 1 능선 (10a) 은, 드릴의 축심 (O) 에 대하여 직각이며, 또한 드릴의 최선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 1 능선 (10a) 은, 틀 에지 (chisel edge) 를 구성하여 피삭재에 최초로 물려지고, 도 6 의 제 1 능선 (10) 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드릴 (1) 과 제 2 실시형태의 드릴 (1A) 은, 모두 제 1 능선 (10, 10a) 의 일단에 제 2 능선 (11) 이 연속해 있고, 또 이 제 2 능선 (11) 의 직경방향 외단에 주절삭날부 (3a) 가 연속해 있어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주에 도달하는 범위의 전역을 망라하는 절삭날 (3) 이 구성되어 있다.
각 드릴의 제 1 능선 (10, 10a) 은, 그 길이 (S: 도 6, 도 7 및 도 8 의 (a) 참조) 가, 드릴의 직경을 D 로 하였을 때에 0.01D∼0.10D 의 범위에 있도록 해 두는 것이 좋다. 길이 (S) 가 0.01D 이하이면, 선단의 결손, 찌부러짐의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한편, 길이 (S) 가 0.10D 를 초과하면 피삭재에 드릴을 물릴 때의 저항이 커져 발명의 효과가 희미해진다.
또한, 드릴의 축심 (O) 에서부터 제 1 능선 (10, 10a) 의 직경방향 외단까지의 거리 (S1: 도 8 의 (b) 참조) 는 0.20D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제 1 능선 (10, 10a) 은, 반드시 축심 (O) 에 대하여 점대칭하고 있을 필요는 없지만, 거리 (S1) 가 0.20D 를 초과하면 피삭재에 대한 드릴의 물림이 불안정해진다.
제 1 플랭크 (5) 와 제 2 플랭크 (6) 사이에 형성되는 능선 (12) 및 제 2 플랭크 (6) 와 제 3 플랭크 (7) 사이에 형성되는 능선 (13) 은,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릴의 최외주에 도달되어 있다. 이 능선 (12, 13) 의 외단 은 주절삭날부 (3a) 의 외단보다도 드릴의 축방향 후단측으로 빠져 있고, 그 때문에, 제 1 능선 (10) 과 제 2 능선 (11) 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날은, 날끝이 그다지 둔해지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의 드릴 (1)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플랭크 (5) 와 역측 제 1 플랭크 (8) 의 종단 (능선 (12) 과 능선 (13) 을 발생시키는 부분) 이 드릴의 축심 (O) 을 통과하는 선 (상기 능선 (12) 과 평행한 선 (Y)) 보다도 드릴의 회전방향 후방 (주절삭날부 (3a) 로부터 멀어지는 측) 에 있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의 드릴 (1A) 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플랭크 (5) 의 종단이 드릴의 축심 (O) 을 통과하는 선 (Y) 보다도 드릴의 회전방향 전방 (주절삭날부 (3a) 에 가까운 측) 에 있다. 이와 같이, 제 1 플랭크 (5) 의 종단이 선 (Y) 보다도 드릴의 회전방향 후방이나 회전방향 전방 중 어느 쪽에 있더라도 목적하는 제 1 능선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플랭크 (5) 의 종단 위치가 도 6 와 도 7 의 위치 사이에서 어긋나는 것이 허용되고, 그 때문에 플랭크의 가공도 용이해진다.
외경이 φ0.3㎜ 이하인 드릴은, 파손 방지를 위해 1 날 구조로 하면 특히 효과적이다. 가공 정밀도의 확보는 드릴 직경이 작아질수록 어려워지고, 따라서, 본 발명은 외직경이 φ0.3㎜ 이하인 드릴에 적용하면 특히 현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 효과의 확인 시험 결과를 기재한다. 효과의 확인 시험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조를 갖는 1 날 드릴과 특허문헌 1 이 개시하고 있는 구조의 드릴 ( 비교 드릴) 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하에서 10000 히트까지 가공을 진행시키고, 그 때의 구멍 위치 정밀도의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 조건)
드릴 사이즈 (직경×길이): φ0.11㎜×1.8㎜
피삭재: 양면 12㎛ 두께의 동박이 부착된 기판
기판 두께: 0.1㎜
기판 중첩 매수: 4 장
구멍 위치 정밀도의 측정점: 4 번째 기판의 출구
구멍 위치 정밀도의 측정 결과를 도 9 에 나타낸다. 발명품에는, 1000 히트 시점에서 비교품보다 우수한 효과가 관찰된다. 또한, 2000 히트에서 4000 히트까지의 구멍 위치 정밀도의 저하 상황이 특히 작으며, 비교품의 경우에는 20㎛ 의 구멍 위치 정밀도의 확보가 2000 히트가 조금 지난 정도에서 곤란해지는 데 대하여, 발명품은 약 5500 히트까지 20㎛ 의 구멍 위치 정밀도가 확보되어 있다.
본 발명의 드릴은, 최선단이 점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길이를 구비한 제 1 능선 (끌에지) 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날끝 강도가 향상되고, 피삭재에 대하여 드릴을 물릴 때에 발생하기 쉬운 끌부의 결손, 찌부러짐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다음 항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플랭크와 드릴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반대 위치에 있는 플랭크 (역측 제 1 플랭크라고 한다) 의 종단 위치에 편차가 있어도 목적으로 하는 제 1 능선이 형성되기 때문에, 가공 편차에 기인한 성능의 편차가 잘 생기지 않고, 또, 그 때문에 플랭크의 위치 정밀도의 편차가 허용되어, 가공도 용이해진다.
또, 제 1 능선의 길이를 0.01D∼0.10D 의 범위 내로 억제한 것이나, 드릴의 축심으로부터 제 1 능선의 외단까지의 거리를 0.20D 이하로 한 것은, 제 1 능선의 길이가 최적이면서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그 제 1 능선에 의해 형성되는 끌에지의 강도 확보와 양호한 물림성 확보의 효과가 균형있게 발휘된다.
또한, 플랭크 사이에 생기는 능선 중, 드릴 외주까지 연장되는 능선의 외단을 주절삭날부의 외단보다도 드릴의 축방향 후단측으로 뺀 것은, 제 1 능선에 의해 형성되는 끌에지나 제 2 능선에 의해 형성되는 끌에지의 예리함이 확보되고 드릴의 물림성이 보다 안정적으로 된다.
이들 작용ㆍ효과에 의해, 높은 가공 구멍 위치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고, 또, 피삭재에 대한 드릴의 물림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드릴의 부러짐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개의 절삭날과 1 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을 갖는 1 날 드릴에 있어서, 선단의 릴리프부가 다단으로 연속해 있는 복수의 플랭크에 의해 구성되고, 드릴의 최선단에 2 개의 플랭크가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 1 능선이 존재하고, 그 제 1 능선이 드릴의 축심에 대하여 직각으로 드릴의 회전 중심부에 있고, 그 제 1 능선의 일단에, 2 개의 플랭크가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 2 능선이 연속해 있고, 또, 그 제 2 능선의 외단에 주절삭날부가 연속해 있고, 제 1 능선의 타단은 제 2 능선이 연속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날 드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능선의 타단이 드릴의 축심을 넘어서 제 2 능선이 연속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도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날 드릴.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능선의 길이가 드릴 직경을 D 로 하여 0.01D∼0.10D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날 드릴.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릴의 축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능선의 외단까지의 거리를 0.20D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날 드릴.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플랭크가 교차하여 형성되는 능선 중에 드릴 외주까지 연장되는 능선이 포함되고, 그 드릴 외주까지 연장되는 능선의 외단이 상기 주절삭날부의 외단보다도 드릴의 축방향 후단측으로 빠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날 드릴.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경을 φ0.3㎜ 이하로 한 1 날 드릴.
KR1020060000796A 2005-02-09 2006-01-04 1 날 드릴 KR20060090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32482A JP4116629B2 (ja) 2005-02-09 2005-02-09 1枚刃ドリル
JPJP-P-2005-00032482 2005-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573A true KR20060090573A (ko) 2006-08-14

Family

ID=3691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796A KR20060090573A (ko) 2005-02-09 2006-01-04 1 날 드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16629B2 (ko)
KR (1) KR20060090573A (ko)
CN (1) CN100563887C (ko)
TW (1) TW2006282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4562B2 (ja) * 2008-11-28 2010-10-20 ユニオンツール株式会社 穴明け工具
CN102240825B (zh) * 2010-05-10 2012-11-07 创国精密股份有限公司 单刃钻头的退屑槽成形方法
KR101247847B1 (ko) 2011-03-21 2013-03-26 카바이드 인터네셔널 코., 엘티디. 싱글 블레이드 드릴 비트 구조
CN102847990B (zh) * 2011-07-01 2014-10-29 华伟纳精密工具(昆山)有限公司 前端外径大锥度微盲孔钻
CN102274997B (zh) * 2011-07-12 2016-04-27 深圳市金洲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单刃钻及其加工方法
CN107252913A (zh) * 2017-05-16 2017-10-17 广州番禺职业技术学院 单刃偏心钻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7532A (zh) 2006-08-16
TW200628250A (en) 2006-08-16
CN100563887C (zh) 2009-12-02
JP4116629B2 (ja) 2008-07-09
JP2006218555A (ja)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455B1 (ko) 드릴 및 이 드릴을 사용하는 피삭재의 절삭방법
EP2398616B1 (en) Rotary cutting tool with chip breaker pattern
EP1666180B1 (en) Drill
JP4981811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る切削工具、並びに切削方法
US20110033251A1 (en) Rotary cutting tool with reverse chipbreaker pattern
KR20060090573A (ko) 1 날 드릴
JP2007307642A (ja) ドリル
KR20110104531A (ko) 라디우스 엔드 밀
KR101042084B1 (ko) 구멍 뚫기 공구
JP5102203B2 (ja) 切削プレートを備えたリーマ
JP4723599B2 (ja) 穴明け工具
JP2007083381A (ja)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
JP6015527B2 (ja) エンドミル
TW201020044A (en) Hole drilling tool
JP3955798B2 (ja) 回転切削工具
JP4564562B2 (ja) 穴明け工具
TWM467521U (zh) 鑽頭結構
JP5691424B2 (ja) ドリル
JP2002205212A (ja) ドリル
JP3539227B2 (ja) 穴明け工具
JP2006055915A (ja) プリント配線板加工用の小径ドリル
JP2005088088A (ja) ドリル
JP2003334710A (ja) ドリル
JP4527103B2 (ja) ドリル
JP2003334711A (ja) ド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