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9250A -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9250A
KR20060089250A KR1020067001020A KR20067001020A KR20060089250A KR 20060089250 A KR20060089250 A KR 20060089250A KR 1020067001020 A KR1020067001020 A KR 1020067001020A KR 20067001020 A KR20067001020 A KR 20067001020A KR 20060089250 A KR20060089250 A KR 20060089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cord
capstan
spoo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챠드 앤더슨
스티번 알. 하레르
도날드 이. 프레이저
3세 피셔 로버트 이.
Original Assignee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8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4Cord-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5Arrangements to aid the winding of cords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5Arrangements to aid the winding of cords rollers
    • E06B2009/3227Axially mov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코드 드라이브 기구는 건축물 개방부의 커버링 사용 시에 선형동작에서 원형동작으로 변환시킨다. 구동 코드에 당김 동작은 일 방향으로 구동 롤러를 회전하고 그리고, 외부 로드는 반대측 방향으로 구동 롤러를 회전한다. 다양한 제어를 사용하여 코드에 브레이크 힘이 제공된다. 실시예의 일부는 캡스턴과 통합된다.
구동 코드, 구동 롤러, 캡스턴, 스플, 코일 스프링, 하우징, 코드 권선기.

Description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드라이브{DRIV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본원은 베네치안 블라인드, 주름 차양막, 수직(vertical) 블라인드, 기타 확장성 재료 및, 기타 기구적 장치와 같은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를 개폐하거나 차양막을 치는데 사용되는 코드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 이송 시스템은 블라인드를 지지하고 그리고 블라인드를 상승 및 하강 또는 개방 및 폐쇄시키는데 사용된 메카니즘을 은폐하는 양쪽 일을 하는 헤드 레일을 구비한다. 상기 블라인드 시스템은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 기재된 건축 개방부를 커버하는 모듈러 이송 시스템인 미국특허 제6,536,503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인 탑/다운 제품에서는, 블라인드의 상승동작과 하강동작이 헤드레일에서 현수된 리프트 코드(들)에 의해 행해지고 그리고 하부 레일(또한 무빙 레일 또는 하부 슬랫로서도 언급)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의 개폐동작은 슬랫 적층의 전후를 따라서 이어진 래더 테이프(및/또는 차양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리프트 코드는 일반적으로 슬랫의 전후를 따르거나 또는 슬랫의 중간에 있는 홀을 통해 조작된다.3개 타입의 블라인드에서, 블라인드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슬랫의 중량이 하부 레일이 개시부에서 상승될 때에만 래더 테이프에 의 해 지지를 받음으로, 블라인드가 완전하게 하강(완전 연장)될 때 최소 이다. 블라인드가 부가로 상승됨으로서, 슬랫은 하부 레일에 적층되고, 래더 테이프에서 리프트 코드로 슬랫의 중량이 이동되어, 블라인드가 완전 상승(완전 수축)위치에 접근하도록 점진적으로 더 큰 상승력이 블라인드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하게 된다.
일부 윈도우 커버 제품은 이면에 설치되고, 윈도우 커버 번들의 하부에 있는 대신에 무빙 레일이 번들과 헤드 레일 사이에 윈도우 커버 번들 상부에 있음으로서, 번들은, 커버가 수축될 때에는 윈도우 하부에 통상적으로 축적되고 그리고 커버가 연장될 때에는 헤드 레일 옆에서 윈도우 커버의 상부에 있도록, 번들과 헤드 레일 사이에서 윈도우 커버 번들의 상부에 있다. 또한, 상에서 하로 및/또는 바닥에서 천정으로 모두 동작할 수 있는 복합 제품도 있다.
수평형 윈도우 커버 제품에서는, 조작자가 중력에 대한 외력으로 상호 패창 및 수축의 한 위치에서 나머지 위치로 동작하도록 작동한다.
전단 수평형 윈도우 차양막과 같은 일반적인 탑 다운 차양막에 블라인드와 대비하여, 전체 광차단 물질은 차양막이 상승되면 회전자 둘레를 감싼다. 따라서, 차양막의 중량은 차양막의 상승으로 회전자 레일로 이동되고 그리고 차양막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차양막(광차단 요소)이 완전 상승(완전 개방)위치에 접근함으로서 점진적으로 낮아진다. 물론, 하향식 및/또는 상향식으로, 양쪽으로 진행할 수 있는 복합 차양막과 상향식 차양막도 있다. 상향/하향 차양막인 경우에, 차양막의 중량은 차양막이 상향/하향 블라인드의 중량 조작 패턴과 흡사하게 하강됨으로서 회전자 레일로 전해진다.
상하방향보다는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방향 윈도우 커버인 경우에는, 조작자가 중력에 대한 조작을 하지 않음으로 제1코드는 일반적으로 수축위치로 커버가 당겨지게 하는데 사용되고 그리고 제2코드는 연장위치로 커버를 당기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윈도우 커버는 또한, 조작인이 대항하여 1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확장 재료를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스프링과 같이, 중력이외의 다른 외부력 또는 하중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매우 다양한 구동 메카니즘이 연장 및 수축 사이를 커버하는 동작용으로 그리고 슬랫을 차양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블라인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코드 드라이브는 수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전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그리고 코드는 많은 장애물이 둘레에 있으면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한다.
단일 코드가 구동 기능과 이동 기능 양쪽을 이행하며, 조작인에 의한 코드 당김동작으로 블라인드가 상하로 구동되고(구동 기능) 그리고 하부 레일에 부착되어 블라인드가 상승 및 하강(이동 기능)하도록 하부 레일에 부착되어, 동일 코드가 블라인드를 구동하고 그리고 하부 레일을 이동하는 양기능을 한다. 선택적으로, 코드(들) 및 이동 코드가, 구동 스플이 회전을 일으키도록 당겨지게 되는 구동 코드와, 다음 이동 코드를 에워싸서 하부 레일을 상승시키는 이동 스플을 구동하는 구동 스플의 회전으로, 전체적으로 서로 분리 독립적으로 있는 것이다.
공지된 코드 드라이브는 결함이 있다. 예를 들어, 코드 드라이브의 코드는 코드가 올려질 때(그리고 블라인드가 완전 하강위치에 있을 때) 도달이 곤란하고, 또는 코드는 블라인드가 완전 상승위치에 있을 때 플로어(floor)에 끌려진다. 또한, 코드 드라이브는 조작자가 가하게 되는 대량의 힘을 요망하는 곳이나 드라이브 코드를 록 또는 록해제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이행하도록 복잡한 방향 변경을 요망하는 곳에 사용하기 곤란하다. 또한, 구동 스플에 코드를 겹쳐 쌓아야 하는 문제도 있으며, 그리고 겹쳐 쌓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메카니즘은 코드가, 구동 스플이 기구적 잇점을 제공하도록 경사지게 되는 것을 막는 단일 구역에 구동 스플에 배치되게 한다.
본 발명은 많은 상기 문제를 해결함에 더하여 종래기술의 코드 드라이브의 잇점을 갖는 코드 드라이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윈도우 커버에 관한한 구동 코드의 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코드 드라이브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무동력, 저동력, 또는 과동력 블라인드 및 차양막의 코드 드라이브의 사용을 허용한다.
구동 코드 잠금부를 가진 무동력 윈도우 커버를 구비한 실시예에서는, 코드의 언록과 방출이 급하게 하강하기 보다는 구동 스플에 구동 코드가 감김으로서 점진적으로 커버가 하강하게 한다. 임의 실시예에서, 구동 코드는 자동적으로 방출되는 위치에서 커버가 유지되게 방출될 때에 자동적으로 록되며, 그리고 코드에 부착된 태슬 중량에서의 간단한 이동이 커버가 점진적으로 하강되게 하여, 조작자가 구동 코드 측부로를 움직이어 코드 록이 결합해제하 도록 할 필요가 없어졌다. 다음, 단일 구동 코드를 견인하는 동작은 아마도 기구적 잇점을 가지고 커버를 상승하여, 구동 코드 이동(행정)의 수직거리는 윈도우 커버가 이동한 수직 거리보다 작다. 경량 윈도우 커버(중량 블라인드와 대비)의 경우에, 탄성 보조물(spring assist)은 일반적으로 커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필요가 없으나, 탄성 보조물(또한, 스프링 모터로서 언급)이 중량 커버용으로 필요한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의 코드 드라이브의 매우 유익한 특징은 구동 코드가 장력이 조작자에 의해 해제될 때를 제외하고는 장력을 받는 상태로 있는 것이다. 장력이 구동 코드에서 해제되는 순간에. 구동 코드는 장력이 재확립될 때까지(또는 윈도우 커버가 완전 하강되고 그리고 구동 코드가 기본적으로 완전하게 구동 스플에 수축될 때까지) 구동 스플에 감겨진다. 따라서, 임의 사람이 구동 코드에 장력을 해제하는 장식술 추 또는 구동 코드를 집어야 한다면, 즉시, 구동 코드가 구동 스플 안으로 즉시 후퇴 수축한다.
코드 드라이브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코드는 전체적으로 막대 작동체(wand actuator)와 같은 작동체 메카니즘 내측에 숨겨진다.
본 발명의 임의 실싱예에서, 헤드 레일에 장착된 스프링 보조 틸트 메카니즘은 일 방향으로 슬랫을 편향지거나 또는 상하로 움지이게 하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하고, 반면에 단일 틸트 구동 코드의 견인동작이 반대방향으로 슬랫을 틸트하며, 2개 틸트 코드의 필요성을 없애었다.
또는 임의 실시예에서, 윈도우 커버를 완전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동 코드에 의해 이동된 거리는
탄성 보조물에 의한 이동 거리는 커버 자신에 의해 이동된 거리의 일부이다. 임의 실시예에서, 구동 코드가 횡단한 거리는 윈도우 커버가 횡단한 거리의 65% 미만이고, 반면에 윈도우 커버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점에서 필요한 힘은 상승 또는 하강되는 윈도우 커버 중량의 1.5배에 가깝게 된다. 또한, 대형 윈도우 커버 제품일 지라도, 상기 제품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임의 지점에서 필요한 힘이 15파운드 미만으로, 임의 사용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중량 성분(예를 들면, 블라인드에서 우드 슬랫)을 가진 대형 윈도우 커버 제품 또는 윈도우 커버 제품은 윈도우 커버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대형 힘을 전달하는 수단을 필요로 할 것이다. 임의 실시예에서, V-형상 리프트 봉이 상기 대형 힘을 전달하는데 D-형상 리프트 봉 대신에 사용된다. 또한, 임의 실시예에서는 리프트 봉의 일부분을 따라서 고강도 슬리브를 사용하게 만들어서 개별 구동성분의 크기를 증가하지 않고 리프트 봉의 전체 강도를 증가하였다. 또한, 임의 실시예에서, 기어박스를 사용하여, 적용된 힘의 기구적 잇점을 향상시키어서 사용자가 윈도우 커버를 작동하는걸 도와주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수평형 윈도우 블라인드, 주름식 차양막, 셀룰러 제품, 및 로마식 차양막과 같은 각종 윈도우 커버 제품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당분야의 기술인은 다양한 다른 타입의 기구적 장치에 예를 들면, 회전동작으로 사용자가 코드에 견인 선동작을 전환하는 코드 드라이브를 가지기를 희망하는 경우에 본원의 코드 드라이브 타입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기술의 전환이 물론 본원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롤러 록 기구와 장식술 추(tassel weight)를 가진 코드 드라이브가 합체된 셀룰러 차양막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코드 드라이브, 롤러 록 기구 및 장식술 추를 사용한 베네치아 블라인드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코드 드라이브, 롤러 록 기구 및 장식술 추를 사용하는 주름식 차양막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코드 드라이브, 롤러 록 기구 및 장식술 추를 사용하는 로마식 차양막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것과 유사하며, 다른 타입의 리프트 역(lift station)을 사용하는 셀룰러 차양막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레버 록 기구를 가진 코드 드라이브가 합체된 블라인드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롤러 록부와 록킹 독(locking dog) 기구를 가진 코드 드라이브가 합체된 셀룰러 차양막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차양막과 유사하며, 코드 드라이브용 막대 작동체를 사용하는 셀룰러 차양막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9는 도1의 것과 유사하며, 변환부를 가진 스프링 모터 보조장치가 합체된 셀룰러 제품 차양막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10은 도2와 유사한 롤러 록과 장식술 추를 가지면서 스프링 보조장치 틸트 기구가 있는 코드 드라이브가 합체된 블라인드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의 롤러 록 기구를 가진 코드 드라이브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의 롤러 록 기구를 가진 코드 드라이브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1의 롤러 록 기구를 가진 코드 드라이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롤러 록 기구의 메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3의 롤러 록 기구의 로터(rotor)의 사시도이다.
도16은 회전 위치에 롤러 록을 가진 도1(명료한 도시를 위해 제외된 구동 코드를 가짐)의 16-16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16A는 도16과 유사하며, 비회전 위치에 롤러 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7은 도16(명료한 도시를 위해 제외된 헤드 레일을 가짐)의 17-17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17A는 롤러 록 기구 둘레를 에워싼 구동 코드를 나타내며 구동 스플에 쌓여지도록 바로 개시하는 동작을 하는 도17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17B는 구동 스플을 따라서 부가로 에워싼 구동 코드를 나타내며 도17A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17C는 거의 전체가 구동 스풀에 에워싸여진 구동 코드를 나타낸 도17B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18은 도16의 18-18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18A는 도17의 콘 드라이브와 롤러 잠김부의 평면도이다.
도19는 도1의 롤러 록 장식술 추의 측면도이다.
도20은 도19의 20-20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20A는 도19의 장식술 추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0B는 도19의 장식술 추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1은 도20의 롤러 록 장식술 추의 추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22는 도20의 롤러 록 장식술 추의 커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23은 도7의 롤러 록 기구와 록킹 독(dog)을 가진 코드 드라이브의 전방 사시도이다.(명확한 도시를 목적으로 구동 코드 제외)
도24는 도23의 롤러 록 기구와 록킹 독을 가진 코드 드라이브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25는 도23의 롤러 록 기구와 록킹 독을 가진 코드 드라이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6은 도23의 26-26선을 따라 절취1된 단면도이다.(명확한 도시를 목적으로 해칭부 제거)
도27은 도26의 롤러 록 및 록킹 독 기구를 절취하고, "언록"위치에 록킹 독을 가진 상세하게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28은 "록"위치에 있는 록킹 독을 가진 도27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29는 도24 내지 도28의 록킹 독의 사시도이다.
도30은 도8의 코드 드라이브의 전방 사시도이다.(명확한 도시를 목적으로 구동 코드 제거)
도31은 도30의 코드 드라이브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32는 도30의 코드 드라이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3은 도32의 롤러 록 기구의 메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34는 도32의 막대 부착 플러그(wand attachment plug)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5는 도30의 롤러 록 기구와 막대 작동기를 가진 코드 드라이브의 좌측 단부도이다.
도35A는 도35의 35A-35A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36은 도8의 막대의 사시도이다.
도37은 도36의 막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8은 도37의 외부 막대 압출부(wand extrusion)의 사시도이다.
도39는 압출부의 프로필을 나타낸, 도38의 막대 압출부의 단부도이다.
도40은 도37의 내부 막대 압출부의 사시도이다.
도41은 압출부의 프로필을 나타낸, 도40의 내부 막대 압출부의 단부도이다.
도42는 도8의 막대의 절취된 전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3은 도42의 43-43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44는 도37의 막대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45는 도44의 45-45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명확한 도시를 목적으로 교차 해칭부 제거)
도46은 도42의 46-46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47은 도42의 47-47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48은 도6의 레버 록을 가진 콘 드라이브의 전방 사시도이다.(명확한 설명을 목적으로 구동 코드 제거)
도49는 도48의 레버 록을 가진 콘 드라이브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50은 도48의 레버 록을 가진 콘 드라이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1은 도50의 콘 드라이브 하우징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52는 도51의 콘 드라이브 하우징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53은 도50의 드라이브 콘의 사시도이다.
도54는 도50의 록 스프링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55는 도50의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56은 도50의 록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57은 도10의 틸터 기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58은 도57의 틸터 기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59는 도57의 틸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명확한 도시를 위해 코드 제거)
도60은 도57의 틸터 기구의 평면도이다.(명확한 도시를 위해 제거된 롤러 록 기구를 가짐)
도61은 도60의 61-61선을 따라 절취된 도면이다.
도62는 도60의 62-62선을 따라 절취된 도면이다.
도63은 도60의 63-63선을 따라 절취된 도면이다.
도64는 도60의 64-64선을 따라 절취된 도면이다.(그러나, 틸터 기구와 롤러 록 기구사이에 관계를 나타내도록 이면이 더해진 부분 절취된 롤러 록 기구를 가짐)
도65는 도59의 풀리의 사시도이다.
도66은 도59의 풀리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67은 도59의 기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68은 도67의 기어 하우징의 반대측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69는 도37의 것과 유사한 막대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0은 도69의 막대 압출부의 사시도이다.
도71은 압출부의 프로필을 나타내는, 도70의 막대 압출부의 단부도이다.
도72는 도69의 막대의 부분 절취된 전방도이다.
도73은 도72의 73-73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74는 도73의 일 부분을 절취하여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75는 도72의 75-75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76은 도75의 일부분을 절취하여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77은 장식술 추의 변경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78은 도77의 장식술 추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79A는 도78의 79A-79A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79B는 도77의 장식술 추의 상부도이다.
도79C는 도77의 장식술 추의 저부도이다.
도79D는 도77의 장식술 추의 전면도이다.
도79E는 도77의 장식술 추의 측면도이다.
도80은 장식술 추용 커버의 변경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81은 도80의 장식술 추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82A는 도81의 82A-82A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82B는 도80의 장식술 추 커버의 상부도이다.
도82C는 도80의 장식술 추 커버의 저부도이다.
도82D는 도80의 장식술 추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83은 도11의 코드 드라이브의 전방 사시도이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롤러 록 기구의 변경 실시예를 가진 것이다.
도84는 도83의 롤러 록 기구를 가진 코드 드라이브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85는 도83의 롤러 록 기구를 가진 코드 드라이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6은 도83의 롤러 록 기구의 메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87은 도85의 롤러 록 기구의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88은 도83의 롤러 록 기구를 가진 코드 드라이브의 좌측 단부도이다.(추가 헤드 레일 가짐)
도89는 회전위치에서 롤러 록을 가진 도88의 89-89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90은 도89의 90-90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91은 도89의 90-90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92는 구동 스풀로 구동 코드를 인도하도록 고정 안내부를 가진 구동 스플 을 절취하여 개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93은 구동 스플에 구동 코드를 인도하도록 기어 및 나사진 안내부를 가진 구동 스플을 절취하여 개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94는 구동 스플에 구동 코드를 인도하도록 나사진 안내부를 가진 구동 스플을 절취하여 개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9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롤러 록 기구용 로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9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롤러 록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97은 도96의 롤러 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98은 도97의 롤러 록 기구의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99는 도96의 롤러 록의 측면도이다.
도100은 도99의 100-100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101은 하강 언록 위치에 있는 로터를 가진, 도99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102는 도101의 102-102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103은 상부, 록 위치로 나타내고 또한, 가상선으로 하부, 언록 위치도 나타낸 로터를 가진 로터 록 하우징 내측에 도96의 로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04는 로터 록 하우징에 대한 상부, 록 위치에 도96의 로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05는 로터 록 하우징에 대한 하부 언록 위치에 로터를 나타내는, 도104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10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V-로드 리프트 봉과 고강도 슬리브가 합체된, 도1과 유사한 셀룰러 차양막을 부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07은 도106의 V-로드 리프트 봉과 고강도 슬리브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08은 도107의 V-로드 리프트 봉의 단부도이다.
도109는 도107의 고강도 슬리브의 단부도이다.
도110은 도107의 110-110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111은 리프트 봉의 어느 일 단부에서 변속기를 가진 기어박스와 스프링 모터 보조장치가 합체된, 도9의 것과 유사한 셀룰러 제품 차양막의 부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12는 도1119의 기어박스의 사시도이다.
도113은 도112의 기어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14는 하우징 후방에 스넵 커넥터를 밝게 하여 약간의 각도차로 보여지게 나타낸 도112의 기어박스의 사시도이다.
도115는 로케이션에서 상호 교환된 기어를 갖춘 도113과 유사한, 도112의 기어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1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롤러 록 기구를 갖춘 롤러 차양막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117은 도116의 롤러 차양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18은 도116의 롤러 차양막의 구동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119는 도118의 구동 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20은 도119의 구동 스플의 사시도이다.
도121은 도119의 롤러 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12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가동식 중간 레일을 가진 셀룰러 제품 차양막을 부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2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구동 스플과 롤러 록 기구를 갖춘 로마식 차양막의 사시도이다.
도124는 도123의 로마식 차양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25는 도123과 도124의 구동 및 롤러 록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126은 도125의 드라이브 및 롤러 록 기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127은 도125의 드라이브 및 롤러 록 기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128은 도126의 드라이브 및 롤러 록 기구를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129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드라이브를 가진 셔터형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130은 도129의 드라이브의 사시도이다.
도131은 원통형 콘을 사용하는, 도130의 것과 유사한, 콘 드라이브의 평면도이다.
도13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콘 드라이브와 롤러 록 기구를 가진 수직형 블라인드를 부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3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향/하향 차양막의 사시도이다.
도134는 도133의 차양막을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135는 도134의 드레그 브레이크의 사시도이다.
도136은 도135의 드레그 브레이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37은 도135와 도136의 드레그 브레이크를 조립할 때에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38은 도134의 변속기를 부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39는 명료한 도시를 위해 누락시킨 전달 코드를 가진, 도138의 변속기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40은 명료한 도시를 위해 누락시킨 전달 코드를 가진, 도138의 140-140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141은 도139의 변속기의 구동축의 사시도이다.
도142는 도139의 변속기의 구동축의 사시도이다.
도143은 고마찰 변속기에 대한 변속기의 상대적 크기와 갯수를 대비하는, 도140의 것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144는 좌측 구동 변속기의 전달 코드와 상호 연결된, 도139의 구동축과 피구동축의 사시도이다.
도145는 우측 구동 변속기의 전달 코드와 상호 연결된, 도139의 구동축과 피구동축의 사시도이다.
도146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콘 드라이브에 사용되는 비나사진 면을 가진 구동 콘의 사시도이다.
도147은 압출부의 프로필을 나타내는, 도46의 것과 유사한 막대 압출부의 변경 실시예의 단부도이다.
도148은 압출부의 프로필을 나타내는, 도71의 것과 유사한 막대 압출부의 다른 변경 실시예의 단부도이다.
도149는 압출부의 프로필을 나타내는, 도46의 것과 유사한 막대 압출부의 다른 변경 실시예의 단부도이다.
도150은 압출부의 프로필을 나타내는, 도71의 것과 유사한 막대 압출부의 다른 변경 실시예의 단부도이다.
도151은 도134에 도시된 변속기와 모터와 유사한, 변속기와 2개 스프링 모터의 평면도이다.
도152는 도151의 152-152선을 따라 절취된 도면이다.
도153은 도134의 좌측 변속기와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154는 이들이 어떻게 함께 맞물리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당겨진 변속기와 모터를 가진, 도153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15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어박스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156은 도155의 기어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57은 도155의 157-157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158은 도122의 리프트 역의 하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59는 도158의 리프트 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60은 도159의 리프트 역의 반대측 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61은 도158의 리프트 역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10은 건축물 개방부의 수평형 커버링(이후, 윈도우 커버링 또는 블라인드 또는 차양막으로 기재 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은 롤러 록 기구(104)와 장식술 추(106)(도11 내지 도22에서 상세히 설명됨)를 갖춘 콘 드라이브(102)를 활용하는 셀룰러 차양막(100)의 제1실시예의 부분 분해된 사시도로서, 차양막을 상승 또는 하강(팽창성 재료를 수축 및 연장)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차양막을 그대로 유지시키기를 원하는 곳에서 차양막을 유지한다.
도1의 차양막(100)은 헤드 레일(108), 하부 레일(110), 및 헤드 레일(108)과 하부 레일(110) 모두에 부착되고 헤드 레일(108)에서 현수된 셀룰러 차양 구성부(112)로 이루어진다. 리프트 코드(114)(여기서는 볼 수 없음)는 하부 레일(110)과 리프트 역(116)에 부착되어, 리프트 봉(118)의 회전 시에, 리프트 역(116)에 리프트 스플도 회전하고 그리고 리프트 코드(114)는 리프트 역(116)에 싸여지거나 풀어져서 하부 레일(110)을 상승 또는 하강하고 따라서 차양막(100)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상기 리프트 역(116)과 그 작동원리는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된 2003년 3월25일 발급된 발명의 명칭 "건축물 개방부를 커버하는 모듈러 트랜스포트 시스템"인 미국특허 6,536,503호에 기재되어 있다. 단부 캡(120)은 헤드 레일(108)의 단부를 닫고 그리고 건축물 개방부에 셀룰러 제품(100)을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차양막(100)의 우측 끝(또한 제어 단부로서도 참고됨)에는, 콘 드라이브(102)(상세하게 후술됨)는 헤드 레일(108)에 장착되며, 콘 드라이브(102)의 회전 시에 리프트 봉(118)도 회전하도록, 그 반대경우도 마찬가지로 동작하도록 리프트 봉(118)과 결합한다. 상기 차양막을 올리기 위해서는, 구동 코드(122)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진다. 차양막을 내리기 위해서는, 장식술 추(106)가 사용자에 의해 약간 들어 올려져 롤러 록 기구(104)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한다. 임의 위치에서, 사용자는 장식술 추(106)를 놓아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소망 위치에 차양막(100)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양호한 구동 코드(122)는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UHMW(ultra high molecular weight) 제직 또는 편직 멀티-필라멘트 코드 이다.
콘 드라이브, 롤러 록 기구, 및 장식술 추
도11 내지 도22는 롤러 록 기구(104)를 가진 콘 드라이브(102)를 나타낸다. (주: 본원에 도시된 콘 또는 스플(124)은 2개 다른 경사, 즉 다른 하나보다 더 경사가 급한 경사로 이루어진 경사를 가지며, 콘 또는 스플(124)은 제로 각도를 구비한, 소망 경사 또는 조합 경사로 이루어져, 콘이 원통형 프로필을 구비한, 다양한 프로필로 이루어진다. 본원에 사용된 "콘(cone)"용어는 상술된 다양한 프로필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13을 참고로 설명하면, 콘 드라이브(102)는 구동 콘 또는 구동 스플(124), 콘 드라이브 하우징(126), 및 조립-보조장치 고정 레버(128)로 이루어진다. 롤러 록 기구(104)는 롤러 록 하우징(130), 롤러 록(132), 및 하우징 커버(134)로 이루어진다.
도11, 도12, 및 도13을 참고로 설명하면, 하우징(126)은 구동 콘(124)을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여 구동 코드(122)(도1을 참고)가 구동 콘(124)에 안내되어, 콘 드라이브(102)가 헤드 레일(108)에 장착되게 하는 요람부 이다. 하우징(126)은, 구동 콘(124)의 외부면(146)의 프로필을 근접 추종하는 내부면(142)(도16을 참고)을 가진, 상부 벽(140)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대체로 평행한 단부 벽(136, 138)을 구비하여, 이들이 조립되면, 구동 콘(124)의 외부 면(146)과 상호 연결 상부 벽(140)의 내부 면(142)과의 사이에 구동 코드(122)의 직경의 2배 보다 작은 틈새가 있다. 이러한 특징 구조는 구동 코드(122)가 오버-랩핑 하는 것을 방지하게 도와 준다. 구동 콘(124)의 외부 면(146)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진 면이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완만한 비나사진 면임을 주목한다. 나사진 면을 참고로 하면, 하우징 벽의 내 표면과 나사진 면과의 사이에 2개 코드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틈새는, 쓰레드의 상부에서가 아닌, 구동 콘에 있는 쓰레드의 루트 직경에서 하우징 벽의 내 표면으로 측정된다.
하우징(126)은 또한 하우징(126)의 하부 전방 사분면을 따라서 위치한 하부 상호연결 벽(143)과, 오버-랩핑 또는 언더-랩핑(over-wrapping or under-wrapping)이 없는 증가 트랙킹을 보장하도록 구동 콘(124)의 나사진 면(146)에 구동 코드(122)를 안내하게 설계된 안내 면 또는 제어 면이 있는 외부방향 돌출 복합 원호면(144)을 구비한다. 구동 콘(124)상에 양호한 랩핑은 각각의 새로운 코드 랩(wrap)이 이전 코드 랩에 바로 인접하여 싸여지는 장소에 있다. 나사식 구동 콘(124)인 경우에, 이러한 양호한 랩핑은 코드가 상기 코드상에 쓰레드의 나선을 따른다는 것 을 의미한다. 오버-랩핑은 코드가 업스트림 이면, 이전 랩 을 오버하여, 임의 장소에서 구동 콘(124)에 싸여진 1개 코드 레이어 보다 많게 된다. 언더-랩핑은 신규 코드 랩이 이전 랩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거리로 하류로 이격지면, 코드 랩 사이에는, 코드를 갖지 않은, 구동 콘(124)을 따라서 있는 대략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다. 언더-랩핑은 또한 구동 콘상에 쓰레드의 유무를 쓰레드 스키핑(thread skipping)으로도 언급된다.
안내 면상에 전체 디자인 초점은 상기 코드가 극소량의 저항 통로를 따르게 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에 있으며, 상기 통로는 전환도, 전환 외부 반경, 표면 텍스쳐, 및 통로 길이를 조합하여 판단된다. 각 쓰레드 통로의 운동에 대한 저항은 어느 일측상에 쓰레드 통로의 저항에 거의 가까워야 한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거의 중립상태에 있으며, 이러한 구동 콘(124)에서와 같이 구동 콘상에 쓰레드가 있으면, 상기 쓰레드는 안내 면을 따라서 코드를 구동한다.
만일, 구동 콘에 쓰레드가 없으면, 쓰레드 통로 저항은 구동 콘상에 코드를 축적하는 방향(하류 방향)으로 각각의 회전으로 약간씩 증가할 것이다.
안내 면(144)은 구동 코드(122)의 병진운동에 대해 대체로 중립적 영향을 받아서, 코드(122)가 쓰레드 구동 콘(124)에 감기거나 풀어져서 안내 면(144) 위를 통과하고, 구동 콘(124)의 쓰레드를 따라서 구동 콘(124)의 회전축(148)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구동 콘(124)에 접근하거나 이탈한다. 코드(122)는 양호하게 구동 콘의 축에 대해 80도와 100도 사이에 각을 의미하는, 구동 콘의 회전축에 대한 직각인 각의 10도 각도 내에 각으로 구동 콘(124)에 접근한다. 안내 면(144)은 코드가 구동 콘의 회전축에 대해 대체로 직각인 각으로 구동 콘에 접근 및 이탈하는 코드의 동작이 편리하고 그리고 구동 콘의 길이를 따라 구동 코드의 병진운동이 편리하게 형성되어, 코드 각각의 후속하는 랩이 이전 랩에 인접하게 하고, 오버랩핑 또는 언더랩핑을 방지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제어 면의 형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코드가 롤러 록(104)을 이탈하는 고정 안내점(또는 코드 방사점)의 위치와 구동 콘(124)의 형태에 따라 형성된다. 본원에 도시된 구동 콘(124)용으로는, 제어 면(144)의 반경이 도17에 도시된 것에는 정면으로 그리고 도18A에 도시된 것에는 상부면으로, 양쪽으로 그 길이를 따라서 변한다.
도13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으로 보았을 때에, 제어 면(144)은 그 단부에서 얇고 그리고 점진적으로 보다 두터운 중간지점으로 가면서 넓혀진다. 유사하게, 상부로 보았을 때에, 도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면(144)은 그 단부에서 구동 콘(124)에 접근하고 그리고, 코드가 롤러 록(104)을 이탈하는 방사점과 축선적으로 정렬된 지점에서 반경방향으로 구동 콘(124)에서 가장 원격지게 돌출된다. 안내 면(144)의 반경은 그 길이를 따라서 변경된다. 도16은 안내 면(144)의 전방에 반경부(15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반경부(150)는 마찰 손실(고마찰 손실은 매우 엄격한 반경으로 발생 됨)이 감소할 정도로 넉넉한 것이며, 그리고 이러한 반경부(150)는 도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 면(144)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된다.
본원의 아이디어는, 코드(122)가 "보이는(see)" 유효한 반경, 라인 세그먼트 길이, 및 총 이동 수로, 구동 스플에 감겨짐으로서 이동하는 전 과정이 대략 동일하게 설계되어, 안내 면(144)이 코드(122)에 중립 효과를 가지고, 임의 방향으로 코드를 견인하지 않으면서, 이전 랩에 인접하여 놓인 각각의 후속 랩이 스플(124)에 감겨지게 한 것이다. 예를 들면, 코드(122)가 콘(124)의 단부에 접근함으로서, 안내 면(144)의 반경이 상기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되지 않는다면 코드(122)에 의해 "보여진(seen)" 유효 반경은 안내 면(144)의 반경이 그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되지 않았다면 증가하는 도17A 및 도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 각도로 안내 면(144) 통과한다.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 면(144)의 반경이 감소함으로서, 실제 반경이 상관적으로 일정하게 남아있으며, 안내 면(144)이 코드(122)상에서 대략 중립 작용을 갖게 한다.
안내 면(144)(도17A, 17B, 17C)은 정적이고, 하우징 또는 프레임(126)과 상관하여 운동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안내 면은, 구동 콘(124)의 쓰레드 면(146)에 특정 유입지점(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롤러 록 하우징(130)의 상부 슬롯 개구(206)로 지령된 고정 방사점)에서 구동 코드(122)를 안내하는, 복합 방향으로 반경들을 변경하는 복합 원호형태를 가진다. 안내 면(144)은 중립 안내부를 제공하며, 중립 안내부는 올바른 길이방향 위치 앞에 코드(122)를 가압하지 않고 그 올바른 길이방향 위치 뒤에서 끌어 당기지 않으면서, 단지 구동 콘(122)상에 쓰레드를 코드(124)가 따르도록 하고, 구동 콘(124)의 길이를 따라서 있는 모든 위치에 구동 콘(124)의 회전축(148)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구동 콘(124)에 접근 이탈하게 한다. 안내 면(144)이 중립 안내를 제공함으로서, 코드(122)의 병진운동 시에 쓰레드의 미약한 영향은 어떠한 오버-랩도 없이 구동 콘(124)의 표면(146)을 횡단하여 코드(122)가 포지티브하게 지나가게 한다.
도18A를 간략하게 참고 설명하면, 상호 연결 벽(143)의 내측 면(152)은, 이러한 제2상호연결 벽(143)의 내부 면(152)과 구동 콘(124)의 외부 면(146)과의 사이에 구동 콘(122)의 직경(실질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쓰레드의 루트 직경)의 2배 보다 작은 틈새이도록 구동 콘(124)의 외부 면(146)의 프로필을 가깝게 따라서 형성된다. 이러한 특징은 구동 콘(124)에 감기거나 풀어질 때에 구동 코드(122)가 오버 랩핑 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조력한다.
단부 벽(136, 138)은 구동 콘(124)의 엑슬(158, 160)을 저널 지지하는 동작을 하는 관통 개구(154, 156)를 구비한다. 도12를 간략히 설명하면, 단부 벽(136, 138)의 소량의 "순응성(give)"과 단부 벽(136, 138)의 내측면에 램프(162)는 구동 콘(124)이 하우징(126) 내측 장소로 활주 이동 하게 하고, 엑슬(158, 160)이 그들의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스넵 결합하는 지점에 상기 개구(154, 156)가 도달할 때까지 단부 벽(136, 138)은 점진적으로 이격 분리되고, 상기 개구(154, 156)에 고정 안착되는 엑슬(158, 160)에 제위치의 구동 콘(124)을 고정한다.
또한, 하우징(126)은 헤드 레일(108)에 하우징(126)을 고정 설치하는 돌출 푸트(164, 166)와 돌출 이어(168, 170)를 구비한다. 단부 벽(136)의 상부에 있는 소형 관통 개구(172)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적재를 편리하게 하고 그리고 윈도우 커버링 제품에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콘 드라이브 조립체(102)를 고정하는데 조립-보조 록 레버(128)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도13을 참고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구동 콘(124)은 축(148)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콘(124)을 지지하는, 구동 콘(124)의 단부에 엑슬(158, 160)을 가진, 절두원추부(176)에 이음매 없이 변환하는 원통형 부분(174)을 구비한다. 구동 콘(124)의 외부 면의 형태는, 구동 콘에서 지지를 받는 로드 타입에 따라 설계되며 그리고 상기 로드는 코드가 구동 콘에 감기고 이탈하여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따라서 설계된다. 또한, 상기 커버링의 이동보다 짧은 코드 행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구동 콘은 전체 평균 토오크 아암이 스플 상에 차양부 적용 토오크 아암보다 작은 아암을 통과하는 코드 행정이 더 짧게 할 수 있는 설계로 이루어진다. 로드가 경량이면, 구동 콘(124)의 원통형 부분(174)이 사용되어, 짧은 코드 행정을 얻기 위한 기구적 손실(mechanical disadvantage)을 입어서, 구동 코드가 커버링이 행하는 것보다 더 짧은 거리를 이동한다. 상기 로그가 증가하면, 구동 콘(124)의 경사진 원추부(176)가 사용되어, 기구적 손실이 거의 없는 반면에 코드 행정 길이가 희생을 치룬다.
구동 콘(124)은 엑슬(158, 160)이 있는 중간 부분이 관통된 중공체 이다. 엑슬(158, 160)은 리프트 봉(118)의 비원형 프로필(도1을 참고)과 밀접하게 대응하는 실내 면에 비원형 프로필(178)을 한정하여, 이들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서로 포지티브하게 결합되게 한다. 구동 콘(124)의 일 단부는 반경방향-연장 슬롯 노치(180)를 구비한다. 구동 콘(124)이 회전되어 슬롯 노치(180)가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하면, 노치(180)가 하우징(126)에 있는 개구(172)와 정렬을 이루어서, 조립-보조장치 고정 레버(128)의 일 레그가 개구(172)를 통하고 노치(180)를 통해 삽입되 면, 구동 콘(124)이 하우징(126)과 상관된 회전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구동 콘(124)의 단부에 있는 소 리세스 홀(182)은 구동 코드(122)가 풀어지게하고 구동 콘(124)에 고정되게 한다. 구동 코드(122)는 홀(182)을 통해 공급되고 그리고 매듭(도시 않음)이 구동 코드(122)의 단부에서 묶여진다. 구동 코드(122)가 긴장되게 당겨지면, 상기 매듭이 리세스 홀(182)에 당겨지지만, 상기 매듭은 너무나 커서 홀(182)을 통해 지나갈 수가 없고, 따라서 구동 코드(122)의 단부를 구동 콘(124)에 고정한다. 변속기에 도시한 메카니즘과 같이 구동 코드를 구동 콘에 고정하는 다양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콘(124)의 외부 면(146)은 코드가 구동 콘(124)에 감겨지고 풀어질 때에 구동 코드(122)의 원만한 흐름을 위해 나사진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콘(124)을 지나는 비원형 단면 축선방향 개구(178)는 리프트 역(116)과 결합하는 비원형 단면 리프트 봉(118)을 수용한다. 리프트 역(116)은 자체 스플을 가지며, 리프트 코드가 윈도우 커버링을 위해 상승 및 하강하도록 그 위에 감겨진다.
블라인드가 완전하게 펼쳐지면, 구동 코드(122)는 구동 콘(124)에 완전하게 감겨진다.(또는 어떠한 경우에는 개략적으로 감겨진다.) 블라인드에서(그리고 주름진 차양막과 셀룰러 제품(100)과 같은 임의적 차양막에서) 상승되는 웨이트(weight)는 윈도우 커버링이 바닥에 있을 때에(완전 연장되었을 때에) 최소로 있고 그리고 상승으로 증가됨으로, 구동 콘(124)의 소구경 부분(174)은 블라인드가 완전 연장에 이르는 구역에 사용된다. 윈도우 커버링의 들어 올림을 지속하는데 필요한 힘이 소망 최대치(일반적으로 12 내지 15파운드 범위)를 초과하면, 구동 콘(124)의 증가 직경 절두원추형 섹션(176)을 작동하여 원통형 부분을 능가하는 기구적 잇점을 제공하고, 윈도우 커버링의 상승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그러나, 구동 코드(122)의 더 많은 이동 또는 행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구동 코드(122)가 대구경 단부에서 개시하여 소구경 단부에서 마감하는 구동 콘(124)에 감겨져서, 사용자가 블라인드를 올리기 위하여 구동 콘(124)으로부터 구동 코드(122)를 풀기 위해서 구동 코드(122)를 당기기 시작하여, 먼저 구동 콘(124)의 소직경, 원통형 부분(174)에서 구동 코드(122)가 풀어지고, 다음, 사용자는 구동 코드(122)의 당김동작을 지속하여 블라인드를 더 많이 들어 올리며, 그리고 들어 올려지는 블라인드의 웨이트의 증가로,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의 원추형 섹션(176)으로부터 풀어지기 시작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리프트 역(116)과 구동 콘(124) 직경부의 리프트 스플은,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 코드(122)에 의해 이동된 수직거리(구동 코드(122)의 행정)가 윈도우 커버링 자신에 의해 이동된 수직거리보다 작게 되는 크기이다. 일반적으로, 구동 코드(122)에 의해 이동된 수직거리는 윈도우 커버링에 의해 이동된 수직거리의 65% 또는 그 이하 정도의 거리이다. 이러한 구조는 윈도우 커버링이 완전하게 상승되었을 때에 코드가 바닥에 끌리는 문제를 회피한다
또한, 구동 콘(124)은 웨이트가 차양막의 하부에서 최대로 되고 회전자 레일에 차양막을 감아서 작게할 수 있는 차양막(예를 들면, 롤러 차양막)에도 사용된 다. 그런데, 이러한 예에서는 구동 콘의 프로필이 반전될 수 있어서, 차양막이 완전하게 연장되고 사용자가 구동 코드(122)를 당기기 시작하여 차양막이 들어 올려지기 시작하였을 때에, 사용자는 처음 콘의 최대 직경부 주위를 풀기 시작하여, 차양막이 로테이터 레일에 감겨져 소직경 부분 쪽으로 작업을 한다. 다르게는, 단순한 스플이 사용되고, 상기 스플이 다른 스플의 상부에 일 코드 층을 적층하여, 동일한 타입의 기구적 잇점을 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 수의 콘 구조가 가능하며, 소망 기구적 잇점에 따라, 완전 원통형 "콘"과 마찬가지로 완전 절두원추형 "콘"도 구비할 수 있다.
도13을 참고로 설명하면, 롤러 록 기구(104)는 권양기와 유사한 작동원리를 사용하며, 상기 권양기는 항해 시에 앵커 또는 다른 웨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 선박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선박 적용에서, 앵커에 부착된 로드(케이블 또는 선)가 캡스턴(수동 또는 장치에 의해 회전된 스플-형태 실린더) 둘레를 1회 또는 그 이상(일반적으로 수 회) 감겨진다. 로드(rode)의 일 단부는 앵커에 고정되고 그리고 로드의 타 단부는 보트에 매어진다. 앵커가 상승될 필요가 있으면, 장력이 보트에 고정된 로드의 단부에 가해진다. 이러한 구성은 캡스턴 주위를 로드가 단단하게 죄어서 로드는 미끄러지지 않을 것이다. 다음, 캡스턴이 수동적 또는 기계로 회전되고, 캡스턴에 감겨지도록 로드에 힘을 가하고, 그리고 앵커가 상방향으로 당겨진다. 캡스턴의 회전축은 이동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변형 없이 바람직하게 지켜지는 앵커를 용이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항하여 캡스턴을 고정하는 파울 또는 래칫 장치를 구비한다. 충분한 장력이 보트에 부착된 로드의 단부에서 지켜지는 동안에는, 로드가 캡스턴 둘레에서 미끄러짐은 없을 것이며, 그리고 앵커(또는 감아 올려지는 다른 웨이트)는 그 위치에서 "록상태"로 남아 있을 것이다. 만일, 로드상에 장력이 완화되면(캡스턴의 서징(surging)으로 참고됨), 로드가 캡스턴 주위에서 미끄러지고 그리고 앵커 또는 웨이트가 낙하된다. 장력이 로드상에서 유지되고, 캡스턴이 록해제되고(예를 들어 래칫 또는 폴의 수축에 의함), 그리고 로드상에 하방향 앵커 당김동작 웨이트가 그 역방향 당김 장력에 비해 크다면, 상기 캡스턴은 회전하여 로드를 감김해제하고, 앵커는 떨어질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권양기로서 작용하며, 하우징(132)과 하우징 커버(134)와 상관하여 있는 롤러 록(132)은, 제위치에 윈도우 커버링을 고정하고 윈도우 커버링을 하강할 때에(캡스턴(184) 서지작용) 캡스턴과 록 기구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윈도우 커버링이 상승할 때에, 롤러 록(132)이 아이들링 장치가 되는 대신에 권양기로서 코드(122)를 구동하지 않는다.
도1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롤러 록(132)은 소직경 엑슬 단부(190, 192)에서 마감된 2개 정사각형 프로필 부분(186, 188) 사이에 스플 또는 캡스턴(184)을 가진 신장 부재이다. 소직경 엑슬(190,192)은 스러스트 마찰(thrust friction)에 더하여 회전 마찰도 최소로 하는 역활을 한다. 엑슬 단부(190, 192)는 회전축(198)을 중심으로 롤러 록(132)이 회전하도록 정렬 배치된다. 스플(184)은 구동 코드(122)가 닳아지는 것이 회피되게 넉넉한 반경을 가진 8각형 모양 프로필(194)을 갖춘다. 8각형 모양 프로필로 형성된 엄격한 각도는 구동 코드(122)의 적절한 밴드를 초과하고, 이러한 구조는 원형 프로필을 가진 스플에 주어진 것보다 많은 파워를 더 유지하는 스플(184)을 제공한다.
스플 또는 캡스턴(184)은 완전한 원형 프로필, 6각형 프로필, 또는 기타 다른 프로필을 가져야 함에 주의한다. 다각형 프로필의 측면의 수가 증가함으로서, 프로필이 코드(122)상에 캡스턴(184)의 제동력의 필연적 감소로, 원형 프로필의 것에 접근한다. 이러한 효과와는 반대로, 캡스턴(184)의 표면을 텍스쳐로 할 수 있지만(예를 들어 표면을 널링 또는 모래분사하여), 이러한 사실은 현저하게 코드 마모가 증가하는 성질을 갖는다. 다르게는, 상기 프로필에 있는 표면의 수가 감소되어 코드(122)가 그 위에 감겨져야만 하는 각도가 증가한다. 8각형 프로필의 캡스턴(184)용으로, 코드는 8개 45도 각도로 주위를 감싸며, 원만한 원형-프로필 캡스턴 위에 랩핑 보다 더 많은 제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 프로필 캡스턴(4개 90도 각도로 초래됨)까지, 또는 3개 120도 각도를 가진 삼각형 프로필 캡스턴까지 표면의 수의 감소는, 보다 많은 제동력을 초래하면서도 더 높은 구동 코드(122)의 닳음과 마모 가능성도 초래한다.
다수 재료가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서 다이 캐스트 알루미늄 또는 아연, 황동, 및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하는 롤러 록(132)의 제조용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구동 코드(122)와 캡스턴(184) 간에 마찰계수가 반복성(일치성)인 것은 중요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선택된 재료는 Ultem이며, 양호한(필수적으로 낮지는 않음) 마찰 계수, 반복성, 그리고 많은 금속에 대한 저렴한 비용에 적합한 고강도 폴리에테르이미드 플라스틱(Ultem은 GE폴리머의 등록상표)이다. 롤러 록(132)(코드(122)의 미끄럼성에 대한 캡스턴(184)의 제동 물체에 대항하는 작용)용으로 저계수의 마찰 물질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하우징(130)의 재료는 저 마찰계수를 가지도록 선택되어, 롤러 록(132)과 하우징(130) 간에 최소의 마찰손실을 제공하도록 저 마찰계수를 가지도록 선택된다. Ultem에 대한 다른 잇점은 구동 코드를 변색시키지 않는 다는 것이다.
구동 코드(122)는 구동 콘(124)에서 캡스턴(184)까지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캡스턴(184)의 중간 "8각형" 부분 주위에 있는 캡스턴 또는 스플(184)(일반적으로 4회까지, 보편적으로는 오직 2회 또는 3회) 주위를 감게 되고 다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술 추(106)에서 마감되는, 캡스턴(184)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구동 코드(122)의 장식술 추(106)를 당겨 윈도우 커버링 제품(100)을 상승시킴으로서, 구동 코드(122)는 캡스턴(184)의 회전을 일으키는 캡스턴(184)의 길이를 따라서 "이동(walk)"하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성질을 최소로 하고 다루기 위해서, 캡스턴(184)의 경사면 또는 사면(196)은 양호하게 경사면(196)으로부터 이격지고 팔각형 부분(194)으로 진행하는 랩이 하방향으로 활주하기에 충분히 경사져 있지만, 오버-랩 상태를 일으키도록 경사지게 하진 않았다. 일반적으로, 사면(196)은 롤러 록(132)의 회전축(198)을 가진 15도와 60도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며, 양호하게는 30도와 45도 사이에 각도이다.
도13 및 도14를 참고로 설명하면, 롤러 잠금 하우징(130)은 헤드 레일(108)에 롤러 록 기구(104)를 장착하고, 롤러 록(132)을 운영하는데 유익한 구동 코드의 자유 단부용으로 하강 구동 코드 유입구역을 제공하며, 롤러 록(132)과 콘 드라이 브(126) 양쪽을 운영하는데 유익한 상승 구동 코드 유입구역을 제공하며, 그리고 회전축(198)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회전축(198)에 대한 롤러 록(132)의 회전에 맞는 지지부를 제공하는 복합 기능을 한다. 또한, 하우징(130)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롤러 록(132)의 회전축(148)이 그 상부 위치로 이동되어지면 회전에 대항하여 롤러 록(132)를 고정한다. 끝으로, 하우징(130)은 캡스턴(184)의 사면(196)을 하방향으로 활주시키는 코드 랩에 의해 롤러 록(132)에 발생되어 전달된 스러스트 로드를 취한다.
도14를 참고로 설명하면, 롤러 록 하우징(130)은 그 하부 벽(202)에 하강 슬롯 개구(200)를 구비하며, 개구를 통해서 구동 코드(122)가 롤러 록(132)으로부터 장식술 추(106)로 안으로 지나간다. 이러한 하부 슬롯 개구(200)는 구동 코드(122)의 문질러 닳아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벽(202) 위와 아래 양쪽으로 충분한 반경부(204)를 구비한다. 또한, 슬롯 개구(200)는 조작자가 윈도우 커버링 제품(100)으로부터 이격지는 각도로 또는 직선 하방향으로 구동 코드(122)를 당길 수 있게 한다.
도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롯 개구(200)는 캡스턴(184)의 좌측 사면(196)에 인접하여 구동 코드(122)가 위치하게 하여, 구동 코드(122)가 코드(122)의 자유단부로부터 캡스턴(184)에 감겨져서, 랩이 좌측 사면(196)에 양호하게 형성되고 다음, 캡스턴(184)의 팔각형 부분(194)으로 죄측으로 하방향으로 활주한다.
도14를 다시 참고로 설명하면, 롤러 록 하우징(130)도 그 상부 벽(208)상에 상부 슬롯 개구(206)를 구비하며, 그 개구를 통해서 구동 코드(22)가 캡스턴(184) 과 구동 콘(124)사이를 지나간다. 상부 슬롯 개구(206)는 헤드 레일(108)에 개구(도16에 도시)를 통해 지나가도록 설계된 장착 플랫폼(214)으로 펼쳐지며, 그리고 플랫폼(214)에서 돌출된 이어(212)와 수직 벽(210)의 도움으로 제 위치에서 스넵동작하여 헤드 레일과 결합한다. 이러한 상부 슬롯 개구(206)는 도17A, 도17B, 및 도17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캡스턴(184)으로부터의 구동 코드(122)의 출구 구역을 위치시키고, 그리고 동시에 콘 드라이브(102)의 안내면(144)에 구동 코드(122)의 공급 지점(고정된 발산지점)을 위치시키는 역활을 한다.
이러한 상부 슬롯 개구(206)가 도17A, 도17B, 도17C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개구는 안내면(144)의 지점(216)(도17B에 도시)과 축선방향으로 정렬 배치되게 위치된다. 지점(216)은 안내면(144)이 구동 스플의 축으로부터 최원거리로 반경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곳이다. 이러한 사실은 또한 캡스턴(184)의 팔각형 면(194)이 캡스턴(184)의 우측 사면(196)과 교차하는 지점과 매우 가깝게 정렬 배치되어, 구동 코드(122)는 구동 콘(124)에서 풀려질 때와 캡스턴(184)에 감겨질 때에, 랩은 우측 사면(196)에 형성되고 다음, 캡스턴(184)의 팔각형 부분(194)에 좌측 방향으로 하방향으로 활주하며, 사면(196) 아래로 활주로 좌측으로 이전 랩을 미는 각각의 새로운 랩을 가지어서, 오버-랩을 방지한다. 그래서, 장식술 추(106)가 위치한 장소에서, 코드가 그 자유 단부로부터 캡스턴(184)에 감겨져, 캡스턴(184)의 좌측 단부에 감겨지고 그리고, 코드(122)가 구동 콘(124)으로부터 캡스턴(184)에 감겨져, 캡스턴(184)의 우측 단부에 감겨진다.
롤러 록 하우징(130)은 각 단부에서 수직적 신장된 슬롯 포켓(220)을 가지고 롤러 록(132)(도17을 참고)을 수용하는 사각형 공동(218)을 형성하고, 포켓은 롤러 록(132)의 엑슬 단부(190, 192)를 수용한다. 양쪽의 슬롯 포켓(220)은 롤러 록(132)의 단부(190, 192)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롤러 록(132)이 제1하강위치에서 슬롯 포켓(220)을 따라서 상 또는 하방향으로 수직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롤러 록(132)은 제1위치와 평행하게 제2상승위치에 대한 회전이 자유롭지만, 롤러 록(132)은 록이 회전하는 동작을 한정하는 정지부와 맞닿는다. 롤러 록이 슬롯 포켓(220)을 따라서 수직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도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상방향으로 롤러 록(132)의 축(198)을 이동하면, 다음, 롤러 록(132)의 사각형 프로필 부분(186, 188)이 공동(218)의 상부 내측 벽에 반하여 충돌하고, 롤러 록(132)이 하우징(13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로서 역활을 한다. 일 지점에서 자유롭게 롤러 록(132)의 회전을 허용하고 다음 지점에서 록이 회전하는 것을 막는 목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13에서, 커버(134)는 롤러 록(132)이 공동(218) 밖으로 떨어지지 않게 보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커버(134)상에 훅크(222)는 하우징(130)의 사면(224)의 내부 단부와 결합하여(도1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음) 하우징(130)에 커버(134)를 스넵 결합한다. 커버(134)상에 돌출부(226)는 하우징(130)과 함께 동작하여(도18에도 도시) 슬롯 개구(220)를 완성하고, 엑슬(190, 192)은 그를 따라서 하부 자유-회전 위치에서 상부 한정(또는 고정)위치로 수직적으로 활주한다.
도19 내지 도22는 도1의 장식술 추(106)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20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식술 추(106)는 웨이트(230)와 커버(232)를 구비하 고, 커버는 웨이트(230)를 에워싸고 있다. 웨이트(230)는 타원형 모양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제로 본 실시예에서는 2 내지 4온스 사이에 중량체이다. 상단부(234)는 일부 물질을 제거하여 공동(236)을 생성한다. 상단부(234)에 근접하여 있는 웨이트(230)의 측부에 카운터성크 개구(238)는 공동(236)에 연결된다. 구동 코드(122)의 단부(여기서는 볼 수 없음)는 공동(234)을 통해 카운터성크 개구(238)안으로 진행하여 나사 결합한다. 매듭과 같은 팽출부는 구동 코드의 단부에 묶여져, 카운터성크 개구(238)와 공동(236) 사이에 소통로를 통해 당겨질 수 없게 카운터성크 개구(238)에 포획된다.
도22를 참고로 설명하면, 커버(232)는 중공이면서 웨이트(230)와 동일한 일반적 형태로 이루어진다. 커버(232)는 연성고무와 같은 연성의 저 듀로미터 물질로 제조되고, 그리고 반대측 단부에 소 관통 개구(242)와 일 개방 단부(240)를 구비한다. 커버(232)는 양말이 발에 신겨지는 것과 같이 웨이트(230)에 설치된다. 연성 커버(232)는 창유리와 유리 테이블 표면과 같이 허약한 표면을 중금속 웨이트(230)로부터의 우연한 사고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를 받게 도움을 준다. 구동 코드(122)의 단부는 상부 개구(242)를 통해 나사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트(230)가 묶여진다.
도77 내지 도82는 웨이트(230')와 커버(23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웨이트(230')(도77 내지 도79에 도시)가 웨이트(23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 보어(236')와 그 하단부에서 카운터성크 보어(238')를 구비하여 웨이트(230')에 묶여짐으로서 구동 코드(122)의 매듭 또는 다른 팽출부를 수용한다.
도80 내지 도82를 참고로 설명하면, 커버(232')는 중공이면서 웨이트(230')와 동일한 일반적 형태로 이루어지고, 연성고무와 같은 연성의 저 듀로미터 물질오 제조되고, 그리고 반대측 단부에서 소관통 개구(242')와 일 개방단부(240')를 구비한다. 커버(232')는 커버(232)가 상술된 웨이트(230)에 설치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웨이트(230')에 설치된다.
조립: 기술된 개별 성분을 가지고, 장식술 추(106)와 롤러 록 기구(104)를 가진 콘 드라이브(102)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도1과 도11 내지 도22를 참고로 함)
구동 코드(122)의 일 단부가 도13에 도시된 카운터성크 개구(182)에 있는 구동 콘(124)에 묶여지고, 그리고 코드(122)는 구동 콘(124)에 감겨진다. 구동 콘(124)은 상부 벽(140)과 제2상호연결 벽(143)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하우징(126)을 이탈하는 구동 코드(122) 상태로, 하우징(126)에 스넵 결합된다. 구동 콘(124)은 슬롯 노치(180)가 하우징(126)에 있는 개구(172)와 정렬 위치를 이루도록 배향되고, 그리고 조립-보조장치 레버(128)가 다음에 하우징(126)에 대한 회전에 대항하여 콘(124)을 고정하도록 삽입된다. 다음, 하우징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09)를 통해 푸트(164, 166)와 결합하여 개구(209)에 있는 헤드 레일(108)에 장착되어, 헤드 레일(108)의 프로필 안으로 이어(168, 170)를 스넵 결합 한다.
다음, 구동 코드(122)는 캡스턴(184) 둘레를 수 회(일반적으로 2회 내지 4회 사이)감겨지고, 롤러 록(132)이 그 하우징(130)에 조립되고, 그리고 커버(134)가 롤러 록(132)이 제위치에서 유지되게 스넵 결합되어, 구동 코드(122)가 슬롯 개구의 상부(206)와 하부(200) 양쪽을 통해 적절하게 누비듯이 지나가게 한다.
다음, 조립 롤러 록 기구(104)는 헤드 레일(108)에 있는 개구(209)를 통해 장착되며, 여기서 제위치에 스넵결합되어, 헤드 레일(108)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구동 코드(122)용 통로가 형성된다. 다음, 구동 코드(122)의 자유 단부는, 조작자가 편리하게 느끼는 높이에 장식술 추(106)를 가진 상태로, 상술된 바와 같이 장식술 추(106)에 묶여진다.
윈도우 커버링의 레스트(rest)는 당 분야에서 알고 있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리프트 봉(118)의 일 단부는 콘(124)의 중공 엑슬(158) 안으로 삽입된다. 엑슬(158)의 내부, 원형 프로필(178)은 리프트 봉(118)의 프로필과 어울리어, 리프트 봉(118)의 회전 시에, 콘(124)도 회전하고 그리고 그 역도 이루어진다. 리프트 역(116)은 헤드 레일(108)에 장착되고 또한 리프트 봉(118)에도 연결되어, 리프트 봉(118)의 회전 시에, 리프트 역(116)의 리프트 드럼도 회전하고 그리고 그 역도 이루어지다. 리프트 코드(114)(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스플(124)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코드 임)가 일 단부에 리프트 역(116)의 리프트 드럼에 연결되고 그리고 타 단부에 하부 레일에 연결되어, 리프트 드럼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트 코드(114)가 리프트 드럼에 감겨지고 윈도우 커버링(100)이 상승되며 그리고 상기 리프트 드럼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트 코드(114)가 리프트 드럼에서 풀어지고 윈도우 커버링(100)이 하강된다. 상기 메카니즘으로 조립이 되어지면, 록킹 레버(128)는, 구동 콘(124)이 상기 메카니즘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게 이 동된다.
선택적 조립: 선택적인 양호한 조립방법은 구동 코드(122)가 처음에 구동 콘(124)에 감겨지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된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대신,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에서 풀어져 남겨지며 그리고 상기 조립은 윈도우 커버링이 완전 상승된 위치(그리고 따라서 리프트 코드가 리프트 역(116)의 리프트 스플에 완전하게 감겨짐)에 있는 주요한 상이한 상태로, 상술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일단 조립이 되었으면, 록킹 레버(128)가 이동되고, 윈도우 커버링이 완전하게 하강되고, 그리고 하강하면서, 구동 코드(122)는 처음으로 구동 콘(124)에 감겨진다.
이러한 선택적 조립방법의 실질적인 효과는 최대 사용이 윈도우 커버링의 전체 길이용으로 구동 콘(124)의 절두원추 부분(176)의 대구경으로 제안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짧은 윈도우 커버링용으로, 구동 콘(124)상에 구동 코드(122)의 랩 수는, 윈도우 커버링이 완전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에도 절두원추 부분(176)에 모든 랩이 놓여지게 하는 수 이다. 따라서, 구동 코드(122)가 윈도우 커버링이 완전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제1조립방법에서 기술됨)와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의 원통형 부분(174)에서 풀림동작을 개시할 때에 구동 콘(124)의 전체 길이부에 감겨져 있을 때 보다 적은 힘(장길이 행정에 걸쳐 있더라도)이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의 다른 방법은 또한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콘 드라이브 조립체의 모든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임에 주목한다.
조작: 조작자가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시키기 위해 충분한 힘으로 장식술 추(106)를 당기어서, 공동(218) 내에 그 하부 위치에 있도록 롤러 록(132)을 아래로 당기며, 여기서는 도1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198)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장식술 추(106)의 부가적인 당김동작은 롤러 록(132)이 구동 코드(122)로서 회전하도록 하며, 구동 코드(122)는 캡스턴(184) 주위를 감싸고, 캡스턴(184) 주위를 팽팽하게 조이고, 그리고 캡스턴이 회전하도록 힘을 가한다. 캡스턴(184)의 회전으로, 캡스턴(184)상에 구동 코드(122)의 랩의 존재가 좌측 단부(도17의 도면)에 캡스턴(184)을 떠나고, 반면에 새로운 랩이 구동 콘(124)에서 구동 코드(122)가 풀러져서 우측 단부에 캡스턴(184)에 형성되어, 롤러 록(132)의 자유스런 회전이 윈도우 커버링 상승(또는 중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커버링 반대측 이동)을 방해 없이 제공된다. 구동 콘(124)으로부터의 구동 코드(122)의 감김해제 동작은 구동 콘(124)의 회전을 일으키고 그리고 결과적인 리프트 봉(118)의 회전과 그에 따른 리프트 역(116)의 리프트 드럼의 회전도 일으킨다.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으로부터 풀어져, 리프트 코드(피구동 코드)(114)가 각각의 리프트 드럼에 감겨져, 윈도우 커버링의 하부 레일(110)을 상승한다.
중력은 항시 윈도우 커버링에 작용하고, 리프트 역(116)의 리프트 드럼으로부터 리프트 코드(114)를 감김 해제하는 윈도우 커버링을 하부로 가게하고, 리프트 봉(118)과 리프트 드럼을 회전하고, 구동 콘(124)을 회전하고, 그리고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에 감겨지게 한다. 조작자가 장식술 추(106)를 구속해제 하자마자, 중력이 작용하여, 상방향으로 구동 코드(122)를 당기는 작용을 하는 블라 인드의 중력이 장식술 추(106)(일반적으로 2 내지 4온스)에 으해 발휘된 하향힘 보다 크기 때문에, 리프트 드럼, 리프트 봉, 및 구동 콘(124)이 회전을 일으키는 리프트 코드(114)를 밀고, 구동 코드(122)를 위로 당기고 그리고 롤러 록(132)을 상방향으로 당기는 웨이트 상태로 작용한다. 이러한 구조는 도16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상부 위치로 롤러 록(132)이 이동하게 하는 구동 콘(124)에 싸여지기 시작함으로서 구동 코드(122)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다음, 롤러 록(132)의 사각 프로필 부분(186, 188)의 평탄 면이 정지부로서 기능을 하는 공동(218)의 상부 벽과 대항 충돌하고 그리고 롤러 록(132)이 하우징(133)에 대한 회전동작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식술 추(106)의 힘은 구동 코드(122)가 캡스턴(184) 주위로 빗겨질 수 없는 캡스턴(184) 주위에 충분히 조밀하게 설치된 구동 코드(122)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롤러 록(132)이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그리고 코드(122)가 캡스턴(184) 주위로 빗겨질 수 없기 때문에, 코드(122)는 움직일 수 없으며, 롤러 록 기구(106)는 장식술 추(106)가 조작자에 의해 구속해방되는 지점에서 정위치에 윈도우 커버링을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서, 커버링이 중력으로 인해 하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롤러 록 기구(104)는, 25/1 록킹 비율의 양호한 물체에서, 10/1과 40/1 사이에 있는 로드에 대한 장식술 추(106)의 록킹 비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구조는 4온스 장식술 추(106)가 제공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롤러 록 기구(104)가 100온스의 상방향 당김 힘의 빗겨짐에 대항하여 고정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 서는 만일 물체가 더 높은 록킹 비율에 접근하면, 로드(상기 장식술 추(106)에서의 상승 이동)를 간단하게 구속해제하여 윈도우 커버링을 하강시킬 수 있는 자유 낙하 특징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상한값이 있다. 더 높은 록킹 비율에서는, 코드(122)의 웨이트와 시스템 마찰이 윈도우 커버링의 하강을 저지하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조작자가 윈도우 커버링을 하강시키려면, 그는 장식술 추(184)를 픽업하여 캡스턴(184)을 느슨하고, 따라서 캡스턴(184) 주위를 긴축시키어 코드(122)를 유지하는 힘을 약하게 한다. 다음, 코드(122)는 윈도우 커버링(100)을 하강하도록 작용하는 중력이 구동 코드(122)를 끌어 올리어 캡스턴(184) 주위에서 미끄러지고, 구동 콘(124)에 감겨지게 한다. 조작자가 캡스턴(184) 주위에서 코드(122)가 미끄러지게, 장식술 추(106)를 이동시키는 동안에는, 윈도우 커버링(100)이 중력에 의해 점진적인 하강을 지속하며, 리프트 코드가 리프트 드럼에서 감김 해제되어 구동 콘(124)에 구동 코드(122)를 감는다.
조작자가 다시 장식술 추(106)를 구속 해제하자 마자, 장식술 추(106)는 다시 캡스턴(184) 주위에 코드(122)를 긴장시키고, 조작자가 상기 추(106)를 구속 해제하는 지점에서 윈도우 커버링을 그 정위치에 고정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추(106)를 이동시키어 윈도우 커버링의 하강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커버링이 중력에 의해 하강되게 하고 그리고 추(106)의 구속 해제로 하강동작이 멈추어지게 한다.
오직 상당히 작은 힘 만이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캡스턴(184)에 코드(122)를 결합하는데 필요하다. 본원 실시예에서, 4온스 미만의 중량이 윈도우 커버링을 하강하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15파운드 힘에 대항하여서 캡스턴(184)에 서 팽팽해진 코드(122)를 유지할 수 있다. 록킹 독(locking dog)을 함유한 제2실시예에 관한 후술되는 기술로서, 소 마찰력 만이 제위치에 고정된 윈도우 커버링을 유지하는데 록킹 독이 필요하고, 이러한 작은 힘은 구동 코드(122)를 소모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은 주요한 고려 대상이 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윈도우 커버링(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커버링이 블라인드(100')이고,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는 콘 드라이브(102), 롤러 록 기구(104), 장식술 추(105), 리프트 봉(118) 및 헤드 레일(108)에 장착된 리프트 및 틸트 역(116')과 같은 셀룰러 물품(100)에 대해 이미 기술된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블라인드는 또한 틸터 기구(117), 리프트 봉(118)과 평행하게 연장된 틸트 로드(119), 및 틸트 코드(121)도 구비한다. 틸트 구동 코드(121)에서의 당김동작은 틸트 로드(119)의 회전을 발생하며, 슬랫의 전후방에 틸트 코드(121')를 상승과 하강시키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서 기재된 발명의 명칭이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용 모듈러 전달 시스템"인 미국특허 6,536,50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개방 및 폐쇄된 슬랫을 경사지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롤러 록 기구(104)와 장식술 추(106)를 가진 콘 드라이브(102)의 조작은 셀룰러 제품(100)에서 언급한 기술내용과 동일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윈도우 커버링(100")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커버링이 주름 차양막(112")이고 그리고, 셀룰러 차양막 구조(112) 대신에, 이러한 차양막(100")이 주름 차양 구조(112")를 가진 것을 제외하고 셀룰러 제품(100)에 관하여 상술된 요소와 동일한 요소를 구비한다. 이러한 차이 이외에, 주름 차양막(1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셀룰러 제품(100)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윈도우 커버링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윈도우 커버링(100")은 로마식 차양막이고, 셀룰러 차양막 구조(112) 대신에 차양막(100"')이 특징적인 로마식 차양막 구조(112"')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 셀룰러 제품(100)에 대해 상술된 요소와 동일한 요소를 구비한다. 이러한 차이 이외에, 로마식 차양막(100"')은 상술된 셀룰러 제품(100)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윈도우 커버링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윈도우 커버링(101)은 셀룰러 제품이고 그리고 사면진 콘 드라이버(102R)가 원통형 스플 대신에 리프트 역에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커버링(100)에 대해 상술된 요소와 동일한 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윈도우 커버링(101)의 조작은 제1실시예(100)를 기술한 것과 아주 흡사하다. 이 실시예의 리프트 역에 콘 드라이브(102R)는 제1실시예용으로 상술된 콘 드라이브(102)와 동일한 것이지만, 이들은 리프트 봉(118)에서 180도 부근으로 가볍게 튕겨져서 소직경 단부가 우측보다는 좌측으로 대면하고 , 이들은 코드 구동부로서 역활을 하는 대신에 리프트 역으로서 역활을 한다.
도5에 도시된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리프트 코드(114)의 일 단부(이 도면에서는 도시 않음)가 각각의 리프트 역(102R)에서 각각의 리프트 콘(124R)에 고정된다. 일반적인 설치에서, 윈도우 커버링(101)이 완전 하강되면, 구동 코드(122) 가 헤드 레일(108)의 우측 단부에서 구동 콘(124)에 완전하게(또는 적어도 어느 정도) 감싸게 되고, 반면에 리프트 코드(114)는 각각의 리프트 콘(124R)으로부터 완전하게(또는 개략적으로) 감김해제된다. 리프트 코드(114)는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에 감겨지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역감김방향)으로 각각의 리프트 콘(124R)에 감겨져서, 조작자가 구동 코드(122)의 자유 단부에 장식술을 당기어,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으로부터 풀어지고, 일 방향으로 리프트 봉(118)을 회전하여, 리프트 코드가 리프트 콘에 감겨지게 하여 블라인드를 상승한다. 다음, 조작자가 장식술 추를 위로 들어 올려, 구동 코드(122)가 캡스턴(184)의 서지동작을 허용하며, 블라인드의 웨이트는 리프트 코드(114)가 리프트 콘(124R)으로부터 감김 해제되게 하며, 반대측 방향으로 리프트 봉(118)을 회전하여, 구동 콘(124)에 구동 코드(122)가 감겨지게 한다.
원통형 드라이브 대신에 사면 드라이브(102R)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이 셀룰러 제품(1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셀룰러 제품(100)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콘 드라이브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구동 콘(124)과 리프트 콘(102R)이 필수적으로 절두원추 부분(176)과 원통형 부분(174)을 구비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콘은 전체 절두원추형 또는 전체 원통형이거나 또는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필요한 행정과 힘을 바람직하게 조합하여 획득하는 다른 프로필(예를 들면, 단차식 원통형 프로필 또는 오목 또는 볼록 포물선 프로필)로 이루어진다.
콘 드라이브, 롤러 록 기구 및 록킹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윈도우 커버링(2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윈도우 커버링은 셀룰러 제품이며, 장식술 추(232)가 경량이어서 상기 추가 캡스턴의 서지동작으로부터 코드를 막기에 불충분하고 그리고 롤러 록 기구(104')가 캡스턴의 서지동작으로부터 코드를 보호하도록 추가 힘을 제공하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록킹 독을 구비한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도1의 셀룰러 제품(100)에 관해 상술된 요소와 동일한 요소를 구비한다.
도23 내지 도25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롤러 록 기구(104')의 하우징 커버(134')와 하우징(130')은, 도23의 실시예가 록킹 독(254)을 수용하도록 롤러 록 기구(104')의 하부에 부착된 추가 공동(252)(도28에 도시)을 가진, 도13의 롤러 록 기구(104)의 커버(134)와 하우징(130)과는 다른 것이다. 록킹 독(254)(도29에 도시)은 엣지 형태이며 일 단부에서 치형 엣지(256)와 타 단부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단축 엑슬(258, 260)을 구비한다.
도26을 참고로 설명하면, 하우징(130')은 공동(252) 내에 홀(262)을 형성한다. 도25에 커버(134')에는 정렬 정합 홀(264)이 도시 되어 있다. 상기 축정렬 정합 홀(262, 264)은 독(254)이 회전축(26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 독(254)의 각 엑슬(258, 260)을 수용한다. 도26은 고정위치에 있는 록킹 독(254)을 나타낸 도면이며, 고정위치에서, 코드(266)(도시 않음)는 벽(270)에 대항하여 끼워진다.
도27은 다방면 반경방향 구동 코드 유입구 안내면(268)에 대항하여 놓인 독 (254)의 상태로, 결합해제 위치에 ㄴ있는 독(254)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제2다방면 반경방향 구동 코드 유입구 안내면(270)은 또한 슬롯 개구(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 코드(122)(도27에는 도시 안됨)를 안내하는 역활을 하며, 슬롯 개구는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캡스턴(184)의 경사면(196)에 구동 코드(122)의 유입 랩이 위치하도록 동작한다.
윈도우 커버링(250)의 조작은 상술된 윈도우 커버링(100)의 조작과 유사하다. 만일 조작자가 구동 코드(122)를 당긴다면, 코드(122)는 구동 콘(124)에서 감김 해제되고; 롤러 록(132)이 그 회전축(198)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위치로 하방향으로 당겨지고, 구동 코드(122)는 캡스턴(184) 주위를 감고 풀어지고, 그리고 구동 코드(122)는 벽(270)과 록킹 독(256) 사이에서 코드 유입구 안내면(270)을 따라 유출된다.
그런데, 만일 조작자가 구동 코드(122)를 구속해제 하면, 롤러 록(132)은 회전이 더이상 자유롭지 않은 상승 위치로 이동하지만, 코드(122)는 캡스턴(184) 둘레에 미끄러질 수 있으며, 윈도우 커버링이 제어식 서행 방식으로 중력에 의해 자체적인 하강을 허용한다. 캡스턴(184) 주위에서 미끄러질 때에 구동 코드(122)의 마찰과 고유 시스템 마찰은 윈도우 커버링의 하강동작을 서행시키고, 그리고 상기 시스템은 조작인이 이제는 떠나도 되는 추가 이득을 갖고 마치 조작자가 제1실시예(100)에서 장식술 추(106)가 상승되는 것과 같이 그렇게 작용하며, 그리고 여기에서는 더이상 코드(122)에서 하방향으로 당겨지는 충분한 장식술 추가 있지 않음으로, 상기 시스템은 제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완전하게 하강되었을 때까지 윈도우 커버링의 하강을 지속 할 것이다.
완전 상승 및 완전 하강된 위치 사이에 임의 지점에서 윈도우 커버링을 제위치에 고정하기를 조작자가 바란다면, 조작인은 구동 코드(122)의 단부를 우측으로 당겨서, 록킹 독(254)과 코드(122)가 접촉하게 이동되어, 구동 코드(122)가 느슨하게 놓아진다. 코드(122)와 록킹 독(254)의 치형 면(256) 사이에 마찰은 도26과 도28에 도시된 상승 위치까지 회전축(26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독(254)을 코드(122)가 픽업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하우징(130')의 벽(270)과 독(254) 사이에 코드(122)을 끼워서, 코드(122)가 더 이상 미끄러지는 동작을 방지하며, 코드(122)를 미끄럼 동작으로부터 지켜지게 하는데 필요한 힘의 벌크가 캡스턴(184) 주위에 쌓여지는 코드(122)에 의해 제공됨으로, 구동 코드(122)가 문질러 닳아지지 않게 하는 상당히 작은 힘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기술에서 발견되는 통상적인 록킹 독과는 다르다. 즉, 캡스턴 주위를 싸고있는 코드가 없어서 이러한 로드의 일부가 제거됨으로, 종래 록킹 독은 충분한 힘으로 구동 코드를 고정하여야만, 윈도우 커버링이 하방향으로 당겨지게 하는 전체 작업 힘에 대한 미끄럼 행위로부터 코드를 지킬 수 있다.
다음, 구동 코드(122)의 하방향 당김동작은 코드(122)에서의 록킹 독의 파지를 구속 해제하고 그리고 상기 독(254)은 사용자에 의해 재결합하기까지 결합해제된 위치(도27에 도시된 위치)로 귀환 한다. 독(254)이 구속 해제된 상태로, 조작자는 구동 코드(122)를 당기어 블라인드를 상승하거나 또는 구동 코드(122)를 구속해제하여 중력에 의한, 제어방식으로 블라인드의 서행 하강이 이루어지게 한다. 임의 크기의 윈도우 커버링용으로, 구동 코드(122)의 단부에 부착된 임의적인 추가 웨이트를 가지어 추가 시스템 마찰(롤러 록 기구(104')의 제동 작용의 증가에 의함)을 제공하여, 구동 코드(122)가 구속해제되고 록킹 독(254)이 결합되지 않을 때에 제어 방식으로 상당히 천천히 윈도우 커버링의 하강을 보장하기를 바란다는 사실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록킹 독(254)이 이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중량 장식술 추(106)가, 도1의 롤러 록 기구(104)와 콘 드라이브(102)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롤러 록 기구와 콘 드라이브인 최종 결과를 가지고 대신 더해질 수 있음에도 주목할 수 있다.
콘 드라이브, 롤러 록 기구, 및 막대 운영자
도8은 셀룰러 제품(280)인 다른 윈도우 커버링을 도시하며, 장식술 추가 더이상 주어지지 않으며 그리고 롤러 록 기구(104")가, 코드(122)가 더이상 헐겁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구동 코드(122)의 자유단부를 에워싼 막대 조립체(284)를 연장한 볼과 소켓 조인트용 볼(282)을 구비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의 셀룰러 제품(100)에 대해 상술된 것과 동일한 요소를 구비한다. 막대 핸들(286)은 조작자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코드(122)를 당기거나, 들어올리거나, 또는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도30 내지 도47에서 볼 수 있다.
도30-33으로부터 예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롤러 록 기구(104")의 하우징(130")은, 록킹 독 대신에, 하우징(130")의 하부에 볼(282)이 첨부된 상술된 롤러 록 기구(104')의 하우징(130')과는 다른 것이다. 도35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 이, 볼(282)은 볼(282)을 통하는 내부 통로 또는 복도(288)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로서, 구동 코드(122)는 상기 복도(288)를 통해 공급되어 슬롯 개구(200")를 경유하여 공동(218)에 유입되며, 상기 개구는 전술된 롤러 록 기구(104)에 개구(200)와 대응한다.
도34-37을 참고로 설명하면, 소켓(290)은 스넵 피트로 공동(306) 내로 볼(282)을 수용하는 크기와 설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동은 소켓(290)이 볼(282)주위를 선회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소켓(290)은 내부와 외부 막대 압출부(294, 296)(도37에 도시)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스템(292)을 구비한다. 상기 스템(292)은 2개 대향 경사진 돌출부(298)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부 막대 압출부(296)의 상단부에 홀(300)에 수용되어(도36과 도37에 도시됨) 막대 조립체(284)가 소켓(290)과 롤러 록 기구(104")의 볼(282)에 부착된다.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90)의 사면 돌출부(298)와 유사한 사면 돌출부(298A)를 가진 막대 단부 플러그(302)는 막대 조립체(284)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막대 조립체(284)와 함께 유지되어, 막대 조립체(284)의 하부를 마감한다.
도35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로(304)가 소켓(290)의 스템(292)을 통해 볼 유지 공동(306) 내로 연장되고, 볼(282) 내에 통로(288)와 정렬 배치되어, 구동 코드(122)(도35A에서는 볼 수 없고, 도43에 도시)가 볼(282)을 통해 연장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막대 조립체(284)쪽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36과 도37을 참고로 설명하면, 막대 조립체(284)는 소켓(290)(상술됨), 외부 막대 압출부(296), 막대 핸들(286), 및 하단부 플러그(302)를 구비한다.
도38과 도39는 외부 막대 압출부(296)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 막대 압출부(296)는 "C"형상 프로필과 복수의 외부-지향, 종방향 연장 리브(308)를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외부 막대 압출부(296)는 윈도우 커버링의 색상 차이에 대한 색상 조화가 문제로 되지 않게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리브(308)는, 핸들(286)과 외부 압출부(296) 사이에 마찰 손실을 최소로 하고 외부 압출부(296)의 다수 표면의 결합 또는 긁힘동작으로부터 핸들(286)이 지켜지도록, 도47에서 볼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외부 압출부(296)의 길이를 따라 이루어지는 활주로서 핸들(286)용 접촉 지점을 제공하도록 주어진다.
도40과 도41은 내부 막대 압출부(294)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내부 막대 압출부(294)는 "C"의 단부에 2개 길이방향-연장 외부방향 돌출 레그(310)를 가진 개조된 "C"형상 프로필을 구비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내부 압출부(294)는 양호하게 투명한 유연한 재료로 제조되고, 외부 압출부(296) 내측에 조립될 때, 내부 압출부(294)는, 서로 접촉하게 가압되고 막대 조립체(284)의 길이로 연장된 신장 공동(312)을 형성하는 레그(310)를 가지고, 도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압축된다.
도42-45 및 도47은 양 단부에서 개방된 길이방향 연장 공동(314)을 형성하고 그리고 그 중간구역을 따라 외부 원통형 부분(316)을 형성하는 핸들(286)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외부 원통형 부분(316)도 양 단부에서 개방되고, 그리고 짧은 웹 또는 브릿지(318)가 내부 원통형 부분(320)에 외부 원통형 부분(316)을 연결하며, 외부 원통형 부분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내부 원통형 부분(320)은 그를 통 해 구동 코드(122)가 누비듯이 지나가는 개구(322)를 통하는 축을 형성한다. 매듭 또는 다른 팽출부(도43에 도시)는, 개구(322)를 통해 지나가 핸들(286)에 구동 코드를 묶은 후에 구동 코드(122)의 하단부에 묶어서, 구동 코드(122)의 하단부가 개구(322)를 통해 상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핸들이 상승하게 되면, 구동 코드(122)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핸들과 같이 상방향으로 자유롭게 동반하여 따른다.
조립: 막대(284)의 조립은, 롤러 록을 떠나서 볼(282)과 소켓(290)을 통해 지나가는 구동 코드(122)의 하단부를, 핸들(268)에 있는 개구(322)를 통해 지나가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묶는다. 다음, 핸들(286)이 내부 압출부(294)의 2개 돌출 레그(310)가 핸들(286)의 웹(318)의 측부를 속박하도록 내부 압출부(294)의 일 단부 위로 활주시키고 그리고, 핸들(286)의 내부 원통형 부분(320)을 내부 압출부(294)의 신장 공동(312) 내부에 수용한다.
다음,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286)과 조립된 내부 압출부(294)를 외부 압출부(296)의 일 단부 위로 활주시키어, 내부 압출부(294)의 돌출 레그(310)를 외부 압출부(296)의 "C"형상 프로필에 있는 개구를 통해 연장하고, 그리고 외부 압출부(296)의 리브 외부 면을 핸들(286)의 공동(314) 내부에 위치시킨다. 끝으로, 막대 조립체(284)를 각각의 홀(300)을 통해 스넵결합되는 사면 돌출부(298)를 가진 하부 단부 플러그(302)와 소켓(290)에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소켓(290)을 롤러 록 기구(104")의 볼(282)에 스넵 결합한다.
도4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막대 조립체(284)는 구동 코드(122)가 핸들 (286)에서 롤러 록 기구(104")로의 연장을 허용하는 연속진 통로(322, 312, 304)를 형성한다. 핸들(286)이 조작자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짐으로서, 핸들의 웹(318)은 내부 압출부(294)의 돌출 레그(310)를 이격 가압하여, 핸들(286)이 그를 통해 활주하기에 충분한 원거리로 이격지게 위치를 변경한다. 구동 코드(122)가 핸들(286)의 내부 원통형 부분(320)의 하부에 묶여짐으로, 상기 코드(122)가 또한 하방향으로 당겨지고, 상술된 제1윈도우 커버링 실시예(100)에 장식술 추(106)의 당김동작과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핸들(286)에서의 하방향 당김 동작은 롤러 록(132)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자유롭게 회전되게 한다. 구동 코드(122)는 롤러 록(132)의 회전으로 캡스턴(184)에 감겨지고 그로부터 풀어지며 그리고, 코드(122)는, 구동 콘(124)과 리프트 봉(118)이 회전을 일으키어, 구동 콘(124)으로부터 풀러진다. 이러한 구조는 리프트 역(116)의 리프트 드럼의 회전을 일으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시킨다. 조작자는 막대 조립체(284)의 길이를 따라서 발생하는 핸들(286)의 운동에 대한 마찰저항을 극복하여야만 하며; 이러한 마찰저항은 대부분 핸들(286)의 웹 또는 브릿지(318)에 내부 압출부(294)의 돌출 레그(310)의 접촉으로 인한 것이다.
만일 조작자가 핸들(286)을 구속해제한다면, 상술된 마찰 저항이 장식술 추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구조는 핸들(286)에 묶여진 코드(122)의 상방향 이동과 핸들(286)의 상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윈도우 커버링의 중력 당김이 윈도우 커버링이 하강되게 허용하는 방향으로 리프트 봉(118)을 회전시키 어, 구동 콘(124)이 구동 코드(122)가 상방향으로 당겨지게 하여, 핸들(286)의 마찰저항이 캡스턴(184) 주위에 구동 코드(122)를 단단하게 죄여지게 하고, 그리고 캡스턴(184)은 그 록위치 까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윈도우 커버링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만일 핸들(286)이 조작자에 의해 상승되면, 이러한 사실은 조작자가 상술된 실시예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장식술 추(106)를 조작자가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즉, 구동 코드(122)가 상승된 캡스턴(184) 주위를 활주 할 수 있으며(캡스턴의 서지), 중력에 의한 윈도우 커버링의 자체 하강이 이루어지며 그리고 리프트 코드(122)가 구동 콘(124)에 감겨진다. 이 실시예에서, 구동 코드(122)는 콘 드라이브(102), 롤러 록 기구(104"), 및 막대 조립체(284)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유지되어, 헐겁거나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설명이 내부와 외부 압출부를 참고로 하고, 상기 요소들은 양호하게 압출공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지만, 상기 사용된 용어가 본 발명을 압출로 만들어진 요소로 한정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요소들은 선택적으로 주조 또는 다른 공지된 공정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막대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
도69-도76은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막대 조립체(6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막대 조립체(630)는 도8과 도37의 막대 조립체(284)를 대신하여 사용된다. 상기 변경된 막대 조립체(630)는 주요한 차이가 내부 막대 압출부(294)가 없고 약간 다른 외부 막대 압출부(632)가 있는 것이며, 제1실시예(284)와 매우 유사한 것이다. 소켓(290), 핸들(286), 및 하부 플러그(302)를 구비하는 기타 성분은 양쪽 막대 실시예(284, 630)에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도70 및 도71을 참고로 설명하면, 막대 압출부(632)는 외부 막대 압출부(296)와 상당히 유사하며, 소켓(290)과 하부 플러그(302)가 부착되도록 단부에 근접하여 있는 홀(634)을 구비하며, 그리고 길이방향 연장 외부 리브(636)를 구비한다. 막대 압출부(632)는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신장 핑거 부분(638)에 의해 폐쇄된 "C"형상 단부를 가진, "C"형상 프로필을 구비한다. 이러한 막대 압출부(632)는 양호하게 이중 듀로미터 압출부이다. 상기 압출부의 "C"형상 부분은 양호하게 고 듀로미터를 가진 경성PVC재료로 만들어지며, 포위(enclosing) 핑거 부분(638)은 양호하게 저 듀로미터를 가진 가요성 PVC로 만들어진다("C"형태부분보다 더 연성이고 더 가요성인 것). 길이방향 연장 슬릿(640)은 핑거 부분(638)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다. 막대 압출부(632)는 파트(632)가 압출된 후에 절단되는 슬릿(640)을 가진, 완전 포위된 압출부로서 압출된다.
도72 내지 도76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중 듀로미터, 단일 막대 압출부(632)는 제1막대(284)의 외부 막대 압출부(296)와 내부 막대 압출부(294) 양쪽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한다 막대(630)의 길이를 따라서 핸들(286)이 상하로 활주하여, 핸들의 공동(314)의 내부 벽이 압출부(632)의 리브 외부 벽을 따라서 활주하며 그리고 핸들의 웹(318)은 슬릿(640)을 따라 활주하며, 핸들(286)이 압출부(632)를 따라 이동하여 핑거 부분(638)을 빗겨서 가압한다. 핑거 부분(638)은 핸들(286)의 운동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여, 웨이트로서 동작하고, 그 힘은 조작 자에의해 극복되어 막대(630)의 길이를 따라서 핸들(286)이 이동하여야 한다. 핸들(286)의 웹(318)이 우회함으로서, 막대 압출부(632)의 핑거 부분(638)이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축되고(도74에 도시), 막대(632) 내부에 구동 코드(122)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630)의 도75와 막대(284)의 상기 실시예의 도47을 대비하여 보면, 원통형 부분(320)에 개구(322)를 통하는 축선이 없음을 인식할 수 있다. 사실상, 개구(322)는 어느 한 실시예에서는 선택인 것이다. 만일 개구(322)가 없으면, 구동 코드(122)를 둘레를 고리로 연결하여 핸들(286)의 원통형 부분(320)의 둘레를 풀매듭으로 매어서, 코드(122)가 브릿지 섹션(318) 둘레에서 매어진다.
변경 막대 조립체의 실시예
도147은 내부 막대 압출부(294')와 외부 막대 압출부(296')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외부 막대 압출부(296')가 경성인 C형태 내부 막대 압출부(294')보다 연성인 듀로미터 재료로 만들어진다. 외부 막대 압출부(296')의 핑거(638')는 외부 막대 압출부(296')의 길이가 연장되어, 길이방향 연장 슬릿(640')에서 만난다. 상기 핑거(638')는 내부 막대 압출부(294)에 돌출부(310)가 상술된 막대(286)에 동일한 브릿지(318)를 압박하는 방식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핸들(286)의 브릿지(318)를 압박한다.
도148은 도71의 막대 압출부(632)와 유사한 단일 막대 압출부(632")를 나타낸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서는, 핑거(638")가 압출부의 받침대보다 더 연성인 듀로미터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대신에, 전체 압출부(632")가, 핸들이 압출부(632")의 길이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선회하여 핸들(286)의 브릿지(318)용 룸을 만들도 록 외부방향으로 수축하기에 충분하게 얇은 벽을 가진 단일 재료로 제조된다.
도149는 도71의 막대 압출부(632)와 유사한 단일 막대 압출부(632*)를 나타낸다. 그런데, 이 실시예(632*)에서는, C-형태 압출부의 단부가 구근형이며, 핑거(638"")는 압출부(632*)의 구근형 단부의 하나와 짝을 이루는 내부 외형상부(633*)를 가진 가요성 스넵-온 플래퍼(flapper)(638*)로 대체된다. 스넵-온 플래퍼(638*)는 대체로 단일 막대 압출부(632*)의 전체 길이를 연장한다. 플래퍼(638*)는 단일 막대 압출부(632*)보다 더 연성인 듀로미터 재료로 제조된다. 플래퍼(638*)의 외형상 단부(633*)는 단일 막대 압출부(632*)에 스넵 결합하고, 그리고 타 단부(635*)는 가요성 핑거(635*)를 형성하며, 가요성 핑거는, 핑거(638)가 상술된 막대 실시예(630)에 대체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단일 막대 압출부(632*)의 길이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핸들(286)이 선회하여 핸들(286)의 브릿지에 의해 대체된다.
도150은 도149의 막대 압출부(632*)와 유사한 다른 단일 막대 압출부(632**)를 나타낸다. 그런데, 이 실시예(632**)에서, 플래퍼(638**)는 고 듀로미터 단일 막대 압출부(632**)와 같이 직접적으로 공압출되는 저 듀로미터 부속물이다. 공압출된 플래퍼(638**)를 가진 이러한 막대 압출기(632**)는 상술한 스넵-온 플래퍼(638*)를 가진 막대 압출부(632*)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을 한다.
레버 록 기구를 가진 콘 드라이브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른 윈도우 커버링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커버링이 블라인드(330)이고 그리고 콘 드라이브 (102')를 구비하며, 상기 콘 드라이브(102')는 상술된 콘 드라이브(102)와 매우 유사한 것이지만, 상술된 실시예의 장식술 추와 롤러 록 기구를 대신한 레버 록 기구(332)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동 코드(122)는 록킹 아암의 단부를 통해 지나가서, 조작자가 구동 코드(122)를 당겼을 때에 록킹 아암(334)이 레버 록 기구(332)와 결합해제하고 그리고 콘 드라이브(102')는 리프트 봉(118)과 리프트 역(116')을 경유하여 블라인드(330)의 슬랫을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회전한다. 그런데, 구동 코드(122)가 구속 해제되면, 레버 록 기구(332)와 록킹 아암(334)의이 결합을 발생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소망 지점에 블라인드(330)를 고정한다. 이러한 윈도우 커버링(330)은 또한 리프트와 틸트 역(116")과 틸트 구동 기구(117")도 구비하며, 이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서 기재된 미국특허 6,536,503호에 기술되어 있다.
도48 내지 도56은 레버 록 기구(332)를 갖춘 콘 드라이브(102')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48 내지 도50을 참고로 설명하면, 조립체는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과, 구동 콘(338)과, 록 스프링 하우징(340)과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342), 록 스프링(344), 및 록킹 아암(334)(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 코드(122)와 같이)을 구비한다.
도51과 도52는 상술된 실시예에 기술된 제1콘 드라이브 하우징(102)의 하우징(126)(도13에 도시)과 상당히 유사하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부 벽(350)은 하우징(336)의 우측 벽(348) 넘어로 연장하여, 제3직립 벽(352)에서 끝난다. 제3직립 벽(352)과 우측 단부 벽(348) 사이에는 대향된 내부방 향 돌출 엑슬(358)을 형성하는 2개 길이방향-연장 직립 벽(354, 356)이 위치하고, 상기 엑슬은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록킹 아암(334)을 회전식으로 지지한다. 슬롯 개구(362)는 하부 벽(350)을 통해 연장되고 그리고 제3직립 벽(352)에서 대략 하부 벽(350)의 중간지점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직립 벽(352)과 대향된 슬롯 개구(362)의 단부에 인접하여, 관통 홀(364)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구동 코드(122)용 안내부와 통로를 제공한다. 관통 홀(364)과 슬롯 개구(362)의 하부는 사각형상 립(lip) 또는 플랜지(366)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는 헤드 레일(108)에 하우징(336)이 스넵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어(368)와 협력하여 동작한다.
제2상호연결 벽(370)은 제1콘 드라이브(102)의 하우징(126)의 안내 면(144)에 대응하는 원호 안내 면(371)과 대응하는 원호 안내 면(371)을 형성한다. 상기 표면(371)은 하우징(336)의 전방 상부 사분면을 따라서 위치되며, 제1콘 드라이브(102)의 안내 면(144)에 대해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구동 콘(338)의 쓰레드 면(372)으로부터 코드(122)가 그 위에 감기거나 풀어지는 구동 코드(122)의 병진운동에 가능한 편애하지 않은 영향에 가깝게 제공하도록 구동 코드(122)를 안내한다. 제3상호연결 벽(374)은 하우징(336)에 추가 강도를 제공한다.
제1코드 드라이브(102)의 하우징(126)과 함께하는 경우에, 이러한 하우징(336)은 하우징(336) 내로 구동 콘(338)의 엑슬(158', 160')이 활주하는 동작에 유용하게 램프(380)(도52를 참고)와, 회전축(148')을 중신으로 구동 콘(338)의 엑슬(158')을 회전 작용식으로 지지하는 단부 벽(346, 348)에 개구(376, 378)(도50을 참고)를 구비한다.
도52을 참고로 설명하면, 우측 단부 벽(348)의 하부에 장길이 홈(trough)(381)과 동일 단부 벽(348)의 상부에 "V"형상 플랜지(382)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록 스프링 하우징(340)을 강력하게 장착시키는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대응 부재를 수용한다.
상술된 콘 드라이브(102)의 제1구동 콘(124)과 매우 유사한 구동 콘(338)은 비원형 내부 프로필(178')과 카운터성크 드라이브-코드-묶음 홀(182')이 있는 엑슬(158', 160')을 구비한 도53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예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쓰레드 표면(372)은 도13에 도시된 제1구동 콘(12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원통형 부분(174)을 가진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절두원추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구동 콘(338)의 표면(372)의 프로필은,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받아 들일 수 있는 외부힘의 양과 이동의 다양한 단계에서 윈도우 커버링의 추에 따라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콘(336, 124)은 필수적으로 각각, 길이방향으로 코드(122)를 안내하여 코드(122)가 겹쳐 감겨지는 것을 막도록 협조하는 쓰레드 면을 통해서, 그 외부 면(372, 146)에 쓰레드를 가질 필요는 없다.
만일 상기 표면(372, 146)이 예를 들어, 구동 콘(124) 대신에 사용되는 구동 콘(124*)(온스레드 면(146*)을 가짐)을 나타낸 도1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드를 이동하도록 개조된다면, 상기 표면(예를 들어 러버 슬리브)을 코팅하거나 덮는 부분을 가지어 구동 콘의 경사면 밑으로 구동 코드(122)의 어긋남이나 활주동작에 대 한 증가된 마찰과 저항성을 가지는 잇점이 있다. 파지동작 면은 효율적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콘 위에 수축 관을 배치하고 상기 콘의 표면에 엄격하게 부착되게 상기 관을 가열하여 적용된다.
도54는 도50의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반대측 단부의 사시도이다. 록 스프링 하우징(340)은 기본적으로 2개 내부 면(384, 385) 사이에 단차부 또는 플랜지(386)를 가지고, 내측 제1직경을 형성하는 제1내부면(384)과 그보다 작은 내측 직경을 형성하는 제2내부면(385)이 있는 짧은 원통체이다. 록 스프링 하우징(340)은 또한, 반원형 립(390)을 구비하고, 상기 립은 제1 및 제2제한 정지부(392, 394)를 형성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은 하우징 기어(342)의 회전을 제한 한다.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하부에 있는 접선방향 연장 직사각형 돌출부(388)는 장길이 홈(381)과 협력 작용하여(도52에 도시) 록 스프링 하우징(340)을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에 장착 고정시킨다. 록 스프링 하우징(340)상에 아암(393)은 "V"형상 돌출부(395)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파트(340, 336)가 이들이 함께 고정을 유지하게 조립될 때에(도49에 도시)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에 대응 "V"형상 플랜지(382)에 의해 형성된 슬롯 내에서 활주 한다. 아암(393)의 내측부에 축선방향 연장 슬롯 홈(396)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400)의 제1단부(398)를 수용한다.
도55는 도50의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342)의 반대측 단부 사시도이다. 이러한 하우징 기어(342)는 기본적으로, 내측직경부를 형성한 내부면(402)과,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반-원형 립(390)을 내측에 놓는 크기의 외측직경부를 형성한 외부면(404) 및,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대형 내측직경면(384)을 내측에 정확히 억지끼움하는 크기로 제1외부면(404)보다 작은 외측직경부를 가진 다른 외부면(406)을 갖춘 링 이다. 기어식 치형 돌출부(408)는 짧은 호(arc)-세그먼트용의 제1외측직경면(404)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기어 치형부(410)는 록킹 아암(334)에 기어 치형부(411)와 결합하는 크기로 설계된다(도50에 도시). 도5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롯(409)은 외측직경과 내측직경면(402) 사이에 하우징 기어(342)의 제1면을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이러한 슬롯(409)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344)의 제2단부(400)를 수용한다.
도56은 도50의 록 스프링(344)의 확대도이다. 엄격한 코일 스프링은 내측면(412)과 외측면(414)을 한정하고 그리고 제1 및 제2반경방향 연장 단부(398, 400)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344)은 구동 콘(338)의 엑슬(158') 주위를 고정하여 스프링(344)이 그 "완화(relax)"상태에 있고 그리고 엑슬(158')을 구속 해제하게 될 때에 회전을 방지하고, 그리고 스프링(344)이 장력상태에 있을 때에 구동 콘(338)의 회전을 허용한다.
도50을 참고로 설명하면, 록킹 아암(334)은 2개 상호연결 레그(416, 420)를 가진 "L"형상 부재이고, 그 자유단부에 근접한 일반적 반경방향 관통 개구(418)를 한정하는 단길이 레그(416)를 가진다. 장길이 레그(420)는 평평한 반-원형 면(422)까지 이어지고, 상기 면은 관통 개구(424)를 형성하고 그 외부 원주부의 일 부분을 따라서 기어 치형부(411)를 구비한다. 장길이 아암(420)과 반-원형 면(422)은 록킹 아암(334)이 슬롯 개구(362)를 통해 연장하도록 콘 드라이브 하우징 (336)의 벽(354, 356) 사이를 활주하고, 그리고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의 엑슬(358, 360)은 록킹 아암(334)의 개구(424)의 2개 측부에 스넵 결합하며, 록킹 아암(334)이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에 대한 회전축(42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조립:
레버 록 기구(102')에 콘 드라이브를 조립하기 위해서, 구동 코드(122)의 일 단부를 구동 코드(122)의 단부에 있는 매듭 또는 다른 팽출부를 묶어서 구동 콘(338)에 고정하고, 다음, 매듭 또는 팽출부가 홀(182') 내부에 위치하게 카운터성크 홀(182')을 통해서 구동 코드(122)를 누벼나간다. 다음,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338)의 쓰레드 면(372)주위를 감싸게 한다. 콘(338)은 하우징(336)에 스넵 결합되어 콘(338)의 엑슬(158', 160')이 하우징(336)의 각 홀(376, 378)을 통해 연장된다. 구동 코드(122)는 안내면(371) 위로 연장되고 다음, 하우징(336)의 기초벽(350)에 있는 개구(364)을 통해 누벼 나간다.
다음, 스프링(344)을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342)에 조립하여, 스프링(344)의 외측직경면(414)이 하우징 기어(342)의 내측직경면(402)에 근접하여 있게 하고 그리고 스프링(344)의 단부(400)를 하우징 기어(342)의 슬롯(409)에 결합시킨다. 다음, 조립된 하우징 기어(342)와 스프링(344)이 다음과 같이 록 스프링 하우징(340)에 조립된다.
-하우징 기어(342)의 대형 외측직경면(404)을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반-원형 립(390) 내측에 위치시키고,
-하우징 기어(342)의 소형 외측직경면(406)을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대형 내측직경면(384) 내측에 위치시키고,
-스프링의 제1단부(398)를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슬롯 오목홈(396) 내측과 결합하고 그리고,
하우징 기어(342)의 기어 치형부(410)를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한정 정지부(392, 394) 사이에 위치시킨다.
록 스프링 하우징(340), 스프링(344), 및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342)로 이루어진 이 조립체는, 콘 구동 하우징(336)의 수직 벽(348) 넘어로 연장된 엑슬(158') 부분에 장착된다. 필수적으로, 역시계방향으로 스프링(344)의 제2단부(400)가 동작하도록 록 스프링 하우징(340)에 대한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342)를 약간 아래로 밀어서(회전) 스프링(344)의 내측직경면(412)을 충분히 "개방"(언코일)하여 구동 콘(338)의 엑슬(158')위로 활주 시킨다. 록 스프링 하우징(340)에 "V"형상 돌출부(395)는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에 대응 "V"형태 플랜지(382) 뒤에 형성된 슬롯 안으로 활주되고 그리고,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하부에 직사각형 돌출부(388)가 콘 구동 하우징(336)에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고정 장착용 장길이 홈(381) 안으로 떨어진다.
록킹 아암(334)이 상술한 바와 같이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에 조립되어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의 엑슬(358, 360)이 록킹 아암(334)의 개구(424) 안에 스넵 결합되고, 그리고 록킹 아암(334)의 기어 치형부(411)가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342)의 기어 치형부(410)와 맞물린다. 구동 코드(122)는 L형상 록킹 아암(334)의 단길이 레그(416)의 단부에 개구(418)를 통해 누비듯이 지나가고, 안내면(371) 위 로 홀(364)을 통해 연장되어, 구동 콘(338)에 싸여지고 그리고, 전체 조립체가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의 하부에 사각형 립(366)이 헤드 레일(108)의 하부에 대응 홀 안에 억지끼움되도록 헤드 레일(108)에 장착되고, 그리고 콘 드라이브 하우징(336)의 상방향 돌출 이어(368)가 헤드 레일의 프로필에 대하여 스넵 결합 한다. 다음, 코드(122)의 자유 단부는 장식술 추(232)(도6에 도시)를 통하여 연장되고 그리고 장식술 추(232)에 고정되게 묶여진다.
구동 코드(122)를 조작자가 당김으로서, 그는 또한 코드(122)가 록킹 아암(334)의 단부에서 개구(418)를 통해 진행함으로서 록킹 아암(334)의 단길이 레그(416)를 당기게도 된다. 이러한 구조는 록킹 아암(334)이 그 연장된 위치까지 회전축(426)을 중심으로 역시계방향으로(도6의 유리한 위치에서 볼 수 있음) 회전을 일으키게 한다. 록킹 아암(334)의 치형부(411)가 록킹 아암(334)의 회전으로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342)의 기어 치형부(410)와 맞물림으로,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342)가 회전축을(구동 콘(338)의 회전축(48')과 일치) 중심으로 회전을 일으키게 한다.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342)의 회전으로, 스프링(344)의 제2단부(400)와 결합된 슬롯(409)은 스프링(344)의 단부(400)가 회전을 하게 한다. 스프링(344)의 제1단부(398)는 록 스프링 하우징(342)의 슬롯 오목부(396)에 수용되어, 이동을 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스프링(344)의 단부(400)의 회전은 스프링(344)의 내측직경을 증가하게 하며, 스프링(344)이 구동 콘(338)의 엑슬(158')에서의 파지부를 구속해제하여, 구동 콘(338)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다음, 조작자는 구동 코드(122)를 당기어서 블라인드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중력에 의한 블라인드의 하강으로 구동 콘(338)에 구동 코드(122)가 감기게 한다.
구동 코드(122)가 구속 해제되면, 레버 아암(334)을 구속 해제하여, 스프링(344)이 "대기"위치로 복귀하여, 레버 아암(334)을 수축하고 그리고 스프링(344)이구동 콘(338)의 엑슬(158')을 다시 수축 및 파지하게 하여 구동 콘(338)의 회전동작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조작자에 의한 구동 코드(122)의 구속 해제 시에 상승되지도 않고 하강되지도 않도록 윈도우 커버링(330)을 고정한다. 록 스프링 하우징 기어(342)는, 록 스프링 하우징(340)의 2개 리미트 정지부(392, 394)사이에 거리로 한정된 소 원호부를 통한 회전 만을 필요로 한다.
조작자는 구동 코드(122)에 충분한 장력을 유지하여 아암(334)이 회전축(148')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위해 구동 콘(338)이 자유롭도록 연장된 위치까지 역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필요 만이 있다. 만일 조작자가 구동 코드(122)를 충분하게 당긴다면, 코드(122)는 구동 콘(338)으로부터 풀어지는 작업을 개시하여, 구동 콘(338)의 회전을 일으키고 그리고, 리프트 봉(118)과 틸트 역(116")이 윈도우 커버링(330)의 상승이 일어나게 한다. 그런데, 만일 조작자가 연장된 록킹 아암(334)이 지켜지도록 구동 코드(122)에 충분한 장력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구동 코드(122)의 긴장을 완화하고, 다음, 윈도우 커버링의 웨이트가 윈도우 커버링의 하강을 일으키고, 리프트와 틸트 역(116")의 리프트 드럼에서부터 리프트 코드를 풀어서, 리프트 봉(118)과 구동 콘(338)이 회전을 하게하여,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338)에 감싸여지게 된다.
롤러 록을 가진 틸터 기구
도10은 틸터 기구(117)가 롤러 록(104)을 사용하는 새로운 틸터 기구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2의 블라인드(100')에 대해 상술된 요소와 동일한 요소를 구비한 블라인드(450)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기구는 도2의 2개 틸트 코드 구조 대신에 단일 틸트 구동 코드(21)를 사용한다. 틸터 기구(452)에 있는 편향 수단(이 실시예에서는 상당히 약성의 코일 스프링)은 일 방향으로 틸트 폐쇄 위치를(말하자면, 예를 들어 틸트-폐쇄된-룸 사이드 업 위치) 향하는 방향으로 블라인드를 편향시킨다. 틸트 구동 코드(121)를 당기는 조작자가 약성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작동함으로서 블라인드를 개방하거나, 또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반대방향(예를 들면, 틸트-폐쇄된-룸-측부-하향방향)으로 완전하게 폐쇄된 블라인드를 기울인다. 상기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상당히 약성인 것이며, 블라인드를 임의 지점까지 폐쇄하여 완전한 차양으로 사생활 보호를 하는 기울임에 사용된다. 틸트 구동 코드(121)에 당김으로서, 블라인드의 웨이트를 능가하는 부가 힘을 필요로 하는 블라인드의 개방 또는 블라인드의 완전한 폐쇄를 할 수 있다. 록킹 기구(상술된 롤러 록(104)은 이 실시예서 보여짐)는 코드(121)가 구속 해제될 때 소망 위치에서 틸트 된 슬랫(112')을 유지시키고 그리고 틸트 구동 코드에 장식술 추가 들어 올려질 때에 상기 스프링은 반대방향으로 틸트 드럼이 회전하도록 허용하여, 틸트 구동 코드가 캡스턴이 서지(surge)되게 한다.
이러한 블라인드(45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에서는 고등급의 대칭성을 가진다. 구동 단부와 틸터 단부는 서로 거울상 같이 보이고, 단일 코드와 장식술 추 를 가진 각각이 그 개별적인 롤러 록 기구(104)를 벗긴다. 윈도우 커버링의 구동 단부에 롤러 록 기구(104)(예를 들면, 록킹 독을 가진 롤러 록, 그리고 막대를 가진 롤러 록)용으로 상술된 동일 실시예가 윈도우 커버링의 틸터 단부(tilter end)상에 있는 롤러 록 기구(104)에 적용되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레버 록 기구(332)와 같은 다른 타입의 록킹 기구가 동일 결과를 달성하도록 롤러 록 기구(104)를 대신하여 사용되었음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57 내지 도68은 도10의 틸터 기구(452)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롤러 록 기구(104)는 명확한 도시를 위해 기타 부분을 생략하고 일부 만을 나타내었다. 임의 경우에서, 롤러 록 기구(104)와 그 조작은 상술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된 롤러 록 기구(104)와 동일하다.
도59를 참고로 설명하면, 틸터 기구(452)는 스프링 하우징(454)과, 스프링(456)과 플리 기어(458)와, 하우징 평판(460)과, 틸트 기어(462), 아이들러 기어(464), 기어 하우징(466), 플리(468) 및, 자기-탭핑 나사(470)를 구비한다. 롤러 록 기구(104)는 상술된 롤러 록 하우징(130)과, 롤러 록(132) 및, 롤러 록 하우징 커버(134)를 구비한다.
도58, 도59, 및 도61을 참고로 설명하면, 스프링 하우징(454)은 최종 조립 중에 자기-탭핑 나사(470)를 수용하는 코너 배치 나사 홀(474)과 공동(472)을 형성하는 대략 사각형 프로필 부재이다. 제1축선방향-연장 돌출부(476)는 관통 홀(478)을 형성하여 리프트 봉(118)(도10에 도시)이 틸터 기구(452)를 통한 연장을 이룬다. 제2축선방향 연장 돌출부(480)는 후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고 도61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5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스프링 하우징(454)의 후방 벽은 플리 기어(458)의 회전 지지부용 홀(482)(도58에 도시)과, 틸터 기구(452)를 통해 틸트 로드(119)(도10에 도시)가 연장할 수 있게 하는 홀(484)을 형성한다. 따라서, 틸터 기구(452)는, 리프트 봉(118)과 틸트 로드(119) 양쪽이 틸터 기구(452)를 통해 완전하게 연장되어, 헤드 레일(108)의 길이를 따라서 임의 장소에 배치된다. 도59와 도62를 참고로 설명하면, 하우징 평판(460)은 직사각형 형태 프로필을 가지어서 스프링 하우징(454)의 형태와 짝을 이루고, 스프링 하우징(454) 내에 있는 홀(474, 478, 482, 484) 각각에 대응하고 그와 일렬로 있는 홀(474', 478', 482', 484')을 한정하고 있다. 추가 홀(486)은 아이들러 기어(464)용 회전 지지부를 제공하는 반면에, 홀(484')은 틸트 기어(462)용의 유사한 회전 지지부를 제공한다.
도59와 도66을 참고로 설명하면, 플리 기어(458)는 2개 단부 플랜지(490, 492)를 가진 스프링 권선 스플(488)을 구비한다. 권선 스플(488)은 리세스 플랫(496)을 향하는 방향으로 공동(494)의 반대측으로부터 돌출된 내부방향 돌출 버튼(498)과 리세스 플랫(496)을 부가로 한정한 길이방향 슬롯 공동(494)을 형성한다.(도61 및 도66에 도시) 스프링(456)은 버튼(498)을 수용하여 플리 기어(458)의 권선 스플(488)에 스프링(456)의 단부(500)를 구속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홀(502)을 형성한 제1단부(500)를 구비한다.
각 플랜지(490, 492) 외측에 바로 있는 견부(490', 492')는 플리 기어(458)의 회전 지지를 위한 하우징 평판(460)에 있는 대응 홀(482')과 스프링 하우징 (454)에 있는 홀(482)에 의해 지지된다. 플리 기어(458)는 스플라인 연장부(504)와, 기어 하우징(466)에 대한 플리 기어(458)의 회전 지지를 위한 다른 견부(506), 및 플리 기어(458)의 단부(512)에 인접하여 있는 원주부 노치(510)를 가지고 육각형 프로필로 이루어진 다른 연장부(508)를 구비한다. 후술되는 바로서, 노치(510)는 플리 기어(458)에 플리(468)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도59를 참고로 설명하면, 아이들러 기어(464)는 홀(486")에 기어 하우징(466)에 의해 그리고 홀(486)에 있는 하우징 평판(460)에 의해 회전을 위해 지지를 받게 되는 단거리 엑슬(514, 516)이 있는 스플라인 실린더(513)이다. 스플라인 실린더(513)는 틸트 기어(462)의 스플라인 실린더(517)와 그리고 플리 기어(458)의 스플라인 연장부(504)와 맞물린다.(도63에 도시) 틸트 기어(462)는 홀(484")에 기어 하우징(466)에 의해 그리고 홀(484')에 하우징 평판(460)에 의해 회전용으로 지지된 엑슬(518, 520)을 구비한다. 틸트 기어(462)의 허브는 비원형 프로필 개구(524)를 형성하고, 개구는 틸트 로드(119)의 유사 형상 프로필과 결합한다.
도59를 참고로 설명하면, 플리(468)는 플리 기어(458)의 연장부(508)의 프로필과 맞물리는 중공, 육각형 프로필 중앙 개구(528)를 가진 원통형 부재이다. 플리(468)의 일 단부에 플랜지(53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플리(468)에 틸트 코드(121)를 묶기 위한 축선방향 연장 홀(532)을 형성한다. 2개 사면 아암(534)은 플리(468)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되고, 플리 기어(458)의 연장부(508) 위에 플리(468)가 장착될 때에 플리 기어(458) 내의 노치(510) 둘레에 정위치에 스넵 결합하도록 설계되어 플리 기어(458)에 플리(468)를 고정 부착한다.
도67과 도68을 참고로 설명하면, 기어 하우징(466)은, 스프링 하우징(454) 내의 대응 홀(474)과 하우징 평판 내의 대응 홀(474')과 일렬로 정렬된 홀(474")을 형성하고 그리고 하우징 평판(460)과 동일한 형태를 가진 제1단부 벽(536)을 구비한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부재이다. 틸터(452)는 세트로 이루어진 대응 홀을 통하여 자기-탭핑 나사(470)를 삽입하여서 함께 유지된다. 기어 하우징(466)의 단부 벽(536)은 스프링 하우징(454) 내의 홀(478)과 그리고 하우징 평판(460) 내의 홀(478')과 일렬을 이루는 홀(478")을 형성하여 리프트 봉(118)용 통로를 형성한다.
기어 하우징(466) 내의 공동(538)(도63에 도시)은 단부 벽(536)쪽으로 개방되고 그리고 이러한 공동(538)은 플리 기어(458)와, 아이들러 기어(464), 및 틸트 기어(462)의 스플라인 연장부(504)를 수용한다. 기어 하우징(466)의 반대측 단부 벽(540)은 하우징 평판(460)의 홀(482', 486, 484')에 대응하고 일렬로 있는 홀(482", 486", 484")을 형성한다.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플리 기어(458)의 원통형 견부(506)는 기어 하우징(466)의 홀(486")에 위치하고; 그리고 틸트 기어(462)의 엑슬(520)은 기어 하우징(466)의 홀(484")에 위치하여, 플리 기어(458), 아이들러 기어(454) 및 틸트 기어(462)가 함께 맞물리어, 회전의 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을 위해 지지를 받게 된다. 플리 기어(458)의 육각형 프로필 연장부(508)는 홀(482")을 통하고 기어 하우징(466)의 단부 벽(540) 넘어로 연장되며 그리고, 플리(468)는 이러한 연장부(508)에 장착되어, 플리 기어(458)에 플리(458)를 고정하도록 장길이 오목홈(510)에 정위치에 스넵결합된 플리(468)의 사면 돌출부(534)를 가지고 있다.(도64에 도시)
도57 내지 도59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홀(482")의 대략적으로 일 부분을 둘러싸는 원호형 립(542)은 틸트 코드(121)가 플리(468)를 어긋난 활주를 방지하기 위해서 립(542)과 플리(468)의 코드 수용면 과의 사이에 틸트 코드(121)의 직경보다 작은 레디얼 갭(544)을 형성한다. 따라서, 코드(121)는 플랜지(530)와 립(542) 사이에 플리(468)에 감겨진다. 축선방향 연장 시일드(shield)(546)는, 틸트 코드(121)가 도57에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코드(121)를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역시계방향으로 플리(468)에 감겨지게 될 때에 플리(468)에 틸트 코드(121)를 안내하는 역활을 한다. 시일드(546)는 또한 리프트 봉(118)과의 접촉으로부터 틸트 코드(121)를 보호한다. 제2축선방향 연장 시일드(548)는 틸트 코드(121)가 도57에서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코드(121)를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플리(468)에 감겨질 때에 플리(468)에 틸트 코드(121)를 안내하는 역활을 한다. 이러한 제2시일드도 틸트 로드(119)와의 접촉으로부터 틸트 코드(121)를 보호한다.
조립:
롤러 록 기구(104)와 틸터(452)의 조립에서, 스프링(456)의 단부(500)는 플리 기어(458)의 슬롯 공동(494)에 삽입되고 약간 변형되어 플랫(496) 구역에 진입하여서, 스프링 단부가 정상 상태로 돌아오면, 플리 기어(458)의 버튼(498)이 스프링(456)의 홀(502)에 수용되어 플리 기어(458)에 스프링(456)을 고정한다.
다음, 이러한 스프링(456)과 플리 기어(458)는, 홀(482)내에서 회전용으로 장착된 플리 기어(458)와 연장부(480)상에서의 회전용으로 장착된 스프링(482)을 가지고, 스프링 하우징(454)의 공동(472)에 설치된다.(도64에 도시) 하우징 평판 (460)은 홀(482')에 놓여진 플리 기어(458)의 견부(492')를 가지고, 공동(472)을 에워싸도록 설치된다.
아이들러 기어(464)와 틸트 기어(462)는 플리 기어(458)의 스플라인 연장부(504)가 아이들러 기어(464)와 맞물리고 그리고 차례로 아이들러 기어(464)가 틸트 기어(462)와 맞물리도록 하우징 평판(460)의 각 대응 홀(486, 484')에 설치된다. 다음, 기어 하우징(466)이 설치되어 플리 기어(458), 아이들러 기어(464) 및 틸트 기어(462)의 스플라인 연장부(504)가 공동(538) 내에 모두 수용되어, 플리 기어(458)의 육각 프로필 연장부(508)가 기어 하우징(466)의 홀(482")을 통해 돌출된다. 아이들러 기어(464)의 엑슬(516)은 홀(486")에 놓이고 그리고 틸트 기어(462)의 엑슬(524)은 홀(484")에 놓인다. 다음, 플리(468)가 플리 기어(458)의 연장부(508) 위에 설치되어, 사면 돌출부(534)가 노치(510)에 스넵 결합되어 플리(468)를 플리 기어(458)에 고정하고 그리고 나사(470)가 기어 하우징(466)의 개구(474")와, 하우징 평판(460)의 개구(474')와 스프링 하우징(454)의 개구(474)를 통해 지나가서, 단단히 죄어져 전체 조립체(452)가 함께 고정된다.
다음, 상기 조립체(452)가 푸트(549)의 도움으로 헤드 레일(108)에 스넵 장착되고(도62, 도63, 도64에 도시), 그리고 롤러 록 기구(104)도 상기 실시예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헤드 레일(108)에 장착된다.
틸트 구동 코드(121)의 일 단부는 플리(468)내의 개구(532)를 통해 공급되고 그리고 매듭 또는 기타 팽출물이 플리 플랜지(530)에 코드(121)에 묶여져 플리(468)에 코드를 고정한다. 다음, 코드(121)가 플리(458) 둘레에 감겨지고 그리고 코드(121)의 타 단부가 도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록 기구(104)에 전해진다. 롤러 록 기구(104)가 내측에 있으면, 코드(121)가 캡스턴(184) 둘레를 감게되고(도59참고) 그리고 코드(121)가 롤러 록 기구(104)의 하부 밖으로 연장된다. 다음, 틸트 구동 코드(121)의 자유 단부가 롤러 록 기구(104)의 상기 실시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장식술 추(106)에 부착된다.
틸트 구동 코드(121)는 사용자가 상기 기구(452)를 설치 및 작동을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역시계방향(틸트 코드(121)의 도시를 실선과 가상선으로 한 도57을 참고)의 어느 일 방향으로 플리(468)에 감겨지게 된다. 만일 코드(121)가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지면, 2개 시일드(546, 548) 사이가 경로가 된다. 만일 코드(121)가 시계방향으로 감겨지면, 시일드(548)의 외측에 경로가 된다.
도57, 59, 61 및 63를 간략하게 참고로 하여 기술하면, 코드(121)가 플리(468) 둘레를 반시계방향으로 감는 것으로 하면(도57에 실선으로 도시), 스프링(456)(도61에 실선으로 도시)이 돌출부(476) 밑으로 경로가 되고 그리고 시계방향으로 플리 기어(458)에 감겨진다. 다음, 사용자가 플리(또는 틸트 구동 스플)(468)로부터 감김 해제를 하도록 틸트 구동 코드(121)를 가압함으로서, 플리(46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상기 플리 기어(458)가 동일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구조는 스프링(456)이 돌출부(480)로부터 풀어져, 플리 기어(458)의 권선 스플(488)에 감겨지게 한다.
플리 기어(458)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틸트 기어(46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야기하는, 시계방향으로 아이들러 기어(464)가 회전하게 한다. 틸트 기어 (462)의 허브(524)에 수용된 틸트 로드(19)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틸트 로그(119)는 리프트와 틸트 역(116')(도10에 도시)에 연결되며, 상술된 발명의 명칭이 "건축물 개방부를 덮는 모듈러 전달 시스템"인 미국특허 6,536,503호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더 테이퍼상에 틸트 케이블(구동 코드)은 완전 개방 위치를 통하고 그리고 완전 폐쇄 위치(사용자가 틸트 코드(121)의 당김을 지속하는 경우)로 기운다.
조작자가 틸트 구동 코드(121)를 구속해제하면, 장식술 추(106)의 웨이트가 코드(121)를 롤러 록(104)의 캡스턴(184)에 팽팽하게 하여, 코드(121)가 캡스턴(184) 둘레에서 미끄러지듯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 스프링(456)은 플리 기어(또는 틸트 구동 스플)(458)에서 시계방향으로의 힘 또는 로드를 발휘하며, 그 완화 상태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플리 기어(458)로부터 자체 풀려지게 하면 되고, 그리고 이러한 힘은 플리기어(45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플리 기어(458)의 시계방향 회전은 또한 시계방향으로 플리(468)를 회전하게 하여, 틸트 코드(121)를 견인하고, 틸트 코드는 그 고정 위치로 롤러 록(132)을 들어 올리어(롤러 록 기구(104)의 상기 실시예로 기술된 바와 같음), 롤러 록 기구(104)를 고정한다. 따라서, 블라인드(450)의 슬랫(112')은 이들이 조작자가 틸트 코드(121)를 구속해제 할 때에 틸트의 각도를 유지한다.
만일 조작자가 장식술 추(106)를 느슨하게 한다면, 코드(121)가 캡스턴(184)을 상방향으로 지나가 활주하여(캡스턴(184)의 서지), 플리(468)가 스프링(456)에 의해 구동되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플리(468)에 감겨진다. 만일, 조작 자가 코드(121)를 당기는 웨이트를 계속하여 느슨하게 한다면, 코드(121)가 플리(468)에 지속적으로 감겨지고, 스프링은 플리 기어(458)로부터 계속하여 풀어지고, 그리고 틸트 기어(462)도 시계방향으로 틸트 로드(119)가 상태로 슬랫(112')이 닫힘 경사로 될 때까지 회전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에서는, 틸터 기구(452)의 "완화"상태가 대체로, 플리 기어(458)로부터 완전하게는 아니게 풀어진 스프링(456)과, 플리(468)에 감싸여진 코드(121) 및 차양목적 폐쇄 위치(만일 완전 차광을 위해 완전하게 폐쇄된 것이 아닌, 사생활 보호를 목적으로 닫혀지게 차양을 친 경우)에 있는 슬랫(112')을 가진다. 틸트 코드를 당기어서, 조작자는 블라인드가 완전 개방될 때까지 블라인드(450)의 슬랫(112')을 회전하거나 또는 슬랫(112')이 완화된 스프링(456) 상태의 반대측 방향으로 완전하게 폐쇄되게 차양막을 칠때까지 부가로 회전시킨다. 만일, 조작자가 코드(121)에 힘을 충분히 주는 경우에는, 그는 완전 차광을 위해 완전 폐쇄된 위치까지 슬랫(112')을 칠 수 있을 것이며, 완전 차광은 일반적으로 블라인드의 웨이트를 능가하는 충분한 힘이 필요한 것이다. 슬랫(112')이 회전하는 동안에 임의 지점에서의 틸트 코드(121)의 구속해제는 롤러 록 기구(104)를 고정하고, 틸트 코드(121)가 구속해제되는 지점에 있는 틸트 각도에서 슬랫(112')을 유지한다.
다른 틸터 기구가 윈도우 커버링을 설치하는데 단일 코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편향 수단과 록킹 기구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당 기술분야의 기술인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편향 스프링을 가진 유성기어 구동 틸터 기구가 록킹 수단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유성기어 틸터 기구는 틸트 코 드(121)에 증가된 행정을 초래하는 헤드 레일(108)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 내에서의 플리 사이즈와 기어동작의 조합을 허용하도록 설계되며, 슬랫(112')을 펼치기위한 보다 섬세한 제어 및 보다 작은 힘을 산출한다. 다른 예로는 어떠한 기어도 없는 틸터 기구가 있으며, 틸트 로드에 직접 장착되는 드럼 주위를 틸트 코드가 감싸고 달성되지만, 다시, 단일 코드가 윈도우 커버링을 펼치는데 사용되는 록킹 수단과 관련하여 있는 편향 수단을 구비한다.
스프링 도움을 받는 단일 코드 드라이브
도9는 이 경우에는 셀룰러 제품인 윈도우 커버링(62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며, 콘 드라이브(102), 롤러 록 기구(104), 장식술 추(106), 리프트 봉(118), 및 헤드 레일(108)에 장착된 리프트 역(116)과 같이, 도1의 셀룰러 제품(100)에 대해 상술된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윈도우 커버링은 상술된 발명의 명칭이 "건축물 개방부를 덮는 모듈러 전달 시스템"인 미국특허 6,536,503호에 설명되어 있는 보조 모터(622)와 변속기(624)를 포함한다. 롤러 록 기구(104)와 장식술 추(106)를 가진 콘 드라이브(102)의 조작은 셀룰러 제품(100)에 대해 상술된 것과 동일한 것이지만, 모터(622)가 리프트 봉(118)의 회전에 조력하여 윈도우 커버링의 상승을 돕는 것이다.
도1과 도9를 대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윈도우 커버링은 보조 모터를 가지지 않거나(비동력) 또는, 언더파워 시스템 또는 오버파워 시스템의 어느 하나용의 변속기(624)를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은 보조 모터(622)를 구비할 수 있다.
만일 시스템이 언더파워 되면, 스프링 모터(622)가 너무 약해서 자신의 힘으 로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 시킬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조작자의 보조는, 감소된 양의 힘으로 조작자가 구동 코드(122)에 당김력을 발휘하여 윈도우 커버링(620)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필요한 최대 12 내지 15파운드를 초과하는 대형 윈도우 커버링용으로 또는 중량 윈도우 커버링(예를 들면, 우든 슬랫을 가진 블라인드)용으로 유용하다.
만일 시스템이 오버파워 되면, 스프링 모터(622)는 실질적으로 윈도우 커버링(620)을 상승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더 강력하게 된다. 이러한 예에서는, 윈도우 커버링(622)의 조작이 역전된다. 구동 코드(122)를 당기는 조작인의 일이 중력 힘으로 윈도우 커버링(620)이 하강된다. 소요된 접촉력(catalytic force)(조작 공급력)은, 윈도우 커버링(620)의 전체 웨이트가 하부 레일(110)에 놓이고 중력에 의해 하강되도록 작동하는 윈도우 커버링(620)의 정상부 부근에서 최소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구동 코드(122)는 구동 콘(124)의 원통형 부분(174)(도13에 도시)으로부터 풀어진다. 윈도우 커버링(620)이 하강함으로서, 더 많은 중량이 하부 레일(110)로부터 헤드 레일(108)로 이동되어, 적은 중량이 조작자가 윈도우 커버링(620)을 하강하는 것을 도와주는데 활용되고, 따라서 조작자는 윈도우 커버링(620)을 상승시키는 작동을 하는 스프링 모터(622)의 로드를 능가하는 큰 힘을 발휘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구동 코드(122)는 증가된 레버 작용(구동 코드(122)의 증가된 행정 이동을 희생해서)을 초래한 구동 콘(124)의 절두원추형 부분(176)(도13에서 볼 수 있음)으로부터 풀어진다.
따라서, 윈도우 커버링(620)의 상승과 하강 동작의 이러한 "역전" 이외의 것 에서, 롤러 록(104)과 콘 드라이브(102)의 조작은 이전 실시예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다른 타입의 록킹 기구를 가진 단일 코드 틸터 기구와, 레버 록과, 막대를 가진 롤러 록 및, 록킹 독을 가진 롤러 록과 같이 이전 기술된 실시예도 모터 보조와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롤러 록 기구의 다른 실시예
도83 내지 도9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 롤러 록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롤러 록 기구(104"')는 본원에서 이전 기술된 롤러 록 기구를 대신하여 사용된다. 간략한 기술을 위해, 도1과 도11의 롤러 록 기구(104)를 직접 대체하는 실시예(104"') 만을 여기에 도시하였지만, 당 분야의 기술인은, 기술된 동일 개념이 록킹 독(104'), 막대 작동체(104")를 가진 롤러 록 기구, 및 롤러 록 기구(104)를 가진 틸터(452)로 이루어진 롤러 록 기구를 대신하여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롤러 록 기구(104)(도13에서 볼 수 있음)를 가진 롤러 록 기구(104"')의 이러한 변경 실시예와 대비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차이는 미묘하면서도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롤러 록 기구(104"')는 로터(132'")(또한 롤러 록(132"')으로도 참고됨), 하우징(130"'), 및 커버(134"')를 구비한다. 커버(134"')는 미학 목적 만의 역활을 하고, 하우징(130"')의 전방에 스넵결합하고 그를 덮는다(하우징(130)의 후방에 스넵결합하고 그리고 하우징(130)의 공동(218)에 로터(132)를 포획하는 기능적 목적을 수행하는 커버(134)와 대비).
도87을 참고로 설명하면, 로터(132"')는 각각 외부와 내부 사면(196"', 197"')에 의해 측면과 접하는 캡스턴(184"')을 구비한다. 외부 사면(196"') 근방에는 단거리 외부 엑슬 단부(190"')의 옆으로 이어져 있는 사각형 프로필 부분(186"')이 있다. 내부 사면(197"') 근방에는 단거라 내부 엑슬 단부(192"')에서 마감되는 절두원추형 프로필 부분(188"')이 있다. 엑슬 단부(190"', 192"')는 로터(132"')의 회전축(198"')을 한정한다. 캡스턴(184"')은 롤러 록 기구(104)의 팔각형 프로필 캡스턴(184)과 대비하여 완만한 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스턴(184 또는 184"')은 다양한 프로필을 가지며, 이러한 표면의 텍스쳐는 예를 들면 고무로 코팅 또는 모래분사 또는 널링 작업과 같은 수단으로 향상시키어 마찰 특성을 증진하였다.
도85와 도86을 참고로 설명하면, 하우징(130"')은, 큰 반경부(204"')를 가진 하부 코드 유입 개구(200"')를 한정한 하부 벽(202"')과, 헤드 레일(108)에 개구(209)를 통해 지나가도록 설계된 장착 플랫폼(214"') 밖으로 펼쳐지며, 헤드 레일(108)과 결합하는 상부 코드 개구(206"')를 구비하는 롤러 록 기구(104)의 하우징(130)과 유사하며, 플랫폼(214"')에서 돌출된 이어(212"')와 수직 벽(210"')의 도움으로 제위치에 스넵결합 한다. 하우징(130"')은 롤러 록 로터(132"')를 회전식으로 수용하는 공동(218"')을 한정한다. 일 단부 벽(221"')은 롤러 록 로터(132"')의 엑슬 단부(192"')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공동(220"')을 한정한다. 도8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동(220"')은 도17의 실시예에 도시된 슬롯 포켓(220)과는 대체로 다른 수직방향으로 엑슬 단부(192"')의 이동을 구속한다. 나머지 단부 벽(223"')(도89에서도 볼 수 있음)은 도17에 도시된 실시예의 슬롯 포켓 (220)과 유사하게, 슬롯 공동(225"')을 따라서 엑슬(190"')의 수직운동을 허용하며 엑슬(190"')을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수직방향 슬롯 공동(225"')을 한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17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은, 롤러 록(132"')의 일 엑슬 단부(190"')가 수직방향으로 임의 거리를 이동하고, 타 단부(192"')가 수직방향으로 훨씬 덜 운동하게 구속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롤러 록(132"')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에 평행한 위치로 상방향으로 이동하기 보다는 임의 각도로 피봇되거아 경사지는 것을 의미한다.
사면(224"')(도91에서도 볼 수 있음)은 타 엑슬 단부(190"')가 슬롯 공동(225"') 안으로 삽입됨으로서 공동(220"') 안으로 로터(132"')의 제약된 엑슬 단부(192"')를 스넵결합하는 동작을 도와준다. 하우징(130"')에 있는 공동(220"')은 타 엑슬 단부(190"')가 슬롯 공동(225"')을 따라서 수직적으로 활주하는 동안에 받침점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하여 롤러 록 로터(132'")의 고정 엑슬 단부(192"')용의 받침점으로 작용한다. 도89와 도90에 도시된 로터의 하부 위치에서, 롤러 록 로터(132"')는 회전축(19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 록(132"')이 받침점(220"')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피봇동작 하고, 이제는 이전 위치에 대해 임의 각도로 놓여지도록 회전축(198"')을 피봇동작하여, 롤러 록(132"')의 사각형 프로필 부분(186"')이 공동(218"')의 상부 내측벽에 대항하여 충돌하고, 상기 내측벽은 하우징(130"')과 상관하여 롤러 록(132"')의 회전을 방지하는 정지부로서의 역활을 한다.
도89를 참고로 설명하면, 롤러 록(132"')의 대칭성을 볼 수 있다. 즉, 캡스 턴(184"')의 좌측으로 롤러 록(132"')의 절두원추형 프로필 부분(188'")이 캡스턴(184"')의 우측으로의 부분(186"')보다 상당히 더 길다. 도17A(롤러 록 기구(104)에 있는 롤러 록(132)을 도시)를 간단히 참고하여 설명하면, 구동 코드(122)가 롤러 록(132)에 다른 지점에서 작용함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도89의 롤러 록에서도 볼 수 있다. 조작자에 의한 코드(122)상에 하방향 당김력은 개구(200)와 일렬로 발휘되어 그리고 장길이 부분(188)에 더 근접하고, 반면에 코드(122)에 당겨지는 힘은 우측으로 이동되어 단길이 부분(186)에 더 근접하게 개구(206)(도17A에 도시 않았지만, 그 대응 파트(206"')는 도89에 도시)와 일렬을 이룬다.
도89로 다시 가서 보면, 롤러 록(132"')에서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레버 아암의 거리(하우징(130"') 내의 개구(206"')와 개략적으로 일렬로, 코드(122)가 로터(132"')와 접촉하는 지점으로 받침점(220"')으로부터의 거리)에 코드(122)상에 중량(또는 힘) 당김력을 곱한 값과 동일하다. 롤러 록 로터를 하방향으로 당기기 위해서는, 단길이 레버 아암에 이러한 약간 큰 힘을 곱한적이(하우징(130"')에 있는 개구(200"')와 대체로 일렬로 있는 코드(122)가 롤러 록(132"')과 접하는 지점까지 받침점(220"')으로부터의 거리) 롤러상에 강제 당김력의 그 장길이 레버 아암에 롤러 록(132"')상에 당김력을 곱한적과 동일하도록, 약간 큰 중량(힘)을 조작자가 적용할 필요가 있다. 양쪽 경우에 레버 아암이 공평하게 장길이(부분(188"')의 길이로 인한)이고 그리고 힘이 가해진 장소 사이에 차가 레버 아암의 길이와 관련하여 매우 짧음으로, 가해진 힘의 크기의 차이가 매우 적다. 그런데, 만 일 롤러 록(132"')이 대칭성이고 그리고 매우 짧다면, 레버 아암의 길이도 또한 공평하게 단거리 이고 그리고, 힘이 가해진 받침점 으로부터의 거리의 차이는 상당히 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코드(122)상에 강제 당김력 보다 상당히 더 큰 롤러 록(132"')상에 하방향 당김력을 필요로 하는 힘으로 된다.
롤러 록(132"')이 자신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기 보다는 받침점(220"')을 중심으로 피봇작용 한다는 사실과, 하우징(130"')이 공동(218"') 내에 롤러 록(132"')을 유지하는데 커버(134"')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제외하고, 조립체와 롤러 록 기구(104"')의 조작은 상술된 롤러 록 기구(104)의 것과 동일하다.
도95는 상술된 롤러 록(132"') 대신에 사용된 롤러 록(13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변경 실시예는 캡스턴(184*)이 약간 더 길고 그리고 외부 경사진 측벽(196*)만을 가진 것을 제외하고는 롤러 록(132"')과 매우 유사한 것이다. 내부 경사진 측벽(197"')은 불필요하여 제거되어져 있다. 생성된 롤러 록(132*)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기능의 손실 없이 제조하기가 상당히 용이한 부품이다.
도89와 롤러 록 기구(104"')의 조작에 관한 설명을 다시 간단히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롤러 록(132"')은 그 하부에서, 사용자가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시키기 위해 구동 코드(122)를 당길 때에 고정해제된 위치에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롤러 록(132"')은 회전축(198"')(도87에 도시)을 중심으로 구른다(rolling). 롤러 록(132"')이 회전하게 되면, 구동 코드(122)의 감김작용이 코드가 롤러 록(132"')에 감겨지는 방향으로의 "워크성(tend to walk)"이 있으며, 롤러 록은 외부 경사진 벽(196"')을 향하여 있다. 그런데, 코드가 롤링동작과 반대되는 캡스턴(184"')위로 활주하게 되면, "워크성"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윈도우 커버링을 하강하게 되고 그리고 롤러 록(132"')이 캡스턴(184"') 둘레를 활주하는 구동 코드(122)를 가진 상부 고정 위치에 있으면, 권선동작은 내부 경사진 측벽(197"') 쪽으로 "워크성"이 없어서, 이러한 내부 경사진 측벽(197"')은 어떠한 기능성도 손실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그 하부에 고정해제된 위치에서 롤러 록(132"')을 유지하면서 윈도우 커버링의 하강을 허용하기에 적당한 양의 힘으로 구동 코드(122)를 당긴다면, 롤러 록(132"')이 그 축(19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리고 구동 코드(122)의 권선동작이 상기 코드가 코드의 자유 단부에서 캡스턴 상에 감김으로서 경사진 측벽(197"')쪽으로의 워크성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평형동작은 실제사용 시에는 잘 발생이 안되며, 발생되더라도, 상태의 지속을 필요로 하는 양호한 평형을 하강으로 뒤집어서 윈도우 커버링의 중량이 변화하기 전에 잠시 동안만 발생한다. 그 결과는 실생활 조작 시에, 실질적으로 롤러 록(132"')이 항시, 윈도우 커버링이 하강되고 그리고 구동 코드가 캡스턴(184"')을 서지를 일으킬 때마다 비회전동작 상부 위치에서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권선동작은 내부 경사진 측벽(197"')쪽으로의 워크성을 가지지 않아서, 이러한 측벽(197"')은 도95에 도시된 롤러 록(132*)의 실시예와 같이 제거될 수 있다.
도96 내지 도10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롤러 록 기구(104**)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롤러 록 기구(104**)는 상술되어진 롤러 록 기구 대신에 사용된다. 간략한 기술을 위해, 도1과 도11의 롤러 록 기구(104)를 직접 대체한 실시예(104**)만을 여기에 나타내었다. 당 기술분야의 기술인은, 동일한 개념이 록킹 독(104')을 가진 롤러 록 기구와, 막대 작동기(104")를 가진 롤러 록 기구 및, 롤러 록 기구(104)를 가진 틸터(452)를 대신하여 사용되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롤러 록 기구(104**)의 실시예(도97에 도시)를 롤러 록 기구(104"')(도86과 도87에 도시)와 대비하여 보면, 그 차이는 작지만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롤러 록 기구(104**)는 롤러 록 로터(132**)(또한 롤러 록(132**)으로도 언급됨)와, 하우징(130"')을 구비한다. 커버(134"')(도85에 도시)는 이 실시예에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도98을 참고로 설명하면, 로터(132**)는 1개 만의 경사면(198**)에 의해 측면에 접해 있는 캡스턴(184**)을 구비한다. 경사면(198**) 근처에는 견부(187**)(팔각형 프로필 부분(186**)에 구조적 완결함을 제공하는 역활을 함)와 엑슬 단부(192**)로 이어지는 팔각형-프로필 부분(186**)이 있다. 캡스턴(184**) 근처에 있는 롤러 록 로터(132**)의 반대측 단부는 단길이 엑슬 단부(190**)에서 종결된다. 엑슬 단부(190**, 192**)는 로터(132**)의 회전축(198**)을 한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스턴(184**)은 다각형 프로필(상술 됨)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형 또는 다른 필요한 프로필을 가지고, 그리고 그 표면의 텍스쳐는 향상되어(예를 들어 고무로 코팅하거나 모래분사하거나 또는 널링과 같은 수단에 의함) 마찰 특성을 증진한다.
도97과 도99를 참고로 설명하면, 하우징(130**)은, 큰 반경부(204**)를 가진 코드 유입구 개구(200**)를 형성한 하부 벽(202**)과, 코드 유출구 개구(206**)를 형성한 상부 벽(208**)으로 이루어진 롤러 록 기구(104"')의 하우징(130"')과 유사하며, 상기 벽은 헤드 레일(108)에 있는 개구(209)를 통해 지나가도록 설계된 장착 플랫폼(214**) 외부로 펼쳐지며 그리고 헤드 레일(108)과 결합하며, 롤러 록 기구의 이전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위치에 스넵 결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코드의 장식술 추 단부에서 나온 유입구(200**)는, 도89에 도시된 롤러 록(104"')의 실시예의 위치와 반대측에 있는 구동 롤러로부터의 유입구(206**)에 있는 것보다 피봇 엑슬(192**)로부터 더 멀리 있음에 주의 한다. 이러한 배열은, 롤러 록(104"')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클릭킹"을 제거하여 양호하게 된다. 하우징(130**)은 롤러 록 로터(132**)를 회전적으로 수용하는 공동(218**)을 형성한다. 일 단부 벽(221**)은 로터(132**)의 엑슬(192**)을 회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공동(220**)(도99에 도시)을 한정하면서 엑슬 단부(192**)의 수직운동을 엄격하게 제약한다. 다른 단부 벽(223**)(도97에 도시)은 엑슬 단부(190**)를 회전식으로 지지하고 그리고 슬롯 공동(225**)을 따라서 엑슬 단부(190**)의 상당량의 수직 운동도 허용하는 수직 방향 슬롯 공동(225)을 형성한다. 다시, 타 단부의 대략적인 수직운동을 허용하는 동안에 롤러 록의 일 단부의 구속은, 롤러 록이 자체적으로 평행하게 이동하기 보다는 2개 작동 위치사이에서 틸트 및 피봇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면(224**)(도99에 도시)은 외부 엑슬 단부(190**)가 슬롯 공동(225**) 내에 삽입되면 공동(220**) 안으로 로터(132**)의 내부 엑슬 단부(192**)의 스넵 결합하는 것을 돕는다.
하우징(130**)은 도99와 도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 위치를 향하는 상방향으로 로터(132**)를 편향시키며, 로터(132) 밑에 위치하고 하우징(130**)의 후방 벽에서 돌출된 부가 부속물(670**)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부속물(670**)은 열가소성이며, 도101과 도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시키도록 구동 코드(122)(도1에 도시)를 당길 때에 하부(비고정)위치로 로터(132**)가 이동하도록 하방향으로 편향된다. 그런데, 사용작 구동 코드(122)를 구속 해제하여 사용자의 접촉 힘이 제거되는 순간, 상기 부속물(670**)의 탄성이 도102에서의 점선과 도100에서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위치로 상방향으로 로터(132**)가 움직이도록 한다.
정상적으로, 열가소성이 흐름을 냉각하고 그 원래 형태로 회복하는 스프링 성질의 상실로 스프링의 사용 열가소성이 작업을 하지 않는 반면에, 이러한 경우에, 열 가소성은 부속물(670**)이 통상적으로 언로드 되고 그리고 매우 짧은 시간(즉, 윈도우 커버링이 상승하도록 구동 코드(122)를 사용자가 당길 때에)동안만 로드 되기 때문에 양호하게 작업을 하며, 따라서 스프링(670**)은 흐름을 냉각하는 기회를 갖지 않거나 설정을 취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스프링(670**)은 대략 0.035인치 직경 정도로 매우 작아서, 스프링(670**)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양이 매우 적으며,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것에 적절한 힘을 더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프링(670**)은 도시된 바와 같은 열가소성 부속물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아마도, 하우징(130**)의 하부 벽(202**)을 미는 것은 스프링이 보다 편리할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84의 롤러 록(104"')과 같이 롤러 록 기구의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구동 코드(122)를 구속해제하는 시간과 롤러 브레이크 결합 시간과의 사이에 고유 시간이 있다. 하우징(130"')과 결합하는 로터(132"')의 약간의 수직방향 이동에 더하여, 로터(132"')가 또한 평판 프로필(186"')이 하우징(132"')과 결합할 때까지 회전축(198"')을 따라 회전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104**)에서는 스프링(670**)이 스프링(670**) 없이 행해지는 것에 비해서 상당히 더 빠른 비율로 상방향으로의 롤러 록 로터(132**)를 도와준다. 견부(672**)(도101 및 도104에 도시)에 대항하여 충돌하는 로터(132**)의 팔각형-치형 프로필 부분(186**)과 함께, 로터(132**)가 기본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구동 코드(122)가 구속해제된 후에 바로 완전 정지부로 전해지고, 최소로 윈도우 커버링의 하부 레일의 강하-복귀(drop-back)를 제한한다.
로터(132**)가 스프링(670**)에 의해 이동되고 그리고 로터가 하우징(130**)의 견부(672**)에 대항하여 충돌하는 팔각형-치형 프로필 부분(186**)을 구비한다는 사실을 제외하고, 롤러 록 기구(104**)의 조립 및 조작은 상술된 롤러 록 기구(104"')와 동일한 것이다.
본원에 도시된 롤러 록이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한 캡스턴을 고정하기 위해 주어지는 캡스턴의 회전축의 이동을 사용한 것이지만, 래칫 또는 폴 기구의 사용하여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는 회전축을 이동하는 택일적인 방식으로 다른 일방향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 이다.
도16 내지 도18의 롤러 록(104)의 축(198)은, 고정해제된, 아이들링 위치에서 고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대체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는 양쪽 엑슬(190, 192)을 가지고 자신에 대해 평행하게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하강하며(유사하게, 록킹 독을 가진 롤러 록(104')과 도30에 롤러 록(104")도 자신에 대해 평행하게 들어올려지는 축을 가짐), 반면에 도96-도105의 롤러 록(104**)은 고정되어 남아있는 일 엑슬(192**)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타 엑슬(190**)을 가지고, 자신에 대한 각도로 상하로 움직이는 축(198**)을 구비하여, 롤러 록이 대체로 동일 거리의 상방향으로 양쪽 엑슬 이외의 일 엑슬을 중심으로 피봇한다.(도83 내지 도91의 롤러 록(104"'), 도95의 롤러 록(132*), 및 도116-117의 롤러 록(778)도 상기 일 엑슬을 중심으로 피봇동작 하여 이동되며, 자신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기 보다는 각회전 축을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다.)
콘 드라이브의 다른 실시예
도92는 구동 콘(654)에 구동 코드(122)를 유도하는 고정된 코드 안내부(652)를 가진 콘 드라이브(650)를 개략적으로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예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안내부(652)는 코드(122)가 콘(654)에 감싸지는 장소에 있는콘(654)의 표면과 대략적으로 정렬을 이룰 때만 양호하게 실시한다. 도92에 도시된 상태에서, 고정 안내부(652)는 콘(654)의 축선 중앙 지점과 개략적으로 정렬되지만, 상기 코드(122)는 콘(654)의 극좌측 단부에서 콘(654)에 감겨진다. 이러한 오정렬은 콘(654)의 우측 단부 쪽으로 감겨질 때에는 코드(122) 가 언더-랩을 일으키고 그리고 코드 랩핑이 콘(654)의 우측 단부 쪽으로 동작함으로서 코드(122)가 오버-랩(자체 위에 랩)을 일으킨다. 고정점 안내부(652)(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원호 안내면을 갖지 않음)는 오버-랩 상태 없이 콘(654)에 코드(122)를 랩핑하는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방식은 못된다.
도93은 오버-랩 상태 없이 콘(654)에 코드(122)를 랩핑하는 문제에 대한 첫번째 해결방식을 제공하는 콘 드라이브(656)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예에서, 제1기어(658)는 리프트 봉(118)과 구동 콘(654)과의 회전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동일한 성질의 제2기어(660)는 제1기어(658)와 맞물리고 그리고, 콘(654)과 제1기어(658)의 회전 시에 제2기어(660)와 그 안내 로드(662)도 반대방향이기는 하지만, 회전하도록 쓰레드 안내 로드(662)와 같이 회전을 위해 장착된다.
내부 쓰레드 점 안내부(664)는 안내 로드(662)에 장착되고 그리고 안내 로드(662)와 같이 회전하는 동작이 저지되지만 로드(662)의 회전으로 안내 로드(662)를 축선방향으로 따라서 이동을 한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안내부(664)의 일부분이 축선방향 연장 슬롯 개구(도시 않음)와 결합하여, 안내부는 안내 로드(662) 주위를 선회할 수 없으나 아직은, 안내부(664)의 내부 쓰레드가 쓰레드 안내 로드(662)와 결합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달성한다. 콘(654)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제1기어(658)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기어(660)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그리고 안내부(664)는 리프트 봉(118)과 평행하게 안내 로드(662)를 따라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한다. 만일, 안내 로드(662)상에 그리고 안내부(664)상에 쓰레드가 올바르게 설계되었다면, 안내부(664)는 콘(654)상에 쓰레드와 짝을 이루는 비율로 축선방향으로 동작하여, 코드(122)가 콘(654)의 축선 길이를 따라 모든 위치에 맞게 리프트 봉(118)의 축과 대체로 수직하는 각도로 콘(654)에 놓여진다. 이러한 배열은 콘(654)에 감싸여서 코드(122)의 오버-랩핑(또는 언더-랩핑)을 불가능하게 한다.
도94는 오버-랩 상태 없이 콘(654)에 코드(122)를 랩핑하는 문제에 대한 다른 해결방식을 제안한 콘 드라이브(666)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예에서는, 상술된 콘 드라이브(656)에서와 같은 기어 피구동 안내 로드 대신에, 내부적 쓰레드 안내부(664')는 쓰레드 부분(668)을 가지도록 개조되어진 리프트 봉(118')에 직접적으로 장착된다. 다시, 내부적 쓰레드 안내부(664')는 리프트 봉(118')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동작이 구속을 받지만, 콘(654)과 리프트 봉(118')이 회전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된다. 상술된 실시예(654)에서, 이러한 예에서는, 안내부(664')가 콘(654)상에 쓰레드와 짝을 이루는 비율로 축선방향 이동을 하여, 코드(122)가 콘(654)의 축선 길이를 따라서 모든 위치에 맞는 리프트 봉(118')의 축에 대해 대체로 수직적인 각도로 콘(654)에 감싸여진다. 이러한 배열은 콘(654)에 싸여져서 코드(122)의 오버-랩핑(또는 언더 랩핑)이 불가능하게 한다.
고강도 슬리브
도106 내지 도110은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고강도 슬리브(704)와 V-로드 리프트 봉(702)을 나타낸 도면이다. 윈도우 커버링이 크기 및/또는 중량의 증가로서, 윈도우 커버링을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해서, 모터, 전송기, 기어 박스, 코드 드라이브, 및 리프트 역과 같은 다른 회전 성분 간에 더 큰 힘을 전달할 필요가 있 다. V-로드 리프트 봉(702)과 후술되는 고강도 슬리브(704)는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상기 힘을 전달하는 문제에 주의를 기울인 것이다.
도13을 간략히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구동 콘(124)은 "D"형상 개구(178)를 가지고, 도1 내지 도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D-형상 리프트 봉(118)(이후, D-로드(118)로서 언급됨)을 수용한다. 도106과 도107의 V-형상 리프트 봉(702)(이후, V-로드(702)로서 언급됨)은 도108에 도시된 프로필로 양호하게 예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V"노치(706)를 구비한다. 이러한 "V"노치 디자인은 도1에 도시된 D-로드에 비해, 윈도우 커버링(700)에 함유된 다른 성분으로 토오크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 더 좋다. 자연적으로, 다른 성분은 지금 성분 각각의 비-원형-프로필 개구가 D-로드 디자인과 짝을 이루는 대신에 "V"노치 형상과 짝을 이루도록 개조 또는 채택 된다. 이러한 특정한 "V"노치는 가장 양호하게는 원형 프로필의 외부 엣지로부터 직경의 대략 1/4 정도 홈이 파진 지점(707)에서 대략 90도의 각도를 형성하지만, "V"노치는 90도보다 크거나 또는 작은 각도이고 그리고 직경의 1/4보다 많거나 적은 외부 엣지에서 삽입 된다.
윈도우 커버링의 크기가 증가함으로서, 상기 성분 사이에 거리와 헤드 레일에 성분의 수도 증가한다. 예를 들면, 광폭 윈도우 커버링용으로, 도106에 도시된 3개 이상의 리프트 역(116*)이 리프트 봉(702)에 설치된다. 그 결과는 장길이 거리를 횡단한 추가 힘을 처리하는데 대형직경 리프트 봉(702) 또는 고 비틀림 세기를 가진 이종 재료로 제조된 리프트 봉을 필요로 하는 리프트 봉(702)을 압도한다. 그런데, 만일 리프트 봉(702)의 직경이 증가되고, 그래서 상술된 성분의 직경이 증 가된다면, 이러한 사실은 헤드 레일(108)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성된 구역 안에 이들이 설치하기가 곤란하게 만들 것이다. 더우기, 상기 성분의 회전동작 부분의 대구경은(예를 들면, 도13에 도시된 콘 드라이브(102)의 대구경 구동 콘(124)), 상기 성분의 회전동작 부분과 그 개별 하우징(콘 드라이브(102)의 경우에 하우징(126))과의 사이에 마찰손실의 증가를 초래하여, 그 결과 전체적으로 효율을 손실한다.
본원의 설계는 V-노치에 설치된 V-돌출부를 만들며, "V"노치 프로필과 매우 흡사하게 짝을 이루는 내부 외형체(708)를 고강도 슬리브(704)(도109에 도시)에 설치하여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였다. 리프트 봉(702)에 장착된 성분 사이에 고강도 슬리브(704)의 길이부를 설치하여, 리프트 로드(702)가 구동 리프트 역과 기타 다른 회전동작 성분에서 소직경을 갖는 잇점을 취하면서, 그 길이부의 대부분용으로 대직경을 효과적으로 가지고, 굽힘 및 비틀림 힘에 대한 보다 강하고 크게 저항할 수 있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9에서, 고강도 슬리브(704)(도9에는 도시 않음)의 길이부는 콘 드라이브(102)와 제1리프트 역(116) 사이에 설치되며, 슬리브(704)의 다른 길이부는 2개 리프트 역(116) 사이에 설치되고, 그리고 또 다른 슬리브(704)의 길이부는 제2리프트 역(116)과 전환부(624) 사이에 설치된다. 비틀림 모멘트와 굽힘력은 슬리브(704)가 도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봉(702)을 포위하는 임의 길이에 맞게 대직경 슬리브(704)로 일정하게 전달된다.
결과는 예를 들어 그 각각이 대략 2인치의 장길이인 4개 리프트 역(116)을 가진 일반적으로 10개 푸트 광폭 블라인드에서, 전체 조립체에의해 나타나게 되는 비틀림 편향이, 10개 푸트 장길이 로드에 의해 대면하는 비틀림 편향을 경험하기 보다는 오직 8인치 장길이(4개 리프트 역(116), 각각이 하나가 2인치의 장길이)인 리프트 봉의 편향과 사실상 동일 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V-로드(702)와 슬리브(704)는 펄트루드 섬유유리로 제조된다. 섬유유리는 그것이 강도, 완만도, 직선도, 및 비용 들이 우수한 조합을 이루기 때문에 선택된다. 그러나 금속과 플라스틱 같은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원에 도시된 V-형상 로드가 양호한 것이기는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된 D-형상 로드를 구비하는 리프트 봉의 다양한 다른 비-원형 단면이 로드의 외부 단면과 밀접하게 짝을 이루는 내부 단면을 가진 슬리브의 사용을 유익하게 취하여, 비틀림과 굽힘력이 슬리브의 대직경 섹션에 의해 지지되고, 반면에 구동 스플, 모터, 변환부 및 그와 유사한 부품과 같은 성분과 짝을 이루는 실질 리프트 봉이 소직경을 가지도록 연속하는 것을 당분야의 기술인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어박스
도111 내지 도11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윈도우 커버링에 사용되는 기어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윈도우 커버링의 크기 증가로(또는, 일부 경우에는, 윈도우 커버링에 사용된 물질이 우든 슬랫이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경우에 중량의 증가), 윈도우 커버링의 중량은 사용자가 구동 코드를 당기어 윈도우 커버링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지점에서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일 접근식은 사용자를 도와주도록 드라이브에 모터 및/또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것이다. 다른 접근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를 도와주는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 모터 및/또는 변속기와 관련하여 가능한 1개 이상의 기어박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1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윈도우 커버링(710)은 도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셀룰러 제품이지만, 윈도우 커버링(710)의 양단부에 있는 모터(522')와 변속기(624')에 더하여 기어박스(712, 712')를 합체시킨 것이다.
도112, 도113, 및 도11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기어박스(712)는 상부 하우징(714), 하부 하우징(716), 제1기어(718), 제2기어(720), 및 이중 기어(722)를 구비한다. 상부 하우징(714)상에 클립(724)은, 기어(718, 720, 722)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공동을 형성하는 단일 하우징 내에서 하우징 부분(714, 716)을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경사진 렛지(728) 위로 대응 소켓(726)에 스넵 결합한다. 또한, 기어박스(712)의 조립 하우징의 단부에는 기어박스(712)를 구동부상에 다른 성분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사용된 후크 돌출부(730)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111에서는, 기어박스(712')가 그 위에 후크 돌출부(730)에 의해 형성된 슬롯 안으로 콘 드라이브 하우징(126)(도83에도 도시)에 U형상 플랜지(732)를 활주하여 콘 드라이브(102)에 부착된다.
기어(718)는, V로드 리프트 봉(702)의 형태와 밀접하게 대응하는 내부 외형체를 가진 비-원형 개구(736)를 형성하는 제1단부(734)(도113에 도시)와, 단거리 엑슬(740)을 형성하는 제2폐쇄 단부(738)(도115에 도시)를 구비한다. 더욱이, 제2기어(720)는, V로드 리프트 봉(702)의 형태와 밀접하게 대응하는 내부 외형체를 가 진 비-원형 개구(746)를 형성하는 제1단부(744)(도115에 도시)와, 단거리 엑슬(750)을 형성하는 제2폐쇄 단부(748)(도113에 도시)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기어(718, 720)의 제1단부(7334, 744)는 각각 하부 하우징(716)에 U형상 새들(742)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를 받는다. 2개 U형상 새들(742) 사이 중간에 기초부(752)는 각각 제1 및 제2기어(718, 720)의 제2단부(738, 748)로부터 돌출된 단거리 엑슬(740, 750)을 회전식으로 지지 한다.
이중 기어(도113에 도시)는 하부 하우징(716)에 있는 소형 U형태 새들(754)에 의한 회전적인 지지를 받게된다. 이러한 이중 기어(722)는 기어박스(712)에 설치 시에 그 제1부분(722A)의 치부(teeth)가 제1기어(718)와 결합하고 그리고 제2부분(722B)의 치부가 제2기어(720)와 결합하는 크기로 설계된다.
도113과 도115를 대비하여 설명하면, 하부 하우징(716)의 제1 및 제2기어(718, 720)는 상기 기어의 단부 연결부를 가볍게 밀어서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이중 기어(722)도 또한 반대방향으로 가볍게 밀어서 제1부분(722A)을 여전히 제1기어(718)와 결합하고 그리고 제2부분(722B)을 제2기어(720)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전체적으로 다른 기어 세트(718, 720, 722)가 다른 기어비(다른 기구적 잇점이 필요한 경우)를 구하기 위해 동일한 하우징에 대체할 수 있다.
기어박스(712)의 조립에서, 제1 및 제2기어(718, 720)는 그 제1단부(734, 744)가 U형상 새들(742)에 놓여지고 그리고 그 제2단부(738, 748)가 기초부 지지부(752)에 놓여지도록 하부 하우징(716)에 설치된다. 이중 기어(722)는 제1부분(722A)이 제1기어(718)와 결합하고 그리고 제2부분(722B)이 제2기어(720)와 결합하 도록 각각의 U형상 지지부(754)에(또한 하부 하우징(716)에) 설치된다. 다음, 상부 하우징(714)은 기어(718, 720, 722)를 둘러싸는 하부 하우징(716)에 스넵 결합 된다.
V로드(702)의 일 길이부는 제1기어(718)의 비원형 개구(736) 내에 삽입된다. V로드(702)의 다른 길이부는 제2기어(720)의 비원형 개구(746) 내에 삽입된다. 도111에 도시된 예에서, V로드(702)의 제1길이부는 일 단부에 변속기(624')의 출력 기어와 짝을 이루는 어댑터(756)를 경유하여 변환부(624')로 연장된다. V로드(702)의 제2길이부는 리프트 역(116*)으로 연장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어박스는 임의적인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힘의 양을 감소하고 그리고 토오크의 감소로 장거리에 걸친 감소된 힘을 분배할 수 있게 설계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모터(622')와 변속기(624')에서 나오는 입력 힘이 기어박스(712)에 의해 감소된다.
기어박스는 또한 단거리 행정의 잇점을 제공하는 구도로 되어야 한다. 도115를 간단히 참고하여 설명하면, 기어박스(712')가 상술된 기어박스(712)와 대비하여 단부 연결부를 가볍게 밀어서 이루어진 기어(718, 720, 722)를 구비한다. 이러한 사실은 입력힘(윈도우 커버링(710)의 구동 단부에 모터(622')와 변속기(624')에 의해 공급)이 그 우측(도111에서 보았을 때)으로부터 기어박스(712')에 유입하고 그리고 계속하여 그 좌측으로부터 들어오는 입력힘을 가진 기어박스(712)와 동일한 기구적 잇점을 제공하도록 윈도우 커버링(710)의 구동 단부에 기어박스(712')가 장착되게 한다.
롤러 록을 가진 롤러 차양막
도116 내지 도121는 롤러 록 기구(762)를 가진 롤러 차양막(760)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17은 차양 요소(764), 회전 레일(766), 장착 브라켓(768), 구동 단부 캡(770), 구동 코드(122), 장식술 추(772), 구동 스플(774), 롤러 록 하우징(776), 롤러 록(778), 아이들러 스플(780), 경사도 조정 기구(782), 및 아이들러-단부 캡(784)을 구비하는 롤러 차양막(760)의 구성 성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유사한 롤러 차양막 시스템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된 2004년4월7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건축물 개방부를 커버하는 코드 드라이브"인 미국특허출원 10/819,690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출원은 본원에서 다시 기술하지 않을, 단부캡, 장착 브라켓, 및 경사도 조정 기구와 같은 롤러 차양막용의 많은 성분을 기술한 것이다. 롤러 차양막(760)에 롤러 록 기구(762)를 적용한 상관 기술 만을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118은 롤러 록 기구(762)를 가진 구동-단부 캡(77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19의 분해 사시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단부 캡(770)은 롤러 록 하우징(776)을 구속해제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설계된 직사각형 공동(786)을 형성한다. 상기 공동(786)은 하부 벽(792)에 2개 개구(788)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788)는 공동(786) 내측에 롤러 록 하우징(776)을 보유하고 그리고 단부 캡(770)을 유출시키기 위한 구동 코드(122)용 통로를 제공하는 역활을 한다.
구동 스플(774)(도120에서도 볼 수 있음)은 건축물 개방부를 커버하는 코드 드라이브인 상술된 미국특허출원 10/819,690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리브 구조체(794)는 회전 레일(766)과 능동적으로 결합하여 구동 스플(774)의 회전 시에 회전 레일(766)과 결합하고 그리고 그 역으로도 결합한다. 구동 스플(774)상에 중공 축(796)이 단부 캡(770)의 축(798)에 장착되어, 상기 축(798)을 중심으로 구동 스플(774)이 회전한다. 구동 스플(774)상에 플랜지(800)는 구동 코드(122)가 구동 스플(774)에 감겨지게 하는(또는 그로부터 풀어지는) 둘레 오목부(802)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구동 스플(774)은 단일 층에 구동 코드(122)를 감싸지 않지만, 대신에, 구동 스플(774)로부터 구동 코드(122)가 풀어짐으로서 감소하는 아암 레버로, 구동 코드(122)가 구동 스플(774)에 완전하게 감겨져, 구동 스플을 그 위에 감아서, 코드를 적층하여, 대직경 레버 아암을 생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조작자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블라인드가 완전하게 연장되고 그리고 조작자가 블라인드의 전체 중량에 대항하여 당길 때에 대형 레버 아암의 기구적 잇점을 제공하고, 그리고 블라인드가 감아 올려져 조작자가 블라인드를 상승시키는데 중량이 거의 없이 들어 올려지게 하는 잇점을 제공하는 로드에 대응한다.
도118, 도119, 및 도121을 참고로 설명하면, 롤러 록 하우징(776)은 단부 캡(770)의 공동(786) 내측에 수용된다. 롤러 록 하우징(776)상에 하방향 연장 돌출부(804)는 공동(786) 내에 롤러 록 하우징(776)을 보유하도록 단부 캡(770)의 개구(788, 790)의 하나에 스넵 결합한다. 돌출부(804)는 하부 슬롯 개구(806)를 부가로 한정하며, 개구는 구동 코드(122)용으로 롤러 록 하우징(776)으로부터의 유출점을 제공한다. 도118과 도1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804)는 좌측 개구(788) 에 스넵 결합된다. 그런데, 만일 롤러 록 하우징(776)이 뒤집어지게 되면, 돌출부(804)가 우측 개구(790)에 대신 스넵 결합되고, 동일 성분이 구동 코드(122)의 좌측 출구(도119와 도116에서 볼 수 있음) 또는 동일한 구동 코드(122)의 우측 출구용으로 조립되게 한다.
롤러 록 하우징(776)은 롤러 록(778)의 축(812, 8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 하도록 그 측벽에 경사진 부분(810)을 구비하며, 롤러 록(778)을 수용하는 공동(808)을 형성한다. 하우징(776)에 롤러 록(778)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축(812, 814)의 하나가 각각의 경사진 부분 또는 오목부(810)에 삽입된다. 다음, 축(812, 814)의 나머지는 제위치에 스넵 결합되는 각각의 경사진 부분 또는 오목부(810)에 이를 때까지 각각의 사면을 따라서 밀려져서, 양 축(812, 814)이 각각의 오목부(810)에 보유된다. 하우징(776)은 또한 하우징(776)의 상부벽에 상부 슬롯 개구(816)를 형성하여, 롤러 록(778)에 캡스턴(818)과 구동 스플(774)로 구동 코드(122)를 안내한다. 하우징(776)에 있는 부속물(820)은 롤러 록(778)의 회전동작을 방지하는 상부 고정위치로 롤러 록(778)이 상방향으로 치우치게 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롤러 록 기구(130**)에 부속물(670**)(도97에 도시)과 동일한 목적의 역활을 한다.
롤러 록 기구(762)를 가진 롤러 차양막(760)의 조작은 상술된 다른 윈도우 커버링의 조작과 상당히 유사하다. 먼저, 차양 요소가 완전 하강되고 그리고 구동 코드(122)가 구동 스플(774)의 둘레 오목부(802)에 대부분 감겨지게 된다. 차양 요소(764)를 상승 또는 수축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회전이 자유로운 하부 비-고정 위치로 롤러 록(778)의 이동을 야기하는 장식술 추(772)를 당긴다. 구동 코드(122)는 롤러 록(778)이 회전하여 구동 스플(774)에서 풀려지며, 구동 스플(774)이 회전하게 한다. 구동 스플(774)의 회전은 또한 회전 레일(766)이 회전을 일으키어, 차양 요소(764)가 회전 레일(766)에 감겨진다.
장식술 추(772)가 사용자에 의해 구속해제 되자마자, 부속물(820)은 회전할 수 없는 상승 고정위치까지 상방향으로 롤러 록(778)을 가압한다. 또한, 차양 요소(764)의 중량은 회전 레일(766)이 회전을 일으키도록 하며, 이것은 구동 코드(122)을 감아서 그 고정 위치에 롤러 록(778)을 이동시키어, 구동 스플(774)이 회전을 일으키도록 한다. 구동 코드(122)를 당기는 장식술 추(772)가, 미끄러지지 않아, 구동 스플(774)과, 회전 레일(766) 및 차양 요소(764)를 제위치에 고정하도록 캡스턴(818)에 구동 코드(122)를 팽팽하게 한다. 중력이 차양 요소(764)에 하방향 힘을 발휘하기 때문에, 만일 장식술 추(772)가 들어 올려지면(구동 코드(122)에 장력을 약하게 하기에 충분한 경우에도), 구동 코드(122)는 캡스턴(818)을 서지(surge)하고, 캡스턴(818) 둘레에서 미끄러지며, 그리고 구동 스플(774)과 회전 레일(766)의 회전을 허용하여, 차양 요소(764)를 하강한다.
가동성 중간 레일을 가지 제품
도122는 셀룰러 차양막(822)의 실시예의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으로, 중간, 가동성 레일(824)(제2하부 레일)과 완전한 제2코드 드라이브(826)를 더하고, 광폭 헤드 레일(108')에 함께 장착된 제1코드 드라이브(825)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도1의 차양막(100)과 매우 유사한 것이다. 제2코드 드라이브 (826)는 리프트 봉(118)과, 롤러 록(134"')을 가진 콘 드라이브(102) 및 2개 리프트 역(116*)을 구비하고 그리고 리프트 코드(도시 않음)에 의해 중간 레일(824)에 연결된다.
가동성 중간 레일을 가진 일반적인 차양막에서는 중간 레일(824)과 헤드 레일(108') 사이에 직물이 없거나 또는 다른 직물이 중간 레일(824) 밑에 보다는 중간 레일(824)위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직물이 중간 레일(824) 위에 사용되고 그리고 투명하지 않은 직물이 중간 레일(824) 밑에 사용된다. 다음, 만일, 중간 레일(824)이 완전하게 상승되면, 불투명한 제직이 완전 연장되어, 차양막(822)의 차양효과를 생성하여 실내를 어둡게 한다. 만일 중간 레일(824)이 완전 하강하면, 다음 투명한 제직이 완전 연장되어, 차양막(822)의 차양효과를 생성하지만, 아직은 실내로 빛이 들어오게 한다. 완전 상승 및 완전 하강 위치(도22) 사이에 임의 장소에 중간 레일(824)을 가진 상태에서는(도122에 도시된 위치)는, 상기작용이 차양막(822)의 하부 불투명한 부분에서의 개인의 사생활 보호를 제공하면서 상부 투명한 부분에서의 실내로의 빛의 유입을 허용한다. 끝으로, 하부 레일(110)이 차양막(822)을 완전 개방하도록 상승되어, 개구가 실내에 환기 통풍을 제공하게 완전하게 커버가 걷혀진다(완전하게 오므라진 차양막). 하부 레일(110)의 상승과 하강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코드 드라이브(825)에 의해 제어된다.
도1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드 드라이브(825)(차양막(822)의 우측)는 도1의 롤러 록과 콘 드라이브를 가진 차양막(100)에 대한 이미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리프트 코드(도시 않음)를 경유하여 하부 레일(110)에 연결된다. 제1코드 드라 이버(825)의 구동 코드(122)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짐으로서, 먼저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의 원통형 부분(174)(도13에 도시)으로부터 풀어지고, 드라이브 콘(124)과, 리프트 봉(118) 및 이러한 코드 드라이브(825)에 연결된 리프트 역(116*)을 회전한다. 이러한 사실은 하부 레일(110)을 상승시킨다. 하부 레일(110)의 상승으로, 더 많은 셀룰러 차양 물질(112)이 하부 레일(110)에 적층되며, 이러한 하부 레일(110)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킨다. 결국적으로,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의 절두원추 부분(176)으로부터 풀어지기 시작하며, 구동 코드(122)의 장거리 이동비용이 지출되기는 하지만, 하부 레일(110)을 상승하는 것을 도와주는 기구적 잇점을 제공한다.
제2코드 드라이브는 중간 레일(824)에 연결된다. 콘 드라이브(102)가 이러한 코드 드라이브(826)에 "역" 장착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콘 드라이브(102)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중간 레일(824)이 그 하강된 위치에 있으면, 기본적으로 하부 레일(110)의 상부에 놓이며, 좌측 구동 코드(122)가 상승되어 개별 콘 드라이브(102)에 감겨진다. 사용자가 좌측 구동 코드(122)를 당김으로서, 먼저 개별 구동 콘(124)의 원통형 부분(174)(도13에 도시)으로부터 풀어지며, 개별 구동 콘(124), 리프트 봉(118), 및 리프트 역(116*)을 회전한다. 이러한 사실은 중간 레일(824)을 상승시킨다. 중간 레일(824)의 상승으로, 보다 많은 상부 부분의 셀룰러 차양 물질(112)이 중간 레일(824)에 적층되고, 중간 레일(824)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한다. 결국적으로, 좌측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의 절추원추 부분(176)으로부터 풀어지기 시작하며, 좌측 구동 코드(122)용의 장거리 이동비 용이 다시 고려되지만 중간 레일(824)의 상승을 도와주는 기구적 잇점을 제공한다.
콘 드라이브와 롤러 록을 가진 로마 차양막
도123 내지 도128은 콘 드라이브와 롤러 록 기구(832)를 가진 로마 차양막(83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24는 헤드 레일(834), 단부 캡(836), 장식술 추(772)(도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코드(122)에 연결), 롤러 록(132**), 롤러 록 하우징(104**), 구동 콘(124"), 콘 드라이브 하우징(126'), 구동 콘 재설정 어댑터(838)(플리(840) 함유), 리프트 역(116**), 리프트 봉(702), 어댑터(756), 변속기(624'), 변속기 장착판(842), 모터(622') 및 모터 장착판(844)을 구비하는 로마 차양막(830)의 성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유사한 로마 차양막(100"')이 차양막(112"')의 전방으로 그 실시예가 있는 콘 드라이브(102)와 롤러 록 기구(104)가 다른 도4에 도시되었으며, 본 실시예는 도123과 도124에 도시한 구동 코드 재설정 어댑터(838)를 사용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차양막(112"') 뒤에 콘 피구동 및 코드 록 기구 조합체(832)를 설정한 것이다.
헤드 레일(834)에 성분 설치를 허용하도록 약간 개조(예를 들면, 개별 변속기(624')와 모터(622')의 장착을 도와주도록 변속기 장착판(842)과 모터 장착판(844)을 사용, 리프트 역(116**)의 약간 변경된 하우징을 장착하도록 나사(848)를 사용 그리고, 콘 드라이브의 약간 개조된 하우징(126))한 것 이외에, 주요한 차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구동 코드 재설정 어댑터(838)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125, 도126, 도127은 구동 코드 재설정 어댑터(838)를 갖춘 롤러 록 기구 (832)와 콘 드라이브의 사시도이다. 도12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코드 재설정 어댑터(838)는 제1플리(840A)와 제2플리(840B)를 구비한다. 제1플리(840A)는 롤러 록 하우징(104**)을 유출하는 그 하방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구동 코드(122)의 방향을 변경하는 역활을 하며 그리고 헤드 레일(834)을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구동 코드(122)를 이동시키는 역활을 한다. 제2플리(840B)가 일단 다시, 유출 구동 코드(122)가 헤드 레일(834)의 단부 캡(836)의 하나와 정렬을 이루는 지점에서 하방향에 대한 역으로 구동 코드(122)의 방향을 변경한다. 이러한 사실은 로마 차양막(830)의 차양막(112"') 약간 뒤와 바로 옆에 장식술 추(772)와 구동 코드(122)를 남기게 한다.
콘 드라이브와 롤러 록 기구(832)는 도4에 도시된 로마 차양막(100"')의 롤러 록(104)과 콘 드라이브(102)와 차이 없이 작용한다. 구동 코드 재설정 어댑터(838)의 추가는 구동 코드(122)의 설정을 간단하게 이동시키어, 전체 메카니즘이 헤드 레일(834) 내측에 은폐되게 하였고 그리고 구동 코드(122)와 장식술 추(772)가 차양막(112"') 바로 뒤와 옆에서 시각성의 방해를 받지 않고 활용할 수 있다.
콘 드라이브를 가진 셔터형 블라인드
도129와 도130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콘 드라이브(852)를 가진 셔터형 블라인드(850)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것은 들어다 보이는 헤드 레일 또는 하부 레일이 없는 블라인드 이다. 또한, 무-레일 및 무-스타일을 가진 셔터로서도 기술된다. 헤드 레일(854)과 하부 레일(856)을 구비하는 이러한 셔터 블라인드(850)의 미늘창(858) 모두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보이는 것이고 그리고 피봇팅 헤 드 레일(854)과 피봇팅 하부 레일(856)을 구비하는 전체 블라인드 스택은 각 미늘창의 중심에서 신장 피봇부를 따라서 일치적으로 피봇 운동한다. 또한, 장착 설비는 각 미늘창의 신장 피봇축을 제공하여, 미늘창이 닫히게 기울어지면 윈도우를 향하는 내부방향으로 횡단하고, 그리고 미늘창이 열리게 기울어지면 윈도우로부터 멀어지는 외부방향으로 횡단하여, 윈도우 프레임 자신이 전통적인 셔터의 레일과 스타일로 제공된 프레임의 외관을 창출한다. 셔터 블라인드를 상승 및 하강하는 구동 코드(122)용 막대 작동체(870)와 장착 브라켓(860)을 구비하는 이러한 블라인드와 그 장착 및 틸팅 메카니즘의 대부분의 기술내용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된 미국특허출원 10/197,674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 드라이브(852)에 관련한 요소 특징 만을 이하에 기술한다.
도129는 콘 드라이브(852), 헤드 레일(854), 하부 레일(856), 미늘창(858), 장착 브라켓(860), 리프트 역(862), 리프트 봉(864), 중공 스페이서(866), 리프트 코드(868), 및 막대 작동체(870)를 구비한 셔터-형 블라인드(850)의 구성요소들을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리프트 역(862)은 이들이 중공, 에어포일-형태 헤드 레일(854)의 내측부에 리프트 역(862)의 설치를 도와주는 안정기 날개(872)를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106의 리프트 역(116*)과 유사한 것이다. 상기 안정기 날개(872)는 리프트 봉(864)이 회전을 개시하면 헤드 레일(854) 내측의 회전으로부터 리프트 역(862)을 지킨다. 리프트 역(862)은 또한 중공 스페이서(866)(사실상 도106에 도시된 고 강도 슬리브(704))를 사용하여 리프트 봉(864)의 길이를 따라서 적절한 축선방향으로 의 이동으로, 리프트 역(862) 사이와 리프트 역(862)과 콘 드라이브(862)와의 사이와 같은 다른 성분 사이에서의 적절한 축선 분리를 유지한다. 스타 파스너와 접하는 성분으로 리프트 봉(864)에 파지되는 스타 파스너(도시 않음)의 사용과 같이 축선 분리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방 및 후방 리프트 코드(868)가 하부 레일(856)에 일 단부에 부착된다. 리프트 코드(868)의 타 단부는 헤드 레일(854) 내에 슬릿(874)을 통해 나아가서, 리프트 스플(863)이 회전할 때에 리프트 코드(868)가 개별 리프트 스플(863)에 감겨지거나 그로부터 풀어져서 블라인드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리프트 역(862)의 리프트 스플(863)에 부착된다.
도129와 도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 드라이브(852)는, 구동 콘(878)의 회전적 지지(도13의 구동 콘(124)에 대응); 안내면(880)을 고정(도13의 안내면(144)에 대응); 플리(882)를 고정(후술되는 도14의 롤러 록 기구(130)에서 개구(206)와 동일한 목적의 역활); 막대 작동체(870)의 고정 및, 헤드 레일(854)에 설치를 위해 전체 콘 드라이브 조립체(852)를 수용하는 복합 목적의 역활을 하는 하우징(876)을 구비한다.
도131은 구동 콘(878')이 절두원추형이기 보다는 원통형인 점을 제외하고는 도129와 도130의 콘 드라이브(852)와 매우 유사한 콘 드라이브 조립체(852')의 평면도이다. 도130과 도131은 플리(882)가 도14의 롤러 록 기구(130)의 개구(206)가 동일한 과제를 달성하는 동일한 방식으로 안내면(880)에 대한 구동 코드(122)의 방사점을 어떻게 설정하는 가를 나타낸 도면이다. 플리(882)는 선택적인 것으로 임의적인 다른 전환면(예를 들면 아이볼트(eyebolt))이다.
구동 코드(122)의 제1단부는 구동 코드(878)에 부착된다. 다음, 구동 코드(122)는 구동 콘(878)에 싸여져서, 안내면(880)위로, 플리(882) 주위로, 그리고 하우징(876) 내의 개구(884)를 통해 보내진다. 다음, 막대 작동체(870)에 연결된다.(도129에 도시)
막대 작동체(870)의 핸들(886)이 사용자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짐으로서, 구동 코드(122)도 하방향으로 당겨져, 구동 콘(878)을 회전하게 하여, 구동 콘(878)으로부터 풀어진다. 리프트 봉(864)은 차례로 구동 콘(878)과 같이 회전한다. 리프트 봉(864)의 회전으로, 또한 리프트 역(862)의 리프트 스플(863)도 회전하여, 블라인드(850)의 하부 레일(856)을 상승하며, 리프트 코드(868)가 리프트 스플(863)에 감겨지게 한다. 사용자가 핸들(886)을 구속 해제하면, 핸들(886)은 막대 작동체(870)에 고정되며, 하부 레일(856)과 미늘창(858)이 제위치를 유지하도록 블라인드를 고정한다.
막대 작동체(870)의 핸들(886)이 사용자에 의해 위로 밀려짐으로서, 구동 코드(122)상에 장력이 감소된다. 하부 레일(856)에 작용하는 중력은 리프트 코드(868)가 그 개별 리프트 역(862)으로부터 풀어지게 하며, 리프트 역(862)에 스플(863)이 회전을 일으키도록 하며, 그리고 리프트 봉(864)도 회전하도록 한다. 리프트 봉(864)의 이러한 회전은, 장력이 다시 구동 코드(122)에 재저장되기까지(또는 하부 레일이 하부에 도달하거나 리프트 코드(868)가 완전 연장 길이에 도달하기 까지) 구동 콘(878)의 회전을 하게 하고 그리고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878)에 감싸지게 한다.
콘 드라이브와 롤러 록을 가진 수직(버티칼) 블라인드
도13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콘 드라이브(892)와 롤러 록 기구(894)를 가진 수직 블라인드(890)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 명세서(도57 내지 도68에 도시된 틸터 기구(452)를 제외하고, 그리고 가능한 오버파워 윈도우 커버링을 제외)에 앞부분에 기술된 콘 드라이브 및/또는 롤러 록의 대부분의 예에서, 롤러 록 기구는 중력에 대하여 작용한다. 수직 블라인드(890)의 경우에, 인위적인 힘이나 로그가 도입되어(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예에서는 스프링 모터(896)에 의함) 중력 대신에 반대 힘을 제공한다.
도132의 수직 블라인드(890)는 헤드 레일(898), 캐리어 조립체(902)로부터 현수된 베인(900), 스프링 모터(896), 콘 드라이브(892), 롤러 록 기구(894), 구동 코드(122), 장식술 추(722), 단부 캡(904), 아이들러 단부 하우징(906), 틸트 로드(908), 틸트 기구(910), 틸트 체인(912), 및 2개 캐리어 케이블(914, 916)을 구비한다. 산업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베인(900)은 캐리어 조립체(902)에 있는 개별 캐리어에 클립 고정된다. 틸트 체인(912)은 틸트 기구(910)와 틸트 로드(908)에 의해 베인(900)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틸트"동작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종래 수직 블라인드에서는 캐리어 조립체에 있는 리드 캐리어에 부착된 2개 캐리어 케이블이 있다. 제1(연장)케이블은 완전 연장위치로 리드 캐리어(그리고 따라서 캐리어 조립체에 부착된 모든 베인)를 당기는데 사용된다. 아이들러 하우징을 통해 보내진 제2(수축)케이블은 완전 수축위치로 리드 캐리어를 당기는데 사용된다. 2개 캐리어 케이블은 단일 캐리어 케이블의 2개 단부 사이에 일 지점에서 이러한 케이블에 부착된 리드 캐리어를 가진 단일 케이블이어야 함에 주의 한다.
이러한 수직 블라인드(890)의 실시예에서, 제1캐리어 케이블(914)(연장 케이블(914))은 제1단부에서 캐리어 조립체(902)에 리드에 부착되고 그리고, 그 제2단부에서 스프링 모터(896)로 회전용으로 장착된 연장 스플(918)에 부착된다. 스프링 모터(896)는, 그 출력부에서 조립체에 부착된 변속기(624)를 가지는 대신에, 이러한 스프링 모터(896)가 그 출력축에 장착된 연장 스플(918)을 가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9에 도시된 스프링 모터(622)와 유사한(만일 동일하지 않다면) 것이다. 제2캐리어 케이블 또는 피구동 코드(916)(수축 케이블(916))가 그 제1단부에서 캐리어 조립체(902)에 있는 리드 캐리어에 부착되고 그리고 그 제2단부에서 콘 드라이브(892)의 구동 콘(124")과의 회전을 위해 장착된 수축 스플(920)에 부착된다. 수축 케이블(916)은 아이들러 하우징(906)을 경유하여 수축 스플(920)로 캐리어 조립체(902) 내의 리드 캐리어로부터 전해진다.
본 실시예의 롤러 록 기구(894)와 콘 드라이브(892)는 도83의 콘 드라이브(102)와 롤러 록 기구(104"')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구동 코드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짐으로서, 롤러 록 기구(894)의 롤러 록 로터(132"')(도85에 도시)가 그 하부 비고정 위치로 당겨지게 되어, 그 회전축(19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그리고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으로부터 풀어져, 구동 콘이 반시계방향(도132에서 볼 수 있음)으로 회전한다. 수축 스플(920)은 구동 콘(124")과 함께 회전하기 위해 장착되며 그리고 수축 케이블(916)은 수축 스플(920)에 부착되어, 수축 케이블(916)이 구동 코드(122)가 구동 콘(124")으로부터 풀어짐으로서 수축 스플(920)에 감겨진다. 수축 케이블(916)이 아이들러 단부 하우징(906)에서 아이들러 플리 둘레를 지나감으로서, 이러한 동작이 아이들러 단부 하우징(906) 쪽으로 다시 수축 케이블(916)의 타 단부를 당겨서, 블라인드(890)를 개방하도록 베인(900) 적층부를 수축하여 캐리어 조립체(902)의 리드 캐리어를 끌어 당긴다.
연장 케이블(914)의 제1단부가 캐리어 조립체(902)의 리드 캐리어에도 부착됨으로서, 연장 케이블(914)의 이러한 제1단부는 또한 캐리어가 수축됨으로서 아이들러 단부 하우징(906)을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연장 케이블(914)의 제2단부는 스프링 모터(896)상에 연장 스플(918)에 부착되어서, 캐리어의 수축으로, 연장 케이블(914)은 상기 연정 스플(918)로부터 풀어지며, 스프링 모터(896)가 회전하게 한다.
사용자가 구동 코드(122)를 구속해제 하자마자, 스프링 모터(896)에 감김 스프링은 도13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연장 스플(918)을 회전하고, 상기 케이블은 캐리어 조립체(902)에 리드 캐리어를 당기는 힘을 발휘하며, 베인(900)은 연장위치로 역으로 당겨진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또한 수축 케이블(916)을 당기어서, 수축 스플(920)으로부터 풀어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사실은 수축 스플(920)과 구동 콘(12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며, 구동 코드(122)를 상방향으로 당기고, 롤러 록 로터(132"')를 그 상부 고정위치로 당기는 힘을 발휘한다. 구동 코드(122)를 당기는 힘을 발휘하는 장식술 추(772)는, 구동 코드(122)가 캡스턴(184"') 둘레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캡스턴(184"') 주위에 구동 코드 (122)를 팽팽하게 한다. 이러한 사실은 캡스턴(184"')에 구동 코드(122)를 고정하고, 캡스턴은 구동 코드(122)가 사용자에 의해 구속해제 될 때에 있는 위치에서 전체 블라인드(890)를 고정시킨다.
완전 연장된 위치로 베인(900)이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는 장식술 추(772)를 들어 올리고, 장식술 추는 롤러 록 기구(894)에 있는 캡스턴(184"')을 구동 코드(122)가 서지(surge)하게 한다. 구동 코드(122)는 안내면(144)에 의해 안내되어 구동 콘(12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콘(124")에 감겨진다. 구동 콘(124")은 스프링 모터(896)가 비감김 상태로 복귀하여 연장 및 수축 케이블(914, 916)을 경유하여 스프링 모터(896)에 의해 구동된다. 비감김 스프링 모터(896)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 스플(918)을 회전시키고, 캐리어 조립체(902)가 연장되도록 하여 블라인드(890)를 폐쇄 한다. 이러한 구조는 시계방향으로 수축 스플(920)을 회전하여, 구동 콘(124")을 구동한다.
물론, 선택적으로, 케이블은 역전되어, 구동 코드(122)를 당기어 블라인드가 연장되고 그리고 스프링 모터(896)가 블라인드를 수축 한다.
드레그 브레이크를 가진 주름-접힘식 상하이동 차양막
도133과 도134는 드레그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주름-접힘식 상하이동 차양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차양막(1002)은 단부 캡(1006)을 가진 상부 레일(1004), 단부 캡(1014)을 가진 하부 레일(1012), 셀룰러 차양 구조(1016), 드레그 브레이크(1000), 하부 레일 리프트 역(1018), 중간 레일 리프트 역(1020), 하부 레일 리프트 봉(1022), 중간 레일 리프트 봉(1024), 스프링 모터(1026, 1026'), 변속 기(1028, 1028'), 어댑터(756) 및, 모터 장착판(844*)을 구비한다. 이들 항목 중의 일부 요소는, 어댑터(756)(이미, 도1에서 도시), 모터 장착판(844*)(도124에 유사한 모터 장착판(844)이 도시됨), 및 리프트 역(1018, 1020)(예를 들어, 리프트 역(116*)으로 도122에 도시됨)과 같은 상술된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드레그 브레이크(1000)를 제외한 다른 성분은 그에 대한 설명이 명세서에 기술되어져 있음으로, 여기서는 드레그 브레이크만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134 내지 도137은 드레그 브레이크(1000)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드레그 브레이크(100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방향으로 리프트 봉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제1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릴리즈 토오크(release torque)로서 참고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토오크가 드레그 브레이크(1000)의 저항을 극복하는데 필요하게 된다. 제2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슬립 토오크로서 참고되는 상대적으로 큰 토오크가 드레그 브레이크(1000)의 저항을 극복하는데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슬립(slip) 토오크가 릴리즈 토오크보다 큰 크기 이다.
스프링-랩 슬립 클러치(spring-wrapped slip clutches)로서도 참고 되는 이러한 타입의 종래기술의 브레이크는 반대측의 2개 스프링(즉, 우측 스프링과 좌측 스프링)을 활용하여, 양 방향으로의 슬립 힘을 제어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타입의 다른 종래기술의 브레이크는 스텝 스프링을 사용하며, 그 부품은 축에 고정되고, 그리고 다른 부품은 축을 둘러싸고 있는 슬리브에 고정된다. 드레그 브레이크(1000)는 드럼에 일 스프링을 활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양쪽의 비틀림 저항(슬립 토오크와 릴리즈 토오크)을 생성한다. 이러한 사실은 매우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설계를 초래한다.
도134의 주름-접힘식 상하이동 차양막(1002)의 경우에, 드레그 브레이크(1000), 리프트 역(1018, 1020), 리프트 봉(1022, 1024), 스프링 모터(1026, 1026') 및, 변속기(1028, 1028')는 모두 상부 레일(1004)에 수용된다. 전방 리프트 봉(1024)은 리프트 코드(1030)에 의해 2개 리프트 역(1020)과, 모터(1026')와, 변속기(1028') 및, 중간 레일(1008)을 서로 연결한다(도133에 도시). 이러한 예에서는, 중간 레일(1008)이 상부 레일(1004) 바로 밑에 놓일 때까지 상방향으로 줄곧 이동하거나 또는 하부 레일(1012) 바로 위에 놓일 때까지 하방향으로 줄곧 이동하거나 또는 중간 레일(1008)이 2개 극단 위치 사이에 임의 장소에서 유지 된다. 중간 레일(1008)을 하강하여, 사용자는 중간 레일(1008)을 파지하고, 그리고 소망 위치까지 아래로 이를 당기어 이루어진다. 일단 구속 해제되면, 중간 레일(1008)은 고유 시스템 마찰로 인하여 제위치를 유지한다. 중간 레일(1008)을 상승하여, 사용자가 중간 레일을 파지하고 이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킨다. 모터(1026)와 변속기(1028)는 리프트 봉(1024)을 회전하고 그리고 이전 실시예에서 이미 기술되어진 바와 같이 개별 리프트 역(1020)에 감겨진 리프트 코드(1030)(중간 레일(1008)에 연결됨)를 가지게 하여, 중간 레일(1008)의 상승동작에 협력한다.
후방 리프트 봉(1022)은 리프트 코드(1032)에 의해 2개 리프트 역(1028), 모터(1026), 변속기(1028), 드레그 브레이크(1000) 및, 하부 레일(1012)을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예에서, 하부 레일(1012)은 중간 레일(1008)(중간 레일(1008)이 설정되는 때에 장소는 고려하지 않음) 바로 밑에 놓일 때까지 상방향으로 줄곧 이동하거나 또는 차양막(1002)의 전체 길이로 연장할 때까지 하방향으로 줄곧 이동하거나 또는 하부 레일(1012)이 2개 극단 위치 사이에 임의 장소에서 유지된다. 사실상, 하부 레일(1012)은 중간 레일(1008)과 접촉할 때까지 상승되고, 다음 이들 2개 레일(1012)은 이들이 상부 레일(1004) 바로 밑에 양쪽이 적층될 때까지 추가로 상승될 것이다.
하부 레일(1012)의 하강으로, 사용자는 하부 레일(1012)을 파지하고 그리고 소망 위치까지 하방향으로 이를 당긴다. 일단 구속 해제되면, 하부 레일(1012)은 장치의 고유한 시스템 마찰로 인하고 그리고 드레그 브레이크의 슬립 토오크 저항으로 인하여 제위치를 유지하고, 하부 레일(1012)이 부가적으로 하강동작하는 것을 제약하도록 리프트 봉(1022)에 대한 회전에 상당히 큰 고저항을 부여한다. 물론, 이러한 사실은 사용자가 하부 레일(1012)을 하강하도록 슬립 토오크에 대한 저항을 극복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부 레일(1012)의 상승으로, 사용자가 하부 레일(1012)을 다시 파지하고, 이를 상방향으로 상승한다. 모터(1026)와 변속기(1028)는 리프트 봉(1022)을 회전하고 이미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이들의 리프트 역(1018)에 감겨진 리프트 코드(1032)(하부 레일(1012)에 연결됨)를 가지고 하부 레일(1012)의 상승동작을 도와준다. 드레그 브레이크(1000)는 리프트 봉(1022)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이러한 제1방향(릴리즈 토오크)으로의 회전에 상당히 낮은 저항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보다 편리한 상하 이동식 차양막(top down shade)에서는, 하부 레일(1012)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하부 레일(1012)이 완전 하강되었을 때에 최저이고 그리고 이러한 힘은 하부 레일(1012)의 상승과 셀룰러 구조(1016)가 하부 레일(1012)의 상부에 더 많이 적층됨으로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그런데, 주름-접힘식 상하이동 차양막(1002)에서는, 하부 레일상에 로드가 중간 레일(1008)의 위치에 따라서 하부 레일(1012)의 주어진 위치에 맞게 상당히 가변적이다. 예를 들면, 만일 중간 레일(1008)이 완전하게 상승되면, 다음, 하부 레일(1012)상에 로드는 하부 레일의 상승으로 이들이 보다 편리한 상하이동식 차양막에 행해지는 것과 같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그런데, 만일 중간 레일(1008)이 완전하게 하강되었다면, 하부 레일(1012)은 그 최하부 위치로부터 상승되기 시작함으로서 차양막의 총 중량을 갖게된다. 이러한 사실은 모든 조건 하에서의 하부 레일의 필요조건과 어울리는 리프팅 시스템으로 설계하는 것을 곤란하게 만든다. 만일, 제2스프링 모터 또는 보다 강력한 스프링 모터가 대형 로드 상태를 처리하는데 사용된다면, 이러한 방식은 하부 레일(1012)이 소망 위치에 머무리지 않고 대신에 중간 레일(1008)이 그에 대하여 적층되지 않을 때에 상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는 오버파워 상태로 유도한다.
드레그 브레이크(1000)는 제2스프링 모터와 보다 강력한 스프링 모터의 필요성 없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오리지널 스프링 모터(1026)는 여전히 사용할 수 있다. 드레그 브레이크(1000)는, 하부 레일(1012)을 하강하는데 필요한 방향으로 드레그 브레이크(1000)를 회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슬립 토오크가, 이들이 하부 레일(1012)의 상부에 완전하게 적층될 때에도 셀룰러 구조와 중간 레일(1008)의 중 량에 의해 발휘된 힘보다 크기 때문에, 스프링 모터(1026)가 너무나 약하여 하부 레일이 강하되는 것을 막지 못하는 헤비 로드 상태 하에서도, 구속 해제 시에 소망 위치에 하부 레일(1012)을 유지한다. 따라서, 드레그 브레이크(1000)는 하부 레일(1012)이 언더파워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강하하는 것을 막는다. 다른 한편에서는, 하부 레일(1012)을 상승하는데 필요한 방향으로 드레그 브레이크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릴리즈 토오크는 슬립 토오크보다 상당히 적으며, 하부 레일(1012)을 상승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에 매우 작은 힘을 첨가한다. 필요한 여분의 힘은 사용자에 의해 인식될 수 없을 만큼 그렇게 작은 힘이다.
도135와 도136을 참고로 설명하면, 드레그 브레이크(1000)는 하우징(1034), 록 스프링(1036), 및 록 스프링 스플(1038)을 구비한다. 하우징(1034)은 상부가 개방된 공동(1040)을 형성하는 대략 입방체 박스(1039)이다. 하우징(1034)은 록 스프링 스플(1038)을 수용하고 회전용 스플(1038)을 지지한다. 입방체 박스(1039)의 전방과 후방 벽에 있는 V-형상 노치(1042)는 록 스프링 스플(1038)의 축 단부(1046)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반원형 면(1044)을 형성한다. 입방체 박스(1039)의 측벽에 견부(1048)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플(1038)을 "이탈하는 행위" 로부터 록 스프링(1036)을 지킨다. 탭(1050)은 측벽의 하나의 상부로부터 돌출되고 그리고 다른 측벽에 대응 플랜지(1052)와 함께, 이들은 상부 레일(1004)에 드레그 브레이크(1000)를 구속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입방체 박스(1039)의 하부 코너에 슬롯 관통 개구(105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록 스프링(1036)용의 안전한 고정 점을 제공한다. 상기 개구(1054)는 2개 부분을 갖는다. 우측부분은 대형 개구이고 그리고 좌측부분은 소형 개구이다.
스플(1038)은 리프트 봉(1022)의 프로필과 긴밀하게 짝을 이루는 비원형 프로필을 가진 중공 축(1056)을 형성한다. 스플(1038)은 그 형태가 대략 원통형이며, 그 외측면은 록 스프링(1036)이 완화 위치 또는 대기 위치에 있을때 록 스프링(1036)의 내측면(1060)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외측 직경을 형성한다. 또한, 스플(1038)의 외측면(1058)은 3개 반경방향-연장 그리스 홈(1062)을 형성한다.(간략한 설명을 목적으로 함) 스플(1038)의 일 단부에 플랜지(1064)는 스플(1038)의 단부가 미끄러지는 동작으로부터 스프링(1036)을 지켜준다.
록 스프링(1036)은 제1단부(1066), 제2단부(1068), 및 내부면(1060)을 가진 긴장되게 감겨진 코일 스프링이다. 제2단부(1068)는 후술되는 조립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1034)에 스프링(1036)의 제2단부(1068)를 고정하는 것을 도와 주는 루프 또는 컬(1070)을 형성한다.
도137을 참고로 설명하면, 드레그 브레이크(1000)의 조립에서의 단계1은 그리스 홈(1062)에 그리스를 첨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리프트 봉(1022)을 회전하는데 필요한, 특히 구속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하도록 스플(1038)과 스프링(1036) 사이에 마찰을 감소한다. 양호한 그리스는 바셀린이다. 다른 기구도 예를 들면, 스프링 모터, 기어 박스, 등,등과 같은 것들도 상기 윤활유로부터 이득을 구할 수 있음도 주의한다. 단계2는 스플(1038)의 면(1058)에 스프링(1036)을 활주하는 것이다. 스플(1038) 위로 활주하기에 충분하게 스프링(1036)을 개방하도록 컬(1070)을 약간 밀 필요가 있다. 단계3은 컬(1070)이 하우 징(1034)의 합 코너에 개구(1054)의 우측부분을 통해 연장하도록 하우징(1034) 안에 조립 스플(1038)과 스프링(1036)을 삽입하는 것이다. 도137의 단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1070)이 너무도 커서 개구(1054)의 소형 부분을 통해 설치될 수 없음으로, 컬(1070)이 화살표(1055)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1054)의 좌측(소형) 부분으로 이동되어서 컬(1070)을 하우징(1034)에 고정한다. 다음, 리프트 봉(1022)이 스플(1038)의 중공축(1056)을 통해 삽입되고 그리고 드레그 브레이크(1000)는 헤드 레일(1004)에 장착된다. 스프링(1036)이 스플(1038)의 표면(1058) 위에 놓이고 그리고, 일 방향으로 스프링(1036)의 축선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플랜지(1064)로 인하여 그리고 타 방향으로 스프링(1036)의 축선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하우징(1034)에 있는 견부(1048)로 인하여 그 장소에 남아 있음에 주의 한다.
드레그 브레이크(1000)의 릴리즈 토오크는 제4파워까지 상승하는 록 스프링 와이어의 직경에 비례한다. 따라서, 스프링(1036)을 이루는 와이어가 얇을 수록, 릴리즈 토오크가 더 작아진다. 블라인드를 상승하는 행위가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저 릴리즈 토오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본 실시예에 사용된 와이어의 직경은 매우 작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은 하우징(1034)에 스프링(1036)의 단부를 안전하게 고정하는 작업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컬(1070)은 풀림 동작에 비해 로드 하에서 더 긴장하도록(스프링이 하우징(1034) 밖으로 그 단부(1068)를 당기는 작용을 할 때) 형성 및 배치되어, 와이어가 그 고정점 밖으로 당겨지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도135에서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스플(103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됨으로서, 스프링(1036)은 "상승 개방(open up)"된다. 스프링(1036)의 내측면(1060)은 스플(1038)과 스프링(1036) 간의 마찰이 스프링(1036)이 스플(1038)과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일으키기 때문에 연장되고 반면에, 스프링(1036)의 제2단부(1068)는 고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스프링(1036)이 스플(1038)의 외측면(1058)에 파지를 완화되게 하고 그리고 스플(1038)이 상당히 용이하게 회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스플(103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서, 스프링(1036)은 "하강 폐쇄(closes down)"되어, 스플(1038)에 파지를 긴축시킨다. 스프링(1036)의 제2단부가 컬(1070)을 경유하여 하우징(1034)에 고정되는 반면에, 스프링(1036)의 내측면(1060)은 스프링(1036)이 스플(1038)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수축된다. 스프링(1036)이 스플(1038)을 긴축적으로 파지하기 때문에, 스플(1038)은 스플(1038)을 회전하는 가압력이 드레그 브레이크(1000)의 슬립 토오크를 초과할 때에는 회전 만이 매우 어렵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레그 브레이크(1000)가 도134의 차양막(1002)에 설치하면, 하부 레일(1012)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당히 용이하게 리프트 봉(1022)의 회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드레그 브레이크(1000)에 의한 회전에 대한 저항은 상당히 작은 릴리즈 토오크 이다. 그런데, 드레그 브레이크(1000)는, 하부 레일(1012)을 하방향으로 당기는 사용자에 의한 접촉력과 차양막의 중량에 의해 발휘된 힘이 드레그 브레이크(1000)의 슬립 토오크를 초과할 때에만 반대방향으로(하부 레일(1012)이 하강하도록) 리프트 봉(1022)이 회전하게 한다. 차양막 만의 중 량은 드레그 브레이크(1000)의 슬립 토오크 저항을 능가하기에 충분하지 않고 그리고 차양막은 중간 레일(1008)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배치된 소망 위치에 있다.
당 기술분야의 기술인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본원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 메카니즘과 드레그 브레이크(1000)의 사용을 합할 수 있을 것이다.
저 시스템 저항을 가진 변속기
도134는 차양막(1002)에 사용된 변속기(1028, 1028')도 나타낸다. 본원 명세서에 기술된 윈도우 커버링의 실시예에서, 윈도우 커버링의 성분 트레인(train)에 고유한 고 시스템 저항을 가지는 것이 유익하지 않음을 예견할 수 있다.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 기술된 미국 특허 제6,536,503호에는 상당히 높은 고 시스템 마찰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소망 위치에 블라인드가 유지되도록 하는데 실질적으로 유익한 트랜스포트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한 윈도우 커버링에서, 시스템 마찰과 스프링 모터(들)는 소 접촉력 입력이 사용자에 의한 요구로 새로운 위치로 윈도우 커버링이 동작하도록 균형있게 된다. 시스템 마찰은 소망 위치에 윈도우 커버링이 유지되게 하며, 소망 위치로부터 윈도우 커버링이 이동하독 스프링 모터(들)의 힘 및/또는 중력 힘에 대하여 작용한다.
롤러 록 기구와 드레그 브레이크와 같이, 본원 명세서에 기술된 일부 성분은 고유한 저-마찰 성분의 사용을 보상하는 대신에 양호하게 힘이 균형진 시스템의 필요성을 줄인 것이다. 이러한 성분은 상기 기능에 맞는 고 시스템 마찰에 의지하는 대신에 윈도우 커버링이 제 위치에서 유지되게 한다. 저 마찰 성분은 윈도우 커버 링의 위치를 변경하는 사용자에 의한 접촉력을 더 작게하고 그리고/또는 스프링 모터의 필요함을 더 줄이게 한다.
도138 내지 도14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저-마찰 변속기(108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39를 간단히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변속기(1080)는, 하우징(1082), 구동축(1084), 피구동축(1086), 및 커버(1088)의 4개 주요 부품만으로 이루어진다. 기타 부품은 도144와 도145에서 볼 수 있지만 나타내지 않은 록킹 핀(1090), 로케이터 핀(1092), 변속기(1080)와 함께 유지되는 리벳 스터드(1091), 및 변속기 코드(1094)를 구비한다.
도143을 참고로 설명하면, 고 마찰 변속기(1096)와 현재 변속기(1080)의 설계의 상대적 크기와 간략성을 대비할 수 있다. 고 마찰 변속기(1096)는, 록킹 핀, 조립나사, 및 변속기 코드에 더하여, 하우징(1098), 구동축(1100), 피구동축(1102), 4개 부싱(1104A, 1104B, 1104C, 1104D), 출력축(1106), 중간개재 캡(1108), 및 단부 캡(1110)의 10개 주요 부품을 가진다.
변속기(1080)의 단부 캡(1088)과 하우징(1082)은 분리 부싱의 필요를 없앤 부싱 물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피구동축(1086)은 완전한 출력축(1112)을 가지어서, 고 마찰 변속기(1096)에서 발견되는 분리 출력축과 중간개재 캡을 사용하는 대신에 리프트 봉 어댑터(756)(도134에 도시)를 경유하여 리프트 봉(1022)을 구동한다. 이러한 변경은 변속기(1080)의 고유한 시스템 마찰을 낮추고 부품의 수를 감소한다.
도141을 참고로 설명하면, 피구동축(1086)은 그 외부 원추형 면(1114)의 대 부분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나가는 원추요소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쓰레드 원추면(1114)은 변속기(1080)가 구동 트레인에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우측 쓰레드 또는 좌측 쓰레드의 어느 하나가 된다. 피구동축(1086)의 제1단부는 출력축(1112)이 그로부터 돌출된 단거리 엑슬(1116)을 형성한다. 피구동축(1086)의 제2단부는 그로부터 다른 단거리 엑슬(1120)이 돌출된 플랜지(1118)를 형성한다. 노치(1122)와 홀(1122')은 변속기 코드(1094)의 일 단부가 피구동축(1086)에 고정되게 한다. 코드(1094)는 홀(1122')을 통해 지나가고, 그리고 그 자유단부는 매듭을 묶는 것과 같이 확장시키어 "포획"이 이루어지게 하며, 따라서 코드(1094)가 당겨져 철회되는 것을 막는다. 끝으로, 4개 홀(1123)은 피구동축(1086)의 제1단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홀(1123)은 피구동축(1086)이 단부 커버(1088)에 개구(1128)를 통하고 그리고 피구동축(1086)에 있는 1개 홀(1123) 안으로 록킹 핀(1090)을 삽입하여 하우징(1082)에 대한 회전에 대항하여 원만하게 고정되도록, 단부 커버(1088)에 있는 개구(1128)와 정렬을 이루게 한다.
도142를 참고로 설명하면, 구동축(1084)은 제1절두원추형 쓰레드 부분(1124)과, 제2원통형 부분(1126)을 가진 신장 요소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통형 부분(1126)은 쓰레드 되지 않고 약간의 경사도를 가진다. 피구동축(1086)의 경우에는, 구동축(1084)이 축(1084)에 변속기 코드(1094)를 부착하기 위한 노치(1130)와 홀(1130')을 가진다. 또한, 엑슬(1132)은 구동축(1084)의 일 단부에서 돌출되고 그리고 엑슬(도시 않음)과 입력축(1134)은 구동축(1084)의 제2단부에서 돌출된다. 상기 경사는 구동축(1084)의 부분(1124)에서 가파르고, 상기 부분은 구동축(1084)에 변속기 코드(1094)의 적절한 감김과 구동축을 이탈하는 변속기 코드의 트랙킹을 보장하도록 쓰레드 된다.
도1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구동축(1086)과 구동축(1084)은 하우징(1082) 내부 회전용으로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싱은 하우징(1084)과 단부 커버(1088)가 부싱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사실은 변속기(1080)가 설치되어져 조작 준비가 될 때까지 어떻게 록킹 핀(1090)이 단부 커버(1088)에 개구(1128)를 통해 피구동축(1086)에 일 홀(1123) 안으로 삽입되어 변속기(1080)를 고정하는가를 보여준다.
도134를 다시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변속기(1028)는 변속기(1080)와 동일한 것이고, 그리고 바람직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피구동축(1086') 위와 구동축(1084) 밑에 싸여진 변속기 코드(1094)를 가지고, 도144에 도시된 좌측 쓰레드 피구동축(1086')을 사용한다. 조립 및 설치 중에 확실하게 잘못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피구동축(1086')에 표시(이러한 예에서는 문자 "L H"를 좌측에 표식)를 하고 그리고, 하우징(1082)에 조립 시에는 단부 커버(1088)가 좌측 변속기(1028)에 부호화된 색상으로 표식 된다.
변속기 코드(1094)가 피구동축(1086')에 완전하게 싸여지면(도144에 도시), 스프링 모터(1026)에 스프링(도134에 도시)은 전체적으로 완만해진 위치에 있으며 그리고 하부 레일(1012)은 완전 상승 위치에 있다. 사용자가 하부 레일(1012)을 하방향으로 당김으로서, 리프트 코드(1032)(도133에 도시)가 리프트 역(1018)으로 부터 풀어지고 그리고 리프트 봉(1022)은 시계방향(도134의 좌측에서 보여짐)으로 회전한다. 드레그 브레이크(1000)는, 사용자가 이러한 슬립 토오크를 극복하여야만 하고 그리고 그가 하부 레일(1012)을 하강함으로서 스프링 모터(1026)에 스프링을 감도록, 드레그 브레이크(1000)의 슬립 토오크로 이러한 회전에 저항한다. 그런데, 사용자는 차양막에 작용하는 중력힘을 가지어서, 이러한 시도를 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하다. 스프링 모터(1026)는 하부 레일(1012)과 상관 셀룰러 구조(1016)(그리고 하부 레일(1012)이 중간 레일(1008)에 도착하면 중간 레일(1008)도 가능)가 상승하는데 유용하게 충분히 강력할 필요가 있다. 스프링 모터(1026)는, 드레그 브레이크(1000)가 이러한 작용에 저항하기 때문에, 하부 레일(1012), 셀룰러 구조(1016) 및, 중간 레일(1008)의 합산 중량으로 강하를 지속하는 것으로부터 하부 레일(1012)이 지켜지기에 충분하게 강력할 필요는 없다.
하부 레일(1012)이 그 하강 위치에 또는 그 근방에 있으면, 변속기 코드(1094)가 피구동축(1086')으로부터 완전하게(또는 대체로) 풀려지고 그리고 구동축(1084)에 감겨지게 된다. 하부 레일(1012)이 사용자에 의해 상승됨으로서, 변속기 코드(1094)는 구동축(1084)으로부터 풀려지고 그리고 피구동축(1086')에 감겨진다. 따라서, 상승된 중량이 증가함으로서(하부 레일(1012)이 셀룰러 구조(1016)를 더 많이 픽업하고 그리고 이들이 하부 레일(1012)의 상부에 적층되어 중간 레일(1008)도 가능한 많이 픽업하기 때문), 변속기(1080)는, 변속기 코드(1094)가 구동축(1084)에 소 직경에서 점진적으로 커지는 대 직경으로 풀려지고 그리고 피구동축(1086')에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소 직경으로 대 직경부에 감겨져서 스프링 모터 (1026)에 의해 발휘되는 힘에 기구적 잇점을 제공한다.
도134를 다시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우측 변속기(1026')는 좌측 변속기(1026)와 상당히 유사하고, 도1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구동축(1086")이 우측 쓰레드 축이고 그리고 변속기 코드가 소망 효과를 구하기 위해서 피구동축(1086') 밑과 구동축(1084) 밑에 싸여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변속기(1026')는 변속기(1026)와는 반대로 전환되고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레일(1004)의 우측부에 설치된다.
변속기(1026)가 스프링 모터와 드레그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모터 또는 드레그 브레이크를 갖거나 갖지 않고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구동 스플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변속기에 있는 축의 프로필은 변속기가 실시되는 성질의 기능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드레그 브레이크는 모터와 변속기를 사용하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볼 수 있었지만, 모터 또는 변속기를 갖춘 또는 갖추지 않은 광범위하게 변경된 실시예에서도 사용되어진다.
도151 및 도152를 참고로 설명하면,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스프링 모터(1026)가 변속기(1028)에 부착된다. 스프링 모터(1026)는 그 출력 스플(1136)의 회전축이 도1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1028)의 구동축(1084)의 회전축과 정렬을 이루도록 설계된다. 변속기(1028)의 입력축(1134)은 스프링 모터(1026)의 출력 소켓(1138)에 끼워진다.
도153 및 도15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변속기(1028)는 설정 핀(1092)과 설정 홀(1092')을 갖는다. 스프링 모터(1026)는 대응 설정 핀(1093)과 설정 홀 (1093')을 갖는다. 모터(1026)와 변속기(1028)가 함께 조립되면, 변속기(1028) 내의 설정 핀(1092)이 모터(1026)에 있는 설정 홀(1093')에 끼워지고 그리고 모터(1026)에 있는 설정 핀(1093)이 변속기(1028)에 있는 설정 홀(1092')에 끼워진다. 변속기(1028)는 또한 모터(1026)상에 견부(1142)와 결합하는 후크 돌출부(1140)를 가지고 그리고, 모터(1026)도 변속기(1028)상에 견부(1146)와 결합하는 유사한 후크 돌출부(1144)를 가지어서, 모터(1026)와 변속기(1028)가 조립을 위해 함께 정렬되어 스넵 결합 된다.
도154를 참고로 설명하면, 변속기(1028)의 입력축(1134) 둘레 구역은 하부 반부(half)상에 반원형 견부(1148)와 상부 반부상에 반원형 공동(1150)을 형성한다. 모터(1026)의 출력 소켓(1138) 주위 구역은 상부 반부상에 유사한 반원형 견부(1152)와 하부 반부상에 반원형 공동(1154)을 형성한다. 변속기(1028)가 모터(1026)에 조립되면, 반원형 견부(1148, 1152)는 그들의 대응 반원형 공동(1150, 1154)안에 끼워져 변속기(1028)와 모터(1026)의 적절한 정렬 배치와 긴축성을 부가로 보장한다.
도15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변속기의 출력 단부(출력축(1112)에 인접)는 외부방향 대면 후크 돌출부(1156)와 C형상 플랫(1158)을 형성하고, 후술되는 기어박스(712')와 같은 구동열에 다른 성분에 변속기를 구속 해제식으로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기어박스의 다른 실시예
도155 내지 도15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어박스(71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56을 참고로 설명하면, 기어박스(712')는 하우징(714')과, 제1기어(718')와, 제2기어(720')와, 이중 기어(722') 및 2개 단부 캡(1160)을 구비한다.
기어(718', 720', 722')가 기어박스(712)의 상술된 실시예의 기어(718, 720, 722)와 동일하게 있는 것이지만, 하우징(714')은 제1 및 제2기어(718', 720)의 엑슬(740', 748')의 회전 지지부용으로 도1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돌출부(1162)를 가진 일 피스 하우징이다.
좌측과 우측 단부 캡(1160)은 서로 동일한 것이고, 각각 제1 및 제2기어(718', 720')의 엑슬(734', 744')의 회전 지지를 위한 홀(1164)을 구비하고, 설정 핀 홀(1170)은 하우징(712')의 설정 핀(1168), 이중 기어(722')의 회전 지지용 원형 견부(1170), 및 하우징(714')위에 누름 압축끼움용 상부와 하부 플랜지(1172)로 이루어진다. 또한, 단부 캡(1160)의 외측면은, 구동열 성분에 기어박스(712')를 구속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변속기(1028)(도153에 도시)와 같은 구동열 성분에 대응 후크(1156)와 C형상 플랫(1158)과 협력 동작하는 내부방향 대면 후크 돌출부(1174)와 플랫(1176)을 형성한다.
단부 캡(1160)과 하우징(714')의 대칭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기어박스(712')는 좌측으로부터 구동되거나, 또는 만일 반대로 당겨지면, 양쪽 케이스에서 동일한 기어 비율을 유지하면서 우측으로부터 구동된다. 상술된 기어박스(712)와 대비하여,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기어박스(712')를 조립해제할 필요 없이, 기어(718', 720', 722')를 반대로 당기면 된다.
리프트 역( Lift Station )
도106과 도122는 리프트 역(116)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58 내지 도160은 보다 상세하게 리프트 역(116*)의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개방부를 커버링 하는 이동 시스템은 커버링을 상승 및 하강하는데 사용된 1개 이상의 리프트 역을 가진다. 상기 리프트 역의 실시예는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된 2003년 7월 3일자로 코드 싸게 드럼(Drum for Wrapping a Cord)으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10/613,657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출원서에는 리프트 역(116*)의 많은 성분과 특징들을 기술하였다. 따라서, 이하에 기술에서는 리프트 역(116*)의 개량된 특징만을 기술한다.
도159와 도160을 참고로 설명하면, 리프트 역(116*)은 크레들(1180), 감기 스플 또는 드럼(1182), 및 리프트 코드(보이게 도시 않음)를 구비한다.
드럼(1182)은 상류와 하류 단부(1186, 1188)와 회전축(1190)을 형성하는 대략 원통형 요소이다. 드럼(1182)은 상류 단부(1186)에 인접하여 있는 견부(1192)와, 제1미세 경사진 드럼 표면부(1194) 및, 제2원통형 드럼표면부(1196)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2드럼표면부(1196)는 극히 작은 경사로 제조공정에서 몰드 구속해제에 협력하고 그리고, 이러한 극히 작은 경사는 또한 드럼 표면을 횡단하는 코드의 밀어 감김동작의 드레그를 최소로 하는데도 협력하지만, 이러한 제2부분(1196)의 경사가 있으면, 제2부분의 경사도는 제1경삽(1194)의 경사도 보다 작다. 드럼(1182)은 리프트 코드에 있는 팽출부(예, 매듭)에 의해 드럼(1182)에 리프트 코드를 고정하기 위한 하류 단부(1188)에 인접하여 축선방향 슬릿 개구(1198)를 구비한 다. 드럼(1182)은 또한 크레들(1180)에서의 회전을 위한 단거리 엑슬 단부(1200: 상류 단부(1186)에 인접, 1202:하류 단부(1188)에 인접)를 구비한다.
크레들(1180)은 제1 및 제2직립 벽(1204, 1206)을 가진 신장요소이다. 제1벽(1204)은 드럼(1182)의 상류 엑슬 단부(1200)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슬롯 개구(1208)를 형성한다. 제2벽(1206)은 드럼(1182)의 하류 엑슬 단부(1202)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관통 개구(1210)를 형성한다. 드럼(1182)이 크레들(1180)에 조립되면(도161에 도시) 상기 제2벽은 그 하류 단부(1188)에서 드럼(1182)의 전체 원주부를 에워싸고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원형 견부 또는 소켓(1212)을 부가로 형성한다. 드럼(1182)의 외부면과 견부(1212)와의 사이에 반경방향 갭은, 코드가 드럼(1182)의 하류 단부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 코드 직경보다 작다.
크레들(1180)은 드럼(1182)의 상류 단부(1186) 근방에 드럼(1182)에 코드 피드를 위치시키는 코드 안내부(1184)를 구비한다.
리프트 역(1182)의 조립에서, 리프트 코드의 일 단부는 상술되어진 슬릿 개구(1198)에 먼저 고정된다. 리프트 코드의 타 단부는 크레들(1180)의 제1벽(1204) 근방에 코드 안내부(1184)를 통해 공급된다. 드럼(1182)은 먼저 삽입된 하류 단부(1188)와 같이 크레들(1180) 내측부 회전을 위해 장착되어, 하류 엑슬 단부(1202)가 크레들(1180)의 제2벽에 개구(1210) 내측에 놓여지고 다음, 스플(1182)의 하류 단부(1186)는 상류 엑슬 단부(1200)가 슬롯 개구(1208)에 스넵 결합하도록 크레들(1180)에 밀려지게 된다. 조립 시에, 드럼(1182)의 하류 단부(1188)는 견부(1212) 내측에 있으며, 견부(1212)와 그 하류단부(1188)에 드럼(1182)의 표면과의 사이에 반경방향 틈새는 일 리프트 코드 직경보다 작다.
윈도우 커버링의 조작 시에는, 윈도우 커버링의 일 단부의 하강동작을 방해하는 장애물과 마주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윈도우 커버링이 하방향으로의 동작이 멈추어져 있더라도 각각의 드럼(1182)으로부터 각 리프트 코드가 풀어지도록 리프트 역(116*)이 회전을 지속하도록 하는 동작을 특히 모터사용 윈동 커버링에서는 할 수 있다. 장애물이 윈도우 커버링의 하강동작을 방해하는 윈도우 커버링의 단부에서는, 그 드럼(1182)으로부터 적절하게 풀어지는 동작이 지켜지도록 리프트 코드를 당기는 더이상의 장력은 없다. 다음, 리프트 코드는 드럼(1182)에 실질적으로 역감김동작을 개시하고 그리고/또는 다시 그 방식으로 가압한다. 만일 코드가 드럼의 하류 단부에서 드럼을 이탈한다면,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식은 리프트 역(116*)을 조립해제 하는 것이다. 그런데, 드럼(1182)의 표면에 대한 일 코드 직경이 작은 반경방향 틈새를 가진 견부(1212)는 리프트 코드가 드럼(1182)의 하류 단부의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고,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한다.
당분야의 기술인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된 실시예를 개조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사실은 물론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Claims (81)

  1. 축선을 중심으로한 회전용으로 장착되고 제1 및 제2단부를 가진 스플과;
    상기 축선에 대해 축선적으로 고정된 코드 방사점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방사점과 상관하여 고정되는,상기 코드 방사점과 상기 스플 사이에 안내면 및;
    상기 코드 방사점을 통하고 상기 안내면 위를 지나가는, 일 단부에서 상기 스플에 고정된 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권선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상기 안내면을 횡단하는 상기 코드 방사점에서 상기 스플로의 코드 이동 거리가 상기 스플을 따라 있는 코드의 모든 축선 위치와 대략 동일하게, 방사점으로부터의 축선 거리가 증가하여 코드 방사점과 경사부가 축선적으로 정렬을 이루는 대 거리가 스플로부터 멀어지는 소 반경 거리가 되는, 상기 스플로부터 반경 외부방향으로 멀어지게 돌출된 합성 원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스플의 제1단부에 인접한 스플에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스플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코드는 사전에 만들어진 랩(wrap)에 인접하여 놓이고 코드가 제2단부 쪽으로의 진행으로 단일 층 나선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코드의 새로운 랩으로, 상기 제1단부에서 개시하는 상기 스플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오버랩핑과 언더랩핑을 막도록 상기 스플을 따라서 모든 축선 위치에서 상기 축선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상기 코드가 상기 스플에 접근하도록 상기 스플에 상기 코드를 안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은 쓰레드 외부면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코드는 상기 스플에 감김으로서 상기 쓰레드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은 대략 절두원추형 외부 면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은 대략 원통형 외부 면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은 대략 절두원추형 부분과 대략 원통형 부분을 구비하는 외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선기.
  8. 회전용으로 장착된 구동 스플과;
    장식술 추와;
    상기 구동 스플에 고정된 구동 코드의 제1단부와, 상기 장식술 추에 고정되고 자유롭게 걸려진 구동 코드의 제2단부를 구비한 구동 코드와;
    회전용으로 장착된 캡스턴 및;
    상기 구동 스플에 의해 구동된 로드를 포함하는 코드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코드는 구동 스플로부터 캡스턴과 장식술 추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캡스턴 둘레를 감싸고, 그리고;
    상기 장식술 추가 들어 올려졌을 때에도, 그 완전 연장된 위치와 그 완전 수축된 위치와의 사이에서 구동 코드를 조작하는 중에 항시 상기 캡스턴과 상기 장식술 추와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 코드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코드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수단은, 상기 장식술 추가 들어 올려질 때에 캡스턴 주위로 슬립되는 구동 코드와 구동 스플의 회전을 야기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윈도우 커버링의 중량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장식술 추를 당기는 동작은 상기 윈도우 커버링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스프링 편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회전축선을 가진 캡스턴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캡스턴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에 회전이 자유롭고 그리고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에는 회전이 구속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술 추를 당기는 동작은 상기 캡스턴이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술 추를 구속 해제할 때에, 상기 로드는 상기 구동 스플이 회전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구동 코드는 그 제2위치로 상기 캡스턴을 당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15. 제13항에 있어서, 그 제2위치 쪽으로 캡스턴을 편향시키는, 상기 로드에 더하여, 편향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은 열가소성 핑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코드로부터 분리되고 그리고 상기 구동 스플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 코드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18. 제17항에 있어서, 하부 레일을 구비한 윈도우 커버링을 부가로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피구동 코드는 하부 레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19. 제17항에 있어서, 운반기를 구비하는 수직 블라인드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구동 코드는 상기 운반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은 회전축선에 대해 15도와 60도 사이에 각도로 놓여있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21. 제20항에 있어서, 회전용 캡스턴을 지지하고 상부 구동 코드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동 코드 개구는 상기 캡스턴과 상기 구동 스플 사이에 놓여지고 그리고 구동 스플로부터 캡스턴에 감겨져서 상기 경사면에 상기 구동 코드를 안내하도록 상기 캡스턴의 경사면과 축선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에 캡스턴의 회전을 구속하는 수단은 상기 캡스턴이 회전을 위해 그 위에 장착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정지부를 한정하고, 그리고 상기 캡스턴은 상기 캡스턴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정지부와 맞닿는 비원형 프로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는 제1위치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은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제2위치는, 그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제1단부를 중심으로 피봇동작하는 캡스턴을 가지고, 제1위치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 프로필 부분은 상기 제1단부와 상기 경사면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26. 회전용으로 장착된 구동 스플과;
    장식술 추와;
    상기 구동 스플에 고정된 제1단부와, 상기 장식술 추에 고정되고 자유롭게 걸려진 제2단부를 구비한 구동 코드와;
    정지부를 형성하는 캡스턴 하우징과;
    캡스턴 하우징에 회전용으로 장착된 캡스턴 및;
    상기 구동 스플에 의해 구동된 로드를 포함하는 코드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코드는 구동 스플로부터 캡스턴까지 연장되고, 상기 캡스턴 둘레를 감싸게 되고 그리고, 상기 장식술 추로 연장되며;
    상기 캡스턴은 비원형 프로필을 가진 부분을 구비하고 그리고 제1부분으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회전 축선을 가지고, 상기 캡스턴은 제2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비원형 프로필 부분은 정지부와 맞닿으며 그리고 회전으로부터 캡스턴을 구속하고, 그리고;
    a.상기 장식술 추를 당기는 동작은 그 제1위치로 상기 캡스턴을 이동하고,
    b.상기 장식술 추를 구속 해제하는 동작은 상기 로드가 상기 구동 스플이 회전하게 하고 그리고 그 제2위치로 상기 캡스턴을 당기고, 그리고,
    c.상기 장식술 추의 이동 동작은 구동 코드가 캡스턴 둘레의 슬립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코드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구동 스플에 의해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되는, 피구동 코드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28. 제27항에 있어서, 하부 레일을 구비하는 윈도우 블라인드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피구동 코드는 하부 레일에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장식술 추를 당기는 동작은 하부 레일을 이동하고, 상기 장식술 추의 이동 동작은 상기 하부 레일이 구동 코드가 캡스턴 둘레를 슬립하여 하강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장식술 추의 구속해제는 하부 레일이 장식술 추가 구속해제 될 때에 있었던 지점에서 정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29. 제27항에 있어서, 슬랫과 틸트 스플을 구비하는 윈도우 블라인드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피구동 코드는 개방 및 폐쇄 슬랫을 경사지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윈도우 블라인드와 틸트 스플에 고정되고; 그리고 제1방향으로 틸트 스플을 편향시키는 편향 스프링이며, 구동 코드를 당기는 동작은 제1방향과 반대되는 위치에 있는 제2방향으로 틸트 스플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30. 제27항에 있어서, 캐리어 조립체를 구비하는 수직 블라인드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피구동 코드는 캐리어 조립체에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로드는 편향 스프링 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코드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레일을 구비하는 롤러 차양막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술 추를 당기는 동작은 롤러 차양막을 수축하고, 상기 장식술 추를 구속해제하는 동작은 롤러 차양막을 제위치에 고정하고, 그리고 장식술 추를 이동하는 동작은 롤러 차양막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33. 윈도우 커버링용 막대 작동체는, 개방-단부 중공 내부면을 형성한 핸들과;
    내측면과 외측면을 형성하는, C형상단면을 가진 길이방향 연장 막대(wand)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면은 내부방향 돌출 브릿지를 구비하며, 상기 막대의 외측면은 상기 핸들의 내부면 내측을 활주하고 그리고, 상기 막대는 상기 핸들이 상기 막대 위로 활주할 때에 브릿지가 걸쳐 있는 길이방향 연장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링용 막대 작동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윈도우 커버링을 연장 및 수축하는 구동 코드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구동 코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링용 막대 작동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의 외측면은 복수의 길이방향 연장 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링용 막대 작동체.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는 다른 듀로미터를 가진 적어도 2개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브릿지에 인접하여 있는 재료의 듀로미터는 상기 핸들의 원통면에 인접하여 있는 재료의 듀로미터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링용 막대 작동체.
  37. 코드 드라이브의 브레이크 기구는:
    구동 스플 하우징과;
    제1회전축선을 중심으로한 회전용 하우징에 장착된 구동 스플과;
    내측면을 형성하고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한, 길이방향 축선을 가진 코일 스프링과;
    상기 구동 스플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대항하는 스프링의 제1단부를 고정하는 수단과;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한 상기 스프링의 제2단부를 회전하는 록 스프링 레버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면은 상기 구동 스플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고;
    일 방향으로의 상기 제2단부의 회전은 스프링의 내측면이 상기 구동 스플를 구속해제하는 직경을 증가하게 하고, 그리고 반대측 방향으로의 제2단부의 회전은 스프링의 내측면이 상기 구동 스플을 포획하는 직경 감소를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기구.
  38. 건축물 개방부용 윈도우 커버링용 드라이브는:
    길이부와 제1비원형 단면 프로필을 형성하는 로드(rod)와;
    상기 로드와 같이 회전하는 로드에 장착된 스플과;
    상기 스플에 인접한 로드의 일 부분 위에 장착된 적어도 일 슬리브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 부분은 제1단면 프로필과 밀착되게 짝을 이루는 내부 기하형상을 가진 제2단면 프로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링용 드라이브.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그 프로필이 V형상 오목부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V형상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링용 드라이브.
  40. 건축물 개방부의 윈도우 커버링 구동용 기어박스는:
    좌우측 단부 벽을 가지고 공동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제1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공동 내측부에 장착된 제1기어와;
    제1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공동 내측부에 장착된 제2기어 및;
    제2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제3 및 제4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공동 내측에 장착된 이중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기어는 제1기어와 맞물리게 설계된 제1기어부분을 형성하고 그리고 제2기어와 맞물리게 설계된 제2기어부분을 형성하고, 그리고;
    제1기어, 제2기어, 및 이중 기어는 하우징이 완전하게 역전할 수 있고 일 단부로부터 구동되도록 하우징에서 반대 방향으로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의 윈도우 커버링 구동용 기어박스.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단부 벽은 서로에 대한 거울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의 윈도우 커버링 구동용 기어박스.
  42.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은:
    상기 개방부를 횡단하여 연장하는 제1방향으로 그리고 수축하는 제2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팽출성 재료와;
    회전용으로 장착된 구동 스플과, 상기 구동 스플에 고정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진 구동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 드라이브와;
    상기 연장 방향으로 구동 스플을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구동 스플 상에 로드;
    정지부를 형성하는 캡스턴 하우징 및;
    상기 캡스턴 하우징에 회전용으로 장착된 캡스턴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코드의 제2단부를 당기는 동작은 구동 스플이 팽출성 재료를 수축하는 수축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그리고상기 개구를 횡단하여 팽출성 재료가 연장함으로서, 상기 구동 스플이 반대측 연장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스플에 구동 코드를 감으며;
    상기 캡스턴은 비원형 프로필을 가진 부분을 구비하고 그리고 제1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회전축선을 구비하고, 상기 캡스턴은 제2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게 하고, 상기 비원형 프로필 부분은 상기 정지부와 맞닿고 그리고 상기 캡스턴을 회전으로부터 제약하며, 그리고;
    a.상기 제2단부를 당기는 동작은, 상기 제2단부를 부가로 당기는 힘이 구동 코드가 구동 스플로부터 풀어지게 하여, 수축 방향으로 구동 스플을 이동하고 그리고 팽출성 재료가 수축하도록, 상기 캡스턴의 회전이 자유로운 제1위치로 상기 캡스턴을 이동시키고;
    b.상기 제2단부를 구속해제하는 동작은 상기 캡스턴이 그 제2위치로 이동하게 하고, 그리고;
    c.상기 제2단부를 이동하는 동작은 캡스턴 둘레를 상기 구동 코드가 슬립 되게 하여, 상기 로드는 상기 구동 스플이 연장 방향으로 회전을 일으키어, 상기 구동 스플에 상기 구동 코드를 감싸는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팽출 재료의 웨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 재료는 차양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 재료는 수평형 블라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 재료는 수직 블라인드이고 그리고 상기 로드는 스프링 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코드의 제2단부를 에워싸는 막대(wand)와, 구동 코드의 제2단부에 고정된 막대 핸들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48.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코드의 제2단부에 고정된 장식술 추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술 추는 캡스턴 둘레의 슬립동작으로부터 구동 코드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술 추는 캡스턴 둘레의 슬립동작으로부터 구동 코드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중량이 아니지만 그러나 구동 코드가 서행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캡스턴 둘레의 슬립동작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51.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를 상기 캡스턴의 서지동작으로부터 보호를 받도록 상기 코드에 로드를 제공하는 브레이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록킹 독(locking dog)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53. 제42항에 있어서, 중공 막대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제2단부는 상기 중공 막대를 통해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막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막대 핸들을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제2단부는 상기 막대 핸들에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막대 핸들과 상기 막대 사이에 마찰은 상기 캡스턴의 서지동작으로부터 상기 코드를 보호하기에 충분한 브레이크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54. 드레그 브레이크는:
    하우징과;
    스플 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한 제1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방향으로 회전을 위해 장착된 스플 및;
    스프링 면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단부를 가진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면은 상기 스플 면과 접촉하여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의 제2단부는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스프링 면은 상기 스프링의 제1단부가 릴리즈 토오크에 대한 제1방향으로 상기 스플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연장하고, 그리고 상기 스프링 면은 상기 스프링의 제1단부가 슬립 토오크에 대한 제2방향으로 스플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긴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그 브레이크.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면은 내부 면이고 그리고 상기 스플 면은 외측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그 브레이크.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해제 토오크는 상기 슬립 토오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그 브레이크.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 면은 상기 스플 면의 윤활을 위한 적어도 1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그 브레이크.
  58.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제2단부는 부가로 컬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대형 및 소형 직경 개구부분을 가진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의 제2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2단부를 구속해제식으로 고정하도록 하우징의 외측부에 놓이는 상기 컬을 가지고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그 브레이크.
  59. 건축물 개방부의 커버링은:
    상기 개방부를 횡단하여 연장하고 수축하는 동작을 하는 팽출성 재료와;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고,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해 장착된 구동 스플을 구비하는 코드 드라이브와;
    상기 구동 스플에 고정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진 구동 코드와;
    상기 반대측 방향으로의 회전으로부터 구동 스플을 보호하는 구속해제식 브레이크와;
    상기 축선에 대해 축선적으로 고정된 코드 방사점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구동 스플과 상기 코드 방사점 사이에 있고, 상기 방사점에 대해 고정된 안내 면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코드의 제2단부를 당기는 동작은 상기 구동 스플로부터 구동 코드를 푸는 제1방향으로 상기 구동 롤러가 회전하도록 하고,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구 동 스플의 회전이 상기 구동 스플에 상기 구동 코드를 감으며;
    상기 구동 코드는 상기 코드 방사점을 통해 상기 안내면 위로 상기 구동 스플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안내면을 횡단하는 상기 코드 방사점에서 상기 스플로의 코드 이동 거리가 상기 스플을 따라 있는 코드의 모든 축선 위치와 대략 동일하게, 방사점으로부터의 축선 거리가 증가하여 코드 방사점과 경사부가 축선적으로 정렬을 이루는 대 거리가 스플로부터 멀어지는 소 반경 거리가 되는, 상기 스플로부터 반경 외부방향으로 멀어지게 돌출된 합성 원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정지부를 형성하는 캡스턴 하우징과;
    상기 캡스턴 하우징에 회전용으로 장착된 캡스턴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코드는 상기 방출점을 통해서 상기 안내면 위로 상기 구동 스플로부터 상기 캡스턴으로 연장하며, 상기 캡스턴 둘레에 감겨지고, 그리고 상기 제2단부로 연장하며;
    상기 캡스턴은 비원형 프로필을 가진 부분을 구비하고 그리고 제1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회전축선을 구비하고, 상기 캡스턴은 제2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게 하고, 상기 비원형 프로필 부분은 상기 정지부와 맞닿고 그리고 상기 캡스턴을 회전으로부터 제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6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상기 코드가 스플을 따라서 모든 축선위치에 상기 축선에 대해 80도 내지 100도 사이의 각도로 상기 스플에 접근하도록 상기 스플에 상기 코드를 안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권선기.
  6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은 언쓰레드 외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권선기.
  6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로드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6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편향은 로드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6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 캡스턴의 축선은 제2위치에 캡스턴의 축선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6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의 일 단부는, 상기 제1위치에 캡스턴의 축선이 제2위치에 캡스턴의 축선에 대한 각도로 기울도록 캡스턴의 타 단부보다 반경이동에 대하여 더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드라이브.
  67.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와 슬리브는 섬유 유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링용 드라이브.
  68.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은:
    개방부를 횡단하여 연장하고 수축하도록 동작하는 팽출성 재료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단부를 가진 구동 스플을 구비하는 코드 드라이브와;
    구동 스플에 고정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진 구동 코드와;
    정지부를 한정하는 캡스턴 하우징 및;
    회전 캡스턴 축선을 중심으로 캡스턴 하우징에서 회전하기 위해 제1 및 제2엑슬 단부에 장착된 캡스턴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코드의 제2단부에 잡아당기는 동작은 상기 구동 스플로부터 상기 구동 코드를 푸는 동작을 하는 제1방향으로 상기 구동 롤러가 회전하게 하고, 그리고 반대방향으로의 구동 스플의 회전은 상기 구동 스플에 상기 구동 코드를 감고; 상기 구동 스플은 적어도 일 팽창 및 수축동작 방향으로 상기 팽출성 재료를 구동하고;
    상기 캡스턴은 자유롭게 회전하는 제1위치로부터, 정지부와 맞닿고 회전의 제약을 받는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엑슬 단부의 하나는, 상기 캡스턴이 제2위치에 있을 때에 캡스턴 축선이 상기 캡스턴이 제2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캡스 턴 축선에 대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캡스턴이 이동하여 타 단부보다 더 큰 거리를 이동하고; 그리고
    상기 구동 코드는 상기 구동 스플로부터 상기 캡스턴으로 연장되고, 상기 캡스턴 둘레에 감겨지며, 그리고 제2단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성 재료에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구동 스플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 코드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70.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은:
    개방부를 횡단하여 연장하고 수축하도록 동작하는 팽출성 재료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팽출성 재료를 구동하는 구동 스플을 구비하는 코드 드라이브와;
    구동 스플에 고정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진 구동 코드와;
    구동 코드와 분리되고, 상기 구동 스플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팽출성 재료에 고정된 피구동 코드와;
    정지부를 한정하는 캡스턴 하우징 및;
    상기 캡스턴 하우징에서 회전하기 위해 장착된 캡스턴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코드의 제2단부를 당기는 동작은 상기 구동 스플로부터 상기 구동 코드를 푸는 동작을 하는 제1방향으로 상기 구동 롤러가 회전하게 하고, 그리고 반대방향으로의 구동 스플의 회전은 상기 구동 스플에 상기 구동 코드를 감고;
    상기 캡스턴은 상기 하우징에서 회전하는 제1위치로부터, 정지부와 맞닿고 회전의 제약을 받는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구동 코드는 상기 구동 스플로부터 상기 캡스턴으로 연장되고, 상기 캡스턴 둘레에 감겨지며, 그리고 제2단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7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해제성 브레이크는 캡스턴과 상기 캡스턴둘레를 감고 있는 구동 코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72.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해제성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스플 위에 장착된 스프링을 구비하는 드레그 브레이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73.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해제성 브레이크는 피봇가능한 록킹 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7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는 안착된, C형상 단면을 가진 내부 및 외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방향 돌출 브릿지는 내부 부재를 내측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링용 막대 작동체.
  7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C형상 단면은 2개 단부를 형성하고 그리고 부가로, 상기 단부의 일측에서 상기 단부의 타측으로 돌출된 가요성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핑거는 핸들의 브릿지가 통과하도록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링용 막대 작동체.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핑거는 상기 단부의 하나에 스넵결합되는 분리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리용 막대 작동체.
  77.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핑거는 상기 C형상 단면 막대의 일체적 부품이며 그리고 상기 막대와 공압출되며, 상기 막대의 받침대보다 더 유연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링용 막대 작동체.
  78.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코드는 다섬사 초 고분자중량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79. 코드 권선기는:
    제1 및 제2단부와 하부 코드 유입구를 형성하는 크레들;
    상기 크레들에 장착된 스플 및;
    상기 스플의 제2단부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소켓을 형성한, 상기 크레들의 제2단부에서 축선방향 돌출 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은 코드를 수용하는 외부면과, 상기 크레들의 제1 및 제2단부에 장착된 제1 및 제2엑슬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엑슬 단부는 스플의 외부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회전축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선기.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은 그 제1단부에 인접하여 코드 유입구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선기.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의 외부면은 대략 원통형이며, 상기 스플의 제1단부는 약간 경사진 절두원추부와 반경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가진 단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코드 유입구 안내부는 상기 약간 경사진 절두원추부와 축선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선기.
KR1020067001020A 2003-07-16 2004-07-15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드라이브 KR200600892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820803P 2003-07-16 2003-07-16
US60/488,208 2003-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250A true KR20060089250A (ko) 2006-08-08

Family

ID=3410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020A KR20060089250A (ko) 2003-07-16 2004-07-15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드라이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5) US7886803B2 (ko)
EP (1) EP1644273B1 (ko)
JP (1) JP2007536444A (ko)
KR (1) KR20060089250A (ko)
CN (1) CN101128141B (ko)
AU (1) AU2004259699B2 (ko)
BR (1) BRPI0411956A (ko)
MX (1) MXPA06000472A (ko)
RU (1) RU2361053C2 (ko)
WO (1) WO200500987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878A1 (ko) * 2011-08-25 2013-02-28 Kim Jung-Min 단일 안전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20180003631A (ko) * 2009-04-21 2018-01-09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부용 커버링들을 구동하는 스프링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6000472A (es) 2003-07-16 2006-04-11 Hunter Douglas Mecanismo impulsor de cubiertas para aberturas arquitectonicas.
US7270639B2 (en) * 2003-10-14 2007-09-18 Zoll Circulation, Inc. Temperature regulation system for automatic chest compression housing
DK1780370T3 (en) * 2005-10-26 2018-04-16 Hunter Douglas Ind Bv BEARING CARRIER
JP2007126834A (ja) * 2005-11-01 2007-05-24 Sti Japan:Kk 配光制御装置、温室、パーティション及び建築物
US7740045B2 (en) * 2006-10-25 2010-06-22 Hunter Douglas Inc. Spring motor and drag brake for driv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686059B2 (en) * 2006-09-05 2010-03-30 Hunter Douglas Inc. Top down/bottom up control system for retractable shade
JP2008088656A (ja) * 2006-09-29 2008-04-17 Okuho Sogo Kogyo Kofun Yugenkoshi カーテン紐の巻き取り装置
US8752607B2 (en) 2007-10-22 2014-06-17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including a rotation limiter
US20080149512A1 (en) * 2006-12-22 2008-06-26 Dane Gary T Medical instrument bracket assembly
CA2675877C (en) 2007-01-29 2014-05-13 Hunter Douglas Inc.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TWI465636B (zh) * 2007-03-30 2014-12-21 Hunter Douglas 彈簧馬達、彈簧馬達與拖拉煞車之組合、及用於遮蓋一建築物開口之遮蓋系統
TWI412658B (zh) * 2008-07-11 2013-10-21 Ching Feng Home Fashions Co Curtain lifting control device
US8525207B2 (en) 2008-09-16 2013-09-03 Osram Sylvania Inc. LED package using phosphor containing elements and light source containing same
WO2011090975A1 (en) 2010-01-22 2011-07-28 Hunter,Douglas,Inc Power assist module for roller shades
CN102892969B (zh) * 2010-04-16 2016-04-20 亨特道格拉斯工业公司 具有圆周梯级的锥形绳索缠绕线轴
US8365797B2 (en) * 2010-04-30 2013-02-05 Hunter Douglas Inc. 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887786B2 (en) * 2011-03-07 2014-11-18 Hunter Douglas Inc. Control for movable rail
US9482048B2 (en) 2011-03-07 2016-11-01 Hunter Douglas, Inc. Control for movable rail
US8596328B2 (en) 2011-03-08 2013-12-03 Hunter Douglas Inc. Bail lock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739852B2 (en) 2011-07-05 2014-06-03 Hunter Douglas Inc. Accumulating wand
TW201307667A (zh) * 2011-08-04 2013-02-16 Teh Yor Co Ltd 設有阻力平衡機構的窗簾
USD758095S1 (en) * 2011-12-30 2016-06-07 Joseph J. Daniels Ribbed post for a roller shade clutch
DE102012204267A1 (de) * 2012-03-19 2013-09-19 Robert Bosch Gmbh Sensorhalterung für einen Sensor zur Objektdetektion
US8770257B2 (en) * 2012-06-22 2014-07-08 Uni-Soleil Ent. Co., Ltd. Slat rotation, slat winding and unwinding control device of window blind
US9988837B2 (en) 2012-07-13 2018-06-05 Hunter Douglas Industries Switzerland Gmbh Variable force brake for a window covering operating system
WO2014011883A2 (en) * 2012-07-13 2014-01-16 Newell Window Furnishings, Inc. Window covering and operating system
AU2012101508A4 (en) * 2012-10-04 2012-11-08 Acmeda Pty Ltd Spindle cover
US8863812B2 (en) * 2013-02-04 2014-10-21 Ke-Min Lin Window blind assembly and cord guiding device thereof
US8899298B2 (en) * 2013-02-05 2014-12-02 Mei-Chin Hsueh Cheng Window treatment roll-up device
TWM457501U (zh) * 2013-02-07 2013-07-21 Ke-Ming Lin 窗簾的導繩裝置
USD746077S1 (en) * 2013-02-12 2015-12-29 Lumino, Inc. Housing for tilt mechanism
WO2014142790A1 (en) * 2013-03-11 2014-09-18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WO2014163602A2 (en) * 2013-03-11 2014-10-09 Hunter Douglas Inc. Operating system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9422766B2 (en) 2013-07-17 2016-08-23 Hunter Douglas, Inc. Handle and brake arrangement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9677330B2 (en) * 2013-07-17 2017-06-13 Hunter Douglas Inc. Arrangement for a component housing for use in a rail of a window covering
US9708850B2 (en) 2013-07-17 2017-07-18 Hunter Douglas Inc. Arrangement for mounting an actuator button onto a rail of a window covering
CA2919196A1 (en) * 2013-07-25 2015-01-29 Liftwave, Inc. Dba Rise Robotics Differential conical drive
US9222302B2 (en) 2013-12-27 2015-12-29 Pella Corporation Fenestration covering lift system and method
US9482046B2 (en) 2013-12-27 2016-11-01 Pella Corporation Fenestration covering tilt system and method
US9482050B2 (en) * 2013-12-31 2016-11-01 Hunter Douglas, Inc. Shade lock assembly
US9388632B2 (en) * 2013-12-31 2016-07-12 Hunter Douglas, Inc. Cord lock assembly
KR101713853B1 (ko) * 2014-04-03 2017-03-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지용 선박의 공기 흡입 공조시스템 및 공기 흡입 공조방법
US9869124B2 (en) * 2014-04-08 2018-01-16 David R. Hall Motorized gearbox assembly with through-channel design
US9506288B2 (en) * 2014-04-08 2016-11-29 David R. Hall Headrail bracket for installing a motorized gearbox assembly in a window covering
USD744765S1 (en) * 2014-04-15 2015-12-08 Bao S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 curtain control mechanism
CN204126527U (zh) * 2014-08-19 2015-01-28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及其遮蔽结构的升降控制模块
US20160222722A1 (en) * 2015-02-03 2016-08-04 Newell Window Furnishings, Inc. Window covering and operating system
USD788492S1 (en) * 2015-02-11 2017-06-06 Nien Made Enterprise Co., Ltd. Window covering
AU360980S (en) * 2015-02-20 2015-04-08 Acmeda Pty Ltd Cord guide for a roman blind system
AU2016204260B2 (en) * 2015-06-25 2021-04-08 Hunter Douglas Inc. Shutter assembly with motorized louver drive system
US10119329B2 (en) 2015-08-12 2018-11-06 Hunter Douglas Inc. Skew adjustment mechanism for a window covering
US20170081912A1 (en) * 2015-09-18 2017-03-23 Andrew Guillory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operational blind partitions
ITUB20159165A1 (it) * 2015-12-22 2017-06-22 Pellini Spa Sistema di vetrocamera e tenda alla veneziana.
WO2017131012A1 (ja) * 2016-01-29 2017-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採光ブラインド、採光装置、照明システム
CN205532187U (zh) * 2016-01-29 2016-08-31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升降控制结构
USD793765S1 (en) * 2016-02-03 2017-08-08 Tser Wen Chou Bottom weight for a blind
CA169925S (en) * 2016-02-17 2017-09-29 Hunter Douglas Head rail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10538963B2 (en) * 2016-02-19 2020-01-21 Hunter Douglas Inc Wand for architectural covering
CN205400553U (zh) * 2016-03-04 2016-07-27 关健民 一种窗帘
IL244921A0 (en) * 2016-04-05 2016-07-31 Holis Industries Ltd Venetian blind control mechanism
CN106050108B (zh) * 2016-07-25 2018-05-08 苏州鸿仁窗饰有限公司 用于窗帘拉绳收放的收放装置及收放式窗帘
CN106089002A (zh) * 2016-07-25 2016-11-09 苏州鸿仁窗饰有限公司 绕线组件及收放式窗帘
SI3282082T1 (sl) * 2016-08-10 2020-07-31 Aluproff A/S Navijalna naprava
US10655384B2 (en) * 2016-10-19 2020-05-19 Hunter Douglas, Inc. Dual mode architectural structure covering
US10407977B2 (en) * 2016-12-28 2019-09-10 Hunter Douglas Inc. Motorized shutter assembly
US10501988B2 (en) 2017-02-02 2019-12-10 Hunter Douglas Inc. Power assist modul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structures
EP3615760A2 (en) 2017-04-28 2020-03-04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Window treatment mounting bracket
USD874183S1 (en) 2017-05-19 2020-02-04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cover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871795S1 (en) 2017-04-28 2020-01-07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Hem bar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943401S1 (en) 2017-04-28 2022-02-15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Window treatment
USD871105S1 (en) 2017-05-03 2019-12-3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Hem bar applied to a window treament
EP3434857B1 (en) * 2017-07-25 2020-02-12 Coulisse B.V. Screen with head rail, bottom rail and middle rail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the middle rai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the bottom rail
USD883776S1 (en) 2017-09-01 2020-05-12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JP7059073B2 (ja) * 2017-09-08 2022-04-25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遮蔽装置
CA3017663A1 (en) 2017-09-29 2019-03-29 Hunter Douglas Inc.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CN107829491B (zh) * 2017-11-26 2024-01-09 国家电网公司 污水井、雨水井中使用的防蚊虫闸
US20190242186A1 (en) * 2018-02-06 2019-08-08 Tser Wen Chou Horizontal blind structure
USD874184S1 (en) * 2018-06-22 2020-02-04 Tser Wen Chou Roller tube for a roller blind
CA3062374A1 (en) * 2018-11-27 2020-05-27 Hunter Douglas Inc. Improved power assist modul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related drive plug assemblies
US11149489B2 (en) 2019-03-05 2021-10-19 Hunter Douglas Inc. Transmission for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CN109946115B (zh) * 2019-03-20 2024-04-19 中铁武汉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地质钻孔侧壁土体取样装置
US11434690B2 (en) * 2019-05-08 2022-09-06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Lift cord spool for a motorized treatment
JP7257251B2 (ja) * 2019-05-22 2023-04-13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TWI700424B (zh) * 2019-07-18 2020-08-01 程田有限公司 捲控兩用雙管裝置
CN210783894U (zh) * 2019-08-07 2020-06-19 东莞市雷富溢窗饰科技有限公司 窗帘绕线装置
US11441352B2 (en) 2020-02-20 2022-09-13 Lafayette Venetian Blind, Inc. Dual cordless retractable shade system with transitional shade material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D953148S1 (en) 2020-08-14 2022-05-3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953847S1 (en) 2020-09-04 2022-06-07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20220162906A1 (en) * 2020-11-24 2022-05-26 Hunter Douglas Inc. Stackable coverings with overpowered lift systems and related systems with hold-down brackets
USD962044S1 (en) 2021-02-26 2022-08-30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962043S1 (en) 2021-02-26 2022-08-30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TWI753813B (zh) * 2021-04-12 2022-01-21 慶豐富實業股份有限公司 具導滑件之捲線組件及使用該捲線組件的窗簾
US11988037B2 (en) * 2021-06-09 2024-05-21 Tser Wen Chou Window blind lifting and tilting system
CN215974326U (zh) * 2021-06-25 2022-03-08 东莞市雷富溢窗饰科技有限公司 窗帘绕线装置
WO2023087313A1 (zh) * 2021-11-22 2023-05-25 雷振邦 分节式蜂巢帘及其驱动装置
CN217176462U (zh) * 2022-01-18 2022-08-12 宁波利洋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无绳罗马帘
CN217518576U (zh) * 2022-01-18 2022-09-30 宁波利洋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无绳罗马帘的挂梁组件
USD1006611S1 (en) 2022-02-28 2023-12-05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1008785S1 (en) 2022-02-28 2023-12-26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s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CN114767396B (zh) * 2022-04-14 2023-11-21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可快速拆卸的野外救援担架及其使用方法
CN114772138B (zh) * 2022-06-23 2022-11-11 史彩霞 一种间动式肥料搬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09A (en) * 1866-10-23 Improved curtain-fixture
US13251A (en) * 1855-07-17 Window-blind
US177482A (en) * 1876-05-16 Improvement in window-shade fixtures
US337043A (en) * 1886-03-02 Curtain-fixture
US201109A (en) * 1878-03-12 Improvement in curtain-tassels
US15615A (en) * 1856-08-26 1856-08-26 Curtaikt-fixttire
US690198A (en) * 1898-04-19 1901-12-31 Edwin E Slick Dumping-bucket.
US926911A (en) * 1908-04-20 1909-07-06 Frederick Charles Thompson Mechanism for operating venetian blinds.
US1232927A (en) * 1916-08-29 1917-07-10 Samuel W Johnston Shade-raiser.
US1964205A (en) * 1933-06-24 1934-06-26 Ray B Johnson Shade cord pulley
US2410549A (en) * 1945-07-31 1946-11-05 Edwin A Olson Venetian blind
US2520629A (en) * 1948-04-22 1950-08-29 Esposito John Automatically operated venetian blind
US2758644A (en) * 1953-07-30 1956-08-14 Virlouvet Jacques Control system for slatted roller blinds
US3135369A (en) * 1960-03-15 1964-06-02 Nisenson Jules Brake for window shades or blinds
US3460601A (en) * 1967-11-01 1969-08-12 Garnett Abraham Adjustable blind mechanism
DE2726452A1 (de) * 1977-06-11 1979-05-23 Hunter Douglas Ind Bv Antrieb fuer eine lamellenjalousie
FI793545A (fi) * 1978-11-16 1980-05-17 Enar Von Knorring Rullgardinskonstruktion
US5133399A (en) * 1990-12-17 1992-07-28 Hiller Jeffrey H Apparatus by which horizontal and vertical blinds, pleated shades, drapes and the like may be balanced for "no load" operation
US5205334A (en) * 1991-10-03 1993-04-27 Verosol Usa Inc. Double layer shade
ES2098461T3 (es) * 1991-12-19 1997-05-01 Hunter Douglas International Montaje cubriente para aberturas arquitectonicas.
JP2708314B2 (ja) * 1992-04-09 1998-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論理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WO1996027727A1 (en) * 1995-03-06 1996-09-12 Norbert Marocco Combined tilt and raise control for window coverings
FR2735812B1 (fr) * 1995-06-21 1997-08-22 Somfy Dispositif d'enroulement motorise pour stores venitiens
EP1045954B1 (en) * 1997-11-04 2005-08-03 Andrew Joe Toti Flat spring drive system and window cover
US5927370A (en) * 1997-11-18 1999-07-27 Judkins; Ren Release brake shade operator
US6129131A (en) * 1997-11-26 2000-10-10 Hunter Douglas Inc. Control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5799715A (en) * 1997-12-03 1998-09-01 Biro; Michael Julius Liftable window covering with multiple lifting cords and a single pull cord
US6536503B1 (en) 1999-03-23 2003-03-25 Hunter Douglas Inc. Modular transport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AU752179B2 (en) * 1999-04-16 2002-09-05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Cord spool
GB9910841D0 (en) * 1999-05-10 1999-07-07 Univ Nanyang Heat transfer surface
US6622769B2 (en) * 2000-04-14 2003-09-23 Ren Judkins Lift system having length adjustment for window blinds
US6571853B1 (en) * 2000-07-06 2003-06-03 Newell Window Furnishings, Inc. Cordless blind having variable resistance to movement
US6588480B2 (en) * 2000-07-21 2003-07-08 Hunter Douglas Inc. Counter wrap cord drive
US6915831B2 (en) * 2000-07-21 2005-07-12 Hunter Douglas Inc. Drum for wrapping a cord
US7228797B1 (en) * 2000-11-28 2007-06-12 Sundberg-Ferar, Inc. Cordless blind
US6901988B2 (en) * 2001-07-16 2005-06-07 Hunter Douglas Inc. Shutter-like covering and hardware for architectural opening
US7025107B2 (en) * 2001-07-31 2006-04-11 Newell Window Furnishings, Inc. One-way tensioning mechanism for cordless blind
US6675861B2 (en) * 2001-12-14 2004-01-13 Newell Window Furnishings, Inc. Brake for a cordless blind
US6889741B1 (en) * 2002-06-11 2005-05-10 Zipshade Industrial (B.V.I.) Corp. Window covering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multiple interconnected cord winding rotors
US6736185B2 (en) * 2002-07-22 2004-05-18 Pella Corporation Sliding operator for between the glass window coverings
US7143802B2 (en) * 2003-03-20 2006-12-05 Springs Window Fashions Lp Cordless blinds
US7380582B1 (en) * 2003-04-09 2008-06-03 Hunter Douglas Inc. Mounting arrangement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MXPA06000472A (es) * 2003-07-16 2006-04-11 Hunter Douglas Mecanismo impulsor de cubiertas para aberturas arquitectonicas.
US7287570B2 (en) * 2003-10-10 2007-10-30 Springs Window Fashions Lp Window covering lifting system and method
US7740045B2 (en) * 2006-10-25 2010-06-22 Hunter Douglas Inc. Spring motor and drag brake for driv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356653B2 (en) * 2010-08-25 2013-01-22 Teh Yor Co., Ltd. Control module having a clutch for raising and lowering a window sha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631A (ko) * 2009-04-21 2018-01-09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부용 커버링들을 구동하는 스프링 모터
WO2013027878A1 (ko) * 2011-08-25 2013-02-28 Kim Jung-Min 단일 안전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59699A2 (en) 2005-02-03
CN101128141A (zh) 2008-02-20
US7886803B2 (en) 2011-02-15
US20150211293A1 (en) 2015-07-30
US8459328B2 (en) 2013-06-11
RU2361053C2 (ru) 2009-07-10
CN101128141B (zh) 2011-01-12
US9752380B2 (en) 2017-09-05
JP2007536444A (ja) 2007-12-13
MXPA06000472A (es) 2006-04-11
US20130292068A1 (en) 2013-11-07
US10829990B2 (en) 2020-11-10
BRPI0411956A (pt) 2006-10-03
US8997827B2 (en) 2015-04-07
WO2005009875A2 (en) 2005-02-03
US20180320438A1 (en) 2018-11-08
AU2004259699A1 (en) 2005-02-03
US20110126994A1 (en) 2011-06-02
RU2006104695A (ru) 2006-07-27
EP1644273A2 (en) 2006-04-12
EP1644273B1 (en) 2014-01-15
WO2005009875A3 (en) 2007-07-12
US20060118248A1 (en) 2006-06-08
EP1644273A4 (en) 2012-02-15
AU2004259699B2 (en)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9250A (ko)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 드라이브
US20210363817A1 (en) Cord driv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102093760B1 (ko) 건축물 개구부용 커버링들을 구동하는 스프링 모터
US7802608B2 (en) Modular transport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20080099281A1 (en) Spring motor and drag brake for driv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20040035684A (ko) 건축물 개방부를 위한 셔터형 커버링
TWI465636B (zh) 彈簧馬達、彈簧馬達與拖拉煞車之組合、及用於遮蓋一建築物開口之遮蓋系統
WO2003054335A9 (en) Lift cord for window blind
MXPA00004822A (en) Release brake for roller shades and other window cove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