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805A - 타이머 스위치 - Google Patents

타이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805A
KR20060086805A KR1020050070552A KR20050070552A KR20060086805A KR 20060086805 A KR20060086805 A KR 20060086805A KR 1020050070552 A KR1020050070552 A KR 1020050070552A KR 20050070552 A KR20050070552 A KR 20050070552A KR 20060086805 A KR20060086805 A KR 20060086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etting
control
tim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243B1 (ko
Inventor
코우지 카키우치
코우수케 사사키
요시히사 이시가미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5/00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 G04G15/003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acting only at one preselected time or during one adjustable time interv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0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Clock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하기 편리하게 한 타이머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위치 제어부(2)는, 스위치(SW2~SW4)의 설정조작에 따라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 등의 부하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메모리(4)에 설정하는 설정기능과, 액정표시부(8)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기능과, 조작 스위치(SW1)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트라이액(1)의 온/오프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시간 계측 타이머(2a)가 계측한 현재시각이 상기 설정시각으로 되면 타이머 제어의 제어내용에 따라 트라이액(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능과,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을 소정의 시간폭으로 매일 랜덤하게 변화시킨 랜덤 설정시각을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스위치(SW5)의 조작에 따라 타이머 제어의 제어모드가, 설정시각에서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정확 동작모드, 또는, 랜덤 설정시각에서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랜덤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Description

타이머 스위치{TIMER SWITCH}
도 1은 실시형태1의 타이머 스위치의 블록 회로도이다.
도 2는 동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과 도 3(b)은 동상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동상의 핸들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a)는 외관 사시도, 도 4(b)는 하면도이다.
도 5(a)는 동상을 설치 프레임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5(b)는 동상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동상에 이용하는 커버에 액정표시부와 고무 스위치를 조립한 상태를 배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동상에 이용하는 핸들 블록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a)은 동상에 이용하는 핸들 블록의 외관 사시도, 도 8(b)은 참고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동상에 이용하는 핸들 블록을 나타내고, 도 9(a)는 배면도, 도 9(b)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동상에 이용하는 액정표시부의 표시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11(a)과 도 11(b)은 동상의 시공 상태를 하측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 다.
도 12는 동상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a)는 플레이트를 뗀 상태의 측면도, 도 12(b)는 하측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a)과 도 13(b)은 동상을 설치 프레임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2의 타이머 스위치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3의 타이머 스위치의 블록 회로도이다.
도 16은 동상에 이용하는 핸들 블록의 참고예를 나타내고, 도 16(a)은 배면도, 도 16(b)은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라이액 2 … 스위치 제어부
2a … 시간 계측 타이머 4 … 메모리
8 … 액정표시부
본 발명은 타이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매일 미리 결정된 시각에 부하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타이머 스위치가 제공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2-323907호 공보
상술한 타이머 스위치의 사용방법으로서, 부하인 조명기구를 매일 결정된 시 각에 점등, 소등시킴으로써 가족이 집에 있다라고 생각하게 하여, 빈집털이 등의 범죄를 억제한다라는 사용방법이 있지만, 매일 결정된 시각에 조명기구를 점등, 소등시키고 있으면, 타이머에 의해 자동적으로 동작시키고 있다라고 깨닫기 쉽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간(부하를 온하는 온시간 및 부하를 오프하는 오프시간)을 소정의 시간폭으로 랜덤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조명기구를 자동적으로 점등, 소등시키고 있는 것을 깨닫기 어렵게 할 수도 있지만, 방범목적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하를 온/오프하는 시간이 불균일하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이 나빴다.
또한, 상술의 타이머 스위치에서는, 타이머 제어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조작부가 앞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잘못해서 설정 조작부에 접촉해 버리거나, 못된 장난 등으로 타이머 제어의 설정내용이 용이하게 변경되어 버린다라는 문제도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 본 발명자들은, 설정시간 이외에는 설정 조작부를 핸들 커버로 덮도록 한 타이머 스위치를 종래부터 제안하고 있다. 이 타이머 스위치는, 기체(器體)의 앞면에 타이머 제어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조작부를 배치함과 아울러, 기체의 내부에, 기체 앞면에 노출된 조작자가 눌려지면 스위치 입력을 발생하는 조작 스위치와, 부하 및 상용전원의 직렬회로의 양단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부하에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개폐 소자와,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이 있으면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이 되면 타이머 제어의 제어내용에 따라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수납하고 있다. 그리고, 설정 조작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개구 창이 형성되고, 기체의 앞면에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되어서, 이면측에서 조작 스위치의 조작자를 누름조작가능하게 한 조작 핸들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 핸들의 앞면측에, 개구 창을 노출시키는 위치와 개구 창을 덮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 부착된 핸들 커버를 설치해 두고, 타이머 제어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핸들 커버를 닫아 둠으로써 설정 조작부가 부주의하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지만, 설정 조작부를 조작할 때나 핸들 커버를 닫을 때에, 조작 핸들이 잘못 눌려서 부하의 온/오프가 반전해 버릴 가능성이 있어, 사용의 편리함이 나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사용이 편리한 타이머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조영(造營)재에 배치되는 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앞면에,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설정시각 및 그 제어내용을 포함한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조작부와, 설정 조작부에 의한 설정내용을 표시하는 설정 표시부를 배치하고, 기체 앞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 치수이며, 설정 조작부 및 설정 표시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개구 창이 형성되고, 기체의 앞면에 설치한 피벗부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된 조작 핸들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 핸들의 앞면측에, 개구 창을 노출시키는 위치와 개구 창을 덮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 부착된 핸들 커버를 설치하고, 기체의 내부에, 기체 앞면에 노출시킨 조작자가 조작 핸들에 의해 눌려지면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조작 스위치와, 부하 및 상용전원의 직렬회로의 양단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부하에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개폐 소자와,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현재시각을 계측하는 시간계측기능, 설정 조작부의 설정조작에 따라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설정기능, 설정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기능, 조작 스위치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시간계측기능에 의해 계측된 현재시각이 기억부에 기억된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으로 되면 타이머 제어의 제어내용에 따라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능을 갖는 스위치 제어부를 수납한 타이머 스위치로서, 스위치 제어부에, 설정기능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 동작의 설정시각을, 매일 소정의 시간폭으로 랜덤하게 변화시킨 랜덤 설정시각을 설정하는 기능을 설치함과 아울러, 설정 조작부에, 제어기능에 의한 타이머 제어의 제어모드를, 설정시각에서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정확 동작모드, 또는, 랜덤 설정시각에서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랜덤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타이머 모드 전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설정 조작부에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 설정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스위치 제어부에 지연시간을 제한하는 지연 타이머기능을 설치하고,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이, 개폐 소자의 온 시에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이 있으면 지연 타이머기능에 의한 시간제한동작을 개시시키고, 지연 타이머기능의 시간제한 중에는 개폐 소자의 온 상태를 계속하고, 시간제한동작이 종료하면 개폐 소자를 오프시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은, 지연 타이머기능의 시간제한 중에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이 있으면, 지연 타이머기능에 의한 시간제한동작을 강제적으로 종료시켜서, 개폐 소자를 바로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의 발명에 있어서, 설정 조작부에,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에 의한 제어모드를,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서만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반전시키는 수동제어모드, 또는,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시간계측기능이 계측한 현재시각이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으로 되면 타이머 제어의 제어내용에 따라 개폐 소자를 온/오프시키는 타이머 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수단을 설치하고, 기체의 앞면에, 스위치 제어부에 의해 점등상태가 제어되는 점등 표시부를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하고, 스위치 제어부가, 개폐 소자의 온 시에 점등 표시부를 소등시키고, 오프 시에 점등 표시부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지연 타이머기능에 의한 시간제한동작 중에는 점등 표시부를 소정 주기로 점멸시키고, 또한, 타이머 제어모드로 동작 중에는 점등 표시부를 소정 주기보다 긴 주기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조작 핸들 및 핸들 커버 내의 한쪽에 영구자석을 유지시킴과 아울러, 다른쪽에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자성체를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 은, 설정 조작부로부터 설정조작에 따른 입력이 있는 동안에,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개폐 소자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핸들 커버가 닫혀지면 스위치 제어부에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은, 개폐 검지수단으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개폐 소자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설정 조작부는, 스위치 제어부의 동작모드를, 설정기능에 의해 설정 조작부의 설정조작에 따른 설정내용을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설정모드, 제어기능에 의해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수단을 포함하고, 스위치 제어부는, 동작모드 전환수단에 의해 제어모드로 전환된 경우, 설정 조작부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른 설정기능의 설정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용전원으로부터 스위치 제어부의 동작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회로와, 상용전원의 정전을 검지하여 정전 검지신호를 발생하는 정전 검지회로와, 전원회로의 출력에 의해 충전되어 정전시에 스위치 제어부에 전원공급을 행하는 콘덴서를 구비하고, 스위치 제어부는, 정전 검지회로로부터 정전 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설정표시기능에 의해 설정 표시부의 표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조영재에 배치되는 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앞면에,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설정시각 및 그 제어내용을 포함한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조작부와, 설정 조작부에 의한 설정내용을 표시하는 설정 표시부를 배치하고, 기체 앞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 치수이며, 설정 조작부 및 설정 표시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개구 창이 형성되고, 기체의 앞면에 설치한 피벗부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된 조작 핸들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 핸들의 앞면측에, 개구 창을 노출시키는 위치와 개구 창을 덮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 부착된 핸들 커버를 설치하고, 기체의 내부에, 기체 앞면에 노출시킨 조작자가 조작 핸들에 의해 눌려지면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조작 스위치와, 부하 및 상용전원의 직렬회로의 양단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부하에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개폐 소자와,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현재시각을 계측하는 시간계측기능, 설정 조작부의 설정조작에 따라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설정기능, 설정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기능, 조작 스위치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시간계측기능에 의해 계측된 현재시각이 기억부에 기억된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으로 되면 타이머 제어의 제어내용에 따라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능을 갖는 스위치 제어부를 수납한 타이머 스위치로서, 핸들 커버가 닫혀지면 스위치 제어부에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은, 설정 조작부로부터 설정조작에 따른 입력이 있는 동안에, 및, 개폐 검지수단으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개폐 소자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기체는, 조영재에 고정되는 설치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을 갖고, 설치 프레임의 앞면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의 창구멍으로부터 앞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설치수단을 이용하여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개구 창을 노출시키는 위치에 핸들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핸들 커버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과대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 플레이트의 창구멍의 둘레부에 핸들 커버가 접촉한 부위를 지점으로 하여, 조작 핸들을 기체의 앞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힘보다, 기체가 조작 핸들을 유지하는 유지력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기체는, 조영재에 고정되는 설치 프레임의 창구멍으로부터 앞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설치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을 갖고, 조작 핸들은 앞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상이며, 피벗부에 의해 피벗된 측의 측 가장자리를 설치 프레임의 앞면에 면접촉시킴과 아울러, 피벗부에 의해 피벗된 측과 반대측의 측 가장자리를 후방측으로 압압한 경우에 설치 프레임의 앞면과 면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1)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을 도 1~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 3(a)에 나타내는 방향에 있어서 상하 좌우의 방향을 규정하고, 도 3(a)의 정면을 앞면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타이머 스위치(A)의 기체(10)는 직육면체형상이며, 합성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앞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보디(11)와, 합성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후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커버(12)를, 보디(11)의 개구에 커버(12)의 개구를 맞추도록 결합하여 형성된다. 즉, 커버(12)의 상하 양측면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는 후방을 향해서 각 1쌍의 조립편(12a)이 연장되고, 각 조립편(12a)에 형성된 조립 구멍(12b)이 보디(11)의 상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 돌기(11a)에 결합함으로써, 보디(11)와 커버(12)가 결합되어 있다.
기체(10)의 좌우방향의 치수는, 매립 배선기구용의 설치 프레임(50)(도 2 및 도 5 참조)의 창구멍(51)의 좌우방향(두께방향)의 치수와 대략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 프레임(50)의 창구멍(51)을 둘러싸는 양 측편(側片)(52,52)에는 배선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기구설치구멍(53)이 3쌍씩 형성되어 있고, 기체(10)의 전방부를 구성하는 커버(12)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벽(좌측벽)에는 기구설치구멍(53)에 결합가능한 설치 클로(13)가 2쌍, 커버(12)의 다른쪽 측벽(우측벽)에는 상기 설치 클로(13)가 1쌍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설치 클로(13)가 기구설치구멍(53)에 결합함으로써 기체(10)를 설치 프레임(50)에 유지시키고 있다. 또한 커버(12)의 우측벽에는, 1쌍의 설치 클로(13)가 돌출되게 형성된 부위의 상하 양측부에 후단이 개방된 2개의 노치 홈(14)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도 6 참조), 2개의 노치 홈(14)의 사이의 부위는 두께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휨 편(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12) 내에 있어서 휨 편(15)의 이면측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휨 편(15)을 커버(12)의 내측으로 휘게 함으로써, 휨 편(15)에 형성된 1쌍의 설치 클로(13)를 커버(12)의 측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10)를 설치 프레임(50)에 설치하는 때에는, 커버(12)의 좌측벽에 형성된 설치 클로(13)를 설치 프레임(50)의 기구설치구멍(53)에 삽입함과 아울러, 우측벽에 형성된 설치 클로(13)를 커버(12)의 측면으로부터 후퇴시키도록 하여, 설치 프레임(50)의 창구멍(51)에 기체(10)의 전방부를 삽입하면, 우측벽의 설치 클로(13)가 기구설치구멍(53)에 삽입되어 기체(10)가 설치 프레임(50)에 유지된다. 한편, 기체(10)를 떼어낼 때에는, 휨 편(15)을 커버(12)의 내측에 눌러넣게 하면, 휨 편(15)에 형성된 설치 클로(13)가 기구설치구멍(53)으로부터 빠져나오고, 설치 프레임(50)으로부터 기체(10)를 떼어낼 수 있다. 여기에 설치 클로(13)로부터, 기체(10)를 설치 프레임(5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이 구성된다.
그런데, 도 2에 나타낸 설치 프레임(50)은, 규격화된 단위 모듈 치수(1개 모듈 치수)의 매립형 배선기구를 단폭(短幅)방향으로 3개 배열하여 설치가능한 일련의 설치 프레임이며, 타이머 스위치(A)의 기체(10)는 2개의 모듈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모듈 치수로 형성된 다른 배선기구(예컨대 스위치 등)(B)와 병설할 수 있다. 또한 설치 프레임(50)에 타이머 스위치(A)만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단위 모듈 치수의 배선기구 1개분의 간극이 생기기 때문에, 이 간극을 폐쇄하는 블랭크 칩(blank chip)(80)(도 2 참조)을 설치 프레임(50)에 설치하면 좋다. 또한 블랭크 칩(80)은 앞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이며,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치수가 단위 모듈 치수의 배선기구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설치 프레임(5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도시 안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설치 프레임(50)의 상하의 프레임편(54)에는, 각각, 박스 나사(도시 안함)가 삽입통과하기 위한 긴 구멍(5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55)에 통과시킨 박스 나사를 벽면 등의 조영면에 매설된 매립 박스(도시 안함)의 나사부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조영재(100)에 고정되어 있고, 설치 프레임(50)에 유지된 기체(10)의 후방부는 조영재(100)에 형성된 설치구멍(101) 내에 매설된다(도 5 참조). 또한 각 프레임편(54)에는 플레이트 나사용 나사구멍(56)이 형성되어 있고, 설치 프레임(50)의 앞면측에는 합성수지에 의해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프레임(60)이 플레이트 나사를 이용하여 나사 고정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 플레이트 프레임(60)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구멍(62)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 걸림편(72)을 걸림구멍(62)에 당겨서 걸음으로써 면판(face plate)(70)이 플레이트 프레임(60)의 앞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 플레이트 프레임(60)과 면판(70)으로 설치 프레임(50)의 앞면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트가 구성된다.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플레이트 프레임(60) 및 면판(70)은, 각각, 설치 프레임(50)의 창구멍(51)보다 길이가 길고 또한 폭이 넓은 창구멍(61,71)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창구멍(61,71)을 통해서 타이머 스위치(A)의 기능면이나 배선기구(B)의 기능면이 노출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보디(1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스위치 제어부(2)나 전원회로(5)의 구성부품이나 외부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도시 안함) 등을 실장함과 아울러 방열판(16a)을 고정한 프린트 배선판으로 이루어지는 회로기판(16)이 수납되어 있다. 여기에 회로기판(16)에 실장되는 개개의 단자는, 보디(11)의 후방벽에 형성된 전선삽입구멍(도시 안함)을 통해서 보디(11) 내에 삽입되는 외부전선을 도전성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록(lock)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접속 유지하는 속결(速結)단자(도시 안함)로 구성되어 있고, 록 스프링을 압압해서 전선의 록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해제 버튼(도시 안함)도 보디(1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단자로서는 후술하는 1쌍의 부하 접속단자(Ta,Tb)가 있다.
한편 커버(12)에는 프린트 배선판으로 이루어지는 회로기판(17)이 수납되고, 이 회로기판(17)에는 앞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액정표시부(8)나, 모멘터리형의 푸시 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 스위치(SW1)나, 점등 표시부인 발광다이오드(LD) 등의 회로부품이 실장되고, 또한 고무 스위치(19)와 함께 설정 조작부로서 기능하는 접점을 구성하는 도전 패턴(도시 안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17)은,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2)의 앞벽과의 사이에 고무 스위치(19)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커버(12) 내에 수납 장착되어 있다. 고무 스위치(19)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주부(主部)(19e)와, 주부(19e) 상측변으로부터 연장되는 く자형으로 굴곡한 연결부(19f)와, 이 연결부(19f)를 통해서 주부(19e)에 연결된 직사각형상의 지지부(19g)를 갖고, 주부(19e)의 앞면에는 가요성을 갖는 박육부을 통해서 주부(19e)에 연결된 기둥형상의 키부(19a~19d)가 2열로 배열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표시부(8)과 고무 스위치(19)를 커버(12) 내에 수납 장착하면, 고무 스위치(19)의 각 키부(19a~19d)가 커버(12)의 앞벽에 형성된 개구 창(21c~21f)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액정표시부(8)의 배면에 지지부(19g)가 접촉하여, 커버(12)의 앞벽과 지지부(19g) 사이에서 액정표시부(8)가 지지되고, 진동 등에 의해 액정표시부(8)의 설치위치가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부(8)를 지지하는 부재를 고무 스위치(19)가 겸용하고 있으므로, 부품점수를 적게 하여, 조립 작업 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점수가 적어지므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수가 줄고, 비용절감이 도모된다. 또한, 회로기판(17)과 회로기판(16) 사이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양자간에는 절연판(25)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표시부(8)의 표시화면과, 발광다이오드(LD)의 발광부와, 조작 스위치(SW1)의 푸시 버튼(18)(조작자)과, 고무 스위치(19)의 키부(19a~19d)는, 각각, 커버(12)의 앞벽에 관통하게 형성된 창구멍(21a~21f)을 통해서 커버(12)의 앞면[즉 기체(10)의 앞면]에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기체(10)의 앞벽의 우측 부근의 부분에 있어서, 상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창구멍(21a)을 통해서 액정표시부(8)의 표시화면이 노출되고, 창구멍(21a)의 하측 대략 중앙에 형성된 창구멍(21b)을 통해서 푸시 버튼(18)이 노출되고, 창구멍(21a)의 하측에 좌우 2열로 2개씩 형성된 창구멍(21c~21f)을 통해서 고무 스위치(19)의 키부(19a~19d)가 노출된다. 또한 커버(12)의 앞벽의 좌단부에는, 회로기판(17)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LD)가 대향하는 부위에 투과구멍(2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이 투과구멍(22)을 통해서 발광다이오드(LD)가 노출되게 되어 있다.
또한 기체(10)의 앞면측에는, 조작 스위치(SW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핸들(30)이 기체(10)의 앞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 형태로 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 다(도 3 및 도 4 참조). 커버(12)의 앞면의 좌측 단부에는, 조작 핸들(30)을 피벗 부착하기 위해서 경사진 전방으로 돌출하는 1쌍의 축부(23,23)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축부(23,23)의 전단부는 커버(12)의 길이방향을 따른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 핸들(30)은 합성수지에 의해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방향의 치수가 면판(70)의 창구멍(71)의 좌우방향(두께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치수가 창구멍(71)의 상하방향(길이방향) 치수의 약 2/3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30)의 배면의 두께방향의 일단부에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금속제의 베어링용 스프링체(30d)를 삽입용 구멍(30c,30c)에 장착한 베어링부(30b)가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용 스프링체(30d)는, 배면측의 단부를 삽입용 구멍(30c)의 중앙에 돌출시키도록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용 스프링체(30d)의 배면측의 단부와 삽입용 구멍(30c)으로 피벗부인 축부(23)를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한다.
또한, 삽입용 구멍(30c)의 개구 부근에서는 베어링용 스프링체(30d)의 단부가 내측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삽입용 구멍(30c)의 안쪽측보다 개구폭이 좁고, 커버(12)의 축부(23)를 베어링용 스프링체(30d)의 스프링력에 저항해서 삽입용 구멍(30c)에 탄성적으로 삽입하면, 축부(23)와 베어링부(30b)가 피벗 부착되고, 용이하게는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작 핸들(30)의 이면에는 후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빠짐방지용 빠짐방지편(31)이 타단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이 빠짐방지편(31)은 커버(12)의 앞벽에 형성된 삽입구멍(12c)을 통해서 커버(12)의 내측에 삽입되고, 빠짐방지편(31)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 클로(31a)가 삽입구멍(12c) 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조작 핸들(30)의 회전이동 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또한 조작 핸들(30)의 이면에는, 커버(12)의 앞면에 노출되는 푸시 버튼(18)과 대향하는 부위에 압압 돌기(30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조작 핸들(30)의 우측부를 누름 조작하면, 조작 핸들(30)이 축부(23)를 지점으로 해서 회전이동하고, 조작 핸들(30)의 압압 돌기(30a)에 의해 푸시 버튼(18)이 눌려져, 조작 스위치(SW1)가 온 된다. 한편, 조작 핸들(30)을 압압하는 힘을 없애면, 조작 핸들(30)은 푸시 버튼(18)이나 베어링용 스프링체(30d) 등의 반력을 받아서 복귀 위치에 돌아오고, 조작 스위치(SW1)가 오프 된다.
또한 조작 핸들(30) 앞면의 우측부분에는 박육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박육부(32)에는 커버(12)의 창구멍(21a)에 대응하는 부위에 액정표시부(8)를 노출시키는 각이 진 구멍형상의의 창구멍(33a)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창구멍(21c~21f)에 대응하는 부위에 키부(19a~19d)를 각각 삽입통과시키는 개구 창(33b~33e)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핸들(30) 앞면의 좌단부에는 박육부(32)의 앞면보다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 다이부(34)가 형성되고, 이 돌출 다이부(34)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광부재(35)의 돌기부(35a)가 삽입되는 투과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부재(35)는 투광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앞면측의 돌기부(35a)를 투과구멍(34a)에 삽입한 상태에서 조작 핸들(30)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기체(10) 내에 수납 장착된 발광다이오드(LD)의 조사광은 조작 핸들(30)에 유지된 도광부재(35)를 통해서 조작 핸들(30)의 투과구멍(34a)으로부터 전방으로 출사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핸들(30)의 앞면에는, 액정표시부(8)나 고무 스위치(19)의 키부(19a~19d)가 노출되는 부위[즉 박육부(32)]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핸들 커버(40)가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 부착되어 있다. 핸들 커버(40)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치수가, 각각, 박육부(32)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핸들 커버(40)의 좌측부의 상하 양단부로부터는 측방을 향해 돌출하는 암(41,4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 암(41)의 선단부에는 돌출 다이부(34)의 상하 양측면에 형성된 축구멍(도시 안함)에 피벗되는 회전이동축(41a)[도 11(a) 참조]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 다이부(34)의 축구멍에 암(41)의 회전이동축을 축지지시킴으로써 핸들 커버(40)는, 창구멍(33a) 및 개구 창(33b~33e)을 노출시키는 상태와, 창구멍(33a) 및 개구 창(33b~33e)을 덮는 상태를 선택가능하게 하여 조작 핸들(30)의 앞면에 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 커버(40)의 이면에는, 암(41)이 돌출되게 형성된 측과 반대측의 부위에 프레임형상의 리브(4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리브(42)로 둘러싸여지는 부위에 영구자석(43)이 삽입된다. 그리고 리브(42)의 상하변에 형성된 기둥형상 돌기(42a,42a)를 압착이나 열착 등의 방법으로 찌부러뜨림으로써, 영구자석(43)이 리브(42)로 둘러싸여진 부위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한편, 조작 핸들(30)에는, 영구자석(43)과 대향하는 부위의 이면측에 철편과 같은 자성체(36)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30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 오목부(30e)에 자성체(36)를 수납 장착한 후, 수납 오목부(30e)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돌기(30f)를 압착이나 열착 등의 방법으로 찌부러뜨림으로써, 자성체(36)가 수납 오목부(30e) 내에 유지된다. 또한, 자성 체(36)는, 조작 핸들(30)에 있어서의 영구자석(43)과의 대향부위의 대략 바로 이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도 7 및 도 9 참조), 영구자석(43)과의 거리를 가능한 한 짧게 함으로써 영구자석(43)의 자력에 의한 흡인력을 높이고 있으므로, 자성체(36)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자성체(36)를 압착 등의 방법으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커버(40)를 닫아서, 조작 핸들(30)의 박육부(32)에 핸들 커버(40)를 겹치게 하면, 조작 핸들(30)의 앞벽을 통해서 자성체(36)의 전방에 영구자석(43)이 배치되고, 영구자석(43)의 자력에 의해 자성체(36)가 흡인됨으로써 핸들 커버(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핸들 커버(40)를 닫을 때에 핸들 커버(40)를 소정 위치(각도)까지 회전시키면, 영구자석(43)의 자력에 의해 핸들 커버(40)가 폐쇄위치까지 자연히 회전하기 때문에, 핸들 커버(40)를 최후까지 누르지 않아도 되고, 핸들 커버(40)를 닫고자 하는 힘에 의해 조작 핸들(30)이 잘못해서 누름 조작되어 버려[즉 조작 스위치(SW1)의 조작자(18)가 밀려 버려], 부하의 온/오프가 반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b) 및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핸들(30)의 배면에 빠짐방지편(31)을 2개 돌출되게 형성한 경우에는, 자성체(36)를 설치하는 공간을 조작 핸들(30)의 배면측에 확보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도 16(b)과 같이 조작 핸들(30)의 앞면에 자성체(36)를 점착 등의 방법으로 설치하게 되고, 이 경우에는 영구자석(43)의 자력에 의해 자성체(36)가 박리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빠짐방지편(31)을 2개에서 1개로 줄이고, 조작 핸들(30)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작 핸들(30)의 배면에 자성체(36)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자성체(36)와 영구자석(43) 사이에 조작 핸들(30)이 위치하기 때문에, 영구자석(43)의 자력에 의해 자성체(36)가 박리될 우려는 없다.
또한, 빠짐방지편(31)을 1개로 한 경우에는 빠짐방지편(31)을 조작 핸들(30)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에 배치할 수 있고, 조작 스위치(SW1)의 조작자(18)를 누르는 압압 돌기(30a)가 빠짐방지편(31)과 축부(23)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압압 돌기(30a)는 조작 핸들(30)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 핸들(30)의 상하의 단부를 눌렀을 때에 어느 단부를 눌렀더라도, 압압부위로부터 압압 돌기(30a)까지의 거리가 대략 같게 되므로, 어느 단부를 누른 경우에나 조작 감촉이나 조작 하중이나 스트로크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조작 핸들(30)의 끝 누름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타이머 스위치(A)의 회로구성을 도 1의 블록 회로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회로는, 개폐 소자로서의 트라이액(1)과,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제어부(2)과, 조작 스위치(SW1) 및 설정 조작부인 고무 스위치(19)로부터의 설정 입력을 감시하는 입력회로부(3)와, 타이머 제어 등의 스위치 제어에 관한 설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EEPROM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메모리(4)(기억부)와, 전원회로(5)과, 정전검출회로(6)와, 구동회로(7)와, 설정 표시부인 액정표시부(8)(LCD)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는, 클럭 회로(도시 안함)로부터 주어지는 클럭을 카운트함으로써 현재의 시각을 계측하 는 시간 계측 타이머(2a)(시간계측기능)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의 연산기능에 의해서, 설정 조작부의 설정조작에 따라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메모리(4)에 기억시키는 설정기능, 액정표시부(8)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기능, 조작 스위치(SW1)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트라이액(1)의 온/오프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시간 계측 타이머(2a)에 의해 계측된 현재시각이 메모리(4)에 기억된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으로 되면 타이머 제어의 제어내용에 따라 트라이액(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능,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을 소정의 시간폭으로 매일 랜덤하게 변화시킨 랜덤 설정시각을 설정하는 기능이 실현되고 있다.
본 회로에서는, 상용전원(AC) 및 부하(L)의 직렬회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1쌍의 부하 접속단자(Ta,Tb) 간에 트라이액(1)을 접속하고 있고, 구동회로(7)가 스위치 제어부(2)의 출력단자(P1)로부터 주어지는 제어신호에 따라 트라이액(1)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고 있다.
입력회로부(3)는, 조작 스위치(SW1)나 고무 스위치(19)가 구비하는 스위치(SW2~SW5)의 조작을 감시하고 있고, 조작 스위치(SW1)의 푸시 버튼(18)이나 고무 스위치(19)의 키부(19a~19d)가 눌려지면, 조작 스위치(SW1) 및 스위치(SW2~SW5)의 스위치 입력을 스위치 제어부(2)에 주게 되어 있다.
전원회로(5)는, 부하 접속단자(Ta,Tb) 간에 교류입력단이 접속된 전파(全波)정류기(DB)와, 전파정류기(DB)의 직류출력단자 간에 접속된 저항(R1,R2)의 직렬회로, 저항(R2)과 병렬로 접속된 제너 다이오드(ZD), 및 콜렉터-베이스간에 저항(R1)이 접속된 트랜지스터(Tr1)로 이루어지는 시리즈 레귤레이터로 구성되고, 트랜지스 터(Tr1)의 콜렉터는 스위치 제어부(2)의 전원단자(P4)에 접속되어 있다. 전파정류기(DB)의 교류입력단자에는 부하 접속단자(Ta,Tb)를 통해서 교류전압이 인가되고, 이 교류전압을 전파정류기(DB)에 의해 전파 정류해서 직류전압으로 변환한 후, 시리즈 레귤레이터로 정전압화해서 스위치 제어부(2) 등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부하(L)의 오프시에는 부하 접속단자(Ta,Tb)를 통해서 부하(L)의 누설 전류가 흐르므로, 이 누설 전류가 전파정류기(DB)에서 전파 정류되어 전원회로(5)에 주어지고, 전원회로(5)에 의해 동작 전원이 생성된다. 또한 본 회로에서는, 전원회로(5)의 출력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콘덴서(C1)를 구비하고 있고, 정전 발생시에 전원회로(5)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없어지면, 콘덴서(C1)로부터 스위치 제어부(2)에 동작 전원이 공급된다.
정전 검지회로(6)는, 게이트-소스간에 저항(R2)이 접속됨과 아울러, 드레인이 저항(R3)을 통해서 정전압(Vcc)에 풀업된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이하, 트랜지스터라고 한다)(Tr2)를 갖고 있고, 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압이 스위치 제어부(2)의 입력단자(P3)에 인가된다. 여기서, 상용전원(AC)이 정상으로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저항(R2)의 양단간에 전압이 발생하므로, 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소스간에 전압이 발생하고, 트랜지스터(Tr1)의 드레인-소스간이 도통하고, 스위치 제어부(2)의 입력단자(P3)의 전압 레벨은 로 레벨로 된다. 한편, 정전시에는 저항(R2)의 양단 전압이 제로로 되므로, 트랜지스터(Tr1)의 드레인-소스간이 오프로 되고, 스위치 제어부(2)의 입력단자(P3)의 전압 레벨은 하이레벨이 된다.
점등 표시부인 발광다이오드(LD)는, 스위치 제어부(2)의 출력단자(P2)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의해 여자되어 점등한다.
다음에 타이머 스위치(A)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을 행한다. 우선 스위치 제어부(2)의 설정기능에 의해 현재시각이나 지연시간이나 타이머 시간 등의 스위치 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설정하는 설정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액정표시부(8)의 표시화면을 나타내고 있고, 표시화면의 하측에는 현재시각이나 지연시간이나 설정시각을 표시하는 7세그먼트의 4자리의 숫자(8a)가 표시되고, 그 숫자(8a)의 상측에 숫자(8a)가 표시하는 시간을 설명하는 「온」 「분」 「오프」 「초」와 같은 문자(8b)가 좌우로 배열해서 표시된다. 또한 기체(10)의 앞면에는 창구멍(33a)에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관통하게 형성된 명판(24)이 점착되어 있고, 이 명판(24)에는 창구멍(33a)의 상측에 표시내용을 설명하는 문자(예컨대 현재시각의 설정중을 나타내는 「현재」, 지연시간의 설정중을 나타내는 「지연」, 타이머 제어모드(소위 집보기 모드)의 설정중을 나타내는 「집보기」)가 좌우로 배열해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표시부(8)의 표시화면에는, 명판(24)에 표시된 「현재」 「지연」 「집보기」의 문자의 하측에 각각 「-」과 같은 심벌(8c)이 표시되고, 또한 심벌(8c)의 하측에 현재의 설정내용을 나타내는 「▲」과 같은 심벌(8d)이 표시된다. 또한 액정표시부(8)의 표시화면에는, 숫자(8a)의 하측에 「-」과 같은 심벌(8e)이, 명판(24)의 「정확동작」이라는 문자의 상측에 표시시킬 수 있고, 타이머 제어의 제어모드가 정확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심벌(8e)이 표시되고, 랜덤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심벌(8e)의 표시가 사라지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표시예에서는 「온」 「분」 「오프」 「초」의 문자(8b)가 모두 표시되어 있지만, 「온」 「분」 「오프」 「초」의 문자(8b)의 내에서 설정내용에 대응하는 문자만이 표시된다. 또한 「현재」 「지연」 「집보기」의 문자의 하측에 「▲」이 모두 표시되어 있지만, 현재의 설정내용에 대응해서 어느 1개의 문자의 하측에만 「▲」을 표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부(8)의 표시에 심벌(8c,8d,8e)을 이용함으로써, 표시내용을 판단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문자 등으로 표시하는 경우에 비해서 표시면적이 작게 되므로, 액정표시부(8)의 화면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고무 스위치(19)의 키부(19a,19b)는, 시간설정을 위한 설정 스위치(SW2,SW3)의 조작 버튼이며, 키부(19a)를 누르면 시각을 느리게 하거나, 후술의 지연시간을 길게 할 수 있고, 키부(19b)를 누르면 시각을 빠르게 하거나, 지연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고무 스위치(19)의 키부(19c)는 스위치 제어부(2)의 동작모드를 설정모드 또는 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스위치(SW4)(동작모드 전환수단)의 조작 버튼이며, 키부(19d)는 스위치 제어부(2)의 제어모드를 수동제어모드 또는 타이머 제어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타이머 제어의 제어모드를 정확 동작모드 또는 랜덤 동작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스위치(SW5)(타이머 모드 전환수단 및 모드 전환수단)의 조작 버튼이다. 그리고, 각 키부(19a~19d)를 누름 조작하면, 입력회로부(3)를 통해서 각 스위치(SW2~SW5)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지게 되어 있다.
여기서, 고무 스위치(19)의 키부(19c)를 일정시간(예컨대 3초간) 길게 누르면, 전환 스위치(SW4)의 스위치 입력이 입력회로부(3)를 통해서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지고, 스위치 제어부(2)의 동작모드가 현재시각 설정모드로 전환되고, 그 후 키부(19c)를 눌러서, 전환 스위치(SW4)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질 때마다, 스위치 제어부(2)의 동작모드가 현재시각 설정모드→지연시간 설정모드→온시간 설정모드→오프시간 설정모드→현재시각 설정모드→…과 같이 순환적으로 전환된다. 또한, 지연시간 설정모드는, 조작 스위치(SW1)에 의한 부하의 오프 조작시에, 부하에의 전원공급을 계속하여, 전원공급의 정지를 지연시키는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모드이다. 또한 온시간 설정모드는 부하에의 전원공급을 개시하는 24시간 타이머의 온시간을 설정하는 모드이며, 오프시간 설정모드는 부하에의 전원공급을 종료하는 24시간 타이머의 오프시간을 설정하는 모드이다.
스위치 제어부(2)의 동작모드가 현재시각 설정모드로 전환되면, 스위치 제어부(2)는 액정표시부(8)의 표시를 제어하여, 「현재」의 문자 밑에 「▲」의 심벌(8d)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8a)를 점멸시킨다. 이 상태에서 키부(19a,19b)를 누르면 시간을 맞출 수 있다. 즉 키부(19a,19b)의 조작에 따라 설정 스위치(SW2,SW3)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지고, 스위치 제어부(2)가 내장하는 시간 계측 타이머(2a)의 시각을 증감시킴과 아울러, 액정표시부(8)의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8a)를 변화시킨다. 시간의 설정을 끝내고서 키부(19c)를 누르면, 스위치(SW4)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지고, 스위치 제어부(2)는 시간 계측 타이머(2a)의 시간을 확정함과 아울러, 액정표시부(8)의 표시를 제어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8a)의 점멸을 멈추고, 분의 설정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키부(19a,19b)를 누르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분을 맞출 수 있고, 분의 설정을 끝내고서 키부(19c)를 누르면, 스위치(SW4)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 (2)에 주어지고, 스위치 제어부(2)는 시간 계측 타이머(2a)의 시각을 확정해서 현재시각 설정모드를 종료하고, 지연시간 설정모드로 이행한다.
스위치 제어부(2)의 동작모드가 지연시간 설정모드로 전환되면, 스위치 제어부(2)는 액정표시부(8)의 표시를 제어하여, 「지연」의 문자 밑에 「▲」의 심벌(8d)을 표시시키고, 「분」 「초」의 문자(8b)를 표시시킴과 아울러, 숫자(8a)를 점멸시킨다. 이 상태에서 지연시간 설정수단인 키부(19a,19b)를 누르면, 설정 스위치(SW2,SW3)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지고, 스위치 제어부(2)가 지연시간의 「분」의 설정을 증감시킨다. 그리고, 분의 설정을 끝내고서 키부(19c)를 누르면, 스위치(SW4)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져서, 스위치 제어부(2)가 지연시간의 분의 설정을 확정함과 아울러, 액정표시부(8)의 표시를 제어하여 분을 나타내는 숫자(8a)의 점멸을 멈추고, 초의 설정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키부(19a,19b)를 누르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초를 맞출 수 있고, 초의 설정을 끝내고서 키부(19c)를 누르면, 스위치(SW4)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지고, 스위치 제어부(2)는 지연시간의 설정을 확정해서 메모리(4)에 기억시킨 후, 온시간 설정모드로 이행한다.
스위치 제어부(2)의 동작모드가 온시간 설정모드로 전환되면, 스위치 제어부(2)는 액정표시부(8)의 표시를 제어하여, 「집보기」의 문자 밑에 「▲」의 심벌(8d)을 표시시키고, 「온」의 문자(8b)를 표시시킴과 아울러, 숫자(8a)를 점멸시킨다. 이 상태에서 키부(19a,19b)를 누르면, 현재시각 설정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간 및 분을 맞출 수 있고, 시간 및 분의 설정을 끝내고서 키부(19c)를 누르면, 스위치(SW4)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지고, 스위치 제어부(2)는 온시간을 확정하여 메모리(4)에 기억시킨 후, 오프시간 설정모드로 이행한다.
스위치 제어부(2)의 동작모드가 오프시간 설정모드로 전환되면, 스위치 제어부(2)는 액정표시부(8)의 표시를 제어하여, 「집보기」의 문자 밑에 「▲」의 심벌(8d)을 표시시키고, 「오프」의 문자(8b)를 표시시킴과 아울러, 숫자(8a)를 점멸시킨다. 이 상태에서 키부(19a,19b)를 누르면, 현재시각 설정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간 및 분을 맞출 수 있고, 시간 및 분의 설정을 끝내고서 키부(19c)를 누르면, 스위치(SW4)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지고, 스위치 제어부(2)는 오프시간을 확정해서 메모리(4)에 기억시킨 후, 오프시간 설정모드를 종료한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가 상기 각 설정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 키부(19a~19d)가 일정시간 조작되지 않고, 스위치 제어부(2)에 스위치(SW2~SW5)로부터의 설정 입력이 일정시간 없으면, 스위치 제어부(2)는 설정모드를 종료하여, 제어모드로 이행한다.
여기서, 설정모드에 있어서 키부(19a~19d)를 누를 때에 조작 핸들(30)이 잘못해서 눌려져, 조작 핸들(30)에 의해 조작 스위치(SW1)의 푸시 버튼(18)이 눌려질 가능성이 있지만, 스위치 제어부(2)의 제어기능은, 전환 스위치(SW4)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 설정모드로 전환된 경우,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트라이액(1)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하고 있으므로, 부하(L)가 잘못해서 온/오프될 일은 없고, 부하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키부(19c)를 누름 조작하여 스위치 제어부(2)의 동작모드를 설정모드에서 제어모드로 전환한 경우, 스위치 제어부(2)에서는, 설정 스위치(SW2,SW3)의 설정 입력에 따른 설정기능을 정지하고 있으므로, 핸들 커버(40)를 개방하여 고무 스위치(SW4)의 키부(19a,19b)를 누름 조작하였더라도 설정내용이 변경되는 일은 없어, 설정내용이 부주의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키부(19a~19d)가 누름 조작되어, 입력회로부(3)를 통해서 설정 스위치(SW2~SW5)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스위치 제어부(2)의 제어기능이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트라이액(1)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하도록 해도 되고, 설정 조작부로부터의 설정조작에 따른 입력이 있는 동안에,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트라이액(1)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하고 있으므로, 타이머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스위치 제어부(2)의 제어기능에 의한 제어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스위치 제어부(2)의 동작모드가 제어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고무 스위치(19)의 키부(19d)를 누르면, 전환 스위치(SW5)의 스위치 입력이 입력회로부(3)를 통해서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져, 스위치 제어부(2)에 의한 제어모드가 수동제어모드 또는 타이머 제어모드(집보기 모드)로 교대로 전환된다. 여기서, 수동제어모드는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서만 부하의 온/오프를 반전시키는 제어모드이고, 타이머 제어모드는 시간 계측 타이머(2a)가 계측한 현재시각이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온 시간 또는 오프 시각)으로 되면 부하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모드이다. 또한 타이머 제어모드에는, 상기 설정시각(온 시각 및 오프 시각)에서 소정의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정확 동작모드와, 설정시각(온 시각 및 오프 시각)을 소정의 시간폭(예컨대 ±30분의 범위)으로 매일 랜덤하게 변화시킨 랜덤 설정시각을 설정하고, 매일 갱신되는 랜덤 시각에 의해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랜덤 동작모드가 있다. 스위치 제어부(2)가 수동제어모드로 동작중에 키부(19d)를 누르면, 스위치 제어부(2)의 제어기능은 제어모드를 랜덤 동작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액정표시부(8)의 심벌(8e)의 표시를 지운다. 또한 랜덤 동작모드로 전환한 후에 키부(19d)를 일정시간(예컨대 3초간) 길게 누르면, 스위치 제어부(2)가 전환 스위치(SW5)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서, 타이머 제어모드를 정확 동작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액정표시부(8)에 정각 제어를 나타내는 심벌(8e)을 표시시킨다. 또한 정확 동작모드로 전환한 후에 키부(19d)를 1회 누름 조작하면, 스위치 제어부(2)가 전환 스위치(SW5)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 수동제어모드로 전환됨과 아울러, 액정표시부(8)의 표시를 제어해서 심벌(8e)의 표시를 지운다.
우선 수동제어모드에서의 제어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핸들 커버(40)를 닫은 상태[도 3 (a) 참조]에서 핸들 커버(40)[조작 핸들(30)]의 우측부를 누름 조작하면, 조작 핸들(30)이 회전이동하여, 조작 핸들(30)의 이면에 의해 조작 스위치(SW1)의 푸시 버튼(18)이 압압되고, 스위치 입력부(3)를 통해서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입력된다. 이 때, 부하(L)가 오프이면, 스위치 제어부(2)는 구동회로(7)에 의해 트라이액(1)을 온 시켜서, 부하(L)에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발광다이오드(LD)를 소등시킨다. 또한 부하(L)가 온이면, 스위치 제어부(2)는, 지연시간을 제한하는 내장된 지연 타이머(2b)에 의해 지연시간의 시간제한동작을 개시시키고, 지연 타이머(2b)의 시간제한동작 중에는 트라이액(1)을 온 시켜서 부하(L)에의 전원공급을 계속함과 아울러, 발광다이오드(LD)를 소정 주기(예컨대 1초)로 점멸시킨다. 그리고, 지연 타이머(2b)의 시간제한동작이 종료하면, 스위치 제어부(2)는 트라이액(1)을 오프하여, 부하(L)에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발광다이오드(LD)를 점등시켜서 스위치의 위치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수동제어모드에서는 핸들 커버(40)[조작 핸들(30)]을 누를 때마다 부하(L)의 온/오프가 반전하고, 또한 부하(L)를 오프 조작할 때는 오프 조작후도 소정의 지연시간만큼 부하(L)에의 전원공급을 계속하고 있으므로, 부하(L)가 예컨대 내측 현관에 설치된 램프의 경우에는 램프의 소등 조작을 행한 후에도 구두를 신거나 짐을 드는 것 등의 동작을 행하여 밖으로 나올 때까지의 동안에, 빛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한다. 또한 부하(L)가 예컨대 부엌이나 복도에 설치된 램프의 경우에도 소등 조작후에 지연시간만큼 램프의 점등상태를 연장함으로써 다음 방으로 이동해서 램프를 점등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빛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한다. 또한, 지연 타이머(2b)의 시간제한동작 중에 핸들 커버(40)[조작 핸들(30)]가 재차 누름 조작되어서,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이 스위치 제어부(2)에 주어지면, 스위치 제어부(2)는, 지연 타이머(2b)의 시간제한동작을 강제적으로 종료시켜서, 트라이액(1)을 오프 시켜서, 부하(L)에의 전원공급을 바로 정지시키고 있고, 지연 타이머 제어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조작 핸들(30)을 재차 누름 조작함으로써 부하(L)를 바로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이 더욱 향상한다.
다음에 타이머 제어모드에서의 제어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우선 타이머 제어의 제어모드가 정확 동작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정확 동작모드에서는, 스위치 제어부(2)는, 수동제어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 트라이액(1)의 온/오프를 전환하여, 부하(L)를 온/오프함과 아울러, 시간 계측 타이머(2a)가 계측한 현재시각이 메모리(4)에 등록된 온 시각(t1)으로 되면, 트라이액(1)을 온 해서 부하(L)에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현재시각이 오프 시각(t2)으로 되면, 트라이액(1)을 오프해서 부하(L)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정확 동작모드에서는, 미리 설정된 설정시각[온 시각(t1) 및 오프 시각(t2)]이 되면 부하(L)를 온, 오프시키고 있으므로, 예컨대 부하(L)인 조명기구를 미리 설정한 시간대에 점등시킴으로써 가족이 집에 있는 것으로 보이게 하여, 방범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부하(L)를 온, 오프시키는 시간이 매일 결정되어 있으면, 부하(L)를 타이머로 동작시키고 있는 것을 눈치채기 쉽기 때문에, 부하(L)를 온, 오프시키는 설정시간을 매일 랜덤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이머 제어의 제어모드로서 랜덤 동작모드를 준비하고 있다.
스위치 제어부(2)는, 메모리(4)에 등록된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 즉 온 시각(t1) 및 오프 시각(t2)을 소정의 시간폭(예컨대 ±30분)으로 매일 랜덤하게 변화시킨 랜덤 설정시각[온 시각(t3) 및 오프 시각(t4)]을 설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매일 갱신된 온 시간(t3) 및 오프 시각(t4)을 메모리(4)에 등록한다. 랜덤 동작모 드에서는, 스위치 제어부(2)는, 수동제어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 트라이액(1)의 온/오프를 전환하여, 부하(L)를 온/오프함과 아울러, 시간 계측 타이머(2a)가 계측한 현재시각이 메모리(4)에 등록된 온 시각(t3)으로 되면, 트라이액(1)을 온 해서 부하(L)에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현재시각이 오프 시각(t4)으로 되면, 트라이액(1)을 오프해서 부하(L)에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랜덤 동작모드에서는, 미리 설정된 설정시각[온 시각(t1) 및 오프 시각(t2)]의 ±30분의 범위에서 부하(L)를 온, 오프시키고 있고, 예컨대 부하(L)인 조명기구를 소정의 시간대 부근에서 점등, 소등시키고 있으므로, 가족이 집에 있는 것으로 보이게 하여, 방범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정확 동작모드에 비해서, 온/오프의 설정시각을 소정의 시간폭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하(L)를 타이머 제어하고 있는 것을 눈치채기 어렵게 되어, 방범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무 스위치(SW4)의 키부(19d)의 조작에 따라 타이머 제어의 제어모드를 정확 동작모드 또는 랜덤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된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는, 타이머 제어모드(정확 동작모드 및 랜덤 동작모드)로 동작중에, 발광다이오드(LD)를 상기 소정 주기보다 긴 주기(예컨대 2초 주기)로 점멸시켜서, 타이머 제어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고, 핸들 커버(40)를 닫아서 액정표시부(8)의 표시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발광다이오드(LD)의 점멸 상태로부터 타이머 제어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다음에 정전 발생시 및 복전시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스위치 제어부(2)의 입력단자(P3)에는 정전 검지회로(6)의 출력이 주어지고 있고, 스위치 제어부(2)는 입력단자(P3)의 신호레벨을 항상 감시하고 있다. 통전상태에서는 정전검출회로(6)의 출력신호의 전압 레벨이 로 레벨로 되고, 스위치 제어부(2)는, 입력단자(P3)의 신호레벨을 기초로 통전상태라고 판단하고, 제어모드 또는 설정모드에서 일반적인 동작을 행한다. 한편, 정전이 발생하면 정전검출회로(6)의 출력신호의 전압 레벨이 하이레벨로 되므로, 스위치 제어부(2)는, 입력단자(P3)의 신호레벨을 기초로 정전 상태라고 판단하고, 시간 계측 타이머(2a)에 의한 시간계측기능 이외의 불필요한 기능[예컨대 액정표시부(8)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기능이나 트라이액(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능]을 정지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억제한다. 여기서, 정전 발생시에는 전원회로(5)로부터 스위치 제어부(2)에의 전원공급이 정지되고, 스위치 제어부(2)는 콘덴서(C1)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 동작하는 것이지만, 정전시는 스위치 제어부(2)가 그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고 있으므로, 콘덴서(C1)에 축적된 전하에 의해 보다 긴 시간 계측 타이머(2a)를 동작시켜서, 현재시각을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정전시의 전력소비를 억제함으로써, 콘덴서(C1)에 정전용량이 작은 소형의 소자를 사용할 수 있고, 회로기판의 소형화나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는, 정전검지 후에도 입력단자(P3)의 신호레벨을 감시하고 있어, 신호레벨이 로 레벨로 되면, 상용전원(AC)이 복전한 것으로 판단하여, 정지중의 기능을 재개시켜서, 일반적인 동작을 행한다.
한편, 콘덴서(C1)가 완전히 방전할 때까지 정전이 계속되면, 시간 계측 타이 머(2a)의 시간 계측 동작이 정지해 버려, 현재의 시각이 없어져 버린다. 그 후, 상용전원(AC)이 복전하면, 전원회로(5)로부터 스위치 제어부(2)에의 전원공급이 재개되어, 스위치 제어부(2)가 동작을 개시한다. 스위치 제어부(2)는 시간 계측 타이머(2a)의 시각이 없어지면, 예컨대 상기 소정 기간보다 짧은 주기(예컨대 0.4초 주기)로 발광다이오드(LD)를 점멸시킴과 아울러, 액정표시부(8)의 숫자(8a)를 「--:--」로 전환하여, 시간 계측 타이머(2a)에 시각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통지하여, 사용자에 대해서 시각의 설정을 재촉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타이머 스위치(A)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어, 사용자가 타이머 스위치(A)를 수동제어모드에서 동작시켜, 단순한 온/오프 스위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액정표시부(8)나 설정 조작부가 보이면 헷갈리기 쉽기 때문에, 액정표시부(8)나 설정 조작부를 보이지 않게 하고 싶다라는 요망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커버(40)에 의해 액정표시부(8)나 설정 조작부를 숨기면, 일반적인 푸시 버튼 스위치와 거의 동일한 외관이 되므로, 조작 핸들(30)[핸들 커버(40)]의 조작 부위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또한 조작 핸들(30)의 크기를 기체(10)의 앞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조작 부위가 크게 되어,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한다. 또한 타이머 제어에 관한 설정 조작부가 핸들 커버(40)에 의해 숨겨지므로, 잘못된 조작으로 타이머 제어의 설정내용이 변경되거나, 현재시각의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 동작의 설정을 행할 경우에는 핸들 커버(40)를 개방함으로써 설정 조작부가 노출되어 조작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타이머 제어 등의 제어에 관한 설정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부(8)나 설정 조작부를 노출시키는 위치까지 핸들 커버(40)를 개방한 상태에서, 핸들 커버(40)를 더욱 개방방향으로 누르는 과대한 힘이 가해진 경우, 핸들 커버(40)의 암(41)이 면판(70)의 창구멍(71)의 둘레부[앞면에 있어서의 창구멍(71)의 가장자리]와 접촉한 부위(도면 중의 C부)를 지점으로 하여 조작 핸들(30)을 기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면 중의 상방향)으로 압압하는 힘이 발생하지만, 이 압압력보다 기체(10)가 조작 핸들(30)을 유지하는 유지력을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핸들(30)이 기체(10)로부터 멀어짐으로써, 핸들 커버(40)를 조작 핸들(30)에 피벗시키는 부위[암(41)]에 과대한 힘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작 핸들(30)을 기체에 다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체(10)가 조작 핸들(30)을 유지하는 유지력은, 일반적인 조작에서는 조작 핸들(30)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유지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조작 핸들(30)의 이면이나 기체(10)의 앞면에, 조작 핸들(30)의 기체(10)에의 설치방법을 그림이나 문자로 설명하는 표시부를 인쇄 혹은 밀봉 등의 방법으로 설치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고, 조작 핸들(30)이 떨어졌을 때에, 조작 핸들(30)의 설치방법을 모르는 일반 유저(사용자)도, 명판의 표시를 보면서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핸들(30)은, 축부(23)에 의해 피벗된 측의 측 가장자리(좌측 가장자리)를 설치 프레임(50)의 앞면에 면접촉시키고 있으므로, 이 측 가장자리에 따르는 방향의 일단측에서 조작 핸들(30)[실제로는 핸 들 커버(40)]을 눌렀더라도, 조작 핸들(30)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핸들(30)은 축부(23)에 의해 피벗된 측과 반대측의 측 가장자리를 누름 조작하면, 이 측 가장자리가 설치 프레임(50)의 앞면에 면접촉하므로, 조작 핸들(30)의 압입량을 규제하여, 조작 스위치(SW1)에 과대한 힘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작 스위치(SW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커버(40)의 암(41)의 폭치수(E1)를 설치 강도가 확보될 정도로 가늘게 하고 있으므로, 암(41)의 회전이동축(41a)을 조작 핸들(40)의 축 구멍에 축지지시킬 때에 암(41)이 휘기 쉬워, 핸들 커버(40)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시의 휘기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암(41)의 폭치수(E2)를 가능한 한 굵게 하여도 좋고, 암(41)의 폭을 굵게 함으로써 암(41)의 강도를 높이여서, 외력에 의한 암(4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2)
본 발명의 실시형태2를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타이머 스위치(A)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므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커버(40)에 있어서의 조작 핸들(30)측의 면에 돌기(44)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돌기(44)에 대향하는 조작 핸들(30)의 부위에 투과구멍(37)을 형성하고, 이 투과구멍(37)에 면하도록 해서 내장하는 리밋트 스위치의 조작 버튼(38)을 배치하고 있고, 핸들 커버(40)를 닫으면, 핸들 커버(40)의 돌기(44)가 투과구멍(37)을 통해서 리밋트 스위치의 조작 버튼(38)을 눌러, 리밋트 스위치의 접점신호가 스위치 제어부(2)에 입력되게 되고 있다.
핸들 커버(40)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에 관한 설정조작을 행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고무 스위치(19)의 키부(19a~19d)를 누름 조작할 때에 조작 핸들(30)이 잘못해서 눌려지면, 조작 스위치(SW1)가 누름 조작되어서, 부하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설정조작을 끝내고서 핸들 커버(40)를 닫을 때에 조작 핸들(30)이 잘못해서 밀리는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제어부(2)의 제어기능이, 각 스위치(SW2~SW5)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이 있는 동안에, 및, 리밋트 스위치로부터 접점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트라이액(1)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하고 있고, 핸들 커버(40)를 개방하여 설정조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과 핸들 커버(40)를 닫고나서의 일정시간,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온/오프 제어를 정지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의 제어기능은, 각 스위치(SW2~SW5)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이 있는 동안에는 핸들 커버(40)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리밋트 스위치로부터 설정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동안과, 리밋트 스위치로부터 접점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조작 스위치(SW1)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트라이액(1)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밋트 스위치에 의해 조작 핸들(30)의 개폐를 검지하는 개폐 검지수단을 구성하고 있지만, 개폐 검지수단을 리밋트 스위치에 한정한다라는 취지는 아니고, 종래 주지의 적외선 검지센서를 기체(10) 내에 수납하여, 적외선 검지센서의 전방에 핸들 커버(40)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함으로써 핸들 커버(40)의 개폐를 검지하게 하여도 좋다.
(실시형태3)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을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타이머 스위치(A)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1 또는 실시형태2와 마찬가지이므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상술의 실시형태1,2에서는, 통전시에 부하 접속단자(Ta,Tb)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충전되고, 정전 발생시에 스위치 제어부(2)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덴서(C1)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조명기구와 같이 부하(L) 자체에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부하(L)측의 스위치를 장시간 오프하면, 부하(L)의 누설 전류가 타이머 스위치(A)에 흐르지 않게 되어서, 콘덴서(C1)가 방전되어 버려, 시간 계측 타이머(2a)의 시각이 없어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지(B1)를 설치하고, 전원회로(5) 및 전지(B1)로부터 각각 다이오드(D1,D2)를 통해서 스위치 제어부(2)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통전시에는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전원회로(5)로부터 스위치 제어부(2)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정전 발생시에는 전원회로(5)의 출력 전압이 저하 해서 다이오드(D1)가 오프, 다이오드(D2)가 온으로 되어서, 전지(B1)로부터 스위치 제어부(2)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부하(L)측의 스위치를 오프하여, 부하(L)의 누출 전류가 타이머 스위치(A)에 흐르지 않게 된 경우나 정전 발생시에는, 정전 검지회로(6)가 정전을 검지하여, 스위치 제어부(2)가 시간 계측 타이머(2a) 이외의 불필요한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어, 이 때 전지(B1)로부터 스위치 제어부(2)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므로, 스위치 제어부(2)가 시간 계측 타이머(2a)의 동작을 계속시켜, 시간 계측 타이머(2a)에 현재시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위배되는 일없이, 광범위하게 다른 실시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므로,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특정한 실시형태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타이머 모드 전환수단을 이용하여 타이머 제어의 제어모드를, 설정 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설정시각에서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정확 동작모드, 또는, 설정시각을 랜덤하게 변화시킨 랜덤 설정시각에서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랜덤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정확 동작모드와 랜덤 동작모드의 전환 조작을 타이머 모드 전환수단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타임 스위치의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된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지연 타이머기능에 의해 오프 조작시로부터 소정의 지연시간만큼 부하의 동작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예컨대 부하가 조명기구의 경 우에는, 조명기구를 소등시키는 조작을 행한 후에도 지연시간만큼 계속해서 점등하기 때문에, 그 장소와 멀어지기까지의 동안에, 빛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된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타이머 스위치의 부하나 사용 조건에 맞춰서 지연시간을 원하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부하의 동작을 계속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지연 타이머기능의 시간제한 중에 조작 스위치의 조작자를 다시 조작함으로써,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이 지연 타이머기능의 시간제한동작을 강제적으로 종료시켜서, 개폐 소자를 오프시키고 있으므로, 부하를 바로 정지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이 더욱 향상한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 제어부가, 부하의 온 시에 점등 표시부를 소등, 오프 시에 점등, 지연 타이머기능의 시간제한 중에 소정 주기로 점멸시키고 있으므로, 점등 표시부에 의해 위치 표시를 행함과 아울러, 지연동작 중인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또한 제어모드가 타이머 제어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점등 표시부를 소정 주기보다 긴 주기로 점멸시키고 있으므로, 제어기능의 제어모드가 어느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점등 표시부의 점등상태로부터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영구자석의 자력으로 자성체를 흡착시킴으로써 핸들 커버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 커버를 닫을 때에 핸들 커버를 어느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핸들 커 버가 폐쇄위치까지 자연히 회전이동하기 때문에, 핸들 커버를 최후까지 밀어넣지 않아도 좋게 되고, 핸들 커버를 닫을 때에 조작 핸들이 잘못 누름 조작되어, 부하의 온/오프가 반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도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설정 조작부의 설정조작을 행할 때에 잘못해서 조작 핸들이 눌려졌더라도,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이, 설정 조작부로부터 설정조작에 따른 입력이 있는 동안에,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개폐 소자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하고 있으므로, 타이머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핸들 커버를 닫을 때에 잘못해서 조작 핸들이 눌려졌더라도, 개폐 검지수단으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이,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개폐 소자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하고 있으므로, 타이머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동작모드 전환수단에 의해 제어모드로 전환된 경우, 핸들 커버를 개방하여 설정 조작부를 조작하였더라도, 스위치 제어부가, 설정 조작부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른 설정기능의 설정 동작을 정지시키고 있으므로, 설정내용이 부주의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정전 발생시는 스위치 제어부가 설정 표시부의 표시를 정지시키고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정전 발생시에 스위치 제어부에 전원공급을 행하는 콘덴서에 정전용량이 작은 소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 으므로, 타이머 스위치의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설정 조작부의 설정조작을 행할 때나 핸들 커버를 닫을 때에 잘못해서 조작 핸들이 눌려졌더라도,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이, 설정 조작부로부터 설정조작에 따른 입력이 있는 동안에, 및, 개폐 검지수단으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개폐 소자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하고 있으므로, 타이머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핸들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핸들 커버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과대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 플레이트의 개구 창의 둘레부에 핸들 커버가 접촉한 부위를 지점으로 하여 조작 핸들을 기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힘이 발생하지만, 이 압력보다 기체가 조작 핸들을 유지하는 유지력을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조작 핸들이 기체로부터 떨어짐으로써, 핸들 커버를 조작 핸들에 피벗시키는 부위에 과대한 힘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작 핸들을 기체에 다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피벗부에 의해 피벗된 측의 조작 핸들의 측 가장자리를 설치 프레임의 앞면에 면접촉시키고 있으므로, 이 측 가장자리에 따르는 방향의 일단측에서 조작 핸들을 눌렀더라도, 조작 핸들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작 핸들의 누름 조작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벗부에 의해 피벗된 측과 반대측의 측 가장자리를 후방측으로 압압하면, 이 측 가장자리가 설치 프레임의 앞면에 면접촉하므로, 조작 핸들의 압입량을 규제하여, 조 작 스위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조영재에 배치되는 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앞면에,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설정시각 및 그 제어내용을 포함한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조작부와, 설정 조작부에 의한 설정내용을 표시하는 설정 표시부를 배치하고,
    기체 앞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 치수이며, 설정 조작부 및 설정 표시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개구 창이 형성되고, 기체의 앞면에 설치한 피벗부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된 조작 핸들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 핸들의 앞면측에, 상기 개구 창을 노출시키는 위치와 개구 창을 덮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 부착된 핸들 커버를 설치하고,
    기체의 내부에, 기체 앞면에 노출시킨 조작자가 상기 조작 핸들에 의해 눌려지면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조작 스위치와, 부하 및 상용전원의 직렬회로의 양단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부하에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개폐 소자와,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현재시각을 계측하는 시간계측기능, 설정 조작부의 설정조작에 따라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설정기능, 설정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기능,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시간계측기능에 의해 계측된 현재시각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으로 되면 타이머 제어의 제어내용에 따라 상기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 는 제어기능을 갖는 스위치 제어부를 수납한 타이머 스위치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 설정기능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 동작의 설정시각을, 매일 소정의 시간폭으로 랜덤하게 변화시킨 랜덤 설정시각을 설정하는 기능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설정 조작부에, 상기 제어기능에 의한 타이머 제어의 제어모드를, 상기 설정시각에서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정확 동작모드, 또는, 상기 랜덤 설정시각에서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랜덤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타이머 모드 전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작부에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 설정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 상기 지연시간을 제한하는 지연 타이머기능을 설치하고,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이, 상기 개폐 소자의 온 시에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이 있으면 지연 타이머기능에 의한 시간제한동작을 개시시키고, 지연 타이머기능의 시간제한 중에는 개폐 소자의 온 상태를 계속하고, 시간제한동작이 종료하면 개폐 소자를 오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은, 상기 지연 타이머기능의 시간제한 중에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지연 타이머기능에 의한 시간제한동작을 강제적으로 종료시켜서, 상기 개폐 소자를 바로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작부에,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에 의한 제어모드를,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서만 상기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반전시키는 수동제어모드, 또는,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 상기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시간계측기능이 계측한 현재시각이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으로 되면 타이머 제어의 제어내용에 따라 상기 개폐 소자를 온/오프시키는 타이머 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기체의 앞면에,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 의해 점등상태가 제어되는 점등 표시부를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한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부가, 상기 개폐 소자의 온 시에 상기 점등 표시부를 소등시키고, 오프 시에 상기 점등 표시부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연 타이머기능에 의한 시간제한동작 중에는 상기 점등 표시부를 소정 주기로 점멸시키고, 또한, 상기 타이머 제어모드로 동작 중에는 상기 점등 표시부를 상기 소정 주기보다 긴 주기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 및 상기 핸들 커버 내의 한쪽에 영구자석을 유지시킴과 아울러, 다른쪽에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자성체를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은, 상기 설정 조작부로부터 설정조작에 따른 입력이 있는 동안에,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상기 개폐 소자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커버가 닫혀지면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은, 개폐 검지수단으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상기 개폐 소자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작부는,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동작모드를, 상기 설정기능에 의해 상기 설정 조작부의 설정조작에 따른 설정내용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설정모드, 상기 제어기능에 의해 상기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동작모드 전환수단을 포함하고, 스위치 제어부는, 동작모드 전환수단에 의해 제어모드로 전환된 경우, 설정 조작부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른 설정기능의 설정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용전원으로부터 스위치 제어부의 동작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회로와, 상용전원의 정전을 검지하여 정전 검지신호를 발생하는 정전 검지회로와, 전원회로의 출력에 의해 충전되어 정전시에 스위치 제어부에 전원공급을 행하는 콘덴서를 구비하고, 스위치 제어부는, 정전 검지회로로부터 정전 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설정표시기능에 의해 설정 표시부의 표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10. 조영재에 배치되는 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앞면에, 타이머 제어를 행하는 설정시각 및 그 제어내용을 포함한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조작부와, 설정 조작부에 의한 설정내용을 표시하는 설정 표시부를 배치하고,
    기체 앞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 치수이며, 설정 조작부 및 설정 표시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개구 창이 형성되고, 기체의 앞면에 설치한 피벗부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된 조작 핸들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 핸들의 앞면측에, 상기 개구 창을 노출시키는 위치와 개구 창을 덮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가능하게 피벗 부착된 핸들 커버를 설치하고,
    기체의 내부에, 기체 앞면에 노출시킨 조작자가 상기 조작 핸들에 의해 눌려지면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조작 스위치와, 부하 및 상용전원의 직렬회로의 양단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부하에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개폐 소자와,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현재시각을 계측하는 시간계측기능, 설정 조작부의 설정조작에 따라 부하의 제어에 관한 설정내용을 기억부에 기억 시키는 설정기능, 설정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기능,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시간계측기능에 의해 계측된 현재시각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타이머 제어의 설정시각으로 되면 타이머 제어의 제어내용에 따라 상기 개폐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능을 갖는 스위치 제어부를 수납한 타이머 스위치로서,
    핸들 커버가 닫혀지면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기능은, 설정 조작부로부터 설정조작에 따른 입력이 있는 동안에, 및, 개폐 검지수단으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른 상기 개폐 소자의 온/오프 제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조영재에 고정되는 설치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을 갖고, 상기 설치 프레임의 앞면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의 창구멍으로부터 앞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설치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 창을 노출시키는 위치에 상기 핸들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 커버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과대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플레이트의 창구멍의 둘레부에 상기 핸들 커버가 접촉한 부위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조작 핸들을 상기 기체의 앞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힘보다, 상기 기체가 상기 조작 핸들을 유지하는 유지력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12.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조영재에 고정되는 설치 프레임의 창구멍으로부터 앞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을 갖고, 상기 조작 핸들은 앞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상이며, 상기 피벗부에 의해 피벗된 측의 측 가장자리를 상기 설치 프레임의 앞면에 면접촉시킴과 아울러, 상기 피벗부에 의해 피벗된 측과 반대측의 측 가장자리를 후방측으로 압압한 경우에 상기 설치 프레임의 앞면과 면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스위치.
KR1020050070552A 2005-01-26 2005-08-02 타이머 스위치 KR100696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8987A JP4453561B2 (ja) 2005-01-26 2005-01-26 タイマスイッチ
JPJP-P-2005-00018987 2005-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805A true KR20060086805A (ko) 2006-08-01
KR100696243B1 KR100696243B1 (ko) 2007-03-20

Family

ID=3684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552A KR100696243B1 (ko) 2005-01-26 2005-08-02 타이머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53561B2 (ko)
KR (1) KR100696243B1 (ko)
CN (1) CN100414658C (ko)
TW (1) TWI2771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833B1 (ko) * 2006-09-18 2007-12-10 고은경 온도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0697B2 (ja) * 2006-12-25 2012-06-27 パナソニックエコソリューションズ電路株式会社 タイムスイッチ
JP5741184B2 (ja) * 2011-04-26 2015-07-01 株式会社リコー スイッチ装置および該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機器
JP5795876B2 (ja) * 2011-05-24 2015-10-14 パナソニックエコソリューションズ電路株式会社 タイムスイッチ
CN102496521A (zh) * 2011-12-11 2012-06-13 河南省电力公司周口供电公司 Ups电源专用开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5404A (en) * 1974-10-21 1976-01-27 Holger Persson Timer switch assembly
GB2145279B (en) * 1983-08-18 1987-10-21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Photodetector integrated circuit
CN2153908Y (zh) * 1992-04-30 1994-01-19 解跃 具有工作状态显示的通用型双端电子开关
US5306957A (en) * 1992-07-10 1994-04-26 Ofer Nissim Switch lever operating device with automatic timer
JP2002323907A (ja) * 2001-04-24 2002-11-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ムタイマ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833B1 (ko) * 2006-09-18 2007-12-10 고은경 온도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7113B (en) 2007-03-21
JP2006210084A (ja) 2006-08-10
CN100414658C (zh) 2008-08-27
TW200627496A (en) 2006-08-01
KR100696243B1 (ko) 2007-03-20
JP4453561B2 (ja) 2010-04-21
CN1812032A (zh)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243B1 (ko) 타이머 스위치
KR100699646B1 (ko) 스위치
JP3620347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KR100867037B1 (ko) 조명제어 스위치
JP5958684B2 (ja) 調光器
JP5870292B2 (ja) 調光器
JP4200306B2 (ja) 配線器具
JP6273646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4877329B2 (ja) タイマスイッチ
JP6861384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4396420B2 (ja) スイッチ
JP4380763B6 (ja) 配線器具
JP4273862B2 (ja) スイッチ装置
US20240151391A1 (en) Illuminating door handle
TWI703821B (zh) 負載控制裝置
JP2709052B2 (ja) 人体検知スイッチ
JPH11195363A (ja) タイマ装置
JP4103714B2 (ja) ワイヤレススイッチ
JP2009074936A (ja) タイマスイッチ
JP5345005B2 (ja) 炊飯器
JP2000012246A (ja) 熱線感知式自動スイッチ
JP6788855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5870291B2 (ja) 調光器
JPH11238179A (ja) 熱線式自動スイッチ
JP2005038795A (ja) ワイヤレス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