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717A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717A
KR20060086717A KR1020050007631A KR20050007631A KR20060086717A KR 20060086717 A KR20060086717 A KR 20060086717A KR 1020050007631 A KR1020050007631 A KR 1020050007631A KR 20050007631 A KR20050007631 A KR 20050007631A KR 20060086717 A KR20060086717 A KR 20060086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pdating
p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수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0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6717A/ko
Publication of KR2006008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12M27/06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stirrer shaft or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웨이크업 시점을 알리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해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립 시간을 증가시켜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웨이크업 시점을 알리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해 웨이크업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및 상기 측정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페이징 멀티프레임, 수신감도, 배터리 잔량, 시간 및 날짜, 무선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Method for updating display information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 은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수신감도 측정부 22 : 배터리 잔량 측정부
23 : 카운팅부 24 : 디스플레이부
25 : 제어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웨이크업 시점을 알리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해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웨이크업 모드로 동작하여 기지국과 통신한다. 아울러, 사용자에게 최신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랜덤하게 웨이크업 모드로 동작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정보는 배터리 잔량정보, 안테나 수신감도, 및 시간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창에 그래픽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의 잔량이나 안테나의 현재 수신감도 및 현재 시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았을 경우에는 바로 충전을 하거나, 여분의 배터리로 교체할 수 있고, 상대방과의 통화연결이 안되는 경우에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확인하여 수신감도가 낮을 경우 위치를 변경한다든지 일정시간 경과 후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한편,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상관없이 랜덤(Random)하게 웨이크업되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페이징 멀티프레임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웨이크업되어야 할 시점을 알리는 최소 단위의 웨이크업 정보를 담고 있는 프레임으로, 그 종류는 대략 8가지(2 ~ 9번)가 있으며, 각 프레임은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며, 그 순환 주기 또한 다르다. 일예로, 2번 프레임의 순환 주기가 가장 짧고 9번 프레임의 순환 주기는 0.5초 정도로 가장 길다.
이러한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한 웨이크업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필수 동작으로 대부분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한 웨이크업 시점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지 않고, 별도로 랜덤하게 웨이크업되어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웨이크업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전력 소모량의 증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감소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국 사용자에게 잦은 충전 또는 잦은 배터리의 교환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웨이크업 시점을 알리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해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립 시간을 증가시켜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웨이크업 시점을 알리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해 웨이크업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및 상기 측정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감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신감도 측정부(21),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기 위한 배터리 잔량 측정부(22), 날짜 및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23), 상기 수신감도 측정부(21)에서 측정한 수신감도, 상기 배터리 잔량 측정부(22)에서 측정한 배터리 잔량, 상기 카운팅부(23)에서 카운팅한 날짜 또는/및 시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4), 및 웨이크업 시점을 알리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해 활성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는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감도를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바(bar)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배터리 잔량을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바(bar)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정확한 수심감도를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수신감도를 소정회수 측정하도록 수신감도 측정부(21)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감도 측정부(21)에서 소정회수 측정한 수신감도의 평균을 구하여 최종 수신감도를 산출한다. 이 때, 소정회수는 5회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배터리의 잔량을 소정회수 측정하도록 배터리 잔량 측정부(22)를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 잔량 측정부(22)에서 소정회수 측정한 배터리 잔량의 평균을 구하여 최종 배터리의 잔량을 산출한다. 이 때, 소정회수는 5회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수신감도 측정부(21)에서 측정한 수신감도가 디스플레이부(24)에 기록되어 있는 수신감도의 표현 범위내에 포함되면 수신감도를 업데이트하지 않는다. 이 때, 수신감도는 소정 개수의 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데, 각 바는 수신감도에 대한 일정 범위를 표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배터리 잔량 측정부(22)에서 측정한 배터리의 잔량이 디스플레이부(24)에 기록되어 있는 배터리 잔량의 표현 범위내에 포함되면 배터리 잔량을 업데이트하지 않는다. 이 때, 배터리 잔량은 소정 개수의 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데, 각 바는 배터리의 잔량에 대한 일정 범위를 표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매 페이징 멀티프레임마다 수신감도 측정부(21)를 제어하여 산출한 수신감도를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짝수번째 또는 홀수번째 페이징 멀티프레임마다 수신감도 측정부(21)를 제어하여 산출한 수신감도를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수 만큼 쉬프트하여 수신감도 측정부(21)를 제어하여 산출한 수신감도를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매 페이징 멀티프레임마다 배터리 잔량 측정부(22)를 제어하여 산출한 수신감도를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짝수번째 또는 홀수번째 페이징 멀티프레임마다 배터리 잔량 측정부(22)를 제어하여 산출한 수신감도를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수 만큼 쉬프트하여 배터리 잔량 측정부(22)를 제어하여 산출한 수신감도를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매 페이징 멀티프레임마다 상기 카운팅부(23)에서 카운팅한 날짜 또는/및 시간을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짝수번째 또는 홀수번째 페이징 멀티프레임마다 상기 카운팅부(23)에서 카운팅한 날짜 또는/및 시간을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수 만큼 쉬프트하여 상기 카운팅부(23)에서 카운팅한 날짜 또는/및 시간을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웨이크업 시점을 알리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해 웨이크업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를 측정한다(401, 402). 이 때, 페이징 멀티프레임은 매 페이징 멀 티프레임일 수도 있고,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페이징 멀티프레임일 수도 있고, 임의 번째 페이징 프레임일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정보는 수신감도, 배터리 잔량, 시간 및 날짜 등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측정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4)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한다(40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웨이크업 시점을 알리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해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립 시간을 증가시켜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웨이크업 시점을 알리는 페이징 멀티프레임에 의해 웨이크업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및
    상기 측정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멀티프레임은,
    홀수번째 페이징 멀티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멀티프레임은,
    짝수번째 페이징 멀티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멀티프레임은,
    임의 번째 페이징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수신감도, 배터리 잔량, 시간 및 날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감도는,
    소정회수 측정한 수신감도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잔량은,
    소정회수 측정한 배터리 잔량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측정한 디스플레이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정보의 범위에 포함될 경우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1020050007631A 2005-01-27 2005-01-27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20060086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631A KR20060086717A (ko) 2005-01-27 2005-01-27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631A KR20060086717A (ko) 2005-01-27 2005-01-27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717A true KR20060086717A (ko) 2006-08-01

Family

ID=3717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631A KR20060086717A (ko) 2005-01-27 2005-01-27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6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3173B2 (en) 2007-08-24 2010-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evel cell memory devices and methods using sequential writing of pages to cells sharing bit buff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3173B2 (en) 2007-08-24 2010-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evel cell memory devices and methods using sequential writing of pages to cells sharing bit buff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28588B (zh) 无线通信终端及其电池电量确定方法
JP2004056563A (ja) 携帯電話機
US10890879B2 (en) Electronic watch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JP2013130562A (ja) 電子時計、時刻修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35416A (ja) 電子デバイス内に2以上のバッテリを収容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164445A2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US989128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ower transmission level indication
JP4010805B2 (ja) 表示装置及び携帯機器
KR20060086717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정보 업데이트 방법
JP2001126778A (ja) 電池残量判定装置
CN109618396B (zh) 无线通信装置、电子钟表、无线通信方法以及存储介质
JP5491047B2 (ja) 端末装置、バッテリ残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04996B2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JP4293076B2 (ja)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に用いられる二次電池管理方法及び二次電池管理制御プログラム
JP4576754B2 (ja) 電池残量表示装置
JPH1169442A (ja) 携帯端末とその電池残量通知方法
JP2009147661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8026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표시 방법
KR2000006559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 예상 시간 표시 방법
KR100790153B1 (ko)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KR20000046132A (ko) 휴대전화기에서의 수신신호 세기에 따른 통화 가능시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258832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におけるユーザ設定時刻の補正方法
KR2003008663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예상 통화 대기 시간 및 연속 통화가능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5244492A (ja) 携帯電話機
JP200404848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