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553A -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박리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553A
KR20060085553A KR1020050022650A KR20050022650A KR20060085553A KR 20060085553 A KR20060085553 A KR 20060085553A KR 1020050022650 A KR1020050022650 A KR 1020050022650A KR 20050022650 A KR20050022650 A KR 20050022650A KR 20060085553 A KR20060085553 A KR 20060085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conveyor
peeling
car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시라이
시로 오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라이텍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라이텍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라이텍크
Publication of KR2006008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의 양면에 첩부되어 있는 필름을 가공할 때에 자동으로 박리하는 것이다.
양면에 판면의 보호필름a를 첩부한 글래스A를 수평한 자세로 반입하도록 설치한 반입 컨베이어와, 이 반입 컨베이어의 글래스를 수납하고 또한 수납한 글래스를 에어의 분출에 의하여 부상시키도록 설치한 제1테이블5, 이 제1테이블로부터 견인한 필름의 통과간극6을 구비하고 전방에 설치한 상기 제1테이블과 동일한 제2테이블7과, 상기 반입 컨베이어와 제1테이블과의 사이에서 상기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반출선행측 테두리를 박리하고 또한 박리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설치한 정치박리지지수단B와, 상기 제2테이블 상의 글래스를 흡인, 지지하여 반출하도록 설치되어 진퇴주행하는 이송수단C와, 상기 간극의 양측에서 승강함과 아울러 강하 시에 박리 필름의 양쪽 테두리를 파지하는 파지수단D를 구비하는 필름의 견인장치E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채용한다.

Description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박리장치{THE EQUIPMENT FOR SEPARATING DOUBLE SIDE FILM ON THE GLAS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는 상기 실시예의 박리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반입 컨베이어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4는 필름의 박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상기 필름의 박리종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6은 필름의 박리지지수단과 견인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7은 견인장치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8은 상기 견인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9는 이송수단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10은 노즐의 작용을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11은 노즐의 작용을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12는 필름의 견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3은 바늘에 필름을 깊이 찌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4는 깊이 찌른 필름의 파지 해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5는 글래스의 반출을 나타내는 종단 확대 측면도이다.
도16은 필름의 견인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7은 견인된 필름의 이송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글래스(glass) a : 필름(film)
B : 박리지지수단(剝離支持手段) C : 이송수단(移送手段)
D : 파지수단(把持手段) E : 견인장치(牽引裝置)
1: 반입 컨베이어(搬入 conveyor) 2 : 실린더(cylinder)
3 : 롤러(roller) 4 : 핀치 롤(pinch roll)
5 : 제1테이블 6 : 간극(間隙)
7 : 제2테이블 8 : 실린더
9 : 박스 10 : 작은 구멍
11 :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13 : 바재(bar材)
14 : 핀(pin) 15 : 회전편(回轉片)
16 : 노즐(nozzle) 17 : 실린더
18 : 고정 협지판(固定 挾持板) 19 : 실린더
20 : 가동 협지판(可動 挾持板) 21 : 모터(motor)
22 : 볼트(bolt) 23 : 가이드 레일(guide rail)
24 : 너트(nut) 25 : 실린더
26 : 흡입반(吸入盤) 31 : 고정 협지편(固定 挾持片)
32 : 실린더 33 : 가동 협지편(可動 挾持片)
34 : 모터 35 : 볼트
36 : 가이드 레일 37 : 프레임(frame)
38 : 슬라이더(slider) 39 : 너트
40 : 실린더 41 : 프레임
42 : 모터 43 : 볼트
44 : 가이드 레일 45 : 슬라이더
46 : 너트 61 : 대피부(待避部)
62 : 실린더 63 : 롤러
본 발명은, 글래스(glass)의 양면(兩面)에 첩부(貼付)되어 있는 판면(板面) 보호용 필름(film)의 박리장치(剝離裝置)에 관한 것이다.
글래스(예를 들면 액정 글래스(液晶 glass))의 양면에는, 판면 보호를 위한 필름이 첩부되어 있다.
상기의 글래스는 설치대에 다수의 글래스를 세운 자세로 가공설비에서 납품되고, 설치대에서 한 장씩 집어든 글래스를 가공기(테두리 절단이 나 분단(分斷)을 위한 스크라이브(scribe) 또는 절단을 위한 것이다)로 반출(搬出)한다.
그 때에 다음 가공으로 공급하는 글래스의 양면에 첩부되어 있는 필름을 미리 박리하여야 한다.
상기 필름의 박리는 사람의 손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다.
또한 반출에 따라 흡인(吸引) 등에 의한 기계방식으로 박리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사람의 손에 의하면 비능률적이고 또한 신속하게 반출(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기계방법의 흡인에 의하면 컨베이어(conveyor)에 의하여 반출하는 글래스의 상면측(上面側) 필름을 박리하고, 박리한 필름의 회수(철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글래스의 하면측(下面側) 필름을 박리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컨베이어 상에 남은 필름을 글래스의 반출 종료 후에 회수하기 때문에 회수에 시간이 걸리고, 다음의 글래스 공급과 필름의 박리 글래스와의 사이에 상당한 거리를 두어야만 하기 때문에 가동률이 대폭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글래스를 부상(浮上)시켜 반입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하면측의 박리된 필름이 부상하여 박리 필름의 회수가 힘들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기계적으로 능률이 좋고 글래스의 상하 양면의 필름을 박리함과 아울러 부상식의 반출로(搬出路)에 있어서도 상하의 박리 필름을 매우 간단하게 회수하도록 한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면(兩面)에 판면(板面)의 보호필름(保護film)을 첩부(貼付)한 글래스(glass)를 수평한 자세로 반입하도록 설치한 반입 컨베이어(搬入 conveyor)와, 이 반입 컨베이어의 글래스를 수납하고 또한 수납한 글래스를 에어(air)의 분출(噴出)에 의하여 부상시키도록 설치한 제1테이블과, 이 제1테이블로부터 견인한 필름의 통과간극(通過間隙)을 구비하고 전방에 설치한 상기 제1테이블과 동일한 제2테이블과, 상기 반입 컨베이어와 제1테이블과의 사이에서 상기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반출선행측(搬出先行側) 테두리를 박리(剝離)하고 또한 박리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설치한 정치박리지지수단(定置剝離支持手段)과, 상기 제2테이블 상의 글래스를 흡인(吸引), 지지(支持)하여 반출하도록 설치되어 진퇴주행(進退走行)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간극의 양측에서 승강(昇降)함과 아울러 강하(降下) 시에 박리 필름의 양쪽 테두리를 파지(把持)하는 파지수단(把持手段)을 구비하는 필름의 견인장치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채용한다.
그러면 반입 컨베이어에 의하여 공급되며 양면에 필름을 첩부한 글래 스는, 전방의 제1테이블 상에 수납되기 직전에 상하의 박리지지수단에 의하여 상하 필름의 글래스의 주행방향측 테두리를 벗기고, 그 다음에 벗겨진 테두리를 지지한다.
이 상황하에서 글래스의 공급이 속행되기 때문에 양면의 필름이 순차적으로 벗겨진다.
필름이 벗겨진 글래스는, 전방의 제1테이블에 수납하여 제1테이블 상에서 부상하면서 전방의 제2테이블 상에 수납됨과 아울러 제2테이블 상에서 부상하는 글래스는 후퇴, 정지하고 있어 글래스의 도달 후에 글래스의 반입속도와 등속(等速)으로 전진주행(前進走行)하는 이송수단에 의하여 흡인, 지지되어 반출된다.
한편 글래스의 양면이 순차적으로 박리되고, 박리가 끝난 양면의 필름은 제1, 제2테이블 상에 남는다.
남은 양면의 필름을, 견인장치로 보내기 직전에 파지수단에 의하여 필름의 양쪽 테두리를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견인장치에 의하여 간극을 지나 하방(下方)으로 견인하여 회수한다.
또한 제1 및 제2테이블에 전후의 소정의 간격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면이 개방하는 대피부(待避部)를 설치하고, 이 대피부에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강하는 롤러(roller)를 설치한 구성을 채용한다.
그러면 승강수단에 의하여 롤러를 상승시키고, 상승한 롤러를 반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에서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兩面)에 판면(板面) 보호를 위한 필름(film)a, a를 첩부(貼付)하고 있는, 예를 들면 액정기판(液晶基板)의 글래스(glass)A는 설치대에 다수가 세워진 상태로 메이커(maker)로부터 납품되고, 이 글래스A는 수평한 자세로 반입 컨베이어(搬入 conveyor)로 공급된다.
상기 글래스A의 공급은, 예를 들면 로봇(robot)의 암(arm)의 선단 흡입반(先端 吸入盤)에 의하여 최전열(最前列)의 글래스A를 흡착한 뒤에 암의 이동에 의하여 반입 컨베이어1 상에 내리는 것으로 하였지만, 사람의 손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의 반입 컨베이어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drive) 기능을 구비한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를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반입 컨베이어1의 반송면(搬送面) 상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센터 얼라인먼트용(center alignment用) 푸셔(pusher)(실린더(cylinder)2를 사이에 두고 있다)에 의하여 압력을 부여하는 롤러3에 의하여 글래스A의 정위치에서의 주행을 보장함과 아울러 핀치 롤(pinch roll)4에 의하여 전방(前方)으로 반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반입 컨베이어1의 전방에는 반입 글래스A를 부상시켜 수납하는 제1테이블5가, 이 제1테이블5의 전방에는 견인된 필름a, a의 통과간극(通過間隙)6을 구비하고 전방을 향함과 아울러 반입 글래스A를 부상시켜 수납하는 제2테이블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핀치 롤4는, 실린더8에 의한 가압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승강(昇降)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테이블5 및 제2테이블7은, 중공(中空)의 박스(box)9와 이 박스9의 정상부(頂上部)의 벽에 형성한 에어(air) 분출용의 무수한 작은 구멍10으로 이루어지고, 송풍기(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로부터 박스9로 불어 넣은 에어를 작은 구멍10에서 분사시켜 글래스A를 부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테이블5 및 제2테이블7의 주행면(走行面) 상의 양쪽 테두리 상에 가이드 롤러(guide roller)11을 설치하여 글래스A의 안정한 주행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반입 컨베이어1과 제1테이블5의 사이에는, 글래스A의 양면 필름a, a의 반출선행측(搬出先行側) 테두리를 박리(剝離)하고 또한 박리 테두리를 지지하는 정치박리지지수단(定置剝離支持手段)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박리지지수단B는, 예를 들면 도2, 4,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래스A의 주행로의 양쪽에 서로 겹치는 말단(末端)을 핀14를 통하여 축지(軸支)함과 아울러 선단(先端)이 반입 컨베이어1의 방향으로 향하는 상 하(上下) 한 쌍의 개폐 회전편(開閉 回轉片)15와, 글래스A의 주행로의 상하를 가로질러 상측의 양단을 좌우의 상측 양쪽 회전편15, 15의 선단에, 하측의 양단을 좌우의 하측 회전편15, 15의 선단에 각각 고정시킨 2개의 바재(bar材)13, 13과, 이 바재13, 13의 양단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여 설치함과 아울러 분출구(噴出口)가 필름a, a의 반출선행측 테두리를 향하는 노즐(nozzle)16과, 상기 상하의 회전편15, 15를 개폐(開閉)시키는 실린더17과 노즐16의 전방에 상측 필름a의 바로 위와 하측 필름a의 바로 아래에 배치한 정치식 고정 협지판(定置式 固定 挾持板)18과, 상측 고정 협지판18의 상측과 하측 고정 협지판18의 하측에서 실린더19의 작용에 의하여 승강하는 가동 협지판(可動 挾持板)20으로 구성되고, 노즐16의 전방에 글래스A의 반출선행측 테두리가 도달하면 우선 실린더17의 신장(伸長) 작용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양쪽 회전편15, 15를 회전시켜 이반(離反)하는 양쪽 바재13에 의하여 상측의 노즐16을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의 노즐16을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도2,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상하 노즐16, 16에서의 에어의 분사에 따라 글래스A의 일방(一方)의 상면측 필름a의 반출선행측 테두리가 글래스A에 대하여 박리되어 박리된 테두리가 말려 올라가고, 글래스A의 타방(他方)의 하면측 필름a의 반출선행측 테두리가 글래스A에 대하여 박리되어 박리된 테두리가 말려 내려간다.
이 상황하에서 실린더17의 수축(收縮) 작용에 의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양쪽 회전편15, 15를 회전시켜 접근하는 양쪽 바재13의 노즐16, 16을, 도4, 5 및 도11에서 쇄선(鎖線)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래스A의 판면에 평행한 자세로 한다.
또한 상측 필름a의 말려 올라간 테두리가 후방으로 반전(反轉)하여 고정 협지판18의 상면으로, 또 하측 필름a의 말려 내려간 테두리가 후방으로 반전하여 고정 협지판18의 하면으로 각각 방향이 바뀐다.
그 후에 실린더19의 신장 작용에 의하여 가동 협지판20이 전진하기 때문에 양쪽 필름a, a의 박리 테두리가 고정 협지판18과 가동 협지판20으로 협지되어 지지된다.
한편 글래스A의 반입을 속행하기 위해서,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래스A의 양면 필름a, a의 박리를 속행함과 아울러 제1테이블5 상에서 제2테이블7 상으로 필름a, a의 박리 글래스A를 작은 구멍10에서의 에어의 분출에 의하여 부상시켜 반입한다(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박리지지수단B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2004-39212호의 박리지지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글래스A의 양면 필름a, a를 반입선행측 테두리를 박리하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박리하는 방식의 것이면 좋다.
상기의 반입에 따라 제2테이블7 상에 수납된 필름a, a의 박리 글래스A는, 후퇴대기위치에 있어서 글래스A의 반입속도와 등속(等速)으로 전진주행(진퇴주행한다)하는 이송수단C에 의하여 흡인(吸引), 지지(支持)되어 강제로 이송(반출)된다.
상기의 이송수단C는, 예를 들면 도1, 4, 5, 6 및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테이블7을 좌우로 이분(二分)하여 분할한 제2테이블7 사이에 모터(motor)21에 의하여 가역 구동되는 볼트(bolt)22를 축지하고, 이 볼트22에 불회전(不回轉) 상태,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2개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23에 의하여 안내주행하는 너트(nut)24를 설치하고, 이 너트24를 나사 결합함과 아울러 너트24 상에 설치한 실린더25에 의하여 승강하는 흡입반26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실린더25의 신장작용에 의하여 상승시킨 흡입반26에 의하여 글래스A의 하면을 흡인, 지지하며 볼트22의 드라이브에 의하여 너트24와 함께 흡입반26을 주행시키면서 글래스A를 강제로 이송(반출)한다.
또한 제2테이블7은, 도면에 나타내는 경우와 같이 전후에 박스9를 직렬 모양으로 나란하게 구성하였지만,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1개의 박스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간극6의 부분에는, 박리된 상하 2장의 필름a, a의 양쪽 테두리의 중간(전후 사이)을 파지수단(把持手段)D에 의하여 파지하여 간극6에서 하방으로 필름a, a를 견인하는 견인장치(牽引裝置)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파지장치D는, 도1, 4, 5, 6, 7,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필름a의 양쪽 하방에 위치하는 고정 협지편31과, 상측 필름a의 양쪽 상방에 위치하여 실린더32의 작용에 의하여 승강하는 가동 협지편33으로 구성되고, 실린더32의 작용에 의하여 강하하는 가동 협지편33과 고정 협지편31에 의하여 양쪽 필름a, a를 협지하도록(집어 넣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수단D의 파지에 따른 견인장치E는, 모터34에 의하여 가역 구동하도록 프레임37에 축지한 수직의 볼트35와, 프레임37의 좌우 2개의 가이드 레일36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하도록 설치한 슬라이더(slider)38과, 이 슬라이더38에 불회전 상태로 지지하여 볼트35에 나사 결합한 너트39로 구성되고, 파지수단D에 의한 필름a, a의 파지 후에 모터34를 정회전 구동하여 슬라이더38을 강하시킴으로써 제1테이블5 상과 제2테이블7 상에 남은 2장의 필름a, a를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6에서 하방의 회수위치로 견인하고, 견인 후에 파지수단D에 의한 파지를 해제하여 견인 필름a, a를 회수한다.
또한 파지수단D는, 모터34의 역전(逆轉)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 즉 상방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파지수단D를 실린더40에 의하여 필름a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의 후퇴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견인 후에 실린더40의 작용에 의하여 파지수단D를 외측으로 대피시킴으로써 파지수단D의 원활한 상승이동(원래의 상태로 되돌린다)을 할 수 있다.
또한 도1, 6, 7,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37의 외측에 수평한 프레임41을 설치하고, 이 프레임41에 모터42에 의하여 가역 구동하는 볼트43을 축지함과 아울러 프레임41의 2개의 가이드 레일44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설치한 슬라이더45에 불회전 상태로 지지한 너트46 을 볼트43에 나사 결합하며 슬라이더45에 프레임37을 설치하고, 그리고 필름a, a의 견인 후에 모터34, 42의 수치제어에 의하여 프레임37과 함께 파지수단D를 도12,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후에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수단D를 강하시켜 필름a, a의 파지된 부분의 꺾인 부분을 수납대51에 세워서 설치한 바늘52에 깊이 찌른 후에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수단에 의한 파지를 실린더32의 작용에 의하여 해제하고, 다음에 실린더40의 작용에 의하여 파지수단D를 외측으로 대피시킴으로써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대51에 박리한 필름a, a를 정연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제1테이블5, 제2테이블7에 전후의 소정의 간격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면이 개방하는 대피부(待避部)61을 설치하고, 이 대피부61에 실린더62의 작용에 의하여 승강하는 롤러63을 결합하여 두면 실린더62의 작용에 의하여 롤러63의 원주면의 상부를 박스9의 정상부의 벽에 대하여 돌출시켜 롤러63에 의한 글래스A의 반송을 한다.
또한 제2테이블7이 반출(이송)한 필름a, a의 박리된 글래스A는, 다음 가공공정으로 보내진다.
상기의 다음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면 테두리 절단이나 큰 부분, 작은 부분을 위한 스크라이브(scribe)나 분단(分斷)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박리장치에 의하면, 반입 컨베이어로 양면에 필름을 첩부합 글래스를 반입하면 양면의 필름을 박리지지수단에 의하여 박리하고, 필름의 박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테이블 상에 부상시킨 글래스만을 수납하고, 이 수납한 글래스를 전방의 제2테이블에 부상시켜 수납함과 아울러 이송수단에 의하여 흡인, 지지한 글래스를 반출하고, 박리가 끝나고 제1, 제2테이블 상에 남은 박리가 끝난 필름을 견인장치의 파지수단에 의하여 파지하고 간극 내로 견인하여 회수하기 때문에 능률이 좋게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롤러를 상승시킴으로써 제1, 제2테이블 상의 글래스를 원활하게 반출할 수 있다.

Claims (2)

  1. 양면(兩面)에 판면(板面)의 보호필름(保護film)을 첩부(貼付)한 글래스(glass)를 수평한 자세로 반입하도록 설치한 반입 컨베이어(搬入 conveyor)와, 이 반입 컨베이어의 글래스를 수납하고 또한 수납한 글래스를 에어(air)의 분출(噴出)에 의하여 부상시키도록 설치한 제1테이블과, 이 제1테이블로부터 견인한 필름의 통과간극(通過間隙)을 구비하고 전방에 설치한 상기 제1테이블과 동일한 제2테이블과, 상기 반입 컨베이어와 제1테이블과의 사이에서 상기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반출선행측(搬出先行側) 테두리를 박리(剝離)하고 또한 박리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설치한 정치박리지지수단(定置剝離支持手段)과, 상기 제2테이블 상의 글래스를 흡인(吸引), 지지(支持)하여 반출하도록 설치되어 진퇴주행(進退走行)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간극의 양측에서 승강(昇降)함과 아울러 강하(降下) 시에 박리 필름의 양쪽 테두리를 파지(把持)하는 파지수단(把持手段)을 구비하는 필름의 견인장치로 이루어지는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박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테이블에 전후의 소정의 간격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면이 개방하는 대피부(待避部)를 설치하고, 이 대피부에 승강수단에 의하 여 승강하는 롤러(roller)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박리장치.
KR1020050022650A 2005-01-24 2005-03-18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박리장치 KR200600855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15364 2005-01-24
JP2005015364A JP2006199478A (ja) 2005-01-24 2005-01-24 ガラスの両面フィルムの剥離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553A true KR20060085553A (ko) 2006-07-27

Family

ID=3695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650A KR20060085553A (ko) 2005-01-24 2005-03-18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박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199478A (ko)
KR (1) KR200600855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0974B (zh) 2007-05-21 2010-08-25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剥膜设备和剥膜方法
CN110950154B (zh) * 2019-11-28 2021-04-09 歌尔股份有限公司 离型纸撕离设备
CN114425903B (zh) * 2022-01-19 2023-12-22 四川雄港玻璃有限公司 一种夹胶玻璃生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99478A (ja)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1929B (zh) 用於撕去包膜板材的方法
JP4054359B2 (ja) フィルム剥離方法と装置
EP1128415B1 (en) Sheet remov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103823A (ko) 엘씨디 패널 유브이 경화 전 기판의 엣지 커트 가공장치
CN107098025A (zh) 辅料送料机构
JP2009120311A (ja) ガラス基板の供給装置
CN213954102U (zh) 一种贴胶整机结构
KR20060085553A (ko) 글래스의 양면 필름의 박리장치
TWM529346U (zh) 撕膜機器
KR100898025B1 (ko) 필름 박리방법과 장치
KR20140077166A (ko) 필름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필름 시트와 함께 물품을 실장하기 위한 적용 장치
TWM540451U (zh) 撕膜裝置
TWI752197B (zh) 膠帶剝離裝置
CN206913880U (zh) 顶角粘黏铜膜剥离设备
CN217171263U (zh) 一种反出料贴标设备
JP4289457B2 (ja) ガラスの両面フィルムの剥離装置
CN211545298U (zh) 一种对折处理装置
JP2006319233A (ja) 脆質部材の処理装置
CN213767240U (zh) 一种贴胶整机贴胶模块结构
CN106985500A (zh) 顶角粘黏铜膜剥离设备
CN210200675U (zh) 一种自动撕金装置
JP4068751B2 (ja) フィルム剥離装置
CN112193834A (zh) 一种贴胶整机进料模块
CN112223764A (zh) 一种贴胶整机贴胶模块
KR20030060471A (ko) 반도체 팩키지 제조용 테이프 커버 박리 장치 및, 테이프커버 박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