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031A -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 - Google Patents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031A
KR20060084031A KR1020050004289A KR20050004289A KR20060084031A KR 20060084031 A KR20060084031 A KR 20060084031A KR 1020050004289 A KR1020050004289 A KR 1020050004289A KR 20050004289 A KR20050004289 A KR 20050004289A KR 20060084031 A KR20060084031 A KR 2006008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probe
low frequency
present
sens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931B1 (ko
Inventor
김윤명
Original Assignee
김윤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명 filed Critical 김윤명
Priority to KR1020050004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931B1/ko
Priority to US11/331,843 priority patent/US7471084B2/en
Publication of KR2006008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28Electrodynamic magneto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로브 헤드 구조를 개선하여 전력선(電力線) 등에 의해 발생되는 자유공간이나 액으로 채워진 모의 인체(팬텀) 내에 존재하는 극저주파 자계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프로브(40)에 의하면; 전송보드(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직선상의 연결튜브(41)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지며 3개의 모서리가 모이는 일측 첨단부에 연결튜브(41)의 말단이 연결 고정되는 등방성 센싱헤드(42)와, 이 등방성 센싱헤드(42)의 타측 첨단부를 중심으로 인접하는 3면에 각각 마련되며 외주에 코일(45)이 권선된 3개의 보빈(43a)(43b)(43c)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3-AXES MAGNETIC FIELD MEASUREMENT PRO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저주파 측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Ⅲ 방향에서 본 3축 자계 측정 프로브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축 자계 측정 프로브를 자계 발생장치 내부에 위치시킨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자계 발생장치 내부 공간 스캔의 결과 값을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축 자계 측정 프로브를 자계 발생장치 윗면에 위치시킨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자계 발생장치 윗면 공간 스캔의 결과 값을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축 자계 측정 프로브를 자계 발생장치 측면에 위치시킨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자계 발생장치 측면 공간 스캔의 결과 값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송보드 20..컴퓨터
30..로봇 아암 40..3축 자계 측정 프로브
41..연결튜브 42..센싱헤드
43a,43b,43c..보빈 44..권선홈
45..코일
본 발명은 극저주파 자계 측정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장 측정이 가능하며 높은 공간 분해능을 갖는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전기(電氣)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 에너지원이 되었다. 모든 가정에 전기가 공급되어 편리한 생활을 하게 되었지만, 불가피하게 전기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전계와 자계의 인체 영향과 같은 해결해야 할 부분이 있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전기장 및 자기장에의 노출은 미세한 에너지 흡수와 측정이 어려울 정도의 신체 온도상승을 유발한다. 그러나 약 100 kHz이상 주파수의 전자기장에 노출될 경우 상당량의 에너지 흡수와 온도상승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균일한 전자기장 평면파에의 노출에서도 인체 내에는 아주 불균일한 에너지의 축적과 분포가 발생되므로, 이것을 노출량 측정 및 계산에 의하여 평가해야 한다.)
송전선로, 배전선로 그리고 일상가정의 전자 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계는 60Hz가 주류를 이룬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50Hz와 60Hz를 포함하는 극저주파의 자계가 인체에 미치는 영양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극저주파 자계 측정 장비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며, 극저주파 측정/연구를 위한 센싱 프로브와 계측기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60Hz를 포함하는 극저주파 자계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종래 프로브는 한 방향의 장(場,field)이나 모든 방향의 장(場, field) 성분의 합을 나타내도록 설계되는데, 단일 방향 프로브는 하나의 장 성분에만 응답하고 결과적으로 최고값을 찾기 위해서는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센싱 과정은 번거롭고도 꽤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고 측정上의 정확도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중 센서는 공간 장의 세 성분을 합하는데 쓰이는데, 이것은 입사성분의 극성이나 방향과 독립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3개의 직각으로 배열된 소형 등방성 프로브를 요구되는데, 이것은 자기장 벡터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필드 측정값이 동일하도록 해주며 이를 위해서는 0.01 ㎡ 이하의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저주파 3축 프로브에서는 상당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원과 매우 근접하여 공간 변화율이 심한 근거리장 측정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며 공간 분해능이 현저하게 낮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선(電力線) 등에 의해 발생되는 자유공간이나 액으로 채워진 모의 인체(팬텀) 내에 존재하는 극저주파 자계의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 정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브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발생원 (Source)과 근접한 지점에서의 근거리장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높은 공간 분해능을 갖는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극저주파 전기장 값을 센싱하기 위한 자계 프로브와, 이 자계 프로브에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전송보드와, 이 전송보드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기록 및 처리하도록 마이컴이 마련된 컴퓨터를 갖춘 극저주파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자계 프로브는 전송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직선상의 연결튜브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지며 3개의 모서리가 모이는 일측 첨단부에 상기 연결튜브의 말단이 연결 고정되는 등방성 센싱헤드와; 이 등방성 센싱헤드의 타측 첨단부를 중심으로 인접하는 3면에 각각 고정 배치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코일이 감겨진 3개의 보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빈들은 등방성 센싱헤드의 외면에 붙여서 배치되도록 정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에는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권선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극저주파 측정 프로브 시스템은 3축으로 구성되어 방향과 상관없이 등방성을 가지며 소형으로 제작되어 근거리장 측정이 가능하고 높은 공간 분해능을 갖도록 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아암(30)에 매달려 설치되는 극저주파 자기장 값을 센싱하기 위한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와, 이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전송보드(10)와, 이 전송보드(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록 및 처리하는 컴퓨터(20)를 갖추고 있다.
전송보드(10)는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를 통해 검출된 신호 중에서 특정 신호가 컴퓨터(20)에서 요구되면, 요구된 특정 채널의 신호만을 차례로 선택하여 출력시킨다. 이 때, 출력 신호는 증폭회로(11)에 의하여 일정한 이득으로 증폭된 후 A/D 변환기(12)에 입력되어 디지털 출력되며, 이 신호는 포트를 통해 컴퓨터(20)로 전송된다. 이를 위해, 전송보드(10)는 증폭회로(11)와 A/D 변환기(12)와 CPU(13) 등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3축 자계 프로브(40)로부터 얻어진 센싱 신호는 CPU(13)의 명령에 따라 특정 채널의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컴퓨터(20)에서는 전송보드(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자계 값을 기록 및 처리하는 것으로,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에서 측정한 값을 도출하는 마이컴(未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는 포지션 콘트롤러(21)를 통해 제어되는 로봇 아암(3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보드(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튜브(41)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지며 3개의 모서리가 모이 는 일측 첨단부에 연결튜브(41)의 말단이 연결 고정되는 등방성 센싱헤드(42)와, 이 등방성 센싱헤드(42)의 타측 첨단부를 중심으로 인접하는 3면에 각각 마련되며 가장자리에 코일(45)이 권선된 3개의 보빈(43a)(43b)(43c)으로 정의된다.
연결튜브(41)는 검출된 신호가 지나는 길로, 외부 자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특성을 지닌 물질로 된 튜브를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등방성 센싱헤드(42)는 정육면체로 이루어지며, 3개의 모서리가 모이는 일측 첨단부에 연결튜브(41)의 한 말단이 견실하게 연결 고정된다. 이러한 등방성 센싱헤드(42)는 테플론으로 가공된다. 센싱헤드(42)를 등방성으로 구성한 것은 3축 모든 방향에 대해서 그 각 축의 검파된 측정값들의 합이 위상과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가져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3개의 보빈(43a)(43b)(43c)은 등방성 센싱헤드(42)의 타측 첨단부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3면에 각각 나사(46)를 통해 고정 배치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코일(45)이 수천 회 권선되어 있다. 이러한 보빈(43a)(43b)(43c)들은 센싱헤드(42)의 외면에 당접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정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에는 코일(45)을 권선하기 위한 권선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빈(43a)(43b)(43c) 역시 테플론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코일(45)은 권선홈(44)을 따라 1500에서 2500 여회 혹은 그 이상 권선된다.
또한, 저주파 자계 프로브(40)가 좋은 센싱 특성을 갖도록 코일의 감는 횟수를 높이기 위해 코일 굵기는 매우 가는 것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0.1 ~ 0.2mm 정도의 동선으로 코일(45)을 보빈(43a)(43b)(43c)에 2500여회 감았으며, 시작되는 선과 끝부분의 선을 연결튜브(4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였다. 이러한 보빈(41) 한 변의 길이를 10 ~ 20mm 정도로 작게 구성하면, 자계 프로브(40)의 전체 사이즈는 작아지고 이와 함께 공간 해상도가 예리하게 된다.
결국, 등방성 센싱헤드(42)의 외면에 코일(45)이 권선된 보빈(43a)(43b)(43c)이 3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방향과 상관없이 등방성을 가지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3축 자계 프로브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본 출원의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 값을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기장을 검파하기 위해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축(單軸) 자계 발생장치(50)에 근접시키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이 단축 자계 발생장치(50)는 직육면체 타입 목재 프레임 바디에 3개의 코일(51)을 직렬로 연결하여 제작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목재프레임 바디의 상단과 하단에 균일한 자계를 형성하기 위해 3개의 코일(51)을 상, 하단은 각각 20 turns으로, 중간코일은 17 turns로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자계 발생장치(50)의 자계 세기의 범위를 in-vivo 생체 실험을 위한 일반인과 직업인의 기준레벨을 충분히 포함하는 범위로 설정하였다.)
먼저, 이러한 자계 발생장치(50)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입력하고,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를 도 4와 같이, 자계 발생장치(50)의 상단과 중간코일이 이루는 영역의 내부 중앙에 위치시켜 자계 분포를 측정하였다.
즉, 전송보드(10)를 장착한 로봇 아암(30)에 3축 자계 프로브(40)를 연결하 여, 코일 내부의 가로(10cm), 세로(10cm)의 100 ㎠ 의 단면적을 공간 스캔하였다. (이 때 코일에의 입력전압은 60Hz, 0.3V로 하였다.) 자계 발생장치(50) 내부 공간 스캔의 결과 도 5와 같이, 자계가 매우 균일하게 분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자계 발생장치(50)를 바로 세워 둔 채, 코일(51) 상단 바로 위에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를 위치시키고 수평면을 스캐닝하여 자계 분포를 측정하였다. 즉, 자계 센서용 전송보드(10)가 장착된 로봇 아암(30)에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를 연결하여, 자계 발생장치(50) 윗면 외부에 근접하여 가로*세로 = 26 * 36 ㎠의 면적을 공간 스캔하였다. (이 때 입력전압은 60Hz, 0.6V로 하였다.) 자계 발생장치(50) 윗면에서 코일(51) 전체 면적을 포함하여 직사각형 26 * 36 ㎠ 면적을 스캔한 결과, 도 7과 같이, 코일(51)이 이루는 면적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세기는 비교적 균일한 필드가 발생하고, 중앙에서 바깥으로 나갈수록 세기가 급격히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과 같이, 자계 발생장치(50)를 눕힌 채 발생장치의 윗 수평면을 따라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를 스캐닝하여 자계 분포를 측정하였다. 즉, 자계 센서용 전송보드(10)가 탑재된 로봇 아암(30)에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를 연결한 후 이를 눕혀진 자계 발생장치(50)의 윗면에 근접시킨 후 가로 세로 24 * 46 ㎠의 면적을 공간 스캔하였다. (이 때 코일에의 입력전압은 60Hz, 0.6V로 하였다.) 이와 같이 스캔 면적은 24 * 46 ㎠으로, 자계 발생장치(50)의 3단의 코일 주변을 포함하도록 설정하였다.
3축 자계 프로브(40)로 자계 발생장치(50)의 바깥 면을 측정한 결과, 도 9와 같이, 권선 코일(51) 주변에서 높은 필드가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는 3축으로 구성되어 방향과 상관없이 등방성을 가지며 높은 공간 분해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면적이 4 ㎠ 이하를 갖는 작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자기장 발생원의 근거리장 측정이 가능하며 보다 높은 공간 분해능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축 자계 측정 프로브(40)는 모의 인체 용액 등에 담겨 측정이 가능하도록 방수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진공 함침액에 넣어 건조시키면 방수를 완벽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는 전송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직선상의 연결튜브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지며, 3개의 모서리가 모이는 일측 첨단부에 연결튜브의 말단이 연결 고정되는 등방성 센싱헤드와; 이 등방성 센싱헤드의 타측 첨단부를 중심으로 인접하는 3면에 각각 마련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코일이 권선된 3개의 보빈을 구비한다.
따라서 3축 자계 측정 프로브를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전력선(電力線) 등에 의해 발생되는 자유공간이나 액으로 채워진 모의 인체(팬텀) 내에 존재하는 극저주파 자계의 측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자계 측정 프로브 사이즈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근거리장 측정이 가능하며 높은 공간 분해능을 갖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극저주파 전기장 값을 센싱하기 위한 자계 프로브와, 상기 자계 프로브에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전송보드와, 상기 전송보드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기록 및 처리하도록 마이컴이 마련된 컴퓨터를 갖춘 극저주파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계 프로브(40)는;
    상기 전송보드(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직선상의 연결튜브(41)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지며, 3개의 모서리가 모이는 일측 첨단부에 상기 연결튜브(41)의 말단이 연결 고정되는 등방성 센싱헤드(42)와;
    상기 등방성 센싱헤드(42)의 타측 첨단부를 중심으로 인접하는 3면에 각각 마련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코일(45)이 권선된 3개의 보빈(43a)(43b)(43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43a)(43b)(43c)들은 상기 등방성 센싱헤드(42)의 외면에 당접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정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코일(45)을 권선하기 위한 권선홈(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
KR1020050004289A 2005-01-17 2005-01-17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 KR100653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289A KR100653931B1 (ko) 2005-01-17 2005-01-17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
US11/331,843 US7471084B2 (en) 2005-01-17 2006-01-13 Extremely low frequency (ELF) or low frequency (LF) magnetic field distribution measu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289A KR100653931B1 (ko) 2005-01-17 2005-01-17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31A true KR20060084031A (ko) 2006-07-21
KR100653931B1 KR100653931B1 (ko) 2006-12-05

Family

ID=3677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289A KR100653931B1 (ko) 2005-01-17 2005-01-17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71084B2 (ko)
KR (1) KR100653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2561A1 (en) * 2006-05-30 2007-12-06 Beckwith Robert W Apparatus and methods for sensing earth's inner ELF signals by an underground antenna
CN108654536B (zh) * 2018-05-23 2020-03-13 中国矿业大学 一种直流电磁式液体磁化实验装置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093A (en) * 1975-10-20 1977-05-10 The Narda Microwave Corporation Magnetic field radiation detector
EP0393382B1 (de) 1989-04-07 1994-06-01 Asea Brown Boveri Ag Vorrichtung zum Messen eines eletrischen Feldes
US5256960A (en) * 1991-04-09 1993-10-26 Novini Amir R Portable dual band electromagnetic field radiation measurement apparatus
JP2790103B2 (ja) * 1995-12-15 1998-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比吸収率測定装置及び比吸収率測定方法
JP3782557B2 (ja) 1997-09-01 2006-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磁界分布測定装置および電磁界分布測定方法
JP3237590B2 (ja) * 1997-10-24 2001-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場計測装置
JP3690331B2 (ja) 2001-10-18 2005-08-31 日本電気株式会社 磁界検出素子及び磁界計測装置並びに磁界計測方法
JP3930340B2 (ja) * 2002-02-25 2007-06-13 ミネベア株式会社 回転電機
JP2003279611A (ja) 2002-03-26 2003-10-02 Hitachi Ltd 電磁波発生源探査装置
JP2003329716A (ja) 2002-05-15 2003-11-19 Ricoh Co Ltd 電磁妨害波測定装置
JP4070088B2 (ja) 2002-05-17 2008-04-02 株式会社リコー 電磁妨害波測定装置
JP2004138505A (ja) 2002-10-17 2004-05-13 Ricoh Co Ltd 電磁妨害波測定装置
JP4481578B2 (ja) 2003-02-28 2010-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磁波測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FR2860878B1 (fr) * 2003-10-08 2006-02-17 Centre Nat Etd Spatiales Sonde de mesure d'un champ magne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6053A1 (en) 2006-08-10
KR100653931B1 (ko) 2006-12-05
US7471084B2 (en) 200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6361B2 (ja) 材料の磁気特性を測定する装置及び方法
JP2579570B2 (ja) プローブシステム
US4276529A (en) Magnet coil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homogeneous magnetic field for magnetic resonance arrangements
MX2014014931A (es) Magnetometro para uso medico.
JP2000512005A (ja) 放射器調整
KR101551586B1 (ko) 코일 장치 및 자기공명 이메징 장치
CN101243582B (zh) 机械托架装置以及具有这样的机械托架装置的测量仪
CN112450935B (zh) 一种基于无屏蔽原子磁力仪的心磁测量方法和系统
JP3237590B2 (ja) 磁場計測装置
CN105842545A (zh) 三维全向电磁场探头及电磁检测设备
KR100653931B1 (ko) 극저주파 소형 3축 자계 측정 프로브
JP2956718B2 (ja) 電磁界分布測定装置及び電磁波源解析システム及び電磁界解析システム
CN205691672U (zh) 三维全向电磁场探头及电磁检测设备
TW293881B (ko)
US10143402B2 (en) Length measuring device
KR100651741B1 (ko) 태그와 리더 사이의 인식거리 측정장치
JP2630222B2 (ja) Sar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3530912B2 (ja) 生体磁気測定用デュワ
CN110441716A (zh) 低频磁场测量装置
CN112684388B (zh) 一种基于涡流效应的中高频交变磁场强度的测量方法
CN219957746U (zh) 一种电子产品检测装置
JP2013228210A (ja) 電磁波データ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683992B (zh) 含噪声屏蔽可同时检测磁声信号和电场的定位装置及方法
CN110244241A (zh) 一种获取微波腔内微波磁场分布的测量方法和装置
JP2006320423A (ja) Mri用信号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