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952A - 악곡 재생 방법 및 휴대 기기 - Google Patents

악곡 재생 방법 및 휴대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952A
KR20060083952A KR1020060059384A KR20060059384A KR20060083952A KR 20060083952 A KR20060083952 A KR 20060083952A KR 1020060059384 A KR1020060059384 A KR 1020060059384A KR 20060059384 A KR20060059384 A KR 20060059384A KR 20060083952 A KR20060083952 A KR 20060083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volume
tempo
vibration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119B1 (ko
Inventor
기요시 야마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악곡을 재생 또는 편집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갖는 휴대 기기(1)에 적용되는 악곡 재생 방법으로, 사용자가 키 입력을 행하는 각종 데이터나 동작 모드의 설정 ·입력을 행하는 조작 입력부(106)와, 상기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 상태를 검출하는 XY 2축 지자기 센서(110)와, 상기 조작 입력부에서 특정된 지휘자용 키의 조작 상태 및/또는 XY 2축 지자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 상태에 따라 재생 또는 편집되는 악곡의 상태(템포, 음량, 등)를 변경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100)가 구비된다. 이것에 의해, 휴대 기기에서 사용자는 임의 또한 실시간으로 악곡의 템포나 음량을 변경하여 악곡을 재생 ·편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곡 재생 방법 및 휴대 기기{MUSICAL TUNE PLAYBACK METHOD AND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기기에서의 XY 2축 지자기 센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a는 악곡 시퀀스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발음 이벤트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c는 컨트롤 이벤트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기기에 의한 악곡 재생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지휘자용 키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템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XY 2축 지자기 센서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템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5c는 XY 2축 지자기 센서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음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기기의 악곡 재생 ·편집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7은 자기 센서 출력(Sx, Sy)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기기 20 : 안테나
100 : CPU 102 : ROM
104 : RAM 106 : 조작 입력부
108 : GPS 모듈 110 : XY 2축 지자기 센서
*112 : 무선 통신부 114 : 음성 CODEC
116 : 악곡 재생부 118 : 표시부
120 : 인터페이스 122 : 마이크
124 : 수화용 스피커 126 : 착신용 스피커
1110 : GMR 회로 1111 : 전압/자계 변환 회로
1112 : 정전류 바이어스 회로 1113 : X축 GMR 소자
1114 : Y축 GMR 소자
본 발명은 휴대 기기에 적용 가능한 악곡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 멜로디 등의 악곡을 재생 ·편집하는 기능을 갖는 휴대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종 휴대 기기, 즉, 셀룰러 전화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의 휴대 전화 장치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정보 단말이 개발되고 있고, 근년의 경향으로는 단순히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소망의 악곡을 소정의 사이트나 프로바이더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악곡의 재생 ·편집 기능을 갖는 것도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악곡의 재생 ·편집 기능을 갖는 휴대 기기에 있어서는, 내장 메모리 혹은 디지털 기억 장치 등에 미리 설정된 착신 멜로디용의 악곡이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자 배송된 악곡을 재생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적당히 이들 악곡의 템포나 음량 등을 변경하는 것은 곤란하며, 또 설령 변경이 가능하다고 해도 일정 비율에 의한 단순한 변경 밖에 할 수 없었다. 또 종래의 휴대 기기에서도 사용자가 버튼 조작 등을 함으로써 자작의 악곡을 적당히 기억 재생할 수도 있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자작곡에 대해서도 그 템포나 음량 등에 대해 일정 비율에 의한 단순한 변경 밖에 할 수 없었다.
즉, 종래의 휴대 기기는 일반적으로 재생 ·편집되는 악곡의 템포나 음량 등을 일률적으로 변경하는 기능 밖에 가지고 있지 않아서, 사용자의 세밀한 요구에 대응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악곡의 편집 중에 「음량을 일시적으로 크게」하거나, 「템포를 일시적으로 빠르게」하거나 하는 사용자의 요망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없고, 그 결과 사용자가 착신 멜로디 등으로서 취향에 맞는 악곡을 작성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 기기가 착신 멜로디 등으로서 재생하는 악곡은 음악적으로 단조로운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특히 실시간으로 음량 ·템포 등을 적 당히 변경할 수 없고, 따라서 사용자의 욕구가 충분히 충족되지 않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임의로 템포나 음량을 변경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소망의 악곡을 재생 ·편집할 수 있는 휴대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악곡을 재생 또는 편집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갖는 휴대 기기에 적용되는 악곡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 기기에는 사용자가 키 입력을 행해 각종 데이터나 동작 모드의 설정 ·입력을 행하는 조작 입력부와,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 상태를 검출하는 XY 2축 지자기 센서와, 상기 조작 입력부에서 특정된 지휘자용 키의 조작 상태 및/또는 XY 2축 지자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 상태에 따라 재생 또는 편집되는 악곡의 상태(템포, 음량, 등)를 변경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가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휴대 기기에서 사용자는 임의 또한 실시간으로 악곡의 템포나 음량을 변경하여 악곡을 재생 ·편집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조작 입력 수단에서의 특정 키의 조작 속도에 따라 재생 또는 편집되는 악곡을 나타내는 악곡 시퀀스 데이터 중 해당 악곡의 템포를 나타내는 템포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혹은 상기 제어 수단은 진동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 주기에 따라 재생 혹은 편집되는 악곡을 나타내는 악곡 시퀀스 데이터 중 해당 악곡의 템포를 나타내는 템포 데이터를 변경한다.
또는, 상기 제어 수단은 진동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폭에 따라 재생 또는 편집되는 악곡의 악곡 시퀀스 데이터 중 해당 악곡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데이터를 변경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악곡 편집시에 변경된 악곡 시퀀스 데이터를 새로운 악곡 시퀀스 데이터로서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기기(즉,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즉, 휴대 전화기(1)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화기 혹은 게임기나 음악 재생 장치 등으로서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100), 각종 데이터 및 고정 데이터가 격납되는 ROM(102),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RAM(104), 조작 입력부(106),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108), XY 2축 자기 센서(110), 무선 통신부(112), 음성 코덱(CODEC)(114), 악곡 재생부(116), 표시부(118), 인터페이스(I/F)(120), 마이크(MC)(122), 수화용 스피커(SP)(124), 및 착신용 스피커(SP)(126)를 가지고 있다.
ROM(102)은 각종 프로그램 외에, 착신 멜로디용의 악곡 시퀀스 데이터 등의 고정 데이터나 게임 소프트웨어 등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또, ROM(102)은 XY 2축 자기 센서(110)의 출력인 자계의 방향을 각도로 변화하기 위한 자계와 각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자계/각도 변환 테이블도 격납하고 있다.
RAM(104)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한 각종 데이터, 혹은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외부의 오디오 기기로부터 얻은 악곡 시퀀스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격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 입력부(106)에는, 통화를 개시할 때 사용되는 개시키, 통화를 종료할 때 사용되는 종료키, 숫자키, 지휘자용 키를 포함한 각종 기능키, 전원키 등이 설치된다. 지휘자용 키는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치된 것으로, 사용자가 악곡 재생부(116)에서 재생되는 악곡의 템포나 음량을 적당히 변경하기 위한 키이며, 예를 들면 상기 지휘자용 키의 조작 속도(혹은 키의 조작 주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악곡의 템포를 변경할 수 있다.
GPS 모듈(108)은 소정 시간마다 복수(3회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의 위치 측정용 전파를 수신하고, 그 생 데이터를 GPS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GPS 기지국으로부터 측위 연산 결과를 수신하여 RAM(104)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갱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XY 2축 지자기 센서(110)는 자국(여기에서는 휴대 전화기(1))의 방위를 검출하는 센서로, 지자기의 X축 방향 성분 및 Y축 방향 성분의 변화를 전압 변화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출력을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마다 검출하고, 그 출력 데이터를 RAM(104) 내의 소정 기억 영역에 격납하고, 또 갱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무선 통신부(112)는 안테나(20)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거나, 외부로 송신하는 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20)로 출력한다. 음성 CODEC(114)은 무선 통신부 (112)로부터 받아들인 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수화용 스피커(124)로 출력하거나, 마이크(122)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여 무선 통신부(112)로 송출한다.
악곡 재생부(116)는 착신시에 그 착신을 통지하는 착신 멜로디로서의 악곡을 재생하여 착신용 스피커(126)로 출력하거나, 혹은 ROM(102) 또는 RAM(104)에 격납된 악곡 시퀀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곡을 재생한다. 이 악곡 재생 시퀀스 데이터는, 조작 입력부(106)에서의 지휘자용 키 입력 및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출력에 기초하여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118)는 각종 데이터나 화상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I/F)(120)는 도시하지 않은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의 오디오 기기와 접속되어 소망의 악곡 데이터를 RAM(104)에 격납하는 것이다.
상기의 CPU(100), ROM(102), RAM(104), 조작 입력부(106), GPS 모듈(108), XY 2축 지자기 센서(110), 무선 통신부(112), 음성 CODEC(114), 악곡 재생부(116), 표시부(118), 및 인터페이스(I/F)(120)는 버스(90)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내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 2에 도시한다. XY 2축 지자기 센서(110)는 GMR(Giant Magnetoresistive) 회로(1110) 및 전압/자계 변환 회로(1111)로 이루어진다. GMR 회로(1110)는 정전류 바이어스 회로(1112), 지자기의 X축 성분을 검출하는 X축 GMR 소자(1113), 및 지자기의 Y축 성분을 검출하는 Y축 GMR 소자(1114)로 이루어진다.
정전류 바이어스 회로(1112)는 외부로부터 ON/OFF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있고, ON 신호를 받어 X축 GMR 소자(1113) 및 Y축 GMR 소자(1114)에 대해 일정 전류를 공급한다. X축 GMR 소자(1113) 및 Y축 GMR 소자(1114)는 모두 자기의 변화에 따라 그 저항값이 변화하는 소자로, 이들 소자에 일정 전류를 바이어스로서 공급함으로써, 자기의 변화를 전압의 변화로서 검출한다. 즉, XY 2축 지자기 센서(110)를 구성하는 X축 GMR 소자(1113) 및 Y축 GMR 소자(1114)가 X축 ·Y축에 의해 특정되는 평면 내에서 회전하게 되어, 자계에 따라 지자기 검출 출력의 X축 성분 및 Y축 성분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전압의 변화가 나타난다.
또,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는 각도(기울기)에 따라서도 지자기 검출 출력은 변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특성을 이용하여 XY 2축 지자기 센서(110)를 방위 센서로서의 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휴대 전화기(1)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한 경사각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용하고 있다. 즉, XY 2축 지자기 센서(110)를 휴대 전화기 본체의 진동 상태를 검출하는 진동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도 이용하고 있다.
도 2의 XY 2축 지자기 센서(110)에서의 X축 GMR 소자(1113) 및 Y축 GMR 소자(1114)는, X, Y 방향의 지자기 성분을 각각 검출하여, 그 값에 대략 비례하는 값(Sx, Sy)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지자기 방향이 X축, Y축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변화하는 경우에서의 각각의 출력치(Sx 및 Sy)의 관계를 나타낸다. 즉,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Y 방향이 동 ·서를 향한 경우 출력치(Sx)는 최대 ·최소가 되고, 남 ·북을 향한 경우 출력치(Sx)는 제로가 된다. 마찬가지로,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X 방향이 북 ·남을 향한 경우 출력치(Sy)는 최대 ·최소가 되고, 동 ·서를 향한 경우 출력치(Sy)는 제로가 된다.
상기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1)의 표시부(118)에 표시하는 방위 a는, 예를 들면, 동을 0°로 하고, 남, 서, 및 북의 순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각도가 증대하도록 정의된다. 이 경우, 방위 a는 하기에 나타내는 표의 수식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조건 방위a
Sx>0 또한 │Sx │> │Sy │ a=tan-1(-Sy/Sx)
Sx<0 또한 │Sx │> │Sy │ a=180°+ tan-1(-Sy/Sx)
Sy>0 또한 │Sx │< │Sy │ a=90° - tan-1(-Sx/Sy)
Sy<0 또한 │Sx │< │Sy │ a=270°+ tan-1(-Sx/Sy)
전압/자계 변환 회로(1111)는 GMR 회로(1110)에서 출력되는 전압으로부터 자계의 방향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전압 출력 변화와 자계의 방향의 관계에 대한 일례를 상기의 표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ROM(102) 또는 RAM(104)에 격납되는 악곡 시퀀스 데이터의 내용에 대해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악곡 시퀀스 데이터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데이터, 템포 데이터, 듀레이션 데이터, 및 이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 중, 기본 데이터는 악곡 시퀀스 데이터에 대한 악곡명, 가창자명, 작사자명, 작곡자명, 및 가사 등의 데이터 요소로 구성된다. 또, 템포 데이터는 그 악곡의 템포를 나타내고 있고, 듀레이션 데이터는 각 이벤트 사이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벤트 데이터로서 도 3b에 도시하는 발음 이벤트 데이터 와 도 3c에 도시하는 컨트롤 이벤트 데이터의 2 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발음 이벤트 데이터는 발음 피치와 게이트 타임(발음 길이)을 나타내는 데이터 요소로 구성되며, 한편, 컨트롤 이벤트 데이터는 그 이후에 발생하는 발음 이벤트에 관한 발음의 음량, 음색을 결정하는 데이터 요소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에 의한 악곡 재생 원리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악곡 재생시의 휴대 전화기(1)의 CPU(100)의 처리 내용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악곡 재생시, ROM(102) 또는 RAM(104)으로부터 읽어내어지는 악곡 시퀀스 데이터에 대해, 조작 입력부(106)의 자휘자용 키의 조작 상태 혹은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템포 데이터 및 음량 데이터 중 한쪽, 또는 양쪽이 변경된다. 즉, 악곡 시퀀스 데이터 중, 원래의 템포 데이터나 음량 데이터가 새로운 템포 데이터나 음량 데이터로 갱신 ·치환된다.
이와 같이 하여 템포 데이터 및 음량 데이터 중 한쪽 또는 양쪽이 변경된 악곡 시퀀스 데이터는 CPU(100)에 의해 해석된다. 상술하면, 템포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곡의 템포를 규정하는 템포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듀레이션 데이터 및 케이트 타임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피치, 음량, 음색 등을 음원 파라미터로 변환하고, 악곡 재생부(116) 내의 음원(도시하지 않음)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악곡 재생부(116)에서는 변경된 템포나 음량에 의해 악곡이 재생된다.
다음으로, 조작 입력부(106)에서의 지휘자용 키의 조작 상태, 및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템포 데이터나 음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순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도 5a는 지휘자용 키의 조 작 상태에 기초하여 템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순을 나타내고, 도 5b는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템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순을 나타내며, 도 5c는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음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순을 나타낸다.
지휘자용 키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템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지휘자용 키가 조작되는 주기, 즉 ON 주기를 측정하고, 그 ON 주기를 템포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템포 데이터를 생성한다.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템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검출 출력은 자계에 비례한 전압으로서 출력되는데, 전압/자계 변환 회로(1111)에 의해 자계의 방향을 산출하고, ROM(102)에 격납되어 있는 자계/각도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자계의 방향을 수평면을 기준으로 한 각도로 변환 ·산출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기(1)의 진동 주기에 대해 검출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를 상하로 흔들어 일정의 리듬을 지시하고 있다고 하자. 그 때, 휴대 전화기(1)가 그 진동 진폭의 최하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 간격을 그 진동 각도 변화로부터 검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검출한 휴대 전화기(1)의 진동 주기를 템포 데이터로 변환하고 있다.
또,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음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ROM(102)에 격납된 자계/각도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XY 2축 지자기 센서(110)에 의해 검출된 자계의 방향을 수평면을 기준으로 한 각도로 변환한다. 이 경우에서도,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1)를 상하로 흔들어 일정의 리듬을 지시하고 있다.
상기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1)의 진동 진폭의 최상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와 최하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의 차분을 검출한다. 이 각도의 차분의 크기(즉 각도 변화량)를 음량 데이터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이 음량 데이터 생성시, 지휘자용 키의 조작(즉, 가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가압력에 기초하여 음량을 검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악곡 재생 ·편집시의 동작에 대해, 도 6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중, 단계 200에서 조작 입력부(106)의 지휘자용 키의 조작 상태가 검출되거나, 단계 300에서 휴대 전화기(1)의 진동 상태가 검출된다. 이들 검출 결과, 즉 지휘자용 키의 조작 상태나 XY 2축 지자기 센서(110)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전술한 수순(도 5a 내지 5c 참조)에 의해 새로운 템포나 음량이 검출된다(단계 201, 301 참조).
다음으로, 단계 203에서 ROM(102) 또는 RAM(104)에 격납되어 있는 원래의 악곡 시퀀스 데이터 내의 템포 데이터와 검출 템포가 비교된다. 여기서, 검출된 템포 중, 극단적으로 변화하는 템포에 대해서는 무시하고(단계 204), 원래의 템포 데이터에 대해 증감 처리를 행하여, 검출 템포에 일치하는 새로운 템포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205).
또, ROM(102) 또는 RAM(104)에 격납된 원래의 악곡 시퀀스 데이터 내의 음량 데이터와 단계 301에서 검출된 음량이 비교되고, 그 후, 원래의 음량 데이터에 대 해 증감 처리를 행하여, 검출 음량에 일치하는 새로운 음량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302).
상기 템포 검출 후, 단계 202에서 악음이 재생된다. 이 재생 악음과 새로 생성된 템포 데이터 및 음량 데이터가 합성된다(단계 206). 이것에 의해, 새로운 템포 및 음량에 의한 악곡이 재생된다(단계 207). 한편, 악곡 편집시에는, 변경된 템포 데이터 및 음량 데이터에 의한 악곡 시퀀스 데이터가 RAM(104)에 격납된다(단계 208).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에서는, 조작 입력부의 조작 상태나 휴대 전화기 본체의 진동 상태에 따라 재생 ·편집되는 악곡의 악곡 시퀀스 데이터를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템포나 음량을 변경하여 악곡의 재생 ·편집을 행할 수 있다. 즉,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가 지휘자로서 행동하여 착신 멜로디 등의 악곡의 템포나 음량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악곡 편집시에 변경된 악곡 시퀀스 데이터를 새로운 악곡 시퀀스 데이터로서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템포나 음량을 변경한 악곡 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를 그 진동 상태에 따라 방음시킴으로써 전자 마라카스 등의 악기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전자 타악기로서 사용하여 착신 멜로디 등의 악곡에 맞춰 연주함으로써 그 타악기 음을 부가한 것 같은 새로운 악곡을 작성할 수도 있다.
휴대 전화기의 진동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휴대 전 화기에 방위 센서로써 설치되어 있는 XY 2축 지자기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비용 저감을 꾀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진동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나 진동 센서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우선 먼저 각도를 산출하고, 그 후에 수평면을 기준으로 한 각도로 변환하여 그 각도 변화를 검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것에 한하지 않고, GMR 소자의 전압 출력을 그대로 사용하여 템포 ·음량 검출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즉,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각도 변화를 검출하지 않고, XY 2축 지자기 센서의 전압 변화에 직접 기초하여 템포 ·음량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를 좌우로 흔들어 리듬을 지시할 때, 상기 휴대 전화기가 진동 진폭의 최우측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 간격을 X축 지자기 센서 또는 Y축 지자기 센서의 전압 변화로부터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검출된 휴대 전화기의 진동 주기를 템포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가 진동 진폭의 최우측 위치로 흔들렸을 때에 대응하는 X축 또는 Y축 지자기 센서의 출력이 최대를 나타내는 시각과 최소를 나타내는 시각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GMR 소자 이외에, AMR 소자나 TMR 소자 등의 자기 저항 효과 소자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휴대 전화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음악 재생 기능을 탑재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장치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 기기이어도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각각의 효과 및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하에 설명한다.
(1) 본 발명은 악곡을 재생 ·편집하는 기능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을 갖는 휴대 전화기에 적용되는 악곡 재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 수단의 조작 상태 또는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 상태에 따라 재생 ·편집된 악곡의 특징을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임의로 템포나 음량을 변경하여 악곡의 재생 ·편집을 행할 수 있다. 즉,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가 지휘자처럼 행동하여 착신 멜로디 등의 악곡의 템포나 음량을 적당히,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2) 또, 악곡 편집시에 변경된 악곡 시퀀스 데이터를 새로운 악곡 시퀀스 데이터로서 등록 가능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가 템포나 음량을 임의로 변경한 악곡 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Claims (11)

  1. 악곡을 재생 또는 편집하는 기능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휴대 기기(1)에서의 악곡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본체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한 각도의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휴대기기 본체의 진동 진폭의 최하 위치에 달하는 시간 간격으로부터 얻어지는 진동 주기에 따라 상기 재생 또는 편집되는 악곡의 템포 및 악곡의 음량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 주기에 따라 상기 재생 또는 편집되는 악곡을 나타내는 악곡 시퀀스 데이터 중 해당 악곡의 템포를 나타내는 템포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 진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재생 또는 편집되는 악곡을 나타내는 악곡 시퀀스 데이터 중 악곡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 주기는 상기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 진폭의 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진동 진폭의 최하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동 주기는 진동 진폭의 최상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와 최하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와의 차분에 근거하여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진동 진폭에 응해서 음량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6.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악곡 편집시에 변경된 상기 악곡 시퀀스 데이터를 새로운 악곡 시퀀스 데이터로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 주기는 본체의 진동폭의 크기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 주기의 검출이 상기 진동폭의 최하 위치에 달하는 시간 간격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본체의 진동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재생 또는 편집되는 악곡을 나타내는 악곡 시퀀스 데이터 중 악곡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10.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진동 주기의 검출이 진동폭의 최상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와 최하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의 차분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곡의 음량은 진동폭의 최상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와 최하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의 차분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재생 방법.
KR1020060059384A 2001-09-28 2006-06-29 악곡 재생 방법 및 휴대 기기 KR100709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99584A JP3659206B2 (ja) 2001-09-28 2001-09-28 楽曲再生方法及び携帯電話装置
JPJP-P-2001-00299584 2001-09-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202A Division KR20030028377A (ko) 2001-09-28 2002-09-25 악곡 재생 방법 및 휴대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952A true KR20060083952A (ko) 2006-07-21
KR100709119B1 KR100709119B1 (ko) 2007-04-18

Family

ID=191203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202A KR20030028377A (ko) 2001-09-28 2002-09-25 악곡 재생 방법 및 휴대 기기
KR1020060059384A KR100709119B1 (ko) 2001-09-28 2006-06-29 악곡 재생 방법 및 휴대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202A KR20030028377A (ko) 2001-09-28 2002-09-25 악곡 재생 방법 및 휴대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59206B2 (ko)
KR (2) KR20030028377A (ko)
TW (1) TW5695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8182A (ja) * 2005-05-12 2006-11-24 Sharp Corp 音声検索装置、音声検索方法、音声再生方法および携帯再生装置、並びに、楽曲検索装置、楽曲検索方法、楽曲再生方法
JP4591391B2 (ja) * 2006-03-27 2010-12-01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4973983B2 (ja) * 2007-02-14 2012-07-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自動演奏装置および自動演奏処理プログラム
JP5327865B2 (ja) * 2009-09-10 2013-10-30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59519B1 (ko) 2010-02-19 2013-05-06 모빌토크(주) 지휘로봇을 이용한 동영상 제어장치 및 방법
CN106445158A (zh) * 2016-09-30 2017-02-22 四川九洲电器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560Y1 (ko) * 1999-09-13 2000-03-15 양봉철 자동차 앞유리 차양장치
JP3593938B2 (ja) * 1999-12-28 2004-11-24 ヤマハ株式会社 テンポ設定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59206B2 (ja) 2005-06-15
TW569593B (en) 2004-01-01
JP2003108130A (ja) 2003-04-11
KR100709119B1 (ko) 2007-04-18
KR20030028377A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119B1 (ko) 악곡 재생 방법 및 휴대 기기
US2008028064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multimedia content in response to simultaneous inputs from related portable devices
US847167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nger movement based musical tone gener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067816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616090B (zh) 多音轨序列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346044B (zh) 音频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3584927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該携帯情報端末において実行されるゲームソフトによる制御方法
JPH11242490A (ja) 鳴動メロディ用の音楽生成データを供給するカラオケ演奏装置
JP4147840B2 (ja) 携帯電話装置
JP3778044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33312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34002A (ja) 携帯端末装置
KR100397307B1 (ko) 휴대용 전화기와 함께 사용하는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데이터 처리 방법
US7937115B2 (en) Method for developing a personalized musical ring-tone for a mobile telephone based upon characters and length of a full name of a user
JP3508751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772895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該携帯情報端末において実行されるゲームソフトによる制御方法
JP4148355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6084515A (ja) 音楽再生装置
KR20060050071A (ko)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및 휴대 정보 단말기
EP1583335A1 (en) Rhythm detection i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s
JP3882601B2 (ja) 携帯電話装置
JP3843856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248317Y1 (ko) 휴대폰을 이용한 가요반주장치
JP4337714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066643B2 (ja) 方位検出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