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881A - 강한 색채 플롭을 갖는 효과 안료 - Google Patents

강한 색채 플롭을 갖는 효과 안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881A
KR20060083881A KR1020060004304A KR20060004304A KR20060083881A KR 20060083881 A KR20060083881 A KR 20060083881A KR 1020060004304 A KR1020060004304 A KR 1020060004304A KR 20060004304 A KR20060004304 A KR 20060004304A KR 20060083881 A KR20060083881 A KR 20060083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pigment
sio
coating
metal oxide
laye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저하드 파프
코넬리아 포얼더러
도린 바테
요한 디에츠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8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1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core coated with only one layer having a high or low refractive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3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a* (red-green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4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b* (yellow-blue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04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mprising at least one inorganic oxide, e.g. Al2O3, TiO2 or SiO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3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e or layers thereon or by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nal pigment particle
    • C09C2200/301Thickness of the c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3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e or layers thereon or by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nal pigment particle
    • C09C2200/302Thickness of a layer with high refractiv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3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e or layers thereon or by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nal pigment particle
    • C09C2200/306Thickness of an absorb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20/00Methods of preparing the interference pigments
    • C09C2220/10Wet methods, e.g. co-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20/00Methods of preparing the interference pigments
    • C09C2220/20PVD, CVD methods or coating in a gas-phase using a fluidized b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금속 산화물 코팅된 SiO2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색채 플롭(flop)을 갖는 효과 안료에 관한 것으로, 이때 색채 플롭은 a,b 색채 좌표 시스템(CIELAB L,a,b 시스템)의 4분면 중 모든 4개의 분면에 걸쳐 진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SiO2 플레이크를 금속 산화물로 코팅시키는, 상기 안료의 제조방법, 및 화장품, 페인트, 코팅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의, 안전 인쇄에서의, 증권 및 신용 어음에서 안전 특징으로서의, 시드(seed) 착색용으로서의, 식품 착색용으로서의, 약제 코팅제로서의 또는 안료 조성물 및 건조 제제의 제조용으로서의, 상기 안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한 색채 플롭을 갖는 효과 안료{EFFECT PIGMENTS HAVING A STRONG COLOUR FLO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와 종래 기술에 따른 효과 안료의 a,b 색채 시스템에서의 색채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금속 산화물 코팅된 SiO2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색채 플롭(flop)을 갖는 효과 안료에 관한 것으로, 이때 색채 플롭은 a,b 색채 좌표 시스템(CIELAB L,a,b 시스템)의 4분면 중 모든 4개의 분면에 걸쳐 진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SiO2 플레이크를 금속 산화물로 코팅시키는, 상기 안료의 제조방법, 및 화장품, 페인트, 코팅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의, 안전 인쇄에서의, 증권 및 신용 어음에서 안전 특징으로서의, 시드(seed) 착색용으로서의, 식품 착색용으로서의, 약제 코팅제로서의 또는 안료 조성물 및 건조 제제의 제조용으로서의, 상기 안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광택 또는 효과 안료의 사용은 일반적이다. 이러한 유형의 안료는 자동차 페인트, 모든 유형의 장식용 코팅 및 플라스틱의 착색, 페인트 및 인쇄 잉크, 특히 안정 인쇄용 잉크, 및 장식용 화장품의 적용에서 필수적이다. 이들을 둘러싸는 매트릭스에서, 이러한 안료는 실제로 자체적으로 코팅 표면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입사광의 간섭, 반사 및 흡수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이들의 광학 작용을 나타낸다. 밝은 색채, 일명 "색채 플롭"이라고 불리는 시야각에 따른 상이한 색채간의 변화, 또는 다양한 복굴절률 각인은 다양한 적용에 있어 중요하다.
이러한 유형의 안료는 일반적으로 플레이크형의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 기판을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층으로 코팅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대부분의 이러한 안료는 금속 또는 천연 엽상 규산염, 예컨대 운모, 활석 또는 유리를 포함하는 플레이크형 기판을 기재로 한다.
엽상 규산염은 특히 기판의 두께가 광범위하게 변화되어 특별히 고정될 수 없으며, 심지어 투명성 기판의 경우에도 기판에 광투과 및 반사가 실질적으로 조절불가능한 방식으로 일어나는 결과를 초래하여, 특별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 93/08237 호는 벨트 기술을 사용하여 비교적 적은 층 두께 변화를 갖는 SiO2 플레이크 기재의 효과 안료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였다. 여기에 개시된 SiO2 플레이크의 두께는 대개 200nm 내지 2㎛이다.
지금까지 개시된 안료는 수득하고자 하는 모든 목적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므로, 매우 광범위한 적용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고 신규하고 중요한 색채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한 안료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강한 색채 플롭을 나타내는 효과 안료의 중요성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시야각의 작용으로서 다양한 색채간의 변화는 일상 제품의 장식적 고안에서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규한 색채 변화를 갖는 안료에 대한 계속적인 요구가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개시된 색채 플롭 안료는 단지 인접 색채 영역에서만 색채 변화를 나타낸다. 색채를 포괄하는 색채 변화를 갖는 효과 안료는 아직 공지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는 효과 안료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광학 성질, 구체적으로 강한 색채 플롭을 가짐으로써 매우 광범위한 적용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효과 안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안료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금속 산화물 코팅된 SiO2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색채 플롭을 갖 는 효과 안료로서, 색채 플롭이 a,b 색채 좌표 시스템(CIELAB L,a,b 시스템)의 4분면 중 모든 4개의 분면에 걸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의 색채 성질의 평가는 CIELAB L,a,b 시스템으로서도 공지된 a,b 색채 좌표 시스템에 따라 본 발명에서 수행된다. CIEL*a*b* 색채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으며, 매우 널리 보급된 색채 시스템이다. CIELAB 모델에서, 동일한 광도의 모든 색조는 a 및 b 축이 서로 수직으로 위치하는 환형의 평평한 평면에 달려 있다. 따라서, 평면은 a 및 b 축에 의해 4분면으로 분리된다. 양의 a 값은 적색을 띠고, 음의 a 값은 녹색을 띠고, 양의 b 값은 황색을 띠고, 음의 b 값은 청색을 띤다. 색채가 CIELAB로 정의될 경우, a는 적색/녹색 값을 나타내고, b는 황색/청색 값을 나타낸다. 높은 포화를 갖는 순수한 색조는 색채 디스크의 주변에 달려 있다. 포화는 제로(비색채화, 회색)인 축에 대해 내부로의 이동에 의해 저하된다. 보색은 서로 반대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SiO2 플레이크를 금속 산화물로 코팅하는, 상기 안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a,b 색채 좌표 시스템의 4분면 중 모든 4개의 분면에 걸쳐 진행되는, 지금까지 달성하지 못한 색채 변화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신규한 효과 안료의 단서는 고안자가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모든 적용 구역의 고안으로 특정한 색채 효과를 도입할 수 있게 한다. SiO2에 대해 선택된 층 두께 및 여기에 도포된 금속 산화물에 따라, 색채 곡선은 상이한 색채에서 개시되거나 또는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로서 산화철을 사용할 때 이러한 물질의 흡수성은, 상이한 시야각에서 볼 때 흡수 및 간섭의 추가의 최고위치 및 보다 큰 은폐력에 의해 특정화되는 색채 곡선이 관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의 잇점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투명성 내지 반투명성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이는 색채의 각 의존도를 사용하여 적용 시스템의 특정한 색채성을 특별히 설정하는 것에 있어서, 기타 투명성 뿐만 아니라 반투명성 안료의 혼합물에 대에 특히 광범위한 범위를 허용한다. 안료 입자의 낮은 전체 두께는 코팅 시스템의 요건을 비롯한 모든 적용에 대해 이들을 적합하도록 한다.
유리한 성질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많은 광범위한 적용에 대해 널리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화장품, 페인트, 코팅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의, 안전 인쇄에서의, 증권 및 신용 어음에서 안전 특징으로서의, 시드 착색용으로서의, 식품 착색용으로서의, 약제 코팅제로서의 또는 안료 조성물 및 건조 제제의 제조용으로서의, 상기 효과 안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는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합성 SiO2 플레이크를 기재로 하며, 바람직하게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 93/08237 호에 따라 연속 벨트상에서 수-유리 용액의 고형화 및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균일한 층 두께"라는 용어는 입자의 전체 건조 층 두께의 3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의 층 두께 오차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플레이크형 이산화규소 입자는 일반적 으로 비결정형이다. 이러한 유형의 합성 플레이크는 천연 물질, 예컨대 운모에 비해, 층 두께가 목적 효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층 두께 오차가 제한적이라는 잇점을 갖는다. 이러한 잇점은 층 두께 분포에서 약간 큰 편차가 색채 플롭 곡선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에도 a,b 색채 좌표 시스템의 4분면 중 모든 4개의 분면에 걸쳐 색채 플롭을 관찰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므로 목적하는 색채 플롭에 있어 필수적이다.
SiO2의 플레이크의 직경은 대개 1 내지 250㎛, 바람직하게 2 내지 100㎛이다. 이들의 두께는 520 내지 560nm, 바람직하게는 530 내지 550nm이다. 플레이크형 SiO2 플레이크의 평균 횡단비, 즉 평균 두께 측정 값에 대한 평균 길이 측정 값(본원에서는 평균 직경과 일치함)의 비는 대개 5 내지 200, 바람직하게 20 내지 150, 특히 바람직하게 30 내지 12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에서 상기 SiO2 플레이크는 금속 산화물 층, 예컨대 이산화티탄, 산화철, 산화지르코늄, 예를 들어 티탄의 아산화물, 및/또는 상기 물질의 혼합물로 코팅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의 금속 산화물의 용도를 배제하지 않는다. 금속 산화물은 특히 바람직하게 산화철 및/또는 이산화티탄이다. 본원에서 산화철은 바람직하게 적철광(α-Fe2O3) 형태로 존재하고, 이산화티탄은 바람직하게 금홍석 변형으로 존재한다. 금속 산화물 층의 두께는 15 내지 40nm, 바람직하게 20 내지 35nm이다. 금속 산화물 및 층 두께의 적합한 선택을 통해, 색채 곡선의 개시점 및 종료점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또한 외부 층으로서 추가의 안정성 유기 코팅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제의 예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0 632 109 호, 미국 특허 제 5,759,255 호, 독일 특허 43 17 019 호, 제 39 29 423 호, 제 32 35 017 호, 유럽 특허 제 0 492 223 호, 제 0 342 533 호, 제 0 268 918 호, 제 0 141 174 호, 제 0 764 191 호,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 98/13426 호 또는 유럽 특허 제 0 465 805 호에 정의되어 있으며, 이의 기술내용은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한다. 전술된 광학 성질 이외에 추가로 예를 들어 유기실레인 또는 유기티타네이트의 유기 코팅제를 포함하는 효과 안료는 산업적 코팅제 및 자동차 분야에서 특히 중요한 기후적 영향, 예컨대 습기 및 광에 대해 증가된 안정성을 나타낸다. 안정성은 추가의 코팅제의 무기 성분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추가의 안정성 코팅제에 대한 각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의 광학 성질이 유의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균일한 두께를 갖는 SiO2 플레이크를 금속 산화물로 코팅하는, 상기 안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코팅은 습윤 화학 방법 및/또는 CVD 또는 PVD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효과 안료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바람직하게 진주광택 안료의 제조에 대해 개발된, 공지된 습윤 화학 코팅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습윤 화학 공정이며, 이는 다음과 같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제 14 67 468 호, 제 19 59 988 호, 제 20 09 566 호, 제 22 14 545 호, 제 22 15 191 호, 제 22 44 298 호, 제 23 13 331 호, 제 25 22 572 호, 제 31 37 808 호, 제 31 37 809 호, 제 31 51 343 호, 제 31 51 354 호, 제 31 51 355 호, 제 32 11 602 호 및 제 32 35 017 호.
코팅을 위해 SiO2 플레이크는 수중에 현탁되고, 산 또는 염기의 동시적인 첨가에 의해 설정되고 계속 유지되는 각 금속 산화물의 침전에 필요한 pH를 갖는 상응하는 무기 금속 화합물의 첨가 및 침전에 의해 금속 산화물로 코팅되고, 이어서 코팅된 SiO2 플레이크는 수성 현탁액으로부터 분리 제거되고, 건조되고, 선택적으로 하소된다.
본원에서 하소 온도는 각 경우 존재하는 코팅제에 따라 적정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소 온도는 250 내지 1000℃, 특히 350 내지 900℃이다.
층이 TiO2를 포함할 경우, 이러한 층은 바람직하게 미국 특허 제 3,553,001 호에 개시된 공정을 사용하여 도포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무기 티탄 염의 수용액은 약 50 내지 100℃, 특히 70 내지 80℃로 가열된 SiO2 플레이크의 현탁액에 천천히 가해지며, pH는 염기의 동시적인 계량된 첨가에 의해 실질적으로 0.5 내지 5, 특히 약 1.5 내지 2.5를 유지한다. 목적하는 TiO2 수소화산화물의 층 두께가 도달되면, 티탄염 용액 및 염기의 첨가를 바로 중지한다. 이러한 공정 또한 적정 공정으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과다한 티탄 염이 존재하지 않으나, 항상 수소화 TiO2로 균일한 코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양으로만 대체되고 코팅될 SiO2 플레이크의 표면이 시간 단위당 제공될 때까지 처리될 수도 있다는 특정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용액은 수소화된 이산화티탄 입자를 포함하지 않으며, 코팅될 표면상에 침착되지 않는다.
대체로, CVD 또는 PVD 코팅 공정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의 제조에 적합하다. 모든 표면의 균질한 코팅이 보장되도록 증착 공정 동안 균일한 작용으로 유지될 SiO2 플레이크에 대해 필수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유기 코팅제는 외부 층으로서 추가로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코팅 공정의 예는 특히, 유럽 특허 제 0 632 109 호, 미국 특허 제 5,759,255 호, 독일 특허 제 43 17 019 호, 제 39 29 423 호, 제 32 35 017 호, 유럽 특허 제 0 492 223 호, 제 0 342 533 호, 제 0 268 918 호, 제 0 141 174 호, 제 0 764 191 호,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 98/13426 호 또는 제 0 465 805 호에 개시되어 있다. 유기 코팅제의 예 및 이와 관련된 잇점은 본 발명에 따른 안료의 구성하에서 이미 전술되었다. 유기 코팅제 도포의 공정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기타 단계 후에 바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기질은 단지 전체로서 안료 중에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의 비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다양한 적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화장품, 페인트, 코팅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의, 안전 인쇄에서의, 증권 및 신용 어음에서 안전 특징으로서의, 시드 착색용으로서의, 식품 착색용으로서의, 약제 코팅제로서의 또는 안료 조성물 및 건조 제제의 제조용으로서의, 안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장식용 화장품의 산물 및 제형, 예컨대 손톱 메니큐어, 착상 분말, 립스틱 또는 아이새도우, 비누, 치약 등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물론 화장품 원재 및 모든 유형의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형으로 혼합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오일, 지방, 왁스, 필름 형성제, 보존제 및 일반적으로 도포성을 결정하는 보조제, 예컨대 농후제 및 유동학적 첨가제, 예컨대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이산화규소, Ca 실리케이트, 젤라틴, 고분자량 카보하이드레이트 및/또는 표면 활성 보조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를 포함하는 제형은 친유성, 친수성 또는 소수성 유형일 수 있다. 불연속 수성상 및 비수성상을 갖는 이종 제형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입자는 두 개의 상중 단지 하나에 존재하거나 또는 택일적으로 모든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수성 제형의 pH 값은 1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1,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이다. 제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의 농도는 비제한적이다. 이들은 -적용에 따라- 0.001(세정 산물, 예를 들어 샤워 젤) 내지 99%(예를 들어 특정한 적용에 대한 광택 효과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또한 화장품 활성 성분과 혼합될 수도 있다. 적합한 활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방충제, UV A/BC 보호 여과제(예를 들어 OMC, B3, MBC), 노화 방지 활성 성분, 바이타민 및 이의 유도체(예를 들어 바이타민 A, C, E 등), 자가 태닝(tanning)제(예를 들어 특히 DHA, 에리트룰로즈) 및 추가의 화장품 활성 성분, 예컨대 바이사볼롤, LPO, 엑토인, 엠블리카, 알란토인,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및 이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페인트 및 코팅제에서 효과 안료의 사용시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도포의 모든 영역, 예를 들어 분말 코팅, 자동차 페인트, 그라비어, 오프셋(offset), 스크린 또는 플렉소그래픽(flexographic) 인쇄용 인쇄 인크 및 외부문 도포에서의 코팅이 가능하다. 본원에서 페인트 및 코팅은 예를 들어 방사 경화, 물리적 건조 또는 화학적 경화일 수 있다. 인쇄 잉크 또는 액체 코팅제의 제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폴리유레테인, 니트로셀룰로즈, 에틸셀룰로즈, 폴리아마이드, 폴리바이닐 부티레이트, 페놀 수지, 말레 수지, 전분 또는 폴리바이닐 알콜, 아미노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바이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 특히 수용성 등급을 기재로 하는 다양한 결합제가 적합하다. 코팅제는 분말 코팅제 또는 수- 또는 용매 기재 코팅제일 수 있으며, 코팅제 성분의 선택은 당분야의 숙련가의 일반적인 지식에 따라 수행된다. 분말 코팅제에 대해 일반적인 중합체성 결합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에폭사이드, 폴리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필름, 플라스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농업 시팅(sheeting), 적외선 반사 필름 및 시트, 기프트(gift) 호일, 플라스틱 용기 및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모든 도포에 대한 주형에 사 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의 도입을 위한 적합한 가소성은 모든 일반적인 가소성, 예를 들어 열고정 또는 열가소성이다. 가능한 도포 및 적합한 가소성, 공정 방법 및 첨가제에 대한 설명은, 예를 들어 그의 기술내용을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하는 RD 472005 및 문헌[R. Glausch, M. Kieser, R. Maisch, G. Pfaff, J. Weitzel, Perlglanzpigmente[Pearlescent Pigments], Curt R. Vincentz Verlag, 1996, 83ff.]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예를 들어 위조 방지 카드 및 신용 어음, 예컨대 입장표, 개인 신용카드, 화폐, 수표 및 수표 카드용 및 기타 위조 방지 증권용으로 안전 인쇄 및 안전 관련 특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색채는 a,b 색채 좌표 시스템의 4분면 중 모든 4개의 분면에 걸쳐 진행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안료는 명료하게 탐색가능하고 기타 색채 플롭 안료와 구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안료 또는 안료들이 유가 제품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직접적인 가시적 비교로서, 유가 제품을 위조하기 위해 효과 안료를 사용하는 모방이 보다 힘들도록 한다. 농업 영역에서, 효과 안료는 시드 착색 및 기타 출발 물질의 착색, 추가로 식품을 도색하기 위한 식품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또한 약제, 예컨대 정제 및 당의정의 코팅제를 도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도포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또한 유기 염료 및/또는 안료, 예컨대 투명성 및 불투명성 백색 안료, 착색된 흑색 안료와의 혼합물 및 플레이크형 산화철, 유기 안료, 홀로그래픽 안료, LCP(액정 중합체) 및 운모, 유리, Al2O3, Fe2O3, SiO2 등을 기재로 하는 금속 산화물 코팅된 플레이크 기재의 통상적인 투명성 착색된 흑색 광택 안료와의 혼합물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안료 및 충진제와 임의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충진제로는 예를 들어 천연 및 합성 운모, 나일론 분말, 수수 또는 충진된 멜라민 수지, 활석, 유리, 카올린, 또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칼슘, 아연, BiOCl, 바륨 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탄소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및 이들 성분의 물리적 및 화학적 조합을 들 수 있다. 충진제의 입자 형태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다. 플레이크형, 구형 또는 침지형, 예를 들어 목적에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안료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입자, 결합제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유동성 안료 조성물 및 건조 제제의 제조에 적합하다. "건조 제제"란 용어는 또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의 0 내지 8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중량%, 특히 3 내지 6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제제를 의미한다. 건조 제제는 바람직하게 펠렛, 과립, 칩, 소시지 또는 연탄의 형태일 수 있고, 0.2 내지 80mm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건조 제제는 특히 인쇄 잉크 제제 및 화장품 제형에 사용된다.
전술된 모든 특허출원, 특허 및 공개의 모든 기술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도입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Fe 2 O 3 /SiO 2 안료
100g의 SiO2 플레이크(540nm의 두께)를 2L의 탈염수 중에서 75℃로 가열하였다. 172ml의 FeO3 용액(20% Fe2O3과 상응함)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수산화나트륨 용액(30%)을 첨가함으로써 반응 혼합물의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FeO3 용액을 첨가한 후, 수산화나트륨 용액(32%)을 사용하여 pH를 5로 상승시켰다.
산물을 여과 제거하고 탈염수로 세정하였다. 110℃에서 건조시킨 후, 산물을 800℃에서 하소시켰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안료는 90 내지 180 정도의 페인트 카드의 포장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색채 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공정에서는 a,b 색채 시스템의 4분면 중 모든 4개의 분면을 통과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료는 모든 주변 플롭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 93/08237 호에 따른 Fe 2 O 3 /SiO 2 안료
100g의 SiO2 플레이크(445nm의 두께)를 1L의 탈염수 중에서 75℃로 가열하였다. 237ml의 FeO3 용액(27.5% Fe2O3과 상응함)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수산화나트륨 용액(30%)을 첨가함으로써 반응 혼합물의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FeO3 용액을 첨가한 후, 수산화나트륨 용액(30%)을 사용하여 pH를 5로 상승시켰다. 산물 을 여과 제거하고 탈염수로 세정하였다. 110℃에서 건조시킨 후, 산물을 800℃에서 하소시켰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안료는 90 내지 180 정도의 페인트 카드의 포장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색채 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공정에서는 a,b 색채 시스템의 4분면 중 단지 2개의 분면만을 통과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금속 산화물 코팅된 SiO2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색채 플롭을 갖는 효과 안료는 화장품, 페인트, 코팅제, 플라스틱, 필름, 안전 인쇄, 증권 및 신용 어음에서 안전 특징, 시드 착색, 식품 착색, 약제 코팅제 또는 안료 조성물 및 건조 제제 제조에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Claims (14)

  1.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금속 산화물 코팅된 SiO2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색채 플롭(flop)을 갖는 효과 안료로서, 색채 플롭이 a,b 색채 좌표 시스템(CIELAB L,a,b 시스템)의 4분면 중 모든 4개의 분면에 걸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
  2. 제 1 항에 있어서,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SiO2 플레이크의 층 두께 오차가 입자의 전체 건조 층 두께의 3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SiO2 플레이크의 두께가 520 내지 56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iO2 플레이크의 직경이 1 내지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이 산화철 및/또는 이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산화철이 적철광(α-Fe2O3) 형태로 존재하고, 이산화티탄이 금홍석 변형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 층의 두께가 15 내지 4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코팅제가 효과 안료에 추가적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
  9. 균일한 층 두께를 갖는 SiO2 플레이크를,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따른 효과 안료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SiO2 플레이크가 520 내지 560n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코팅을 층 두께가 15 내지 40nm이 되도록 수행하는 제조방 법.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코팅을 습윤 화학 방법 및/또는 CVD 또는 PVD 공정에 의해 수행하는 제조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이 산화철 및/또는 이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화장품, 페인트, 코팅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의, 안전 인쇄에서의, 증권 및 신용 어음에서 안전 특징으로서의, 시드(seed) 착색용으로서의, 식품 착색용으로서의, 약제 코팅제로서의, 또는 안료 조성물 및 건조 제제의 제조용으로서의, 제 1 항에 따른 효과 안료의 용도.
KR1020060004304A 2005-01-17 2006-01-16 강한 색채 플롭을 갖는 효과 안료 KR200600838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1997.8 2005-01-17
DE102005001997A DE102005001997A1 (de) 2005-01-17 2005-01-17 Effektpigmente mit starkem Farbto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881A true KR20060083881A (ko) 2006-07-21

Family

ID=3646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304A KR20060083881A (ko) 2005-01-17 2006-01-16 강한 색채 플롭을 갖는 효과 안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69223B1 (ko)
EP (1) EP1683839B1 (ko)
JP (1) JP2006199959A (ko)
KR (1) KR20060083881A (ko)
CN (1) CN1807521A (ko)
DE (1) DE102005001997A1 (ko)
TW (1) TW2006410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3715B2 (en) * 2005-06-07 2011-10-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per and paper laminates containing modified titanium dioxide
DE102005055576A1 (de) * 2005-11-18 2007-05-24 Merck Patent Gmbh Rotes Effektpigment und dessen Verwendung in der Kosmetik und im Lebensmittel- und Pharmabereich
US20090115060A1 (en) * 2007-11-01 2009-05-07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DE102007062945A1 (de) 2007-12-21 2009-06-25 Rehau Ag + Co. Karosserie-Kunststoff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dessen Verwendung
DE102009029763A1 (de) 2009-06-18 2010-12-23 Rehau Ag + Co. Karosserie-Kunststoff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CN103261333B (zh) * 2010-12-21 2015-01-14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有色的可磁化安全元件
US9168394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320687B2 (en) 2013-03-13 2016-04-2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209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393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CN103937334B (zh) * 2014-04-18 2016-04-13 中国电建集团上海能源装备有限公司 焊条印字颜料及其制备方法
CN106018294B (zh) * 2016-06-22 2019-07-26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检测纳米二氧化钛随角异色性能的方法
CA3070125A1 (en) 2017-07-25 2019-01-31 Magnomer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gnetizable plastics
EP3524647A1 (en) 2018-02-12 2019-08-14 Hubergroup Italia Ink layer sequence with colour flop effect without containing interference pigment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5722C (ko) 1961-06-28
US3553001A (en) 1969-01-02 1971-01-05 Merck Ag E Process for coating titanium dioxide on solid materials
BE759469A (fr) 1969-11-29 1971-05-26 Merck Patent Gmbh Pigment a brillant nacre et leurs procedes de
DE2009566C2 (de) 1970-02-28 1972-06-15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itandioxid- bzw. Titandioxidaquatüberzügen
CA964403A (en) 1971-03-26 1975-03-18 Howard R. Linton Nacreous pigments of improved luster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CA957108A (en) 1971-03-30 1974-11-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igments treated with methacrylatochromic chloride for improved humidity resistance
US4038099A (en) * 1971-08-30 1977-07-26 The Mearl Corporation Rutile-coated mica nacreous pigmen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DE2244298C3 (de) 1972-09-09 1975-06-19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2313331C2 (de) 1973-03-17 1986-11-1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Eisenoxidhaltige Glimmerschuppenpigmente
DE2522572C2 (de) 1975-05-22 1982-06-0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Rutilhaltige Perlglanzpigmente
DE3137809A1 (de) 1981-09-23 1983-03-31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137808A1 (de) 1981-09-23 1983-03-31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mit verbesserter lichtechtheit,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151343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mit verbesserter lichtbestaendigkeit,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151354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151355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mit verbesserter lichtbestaendigkeit,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211602A1 (de) 1982-03-30 1983-10-1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rlglanzpigmenten mit verbesserten glanzeigenschaften
DE3235017A1 (de) 1982-09-22 1984-03-22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DE3334598A1 (de) 1983-09-24 1985-04-18 Merck Patent Gmbh Witterungsbestaendige perlglanzpigmente
JPH0643565B2 (ja) 1986-11-21 1994-06-08 メルク・ジヤパン株式会社 耐水性真珠光沢顔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H0819350B2 (ja) 1988-05-19 1996-02-28 メルク・ジヤパン株式会社 耐候性真珠光沢顔料およびその製造法
DE3929423A1 (de) 1989-09-05 1991-03-07 Merck Patent Gmbh Plaettchenfoermige, oberflaechenmodifizierte substrate
CA2042155A1 (en) 1990-05-29 1991-11-30 Clint W. Carpenter Surface-modified micaceous particulates having improved dispersibility in aqueous media
DE4041663A1 (de) 1990-12-22 1992-06-25 Merck Patent Gmbh Silanisierte pigmente und deren verwendung zu vergilbungsinhibierung von pigmentierten kunststoffen
RU2146687C1 (ru) 1991-10-18 2000-03-20 Мерк Патент Гмбх Окрашивающий слоистый пигмент с покрытием,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лоистого пигмента
DE4317019A1 (de) 1992-05-27 1993-12-02 Merck Patent Gmbh Oberflächenmodifizierte Perlglanzpigmente
DE4321005A1 (de) 1993-06-24 1995-01-05 Merck Patent Gmbh Perlglanzpigment für Wasserlacksysteme
JP3265111B2 (ja) * 1994-02-16 2002-03-1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紫外線防護化粧料
JP3577576B2 (ja) 1995-04-10 2004-10-13 メルク株式会社 表面処理剤、表面処理薄片状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DE19522267A1 (de) * 1995-06-20 1997-01-02 Merck Patent Gmbh Zinnhaltige Graupigmente
JPH0971417A (ja) * 1995-09-07 1997-03-18 Nippon Sheet Glass Co Ltd フレーク状粉体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US5759255A (en) 1996-02-07 1998-06-02 Engelhard Corporation Pearlescent pigment for exterior use
DE19639783A1 (de) 1996-09-27 1998-04-02 Merck Patent Gmbh Modifizierte Perlglanzpigmente für Wasserlacksysteme
DE19640188A1 (de) * 1996-09-30 1998-07-02 Basf Ag Schwitzwasserbeständige blaustichige Glanzpigmente
DE10137831A1 (de) * 2001-08-02 2003-02-13 Merck Patent Gmbh Mehrschichtige Interferenzpigmente
DE10313978A1 (de) * 2003-03-27 2004-10-07 Merck Patent Gmbh Silberpig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99959A (ja) 2006-08-03
US7169223B1 (en) 2007-01-30
DE102005001997A1 (de) 2006-07-20
EP1683839A2 (de) 2006-07-26
CN1807521A (zh) 2006-07-26
TW200641067A (en) 2006-12-01
EP1683839A3 (de) 2010-11-24
EP1683839B1 (de)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172B1 (ko) 강한 색채의 적색 효과 안료
US7169223B1 (en) Effect pigments having a strong color flop
US20060027140A1 (en) Multilayered interference pigments
KR102195249B1 (ko) 안료
US8007583B2 (en) Multi-layer effect pigment
US7255736B2 (en) Effect pigments based on thin SiO2 flakes
JP5409983B2 (ja) 干渉顔料
US7396401B2 (en) Effect pigments of uniform shape and size
CA2598469C (en) Transparent goniochromatic multilayer effect pigment
US20060032404A1 (en) Mixture of interference pigments
US20110113984A1 (en) Transparent Goniochromatic Multilayer Effect Pigment
JP2003155423A (ja) 多層干渉顔料、その調製方法、その使用ならびに該顔料を含有する部材
US7708823B2 (en) Semi-transparent interference pigments containing tin
DE10313978A1 (de) Silberpigment
US20080207772A1 (en) Mixture of Interference Pigments
CN111019394A (zh) 效果颜料
DE102004052544A1 (de) Interferenzpigm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