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086A -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086A
KR20060083086A KR1020050004011A KR20050004011A KR20060083086A KR 20060083086 A KR20060083086 A KR 20060083086A KR 1020050004011 A KR1020050004011 A KR 1020050004011A KR 20050004011 A KR20050004011 A KR 20050004011A KR 20060083086 A KR20060083086 A KR 20060083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cture
rotating member
screen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2374B1 (ko
Inventor
추지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3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21D1/773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under reduced pressure or vacu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찍는 방향에 상관없이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진화면이 항상 세로화면으로 보이도록 하는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와, 기울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단말기의 기울기만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찍힌 사진화면을 회전시켜 상기 사진화면의 하단이 단말기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항상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진화면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세로로 표시되므로써 단말기를 기울인 상태에서 찍은 화면을 재생상태에서 다시보기 위해 단말기를 다시 기울여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카메라, 사진, 세로, 중력, 기울기감지센서

Description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displaying picture lengthwis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감지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카메라를 90°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로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영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의 기울기감지센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진화면이 세로화면으로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통상적인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울기감지센서 20 : 회전부재
30 : 입력단자 40 : 출력단자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찍는 방향에 상관없이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진화면이 항상 세로화면으로 보이도록 하는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주식정보, 날씨정보, 실시간 뉴스 등과 같은 문자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최근에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크게 유행되고 있는데, 상기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전화통화와 인터넷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단말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일체로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는데, 도 6은 통상적인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01), 폴더(102), 상기 본체(101)와 폴더(10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장치(103) 및 상기 힌지장치(103)에 설치된 카메라(104)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104)모듈은 힌지장치(103)의 중심부에 고정 및 일정각도내에서 회동되게 축설되고, 상기 카메라모듈(104)의 회동을 조절하는 휠(105)은 카메라모듈(104)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기를 90°만큼 기울여서 가로화면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확인할 때 다시 단말기를 90°만큼 기울여야만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찍는 방향에 상관없이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진화면이 항상 세로화면으로 보이도록 하는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와, 기울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단말기의 기울기만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찍힌 사진화면을 회전시켜 상기 사진화면의 하단이 단말기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항상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울기감지센서는 일측이 단말기에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타측에는 무게추가 구비되어 단말기가 기울어짐에 따라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는 회전부 재와, 회전부재와 접촉되어 회전부재에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단자와,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입력된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다수의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단자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상관없이 회전부재에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력단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반경내에서 원호의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른 접촉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력단자는 90°의 원호각을 갖는 4개의 출력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감지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10)와, 감지된 기울기에 따라 단말기의 사진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기울기감지센서(10)는 회전부재(20), 입력단자(30) 및 출력단자(4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20)는 그 일측이 단말기에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타측에는 무게추(22)가 구비되어 단말기가 기울어짐에 따라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된다.
이때, 회전부재(20)는 입력단자(30) 및 출력단자(40)와 접촉될 때,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단자(30)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가 회전부재(20)의 하부와 접촉되며, 회전부재(20)의 회전에 상관없이 회전부재에 신호를 제공한다.
출력단자(40)는 회전부재의 회전반경내에서 90°의 원호각을 갖는 제1출력단자(42), 제2출력단자(44), 제3출력단자(46), 제4출력단자(48)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부재(20)의 회전에 따른 접촉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즉, 회전부재(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20)와 제1 내지 제4출력단자(42, 44, 46, 48)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회전부재(20)에 입력된 신호가 제1 내지 제4출력단자(42, 44, 46, 48)를 통해 제어부(미도시)에 제공된다.
제어부(미도시)는 기울기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단말기의 기울기만큼 카메라에 의해 찍힌 사진화면을 회전시켜 사진화면의 하단이 단말기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항상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도 3은 카메라를 90°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로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영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의 기울기감지센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진화면이 세로화면으로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90°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울기감지센서(10)의 회전부재(20)가 무게추(22)에 의해 90°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이에따라 제1출력단자(42)와 접촉상태였던 회전부재(20)가 제2출력단자(44)와 접촉하게되며, 제2출력단자(44)를 통해 제어부(미도시)에 신호가 제공된다.
이를통해 제어부(미도시)는 단말기가 90°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인 것을 감지하게 되고, 사용자는 카메라를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며, 이때의 사진화면은 가로화면으로 표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촬영된 사진화면의 하단이 중력방향을 향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사진화면을 회전시킨다.
이에따라, 가로화면으로 표시되는 사진화면은 세로화면으로 표시되고, 이로인해 발생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상단과 하단은 여백상태로 남겨둔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사체가 촬영되면 자동으로 사진화면이 중력방향을 향하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저장메뉴 또는 환경설정 등을 통해 수동으로 사진화면의 표시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 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찍는 방향에 상관없이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진화면이 항상 세로화면으로 보이도록 한다.
또한, 사진화면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세로로 표시되므로써 단말기를 기울인 상태에서 찍은 화면을 재생상태에서 다시보기 위해 단말기를 다시 기울여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5)

  1.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단말기의 기울기만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찍힌 사진화면을 회전시켜 상기 사진화면의 하단이 단말기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항상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감지센서는
    일측이 단말기에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타측에는 무게추가 구비되어 단말기가 기울어짐에 따라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되어 회전부재에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입력된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다수의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상관없이 회전부재에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반경내에서 원호의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른 접촉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는 90°의 원호각을 갖는 4개의 출력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사진을 세로화면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04011A 2005-01-15 2005-01-15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2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011A KR100672374B1 (ko) 2005-01-15 2005-01-15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011A KR100672374B1 (ko) 2005-01-15 2005-01-15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086A true KR20060083086A (ko) 2006-07-20
KR100672374B1 KR100672374B1 (ko) 2007-01-24

Family

ID=3717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011A KR100672374B1 (ko) 2005-01-15 2005-01-15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3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04B1 (ko) * 2006-01-10 2007-05-29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20100125668A (ko) * 2009-05-21 201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9557A (ja) * 1994-10-31 1996-05-21 Toshiba Corp 携帯型電子読書装置
KR100470172B1 (ko) 2001-06-22 2005-02-04 주식회사 임팩트라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변환가능한 이동단말기
US7376883B2 (en) * 2003-10-27 2008-05-20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ng and short block length 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KR200353349Y1 (ko) 2004-03-24 2004-06-17 김상현 Lcd 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가로형 그래픽 모드와 세로형그래픽 모드로 전환하는 회전식 와이드 lcd가 장착된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117678A (ko) * 2004-06-11 2005-12-15 임영범 중력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 저장 방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04B1 (ko) * 2006-01-10 2007-05-29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20100125668A (ko) * 2009-05-21 201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374B1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7607B2 (ja) マルチパネル電子デバイスの画面サイズまたは画面解像度に基づくパラメータのサーバへの送信
JP3816839B2 (ja) ディスプレイ部を垂直及び水平に変換可能な移動端末機
JP5805503B2 (ja) 携帯端末、表示方向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向制御方法
JP2004240878A (ja) 携帯型電子機器、表示方向切り替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29570A1 (en) Shifted lens camera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7990694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74306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JP2005321516A (ja) 携帯機器
JP2008177819A (ja) 携帯端末装置
TW201516837A (zh) 圖像自適應調整系統及方法
WO2021104357A1 (zh) 电子设备和拍摄方法
US7372452B2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data in an upright direction regardless of rotation of screen and method therefore
JP4288134B2 (ja) 撮像装置
KR100672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A2827594C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JP4513695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54845B1 (ko) 회전식 전자앨범 장치
KR20060004427A (ko) 휴대폰 화면 자동 전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화면 자동전환 방법
JP2009094985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847158B2 (ja) 携帯電話装置
CN108924292B (zh) 终端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JP5623049B2 (ja) 携帯型光学装置
JP2003249986A (ja) 撮像および通信装置
KR100640076B1 (ko)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과장치
CN110602271A (zh) 电子装置及其显示屏的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