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329A -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 처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 처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329A
KR20060082329A KR1020050002867A KR20050002867A KR20060082329A KR 20060082329 A KR20060082329 A KR 20060082329A KR 1020050002867 A KR1020050002867 A KR 1020050002867A KR 20050002867 A KR20050002867 A KR 20050002867A KR 20060082329 A KR20060082329 A KR 20060082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ydrophilic treatment
treatment composition
polyvinyl alcoho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은
김동일
조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0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2329A/ko
Publication of KR20060082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3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친수처리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콜, 수분산성 실리카, 아크릴 수지, 경화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수처리 조성물은 열교환기 방열핀에 대해 우수한 초기 친수성, 친수 지속성, 피막 견고성 및 내오일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열교환기의 지속적인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 방열핀, 친수처리, 폴리비닐알콜, 수분산성 실리카, 아크릴 수지, 경화제, 커플링제

Description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 처리 조성물{HYDROPHILIC COATING COMPOSITION FOR RADIATION FIN OF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 방열핀에 대해 우수한 초기 친수성, 친수 지속성, 피막 견고성 및 내오일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열교환기의 지속적인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에어컨, 냉장고 또는 냉난방기 등에 증발기 및 응축기로 설치되며, 냉매의 순환 과정에서 열의 방출이나 흡수를 위해 외기와 열교환을 수행한다.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유입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로부터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액화시키며, 증발기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증발할 때의 흡수열로 외부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하여 냉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일반적으로 냉매가 흐르는 전열관과 이 전열관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적층되는 복수개의 핀으로 구성된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 튜브 및 핀을 갖는 열교환기의 대부분은 한정된 공간에서 우수한 방열 또는 냉각효과를 얻기 위해 방열부 및 냉각부의 면적을 최대한 크게 설계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핀과 핀의 간격이 극히 좁아지고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을 적게 하기 위해 핀 루버라고 불리는 칼집을 넣고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를 운전할 때 대기 중의 수분이 열교환기 표면에 응집되고, 물방울이 표면에 부착함으로 인해 핀 간극이 막혀 통풍저항의 증가 및 열교환율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렇게 응집된 물방울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부식을 유발하고 핀 표면에 백색 분말상의 산화 알루미늄이 생성되며, 열교환기의 표면이 젖은 상태가 지속되면 미생물이 번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친수제를 열교환기 방열핀에 코팅하며, 이 친수제가 핀에 물방울이 응축되었을 경우 물방울이 표면에 맺히지 않고 퍼지게 하여 열교환율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종래에는 친수제로 대부분 수용성 수지 또는 수분산성 수지와 콜로이달 실리카 또는 미립자상의 실리카를 병용하여 사용하였고, 실리카의 요철에 의해 친수성을 부여하여 왔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0-30069호 공보 등). 그러나, 이러한 친수제는 장시간 사용시 열화에 의해 수용성 수지가 손실되고 실리카의 미립자가 노출되어 친수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시에도 우수한 친수성을 지속적으로 지니는 열교환기용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폴리비닐알콜, 수분산성 실리카, 아크릴수지, 경화제 및 커플링제의 적절한 배합을 통하여 우수한 피막 견고성 및 내오일성을 확보하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우수한 친수성을 지속적으로 지니는 열교환기용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콜, 수분산성 실리카, 아크릴 수지, 경화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콜, 수분산성 실리카, 아크릴 수지, 경화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친수처리 조성물을 열교환기 방열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된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방열핀에 초기 친수성 뿐만 아니라, 친수지속성, 내오일성 및 피막 견고성을 부여하여 열교환기의 지속적인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비닐알콜, 수분산성 실리카, 아크릴수지, 경화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친수처리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의 중량비, 즉, [폴리비닐알콜 중량%]/[수분산성 실리카 중량%]는 0.5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이다. 이때, 중량비가 0.5 미만일 경우에는 코팅 피막의 견고성이 떨어지며, 중량비가 2 초과일 경우에는 실리카가 코팅 표면에 존재하지 못하고 폴리머에 의해 묻히게 됨으로써 충분한 친수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의 합계 함유량은 친수처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이다.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의 합계 함유량이 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친수 성능 유지가 어렵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30중량%를 초과하면 더 이상의 성능 향상 효과가 없어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친수처리 조성물은 또한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수지 10 내지 100중량부; 경화제 1 내지 50중량부; 및 커플링제 0.001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균일한 코팅막 형성 및 실리카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콜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1,000 내지 2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폴리비닐알콜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점도의 감소로 인해 실리카의 분산 안정성이 감소하고 분산 안정성 증가를 위해 점증제의 추가 사용을 필요로 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수평균 분자량이 200,000을 초과하면 최종 제품의 점도 증가로 인해 제조 및 코팅시 작업성이 불리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검화도가 8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검화도가 95% 이상인 완전 검화 폴리비닐알콜은 보다 우수한 내수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80% 미만의 부분검화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수성의 저하로 인해 장시간 사용시 피막 성분의 용출로 인해 친수성이 저하된다.
상기 수분산성 실리카는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피막의 물 접촉각을 저하시키는 성분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분산성 실리카로는 콜로이달(colloidal) 또는 퓸드(fumed) 실리카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단독 또는 혼합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 수분상성 실리카의 입자 크기는 0.007㎛ 내지 5㎛이다. 0.007㎛ 미만의 실리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친수성을 가질 수 없고, 5㎛초과의 실리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막의 견고성 저하 및 실리카 침강으로 인한 저장 안정성 저하가 나타난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내오일성의 증가 및 친수성 증가를 나타내기 위한 성분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 방열핀은 알루미늄에 친수코팅 도막을 입힌 후 가공 공정을 거쳐 열교환기로 제작된다. 이 가공 공정 중 가공오일을 사용하게 되는데 종전에 폴리비닐알콜과 실리카의 조합만으로 친수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러한 가공오일의 처리 후 친수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아크릴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오일에 의한 친수성의 감소를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친수성이 증가된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된다. 아크릴 수지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아크릴수지가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내오일성 및 친수성의 증가 효과가 떨어지며, 10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성능 효과를 가져오지 못해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수지로는 아크릴 수지의 카르복실기의 일부가 알카리성 화합물에 의해 중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크릴 수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알칼리성 화합물로 중화시켜 제조된다. 상기 불포화 모노머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인산, 푸말산 및 이타콘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며, 중화에 사용된 알카리성 화합물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카리성 금속화합물; 트리에탄올아민, 테트라메틸암모늄 염화물 등의 4급 암모늄 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는 10만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만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아크릴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이 10만을 초과하면 최종 제품의 점도 증가로 인해 제조 및 코팅시 작업성이 불리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경화제는, 폴리비닐알콜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경화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피막의 견고성 증가를 증대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경화제는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부로 사용된다. 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경화제로의 특성을 발휘하지 못해 피막의 견고성이 저하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에는 피막의 친수성 저하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화제로는 수분산이 가능한 수용성 경화제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요소수지, 페놀수지, 멜라민 수지 블록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는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다.
상기 커플링제는 고분자와 실리카의 화학적 결합을 통해 친수 지속성 및 내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커플링제는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된다. 0.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친수 지속성이 저하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에는 더 이상의 성능 향상을 가져오지 못해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플링제로는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티타늄 아세틸아세트산, 테트라 부틸 티타네이트. 테트라 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유기티탄산; 및 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포함하는 실란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친수제 조성물은 또한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친수처리 조성물은 물에 분산된 수분산 형태로 제조되어 적용된다. 상세하게는 물에 폴리비닐알콜을 넣고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폴리비닐알콜 을 완전 용해 시킨 후 수분산성 실리카와 커플링제를 투입하고 70 내지 90℃에서 2시간 교반한다. 이후 40 내지 60℃에서 경화제 및 아크릴수지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제조된 후 적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친수처리 조성물이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 열교환기 방열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이때, 도포된 친수처리 조성물의 도포 두께는 0.2㎛ 내지 4㎛,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인 것이 피막의 친수성, 친수 지속성, 내오일성 및 견고성에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처리 조성물을 열교환기 방열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고, 가열건조 공정을 거친 후 얻어지는 열교환기 방열핀은 우수한 피막 견고성, 내오일성, 친수성 및 친수지속성을 가짐으로써 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수처리 조성물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상기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 및 조성비에 따른 폴리비닐알콜, 수분산성 실리카, 아크릴수지, 커플링제, 경화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친수처리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물에 폴리비닐알콜을 넣은 후 85℃의 온도에서 폴리비닐알콜을 충분히 용해 시킨 후 실리카와 커플링제를 투입하고 80℃에서 2시간 교반한다. 이후 50℃에서 경화제 및 아크릴수지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친수처리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 에 나타난 조성 및 조성비에 따른 폴리비닐알콜, 수분산성 실리카, 아크릴 수지, 경화제, 커플링제, 폴리아크릴산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4의 친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함량(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폴리비닐알콜(1) 5 5 6 4 5 5 4 5
수분산성 실리카(2) 5 4 6 4 5 4 4 4
아크릴수지-1(3) 5 4 - - 0.5 - - 4
아크릴수지-2(4) - - 5 3 - - 3 -
폴리아크릴산(5) - - - - - 3 - -
커플링제(6) 0.5 0.3 0.5 0.3 0.3 0.5 0.3 -
경화제-1(7) 0.5 - 0.5 2 0.5 - 6 1
경화제-2(8) - 0.5 0.5 - - 0.5 - -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주) 폴리비닐알콜(1) : 검화도 98% 폴리비닐알콜, 수평균 분자량 76,000 수분산성 실리카(2) : 입자 크기 22nm, 콜로이달 실리카 아크릴수지-1(3) : NaOH 중화 아크릴 수지, ACD 440L(고제사제) 아크릴수지-2(4) : NH4OH 중화 아크릴수지, ACD HM (고제사제) 폴리아크릴산(5) : 시약급, WAKO사 커플링제(6) :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경화제-1(7) : 블록우레탄폴리머, NK ASSIST FU(NICCA사) 경화제-2(8) : 요소수지 M-80S (태양합성사제)

<실험예 1> 성능평가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처리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 방법에 따라 성능을 평가하였다. 상기 친수제 조성물들에 대한 성능평가 항목은 각각 초기 친수성, 친수지속성, 피막 견고성, 내오일성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전처리 과정)
시편(specimen)을 베이퍼오일(vapor oil)에 3분간 침적 후 7분간 상온 수직 방치하였다. 이 시편을 다시 220℃에서 1분 건조 후 상온에 1분간 방치하였다. 이 시편을 다시 증류수에 1분 침적 후 220℃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초기 친수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처리 조성물을 각각 알루미늄 표면에 바코터(No.4, 삼원계측기 상사제)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 후 220℃에서 20초간 가열 건조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들 각각에 대해 위의 전처리 과정을 1회 실시한 후 친수성을 측정하였다. 친수성 측정을 위해 친수 처리된 시편에 증류수 10㎕를 떨어뜨린 후 물퍼짐 지름을 측정하였다.
(친수지속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처리 조성물을 알루미늄 표면에 바코터(No.4)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 후 220℃에서 20초간 가열 건조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들 각각에 대해 위의 전처리 과정을 10회 반복 실시한 후 증류수 10㎕를 떨어뜨려 물퍼짐 지름을 측정하였다.
(피막 견고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처리 조성물을 각각 알루미늄 표면에 바코터(No.4)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 후 220℃에서 20초간 가열 건조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들 각각에 대해 물이 묻은 거즈를 이용하여 50회 문지른 후 피막의 벗겨짐을 관찰하였다.
(내오일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처리 조성물을 알루미늄 표면에 바코터(No.4)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 후 220℃에서 20초간 가열 건조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들 각각을 베이퍼오일(vapor oil)에 10분간 침적하고 200℃에서 25분간 건조 후 증류수 10㎕를 떨어뜨려 물퍼짐 지름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제 조성물에 대한 성능 평가 시험 결과를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초기 친수성, 친수 지속성 및 내오일성 평가기준]
◎ - 매우 양호: 물퍼짐 지름 15mm이상
○ - 양호: 물퍼짐 지름 12mm 내지 15mm
△ - 보통: 물퍼짐 지름 7mm 내지 12mm
× - 불량: 물퍼짐 지름 7mm 미만
[피막 견고성 평가기준]
◎ - 매우 양호: 피막의 벗겨짐이 전혀 없음
○ - 양호: 피막의 벗겨짐이 약간 발생
△ - 보통: 피막의 벗겨짐이 다소 발생
× - 불량: 피막의 벗겨짐이 현저하여 실용상 문제가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초기친수성 ×
친수지속성 × ×
피막견고성
내오일성 × ×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처리 조성물은 우수한 초기 친수성을 지니고 있고, 친수 지속성에 있어서도 10회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도 지속적으로 우수한 친수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처리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처리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피막 견고성, 친수지속성 및 내오일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수지의 함량이 10중량부 이하인 경우로서, 친수지속성 및 내오일성이 저조하였고, 상기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아크릴수지의 카르복실기의 일부가 알카리성 화합물에 의해 중화되지 않은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하여 친수지속성 및 내오일성이 저조하였으며, 상기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경화제의 함량이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 100중량부에 대해 50 중량부 이상으로 피막 견고성은 우수하나 친수성이 저하되었으며, 상기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커플링제를 함유하지 않아 친수지속성이 저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처리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친수처리 조성물에 비하여 초기 친수성, 친수지속성, 피막 견고성 및 내오일성의 모든 면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콜, 수분산성 실리카, 아크릴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친수처리 조성물은 열교환기 방열핀에 대해 우수한 초기 친수성, 친수 지속성, 피막 견고성 및 내오일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열교환기의 지속적인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폴리비닐알콜, 수분산성 실리카, 아크릴수지, 경화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수분산성 실리카의 중량비가 0.5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의 합계 함유량은 친수처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처리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콜과 수분산성 실리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수지 10 내지 100중량부;
    경화제 1 내지 50중량부; 및
    커플링제 0.001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1,000 내지 200,000의 수평균 분자 량 및 80% 이상의 검화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실리카는 콜로이달 실리카 및 퓸드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것으로, 0.007㎛ 내지 5㎛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알칼리성 화합물로 중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인산, 푸말산 및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화합물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칼슘을 포함하는 알카리성 금속화합물; 및 트리에탄올아민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염화물을 포함하는 4급 암모늄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10만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요소수지, 페놀수지, 멜라민 수지, 블록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티타늄 아세틸아세트산, 테트라 부틸 티타네이트. 테트라 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를 포함하는 유기티탄산; 및 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포함하는 실란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처리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친수처리 조성물이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 열교환기 방열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는 0.2㎛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50002867A 2005-01-12 2005-01-12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 처리 조성물 KR20060082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867A KR20060082329A (ko) 2005-01-12 2005-01-12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 처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867A KR20060082329A (ko) 2005-01-12 2005-01-12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 처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329A true KR20060082329A (ko) 2006-07-18

Family

ID=3717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867A KR20060082329A (ko) 2005-01-12 2005-01-12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 처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23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4118A (zh) * 2021-10-22 2023-04-2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涂层处理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4118A (zh) * 2021-10-22 2023-04-2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涂层处理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004118B (zh) * 2021-10-22 2023-09-2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涂层处理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4972B2 (ja) 水性親水性皮膜処理剤及びその処理剤を使用する熱交換器用プレコートフィン材の製造方法
WO2011037137A1 (ja) 着氷霜抑制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および着氷霜抑制層が形成された積層金属板
JP5503556B2 (ja) アルミニウム含有金属材用親水化処理剤、親水化処理方法及び親水化処理されたアルミニウム含有金属材
JP4464076B2 (ja) 架橋性微粒子、親水処理剤、親水皮膜被覆方法及び親水皮膜
TW510832B (en) Method of producing an aluminum fin material and the aluminum fin material produced by the method
US6987143B2 (en) Hydrophilizing agent, hydrophilizing fluid, and method of hydrophilizing
JP2574197B2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用親水化表面処理剤、及び親水化表面処理方法
KR20060082329A (ko) 열교환기 방열핀의 친수 처리 조성물
EP0518699B1 (en) Hydrophilic coating composition
JP2006213859A (ja) 熱交換器、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に用いる親水性塗料
JP5180145B2 (ja) 架橋性微粒子、親水処理剤、親水皮膜被覆方法及び親水皮膜
JP2009179811A5 (ko)
JP5006758B2 (ja) 金属表面処理剤
JP2006213978A (ja) 熱交換器、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塗料
JP3225793B2 (ja) 高親水性塗料
KR100675858B1 (ko) 친수처리 조성물
JPH11201688A (ja) 熱交換器用フィン材
JPH0719776A (ja)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含有金属複合材料
JPH07278464A (ja) 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熱交換器用表面親水化剤組成物
KR20240040955A (ko) 알루미늄 금속용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KR20050108003A (ko) 열교환기 알루미늄 핀재의 친수 처리 조성물
JP4467264B2 (ja) フィン用塗料組成物およびフィン材
JP3274060B2 (ja) 耐汚染性が優れたアルミニウム表面処理フィン材
JPH0445181A (ja) 撥水性コーティング用塗料及びその塗料を塗布した熱交換器
KR100654571B1 (ko) 친수처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