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802A -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802A
KR20060081802A KR1020050002216A KR20050002216A KR20060081802A KR 20060081802 A KR20060081802 A KR 20060081802A KR 1020050002216 A KR1020050002216 A KR 1020050002216A KR 20050002216 A KR20050002216 A KR 20050002216A KR 20060081802 A KR20060081802 A KR 20060081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lever
movable member
case body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437B1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5000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4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접착테이프(10)가 걸이부(22)에서 착탈 가능하면서 권총형상을 이루고 있는 케이스본체(20)와;
상기 케이스본체(20)의 내측으로 구성되면서 접착테이프(10)의 외부 인출시 접착테이프(10)의 접착면을 접촉한 상태로 외부로 인출시켜 주는 가이드수단(30)과;
상기 케이스본체(20)의 내측 및 외부로 노출되게 연계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수단(30)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10)를 절단시키는 커팅수단(4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40)은 케이스본체(20)의 하측에서 가이드본체(90)와 몸체 전면부로 구성된 힌지축(51)에 의해 설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지지턱(52)과 접촉면(53)이 구비되는 레버(50)와;
레버(50)의 상부로는 몸체 후측의 회동축(61)을 통해서 케이스본체(20) 내측으로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로는 접촉편(62)이 구비되어 레버(50) 조작시 회동축(61)을 중심으로 상승되는 가동부재(60)와;
상기 가동부재(60)의 접촉편(62) 상단부에 안착되며, 몸체 전면부로는 컷팅부(71)가 형성되고, 몸체 양측으로는 레버(50) 조작시 가동부재(60)를 통해 지점회전 될 수 있도록 회전축(79)이 구비되는 커터(70)와;
커터(70)의 후측 상부에서 케이스본체(20) 내측으로 설치되어, 커터(70)의 작동후 최초 셋팅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80)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는 커팅수단(40)인 레버(50) 작동시 가동부재(60)가 회동축(61)을 통해 상승되면서 커터(70)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구성과는 달리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서도 커팅수단(40)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별도의 탄성수단 및 연계 구성품 들의 조합구성이 아닌 피봇회전되는 레버(50)와 상기 가동부재(60)와 연계 작동되는 커터(70)를 통해서 보다 간편하게 접착테이프(10)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Dispenser of adhesive tape}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컷팅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접착테이프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인 컷팅수단에 의해 레버작동시 가동부재가 상승하면서 커터를 하강시켜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5a 내지 5d는 가이드롤러 및 압지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본체 20 - 케이스본체
21 - 배출구 22 - 걸이부
30 - 가이드수단 31 - 가이드롤러
32 - 압지롤러 33 - 경사면
40 - 커팅수단 50 - 레버
51 - 힌지축 52 - 지지턱
53 - 접촉면 60 - 가동부재
61 - 회동축 62 - 접촉편
63 - 전달편 64 - 누름편
70 - 커터 71 - 컷팅부
72 - 컷팅날 73 - 작은기둥
74 - 구멍 75 - 가이드편
76 - 누름구 77 - 탄성편
78 - 걸림돌기 79 - 회전축
80 - 탄성부재 90 - 가이드본체
91 - 설치홀 92 - 관통홀
100 - 지지몸체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향상함과 아울러 특히 그 폭이 넓은 접착테이프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착테이프는 종이나 기타 물품 등을 붙이는데 사용되는 다용도 테이프의 일종으로서 롤 형태로 감겨져 있으며, 이러한 접착테이프를 수납하는 케 이스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접착테이프의 남아 있는 량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착테이프용 케이스 수납부는 롤 형태의 접착테이프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된 상태에서 둥글게 만곡된 통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의 중앙에는 롤 형태의 접착테이프가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원통형의 걸이부가 돌출되고, 수납부의 개구된 일측면은 종이 재질의 덮개로 막아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의 수납부 일측에는 접착테이프 선단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선단에는 인출시키는 접착테이프의 소정부위를 인위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의 앞쪽에는 다수의 날카로운 톱니돌기가 일렬로 돌설된 절단부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출원인 선 출원된 국내 특허출원 제 99-35136호 및 발명특허 제 355548호에서는 착탈용 덮개에 의해 접착테이프가 걸이부에서 착탈 가능하면서 권총 형상을 이루고 있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 장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방아쇠핸들을 당기면 방아쇠핸들과 일체로 회전되는 드럼이 케이스본체 속의 접착테이프를 당겨 외부로 인출시켜주는 인출수단과, 상기 케이스본체의 총열부위 상면에 설치된 조작구를 이동시키면 조작구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레버에 의해 그 선단에 설치된 커터가 하강하면서 상기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를 절단시키는 커팅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수납케이스를 손바닥에 잡은 상태에서 상기 인출수단의 방아쇠핸들에 손가락을 걸고 수차례 잡아당기기만 하면 수납케이스 속의 접착테이프가 손으로 잡아 당지기 않더라도 필요한 길이만큼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커팅수단의 조작구를 당기기만 하면 커터가 하강하여 외부로 인출된 접착테이프 부위의 끝단을 깨끗하게 절단시켜 줌으로써 테이프의 접착력이 양호하면서도 접착된 테이프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 특허 2004 - 30743호와 같이 케이스본체의 선단으로 방아쇠핸들과 나란하게 커팅레버를 위치시켜 접착테이프의 인출 동작과 커팅동작의 연계성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그 동작이 원활하고 접착테이프의 폭 치수와 무관하게 설계할 수 있어 특히 그 폭이 넓은 접착테이프(예로서 박스테이프)용으로 적용 가능하게 하는 제품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는, 접착테이프의 폭이 10mm 내외의 비교적 폭이 좁은 테이프에 적용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으로 케이스 및 그 내부에 배치되는 드럼과 같은 부품들의 전체 폭이 비교적 좁다.
따라서, 인출수단의 경우 레버를 당길 때 일방향으로 테이프가 전진 공급되도록 작동되는 가동수단 및 드럼이 작동된 후 뒤로 역회전 되어 공급된 테이프를 후퇴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역회전 제어수단 등의 부품들이 매우 작고 정밀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 그 작은 부품들이 드럼 내부에 정밀하게 배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조립성이 다소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커팅수단 작동을 위한 레버가 인출수단 조작을 위한 방아쇠 레버와 별도의 위치, 즉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므로써 조작의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선출한 국내 특허 2004 - 30743호의 구조 역시 인출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인출수단의 구성이 케이스본체에 내장되는 관계로 제품의 조립성 및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테이프를 수납케이스에서 수동으로 용이하게 인출시켜 테이프 부착작업성은 향상시키면서 레버 작동으로 인한 커팅작업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테이프(10)가 걸이부(22)에서 착탈 가능하면서 권총형상을 이루고 있는 케이스본체(20)와;
상기 케이스본체(20)의 내측으로 구성되면서 접착테이프(10)의 외부 인출시 접착테이프(10)의 접착면을 접촉한 상태로 외부로 인출시켜 주는 가이드수단(30) 과;
상기 케이스본체(20)의 내측 및 외부로 노출되게 연계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수단(30)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10)를 절단시키는 커팅수단(4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40)은 케이스본체(20)의 하측에서 가이드본체(90)와 몸체 전면부로 구성된 힌지축(51)에 의해 설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지지턱(52)과 접촉면(53)이 구비되는 레버(50)와;
레버(50)의 상부로는 몸체 후측의 회동축(61)을 통해서 케이스본체(20) 내측으로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로는 접촉편(62)이 구비되어 레버(50) 조작시 회동축(61)을 중심으로 상승되는 가동부재(60)와;
상기 가동부재(60)의 접촉편(62) 상단부에 안착되며, 몸체 전면부로는 컷팅부(71)가 형성되고, 몸체 양측으로는 레버(50) 조작시 가동부재(60)를 통해 지점회전 될 수 있도록 회전축(79)이 구비되는 커터(70)와;
커터(70)의 후측 상부에서 케이스본체(20) 내측으로 설치되어, 커터(70)의 작동후 최초 셋팅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8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레버(50) 작동시 가동부재(60)가 회동축(61)을 통해 상승되면서 커터(70)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구성과는 달리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서도 커팅수단(40)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별첨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의 내부 구성을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컷팅수단의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접착테이프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컷팅수단에 의해 접착테이프가 절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레버작동시 가동부재가 상승하면서 커터를 하강시켜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요부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가이드롤러 및 압지롤러의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즉, 도 1 내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0)는 대략 권총 형상을 이루며, 후미측 걸이부(22)에는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접착테이프(1=0)가 교체를 위하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이 케이스본체(20)의 후미측으로 설치된 접착테이프(10)는 사용자가 접착대상물에 접착테이프(10)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일정거리 진행시키면 수동으로 접착테이프(10)가 인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본체(20)의 하단부에는 일정간격을 갖고 가이드롤러(31)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31)는 도 1 및 도 3,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테이프(10)의 인출시 접착테이프(10)가 평면상태가 아닌 양측에서 중앙부로 경사지게 인출 및 가이드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양측으로 이동될 수록 경사면(33)이 구비된 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31)의 경사면(33)에 의해 인출되는 접착테이프(10)가 평면상태가 아닌 중앙부로 V 자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인출 편의성 및 인출시 접착테이프(10)의 밀림 현상에 의한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케이스본체(20)의 총열부위에 설치되는 커팅수단(40)인 커터(7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몸체(100)의 대략 중간위치로 형성된 회전축(79)에 의해 케이스본체(20)의 내측으로 지점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커터(70)의 선단으로는 컷팅날(72)의 수직 작동이 가능하게 작은기둥(73)으로 끼워 연결되어 있다.
이 커터(70)의 선단쪽에는 돌출된 작은기둥(73)은 컷팅날(72)에 뚫어진 관통용 구멍(74)에 끼워 결합시킨다.
또, 컷팅날(72)의 외부로는 누름구(76)와, 이 누름구(76)에 일체로 컷팅날(72)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편(75)이 위치되어, 상하 승강 작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구(76)의 상부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자체 탄력을 탄성편(77)이 커터(70)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탄성편(77)은 얇은 두께로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데, 선단은 누름구(76)의 상부를 누를 수 있도록 접촉하고 있으며, 그 타측단은 걸림돌기(78)가 구비되어 커터(70)의 하단부에 걸려져 자체 탄력을 갖고 누름구(76)를 적당한 탄력으로 누르는 힘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하강되는 컷팅날(72)은 케이스본체(20)의 배출구(21) 단부와 가이드롤러(31)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테이프(10) 부위를 절단하고 누름구(76)는 컷팅날(72)이 절단하기 전에 접착테이프(10)를 배출구(21)의 단부에 눌러 잡아주는 접착테이프(10) 절단시 테이프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커팅수단(40)인 커터(70)는 케이스본체(20)의 총열부위 상면에서 회동축(61)에 축 지지된 상태에서, 레버(50)를 사용자가 당겨지게 조작하면, 레버(50)의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연동 작동되는 가동부재(60)가 도 3 및 4에서와 같이 커터(70)를 상,하로 수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수단(40)인 커터(70)를 작동시키는 레버(50)는 가이드본체(90)와 조립되어 케이스본체(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레버(50)는 몸체 전면부로 구성된 한 쌍의 힌지축(51)에 의해 가이드본체(90)와 조립되며, 이때 가이드본체(90)의 전면부로는 가이드롤러(31)가 설치되어 접착테이프(10)의 인출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가이드본체(90)는 한쌍의 구성으로 몸체 전면부로는 가이드롤러(31)의 설치를 위한 설치홀(91)이 구비되고, 몸체 후측으로는 레버(50)의 힌지축(51)이 관통되는 관통홀(9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레버(50)와 상호 연계 조립되면서 케이스본체(2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가이드본체(90)의 가이드롤러(31) 상부로도 중앙에서 양측으로 경사면(33)이 구비된 압지롤러(32)가 설치되어 접착테이프(10)의 인출시 상, 하에 서 용이한 인출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레버(50)의 몸체 상부로는 지지턱(52)과 접촉면(53)이 구비되어 레버(50)의 조작시 가동부재(60)를 연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인출상태에서는 레버(50)의 지지턱(52)이 가동부재(60)의 저면부와 선접촉으로 위치되어 있다가, 레버(50)의 작동시 지지턱(52)에서 접촉면(53)으로 연장되는 면접촉에서 의해서 가동부재(60)를 상부로 부상시키면서 커터(70)의 작동을 수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레버(50)의 상부로는 몸체 후측의 회동축(61)을 통해서 케이스본체(20) 내측으로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로는 접촉편(62)이 구비되어 레버(50) 조작시 회동축(61)을 중심으로 상승되는 가동부재(60)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6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후측으로 구성된 회동축(61)을 중심으로 케이스본체(20) 내측으로 피봇된 상태에서 레버(50)의 작동시 회동축(61)을 중심으로 상부로 지점회동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가동부재(60)는 몸체 전면부로 접촉편(62)이 구비되고, 몸체 저면으로으로는 레버(50)의 접촉면(53)과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전달편(63)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레버(50)의 작동시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레버(50)의 접촉면(53)이 가동부재(60)의 전달편(63)과 면접촉에 의해서 가동부재(60)를 지점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동부재(60)의 접촉편(62)과 전달편(63)은 상부로 경사를 유지하고 있으며, 회동축(61)의 후측부로는 상부로 설정된 경사도의 대칭 아래 방향으로 누 름편(64)이 형성된다.
이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테이프(10)의 인출시 가동부재(60)가 지점회동되는 과정에서 누름편(64)이 접착테이프(10)의 저면 중앙부를 가볍게 접촉되면서 접착테이프(10)의 원할한 인출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60)의 접촉편(62) 상단부에 안착되며, 몸체 전면부로는 컷팅부(71)가 형성되고, 몸체 양측으로는 레버(50) 조작시 가동부재(60)를 통해 지점회전 될 수 있도록 회전축(79)이 구비되는 커터(70)가 구비되며, 커터(70)의 후측 상부에서 케이스본체(20) 내측으로 설치되어, 커터(70)의 작동 후 최초 셋팅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80)가 설치된다.
따라서, 별도의 탄성수단 및 비교적 복잡한 구성조합이 아닌 레버(50)와 가동부재(60)의 지점회동에 의해서 커터(70)를 작동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커팅수단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자동인출수단이 적용된 구성에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접착테이프 커팅수단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작단가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동 및 자동 인출수단이 구비된 디스펜서에 모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테이프의 폭과 무관하게 그 폭이 비교적 좁은 사무용은 물론 주로 박스 연결부 접착용으로 그 폭이 넓은 일명 박스테이프 등에도 각각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접착테이프(10)가 걸이부(22)에서 착탈 가능하면서 권총형상을 이루고 있는 케이스본체(20)와;
    상기 케이스본체(20)의 내측으로 구성되면서 접착테이프(10)의 외부 인출시 접착테이프(10)의 접착면을 접촉한 상태로 외부로 인출시켜 주는 가이드수단(30)과;
    상기 케이스본체(20)의 내측 및 외부로 노출되게 연계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수단(30)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10)를 절단시키는 커팅수단(4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40)은 케이스본체(20)의 하측에서 가이드본체(90)와 몸체 전면부로 구성된 힌지축(51)에 의해 설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지지턱(52)과 접촉면(53)이 구비되는 레버(50)와;
    레버(50)의 상부로는 몸체 후측의 회동축(61)을 통해서 케이스본체(20) 내측으로 설치되며, 몸체 전면부로는 접촉편(62)이 구비되어 레버(50) 조작시 회동축(61)을 중심으로 상승되는 가동부재(60)와;
    상기 가동부재(60)의 접촉편(62) 상단부에 안착되며, 몸체 전면부로는 컷팅부(71)가 형성되고, 몸체 양측으로는 레버(50) 조작시 가동부재(60)를 통해 지점회전 될 수 있도록 회전축(79)이 구비되는 커터(70)와;
    커터(70)의 후측 상부에서 케이스본체(20) 내측으로 설치되어, 커터(70)의 작동후 최초 셋팅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60)의 접촉편(62) 저면으로는 레버(50)의 접촉면(53)과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전달편(6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3.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60)의 접촉편(62)과 전달편(63)은 회동축(61) 중심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60)의 회동축(61) 후측부로는 상부로 설정된 경사도의 대칭 아래 방향으로 누름편(6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1020050002216A 2005-01-10 2005-01-10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100604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216A KR100604437B1 (ko) 2005-01-10 2005-01-10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216A KR100604437B1 (ko) 2005-01-10 2005-01-10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802A true KR20060081802A (ko) 2006-07-13
KR100604437B1 KR100604437B1 (ko) 2006-07-25

Family

ID=3717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216A KR100604437B1 (ko) 2005-01-10 2005-01-10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8116B (zh) * 2020-01-10 2021-08-03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一种评价外来作用力对鱼类群落影响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0691U (ko) * 1977-04-08 1978-11-07
JPH01143762U (ko) * 1988-03-28 1989-10-03
JPH0638844Y2 (ja) * 1988-10-13 1994-10-12 ヤエス軽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ツター
KR100533838B1 (ko) * 2004-04-30 2005-12-07 이상철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4437B1 (ko)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376B1 (ko) 접착 테이프용 수납케이스
US7540225B2 (en) Double-faced adhesive tape dispenser
KR100533838B1 (ko)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US6971431B2 (en) Tape dispenser
JP5379727B2 (ja) ロール紙ホルダー
KR100604437B1 (ko)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101297640B1 (ko) 테이프 디스펜서
KR100355548B1 (ko)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
KR100604436B1 (ko)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100614878B1 (ko) 양면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100630326B1 (ko) 접착테이프용 홀더
KR200364924Y1 (ko) 접착테이프용 홀더
JP2006314764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KR100286377B1 (ko)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
JP3529833B2 (ja) テープ貼付装置
JP2997880B2 (ja) 接着テープ用収納ケース
US7913887B1 (en) Tilting-carriage pinching spooled material dispenser
KR102440722B1 (ko)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20090011540U (ko) 수동 및 자동절단기능이 부가된 테이프 절단기
JP4037445B1 (ja) ロールペーパー切断装置
JP3135229U (ja) ロールペーパー切断装置
JPH02167121A (ja) ペーパーホルダ
JP2013022051A (ja) ペーパーロール保持具
JP2009023845A (ja) 接着テープ用収納ケース
JP2000001254A (ja) 接着テ―プ用収納ケ―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