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722B1 -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722B1
KR102440722B1 KR1020220060299A KR20220060299A KR102440722B1 KR 102440722 B1 KR102440722 B1 KR 102440722B1 KR 1020220060299 A KR1020220060299 A KR 1020220060299A KR 20220060299 A KR20220060299 A KR 20220060299A KR 102440722 B1 KR102440722 B1 KR 10244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storage case
shaft
tap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22006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with means for deliver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의 폭에 따라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의 높이를 디스펜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변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이 상이한 여러 종류의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을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착탈용덮개(150)에 의해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이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는 권총형상의 수납케이스(110)와; 상기 수납케이스(110)의 일측 장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방아쇠핸들(131)을 당기면 방아쇠핸들(131)과 일체로 회전되는 테이프용드럼(160)이 일정량 회전되면서 수납케이스(110)속의 접착테이프(200)를 당겨 외부로 일정량 인출시키는 인출수단(130)과; 상기 수납케이스(110)의 총열부위 상면에 설치된 조작구(170)를 이동시키면 조작구(170)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레버(121)에 의해 그 선단에 설치된 커터(122)가 하강하면서 상기 인출수단(130)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키는 커팅수단(120)과; 상기 커터(122)에 의해 절단되는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가변기(1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Adhesive tape dispenser}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의 폭에 따라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의 높이를 디스펜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변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이 상이한 여러 종류의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을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착테이프는 내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 드럼의 바깥 주위로 접착테이프가 끼워져 있다.
상기 접착테이프는 수납케이스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끼워져 접착테이프가 자유로운 상태로 회동이 자유롭게 되고, 접착테이프의 출력단은 수납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안착부에 얹혀져 있으며, 상기 안착부의 전방에는 산형의 절단돌기가 연속으로 형성된 절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케이스의 절단부 상면에 접착테이프의 절단위치가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착테이프의 절단위치 부위를 절단부를 향하여 누르게 되면 접착테이프가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수납케이스의 일측 안착부에 형성된 절단부는 투명아크릴재로 형성된 수납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날카롭지 못하여 접착테이프가 쉽게 절단되지 아니하고 그 절단된 면이 매끄럽지 못할 뿐 만 아니라 접착테이프의 절단시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게 되므로 절단을 여러번 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접착제가 묻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 제0355548호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선행발명은 수납케이스 내에 들어있는 접착테이프의 인출과정과 인출되는 접착테이프의 절단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착테이프에 접촉하지 않고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수납케이스를 권총형상으로 하여 방아쇠 핸들을 당기면 접착테이프의 끝단부가 일정길이 만큼만 수납케이스의 인출부 바깥으로 진출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수납케이스의 총열부위 상면에 설치된 조작구를 후퇴시키면 조작구와 연통되어 작동되는 레버에 의하여 레버의 선단부에 설치된 커터가 접착테이프의 인출된 부분을 커팅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발명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편리성이 있어 많은 호응이 있었으나, 선행발명의 제작시 부품수가 증가하고 조립이 난해하여 생산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행발명의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의 높이가 일정한 관계로, 상기 수납케이스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접착테이프가 19mm의 폭을 갖는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이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접착테이프가 12mm의 폭을 갖는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이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수납케이스로 구분되도록 각각 수납케이스를 제작 판매 해야 함으로써, 디스펜서를 제작시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상기 선행발명에 의해 제작된 디스펜서는 12mm의 폭을 갖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와 19mm의 폭을 갖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를 각각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55548호 (등록일자 2002년 09월 2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의 폭에 따라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의 높이를 디스펜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변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이 상이한 여러 종류의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을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테이프용드럼에 감겨져 있는 접착테이프가 수납케이스의 외부로 인출 및 인출되는 접착테이프의 절단시, 접착테이프의 끝단부가 일정길이 만큼만 수납케이스의 인출부 바깥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수납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조작구를 후퇴시키면 조작구와 연동되는 레버에 의하여 레버의 선단부에 설치된 커터가 접착테이프의 인출된 부분이 커팅되도록하는 디스펜서를 조립시 부품수를 저감시켜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생산성이 증대되어 제작단가가 절감되도록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탈용덮개(150)에 의해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이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는 권총형상의 수납케이스(110)와; 상기 수납케이스(110)의 일측 장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방아쇠핸들(131)을 당기면 방아쇠핸들(131)의 이동거리만큼 회전되는 테이프용드럼(160)의 회동에 의하여 접착테이프(200)를 전진시켜 외부로 일정량 인출시키는 인출수단(130)과; 상기 수납케이스(110)의 총열부위 상면에 설치된 조작구(170)를 후진시키면 조작구(170)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레버(121)에 의해 그 선단에 설치된 커터(122)가 하강하면서 상기 인출수단(130)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키는 커팅수단(120)과; 상기 커터(122)에 의해 절단되는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가변기(1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가변기(140)는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끼워진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지지판(141)과, 상기 지지판(141)의 일측면에 외부로 돌출되게 절곡 연장형성되는 지지돌기(142)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지지판(141)에는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의 외경과 동일한 삽입공(143)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3)이 가이드되면서 안내되면서 끼워지도록 하는 가이드홈(111a)이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의 외측면에 파여져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11a)에 안내되면서 끼워지는 지지돌기(142)가 삽입공(143)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인출수단(130)은 자체탄성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푸쉬걸쇠(131b)와 지지걸쇠(131a)가 상부에 일체로 대향지게 형성된 방아쇠핸들(131)과; 상기 푸쉬걸쇠(131b)와 지지걸쇠(131a)가 걸리는 래칫(132a)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벨트홈(132b)이 형성된 한쌍의 드럼(132)과; 상기 한쌍의 드럼(132)이 일측과 타측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33a)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좌우 양측부에는 각각 수납케이스(110)에 고정되는 고정돌기(133b)가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133)와; 상기 고정부(133) 형성된 회전축(133a)에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방아쇠핸들(131)이 작동후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일측단부는 고정돌기(133b)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방아쇠핸들(131)에 결합되는 스프링(134)과; 상기 방아쇠핸들(131)의 작동시 회전이 이루어지는 드럼(132)의 회전량만큼 샤프트(136)의 양단에 축설된 보조롤러(137)가 함께 회전되도록 샤프트(136)와 드럼(132)의 벨트홈(132b)을 연결하는 벨트(135)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커팅수단(120)은 수납케이스(110)의 총열부위 상면에 작동편(171)을 가지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구(170)와, 상기 조작구(170)에 형성된 작동편(171)에 접촉되면서 힌지축(123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쇠(123)와; 상기 가동쇠(123)와 연동되어 힌지핀(121a)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는 레버(121)와, 상기 레버(121)의 작동상태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인출수단(130)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키는 커터(122)와; 상기 커터(122)가 하강되면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킨 후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가동쇠(123)를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시키는 제1스프링(124)으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레버(121)는 일측부에 가동쇠(123)에 형성된 삽입홈(123b)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걸림부(121b)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121)의 타측단부 좌우 양측에는 커터(122)에 삽입되는 돌기(121c)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기(121c)와 돌기(121c) 사이에는 상단부가 누름구(180)에 선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탄성변형부(121d)가 일체로 형성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케이스에 내장되는 접착테이프의 인출시 그 선단을 잡아 일일이 손가락으로 당기지 않고서도 신속 간편하게 필요한 길이만큼 자동 인출시키면서 절단할 수가 있으므로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을 매우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며, 인출된 접착테이프를 절단할 때에도 종래처럼 절단부위가 톱니형으로 절단되지 않고 칼로 절단한 것처럼 절단부위가 매우 깨끗하게 절단됨에 따라 절단된 테이프의 부착시 외관이 미려한 것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과 사용후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의 폭에 따라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의 높이를 디스펜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변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이 상이한 여러 종류의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을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사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 외부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테이프용드럼에 감겨져 있는 접착테이프가 수납케이스의 외부로 인출 및 인출되는 접착테이프의 절단시, 접착테이프의 끝단부가 일정길이 만큼만 수납케이스의 인출부 바깥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수납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조작구를 후진시키면 조작구와 연동되는 레버에 의하여 레버의 선단부에 설치된 커터가 접착테이프의 인출된 부분이 커팅되도록하는 디스펜서를 조립시 부품수가 저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됨은 물론, 생산성이 증대되어 제작단가가 절감되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의 수납케이스에서 덮개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의 수납케이스 내부에 인출수단과 커팅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의 인출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 인출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수납케이스에서 접착테이프의 인출수단 부위를 절결시켜 인출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수납케이스 상부로 커팅수단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용 커팅수단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인출수단에 의해 접착테이프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인출수단에 의해 접착테이프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커팅수단에 의해 커팅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에 12mm의 폭을 갖는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이 끼워지도록 가변기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에 19mm의 폭을 갖는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이 끼워지도록 가변기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표현한 형상 이외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아니하였음을 일러둔다.
도 1은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의 수납케이스에서 덮개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의 수납케이스 내부에 인출수단과 커팅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 횡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의 인출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접착테이프 인출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수납케이스에서 접착테이프의 인출수단 부위를 절결시켜 인출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구성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수납케이스 상부로 커팅수단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용 커팅수단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인출수단에 의해 접착테이프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이고, 도 10는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인출수단에 의해 접착테이프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커팅수단에 의해 커팅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에 12mm의 폭을 갖는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이 끼워지도록 가변기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인 디스펜서의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에 19mm의 폭을 갖는 접착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이 끼워지도록 가변기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의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착탈용덮개(150)에 의해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이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는 권총형상의 수납케이스(110)와; 상기 수납케이스(110)의 일측 장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방아쇠핸들(131)을 당기면 방아쇠핸들(131)의 이동거리만큼 회전되는 테이프용드럼(160)의 회동에 의하여 접착테이프(200)를 전진시켜 외부로 일정량 인출시키는 인출수단(130)과; 상기 수납케이스(110)의 총열부위 상면에 설치된 조작구(170)를 후진시키면 조작구(170)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레버(121)에 의해 그 선단에 설치된 커터(122)가 하강하면서 상기 인출수단(130)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키는 커팅수단(120)과; 상기 커터(122)에 의해 절단되는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가변기(1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변기(140)는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끼워진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지지판(141)과, 상기 지지판(141)의 일측면에 외부로 돌출되게 절곡 연장형성되는 지지돌기(1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41)에는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의 외경과 동일한 삽입공(143)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3)이 가이드되면서 안내되면서 끼워지도록 하는 가이드홈(111a)이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의 외측면에 파여져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11a)에 안내되면서 끼워지도록 지지돌기(142)가 삽입공(143)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인출수단(130)은 자체탄성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푸쉬걸쇠(131b)와 지지걸쇠(131a)가 상부에 일체로 대향지게 형성된 방아쇠핸들(131)과; 상기 푸쉬걸쇠(131b)와 지지걸쇠(131a)가 걸리는 래칫(132a)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벨트홈(132b)이 형성된 한쌍의 드럼(132)과; 상기 한쌍의 드럼(132)이 일측과 타측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33a)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좌우 양측부에는 각각 수납케이스(110)에 고정되는 고정돌기(133b)가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133)와; 상기 고정부(133) 형성된 회전축(133a)에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방아쇠핸들(131)이 작동후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일측단부는 고정돌기(133b)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방아쇠핸들(131)에 결합되는 스프링(134)과; 상기 방아쇠핸들(131)의 작동시 회전이 이루어지는 드럼(132)의 회전량만큼 샤프트(136)의 양단에 축설된 보조롤러(137)가 함께 회전되도록 샤프트(136)와 드럼(132)의 벨트홈(132b)을 연결하는 벨트(13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팅수단(120)은 수납케이스(110)의 총열부위 상면에 작동편(171)을 가지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구(170)와, 상기 조작구(170)에 형성된 작동편(171)에 접촉되면서 힌지축(123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쇠(123)와; 상기 가동쇠(123)와 연동되어 힌지핀(121a)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는 레버(121)와, 상기 레버(121)의 작동상태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인출수단(130)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키는 커터(122)와; 상기 커터(122)가 하강되면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킨 후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가동쇠(123)를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시키는 제1스프링(12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레버(121)는 일측부에 가동쇠(123)에 형성된 삽입홈(123b)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걸림부(121b)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121)의 타측단부 좌우 양측에는 커터(122)에 삽입되는 돌기(121c)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기(121c)와 돌기(121c) 사이에는 상단부가 누름구(180)에 선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탄성변형부(121d)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110)의 일측 하부에 인출수단(130)을 설치하고, 상기 인출수단(130)이 일측하부에 설치된 수납케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총열부위에는 커팅수단(120)을 설치하며, 상기 커팅수단(120)이 총열부위에 설치된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110)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111)에는 높이를 변화시키는 가변기(140)를 삽입시키고, 상기 가변기(140)에 의해 높이가 정해진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111) 높이의 폭을 갖는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을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에 회동이 자유롭게 끼운 후 착탈용덮개(150)를 권총형상의 수납케이스(110)에 결합시켜 주는 것에 의해, 상기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이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면서 인출수단(130)에 의해 접착테이프(200)가 수납케이스(110)의 외부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되고, 상기 수납케이스(110)의 외부로 인출된 접착테이프(200)는 커팅수단(120)에 의해 절단되어 지게된다.
한편, 상기 테이프용드럼(160)에 감겨져 있는 접착테이프(200)를 다 사용하여 새로운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착탈용덮개(150)를 수납케이스(110)로 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접착테이프(200)가 외측면에 감겨진 테이프용드럼(160)을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교체해 가면서 디스펜서(100)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교체 삽입되는 테이프용드럼(160)의 외측면에 감겨진 접착테이프(200)의 폭이 12mm인 경우에는 가변기(140)를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111)으로 부터 인출시킨 후 지지돌기(142)의 단부가 수납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삽입공(143)의 중심을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111)의 중심과 상태에서 삽입시키면 테이프용드럼(160)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지지판(141)이 수납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의 높이가 12mm폭인 접착테이프(200)가 외측면에 감겨진 테이프용드럼(160)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높이로 변화된다.
한편, 상기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교체 삽입되는 테이프용드럼(160)의 외측면에 감겨진 접착테이프(200)의 폭이 19mm인 경우에는 가변기(140)를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111)으로 부터 인출시킨 후 지지판(141)의 일측면이 수납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삽입공(143)의 중심을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111)의 중심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시키면 테이프용드럼(160)의 일측면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지지판(141)의 타측면이 수납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원통형 기둥형상인 축(111)의 높이가 19mm폭인 접착테이프(200)가 외측면에 감겨진 테이프용드럼(160)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높이로 변화되어 지게 됨으로써, 하나의 수납케이스(110)에 각각의 폭을 갖는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을 교체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출수단(130)은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이 끼워지는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111) 앞쪽에 설치된다.
상기 인출수단(130)은 푸쉬걸쇠(131b)와 지지걸쇠(131a)가 각각 드럼(132)의 내측면에 형성된 래칫(132a)에 치합되도록 고정돌기(133b)가 수납케이스(110)에 고정되게 삽입된 고정부(133)의 회전축(133a)에 회전가능하게 방아쇠핸들(131)의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방아쇠핸들(131)의 상부와 고정부(133)의 고정돌기(133b)에는 스프링(134)의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접촉되도록 회전축(133a)에 스프링(134)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134)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는 방아쇠핸들(131)에 형성된 푸쉬걸쇠(131b)와 지지걸쇠(131a)가 각각 내측면에 형성된 래칫(132a)에 치합되어 있는 드럼(132)의 벨트홈(132b)과 양단에 보조롤러(137)가 축설된 샤프트(136)를 벨트(135)로 연결하여, 상기 드럼(132)의 회전시 보조롤러(137)도 함께 회전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롤러(137)의 외부면은 기어형태로 형성되어, 접착테이프(200)의 접착면이 닿는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롤러(137)의 형상을 원형롤러 형상이 아닌 기어형태로 형성하여, 접착테이프(20)와의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으로 형성하여 접착테이프(200)의 이동이 용이하게 하여 쉽게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한쌍의 드럼(132) 내부에서 작동되는 방아쇠핸들(131)의 후측가압시 푸쉬걸쇠(131b)는 드럼(132)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이고, 지지걸쇠(131a)는 드럼(132) 내측부의 래칫(132a)부에서 접착테이프(200)의 인출시에는 공회전하면서 접착테이프(200)를 인출시키고, 정지시에는 드럼(132)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푸쉬걸쇠(131b)와 지지걸쇠(131a)는 한쌍의 드럼(132) 내측으로 구비된 래칫(132a)과 연계 제어할 수 있도록 한쌍의 드럼(132) 조립폭과 대응하여 소정의 폭을 유지하면서 한쌍으로 형성되며, 푸쉬걸쇠(131b)는 드럼(132)의 래칫(132a) 방향과 역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걸쇠(131a)는 래칫(132a)의 형성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팅수단(120)은 수납케이스(110)의 총열부위 상면에 작동편(171)을 가지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작구(170)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구(170)에 형성된 작동편(171)에 접촉되면서 힌지축(123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가동쇠(123)가 총열부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쇠(123)에 형성된 삽입홈(123b)에는 힌지핀(121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총열부위 내부에 설치되는 레버(121)의 일측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레버(121)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돌기(121c)는 커터(122)에 결합되며, 상기 커터(122)에 돌기(121c)가 결합된 레버(121)의 타측부에 형성된 탄성변형부(121d)는 선단부가 누름구(180)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변형부(121d)에 의해 레버(121)가 원상복귀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구(170)를 원래위치로 원상복귀시키는 제1스프링(124)이 힌지축(123a)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가 각각 총열부위와 내측면과 가동쇠(123)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수납케이스(110) 상부에 설치된 조작구(170)의 전,후이동에 의해 레버(121)가 힌지핀(121a)을 중심으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레버(121)의 회전작동에 의해 타측 돌기(121c)에 결합된 커터(122)가 함께 승하강되면서 수납케이스(110)외부로 인출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하강되는 커터(122)는 수납케이스(110)의 배출구 단부와 보조롤러(137)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테이프(200) 부위를 절단하고 누름구(180)는 커터(122)가 절단하기전에 배출구의 단부에 위치한 접착테이프(200)를 눌러 잡아주어 접착테이프(200) 절단시 접착테이프(20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컷팅수단(120)인 레버(121)는 수납케이스(110)의 총열부위 상면에서 힌지핀(121a)에 의해 축지된 상태에서, 레버(121)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121b)가 가동쇠(123)에 형성된 삽입홈(123b)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납케이스(110)의 상부에서 전,후로 진퇴되는 조작구(170)의 이동에 의해 가동쇠(123)에 형성된 걸림구(123c)가 조작구(170)에 형성된 작동편(171)과 접촉되면서 가동쇠(123)의 회동에 의해 레버(121)는 힌지핀(121a)을 중심으로 상,하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납케이스(110) 상부에 설치되는 조작구(170)의 전,후이동에 의한 레버(121)의 상,하 작동으로 상기 레버(121)의 전면에 설치되는 누름구(180)와 상기 누름구(180)에 설치된 커터(122)가 레버(32)의 하강과 동시에 연동하강되면서, 인출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커터(122)가 인출되면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킨 후에는 탄성변형부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힌지핀(121a)을 중심으로 원래위치로 레버(121)가 원상복귀되면서 커터(122)도 동시에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수납케이스
111 : 원통형 형상의 축
120 : 커팅수단
121 : 레버
122 : 커터
130 : 인출수단
131 : 방아쇠핸들
140 : 가변기
150 : 착탈용덮개
160 : 테이프용드럼
170 : 조작구
200 : 접착테이프

Claims (6)

  1. 착탈용덮개(150)에 의해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이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는 권총형상의 수납케이스(110)와; 상기 수납케이스(110)의 일측 장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방아쇠핸들(131)을 당기면 방아쇠핸들(131)의 이동거리만큼 회전되는 테이프용드럼(160)의 회동에 의하여 수납케이스(110)속의 접착테이프(200)를 전진시켜 외부로 일정량 인출시키는 인출수단(130)과; 상기 수납케이스(110)의 총열부위 상면에 설치된 조작구(170)를 후진시키면 조작구(170)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레버(121)에 의해 그 선단에 설치된 커터(122)가 하강하면서 상기 인출수단(130)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키는 커팅수단(120)과; 상기 커터(122)에 의해 절단되는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111)과; 상기 축(111)의 외측면에 파여진 가이드홈(111a)과; 상기 축(111)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111)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기(140)와; 상기 가변기(140)는 원통형 형상의 축(111)에 끼워진 접착테이프(200)가 감겨져 있는 테이프용드럼(160)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접촉부가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141)과; 상기 지지판(141)의 내측면에 절곡되어 돌출된 지지돌기(142)와; 뚫려져 있는 삽입공(143)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지지돌기(14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지지판(141)의 삽입공(143)에 형성된 지지돌기(142)는 원통형 기둥형상의 축(111)의 외측면에 파여진 가이드홈(111a)에 끼워져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130)은 자체탄성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푸쉬걸쇠(131b)와 지지걸쇠(131a)가 상부에 일체로 대향지게 형성된 방아쇠핸들(131)과; 상기 푸쉬걸쇠(131b)와 지지걸쇠(131a)가 걸리는 래칫(132a)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벨트홈(132b)이 형성된 한쌍의 드럼(132)과; 상기 한쌍의 드럼(132)이 일측과 타측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33a)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좌우 양측부에는 각각 수납케이스(110)에 고정되는 고정돌기(133b)가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133)와; 상기 고정부(133) 형성된 회전축(133a)에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방아쇠핸들(131)이 작동후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일측단부는 고정돌기(133b)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방아쇠핸들(131)에 결합되는 스프링(134)과; 상기 방아쇠핸들(131)의 작동시 회전이 이루어지는 드럼(132)의 회전량만큼 샤프트(136)의 양단에 축설된 보조롤러(137)가 함께 회전되도록 샤프트(136)와 드럼(132)의 벨트홈(132b)을 연결하는 벨트(1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120)은 수납케이스(110)의 총열부위 상면에 작동편(171)을 가지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구(170)와, 상기 조작구(170)에 형성된 작동편(171)에 접촉되면서 힌지축(123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쇠(123)와; 상기 가동쇠(123)와 연동되어 힌지핀(121a)을 중심으로 몸체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는 레버(121)와, 상기 레버(121)의 작동상태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인출수단(130)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키는 커터(122)와; 상기 커터(122)가 하강되면서 접착테이프(200)를 절단시킨 후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가동쇠(123)를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시키는 제1스프링(1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버(121)는 일측부에 가동쇠(123)에 형성된 삽입홈(123b)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걸림부(121b)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121)의 타측단부 좌우 양측에는 커터(122)에 삽입되는 돌기(121c)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기(121c)와 돌기(121c) 사이에는 상단부가 누름구(180)에 선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탄성변형부(121d)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1020220060299A 2022-05-17 2022-05-17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10244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99A KR102440722B1 (ko) 2022-05-17 2022-05-17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99A KR102440722B1 (ko) 2022-05-17 2022-05-17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722B1 true KR102440722B1 (ko) 2022-09-05

Family

ID=8327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299A KR102440722B1 (ko) 2022-05-17 2022-05-17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7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377B1 (ko) * 1998-07-14 2001-11-15 이상철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
KR100286376B1 (ko) * 1998-02-11 2001-11-22 이상철 접착 테이프용 수납케이스
KR100355548B1 (ko) 1999-12-30 2002-10-12 이상철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
KR20170002839A (ko) * 2015-06-30 2017-01-09 박선영 멀티 테이프커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376B1 (ko) * 1998-02-11 2001-11-22 이상철 접착 테이프용 수납케이스
KR100286377B1 (ko) * 1998-07-14 2001-11-15 이상철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
KR100355548B1 (ko) 1999-12-30 2002-10-12 이상철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
KR20170002839A (ko) * 2015-06-30 2017-01-09 박선영 멀티 테이프커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376B1 (ko) 접착 테이프용 수납케이스
US20070193426A1 (en) Adhesive tape dispenser
US7540225B2 (en) Double-faced adhesive tape dispenser
EP0509076B1 (en) Tape dispensers
JPS6071463A (ja) マスキングテ−プ貼付器
KR102440722B1 (ko)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US6170395B1 (en) Label stamper with a guide channel for receiving the side edge of a tape
KR100355548B1 (ko)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
US7178575B2 (en) Label maker
US3545587A (en) Embossing tool with die members formed in endless chain
KR102075652B1 (ko) 한 손으로 사용 가능한 채혈기
KR200313536Y1 (ko) 접착용 테이프 케이스
KR100630326B1 (ko) 접착테이프용 홀더
JP3602064B2 (ja) 補強シールの貼り付け装置
KR100286377B1 (ko)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
KR0133130Y1 (ko)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20160076177A (ko)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KR100604437B1 (ko)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JPH0952652A (ja) 粘着テープ貼付器
KR200364924Y1 (ko) 접착테이프용 홀더
JP2002308283A (ja) ラップフィルムの格納用化粧箱
KR100211632B1 (ko) 접착테이프 자동인출겸 커팅장치
CN202016059U (zh) 一种美工刀
JP2009023845A (ja) 接着テープ用収納ケース
KR20060081803A (ko)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