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177A -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177A
KR20160076177A KR1020140186048A KR20140186048A KR20160076177A KR 20160076177 A KR20160076177 A KR 20160076177A KR 1020140186048 A KR1020140186048 A KR 1020140186048A KR 20140186048 A KR20140186048 A KR 20140186048A KR 20160076177 A KR20160076177 A KR 20160076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ing
tape
reel
dispens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현모
Original Assignee
(주)세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줄 filed Critical (주)세줄
Priority to KR102014018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177A/ko
Publication of KR2016007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스탬핑 작업에 적합한 최적의 구조로 이루어진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탬핑 시 푸시기어와 소기어 만이 맞물려 돌아가면서 스탬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기어측 토크 힘 문제나 0.01mm의 공차관리 문제를 배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탬핑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푸시기어를 밀어줄 때 아주 가벼운 힘으로 밀어줘도 스탬핑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부품수 절감 등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한편, 디스펜서 케이스의 선단에 노출되는 테이프를 가려줄 수 있는 보호캡을 구비하여, 이물질 등의 오염으로부터 테이프를 보호할 수 있고, 또 디스펜서 케이스의 내부에 리필용 테이프를 갖춤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Stamping only tape dispenser}
본 발명은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스탬핑 작업에 적합한 최적의 구조로 이루어진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사무실 등에서 종이나 기타 물품 등을 붙이는데 사용되는 접착테이프는 보통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되어 있는 케이스 내에 롤 형태로 감겨져 사용된다.
이러한 롤 형태의 접착테이프는 앞쪽에 커터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 내에 장착되고, 손가락으로 직접 접착테이프를 잡고 적당한 길이만큼 뽑아낸 다음, 커터로 접착테이프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렇게 롤 형태의 접착테이프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접착테이프를 당겨서 케이스 자체에 형성된 톱니모양의 커터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경우, 접착테이프의 절단면이 매끄럽게 되지 않거나, 테이프가 늘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테이프 원단을 공급릴과 권취릴로 공급 및 회수하면서 점착제만 대상물에 바르는 타입의 테이프 디스펜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쪽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릴과 점착제가 제거된 빈 테이프를 회수하는 권취릴을 테이프 디스펜서에 장착하고, 테이프 디스펜서를 한쪽으로 밀어가면서 점착제를 대상물에 바르는 롤링 타입이나, 또는 테이프 디스펜서를 위아래로 눌러가면서 점착제를 대상물에 바르는 스탬핑 타입의 테이프 디스펜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 디스펜서는 기존의 롤 형태 접착테이프의 불편한 점들을 대부분 해소해줄 수 있는 이점과 사용상의 편리함 때문에 최근 그 사용처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롤링 작업과 스탬핑 작업을 필요 시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롤링 및 스탬핑 겸용 타입의 테이프 디스펜서가 일부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테이프 디스펜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56646호, 한국등록특허 10-1297640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10-1297640호에는 롤링 작업과 스탬핑 작업을 선택해서 할 수 있는『테이프 디스펜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테이프 디스펜서』는 롤링 기능과 스탬핑 기능의 2가지 기능을 갖춘 디스펜서로서, 테이프를 풀어주고 감아주는 대기어와 소기어, 기어 간의 동력을 매개하는 중간기어, 그리고 소기어를 돌려주는 푸시기어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4개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 유기적으로 돌아가면서 작동하는 구조로서, 기어들의 기어비가 다른 관계로 대기어쪽에서 헛도는 힘(토크)이 필요하고, 그 힘을 플라스틱 사출물로 0.01mm의 오차까지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스탬핑 시 푸시기어를 밀면 소기어가 회전하면서 대기어의 회전까지 전달하게 되는 과정에서 대기어의 토크 힘까지 푸시기어를 밀어주어야 하므로, 토크의 공차관리가 안되었을 경우 롤링 및 스탬핑 시 불량 혹은 사용 시 힘이 많이 소모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여러 개의 기어들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작동되도록 하는 구조인 관계로, 부품수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고,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탬핑 시 푸시기어와 소기어 만이 맞물려 돌아가면서 스탬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기어측 토크 힘 문제나 0.01mm의 공차관리 문제를 배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탬핑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푸시기어를 밀어줄 때 아주 가벼운 힘으로 밀어줘도 스탬핑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부품수 절감 등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펜서 케이스의 선단에 노출되는 테이프를 가려줄 수 있는 보호캡을 구비하여, 이물질 등의 오염으로부터 테이프를 보호할 수 있고, 또 디스펜서 케이스의 내부에 리필용 테이프를 갖춤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어퍼 케이스와 로워 케이스로 구성되는 디스펜서 케이스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스탬핑 시 선단의 스탬핑 패드를 이용하여 테이프를 가압하는 스탬핑 프레임과, 상기 스탬핑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면서 서로 연동가능하며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테이프를 풀어주고 빈 테이프를 감아주는 공급릴 및 회수릴과, 상기 스탬핑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면서 회수릴을 회전시켜주는 소기어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의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되면서 직선 이동가능하고 스탬핑 시 소기어와 치합 전동가능한 푸시기어를 가지는 스탬핑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스탬핑 시 회전하는 회수릴에 의한 테이프 당김력으로 공급릴이 함께 당겨져 회전되면서 테이프 진행과 더불어 스탬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소기어는 회수릴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용 래치기어와 일방향으로 맞물려 회전됨과 더불어 타방향으로 헛돌며 회전되는 탄력형의 구동용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구동용 래치는 기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의 어퍼 케이스는 회수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역회전방지용 래치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일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을 구속하는 역회전방지용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탬핑 프레임은 프레임 전면에 장착되면서 이물질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테이프를 보호할 수 있는 개폐가능한 보호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호캡은 옆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드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위아래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회전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의 내부 안쪽에는 점착테이프가 권취되어 있는 리필용 공급릴을 수납 보관하여, 필요 시 손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푸시기어와 소기어의 치합 전동 방식을 이용한 스탬핑 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준 문제가 되었던 대기어측 토크 힘 문제는 물론 0.01mm의 공차관리 문제 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음은 물론, 가벼운 누름 조작을 통해 스탬핑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수 절감 등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둘째, 디스펜서 케이스의 선단에 보호캡을 구비함으로써 테이프가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디스펜서 케이스의 내부에 리필용 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필요 시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 전용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 전용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핑 전용 디스펜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 전용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를 풀어주고 감아주는 최소한의 부품, 즉 공급릴과 회수릴을 구비하고, 또 공급릴과 회수릴을 기어전동이 아닌 테이프 당김력으로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방식 등을 적용함으로써, 스탬핑 조작 시 아주 가벼운 힘으로 눌러줘도 안정적으로 스탬핑 작업을 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부드러움 및 가벼운 작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쉽게 분해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할 수 있는 어퍼 케이스(10)와 로워 케이스(11)로 구성되는 디스펜서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어퍼 케이스(10)와 로워 케이스(11)는 클립 체결구조 등과 같은 공지의 체결구조에 의해 분해 및 조립가느안 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디스펜서 케이스(12)는 전면(사용 시 하단부)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서, 이렇게 개방되어 있는 전면을 통해 테이프를 노출시켜서 스탬핑 작업이 가능하도록 해줄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디스펜서 케이스(12)의 개방된 전면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스탬핑 프레임(14)이 일부 끼워져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케이스(10)와 로워 케이스(11)의 내부에는 뒷쪽 벽체에 릴거치대(29)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후술하는 리필용 공급릴(25)을 끼워서 흔들리지 않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후술하는 공급릴(15) 및 회수릴(16) 등의 지지는 물론 테이프를 눌러서 실질적으로 스탬핑 작업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스탬핑 프레임(14)을 포함한다.
상기 스탬핑 프레임(14)은 디스펜서 케이스(12)의 내부에 케이스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선단부에는 디스펜서 케이스 전면을 바라보는 스탬핑 패드(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템핑 프레임(14)은 보스(26)와 핀(27)의 체결구조 등을 통해 로워 케이스(1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탬핑 패드(13)의 전면에 걸쳐지면서 경유하는 테이프는 스탬핑 패드(13)에 의해 눌려질 수 있게 되고, 결국 테이프에서 떨어져 나온 점착제가 종이 등 상대물에 접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탬핑 프레임(14)의 뒷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부재에는 앞뒤로 일정거리를 두고 2개의 릴 축(28a,28b)이 수직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앞쪽의 릴 축(28a)은 회수릴(16)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되고, 뒷쪽의 릴 축(28b)은 공급릴(15)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테이프(100)를 풀어주고 빈 테이프를 감아주는 수단으로 공급릴(15)과 회수릴(16)을 포함한다.
상기 회수릴(16)과 공급릴(15)은 디스펜서 케이스(12)의 내부에서 스탬핑 프레임(14)에 있는 앞쪽과 뒷쪽의 각 릴 축(28a,28b)에 중심을 통해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때의 각 릴 축(28a,28b)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릴(15)로부터 풀려지는 테이프는 회수릴(16)의 한쪽 옆을 돌아서 스탬핑 프레임(14)의 앞쪽에 있는 스탬핑 패드(13)를 거친 후에 다시 회수릴(16)의 다른 한쪽 옆으로 진입하여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릴(15)의 경우 푸시기어(18)와 소기어(17) 간의 치합 전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수릴(16)의 테이프 견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수릴(16)에 회전하면서 테이프를 권취하는 당김력에 의해 공급릴(15)이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종전과 같이 공급릴(15)이 가지고 있던 대기어으로 인해 작용하던 토크 힘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게 되며, 결국 푸시기어(18)와 소기어(17)가 맞물려 돌아가도록 하는 가벼운 힘만으로 부드럽고 가볍게 스탬핑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회수릴(16)을 돌려주기 위한 수단으로 소기어(17)를 포함한다.
상기 소기어(17)는 스탬핑 프레임(14)에 있는 앞쪽의 릴 축(28a)에 중심을 통해 끼워져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소기어(17)는 회수릴(16)의 저면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소기어(17)의 내측에는 절개부 내에 위치되면서 후단부를 통해 기어몸체에 일체 연결되는 탄력형의 구동용 래치(21)가 형성되고, 이때의 구동용 래치(21)는 회수릴(16)의 저면에 원형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구동용 래치기어(20)와 일방향으로 맞물려 회전될 수 있는 동시에 타방향으로는 헛돌며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구동용 래치(21)의 자유단에 해당하는 선단부에는 앞쪽이 수직면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뒷쪽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구동용 걸림부(30)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용 걸림부(30)는 앞쪽의 수직면을 통해 회수릴(16)의 구동용 래치기어(20)와 맞물리게 되면서 소기어 회전 시 구동용 래치(21)는 회수릴(16)을 돌려줄 수 있게 되고, 뒷쪽의 경사면을 통해서는 구동용 래치기어(20)의 기어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구동용 래치기어(20)측과는 회전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회수릴(16)에 있는 구동용 래치기어(20) 또한 한쪽의 수직면과 뒷쪽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기어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스탬핑 작동 시 소기어(17)는 정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구동용 래치기어(20)와 맞물리는 구동용 래치(21)를 이용하여 회수릴(16)을 회전시켜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탬핑 완료 시 스탬핑 슬라이더(19)의 복귀에 따라 소기어(17)가 역방향(시계방향) 회전할 때 구동용 래치(21)는 탄력특성을 통해 "딱", "딱" 소리를 내면서 구동용 래치기어(20)를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되므로, 소기어(17)는 물론 스탬핑 슬라이더(19)는 회수릴(16)에 영향을 주지 않고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기어(17)의 구동용 래치(21)는 기어 중심홀을 가운데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대칭 구조를 이룸과 더불어 호(弧) 형상을 이루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회수릴(16)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2)의 어퍼 케이스(10)는 호(弧) 형상의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역회전방지용 래치(23)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회수릴(16)의 상면에는 원형의 역회전방지용 래치기어(22)가 형성되고, 이러한 역회전방지용 래치(23)와 역회전방지용 래치기어(22)가 한쪽 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되므로서, 회수릴(16)이 일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을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역회전방지용 래치(23)는 구동용 래치(21)와 마찬가지로 자유단에 해당하는 선단부에는 앞쪽이 수직면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뒷쪽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역회전방지용 걸림부(3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역회전방지용 걸림부(31)는 앞쪽의 수직면을 통해 회수릴(16)의 역회전방지용 래치기어(22)와 맞물리게 되면서 회수릴(16)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되고, 뒷쪽의 경사면은 회수릴(16)의 정방향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스탬핑 작동 시 회수릴(16)이 회전할 때 역회전방지용 래치(23)는 탄력특성을 통해 "딱", "딱" 소리를 내면서 역회전방지용 래치기어(22)를 상대적으로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되므로, 회수릴(16)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일단 타고 넘어간 상태에서는 역회전방지용 걸림부(31)의 수직면에 역회전방지용 래치기어(22)가 걸려질 수 있게 되므로, 회수릴(16)의 역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의 상기 회수릴(16)에 있는 역회전방지용 래치기어(22)도 한쪽의 수직면과 뒷쪽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기어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회수릴(16)의 소기어(17)를 돌려주는 역할 및 스탬핑 시 테이프가 노출되도록 해주고 미사용 시 테이프가 수납되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스탬핑 슬라이더(19)를 포함한다.
상기 스탬핑 슬라이더(19)는 앞쪽과 뒷쪽이 뚫려 있는 사각 케이스 형태로서, 디스펜서 케이스(12)의 선단부에 후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로 위치되면서 직선 이동을 통해 디스펜서 케이스(12)의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스탬핑 슬라이더(19)의 후단 일측에는 슬라이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푸시기어(18)가 구비되며, 이때의 푸시기어(18)는 소기어(17)와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탬핑 슬라이더(19)의 수납 및 인출 시 푸시기어(18)의 직선 이동에 의해 이와 맞물려 있는 소기어(17)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탬핑 슬라이더(19)의 후단 다른 일측에는 스프링 지지봉(32)이 뒷쪽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이때의 스프링 지지봉(32)에는 스탬핑 슬라이더(19)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3)의 한쪽이 삽입되며, 이러한 스프링(33)의 다른 한쪽은 스탬핑 프레임(14)의 저면에 있는 스프링 지지체(36)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탬핑 슬라이더(19)는 스프링(33)을 압축하면서 수납될 수 있게 되고, 스프링(33)의 복원력을 받아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스는 미사용 시 테이프에 있는 점착제에 이물질이 붙는 것을 막아주는 수단으로 보호캡(24)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캡(24)은 스탬핑 슬라이더(19)의 개방되어 있는 전면을 마감하는 판부재로서, 열어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닫아놓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호캡(24)은 다양한 개폐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일 예로서 보호캡(24)은 스탬핑 슬라이더(19)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34)에 끼워져 옆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열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는 개폐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보호캡(24)은 개폐방향으로 상호 걸림관계를 가지는 보호캡측 걸림편(35a)과 스탬핑 슬라이더측 걸림편(35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보호캡(24)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스탬핑 슬라이더(19)의 선단부 하단에 힌지부(37)에 의해 연결되어 위아래로 회전되면서 열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는 개폐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식 개폐구조의 보호캡(24)의 경우 닫힘상태 유지를 위한 걸림턱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를 다 사용한 후에 곧바로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리필용 공급릴(25)을 포함한다.
상기 리필용 공급릴(25)에는 새것과 마찬가지로 일정량의 테이프가 감겨져 있게 되고, 이러한 리필용 공급릴(25)은 디스펜서 케이스(12)의 내부 안쪽에 있는 릴 거치대(29)에 끼워놓은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핑 전용 디스펜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탬핑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탬핑 슬라이더(19)의 선단부를 접착대상물(110)에 댄 다음, 디스펜서 케이스(12)를 아래로 누르면 스탬핑 패드에 의해 테이프가 가압되면서 일정한 사각 모양의 점착제가 접착대상물(110)에 부착된다.
1회 누름 동작 한번으로 한곳에 점착제를 부착시킬 수 있고, 이러한 1회 누름동작이 끝나면 스탬핑 슬라이더(19)에 있는 푸시기어와 회수릴에 있는 소기어 간의 전동에 의해 회수릴이 회전되면서 한스텝씩, 즉 일정길이의 테이프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테이프 당김력에 의해 공급릴도 회전되면서 테이프를 풀어줄 수 있다.
즉, 스탬핑 슬라이더(19)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회수릴이 회전되면서 일정길이의 빈 테이프를 감을 수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테이프에 의해 당겨지는 공급릴의 회전에 의해 감긴 만큼의 테이프가 공급릴에서 풀릴 수 있게 된다.
이때, 푸시기어의 복귀 시, 즉 소기어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주고 나서 다시 내려올 때, 구동용 래치의 래치기능에 의해 소기어의 역방향 회전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결국 스탬핑 슬라이더(19)는 정상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1회 누름 동작 후 스탬핑 슬라이더(19)는 스프링 힘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가 된다.
이렇게 누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스탬핑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종전의 공급릴측 대기어를 삭제하고 푸시기어와 소기어만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이에 따라 대기어의 토크 힘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고, 0.01mm의 공차관리도 신경 쓸 필요가 없으며, 푸시기어를 밀어줄 때 아주 가벼운 힘으로 밀어줘도 사용이 가능한 제품이다.
또한, 기존 제품과 비교했을 때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안정적인 제품구조를 가져갈 수 있으며, 공급릴은 기어 간의 연동구조가 아닌 회수릴의 이끌림에 의해 테이프를 풀어주는 역할만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는 생산의 간편화, 사용상의 부드러움 및 가벼운 작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고, 보호캡 적용으로 테이프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리필용 공급릴을 구비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 어퍼 케이스 11 : 로워 케이스
12 : 디스펜서 케이스 13 : 스탬핑 패드
14 : 스탬핑 프레임 15 : 공급릴
16 : 회수릴 17 : 소기어
18 : 푸시기어 19 : 스탬핑 슬라이더
20 : 구동용 래치기어 21 : 구동용 래치
22 : 역회전방지용 래치기어 23 : 역회전방지용 래치
24 : 보호캡 25 : 리필용 공급릴
26 : 보스 27 : 핀
28a,28b : 릴 축 29 : 릴 거치대
30 : 구동용 걸림부 31 : 역회전방지용 걸림부
32 : 스프링 지지봉 33 : 스프링
34 : 슬라이드홈 35a,35b : 걸림편
36 : 스프링 지지체 37 : 힌지부

Claims (8)

  1.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어퍼 케이스(10)와 로워 케이스(11)로 구성되는 디스펜서 케이스(12);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스탬핑 시 선단의 스탬핑 패드(13)를 이용하여 테이프를 가압하는 스탬핑 프레임(14);
    상기 스탬핑 프레임(14) 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면서 서로 연동가능하며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테이프를 풀어주고 빈 테이프를 감아주는 공급릴(15) 및 회수릴(16);
    상기 스탬핑 프레임(14) 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면서 회수릴(16)을 회전시켜주는 소기어(17);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2)의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되면서 직선 이동가능하고 스탬핑 시 소기어(17)와 치합 전동가능한 푸시기어(18)를 가지는 스탬핑 슬라이더(19);
    를 포함하며, 스탬핑 시 회전하는 회수릴에 의한 테이프 당김력으로 공급릴이 함께 당겨져 회전되면서 테이프 진행과 더불어 스탬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기어(17)는 회수릴(16)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용 래치기어(20)와 일방향으로 맞물려 회전됨과 더불어 타방향으로 헛돌며 회전되는 탄력형의 구동용 래치(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기어(17)의 구동용 래치(21)는 기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2)의 어퍼 케이스(10)는 회수릴(16)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역회전방지용 래치기어(22)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일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을 구속하는 역회전방지용 래치(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 프레임(14)의 전면에는 이물질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테이프를 보호할 수 있는 개폐가능한 보호캡(24)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 프레임(14)에 있는 보호캡(24)은 옆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드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 프레임(14)에 있는 보호캡(24)은 위아래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회전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2)의 내부 안쪽에는 점착테이프가 권취되어 있는 리필용 공급릴(25)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KR1020140186048A 2014-12-22 2014-12-22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KR20160076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48A KR20160076177A (ko) 2014-12-22 2014-12-22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48A KR20160076177A (ko) 2014-12-22 2014-12-22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177A true KR20160076177A (ko) 2016-06-30

Family

ID=5635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048A KR20160076177A (ko) 2014-12-22 2014-12-22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1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847A (ko) * 2016-09-23 2018-04-02 울산과학기술원 스탬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847A (ko) * 2016-09-23 2018-04-02 울산과학기술원 스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8844C (zh) 胶带分配器
US7784517B2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EP1721852B1 (en) Pushbutton controlled correction tape assembly
US7540225B2 (en) Double-faced adhesive tape dispenser
EP1025030B1 (en) Material transfer device
EP1905716A2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8196633B2 (en) Correction tape applicator
JP3520138B2 (ja)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具における転写テープ詰替方法
KR101297640B1 (ko) 테이프 디스펜서
KR20160076177A (ko) 스탬핑 전용 테이프 디스펜서
JP5184585B2 (ja) 自動テープ機
JP2010274937A (ja) 結束機
JP7341802B2 (ja) テープカッター
KR200456646Y1 (ko) 테이프 디스펜서
JP2014014970A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
KR101996365B1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접착테이프 케이스
JP2997880B2 (ja) 接着テープ用収納ケース
KR200364924Y1 (ko) 접착테이프용 홀더
CN216993704U (zh) 换带开启时能自动回卷之薄膜涂抹器
JPH0638844Y2 (ja) テープカツター
JP2005212423A (ja) 消しゴム繰り出し容器
JP7238337B2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
JP3131093U (ja) 改良された巻尺
KR200313536Y1 (ko) 접착용 테이프 케이스
KR20050106684A (ko) 접착테이프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