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932A -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 Google Patents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932A
KR20060080932A KR1020067005397A KR20067005397A KR20060080932A KR 20060080932 A KR20060080932 A KR 20060080932A KR 1020067005397 A KR1020067005397 A KR 1020067005397A KR 20067005397 A KR20067005397 A KR 20067005397A KR 20060080932 A KR20060080932 A KR 20060080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nozzles
holes
moving sl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르트 반 베르쉬
노르베르트 지벤
Original Assignee
아. 몬포르츠 텍스틸마쉬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 몬포르츠 텍스틸마쉬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아. 몬포르츠 텍스틸마쉬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8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제 스트림(9)을 사용하여 홀형 노즐들(17) 또는 슬롯형 노즐(18)로부터 불어서 상기 편물(1)의 이송방향을 가로질러 신장함으로써 편물(1)을 처리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4)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처리제 스트림(9)이 상기 홀형 노즐들(17)로부터 상기 슬롯형 노즐들(18)로(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것을 간소화하기 위해서, 이동 슬라이드(24)는 상기 노즐 블로잉 케이스(4)의 송풍면(6)에 부여되어 일 위치에서 상기 슬롯형 노즐들(18)을 차단하고 또다른 위치에서 상기 홀형 노즐들(17)을 차단한다.
Figure 112006018811997-PCT00001
텐터기, 블로잉 케이스, 편물, 송풍면, 처리제 스트림, 홀형 노즐, 슬롯형 노즐, 터널, 터널 홀, 이동 슬라이드, 루버 플랩

Description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NOZZLE BLOWING CASE OF A TENTER FRAME}
본 발명은, 처리제 스트림(treatment agent stream)을 통하여,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유형의 노즐로부터 선택적으로, 종방향으로 펼쳐져 이동하는 편물을 처리하는 텐터기(tenter frame)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편물면에 평행하게 신장하는 송풍면에 구비되며, 상기 블로잉 케이스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이동 슬라이드가 각각 원하는 노즐 유형을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이동 슬라이드는 통과 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통과 홀들은 이동 슬라이드의 일 위치에서 상기 일 노즐 유형을 통해서 상기 처리제 스트림의 경로를 개방하고, 또 다른 이동 슬라이드 위치에서 상기 또 다른 노즐 유형을 통해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에 관한 발명이다. "송풍면"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풍면은 노즐들을 (홀(holes)로서) 포함하거나 상기 노즐들의 고정수단/뼈대(framework)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노즐 구성은 독일 공개특허 11 96 156 (DE 11 96 156 (DE 11 96 156 B1)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노즐 구성은 블로잉 케이스를 가지고 있는 결합된 텐터기/서스펜션 건조기에 대해서 사용하고자 하고, 처리된 편물로부 터의 상기 블로잉 케이스의 거리는 가변적이다. 이때, 상기 각각의 블로잉 케이스의 송풍면은, 하나의 평면에서 교대로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은 유출 개구부들(노즐들)을 구비하는 제1 바닥 금속판(sheet metal)으로 이루어져 한다. 상기 바닥 금속판 위에는 이동 슬라이드로서 특징지워지는 제2 바닥 금속판이 (상기 제1 바닥 금속판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상기 제2 바닥 금속판은 상기 제1 바닥 금속판과 동일한 패턴으로 상기 상대적으로 큰 개구부들만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슬라이드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이의 개구부들은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바닥 금속판의 상대적으로 큰 개구부들 또는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부들과 합치된다. 상기 상응하는 조정을 위해서, 상기 이동 슬라이드는 실질적으로 운반방향 또는 상기 처리된 편물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이동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블로잉 케이스의 송풍면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홀형 노즐들(hole-type nozzles)이 구비된다. 원형 또는 각진 형태의 홀형 노즐들은 도입되었는데, 이는, 상기 노즐들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증발출력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상대적으로 작고 밀접한 홀형 노즐들은 상기 상대적으로 넓은 노즐 젯(nozzle jets)이 상기 편물 위에 줄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는 직물도(fabric grades)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홀형 노즐들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줄무늬 형성의 위험은 완전히 극복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편물 위에 줄무늬가 남거나 발생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블로잉 케이스의 송풍면을 위해서, 이동 슬라이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하거나 차단가능한 편물의 노즐 사용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안은 청구항 1항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몇 가지 개선안 및 또다른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제공된다.
처음에 기재된 노즐 케이스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안에 따르면, 상기 편물의 폭에 걸쳐 종방향을 가로질러 신장되는 하나의 슬롯형 노즐은, 노즐 슬롯으로 언급되기도 하는데, 상기 송풍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롯형 노즐은, 다수의 홀형 노즐에 대한 유출 대안 수단으로서, 이동 슬라이드에 의해 각각 개방되거나 차단된다. 종래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의 경우에서, 상기 홀형 노즐들의 크기를 축소하고 그에 대응되게 노즐의 수를 증가함으로써 줄무늬 형성 위험이 감소되지만, 미세한 홀형 노즐들이라도 자국을 남기는 직물도가 존재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점은 상기 홀형 노즐들에 대하여 양자택일적으로 또는 반대로 작동 가능한 슬롯형 노즐들에 의하여 극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들을 전환하기 위해서 구비된 이동 슬라이드가 상기 편물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또다른 이동방향들이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편물의 종방향으로 또는 상기 종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이동방향들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 슬라이드는 기본적으로 자체의 일 위치에서 상기 처리제 통과(passage)를 하나의 노즐 유형에 의해서 개방하고 또다른 위치에서는 또다른 노즐 유형에 의해서 상기 처리제 통과를 개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슬라이드는 실질적으로 한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동 슬라이드는 2개 이상의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슬라이드는 두 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두 개의 부분들은 그 사이에서, 다시 말해 서로 대향한 두 개의 이동 슬라이드 에지(edges) 사이에서, 하나의 슬롯형 노즐을 펼치거나(개방하거나) 죈다(차단한다); 동시에, 상기 이동 슬라이드 부분들은 제어될 홀형 노즐들을(슬롯의 경우와는 반대로) 차단하거나 개방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 슬라이드에 의한 선택을 위해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노즐 유형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또다른 노즐 유형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것과 관련해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노즐 유형들이 동시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개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물이 공기 쿠션(air cushion)으로 운반되거나 두 개의 공기 쿠션 사이에서 안내되어야만 한다면, 다양한 작동방식에서뿐만 아니라, 하나의 작동방식으로부터 또다른 작동방식으로 전환하는 동안에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가스의 체적 흐름을 동일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유리할 수 있다. 이때, 체적 흐름은 상기 노즐들을 통과하고 상기 편물에 영향을 미치는 총 흐름(total stream)이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슬라이드(및/또는 노즐 개구부들)은, 상기 슬롯/홀 개구정도(opening degree)의 현재 합계,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 횡단면, 및 상기 현재 개방된 횡단면의 전체로 흐르는 체적 흐름이 전환동작이 발생할 때 실제로 변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체적 흐름을 상기 전환시 점차적으로, 즉 단계없이 변화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확대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필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즐 블로잉 케이스의 유출면에는 홀형 노즐들 및 상기 편물면을 가로질러 전체 폭으로 신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형 노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홀형 노즐들과 상기 슬롯형 노즐 사이에서 상기 전술한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동 슬라이드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형/슬롯형 노즐 구조는 텐터기 전체에 구비되거나 동일 방식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종종, 상기 편물면의 감광측에 대향한 유출면은 기계 말단(운반방향에서 보았을 때)에서, 예를 들어, 텐터기의 마지막 필드에서 노즐 결합이 구비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슬롯형 노즐들은 상기 편물의 전체 폭으로 신장되어야 한다. 이때, 기술적인 이유로, 때때로 3 미터 및 그 이상의 미터 길이의 노즐 슬롯을 기계적으로 안정화시키는 좁은 횡단 편물을 상기 슬롯형 노즐들에 구비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노즐 슬롯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세워진 편물은, 상기 슬롯을 통과하는 처리제 스트림에 실제로(적어도 방해하지 않도록)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얇게 형성되어야 한다.
경험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슬롯형 노즐은 홀형 노즐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증발출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 예를들어 상기 줄무늬 발생 방지를 위한 경우에만, 상기 텐터기 또는 블로잉 케이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개방된 슬롯형 노즐로 작동되어야 한다. 게다가, 동시에 홀형 및 슬롯형 노즐들로부터 상기 편물 위로 송풍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홀형 노즐들에 의해서 상기 원하는 증발출력에 도달되고 상기 슬롯형 노즐에 의해서 상기 원하는 줄무늬 발생 방지 또는 이와 유사한 장점이 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이동 슬라이드를, 개별적으로 처리된 편물의 요구에 따라 슬롯 노즐 개구부의 방향 또는 홀형 노즐 개구부의 방향으로 다소 넓거나 좁게 설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동 슬라이드 및 노즐들을 포함하는 상기 송풍면의 구조에 대해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슬롯형 노즐 동작과 홀형 노즐 동작 사이의 선택을 위한 이동 슬라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슬라이드는 상기 송풍면과 유사하게, 홀들 및 적어도 하나의(상기 전체 편물 폭으로 신장하는) 슬롯을 포함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 폭 이상만큼 차이가 나는 슬롯과 홀 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동 슬라이드가 일 위치에서 상기 홀들을 차단하고 또다른 위치에서 상기 슬롯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편물 종방향을 가로질러 신장하는 노즐 슬롯을 차단하고 개방하기 위한 이러한 이동 슬라이드는, 슬롯 동작을 홀 동작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또는 그 반대로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종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슬롯 폭(편물 종방향에서 측정된)만큼 변위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홀들 및 노즐 슬롯의 배치가 상기 송풍면에서와 마찬가지로(또는 동일하게) 구비되는 이동 슬라이드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셔터(shutter)와 같은 특별한 개방 및 폐쇄 매커니즘이 이동 슬라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셔터 이동 슬라이드가 상기 편물 종방향을 가로질러 조정가능해야한다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즐 슬롯이 이동 슬라이드의 일 위치에서 상기 셔터에 의해서 폐쇄되지만 상기 이동 슬라이드의 홀들은 상기 송풍면의 홀들과 합치되고, 이동 슬라이드의 또다른 위치에서는 상기 셔터 및 그에 따라 상기 슬롯이 개방되지만 상기 송풍면의 홀들이 (상기 이동 슬라이드의 면을 통해서) 차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잉 케이스를 상기 홀형 노즐 동작으로부터 상기 슬롯형 노즐 동작으로 혹은 그 반대로 전환하기 위한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전환가능하며, 이동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서 서로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는 통과 홀들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이 상기 슬롯(상기 처리제의 흐름방향으로)의 앞에 위치하므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제 스트림이 상기 슬롯형 노즐 또는 상기 홀형 노즐들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면은 다수의 홀형 노즐들에 대한 유출 대안 수단으로서 상기 이동 슬라이드의 조정방향으로 신장하는 노즐 슬롯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노즐이 전체 길이 상에서 상기 블로잉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놓이며, 상기 홀형 노즐들에 대해서 오프셋(offset)된 터널 홀들을 구비하고, 터널 홀들은 상기 슬롯에 대한 연결(블로잉 케이스의 내부로부터)을 형성하는 터널 홀들을 가지고 있는 터널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구조에서의 부가적인 장점은, 상기 노즐 슬롯에 대한 접근이 개방될 때, 상기 처리제가 유리하게 각이 진 형태의 터널 홀들을 지나서 노즐 슬롯에 공급되므로, 노즐 슬롯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줄무늬의 형성없이 상대적으로 높은 증발출력이 실현된다.
마지막 구조에서, 상기 (상기 홀형 노즐들에 상응하여) 관통된 이동 슬라이드는 상기 터널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보조적 통과 홀들을 포함해야 하며, 상기 보조적 통과 홀들은 이동 슬라이드의 일 위치에서 상기 터널 홀들과 합치되며 상기 처리제 스트림을 상기 터널 홀들 및 상기 슬롯형 노즐을 통하여 유도한다. 상기 이동 슬라이드는, 즉, 두 가지 유형의 통과 홀들을 포함해야 한다. 그중 하나의 홀 유형은 이동 슬라이드의 일 위치에서 상기 홀형 노즐들과 합치되며, 상기 또다른 홀 유형은 이동 슬라이드의 또다른 위치에서 상기 터널 홀들과 합치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 슬라이드의 통과 홀들의 일부는 이동 슬라이드의 일 위치에서 상기 홀형 노즐들과 합치되고, 상기 이동 슬라이드의 통과 홀들의 또다른 일부는 이동 슬라이드의 또다른 위치에서 상기 터널 홀들과 합치된다.
본 발명을 통해서, 텐터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홀형 노즐 동작 및 상기 슬롯형 노즐 동작에서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텐터기의 전환으로 인해, 가장 신속하게 하나의 처리방식으로부터 또다른 처리방식으로 전환이 가능하고 게다가 중간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품질의 편물을 신속하게 차례대로 하나의 동일한 기계를 사용하여 최적의 증발출력시 줄무늬없이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편물 운반방향을 가로지른 텐터기(tenter frame)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이동 슬라이드 위치를 위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송풍면을 위에서 바라본 도,
도 5 내지 도 8은 다른 형태의 이동 슬라이드를 나타내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은 단면도,
도 9 내지 도 1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이동 슬라이드의 또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
본 발명의 세부사항은 실시예들의 개략적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에서, 텐터기의 종방향에 수직인 수직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텐터기가 작동할 때, 처리할 펼쳐진 편물(1)은 그것의 종방향 가장자리상에, 그것의 운반방향, 즉 종방향으로, 다시 말해 도면의 평면에 대해서 직각인 방향으로 체인(2, 3)에 고정되며, 두 개의 블로잉 케이스(4, 5) 사이에서 수평으로 안내된다. 상기 블로잉 케이스 중 하나의 블로잉 케이스, 즉, 상부 블로잉 케이스(4)는 상기 편물(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또다른 블로잉 케이스, 즉, 상기 블로잉 케이스(5)는 상기 편물(1)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블로잉 케이스(4, 5) 각각은, 상기 편물(1)에 평행하게, 팬(fan)(8)을 사용하여 가속화된 처리제 스트림(9)을 상기 편물(1)로 안내하는 데에 사용되는 송풍면(6 또는 7)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블로잉 케이스(5)로부터 상기 처리제 스트림(9)의 부분 스트림(11)이 하부로부터 상기 편물(1)에 영향을 미치는 동안에, 상기 상부 블로잉 케이스(4)를 사용하여 노즐로부터(도 1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 부분 스트림(10)이 상부로부터 상기 편물(1)로 향한다. 상기 부분 스트림(10, 11)은 상기 편물(1)에서 반사되거나 상기 편물(1)을 관류하고 나서, 예를 들어, 상기 각각의 블로잉 케이스(4, 5)의 슬롯들(도시도지 않음)을 통해서, 귀환 스트림(12, 13)으로서 종종 스크린(screen)(14) 및 열 교환기(15)에 의하여 상기 팬(8)으로 복귀하도록 흐른다.
도 1에 따른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와는 달리, 약간의 기본적 차이점이 다수 존재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제적인 본 발명, 즉, 선택적으로 홀형 노즐 동작 및 슬롯형 노즐 동작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으로서, 상기 상부 블로잉 케이스(4)의 부분 및 상기 편물(1)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블로잉 케이스가 가정되는데, 상기 블로잉 케이스의 송풍면(6)은 다수의 홀형 노즐들(17) 및 적어도 하나의 슬롯형 노즐(18)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상응하여 상부 블로잉 케이스(4)의 송풍면(6)의 부분도를 나타낸다. 상기 편물(1)의 종방향, 즉 운반방향(19)은 화살표로 특징지워진다. 상기 홀형 노즐들(17)은 홀형 노즐들이 열(20)을 지어서 배치되는데, 상기 홀형 노즐들의 열(20)은 실질적으로 상기 편물 종방향(19)에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슬롯형 노즐(18)의 종 구역을 가로질러 위치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블로잉 케이스의 내부(21)를 향하고, 그것의 전체 길이를 걸쳐 슬롯형 노즐(18)과 통로를 만드는 터널(22)이 제공되는데, 터널(22)은 종방향(19)에 가로지르는 홀형 노즐(17)에 대하여 오프셋되고 슬롯형 노즐(18)에 연결을 형성하는 터널 홀(23)을 가진다. 상기 블로잉 케이 스의 내부(21)에는 이동 슬라이드(24)가 존재한다.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상기 슬롯형 노즐(18)의 슬롯의 종방향(25)으로 상기 송풍면(6)에 대해서 조정가능하다.(상기 종방향(19)에 평행하게 밀어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두 가지 유형의 통과 홀들을 포함한다. 즉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이동 슬라이드의 일 위치(상기 슬롯의 종방향(25)에서의 동작)에서 상기 홀형 노즐들(17)과 합치되는 통과 홀들(26) 및, 이동 슬라이드의 또다른 위치에서 상기 터널 홀들(23)과 합치되는, 즉 상기 터널 홀들(23)을 상기 처리제 스트림(9)의 통과를 위해서 개방하는 통과 홀들(27)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상기 홀형 노즐들(17) 및 상기 터널 홀들(23)은 상기 슬롯의 종방향(25)에서 서로 오프셋되어 도시된다. 반면에, 상기 이동 슬라이드(24)의 통과 홀들(26, 27)은 각각 일렬로(상기 종방향(19)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그 대신에, 상기 홀형 노즐들(17) 및 상기 터널 홀들(23)도 일렬로 상기 종방향(19)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과 홀들(26, 27)은 이에 상응하게 이전되어 슬롯의 종방향(25)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위치도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자체의 하나의 종 위치에서 상기 홀형 노즐들(17)을 차단해야 하지만, 상기 터널 홀들(23)을 상기 처리제 스트림(9)의 관류를 위해서 개방해야 하며, 또다른 종 위치에서는 상기 홀형 노즐들(17)을 개방하지만, 상기 터널 홀들(23)을 차단할 수 있다. 첫번째 경우, 상기 처리제 스트림(9)은 상기 터널 홀들(23) 및 상기 슬롯형 노즐(18)을 지나서 상기 편물(1)의 방향으로 흐른다. 또다른 경우에, 상기 처리제 스트림(9)은 상기 홀형 노즐들(17)를 관류하여 마찬가지로 상 기 편물(1)로 흐른다.
도 5 및 도 6에는, 마찬가지로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으로서, 물론 도 2 및 도 3에 대한 상기 이동 슬라이드(24)의 변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블로잉 케이스(4)에는 다시, 슬롯형 노즐(18)의 대안으로 상기 홀형 노즐들(17)이 가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두 개의 부분(24a, 2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경우에서 처리제 스트림(9)의 통과를 위하여 상기 홀형 노즐들(17) 또는 상기 슬롯형 노즐(18)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사용하여, 상기 두 개의 부분들(24a 24b)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처리할 편물의 종방향(19)에 평행하게 밀어 움직여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이동 슬라이드 부분들(24a, 24b)용 조정 메카니즘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 메카니즘의 기능방식은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드 부분은 핀 안내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안내부(28)는 상기 종방향(19)에 대해서 경사지며 동시에 대략 상기 편물 종방향(19) 및 상기 슬롯의 종방향(25)에 대해 대각선으로 위치한다. 상기 각각의 안내부(28)를 통해서 핀(29)가 돌출하며, 상기 핀(29)은 상기 블로잉 케이스(4)에 고정된다. 어떤 외부의 활성제를 통해서 상기 이동 슬라이드 부분들(24a, 24b)를 상기 핀(29)에 대해서 슬롯의 종방향(25)으로 당기거나 밀 경우에, 상기 이동 슬라이드 부분들(24a, 24b)의 서로 대향된 세로 에지들(30, 31)은 겹쳐서 밀리거나(도 7) 잡아당겨 늘린다(도 8). 첫번째 경우, 상기 홀형 노즐들(17)(예를 들어, 상기 이동 슬라이드 부분들(24a, 24b)의 평면에 구비된 홀들을 사용하여)이 개방되고 상기 슬롯형 노즐(18)(상기 세로 에지들(30, 31) 을 충돌하거나 중첩하여)이 차단된다. 또다른 경우에는(도 8), 상기 홀형 노즐들(17)(예를 들어, 상기 각각의 이동 슬라이드 부분들(24a, 24b)의 평면부를 통해서)이 차단되고 상기 슬롯형 노즐(18)은 개방된다.
홀형 노즐들(17)을 슬롯형 노즐(18)로 교체하는 메커니즘 및 그 반대로 수행되는 메커니즘의 또다른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대체로 도시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블로잉 케이스(4)의 슬롯형 노즐(18)에 의해서 루버 플랩(louver flaps)(32)이 피벗 조인트(33)에 고정된다. 상기 루버 플랩(32)을 작동하기 위해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슬라이드(24)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 슬라이드(24)에는 상기 루버 플랩(32)이,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식으로, 예를 들어 베어링(3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피벗 조인트(33)는 예를 들어, 상기 슬롯형 노즐(18)의 양측으로 상기 블로잉 케이스(4)의 송풍면(6)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회전 축들은 거의 상기 슬롯의 종방향(25)을 가로질러 위치한다.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25a)으로 당기면, 상기 처리제 스트림(9)를 위한 통로가 개방된다. 도 11은 상기 슬롯형 노즐(18)을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루버 플랩(32)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25b)으로 당기면, 이에 상응하게 상기 루버 플랩(32)은 상기 송풍면(6) 및 상기 슬롯형 노즐(18) 상에 편평하게 배치되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롯형 노즐(18)은 상기 처리제 스트림(9)의 통과에 있어서 차단된다.
동시에, 도 9 내지 도 12에 따른 이동 슬라이드(24)를 사용하여 상기 홀형 노 즐들(17)을 (양자택일적으로 또는 슬롯에 반대방향으로)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 슬라이드는 상기 루버 플랩 베어링(34)의 양측상에 통과 홀들(26)로 구비된다(상기 설명한 실시예 참조). 상기 통과 홀들(26)은, 도 9 및 도 11에 따라 루버 플랩(32)이 들어올려질 때 상기 홀형 노즐들(17) 옆에 위치하므로, 상기 홀형 노즐들(17)은 상기 이동 슬라이드(24)의 표면에 의해서 폐쇄되고, 또한 도 10 및 도 12에 따라, 루버 플랩(32)이 편평하게 위치할 때 상기 홀형 노즐들(17)과 합치되므로, 상기 처리제 스트림(9)은 상기 홀형 노즐들(17)을 관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에 위치한 이동 슬라이드(24)(상기 블로잉 케이스(4)의 내부에서)는 공간적으로 고정된 블로잉 케이스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상기 상대적인 동작만이 중요한데, 기본적으로 상기 외부의 송풍면(6)도 상기 홀형 노즐들(17) 및 상기 슬롯형 노즐(18)을 사용하여 내부 부분에 대해서 밀어 움직여질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통과 홀들(26, 27)을 사용하여 화살표 방향(25)으로 밀어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즉 이동 슬라이드 및 송풍면이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터기가 체인(2, 3)을 사용하여 상기 종방향, 즉 운반방향(19)을 가로질러 펼쳐진 편물(1)을 포함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같은 텐터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체인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는, 즉 서스펜션 건조기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편물(1)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만 블로잉 케이스(4 또는 5)를 포함하는 건조기에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편물은 스크린 벨트(screen belt)를 사용하여 상기 처리지대를 통과하여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적용 과는 상관없이, 예를 들어 용지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건조시킬 때에도, 그리고 상기 기계의 구조로부터, 예를 들어, 다단계 기계에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중요한 점은, 처리된 편물의 운반 방향에 가로질러 뻗는 어떤 종류의 슬롯형 노즐이라도 거의 조작하지 않고서도 홀형 노즐로 교체되거나 그 반대로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텐터기(tenter frame)"의 개념은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해서 가능한 모든 전술한 기계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목록
1 편물
2,3 체인
4,5 블로잉 케이스
6,7 송풍면
8 팬
9 처리제 스트림
10,11 부분 스트림
12,13 귀환 스트림
14 스크린
15 열 교환기
17 홀형 노즐
18 슬롯형 노즐
19 종방향(1)
20 홀형 노즐들의 열
21 블로잉 케이스의 내부
22 터널
23 터널 홀
24 이동 슬라이드
25 슬롯의 종방향
26, 27 통과 홀들(24)
28 안내부(29)
29 핀
30, 31 세로 에지들(24a, 24b)
32 루버 플랩
33 회전 조인트
34 베어링

Claims (11)

  1. 처리제 스트림(9)을 통하여,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유형의 노즐로부터 선택적으로, 종방향(19)으로 펼쳐져 이동하는 편물(1)을 처리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편물면에 평행하게 신장하는 송풍면(6)에 구비되며,
    각각의 경우에 따라 원하는 노즐 유형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블로잉 케이스(4)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이동 슬라이드(24)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통과 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통과 홀들은 이동 슬라이드의 일 위치에서 상기 일 노즐 유형을 통해서 상기 처리제 스트림(9)의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고, 또 다른 이동 슬라이드 위치에서 또 다른 노즐 유형을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며,
    다수의 홀형 노즐(17)에 대한 유출 대안 수단으로서, 상기 종방향(19)에서 상기 편물(1)의 폭으로 신장되는 하나의 슬롯형 노즐(18)이 상기 송풍면(6)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슬라이드(24)에 의하여 각각 개방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 슬라이드의, 바람직하게는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각각 개방되거 나 차단되는 통과 홀들(23, 27)로 구성되고 개폐가능한 시스템이 상기 처리제 스트림(9)의 흐름방향으로 상기 슬롯형 노즐(18)의 앞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홀들(23)은 높은 증발출력을 발생하기 위해서 각이 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 종방향(19)을 가로질러 상기 이동 슬라이드(24)의 조정방향(25)으로 신장하는 하나의 슬롯형 노즐(18)이 다수의 홀형 노즐들(17)에 대한 유출 대안 수단으로서, 상기 송풍면(6)에 구비되며,
    상기 슬롯형 노즐(18)이 전체 길이 상에서 상기 블로잉 케이스의 내부(21)쪽으로 놓여지며,
    상기 홀형 노즐들(17)에 대해서 오프셋되고 상기 슬롯형 노즐(18)에 대한 연결을 형성하는 터널 홀들(23)을 포함하는 터널(22)이 구비되는 것(도 2 내지 도 4)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상기 터널(22)에 인접하는 자체의 영역에서 통과 홀들(27)을 포함하며,
    상기 통과 홀들(27)은 이동 슬라이드의 일 위치에서 상기 터널 홀들(23)과 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두 가지 유형의 통과 홀들(26, 27)을 포함하며,
    그 중 하나의 유형은 이동 슬라이드의 일 위치에서 상기 홀형 노즐들(17)과 합치되며,
    다른 하나의 유형은 또다른 이동 슬라이드 위치에서 상기 터널 홀들(23)과 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형 노즐들(17)과 합치되는 통과 홀들(26)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형 노즐(18)의 종방향(25)을 가로지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슬라이드(24)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라이드(24)의 통과 홀들(26)이 상기 홀형 노즐들(17)과 합치될 때,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바람직하게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슬롯형 노즐(18)을 차단하며, 상기 이동 슬라이드(24)가 상기 슬롯형 노즐(18)을 개방할 때,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상기 홀형 노즐들(17)을 차단하는 것(도 5 내지 도 8)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 노즐(18)의 양측으로 상기 이동 슬라이드(24)의 각각 하나의 부분(24a, 24b)이 배치되며,
    상기 이동 슬라이드 부분들(24a, 24b)은 상기 슬롯의 종방향(25)을 가로지른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하여,
    상기 이동 슬라이드 부분들(24a, 24b)은, 서로 대향한, 자체의 세로 에지들(30, 31)을 사용하여 상기 슬롯형 노즐(18)을, 바람직하게는 겹쳐지도록 덮거나, 상기 슬롯으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자체의 평면부를 사용하여 상기 홀형 노즐들(17)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자체의 평면에서 통과 홀들(26)을 포함하며,
    상기 통과 홀들(26)은 상기 슬롯의 종방향(25)에 평행한 앞선 위치에서 상기 홀형 노즐들(17)과 합치하며,
    상기 이동 슬라이드(24)는 루버 플랩(32)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루버 플랩(32)은, 상기 홀형 노즐들(17)이 개방될 때, 상기 슬롯형 노즐(18)을, 바람직하게는 반대방향으로 폐쇄하고, 상기 홀형 노즐들(17)이 폐쇄될 때 상기 슬롯형 노즐(18)을 개방하는 것(도 9 내지 도 12)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라이드(24a, 24b)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5 내지 도 8)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노즐 유형들의 반대방향의 개구부 또는 차단부는, 상기 편물(1)에 영향을 미치는, 특히 일정하게 유지되는 처리가스의 소정의 총체적 흐름에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KR1020067005397A 2003-09-19 2004-09-08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KR20060080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3407A DE10343407B4 (de) 2003-09-19 2003-09-19 Düsenblaskasten eines Spannrahmens
DE10343407.0 2003-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932A true KR20060080932A (ko) 2006-07-11

Family

ID=3430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397A KR20060080932A (ko) 2003-09-19 2004-09-08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62062A1 (ko)
EP (1) EP1685288A1 (ko)
KR (1) KR20060080932A (ko)
CN (1) CN1853011A (ko)
DE (1) DE10343407B4 (ko)
TW (1) TW200512430A (ko)
WO (1) WO2005028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5673A1 (de) * 2005-12-07 2007-06-14 Goller Textilmaschinen Gmbh Einstellbare düse
KR101678208B1 (ko) 2008-06-30 2016-11-21 톰슨 라이센싱 비디오 화상 내의 레이아웃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감소된 크기의 화상을 생성하는 방법
KR101229347B1 (ko) * 2012-09-05 2013-02-05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EP2731074A1 (en) 2012-11-13 2014-05-14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reframing an image based on a saliency map
CN113091434A (zh) * 2021-03-23 2021-07-09 河南晶鑫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脱水网拉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6156B (de) * 1961-03-09 1965-07-08 Artos Maschb Dr Ing Meier Wind Duesenausbildung fuer kombinierte Spannrahmen- und Schwebetrockner
AT362227B (de) * 1979-07-02 1981-04-27 Andritz Ag Maschf Materialbahntrockner
DE3427018A1 (de) * 1984-07-21 1986-01-30 Mohr Maschinen- und Apparatebau-Gesellschaft mbH & Co., 7182 Gerabronn Verstellung von schlitzduesen in einer waermebehandlungsanlage
DD255201B5 (de) * 1986-12-19 1994-03-10 Textilmaschinenbau Gera Gmbh Vorrichtung zur waermebehandlung von warenbahnen, insbesondere textilbahnen
US5156312A (en) * 1989-12-29 1992-10-20 Somerset Technologies, Inc. Flotation nozzle for web handling equipment
US6397495B1 (en) * 1999-12-30 2002-06-04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Web steering air flotation device for print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8733A1 (de) 2005-03-31
US20070062062A1 (en) 2007-03-22
DE10343407B4 (de) 2006-02-16
EP1685288A1 (de) 2006-08-02
CN1853011A (zh) 2006-10-25
TW200512430A (en) 2005-04-01
DE10343407A1 (de)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316B1 (ko) 진공롤 이송 장치 및 웹 이송 방법
US4467537A (en) Equipment for heat-treating flat, band-like lengths of material
JP5501487B2 (ja) テンターの熱風噴射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テンターの熱風噴射装置
EP3699346A1 (en) Tumbler apparatus for textile fabric
US6648634B2 (en) Thermoshrinking tunnel oven for making thermoshrinking plastic material film package and the packaging method performed thereby
DE4331496C2 (de) Ebenes Düsensystem
US89928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d depositing synthetic fibers to form a nonwoven web
US20180354346A1 (en) Air vent for a vehicle
KR20060080932A (ko) 텐터기의 노즐 블로잉 케이스
FI92229B (fi) Menetelmä ja laite perälaatikon säädössä
KR100444110B1 (ko) 종이웨브또는등가물상의코팅을건조시키는방법및장치
US4664022A (en) Perfected air inlet
US6073368A (en) Drying and/or fixing device
KR100272749B1 (ko) 직물 피륙용 송풍장치
US4621440A (en) Convection dryer and/or fixing machine
IT9020337A1 (it) Disposizione di ugello in una scatola di soffiaggio di una macchina per carta
DE10048357A1 (de) Heisslufttocknungssystem
JP3212246U (ja) 走行する繊維ウェブの非接触処理のための装置のノズル
US6192711B1 (en) Device for transport and cooling of glass panes
US4132363A (en) Nozzle for producing a wide liquid jet
DE4026107A1 (de) Konvektions-trocken und/oder -fixiermaschine
EP1642073B1 (de) Umluftofen
DE10333483B4 (de) Verfahren zur Wärmebehandlung einer Warenbahn und Behandlungsvorrichtung
US20010034955A1 (en) Relaxation dryer
KR20050058201A (ko) 직물천의 열처리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