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140A -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140A
KR20060079140A KR1020057019901A KR20057019901A KR20060079140A KR 20060079140 A KR20060079140 A KR 20060079140A KR 1020057019901 A KR1020057019901 A KR 1020057019901A KR 20057019901 A KR20057019901 A KR 20057019901A KR 20060079140 A KR20060079140 A KR 20060079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plate
plate type
type heat
h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097B1 (ko
Inventor
이와오 사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Publication of KR20060079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22Evaporating by bringing a thin layer of the liquid into contact with a heated surface
    • B01D1/221Composite plate evap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B01D5/0015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1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hase-change applications
    • F28D2021/0066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hase-change applications with combined condensation and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수를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로 비등 증발시키고, 다음으로, 기액 분리탱크(4)에서 분리한 수증기를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로 응축해서 담수를 제조하는 플레이트식 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의 소형·경량화 및 담수제조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지지판(1)의 한쪽의 측면(1a)에는,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 및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를,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로부터의 비등수 출구 포트(6) 및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로의 수증기 입구 포트(9)가 지지판(1)의 다른쪽의 측면(1b)에 개구하도록 설치한다. 지지판(1)의 다른쪽의 측면(1b)에는, 기액 분리탱크(4)를, 그 내부에 비등수 출구 포트(6) 및 수증기 입구 포트(9)가 직접적으로 개구하도록 설치한다.

Description

플레이트식 조수장치{PLATE TYPE FRESH WATER GENERATOR}
본 발명은, 해수 등을 원료수로 하고, 이 원료수를 가열해서 비등 증발시키고,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축함으로써 담수를 제조하도록 한 조수장치 중, 상기 원료수의 가열 증발과 수증기의 응축에, 전열판 복수장을 그 사이에 유체의 통로가 형성되게 적층함으로써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사용한 플레이트식 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로서의 일본 특허공개 평9-299927호 공보에는, 이러한 종류의 플레이트식 조수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즉, 이 플레이트식 조수장치는, 지지판에 있어서의 표리 양면 중 한쪽의 면에, 열교환 플레이트 복수장을 그 사이에 유체통로가 형성되게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와, 동일하게, 열교환 플레이트 복수장을 그 사이에 유체통로가 형성되게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다른쪽의 면에 원통형으로 된 기액 분리탱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원료수를, 디젤기관에 있어서의 순환 냉각수 등을 열원으로 하여 가열함으로써 비등 증발시키고, 이 비등 증발된 농축 원료수 및 수증기를 상기 기액 분리탱크 내에 도입하고, 이 기액 분리탱크 내에 있어서 분리한 수증기를, 상 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도입하여, 여기서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함으로써, 담수를 제조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플레이트식 조수장치는,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비등 증발된 비등수 즉 농축 원료수 및 수증기를, 단면 원형의 파이프 배관을 통해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와는 상기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기액 분리탱크 내에 도입하는 한편, 상기 기액 분리탱크 내에서 분리된 수증기를, 동일하게 단면 원형의 파이프 배관을 통해서 상기 기액 분리탱크와는 상기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비등 증발에 의해 발생된 비등수 중 수증기가, 원형 파이프를 통해서 기액 분리탱크 내에 유입된 후 이 기액 분리탱크 내에서 다시 원형 파이프를 통해서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도입되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의 흐름의 압력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이 큰 압력손실의 정도만큼, 원료수의 증발량, 즉, 담수의 제조량이 낮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기액 분리탱크가, 원통형인 것에 의해, 이것이 부착되는 스탠드 지지판으로부터 크게 돌출하게 되므로, 전체가 매우 대형화되고, 또한, 중량을 커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플레이트식 조수장치의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그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일단 상부의 코너부에,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부터의 비등수(농축 원료수 및 수증기)의 출구가 위치하는 한편, 그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타단 하부의 코너부에,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의 원료수의 공급구멍이 위치한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 각 열교환 플레이트의 사이에 있어서의 유체통로 중 원료수가 유입되어 비등 증발되는 원료수 통로 내에 있어서는, 그 일단 하부에 있어서의 코너부 및 타단 상부의 코너부에, 상기 원료수의 흐름에 정체가 발생하는 것과 같이, 흐름이 불균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 플레이트의 전체면을 열교환을 위해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고, 그 정도만큼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인 스케일 발생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해소한 플레이트식 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국면은, 지지판에 있어서의 한쪽의 면측에, 원료수를 가열용 유체와의 열교환으로 비등 증발시키는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와, 수증기를 냉각용 유체와의 열교환으로 응축시키는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지지판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면측에, 원료수와 수증기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탱크를 각각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식 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각 원료수 통로로부터의 비등수 출구통로에 연통하는 비등수 출구 포트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각 수증기 통로로의 수증기 입구통로에 연통하는 수증기 입구 포트를, 상기 지지판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면에 개구하도록 형성하는 한편, 상기 기액 분리탱크를, 상기 지지판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면에,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상기 비등수 출구 포트 및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상기 수증기 입구 포트가 상기 기액 분리탱크 내에 직접 개구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서 비등 증발된 비등수, 즉 수증기 및 농축 원료수를, 선행기술과 같이 파이프 배관을 경유하는 일없이, 기액 분리탱크 내에 직접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액 분리탱크 내에서 분리된 수증기를, 선행기술과 같이 파이프 배관을 경유하는 일없이,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직접적으로 도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기액 분리탱크 내를 거쳐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의 수증기 흐름의 압력손실을 대폭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압력손실을 낮게 할 수 있는 정도만큼, 원료수의 증발량, 즉 담수의 제조량의 증대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액 분리탱크는, 파이프 배관을 통하는 일없이, 지지판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보다, 전체를 대폭적으로 소형·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국면은, 상기 제1의 국면에다가,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통로 및 이것이 연통하는 비등수 출구 포트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수증기 입구통로 및 이것이 연통하는 수증기 입구 포트를, 서로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홈구멍의 형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우선 제1에, 상기 기액 분리탱크 내에 있어서,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 포트로부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수증기 입구 포트에 이르기까지의 거리가, 선행기술과 같이 원형으로 한 경우보다 매우 짧아진다. 제2에, 상기 기액 분리탱크 내에서의 상기 비등수 출구 포트로부터 상기 수증기 입구 포트로의 수증기의 흐름도, 선행기술과 같이 원형으로 한 경우보다 원활해짐과 아울러,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각 원료수 통로 내, 및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각 수증기 통로 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진다. 제3에,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통로 및 이것이 연통하는 비등수 출구 포트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수증기 입구통로 및 이것이 연통하는 수증기 입구 포트에 있어서의 통로 단면적을, 선행기술과 같이 원형으로 한 경우보다 매우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3개의 작용이 서로 어울려서, 수증기의 흐름의 압력손실을 한층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원료수의 증발량, 즉 담수의 제조량의 증대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국면은, 상기 제1 또는 제2의 국면에다가,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통로 및 이것이 연통하는 비등수 출구 포트를,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상단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의 부위에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각 원료수 통로로의 원료수 입구통로를, 2개 이상으로 하여,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하단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가 소형일 경우에 있어서는, 원료수가 하측의 부분으로부터 상측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의 부분을 향해 비등 증발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하측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 및 상측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에 있어서, 원료수의 흐름에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열교환 플레이트의 전체면을 열교환을 위해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그 정도만큼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인 스케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국면은, 상기 제1 또는 제2의 국면에다가,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통로를, 가로로 긴 홈구멍의 형태로 하여, 이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상단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의 부위에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각 원료수 통로로의 원료수 입구통로가,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하단의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가 소형일 경우에 있어서는, 각 원료수 통로로부터 비등수 출구통로로의 비등수의 유입이 가로방향의 각 부분에서 행해지게 되기 때문에, 하측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 및 상측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에 있어서, 원료수의 흐름에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국면은, 상기 제1~제4 중 어느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열교환 플레이트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열교환 플레이트를, 일체의 열교환 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와,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가 일체적인 구조로 되기 때문에, 더 나은 소형·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열교환 플레이트의 프레스 가공을 일거에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지면 등으로부터 스탠드 식으로 세워 설치한 지지판을 나타내고, 이 지지판(1)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면(1a)에는, 그 하부에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가, 그 상부에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지지판(1)에 있 어서의 다른쪽의 측면(1b)에는, 기액 분리탱크(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면(1a)에,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된 얇은 금속판제의 열교환 플레이트(2a) 복수장과 밀봉체(2b) 복수장을 교대로 적층하고, 이 적층체를 그 일단면에 배치한 면판(2c)을 복수개의 볼트(2d)로 상기 지지판(1)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각 열교환 플레이트(2a)의 사이에, 원료수 통로(2e) 복수개와, 가열 유체 통로(2f) 복수개를 교대로 형성한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의 내부에는, 상기 각 원료수 통로(2e)에 연통하는 2개 이상의 원료수 입구통로(2g)가 그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하측의 좌우 양 코너부의 부분에, 상기 원료수 통로(2e)에 연통하는 비등수 출구통로(2h)가 그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상측의 대략 중앙의 부분에 각각 적층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의 내부에는, 상기 각 가열 유체 통로(2f)에 연통하는 1개 이상의 가열 유체 입구통로(2i)가, 그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일단부측의 부위에, 상기 각 가열 유체 통로(2f)에 연통하는 1개 이상의 가열 유체 출구통로(2j)가, 그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타단부측의 부위에 각각 적층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면(1a)에,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된 얇은 금속판제의 열교환 플레이트(3a) 복수장과 밀봉체(3b) 복수장을 교대로 적층하고, 이 적층체를 그 일단면에 배치한 면판(3c)을 복수개의 볼트(3d)로 상기 지지판(1)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각 열교환 플레이트(3a)의 사이에, 수증기 통로(3e) 복수개와, 냉각 유체통로(3f) 복수개를 교대로 형성한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의 내부에는, 상기 각 수증기 통로(3e)에 연통하는 1개의 수증기 입구통로(3g)가 그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상측의 대략 중앙의 부분에, 상기 수증기 통로(3e)에 연통하는 2개 이상의 응축수 출구통로(3h)가 그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하측의 좌우 양 코너부의 부분에 각각 적층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의 내부에는, 상기 각 냉각 유체통로(3f)에 연통하는 1개 이상의 냉각 유체 입구통로(3i)가 그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일단부측의 부분에, 상기 각 냉각 유체통로(3f)에 연통하는 1개 이상의 냉각 유체 출구통로(3j)가 그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타단부측의 부분에 각각 적층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에는,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각 원료수 입구통로(2g)에 연통하는 원료수 입구 포트(5), 비등수 출구통로(2h)에 연통하는 비등수 출구 포트(6), 가열 유체 입구통로(2i)에 연통하는 가열 유체 입구 포트(7) 및 가열 유체 출구통로(2j)에 연통하는 가열 유체 입구 포트(8)를, 이들 각 포트(5~8)가 지지판(1)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측면(1b)에 개구하도록 설치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1)에는,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에 있어서의 수증기 입구통로(3g)에 연통하는 수증기 입구 포트(9), 각 응축수 출구통로(3h)에 연통하는 응축수 출구 포트(10), 냉각 유체 입구통로(3i)에 연통하는 냉각 유체 입구 포트(11) 및 냉각 유체 출구통로(3j)에 연통하는 냉각 유체 출구 포트(12)를, 이들 각 포트(9~12)가 지지판(1)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측면(1b)에 개구하도록 설치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통로(2h) 및 비등수 출구 포트(6)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에 있어서의 수증기 입구통로(3g) 및 수증기 입구 포트(9)를, 각각 가로방향으로 긴 홈구멍의 형태로 함과 아울러, 상기 비등수 출구통로(2h) 및 비등수 출구 포트(6)에 있어서의 긴 홈구멍과, 상기 수증기 입구통로(3g) 및 수증기 입구 포트(9)에 있어서의 긴 홈구멍을, 이들이 서로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측면(1b)에, 상기 기액 분리탱크(4)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이 기액 분리탱크(4)에 1개의 측면을 개방하여, 이 개방한 측면이 상기 지지판(1)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측면(1b)에 밀착하고, 상기 비등수 출구 포트(6) 및 상기 수증기 입구 포트(9) 양쪽이 기액 분리탱크(4) 내에 직접적으로 개구하도록, 플랜지 접합으로 설치한다.
기액 분리탱크(4)의 바닥부에는 농축 원료수의 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기액 분리탱크(4)의 내부 중 상기 비등수 출구 포트(6)와 상기 수증기 입구 포트 (9) 사이의 부분에는, 수증기 중의 물방울을 포집하기 위한 물방울 제거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원료수는 원료수 입구 포트(5) 및 원료수 입구통로(2g)로부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각 원료수 통로(2e) 내에 유입되고, 여기서, 이웃하는 가열 유체 통로(2f) 내를 흐르는 가열 유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비등 증발된다.
이 비등 증발에 의해 발생한 비등수, 즉 수증기 및 농축 원료수는, 비등수 출구통로(2h) 및 비등수 출구 포트(6)를 통해서 기액 분리탱크(4) 내에 도입되고, 여기서, 수증기와 농축 원료수로 분리되고, 분리된 농축 원료수는 출구(13)로부터 배출되는 한편, 분리된 수증기는,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에 있어서의 각 수증기 통로(3e) 내에, 수증기 입구 포트(9) 및 수증기 입구통로(3g)를 통해서 유입되고, 여기서, 이웃하는 냉각 유체통로(3f) 내를 흐르는 냉각 유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응축수가 되어, 응축수 출구 포트(10)로부터 기기 밖으로 취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 포트(6) 및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에 있어서의 수증기 입구 포트(9)는, 기액 분리탱크(4) 내에 직접적으로 개구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로부터 상기 기액 분리탱크(4) 내를 경유하여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의 수증기 흐름의 압력손실이 대폭적으로 낮아진다.
또한, 이 수증기 흐름의 압력손실은,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통로(2h) 및 비등수 출구 포트(6)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에 있어서의 수증기 입구통로(3g) 및 수증기 입구 포트(9)를, 서로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홈구멍의 형태로 한 것에 의해, 그 사이의 거리가 짧게 됨과 아울러 수증기의 흐름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상기 수증기 흐름의 압력손실을 더한층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는, 그 비등수 출구통로(2h) 및 비등수 출구 포트(6)를,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상단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의 부위에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2개의 원료수 입구통로(2g) 및 원료수 입구 포트(5)가,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하단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원료수는, 하측의 좌우 양 코너부의 부분으로부터 상측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부분을 향해 비등 증발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하측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 및 상측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에, 원료수의 흐름에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원료수 입구통로(2g) 및 원료수 입구 포트(5)를 3개 이상의 복수개 설치하고, 그 중 2개 이상이, 하측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에 위치한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가 비교적 소형일 때에는,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통로(2h)를, 가로로 긴 홈구멍의 형태로 하여, 이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상단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의 부위에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각 원료수 통로(2e)로의 원료수 입구통로(2g)가,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하단의 부위에 위치하면, 각 원료수 통로(2e)로부터 비등수 출구통로(2h)로의 비등수의 유입이 가로방향의 각 부분에서 행해지게 되므로, 하측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 및 상측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에 있어서, 원료수의 흐름에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에 있어서의 각 열교환 플레이트(2a)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에 있어서의 각 열교환 플레이트(2a)를 일체화함으로써, 1장의 열교환 플레이트로 구성한 경우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2)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가 일체적인 구조로 되기 때문에, 더 나은 소형·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지지판에 있어서의 한쪽의 면측에, 원료수를 가열용 유체와의 열교환으로 비등 증발시키는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및 수증기를 냉각용 유체와의 열교환으로 응축시키는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지지판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면측에 원료수와 수증기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탱크를 각각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식 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각 원료수 통로로부터의 비등수 출구통로에 연통하는 비등수 출구 포트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각 수증기 통로로의 수증기 입구통로에 연통하는 수증기 입구 포트를, 상기 지지판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면에 개구하도록 형성하는 한편, 상기 기액 분리탱크를, 상기 지지판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면에,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상기 비등수 출구 포트 및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상기 수증기 입구 포트가 상기 기액 분리탱크 내에 직접 개구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통로 및 이것이 연통하는 비등수 출구 포트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수증기 입구통로 및 이것이 연통하는 수증기 입구 포트를, 서로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홈구멍의 형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트식 조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통로 및 이것이 연통하는 비등수 출구 포트를,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상단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의 부위에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각 원료수 통로로의 원료수 입구통로를, 2개 이상으로 하여,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하단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코너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비등수 출구통로를, 가로로 긴 홈구멍의 형태로 하여, 이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상단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의 부위에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각 원료수 통로로의 원료수 입구통로를,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적층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하단의 부위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열교환 플레이트와, 상기 응축용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열교환 플레이트를, 일체의 열교환 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KR1020057019901A 2003-06-17 2004-04-28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KR101100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1699A JP4400857B2 (ja) 2003-06-17 2003-06-17 プレート式造水装置
JPJP-P-2003-00171699 2003-06-17
PCT/JP2004/006218 WO2004113234A1 (ja) 2003-06-17 2004-04-28 プレート式造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140A true KR20060079140A (ko) 2006-07-05
KR101100097B1 KR101100097B1 (ko) 2011-12-29

Family

ID=3353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901A KR101100097B1 (ko) 2003-06-17 2004-04-28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650166B1 (ko)
JP (1) JP4400857B2 (ko)
KR (1) KR101100097B1 (ko)
CN (1) CN1330581C (ko)
NO (1) NO333791B1 (ko)
TW (1) TWI332485B (ko)
WO (1) WO2004113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8143C2 (sv) * 2005-01-07 2006-09-12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anordning
JP4837287B2 (ja) * 2005-02-03 2011-12-14 株式会社ササクラ 蒸発又は凝縮に使用するプレート型熱交換器
JP5132091B2 (ja) * 2006-06-20 2013-01-30 株式会社ササクラ プレート式造水装置
CN102022928A (zh) * 2009-09-18 2011-04-20 无锡市鑫盛换热器制造有限公司 一种铝制板翅式空气换热器
CN102080867A (zh) * 2009-12-01 2011-06-01 张岩 温度置换式预调温气体交换器
JP5752352B2 (ja) * 2009-12-04 2015-07-22 ワイティーエス・サイエンス・プロパティーズ・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プレート型熱交換器、淡水化装置及び浄水化装置
KR101146105B1 (ko) 2011-10-25 2012-05-16 주식회사 엘에치이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 플레이트
KR101146106B1 (ko) * 2011-10-25 2012-05-16 주식회사 엘에치이 판형 열교환기
CN102826620B (zh) * 2012-09-25 2013-12-04 东莞日之泉蒸馏水有限公司 一种节能型蒸馏水机
CN103712494A (zh) * 2014-01-09 2014-04-09 缪志先 带有气液分离装置的联体盒形层叠换热器
CN103768811B (zh) * 2014-02-26 2016-03-16 山东东阿阿胶股份有限公司 提沫机釜体
CN105753081A (zh) * 2015-07-28 2016-07-13 南通中船机械制造有限公司 分体式板式海水淡化系统及方法
CN105651085B (zh) * 2016-01-26 2017-10-27 睿能太宇(沈阳)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全焊接板式换热器
CN105737647B (zh) * 2016-03-22 2017-11-03 江苏远卓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汽水分离的板式换热器
EP3792581B1 (en) * 2019-09-13 2023-02-22 Alfa Laval Corporate AB Plate heat exchanger for treatment of a liquid feed
FI4155649T3 (fi) * 2019-09-13 2024-05-29 Alfa Laval Corp Ab Lämmönvaihdinlevy ja lämmönvaihdin nestemäisen syötteen käsittelemiseksi
EP3792578B1 (en) * 2019-09-13 2023-08-09 Alfa Laval Corporate AB Heat exchang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for treatment of a liquid feed
EP3792579A1 (en) * 2019-09-13 2021-03-17 Alfa Laval Corporate AB Plate heat exchanger for treatment of a liquid fee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887A (en) * 1974-07-09 1976-01-20 Sharp Kk Shitsukikokantaino seizohoho
JPS6182833A (ja) * 1984-09-29 1986-04-26 Trinity Ind Corp オ−トクレ−ブ
JPH0753517B2 (ja) * 1991-07-11 1995-06-07 三浦工業株式会社 舶用造水装置及びその造水器本体の製造方法
JP3183986B2 (ja) * 1993-03-03 2001-07-09 株式会社ササクラ 真空蒸発式造水装置
US6254734B1 (en) * 1995-03-14 2001-07-03 Hugo H Sephton Barometric evaporation process and evaporator
JP3596642B2 (ja) * 1996-05-14 2004-12-02 株式会社ササクラ プレート式造水装置
CN2527550Y (zh) * 2001-12-19 2002-12-25 天津大学 螺旋卷板式换热件的小型海水淡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33791B1 (no) 2013-09-16
EP1650166A1 (en) 2006-04-26
CN1330581C (zh) 2007-08-08
TW200505801A (en) 2005-02-16
EP1650166A4 (en) 2010-12-08
WO2004113234A1 (ja) 2004-12-29
JP2005007230A (ja) 2005-01-13
CN1809510A (zh) 2006-07-26
TWI332485B (en) 2010-11-01
EP1650166B1 (en) 2016-12-14
NO20060131L (no) 2006-01-09
JP4400857B2 (ja) 2010-01-20
KR101100097B1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097B1 (ko) 플레이트식 조수장치
JP5132091B2 (ja) プレート式造水装置
JP2008534906A (ja) プレート熱交換器
JP5832922B2 (ja) 熱交換器装置
US5587053A (en) Boiler/condenser assembly for high efficiency purification system
EP1867942A2 (en) Condenser
JP4321781B2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KR102478955B1 (ko) 판형 열 교환기, 열 교환 판 및 해수 등의 공급물을 처리하는 방법
KR102654113B1 (ko) 액체 공급물의 처리를 위한 판형 열교환기
KR102553541B1 (ko) 해수와 같은 공급물을 처리하기 위한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CN113167551A (zh) 用于处理诸如海水的进料的板式换热器和换热板
JP2007078326A (ja) 蒸発装置
JP7334340B2 (ja) 液体供給物の処理のためのプレート式熱交換器
CN113710980B (zh) 用于处理供给物的板式热交换器
CN106115823B (zh) 一种焊接式板式造水装置及其制作方法
AU2010289019A1 (en) Plate heat exchanger
CN114341584B (zh) 用于液体进料的处理的板式热交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