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6359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6359A
KR20060076359A KR1020040114750A KR20040114750A KR20060076359A KR 20060076359 A KR20060076359 A KR 20060076359A KR 1020040114750 A KR1020040114750 A KR 1020040114750A KR 20040114750 A KR20040114750 A KR 20040114750A KR 20060076359 A KR20060076359 A KR 20060076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ing number
call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11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6359A/ko
Publication of KR2006007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을 개시한다. 이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최초 발신번호인 자동교환시스템을 통한 호의 전달에 의해 최종 수신자와 전화를 할 경우, 상기 최초 발신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있으면,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최종 수신자의 번호로 갱신하거나, 상기 최초 발신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없을 때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신규 추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최종 수신자 번호를 저장함으로써 실제의 최종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알 수 있다.
최종 수신자 번호, 최초 발신번호, 폰북메모리 갱신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a receiving number of mobile station}
도 1은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에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교환시시템을 통하여 최종 수신자와 호가 연결되더라도 최초 발신번호 대신에 최종 수신자 번호를 메모리부의 통화내역에 저장함으로써 최종 수신자의 번호를 알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 말기(1)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지정한 번호의 단말기로의 정보송신을 위한 중계를 하는 중계기(2)와, 송수신에 의한 정보의 연결을 통하여 가입자 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 중계기(2)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및 통신을 수행하는 사설교환기(3)와,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관리장치(4)와, 상기 사설교환기(3) 외부의 가입자들과 통신을 가능케하는 국설교환망(5)과,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국설교환망(5), 동일 또는 다른 이동통신망에 있는 다른 이동교환기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하는 이동교환기(6) 및 문자메세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제공하는 문자메세지센터(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폰북 통화내역에 최초의 송신번호만을 저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가 자동교환시스템을 통하여 실제의 수신자와 호를 연결하였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실제의 수신자 전화번호를 알 수 없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사전에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상기 착신자와 연결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자동교환시스템, 예를 들어 114와 같은 전화번호안내 서비스, 전화번호변경 서비스 또는 직장 내의 사설 교환(3) 등에 착신한 후 상기 자동교환시스템을 통하여 호가 전달됨으로써 최종 착신자와 연결되는 경우, 해당 교환기, 예를 들어 사설교환기(3)는 상기 최종 통화 자의 전화번호가 아니라 상기 사설교환기(3)의 전화번호를 최종 착신자번호로서 상기 국설교환망(5)을 거쳐 문자메세지센터(7)에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문자메세지센터(7)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에 상기 사설교환기(3)의 전화번호를 송신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최종 통화자와 전화통화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최종 통화자의 가입자 전화번호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교환기를 통한 호의 전달에 의해 최종 수신자와 통화하더라도 최종 수신자의 가입자 전화번호를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정의 최초 발신번호에 호 연결을 시도함에 따라 최종 수신자의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문자메세지서비스를 수신할 것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문자메세지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최종 수신자와의 호가 종료된 후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송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복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최초 발신번호가 폰북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할 것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초 발신번호가 상기 폰북에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신규 발신번호로서 추가할 것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신규 발신번호로서 추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갱신하는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메세지서비스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반 통화모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에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제어부(1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본 발명에 따라 메모리부(12)에 수신/발신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송수신부(13)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음성, 문자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성처리부(14)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상기 송수신부(13)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예를 들어 스피커(SPK)를 통하 여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송수신부(13)에 출력한다. 입력부(15)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키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로 출력한다. 표시부(16)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제어 때 또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 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2)는 폰북 메모리로 사용되는 메모리,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착신번호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10)에서는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입력부(15)를 통하여 원하는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11)는 상기 송수신부(13)를 제어하여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에 호 연결을 시도한다.
이에 따라, 단계(S20)에서는 상기 제어부(11)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16)에 최종 수신자의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문자메세지서비스를 수신할 것인 지 여부를 결정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5)를 통하여 상기 문자메세지서비스를 수 신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나면, 즉 상기 제어부(11)가 상기 문자메세지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S30)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착신자의 호 연결이 공지된 절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1의 국설교환망(5)을 거쳐 자동교환시스템, 예를 들어 114와 같은 전화번호안내 서비스, 전화번호변경 서비스 또는 직장 내의 사설 교환기(3) 등에 착신한 후 상기 자동교환시스템을 통하여 호가 전달됨으로써 최종 착신자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자동교환시스템, 예를 들어 전화번호변경 서비스에 전화를 걸었을 경우, 상기 자동교환시스템은 음성안내에 의해 상기 전화번호가 변경되었음을 고지하고 상기 전화번호로 자동 교환해준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자동교환시스템, 예를 들어 전화번호안내서비스에 전화를 걸었을 경우, 상기 자동교환시스템은 음성안내와 함께 자동교환 여부를 묻고 자동교환이 요청되면 자동교환을 해준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최종 수신자의 호가 연결되고, 통상적인 내용, 예를 통화일시, 통화시간, 발신번호 등의 통화 화면이 상기 표시부(16)상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해당 교환기가 상기 최종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국설교환망(5)을 거쳐 해당 문자메세지센터(7)로 전송하고, 이동교환기(6)는 상기 최종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문자메세지를 상기 문자메세시센터(7)로부터 받은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11)는 송수신부(13)를 거쳐 수신된 상기 최종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표시부(16) 상의 통화 화면에 추가로 표시하도록 한다.
단계(S40)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최종 수신자가 연결된 호가 종료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호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50)에서,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모리부(12)의 폰북메모리에서 검색한다.
단계(S60)에서, 상기 최초 발신번호가 상기 메모리부(12)의 폰북메모리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최초 발신번호가 상기 메모리부(12)의 폰북메모리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70)에서,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1)가 상기 표시부(16)에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5)를 통하여 상기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할 것으로 결정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S8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메모리부(12)의 폰북메모리에서 상기 최초 발신자 번호를 상기 최종 수신자번호로 갱신시킨 후 본 발명의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단계(S70)에서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메모리부(12)의 폰북메모리에서 상기 최초 발신자 번호를 상기 최종 수신자번호로 갱신시키지 않고 본 발명의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S60)에서 상기 최초 발신자 번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90)에서,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메모리부(12)의 폰북메모리에 신규로 추가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11)가 상기 표시부(16)에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신규 추가할 건인지를 묻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5)를 통하여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신규 추가할 것으로 결정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신규 추가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S80)에서 상기 메모리부(12)의 폰북메모리를 갱신하여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신규 추가한다. 반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5)를 통하여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신규 추가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신규 추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메모리부(12)의 폰북메모리를 갱신하지 않고 본 발명의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S20)에서 상기 제어부(11)가 상기 문자메세지서비스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S100)에서 본 발명의 과정이 아닌 일반적인 통화모드를 진행한 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최초 발신번호인 자동교환시스템을 통한 호의 전달에 의해 최종 수신자와 전화를 할 경우, 상기 최초 발신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있으면,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최종 수신자의 번호로 갱신하거나, 상기 최초 발신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없을 때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신규 추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최종 수신자 번호를 저장함으로써 실제의 최종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도 가능함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4)

  1.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정의 최초 발신번호에 호 연결을 시도함에 따라 최종 수신자의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문자메세지서비스를 수신할 것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문자메세지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최종 수신자와의 호가 종료된 후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상기 송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복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최초 발신번호가 폰북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할 것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최종 수신자 번호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발신번호가 상기 폰북에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신규 발신번호로서 추가할 것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신규 발신번호로서 추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최초 발신번호를 갱신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세지서비스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반 통화모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KR1020040114750A 2004-12-29 2004-12-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KR20060076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750A KR20060076359A (ko) 2004-12-29 2004-12-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750A KR20060076359A (ko) 2004-12-29 2004-12-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359A true KR20060076359A (ko) 2006-07-04

Family

ID=3716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750A KR20060076359A (ko) 2004-12-29 2004-12-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63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4956B2 (en) 2008-12-02 2014-04-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rastructure based on broadcasting sign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4956B2 (en) 2008-12-02 2014-04-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rastructure based on broadcasting sign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36427A (zh) 用于车辆的免提设备
JP2002185604A (ja) 電話個人情報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40069072A (ko) 착신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동으로 내려 받는 이동전화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5614357B2 (ja) 電話制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転送制御方法
JP2008022368A (ja) 移動通信端末及び通話切り替え方法
JP2007251332A (ja) 移動体通信端末、着信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41149A (ja) 交換機、電話システム及び中継通信方法
KR1006198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자동 갱신 방법
KR2006007635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번호 관리방법
KR20090094315A (ko) 어드레스 북 레코드의 폰­대­폰 전송
JP2011077755A (ja) サーバ装置、及び着信音管理システム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JP4166674B2 (ja) 端末情報管理装置、端末装置、電子機器装着端末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装着端末情報通知方法
KR100569789B1 (ko)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JP2000013872A (ja) 無線通信装置
JP3978029B2 (ja) メッセージ転送システム、及び回線管理装置
KR1006643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음 제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15053B1 (ko) 문자자동답변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자동문자답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5130B1 (ko) 지능망을 이용한 sm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34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문자 메시지 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JP2000036986A (ja) 無線電話システムの基地局に送受話器が言語選択してアクセスする方法
JPH1198256A (ja) 通信端末機及びディジタル交換機ならびに発信者情報転送システム
JP2002261943A (ja) 携帯電話機
JP5163557B2 (ja) 移動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