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4883A -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및 광학 유닛 - Google Patents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및 광학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4883A
KR20060074883A KR1020050130353A KR20050130353A KR20060074883A KR 20060074883 A KR20060074883 A KR 20060074883A KR 1020050130353 A KR1020050130353 A KR 1020050130353A KR 20050130353 A KR20050130353 A KR 20050130353A KR 20060074883 A KR20060074883 A KR 2006007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ntermediate member
optical
light
op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242B1 (ko
Inventor
사치코 와타나베
마사토 세이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6819A external-priority patent/JP46128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8078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98127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29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 B29C65/1635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at least passing through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i.e. laser transmiss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77Laser beams making use of an absorber or impact modifier
    • B29C65/168Laser beams making use of an absorber or impact modifier placed at the inte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1Non-reactive adhesives, e.g. physically hardening adhesives
    • B29C65/4815Hot melt adhesives, e.g. thermoplastic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35Heat cur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45Radiation curing adhesives, e.g. UV light cur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5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6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of particular form, e.g. being C-shaped, T-shaped
    • B29C65/507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of particular form, e.g. being C-shaped, T-shaped and being composed by one singl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29C65/7805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 B29C65/7814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in the form of inter-cooperating positioning features, e.g. tenons and mort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29C65/78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by setting the gap between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23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by setting the gap between the parts to be joined by using distance pieces, i.e. by using spacers positioned between the parts to be joined and forming a part of the joint
    • B29C65/7829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by setting the gap between the parts to be joined by using distance pieces, i.e. by using spacers positioned between the parts to be joined and forming a part of the joint said distance pieces being integral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formed by a single dot or dash or by several dots or dashes, i.e. spot joining or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in the form of recurring patterns
    • B29C66/229Other specific patterns not provided for in B29C66/221 - B29C66/2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1Three-dimensional joints, i.e. the joined area being substantially non-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4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6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742 - B29C66/744
    • B29C66/7465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03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65/1612Infrared [IR] radiation, e.g. by infrared lasers
    • B29C65/1616Near infrared radiation [NIR], e.g. by YAG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29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 B29C65/1664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making use of several radiators
    • B29C65/1667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making use of several radiators at the same time, i.e. simultaneous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77Laser beams making use of an absorber or impact modif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ens Barrel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부재를 지지 부재에 고정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학 부재와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광을 조사함에 따라 용융하는 중간 부재를 배치한다. 그리고, 광학 부재를 투과시킨 광을 그 중간 부재에 조사함으로써 중간 부재가 용융해서 광학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고정된다.
레이저광, 흡수, 중간 부재, 렌즈

Description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및 광학 유닛{METHOD OF FIX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중간 부재에 의해 렌즈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중간 부재에 의해 렌즈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중간 부재의 다양한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중간 부재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중간 부재의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중간 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9의 (b) 및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인 중간 부재에 의해 렌즈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5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11의 (a)는 도 10에 나타낸 중간 부재에 의한 렌즈 고정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1의 (b)는 도 10의 중간 부재에 의한 렌즈 고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2의 (a) 및 (b)는 도 10에 나타낸 구성 요소가 사용되는 경우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을 각각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5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형상의 중간 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14의 (a) 및 (b)는 도 13에 나타낸 구성 요소가 사용되는 경우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을 각각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6인 광학 부재 고정 방법을 사용한 렌즈 조립체 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6의 (a)는 중간 부재(113)가 렌즈 프레임(112)에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6의 (b)는 렌즈(111)가 렌즈 프레임(112)에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6의 (c)는 렌즈(111)와 렌즈 프레임(112)을 고정할 때의 레이저광의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7은 오목렌즈가 렌즈 프레임에 고정되는 렌즈 조립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8의 (a)는 중간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의 (b)는 중간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의 (c)는 중간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7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을 사용한 렌즈 조립체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렌즈가 중간 부재를 매개로 렌즈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1의 (a)는 도 19에 나타낸 렌즈 프레임에 중간 부재가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1의 (b)는 도 19에 나타낸 렌즈 프레임에 중간 부재 및 렌즈가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2는 도 19에 나타낸 렌즈 프레임에 중간 부재가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8인 광학 부재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중간 부재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4의 (a)는 중간 부재가 렌즈 프레임에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4의 (b)는 렌즈가 렌즈 프레임에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4의 (c)는 렌즈와 렌즈 프레임을 고정할 때의 레이저광의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본 발명은, 촬영 렌즈 등의 광학 부재를 지지 부재에 고정하거나 광학 부재끼리를 고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 고정 방법 및 광학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렌즈와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렌즈를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렌즈 프레임에 탑재한 후, 이 렌즈 프레임의 외주선단부를 열 코킹(heat caulking)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변형시켜, 렌즈 프레임 상에 렌즈를 고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 렌즈 외주부와 렌즈 프레임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렌즈의 표면에서, 렌즈를 렌즈가 위치되는 렌즈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위치 결정 조정 후, 렌즈 측면과 렌즈 프레임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입하여, 렌즈 측면에서 렌즈를 렌즈 프레임 상에 접착하는 방법이 있다.
또, 레이저광 흡수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 렌즈 프레임의 용착면에 렌즈를 접촉시키고, 렌즈를 통해서 레이저광을 렌즈 프레임의 용착면에 조사하여, 렌즈를 렌즈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촬영 렌즈 등의 광학 부재를 지지 부재에 고정하거나 광학 부재끼리를 고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및 광학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제1렌즈에 제2렌즈를 고정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으로서,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사이에, 광에 노출됨으로써 용융하는 중간 부재를 배치하고, 이 중간 부재를 광에 노출함으로써 중간 부재를 용융해서, 제1렌즈와 제2 렌즈를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는, 후술하는 실시형태1~8에서 설명된다.
(실시형태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 10과 12는 광학유리의 렌즈이고, 11은 통합 시에 렌즈(10)와 렌즈(12)의 광입사 및 출사면간에 개재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재의 중간 부재다. 이 중간 부재(11)는 가시광선을 차광하는 재료로 구성된다. 중간 부재(11)는 촬영 광선 이외의 주변부나 구성 부품(도시 생략) 등으로부터의 반사 유해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광학 조리개 기능을 갖는다. 중간 부재(11)는 열을 인가하면 접착력이 증가하는 재료(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이오노머 수지,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이라고 하는 열 용융 시트와 열접착 시트(열경화형)에 근적외광을 현저하게 흡수하는 재료(예를 들면, 카본블랙, 염료나 안료 등의 소정의 착색재)가 혼입된 재료)로 형성된다.
도 2는 렌즈(10)와 렌즈(12) 및 중간 부재(11)가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다. 참조부호 13은 레이저광이며, 근적외광을 후술과 같이 조사하여, 중간 부재(11)의 접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렌즈(10)와 렌즈(12)를 고정하는 것이 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은, 이하와 같은 순서를 따라서 렌즈(10)와 렌즈(12)의 고정을 행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10)가 중간 부재(11)를 매개로 렌즈(12)와 통합된 상태에 있어서는, 가압 장치(도시 생략)로 렌즈(10, 12)와 중간 부재(11)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한다. 이때, 중간 부재(11)가 끼워지는 렌즈(10)와 렌즈(12)의 위치는, 렌즈(10)와 렌즈(12)의 외주 단부에서 위치 결정 조정 프레임(도시 생략)에 의해 광축의 수직방향으로 규제된다. 그 때문에, 중간 부재(11)는 렌즈(10)와 렌즈(12)의 유효 직경 내에 개입하지 않고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폿 형상의 레이저광(13)은 레이저광 조사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렌즈(12)의 광입사 및 출사면은 통해 방사된 후, 렌즈(12)를 투과하여, 중간 부재(11)에 조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부재(11)는 근적외광을 흡수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열이 인가되면 그 접착력이 증가하는 부재이다. 이에 따라, 중간 부재(11)가 레이저광(13)을 흡수하면, 중간 부재(11)의 접착력은 순간적으로 증가한다. 이때, 중간 부재(11)는 렌즈(10, 12)에 접착 고정된다. 또한, 소정의 조사 시간 뒤, 레이저광 조사를 종료시켜서, 렌즈의 고정 공정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중간 부재(11)를 가열하여 렌즈(10, 12)를 직접 고정하므로, 고정밀도로 공간을 절약하며 렌즈(10, 12)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10, 12)를 지지하는 렌즈 프레임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중간 부재(11)와 렌즈(10, 12)간의 접촉부에서는, 가압 장치(도시 생략) 에 의한 렌즈(10, 12)와 중간 부재(11)간의 가압 접촉을 해제하고, 위치 결정 조정 프레임(도시 생략)을 제거하면, 중간 부재(11)의 접착력에 의해 항상 렌즈(10)와 렌즈(12)는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렌즈(10)와 렌즈(12)는 흔들림이 생기지는 않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강한 충격이 인가된 경우에도, 중간 부재(11)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렌즈(10, 12)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렌즈(10, 12)가 중간 부재(11)에 그 조정 위치 상태대로 고정된다.
상기 실시형태1에 있어서, 렌즈(10, 12)와 중간 부재(11)는, 단지 통합된 상태에서 레이저광 조사를 받는 구성으로 설명했다. 하지만, 예를 들면 렌즈(10)가 진공흡인 공구 등에 의해 지지되고, 중간 부재(11)의 위치가 조정되며, 렌즈(12)의 편심 및 경사가 조정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정 후, 레이저를 조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는, 레이저광 조사는 스폿 형상으로 복수 위치에서 행하고 있다. 하지만, 조사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 부재(11)의 형상에 맞춰서 레이저광(13)을 조사해도 된다.
또한, 스폿 형상의 레이저광을 복수 위치에 조사할 경우에는, 중간 부재(11) 위의 균등한 위치 간격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부재(11)의 형상이 통형 등의 링 형상이 아닐 경우, 조사 위치의 간격은, 중간 부재(11)의 각 변의 중간위치에 조사하는 등, 균등한 간격이 아니어도 된다. 이때, 각 스폿 위치는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광의 조사는 복수 위치에 동시에 스폿 조사를 행해도 되고, 레이저광을 동시에 조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각선으로 배치된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스폿 형상을 조사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동일 간격의 3위치(서로에 대해 120도로 배치)에 동시에 레이저광을 조사한 후, 레이저광의 조사 방향을 시계회전방향이나 반시계회전방향으로 60도 회전시켜서, 합계 6위치에서 고정을 행하는 등으로, 렌즈(10, 12) 또는 레이저광 조사위치를 회전시켜서 고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이에 더해서, 레이저광 조사 각도는, 레이저광이 중간 부재(11)의 표면에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설치해도 된다. 레이저광은 수직으로만 조사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복수 위치를 동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인 경우는, 레이저광이 렌즈(10, 12)의 위치 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시간차이로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차이는, 예를 들면 수십ms~수백ms이다.
또한, 상기 렌즈는 유리재료 또는 수지재료로 만들어지더라도, 그 렌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관해서는, 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에서 고정이 행해지므로, 렌즈의 외경 치수는 고정밀도로 조정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렌즈는 센터링(centering) 공정이 행해지지 않은 렌즈일 수 있다. 여기서, 센터링 공정은, 렌즈의 곡률 중심과 렌즈의 외형중심을 맞춰서 렌즈의 외경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을 이용하여 렌즈와 렌즈 프레임을 서로 고정할 경우, 렌즈의 외경부에서 렌즈를 렌즈 프레임에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렌즈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서 렌즈를 덮는 렌즈 프레임 형상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렌즈 프레임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프레임(도시 생략)과 렌즈의 고정은, 종래 방법을 이용하여 행해도 되고, 또는 렌즈 지지 부재와 렌즈의 사이에 중간 부재를 배치하는 본 발명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렌즈들을 고정한 후에, 렌즈를 렌즈 지지 부재에 장착해도 된다. 한편, 렌즈 중 하나는 다른 렌즈를 장착하기 전에 렌즈 지지 부재에 장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은, 중간 부재(11)는 두께 수㎛~수십㎛의 시트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정밀도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구성이 된다.
또한, 중간 부재(11)의 융점은 렌즈(10) 및 렌즈(12)의 융점보다도 충분하게 낮기 때문에,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렌즈(10, 12)가 열 영향을 받을 일은 없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렌즈(10)와 렌즈(12)의 위치 결정은, 중간 부재(11)를 매개로 면접촉으로 행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치 결정은 선접촉이나 점접촉으로 행해도 된다.
(실시형태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구성 요소 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렌즈 및 중간 부재가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사용하고, 중간 부재(31)의 표면은 렌즈(30)와 렌즈(32)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곡률에 따른 형상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이 중간 부재(31)는, 평면 시트를 원주 형상으로 펀칭한 후, 렌즈(30)와 렌즈(32)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곡률에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때문에, 중간 부재(31)는, 소정의 주름이 없는 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형상을 따라, 요철이 있는 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은 실시형태1과 거의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30)와 렌즈(32)에 접하는 중간 부재(31)의 면은, 렌즈(30)와 렌즈(32)의 광입사 및 출사면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중간 부재(3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30)와 렌즈(32)에 밀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2에서는, 중간 부재(31)를 형성하는 시트 형상의 부재를 펀칭한 후, 중간 부재(31)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곡률에 따르는 면형상을 형성했다. 하지만, 중간 부재(3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중간 부재(31)의 형상을 다른 방법으로 형성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그 실시형태로서, 중간 부재(31)의 형상을 고정하는 렌즈의 형상에 맞춰서 형성함으로써 도 5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합의 렌즈를 고정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의 (a)는 오목렌즈(50)와 오목렌즈(52)가 중간 부재(51)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의 (b)는 볼록렌즈(53)와 볼록렌즈(55)가 중간 부재(54)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c)는 곡률이 다른 오목렌즈(56)와 볼록렌즈(58)가 중간 부재(57)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렌즈(50)와 오목렌즈(52)를 고정할 경우를 설명한다. 중간 부재(51)는, 오목렌즈(50)와 오목렌즈(52)에 접하는 면이 렌즈 광입사 및 출사면의 곡률에 따른 표면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중간 부재(51)가 오목렌즈(50)와 오목렌즈(52)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볼록렌즈(53)와 볼록렌즈(55)를 고정할 경우나,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곡률이 서로 다른 오목렌즈(56)와 볼록렌즈(58)를 고정할 경우에 있어서도, 각 중간 부재(54, 57)의 표면은 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에 따른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중간 부재와 렌즈의 밀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중간 부재를 다른 형태로 형성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렌즈는 유리재료 또는 수지재료로 만들어지더라도, 그 렌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렌즈는 센터링 공정이 행해지지 않은 렌즈로도 된다.
(실시형태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구성 요소 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다.
실시형태3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은 실시형태1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3에 사용하는 중간 부재(6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부 및 내주부에 각각 노치(notch)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부재(61)는, 소정의 주름이 없는 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형상을 따라, 요철이 있는 렌즈(60, 62)의 광입사 및 출사면과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서는, 중간 부재(61)의 외주부 및 내주부에 각각 노치부를 형성함으로써, 렌즈에 대한 중간 부재(61)의 밀착성을 얻었다. 하지만, 노치부를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8의 (a) 및 (b)는 다른 노치부 형상이나 컷(cut)부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의 (a)는 노치부의 형상, 도 8의 (b)는 컷부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렌즈(60, 62)와 중간 부재(61)는 전체 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 렌즈(60, 62)와 중간 부재(61)는 그 일부분이 접촉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한, 렌즈간의 공기간격에 맞춰서 중간 부재(61)의 두께를 설정하면, 스페이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렌즈와 렌즈의 공기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4)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 도 9의 (b)와 (c)는 렌즈가 중간 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다. 도 9의 (a)는 렌즈(90)와 렌 즈(92) 및 중간 부재(9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b)는 그 고정 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c)는 다른 형상 패턴의 중간 부재(93)를 사용한 렌즈(90)와 렌즈(92)의 고정 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서는 실시형태1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사용하고, 중간 부재(91, 93)가 렌즈(90)를 덮도록 한 형태 또는, 렌즈(90)와 렌즈(92)의 렌즈 외주면을 덮도록 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4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은 실시형태1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서 사용하는 중간 부재(91)는, 렌즈(90)와 렌즈(92)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형상에 따른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렌즈(90)의 외주 단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그 때문에,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90)와 렌즈(92)는 중간 부재(91)에 의해 고정되고, 렌즈(90)의 외주 단면으로부터의 미광(迷光) 등 유효 광속 이외의 광을 차단하는 차광 작용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간 부재(91)는 컷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간 부재(91)는, 소정의 주름이 없는 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 형상을 따라, 요철이 있는 렌즈 표면과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에 나타낸 중간 부재(93)와 같이, 렌즈(90)와 렌즈(92)의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렌즈(90)와 렌즈(92)는 중간 부재(93)에 의해 고정된다. 동시에, 중간 부재는 렌즈(90)와 렌즈(92)의 렌즈 외주 단면에 대한 차 광 작용을 가지고, 렌즈(90)와 렌즈(92)의 렌즈 외주 단면으로부터의 미광 등을 차단한다.
(실시형태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5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다. 도 10에 있어서, 참조부호 100과 102는 렌즈를 가리킨다. 참조부호 101은 통합 시에 렌즈(100)와 렌즈(102)의 사이에 개재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 부재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04는 중간 부재(101)의 외주 단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5는 실시형태1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사용하고, 렌즈(100)와 중간 부재(101)의 고정 위치는, 렌즈(102)와 중간 부재(101)의 고정 위치와 다른 위치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방법으로 고정한 렌즈(100)와 렌즈(10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이 서로 다르다. 또한, 중간 부재(101)의 외주 단부(104)의 직경은, 렌즈(92)의 외경과 거의 가까운 값으로 설정된다. 그 때문에, 중간 부재(101)는, 그 외주 단부(104)가 렌즈(102)의 외주 단부와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중간 부재(101)에 의해 렌즈(100)와 렌즈(102)가 고정된 상태를 도 11의 (a) 및 (b)에 나타낸다. 도 11의 (a)는 중간 부재(101)에 의한 위치 결정 및 고정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b)는 중간 부재(101)에 의해 위치 결정 및 고정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부재(101)는 위치 결정전에는 평면의 형상이지만, 위치 결정 후에는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100)와 렌즈(102)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곡률에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5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은, 이하와 같은 순서를 따라서 렌즈(100)와 렌즈(102)의 고정을 행한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된 렌즈(102)와 중간 부재(101)에 대하여 레이저광 조사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레이저광(103)이 조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부재(101)는 근적외광을 흡수하는 부재로 형성되어, 열이 인가되면 그 접착력이 증가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중간 부재(101)는 레이저광(103)을 흡수하면 발열하고, 그 접착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레이저광(103)의 조사에 의해 중간 부재(101)는 렌즈(102)에 고정된다.
그 다음,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된 렌즈(102)와 중간 부재(101)에, 렌즈(100)를 위치 결정하고, 가압 장치(도시 생략)로 렌즈(100)와 중간 부재(101) 및 렌즈(102)를 서로 밀착시킨다. 이때, 중간 부재(101)는 렌즈(102)에 고정되기 때문에, 렌즈(100)의 위치 결정 조정중에도 중간 부재(101)는 렌즈(102)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100)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레이저광(103)이 조사된다. 이 경우, 레이저광(103)의 조사 위치는, 전술의 도 12의 (a)에 나타낸 상태에서, 레이저광(103)의 조사 위치와는 동일한 직경 위의 다른 위치에서 행해진다. 레이저광이 조사된 부분에서 중간 부재(101)에는 열이 인가된다. 하지만, 렌즈(100)와 중간 부재(101)의 고정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열이 인가 되므로, 중간 부재(101)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날 일은 없다. 소정의 조사 시간 후, 레이저광 조사를 종료시켜, 렌즈의 고정 공정을 완료한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은, 기본이 되는 제1렌즈인 렌즈(102)와 중간 부재(101)를 위치 결정해서 고정한 후, 제2렌즈인 렌즈(100)를 위치 결정해서 고정하고 있다. 이때, 제1렌즈와 중간 부재의 고정 위치(즉, 레이저광(103)의 조사 위치)는, 제2렌즈의 고정 위치(즉, 레이저광(103)의 조사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설정되므로,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중간 부재를 매개로 고정된다. 여기서는, 기본이 되는 렌즈를 제1렌즈에 근거해서 설명했다. 하지만, 기본이 되는 렌즈는, 제1렌즈일 수도 제2렌즈일 수도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은, 제1렌즈와 중간 부재의 고정 위치와 제2렌즈와 중간 부재의 고정 위치를 동일한 직경 위의 다른 위치에 배치한다. 하지만,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고정 위치는 다른 고정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고정 위치의 배치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5의 변형 예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참조부호 130과 132는 렌즈, 131은 중간 부재다. 참조부호 133은 레이저광, 134는 중간 부재(131)의 외주 단부를 나타낸다. 중간 부재(131)의 외경은, 렌즈(132)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직경값으로 설정된다. 도 14의 (a) 및 (b)는 고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렌즈(132)와 중간 부재(131)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b)는 렌즈(130)와 중간 부재(131) 및 렌즈(132)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와 같은 순서를 따라서 렌즈(130)와 렌즈(132)의 고정이 행해진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부재(131)는 링 형상의 시트재의 외주부 및 내주부에 각각 컷부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가 형성되지 않은 중간 부재(131)의 외주 단부(134)의 부분을 따라서, 렌즈(132)와 중간 부재(131)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된 렌즈(132)와 중간 부재(131)에서, 노치부가 형성되지 않은 중간 부재(131)의 외주부인 부분에 레이저광(133)의 조사를 행하면, 중간 부재(131)에는 열이 인가된다. 이 결과, 접착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렌즈(132)와 중간 부재(131)는 고정된다. 그 다음,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된 렌즈(132)와 중간 부재(131)에 대하여 렌즈(130)를 위치 결정하고, 가압 장치(도시 생략)로 렌즈(130)와 중간 부재(131), 렌즈(132)를 밀착시킨 상태로 한다. 이때, 중간 부재(131)는 렌즈(132)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부재(131)가 렌즈(130)의 위치 결정 조정중에 렌즈(132)에 대해서 위치가 변경될 일이 없다.
렌즈(130)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레이저광(133)의 조사를 행한다. 이때,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광(133)의 조사 위치는 전술의 도 14의 (a)에서 행한 레이저광(133) 조사위치와는 동일한 직경 위의 다른 위치인 중간 부재(131)의 내주부이며 노치부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조사한다. 레이저광이 조사된 부위의 중간 부재(131)는 열이 인가된다. 하지만, 렌즈(130)와 중간 부재(131)의 고정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열이 인가되기 때문에, 중간 부재(131)는 고정 위치 로부터 벗어날 일은 없다. 소정의 조사 시간의 후, 레이저광 조사를 종료시켜서, 렌즈 고정 공정을 완료한다.
상기 렌즈는 유리재료 또는 수지재료로 만들어지더라도, 그 렌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렌즈는 센터링 공정이 행해지지 않은 렌즈에서도 된다.
또한, 상기 5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 광학계에 관한 광학 렌즈의 고정에 관해서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고정하는 렌즈는 2개만 아니라, 2개 이상의 렌즈를 고정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5개의 실시형태와 다른 경우이어도, 청구항의 내용에 따른 것이면, 어떤 실시형태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형태6)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6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을 사용한 렌즈 조립체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다.
렌즈 조립체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재료 또는 수지재료의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111)와, 렌즈 프레임(112) 및, 렌즈(111)와 렌즈 프레임(112)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간 부재(113)를 구비한다.
렌즈 프레임(112)은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근적외광을 흡수해서 발열하는 재료로 형성된다. 렌즈 프레임(112)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렌즈 프레임(112)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재료는, 나일론 6(PA6)이나 나일론66(PA66) 등의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등의 수지를 기본재료라고 해서 이들의 수지에 레이저광 흡수제로서의, 카본블랙이나 염료 또는 안료 등의 소정의 착색재가 혼입된 것이다. 착색재를 혼합함으로써, 근적외광을 흡수하는 성질이 현저하게 나타내지게 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재 중, 특히 폴리카보네이트가, 렌즈 프레임(112)에 적합하다.
또한, 이것들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유리 섬유나 카본 섬유로 강화한 재료를 렌즈 프레임(112)에 사용해도 된다. 또한, 수지는 상기 이외의 성분, 예를 들면 글라스, 실리카, 활석, 탄산칼슘 등의 무기 또는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필러, 대전방지제, 내후안정제, 왁스 등의 관용의 첨가물의 1종 이상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수지에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 프레임(112)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착색하는 착색재로서는, 예를 들면 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그래파이트 등의 탄소계 재료, 복합 산화물계 안료 등의 무기계 착색재 등이 있다. 또한, 레이저광에 대하여, 충분한 흡수성을 나타내는 것이면, 유기계 착색재를 이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착색재로서, 예를 들면 동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등이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는, 조사되는 레이저광에 대하여 5%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투과율이 5%를 넘으면, 조사된 레이저광이 투과함으 로써 수지재에 흡수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가 감소하는 동시에, 레이저광의 에너지의 손실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렌즈 프레임(112)의 재질로서는, 상기한 것에 한정될 일은 없고, 가열원으로서의 레이저광을 투과시키지 않고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중간 부재(11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두께가 얇은(예를 들면, 두께가 수㎛~수십㎛) 시트재로 이루어진다. 시트재는, 열이 인가되면, 접착력이 증가되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렌즈 프레임(112)의 내주면에는, 2개의 위치 결정부(114, 115)가 설치된다. 위치 결정부(114)는, 광축방향에 대한 중간 부재(113) 및 렌즈(111)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부분이다. 위치 결정부(114)는, 렌즈 프레임(112)의 내주면에서 돌출하는 부위이고, 렌즈(111)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에 따른 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위치 결정부(115)는, 중간 부재(113)를 렌즈(111)의 유효 직경 내에 개재시키지 않도록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중간 부재(113)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부위이다. 상기 부위의 내경 치수는, 중간 부재(113)의 외경 치수에 거의 동일하다.
다음에, 렌즈(111)와 렌즈 프레임(112)의 고정 방법에 대해서 도 1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의 (a)는 중간 부재(113)가 렌즈 프레임(112)에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 16의 (b)는 렌즈(111)가 렌즈 프레임(112)에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 16의 (c)는 렌즈(111)와 렌즈 프레임(112)을 고정할 때의 레이저광의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렌즈(111)를 렌즈 프레임(112)에 고정할 때는, 우선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12) 내에 중간 부재(113)가 삽입되어, 위치 결정부(114)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중간 부재(113)의 광축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또한, 중간 부재(113)는, 뒤에 삽입되는 렌즈(111)의 유효 직경 내에 위치하지 않도록 광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부재(113)가 배치된 렌즈 프레임(112) 내에 렌즈(111)가 삽입되어, 중간 부재(113)를 매개로 위치 결정부(114)에 위치된다. 이때, 중간 부재(113)는 위치 결정부(114)의 면형상(렌즈(111)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과 대향하는 면의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렌즈 프레임(112)의 위치 결정부(114)와 렌즈(111)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끼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렌즈(111)가 중간 부재(113)를 매개로 렌즈 프레임(112) 내에 삽입되면, 가압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렌즈(111)가 렌즈(111)의 광축방향에서 중간 부재(113)를 향해서 가압된다. 이 결과, 렌즈(111), 중간 부재(113) 및 렌즈 프레임(112)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지지된다.
다음에, 도 1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광 조사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근적외광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광(116)이 렌즈 프레임(112) 내의 위치 결정부(114)를 향해서 조사된다. 이때, 레이저광(116)은, 렌즈(111) 및 중간 부재(113)를 투과해서 렌즈 프레임(112)의 위치 결정부(114)에 도달한다. 렌즈 프레임(112)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근적외광을 흡수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위치 결정부 (114)는 레이저광(116)을 흡수해서 발열한다. 이 위치 결정부(114)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중간 부재(113)는 가열되어서 용융하고, 중간 부재(113)의 특성에 의해 접착력이 생긴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레이저광(116)의 조사가 종료한다.
레이저광(116)의 조사가 종료하면, 중간 부재(113)와 렌즈(111)의 접촉부 및 중간 부재(113)와 렌즈 프레임(112)의 접촉부는, 순간적으로 냉각되어서 응고된다. 이 결과, 이들 각각은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 장치에 의한 렌즈(111)에 대한 가압을 해제해도, 중간 부재(113)의 접착력에 의해, 렌즈(111)가 렌즈 프레임(112)으로부터 박리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렌즈(111)는, 흔들림이 생기지 않게, 렌즈 프레임(112)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어, 소정 부위, 즉 위치 결정부(114)에 고정된다.
또한, 중간 부재(113)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이므로, 렌즈(111) 또는 렌즈 프레임(112)에 대하여 강한 충격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중간 부재(113)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충격력을 흡수한다. 이 결과, 중간 부재(113)의 특성에 의해, 렌즈(111)가 부서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11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께가 수㎛~수십㎛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므로, 정밀도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중간 부재(113)의 융점은, 렌즈(111)의 융점보다 충분하게 낮기 때문에, 렌즈(111)가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한 열 영향을 받을 일은 없게 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간 부재(113)를 사용하고, 렌즈(111)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과 렌즈 프레임(112)의 위치 결정부(114)를 고정하므로, 광 학성능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렌즈 프레임(112)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113)를 가열에 의해 접착력을 증가하는 시트재로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렌즈(111)의 위치 결정 조정 후에 접착제의 주입 공정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결과, 간단한 구성의 높은 정밀도의 렌즈(111)와 렌즈 프레임(112)을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부(114)의 렌즈(111)와의 대향면의 형상을 렌즈(111)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하는 예를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위치 결정부(114)의 렌즈(111)와의 대향면을 렌즈(111)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에 대하여 선접촉이나 점접촉이 되는 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록렌즈와 렌즈 프레임을 고정하는 예를 설명했다. 하지만, 렌즈가 오목렌즈와 같은 다른 형상의 렌즈로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오목렌즈와 렌즈 프레임을 고정할 경우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오목렌즈가 렌즈 프레임에 고정되는 렌즈 조립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이 렌즈 조립체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오목렌즈(131)와 원통 형상의 렌즈 프레임(132)의 사이에 중간 부재(133)를 개재한다. 또한, 렌즈 프레임(132)의 내주면에는, 2개의 위치 결정부(134,135)가 설치된다. 위치 결정부(134)는, 위치 결정부(114)와 마찬가지로, 광축방향에 대한 렌즈(131) 및 중간 부재(133)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이다. 위치 결정부(134)의 오목렌즈(131)와의 대향면 은, 오목렌즈(131)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135)는, 위치 결정부(115)와 마찬가지로, 중간 부재(133)가 오목렌즈(131)의 유효 직경 내에 위치되지 않도록 중간 부재(133)를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오목렌즈(131)의 고정 방법은, 볼록렌즈의 경우와 같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광 조사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근적외광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광(136)을 렌즈 프레임(132)의 위치 결정부(134)를 향해서 조사한다. 레이저광(136)이 조사됨으로써, 렌즈 프레임(132)의 위치 결정부(134)를 발열시켜서 중간 부재(133)를 가열한다. 따라서, 중간 부재(133)에 접착력을 생기게 하므로, 오목렌즈(131)는 렌즈 프레임(132)에 접착 고정된다. 이렇게, 오목렌즈(131)의 고정 방법은 볼록렌즈의 경우로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링 형상을 가지는 중간 부재(113,133)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형상을 가지는 중간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의 형상을 가지는 중간 부재에 대해서 도 18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의 (a)는 중간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18의 (b)는 중간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18의 (c)는 중간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다.
중간 부재로서,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중간 부재(143)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간 부재(143)는, 기본적으로는, 중간 부재(113, 133)와 마찬가지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재로 이루어진다. 이 중간 부재(143) 의 내주부분에는, 복수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노치부가 형성됨으로써, 중간 부재(143)는, 소정의 주름 없이 오목 또는 볼록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에 밀착하므로, 중간 부재(143)와 오목 또는 볼록렌즈의 밀착성이 향상한다.
또한, 중간 부재(143)와 같은 밀착성을 얻기 위해서, 도 18의 (b) 또는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의 중간 부재(143b, 143c)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중간 부재(143b)는, 대략 C자형상으로 형성된 시트재로 이루어진다. 그 외에, 중간 부재(143b)에는, 그 외주부분부터 내주부분으로 연장되는 1개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부재(143c)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부분 및 외주부분에는 각각 복수의 노치부가 형성된다.
중간 부재의 형상은, 상기 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서도 된다. 또한, 중간 부재는, 렌즈의 대향면이 렌즈와 전체 면과 접촉하도록 배치해도 되고,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레이저광의 조사 패턴에 대해서,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레이저광의 조사 패턴으로서, 스폿광(spot light)에 의해, 복수 위치를 조사하는 패턴 또는 레이저광을 중간 부재(113, 133) 상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링 형상의 광을 조사하는 패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폿광에 의해 복수 위치를 동시에 조사할 경우, 각 스폿광의 조사는 엄밀하게는 동시에 행할 필요는 없다. 즉, 렌즈(111)의 위치 정밀도에 영향이 없는 정도의 시간차이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수십ms~수백ms의 시간차이로 각 스폿 광을 조사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 부재(113, 133)를 가열하는 기구로서, 렌즈 프레임(112, 132)을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발열시켜, 이 열에 의해 중간 부재(113, 133)를 가열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냈다. 이것 대신에, 열 용융 시트, 열접착 시트(열경화형) 등의 접착 시트재에 레이저광 흡수를 위한 착색 도장을 실행한 것 또는, 상기 접착 시트재에 레이저광 흡수제로서 카본블랙, 염료나 안료 등의 소정의 착색재를 혼입한 것을 이용하여, 중간 부재를 구성하고, 중간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중간 부재를 발열시켜서 가열하는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렌즈 프레임을 레이저광 흡수 부재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이러한 중간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접착 장소의 선택의 자유도가 늘어나고, 또 접착 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실시형태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7에 대해서 도 19~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7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을 사용한 렌즈 조립체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다. 도 20은 도 19의 렌즈가 중간 부재를 매개로 렌즈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 21의 (a)는 도 19의 렌즈 프레임에 중간 부재가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 21의 (b)는 도 19의 렌즈 프레임에 중간 부재 및 렌즈가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 22는 도 19의 렌즈 프레임에 중간 부재가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다.
렌즈 조립체는, 도 19 및 도 20이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151)와, 렌즈 프레임(152)과, 렌즈(151)와 렌즈 프레임(152)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간 부재(153)를 구비한다. 렌즈 프레임(152)은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재질은 상기 실시형태6과 같은 것이다. 중간 부재(15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두께가 얇은(예를 들면, 두께가 수㎛~수십㎛) 시트재로 이루어지고, 그 재질은 상기 실시형태 6과 같은 것이다. 또한 중간 부재(153)는, 도 18의 (c)에 나타내는 중간 부재(143c)와 같은 형상으로 가공된다. 이 외에, 중간 부재(153)의 내주부분 및 외주부분에 각각 6개의 노치부가 형성된다.
렌즈 프레임(152)의 일단부에는, 렌즈(151)의 광축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제1위치 결정부(154)와, 중간 부재(153)의 광축직교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제2위치 결정부(155)와, 렌즈 프레임(152)과 렌즈(151)를 고정하기 위해서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고정부(156)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고정부(156)는, 렌즈 프레임(152)의 일단부의 내주부분에 따라 연장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렌즈(151)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에 따른 형태로 형성된다.
제2위치 결정부(155)는, 고정부(156)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부위로 이루어진다. 제2위치 결정부(155)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2위치 결정부(155)는, 고정부(156)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 부재(153)의 내주부분의 6개의 노치부 중, 3개의 노치부에 대응하도록 3개의 위치 결정부(155)가 형성된다.
제1위치 결정부(154)는, 각각 대응하는 제2위치 결정부(155)의 윗면에 형성된 볼록 형상부로 이루어지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제1위치 결정부(154)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렌즈 프레임(152)의 외주부에는, 렌즈(151)의 외경(엣지)을 둘러싸는 벽면이 존재하지 않고, 렌즈 프레임(152)의 외경과 렌즈(151)의 외경은, 매우 근접한 값으로 설정되고 있다.
렌즈(151)를 렌즈 프레임(152)에 고정하는 때는, 우선 도 2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156)에 중간 부재(153)가 위치되고, 중간 부재(153)는 제2위치 결정부(155)에 의해 렌즈 프레임(152)에 대하여 광축직교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위치 결정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위치 결정부(155)에 중간 부재(153)의 내주부분에 형성된 노치부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도 2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151)는, 중간 부재(153)가 위치 결정된 렌즈 프레임(152)의 제1위치 결정부(154)와 접촉하여, 위치 결정된다. 여기에서, 중간 부재(153)의 두께는, 렌즈(151)가 렌즈 프레임(152)에 통합될 때에 제1위치 결정부(154)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이 설정에 의해, 렌즈(151)가 렌즈 프레임(152)의 제1위치 결정부(154)와 접촉한 상태에서, 중간 부재(153)와 렌즈(151)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생기게 된다. 또한, 이때 중간 부재(153)는 렌즈(151)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의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렌즈(151)에 대하여 밀착한다.
이렇게, 렌즈(151)와 중간 부재(153)를 렌즈 프레임(152)에 탑재한 상태에 서, 레이저광 조사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근적외광 성분을 가지는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즉, 레이저광이 렌즈(151)를 투과하고, 중간 부재(153)를 거쳐서(투과하여) 렌즈 프레임(152) 상의 고정부(156)에 조사되며, 이에 따라 렌즈 프레임(152)이 레이저광을 흡수해서 발열한다. 이때, 렌즈 프레임(152)의 발열에 의해, 중간 부재(153)는 가열된다. 그리고, 중간 부재(153)는 열팽창하고, 중간 부재(153)와 렌즈(151)의 사이의 간격을 메운다. 그리고, 고정부(156)와 렌즈(151)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과 각각 밀착하는 동시에, 렌즈(151)와 중간 부재(153) 및 렌즈 프레임(152)과 중간 부재(153)와는 각각 접착 고정된다. 이 단계에서 레이저광의 조사가 종료된다.
레이저광의 조사가 종료하면, 중간 부재(153)와 렌즈(151)의 접촉부 및 중간 부재(153)와 렌즈 프레임(152)의 접촉부는 고정된다. 또한, 중간 부재(153)는 순간적으로 냉각되어서 수축한다. 하지만, 렌즈(151)와 중간 부재(153)와의 접촉부 및 중간 부재(153)와 렌즈 프레임(152)과의 접촉부는 밀착되기 때문에, 중간 부재(153)는, 간격에 해당하는 체적만큼 수축할 수 없다. 그 결과, 레이저광의 조사 후에도, 렌즈(151)와 렌즈 프레임(152) 사이의 접촉부를 가압하는 힘이 잔류하고, 렌즈(151)를 고정밀도로 렌즈 프레임(152)에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프레임(152)의 외주부에는, 렌즈(151)의 외경(엣지)을 둘러싸는 벽면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렌즈(151)의 센터링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도, 부품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고, 렌즈(151)를 렌즈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렌즈 프레임(152)에 렌즈(151) 및 중간 부재(153) 가 단지 통합된 상태에 있어서, 레이저광의 조사를 행한 경우를 설명했다. 하지만, 예를 들면 렌즈(151)를 진공흡인 공구 등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렌즈 프레임(152)에 대한 위치 결정 조정을 행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이저광의 조사를 행해도 된다.
(실시형태8)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8에 대해서 도 23, 도 24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8인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에 사용하는 중간 부재의 평면도 및 측면도다. 도 24의 (a)는 중간 부재가 렌즈 프레임에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 24의 (b)는 렌즈가 렌즈 프레임에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 24의 (c)는 렌즈와 렌즈 프레임을 고정할 때의 레이저광의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조립체는, 도 24의 (a) 내지 (c)이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191)와, 렌즈 프레임(192)과, 렌즈(191)와 렌즈 프레임(192)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간 부재(193)를 구비한다. 렌즈 프레임(192)은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렌즈 프레임(192)의 내주면에는, 렌즈(191)의 위치 결정 및 중간 부재(193)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194)가 설치된다. 위치 결정부(194)는, 렌즈 프레임(192)의 내주면에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렌즈(191)와 대항하는 돌출부의 대향면은, 렌즈(191)의 R면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부(194)에 의해, 중간 부재(193)가 렌즈(191)의 유효 직경 내에 개재하지 않도록 중간 부재(193)가 렌즈 프레임(192)에 대하여 위 치 결정된다. 또한, 렌즈 프레임(192)의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렌즈(191) 및 중간 부재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개구되는 접시형상의 중간 부재(193)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간 부재(193)의 외주부는, 렌즈(191)의 R면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또, 중간 부재(193)는, 평면의 시트재를 원환(circular) 형상으로 펀칭한 후, 렌즈(191)의 R면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철이 있는 렌즈(191)의 R면과 렌즈 프레임(192)의 위치 결정부(194)의 사이에서, 중간 부재(193)는 주름 없이, 렌즈(191)의 R면과 위치 결정부(194)에 각각 밀착한다.
렌즈(191)를 렌즈 프레임(192)에 고정할 때는, 우선 도 2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92) 내에 중간 부재(193)가 삽입되고, 중간 부재(193)는 위치 결정부(194)에 의해 렌즈 프레임(192) 내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부재(193)가 배치된 렌즈 프레임(192) 내에 렌즈(191)가 삽입되어, 렌즈(191)는 위치 결정부(194)에 의해 렌즈 프레임(192) 내에 위치 결정된다. 이 경우, 중간 부재(193)는 탄성 변형해서 렌즈 프레임(192)의 위치 결정부(194)와 렌즈(191)의 R면과의 사이에서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렌즈(191)가 중간 부재(193)를 통해 렌즈 프레임(192) 내에 통합되면, 가압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렌즈(191)가 그 광축방향에 중간 부재(193)를 향해서 가압된다. 그리고, 도 2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광 조사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근적외광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광(196)이 렌즈 프레임 (192) 내의 위치 결정부(194)를 향해서 조사된다. 이 레이저광(196)의 조사에 의해, 중간 부재(193)와 렌즈(191)의 접촉부 및 중간 부재(193)와 렌즈 프레임(192)의 접촉부는, 고정된다. 그 결과, 렌즈(191)는 흔들림이 생기지는 않아, 렌즈 프레임(192)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앙부가 개구되는 접시형상의 중간 부재(193)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시트재를 원환 형상으로 펀칭한 후, 원환부를 렌즈(191)의 R면에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방법으로 중앙부가 개구되는 접시형상의 중간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렌즈 등의 광학 부재를 지지 부재에 고정하거나 혹은 광학 부재끼리를 고정하기 위한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및 광학 유닛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6)

  1. 제1렌즈에 제2렌즈를 고정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으로서,
    a)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사이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용융하는 중간 부재를 배치하는 스텝과,
    b) 제1렌즈에 대한 제2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텝 및,
    c) 제1렌즈 혹은 제2렌즈 중 한쪽을 투과시킨 광을,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에 조사하여, 중간 부재가 용융해서 제1렌즈에 제2렌즈가 고정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제1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과 제2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형상에 따라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가 형성되는 링 형상의 시트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광을 조사하는 스텝은, 제1렌즈를 투과시켜서 중간 부재에 광을 조사하는 제1조사와, 제2렌즈를 투과시켜서 중간 부재에 광을 조사하는 제2조사를 행하고,
    제1조사에서 조사하는 중간 부재의 부분과, 제2조사에서 조사하는 중간 부재의 부분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가시광 영역의 광이 비투과인 부재로 형성되어, 제1렌즈와 제2렌즈에 있어서의 유효 광속을 한정하는 광학 조리개로서도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가시광 영역의 광이 비투과인 부재로 형성되어, 제1렌즈와 제2렌즈 중 적어도 한쪽 렌즈의 외주 단면을 덮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7. 제1렌즈에 제2렌즈를 고정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으로서,
    a)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사이에, 레이저광이 조사됨으로써 열 용융하는 중간 부재를 배치하는 스텝과,
    b) 제1렌즈에 대한 제2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텝 및,
    c) 제1렌즈 혹은 제2렌즈 중 한쪽을 투과시킨 레이저광을,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에 조사하여, 중간 부재가 열 용융해서 제1렌즈에 제2렌즈가 고정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제1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과 제2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형상에 따라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가 형성되는 링 형상의 시트재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스텝은, 제1렌즈를 투과시켜서 중간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1조사와, 제2렌즈를 투과시켜서 중간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2조사를 행하고,
    제1조사에서 조사하는 중간 부재의 부분과, 제2조사에서 조사하는 중간 부재의 부분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가시광 영역의 광이 비투과인 부재로 형성되어, 제1렌즈와 제2렌즈에 있어서의 유효 광속을 한정하는 광학 조리개로서도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가시광 영역의 광이 비투과인 부재로 형성되어, 제1렌즈와 제2렌즈 중 적어도 한쪽의 렌즈 외주 단면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13. a) 제1렌즈와,
    b) 제2렌즈 및,
    c)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렌즈 혹은 제2렌즈 중 어느 한쪽을 투과시킨 광을 조사함으로써 용융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제1렌즈와 제2렌즈는 중간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제1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과 제2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형상에 따라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5. 제13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가 형성되는 링 형상의 시트재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6. 제13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의 제1렌즈에 대한 용융 부분과, 중간 부재의 제2렌즈에 대한 용융 부분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7. 제13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가시광 영역의 광이 비투과인 부재로 형성되어, 제1렌즈와 제2렌즈에 있어서의 유효 광속을 한정하는 광학 조리개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8. 제13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가시광 영역의 광이 비투과인 부재로 형성되어, 제1렌즈와 제2렌즈 중 적어도 한쪽 렌즈의 외주 단면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9. a) 제1렌즈와,
    b) 제2렌즈 및,
    c)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렌즈 혹은 제2렌즈 중 한쪽을 투과시킨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열 용융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제1렌즈와 제2렌즈는 중간 부재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20. 제19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제1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과 제2렌즈의 광입사 및 출사면의 표면형상에 따라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21. 제19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가 형성되는 링 형상의 시트재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22. 제19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의 제1렌즈에 대한 용융 부분과, 중간 부재의 제2렌즈에 대한 용융 부분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23. 제19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가시광 영역의 광이 비투과인 부재로 형성되어, 제1렌즈와 제2렌즈에 있어서의 유효 광속을 한정하는 광학 조리개로서도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24. 제19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가시광 영역의 광이 비투과인 부재로 형성되어, 제1렌즈와 제2렌즈 중 적어도 한쪽 렌즈의 외주 단면을 덮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 닛.
  25. 광학 부재를 지지 부재에 고정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으로서,
    a) 광학 부재와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용융하는 중간 부재를 배치하는 스텝과,
    b) 지지 부재에 대한 광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텝 및,
    c) 광학 부재를 투과시킨 광을, 광학 부재와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에 조사하여, 중간 부재가 용융해서 지지 부재에 광학 부재가 고정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에는, 광학 부재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광학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중간 부재가, 광학 부재와 위치 결정부와의 사이에 개재하지 않도록 배치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형상의 내주부분 또는 외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가 형성되는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28. 광학 부재를 지지 부재에 고정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으로서,
    a) 광학 부재와 지지 부재의 사이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열 용융하는 중간 부재를 배치하는 스텝과,
    b) 지지 부재에 대한 광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텝 및,
    c) 광학 부재를 투과시킨 레이저광을, 광학 부재와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에 조사하여, 중간 부재가 열 용융해서 지지 부재에 광학 부재가 고정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에는, 광학 부재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광학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 하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중간 부재가, 광학 부재와 위치 결정부와의 사이에 개재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형상의 내주부분 또는 외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가 형성되는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31. a) 광학 부재와,
    b) 광학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c) 광학 부재와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광학 부재를 투과시킨 광을 조사함으로써 용융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광학 부재와 지지 부재는 중간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학 유닛.
  32. 제31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에는, 광학 부재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광학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중간 부재가, 광학 부재와 위치 결정부와의 사이에 개재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33. 제31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형상의 내주부분 또는 외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가 형성되는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34. a) 광학 부재와,
    b) 광학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c) 광학 부재와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광학 부재를 투과시킨 레이 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열 용융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광학 부재와 지지 부재는 중간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35. 제34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에는, 광학 부재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광학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중간 부재가, 광학 부재와 위치 결정부와의 사이에 개재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36. 제34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형상의 내주부분 또는 외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가 형성되는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KR1020050130353A 2004-12-27 2005-12-27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및 광학 유닛 KR100750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76819A JP4612837B2 (ja) 2004-12-27 2004-12-27 レンズ固定方法及び光学機器
JPJP-P-2004-00376819 2004-12-27
JP2004380786A JP4498127B2 (ja) 2004-12-28 2004-12-28 光学部材固定方法および光学機器
JPJP-P-2004-00380786 2004-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883A true KR20060074883A (ko) 2006-07-03
KR100750242B1 KR100750242B1 (ko) 2007-08-17

Family

ID=3597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353A KR100750242B1 (ko) 2004-12-27 2005-12-27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및 광학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39772A1 (ko)
EP (2) EP1674910B1 (ko)
KR (1) KR100750242B1 (ko)
CN (1) CN100374893C (ko)
HK (1) HK1086888A1 (ko)
TW (1) TWI2988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9772A1 (en) 2004-12-27 2006-06-29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fix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unit
JP5118674B2 (ja) * 2009-08-28 2013-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情報機器
US8193599B2 (en) * 2009-09-02 2012-06-05 Himax Semiconductor, Inc. Fabricating method and structure of a wafer level module
JP2011204731A (ja) * 2010-03-24 2011-10-13 Yamatake Corp 光学パッケージとレンズの接合方法、及び光学パッケージ
US20120287500A1 (en) * 2011-05-13 2012-11-15 Ming-Teng Hsieh Optical lens and optical microscope system using the same
KR20130007247A (ko) * 2011-06-30 2013-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5795747B2 (ja) * 2012-04-04 2015-10-1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ペリクルフレーム及びペリクル
JPWO2013154121A1 (ja) * 2012-04-13 2015-12-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KR101883033B1 (ko) * 2015-05-27 2018-07-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JP6603796B2 (ja) * 2016-04-14 2019-11-06 帝人株式会社 接合体の製造方法
CN207249315U (zh) * 2017-04-15 2018-04-1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遮光部件以及镜头组件
DE102019203021A1 (de) * 2019-03-06 2020-09-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usrichten wenigstens zweier Bauteile
DE102020123964A1 (de) 2019-09-27 2021-04-08 Nichia Corporatio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Leuchtvorrichtung
EP4277244A1 (en) 2021-06-04 2023-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window for optical module
CN114199730B (zh) * 2022-02-15 2022-05-27 中国科学院大气物理研究所 一种用于激光器校准的气密封装型多向调节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8615A (ja) * 1983-06-10 1984-12-22 Ricoh Co Ltd レンズ組立方法
JPH041532Y2 (ko) * 1985-03-19 1992-01-20
US5361168A (en) * 1991-04-30 1994-11-01 Canon Kabushiki Kaisha Lens element and lens barrel
JP3168624B2 (ja) 1991-08-02 2001-05-21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反応染料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繊維材料の染色または捺染方法
US5399227A (en) * 1992-09-16 1995-03-21 Abrams; Herbert M. Composite eyeglass lens laminating holder
US5781351A (en) * 1995-06-02 1998-07-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objective lens for optical pick-up used for optical disk device
JP3556575B2 (ja) * 2000-06-06 2004-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対物レンズ、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対物レンズの組立方法
JP3972621B2 (ja) * 2001-10-09 2007-09-05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レーザ溶着方法
JP2003181931A (ja) * 2001-12-21 2003-07-03 Yasuo Kurosaki 熱可塑性透明樹脂部材のレーザー接合方法
JP2004020867A (ja) * 2002-06-14 2004-01-22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33946A (ja) * 2003-05-08 200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部品ユニットの製造方法、光学部品固定装置および光学部品ユニット
US20060139772A1 (en) 2004-12-27 2006-06-29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fix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4910B1 (en) 2015-06-17
CN100374893C (zh) 2008-03-12
HK1086888A1 (en) 2006-09-29
KR100750242B1 (ko) 2007-08-17
TWI298804B (en) 2008-07-11
EP2500759A2 (en) 2012-09-19
US20060139772A1 (en) 2006-06-29
TW200636316A (en) 2006-10-16
EP2500759A3 (en) 2013-04-10
EP1674910A1 (en) 2006-06-28
CN1797056A (zh)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242B1 (ko) 광학 부재의 고정 방법 및 광학 유닛
US7760446B2 (en) Method of fix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unit
US7256952B2 (en) Fixation method for optical member and optical unit
US7286307B2 (en) Method for fix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unit
JP4779315B2 (ja) 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101290386B (zh) 用于固定光学元件的方法和光学单元
US8618437B2 (en) Optical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502761B1 (en) Light source unit
JP4071187B2 (ja) 光学デバイス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4241473B2 (ja) 組み合わせレンズの製造方法
JP4498127B2 (ja) 光学部材固定方法および光学機器
JP4612837B2 (ja) レンズ固定方法及び光学機器
US10456988B2 (en) Joining structure of resin member for vehicle body and stud bolt
JP4829573B2 (ja) 光学部材固定方法
JP2006162947A (ja) 光学装置および光学部材固定方法
JP2006017818A (ja) 組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JP5885629B2 (ja) レンズ固定構造、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JPH07201060A (ja) 対物レンズ固定装置
JP5003059B2 (ja) 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16045A (ja) 光学ユニット、光学部材固定方法
JP2008281590A (ja) レンズの調芯及び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