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247A -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247A
KR20130007247A KR1020110064782A KR20110064782A KR20130007247A KR 20130007247 A KR20130007247 A KR 20130007247A KR 1020110064782 A KR1020110064782 A KR 1020110064782A KR 20110064782 A KR20110064782 A KR 20110064782A KR 20130007247 A KR20130007247 A KR 20130007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space
camera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247A/ko
Priority to US13/538,188 priority patent/US20130002938A1/en
Publication of KR2013000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배럴(barrel),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제1 렌즈, 제1 렌즈 상에 적층되며 제1 렌즈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렌즈, 및 배럴에 설치되어 제2 렌즈를 배럴에 지지하기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캡(cap)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lens assembly)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제조 기술 향상과 주행 및 주차의 편의성을 위하여 자동차의 후방을 비롯한 임의 지점에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고, 카메라 모듈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하우징, 이미지 센서 및 인쇄회로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렌즈가 피사체의 광이미지를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미지가 이미지 센서로 조사되며, 이미지 센서는 조사된 광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배럴 내에 적층된 렌즈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캡이 이용되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캡의 누름 하중에 의해 배럴 내부의 부품에 크랙(crack)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캡에 의한 누름 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IR 필터, 렌즈 등과 같은 부품이 주위 환경 등의 영향으로 열팽창하는 경우, 이러한 부품들 중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 크랙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부 부품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배럴(barrel),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제1 렌즈, 제1 렌즈 상에 적층되며 제1 렌즈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렌즈, 및 배럴에 설치되어 제2 렌즈를 배럴에 지지하기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캡(cap)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lens assembly)가 제공된다.
렌즈 배럴의 상부에는 제2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돌기는 제2 렌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제2 렌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제2 렌즈와 배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럴에는 제1 렌즈의 고정을 위한 접착제가 주입되는 본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적외선 필터(infrared fil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는 적외선 필터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캡은 제2 렌즈의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제2 렌즈의 가장자리에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배럴의 하부에는 제1 렌즈를 지지하기 위해 공간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제1 렌즈는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렌즈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제2 렌즈는 글래스(glass)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및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렌즈 어셈블리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배럴,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제1 렌즈, 제1 렌즈 상에 적층되며 제1 렌즈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렌즈, 및 배럴에 설치되어 제2 렌즈를 배럴에 지지하기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캡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제공된다.
렌즈 배럴의 상부에는 제2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돌기는 제2 렌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제2 렌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제2 렌즈와 배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럴에는 제1 렌즈의 고정을 위한 접착제가 주입되는 본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적외선 필터(infrared fil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는 적외선 필터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캡은 제2 렌즈의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제2 렌즈의 가장자리에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배럴의 하부에는 제1 렌즈를 지지하기 위해 공간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제1 렌즈는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렌즈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제2 렌즈는 글래스(glass)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부 부품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10), 제1 렌즈(120), 제2 렌즈(130), 캡(140), 실링 부재(160), 및 적외선 필터(170) 등으로 구성되는 렌즈 어셈블리(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130)를 제1 렌즈(120)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들 배럴(110)의 공간(112)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렌즈(120) 및 적외선 필터(170) 등과 같은 내부 부품에 크랙(crack)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1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럴(110) 상부에는 캡(14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캡(140)은 제2 렌즈(130)의 지지를 위하여 제2 렌즈(130)에 누름 하중을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캡(140)에 의한 누름 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제1 렌즈(120) 또는 적외선 필터(170) 등과 같은 배럴(110) 내부의 부품이 주위 온도 등의 영향으로 열팽창하는 경우, 이러한 부품들 중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 크랙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렌즈(130)를 제1 렌즈(120)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이들 부품의 열팽창에 기인하는 크랙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배럴(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배럴(110)의 내부에는 제1 렌즈(120), 제2 렌즈(130) 및 적외선 필터(170)의 장착을 위한 공간(112)이 마련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10)의 공간(11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170)는 제2 렌즈(130) 및 제1 렌즈(120)를 통해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이미지 중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배럴(110)의 하부에는 적외선 필터(170) 및 그 상부에 적층되는 제1 렌즈(120)를 지지하기 위해 공간(112)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필터(170)는 배럴(110)의 공간(112) 내에 삽입된 후 이러한 돌출부(116)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렌즈(1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10)의 공간(112)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필터(17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렌즈(120)는 복수개이며, 이들 복수의 제1 렌즈(120)는 서로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렌즈(120)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제1 렌즈(120)는 촬영되는 이미지를 수광하여 이미지 센서로 입사시킨다. 제1 렌즈(120)는 형상, 개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제1 렌즈(120)는 각각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120)는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 등으로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고, 이들 제1 렌즈(120)들 사이에 스페이서(spacer)가 개재됨으로써 제1 렌즈(120)들 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배럴(11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120)의 고정을 위한 접착제(180)가 주입되는 본딩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렌즈(120)의 외주면과 인접한 배럴(110)의 내주면에는 배럴(110)의 내주면을 따라 본딩홈(118)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배럴(110)의 공간(112)에 제1 렌즈(120)가 위치된 후 이러한 본딩홈(118)에 접착제(180)를 주입함으로써, 제1 렌즈(120) 및 그 하부에 적층된 적외선 필터(170)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제2 렌즈(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120) 상에 적층되며 제1 렌즈(12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렌즈(130)는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렌즈일 수 있다. 제2 렌즈(130)는 도 2의 B와 같이 제1 렌즈(120)로부터 예를 들어 0mm 초과 0.5mm 이하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120), 적외선 렌즈 등과 같은 내부 부품의 크랙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10)의 상부에는 제2 렌즈(1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돌기(114)는 제1 렌즈(1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2 렌즈(130)가 이러한 지지 돌기(114) 상에 안착되면 제2 렌즈(130)는 제1 렌즈(12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돌기(114)는 지지 돌기(114)는 제2 렌즈(130)의 원주 방향, 즉, 배럴(11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캡(140)에 의해 가해지는 누름 하중은 환형 구조의 지지 돌기(114)에 의해 보다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렌즈 어셈블리(10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캡(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2 렌즈(130)를 배럴(110)에 지지하기 위한 하중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130)의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제2 렌즈(130)의 가장자리에 하측으로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즉, 캡(140)은 배럴(110)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결합부, 및 이러한 결합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렌즈(130)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커버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배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130)와 배럴(11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배럴(110)의 상부에 실링 부재(160)를 배치한 뒤 배럴(110)의 지지 돌기(114) 상에 제2 렌즈(130)를 배치하고, 배럴(110)에 캡(140)을 설치하여 제2 렌즈(130)에 누름 하중을 가함에 따라, 실링 부재(160)는 제2 렌즈(130)와 배럴(110)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렌즈 어셈블리(100)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C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렌즈(120)와 제2 렌즈(130) 사이에 완충 부재(150)가 삽입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으므로, 이하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완충 부재(1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120)와 제2 렌즈(1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제1 렌즈(120)와 제2 렌즈(130) 간 이격된 공간(112)에 완충 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캡(140)의 누름 하중에 기인하는 크랙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150)는 제2 렌즈(130)의 원주 방향, 즉, 배럴(11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완충 부재(150)는 제2 렌즈(130)를 제1 렌즈(120) 상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150)로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스프링,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 부직포 등과 같은 합성 섬유, 기타 완충 작용이 가능한 사출물 등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완충재의 적용에 따라 지지 돌기(도 1의 114)가 생략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지지 돌기(도 1의 114) 상에 제2 렌즈(130)가 안착되는 구조에서도 완충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100)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렌즈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차량의 후방 감시 등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인쇄회로기판, 렌즈 어셈블리(1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중앙에는 렌즈 어셈블리(100)의 장착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 어셈블리(100)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어 하우징의 홀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 등을 위한 액추에이터가 결합될 수 있고, 홀을 통해 장착된 렌즈 어셈블리(100)가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의 홀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렌즈 어셈블리(100)의 배럴(110)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렌즈 어셈블리(100)는 하우징의 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과 인쇄회로기판은 에폭시 등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전기적인 회로 패턴과 다수의 전극이 구비되며,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처리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복수의 픽셀(pixel)들이 집적된 구조물일 수 있다. 픽셀 각각은 일종의 광검출기로서 입사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는 렌즈 어셈블리(100)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전기적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환된 데이터는 이미지 처리부에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는 이미지 처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이미지를 저장, 편집, 전송, 복원 및 삭제 처리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렌즈 어셈블리 110: 배럴
112: 공간 114: 지지 돌기
116: 돌출부 118: 본딩홈
120: 제1 렌즈 130: 제2 렌즈
140: 캡 150: 완충 부재
160: 실링 부재 170: 적외선 필터
180: 접착제

Claims (28)

  1.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배럴(barrel);
    상기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 상에 적층되며 상기 제1 렌즈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렌즈; 및
    상기 배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렌즈를 상기 배럴에 지지하기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캡(cap)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lens assembly).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부에는 상기 제2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제2 렌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2 렌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배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에는 상기 제1 렌즈의 고정을 위한 접착제가 주입되는 본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적외선 필터(infrared filter)를 더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적외선 필터 상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제2 렌즈의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상기 제2 렌즈의 가장자리에 상기 하중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렌즈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공간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상기 제1 렌즈는 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플라스틱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글래스(glass)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15.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배럴;
    상기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 상에 적층되며 상기 제1 렌즈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렌즈; 및
    상기 배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렌즈를 상기 배럴에 지지하기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캡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부에는 상기 제2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제2 렌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2 렌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15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배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에는 상기 제1 렌즈의 고정을 위한 접착제가 주입되는 본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적외선 필터(infrared filter)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적외선 필터 상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제2 렌즈의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상기 제2 렌즈의 가장자리에 상기 하중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렌즈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공간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상기 제1 렌즈는 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플라스틱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글래스(glass)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064782A 2011-06-30 2011-06-30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30007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82A KR20130007247A (ko) 2011-06-30 2011-06-30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3/538,188 US20130002938A1 (en) 2011-06-30 2012-06-29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82A KR20130007247A (ko) 2011-06-30 2011-06-30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47A true KR20130007247A (ko) 2013-01-18

Family

ID=4739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782A KR20130007247A (ko) 2011-06-30 2011-06-30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02938A1 (ko)
KR (1) KR201300072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999A (ko) 2015-03-23 2016-10-04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의 광각 렌즈 시스템
KR20210056976A (ko) * 2014-08-06 2021-05-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10065077A (ko) * 2014-08-04 2021-06-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378B1 (ko) * 2012-11-30 2019-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332964B2 (ja) * 2013-12-27 2018-05-3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US9462171B2 (en) * 2014-07-31 2016-10-0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amera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eal member integrally formed therewith
JP6741610B2 (ja) * 2017-02-15 2020-08-1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10U (ja) * 1993-07-12 1995-02-1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の保持構造
JP4318571B2 (ja) * 2004-03-18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
US20060139772A1 (en) * 2004-12-27 2006-06-29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fix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unit
JP4924141B2 (ja) * 2007-03-28 2012-04-2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2009244394A (ja) * 2008-03-28 2009-10-22 Fujinon Corp レンズ組立体および撮像装置
US8526129B2 (en) * 2008-04-09 2013-09-03 Hitachi Maxell, Ltd. Lens unit,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ens unit
US7969667B2 (en) * 2008-07-30 2011-06-28 Olympus Imaging Corp. Lens assembly
JP5771901B2 (ja) * 2010-03-29 2015-09-02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077A (ko) * 2014-08-04 2021-06-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20210056976A (ko) * 2014-08-06 2021-05-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20053540A (ko) * 2014-08-06 2022-04-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을 액티브 얼라인시키는 방법
KR20160113999A (ko) 2015-03-23 2016-10-04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의 광각 렌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02938A1 (en)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7247A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336807B2 (en) Integrated image sensor and lens assembly
CN108401093B (zh) 摄像模组及其模塑感光组件和制造方法以及电子设备
US7111996B2 (en) Stereo camera arrangement in a motor vehicle
KR101626132B1 (ko) 일체형 카메라 모듈
US8436937B2 (en) Camera module having socket with protrus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150312456A1 (en) Camera sytem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10718922B2 (en) Optoelectronic module including lens barrel comprising flanges and adhesive thereon and resting directly on a cover glass
KR101455124B1 (ko) 촬상 센서 패키지를 구비한 촬상장치
KR20110022279A (ko) 카메라 모듈
JP2010191345A (ja) 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10106102B2 (en) Camera assembly for a vehicle, and vehicle having such a camera assembly
KR10245501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1753444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109097A (ko) 카메라 모듈
CN106998414B (zh) 图像传感器模块及包括该图像传感器模块的相机模块
KR20050000722A (ko) 소형 카메라 광학계
JP201208355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053364B1 (ko) 카메라 모듈
KR20190138386A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조립 방법
JP2010156887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素子と電子機器
KR101575346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작 방법
KR102180795B1 (ko) 카메라
KR20130053509A (ko) 카메라 모듈
KR100835087B1 (ko) 카메라모듈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