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4760A -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4760A
KR20060074760A KR1020040113878A KR20040113878A KR20060074760A KR 20060074760 A KR20060074760 A KR 20060074760A KR 1020040113878 A KR1020040113878 A KR 1020040113878A KR 20040113878 A KR20040113878 A KR 20040113878A KR 20060074760 A KR20060074760 A KR 20060074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probe needle
tungsten
semiconductor device
prob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7766B1 (ko
Inventor
주창영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766B1/ko
Publication of KR2006007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5Needle-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 G01R1/06761Material aspects related to lay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 니들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검사를 위한 프로브 카드에서 force/sense term 및 가드 라인(guard line)을 프로브 니들(probe needle) 팁(tip) 끝단까지 연장하여 형성시켜 구현함으로써, 프로브 니들의 자체 저항을 베재시켜 반도체 소자 검사(test)를 위한 프로브 카드(probe card)에 의한 기생저항을 제거시킴으로써, 보다 신뢰성 높은 데이터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 및 제조 방법{PROBE NEEDLE STRUCTURE OF PROBE CAR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PROBE NEEDLE}
도 1은 종래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예시도,
도 2는 종래 프로브 니들에서 검사용 forcing 전류 흐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상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브 니들의 DUT 측정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브 니들의 제조 공정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브 니들에서 검사용 forcing 전류 흐름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300 : 프로브 니들 302 : 제1도체부
304 : 절연부 306 : 제2도체부
308, 312 : 절연체 310 : 가드 라인(guard lin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검사용 프로브 카드(probe card) 니들(needle)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sense/force term 및 가드 라인(guard line)을 프로브 니들(probe needle)의 팁(tip) 끝까지 연장 형성시켜 프로브 니들 자체 저항을 제거하고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 니들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는 웨이퍼(wafer) 상에 패턴(pattern)을 형성시키는 패브리케이션(fabrication) 공정과 패턴이 형성된 웨이퍼를 각각의 칩(chip)으로 조립하는 어셈블리(assembly) 공정을 통해서 제조된다.
그리고 패브리케이션 공정과 어셈블리 공정 사이에는 웨이퍼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칩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이디에스(EDS: electrical die sorting) 라는 공정이 있는데, 이 EDS공정은 웨이퍼를 구성하고 있는 칩들 중에서도 불량칩을 판별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공정으로, 웨이퍼를 구성하고 있는 각 칩의 양,불량품을 선별하는 것 이외에도, 불량 칩 중에서 수리 가능한 칩을 수리하거나, FAB 공정에서의 문제점을 조기에 피드백(feedback)하기 위해서 또는 불량칩의 조기제거로 조립 및 검사에서의 원가절감을 위해서 수행된다.
위와 같은 EDS의 기본요소로는 테스터 시스템, 프로버시스템, 프로브 카드, 데스터 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프로브 카드(probe card)는 아주 가는 니들(needle)을 인쇄회로 기판에 고정시켜 놓은 것으로 테스터에서 발생한 신호가 퍼포먼스(performance) 기판을 통해 프로브 카드의 니들까지 전달되고, 이 니들이 웨이퍼 내 칩(chip)의 패드에 접촉되어 디바이스 내부의 회로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도록 한 후, 인가된 전기신호로부터 체크되는 신호에 의해서 불량을 판단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EDS 공정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브 카드의 니들은 텅스텐(Tungsten) 재질의 팁으로 에폭시 타입(epoxy type)과 블레이드 타입(blade type) 등이 있는데, 모든 타입의 프로브 카드(probe card)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DUT(Device Under Test)(100)와 접촉되는 반대쪽으로 니들(needle)(102)의 끝단에서 force와 sense term이 연결되기 때문에 2지점 프로빙 방법(two point probing method)의 경우 DUT(device under test)(100)가 검사될 때 니들(102) 자체 저항이 포함될 수밖에 없고, 가드 라인(guard line)이 니들(102)의 시스템 쪽 끝단까지만 존재한다.
이에 따라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2지점 프로빙 방법(two point probing) 시 sense term에서 측정되는 전압(V_measured)은 아래의 [수학식 1]에서와 같이 나타내어 져서
Figure 112004062015811-PAT00001
forcing 신호(S1)의 왜곡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ense/force term 및 가드 라인(guard line)을 프로브 니들의 팁 끝까지 연장 형성시켜 프로브 니들 자체 저항을 제거하고 측정 데 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 니들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로서, 반도체 소자의 검사를 위한 force/sense를 위해 베어 웨이퍼 위에 형성되는 텅스텐 재질의 제1 도체부와, 상기 제1 도체부 상부에 형성되며, 중심부분에 텅스텐 재질의 가드라인을 포함하는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소자로의 force/sense를 위한 텅스텐 재질의 제2 도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베어 웨이퍼상에 반도체 소자의 검사를 위한 force/sense 용 제1텅스텐 전극을 증착시키는 단계와, (b)상기 제1텅스텐 전극 상부에 절연부 형성을 위한 제1실리콘 막을 증착시키는 단계와, (c)상기 제1실리콘막 상부에 가드 라인을 위한 제2텅스텐 전극을 증착시키는 단계와, (d)상기 제2텅스텐 전극 상부에 절연부 형성을 위한 제2실리콘 막을 증착시키는 단계와, (e)상기 제2실리콘막 상부에 반도체 소자의 검사를 위한 force/sense 용 제3텅스텐 전극을 증착시키는 단계와, (f)상기 제3텅스텐 증착 후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를 그라인딩(grinding)시키고 패턴(pattern) 모양으로 소잉(sawing)하여 프로브 니들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상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베어 웨이퍼 실리콘 상부에 제1텅스텐과 실리콘, 제2텅스텐을 증착 후, 서브스트레이트 부분을 그라인딩(grinding)하고 패턴(pattern) 모양대로 잘라서(sawing) 제조한다.
즉, 본 발명의 프로브 니들(probe needle)(300)은 상기 도 3의 (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force/sense를 위한 텅스텐 재질의 제1도체부(302)와, 절연체인 실리콘(silicon)(308, 312)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도 3의 (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드 라인(guard line)(310)을 위해 중심 부분은 텅스텐(Tungsten)으로 만들어진 절연부(304)와, force/sense를 위한 텅스텐 재질의 제2도체부(306)로 구성되어,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DUT(100)와 접촉되는 프로브 니들(probe needle)(300) 팁(tip) 끝단까지 force/sense/guard line 이 분리 연결되어 있어 프로브 카드(probe card)를 이용한 테스트 시 프로브 니들 자체 저항과 신호의 왜곡을 최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브 니들의 제조공정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브 니들 제조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어 웨이퍼(bare wafer)(500) 위에 열적으로 옥사이드막(thermal oxide)(502)을 성장시킨 후, 상기 열적 옥사이드막(502) 상부에 텅스텐 접착물(adhesion)과 텅스텐/실리콘(Tungsten/silicon)의 반응에 의한 실리사이드 (silicide)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베리어 메탈(barrier metal)(504)을 화학 기상 방법(CVD)으로 증착시키고, 이어 force/sense를 위한 제1 도체부 형성을 위해 제1텅스텐 전극(506)을 증착시킨다.
그런 후, 상기 제1텅스텐 전극(506) 상부에 텅스텐 증착물(adhesion)과 AP CVD 옥사이드와의 반응을 막기 위한 베리어 메탈(508)을 증착시키고, 베리어 메탈(508) 상부에 도체부간 절연성을 높이기 위한 AP CVD 옥사이드막(510)을 증착시킨다.
이어 상기 AP CVD 옥사이드막(510) 상부에 절연부 형성을 위한 제1실리콘막(512)을 증착시키고, 상기 제1실리콘 절연막(512) 상부에 도체부간 절연성을 높이기 위해 열적으로 옥사이드막(514)을 성장시킨다. 그런 후, 상기 열적 옥사이드막(514) 상부에 텅스텐 증착물과 텅스텐/실리콘의 반응에 의한 실리사이드 형성을 막기 위해 CVD 베리어 메탈(516)을 증착시키고, 가드(guard) 도체부 형성을 위한 제2 텅스텐 전극(518)을 증착시킨다.
이어 텅스텐 증착물과 AP CVD 옥사이드막과의 반응을 막기위한 베리어 메탈(520)을 CVD로 증착시키고, 도체부간 절연성을 높이기 위한 AP CVD 옥사이드막(522)을 증착시킨다. 그런 후, 절연부 형성을 위한 제2실리콘 절연막(524)을 증착시키고, 상기 제2실리콘 절연막(524) 상부에 도체부간 절연성을 높이기 위해 열적으로 옥사이드막(thermal oxide)(526)을 성장시킨다.
이어 상기 열적 옥사이드막(526) 상부에 텅스텐 증착물(adhesion)과 텅스텐/실리콘(Tungsten/silicon)의 반응에 의한 실리사이드 형성을 막기 위해 베리어 메 탈(528)을 CVD로 형성시키며, force/sense를 위한 제2 도체부 형성을 위해 제3 텅스텐 전극(530)을 증착시킨 후, 백 그라인딩(back grinding) 시 패턴(pattern)의 손상(damage)을 막기 위한 패시베이션 옥사이드막(passivation oxide)(532)을 증착시킨다.
위와 같이 프로브 니들 형성을 위한 증착 공정이 완료되는 경우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 부분에 대해 백 그라인딩(back grinding)을 수행시키고, 패턴 모양대로 소잉(sawing)하여 프로브 니들을 완성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프로브 니들을 사용하는 경우 2지점 프로빙(two point probing)에서 측정방식은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DUT(device under test) 양단에서 아래의 [수학식 2]에서와 같이 전압을 측정하여 패턴만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음으로써, 종래 2지점 프로빙 시 발생되는 외부저항의 영향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04062015811-PAT00002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검사를 위한 프로브 카 드에서 force/sense term 및 가드 라인(guard line)을 프로브 니들(probe needle) 팁(tip) 끝단까지 연장하여 형성시켜 구현함으로써, 프로브 니들(probe needle)의 자체 저항을 베재시켜 반도체 소자 검사(test)를 위한 프로브 카드(probe card)에 의한 기생저항을 제거시킴으로써, 보다 신뢰성 높은 데이터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로서,
    반도체 소자의 검사를 위한 force/sense를 위해 베어 웨이퍼 위에 형성되는 텅스텐 재질의 제1 도체부와,
    상기 제1 도체부 상부에 형성되며, 중심부분에 텅스텐 재질의 가드라인을 포함하는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소자로의 force/sense를 위한 텅스텐 재질의 제2 도체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도체부와 절연부로 구성되는 프로브 니들은, 서브스트레이트 부분을 그라인딩하고 패턴 모양으로 소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
  3.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베어 웨이퍼상에 반도체 소자의 검사를 위한 force/sense 용 제1텅스텐 전극을 증착시키는 단계와,
    (b)상기 제1텅스텐 전극 상부에 절연부 형성을 위한 제1실리콘 막을 증착시 키는 단계와,
    (c)상기 제1실리콘막 상부에 가드 라인을 위한 제2텅스텐 전극을 증착시키는 단계와,
    (d)상기 제2텅스텐 전극 상부에 절연부 형성을 위한 제2실리콘 막을 증착시키는 단계와,
    (e)상기 제2실리콘막 상부에 반도체 소자의 검사를 위한 force/sense 용 제3텅스텐 전극을 증착시키는 단계와,
    (f)상기 제3텅스텐 증착 후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를 그라인딩(grinding)시키고 패턴 모양으로 소잉(sawing)하여 프로브 니들로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제조 방법.
KR1020040113878A 2004-12-28 2004-12-28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 및 제조방법 KR10060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878A KR100607766B1 (ko) 2004-12-28 2004-12-28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878A KR100607766B1 (ko) 2004-12-28 2004-12-28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760A true KR20060074760A (ko) 2006-07-03
KR100607766B1 KR100607766B1 (ko) 2006-08-01

Family

ID=3716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878A KR100607766B1 (ko) 2004-12-28 2004-12-28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217B1 (ko) * 2006-12-27 2008-01-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끝단부가 실리사이드로 형성된 프로브 카드 니들
KR20140072351A (ko) 2012-12-03 2014-06-13 네이버 주식회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서의 동기화된 브라우저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1919A1 (en) * 2022-09-05 2024-03-14 Advantest Corporation Amplifi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amplifier arrangement with set current at control input of the amplifier arrangement in dependence on an output current of the amplifier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542A (ja) * 1993-11-12 1995-06-02 Kawasaki Steel Corp プローブ装置
KR100529453B1 (ko) * 2003-12-06 2005-11-17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프로브 카드용 니들과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217B1 (ko) * 2006-12-27 2008-01-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끝단부가 실리사이드로 형성된 프로브 카드 니들
KR20140072351A (ko) 2012-12-03 2014-06-13 네이버 주식회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서의 동기화된 브라우저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766B1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89807B (zh) 测试探针对准控制的方法
US6218848B1 (en) Semiconductor probe card having resistance measuring circuitry and method of fabrication
US6022750A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interconnect having test structures for evalua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connect
US7851793B2 (en) Test structure with TDDB test pattern
US11169180B2 (en) Method for producing probes for testing integrated electronic circuits
US7105856B1 (en) Test key having a chain circuit and a kelvin structure
JP4898139B2 (ja) プローブパッド、半導体素子の搭載された基板及び半導体素子検査方法
JP2001091544A (ja) 半導体検査装置の製造方法
JPWO2005122238A1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US759555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00694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probe card
KR100607766B1 (ko)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 및 제조방법
JP2000021945A (ja) 半導体集積回路のコンタクト抵抗測定方法及び回路
EP2385551A1 (en) Silicon substrate wafer and test method
US6426516B1 (en) Kerf contact to silicon redesign for defect isolation and analysis
US9269642B2 (en) Methods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of wafer and testing structures for integrated circuits
US6989682B1 (en) Test key on a wafer
US7344899B2 (en) Die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a die on a wafer
US8179153B2 (en) Probe apparatus, a process of forming a probe head, and a process of forming an electronic device
US20070111340A1 (en) Method for in-line testing of semiconductor wafers
JP3620982B2 (ja) 半導体検査装置の製造方法
US20160377657A1 (en) Loop-back probe test and verification method
KR100214162B1 (ko) 마이크로 팁 상부에 수직형 프로브를 가지는 웨이퍼프로브카드 및 그 제조방법
JP3333155B2 (ja) プラズマダメージ評価用tegパター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評価方法
KR100529453B1 (ko) 프로브 카드용 니들과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