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978A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978A
KR20060073978A KR1020067010500A KR20067010500A KR20060073978A KR 20060073978 A KR20060073978 A KR 20060073978A KR 1020067010500 A KR1020067010500 A KR 1020067010500A KR 20067010500 A KR20067010500 A KR 20067010500A KR 20060073978 A KR20060073978 A KR 20060073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layer
touch panel
touch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147B1 (ko
Inventor
히로토시 사토
가즈히로 노다
슈지 후루카와
고타로 다니무라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5646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05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856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68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44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32341A/ja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3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언더 코트 층과 언더 코트 층이 형성되는 기판 사이의 접촉레벨이 탁월한 터치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경량이면서 광범위한 동작온도와 내충격성을 갖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도전 층 형성부재와 언더 코트 층 사이에 금속 층을 구비하고, 금속 층을 단일 금속원소 또는 금속원소들의 합금으로부터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터치 기판과 디스플레이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고, 지지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사용하여 각 도전 층 형성부재와 지지부재의 선형 팽창계수 사이의 차가 1 ×20-5/℃ 내에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사용된 터치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2는 도 1의 X-X라인의 평면을 취한 도면으로서,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사용된 터치 패널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사용된 터치 패널의 길이방향 단면도.
본 발명은 터치 패널(touch panel)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간격을 갖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저항부재를 구비하며, 두 저항부재의 각 표준점과 접촉점 사이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터치된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데이터 단말기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서브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단말기에 있어서는 사용의 용이성과 이동성이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데이터 단말기의 입력장치로 저항부재 터치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다. 데이터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작업은 손가락이나 펜으로 저항부재 터치 패널의 표면을 터치함으로 써 실행된다. 터치 된 위치는 X-Y 좌표로서 검출된다.
저항부재 터치 패널은 입력작업에 사용되는 터치 기판과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비한다. 이 터치 기판은 투명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만들어진다. 보호를 위해서는 상기 수지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광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수지 막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기판은 소다석회 유리 또는 강화유리로 만들어진다. 다른 기판과 대면하는 각 기판의 표면은 투명한 도전 층으로서 인듐/주석 산화물(이하, "ITO"라 함)의 박층으로 덮여진다.
터치 패널은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투명도를 필요로 하며, 특히 550nm 정도의 파장을 갖는 광의 투과율은 높아질 필요가 있다. 터치 패널에 대한 높은 투명도를 달성하기 위해 도전성 기판(이 경우에, 터치 기판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투명 도전 층 사이에 적절한 금속 산화물이 종래기술에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이하, 삽입된 금속산화물을 "언더 코트 층(undercoat layer)"이라 한다. 이 기술에 대해서는 특별히 설명한다. 각 기판과 대응하는 투명 도전 층 사이에는 이산화실리콘(SiO2) 또는 이산화 실리콘/주석 감소계(예를들면, SnSiO2)의 금속산화물층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도전 층, 금속산화물층, 박막은 그들 반사율이 고-저-고 또는 저-고-저의 교번 순서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교번에 의해 터치 패널의 투명도가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광 반사율은 공기와 접촉하는 터치 패널의 영역에서 높은데, 이것은 광 투과도를 감소시키는 주된 원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기술은 비록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지만 매우 중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도전기판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유리로 만들어지는 기판과, SiO2와 같은 절연 금속산화물로 만들어지며, 기판상에 직접 형성되는 언더 코트 층, 언더 코트 층에 형성되는 투명 도전 층으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 접촉레벨(또는 접착의 정도)은 기판과 언더 코트 층 사이에서 낮다. 이와 같이, 투명 도전기판이 고온 고습 하에서 장시간 동안 있은 후 또는 알코올이나 알칼리용액 종류와 접촉했을 때 투명 도전 층은 기판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투명 도전 층은 환경에 대한 저항성 및 용액에 대한 저항성이 부족하다.
입력작업을 통해 터치 패널에 압력이 가해지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액정 층이 그 압력을 수신한다. 이것은 액정 층에 지터를 야기시켜 디스플레이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의 비표시 영역(외부영역)에는 접합 층이 구비되고, 터치 패널은 이 접합 층을 통해 액정 디스플레이에 고정된다. 접합 층의 매체에 의해 터치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기판은 압력에 대하여 적당한 강성을 가져야 하는 것이 분명하다.
다음은 휴대용 데이터 단말기에 구비되는 터치 패널의 특성으로서 주로 요구되는 것이다.
(1) 높은 투명성
(2) 터치 패널이 입력작업으로 터치될 때 발생하는 충격과 마찰에 대한 높은 저항성
(3) 두께와 중량의 감소에 대한 높은 적합성
(4) 높은 내충격성(데이터 단말기가 떨어져도 기판 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
(5) 광범위한 동작온도
(6) 적당한 강도
(1), (2)의 특성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든 터치 기판과 유리로 만든 디스플레이 기판상에 투명 도체 층을 형성하는 기술에 대한 개량, 터치 기판과 투명 도전 층 사이의 적절한 무기 금속산화물 또는 수지층의 삽입, 및 터치 기판의 표면 상에 적절한 수지층(이 수지층은 이하, "경질의 코트 층(hard coat layer)"이라 함)의 형성을 통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레벨에서 달성될 수 있다.
(3), (4)의 특성에 대해서는 두께 및 중량의 감소는 종래의 기술만이 사용되는 경우로 한정된다. 일례로서, 디스플레이 기판으로 유리가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경우에, 통상적인 소다유리 대신 강화유리가 사용되더라도 강화유리의 표면에 충격흡수를 위한 금속 프레임이나 보강물질로서의 투명 수지시트가 부착될 필요가 있다. 유리가 사용되는 한, 강한 기계적 충격이 가해질 때 유리가 파손되지 않게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유리가 비교적 얇으면서 적절한 강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투명 수지 막으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ITO와 같은 투명 도전 층이 유리기판을 대체하는 투명 수지 막 상에 형성될 때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대략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 한 방법은 투명 수지 막의 일면에 투명 도전 층을 직접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예에서 투명 수지 막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지지부재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을 투명 도전 층과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단일품 구조(single-piece construction)"라 칭한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이하에서 "다층구조"라 불리는 구성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수지 막은 그 일면이 투명 도전 층으로 덮이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다. 이 다층구조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투명 수지시트는 그 사이에 설치된 아크릴계 접합 층과 함께 투명 도전성 수지의 비 도전성 표면을 커버링한다. 투명 수지시트는 지지부재로서 기능하여 디스플레이 기판에 강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로부터 디스플레이 기판의 다층구조는 투명 도전 층, 투명 수지 막, 접합 층 및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단일품 구조의 경우에는 가교구조을 갖는 유기실록산층이 지지부재와 ITO와 같은 투명 도전 층 사이에 삽입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입력작업으로부터 야기되는 마찰을 견디기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내구성과, 투명 도전 층과의 높은 접착력과, 투명도와, 적절한 강성 및 내열성을 갖는 투명 도전 수지 막이 실현된다.
일반적으로 투명 도전 층은 스퍼터링법, 저항증착법 및 전자빔 증착법과 같은 진공 박막화 기술에 따라 형성된다. 투명 도전 층이 약 0.4%의 포화수 함량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약 2.0%의 포화수 함량을 갖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상에 형성되면, 기판에 막이 형성되기 전에 기판에서 탈수공정이 실행될 필요성이 있다. 만약 탈수공정이 적절하게 실행되지 않으면, 투명 도전 층과 기판 사이의 부착력과 투명 도전 층의 내열에 대한 안정성은 상당히 저하된다.
따라서, 다음의 문제점이 있다. 즉, 유리가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막이 단일품 구조로 형성될 때 진공에서 탈수공정을 마치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기간이 걸린다. 그 이유는 단일품 구조의 경우에는 적절한 강성을 갖는 비교적 두꺼운 지지부재에 투명 도전 층이 직접 형성되기 때문이다. 한편 다층구조의 경우에는 투명도전 층이 지지부재보다 얇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막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보다 짧은 기간에 탈수공정이 완료될 수 있어 대량 생산성이 좋아진다. 또한 이 구성은 복잡하지 않다. 이것이 다층구조가 단일품 구조보다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이유이다.
그러나 다층구조의 경우에는 사용된 물질의 조합에 따라 지지부재와 투명 수지 막의 선형 팽창계수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 선형 팽창계수는 물질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르다.
폴리카보네이트 : ~6.2 ×10-5/℃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 ~6.9 ×10-5/℃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 ~1.5 ×10-5/℃
이러한 차이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판은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수지 막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되면, 낮은 유리 전이점(약 70℃) 때문에 다음의 문제가 발생한다. 만약 터치 패널이 70℃를 초과하는 온도에 노출된 영역에 방치되어 있으면, 투명 수지 막은 지지부재에 대해 상당히 수축될 것이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기판의 주름 등과 같은 변형이 생기고 이로 인해 내열성이 낮아지게 된다.
온도의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는 터치 기판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되면 더욱 현저하다. 특히 입력작업이 실행되면 기능장애가 발생한다. 다른 문제는 터치 패널 몸체와 제어 기판을 연결하는 패널측 커넥터의 전기접점에 고장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터치 패널의 동작온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터치 기판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투명 수지 막으로서 사용될 때 약 0℃~40℃로 제한된다.
주름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은 터치 패널과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각 층의 선형 팽창계수의 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감축될 수 있다. 일례로서 유리 전이점이 높은(150℃)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내열성을 보증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는 표면경도가 낮다. 따라서 각 층의 양면을 보호층으로서의 실리콘, 셀룰로오스, 멜라민, 우레탄 등의 투명 수지층으로 코팅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수적이다. 여기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액저항과 알칼리 저항은 폴 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비해 낮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 문제점이 있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와 경질의 코팅층 사이의 접촉레벨은 습식 에칭공정에서 열화되기 쉽다. 습식 에칭공정은 ITO와 같은 투명 도전 층을 터치 패널을 제조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질의 코팅층에 형성하기 위해 실행된다. 게다가 비록 도체 배선이 페인트 인쇄방법에 따라 탄소잉크 및 은 잉크 또는 은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투명 도전 층에 형성되었으나, 도전 배선과 투명 도전 층 사이의 접촉저항은 고온 고습 하에서 불안정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더 코트 층과 언더 코트 층이 형성되는 기판 사이의 접촉레벨이 탁월한 터치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이면서 광범위한 동작온도와 내충격성을 갖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의 주 표면에 제 1 도전 층을 갖는 제 1 평판과, 상부의 주 표면에 제 2 도전 층을 갖는 제 2 평판으로 구성되는 터치 패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제 1 도전 층과 제 2 도전 층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대향하며, 제 1 평판은 제 1 도전 층이 형성되는 도전 층 형성부재와 이 도전 층 형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제 2 평판과 도전 층 형성부재의 각각은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시트로부터 형성되며, 제 2 평판과 도전 층 형성부재 중 어느 하나와 지지부재의 선형 팽창계수 사이의 차는 1 ×10-5/℃ 내의 범위 에 있다.
비결정질 폴리올레핀 수지시트의 탁월한 내열성과 층의 선형 팽창계수 사이의 조정된 차이에 의해, -40℃에서 100℃에 이르는 광범위한 동작온도가 터치 패널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유리기판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중량이 감소되고, 내충격성이 증가한다.
지지부재는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시트, 폴리카보네이트계 시트, 아크릴 수지시트 중의 하나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시트는 용매주조법(solvent casting method) 및 용융추출법(fusion extruding method) 중의 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의 구성으로, 각 도전 층은 2개의 도전 층이 함께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표면 거칠기를 가지므로, 입력작업이 반복될 때 발생하는 잘못된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평판의 하부 주 표면에는 보호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광범위한 동작온도가 유지되는 동안 입력작업에 견디는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상세한 설명이다.
[제 1 실시 예]
터치 패널의 구성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사용된 터치 패널(1)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X라인의 평면에서 취한 조립후의 터치 패널(10)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터치 패널(1)은 저항 막 터치 패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은 주로 터치 기판(10)과 디스플레이 기판(20)으로 구성된다. 터치 기판(10)과 디스플레이 기판(20)은 서로 대향하고, 그들 사이에는 스페이서(30)가 위치되므로 공기층(31)(도 2에 도시됨)이 기판들 사이에 형성된다.
터치 기판(10)은 높은 투명도를 갖는 물질로 만들어지며, 우수한 유연성과 내열성을 제공한다. 터치 기판(10)은 손가락이나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입력작업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기판(10)은 도전 층 형성부재(12), 경질의 코트 층(11), 언더 코트 층(13), 도전 층(14) 및 접촉 층(15)으로 구성된다.
경질의 코트 층(11)은 도전 층 형성부재(12)의 양면에 형성된다. 경질의 코트 층(11)의 상면은 11b이며, 하면은 11a이다. 언더 코트 층(13)은 경질의 코트 층(11)의 하면(11a)에 형성된다. 도전 층(14)은 언더 코트 층(13)의 하면(13c)에 형성되므로 터치 패널(1)의 중앙에 오게 된다. 접촉 층(15)은 언더 코트 층(13)과 도전 층 형성부재(12)를 접합하도록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층(14)은 한 쌍의 전극(141, 142)을 구비하며, 그 단부를 따라 서로 A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전 층 형성부재(12)는 커넥터(도시생략)가 접속되는 가장자리에 한 쌍의 커넥터 전극(143, 144)을 구비한다. 한 쌍의 전극(141, 142)은 배선패턴(145, 146)을 통해 커넥터 전극(143, 144) 의 쌍에 접속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판(20)은 경질의 코트 층(21), 지지부재(22), 도전 층 형성부재(23), 언더 코트 층(24), 도전 층(25), 접촉 층(26) 및 접합 층(27)으로 구성된다. 경질의 코트 층(21)은 지지부재(22)의 양면에 형성된다. 도전 층 형성부재(23)의 상면은 23a이다. 언더 코트 층(24)은 도전 층 형성부재(23)의 상면(23a)에 형성되고, 언더 코트 층(24)과 도전 층(23) 사이에는 접촉 층(26)이 설치된다. 도전 층(25)은 언더 코트 층(24)의 상면(24c)에 형성되므로 터치 패널(1)의 중앙에 오게된다. 접합 층(27)은 도전 층 형성부재(23)를 지지부재(22)에 접합하고, 접합 층(27)과 지지부재(22) 사이에는 경질의 코트 층(21)이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층(25)은 한 쌍의 전극(251, 252)을 구비하며, 그 단부를 따라 A방향에 수직인 B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전 층 형성부재(23)는 커넥터(도시생략)가 접속되는 가장자리에 한 쌍의 커넥터 전극(253, 254)을 구비한다. 한 쌍의 전극(251, 252)은 배선패턴(255, 256)을 통해 커넥터 전극(253, 254)의 쌍에 접속된다. 예컨대 도전 층(25)의 표면에는 모두 수밀리미터의 일정한 거리로 스페이서(30)가 제공된다. 스페이서(30)는 광 경화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지며, 각각의 스페이서는 높이가 약 10㎛, 직경이 10㎛~50㎛이다.
터치 기판(10)과 디스플레이 기판(20)의 각 외부영역은 접착제(40)에 의해 서로 접합되며, 도전 층(14)와 도전 층(25)은 서로 평행하게 대향한다. 외부영역은 커넥터 전극(143, 144, 253, 254)이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 해야 한다.
경질의 코트 층(11, 21)
경질의 코트 층(11, 21)의 각각은 수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지며, 실리콘계, 아크릴계, 셀룰로오스계, 멜라민계, 또는 광 경화형인 우레탄계 수지로부터 형성된다. 이 수지는 머더보드(본 실시 예에서는 도전 층 형성부재(12)와 지지부재(22))의 전체표면에 도포된다. 머더보드의 전체표면에 도포되는 경질의 코트 층(11)인 수지코트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다.
펜 경도 측정법에 따라, 마찰에 대한 내구성, 투명 도전 층의 접착 및 적절한 도전 층의 강성의 관점에서 경질의 코트 층(11)의 표면경도를 H이상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표면경도는 3H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질의 코트 층(11)은 터치 패널(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터치 패널(1)에 경질의 코트 층(11)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도전 층 형성부재(23)의 표면에 경질의 코트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 층(14, 25)
도전 층(14, 25)은 투명하고 도전성인 금속산화물로 만들어진다. 도전 층(14, 25)을 형성하는 금속산화물로서 ITO, 인듐산화물(In2O3), 안티몬 첨가제를 갖는 주석산화물(SnO2: Sb), 불소 첨가제를 갖는 주석산화물(SnO: F), 알루미늄 첨가제를 갖는 아연산화물(ZnO: Al), 갈륨 첨가제를 갖는 아연산화물(ZnO: Ga), 실리 콘 첨가제를 갖는 아연 산화물(ZnO: Si), 아연 산화물-주석 감소계 금속산화물(예컨대, ZnSnO3) 및 아연산화물-인듐산화물-마그네슘 감소계 금속산화물(예를들면, Zn2In2O5-MgIn2O4) 중의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전 층(14, 25)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우선 언더 코트 층(13, 24)의 각 전체표면에는 도전 막이 형성된다. 다음에 습식에칭 방법에 따라 막의 외부영역이 제거되므로 도전 층(14, 25)이 언더 코트 층(13, 24)의 각각의 중앙부에서 형성된다.
이어서, 탄소 및 은잉크 또는 은의 혼합잉크를 사용하는 페인트 인쇄법을 통해 전극(141, 142, 251, 252), 커넥터 전극(143, 144, 253, 254) 및 배선패턴(145, 146, 255, 256)이 형성된다.
언더 코트 층(13, 24)과 접촉 층(15, 26)
언더 코트 층(13)은 2개의 층(13a, 13b)으로 구성되고 언더 코트 층(24)은 2개의 층(24a, 24b)으로 구성된다. 이들 각각의 두 층은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금속산화물로 만들어지는 절연체이다. 층(13a, 24a)은 층(13b, 24b)보다는 도전 층(14, 25)에 보다 근접하여 설치된다. 도전 층(13)과 층(13a, 13b)(또는 도전 층(25)과 층(24a, 24b))의 3개 층은 도전 층(14)(또는 25)으로부터 측정하였을 때 이들 층의 굴절률이 고-저-고의 순서로 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층구조의 광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경질 코트 층(11)의 하면(11a)에는 층(13b)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접촉 층(15)이 설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도전 층 형성부재(23)의 하면(23a)에는 층(24b)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접촉 층(26)이 설치된다. 접촉 층(15, 26)의 각각은 단일 금속원소 또는 2이상의 금속원소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금속 층이다. 실리콘, 티타늄, 주석 또는 아연과 같은 단일 금속원소를 사용하거나 또는 합금을 위해 이들 금속원소에서 2 이상을 사용하여 접촉 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층(15, 26)의 두께는 실리콘 산화물(SiOx, x≤2)로 만든 종래의 접촉 층보다 얇다. 그 두께는 본 실시 예에서 10Å~50Å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두께가 50Å을 초과하면, 광 투과율이 감소하므로, 언더 코트 층을 제공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한편 두께가 10Å미만이면 적당한 접촉레벨을 얻을 수 없다.
접촉 층(15, 26)은 스퍼터링법, 저항증착법 및 전자빔 증착법 등의 종래의 진공박막화 기술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언더 코트 층(13, 24)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산화물로서, 실리콘산화물(SiO2), 티타늄산화물(TiO2), 주석산화물(SnO2), 주석산화물-하프늄감소계 물질(예컨대, SnO2-HfO2), 실리콘산화물-주석감소계 물질(예컨대, SiO2-SnO2), 아연산화물-주석감소계 물질(예컨대, ZnO-SnO2 또는 ZnSnO3) 및 주석산화물-티타늄감소계 물질(예컨대, SnO2-TiO2)중의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언더 코트 층(13, 24)은 또한 스퍼터링법, 저항증착법 및 전자빔 증착법 등의 종래의 진공 박막화기술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언더 코트 층은 2개의 상이한 금속산화물로부터 형성되고, 스퍼터링법이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자. 이 경우에는 금속산화물의 각각이 분리되어 스퍼터링되는 경우보다 2개의 상이한 금속산화물의 합금이 스퍼터링되는 경우가 스퍼터링 효율이 향상된다. 이처럼, 만약 전자와 후자의 경우에 형성된 층의 두께가 동일하면, 전자의 경우에는 생산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접합 층(27)
접합 층(27)은 접착제와 가소제의 혼합물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두께(예컨대, 5㎛~100㎛)를 갖는 박층이다. 접착제로서 고무계,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입력작업을 통해 압력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 기판(20)의 도전 층(25)은 압력을 수용한다. 결국, 탄성변형, 즉 오목부가 도전 층(25)의 대응부분에 발생한다. 만약 이 탄성변형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최악의 경우에는 도전 층(25)의 탄성복원이 상실된다. 이와 같은 악화된 상황에서는 오목부가 도전 층(25)의 표면에 남기 때문에 입력작업의 신뢰성을 악화시킨다. 그러나 접합 층(27)에 의해 도전 층(25)은 탄성이 증가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도전 층 형성부재(12, 23)와 지지부재(22)
도전 층 형성부재(12, 23)는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물질로 만든 투명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사용되며, 이 수지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는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부재(22)는 유리기판,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카 보네이트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물질로 만든 아크릴 수지 기판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중량감소 및 낙하 등의 사고에 대한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티크릴레이트 등의 물질로 만든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지지부재(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내열성을 고려한다면, 폴리카보네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언더 코트 층, 경질의 코트 층 및 도전 층 형성부재의 각각과 접촉 층 사이에 접촉레벨이 향상되는 이유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층은 실리콘 등의 금속원소로 만들어진다. 금속의 높은 반응성 때문에 접촉 층은 언더 코트 층, 경질의 코트 층 및 도전 층 형성부재와 화학적으로 융합한다. 이것은 접촉 층이 단일 금속원소로부터 형성되는 경우와 복수의 금속원소의 합금으로부터 형성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된다. 한편, 실리콘 산화물이 종래의 경우에서처럼 접촉 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면, 접촉 층의 반응성은 낮다. 이러한 이유로, 접촉 층은 실리콘 등의 금속원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언더 코트 층, 경질의 코트 층 및 도전 층 형성부재의 각각과 접촉 층 사이에 높은 접촉레벨이 얻어진다.
변 경
지금까지 제 1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 1 실시 예에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다음의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1) 상술한 실시 예에서, 언더 코트 층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언더 코트 층을 포함하는 층의 수는 1 이상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언더 코트 층은 실리콘 산화물 등의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하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2) 언더 코트 층과 접촉 층은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배열을 제외한 다음의 배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① 언더 코트 층과 접촉 층은 터치 기판을 위해서만 형성된다.
② 언더 코트 층과 접촉 층은 디스플레이 기판을 위해서만 형성된다.
③ 언더 코트 층은 터치 기판과 디스플레이 기판 모두를 위해 형성되며, 접촉 층은 터치 기판을 위해서만 형성된다.
④ 언더 코트 층은 터치 기판과 디스플레이 기판 모두를 위해 형성되며, 접촉 층은 디스플레이 기판만을 위해 형성된다.
(3) 상술한 실시 예에서, 도전 층 형성부재(23)는 수지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도전 층 형성부재(23)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와 같은 무기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ITO 등의 접촉 층은 도전 층 형성부재(23)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전 층 형성부재(23)는 미리 접촉 층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도전 층 형성부재(23)는 언더 코트 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 1
접촉 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각각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4개의 터치 패널을 제작한다. 이들 4개의 터치 패널을 F1TP, F2TP, F3TP 및 F4TP라 한다. 터치 패널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투명한 도전 막으로 만들어진다. 투명 도전 막(F1, F2, F3 및 F4)는 각각 4개의 터치 패널(F1TP, F2TP, F3TP 및 F4TP)을 위해 사용된다. 동일한 투명 도전 막이 각 터치 패널의 터치 기판과 디스플레이 기판 모두를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투명 도전 막(F2, F4)은 접촉 층이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는 제 1 실시 예와 관련된 것이다. 한편, 투명 도전 막(F1, F3)은 접촉 층이 제공되지 않는 비교 실시 예와 관련된다.
터치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는 JSR사에 의해 제조된 두께 100㎛를 갖는 ARTON 막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ARTON 막은 용매주조법에 따라 제조된다. 이 예에서, 광에 의해 경화되는 아크릴계 경질 코트 층은 ARTON막의 양면에 형성되고, 경질 코트 층의 두께는 5㎛이다.
터치 기판의 경우에서처럼 디스플레이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는 ARTON막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 예에서, ARTON막으로부터 형성되는 도전 층 형성부재는 Nitto Denko 사에 의해 제조된 모델번호 HJ9150W의 이중코팅된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두께 0.4mm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의 전체 면에 접합된다.
Figure 112006037928582-PAT00001
각 층은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에 따라 형성되며, 각 층의 두께는 조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실험>
이들 터치 패널(F1TP~F1TP)을 온도 80℃, 습도 90%에 방치한다. 이들을 500시간 및 10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터치 기판과 디스플레이 기판의 ITO층의 각 검출영역에서의 선형성을 각각의 터치 패널에 대해 측정한다. 선형성이 측정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5V의 직류를 터치 기판의 은전극(도 1의 141 및 142) 사이에 인가한 다음 디스플레이 기판의 ITO층("ITO전극"이라고도 함)에서 터치 기판의 전압을 측정한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기판의 ITO층은 전압검출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 동일한 검출영역에서 이론적으로 얻어지는 전압을 V2(이하, "이론값"이라 함)라고 가정하자. V1과 V2 사이의 차는 (V2-V1)을 계산함으로써 얻어진다. 그리고 차를 이론값 V2로 나눈다. 즉 (V2-V1)/V2로 한다. 구한 값은 터치 기판의 선형성(%)으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터치 기판의 검출영역에서 선형성의 분포가 얻어진다. 이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기판의 ITO층에 형성된 은전극(도 1의 251 및 252) 사이에 5V의 직류를 인가하고, 터치 기판의 ITO층에서 디스플레이 기판의 전압을 측정한다. 이 경우에 터치 기판의 ITO층은 전압검출전극으로서 기능한다. 디스플레이 기판의 검출영역에서도 이 선형성의 분포를 구한다. 일반적으로 선형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도전 층의 열화도 커진다.
<결과>
터치 패널(F1TP~F4TP)의 검출영역에서 선형성의 최대값은 550nm의 초기 투과율의 값과 함께 표 2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6037928582-PAT00002
표 2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F2TP, F4TP)의 선형성은 고온 고습 하에서 일정시간 동안 거의 변화하지 않으며, 이것은 그들의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터치 패널(F2TP, F4TP)의 각각은 실리콘 접촉 층이 삽입되는 투명 도전 막으로 만들어진다. 반면, 터치 패널(F2TP, F4TP)의 선형성은 상술한 환경조건하에서 장시간 동안 방치된 후에 열화된다. 이 열화는 투명 도전 막으로부터 ITO층의 분리에 기인한 것이다.
제 1 실시 예에 관한 터치 패널(F2TP, F4TP)의 도전 층의 접합을 나타낸 본 실험의 결과는 비교 실시 예에 대한 터치 패널(F1TP, F3TP)의 도전 층의 접촉 층의 접합보다 극히 높다. 또한 이 결과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접촉 층이 높은 효율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 2
제 1 실시 예에 따라 표 3에 6개의 투명 도전 막(F5~F10)이 나타나 있으며, 각각의 막은 도전 층 형성부재, 도전 층, 언더 코트 층 및 접촉 층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06037928582-PAT00003
막(F6, F8, F9, F10)은 제 1 실시 예와 관련되고, 막(F5, F7)은 비교 실시 예와 관련된다.
막(F6)을 포함하는 층은 다음과 같은 각각의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도전 층 형성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만들어진다. 접촉 층은 두께 10Å의 실리콘막으로부터 형성된다. 언더 코트 층은 두께 500Å의 실리콘 산화물막으로부터 형성된다. 도전 층은 두께 300Å의 ITO막으로부터 형성된다.
막(F8)을 포함하는 층은 다음과 같은 각각의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도전 층 형성부재는 막(F6)의 경우에서 처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만들어진다. 접촉 층은 또한 두께 10Å의 실리콘막으로부터 형성된다. 도전 층은 두께 300Å의 ITO막으로부터 형성된다. 언더 코트 층은 2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도전 층 형성부재에 보다 근접하여 배치되는 하나의 층은 두께 600Å의 실리콘 산화물-주석감소계(ZnSnO3)막으로부터 형성된다. 상술한 층위에 위치되는 다른 층은 450Å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물(SiO2)막으로부터 형성된다.
막(F9)을 포함하는 층은 막(F9)의 접촉 층이 아연과 주석의 합금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막(F8)을 포함하는 층과 동일하다.
막(F10)을 포함하는 층은 막(F10)의 접촉 층이 실리콘과 주석의 합금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막(F8)을 포함하는 층과 동일하다.
막(F5)을 포함하는 층은 접촉 층이 막(F5)에 구비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막(F6)을 포함하는 층과 동일하다.
막(F7)을 포함하는 층은 접촉 층이 막(F7)에 구비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막(F8, F9, F10)을 포함하는 층과 동일하다.
550nm의 파장에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막(F5~F10)의 각각에 대하여 표 3의 최우측 열에 나타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과율은 막(F5)에 대하여는 90.5%, 막(F6)에 대하여는 90.7%, 막(F7)에 대하여는 95.1%, 막(F8)에 대하여는 95.2%, 막(F9)에 대하여는 94.8%, 막(F10)에 대하여는 95.0%로 각각 설정하였다. 특히, 막(F7~F10)에 대한 투과율은 이들 막의 각 언더 코트 층이 2층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높게 설정된다. 보다 높은 광 투과율에 의해 막의 투명도가 향상된다.
다음의 실험은 각각의 특징을 검사하기 위해 막(F5~F10)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실험 1 : 알칼리 저항에서의 실험>
각각의 막을 각각 5분, 15분, 5시간, 15시간의 소정 시간동안 2%의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지시킨다. 용액의 온도는 25℃이하로 유지한다. 침지후, 각각의 막을 물로 세척하고, ITO 전극의 표면에 대하여 테이프 접착 시험을 실행한다. 그리고, ITO 전극의 표면을 현미경으로 조사한다. 또한 ITO 전극의 표면저항을 측정한다.
테이프 접착 테스트에서, 투명 도전 막의 도전 층으로서 기능하는 ITO 전극에는 접착 테이프가 부착된 다음 벗겨진다. 이 작업은 각각의 테스트에 대해 한번 실행된다.
<실험 2 : 고온/고습 저항에서의 실험>
각각의 막을 소정 시간 동안 즉, 24시간, 120시간 및 500시간 동안, 온도 80℃, 습도 90%에서 방치하였다. 테이프 접착 테스트후, ITO 전극의 표면을 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ITO 전극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를 통해 PET막(도전 층 형성부재)과 접촉 층 사이의 접촉레벨을 평가하였다.
<결과>
실험 1 및 실험 2의 결과는 표 4와 같다.
Figure 112006037928582-PAT00004
"분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결과는 부호 Ο, Δ,Ⅹ의 하나로 도시된다. 이들 부호는 도전 층의 상태를 나타낸다. 부호 Ο는 도전 층의 상태가 변경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부호 Δ는 비록 투명 도전 막으로부터 도전 층이 분리되지는 않았지만 도전 층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부호 Ⅹ는 도전 층이 투명 도전 막으로부터 분리되었음을 나타낸다. 저항은 초기 표면저항에 대한 변화율로서 나타난다. 초기값으로서 막(F5)에 대하여는 단위면적당 320Ω으로 설정되고, 막(F6)에 대하여는 단위면적당 300Ω으로 설정되고, 막(F7)에 대하여는 단위면적당 302Ω으로 설정되고, 막(F8)에 대하여는 단위면적당 310Ω으로 설정되고, 막(F9)에 대하여는 단위면적당 305Ω으로 설정되고, 막(F10)에 대하여는 단위면적당 298Ω으로 각각 설정된다. 표 4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 층을 갖지 않는 막(F5, F7)은 알칼리 저항에서의 실험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알칼리 용액에서 5분 동안의 침지후에만 막(F5, F7)의 도전 층의 표면상의 크랙이 미세하게 발견된다. 게다가 5시간의 침지후에는 대응하는 투명 도전 막(F5, F7)으로부터 도전 층이 분리되는 것이 분명하다. 각각의 막(F5, F7)의 도전 층의 저항은 침지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실제로, 15시간의 침지후, 막(F5, F7)의 저항은 너무 높아서 실험에서는 측정할 수 없었다.
한편, 제 1 실시 예에 관한 막(F6, F8, F9, F10)은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알칼리 용액에서 15시간의 침지후에도 막(F9, F10)에는 크랙만이 발견되었고, 이들 막에서 분리는 관찰되지 않았다. 게다가 막(F6, F8, F9, F10)의 모든 저항값 중에서 최대값은 초기값에 대하여 1.13이다.
다음으로, 고온/고습 저항에서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알칼리 저항에서의 실험의 경우에서 처럼 막(F5, F7)은 만족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120시간 경과후, 막(F5, F7)의 도전 층 표면에서의 크랙은 미세하게 식별되었다. 게다가 상술한 환경조건에서의 시간경과와 함께 저항이 증가하였다. 특히 500시간 경과후, 막(F5, F7)의 각 저항은 대응하는 초기값보다 약 4배로 된다.
한편, 제 1 실시 예와 관련한 막(F6, F8, F9, F10)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500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분리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크랙이라고 할만한 것도 없었다. 또한 막(F6, F8, F9, F10)의 모든 저항값 중에서 최대값은 초기값에 대하여 1.15이다.
이들 두 실험의 결과는 막(F6, F8, F9, F10)의 각 도전 층의 접촉레벨이 막(F5, F7)의 각 도전 층의 접촉레벨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결과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접촉 층의 높은 효율성을 보여준다.
막(F7)의 저항의 증가율은 양 실험에서 막(F5)의 증가율보다 작다. 이 결과는 하나의 층이 PET막과의 접촉레벨의 향상에 약간 기여하는 막(F7)의 언더 코트 층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사용된 터치 패널의 설명이다.
제 2 실시 예의 터치 패널은 기본적으로는 제 1 실시 예의 것과 같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22)와 도전 층 형성부재(12, 23)로서 사용되는 물질을 변경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특성은 그 광범위한 동작온도, 중량 및 내충격성에서 더욱 향상된다. 여기에서 도전 층은 제 2 실시 예에서는 구비될 필요가 없다.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시트는 도전 층(12, 23)의 각각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트의 두께는 25㎛~3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25㎛미만이면, 적당한 기계적 강도가 얻어질 수 없다. 만약 두께가 300㎛를 초과하면, 탈수공정을 마치는데 장시간이 걸린다. 이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시트는 후술하는 (A)~(E)의 특징을 갖는다. 이들 특징은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시트를 터치 패널의 구성에 적합하게 만든다.
(A) 극히 높은 가시광선 투과도(즉, 높은 투명도)
(B) 120℃의 높은 유리 전이점(즉, 높은 내열성)
(C) 높은 용액저항
(D) 낮은 흡습성
(E) 5~7 ×10-5/℃로 나타낸 선형 팽창계수
다음의 효율성은 특성 (A)~(D)를 통해 달성된다.
특성 (A) 때문에 전체 터치 패널의 투명도가 향상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사용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투명도가 상당히 향상된다.
특성 (B)를 통해, 터치 패널은 종래의 터치 패널의 최대 동작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열변형에 저항한다. 이것은 신뢰할 수 없는 입력작업을 초래하는 주요 변수가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특성 (C)를 통해 달성되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습식에칭공정은 ITO와 같은 투명 도전 층이 터치 패널의 제조시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질의 코트 층에 형성될 때 실행된다. 특성 (C)와 같은 높은 용액 저항 때문에 경질의 코트 층과 도전 층 사이의 접촉레벨은 습식 에칭공정에서 저하되지 않는다.
특성 (D)를 통해 도전 층이 형성될 때 짧은 기간에 탈수가 종료될 수 있다.
여기에서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머 주사슬에 대해 공간적으로 부피가 큰 기능그룹을 갖는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결정화가 감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지는 Nippon Zeon사에 의해 제조된 ZEONEX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ZEONEX는 6-메틸-1-1, 4:5, 8-디메타노-1, 4, 4a, 5, 6, 7, 8, 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으로 구성된 고리 개방형 중합 폴리머이다. 또한 JSR사에 의해 제조된 노르보르넨(norbornene) 수지계 ARTON이 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Mitsui Chemicals사에 의해 제조된 APEL이 사용될 수도 있다. APEL은 에틸렌-노르보르넨 첨가 중합 폴리머 또는 에틸렌 테트라시클로도데신 첨가 중합 폴리머이다.
본 실시 예에서, 수지시트는 공지의 용매주조법 또는 용융추출법에 따라 상술한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하나로부터 형성된다. 전자의 방법에 따라 수지시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용매주조법에 의해 형성된 수지시트가 산화에 대해 더욱 저항성을 갖고 제조중에 착색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용매주조법에 의해 형성된 수지시트의 투명성이 용융추출법에 따라 형성된 수지시트의 투명성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지부재(22)는 적절한 두께(예컨대, 0.3mm~3mm)를 갖는 평판부재이다. 두께 때문에 적절한 강성을 얻을 수 있다. 지지부재(22)는 지지부재(22)와 도전 층 형성부재(12, 23) 각각의 선형 팽창계수의 차를 1 ×10-5/℃ 이내로 유지시키는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예를들어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수지가 지지부재(2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그것의 높은 내열성으로 인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2)는 상술한 물질 중의 다른 하나로 각각 만들어지는 복수의 수지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는 지지부재(22)와 도전 층 형성부재(12, 23)의 각각의 선형 팽창계수의 차를 1 ×10-5/℃ 내로 유지시키는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결국 이러한 차로 인해 야기되는 주름은 -40℃~100℃의 광범위한 동작온도에서 조차 감소될 수 있다.
선형 팽창계수의 차를 1 ×10-5/℃ 이내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부재의 체적변화의 차는 상당히 감소될 수 있으므로, 체적변화에 기인한 응력의 발생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치 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전 층 사이의 물리적 흡수력이 입력작업 동안 방지되도록 도전 층의 표면 거칠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층이 형성되고, 도전 층 형성부재(12, 23)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표면 거칠기는 매우 낮으며, 극히 평탄한 시트이다. 이처럼 평탄한 시트에 형성되는 도전 층은 평탄면을 반영한다. 즉 도전 층의 표면 또한 평탄하게 된다. 이것은 경질의 코트 층이 형성될 때 하나의 경우로 언급될 수 있다. 도전 층은 조정없이 용이하게 서로 부착되므로 입력작업이 반복될 때 에러가 발생한다.
표면 거칠기는 일본공업표준(JIS)에 규정된 중심선 평균높이의 평가에 따라 0.05㎛~2㎛로 설정되고, 최대 높이 0.6㎛~3㎛로 설정된다. 양 도전 층(13, 24)의 표면 거칠기가 모두 이러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도전 층(13, 24) 중 어느 하나의 표면 거칠기만 이러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표면 거칠기는 다음의 5가지 방법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① 원하는 표면거칠기를 갖는 금속롤러를 사용하여 도전 층이 형성될 도전 층 형성부재(12, 23)의 표면을 압착하는 방법. 이 경우에 경질의 코트 층은 도전 층 형성부재(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② 표면에 도톨도톨한 부분을 갖는 압착다이를 열과 함께 압착함으로써 도전 층 형성부재(12, 23)에 도톨도톨한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
③ 도전 층이 형성되기 전에, 도전 층 형성부재(12, 23)의 표면을 유기 또는 무기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코팅물질로 코팅하는 방법.
④ 방법 ①과 방법 ③을 조합하는 방법.
⑤ 방법 ②과 방법 ③을 조합하는 방법.
예 3
터치 패널(TP1, TP2, TP3, TP4)은 그들의 특성을 검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터치 패널(TP1, TP2)은 제 2 실시 예와 관련되나, 터치 패널(TP3, TP4)은 비교 실시 예와 관련된다. 다음은 이들 터치 패널(TP1~TP4)의 특성을 검사함으로써 얻어지는 결과의 설명이다.
터치 패널(TP1~TP4)은 표 5에 나타낸 각각의 물질로부터 주로 형성된다.
Figure 112006037928582-PAT00005
우선 터치 패널(TP1)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12)와 디스플레이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23)를 위해 ARTON이 사용된다. 지지부재(22)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부터 형성된다. 접합 층(27)으로서는 Nitto Denko사에 의해 제조된 모델번호 HJ9150W의 이중코팅된 접착테이프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터치 패널(TP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12)와, 디스플레이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23)와, 지지부재(22)를 위해 ARTON이 사용된다. 접합 층(27)으로서는 터치 패널(TP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Nitto Denko사에 의해 제조된 모델번호 HJ9150W의 이중코팅된 접착테이프가 사용된다.
비교 실시 예와 관련된 터치 패널(TP3)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12)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만들어진다. ARTON은 도전 층 형성부재(23)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접합 층(27)으로서는 Nitto Denko사에 의해 제조된 모델번호 HJ9150W의 이중코팅된 접착테이프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비교 실시 예와 관련된 터치 패널(TP4)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12)와, 디스플레이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23)를 형성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가 사용된다. 지지부재(22)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만들어진다. 접합 층(27)으로서는 Nitto Denko사에 의해 제조된 모델번호 HJ9150W의 이중코팅된 접착테이프가 사용된다.
터치 패널(TP1, TP2)에서는 지지부재와 각 도전 층 형성부재(12, 23)의 선형 팽창계수의 차가 상술한 물질의 조합에 의해 1 ×10-5/℃ 내로 유지된다.
터치 패널(TP3, TP4)에서는 선형 팽창계수의 차가 상술한 물질의 조합에 의해 1 ×10-5/℃를 초과한다.
상술한 각각의 물질로 만든 터치 패널(TP1~TP4)의 특성은 다음의 환경조건하에서 조사된다.
우선, 터치 패널(TP1~TP4)을 온도 -40℃에서 60분간 노출시킨다. 계속해서 온도를 분당 2℃씩 100℃까지 상승시키고, 터치 패널(TP1~TP4)을 100℃에서 100분동안 노출시킨다. 이 공정은 1주기(사이클)에 해당하며, 이러한 주기를 100회 반복한다. 온도 100℃는 분당 2℃씩 -40℃까지 낮추어진다. -40℃까지 60분 노출, 100℃까지 100분 노출후, 어떤 결함이 발생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터치 패널을 검사한다.
또한 1주기가 완료될 때마다 커넥터 전극(143, 253) 사이 및 커넥터 전극(144, 254) 사이의 각 단자저항을 검사한다. 이들 결과를 변형검사 결과와 함께 표 5에 나타냈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만든 층의 주름 때문에 온도 0℃에서 터치 패널(TP3, TP4)의 전체표면에는 변형이 발생하였다. 한편 -40℃와 100℃에서는 터치 패널(TP1, TP2)에 변형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100주기가 완료된 후, 터치 패널(TP3, TP4)을 실온에 방치하였다. 그러나 이들 터치 패널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않았다. 이것은 -40℃의 저온과 100℃의 고온에 노출시킴으로써 터치 패널(TP3, TP4)에 임계적인 변형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비록 터치 패널(TP1, TP2)이 100주기 후 실온에 방치되더라도 이들 터치 패널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다.
단자저항(즉, 터치 기판과 디스플레이 기판 사이의 저항)에 대하여 터치 기판과 디스플레이 기판 사이의 초기저항에 관한 변화율로 결과를 보여주었다. 약 20번째 주기에서는 터치 패널(TP3)에서의 저항이 1.1이고, 터치 패널(TP4)에서의 저항이 2.0에 도달하였다. 반면 터치 패널(TP1, TP2)에서의 각 저항은 100주기가 완료된 후에도 1.1이었다. 이 결과는 터치 패널(TP1, TP2)이 현저하게 안정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은 상술한 결과의 결론으로서 언급될 수 있다. 도전 층 형성부재(12, 23)를 형성하는 비결정질 폴리올레핀을 사용하고, 지지부재(22)와 각 도전 층 형성부재(12, 23)의 선형 팽창계수의 차를 1 ×10-5/℃의 범위내로 설정함으로써 고온에서 동작가능하고 온도변화에 저항성을 갖는 터치 패널이 얻어질 수 있다.
터치 패널(TP3, TP4)에 관하여, 단자저항은 전극의 배선구조에 따라 약 20번째 주기의 초기값보다 3배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배선구조에 기인한 단자저항의 이러한 변화는 터치 패널(TP1, TP2)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제 2 실시 예와 관련한 터치 패널(TP1, TP2)의 전체구조가 비교 실시 예에 관한 터치 패널(TP3, TP4)의 전체구조보다 더욱 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3 실시 예]
다음으로, 제 3 실시 예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터치 패널은 제 3 실시 예의 터치 패널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입력동작의 제한된 총 횟수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는 제 2 실시 예의 것과 동일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터치 패널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12)에 차례로 형성되는 경질의 코트 층(11)의 상면(11b)에는 보호부재(50)가 형성된다. 보호부재(50)와 경질의 코트 층(11)의 상면(11b) 사이에는 아크릴계 접착층(도시생략)이 설치된다.
보호부재(50)는 경질의 코트 층(11)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경질의 코트 층(52)으로 코팅되는 메인부재(51)로 구성된다.
메인부재(51)는 지지부재(22)와 각 도전 층 형성부재(12, 23)의 선형 팽창계수의 차를 1 ×10-5/℃내로 유지하는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물질을 사용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제 2 실시 예에서 얻어지는 -40℃~100℃의 동작 온도범위가 얻어질 수 있다. 메인부재(51)의 두께에 관한한 입력작업에 필요한 적절한 유연성뿐아니라 적절한 강성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의 경우에는 두께를 0.2mm~0.5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터치 패널의 강성은 터치 기판에 구비되는 보호부재(50)에 의해 보다 크게 된다. 결국, 입력작업에 견딜 수 있는 터치 패널의 내구성은 제 2 실시 예의 것에 비해 더욱 향상되므로 입력작업의 한정된 총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제 3 실시 예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두께 0.25mm의 아크릴 시트 또는 두께 0.3mm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가 터치 기판의 도전 층 형성부재(12)에 보호부재로서 형성된다. 여기에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접착층은 도전 층 형성부재(12)와 아크릴 시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사이에 설치된다. 터치 패널은 50mm ×100mm의 입력영역을 갖는다. 제 3 실시 예의 터치 패널과 비교 실시 예의 터치 패널에 대하여 실험을 행한다. 비교 실시 예의 터치 패널은 보호부재와 함께 구비되지 않는다.
반경 0.8mm이고 폴리아세탈로 만든 플라스틱 펜을 터치 기판에 위치시킨다. 1kg의 부하를 플라스틱 펜에 수직으로 가한다. 그리고 플라스틱 펜을 터치 기판의 표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각각의 방향에서 플라스틱 펜은 35mm의 거리 내에서 전후로 이동한다. 이 전후운동은 하나의 세트로서 1초에 2회 반복되고, 2회 운동의 세트는 차례로 1,000,000회 반복된다. 그 다음에 각 검출영역의 선형성(%)을 제 1 실시 예에 언급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각각의 결과는 1% 이내이며, 선형성은 실험이 실행되기 전과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플라스틱 펜은 보호부재를 갖지 않는 터치 패널의 표면에서 이동한다. 이 경우에, 500g의 부하가 플라스틱 펜에 수직으로 가해지고, 두가지 운동의 세트는 100,000회 반복된다. 그 후, 각 검출영역에서의 선형성을 측정한다. 각각의 결과는 터치 기판의 투명 도전 층에 발생하는 물리적 손상 때문에 1%를 초과한다.
이들 결과는 보호부재의 배열이 고부하의 충격 때문에 터치 기판과 디스플레이 기판의 ITO 투명 도전 층에 발생할 수도 있는 물리적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본 발명은 PDA 및 서브노트북 컴퓨터 등의 휴대용 데이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입력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하부의 주 표면상에 제 1 도전 층을 갖는 제 1 평판과, 상부의 주 표면상에 제 2 도전 층을 갖는 제 2 평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도전 층과 제 2 도전 층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대향하며,
    상기 제 1 평판은 상기 제 1 도전 층이 형성되는 도전 층 형성부재와 이 도전 층 형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평판과 도전 층 형성부재 각각은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시트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 2 평판과 도전 층 형성부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지지부재의 선형 팽창계수 사이의 차가 1 ×10-5/℃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시트, 폴리카보네이트계 시트, 및 아크릴 수지시트 중의 하나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시트는 용매주조법(solvent casting method) 및 용융추출법(fusion extruding method) 중의 하나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층은 각각 서로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표면 거칠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층은 서로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표면 거칠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호부재가 상기 제 2 평판의 하부 주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7. 제 3 항에 있어서,
    보호부재가 상기 제 2 평판의 하부 주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8. 제 4 항에 있어서,
    보호부재가 상기 제 2 평판의 하부 주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9. 제 5 항에 있어서,
    보호부재가 상기 제 2 평판의 하부 주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KR1020067010500A 1998-09-10 1999-09-08 터치 패널 KR100630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8-00256463 1998-09-10
JP25646398A JP3590530B2 (ja) 1998-09-10 1998-09-10 タッチパネル
JPJP-P-1998-00258569 1998-09-11
JP25856998A JP3366864B2 (ja) 1998-09-11 1998-09-11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30144298A JP2000132341A (ja) 1998-10-22 1998-10-22 タッチパネル
JPJP-P-1998-00301442 1998-10-2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040A Division KR100676586B1 (ko) 1998-09-10 1999-09-08 터치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978A true KR20060073978A (ko) 2006-06-29
KR100630147B1 KR100630147B1 (ko) 2006-10-02

Family

ID=273345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040A KR100676586B1 (ko) 1998-09-10 1999-09-08 터치패널
KR1020067010500A KR100630147B1 (ko) 1998-09-10 1999-09-08 터치 패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040A KR100676586B1 (ko) 1998-09-10 1999-09-08 터치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07337B1 (ko)
EP (2) EP1031111B1 (ko)
KR (2) KR100676586B1 (ko)
CN (2) CN1255716C (ko)
AT (1) ATE516531T1 (ko)
TW (1) TW448399B (ko)
WO (1) WO20000162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941A (ko) * 2010-06-03 201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7337B1 (en) 1998-09-10 2003-01-14 Gunze Limited Touch panel
JP2000207128A (ja) * 1999-01-18 2000-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透明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1290135A (ja) * 2000-01-31 2001-10-19 Nitto Denko Corp タッチ式液晶表示装置及び入力検出方法
JP3785086B2 (ja) * 2000-11-27 2006-06-14 敏秋 石山 ガラス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6744425B2 (en) * 2000-12-26 2004-06-01 Bridgestone Corporation Transparent electroconductive film
JP4270761B2 (ja) * 2001-01-17 2009-06-0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6673390B2 (en) * 2001-03-23 2004-01-06 Eturbotouch Technology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linearization pattern
KR100919077B1 (ko) 2001-09-06 2009-09-28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고내구성을 갖는 터치패널
KR100796489B1 (ko) * 2001-12-28 2008-01-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패널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3100592A1 (fr) * 2002-05-23 2003-12-04 Nissha Printing Co., Ltd. Structure de montage de panneau tactile et panneau tactile avec plaque support
US6721651B1 (en) * 2002-06-28 2004-04-13 Garmin Ltd. Rugged, waterproof, navigation device with touch panel
JP2004070802A (ja) * 2002-08-08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透明タッチパネル
US7151532B2 (en) * 2002-08-09 2006-1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functional multilayer optical film
KR100480154B1 (ko) 2002-08-30 2005-04-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패널
KR100493921B1 (ko) * 2002-10-07 2005-06-10 주식회사 에이터치 평판디스플레이와 일체화된 터치패널 및 그 터치패널부가형 화상입력장치 제조방법
JP4336232B2 (ja) * 2004-03-29 2009-09-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20050260338A1 (en) * 2004-05-19 2005-11-24 Trendon Touch Technology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circuit layout on touch panel by utilizing metal plating technology
US20080088601A1 (en) * 2004-05-19 2008-04-17 Tpk Touch Solutions Inc. Circuit layout on a touch panel
JP3819927B2 (ja) * 2004-06-03 2006-09-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
EP1612654A1 (en) * 2004-07-01 2006-01-04 TrendOn Touch Technology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circuit layout on touch panel by utilizing metal plating technology
JP2006092814A (ja) * 2004-09-22 2006-04-06 Alps Electric Co Ltd 操作装置
US8264466B2 (en) * 2006-03-31 2012-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creen having reduced visibility transparent conductor pattern
US7639335B2 (en) * 2007-03-19 2009-12-29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9259203A (ja) * 2008-03-25 2009-11-05 Epson Imaging Devices Corp 静電容量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894710B1 (ko) * 2008-06-27 2009-04-24 (주) 월드비젼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5407B1 (ko) 2008-07-18 2010-10-06 한국터치스크린(주)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 및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에서의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전기적 연결 방법
JP4720868B2 (ja) * 2008-07-31 2011-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WO2010024192A1 (ja) * 2008-08-25 2010-03-0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インプット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JP2011504618A (ja) * 2008-09-26 2011-02-10 トヴィ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強化ガラスを利用したタッチパネル
JP5366502B2 (ja) * 2008-10-31 2013-12-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導電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05610A (ja) * 2009-03-04 2010-09-16 Casio Computer Co Ltd タッチパネル
JP2010205611A (ja) * 2009-03-04 2010-09-16 Casio Computer Co Ltd タッチパネル
CN102023440B (zh) * 2009-09-15 2012-07-0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控屏幕及其制造方法
JP5601944B2 (ja) * 2010-06-28 2014-10-08 帝人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デバイス、及びタッチパネルデバイス付表示装置
CN102637697B (zh) * 2011-01-25 2014-12-2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薄膜晶体管基板及应用其的显示器及其制造方法
JP2014211663A (ja) 2011-09-02 2014-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5512624B2 (ja) * 2011-09-21 2014-06-0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CN103123547A (zh) * 2011-11-16 2013-05-29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光学面板的堆叠结构及其制造方法
CN103252936B (zh) * 2012-02-17 2016-08-1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复合层结构及具有其的触控显示装置
US20130321324A1 (en) * 2012-06-01 2013-12-05 Touch Turns Llc System for reducing finger-coupled noise in capacitive touch sensors
TWI508838B (zh) * 2012-06-29 2015-11-21 Elan Microelectronics Corp 以塑料射出成形之輸入模組的製造方法
US9213362B1 (en) * 2014-06-16 2015-12-15 Gunze Limited Touch panel and film body
KR20170058742A (ko) * 2015-11-19 2017-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조방법
FI20175373A1 (en) 2017-04-25 2018-10-26 Canatu Oy A process for making a laminated film
KR102502803B1 (ko) * 2017-12-27 2023-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FR3077895B1 (fr) * 2018-02-09 2020-02-28 Sas Woodoo Dispositif de detection tactile avec interface tactile en materiau composite
KR20230169469A (ko) * 2020-11-30 2023-12-15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1710A (ja) * 1983-10-08 1985-05-09 コニカ株式会社 透明導電性光学装置
JP2516502B2 (ja) * 1991-09-25 1996-07-2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入力装置
KR100308139B1 (ko) * 1993-04-28 2001-11-30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투명터치패널
JPH0713678A (ja) * 1993-06-23 1995-01-17 Seiko Epson Corp 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5623280A (en) * 1994-06-17 1997-04-22 Motorola, Inc.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ouch sensitive screens
JP3397547B2 (ja) * 1995-10-16 2003-04-14 グンゼ株式会社 抵抗膜式透明タッチパネル
JPH09237159A (ja) * 1995-12-13 1997-09-09 Gunze Ltd 抵抗膜型透明タッチパネル
JPH10171599A (ja) * 1996-12-05 199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US6507337B1 (en) 1998-09-10 2003-01-14 Gunze Limited Touch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941A (ko) * 2010-06-03 201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933A (ko) 2001-04-16
KR100630147B1 (ko) 2006-10-02
EP1031111A1 (en) 2000-08-30
EP1031111B1 (en) 2011-07-13
WO2000016251A1 (en) 2000-03-23
ATE516531T1 (de) 2011-07-15
CN1147819C (zh) 2004-04-28
CN1255716C (zh) 2006-05-10
TW448399B (en) 2001-08-01
EP1785823A3 (en) 2008-04-09
EP1785823A2 (en) 2007-05-16
CN1508749A (zh) 2004-06-30
US6507337B1 (en) 2003-01-14
CN1277696A (zh) 2000-12-20
KR100676586B1 (ko)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147B1 (ko) 터치 패널
US8462278B2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touch panel therewith
KR100779441B1 (ko) 투명 도전성 적층체
US6559902B1 (en) Touch panel
KR101137276B1 (ko)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 패널
US7161588B2 (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21541B1 (ko) 투명 도전성 막
KR100919077B1 (ko) 고내구성을 갖는 터치패널
JP4449616B2 (ja) タッチパネル
US20090086113A1 (en) Touch panel and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WO2006007071A1 (en) Capacitive touch panel sensor with improved transparency
US20140049699A1 (en) Polarizing plate, touch liquid crystal panel and touch display
WO2012176624A1 (ja) 押圧検出機能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
KR20070033443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터치 패널
KR101030803B1 (ko) 고투명 전도성 적층체
KR20140132800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JP2004070802A (ja) 透明タッチパネル
US11656698B1 (en) Touch sensor and input device
JP2002316378A (ja) 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KR100961253B1 (ko) 투명성이 향상된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CN219947539U (zh) 高可靠性的ito架桥结构及触摸屏
KR100463157B1 (ko) 터치 패널
JP2021077160A (ja) タッチセンサ
JP2000132341A (ja) 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