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153A -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153A
KR20060068153A KR1020040106756A KR20040106756A KR20060068153A KR 20060068153 A KR20060068153 A KR 20060068153A KR 1020040106756 A KR1020040106756 A KR 1020040106756A KR 20040106756 A KR20040106756 A KR 20040106756A KR 20060068153 A KR20060068153 A KR 2006006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aiting
waiting sound
information
sound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6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8153A/ko
Publication of KR2006006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로의 발신 요청을 수신하면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은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 대기음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은 상기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의 통화대기음으로 설정한다.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로의 발신 요청 수신시 통화대기음 정보 요청도 함께 수신되면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과 함께 해당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도 함께 발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에는 통화 대기음의 제목이 포함되며, 해당 통화 대기음의 설정을 위한 코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부터 통화대기음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통화대기음 설정 기능을 선택하면 통화대기음 설정 요청을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한다.
통화 대기음, 설정,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 이동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Method for setting ringback t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대기음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통화 대기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의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하는 통화 대기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대방과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통신 기기로서 현대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때 사용자에게 일반적인 발신음 대신에 상대방이 설정한 통 화 대기음을 들려주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화 대기음을 설정할 때에는 통화대기음을 제공해 주는 통화 대기음 서버에 접속하여 설정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통화 대기중 상대방의 통화 대기음을 듣고 통화 종료 후 즉시 상대방의 통화 대기음을 즉시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화를 걸었을 때 들려오는 통화대기음이 마음에 들어서 그 음악을 자신의 통화대기음으로 설정하고자 하여도, 해당 음악의 제목 등을 알아야 하고, 제목을 알고 있다고 하여도 통화대기음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통화대기음을 설정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통화 대기음을 서비스하는 서버나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별로 같은 제목의 통화 대기음이라도 각기 다른 음색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일일이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에게 통화 대기음을 서비스하는 서버나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에 재접속으로 인한 데이터 통신 비용 등의 추가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의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하는 통화 대기음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로의 발신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대기음을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단계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 대기음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통화대기음을 발신자의 통화대기음으로 설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단계에서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이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로의 발신 요청을 수신할 때 발신자에 대해서 통화 대기음 정보 제공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만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를 발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로의 발신 요청을 수신할 때 통화 대기음 정보 요청이 함께 수신된 경우에 해당 발신자에 대해서 통화 대기음 정보 제공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이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 대기음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를 발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에는 통화 대기음의 제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통화 대기음의 설정을 위한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화 대기음 정보를 수신한 발신자의 단말기에서 통화 대기음 정보의 표시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킬수 있는데, 통화 대기음 정보의 표시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발신자의 단말기에서 통화 대기음이 들리고 있는 동안에 통화 대기음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 대기음 미리 듣기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부터 통화대기음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가 통화대기음 설정 기능을 선택하면 통화대기음 설정 요청을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제 1단계에서 통화 대기음 정보는 통화가 연결되기 전까지 화면에 표시되거나 통화가 종료된 이후에 화면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단계에서 통화 대기음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때 통화 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도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수단을 선택한 경우에는 통화 대기음 설정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화 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화면에 표시할 때 통화 대기음의 미리 듣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통화 대기음 미리 듣기 기능 선택수단도 화면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상기 통화 대기음 미리 듣기 기능 선택 수단을 선택하면 통화 대기음 미리 듣기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화면에 표시할 때 통화대기음 정보 저장 수단도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통화대기음 정보 저장 수단을 선택하면 수신한 통화대기음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신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설정 요청이 이루어진 통화 대기음 정보를 통화 대기음 리스트에 추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제어부(130), 무선회로부(140), 메모리부(150), 오디오 변환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표시부(120)는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통화 대기음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통화 대기음 설정 기능을 선택하면 통화 대기음 설정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무선 회로부(14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정보를 주고받는 송수신회로이다.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송하는 호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3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5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및 상태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모리부(150)는 음원을 이용하여 설정된 통화 대기음을 저장한다.
오디오 변환부(160)는 마이크로폰(MIC)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무선회로부(140)를 통해 송출하기 위한 형태로 처리하고, 무선회로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상대방의 음성신호나 제어부(130)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대기음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발신자 단말기가 수신자 전화번호로의 발신 요청을 전송하면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은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발신자 단말기는 수신자 전화번호로 발신 요청을 전송할 때 통화 대기음 정보 요청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발신자 단말기가 통화대기음 정보를 항상 보내줄 것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에 등록해 놓을 수도 있다. 또는, 발신자 단말기에 상관없이 항상 통화대기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신자의 단말기가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발신 요청을 하면 (S200) 발신자에 대해서 통화 대기음 정보 제공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이므로(S201의 '예'),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과 함께 해당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도 함께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203). 이렇게 전송하는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는 통화 대기음의 제목이 포함되며, 해당 통화 대기음의 설정을 위한 코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이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로의 발신 요청만 수신 받은 경우에는(S201의 '아니오')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205).
또한, 발신자 단말기는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은 통화 대기음 정보의 표시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킬수 있는데, 통화 대기음 정보의 표시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에는(S207의 '예') 통화 대기음이 들리고 있는 동안에 통화 대기음 정보를 표시한다(S209).
즉,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를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아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화면예와 같이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에는 '한남자'와 같은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제목과 통화 대기음에 관한 가수정보, 'number:#34532'와 같이 해당 통화 대기음의 설정을 위한 코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는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렇게 발신자의 단말기에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의 표시가 비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에는(S207의 '아니오') 통화 대기음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S211).
또한, 이와 같이 발신자의 단말기가 통화 대기음이 들리고 있는 동안에 해당 통화 대기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만 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통화가 종료되면(S213의 '예') 발신자의 단말기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화면예와 같이 통화 대기음 설정을 위한 수단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렇게 통화 대기음 설정을 위한 수단을 화면에 표시할 때 통화 대기음의 미리 듣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통화 대기음 미리 듣기 기능 선택수단도 화면에 표시되며, 통화 대기음 정보 저장 수단도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S215).
만약, 사용자가 통화 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선택하면(S217의 '예') 발신자 단말기는 통화 대기음 설정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219). 또한, 통화 대기음 설정 요청이 이루어진 통화 대기음 정보를 통화 대기음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의 화면예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통화 대기음 정보를 통화 대기음 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나중에 이를 통해서 통화 대기음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도 4c에 도시된 화면예와 같이 발신자 단말기는 통화 대기음의 미리 듣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통화 대기음 미리듣기 기능 선택수단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표시된 통화 대기음 미리 듣기 기능 선택수단을 사용자가 선택하면(S227) 발신자의 단말기는 통화 대기음 미리 듣기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이다(S229).
한편, 제 219단계에 의해서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에 통화 대기음 설정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은 상기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의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한다(S221).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한남 자'라는 제목을 가진 통화 대기음이 발신자의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 때의 화면예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만약 사용자가 통화 대기음 정보 저장 수단을 선택하면(S223), 발신자단말기는 수신한 통화 대기음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225).
즉, 이를 테면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화면예에서 통화 대기음 정보 저장 수단의 실시예로 볼 수 있는 '나중 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발신자 단말기는 수신한 통화 대기음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렇게 저장된 통화 대기음의 정보는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통화 대기음 나중 설정 목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화 대기음 나중 설정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때 통화 대기음의 미리 듣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통화 대기음 미리 듣기 기능 선택 수단도 확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화면예와 같이 미리 듣고자 하는 통화대기음을 선택한 상태에서 '미리 듣기' 항목과 같은 통화 대기음 미리 듣기 기능 선택 수단을 선택하면(S227) 발신자 단말기는 통화 대기음 미리 듣기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229)
또한 이러한 '통화 대기음 나중 설정 목록' 항목과 같은 통화 대기음 정보 저장 수단을 통해서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이 가능한 시간을 알람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확인 가능토록 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에 통화 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 디스플레이된 상황에서 통화 대기음을 설정할 시간이 없는 경우에는 '통화 대기음 나중 설정 목록'과 같은 통화 대기음 정보 저장 수단을 통해서 알람기능 을 활용하여 나중에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화 대기음 정보 저장 수단을 통해서 수신된 통화 대기음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통화 대기음 목록 중에서 하나의 통화 대기음을 선택하면 발신자 단말기는 도 4e에 도시되어 있는 화면예와 같이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 가능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를테면 '1시간 후' 항목을 선택하면 발신자 단말기는 1시간이 지난후에 도 4f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알람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현 상황에서는 통화 대기음을 설정하고자 할 여건이 안되는 경우에 발신자 단말기는 메모리에 저장된 통화대기음 정보를 활용하여 나중에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화면예에서 사용자가 '취소'항목을 선택하면 발신자 단말기는 도 4g에 도시되어 있는 화면예와 같이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취소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대기음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기가 수신자 전화번호로의 발신 요청시 통화 대기음 정보 제공도 함께 요청하면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과 함께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으므로 발신자에게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기가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의 설정을 요청하면 상기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의 통화 대기음으로 설정해 주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통화 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노력을 덜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통화 대기음의 설정 접속으로 인한 데이터 통신 비용의 추가 부담을 덜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로의 발신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수신자가 설정해 놓은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단계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 대기음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의 통화대기음으로 설정하는 제 2단계
    를 구비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통화대기음과 함께 해당 통화대기음에 관한 정보도 함께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에 대해서 통화대기음 정보 제공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만 통화대기음에 관한 정보를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로의 발신 요청을 수신할 때 통화대기음 정보 요청도 함께 수신한 경우에 해당 발신자에 대해서 통화대기음 정보 제공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 이후에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대기음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통화대기음에 관한 정보를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대기음에 관한 정보에는 통화대기음의 제목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대기음에 관한 정보에는 해당 통화대기음의 설정을 위한 코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화대기음 정보를 수신한 발신자 단말기에서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에서 통화대기음 정보는 수신자와의 통화가 종료된 이후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는 통화대기음 정보의 표시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통화대기음 정보를 수신한 발신자 단말기에서 통화대기음이 들리고 있는 동안에 통화대기음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 이후에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대기음 미리듣기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통화대기음을 발신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13.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부터 통화대기음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가 통화대기음 설정 기능을 선택하면 통화대기음 설정 요청을 이동통 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2단계
    를 구비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통화대기음 정보는 통화가 연결되기 전까지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통화대기음 정보는 통화가 종료된 이후에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통화대기음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때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도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수단을 선택한 경우에 제2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화면에 표시할 때 통화대기음의 미리 듣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통화대기음 미리듣기 기능 선택수단도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통화대기음 미리듣기 기능 선택수단을 선택하면 통화대기음 미리듣기 요청을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화면에 표시할 때 통화대기음 정보 저장 수단도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통화대기음 정보 저장 수단을 선택하면 수신한 통화대기음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제2단계는
    설정요청이 이루어진 통화대기음 정보를 통화대기음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KR1020040106756A 2004-12-16 2004-12-16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KR20060068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756A KR20060068153A (ko) 2004-12-16 2004-12-16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756A KR20060068153A (ko) 2004-12-16 2004-12-16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153A true KR20060068153A (ko) 2006-06-21

Family

ID=3716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756A KR20060068153A (ko) 2004-12-16 2004-12-16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81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2270B2 (en) 2006-10-31 2013-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ring back t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2270B2 (en) 2006-10-31 2013-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ring back t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3272B1 (en) Wireless answer and hold feature
JP2003179976A (ja) 移動電子機器の警報モードを自動的に選択する方法。
JP2003319062A (ja)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JP3827521B2 (ja) 情報携帯端末装置
KR20060068155A (ko) 통화대기음 다운로드 방법
KR20060015932A (ko) 선호도를 이용한 수신알림 레벨 제어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68153A (ko)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KR100713449B1 (ko) 휴대용 이동 전화기의 벨소리 변경방법
JP3123151B2 (ja) 携帯電話機
JP2000106685A (ja) 無線端末装置
KR2006006018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대기음 제공 방법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JP2001251672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の通話方式
KR20030018951A (ko) 발신자 번호의 음성표시 방법
KR100664140B1 (ko) 휴대 단말기의 벨소리 음량 조절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KR200343145Y1 (ko) 동일한 배경음을 양쪽에서 들을수 있게 한 전화
KR10060460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알람 방법
KR1005823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착발신 이력 목록을 이용한메시지의 나열 방법
JP200108621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3049930U (ja) 携帯電話の呼出し装置
JP2004120288A (ja) 電話機
CN101820478A (zh) 用于提供替代电话铃音的可听消息的系统和方法
KR2005009548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알람시간 음성 출력방법
JP2002232960A (ja) 携帯電話端末
KR20030045887A (ko) 전화단말기에서 블랙 리스트로 지정한 번호의 착신 차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